KR20090112956A -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 Google Patents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956A
KR20090112956A KR1020080038760A KR20080038760A KR20090112956A KR 20090112956 A KR20090112956 A KR 20090112956A KR 1020080038760 A KR1020080038760 A KR 1020080038760A KR 20080038760 A KR20080038760 A KR 20080038760A KR 20090112956 A KR20090112956 A KR 2009011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ffee
piston
filter
b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구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구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구전자
Priority to KR102008003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956A/ko
Publication of KR2009011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steam pressure
    • A47J31/303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steam pressure classical type of espresso apparatus, e.g. to put on a stove, i.e. in which the water is heated in a lower, sealed boiling vessel, raised by the steam pressure through a rising pipe and an extraction chamber and subsequently is collected in a beverage container on top of the water boil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는 필터가 고정된 피스톤바디와, 커피입자를 수용하고 피스톤바디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린더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필터를 향해 상승하면서 커피입자를 필터를 대해 압착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그리고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는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필터와 접촉하여 피스톤의 압착으로 인해 필터에 생성된 커피찌꺼기를 제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양조기, 커피제조장치, 커피찌꺼기

Description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BREW MECHANISM FOR COFFEE MAKER}
본 발명은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즉석 음용 커피는 냉동 건조된 커피 분말에 설탕 및 프림을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자동판매기용 냉동건조 커피는 구매자의 기호에 따라서 설탕 및 프림 등을 혼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맛과 향이 커피원두를 즉석에서 갈아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원두커피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커피원두를 즉석에서 갈아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커피제조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피제조장치에는 커피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더(grinder) 및 분쇄된 커피입자를 이용하여 고온 및 고압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양조기(brew mechanism)가 사용되고 있다. 양조기는 커피입자를 실린더(cylinder)에 수용한 후 고온 및 고압의 물을 제공하여 피스톤이 커피입자를 필터를 향해 압착하여 커피액을 추출한다. 커피액을 추출한 후에는 피스톤의 압축 작용에 의해 커피 찌꺼기가 필터의 표면에 잔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피찌꺼기는 추후에도 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해서 제거되어야 한다. 만약, 커피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 는 경우에는 추후 커피액을 원활하게 추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커피의 맛과 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양조기는 커피제조장치 내부의 플레이트(plate) 등에 고정된 후 고온 및 고압의 물을 제공하는 호스와 연결된다. 양조기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높이기 위해서 양조기에 대한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양조기를 커피제조장치에 대해 용이하게 탈부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커피 찌꺼기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커피제조장치의 내부 플레이트에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는 필터가 고정된 피스톤바디와, 커피입자를 수용하고 피스톤바디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린더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필터를 향해 상승하면서 커피입자를 필터를 대해 압착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그리고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는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필터와 접촉하여 피스톤의 압착으로 인해 필터에 생성된 커피찌꺼기를 제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제조장치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는 실린더에 결합된 한 쌍의 지지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는데, 코일스프링은 일정한 텐션(tension)을 가져서 필터의 곡률에 대응하여 변형할 수 있다.
