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066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066A
KR20090109066A KR1020090031840A KR20090031840A KR20090109066A KR 20090109066 A KR20090109066 A KR 20090109066A KR 1020090031840 A KR1020090031840 A KR 1020090031840A KR 20090031840 A KR20090031840 A KR 20090031840A KR 20090109066 A KR20090109066 A KR 2009010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even
component
coating composition
laye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마사 미나미노
고이치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3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066A/ko
Publication of KR2009010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광투과성 부재 및 액정 모듈의 부분에서 박형화가 가능하고, 표시 화면의 시인성이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액정 모듈, 요철층 및 광투과성 부재를 갖는 표시 장치로서, 이 요철층은, 이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중 어느 한쪽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형성되는,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층이며, 그리고 이 요철층은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요철층이고, 이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이, (A) 다작용성 아크릴 공중합체인 제 1 성분, (B) 다작용성 모노머인 제 2 성분을 포함하고, 이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도포한 후에, 이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물성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 1 성분(A)과 제 2 성분(B)이 상 분리되어, 표면에 랜덤한 요철을 갖는 수지층이 형성되는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인 표시 장치.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투과성 부재 및 액정 모듈의 부분에서 박형화(薄型化)가 가능하고, 표시 화면의 시인성, 그리고 콘트라스트 및 휘도 향상이 우수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액정 디스플레이), LED(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ELD(전기 발광 디스플레이), VFD(형광 디스플레이),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등은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 등의 이점을 갖고 있어,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텔레비전,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기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경량이고 박형이라고 하는 이점을 갖고 있지만, 특히 휴대 전화 및 휴대 정보 단말 기기 등의 분야에서는 더한층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휴대 전화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액정 모듈을 보호하는 광투과성 부재가 표시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종래에는, 액정 모듈의 외부 프레임부 에 스페이서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이 스페이서 위에 광투과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었다. 스페이서가 마련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 중, 2는 광투과성 부재, 5는 스페이서, 7은 액정 모듈이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를 마련하는 이유는,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액정 모듈의 외부 프레임부에 스페이서를 마련하는 일 없이 액정 모듈에 직접 광투과성 부재를 마련하는 경우는, 액정 모듈에 광투과성 부재가 접착되어 버린다. 액정 모듈에 광투과성 부재가 접착되어 버림으로써, 간섭 줄무늬(무아레(moire) 또는 뉴톤 링이라고도 불림)가 출현하여 표시부의 시인성이 방해된다고 하는 불량이 생기게 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액정 모듈의 외부 프레임부에 스페이서를 마련함으로써, 액정 모듈과 광투과성 부재 사이에 공기층을 마련하여, 광투과성 부재가 액정 모듈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공기층을 마련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해 버려 표시 장치의 박형화가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표시 화면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나 휘도의 저하라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박형의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스페이서를 이용하지 않고 뉴톤 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액정 모듈 위에 수지 입자 등의 입상물(粒狀物)을 포함하는 요철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평11-77946호 공보(특허 문헌 1)에서는, 미립자 등의 입상물을 포함하는 요철층을 뉴톤 링 방지층으로서 사용하고, 이것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이나 유리판 등의 부재끼리의 밀착으로 뉴톤 링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있다.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사이에 요철층을 형성함으로써,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가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서, 액정 모듈의 외부 프레임부의 스페이서를 제거할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를 갖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 중, 2는 광투과성 부재, 7은 액정 모듈, 9는 입상물을 포함하는 요철층이다.
그러나, 이러한 입상물을 이용하는 요철층의 형성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입상물이 휘점(輝點)으로 되어 스파클(sparkle)이라고 불리는 글레어(glare)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 화면의 시인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문제로서, 입상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요철층은 요철의 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요철부에서 광 굴절 또는 난반사 등이 생김으로써 콘트라스트 저하 등의 화상 선명성 저하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11-7794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박형 표시 장치에 적합한, 광투과성 부재 및 액정 모듈의 부분에서 표시 화면의 시인성이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액정 모듈, 요철층 및 광투과성 부재를 갖는 표시 장치로서,
이 요철층은, 이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중 어느 한쪽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형성되는,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층이며, 그리고 이 요철층은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요철층이고,
이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이,
(A) 다작용성 아크릴 공중합체인 제 1 성분,
(B) 다작용성 모노머인 제 2 성분
을 포함하고,
이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도포한 후에, 이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물성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 1 성분(A)과 제 2 성분(B)이 상(相) 분리되어, 표면에 랜덤한 요철을 갖는 수지층이 형성되는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인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이
(C-1) 불소계 화합물 또는 실록세인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요철 형상 조정 성분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이
(C-2) 무기 나노 입자 및 유기 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요철 형상 조정 성분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성분(A)의 SP값(SP1)과 제 2 성분(B)의 SP값(SP2)의 차이가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하고,
제 1 성분(A)의 SP1, 제 2 성분(B)의 SP2 및 유기 용매의 SP값(SPsol)이 하기 조건;
SP1<SP2, 및
SP1과 SPsol의 차이가 2 이하임
