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870A -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 Google Patents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870A
KR20090100870A KR1020080026370A KR20080026370A KR20090100870A KR 20090100870 A KR20090100870 A KR 20090100870A KR 1020080026370 A KR1020080026370 A KR 1020080026370A KR 20080026370 A KR20080026370 A KR 20080026370A KR 20090100870 A KR20090100870 A KR 20090100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piece
tricycle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08002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0870A/ko
Publication of KR2009010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4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ri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분리 및 조립용 공구 없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작은 힘으로 간편하게 유모차를 세 발 자전거로 변화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조향축을 갖는 전륜부와, 상기 전륜부와 한 쌍의 후륜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 상에 일단이 고정되는 주축부에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자전거용 안장부로 사용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전거용 안장부와,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도록 시트를 설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시트프레임에 중앙부가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차양을 설치시키기 위한 차양프레임이 구비되는 유모차용 시트부와, 상기 주축부의 타단에 일단이 상기 장,탈착수단에 의해 장착 및 탈착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길이 가변수단에 의해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유모차용 핸들과 자전거용 핸들로 사용가능하게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세 발 자전거, 유모차, 겸용, 페달, 전륜, 후륜

Description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
본 발명은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분리 및 조립용 공구 없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유모차를 세 발 자전거로 겸용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한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보행기 등과 함께 3세 미만의 영아 또는 유아 보육에 필수용품으로 대다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아와 함께 외출을 할 경우, 유모차는 유아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유모차는 하부에 바퀴가 장착된 의자식 탑승부를 이용하여 유아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성인의 몸에 둘러메어 유아를 이동시키는 아기 배낭과 주로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탑승부에 바퀴를 장착하여 유아의 자력으로 이동하게 하는 보행기와는 달리 동행자의 수고를 경감시키는 면에서 유용한 이동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유모차는 유아를 태우고 이동하는 기구로써, 유아의 안전과 함께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유모차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모차를 사용하는 연령은 영아에서부터 대략 3세 정도까지이다.
이와 같이 유모차의 짧은 사용 기간에 비해 유모차의 구입 가격은 매우 비싼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유모차는 가격에 비하여 사용기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유모차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버려지거나 또는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의 성장이 빨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유모차로 인하여 심각한 자원 낭비와 함께 환경 오염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분리 및 조립용 공구 없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작은 힘으로 간편하게 유모차를 세 발 자전거로 변화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분리 및 조립용 공구 없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작은 힘으로 간편하게 유모차를 세 발 자전거로 변화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모차로 사용중에 필요시 간편하고 용이하게 세 발 자전거로 변형시켜 사용가능하도록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전륜의 전륜축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을 갖추고, 상기 전륜축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핸들부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조향축을 갖는 전륜부와, 상기 전륜부의 조향축을 일단 내측으로 삽입 관통시켜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거리가변수단에 의해 전장의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의 타단을 관통하여 중앙부가 고정 연결되되, 그 양단에는 회전가능한 한 쌍의 후륜을 갖는 후륜부와, 상기 연결축부 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핸들부를 장,탈착시키기 위한 장,탈착수단이 구비되는 주축부와, 상기 주축부를 관통시켜 하단부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안장부용 고정수단의 조작에 의해 회동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전거용 안장부와, 상기 자전거용 안장부의 상부에 상기 주축부를 일단 내측으로 관통,시켜 고정되어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도록 시트를 설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시트프레임에 중앙부가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차양을 설치시키기 위한 차양프레임이 구비되는 유모차용 시트부 와, 상기 주축부의 타단에 일단이 상기 장,탈착수단에 의해 장착 및 탈착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길이 가변수단에 의해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유모차용 핸들과 자전거용 핸들로 사용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에는 보호자로부터 핸들부가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는 것에 대응되게 경보음을 통하여 보호자에게 이를 알림가능하도록 핸들부로부터 이탈되는 동안 작동되는 스피커를 갖는 수신레벨감지부와, 상기 핸들부에 고정 구비되는 측정수신레벨부로 구성된 알림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륜부의 조향축에는 자전거로 사용시, 상기 핸들부와 교환 구비됨에 따른 상기 주축부에 삽입 고정시켜 보호자가 파지하여 밀 수 있도록 보조 손잡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따르면, 별도의 분리 및 조립용 공구 없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작은 힘으로 간편하게 유모차를 세 발 자전거로 변화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따르면, 별도의 분리 및 조립용 공구 없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작은 힘으로 간편하게 유모차를 세 발 자전거로 변화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 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각 