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854A - Dna 메틸화 조절을 위한 퀴놀린 유도체 - Google Patents

Dna 메틸화 조절을 위한 퀴놀린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854A
KR20090089854A KR1020097009745A KR20097009745A KR20090089854A KR 20090089854 A KR20090089854 A KR 20090089854A KR 1020097009745 A KR1020097009745 A KR 1020097009745A KR 20097009745 A KR20097009745 A KR 20097009745A KR 20090089854 A KR20090089854 A KR 20090089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h
acid
meoh
compound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싯 퍄시봉사
산지브 레드카
스와르나 가마게
다비 브로크
윌리암 데니
데이비드 제이. 베어스
하리프라사드 반카얄라파티
Original Assignee
수퍼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퍼젠, 인크. filed Critical 수퍼젠,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08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1Natural deoxy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2'-deoxy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thymine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Abstract

퀴놀린 유도체, 특히 4-아닐리노 퀴놀린 유도체가 제공된다. 당해 퀴놀린 유도체는, 예를 들어 DNA 메틸트랜스퍼라제 DNMT-1의 선택적 억제를 통해, C-5 위치에서 시토신 메틸화의 효과적 억제와 같은 DNA 메틸화 조절에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4-아닐리노퀴놀린 유도체 합성 방법 및 DNA 메틸화 조절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암 및 혈액성 장애와 같은 병을 치료하기 위해 본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제형화하거나 투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퀴놀린 유도체, DNMT-1, 암, 혈액 질환, 데시타빈, 아자시티딘, DNA 메틸화

Description

DNA 메틸화 조절을 위한 퀴놀린 유도체{Quinoline derivatives for modulating DNA methylation}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06년 10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출원 60/921,502와 2007년 4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출원 60/911,850을 35 U.S.C. § 119(e)하에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 가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다.
배경
기술분야
본 발명은 DNA 메틸화 효소 억제제, DNA 메틸화 조절제, 및 암이나 혈액암 같은 비정상적인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치료제로서 퀴놀린 유도체, 더욱 구체적으로는 4-아닐리노퀴놀린 유도체의 화합물, 조성물, 제제, 키트, 사용방법,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내용
5'-m5CpG-3' 서열내 시토신 잔기의 C-5 위치에서 메틸화는 유전자 침묵에 의해 유전자 발현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Smith, A. F. A. Curr. Opin. Genet. Devel., 1999, 9, 657). 복제시 이들 메틸화 패턴의 유지에 책임이 있는 주요 효소는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이다 (Siedlecki et al., Biochem.Biophys. Res. Comm., 2003, 306, 558). DNA 메틸화는 다수의 유전 질환 증후군의 원인이며, 또한 인간 암의 성장에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메틸화는 조혈 신생물에서 가장 빈번한 분자 변화이며(Egger et al., Nature, 2004, 429, 457), 다른 종양 유형에 관련되어 있는 것 같다. 예컨대, 산발성 결장직장암을 가진 특정 비율의 환자는 메틸화와 MLH1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침묵현상을 보여주고 있다(Kane et al., Cancer Res., 1997, 57, 808).
DNMT1의 가장 널리 탐구된 억제제는, 시토신 대신에 DNA에 삽입되며 비가역적으로 효소를 잡는 항대사 물질인, 아자시티딘(Vidaza®) 및 데시타빈(Dacogen®)과 같은 자살 억제제(suicide inhibitors)이다(Egger et al., Nature, 2004, 429, 457; Zhou et al., J. Mol. Biol., 2002, 327, 599). 이들 양 화합물은 현재 골수형성이상 증후군과 림프세포증식성 증후군의 치료에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상당한 독성을 가지고 있다(Leone et al., Clin. Immunol., 2003, 109, 89). 아마도 이것은 DNA로의 5-아자시티딘의 삽입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DNA 가닥으로 데시타빈의 삽입은 저메틸화 효과를 나타낸다. 분화된 세포의 각 클래스는 그 자신의 고유의 메틸화 패턴을 가지고 있다. 염색체 복제후, 이러한 메틸화 패턴을 보존하기위해, 모 가닥상의 5-메틸시토신은 상보적 딸 DNA 가닥에 직접 메틸화를 수행한다. 시토신의 5 위치에 탄소를 질소로 치환하면 이러한 정상적인 과정의 DNA 메틸화를 방해한다. 메틸화의 특정 부위에서 5-메틸시토신을 데시타빈으로 대체하 면 아마도 효소와 데시타빈 사이의 공유 결합의 형성으로 인해 DNA 메틸트란스페라제의 비가역적인 불활성화가 일어난다(Jutterman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994, 97, 11797). 메틸화 유지에 요구되는 효소인 DNMT1을 특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종양 억제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메틸화가 예방될 수 있다.
DNA 메틸트란스페라제의 강력한 직접 억제제이지만 세포 검정에는 다소 효과가 적은 psammaplin 스폰지 대사물(Pina et al., J. Org. Chem., 2003, 68, 3866)을 포함하는 몇몇 다른 DNA 메틸화 소분자 억제제만이 기술되어 왔다(Godert et al., Bioorg. Med. Chem. Lett., 2006, 16, 3330). (-)-에피갈로토카테신-3-갈레이트, 히드랄라진, 및 프로카인아미드와 같은 다른 비-뉴클레오시드 탈메틸화제가 데시타빈 보다도 유전자를 재활성화시키는데 다소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Chuang et al., Mol. Cancer Ther., 2005, 4, 1515).
따라서 암과 혈액암과 같은 비정상적인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DNA 메틸화 조절제를 개발할 필요가 여전히 있다.
간단한 요약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혹은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28476796-PCT00001
상기 식에서, G1, G2, G3, 및 G4은 각각 독립적으로 C, N 또는 N+ (여기서, R6-R9가 N에 부착되어 있음)이고; G5 및 G6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며; G7 및 G8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C (R2이 C에 부착되어 있음), N 또는 N+ (R2가 N에 부착되어 있음)이고,
D1 및 D2는 각각 별도로 CH, C (R3는 C에 부착되어 있음), N 또는 N+ (R3이 N에 부착되어 있음)이며,
R6, R7, R8, 및 R9는 각각 별도로 H, 할로겐, CF3, OCF3, CN, CONHR4, CONR4R5, SO2Me, SO2NHR4, SO2NR4R5, NHCOR4, NHR4, NR4R5, OR4, NO2, 또는 CH2R4이고, 여기에서 R4 및 R5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혹은 아미노, 히드록실 또는 메톡시기로 임의로 치 환된 저급 C1-C6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모르포린, 피롤리딘, 피페리딘, 이미다졸, 또는 4-메틸피페라진을 나타낼 수 있는 시클로알킬 구조의 일부로서 일종 이상의 산소 또는 질소 원자로 임의 치환된 저급 C1-C6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N=에 의한 -CH= 고리 탄소의 치환일 수 있는 저급 C1-C6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며,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NHR4, NR4R5, OR4, NO2 또는 CH2R4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X는 H 혹은 아미노, 히드록실 또는 메톡시기로 임의 치환된 C1-C6 알킬이거나, 아제티딘, 피롤리딘, 피페리딘, 피페라진 또는 모르폴린을 나타낼 수 있는 시클로알킬 구조의 부분으로서 일종 이상의 산소 또는 질소 원자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C1-C6 알킬이며;
Y는 CONR4, NR4CO, O, S(O)n [n=0~2], (CH2)k [k=1~6], -CH=CH-, NR4, 또는 두 개의 방향족 고리 사이의 직접 결합(즉, 두 개의 방향족 고리 사이의 C-C 결합)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o, m 및 p 는 잔기 Z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며;
Z는 하기 화학식 II에 나타난 Q1-Q43 기들중의 하나이다.
Figure 112009028476796-PCT00002
Figure 112009028476796-PCT00003
Figure 112009028476796-PCT00004
상기 식에서, A는 O 또는 NR4이며, 여기에서 R4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G9-G13은 각각 독립적으로 C, N 또는 N+(R10-R13은 N에 부착되어 있음)이며; 그러나 G9-G13의 적어도 세 개는 C이고;
R10, R11, R12, R13 및 R14는 각각 별도로 H, 할로겐, 알킬, CF3, OCF3, CN, CONHR4, CONR4R5, SO2Me, SO2NHR4, SO2NR4R5, NHCOR4, NHR4, NR4R5, OR4, NO2 또는 CH2R4 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상이한 기하 및 거울상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순수한 형태와 이들 별개 이성질체의 혼합물, 그리고 이의 생리학적 관능염 유도체 또는 포스페이트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혹은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28476796-PCT00005
상기 식에서, R6, R7, R8 및 R9은 각각 별도로 H, 할로겐, CF3, OCF3, CN, CONHR4, CONR4R5, SO2Me, SO2NHR4, SO2NR4R5, NHCOR4, NHR4, NR4R5, OR4, NO2 또는 CH2R4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 히드록실 또는 메톡시기로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이고;
X는 H,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 히드록실 또는 메톡시기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이며;
Y는 CONR4, NR4CO, O, S(O)n (n=0~2), (CH2)k (k=1~6), -CH=CH-, 또는 NR4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G7 및 G8은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D1 및 D2은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o, m 및 p은 잔기 Z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며;
Z는 상기 화학식 II에 표시된 Q1-Q43기 중 어느 하나이며,
여기에서 A는 O 또는 NR4(R4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음)이고;
G9-G13은 각각 독립적으로 C, N, 또는 N+(R10-R13은 N에 부착되어 있음)이며; 그러나 G9-G13의 적어도 세 개는 C이고;
R10, R11, R12, R13, 및 R14는 각각 별도로 H, 할로겐, 알킬, CF3, OCF3, CN, CONHR4, CONR4R5, SO2Me, SO2NHR4, SO2NR4R5, NHCOR4, NHR4, NR4R5, OR4, NO2 또는 CH2R4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당해 식에서, R2- R14, G1-G13, o, m, p, X, Y, Z 및 A는 각 식에 대해 각각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혹은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과 같은 비정상적인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는 유지 메틸라제 DNMT1의 기능/활성의 감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감소를 필요로 한다. DNA 메틸라제 활성의 적어도 25% 감소가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 예견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치료 약제 및/또는 치료제를 공-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치료 방법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을 투여하기 이전, 투여 도중 또는 투여 이후에 환자에게 일종 이상의 화학요법 또는 생물학적 치료요법 약제를 투여하거나, 대상체를 조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인간 대상체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것이지만, 온혈 동물 대상체(예컨대, 다른 영장류, 소와 같은 농장 동물, 및 말, 개, 고양이와 같은 경주용 동물이나 애완 동물)와 같은 다른 포유류에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혹은 프로드럭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보조제, 담체, 완충제 또는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혹은 프로드럭의 합성 또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한 방법의 예를 하기 반응식 1 내지 6에 나타내고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게 투여를 위해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혹은 프로드럭을 함유하는 약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일부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는 하기 표 1에 수록되어 있다(여기서, R2, R3 및 R4는 H이며, A는 NH이다).
[표 1]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화합물
Figure 112009028476796-PCT00006
Figure 112009028476796-PCT00007
Figure 112009028476796-PCT00008
Figure 112009028476796-PCT00009
Figure 112009028476796-PCT00010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이 일종 이상의 상이한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형태가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명세서에 걸쳐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염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옥살산, 말론산, 살리실산, 말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메탄설폰산, 이소에톤산 등 및 칼륨 탄산나트륨 또는 칼륨 히드록시드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으로부터 형성된, 산 또는 염기 유래 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의 염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카르복시산, 설폰산, 술포산 또는 포스포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숙신산, 말레산, 히드록시말레산, 메틸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옥살산, 글루콘산, 글루카르산, 글루쿠론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2-페녹시벤조산, 2-아세톡시벤조산, 엠본산, 니코틴산, 이소니코틴산, 아미노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페닐아세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2-히드록시에탄설폰산, 에탄-1,2-디설폰산, 벤젠설폰산, 4-메틸벤젠설폰산, 나프탈렌-2-설폰산, 나프탈렌-1,5-디설폰산, 2- 또는 3-포스포글리세레이트, 글루코스-6-포스페이트, N-시클로헥실술팜산, 및 아스코르브산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산으로 형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염은 나트륨, 칼슘, 리튬, 칼륨, 암모늄 또는 트리알킬암모늄 염이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Z는 Q1, Q2, Q3, Q4, Q9, 또는 Q10이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구조이고, R6, R7, R8 및 R9는 각각 H이고; X는 H이며; Y는 CONH 또는 NHCO이고; Z는 Q2 또는 Q9이며; A는 NH이고, Z는 m 또는 p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구조이며, R6, R7, R8, 및 R9은 각각 H이고; X는 H이고; Y는 CONH이며, Z는 Q2이고; A는 NH이며; Z는 p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구조이며, R6, R7, R8, 및 R9은 각각 H이고; X는 H이며; Y는 CONH이고; Z는 Q9이며; A는 NH이고; 그리고 Z는 p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구조이며, R6, R7, R8 및 R9은 각각 H이고; X는 H이며; Y는 CONH 또는 NHCO이고; Z는 Q2이며; A는 NH이고, Z는 m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구조이며, R6, R8, 및 R9은 각각 H이고; R7는 NMe2이며; X는 H이고; Y는 CONH 또는 NHCO이며; Z는 Q2이고; A는 NH이며, Z는 m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구조이며, R6, R8, 및 R9은 각각 H이고; R7은 Cl이며; X는 H이고; Y는 CONH이며; Z는 Q2이고; A는 NH이며, Z는 p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구조이며, R6, R7, R8, 및 R9은 별도로 H, F, 또는 Cl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 혹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부 구현예에서,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은 고체 형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형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사 투여 형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국소 투여 형태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에 접촉시켜 세포의 DNA 메틸화 활성을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내 DNA 메틸화 억제 방법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에 접촉시켜 세포의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활성을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내 DNA 메틸화 억제 방법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활성은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의 분해를 통해 억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접촉 단계는 생물학적 유효량의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에 접촉시켜 세포내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의 활성을 적어도 50%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접촉 단계는 생물학적 유효량의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에 접촉시켜 세포내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의 활성을 적어도 25%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생물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에 접촉시켜 DNA 메틸화-억제 유전자의 활성을 상기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이 존재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적어도 25%가 증가시키는 단계를 함유하는, 세포내 DNA 메틸화-억제 유전자의 활성을 회복시키는 방법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접촉 단계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생물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에 접촉시켜 DNA 메틸화-억제 유전자의 전사 활성 혹은 전사 정도를 적어도 25%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NA 메틸화-억제 유전자는 14-3-3 Sigma, ABL1 (P1), ABO, APC, AR (안드로겐 수용체), BLT1 (류코트리엔 B4 수용체), BRCA1, CALCA (칼시토닌), CASP8 (CASPASE 8), Caveolin 1, CD44, CFTR, COX2, CSPG2 (베르시칸), CX26 (콘넥신 26), Cyclin A1, DBCCR1, ECAD (E-카드헤린), 엔도텔린 수용체 B, EPHA3, EPO (에리트로포이에틴), ER (에스트로겐 수용체), FHIT, GPC3 (글리피칸 3), GST-pi, H19, H-카드헤린(CDH13), γ-글로빈, HIC1, hMLH1, HOXA5, IGF2 (유사 인슐린 성장 인자 II), IGFBP7, IRF7, LKB1, LRP-2 (메갈린), MDGI (젖샘 유래 성장 억제제), MDR1, MDR3 (PGY3), MGMT (06 메틸 구아닌 메틸 트란스페라제), MUC2, MYOD1, N33, NEP (중성 엔도펩티다아제 24.1)/CALLA, NIS (나트륨-요오드 심포터 유전자), P14/ARF, P15 (CDKN2B), P16 (CDKN2A), P27KIP1, p57 KIP2, PAX6, Pg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RAR-Beta2, RASSF1, RB1 (망막모세포종), TERT, TESTIN, TGFBRI, THBS1 (트롬보스폰딘-1), TIMP3, TLS3 (T-플라스틴), 우로키나제(uPA), VHL (Von- Hippell Lindau), WT1, 및 ZO2 (Zona Occludens 2)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M.D. 앤더선 암 센터의 웹사이트는 이들 종양 억제 유전자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참고 웹사이트 www.mdanderson.org/departments/methylation/dlndex.cfm?pn=D02B3250- 57D7-4F61-88358636A8073A08, 이들은 온전히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으로부터 고통을 겪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국소, 복막내, 정맥내, 동맥내, 경피, 설하, 근육내, 직장, 구강, 비강내, 리포솜, 흡입, 질내, 안구내, 국소 전달, 피하, 지방내, 관절내, 또는 경막내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약제학적 조성물과 병용하여 제2 치료제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치료제는, 데시타빈 또는 아자시티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치료제는 히스톤 데아실라제 억제제, 항생제, 알킬화제, 레티노이드, 호르몬제, 식물 유래 약제, 생물학적 제제, 인터루킨, 인터페론, 사이토킨, 면역조절제, 및 단일클론 항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히스톤 데아실라제 억제제는 트리코스타딘 A, 서버로일아닐리드 히드록삼산, 옥삼플라틴, 수베릭 비스히드록삼산, m-카르복시-신남산 비스히드록삼산, 피록사미드, 트라폭신 A, 아피시딘, 뎁시펩티드, N-(2-아미노페닐)-4-[N-(피리딘-3-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부티르산, 페닐부티레이트 및 아르기닌 부티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정상적인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은 혈액 질환, 양성 종양 및 암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혈액 질환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 병,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및 겸상적혈구성 빈혈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질환은 암이며, 유방암, 피부암, 골암, 전립선암, 간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뇌암, 후두암, 담낭암, 췌장암, 직장암, 부갑상선암, 갑상선암, 부신암, 신경조직암, 두경부암, 결장암, 위암, 기관지암, 신장암, 기저세포 암종, 궤양성 및 유두상 유형 편평세포 암종, 전이성 피부 암종, 골 육종, 유잉스(Ewing) 육종, 세망세포 육종, 골수종, 거대세포 종양, 소세포 폐 종양, 담석, 섬세포 종양, 원발성 뇌종양, 급성 및 만성 림프구 및 과립구 종양, 모상세포 종양, 선종, 과다형성증, 수질 암종, 크롬친화세포종, 점막 신경종, 장 신경절신경종, 과다형성 각막 신경 종양, 마르파노이드 체질 종양, 윌름(Willm) 종양, 정상피종, 난소 종양, 평활근 종양, 자궁경부 이형성 및 상피내 암종, 신경아세포종, 망막아세포종, 연조직 육종, 악성 카르시노이드, 국소 피부 병변, 균상 식육종, 횡문근육종, 카포시(Kaposi) 육종, 골원성 육종, 악성 고칼슘혈증, 신장세포 종양, 진성 다혈구증, 선암종, 다형성 신경교아종, 백혈병, 림프종, 악성 흑색종, 및 표피양 암종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에 접촉시켜 세포의 DNA 메틸화 활성이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기 전 DNA 메틸화 활성과 비교하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까지 억제되는 단계를 함유하는 세포내 DNA 메틸화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세포에 접촉시켜 세포내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의 활성이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3a 또는 DNMT3b의 활성 보다도 더욱 억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내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따라,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의 활성은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의 분해를 통해 억제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접촉 단계는 생물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세포에 접촉시켜, 세포내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 활성의 적어도 50% 가 억제되는 접촉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접촉 단계는 생물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세포에 접촉시켜, 세포내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 활성의 적어도 25% 가 억제되는 접촉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물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세포에 접촉시켜 DNA 메틸화-억제 유전자의 활성이 본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적어도 2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까지 증가되는 단계를 함유하는, 세포내 DNA 메틸화-억제 유전자의 활성을 회복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DNA 메틸화-억제 유전자의 활성은 메틸화-억제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럭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으로부터 고통을 겪고 있는 환자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국소, 복막내, 정맥내, 동맥내, 경피, 설하, 근육내, 직장, 구강, 비강내, 리포솜, 흡입, 질내, 안구내, 국소 전달, 피하, 지방내, 관절내, 또는 경막내 투여된다.