을 만족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의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 Ra가 0.01㎛ 이상 0.1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Ra의 값의 범위 중, 하한을 하회하면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의 접착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바람직한 Ra의 값의 범위 중, 상한을 상회하면 글레어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의 표면의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Sm이 1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Sm의 값의 범위를 하회하든 상회하든,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의 접착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요철층은,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중 어느 한쪽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형성되는,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층이다. 그리고, 이 요철층은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요철층이다. 요철층은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 1 성분(A)과 제 2 성분(B)이 상 분리됨으로써 요철 형상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모듈의 표면 또는 광투과성 부재에 마련되는 요철층 지지체에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또는 광투과성 부재에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이러한 요철층이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되는 요철층은 또한, 미세 치밀한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나 휘도 및 화상 선명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요철층을 형성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방해하는 스페이서를 마련하는 일 없이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의 접착을 방지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나 휘도 및 화상 선명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액정 모듈, 요철층 및 광투과성 부재를 갖는다. 그리고 요철층은,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중 어느 한쪽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형성되는,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층이다. 그리고 이 요철층은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요철층이다. 요철층은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요철층 지지체 또는 광투과성 부재 등으로의 도포에 의해 미세 치밀한 요철 형상을 갖는 요철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는, (A) 다작용성 아크릴 공중합체인 제 1 성분 및 (B) 다작용성 모노머인 제 2 성분이 적어도 포함된다. 그리고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은, 도포됨으로써,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 각각의 물성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 1 성분(A)과 제 2 성분(B)이 상 분리된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제 1 성분(A)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상 분리를 생기게 하는 제 1 성분(A)으로 서, 다작용성 아크릴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제 1 성분(A)은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성분(A)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로서, 예컨대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에,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더 반응시킨 수지;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에,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더 반응시킨 수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에,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더 반응시킨 수지;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에,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더 반응시킨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1000~100000(GPC에 의한 폴리스타이렌 환산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범위 중, 하한을 하회하면 요철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범위 중, 상한을 상회하면 도료의 안정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들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제 2 성분(B)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상 분리를 생기게 하는 제 2 성분(B)으로서, 다작용성 모노머가 사용된다. 이 제 2 성분(B)으로서,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 2 성분(B)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로서, 예컨대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탈알코올 반응물, 구체적으로는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 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트라이메틸올 프로페인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200 다이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 화학(주)사 제조) 등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골격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비율은 1/99~30/70인 것이 바람직하고, 3/97~15/8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비율에 있어서, 제 1 성분(A)의 배합 비율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하회하면, 제 1 성분(A)과 제 2 성분(B)의 상 분리에 의한 요철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액정 모듈과 광투과성 부재의 접착을 충분히 방지하여 뉴톤 링의 발생을 방지하기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제 1 성분(A)의 배합 비율이 상기의 바람직한 상한을 초과하면, 요철이 지나치게 커져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거 나, 화상의 선명성이 저하되거나, 글레어 현상이 현재화(顯在化)되는 등, 표시 화면의 시인성의 저하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유기 용매를 포함하여도 좋다. 바람직한 유기 용매로서, 예컨대 메틸 에틸 케톤, 아세톤,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사이클로헥산온 등의 케톤계 용매;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뷰틸 알코올, 아이소뷰틸 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니솔, 페네톨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 에터,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 에터 등의 에터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의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용매를 이용하는 경우는,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 그리고 필요에 따른 다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99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900중량부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는, 상기의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 외에, 통상 사용되는 수지가 포함되어도 좋다. 단, 이 통상 사용되는 수지는, 하기하는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으로서의 불소계 화합물 또는 실록세인계 화합물과는 다른 것이며, 그리고 이 통상 사용되는 수지의 함유량은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이 상 분리되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양인 것을 조건으로 한다.
제 1 성분(A)과 제 2 성분(B)의 상 분리를 야기하는,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 각각의 물성의 차이로서, 각각의 수지의 SP값, 유리 전이 온도(Tg), 표면 장력, 수 평균 분자량 등이 일정한 차이를 갖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들 물성치 중 상 분리에 대하여 가장 지배적 인자라고 생각되는 것으로서, SP값을 들 수 있다.
SP값이란 solubility parameter(용해성 파라미터)의 약자로서, 용해성의 척도로 되는 것이다. SP값은 수치가 클수록 극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수치가 작을수록 극성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예컨대, SP값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실측할 수 있다[참고 문헌: SUH, CLARKE, J. P. S. A-1, 5, 1671~1681(1967)].
측정 온도: 20℃
샘플: 수지 0.5g을 100ml 비이커로 칭량하고, 양용매 10ml를 홀 피펫를 이용하여 가하여, 자기 교반기(magnetic stirrer)에 의해 용해한다.
용매:
양용매 … 다이옥세인, 아세톤 등
빈용매 … n-헥세인, 이온 교환수 등
탁점 측정: 50ml 뷰렛을 이용하여 빈용매를 적하하고, 흐려짐이 발생한 점을 적하량으로 한다.
수지의 SP값 δ는 다음 수학식 1 내지 3에 의해 주어진다.