구성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는,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유모차(도 1 및 도 2 참조)로 사용중에 별도의 조립 및 분해 공구 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발 자전거로 변형시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100)는,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전륜(111)의 전륜축(112)에 연결수단(113)을 매개로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114)을 갖추고, 상기 전륜축(112)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핸들부(170)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고정수단(115)이 구비되는 조향축(116)을 갖는 전륜부(110)와, 상기 전륜부(110)의 조향축(116)을 일단 내측으로 삽입 관통시켜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거리가변수단(123)에 의해 전장의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축부(120)와, 상기 연결축부(120)의 타단을 관통하여 중앙부가 고정 연결되되, 그 양단에는 회전가능한 한 쌍의 후륜(133)을 갖는 후륜부(130)와, 상기 연결축부(120) 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핸들부(170)를 장,탈착시키기 위한 장,탈착수단(142)이 구비되는 주축부(140)와, 상기 주축부(140)를 관통시켜 하단부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안장부용 고정수단(151)의 조작에 의해 회동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전거용 안장부(150)와, 상기 자전거용 안장부(150)의 상부에 상기 주축부(140)를 일단 내측으로 관통시켜 고정되어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도록 시트를 설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시트프레임에 중앙부가 회동수단(16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길이조절수단(165)에 의해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모차용 시트부(160)와, 상기 주축부(140)의 타단에 일단이 상기 장,탈착수단(142)에 의해 장착 및 탈착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길이 가변수단(171)에 의해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유모차용 핸들과 자전거용 핸들로 사용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170)에는 보호자로부터 핸들부(170)가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는 것에 대응되게 경보음을 통하여 보호자에게 이를 알림가능하도록 핸들부로(170)부터 이탈되는 동안 작동되는 스피커를 갖는 수신레벨감지부와, 상기 핸들 부(170)에 고정 구비되는 측정수신레벨부로 구성된 알림수단(18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전륜부(110)의 조향축(112)에는 자전거로 사용시 주축부(140)에 삽입 고정시켜 보호자가 파지하여 밀 수 있도록 보조 손잡이부(19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전륜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축(112)을 갖는 전륜(111)과, 상기 전륜축(112)의 양단에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게 연결수단(113)을 매개로 크랭크아암(117)이 연결되어 세 발 자전거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114)과, 상기 전륜축(112)의 양단에 각 일단이 베어링(도면부호 생략)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는 포오크프레임(118)을 일단에 구성되어 구비되는 중공의 조향축(116)과, 상기 조향축(116)을 내측으로 관통시켜 상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사용 선택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로 사용하고자 상기 핸들부(170)를 삽입 연결시킴에 따른 외주면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가압고정수단(11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연결수단(113)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즉, 유모차로 사용시에는 페달(114)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아암(117)을 비회전되게 구비하고 아울러 자전거로 사용시에는 전륜축(112)과 상기 크랭크아암(117)을 접속 연결시켜 구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수단(113)은, 첨부된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륜축(112)의 일면에는 수용홈(1131)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1131)의 내주면 중앙부에 연결홈(1132a)을 갖는 연결면(1132)이 단턱져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전륜축(1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선단부 외주면에는 결합용 나사부(1133a)를 갖는 결합돌기(113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131)의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33)를 중앙부로 관통시켜 유모차로 사용시에는 상기 크랭크아암(117)이 비회전되고, 자전거로 사용시에는 상기 전륜축(112)과 연결되어 페달(114)에 가해지는 구동력을 전륜축(112)으로 전달가능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1134)(Thrust Bearing) 및 압축스프링(1135)이 순차적으로 내설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크랭크아암(117)의 타단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33)를 관통시키도록 중앙부에 관통홀(1136)이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수용홈(1131)에 일부가 수용됨에 따른 페달(114)을 구동시 구동력을 전달시키도록 상기 연결홈(1132a)에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삽입돌기(1137)가 형성되며, 상기 크랭크아암(117)의 타단 타면에는 상기 관통홀(1136)을 관통하여 돌출된 결합돌기(1133)의 결합용 나사부(1133a)와 나사 결합시에는 세 발 자전거로 사용되고 비사용시에는 상기 크랭크아암(117)이 자유회전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1138)을 개재시켜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면 중앙부에는 나사홈(1139a)이 형성되어 잠금 및 해제에 대응되게 상기 삽입돌기(1137)를 연결홈(1132a)에 삽입 연결 및 이탈시키기 위해 가압편(1139)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압편(1139)의 타면에는 사용자의 손으로 상기 가압편(1139)를 별도의 공구 없이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파지용 홈(1139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페달(114)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아암(117)이 비회전 즉, 유모차로 사용시 상기 페달(114)과 프랭크(117)가 외부 물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195)를 매개로 하여 상기 페달(114)을 크랭크아암(117)측으로 회동시켜 포오크프레임(118)측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도 1 참조).
상기한 가압고정수단(115)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절취된 슬릿홈(116a)이 형성된 조향축(116)의 상단에 구비되는 핸들부(170)를 전륜부(110)의 조향축(116)에 삽입시켜 세 발 자전거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핸들부(17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조향축(116)을 관통시켜 구비되는 압착부(1151)와, 상기 압착부를 회동에 대응되게 가압 해제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압착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부재(1153)를 매개로 연결 구비되는 회동부(1154)로 구성된다.