상기 방법에 따라, 본 방법은 약제학적 조성물과 병용된 제 2 치료제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2 치료제는 데시타빈 또는 아자시티딘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2 치료제는 히스톤 데아실라제 억제제, 항생제, 알킬화제, 레티노이드, 호르몬제, 식물 유래 약제, 생물학적 제제, 인터루킨, 인터페론, 사이토킨, 면역조절제, 및 단일클론 항체로 구성되는 군에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비정상적인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은 혈액 질환, 양성 종양 및 암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암의 예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및 겸상적혈구성 빈혈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혈액 질환의 예는 유방암, 피부암, 골암, 전립선암, 간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뇌암, 후두암, 담낭암, 췌장암, 직장암, 부갑상선암, 갑상선암, 부신암, 신경조직암, 두경부암, 결장암, 위암, 기관지암, 신장암, 기저세포 암종, 궤양성 및 유두상 유형 편평세포 암종, 전이성 피부 암종, 골 육종, 유잉스(Ewing) 육종, 세 망세포 육종, 골수종, 거대세포 종양, 소세포 폐 종양, 담석, 섬세포 종양, 원발성 뇌종양, 급성 및 만성 림프구 및 과립구 종양, 모상세포 종양, 선종, 과다형성증, 수질 암종, 크롬친화세포종, 점막 신경종, 장 신경절신경종, 과다형성 각막 신경 종양, 마르파노이드 체질 종양, 윌름(Willm) 종양, 정상피종, 난소 종양, 평활근 종양, 자궁경부 이형성 및 상피내 암종, 신경아세포종, 망막아세포종, 연조직 육종, 악성 카르시노이드, 국소 피부 병변, 균상 식육종, 횡문근육종, 카포시(Kaposi) 육종, 골원성 육종, 악성 고칼슘혈증, 신장세포 종양, 진성 다혈구증, 선암종, 다형성 신경교아종, 백혈병, 림프종, 악성 흑색종, 및 표피양 암종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단지 예시로 제공된 하기 상세한 설명과 합성 반응식을 참조하여 더욱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참고 인용
이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간행물 및 특허출원은 각개의 간행물 및 특허출원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표시되어 참조를 위해 포함된 것과 동등한 정도로 참조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도면의 각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도 1은 상이한 농도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에 의한 p16의 RNA 발현 도의 증가를 예시하고 있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본 명세서에 나타내어 기재하였으나, 그러한 구현예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임은 선행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선행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 내에서 다수의 차이, 변경 및 치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구현예의 다양한 대안을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범위를 규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로써 이들 청구항의 범위 내의 방법 및 구조 그리고 그 균등물이 보호된다.
본 발명은 DNA 메틸화 효소 억제제, DNA 메틸화 조절제, 및 암이나 혈액암 같은 비정상적인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치료제로서 퀴놀린 유도체, 더욱 구체적으로는 4-아닐리노퀴놀린 유도체의 화합물, 조성물, 제제, 키트, 사용방법,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뜻밖에도 일련의 4-아닐리노퀴놀린 (예, 화학식 I 또는 III의 화합물)이 DNMT1의 선택적인 분해를 통해 DNA 메틸트란스페라제 DNMT1의 세포 기능을 특이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대로, 이전의 4-아닐리노퀴놀리늄 비스-4가 염은 DNA 미세구(minor groove)내 결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Leupin et al., Biochemistry, 1986, 25, 5902; Squire et al., Nucleic Acids Res., 1997, 25, 4072). 이들은 세포독성인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원래 항암 약물로 개발된 것이다(Atwell & Cain, J. Med. Chem., 1973, 16, 673; Denny et al., J. Med. Chem., 1979, 22, 134). 그러나 임상시험 예(NSC 176319)는 독성이 지나친 것으로 발견되었다(Plowman & Adamson, Pharmacol., 1978, 17, 61).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정확한 작용 메카니즘에 얽매일 필요는 없지만, 본 발명 의 4-아닐리노퀴놀린 유도체는, 보다 낮은 pKa 값을 가진 것과 4가 퀴놀리늄 및/또는 피리디늄 관능기의 보다 낮은 전하를 띤 치환기 혹은 대체로 인해, 선행 기술의 4-아닐리노퀴놀리늄 비스-4가 염과 비교하여 DNMT1의 억제 및/또는 세포내 DNA 메틸화의 억제에 더욱 특이적이어야 한다고 믿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포 독성을 줄이고, 세포내 DNA 메틸화 활성을 더욱 특이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1.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6에 나타난 방법과 상세한 실시예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에서, 화학식 (1)에서 Y가 CONH이고 Z가 Q1인 화합물은, 4-(피리딜)피리디늄과 니트로아닐린(2)의 반응, H2/Pd에 의한 이들 반응물의 아미드(3)로의 환원, 이후 이들 환원물과 4-니트로벤조산의 반응에 의한 아미드(6) 수득, 이들의 4가화(예컨대, MeOTs에 의한)에 의한 피리디늄 화합물(7) 수득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을 Fe 더스트/HCl로 환원시켜 아민(8)을 얻은후 4-클로로퀴놀린과 커플링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로 처리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112009028476796-PCT00011
반응식 2에서, Y가 NHCO이고 Z가 Q1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EDCI 또는 CDI와 같은 커플링 시약을 사용하여 N-아세틸아미노벤조산 (9)과 4-니트로아닐린의 반응에 의해 아미드(10)를 수득하고 이를 1,4-디옥산중 묽은 HCl로 가수분해하여 아민(11)을 수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을 4-피리딜 피리디늄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아민(12)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4가화(예컨대, MeOTs에 의한)에 의해 피리디늄 화합물(13)이 수득되는데, 이를 아민(14)으로 환원시킨 후 이전과 같이 4-클로로퀴놀린으로 커플링시키고, 필요할 경우 더 처리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112009028476796-PCT00012
반응식 3에서, 화학식 I에서 Y가 NHCO이고 Z가 Q3인 화합물은, 4-클로로퀴놀린(15)과 4-아세틸아미노아닐린(16)의 커플링에 의해 아닐리노퀴놀린(17)을 생성하고 이들을 탈블록화시켜 아닐리노퀴놀린(18)을 수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아세틸벤조산(19)과 아미노구아니딘의 반응으로 구아닐히드라존(20)이 수득되며, 이들을 EDCI 또는 일부 다른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아닐리노퀴놀린(18)과 커플링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112009028476796-PCT00013
(i) 2-아미노구아니딘/MeOH/c.HCl/환류; (ii) EtOH/H2O(2:1)/c.HCl/환류; (iii) 2N HCl/EtOH/환류; (iv) EDCl/DMAP/DMF/RT
반응식 4에서, 화학식 I에서 Y가 NHCO이고 Z가 Q2인 화합물은, 4-아닐리노퀴놀린(18)을 N-아세틸벤조산(21)로 커플링하여 아미드(22)를 생성하고, 이를 아민(23)으로 가수분해한 다음 2-아미노-6-클로로-4-메틸피리미딘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28476796-PCT00014
반응식 5에서, 화학식 I에서 Y가 CONH이고 Z가 Q3인 화합물은, 니트로아세토페논 (24)과 아미노구아니딘의 반응, 이후 생성물 구아닐히드라존(25)을 Fe/HCl로 환원시켜 아민(26)을 생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을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다음, 생성물 아미드(27)를 아민(28)으로 다시 환원시킨다. 이들과 4-클로로퀴놀린의 커플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28476796-PCT00015
반응식 6에서, 화학식 I에서 Y가 CONH이고 Z가 Q2인 화합물은, 니트로아닐린(2)과 2-아미노-6-클로로-4-메틸피리미딘과의 커플링 반응, 그리고 수득한 생성물(27)의 Fe/HCl에 의한 환원에 의한 아민(28) 생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들과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의 커플링, 그리고 생성물(29)의 환원은 전과 같이 아민(30)을 생성한다. 이들을 상기와 같이 4-클로로퀴놀린과 커플링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112009028476796-PCT00016
본 발명의 퀴놀린 유도체는 임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에스테르, 또는 그러한 에스테르의 염, 혹은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에 투여시 생물학적 활성 대사물 또는 이의 잔류물을 (직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화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본 기재 내용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프로드럭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그러한 프로드럭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다른 생물학적 등가물 또한 포함한다.
"프로드럭" 이라는 용어는 불활성 형태로 제조되어 생체 또는 세포내에서 내인성 효소 또는 기타 화학물질의 작용 및/또는 조건에 따라 활성형(즉, 약물)으로 전환되는 치료제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퀴놀린 유도체의 프로드럭 버젼(version)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화합물의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와의 에스테르 결합을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써 제조하거나, 또는 WO 93/24510 또는 WO 94/26764 및 미국특허 제5,770,713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 라 SATE[(S-아세틸-2-티오에틸)포스페이트] 유도체로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리학적으로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즉 모 화합물(parent compound)의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바람직하지 않은 독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염을 의미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4-아닐리노퀴놀륨 사가염은 배제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 염은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 또는 유기 아민 등의 금속 또는 아민으로 형성된다. 양이온으로서 사용되는 금속의 예는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이다. 적합한 아민의 예는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글루카민, 및 프로카인이다(예를 들면, Berge et al., "약제학적 염", J. of Pharma Sci., 1977, 66, 1-19 참조). 상기 산성 화합물의 염기 부가 염은 상기 유리산 형태와 충분한 양의 원하는 염기를 접촉시켜 종래 방식으로 염을 생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유리산 형태는 상기 염 형태를 산과 접촉시킨 다음 종래 방식으로 상기 유리 산을 분리함으로써 재생시킬 수 있다. 유리산 형태는 극성용매에서의 용해도 등의 특정한 물성 면에서 그들의 각 염과 다르지만, 상기 염은 그들의 각 유리산과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하여 등가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제학적 부가 염" 은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하나의 구성성분의 산성 형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이들은 상기 아민의 유기산 또는 무기산 염을 포함한다.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선행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또는 인산 등의 무기산; 유기 카르복시산, 설폰산, 술포산 또는 포스포산 또는 N-치환된 설팜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숙신산, 말레산, 히드록시말레산, 메틸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옥살산, 글루콘산, 글루카르산, 글루쿠론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2-페녹시벤조산, 2-아세톡시벤조산, 엠본산, 니코틴산 또는 이소니코틴산; 천연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20개의 α-아미노산 등의 아미노산, 예를 들어,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및 또한 페닐아세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2-히드록시에탄설폰산, 에탄-1,2-디설폰산, 벤젠설폰산, 4-메틸벤젠설폰산, 나프탈렌-2-설폰산, 나프탈렌-1,5-디설폰산, 2- 또는 3-포스포글리세레이트, 글루코스-6-포스페이트, N-시클로헥실술팜산(시클라메이트의 형성);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의 기타 산성 유기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다양한 무기산 및 유기산의 염기성염(basic salt)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이온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이온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알칼리, 알칼리토류, 암모늄 및 4급 암모늄 양이온을 들 수 있다.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분리된 화합물은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80%를 나타내고, COBRA법(Xiong, Z.,; Laird, P. W. Nucleic Acids Res. 1997, 25, 2532-2534), 방사성표지된 메틸 도입법(radiolabeled methyl incorporation assay)(Francis, K. T.,; Thompson, R. W.,; Krumdieck, C. L. Am. J. Clin. Nutr. 1977, 30, 2028-2032) 및 DNMT 검정법(Ghoshal et al (2005) 11:4727-41)과 하기 실시예 부분의 생물학적 검정법으로 시험할 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DNA 메틸화의 검출가능한(예,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DNMT3a 및 DNMT3b에 대해 DNMT1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2.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
본 발명에 따라, 각종 질환 및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일종 이상의 비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희석제 및/또는 보조제 및/또는 부형제 (집합적으로 "담체" 물질로 언급됨) 및 필요할 경우 다른 활성 성분과 병용된 일종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 경로,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묘사된 바와 같은 그러한 경로에 적합하고 치료할 증상에 의존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과 조성물은 예컨대, 경구, 비경구, 복막내, 정맥내, 동맥내, 경피, 설하, 근육내, 직장, 구강, 비강내, 리포솜, 흡입, 질내, 안구내, 국소 전달 (예컨대, 도관이나 스텐트에 의함), 피하, 지방내, 관절내, 또는 경막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경우에 따라, 상기 조성물의 안정성을 증강시키고, 용액 중에서 그 생성물을 유지하고, 또는 본 발명의 제제의 투여와 관련된 부작용(예, 잠재성 궤양, 혈관 자극 또는 분출)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첨가된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의 예로는 만니톨, 소르비톨, 락토스, 덱스트로스, 시클로덱스트린(α-, β-, γ-시클로덱스트린 등), 및 변형된, 비결정질 시클로덱스트린(히드록시프로필-, 히드록시에틸-, 글루코실-, 말토실-, 말토트리오실-, 카르복시아미도메틸-, 카르복시메틸-, 설포부틸에테르-, 및 디에틸아미노-치환 α-, β-, γ-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얀센 파마슈티컬스(Janssen Pharmaceuticals)로부터 입수가능한 엔캅신(Encapsin)® 등의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등가물이 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용으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캡슐, 현탁액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투여 단위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투여 단위의 예는 정제 및 캡슐이다. 상기 정제 및 캡슐은, 치료 목적으로, 활성성분 외에, 결합제(예를 들어, 아카시아 검,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소르비톨, 또는 트라가칸트) 등의 종래 담체; 충전제, 예들 들어, 인산칼슘, 글리신, 락토스, 옥수수-전분, 소르비톨, 또는 과당;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카, 또는 탈크; 붕괴제, 예를 들어, 감자 전분, 향미료 또는 착색제, 또는 허용되는 습윤제를 함유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는 일반적으로 수성 또는 유성 용액, 현탁액, 에멀션, 시럽 또는 엘릭시르의 형태이며, 현탁제, 유화제, 비수성제, 보존료, 착색제 및 향미료 등의 종래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액상 제제 용 첨가제의 예로는 아카시아, 아몬드 오일, 에틸알콜, 분류 코코넛 오일, 젤라틴, 글루코스 시럽, 글리세린, 수소화된 식용 지방, 레시틴, 메틸셀룰로스,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또는 소르브산을 들 수 있다.