실린더는 하향 경사진 실린더경사면을 가지고, 커피찌꺼기는 실린더경사면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린더 상에는 실린더 내부로 커피입자를 유도하는 호퍼가 구비되어 있고, 호퍼에는 호퍼경사면이 형성되어 탄성부재가 커피찌꺼기를 제거하는 경우 실린더 내부로 커피찌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는 레버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바디 및 제2바디와,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레버삽입공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바디의 외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및 제2바디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걸림편을 포함하는 고정레버를포함한다. 그리고 고정걸림편은 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삽입된 후 회전하여 플레이트에 걸림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제조장치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바디는 플레이트의 전면에 밀착되고, 고정걸림편은 플레이트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바디는 끼움돌기를 구비하고, 끼움돌기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바디는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고정걸림편은 스토퍼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 찌꺼기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제조장치의 내부 플레이트에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 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양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양조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양조기(1)는 실린더(180)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커피제조장치에서 양조기(1)는 그라인더(grinder)(도시하지 않음)에서 분쇄된 커피입자에 고온 및 고압의 물을 제공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장치로서 커피제조장치의 플레이트(도 15 참조)에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1)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 커피입자를 수용하며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실린더(180), 실린더(180)에 고정되어 실린더(180)와 함께 회전하는 지지바(220) 및 탄성부재(240), 실린더(18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크랭크샤프트(260), 실린더(180)의 내부에서 고온 및 고압의 물에 의해 상승하여 커피분말을 압착하는 피스톤(380) 그리고 피스톤(380)과 결합되어 피스톤(380)의 승하강을 제한하는 피스톤레버(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양조기(1)는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 사이에 고정되며 필터(도 4의 도면부호 360 참조)가 그 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피스톤바디(340), 실린더(180) 상부에 위치하면서 그라인더에서 나온 커피입자가 실린더(18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호퍼(420), 양조기(1)를 플레이트(520)에 탈부착 할 수 있게 하는 고정레버(44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1)의 작동을 설명하면, 호퍼(420)를 통해서 커피입자가 실린더(180)의 중앙에 형성된 수납부(184)에 유입된다. 커피입자가 일정량 정도 수납되면 그라인더의 작동이 중단되어 커피입자의 유입도 중단되고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게 되어 크랭크샤프트(260)가 회전하게 된다. 크랭크샤프트(260)의 회전으로 인해 실린더(180) 및 피스톤레버(320)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탄성부재(240)가 피스톤바디(340)에 고정되어 있는 필터(도 4의 360 참조)와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실린더(180)는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 후 피스톤바디(340)를 향해서 직선운동을 통해 상승하여 수납부(184)의 내부에 피스톤바디(340)의 필터결합부(348)를 수용된다. 그 후 호스연결부(460)를 통해 고온 및 고압의 물이 유입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380)이 상승하면서 커피입자를 필터(360)에 대해서 압축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커피액이 커피액추출부(346)를 통해서 추출된다. 그리고 필터(360)에는 커피액을 추출하고 남은 커피찌꺼기(도시하지 않음)가 잔존하게 된다.
커피액의 추출이 완료되면 실린더(180)는 직선운동을 통해 하강한 후 다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240)는 다시 한번 필터(360)와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커피찌꺼기는 필터(360)로부터 제거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실린더(180)의 회전이 완료되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1)에서 탄성부재(240)가 실린더(18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서는 편의상 실린더(180), 피스톤바디(340), 탄성부재(240) 및 지지바(220)만을 도시하였다.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실린더(180)가 커피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실린더(180)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80)는 초기 상태에서 피스톤바디(340)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위치하면서 커피입자를 수납부(184)에 수납한다. 양조기(1)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경우 실린더(180)는 바닥에 대해서 수직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커피입자의 분쇄가 완료된 경우 실린더(180)는 도 4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탄성부재(240)는 필터(36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180)의 회전운동이 완료되면 실린더(180)와 피스톤바디(340)는 직선 상에 정렬되어, 실린더(184)의 직선 상승으로 인해 수납부(184)에 피스톤바디(340)의 필터결합부(348)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그 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린더(180)가 직선운동을 하여 우측 경사 방향으로 상승하고 이로 인해 수납부(184)의 내부에 필터결합부(348) 및 필터(360)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커피액 추출을 완료한 후 실린더(180)는 좌측 경사 방향으로 하강한 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탄성부재(240)는 실린더(180)와 함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터(36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필터(360)에 잔존하는 커피찌꺼기가 제거된다. 즉, 필터(360)에 부착되어 있는 커 피찌꺼기는 탄성부재(240)와 필터(360)의 접촉에 의해 필터(360)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이다.