δ=(Vml 1/2δml+Vmh 1/2δmh)/(Vml 1/2+Vmh 1/2)
Vm=V1V2/(φ1V22V1)
δm= φ1δ12δ2
Vi: 용매의 분자용(分子容)(ml/mol)
φi: 탁점에 있어서의 각 용매의 부피 분율
δi: 용매의 SP값
ml: 저SP 빈용매 혼합계
mh: 고SP 빈용매 혼합계
제 1 성분(A)의 SP값과 제 2 성분(B)의 SP값의 차이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SP값의 차이가 0.8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SP값의 차이의 상한은 일반적으로는 10 이하이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SP값의 차이는 10 이상으로 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그 때문에 상한치를 규정하는 기술적 의의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제 1 성분(A)의 SP값과 제 2 성분(B)의 SP값의 차이가 0.5 이상인 경우는,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에 있어서의 상용성(相溶性)이 낮고, 그것에 의해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의 도포 후에 제 1 성분(A)과 제 2 성분(B)의 상 분리가 초래된다고 생각된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이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하는 경우는,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 1 성분(A), 제 2 성분(B) 및 유기 용매에 대하여, 제 1 성분(A)의 SP값(SP1), 제 2 성분(B)의 SP값(SP2) 및 유기 용매의 SP값(SPsol)이 하기 조건;
SP1<SP2, 및
SP1과 SPsol의 차이가 2 이하임
을 만족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P1과 SPsol의 차이가 2 이하임으로써, 접착 방지 성능 및 간섭 줄무늬 발생 방지 성능이 보다 우수한 요철층을 조제할 수 있게 된다. SP1과 SPsol의 차이는 1 이하, 즉 0~1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유기 용매로서 2종 이상의 유기 용매를 이용하는 경우는, 사용되는 유기 용매 중 적어도 1종이 상기의 「SP1과 SPsol의 차이가 2 이하임」이라는 조건을 만족하면 되고, 사용하는 모든 유기 용매가 상기 조건을 만족할 필요는 없다.
또, SP1 및 SPsol은 이들의 차이가 2 이하이면 좋다. SP1<SPsol이어도 좋고, SP1>SPsol이어도 좋다.
요철 형성 조정 성분(C)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의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에 더하여,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을 포함함으로써,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상 분리에 의해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되는 표면의 요철 형상이 보다 미세 치밀한 것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 글레어의 발생 및 콘트라스트 저하 등을 보다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으로서,
(C-1) 불소계 화합물, 실록세인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 및
(C-2) 무기 나노 입자, 유기 나노 입자 및 이들의 조합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으로서, (C-1) 불소계 화합물 및/또는 실록세인계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C-1) 불소계 화합물, 그리고 실록세인계 화합물에는, 하기하는 수㎛~수100㎛의 평균 입경을 갖는 유기 나노 입자는 포함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으로서의 불소계 화합물로서, 예컨대 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플루오로알킬기는 탄소수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1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알킬기는 직쇄(예컨대 -CF2CF3, -CH2(CF2)4H, -CH2(CF2)8CF3, -CH2CH2(CF2)4H 등)이어도 좋고, 분기 구조(예컨대 -CH(CF3)2, -CH2CF(CF3)2, -CH(CH3)CF2CF3, -CH(CH3)(CF2)5CF2H 등)이어도 좋고, 지환식 구조(바람직하게는 5원환 또는 6원환, 예컨대 퍼플루오로사이클로헥실기, 퍼플루오로사이클로펜틸기 또는 이들로 치환된 알킬기 등)이어도 좋고, 에터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다(예컨대 -CH2OCH2CF2CF3, -CH2CH2OCH2C4F8H, -CH2CH2OCH2CH2C8F17, -CH2CH2OCF2CF2OCF2CF2H 등). 이 플루오로알킬기는 동일 분자 중에 복수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불소계 화합물은 상기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과,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불소계 화합물은 분자량 100~1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계 화합물의 불소 원자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7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40~70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불소계 화합물로서는, 불포화 이중결합기를 갖는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불소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불소 화합물은 광반응성 기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경화시에 불소계 화합물도 함께 경화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양호한 표면 경도를 갖는 요철층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불소계 화합물의 예로서, 메가팩 F-482, F-483, F-484, F-178RM, ESM-1, MCF-350SF, F-470, F-472, F-477, R-08, F-178K의 상품명으로 다이니폰 잉크 화학 공업(주)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모노머, 및 Fluorolink 5101X의 상품명으로 솔베이솔레크시스(주)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퍼플루오로폴리에터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으로서의 실록세인계 화합물로서, 예컨대 다이메틸실 릴옥시 단위를 반복 단위로서 복수개 포함하는, 화합물 쇄의 말단 및/또는 측쇄에 치환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다이메틸실릴옥시 이외의 구조 단위(예컨대, 알킬렌 구조, 알킬렌옥시 구조, 페닐렌 구조, 페닐렌옥시 구조 등)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 치환기는 복수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아릴기, 신나모일기, 에폭시기, 옥세탄일기, 하이드록실기, 플루오로알킬기, 폴리옥시알킬렌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등을 포함하는 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치환기는 동일하여도 좋도 상이하여도 좋다.
실록세인계 화합물의 분자량은 100~1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록세인계 화합물의 규소 원자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37.8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30.0~37.0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록세인계 화합물로서, 불포화 이중결합기를 갖는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실록세인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실록세인계 화합물은 광반응성 기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경화시에 실록세인계 화합물도 함께 경화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양호한 표면 경도를 갖는 요철층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록세인계 화합물의 예로서, 빅케미 재팬 주식회사 제조, BYK(등록상표)-UV3500(폴리에터 변성 아크릴기 함유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동(同) 3530(폴 리에터 변성 아크릴기 함유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TEGO사 제조, TEGO(등록상표) Rad 2200N, 2100, 2250, 2600, 2700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록세인계 화합물로서, 광반응성 실리콘 아크릴 공중합체를 더 이용할 수도 있다. 광반응성 실리콘 아크릴 공중합체는, 아조기 함유 폴리실록세인 화합물과,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공중합하고, 이어서 에폭시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반응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 공중합할 때에,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불포화 모노머 및/또는 그 외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아울러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광반응성 실리콘 아크릴 공중합체의 조제 방법의 다른 일례로서, 아조기 함유 폴리실록세인 화합물과, 에폭시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공중합하고, 이어서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도 또한, 공중합할 때에,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불포화 모노머 및/또는 그 외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아울러 이용하여도 좋다.