또한, 국소용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또는 코 및 목의 점막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크림, 연고, 액상 스프레이 또는 흡입제, 마름모꼴 정제, 목 페인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국소용 제제는 활성성분의 표면 침투를 촉진하기 위해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등의 화학적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눈 또는 귀에 적용용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연고, 크림, 로션, 페인트 또는 파우더와 같은 소수성 또는 친수성 베이스로 제제화된 액체 또는 반액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직장 투여용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코코아 버터, 왁스 또는 기타 글리세리드 등의 종래의 담체와 혼합된 좌약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달 시간이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중에서 재구성하기 위한 분말 형태로 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사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수성 또는 비수성의 등장 멸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 용액 또는 현탁액은 경구 투여용 제제에 사용되는 것으로 언급된 하나 이상의 담체를 포함한 멸균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 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옥수수 오일, 벤질알콜, 염화나트륨, 및/또는 각종 완충액에 용해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화합물/조성물의 투여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제제는, 임의의 경로,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경로에 적합하고 치료 증상에 의존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 또는 제제는 예컨대 경구, 비경구, 국소, 복막내, 정맥내, 동맥내, 경피, 설하, 근육내, 직장, 구강, 비강내, 리포솜, 흡입, 질내, 안구내, 국소 전달 (예컨대, 도관이나 스텐트에 의함), 피하, 지방내, 관절내, 또는 경막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은 또한 서방성 투여 형태로 투여되거나 공-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은 임의의 종래 투여 형태로 투여 또는 공-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공-투여는 개선된 임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협력치료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투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또한, 그러한 공-투여는 동일한 기간에 걸쳐서, 즉, 중복되는 기간 동안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조성물은 0.1-1000 mg/ m2의 투여량, 선택적으로는 1-200 mg/m2, 선택적으로는 1-50 mg/m2, 선택적으로는 1-40 mg/m2, 선택적으로는 1-30 mg/m2, 선택적으로는 1-20 mg/m2, 또는 선 택적으로는 5-30 mg/m2의 투여량으로 환자와 같은 대상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임의의 종래 형태로, 주사액, 치료 화합물, 영양 유액, 항균 유액, 완충제 및 안정화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제와 함께 공-투여될 수 있다.
환자에게 상기 약제학적 제제를 정맥내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정맥내 주사에 의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직접, 사전 재구성 없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안정성 증강의 결과로서, 환자에게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1, 2, 3, 4, 5 시간 또는 그 이상 시간 동안 주입할 수 있다. 장시간의 주입으로 인해 탄력적인 스케줄로 치료 제제를 투여할 수 있게 된다.
택일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주입 속도 및 부피는 환자의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약제학적 제제의 주입 조절은 기존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종래의 형태로, 주입액, 치료 화합물, 영양 유액, 항균 유액, 완충제 및 안정화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제와 함께 공-주입(co-infusion)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항종양제, 알킬화제, 레티노이드 상과(superfamily)의 일원인 약제, 항생제, 호르몬제, 식물유래 약제, 생물학적 제제, 인터루킨, 인터페론, 사이토킨, 면역조절제, 및 단일클론 항체를 포함하지만 한정되지 않는 치료 성분을 본 발명의 제제과 공-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공-주입은 개선된 임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협력치료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주입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상기한 공-주입은 동시에, 중복하여 또는 연속적일 수 있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약적 제제과 주입액의 공-주입은 Y형 연결기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정맥내 투여된 상기 약제학적 제제의 약물동태학 및 대사는 정맥내 투여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물동태학 및 대사와 유사하다.
4.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한 병용 요법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제제는 예컨대 5-아자-2'-데옥시시티딘 (데시타빈), 및 5-아자-시티딘(아자시티딘)와 같은 시티딘 유사체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데시타빈은 이의 관련 천연 뉴클레오시드인 데옥시시티딘의 길항제이다. 이들 두 화합물의 유일한 구조 차이는 데시타빈내 시토신 고리의 5 위치에 질소가 존재하는 반면, 데옥시시티딘의 경우 그 위치에 탄소가 존재하는 것이다.
데시타빈은 다중 약리 특성을 갖는다. 분자수준에서는, 세포주기의 S기 동안 DNA에 삽입된다. 세포수준에서, 데시타빈은 세포분화를 유도하고 혈액학적 독성을 나타낸다.
데시타빈의 가장 현저한 기능은 DNA 메틸화를 특이적으로 그리고 강력하게 억제하는 능력이다. 예컨대, CpG 섬에서 시토신의 메틸화에 대해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5-메틸시토신에 대한 시토신의 메틸화는 DNA의 수준에서 발생한다. 세 포 내에서, 데시타빈은 먼저 데옥시시티딘 키나제에 의해 그 활성형인 인산화 5-아자-데옥시시티딘으로 전환하는데, 이 인산화 5-아자-데옥시시티딘은 일차적으로 세포 주기의 S기 동안 합성된다. 데옥시시티딘 키나제의 촉매 부위에 대한 데시타빈의 친화성은 자연 기질인 데옥시시티딘과 유사하다. 데시타빈은 데옥시시티딘 키나제에 의해 이의 삼인산염 형태로 전환된 후, 자연 기질인 dCTP와 유사한 비율로, 복제되는 DNA에 삽입된다(Bouchard and Momparler 1983 Mol. Pharmacol. 24:109-114).
DNA 가닥으로의 데시타빈의 삽입은 저메틸화 효과를 나타낸다. 분화된 세포의 각 클래스는 그 자신만의 독특한 메틸화 패턴을 갖는다. 염색체 복제 후, 이 메틸화 패턴을 보존하기 위해서, 모(parental) 가닥상의 5-메틸시토신은 상보적인 DNA 딸 가닥상에서의 메틸화를 직접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시토신의 C-5 위치의 탄소를 질소로 치환하는 것은 이러한 DNA 메틸화의 정상적인 과정을 방해한다.
메틸화의 특정 부위에서 5-메틸시토신을 데시타빈으로 치환하면 아마도 효소와 데시타빈 사이의 공유 결합의 형성으로 인해 DNA 메틸트란스페라제의 비가역적인 불활성화가 일어난다(Jutterman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994, 97, 11797). 메틸화에 필요한 효소, 즉 DNA 메틸트란스페라제를 특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종양 억제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메틸화가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제제는 유전자 전사를 더 조정(예, 과메틸화와 히스톤 아세틸화에 의해 침묵된 유전자의 전사를 회복)하기 위해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의 억제제와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내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HDAC 는 유전자의 전사 침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히스톤상에서의 아세틸화 양은 두 종류의 효소인 히스톤 아세틸 트랜스퍼라제(HAT)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의 상반되는 활성에 의해 조절된다. 이들 효소에 대한 기질은 히스톤 H3, H4, H2A, 및 H2B의 아미노 말단 꼬리에 위치한 리신 잔기의 e-아미노기를 포함한다. 이들 아미노산 잔기는 HAT에 의해 아세틸화되고 HDAC에 의해 탈아세틸화된다. HDAC에 의해 히스톤 리신으로부터 아세틸기를 제거하면, 양 전하가 리신 잔기로 되돌려지므로, 뉴클레오솜의 구조를 압축하여 그 안에 포함된 유전자를 침묵시킨다. 그래서, 히스톤의 데아세틸라제에 의해 침묵된 이들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HDAC의 활성을 억제해야 한다. HDAC를 억제하면, 히스톤이 아세틸화되고, 탈아세틸화된 히스톤 코어 주변에 기밀하게 둘러싸인 DNA가 이완된다. DNA 구조의 열림은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한다.
히스톤의 탈아세틸화 외에, HDAC는 p53(종양억제유전자), GATA-1, TFIIE, 및 TFIIF 등의 전사 인자를 탈아세틸화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Gu and Roeder(1997) Cell 90: 595-606(p53); 및 Boys et al.(1998) Nature 396:594-598(GATA-1)). HDAC는, 예를 들어, HDAC를 채용하는 RB 종양억제 단백질에 의해 중재되는 전사 억제에 의한, 세포주기 조절에도 관여한다(Brehm et al.(1998) Nature 391:597-601). 따라서, HDAC의 억제는 p53과 RB 등의 종양억제유전자의 발현을 활성화시키게 되고, 그 결과 이들 유전자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성장 정지, 분화 및 세포사멸을 조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양억제유전자와 같은 다수의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전사 침묵은 암 및 기타 질환의 발병과 직접 관련된다. DNA의 시토신 잔기의 메틸화와 히스톤으로부터의 아세틸기 제거는 유전자 침묵의 두가지 주요한 메커니즘이다. 암관련 유전자의 메틸화 및/또는 히스톤 탈아세틸화에 기인하여, 이들 유전자의 발현은 억제되거나 완전히 침묵된다. 한편, 형질전환된 세포의 성장 정지, 분화, 및/또는 세포자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들 유전자의 발현이 요구된다. 형질전환된 세포에서의 이들 유전자의 활동저하에 의해 이들 세포의 무절제한 증식이 유도되고, 결국에는 암이 생긴다.
본 발명의 화합물/조성물과 HDAC 억제제를 병용하면, 형질전환된 세포의 성장정지, 분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위해 요구되는 유전자가 효과적으로 재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조성물은 유전자의 특히 조절 부위의 DNA 메틸화를 억제함으로써, 그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HDAC 억제제는 유전자의 뉴클레오솜 코어내의 히스톤의 데아세틸라제를 억제함으로써, 히스톤의 아세틸화를 순 증가시키고, 차례로, 그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 이들 두 상보적인 메커니즘을 활용함으로써, 상기 병용 요법은 유전자의 전사를 더 효과적으로 또한 이상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회복시키게 된다.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병용 요법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각각 더 작은 양의 억제제를 필요로 하므로, 상기 억제제를 고 투여량으로 전신적으로 투여하는 것과 관련된 잠재적인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지수를 개선시킨다.
다수의 항암제는 이들 종양억제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신호전달 연쇄반응을 유발함으로써 그들의 항암 효과를 발휘한다. 암세포에서의 이 들 유전자의 발현이 불충분하면, 이들 항암제의 항암 효과가 심각하게 감소되거나 또는 완전히 사라진다. DNA 메틸화 및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에 의해 후생적으로 침묵된 이들 유전자의 재활성화 또는 재발현을 통해서, 신체의 내인성 방어 메커니즘이 동원되어, 투여된 항암제에 의해 보내어진 신호에 응답하여 암세포에 대한 종양억제 기능을 회복시킴으로써 질병과 싸운다. 신체의 이러한 내인성 종양 억제 기능의 자극에 의해, 저 투여량의 항암제가 필요하게 되고, 항암제의 치료 지수가 더 높아진다(즉, 많은 효능 및 낮은 독성).
HDCA의 억제제로는 다음의 구조적 클래스: 1)히드록삼산, 2)환상 펩티드, 3)벤즈아미드, 및 4)단쇄 지방산을 들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드록삼산 및 히드록삼산 유도체의 예로는 트리코스타틴 A(TSA), 수버로일아닐라이드(suberoylanilide) 히드록삼산(SAHA), 옥삼플라틴, 수버릭 비스히드록삼산(SBHA), m-카르복시-신남산 비스히드록삼산(CBHA), 및 피록사미드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SA는 항진균용 항생제로서 분리되었고(Tsuji et al.(1976) J. Antibiot(Tokyo) 29:1-6), 포유동물 HDAC의 강력한 억제제로 확인되었다(Yoshida et al.(1990) J, Biol. Chem. 265:17174-17179). 변형된 HDAC를 가진 TSA 내성 세포주가 발견됨으로써, 이 효소가 TSA에 대한 중요한 표적임이 입증되었다. 기타 히드록삼산계 HDAC 억제제인 SAHA, SBHA, 및 CBHA는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마이크로몰 또는 그 이하의 농도로 HDAC를 억제할 수 있는 합성 화합물이다(Glick et al.(1999) Cancer Res. 59:4392-4399). 이들 히드록삼산계 HDAC 억제제는 모두 필수적인 구조 특징을 보유한다: 말단 소수성 잔기(예, 벤젠환)에 부 착된 또 다른 극성 부위에, 소수성 메틸렌 스페이서(예, 6개의 탄소 길이)를 통해서 결합된 극성 히드록삼 말단. 또한, 상기한 필수적인 특징을 갖도록 개발된 화합물은 HDAC 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히드록삼산의 범위내에 들어간다.
HDAC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환상 펩티드는 주로 환상 테트라펩티드이다. 환상 펩티드의 예로는 트라폭신(Trapoxin) A, 아피시딘(Apicidine) 및 FR901228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라폭신 A는 2-아미노-8-옥소-9,10-에폭시-데카노일(AOE) 잔기를 포함하는 환상 테트라펩티드이다(Kijima et al.(1993) J. Biol. Chem. 268:22429-22435). 아피시딘은 나노몰 농도에서 강력하고 넓은 스펙트럼의 항원생동물 활성을 나타내고 HDAC 활성을 억제하는 균류 대사산물이다(Darkin-Rattray et al.(1996) Proc. Natl. Acad. Sci. USA. 93; 13143-13147). FR901228은 크로모박테리움 바이올라세움(Chromobacterium violaceum)으로 부터 분리된 뎁시펩티드이며, 마이크로몰 농도에서 HDAC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있다.
벤즈아미드의 예로는 MS-27-275를 들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aito et al.(1990) Proc. Natl. Acad. Sci. USA. 96:4592-4597). 단쇄 지방산의 예로는 부티레이트(예, 부티르산, 아르기닌 부티레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PB))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wmark et al.(1994) Cancer Lett. 78:1-5; 및 Carducci et al. (1997) Anticancer Res. 17:3972-3973). 또한, 마이크로몰 농도에서 HDAC를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된 데푸데신(depudecin)(Kwon et al.(1998) Proc. Natl. Acad. Sci. USA. 95:3356-3361)도 본 발명의 히스톤 데아세 틸라제 억제제의 범위에 들어간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제제는 또한 항종양제, 알킬화제, 레티노이드 상과의 일원인 약제, 항생제, 호르몬제, 식물 유래 약제, 생물학적 제제, 인터루킨, 인터페론, 사이토킨, 면역조절제, 및 단일클론을 포함하지만 이들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 다른 치료 성분과 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알킬화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제제와 병용되거나 거기에 첨가될 수 있다. 알킬화제의 예로는 비스클로로에틸아민(질소 머스타드, 예를 들어, 클로르암부실, 시클로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메클로르에타민, 멜팔란, 우라실 머스타드), 아지리딘(예, 티오테파(thiotepa)), 알킬 알콘 설포네이트(예, 부술판), 니트로소우레아(예, 카르무스틴, 로무스틴, 스트렙토조신), 비고전적(nonclassic) 알킬화제(알트레타민, 다카바진, 및 프로카바진), 백금 화합물(카르보플라스틴 및 시스플라틴)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예에서,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또는 시클로포스파미드가 본 발명의 화합물/제제와 병용되거나 거기에 첨가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레티노이드 상과의 일원이 본 발명의 화합물/제제에 병용되거나 첨가될 수 있다. 레티노이드는 비타민 A(올(all)-트랜스-레티놀)에 유래 또는 관련되어 있는 구조 및 기능적으로 관련된 분자의 패밀리이다. 레티노이드의 예로는 올-트랜스-레티놀, 올-트랜스-레티노산(트레티노인), 13-시스 레티노산(이소트레티노인) 및 9-시스-레티노산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호르몬제가 본 발명의 화합물/제제에 병용되거나 및 또 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호르몬제의 예로는 합성 에스트로겐(예, 디에틸스티베스트롤), 항에스트로겐(예, 타목시펜, 토레미펜, 플루옥시메스테롤 및 랄옥시펜), 항안드로겐(바이칼루타미드, 닐루타미드, 플루타미드), 아로마타제 억제제(예,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아나스트로졸 및 테트라졸), 케토코나졸, 고세렐린 아세테이트, 류프롤라이드,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및 미페프리스톤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식물유래 약제가 본 발명의 화합물/제제에 병용되거나 첨가될 수 있다. 식물유래 약제의 예로는 빈카 알칼로이드(예,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빈데신, 빈졸리딘 및 비노렐빈), 캄프토테신(20(S)-캄프토테신, 9-니트로-20(S)-캄프토테신, 및 9-아미노-20(S)-캄프토테신), 포도필로톡신(예, 에토포사이드(VP-16) 및 테니포사이드(VM-26)), 및 탁산(예, 파클리탁셀, 및 도세탁셀)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사이토킨 등의 면역 조정 단백질, 종양 항원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종양억제 유전자 및 암 백신 등의 생물학적 제제가 본 발명의 화합물/제제에 병용되거나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제제에 병용되거나 첨가될 수 있는 인터루킨의 예로는 인터루킨 2(IL-2), 인터루킨 4(IL-4), 및 인터루킨 12(IL-12)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시타빈-글리세린 제제과 병용될 수 있는 인터페론의 예로는 인터페론 α, 인터페론 β(섬유아세포 인터페론) 및 인터페론 γ(섬유아세포 인터페론)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사이토킨의 예로는 에리트로포이에틴(에포이에틴), 과립구-CSF(필그라스팀) 및 과립구, 대식세포-CSF(사르그라모스팀)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토킨 이외의 면역조절제로는 칼메트-구에린 간균(Bacillus Calmette-Guerin), 레바미솔, 및 옥트레오타이드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제에 병용될 수 있는, 종양 항원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의 예로는 HERCEPTIN®(트라스트루주마브), RITUXAN®(리툭시마브), MYLOTARG®(안티-CD33 항체), 및 CAMPATH®(안티-CD2 항체)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키나제 억제제가 비정상적인 키나제 활성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제제와 병용되거나 거기에 첨가될 수 있다.