필터(360)로부터 이탈된 커피찌꺼기는 실린더(180)의 실린더경사면(196)을 타고 이동하면서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탄성부재(2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그 지름이 동일한 코일스프링(coil spring)일 수 있다. 탄성부재(240)로서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경우, 코일스프링이 필터(360)와 접촉하기 시작할 때 변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필터(360)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경우, 코일스프링은 필터(360)와 접촉하기 시작할 때 필터(360)의 곡률 형상으로 변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코일스프링이 필터(360)의 전면(全面)과 접촉하면서 커피찌꺼기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코일스프링은 실린더(180)에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바(220)에 의해서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은 약간의 텐션(tension)이 걸리도록 지지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에 텐션이 걸려있는 경우 코일스프링과 필터(360)는 더욱 밀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커피찌꺼기를 더욱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1)는 실린더(18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240)가 회전하면서 필터(360)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커피찌꺼기를 효율적이고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13b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에 대한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다.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는 상호 결합하여 양조기(1)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양조기(1)가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경우 제1바디(120)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에 해당하고 제2바디(160)는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면에 해당한다.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의 상부에는 피스톤바디(340)가 고정된다. 그리고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 사이에는 실린더(180) 및 크랭크샤프트(2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의 상부에는에는 호퍼(4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바디(120)의 내면에는 제1직선가이드(121) 및 제1곡선가이드(1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바디(160)의 내면에도 이에 대응하여 제2직선가이드(161) 및 제2곡선가이드(163)가 형성되어 있다. 제1직선가이드(121) 및 제2직선가이드(161) 그리고 제1곡선가이드(123) 및 제2곡선가이드(163)에는 실린더(180)의 가이드돌기(183)가 삽입되며, 이로 인해 가이드돌기(183)의 직선 및 회전운동이 가이드 된다. 그리고 제1직선가이드(121) 및 제2직선가이드(161)에는 실린더회전축(182)가 삽입된다. 제1직선가이드(121) 및 제2직선가이드(161)는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제1곡선가이드(123) 및 제2곡선가이드(163)는 일정한 중심각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의 중앙에는 상호 대칭되는 크랭크삽입 공(125, 16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삽입공(125, 165)에는 크랭크샤프트(260)의 제1크랭크회전축(264) 및 제2크랭크회전축(274)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의 상측 모서리에는 레버삽입공(127, 16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레버삽입공(127, 167)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레버(440)가 삽입되어 관통한다. 그리고 레버삽입공(127, 167)에 각각 삽입된 고정레버(440)의 단부에는 고정걸림편(442)이 결합된다.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129)가 상호 대칭되게 돌출되어 있다. 걸림돌기(129)는 도 2에 도시된 피스톤레버(32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걸림편(326)이 걸리는 부분으로서, 이로 인해 피스톤레버(320)의 회전이 억제된다. 피스톤레버(320)의 회전이 억제됨으로써피스톤(380)이 상향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고, 이로 인해 커피입자가 피스톤(380)의 상승으로 인해 수납부(184)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180)의 회전으로 인해 피스톤레버(320)가 추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걸림편(326)은 탄성 변형함으로써 걸림돌기(129, 169)를 통과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레버(32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며 피스톤(380)도 자유롭게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의 상측에는 고정편(131, 171)이 각각 상호 대칭되게 2쌍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131, 171)은 피스톤바디(340)의 고정부(342) 하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피스톤바디(340)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편(131, 171)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그 지지상태를 해제한 후 피스톤바디(340)를 아 래 방향으로 제거한다.
고정편(131, 171)의 상측에는 각각 상호 대칭되게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33, 173)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133, 173)는 피스톤바디(340)의 고정부에 형성된 끼움홈(344, 도 2 참조)에 삽입되어 피스톤바디(340)를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에 고정한다.
제1바디(120)에 형성된 3개의 모서리에는 결합돌기(135)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2바디(160)에는 결합공(175)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35)는 제1바디(120)와 제2바디(160)가 결합하는 경우 결합공(175)에 삽입된다. 그리고 결합돌기(135)에는 스크류(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어 결합공(175)에 나사 결합된다.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의 상부 모서리에는 호퍼힌지(137, 177)가 상호 대칭되게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호퍼힌지(137, 177)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호퍼(420)의 호퍼회전축(42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바디(160)에는 이동홈(179)이 제2직선가이드(161)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동홈(179)에는 도 2에 도시된 호스연결부(460)가 삽입되며, 호스연결부(460)가 실린더(18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2바디(160)의 외측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끼움돌기(178) 및 스토퍼(17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끼움돌기(178)는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520)의 끼움구멍(524)에 삽입되어 양조기(1)를 플레이트(520)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토퍼(176)는 고정레버(440)의 고정걸림편(442)이 일정 각도만큼 회전 한 경우 걸림되는 부분으로서, 고정걸림편(442)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18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180)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실린더(180)의 평면도이며, 도 7c는 실린더(180)의 측면도에 해당한다.
실린더(180)는 커피입자를 수용한 후 회전하여 피스톤바디(340)에 결합된 필터(360)를 그 내부에 수용한다. 이때, 실린더(180)에 고온 및 고압의 물이 제공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380)이 상승하면서 커피액을 추출한다. 실린더(180)는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을 반복한다.