즉, 상기한 가압고정수단(115)의 압착부(1151)는 대략 " Ω"의 형상으로 양단이 자유단을 형성하여 상기 조향축(116)을 관통시켜 고정볼트(1152)에 의해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갖는 링편(1151a)과, 상기 링편(1151a)의 각 일단에 연장되어 외측면에는 안착홈(1151c)이 형성되되, 안착홈에(1151c)는 고정홀(1151d)이 각각 천공된 수용편(1151b)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153)는 상기 안착홈(1151c)에 형성된 고정홀(1151d)을 관통 돌출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나사부(1153a)를 갖는 결합편(1153b)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1153b)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151c)에 걸림가능하게 걸림편(1153c)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1154)는 일단이 상기 결합편(1153b)의 나사부(1153a)와 나사 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른 압착부(1151)를 가압시키도록 일단에는 중앙부에 나사홀(1154a)이 형성된 힌지축(1154b)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된 원호형상의 가압돌편(1154c)이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회동부(1154)를 회동시키기 위한 파지부(1154d)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압돌편(1154c)과 안착홈(1151c) 사이에는 회동부(1154)의 회동시 가압력의 전달을 증대시키도록 실리콘 재질로 성형된 패드(1155)가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1151)의 링편(1151a)에는 고정볼트(1152)를 매개로 하여 조향축(116)에 고정되도록 고정홀(1151e)이 형성된다.
상기한 연결축부(120)는, 첨부된 도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륜부(110)와 후륜부(130)의 거리를 가변가능하게 고정 연결시킴과 아울러 주축부(140)를 입설가능하게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조향축(116)을 관통시키도록 일단에는 연결편(121a)을 갖는 중공의 제1연결바(121)와, 상기 제1연결바(121)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 연결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후륜부(130)가 고정 연결되는 제2연결바(122)와, 상기 제2연결바(122)에 내설되어 연결축부(120)의 전장을 가변시키도록 구비되는 거리가변수단(123)과, 상기 제2연결바(122) 상에 구비되어 상기 주축부(140)를 상면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체(12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거리가변수단(123)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륜부(110)와 후륜부(130)의 거리 즉, 자전거로 사용시 자전거용 안장부(150)와 페달(114)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연결바(122)에 형성된 관통공(1231)과, 상기 관통공(1231)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제2연결바(122)의 내주면에 탄발가능하게 내설되는 탄성부재인 판스프링(1232)과, 상기 판스프링(123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1231)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걸림용 돌기(1233)와, 상기 제2연결바(122)가 제1연결바(121)에 삽입됨에 따른 상기 관통공(1231)을 통하여 돌출된 걸림용 돌기(1233)를 관통시키도록 일정 간격 복수개 형성된 걸림홀(123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거리가변수단(123)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바(122)에 내설되는 하나의 판스프링(1232) 및 이의 판스프링(1232)에 일단이 고정되는 걸림용 돌기(1233)와 제1연결바(121)에 상기 걸림용 돌기(1233)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로 형성된 걸림홀(1234)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가변수단(123')은 제2연결바(122')에는 일정 간격 홀(1231')을 형성하고, 상기 홀(1231')에 대응되는 내부면에는 걸림용 돌기(1233')를 갖는 판스프링(1232')을 복수개 내설 고정시키고, 고정체(124')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용 돌기(1233')를 관통시킬 수 있는 하나의 걸림홀(1234')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후륜부(130)는, 상기 연결축부(120)의 제2연결바(122) 타단에 중앙부가 고정 연결되는 횡방향의 후륜바(131)과, 상기 후륜바(131)의 양단에 각각 스토 퍼용기어(132a)를 갖는 힌지부(132)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후륜(133)과 상기 힌지부(132)의 스토퍼용기어(도면부호 생략)에 걸림 해제되어 후륜(133)의 회전을 정지 및 회전가능하도록 공지의 스토퍼(13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도 1 및 도 2 참조).
상기한 주축부(140)는, 상기 연결축부(120)의 고정체(124)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한 자전거용 안장부(150)와 유모차용 시트부(160) 및 핸들부(170)를 순차적으로 설치가능하도록 중공의 주축(141)으로 구비되되, 타단부에는 사용자의 사용 선택 즉, 자전거로 사용함에 따른 상기 핸들부(170)를 장,탈착가능하도록 장,탈착수단(14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장,탈착수단(1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축부(140)의 주축(141)을 내측으로 관통시켜 고정볼트를 매개로 고정 구비되어 상기 핸들부(170)를 주축부(140)로부터 장착 및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한 전륜부(110)의 조향축(116) 외주면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고정수단(115)(도 4a 및 도 4b 참조)과 동일한 구성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자전거용 안장부(150)는, 상기한 주축부(140)의 주축(141)을 관통시켜 그 상단부에 구비되는 안장부용 고정수단(151)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동 및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비사용시에는 가방 또는 물건 등을 보관시킬 수 있고 자전거로 사용시에는 안장으로 사용가능하게 삽입부(15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안장편(1530과, 상기 안장편(153)의 후단에 그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전바(155)로 구성된다.