한 변형예에서,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는 이마타니브 메실레이트(예: Gleevec®)이다. 이마타니브 메실레이트는 CML에서 필라델피아 염색체 비정상에 의해 만들어진 Bcr-Abl 티로신 키나제를 억제하는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이다. 이마타니브 메실레이트는 Bcr-Abl 티로신 키나제의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결합 부위에 결합을 통해 이러한 억제 결과를 달성하며, 기질의 포스포릴화 및 이와 관련된 악성 변형을 예방한다. 키나제의 억제를 통해, 이마티니브 메실레이트가 세포 증식을 억제하여 세포 자멸사를 초래한다는 것으로 믿어진다(T. Schindler et al (2000) Science 289:1938-1942).
또 다른 변형예에서, 키나제는 Raf 키나제와 같은 세린/트레오닌 키나제이며, 키나제 억제제는 BAY 43-9006이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키나제는 Raf-미토겐-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MEK) 및 단백질 키나제 B (Akt) 키나제와 같은 단백질 키나제이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키나제는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ERK)이다. ERK 억제제의 예는 PD98059, PD184352, 및 U0126을 들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키나제는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PI3K)이다. P13K의 억제제의 예는 LY294002을 포함하지만 그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정 변형예에서, 키나제는 티로신 키나제이다. 티로신 키나제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및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일 수 있다.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예로는 표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 (EGFR),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수용체(PDGFR) 패밀리,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VEGFR) 패밀리, 신경 성장인자 수용체(NGFR) 패밀리, 섬유모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FGFR) 인슐린 수용체 패밀리, 에프린 수용체 패밀리, Met 패밀리, 및 Ror 패밀리를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표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의 예로는 HER1, HER2/neu, HER3 및 HER4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표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의 억제제의 예로는 HERCEPTIN®, ZD1839 (IRESSA®), PD168393, CI1033, IMC-C225, EKB-569, 및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Cys 잔기에 공유결합된 억제제를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표피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패밀리의 비정상적인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 는 상피 종양, 암종, 상부 호흡소화관 암종, 폐암, 및 비소세포 폐암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의 예로는 VEGFR1, VEGFR2, 및 VEGFR3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의 억제제의 예로는 SU6668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의 비정상적인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고상 및 전이성 종양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신경 성장 인자 수용체 패밀리의 예로는 trk, trkB 및 trkC를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신경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의 억제제의 예로는 CEP-701, CEP-751, 및 인도카르바졸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신경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의 비정상적인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전립선, 결장, 유두 및 갑상선 암, 신경종 및 오스테오블라스토마(osteoblastomas)를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Met 패밀리의 예로는 Met, TPR-Met, Ron, c-Sea, 및 v-Sea를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Met 패밀리로부터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침입 내향성 종양, 암종, 갑상선의 유두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췌장 암종, 난소 암종, 경부 편평상피 암종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예로는 c-kit 패밀리, Src 패밀리, Fes 패밀리, JAK 패밀리, Fak 패밀리, Btk 패밀리, Syk/ZAP-70 패밀리, 및 AbI 패밀리를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SrC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예로는 Src, c-Src, v-Src, Yes, c-Yes, v-Yes, Fyn, Lyn, Lck, BIk, Hck, Fgr, c-Fgr, v-Fgr, p561ck, Tk1, Csk 및 Ctk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Src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억제제의 예로는 SU 101 및 CGP 57418B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Src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유방암, 암종, 골수종, 백혈병 및 신경 아세포종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Fes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예로는 c-fes/fps, v-fps/fes, p94-c-fes-관련 단백질 및 Fer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Fes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간엽성 기원의 종양 및 조혈성 기원의 종양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JAK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예로는 Jak1, Jak2, Tyk2, 및 Jak3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JAK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억제제의 예로는 티로포스틴, CIS/SOCS/Jab 패밀리의 구성원, 합성 성분 AG490, 디메톡시퀴나졸린 화합물, 4-(페 닐)-아미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4-(4'-히드록시페닐)-아미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4-(3'-브로모-4'-히드록시페닐)-아미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및 4-(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아미노-6,7-디메톡시퀴나졸린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JAK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간엽성 기원의 종양 및 조혈성 기원의 종양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Fak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예로는 Fak 및 CAK. beta. /Pyk2/RAFTK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Fak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억제제의 예로는 우성 음성 돌연변이 S1034-FRNK; 동충하초의 대사물 FTY720, 및 FAK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ISIS 15421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Fak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비정상적인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인간 암종, 전이성 종양, 및 조혈 기원 종양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Btk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예로는 Btk/Atk, Itk/Emt/Tsk, Bmx/Etk, 및 Itk, Tec, Bmx, 및 RIk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Btk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억제제의 예로는 알파-시아노-베타-히드록시-베타-메틸-N-(2,5-디브로모페닐)프로펜아미드를 들 수 있지만 그것 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Btk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비정상적인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B-계통 백혈병 및 림프종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Syk/ZAP-70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예로는 Syk 및 ZAP-70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Syk/ZAP-70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억제제의 예로는 피세아탄놀, 3,4-디메틸-10-(3-아미노프로필)-9-아크리돈 옥살레이트, 아크리돈 관련 화합물, Lys-Leu-lle-Leu-Phe-Leu-Leu-Leu [SEQ ID NO: 1] 펩티드, 및 Lys-Leu-lle-Leu-Phe-Leu-Leu-Leu 모티프를 함유한 펩티드를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Syk/ZAP-70 패밀리로부터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비정상적인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양성 유방암, 유방암 및 간엽성 기원의 종양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5.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응증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는 다양한 질환, 바람직하게는 비정상적인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적응증으로는 바람직하지 못하거나 비조절성 세포 증식을 포함하는 질환을 들 수 있다. 상기 적응증으로는 양성 종양, 원발 종양 및 종양 전이 등의 각종 암, 재협착(예, 심장 동맥, 목동맥, 및 뇌동맥 병변), 혈액 질환, 내피세포의 비정상적 자극(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외과수술에 의한 신체 조직 손상, 비정상적인 상처 치유, 비정상적인 혈관형성, 조직 섬유증을 생성하는 질병, 반복적인 운동 장애, 고도로 혈관분포되지 않은 조직의 질환 및 장기이식과 관련된 증식성 반응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성 종양의 세포는 그들의 분화된 특성을 보유하며 완전히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 분할되지는 않는다. 양성 종양은 통상적으로 국재화되며 비전이성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양성 종양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혈관종, 간세포 선암종, 해면 혈관종, 초점성 결정성 과다형성, 청신경종, 신경 섬유종, 담관선종, 담관 낭생종, 섬유종, 지방종, 평활근종, 중피종, 기형종, 점액종, 결절재상 과다형성, 트라코마, 및 화농 육아종을 들 수 있다.
악성 종양에서 세포는 미분화되고, 신체의 성장 조절 신호에 반응하지 않으며, 억제되지 않는 방식으로 증식한다. 상기 악성 종양은 침입성이며 먼 부위까지 퍼질 수 있다(전이). 악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2개의 카테고리로 나뉜다: 원발 종양 및 이차 종양. 원발 종양은 그들이 형성된 조직으로부터 직접 생긴다. 이차 종양, 또는 전이는 신체의 다른 장소에서 생긴 종양이지만 멀리 떨어진 장기까지 확산한 종양이다. 전이의 통상적인 경로는 인접 구조로 직접 성장되어, 혈관계 또는 림프계를 통해서 퍼져서, 조직 면 및 신체 공간(복수, 뇌척수액 등)을 따라간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암 또는 악성 종양(원발 또는 이차)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유방암, 피부암, 골암, 전립선암, 간암, 폐암, 뇌암, 후두암, 담낭암, 췌장암, 직장암, 부갑상선암, 갑상선암, 부신암, 신경조직암, 두경부암, 결장암, 위암, 기관지암, 신장암, 기저세포 암종, 궤양성 및 유두상 유형 편평세포 암종, 전이성 피부 암종, 골 육종, 유잉스(Ewing) 육종, 세망세포 육종, 골수종, 거대세포 종양, 비소세포 폐 종양, 담석, 섬세포 종양, 원발성 뇌종양, 급성 및 만성 림프구 및 과립구 종양, 모상세포 종양, 선종, 과다형성증, 수질 암종, 크롬친화세포종, 점막 신경종, 장 신경절신경종, 과다형성 각막 신경 종양, 마르파노이드 체질 종양, 윌름(Willm) 종양, 정상피종, 난소 종양, 평활근 종양, 자궁경부 이형성 및 상피내 암종, 신경아세포종, 망막아세포종, 연조직 육종, 악성 카르시노이드, 국소 피부 병변, 균상 식육종, 횡문근육종, 카포시(Kaposi) 육종, 골원성 및 기타 육종, 악성 고칼슘혈증, 신장세포 종양, 진성 다혈구증, 선암종, 다형성 신경교아종, 백혈병, 림프종, 악성 흑색종, 표피양 암종, 및 기타 암종 및 육종을 들 수 있다.
혈액 질환은 혈액 세포에서의 형성이상 변화(dysplastic change)및 각종 백혈병 등의 혈액암을 유발할 수 있는 혈액 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포함한다. 혈액 질환의 예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선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모세포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및 겸상적혈구성 빈혈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은 어른에 발병하는 가장 일반적인 급성 백혈병 종류이다. 몇몇 유전병과 면역결핍 상태는 AML에 걸릴 위험의 증가와 관련된다. 이들로는 불루움(Bloom) 증후군, 판코니(Fanconi) 빈혈, 리-프라우메니(Li-Fraumeni) 동종, 혈관확장성 운동실조증, X-연관성 무감마글로불린증 등의, DNA 안정성에 결 함이 있어, 무작위 염색체 파손이 유도되는 질환을 들 수 있다.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APML)은 AML 중의 독특한 소군(subgroup)을 나타낸다. 이 아류(subtype)는 15;17 염색체 전위를 포함하는 전골수성 모세포를 특징으로 한다. 이 전위는 레티노산 수용체와 서열 PML로 구성되는 융합 전사체의 생성을 유도한다.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ALL)은 각종 아류에 의해 나타나는 독특한 임상적 특징을 가진 이질성 질병이다. 세포 유전학적 이상의 재발이 ALL에서 확인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세포유전학적 이상은 9;22 전위이다. 그 결과 얻어지는 필라델피아 염색체는 환자의 나쁜 예후를 나타낸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은 다능성 줄기세포의 클론성 골수증식 질환이다. CML은 염색체 9과 22의 전위를 포함한 특이적 염색체 이상을 특징으로 하며,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생성한다. 전리방사선은 CML의 발병과 관련된다.
상기 골수 이형성 증후군(MDS)은, 골수, 적혈구, 및 거대핵세포 시리즈에서의 형성이상 변화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조혈 계통에서의 형성이상 변화의 존재로 인해서 함께 분류되는 이질 클론성 조혈모세포 질환이다. 이들 변화는 3가지 계통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혈구감소증을 유발한다. DMS에 걸린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빈혈, 호중성 백혈구 감소증(감염) 또는 저혈소판증(출혈)과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MDS에 걸린 환자들의 약 10% 내지 약 70%에서 급성 백혈병이 발병한다.
수술하는 동안의 신체 조직 손상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의 치료는 관절 수술, 장 수술을 포함한 다양한 수술 과정, 및 켈로이드 흉터형성 동안 할 수 있다. 섬유 조직을 생성하는 질병으로는 폐기종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반복적인 운동 장애로는 수근관 증후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세포 증식 질환의 예로는 골 종양이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장기 이식과 관련된 증식 반응으로는 잠재적인 장기 거부 또는 관련 합병증의 원인이 되는 증식 반응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증식 반응은 심장, 폐, 간, 신장, 및 기타 신체 장기 또는 장기 시스템을 이식하는 동안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혈관형성으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허혈재관류 관련 뇌부종 및 뇌손상, 피질 허혈, 난소 과다형성 및 혈관과다(다낭 난소 증후군), 자궁내막증, 건선, 당뇨망막병증, 및 미숙 망막병증(수정체후부 섬유증식증), 근육 퇴행, 각막이식편 거부, 신생혈관 녹내장 및 오스터 웨버(Oster Webber) 증후군 등의 기타 눈 혈관형성 질병을 동반한 비정상적인 혈관형성을 들 수 있다.
비정상적인 혈관형성과 관련된 질병은 혈관 성장을 요구 또는 유도한다. 예를 들면, 각막 혈관형성은 3 기(phase)를 포함한다: 전-혈관 잠복기, 활성 신생혈관증식, 및 혈관 성숙 및 퇴행. 백혈구, 혈소판, 사이토킨, 및 에이코사노이드 등의 염증 반응 인자 또는 미확인된 혈장 구성성분을 포함한, 각종 혈관형성 인자의 정체 및 메커니즘은 여전히 밝혀져야 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원하지 않는 또는 비정상적인 혈관형성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원하지 않은 또는 비정상적인 혈관형성에 걸린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를 단독으로, 또는 고수준의 DNA 메틸화에 의해 생체내에서 항종양 활성이 방해받는 항종양제와 병용하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혈관형성 및/또는 혈관형성성 질병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이들 약제의 구체적인 투여량은 질병상태, 투여 경로, 및 담당 의사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는 관련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허용 1일 유효 투여량은 혈관형성 및/또는 혈관형성성 질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망막/맥락막 혈관형성 및 각막 혈관형성 등의 원하지 않는 혈관형성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막망/맥락막 혈관형성의 예로는 베스트 병, 근시, 시신경유도소와, 스타가르트(Stargarts) 병, 파제트(Pagets) 병, 정맥 폐색, 동맥 폐색, 겸상적혈구성 빈혈, 사르코이드, 매독, 탄력섬유 과황색증, 경동맥 폐쇄성 병, 만성 포도막염/유리체염,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 라임 병, 전신 홍반 루푸스, 미숙 망막병증, 일스 병, 당뇨성 망막병증, 황반 변성, 베체트병, 망막염 또는 맥락막염을 일으키는 감염증, 추정 눈 히스토플라스마증, 주변 포도막염, 만성 망막박리, 과다점성 증후군, 톡소포자충증, 트라우마 및 레이저후 합병증, 피부홍조와 관련된 질병(전방각 혈관형성), 및 모든 형태의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을 포함한 섬유혈관 또는 섬유조직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의해서 유발되는 질병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막 혈관형성의 예로는 유행성 각막결막염, 비타민 A 결핍증, 콘 택트 렌즈 과도착용 증후군, 아토피 각막염, 상윤부 각막염, 익상편 건성각막염, 쇼그렌 증후군, 주사성 여드름, 소수포증, 당뇨성 망막병증, 미숙 망막병증, 각막이식 거부, 무렌(Mooren) 각막 궤양, 테리엔(Terrien) 가장자리 각막변성, 가장자리 각질용해증, 다발동맥염, 베게너(Wegener) 사르코이드증, 공막염, 유천포창, 방사상 각막절개, 신생혈관 녹내장, 수정체후부 섬유증식증, 매독,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 지질 변성, 화학화상, 세균성 궤양, 진균성 궤양, 단순 포진 감염증, 대상 포진 감염증, 원충 감염증 및 카포시 육종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비정상적인 혈관형성과 관련된 만성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비정상적인 혈관형성과 관련된 만성 염증성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를 단독으로, 또는 고수준의 DNA 메틸화에 의해 생체내에서 항종양 활성이 방해받는 항종양제와 병용하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만성 염증은 염증세포의 유입을 유지하기 위한 모세혈관 발아의 지속적인 형성에 의존한다. 상기 염증세포의 유입 및 존재에 의해 육아종이 생성되고, 그 결과 만성염증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를 사용한 혈관형성 억제는 육아종 형성을 방해함으로써, 질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만성염증 질병의 예로는, 크론병(Chrohn's disease) 및 궤양성 대장염 등의 염증성 장질환, 건선, 사르코이드증, 및 류마티스 관절염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 등의 염증성 장 질환은 위장관의 다양한 부위에서 의 만성염증 및 혈관형성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크론병은 원거리 회장 및 직장에 가장 일반적으로 침범하지만 입으로부터 항문 및 항문주변에 이르는 위장관의 어느 부분에서라도 발병할 수 있는, 만성적인 전층 염증성 질병으로서 발병된다. 크론병에 걸린 환자는 일반적으로 복통, 발열, 식욕부진, 체중 감소 및 복부 종창과 함께 만성적으로 설사를 한다. 또한, 궤양성 대장염은 장 점막에서 발병하는 만성적, 비특이적, 염증성 및 궤양성 질병이며, 출혈성 설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이들 염증성 장 질환은 일반적으로 만성 육아종 염증에 의해 위장관 도처에서 발병하며, 염증 세포 실린더에 의해 둘러싸인 새로운 모세혈관 발아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에 의한 혈관형성의 억제에 의해, 발아의 형성 및 육아종의 형성을 억제할 것이다. 상기 염증성 장 질환은 또한 피부 병변 등의 가외의 장 소견을 나타낸다. 이러한 병변은 염증 및 혈관형성을 특징으로 하고 기타 위장관의 많은 부위에서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에 의한 혈관형성의 억제에 의해, 염증세포의 유입을 감소시키고 상기 병변 형성을 방지할 것이다.