실린더(180)의 좌우 측면에는 실린더회전축(182)이 좌우 대칭되도록 외향 돌출되어 있다. 실린더(180)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가 회전하는 경우 실린더회전축(182)은 크랭크샤프트(260)의 제1수용부(268) 및 제2수용부(278)에 수용되어 크랭크샤프트(26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실린더(180)가 직선 운동을 하는 경우 실린더회전축(182)은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에 각각 형성된 제1직선가이드(121) 및 제2직선가이드(161)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한다.
실린더(180)의 수납부(184) 상부에서 좌우 대칭되게 외향 돌출된 가이드돌기(183)는 실린더(180)가 직선 운동하는 경우 제1직선가이드(121) 및 제2직선가이드(161)를 따라서 이동하고, 실린더(180)가 곡선운동을 하는 경우 제1곡선가이드(123) 및 제2곡선가이드(163)를 따라서 이동한다.
실린더(180)는 상부가 개방된 수납부(184)를 구비한다. 수납부(184)는 호퍼(4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호퍼(420)를 통해서 유입되는 커피입자를 수용한다. 그리고 수납부(184)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380)이 삽입된다. 피스톤(380)은 수납부(184)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한다. 그리고 수납부(184)는 온수공급부(188)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온수공급부(188)를 통해서 유입된 고온 및 고압의 물은 피스톤(380)의 하면에 공급되어 피스톤(380)을 상부로 밀어 올린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부(184)의 내부에는 그 하면 중앙에 피스톤삽입공(186)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삽입공(186)에는 피스톤(380)의 피스톤연결바(384)가 삽입된다. 피스톤삽입공(186)에 삽입된 피스톤연결바(384)는 실린더(180)의 회전간격(194)으로 돌출된다.
실린더(180)의 후측 하단에는 피스톤레버힌지(190)가 좌우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레버힌지(190)에는 피스톤레버(320)의 회전축(322)이 삽입된다. 피스톤레버힌지(190)는 실린더(18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피스톤레버(320)를 회전하게 한다.
실린더(180)의 하부에는 좌우 대칭되게 실린더가이드(192)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가이드(192)는 직사각 형상의 홈으로서, 그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롤러(480)가 삽입된다. 크랭크샤프트(2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480)는 실린더가이드(192)에 위치하면서 크랭크샤프트(260)가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력을 실린더(180)에 전달하고, 이로 인해 실린더(180)가 회전 및 직선운동을 하게 된 다.
실린더가이드(192) 사이에는 회전간격(194)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간격(194)에는 피스톤(380)의 피스톤연결바(384)가 위치한다. 그리고 회전간격(194)에는 피스톤레버(320)의 피스톤바(324)가 피스톤레버(320)의 회전에 의해 통과할 수 있다.
실린더(180)의 상부에는 실린더경사면(196)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경사면(196)은 탄성부재(240)에 의해 커피찌꺼기가 필터(360)에서 분리되는 경우 커피찌꺼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한다.
실린더경사면(196)의 하부에는 좌우 대칭으로 지지바고정공(198)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바고정공(198)에는 지지바(220)를 고정하는 스크류(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된다.
탄성부재(240)는 지지바(220)에 고정되어 실린더(180)와 함께 회전한다. 탄성부재(240)가 코일스프링인 경우 그 양단에 형성된 고리를 지지바(22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탄성부재(240)를 고정할 수 있다.
탄성부재(240)로 코일스프링뿐만 아니라 고무줄, 탄성 와이어 등 탄성력을 가진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랭크샤프트(26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크랭크샤프트(260)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회전력을 받아서 제1크랭크회전축(264) 및 제2크랭크회전축(27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크랭크샤프트(260) 의 회전으로 인해 실린더(180)가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크랭크샤프트(260)는 모터의 회전력을 실린더(180)에 전달하여 실린더(180)의 직선 및 회전 운동을 유도한다.
크랭크샤프트(260)는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제1크랭크샤프트(262) 및 제2크랭크샤프트(272)를 포함한다. 제1크랭크샤프트(262) 및 제2크랭크샤프트(272)는 크랭크연결바(28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제1크랭크샤프트(262) 및 제2크랭크샤프트(272)의 중앙에는 제1크랭크회전축(264) 및 제2크랭크회전축(27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크랭크회전축(264)은 제1바디(120)에 형성된 크랭크삽입공(125)에 삽입되고, 제2크랭크회전축(274)은 제2바디(160)에 형성된 제2크랭크삽입공(165)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크랭크회전축(274)에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크랭크샤프트(26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1크랭크샤프트(262) 및 제2크랭크샤프트(272)의 단부에는 제1롤러고정돌기(266) 및 제2롤러고정돌기(276)가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롤러고정돌기(266) 및 제2롤러고정돌기(276)에는 각각 롤러(48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제1롤러고정돌기(266) 및 제2롤러고정돌기(276)는 롤러(480)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린더(180)에 형성된 실린더가이드(192) 내부를 슬라이딩(sliding) 하게 된다.