광반응성 실리콘 아크릴 공중합체의 조제 방법에 있어서, 아조기 함유 폴리실록세인 화합물 이외의 모노머 성분이 광반응성 실리콘 아크릴 공중합체에서의 아크릴 블록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불포화 모노머를 이용함으로써,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아크릴 블록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이용함으로써,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의 밀착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광반응성 실리콘 아크릴 공중합체의 조제에 사용되는 아조기 함유 폴리실록 세인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22145018-PAT00001
상기 식 중, R1 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나이트릴기를 나타내고; R3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할로젠 원자, 치환 혹은 비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2의 페닐기를 나타내고; p 및 q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0~6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0~600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할로젠 원자를 나타내고; r은 1~20의 정수이다.
상기 아조기 함유 폴리실록세인 화합물은 가열 또는 광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질소를 발생시켜 분해되어 라디칼종을 발생시킨다고 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리고, 발생된 라디칼종은 각종 바이닐계 모노머와 용이하게 중합된다. 따라서, 아조기 함유 폴리실록세인 화합물 및 각종 바이닐계 모노머의 존재 하에서 가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아조기 함유 폴리실록세인 화합물이 중합 개시제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폴리실록세인 블록을 갖는 라디칼종을 공급하게 되며, 그리고 이것에 의해 폴리실록세인 블록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아조기 함유 폴리실록세인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광 반응성 실리콘 아크릴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으로서, (C-2) 무기 나노 입자 및/또는 유기 나노 입자를 이용할 수 있다.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으로서의 무기 나노 입자, 유기 나노 입자로서, 예컨대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예컨대 실리카 나노 입자) 등의 무기 나노 입자, 및 아크릴, 폴리에스터 등의 유기 나노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나노 입자의 예로서, 예컨대 오가노실리카졸 IPA-ST, EG-ST, MEK-ST, MIBK-ST(닛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나노 입자의 예로서, 예컨대 닛페마이크로젤 AZS-597, AZS-607, AZS-617, AZS-1000T(닛본 페인트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유기 나노 입자에는, 요철 형상 조정 성분(C-1)인 상기 불소계 화합물 또는 실록세인계 화합물은 포함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나노 입자」란, 소위 서브미크론 오더의 초미립자를 의미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미립자」라고 불리고 있는 수㎛로부터 수 100㎛의 입자 직경을 갖는 입자보다도 입자 직경이 작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평균 입경이 10~5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평균 입경은 투과형 전자현미경(TEM) 등에 의해 얻어지는 전자 사진으로부터 입경을 계측하여 평균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의 표면의 요철은, 상기의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물성의 차이에 유래되어 자연 발생적으로 생기는 요철이며, 나노 입자의 형상이 층 표면에 석출됨으로써 형 성된 요철이 아닌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 중에 무기 나노 입자 및/또는 유기 나노 입자(C-2)가 포함되는 경우는, 이들 나노 입자는 요철 형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성분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의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에 더하여, 상기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을 포함함으로써,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상 분리에 의해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되는 표면의 요철 형상이 보다 미세 치밀한 것으로 된다고 하는 놀랄만한 특징을 갖는다.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의 존재에 의해,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보다 미세 치밀한 요철을 갖는 요철층이 형성되는 이유로서,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자들은,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의 존재에 의해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상 분리 상태에 변화가 생기고, 이것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의 미세 치밀화가 생기게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으로서 (C-1) 불소계 화합물 및/또는 실록세인계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또는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으로서 (C-2) 무기 나노 입자 및/또는 유기 나노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도장한 후의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상 분리 과정에서 제 1 성분(A)의 응집이 억제되고, 이것에 의해 미세 치밀한 요철을 갖는 요철층이 형성되게 된다고 생각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C-1) 성분, (C-2) 성분 중 어느 한쪽만을 이용하여도 좋고, 또는 (C-1) 성분 및 (C-2) 성분의 양쪽을 이용하여도 좋다.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이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요철층 형성 코팅 조 성물 중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 조정 성분(C)의 양은,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5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0.01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요철 형상의 미세 치밀화의 효과가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함유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광학 특성이 저하되어 표시 장치의 선명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의 조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제 1 성분(A), 제 2 성분(B), 그리고 필요에 따른 요철 형상 조정 성분(C), 유기 용매 및 촉매 등을 함께 혼합함으로써 조제된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컨대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케탈류, 안트라퀴논류, 싸이오잔톤류, 아조 화합물, 과산화물, 2,3-다이알킬다이온 화합물류, 다이설파이드 화합물류, 티우람 화합물류, 플루오로아민 화합물 등의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또는, 할로젠화 금속 착체 음이온을 갖는 설포늄염(예컨대 트라이아릴설포늄염 또는 다이아릴설포늄염 등)의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통상 사용되는 광증감제와 아울러 이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이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경우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페인-1-온, 벤질다이메틸케톤, 1-(4-도데실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페인-1-온, 2-하이드록시- 2-메틸-1-페닐프로페인-1-온, 1-(4-아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페인-1-온, 벤조페논 등의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광중합 개시제는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의 범위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 대전 방지제, 가소제, 계면 활성제, 산화 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 등의 상용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표시 장치
상기 요철층 형성 코팅층을, 액정 모듈의 표면 또는 광투과성 부재에 마련되는 요철층 지지체에 도포하거나, 또는 광투과성 부재에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요철층이 형성되게 된다. 도포된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은 층 분리되어, 자연 발생적이고 미세 치밀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사이에 요철층을 보다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사이에 요철층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방해하게 되는 스페이서를 마련하는 일 없이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의 접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에 의해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중, 1은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 2는 광투과성 부재(커버 패널 등), 7은 액정 모듈이다.