또 하나의 만성 염증성 질병인 사르코이드증은 다발계통 육아종 질환으로 간주된다. 이 질병의 육아종은 신체의 어느 곳에서나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증상은 육아종 부위 및 질병의 활성 여부에 따라 다르다. 상기 육아종은 염증세포의 일정한 공급을 제공하는 신생 모세혈관 발아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육아종 형성과 같은 혈관형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건선, 또한 만성 및 재발 염증성 질병은 다양한 크기의 구진 및 플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를 사용하여 치료함으로써, 특징적인 병변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혈관의 형성이 방해될 것이며 환자의 증상이 완화될 것이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RA)은 주변관절의 비특이적인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병이다. 상기 관절의 윤활막의 혈관이 혈관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새로운 혈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 외에, 상기 내피 세포는 판누스 성장 및 연골 파괴를 유도하는 인자 및 반응성 산소종을 방출한다. 혈관형성에 관여하는 인자들이 류마티스 관절염의 만성적 염증 상태에 능동적으로 기여하고 그 상태의 유지를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항-RA 제와 병용하여 치료함으로써, 만성염증 유지에 필요한 새로운 혈관의 형성을 방지하여 RA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게 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비정상적인 헤모글로빈 합성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를 비정상적인 헤모글로빈 합성과 관련된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데시타빈 함유 제제는 DNA로의 삽입 메커니즘이 DNA 저메틸화와 관련되기 때문에 태아 헤모글로빈 합성을 자극한다. 비정상적인 헤모글로빈 합성과 관련된 질병의 예로는 겸상적혈구성 빈혈 및 β-탈라세미아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세포내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를 비정상적인 유전자 발현 수준과 관련된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NA 메 틸화는 유전자 발현의 제어와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프로모터 내 또는 부근에서의 메틸화는 전사를 억제하는 반면 탈메틸화는 발현을 회복시킨다. 상기한 메커니즘의 가능한 적용 예로는 치료학적으로 조정된 성장 억제, 세포자멸 유도, 및 세포 분화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에 의해 촉진되는 유전자 활성화에 의해, 치료 목적용 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 세포 분화는 저메틸화 메커니즘을 통해 유도된다. 형태학적 및 기능적 분화의 예로는 근육 세포, 근관, 적혈구 및 림프구 계통 세포의 형성으로의 분화를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현예를 설명 및 묘사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수의 변화, 변형, 또는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모든 변화, 변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로 간주될 것이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대표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상세한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당해 실시예에서, 원소 분석은 마이크로케미컬 래보러토리(뉴질랜드, 두네딘, 오타고 대학 소재)에서 실시하였다. 융점은 일렉트로써멀 2300 멜팅 포인트 장치 상에서 측정하였다. NMR 스텍트럼을 Me4Si를 참조하여 1H에 대해서는 400MHz에서, 13C 스펙트라에 대해서는 100MHz에서 브루커 어밴스-400 스펙트로미터 상에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을 명목 해상도 1000에서 이온화 전위 70eV를 사용한 VG-70SE 질량분석기로 측정하였다. 고-해상도 스펙트럼이 적합한 경우 명목 해상도 3000, 5000 또는 10000에서 수득되었다. 모든 스펙트럼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참조로서 PFK를 사용한 전자 충돌(EI)로 수득되었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다른 언급이 없으면 실리카겔 상에서 실시하였다(머크, 230 내지 400 메쉬).
실시예 A
1-메틸-4-(3-{[4-(4-퀴놀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D. A)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17
(i) TsOH/180℃, (ii) H2/Pd/C/MeOH, (iii)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피리딘/디옥산, (iv) DMF/MeOTs/20℃, 다음으로 이온-교환, (v) Fe 더스트/EtOH/H2O, (vi) 4-클로로퀴놀린/MeOH/cat HCl/환류.
N-(3-니트로페닐)-4-피리딘아민 (A3). 벤젠 중 p-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의 현탁액(17.4 g, 0.126 mol)을 10시간 동안 공비혼합시켰다. 페놀 (50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공비혼합시키고, 다음으로 4-피리딜피리디늄 클로라이드(26.6 g, 0.138 mmol) 및 3-니트로아닐린 (17.4 g, 0.126 mmol)을 첨가하고, 당해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공비혼합시켰다. 벤젠을 감압하 제거하고 생성된 흑색 잔류물을 1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4N NaOH (15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다음으로 물(2 L)로 희석하였다. 당해 혼합물을 CH2Cl2 (1 L) 중에서 교반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 CH2Cl2로 수세하였다. 고체를 MeOH/H2O로부터 재결정시켜 노란색 고체인 A3 (11.9 g)를 수득하였다: mp (MeOH/H2O) 182-184℃. 추가의 물질은 CH2Cl2 수세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킴으로써 회수되었다. 잔류물을 CH2Cl2 100mL에 용해시키고 헥산 200mL를 첨가하고, 당해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테르로 수세하여 반응하지 않은 3-니트로아닐린을 제거하고, 고체를 MeOH/H2O로부터 결정시켜 추가의 A3 (3.2g; 총 수율 15.7g, 58%)을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9.28 (s, 1 H, NH), 8.31-8.29 (m, 2 H, H-2,6), 7.95(t, J = 2.1 Hz, 1 H, H-2'), 7.82-7.79 (m, 1 H, H-4'), 7.65-7.57 (m, 2 H, H-5', H-6'), 7.03-7.02 (m, 2 H, H-3, H-5), 13C NMR[(CD3)2SO] δ 150.5 (2 x C), 148.8, 148.6, 142.2, 130.8, 124.8, 116.2, 112.7, 110.2 (2 x C); Analysis calc. for C11H9N3O2: C, 61.4; H, 4.2; N, 19.5; found, C, 64.5; H, 4.3; N. 19.7 %.
N 1 -(4-피리디닐)-1,3-벤젠디아민 (A4). 화합물 A3 (7.26g, 33.7 mmol) 및 MeOH 중 10% Pd/C의 현탁액을 2시간 동안 수소화하고,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MeOH/H2O로부터 재결정시켜 연노란색 분말인 A4 (5.43 g, 83%)를 수득하였다: mp. (MeOH/H2O) 170-171 ℃. 1H NMR [(CD3)2SO] δ 8.48 (bs, 1 H, NH), 8.14-8.12 (m, 2 H, H-2' & 6'), 6.96 (t, J = 7.9 Hz, 1 H, H-5), 6.86-6.84 (m, 2 H, H-3' & 6'), 6.43 (t, J = 2.0 Hz, 1 H, H-2), 6.32 (dd, J = 7.8, 1.3 H, 1 H, H-6), 6.26 (dd, J = 7.8, 1.5 Hz, 1 H, H-4) 5.07 (br s, 2 H, NH2); HRMS (El+) calc. for C11H11N3 (M+) m/z 185.0953, found 185.0945; Anal. calc. for C11H11N3.0.125 H2O: C, 70.5; H, 6.1 ; N, 22.5; found, C, 70.6; H, 6.0; N, 22.7 %.
N-(4-니트로페닐)-3-(4-피리디닐아미노)벤즈아미드 (A5). 4-니트로벤조산 (4.3 g, 16.36 mmol)을 SOCI2 (30 mL) 중 현탁시키고, 2 방울의 DMF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맑은 용액을 수득할 때가지)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과량의 SOCl2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은 1,4-디옥산(300 mL)으로 용해시키고 피리딘 (8mL)을 포함하는 1,4-디옥산 (300 mL)의 A4 (3.0g, 16.20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 ℃에서 16시간 교반하고 용매는 그 후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희석된 암모니아수 중에서 교반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로부터 결정화하여 A5 (5.3g, 79%)를 수득하였다: mp (MeOH) 219-222 ℃; 1H NMR [(CD3)2SO] δ 10.63 (s, 1 H, NH), 9.04 (s, 1 H, NH), 8.37 (d, J = 8.9 Hz, 2 H, ArH), 8.24-8.18 (m, 4 H, ArH), 7.81 (bs, 1 H, ArH), 7.45 (d, J = 8.5 Hz, 1 H, ArH), 7.34 (t, J = 8.0 Hz, 1 H, ArH), 6.99-6.95 (m, 3 H, ArH), 13C NMR [(CD3)2SO] δ 166.9, 164.0, 150.3, 149.4 (2xC), 149.1 , 140.5, 139.6, 129.5 (2xC), 129.2, 123.5 (2xC), 123.4, 115.8, 114.6, 111.6, 109; HRMS (FAB+) calc. for C18H15N4O3 (M+1) m/z 335.1144, found 335.1154.
1-메틸-4-{3-[(4-니트로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피리디늄 클로라이드(A6). DMF (2 mL)의 A5 용액 (507 mg, 1.51 mmol)에 메틸-p-톨루엔 설폰산염 (3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20시간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MeOH에 재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은 증발시켜 건조하고, 잔류물은 MeOH/EtOAc로부터 결정화하여 토실레이트 염 (530 mg, 67%)인 A6을 수득하였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이온 교환하여 클로라이드 염으로 변환시켰다. AGR 1-X4 수지 200-400 클로라이드 형태 (7 g)를 물로 수세하고 컬럼 내 충전시켰다. 토실레이트 A6(530mg)을 미리 수세한 수지 (2g) 중에서 교반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상기 칼럼 상에 적재시켰다. 그 후, 상기 칼럼을 물로 용출시키고, 화합물을 함유한 분획물을 통합하고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 (3 x 20 mL)로 공비혼합하고, MeOH/EtOAc로부터 최종 재침전시켜 클로라이드 염 (317 mg 54%)인 A6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95-298 ℃. 1H NMR [(CD3)2SO] δ 10.82 (s, 1 H, NH), 10.76 (s, 1 H, NH), 8.38 (d, J = 8.9 Hz, 2 H, ArH), 8.31 (d, J = 7.5 Hz, 2 H, ArH), 8.21 (d, J = 8.9 Hz, 2 H, ArH), 7.96 (t, J = 1.9 Hz, 1 H, ArH), 7.64 (dd, J = 8.7, 1.1 Hz, 1 H, ArH), 7.50 (t, J = 5.4 Hz, 1 H, ArH), 7.22 (d, J = 7.6 Hz, 2 H, ArH), 7.11 (dd, J = 7.9, 1.3 Hz, 1 H, ArH), 3.97 (s, 3 H, N+CH3); HRMS (FAB+) calc. for C19H17N4O3 (M+) m/z 349.1301 , found 349.1303.
4-{3-[(4-암모니오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A7). A6 (1.57 g, 4.08 mmol)을 5:1 H2O:EtOH (62 mL)에 용해시키고, 철 더스트(dust)(1.1 g)를 첨가한 후, 생성된 현탁액을 5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환류하였다.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하고 상기 Celite 패드를 뜨거운 EtOH로 수세시켰다. 통합된 EtOH 분획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잔 류물을 온수로 추출하였다. 이 용액은 증발시켜 건조시켰으며, 잔류물을 메탄올 (3 x 30 mL)로 공비혼합하여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 (30mL)에서 용해시키고, 메탄올성 HCl (1.25M, 5 mL)를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증발시켜 건조하고, 잔류물은 MeOH/EtOAc (3 x 30 mL)로 공비혼합하여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최종적으로 결정화시켜 흰색 고체인 A7 (913 mg, 63%)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69-273 ℃; 1H NMR [(CD3)2SO] δ 10.76 (s, 1 H, NH), 10.05 (s, 1 H, NH), 8.29 (d, J = 7.4 Hz, 2 H, ArH), 7.95 (t, J = 1.9 Hz, 1 H, ArH), 7.78 (d, J = 8.7 Hz, 2 H, ArH), 7.60 (dd, J = 8.7, 1.1 Hz, 1 H, ArH), 7.60 (t, J = 8.1 Hz, 1 H ArH), 7.20 (d, J = 7.5 Hz, 2 H, ArH), 7.00 (dd, J = 7.9, 1.4 Hz, 1 H, ArH), 6.72 (d, J = 8.6 Hz, 2 H, ArH), 3.96 (s, 3 H, N+CH3) NH2에 대한 신호는 관찰되지 않았다; HRMS (FAB+) calc. for C19H19N4O (M+) m/z 319.1559, found 319.1562. Analysis CRL11720 calc.CHN for C19H20N4C12O: C, 58.3; H, 5.4; N, 14.3; found, C, 58.7; H, 5.3; N, 14.5%.
1-메틸-4-(3-{[4-(4-퀴놀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d. A). MeOH (20mL) 중 A7 (200 mg, 0.51 mmol) 현탁액에 4-클로로퀴놀린 (100 mg, 0.61 mmo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맑은 용액을 수득할 때까지) 가열하였다. 그 후에 HCl 한 방울을 첨가하고, 환류를 그 후 20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증발시켜 건조하고, 잔류물을 MeOH (10 mL)에서 용해시켰다. 그 후에 EtOAc (50mL)을 첨가하고, 상기 MeOH는 끓여 제거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EtOAc로 수세한 후, MeOH/EtOAc로부터 결정화하여 연노란색 고체인 Cpd. A(214mg, 81%)를 수득하였다: mp 253-257 ℃; 1H NMR [(CD3)2SO] δ 11.07 (br, 1 H, NH), 10.79 (s, 1 H, NH), 10.60 (s, 1 H, NH), 8.84 (d, J = 13.5 Hz, 1 H, ArH), 8.61 (d, J = 6.9 Hz, 1 H, ArH), 8.31 (d, J = 7.4 Hz, 2 H, ArH), 8.18 (d, J = 8.6 Hz, 2 H, ArH), 8.12-8.04 (m, 2 H, ArH), 7.99 (br s, 1 H, ArH), 7.84 (t, J = 7.2 Hz, 1 H, ArH), 7.68 (d, J = 8.5 Hz, 2 H, ArH), 7.49 (t, J = 8.1 Hz, 1 H1 ArH), 7.23 (d, J = 7.5 Hz, 2 H1 ArH), 7.10 (br d, J = 7.8 Hz, 1 H, ArH), 7.01 (d, J = 6.7 Hz, 1 H, ArH), 3.98 (s, 3 H, N+CH3;13C NMR [(CD3)2SO] δ 164.8, 154.6, 154.3, 144.2, 142.8, 140.5, 140.3, 138.3, 137.3, 133.8, 132.5, 129.8, 129.4 (2 x C), 127.0, 124.4 (2 x C), 124.1, 120.2, 118.0, 117.9, 117.5, 114.5, 109.2, 100.3, 44.6, 탄소 신호의 두 가지 증대는 관찰하기 힘들었다; HRMS (FAB+) calc. For C28H24N5O 446.1981, found 446.1975; Anal. Cal cCHN for C28H25Cl2N5O.2.25 H2O: C, 60.2; H, 5.3; N, 12.5; found, C, 60.1; H, 5.3; N, 12.5 %.
실시예 B.
1-메틸-4-(4-(4-(퀴놀린-4-일아미노)벤자미도)페닐아미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염산염(CPD. B)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18
(i) TsOH/180℃, (ii) H2/Pd/C/MeOH, (iii)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피리딘/디옥산, (iv) DMF/MeOTs/20℃, 다음으로 이온-교환, (v) Fe 더스트/EtOH/H2O, (vi) 4-클로로퀴놀린/MeOH/cat HCl/환류.
N-(4-니트로페닐)-4-피리딘아민 (B3). 4-톨루엔설폰산 (53.80 g, 0.28 mol)을 벤젠 (200 mL)에서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Dean-Stark 조건하에 H2O 방출이 그칠 때까지 약 9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용액에 페놀 (112.25 g, 1.19 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Dean-Stark 조건하에 H2O 방출이 그칠 때까지 약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1-(4-피리딜)-피리디늄 클로라이드(59.95 g, 0.31 mol) (A2) 및 4-니트로아닐린 (B1)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은 Dean-Stark 조건하에 H2O 방출이 그칠 때까지 약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벤젠을 감압하 제거하고 생성된 흑색 잔류물을 2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4N 수성 NaOH 를 첨가함으로써 완전히 염기성화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H2O 및 CH2Cl2로 희석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Celite 패드로 여과시켜 고운 노란색 고체인 니트로아닐린 B3의 제 1 배치(0.22g)를 수득하였다. 여과액은 MeOH로 희석하고, 4 N NaOH로 재염기성화시키고, 그 후에 EtOAc (x 4)로 추출하였다. 통합된 유기 추출물을 H2O, 식염수로 수세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제2 배치인 B3(55 g)을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7.16 (dd, J = 4.76, 1.60 Hz, 2H, ArH),7.33 (ddd, J = 10.37, 5.32, 3.23 Hz, 2H, ArH), 8.18 (ddd, J =10.37, 5.32, 3.23 Hz, 2H, ArH), 8.38 (dd, J = 4.72, 1.56 Hz, 2H, ArH), 9.71 (br s, Ar-NH-Ar). LCMS (APCI+): 216 (100%).