제1크랭크샤프트(262) 및 제2크랭크샤프트(272)의 중앙에는 각각 제1수용부(268) 및 제2수용부(278)가 형성되어 있다. 제1수용부(268) 및 제2수용부(278)는 실린더(180)가 회전 운동하는 경우 실린더회전축(182)을 수용하고, 이로 인해 실린더(180)는 크랭크샤프트(26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실린더(180)가 직선 운동을 하는 경우 실린더회전축(182)은 제1수용부(268) 및 제2수용부(278)에서 이탈되어 제1직선가이드(121) 및 제2직선가이드(161)를 따라서 직선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레버(3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는 피스톤레버(320)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피스톤레버(320)의 정면도이다.
피스톤레버(320)는 피스톤(380)의 피스톤연결바(384)와 결합되어 피스톤(380)의 승하강 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중앙에 형성된 피스톤바(324), 피스톤바(324)의 양측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회전축(322) 및 회전축(322)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편(326)을 포함한다.
회전축(322)은 실린더(180)에 형성된 피스톤레버힌지(19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피스톤바(324)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전축이다. 그리고 걸림편(326)은 회전축(322)의 단부에 형성되어서 회전축(322)과 함께 회전하며, 회전 과정에서 걸림돌기(129, 169)에 걸림 되어 피스톤바(324)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피스톤바(324)는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피스톤(380)의 승하강 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피스톤바(324)는 실린더(18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간격(194)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실린더(180)가 직선 하강 운동 중에 걸림편(326)이 걸림돌기(129)에 걸리게 되지만 실린더(180)는 이동을 계속하기 때문에 피스톤바(324)가 회전간격(194)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피스톤(380)은 수납부(184)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어 수납부(184)의 내부에 잔존하는 커피입자 및 커피찌꺼기 등이 완전히 외부로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바디(34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피스톤바디(340)에 대한 사시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피스톤바디(340)는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 사이에 고정되며 그 하단부에는 필터(360)가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바디(340)는 실린더(180)가 직선 운동하여 상승하는 경우 그 일부가 실린더(180)의 수납부(184)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수납부(184)의 내부에서부터 고온 및 고압의 물이 공급되어 추출된 커피액은 피스톤바디(340)에 형성된 커피액추출부(34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피스톤바디(340)는 원통 형상의 필터결합부(348) 및 사각 형상의 고정부(342)를 포함한다.
필터결합부(348)는 고정부(342)의 중앙에서 하방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으로서, 그 하면에는 필터(360)가 결합한다. 필터(360)는 필터결합부(348)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삽입공(352)에 삽입된 너트(도 11 참조)에 의해 피스톤바디(340)에 고정된다. 필터(360)를 통해 추출된 커피액은 필터결합부(348)의 내부를 거쳐서 커피액추출부(34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실린더(180)가 회전한 후 직선 운동하여 상승하는 경우 필터결합부(348)의 일부는 실린더(180)의 수납부(184)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필터결합부(348)의 지름을 수납부(184)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하여 추출된 커피액이 수납부(184)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고정부(342)는 그 측면에 끼움홈(344)을 구비한다. 끼움홈(344)에는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에 형성된 고정돌기(133, 173)이 삽입되어 피스톤바디(340)를 고정한다. 그리고 피스톤바디(340)의 하단부는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의 고정편(131, 171)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부(342)의 상부에는 커피액추출부(346)가 형성되어 있다. 커피액추출부(346)에는 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추출된 커피액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커피액추출부(346)는 필터(360)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360)를 통해 추출된 커피액이 커피액추출부(34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10b에 도시된 너트삽입공(352)에 삽입되는 너트(35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너트(350)는 너트삽입공(352)에 삽입되고, 너트(350)의 단부에 스크류(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어 필터(360)가 필터결합부(348)에 고정되는 것이다.