즉, 상기한 자전거용 안장부의 삽입부(152)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축(141)을 내측으로 관통시키도록 상부 외주면은 일부가 절개된 절개홈(152a)을 갖는 중공으로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장편(153)은, 상기 삽입부(152)의 외주면에 후단 중앙부에 형성된 연결편(154)을 매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자전거로 사용시 유아가 착석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안정바(155)는 상기 연결편(154)의 양측면에 각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안장편(153)에 유아가 안착될 때, 유아가 안장편(153)으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안장부용 고정수단(151)은, 상기 안장편(153)이 주축부(14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회동에 따른 높이 조절 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술한 전류부(110)의 조향축(116) 상단에 구비되는 가압고정수단(115)(도 4a 및 도 4b 참조)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유모차용 시트부(16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전거용 안장부(150)의 상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주축부(140)의 주축(141)을 내측으로 삽입시켜 예를 들어 볼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된 중공의 고정편(161)에 일체로 연결된 시트프레임(162)과, 상기 시트프레임(162)에 유아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는 시트(163)와, 상기 시트프레임(162)의 양단에 중앙부가 회동수단(16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길이조절수단(165)에 의해 길이가 가 변가능하게 구비되어 햇빛을 차단시키기 위한 차양(166)을 설치시키기 위한 차양프레임(167)과, 상기 차양프레임(167)의 전단부에 그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발 받침편(168)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시트프레임(162)은 고정편(161)을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회동수단(164)에 의해 차양프레임(167)이 회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된다.
상기 차양프레임(167)은, 상기 회동수단(164)에 일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회동수단(164)의 조작에 대응되게 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발 받침편(168)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차양프레임(1671)과, 상기 제1차양프레임(1671)의 각 일단 내측으로 그 양단이 각각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조절수단(165)에 의해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차양프레임(167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차양프레임(1762)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도면부호 생략)에 의해 각도 조절가능하게 회동 구비되어 차양의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차양각도조절프레임(168)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수단(164)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프레임(167)을 회동 및 상기 회동수단(16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상기한 회동수단(164)은 상기 시트프레임(162)의 양단에 각각 관통 형성된 회동용홀(162a)에 일단이 삽입되도록 내부와 연통된 나사홀(1641a)을 갖는 삽입편(1641b)이 일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중공의 수용편(1641)과, 상기 수용 편(1641)의 삽입편(1641b)에 형성된 나사홀(1641a)에 일단이 나사 결합가능하게 형성되어 잠금 및 풀림에 대응되게 상기 차양프레임(167)의 제1차양프레임(1671) 외주면을 가압 해제시켜 비회전 및 회전되도록 일면에는 나사돌기(1642a)가 돌출된 회동용고정편(1642)과, 상기 회동용고정편(1642)의 잠금에 대응되게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수용편(1641)과 시트프레임(162) 및 상기 시트프레임(162)과 회동용고정편(1642)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는 실리콘재질의 패드(1643)로 구성된다.
물론 이때, 상기 회동용 고정편(1642)은 별도의 잠금 및 풀림용 공구 없이 잠금 및 풀림가능하도록 나사돌기(1642a)가 형성된 타단면에는 파지홈(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165)은, 첨부된 도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프레임(167)의 제1차양프레임(1671) 일단이 제2차양프레임(1672)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 이동시 고정됨에 따른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도 6a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연결축부(120)에 구비되는 거리가변수단(123)의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유모차용 시트부(160)는, 상기 주축부(140)의 주축(141)에 볼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주축(141)상에서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고정편(161)의 일단 외주면에 상기 주축(151)에 구비되는 가압고정수단(115)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용수단을 갖추어 상기 유모차용 시트부(160)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전거용 안장부(150)의 상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주축부(140)의 주축(141)을 내측으로 삽입시켜 예를 들어 볼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된 중공의 고정편(161)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한 