N 1 -(4-피리디닐)-1,4-벤젠디아민 (B4). 니트로아닐린 B3 (~55.00 g, ~0.26 mol)을 2:1 EtOH:H2O (500 mL) 환류에 유입시키고, 그 후에 철 더스트 (56.96 g, 1.02 mmol) 및 빙아세트산 (10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간 환류시 키고, 그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은 수성 NH3을 첨가하여 염기성화시키고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여 폭신한 결정질 자홍색 고체인 B4(28.49 g, B1으로부터 54%)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4.99 (br s, 2H, Ar-NH2), 6.58 (m, 4H, ArH), 6.86 (ddd, J = 9.66, 4.99, 3.04 Hz, 2H, ArH), 8.03 (d, J = 6.28 Hz, 2H, ArH), 8.24 (s, 1 H, Ar-NH-Ar). LCMS (APCI+): 186 (100%).
N-(4-니트로페닐)-4-(4-피리디닐아미노)벤즈아미이드 (B5). 무수(dry) 피리딘 (21.90 mL, 271.82 mmol)의 B4 용액(10.079g, 54.37mmol)에 무수 디옥산 (100 mL) 중의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10.09 g, 54.37 mmol)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50℃에서 가열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수성 NH3을 첨가함으로써 염기성화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여 비결정질의 오렌지-노란 고체인 아미드 B5(3.47g, 19%)의 제1 배치를 수득하였다. 여과액을 EtOAc (x 4)로 추출하고 통합된 유기 추출물들은 염수로 수세시키고, 그 후에 증발하여 건조시켜 B4 및 B5 (1H NMR에 의해 ca. 1:1)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로 12시간 50℃에서 처리하여 B5 4g를 추가로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6.86 (dd, J = 4.82, 1.60 Hz, 2H, ArH), 7.21 (dt, J = 9.86, 5.02, 3.00 Hz, 2H, ArH), 7.76 (d, J = 8.84, 2H, ArH), 8.18 (m, 4H1 ArH), 8.37 (ddd, J = 9,23, 4.33, 2.34 Hz, 2H, ArH), 8.73 (s, 1 H, ArNHAr), 10.52 (s, 1H, ArC(O)NHAr). LCMS (APCI+): 335 (100%).
1-메틸-4-{4-[(4-니트로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피리디늄 클로라이드(B6). 무수 DMF (110 mL) 중의 아미드 B5 용액 (5.62 g, 16.82 mmol)에 메틸 토실레이트 (33.00 mL, 218.68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교반시켰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켜 비결정질의 밝은 노란색 고체인 토실레이트 염 11(7.57 g, 86%)을 제1 배치로 수득하였다. 여액은 침전물이 형성될 때까지 감압하 농축시키고, 이를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 수집하여 토실레이트염 B6 (0.72 g, 8%)을 제2 배치로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2.29 (s, 3H, 0(O)2SPhCH3), 3.96 (s, 3H, R2N+ -OH3), 7.10 (m, 4H, 0(O)2SArHCH3), 7.35 (d, J = 8.84 Hz, 2H, ArH), 7.47 (d, J = 8.08 Hz, 2H, ArH), 7.91 (d, J = 8.86, 2H, ArH), 8.20 (dd, J = 6.94, 1.94, ArH), 8.26 (d, J = 7.45 Hz, 2H, ArH), 8.39 (m, 2H, ArH), 10.42 (s, 1 H, ArNHAr), 10.70 (s, 1 H, ArNHAr). (APCI+): 349 (100%).
MeOH (~200 mL) 중의 토실레이트 염 B6 (8.30 g, 15.97 mmol) 현탁액에 이온 교환 수지 (67 g, H2O로 미리 수세함) [1-X4, BioRad AG, 200-400 클로라이드 형태]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추가의 이온 교환 수지 (70 g, H2O로 미리 수세함) 칼럼에 적재시키고, 상기 칼럼을 MeOH로 용출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비정질의 노란색 고체인 클로라이드 염 B6 (6.47 g, 91 %)을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3.95 (s, 3H, R2N+ -CH3), 7.10 (m, 2H, ArH), 7.35 (d, J = 7.93 Hz, 2H, ArH), 7.91 (d, J = 8.52 Hz, 2H, ArH), 8.22 (m, 4H, ArH), 8.39 (d, J =8.76 Hz, 2H, ArH), 10.50 (br s, 1 H, ArNHAr), 10.72 (s, 1 H, ArNHAr). LCMS (APCI+): 349 (100%).
4-{4-[(4-암모니오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B7). 2:1 EtOH:H2O (600 mL) 중 아미드 B6 (6.47 g, 16.81 mmol)의 환류 현탁액에 철 더스트 (3.76 g, 67.24 mmol) 및 빙아세트산 (12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시키고,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그 후에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MeOH로 재용해시키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다시 제거시켰다. 후 공정을 두 번 추가로 되풀이하였는데, 최종 재용해액에 메탄올성 HCl (~4M) 몇 방울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녹백색 고체인 아민 B8 (6.35 g)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CD3)2SO]: δ 3.94 (s, 3H, R2N+ -CH3), 6.85 (d, J = 8.26 Hz, 2H, ArH), 7.12 (d, J = 7.12 Hz, 2h, ArH), 7.29 (m, 2H, ArH), 7.83 (d, J = 8.64 Hz, 2H, ArH), 7.89 (m, 2H, ArH), 8.24 (d, J = 7.42 Hz, 2H, ArH), 10.10 (s, 1 H, ArNHAr, 10.73 (s, 1 H1 ArH). LCMS (APCI+): 319 (100%).
1-메틸-4-[4-({4-[(6-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d. B). 4-클로로퀴놀린 (89 mg, 0.55 mmol) 및 cHCl 3 방울을 무수 MeOH (19mL)의 아민 B7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그 후에 31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그 후에,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은 2 MeOH 공비혼합 싸이클을 통하여 건조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2회 결정화시키고, 그 후에 예비의 HPLC로 추가로 정제하여, 비결정질의 노란색 고체인 Cpd. B (68 mg, 24%)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3.94 [s, 3H, ArN+CH3], 7.00 [d, J = 6.92 Hz, 1 H, ArH], 7.14 [d, J = 7.29 Hz, 2H, ArH], 7.35 [d, J = 8.86 Hz, 2H, ArH], 7.69 [d, J = 8.58 Hz, 2H, ArH], 7.85 [t, J = 15.42, 7.71 Hz, 1 H, ArH], 7.96 [d, J = 8.86, 2H, ArH], 8.07 [t, J = 15.42, 7.71 Hz, 1 H, ArH], 8.13 [d, J = 7.76 Hz, 1 H, ArH], 8.20 [d, J = 8.58 Hz, 2H, ArH], 8.26 [d, J = 7.39 Hz, 2H, ArH], 8.61 [d, J = 6.92 Hz, 1 H, ArH], 8.88 [d, J = 8.43 Hz, 1 H, ArH], 10.58 [s, 1 H, ArNHAr], 10.76 [s, 1 H, ArNHAr], 11.16 [s, 1 H, ArC(O)NHAr], 14.81 [br s, 퀴놀린-N+H]. LCMS (APCI+): 447 (100%). HPLC: 99.7%.
실시예 C.
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D. C)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19
시약: (i) CDI/DMF/55 ℃ 1시간, 후 4-니트로아닐린/DMAP/150 ℃; (ii) p-TsOH; (iii) 피리딜피리디늄클로라이드/180℃; (iv) DMF/MeOTs; (v) Fe 더스트/EtOH/H20/H+/ 이 후 이온 교환; (vi) 4-클로로퀴놀린/EtOH/H20/H+/환류.
(아세틸아미노)-N-(4-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C2). N-메틸피롤리디논 (20 mL) 중 3-아세트아미도벤조산 (C1) (5.3Og, 29.58 mmol) 및 CDI (5.75 g, 35.50 mmol, 1.2 당량)의 혼합물을 55-6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4-니트로아닐린 (6.13 g, 44.37 mmol, 1.5 당량)을 그 후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4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그 후에 물 (400 mL)에 넣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은 여과시키고 물과 CH2Cl2로 순차적으로 수세한 후, MeOH로부터 결정화시켜 노란색 고체인 C2 (4.84 g; 55%)을 수득하였다; mp (MeOH) 259-261℃; 1H NMR [(CD3)2SO]: δ 10.80 (s, 1 H, NH), 10.15 (s, 1 H, NH), 8.29 (m, 2 H, H-3' & H-5'), 8.12 (t, J = 1.8 Hz, 1 H, H-2), 7.84 (br dd, J = 8.1, 1.2 Hz, 1 H, H-6), 7.65 (td, J = 7.8, 2.5 Hz, 1 H, H-4), 7.48 (t, J = 7.9 Hz, 1 H, H-5), 2.08 (s, 3 H, COCH3); Anal. Calc. For C15H13N3O4: C, 60.2; H, 4.4, N, 14.0; found C, 60.4; H, 4.6; N, 14.1 %.
3-아미노-N-(4-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C3). 화합물 C2 (4.25g, 15.9 mmol)를 1,4-디옥산(100 mL) 중에서 현탁시키고, 묽은 HCl (15 mL c.HCl + 85 mL H2O)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6시간 동안 (6% MeOH;CH2Cl2에서 TLC가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진을 보일 때까지)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 후에 20 ℃로 냉각시키고 용매는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묽은 NH3에서 교반하고, 그 후에 여과시키고, 물로 수세하고, 오븐-건조한 후, MeOH로부터 결정화시켜 아민 C3 (2.75g, 67%)을 수득하였다; mp (MeOH) 229-232℃; 1H NMR [(CD3)2SO]: δ 10.63 (s, 1 H, CONH), 8.27-8.22 ( m, 2 H, H-3'&H-5'), 8.06-8.02 (m, 2 H, H-2'&H-6'), 7.18 (t, J = 7.7 Hz, 1 H, H-5), 7.12-7.08 (m, 2 H, H-2&H-6), 6.80-6.78 (m, 1 H, H-4), 5.38 (s, 2 H, NH2); HRMS (FAB+) calc. for C13H11N3O3 (M+1) m/z 258.0879, found 258.0875; Anal. Calc. for C13H11N3O3: C, 60.7; H, 4.3; N, 16.3; found C, 60.7; H, 4.4; N, 16.6%.
N-(4-니트로페닐)-3-(4-피리디닐아미노)벤즈아미드 (C4). 파라톨루엔설폰산 (2 g, 10.49 mmol)을 벤젠 (250mL)과 함께 2시간 동안 공비혼합하였다. 피리딜피리디늄 클로라이드(3.3 g), 화합물 C3 (2.7g, 10.49 mmol) 및 N-메틸피롤리디논 (10 mL)을 그 후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30℃에서 2 시간 동안 공비혼합하였다. 용매는 끓여 제거하고, 생성된 암갈색 혼합물을 18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 50℃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한 후, 물, 묽은 수성 NH3 및 CH2Cl2로 순차적으로 수세시켰다. 그 후에 상기 고체를 MeOH로 결정화시키고, 여과시키고, MeOH 및 CH2Cl2로 수세시켜 C4 (1.92 g, 55%)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10.79 (s, 1 H, CONH), 9.00( s, 1 H, NH), 8.29-8.22 (m, 4 H, H-3',5'& py H-2,6) ), 8.08-8.04 (m, 2 H, H-2', 6'), 7.76 (t, J = 1.8 Hz, 1 H, H-2), 7.63 (t d, J = 8.0, 1.3 H, Hz, 1 H, H-6), 7.52 (t, J = 7.8 Hz, 1 H, H-5), 7.46-7.43 (m, 1 H, H-4), 6.98-6.97 (m, 2 H, py H-3&5).
1-메틸-4-{3-[(4-니트로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피리디늄 4-메틸벤젠설폰산염 (C5). 화합물 C4 (1.92g, 5.73 mmol)를 DMF (10 mL)에 현탁시키고, 메틸-p-톨루엔설폰산염 (15 m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가온된 MeOH (10mL)에 용해시킨 후, EtOAc로 희석시켰다. MeOH 일부는 끓여서 제거시키고, 상기 용액을 그 후에 18시간 동안 냉장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EtOAc로 수세하여 본질상 순수한 C5 (2.90 g, 97%)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CD3)2SO]: δ 10.85 (s, 1 H, CONH), 10.60 (s, 1 H, NH), 8.33-8.27 (m, 4 H, H-3',5' & py H-2,6), 8.08-8.30 (m, 2 H, H-2',6'), 7.94-7.89 (m, 2 H, H-2" 4"), 7.69 (t, J = 7.9 Hz, 1 H, H-5"), 7.60-7.57 (m, 1 H, H-6"), 7.48-7.45 (m, 2 H, H-3, 5), 7.22 (d, J = 7.5 Hz, 2 H, p-tol H-2,6), 7.20 (d, J = 8.1 Hz, 2 H, p-tol H-3,5), 3.99 (s, 3 H, N+CH3), 1.99 (s, 3 H, CH3).
4-{3-[(4-아미노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 드(C6). 화합물 C5 (1.59 g, 3.06 mmol)를 ~6:1 EtOH:H2O (46 mL)에 용해시키고, Fe 더스트 (885 mg)를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환류시켰다. c.HCl 두 방울을 첨가하고, 환류를(탑상(top phase)으로 n-BuOH:H2O:CH3CO2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한 TLC에서 출발 물질의 완전 소진을 보일 때까지) 1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H (100mL)로 희석하고 환류시켰다.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Celite 패드의 맨 위 층은 추가의 EtOH로 끓이고 여과시켰다 (이 공정을 3번 반복하여 철 잔류물로부터 생성물이 완전한 추출이 확실하도록 하였다). 결합된 EtOH 추출물은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잔류물은 뜨거운 물로 추출하고,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여액을 더 적은 부피로 농축시키고, 그 후에 미리 수세한 이온-교환 수지 (55g)에서 교반시켰다. 생성된 슬러리를 미리 수세한 이온 교환 수지로 채워진 칼럼에 적재시키고 물로 용출시켰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물을 통합하고 증발하여 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EtOH로 수 차례 공비혼합하였다.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키고, 메탄올성 HCl (1.25 M, 1mL)를 첨가하고, 용액을 10분 동안 교반시켰다. 용액을 EtOAc로 희석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그 후에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C6 (873 mg, 80%)을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1H NMR [(CD3)2SO]: δ 10.77 (br s, 1 H, NH), 9.95 (s, 1 H, NH), 8.41 (br d, J = 5.5 Hz, 2 H, Py H-2,6), 7.87-7.84 (m, 2 H, H-2,4), 7.61 (t, J = 7.8 Hz, 1 H, H-5), 7.49 (br d, J = 7.8 Hz, 1 H, H-6), 7.37 (d, J = 8.7 Hz, 2 H, H-2',6'), 7.21 (br d, J = 4.6 Hz,2 H py H-3,5), 6.55 (d, J = 8.8 Hz, 2 H, H-3',5'), 4.93 (s, 2 H, NH2), 3.97 (s, 3 H, N+CH3).
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 (Cpd. C). 화합물 C6 (100mg, 0.28 mmol)을 EtOH (10 mL) 및 H2O (5mL)에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4-클로로퀴놀린 (60 mg, 0.36 mmol) 및 c. HCl 3방울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탑상으로 n-BuOH:H2O:CH3CO2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한 TLC에서 출발 아민의 완전한 소진을 보일 때까지)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 후에 EtOAc로 희석하고, 몇 분간 끓인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은 여과시키고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Cpd. C (64 mg, 63%)를 수득하였다; mp (MeOH, EtOAc) >300 ℃; 1H NMR [(CD3)2SO]: δ 14.49 (br, 1 H, N+H), 11.01 (s, 1 H, NH), 11.78 (br, 1 H, NH), 10.64 (s, 1 H, NH), 8.77 (d, J = 8.5 Hz, 1 H, ArH), 8.57 (d, J = 6.5 Hz, 1 H, ArH), 8.32 (d, J = 7.5 Hz, 2 H, ArH), 8.06-7.92 (m, 6 H, ArH), 7.53 (t, J = 7.7 Hz, 1 H, ArH), 7.70-7.65 (m, 1 H, ArH), 7.48 (d, J = 8.8 Hz, 2 H, ArH), 7.29 (d, J = 7.5 Hz, 2 H, ArH), 6.79 (d, J = 6.8 Hz, 1 H, ArH), 3.98 (s, 3 H, N+CH3).
실시예 D.