필터결합부(348)에 결합되는 필터(360)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서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필터(360)는 오목한 원판 형상을 갖는다. 필터(360)에는 다수 개의 미세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구멍을 통해서 커피액만 통과하게 되고 커피찌꺼기는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360)에 부착된다. 필터(360)에 형성된 다수 개의 구멍은 그 크기가 균일하여야 커피액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구멍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에칭(etching) 공법을 이 용하여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a 및 도 12b를 참고하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a는 피스톤(380)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피스톤(380)의 정면도에 해당한다.
피스톤(380)은 실린더(180)의 수납부(184)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고온 및 고압의 물에 의해 직선 운동하게 된다. 즉, 커피입자가 수납부(184)에 충전된 후 실린더(180)가 회전 및 직선운동 하여 필터(360)가 수납부(184)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피스톤(380)은 자유롭게 상승 및 하강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피스톤헤드(382)의 이면에서 고온 및 고압의 물이 공급되면 피스톤(380)이 상승하게 되어 커피입자를 필터(360)를 향해서 압착하게 된다. 그리고 커피액 추출이 완료되어 실린더(180)가 하강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380)은 걸림돌기(129, 169)에 걸려서 회전이 제한되는 피스톤레버(320)에 의해서 수납부(184)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레버(320)의 걸림편(326)이 걸림돌기(129, 169)를 통과하는 경우 피스톤레버(320)가 하강하면서 피스톤(380)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피스톤(380)은 원판 형상의 피스톤헤드(382) 및 피스톤헤드(382)의 중앙에서 하향 돌출된 피스톤연결바(384)를 포함한다.
피스톤헤드(382)는 수납부(184)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 형상을 가지고, 다수 개의 관통공(383)을 가진다. 관통공(383)을 통해서는 피스톤헤드(382)의 이면에 서 제공된 고온 및 고압의 물이 통과할 수 있다. 피스톤헤드(382)는 고온 및 고압의 물에 의해 상승하면서 커피입자를 필터(360)에 대해서 압착한다.
피스톤연결바(384)는 피스톤헤드(382)의 중앙에서 하향 돌출된 것으로, 그 하단에는 피스톤홈(386)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홈(386)에는 피스톤바(340)의 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피스톤삽입부(325)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하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호퍼(4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는 호퍼(420)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호퍼(420)의 정면도이다.
호퍼(420)는 그라인더(도시하지 않음)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그라인더에서분쇄된 커피입자가 수납부(184)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호퍼(420)는 깔때기 형성을 가지고 그 하단에는 호퍼경사면(424)이 형성되어 있다. 호퍼경사면(424)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경사면(196)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호퍼경사면(424)은 탄성부재(240)가 커피찌꺼기를 필터(36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 수납부(184) 입구 상부에 위치하면서 커피찌꺼기가수납부(18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호퍼경사면(424)은 실린더(180)가 회전하는 경우 호퍼(420)가 실린더(18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호퍼(420)의 하단에는 한 쌍의 호퍼회전축(422)이 좌우 대칭되게 외향 돌출되어 있다. 호퍼회전축(422)은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에 형성된 호퍼힌지(137, 177)에 삽입되어 호퍼(420)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실린더(180)가 회전하 는 경우 호퍼(420)는 호퍼경사면(424)에 의해 상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3b를 참고하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조기(1)는 호퍼(420)를 통해서 커피입자를 수납부(184)에 충전한다. 이때 수납부(184)의 내부에는 피스톤(380)의 피스톤헤드(382)가 수납부(184)의 바닥과 접하고 있는데, 이는 커피입자 및 피스톤(380) 자체의 중량에 의해 피스톤레버(320)가 하강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커피입자가 어느 정도 충전되면 그라인더가 작동을 중단하고 모터가 구동되어 크랭크샤프트(260)가 회전하게 된다. 크랭크샤프트(260)는 회전하면서 실린더(180)를 일정 각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때, 실린더(180)의 실린더회전축(182)은 크랭크샤프트(260)의 제1수용부(268) 및 제2수용부(278)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183)는 제1곡선가이드(123) 및 제2곡선가이드(16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실린더(18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피스톤레버(320)는 실린더(180)의 회전에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실린더(18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240)도 함께 회전하면서 필터(36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크랭크샤프트(260)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크랭크샤프트(260)의 제1롤러고정돌기(266) 및 제2롤러고정돌기(27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480)가 실린더가이드(192)를 따라서 직선 운동하면서 실린더(180)를 직선으로 상승하게 한다. 