요철층 지지체는, 예컨대 액정 모듈측에 요철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이 도포되는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액상 모듈/요철층 지지체/요철층/광투과성 부재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요철층은 액정 모듈에 대하여, 요철층 지지체를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것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로 된다.
한편, 예컨대 광투과성 부재측에 요철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요철층 지지체를 이용하여도 좋고, 또한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광투과성 부재측에 요철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요철층 지지체를 이용하는 경우는, 액정 모듈/요철층/요철층 지지체/광투과성 부재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요철층은 광투과성 부재에 대하여, 요철층 지지체를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광투과성 부재측에 요철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요철층 지지체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액상 모듈/요철층/광투과성 부재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요철층은 광투과성 부재에 대하여 직접 접한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요철층 지지체로서, 각종의 광투과성 필름, 광투과성 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투과성 필름으로서, 예컨대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TAC)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다이아세틸렌 셀룰로스 필름,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셀룰로스 필름, 폴리에터설폰 필름, 폴리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에터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에터케톤 필름, (메트)아크릴나이트릴 필름,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판으로서, 예컨대 아크릴판,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 다이아세틸렌 셀룰로스판,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셀룰로스판, 폴리에터설폰판, 폴리우레탄판, 폴리에스터판, 폴리우레탄판, 폴리설폰판, 폴리에터판, 폴리메틸펜텐판, 폴리에터케톤판, (메트)아크릴나이트릴판 등을 들 수 있다. 요철층 지지체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TAC) 필름,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광투과성 부재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시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5~1000㎛ 정도로 사용된다.
광투과성 부재로서, 각종의 광투과성 판, 광투과성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투과성 판으로서, 예컨대 강화 유리, 아크릴판,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 다이아세틸렌 셀룰로스판,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셀룰로스판, 폴리에터설폰판, 폴리우레탄판, 폴리에스터판, 폴리카보네이트판, 폴리설폰판, 폴리에터판, 폴리메틸펜텐판, 폴리에터케톤판, (메트)아크릴나이트릴판 등을 들 수 있다. 광투과성 필름으로서, 예컨대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TAC)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다이아세틸렌 셀룰로스 필름,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셀룰로스 필름, 폴리에터설폰 필름, 폴리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에터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에터케톤 필름, (메트)아크릴나이트릴 필름,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투과성 부재로서, 아크릴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TAC) 필름,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필름, 강화 유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광투과성 부재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시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5~1000㎛ 정도로 사용된다.
액정 모듈은 편광판/액정 셀/편광판이 이 순서로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액정 셀은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TN(Twisted Nematic)형 액정 셀, STN(Super Twisted Nematic)형 액정 셀, HAN(Hybrid Alignment Nematic)형 액정 셀, IPS(In Plane Switching)형 액정 셀, VA(Vertical Alignment)형 액정 셀, MVA(Multiple Vertical Alignment)형 액정 셀, OCB(Optical Compensated Bend)형 액정 셀 등을 들 수 있다.
요철층은 요철층 지지체 또는 광투과성 부재에 상기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 및 도장 공정의 상황에 따라 적시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딥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커텐 코팅법, 롤러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이나 압출 코팅법(이 방법은 미국 특허 제2681294호 명세서에 기재되는 방법임)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요철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의 요인을 고려하여 적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건조막 두께가 0.01~20㎛로 되도록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다.