핸들부(170)는, 첨부된 도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축부(140)의 주축(141)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장,탈착수단(142)에 의해 장착 및 탈착가능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길이 가변수단(171)에 의해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축(172)과, 상기 핸들축(172)의 타단에 고정되어 유모차 또는 자전거로 선택 사용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핸들(173)과, 상기 핸들(173)의 전면 중앙부에 후면이 고정되어 물건을 수납하기 위해 구비되는 수납함(17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핸들(173)에는 미끌림들을 방지하도록 폴리우레탄폼으로 성형된 핸들커버(175)가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한 핸들부(170)의 핸들축(172)은 일단이 상기 주축부(140)의 주축(141) 타단에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장,탈착수단(142)에 의해 고정 및 이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핸들축(1721)와, 상기 제1핸들축(1721)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173)이 고정 구비되는 제2핸들축(17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핸들축(172)의 제1, 제2핸들축(1721,1722)은 길이 가변수단(171)에 의해 길이 가변 즉, 상기 제2핸들축(1722)이 제1핸들축(1721)으로부터 인,입출되어 고정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길이가변수단(171)은, 제2핸들축(1722)의 일단에 내부와 관통된 홀(1711)이 형성되고, 상기 홀(1711)을 일단이 관통하여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2핸들축에 내설된 탄발가능한 탄성부재인 판스프링(1712)에 고정되는 걸림용돌기(17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핸들축(1721)의 타단 즉, 상기 주축부(140)의 주축(141)에 삽입되는 일단의 반대측의 외주면에는 상기 홀(1711)을 관통한 걸림용돌기(1713)의 일부를 관통 돌출시켜 제1핸들축(1721)이 제2핸들축(1722)상에서 고정 가능하도록 걸림용홀(1714)이 길이방향 일정 간격 복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세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유모차로 사용 중에 도 11과 같이 세 발 자전거로 변경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전륜부(110)의 조향축(116)에 구비된 가압고정수단(115)에 의해 고정된 보조 손잡이부(190)를 분리시킴과 아울러 연결축부(120)이 일단이 고정된 주축부(140)의 주축(141) 타단에 장,탈착수단(142)에 의해 고정된 핸들부(170)를 각각 분리시킨다.
즉, 상기 가압고정수단(115)과 장,탈착수단(142)의 회동부(1154)(장,탈착수단의 회동부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함)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압착부(1511)의 압착력이 해제됨으로 인하여 상기 보조 손잡이(190)를 조향축(116)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향축(116)과 주축부(140)의 주축(141)으로부터 각각 분리된 보조 손잡이부와 핸들부(170)의 제1핸들축(1721)를 각각 상기 주축부(140)의 축부(141)와 조향축(116)에 삽입시킨 후, 상기 가압고정수단(115)과 장,탈착수 단(142)의 회동부(1154)를 타방향으로 회동시켜 가압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주축부(140)의 주축(141) 하단부에 구비된 안장부용 고정수단(151)의 회동부(도면부호 생략)를 일방향 즉, 가압 해제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주축부(140)의 주축(141)에 고정된 자전거용 안장부(150)를 전륜부(110)측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자전거용 안장부(150)를 전륜부(110)측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안장부용 고정수단(151)의 회동부를 가압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자전거용 안장부(150)를 주축부(140)의 주축(141)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자전거용 안장부(150)가 회동되어 고정되면, 유모차용 시트부(160)의 길이조절수단(165)을 조작하여 차양프레임(167)의 제1차양프레임(1671)을 제2차양프레임(1672)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고정시킨 후, 시트프레임(162)을 회동수단(164)을 축으로 회동시킨다.
즉, 잠금된 상기 회동수단(164)의 회동용고정편(1642)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수용편(1641) 내부에서 가압고정된 제1차양프레임(1671)이 고정 해제됨으로써 발 받침편(168)이 하향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되도록 회동시킨 후, 상기 회동고정편(1642)을 잠금방향으로 잠금시켜 상기 제1차양프레임(1671)을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유모차용 시트부(160)의 차양프레임(167)이 회동하게 되면, 전륜부(110)의 포오크프레임(118)에 결착된 커버부재(195)를 탈거시킨다.
상기 커버부재(195)가 포오크프레임(118)으로부터 탈거되면, 연결수단(113) 의 가압편(1139)이 풀림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크랭크아암(117)의 삽입돌기(1137)는 압축스프링(1135)에 의해 전륜(111)의 전륜축(112)에 형성된 연결홈(1132a)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로서 스러스트 베어링(1138)에 의해 자유 회전사태로 구비되어 진다.
이때, 상기 가압편(1139)을 잠금방향으로 잠금시키게 되면, 압축스프링(1135)이 가압되면서 상기 삽입돌기(1137)는 연결홈(1132a)측으로 삽입되고 그로 인하여 페달(114)의 구동력이 전륜(111)의 전륜축(112)측으로 전달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크랭크아암(117)으로부터 페달(114)을 회동시키게 되면 유모차에서 세 발 자전거로의 변환이 완료됨으로써 세 발 자전거로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90)는 포오크프레임(118)에 결착시켜 구비하면 된다.