이때, 실린더(180)의 가이드돌 기(183)는 제1직선가이드(121) 및 제2직선가이드(161)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회전돌기(182)는 제1수용부(268) 및 제2수용부(278)에서 이탈하여 제1직선가이드(121) 및 제2직선가이드(161)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실린더(180)가 직선으로 상승 운동하는 과정에서 피스톤레버(320) 역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걸림편(326)이 걸림돌기(129, 169)에 걸리게 된다. 걸림편(326)과 걸림돌기(129, 169)의 걸림 작용에 의해 피스톤레버(320)는 실린더(180)에 대해 상대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380)이 수납부(184)의 내부에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180)의 직선 상승 운동이 계속되면 걸림편(326)은 걸림편(326) 자체의 탄성 및 크랭크샤프트(260)의 회전력에 의해서 걸림돌기(129, 169)에 대한 걸림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실린더(180)의 직선 상승 운동이 완료되면, 수납부(184)의 내부에는 필터(360)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커피입자는 필터(360)와 피스톤헤드(38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온수공급부(188)를 통해서 고온 및 고압의 물이 공급되고 물은 피스톤헤드(382)의 관통공(383)을 통해서 커피입자게 공급된다. 커피입자에 공급된 고온 및 고압의 물은 커피입자에서 커피액을 추출한 후 필터(360)를 통해서 피스톤바디(340)의 커피액추출부(34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커피액을 추출하고 남은 커피찌꺼기가 필터(360)의 하면에 부착된다.
커피액의 추출이 완료되면 모터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크랭크샤프트(260)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크랭크샤프트(26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실린더(180)가 앞서 설명한 과정을 역순으로 반복하면서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실린더(18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걸림편(326)은 걸림돌기(129, 169)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스톤레버(320)가 상대적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피스톤(380)을 상승하게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380)의 상승 운동으로 인해서 수납부(184)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커피입자 및 커피찌꺼기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크랭크샤프트(260)가 회전운동을 계속하면 실린더(180)의 회전력에 의해서 걸림편(326)은 걸림돌기(129, 169)에서 이탈하게 된다.
실린더(18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240)도 함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240)는 필터(360)의 하면과 접한 상태에서 지나가면서 필터(360)에 부착되어 있는 커피찌꺼기를 제거하게 된다. 필터(360)에서 이탈된 커피찌꺼기는 실린더경사면(196)을 따라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1)와 플레이트(520)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1)의 고정레버(440)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양조기(1)가 결합하는 플레이트(520)의 정면도이다.
플레이트(520)는 커피제조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벽으로서, 플레이트(520)의 전면에는 양조기(1) 및 그라인더 등이 위치하고 플레이트(520)의 후면에는 모터 등이 위치한다. 플레이트(520)에는 걸림구멍(522) 및 끼움구멍(5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끼움구멍(524)에는 제2바디(160)에 형성된 끼움돌기(178)가 억지 끼워맞춤(press fitting)된다. 그리고 걸림구멍(522)에는 고정레버(440)의 고정걸림 편(442)이 삽입된 후 회전에 의해 플레이트(520)의 이면에 밀착된다.
고정레버(440)의 일단에는 손잡이(444)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고정걸림편(442)이 결합된다. 고정레버(440)가 제1바디(120) 및 제2바디(160)에 형성된 레버삽입공(127, 167)에 삽입된 후 고정걸림편(442)이 고정레버(440)의 타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20)의 외측에는 손잡이(444)가 외부로 돌출되고 제2바디(160)의 외측에는 고정걸림편(442)이 외부로 돌출된다.
양조기(1)를 플레이트(52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손잡이(444)를 이용하여 고정걸림편(442)을 도 15의 A 상태로 한다. 이때 고정걸림편(442)은 걸림구멍(522)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끼움돌기(178)를 끼움구멍(524)에 삽입한 후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고정걸림편(442)이 도 15의 B 상태가 되게 한다. 고정걸림편(442)이 B 상태가 되는 경우 고정걸림편(442)은 양조기(1)의 중량에 의해서 플레이트(520)의 후면에 밀착되고, 이로 인해 양조기(1)가 플레이트(520)의 전면에 장착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에서탄성부재가 회전하면서 필터와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제1바디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제2바디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실린더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크랭크샤프트에 대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피스톤바디에 대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피스톤레버에 대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너트에 대한 정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피스톤에 대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호퍼에 대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의 고정레버에 대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조기가 고정되는 플레이트에 대한 정면도.