요철층 지지체 또는 광투과성 부재에 도포된 도막을 그대로 경화시켜도 되고, 또한 경화시키기 전에 도막을 건조시켜, 경화 전에 미리 상 분리시켜 놓아도 된다. 도막을 경화시키기 전에 건조시키는 경우는, 30~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150℃에서, 0.1~60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미리 상 분리시킬 수 있다. 경화 전에 건조시켜 미리 상 분리시켜 놓는 것은, 요철층 중의 용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크기의 요철을 마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경화시키기 전에 상 분리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 도막에 광을 조사하여 상 분리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조사하는 광으로서, 예컨대 노광량 0.1~1.5J/㎠의 광, 바람직하게는 0.2~1.5J/㎠의 광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사광의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360㎚ 이하의 파장을 갖는 조사광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광 개시제로서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페인-1-온 등을 이용하는 경우는, 조사광은 310㎚ 부근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360㎚ 부근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은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등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 분리 및 경화가 생기게 된다. 광을 조사하여 상 분리시킴으로써,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의 건조 불균일에 기인하는 표면 형상의 불균일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의 도포에 의해 얻어진 도막을, 또는 건조시킨 도막 을 경화시킴으로써 요철층이 형성된다. 이 경화는 필요에 따른 파장의 광을 발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다. 또, 광 조사는 상기와 같이 상 분리시킬 목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은, 요철층의 표면의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0.01 이상 0.1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0.10㎛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0.03~0.08㎛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Ra)란, JIS B 0601-2001에서 규정되는 파라미터이다. 요철층의 표면의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0.15㎛ 이상인 경우는, 글레어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요철층의 표면의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0.01㎛ 미만인 경우는,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의 접착을 충분히 막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Ra)란, 조도 곡선으로부터 그 평균선의 방향으로 기준 길이만큼을 추출하여, 이 추출 부분의 평균선의 방향으로 X축을, 세로 배율의 방향으로 Y축을 취하고, 조도 곡선을 y=f(x)로 나타내었을 때에, 다음 수학식 4에 의해 구해지는 값을 마이크로미터(㎛)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Figure 112009022145018-PAT00002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의 표면의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Ra)는, 예컨대 고사카 연구소사 제조의 고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 또는 (주)기엔스 제조의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JIS B 0601-200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은, Sm이 1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30~7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Sm이란, 표면의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이며, 일반적으로 조도 곡선의 산골짜기 평균 간격 또는 요철 평균 간격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Sm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를 하회하거나 상회하거나 한 경우는,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의 접착을 충분히 막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Sm은, 예컨대 고사카 연구소사 제조의 고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 또는 (주)기엔스 제조의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JIS B 0633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 JIS B 0633은, ISO 4288을 번역하여, 기술적 내용 및 규격표의 양식을 변경하지 않고 작성한 일본 공업 규격이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은, 전광선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본건 발명에 있어서는, 수지 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높은 전광선투과율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광선투과율(Tt(%))은 요철층에 대한 입사광 강도(T0)와 요철층을 투과한 전투과광 강도(T1)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09022145018-PAT00003
전광선투과율의 측정은, 예컨대 헤이즈미터(스가 시험기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은, 헤이즈가 0.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요철층은, 수지 입자를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낮은 헤이즈를 달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화상 선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헤이즈는 JIS K7105에 준거하여, 하기 수학식 6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22145018-PAT00004
H: 헤이즈(haze)(%)
Td: 확산 투광율(%)
Tt: 전광선투과율(%)
헤이즈의 측정은, 예컨대 헤이즈미터(스가 시험기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요철층은, 이와 같이 미세 치밀한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액정 모듈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선명성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특히 최근에 있어서의 고세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액정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선의 피치가 보다 미세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화상 선명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미세 치밀한 요철 형상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형성되는 요철층은, 미세 치밀한 요철 형상이기 때문에, 콘트라스트 저하, 휘도의 저하 등, 표시 장치의 화상 선명성 저하를 수반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은 또한 글레어도 발생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다. 또, 글레어란, 백(白) 화면의 상태에서 백(白)의 강약에 의한 반점이 보이는 현상이다. 고세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액정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선의 피치가 보다 미세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의 요철부에서 광선이 난반사를 일으켜, 이 난반사가 광량의 변화로 되어 글레어가 발생하고 있다. 이 글레어는 표시 장치를 보는 사람의 눈의 피로를 야기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요철층은 미세 치밀한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요철부에서의 광선의 난반사 및 이 난반사에 의한 광량 변화를 수반하는 일 없이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의 접착을 막고, 이것에 의해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성은, 통상, 광원과, 액정 셀이 이 순서로 배치된 구성이다. 광원으로서는, 발광 다이오드, 냉음극관, 열음극관, EL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는, 위상차판,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광확산판, 광확산 시트, 집광 시트, 반사판 등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중 「부」 및 「%」는 그 설명이 없는 한, 중량 기준에 의한다.
조제예 1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제 1 성분(A))의 조제
아이소보론일 메타크릴레이트 187.2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8g, 메타크릴산 10.0g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160.0g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교반 날개,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1000ml 반응 용기 중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로 가온한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200.0g에, 터셔리뷰틸퍼옥시-2-에틸 헥산오에이트 2.0g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의 80.0g 용액과 동시에 3시간에 걸쳐 등속으로 적하하고, 그 후 1시간 100℃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터셔리뷰틸퍼옥시-2-에틸 헥산오에이트 0.2g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용액을 적하하여 10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그 반응 용액에 테트라뷰틸암모늄 브로마이드 1.5g과 하이드로퀴논 0.2g을 포함하는 5.0g의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용액을 가하여, 공기 버블링하면서,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73.0g과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5.0g의 용액을 1시간에 걸쳐 더 적하하고, 그 후 5시간에 걸쳐 더 반응시켰다. 수 평균 분자량 8800, 중량 평균 분자량 18000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수지는 SP값이 9.8이었다.
조제예 2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제 1 성분(A))의 조제
아이소보론일 메타크릴레이트 187.2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8g, 메타크릴산 10.0g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160.0g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교반 날개,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1000ml 반응 용기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로 가온한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200.0g에, 터셔리뷰틸퍼옥시-2-에틸 헥산오에이트 4.0g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의 80.0g 용액과 동시에 3시간에 걸쳐 등속으로 적하하고, 그 후 1시간 100℃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터셔리뷰틸퍼옥시-2-에틸 헥산오에이트 0.4g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용액을 적하하여 10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그 반응 용액에 테트라뷰틸암모늄 브로마이드 1.5g과 하이드로퀴논 0.2g을 포함하는 5.0g의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용액을 가하여, 공기 버블링하면서,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73g과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5.0g의 용액을 1시간에 걸쳐 더 적하하고, 그 후 5시간에 걸쳐 더 반응시켰다. 수 평균 분자량 4000, 중량 평균 분자량 12000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수지의 SP값은 100이었다.