4-[4-({4-[(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D. D)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20
(i) TsOH/180 ℃; (ii) SOCl2, 그 후에 4-니트로아닐린/피리딘; (iii) EDMF/MeOTs/20 ℃, 그 후에 이온 교환; (iv) Fe 더스트/EtOH/trace HCl; (v) 4-클로로퀴놀린/EtOH/H2O/H+/환류
4-(4-피리디닐아미노)벤조산 (D2). 파라-톨루엔설폰산 (17.4g, 0.126 mol)을 벤젠 (300mL)과 함께 5시간 동안 공비혼합시켰다. 4-피리딜피리디늄 클로라이드(26.6 g, 0.138 mol), 4-아미노벤조산 (D1) (17.3 g, 0.126 mol) 및 N-메틸피롤리디논 (40 mL)을 그 후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오일수조 중에서 110℃에서 1시간 동안 공비혼합시켰다. 벤젠은 130℃에서 증발시키고, 그 후에 온도를 1.5 시간 동안 180℃로 증가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식염수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가온하여 침전물을 수득하고, 당해 침전물을 여과한 후 110℃에서 오븐-건조하였다. 고체는 그 후에 끓는 에탄올 (5 x 150mL)로 추출시키 고, 결합된 EtOH 추출물은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묽은 수성 NH3에서 교반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시켰다. 추가 생성물은 당해 여액을 빙 AcOH로 중화시킴으로써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 배치를 통합하고 H2O로부터 결정화시켜 D2 (8.8 g, 32 %)를 수득하였다: mp (H2O) 333-336 ℃; 1H NMR [(CD3)2SO]: δ 12.05 (br., 1 H, COOH), 9.17 (s, 1 H, NH), 8.28 - 8.27 (m, 2 H, ArH), 7.90 - 7.86 (m, 2 H, ArH), 7.26 - 7.23 (m, 2 H, ArH), 7.05 - 7.03 (m, 2 H, ArH), 13C NMR [(CD3)2SO]: δ 166.8, 150.2 (2 x C), 148.6, 145.0, 130.9 (2 x C), 123.4, 117.32 (2 x C), 110.6 (2 x C); LCMS 215 +ve.
N-(4-니트로페닐)-4-(4-피리디닐아미노)벤즈아미드 (D3). 화합물 D2 (172 mg, 0.80 mmol)을 DMF 촉매량을 함유하는 SOCl2 (5 mL)에서 1시간 동안(맑은 용액을 수득할 때까지)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은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과다 SOCl2 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디옥산 (10mL)을 상기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후에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은 무수 빙 아세톤 수조에서 냉각시키고, p-니트로아닐린 (112 mg, 0.81 mmol) 및 피리딘 (1.3 mL)을 첨가하고, Et3N을 뒤따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H2O로 희석시킨 후, 수성 NH3 로 염기성화시키고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헥산 및 CH2Cl2로 순차적으로 수세시켰다. 조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킨 후 실리카겔로 흡수시키고, 생성된 흡착물을 0-10% MeOH:CH2Cl2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D3 (85 mg, 32%)를 수득하였다; mp 298-302 ℃ (MeOH) ; 1H NMR [(CD3)2SO]: δ 10.64 (s, 1 H, NH), 9.21 (s, 1 H, NH), 8.30-8.24 (m, 4 H, ArH), 8.09-8.05 (m, 2 H, ArH), 8.00-7.98 (m, 2 H, ArH), 7.34-7.31 (m, 2 H, ArH), 7.07-7.05 (d, m, 2 H, ArH);LCMS 235 +ve.
1-메틸-4-{4-[(4-니트로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피리디늄 클로라이드(D4). 화합물 D3 (80 mg, 0.24 mmol)을 DMF (0.8 mL)에 용해시키고, 메틸-p-톨루엔설폰산염 (0.5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eOH (1mL)에 용해시킨 후, EtOAc (50mL)로 희석하였다. 냉각하여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킨 후,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서 토실레이트 염인 D5 (119 mg)를 수득하였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이온 교환으로 클로라이드 염으로 변환시켰다. AG R 1-X4 수지 200-400 클로라이드 형태 (3 g)을 물로 수세시키고 칼럼에 채웠다. 토실레이트 D5 (119 mg)를 미리 수세한 수지 (1 g)에서 교반시키고, 생성된 슬러리를 칼럼에 적재하였다. 칼럼을 그 후에 50% MeOH:H2O로 용출시키고,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물들을 통합하고 증발시켜 건조하였 다. 잔류물을 MeOH (3 x 20 mL)로 공비혼합시키고 최종적으로 MeOH/EtOAc로부터 재침전시켜 클로라이드 염 (82 mg, 88%)인 D4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1H NMR [(CD3)2SO] δ 11.00 (s,1 H, NH), 10.87 (s, 1 H, NH), 8.37 (d, J = 7.3 Hz, 2 H ArH), 8.30-8.26 (m, 2 H, ArH), 8.15-8.08 (m, 4 H, ArH), 7.52 (d, J = 8.6 Hz, 2 H, ArH), 7.33 (d, J = 7.2 Hz, 2 H, ArH), 4.01 (s, 3 H, N+CH3); LCMS 349 +ve.
4-{4-[(4-아미노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D5). 혼합물 D4 (295 mg, 0.77 mmol)를 ~5:1 EtOH:H2O (12mL)에 용해시키고, Fe 더스트 (209 m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은 격렬하게 교반시키고 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Celite 패드를 통하여 뜨겁게 여과시켰다. Celite를 끓는 EtOH로 수세하고, EtOH 분획물을 통합하고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잔류물은 뜨거운 물로 추출시키고, Celite를 통하여 여과시킨 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잔류물은 MeOH (3 x 20 mL)로 공비혼합시킨 후, MeOH (10 mL)에 용해시켰다. 메탄올성 HCl (1.25 M, 5 mL)을 첨가하고, 용액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는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은 MeOH/EtOAc로부터 결정화하여 D5 (218 mg, 80%)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 1H NMR [(CD3)2SO] δ 11.13 (s, 1 H, NH), 10.44 (s, 1 H, NH), 9.88 (br, 2 H, NH2), 8.36 (d, J = 7.5 Hz, 2 H, ArH), 8.12 (d, J = 8.6 Hz, 2 H, ArH), 7.86 (d, J = 8.8 Hz, 2 H, ArH), 7.50 (d, J = 8.8 Hz, 2 H, ArH), 7.32 (d, J = 8.6 Hz, 2 H, ArH), 7.32 (d, J = 7.5 Hz, 2 H, ArH), 7.30 (d, J = 8.7 Hz, 2 H, ArH), 4.00 (s, 3 H, N+CH3); LCMS 319 +ve
4-[4-({4-[(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d.D). 화합물 D5 (100mg, 0.28 mmol)를 EtOH (10 mL) 및 H2O (5mL)에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4-클로로퀴놀린 (60 mg, 0.36 mmol) 및 c.HCl (3 방울)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탑상으로 n-BuOH:H2O:CH3CO2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한 TLC에서 출발 아민의 완전한 소진을 보일 때까지)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몇 분간 환류시킨 후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은 여과시키고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Cpd. D (88 mg, 63%)를 수득하였다; mp (MeOH, EtOAc) >300℃; 1H NMR [(CD3)2SO] δ 14.38 (br, 1 H, N+H), 11.04 (s, 1 H, NH), 10.84 (br, 1 H, NH), 10.53 (s, 1 H, NH), 8.76 (d, J = 8.6 Hz, 1 H, ArH), 8.58 (d, J = 6.7 Hz, 1 H, ArH), 8.37 (d, J = 7.5 Hz, 2 H, ArH), 8.14 (d, J = 8.7 Hz, 2 H, ArH), 8.06-8.01 (m, 4 H, ArH), 7.83-7.79 (m 1 H, ArH), 7.53-7.48 (m, 4 H, ArH), 7.33 (d, J = 7.6 Hz, 2 H, ArH), 6.79 (d, J = 6.9 Hz, 1 H, ArH), 4.00 (s, 3 H, N+CH3).
실시예 E.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염산염(CPD. E)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21
(i) 2-에톡시에탄올/c.HCl/환류/30분 14시간; (ii) Fe, 2:1 EtOH/H2O, 2% v/v AcOH/환류/1.5 시간; (iii)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피리딘/디옥산/50 ℃/5d; (iv) Fe/2:1 EtOH/H2O/cat. c.HCl; (v) MeOH/cat. c.HCl/환류/30 시간
6-메틸-N 4 -(4-니트로페닐)피리미딘-2,4-다이아민 (E2).
4-니트로아닐린 (B1) [9.22 g, 0.07 mol] 및 2-아미노-4-클로로-6-메틸 피리딘 (E1) (9.30 g, 0.07 mol)을 2-에톡시에탄올 (330 mL)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몇 방울의 c.HC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환류시킨 후, 밤새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수성 암 모니아 용액을 첨가하여 염기성화시킨 후, H2O:EtOH 로부터 결정화시켜 비결정질의 밝은 노란색 고체 (7.33g)인 아민 E2를 수득하였다. 여과액의 농축 후 이전과 같은 염기성화 및 재침전 과정에 의해 추가 분량 (0.78 g, 총 수율 51 %)을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2.14 [s, 3H, ArCH3], 6.00 [s, 1 H, ArNHAr], 6.37 [s, 2H, ArNH2], 8.00 [ddd, J = 10.24, 5.05, 2.96 Hz, 2H, ArH], 8.12 [ddd, J = 10.24, 4.95, 2.90 Hz, 2H, ArH], 9.75 [s, 1 H, ArH]. LCMS (APCl+): 246 (100%).
N 4 -(4-아미노페닐)-6-메틸피리미딘-2,4-디아민 (E3). 2:1 EtOH:H2O (100mL) 중의 아민 E2 (5.46 g, 0.02 mol)의 환류 현탁액에 Fe 더스트 (4.97 g, 0.09 mol) 및 AcOH (2 mL, 2% v/v)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암갈색 현탁액을 ~1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뜨거운 물로 추출하고, 생성된 수성 현탁액은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뜨거운 물로 재추출하였다. 생성된 수성 현탁액은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용매를 제거하여 갈색-흰색 결정질 고체 (4.85 g, 정량적)인 아민 E3을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2.01 [s, 3H, ArCH3], 5.68 [s, 1 H, ArNHAr], 5.88 [br s, 2H, ArNH2], 6.51 [ddd, J = 9.67, 4.85, 2.94 Hz, 2H, ArH], 7.14 [d, J = 8.52 Hz, 2H, ArH], 8.35 [s, 1 H, ArH]. LCMS (APCl+): 216 (100%).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니트로벤즈아미드 (E4).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11.00 g, 0.06 mol) 및 무수 피리딘 (9.08 mL, 0.11 mol)을 순차적으로 무수 디옥산 (200 mL) 중 아민 E3 (4.85 g, 0.02 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50 ℃ 에서 5d 동안 가열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수성 암모니아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염기성화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켜 비결정질의 노란색 고체 (3.40 g, 41%)인 아미드 E4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2.09 [s, 3H, ArCH3], 5.87 [s, 1 H, ArNHAr], 6.08 [br s, 6.08, ArNH2], 7.68 [m, 4H, ArH], 8.18 [d, J = 8.80 Hz, 2H, ArH], 8.36 [d, J = 8.80 Hz, 2H, ArH], 8.95 [s, 1 H, ArH], 10.45 [s, 1 H, ArC(O)NHAr]. LCMS (APCl+): 365 (100%).
4-아미노-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5). 2:1 EtOH:H2O (100 mL) 중 아미드 E4 (2.10 g, 5.77 mmol)의 환류 현탁액에 Fe 더스트 (1.29 g, 23.09 mol) 및 c.HCl (1-2 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 물을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서 크림색 비결정질 고체 (1.94 g, 90%)인 아민 E5를(두개의 배치에서)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2.27 [s, 3H, ArCH3], 6.16 [br s, 2H, ArNH2], 6.75 [d, J = 8.36 Hz, 2H, ArNH2], 7.74 [m, 8H, ArH], 9.90 [br s, 1H ArH], 10.55 [br s, 1H, ArNHAr], 12.58 [br s, 1H, ArC(O)NH]. LCMS (APCI+): 335 (100%).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E). ~1:1:1 MeOH:EtOH:H2O 중 아민 E5 (267 mg, 0.720 mmol)의 용액에 4-클로로퀴놀린 (1.06 g, 6.48 mmol) 및 cHCl 3 방울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그 후에,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은 2회의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하여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재침전시킨 후, 예비의 HPLC로 추가로 정제하여 비결정질 노란색 고체(16 mg, 4%) Cpd. E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1.91 [s, 3H, ArCH3], 6.11 [s, 1H, ArH], 7.02 [d, J = 6.77 Hz, 1H, ArH], 7.65 [d, J = 8.55 Hz, 2H, ArH], 7.71 [br s, 2H, ArNH2], 7.84 [m, 4H, ArH], 8.04 [m, 2H, ArH], 8.15 [d, J = 8.55 Hz, 2H, ArH], 8.63 [d, J = 6.77 Hz, 1 H, ArH], 8.70 [d, J = 8.50 Hz, 1 H, ArH], 10.38 [s, 2H, ArNHAr & ArH], 10.77 [br s, 1H, ArNHAr], 13.10 [v v br s, 2H, ArC(O)NHAr & 퀴놀린-N+H]. LCMS (APCI+): 463 (100%). HPLC: 95.7%.
실시예 F.
1-메틸-4-(3-{[4-(6-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D. F)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22
(i) MeOH/cat. HCl/환류.
A7를 상기와 같이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F1) [Simpson & Wright, J. Chem. Soc, 1948, 1707]와 커플링시켜 97% 수율의 Cpd. F를 수득하였다: mp 273-277 ℃C; 1H NMR [(CD3)2SO] δ 11.33 (br, 1 H, NH), 10.70 (s, 1 H, NH), 10.60 (s, 1 H, NH), 8.72-8.69 (m, 2 H, ArH), 8.31 (d, J = 7.4 Hz, 2 H, ArH), 8.24 (d, J = 9.3 Hz, 1 H, ArH), 8.18 (d, J = 8.5 Hz, 2 H, ArH), 7.98 (br s, 1 H, ArH), 7.68-7.65 (m, 3 H, ArH), 7.49 (t, J = 8.1 Hz, 1 H, ArH), 7.21 (d, J = 7.5 Hz, 2 H, ArH), 7.12-7.01 (m, 2 H, ArH), 4.02 (s, 3 H, N+CH3); HRMS (FAB) calc. for C28H23N6O3 (M+) m/z 491.1832, found 491.1822.
실시예 G.
1-메틸-4-(4-(4-(6-니트로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도)페닐아미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G)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23
(i) MeOH/cat. HCl/환류.
무수 MeOH (100 mL) 중 아미드 B7 (2.09 g, 5.32 mmol)의 현탁액에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F1) [1.11 g, 5.32 mmol] 및 농축된 HCl 몇 방울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1:1 MeOH:EtOAc에 재현탁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MeOH를 제거하고, 냉각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집하였다. 상기 고체는 MeOH:EtOH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비결정질의 노란 고체인 니트로퀴놀린 Cpd. G (2.48 g, 89%)를 수득하였다: 1H NMR [CDs)2SO]: δ 3.96 (s, 3H1 R2N+ -CH3), 7.12 (m, 3H, ArH), 7.35 (d, J = 8.81 Hz, 2H, ArH), 7.68 (d, J = 8.51 Hz, 2H, ArH), 7.96 (d, J = 8.81 Hz, 2H ArH), 8.24 (m, 5H, ArH), 8.72 (m, 2H, ArH), 9.83 (d, J = 1.69 Hz, 1 H, ArH), 10.56 (s, 1 H, ArNHAr), 10.67(s, 1 H, ArNHAr), 11.48 (br s, 1 H, ArNHAr). LCMS (APCI+): 492 (20%).
실시예 H.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6-니트로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H)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24
(i) MeOH, cat. c.HCl, 2.5 d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6-니트로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H). 무수 MeOH (30 mL) 중 아민 E5 (304 mg, 0.82 mmol) 용액에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171 mg, 0.82 mmol) 및 c.HCl (한, 두 방울)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의 MS 및 TLC 분석은 약간의 6이 반응 혼합물에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따라서 추가로 E5 (171 mg, 0.82 mmol)의 분취액 및 c.HCl (한, 두 방울)을 12시간 및 24시간에 추가하였다. 그 후에 용매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 하고, 반응 잔류물을 MeOH에 용해시킨 후, 감압하에서 재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추가로 MeOH 공비혼합 사이클로 돌린 후, 반응 잔류물을 MeOH:Et2O로부터 재침전시켜 비결정질의 노란 고체 (383 mg, 86%)인 Cpd. H 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2.28 [s, 3H, ArCH3], 6.18 [br s, 1H, ArH], 7.11 [d, J = 6.59 Hz, 1H, ArH], 7.65 Hz [d, J = 8.52 Hz, 2H, ArH], 7.81 [m, 5H, ArH & ArNH2], 8.17 [d, J = 8.52 Hz, 2H, ArH], 8.25 [d, J = 9.30 Hz, 1 H, ArH], 8.69 [m, 2H, ArH], 9.77 [s, 1H, ArH], 10.42 [s, 1H, ArH], 10.62 [br s, 1H, ArNHAr], 11.20 [v br s, 1H, ArNHAr], 12.63 [v br s, 1H, ArC(O)NH]. LCMS (APCl+): 508 (100%). HPLC: 98.5%.