한편, 상기 자전거용 안장부(150)에 유아가 안착됨에 따른 페달(114)과 발이 닿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축부(120)0에 구비된 거리가변수단(123)을 조절하여 유아의 발과 페달(114)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170)로부터 알림수단(180)의 수신레벨감지부를 보호자가 탈거시켜 구비하게 되면, 상기 세 발 자전가가 일정 거리 즉, 상기 수신레벨감지부의 수신거리 이상으로 벗어나게 되면 이를 경보음으로 알려주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 발 자전거로 사용중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술한 세 발 자전거로 사용하기 위해 핸들부와 보조 손잡이부를 교환시키고 자전거용 안장부를 회동 고정시키며 유모차용 시트 부를 회동 고정시킴과 아울러 페달을 크랭크아암으로 회동시킨 후 커버를 이용하여 포오크프레임에 상기 크랭크아암을 결착시킴으로써 유모차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전륜부 연결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전륜부 가압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연결축부와 거리가변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또 다른 실시예의 거리가변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장,탈착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자전거용 안장부와 안장부용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유모차용 시트부와 회동수단 및 차양프레임의 회동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핸들부와 길이가변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있어서, 세 발 자전거 로 사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110 ; 전륜부
120 ; 연결축부 130 ; 후륜부
140 ; 주축부 150 ; 자전거용 안장부
160 ; 유모차용 시트부 170 ; 핸들부
180 ; 알림수단 190 ; 보조 손잡이부

Claims (15)

  1. 유모차로 사용중에 필요시 간편하고 용이하게 세 발 자전거로 변형시켜 사용가능하도록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전륜(111)의 전륜축(112)에 연결수단(113)을 매개로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114)을 갖추고, 상기 전륜축(112)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핸들부(170)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고정수단(115)이 구비되는 조향축(116)을 갖는 전륜부(110)와;
    상기 전륜부(110)의 조향축(116)을 일단 내측으로 삽입 관통시켜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거리가변수단(123)에 의해 전장의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축부(120)와;
    상기 연결축부(120)의 타단을 관통하여 중앙부가 고정 연결되되, 그 양단에는 회전가능한 한 쌍의 후륜(133)을 갖는 후륜부(130)와;
    상기 연결축부(120) 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핸들부(170)를 장,탈착시키기 위한 장,탈착수단(142)이 구비되는 주축부(140)와;
    상기 주축부(140)를 관통시켜 하단부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안장부용 고정수단(151)의 조작에 의해 회동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전거용 안장부(150)와;
    상기 자전거용 안장부(150)의 상부에 상기 주축부(140)를 일단 내측으로 관통시켜 고정되어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도록 시트(163)를 설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시트프레임(162)에 중앙부가 회동수단(16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길이조절수단(165)에 의해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차양(166)을 설치시키기 위한 차양프레임(167)이 구비되는 유모차용 시트부(160)와;
    상기 주축부(140)의 타단에 일단이 상기 장,탈착수단(142)에 의해 장착 및 탈착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길이 가변수단(171)에 의해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유모차용 핸들과 자전거용 핸들로 사용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170)에는 보호자로부터 핸들부(170)가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는 것에 대응되게 경보음을 통하여 보호자에게 이를 알림가능하도록 핸들부로(170)부터 이탈되는 동안 작동되는 스피커를 갖는 수신레벨감지부와, 상기 핸들부(170)에 고정 구비되는 측정수신레벨부로 구성된 알림수단(18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부(110)의 조향축(112)에는 자전거로 사용시, 상기 핸들부(170)와 교환 구비됨에 따른 상기 주축부(140)에 삽입 고정시켜 보호자가 파지하여 밀 수 있도록 보조 손잡이부(19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 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수단(115)과 장,탈착수단(142) 및 안장부용 고정수단(1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115,142,151)은 대략 " Ω"의 형상으로 양단이 자유단을 형성하여 상기 조향축(116)을 관통시켜 고정볼트(1152)에 의해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갖는 링편(1151a)과, 상기 링편(1151a)의 각 일단에 연장되어 외측면에는 안착홈(1151c)이 형성되되, 안착홈에(1151c)는 고정홀(1151d)이 각각 천공된 수용편(1151b)으로 형성된 압착부(1151)와, 상기 안착홈(1151c)에 형성된 고정홀(1151d)을 관통 돌출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나사부(1153a)를 갖는 결합편(1153b)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1153b)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151c)에 걸림가능하게 걸림편(1153c)이 형성된 연결부재(1153)와, 일단이 상기 결합편(1153b)의 나사부(1153a)와 나사 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른 압착부(1151)를 가압시키도록 일단에는 중앙부에 나사홀(1154a)이 형성된 힌지축(1154b)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된 원호형상의 가압돌편(1154c)이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회동부(1154)를 회동시키기 위한 파지부(1154d)가 형성된 회동부(11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1154)의 회동시 가압력의 전달을 증대시키도록 가압돌편(1154c) 과 안착홈(1151c) 사이에는 실리콘 재질로 성형된 패드(1155)가 더 개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부(110)는, 전륜축(112)을 갖는 전륜(111)과, 상기 전륜축(112)의 양단에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게 