실시예 1
조제예 1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제 1 성분(A), 이 수지의 SP값: 9.8) 7.0중량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제 2 성분(B), 이 모노머의 SP값: 12.7) 93.0중량부, BYK UV3500(요철 형상 조정 성분(C-1), 빅케미 재팬 주식회사 제조, 폴리에터 변성 아크릴기 함유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0.05중량부, 광 개시제인 2-메틸-1[4-(메틸싸 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페인-1-온 7.0중량부를 혼합하고, 그리고 아이소프로필알코올(SP값: 11.5)을 용매로 하여 불휘발분율이 54중량%로 되도록 조정해서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환경 온도 23℃에서, 두께 80㎛의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에 바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막 두께가 10㎛로 되도록 80℃에서 60초간 가열해서 용매를 제거 건조하였다. 그 후, 이 막을, 120W/㎝의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300mJ/㎠로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요철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6
표 1 또는 2에 기재된 성분 및 양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요철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UV 경화 수지 유니딕 17-806(다이니폰 잉크 화학 공업사 제조) 100중량부, 평균 입자 직경 2.5㎛의 실리카 13중량부, 레벨링제인 메가팩 F470(다이니폰 잉크 화학 공업사 제조) 0.5중량부, 광 중합 개시제인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페인-1-온 5중량부 및 그 불휘발분율이 30중량%로 되도록 계량된 용제(톨루엔)를 혼합하여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공액을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에 바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 건조하였다. 그 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 처리하여 두께 약 8㎛의 요철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UV 경화 수지 유니딕 17-806(다이니폰 잉크 화학 공업사 제조) 100중량부, 평균 입자 직경 3.5㎛의 가교 폴리스타이렌 입자 SX350(소켄 화학사 제조) 14중량부, 레벨링제인 메가팩 F470(다이니폰 잉크 화학 공업사 제조) 0.5중량부, 광중합 개시제인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페인-1-온 5중량부 및 그 불휘발분율이 30중량%로 되도록 계량된 용제(톨루엔)를 혼합하여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공액을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에 바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 건조하였다. 그 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 처리하여 두께 약 8㎛의 요철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3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양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요철층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요철층의 평가 및 요철층 표면의 요철 형상의 평가를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이 행하였다. 또, 이들의 평가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낸다.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Ra값) 및 표면의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Sm)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형성된 요철층의 표면 형상을, 고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상품명; 사프코더 ET4000, 고사카 연구소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JIS B 0601(2001)에 기재된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 Ra값(㎛) 및 요철층의 표면의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Sm(㎛)을 구하였다. 또, 상기 고정밀도 미세 형 상 측정기는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 Ra, 요철층의 표면의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Sm을 자동 산출하는 장치이다.
접착 방지 성능의 평가
백라이트 유닛 위에 해상도 106ppi의 블랙 매트릭스의 포토마스크를 놓고, 또 포토마스크와 샘플 필름의 이면 사이에 물을 삽입하여 공기를 뽑아낸 상태에서, 샘플 필름의 요철층면에 아크릴판을 놓고, 아크릴판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에 간섭 줄무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 간섭 줄무늬의 발생은 보이지 않음.
×: 간섭 줄무늬의 발생이 확인됨.
글레어의 평가
해상도 264ppi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엑셀 테두리 화면을 전면(全面) 점등한 상태에서, 이 액정 표시 장치 상에 요철층을 형성한 샘플 필름을 놓고, 글레어의 발생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1: 글레어가 많이 확인됨.
2: 글레어가 조금 확인됨.
3: 글레어가 겨우 확인됨.
4: 글레어가 확인되지 않음.
기준 중 3~4의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콘트라스트성
SONY사 제조의 11인치 액정 노트북 PC의 액정 셀의 시인측에, TAC/편광자 /TAC 보호층의 구성을 갖는 편광판, 그 TAC 상에 요철층/TAC 필름을 점착제에 의해 부착하여, 요철층이 최표면측(시인측)으로 되도록 부착해서 액정 패널을 제작하였다. 이 액정 패널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고, 정면의 콘트라스트를 측정하였다. 상기 기재된 액정 셀, 이하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23℃의 암실에서 백라이트를 점등시키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측정을 행하였다. 액정 표시 장치에, 백 화상 및 흑 화상을 표시시키고, TOPCON사 제조 제품명 「BM5A」에 의해 표시 화면의 XYZ 표시계의 Y값을 측정하였다. 정면 콘트라스트는 표시 화면의 법선 방향(극각(極角) 90° 방향)에 있어서의 Y값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백 화상에 있어서의 Y값(YW1)과 흑 화상에 있어서의 Y값(YB1)으로부터 정면 방향의 콘트라스트비 「YW1/YB1」을 산출하였다. 이 콘트라스트비가 350 이상인 경우는, 양호한 콘트라스트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전광선투과율 헤이즈(haze)의 측정
헤이즈미터(스가 시험기사 제조)를 이용하여, 요철층이 형성된 아크릴판 필름의 확산 투광율(Td(%)) 및 상기 전광선투과율(Tt(%))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6으로부터 헤이즈를 산출하였다.