Claims (10)

  1. 필터가 고정된 피스톤바디와
    커피입자를 수용하고 상기 피스톤바디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실린더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필터를 향해 상승하면서 상기 커피입자를 상기 필터를 대해 압착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필터와 접촉하여 상기 피스톤의 압착으로 인해 상기 필터에 생성된 커피찌꺼기를 제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실린더에 결합된 한 쌍의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일정한 텐션(tension)을 가져서 상기 곡률에 대응하여 변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하향 경사진 실린더경사면을 가지고,
    커피찌꺼기는 상기 실린더경사면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상에는 상기 실린더 내부로 커피입자를 유도하는 호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호퍼에는 호퍼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커피찌꺼기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 내부로 커피찌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7. 레버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바디 및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의 레버삽입공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바디의 외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및 상기 제2바디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걸림편을 포함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걸림편은 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삽입된 후 회전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걸림편은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끼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걸림편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KR1020080038760A 2008-04-25 2008-04-25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KR20090112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60A KR20090112956A (ko) 2008-04-25 2008-04-25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60A KR20090112956A (ko) 2008-04-25 2008-04-25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56A true KR20090112956A (ko) 2009-10-29

Family

ID=4155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760A KR20090112956A (ko) 2008-04-25 2008-04-25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95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3635A (zh) * 2011-09-23 2013-09-18 优格斯特/弗里斯马格股份公司 烹煮装置和具有烹煮装置的咖啡机
CN105919427A (zh) * 2016-06-14 2016-09-07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连续冲泡咖啡装置
CN107456092A (zh) * 2017-08-16 2017-12-12 宁波心想科技有限公司 饮料萃取设备用涨破板
KR102279843B1 (ko) * 2020-06-23 2021-07-21 주식회사 동구전자 커피액 추출기의 탈착 장치
KR102419517B1 (ko) * 2022-03-17 2022-07-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커피음료 제조장치
KR102465795B1 (ko) * 2022-04-04 2022-11-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커피음료 제조장치 및 커피음료 제조장치 관리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3635A (zh) * 2011-09-23 2013-09-18 优格斯特/弗里斯马格股份公司 烹煮装置和具有烹煮装置的咖啡机
US9504350B2 (en) 2011-09-23 2016-11-29 Eugster/Frismag Ag Brewing device and coffee machine having a brewing device
CN105919427A (zh) * 2016-06-14 2016-09-07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连续冲泡咖啡装置
CN107456092A (zh) * 2017-08-16 2017-12-12 宁波心想科技有限公司 饮料萃取设备用涨破板
KR102279843B1 (ko) * 2020-06-23 2021-07-21 주식회사 동구전자 커피액 추출기의 탈착 장치
KR102419517B1 (ko) * 2022-03-17 2022-07-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커피음료 제조장치
KR102465795B1 (ko) * 2022-04-04 2022-11-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커피음료 제조장치 및 커피음료 제조장치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771B1 (ko) 음료 추출 기기
EP1890579B1 (en) Coffee making apparatus
KR101442126B1 (ko) 음료 추출 기기
US10398257B2 (en) Hot beverage maker with clean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US7059239B2 (en)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JP5524961B2 (ja) 飲料調合
JP6929263B2 (ja) 飲料作製装置および抽出デバイス
KR20090112956A (ko)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EP0298547A2 (en) Automatic compact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coffee and infusions, especially for domestic use
JP2013517026A (ja) 人間工学的原材料ホルダとサービスユニットとの協調
CN107205579B (zh) 用于在含有冲泡产品的容器上穿孔的装置
JP5502477B2 (ja) コーヒー及びお茶定量分配システム
KR101262177B1 (ko) 커피 추출기
US20050172818A1 (en) Apparatus for making espresso coffee
KR101011692B1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TW201538087A (zh) 帶有果汁壓榨滾筒的改良緊固結構的果汁壓榨萃取器
KR101185590B1 (ko) 커피머신용 양조기
JP2007513652A (ja) パッドを収容するための抽出チャンバを有する飲料生成装置
AU2012237037B2 (en) Brew chamber packet ejector
KR102419517B1 (ko) 커피음료 제조장치
US20140060336A1 (en) Apparatus for Making Crema Coffee
KR20100026475A (ko) 밀이 내장되는 휴대용 커피 추출장치
KR102057135B1 (ko) 자동 커피 제조 기계
WO2009044104A1 (en) Domestic appliance
KR101489809B1 (ko) 스마트 추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