연결수단(113)을 매개로 크랭크아암(117)이 연결되어 세 발 자전거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114)과, 상기 전륜축(112)의 양단에 각 일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는 포오크프레임(118)을 일단에 구성되어 구비되는 중공의 조향축(116)과, 상기 조향축(116)을 내측으로 관통시켜 상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상기 핸들부(170)를 삽입 연결시킴에 따른 외주면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가압고정수단(115)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13)은, 상기 각 전륜축(112)의 일면에는 수용홈(1131)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1131)의 내주면 중앙부에 연결홈(1132a)을 갖는 연결면(1132)이 단턱져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전륜축(1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선단부 외주면에는 결합용 나사부(1133a)를 갖는 결합돌기(113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131)의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33)를 중앙부로 관통시켜 유모차로 사용시에는 상기 크랭크아암(117)이 비회전되고, 자전거로 사용시에는 상기 전륜축(112)과 연결되어 페달(114)에 가해지는 구동력을 전륜축(112)으로 전달가능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1134) 및 압축스프링(1135)이 순차적으로 내설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크랭크아암(117)의 타단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33)를 관통시키도록 중앙부에 관통홀(1136)이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수용홈(1131)에 일부가 수용됨에 따른 페달(114)을 구동시 구동력을 전달시키도록 상기 연결홈(1132a)에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삽입돌기(1137)가 형성되며, 상기 크랭크아암(117)의 타단 타면에는 상기 관통홀(1136)을 관통하여 돌출된 결합돌기(1133)의 결합용 나사부(1133a)와 나사 결합시에는 세 발 자전거로 사용되고 비사용시에는 상기 크랭크아암(117)이 자유회전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1138)을 개재시켜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면 중앙부에는 나사홈(1139a)이 형성되어 잠금 및 해제에 대응되게 상기 삽입돌기(1137)를 연결홈(1132a)에 삽입 연결 및 이탈시키기 위해 가압편(1139)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114)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아암(117)이 비회전시 상기 페달(114)과 프랭크(117)가 외부 물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페달(114)을 크랭크아암(117)측으로 회동시켜 포오크프레임(118)측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커버부재(19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9.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부(120)는, 상기 전륜부(110)의 조향축(116)을 관통시키도록 일단에는 연결편(121a)을 갖는 중공의 제1연결바(121)와, 상기 제1연결바(121)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 연결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후륜부(130)가 고정 연결되는 제2연결바(122)와, 상기 제2연결바(122)에 내설되어 연결축부(120)의 전장을 가변시키도록 상기 제2연결바(122)에 형성된 관통공(1231)과, 상기 관통공(1231)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제2연결바(122)의 내주면에 탄발가능하게 내설되는 탄성부재인 판스프링(1232)과, 상기 판스프링(123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1231)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걸림용 돌기(1233)와, 상기 제2연결바(122)가 제1연결바(121)에 삽입됨에 따른 상기 관통공(1231)을 통하여 돌출된 걸림용 돌기(1233)를 관통시키도록 일정 간격 복수개 형성된 걸림홀(1234)로 구성되어 구비되는 거리가변수단(123)과, 상기 제2연결바(122) 상에 구비되어 상기 주축부(140)를 상면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체(1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가변수단(123')은 제2연결바(122')에는 일정 간격 홀(1231')을 형성하고, 상기 홀(1231')에 대응되는 내부면에는 걸림용 돌기(1233')를 갖는 판스프링(1232')을 복수개 내설 고정시키고, 고정체(124')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용 돌기(1233')를 관통시킬 수 있는 하나의 걸림홀(1234')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안장부(150)는, 상기 주축(141)을 내측으로 관통시키도록 중공으로 관으로 형성된 삽입부(152)와, 상기 삽입부(152)의 외주면에 후단 중앙부에 형성된 연결편(154)을 매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자전거로 사용시 유아가 착석가능하도록 형성된 안장편(153)과, 상기 연결편(154)의 양측면에 각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안장편(153)에 유아가 안착될 때, 유아가 안장편(153)으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안정바(1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모차용 시트부(160)는, 상기 주축부(140)의 주축(141)을 내측으로 삽입시켜 고정된 중공의 고정편(161)을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회동수단(164)에 의해 차양프레임(167)이 회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시트프레임(162)과, 상기 회동수단(164)에 일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회동수단(164)의 조작에 대응되게 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발 받침편(168)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차양프레임(1671)과, 상기 제1차양프레임(1671)의 각 일단 내측으로 그 양단이 각각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조절수단(165)에 의해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차양 프레임(1672)으로 구성된 차양프레임(167)과, 상기 차양프레임(167)의 전단부에 그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발 받침편(16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164)은, 상기 시트프레임(162)의 양단에 각각 관통 형성된 회동용홀(162a)에 일단이 삽입되도록 내부와 연통된 나사홀(1641a)을 갖는 삽입편(1641b)이 일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중공의 수용편(1641)과, 상기 