수학식 6
Figure 112009022145018-PAT00005
H: 헤이즈(haze)(%)
Td: 확산 투광율(%)
Tt: 전광선투과율(%)
Figure 112009022145018-PAT00006
PETA: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IPA: 아이소프로판올
Fluorolink 5101X: 솔베이솔렉시스(주)사 판매, 퍼플루오로폴리에터 테트라아크릴레이트(요철 형상 조정 성분(C-1))
IPA-ST: 닛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오가노실리카졸(요철 형상 조정 성분(C-2))
Figure 112009022145018-PAT00007
PETA: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DPHA: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SP값: 12.1)
IPA: 아이소프로판올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요철층은 접착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글레어도 매우 적고, 콘트라스트도 높고, 그리고 전광선투과율이 높으며 헤이즈가 낮기 때문에 휘도도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입상물에 의해 요철층을 형성한 비교예 1에서는 접착 방지 성능이 우수하지만, 글레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보다 미세한 입상물에 의해 요철층을 형성한 비교예 2에서는 글레어는 감소하였지만, 콘트라스트가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3은 제 1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상 분리가 생기지 않고, 이 때문에 접착 방지 성능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모듈의 표면 또는 광투과성 부재에 마련되는 요철층 지지체에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또는 광투과성 부재에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요철층을 마련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되는 요철층은 미세 치밀한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화상 선명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요철층을 형성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방해하는 스페이서를 마련하는 일 없이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의 접착을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화상 선명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스페이서가 마련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스페이서를 갖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요철층
2: 광투과성 부재
4: 요철층 지지체
5: 스페이서
7: 액정 모듈
9: 입상물을 포함하는 요철층

Claims (7)

  1. 액정 모듈, 요철층 및 광투과성 부재를 갖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요철층은, 상기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중 어느 한쪽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형성되는, 액정 모듈 및 광투과성 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층이며, 그리고 상기 요철층은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요철층이고,
    상기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이,
    (A) 다작용성 아크릴 공중합체인 제 1 성분,
    (B) 다작용성 모노머인 제 2 성분
    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은, 도포한 후에, 상기 제 1 성분(A) 및 제 2 성분(B)의 물성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 1 성분(A)과 제 2 성분(B)이 상(相) 분리되어, 표면에 랜덤한 요철을 갖는 수지층이 형성되는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인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이
    (C-1) 불소계 화합물 및 실록세인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요철 형상 조정 성분
    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이
    (C-2) 무기 나노 입자 및 유기 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요철 형상 조정 성분
    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값이 용해도 파라미터(SP값)이고, 제 1 성분(A)의 SP값(SP1)과 제 2 성분(B)의 SP값(SP2)의 차이가 0.5 이상인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이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하고,
    제 1 성분(A)의 SP1, 제 2 성분(B)의 SP2 및 유기 용매의 SP값(SPsol)이 하기 조건;
    SP1<SP2, 및
    SP1과 SPsol의 차이가 2 이하임
    을 만족하는 관계에 있는 표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의 조도 곡선의 산술 평균 조도 Ra가 0.01 이상 0.15㎛ 미만인 표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철층 형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층의 표면의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Sm이 10~150㎛인 표시 장치.
KR1020090031840A 2008-04-14 2009-04-13 표시 장치 KR20090109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40A KR20090109066A (ko) 2008-04-14 2009-04-13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4538 2008-04-14
KR1020090031840A KR20090109066A (ko) 2008-04-14 2009-04-1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066A true KR20090109066A (ko) 2009-10-19

Family

ID=4155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840A KR20090109066A (ko) 2008-04-14 2009-04-1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90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46233A1 (en) * 2018-09-14 2021-08-12 Lg Chem, Ltd.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System Including Air Injection Module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Ultraviolet-Transmitting P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46233A1 (en) * 2018-09-14 2021-08-12 Lg Chem, Ltd.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System Including Air Injection Module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Ultraviolet-Transmitting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8697B2 (ja) 防眩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97320A (ja) 防眩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86840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10163535A (ja)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硬化性樹脂組成物、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を含む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0254950A (ja) 樹脂組成物、反射防止フィルム、表示装置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6045448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から形成される硬化被膜および防眩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並びに硬化被膜および防眩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290046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20100055160A (ko) 하드코팅액, 이를 사용한 하드코팅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JP2009258214A (ja) 表示装置
KR20090004733A (ko) 하드코팅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690491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US20190187336A1 (en) Antireflection film, antireflection product,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tireflection film
KR101432987B1 (ko) 투과도가 우수한 내지문성 방현코팅액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내지문성 방현필름
JP2023171767A (ja) 耐指紋性の評価方法、光学部材の生産方法および光学部材
JP2021515273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1038386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防眩性ハードコート剤、硬化膜、及び積層フィルム
EP3734332A1 (en) Anti-glare film and display apparatus
JP2013209516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JPWO2014208748A1 (ja) 紫外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
JP6574731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WO2014208749A1 (ja) 紫外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
JP6364719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積層体、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US20110068305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its uses
KR20090109066A (ko) 표시 장치
KR20240011799A (ko) 하드 코트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