수용편(1641)의 삽입편(1641b)에 형성된 나사홀(1641a)에 일단이 나사 결합가능하게 형성되어 잠금 및 풀림에 대응되게 상기 차양프레임(167)의 제1차양프레임(1671) 외주면을 가압 해제시켜 비회전 및 회전되도록 일면에는 나사돌기(1642a)가 돌출된 회동용고정편(1642)과, 상기 회동용고정편(1642)의 잠금에 대응되게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수용편(1641)과 시트프레임(162) 및 상기 시트프레임(162)과 회동용고정편(1642)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는 실리콘재질의 패드(16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핸들부(170)는, 상기 주축부(140)의 주축(141) 타단에 일단이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장,탈착수단(142)에 의해 고정 및 이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핸들축(1721)와, 상기 제1핸들축(1721)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173)이 고정 구비되는 제2핸들축(17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제2핸들축(1721,1722)은 상기 제2핸들축(1722)의 일단에 내부와 관통된 홀(1711)이 형성되고, 상기 홀(1711)을 일단이 관통하여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2핸들축에 내설된 탄발가능한 탄성부재인 판스프링(1712)에 고정되는 걸림용돌기(17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핸들축(1721)의 타단 외주면에 상기 홀(1711)을 관통한 걸림용돌기(1713)의 일부를 관통 돌출시켜 제1핸들축(1721)이 제2핸들축(1722)상에서 고정 가능하도록 걸림용홀(1714)이 길이방향 일정 간격 복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 길이 가변수단(171)에 의해 길이 가변가능하게 구비된 핸들축(172)과, 상기 핸들축(172)의 타단에 고정되어 유모차 또는 자전거로 선택 사용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핸들(17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73)의 전면 중앙부에 후면이 고정되어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174)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173)에는 미끌림들을 방지하도록 폴리우레탄폼으로 성형된 핸들커버(175)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1020080026370A 2008-03-21 2008-03-21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090100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370A KR20090100870A (ko) 2008-03-21 2008-03-21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370A KR20090100870A (ko) 2008-03-21 2008-03-21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70A true KR20090100870A (ko) 2009-09-24

Family

ID=4135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370A KR20090100870A (ko) 2008-03-21 2008-03-21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087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80B1 (ko) * 2011-10-18 2013-10-29 김정근 유모차
WO2014088132A1 (ko) * 2012-12-05 2014-06-12 Kim Jung Keon 유모차
KR101478190B1 (ko) * 2013-03-21 2014-12-31 온순건 유모차 겸용 자전거
CN105172869A (zh) * 2015-08-10 2015-12-23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可转换成童车的婴儿车
WO2019203505A1 (ko) * 2018-04-18 2019-10-24 유상진 유모차
RU2744777C1 (ru) * 2019-10-07 2021-03-15 Сан Чин ЛЮ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80B1 (ko) * 2011-10-18 2013-10-29 김정근 유모차
WO2014088132A1 (ko) * 2012-12-05 2014-06-12 Kim Jung Keon 유모차
KR101478190B1 (ko) * 2013-03-21 2014-12-31 온순건 유모차 겸용 자전거
CN105172869A (zh) * 2015-08-10 2015-12-23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可转换成童车的婴儿车
WO2019203505A1 (ko) * 2018-04-18 2019-10-24 유상진 유모차
US20200391782A1 (en) * 2018-04-18 2020-12-17 Sang Jin Yoo Stroller
US11572093B2 (en) 2018-04-18 2023-02-07 Sang Jin Yoo Stroller
RU2744777C1 (ru) * 2019-10-07 2021-03-15 Сан Чин ЛЮ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KR20210041492A (ko) * 2019-10-07 2021-04-15 유상진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0870A (ko)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US7992889B2 (en) Convertible stroller-cycle
US7083175B1 (en) Front fork swivel control structure of a jogging stroller
US7455308B2 (en) Convertible riding toy
EA025643B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управляемое двумя способами
US20110203887A1 (en) Convertible Stroller-Cycle
WO2014121018A1 (en) Multi-passenger tricycle
US8801024B2 (en) Extension handle for children's mechanical, wheeled vehicles
KR20180014721A (ko) 접이식 세발자전거
US6375208B1 (en) Combined skateboard scooter/exerciser
RU2744777C1 (ru)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NO320836B1 (no) Anordning for hoyderegulering av et barnesete samt fotstotte som kan forskyves teleskopisk i forhold til setet
CN112109795A (zh) 无动力车体用包括驱动单元的搭乘装置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0442895Y1 (ko) 킥보드
KR101286225B1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US11136088B2 (en) Adaptable children's bicycle
KR101078992B1 (ko)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WO2012043435A1 (ja) 育児器具
KR101527293B1 (ko) 장애인의 신체특성을 고려한 네발자전거
CN217753973U (zh) 一种个人交通设备
CN216546498U (zh) 操作装置以及个人交通设备
CN216546502U (zh) 一种交通设备
CN217374783U (zh) 一种踏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