실시예 I.
(E)-N-[4-{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4-(6-니트로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I)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25
(i) MeO/c.HC/환류 1; (ii) Fe 더스트/2:1 EtO/:H2O/cat. c.HCl/환류/14 시간; (iii)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피리딘, 디옥산, 환류, 2 시간; (iv) Fe 더스트/2:1 EtOH:H2O/환류/1.5 시간; (v) 4-클로로-6-니트로뷔놀린/EtOH/cat. c.HCl/환류/65 시간
(E)-N-[4-(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4-니트로벤젠 하이드로클로라이드(I3). 4-니트로아세토페논 (I1) (49.95 g, 0.30 mol), 아미노구아니딘 황산염 (I2) (51.77 g, 0.20 mol), 및 c.HCl (10 mL, 0.33mol)을 MeOH (300 mL)와 결합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밤새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그 후에,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여과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MeOH 및 헥산으로 순차적으로 수세하여 비결정질의 흰색 고체 (88.19 g, 정량적)인 디아민 I3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CD3)2SO): 2.36 [s, 3H ArC(CH3)=N-], 7.72 [br s, 4H, =C(NH2)2], 8.23 [m. 5H, ArH], 10.42 [v br s, 1.5H]. LCMS (APCI+): 222 (100%).
(E)-N-[4-(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4-벤즈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I4). Fe 더스트 (35.00 g, 0.62 mol) 및 c.HCl (4 mL)을 순차적으로 2:1 EtOH:H2O (200 mL) 중 디아민 I3 (40.00 g, 0.16 mmol) 환류 현탁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노란 현탁액을 14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암갈색 수지상 유리 (34.93 g, 85%)인 트리아민 I4를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CD3)2SO): 2.20 [s, 3H ArC(CH3)=N-], 5.48 [br s, 2H, ArNH2], 5.54 [d, J = 7.98 Hz, 2H, ArH], 7.58 [v br s, 4H, =C(NH2)2], 7.63 [d, J = 7.98 Hz, ArH], 10.83 [br s, 1 H, =N+(H)-N=]. LCMS (APCI+): 192 (100%).
(E)-N-[4-(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4-니트로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I5).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16.01 g, 86.26 mmol)를 무수 디옥산 (300 mL) 중 트리아민 I4 (8.59 g, 32.51 mmol) 및 무수 피리딘 (13.09 mL, 162.53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밤새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를 수득하고 상기 고체를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비결정형의 크림-연한 노란 고체 (총 3.50 g, 29%)인 아미드 I5 의 3개의 배치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2.34 [s, 3H, ArC(CH3)=N-], 7.73 [br s, 4H, =C(NH2)2], 7.87 [d, J = 8.89 Hz, 2H, ArH], 8.01 [d, J = 8.89 Hz, 2H, ArH], 8.22 [ddd, J = 2.28, 4.27, 9.19 Hz, 2H, ArH], 8.38 [ddd, J = 2.28, 4.27, 9.19 Hz, 2H, ArH], 10.73 [s, 1H, =N+(H)-N=], 11.02 [s, 1H, ArC(O)NHAr]. LCMS (APCl+): 341 (100%).
(E)-N-[4-(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4-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I6). Fe 더스트 (0.06 g, 1.05 mmol)를 2:1 EtOH/H2O (100 mL) 중 아미드 I5 (0.10 g, 0.26 mmol)의 환류 현탁액에 참가하고, 생성된 검은 현탁액을 1.5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2번의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하여 건조시킨 후, MeOH에 재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은 메탄올성 HCl 몇 방울로 산성화시킨 후, EtOAc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은 여과하여 비결정질의 황갈색 고체를 수득하였는데, 상기 고체를 MeOH에 재용해시켰다.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뜨거운 H2O에 재용해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은 Celite 패드 (차가운 MeOH 소량과 함께)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시켰다. 잔류물은 MeOH-EtOAc로부터 재침전시켜 비결정형의 노란 고체(0.36 g, 정량적) 아 민 I6을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2.25 [s, 3H, ArC(CH3)=N-], 5.74 [s, 2H, ArNH2], 6.40 {v br s, 4H, =C(NH2)2], 6.60 [d, J = 8.66 Hz, 2H, ArH], 7.77 [m, 6H, ArH], 9.81 [s, 1 H, ArC(O)NHAr].
(E)-N-[4-{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4-(6-니트로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I). 무수 EtOH (60 mL) 중 아민 I6 (I5에 근거한 ~100 mg, ~0.26 mmol)의 용액에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220 mg, 1.04 mmol) 및 c.HCl (3 방울)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64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노란 고체를 수득하였는데, 상기 고체를 MeOH-HCl: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비결정질의 밝은 노란 고체 (113 mg, 84%)인 Cpd. I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2.36 [s, 3H, ArC(CH3)=N-], 7.09 [d, J = 6.95 Hz, 1H ArH], 7.69 [d, J = 8.62 Hz, ArH], 7.77 [br s, 4H, =C(NH2)2], 7.91 [d, J = 8.92 Hz, 2H, ArH], 8.00 [d, J = 8.92 Hz, 2H, ArH], 8.21 [d, J = 8.62 Hz, 2H, ArH], 8.31 [d, J = 9.32 Hz, 2H, ArH], 8.70 [d, J = 6.95 Hz, 1H, ArH], 8.74 [dd, J = 9.32, 2.29 Hz, 1H, ArH], 9.86 [s, 1H, ArH], 10.55 [s, 1H, ArNHAr], 11.41 [s, 1H, ArC(O)NHAr], 11.60 [br s, 1H, 1H, =N+(H)-N=]. LCMS (APCI+): 484 (100%). HPLC: 97.1 %.
실시예 J.
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6-니트로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 (CPD. J)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26
화합물 C6 (100 mg, 0.28 mmol)을 EtOH (10 mL) 및 H2O (5 mL)에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F1) (75 mg, 0.36 mmol) 및 c. HCl (3 방울)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탑상으로 n-BuOH:H2O:AcO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한 TLC에서 출발 아민의 완전한 소진을 보일 때까지) 18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몇 분간 환류시키고,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MeOH/EtOAc로부터 결정화하여 Cpd. J (148 mg, 94%)를 수득하였다; mp (MeOH, EtOAc) >300 ℃; 1H NMR [CD3)2SO]: δ14.90 (br 1H, N+H), 11.36 (br, 1 H, NH), 10.93 (s, 1H, NH), 10.65 (s, 1H, NH), 9.81 (d, J = 2.2 Hz, 1 H, H-5), 8.71 (dd, J = 9.3, 2.3 Hz, 1 H, H-7), 8.60 (d, J = 7.0 Hz, 1 H, H-8), 8.33 (d, J = 7.5 Hz, 2 H, py H-2,6), 8.22 (d, J = 9.5 Hz, 1 H, H-2), 8.02 (d, J = 8.9 Hz, 2 H, ArH), 7.81-7.92 (m, 2 H, ArH), 7.68 (t, J = 7.8 Hz, 1 H, ArH), 7.58 (dd, J = 8.6, 1.3 Hz, 1 H, ArH), 7.50 (d, J = 7.0 Hz, 2 H, ArH), 7.28 (d, J = 7.5 Hz, 2 H, ArH), 6.91 (d, J = 7.0 Hz, 1 H, ArH), 3.98 (s, 3 H, N+CH3).
실시예 K.
4-[3-({4-[(6-암모니오-4-퀴놀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CPD. K)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27
(i) Fe 더스트/EtOH/H2O/cat HCl/환류
~6:1 EtOH:H2O (6 mL) 중 Cpd. F (200 mg, 0.41 mmol)의 현탁액에 Fe 더스트 (200 mg)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3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Celite 패드를 뜨거운 EtOH로 수세하였다. EtOH 추출물을 통합하고 증발하여 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물로 추출하였다. 당해 용액을 celite 패드로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은 메탄올 (3 x 30 mL)로 공비혼합시킨 후, MeOH (20 mL)에 용해시켰다. 메탄올성 HCl (1.25 M, 1mL)를 첨가 하고,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결정화하여 Cpd. K (160 mg, 80%)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70-274 ℃; 1H NMR [(CD3)2SO] δ 14.50 (br, 1 H, N+H), 10.80 (s, 1 H, NH), 10,57 (s, 1 H, NH), 10.36 (s, 1 H, NH), 8.31 (d, J = 7.5 Hz, 3 H, ArH), 8.15 (d, J = 8.6 Hz, 2 H, ArH), 7.99 (t, J = 1.9 Hz, 1 H, ArH), 7.85 (d, J = 9.1 Hz, 1 H, ArH), 7.68 (br d, J = 9.2 Hz, 1 H, ArH), 7.62 (d, J = 8.6 Hz, 2 H, ArH), 7.51-7.12 (m, 3 H, ArH ), 7.23 (d, J = 7.6 Hz, 2 H, ArH), 7.09 (dd, J = 7.9, 2.8 Hz, 1 H, ArH), 6.95 (d, J = 6.7 Hz, 1 H, ArH), 3.96 (s, 3 H, N+CH3), NH2에 대한 신호는 관찰되지 않았다. HRMS (FAB+) calc for C2SH2SN6O (M+1) m/z 461.2090, found 461.2108; Anal. calc.CHN for C28H27N6Cl3O .0.25 H2O: C, 58,6; H, 4.8; N, 14.6; found, C, 58.5; H, 4.8, N, 14.5 %.
실시예 L.
4-[4-({4-[(6-암모니오-4-퀴놀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CPD. L)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28
(i) Fe 더스트/EtOH/H2O/cat HCl/환류
2:1 EtOH:H2O (50 mL) 중의 Cpd. G (150 mg, 0.28 mmol) 환류 현탁액에 Fe 더스트 (60 mg, 1.13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환류시켰다. 그 후에,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다시 제거하였다. 잔류물은 MeOH에 재용해시키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나중 과정을 두 번 더 반복한 후, 잔류물을 HCl-MeOH:Et2O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비결정질의 노란-갈색 고체인 Cpd. L (33 mg, 22%)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3.95 (s, 3H, R2N+ -CH3), 6.94 (d, J = 6.67 Hz, 1 H, ArH), 7.13 (d, J = 7.36 Hz, 2H, ArH), 7.34 (d, J = 8.85 Hz, 2H, ArH), 7.43 (dd, J = 9.06, 2.17 Hz, 1H, ArH), 7.45 (d, J = 1.97 Hz, 1H, ArH), 7.62 (d, J = 8.61 Hz, 2H, ArH), 7.85 (d, J = 9.06 Hz, 1H, ArH), 7.95 (d, J = 8.86 Hz, 1H, ArH), 8.15 (d, J = 8.59 Hz, 2H, ArH), 8.26 (d, J = 7.39 Hz, 2H, ArH), 8.32 (t, J = 6.11 Hz, 1H, ArH), 10.35 (s, 1H, ArNHAr), 10.51 (s, 1H, ArNHAr), 10.69 (s, 1H, ArNHAr), 14.49 (br s, 1H, 퀴놀론-N+-H) [NH2 신호는 관찰되지 않음]. LCMS (APCI+): 462 (100%). HPLC: 97%.
실시예 M.
6-아미노-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D. M)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29
(i) Fe 더스트/EtOH/H2O/cat HCl/환류
5:1 EtOH/H2O (5 mL) 중 화합물 Cpd. J (80 mg, 0.15 mmol)이 격렬하게 교반된 현탁액에 Fe 더스트 (43 m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시켰다. 그 후에, c.HCl 두 방울을 첨가하고, (탑상으로 n-BuOH:H2O:AcO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한 TLC에서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진을 보일 때까지) 추가 2시간 환류를 지속시켰다. 반응 혼합물은 EtOH (100 mL)로 희석하고 환류시키고, 뜨거운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Celite 패드의 맨 위의 잔류물을 뜨거운 EtOH로 추가로 세 번 추출하여 아민이 완전히 추출되도록 하였다. EtOH 분획물을 통합하고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뜨거운 물로 추출하였다. 용액은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EtOH로 수 회 공비혼합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키고, 메탄올성 HCl (1.25 M, 1 mL)를 참가시키고, 용액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그 후에 EtOAc로 희석시킨 후, 약간의 MeOH를 증발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Cpd. M (56 mg, 70%)을 수득하였다; mp >310 ℃. 1H NMR [(CD3)2SO] δ 14.5 (br, 1 H, N+H); 11.22, (br s, 1 H, NH), 10.59 (s, 1 H, NH), 9.55 (br, 1 H, NH), 8.32 (d, J = 7.2 Hz, 2 H, ArH), 8.18 (d, J = 6.1 Hz, 1 H, ArH), 7.95-7.91 (m, 4 H, ArH), 7.76 (d, J = 8.8 Hz, 1 H, ArH), 7.66 (t, J = 5.6 Hz, 1 H, ArH), 8.07 (d, J = 8.4 Hz, 1 H, ArH), 7.40-7.37 (m, 3 H, ArH), 7.33-7.29 (m, 3 H, ArH), 6.71 (d, J = 6.2 Hz, 1 H, ArH), 5.75 (br S, 2 H, NH2), 3.98 (s, 3 H, N+CH3).
실시예 N.
4-[4-({4-[(6-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D. N)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30
(i)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EtOH/H2O/H+/환류; (ii) Fe 더스트/EtOH/H2O/cat. HCl/환류.
1-메틸-4-[4-({4-[(6-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N1). MeOH (10 mL) 중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70 mg, 0.33 mmol) 의 현탁액에 화합물 D5 (100 mg, 0.28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은 20 ℃ 에서 1시간 동안 (맑은 용액을 수득할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후에 c. HCl 한 방울을 첨가하고, 추가 20시간 동안 환류를 계속하였다. TLC 분석은 (탑상으로 n-BuOH:H2O:AcO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하여 용출되는) 약간의 D5가 남아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따라서 추가의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35 mg, 0.16 mmol)를 첨가하고 추가로 4시간 동안 환류를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그 후에 EtOAc로 희석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한 후, EtOAc, CH2Cl2, 디이소프로필에테로로 순차적으로 수세하고, MeOH/EtOAc로부터 최종적으로 결정화시켜서 Cpd. N1 (111 mg, 75%)을 수득하였다. mp (MeOH/ EtOAc) >300 ℃; 1H NMR [(CDD3)2SO] δ 14.50 (br, 1 H, N+H); 11.42, (br s, 1 H, NH), 11.10(s, 1 H, NH), 10.58 (s, 1 H, NH), 9.82 (d, J = 2.1 Hz, 1 H, ArH), 8.72 (dd, J = 9.3, 2.2 Hz, 1 H, ArH), 8.60 (d, J = 7.0 Hz, 1 H, ArH), 8.42 (d, J = 7.4 Hz, 2 H, ArH), 8.24 (d, J = 8.6 Hz, 1 H, ArH), 8.15 (d, J = 8.6 Hz, 2 H, ArH), 8.04 (d, J = 8.8 Hz, 2 H, ArH), 7.51 (t, J = 8.3 Hz, 4 H, ArH), 7.34 (d, J = 7.5 Hz, 2 H, ArH), 6.91 (d, J = 7.0 Hz, 1 H, ArH), 4.01 (s, 3 H, N+CH3); LCMS 489 +ve.
4-[4-({4-[(6-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d. N). ~5:1 EtOH:H2O (3 mL) 중 화합물 N1 (102 mg, 0.19 mmol)의 용액에 Fe 더스트 (53 mg) 및 AcOH 한 방울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격렬하게 교반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Celite 패드를 추가로 뜨거운 EtOH로 수세하였다. EtOH 분획물을 통합하고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뜨거운 물로 추출하였다. 상기 용액을 Celite를 통하여 여과시킨 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 (3 x 20 mL)로 공비혼합시킨 후, MeOH (10 mL)에 용해시켰다. 메탄올성 HCl (1.25 M, 2 mL)을 첨가하고, 용액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는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잔류물은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서 Cpd. N (92 mg, 96%)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1H NMR (CD3)2SO] δ 14.17 (d, J = 5.8 Hz, 1 H NH), 11.11 (s, 1 H, NH), 10.52 (s, 1 H, NH), 10.21 (s, 1 H, NH), 8.37 (d, J = 7.5 Hz, 2 H, ArH), 8.22 (t, J = 6.6 Hz, 1 H, ArH), 8.14 (d, J = 8.6 Hz, 2 H, ArH), 7.98 (d, J = 8.9 Hz, 2 H, ArH), 7.79 (d, J = 9.1 Hz, 1 H, ArH), 7.52-7.59 (m, 3 H, ArH), 7.44-7.40 (m, 3 H, ArH), 7.43 (d, J = 7.6 Hz, 2 H, ArH), 6.67 (d, J = 6.8 Hz, 1 H, ArH), 4.01 (s, 3 H, N+CH3) N+H3에 대한 부분 신호는 관찰되지 않음. LCMS 461 +ve.
실시예 O.
4-[4-({4-[(6-디메틸암모니오-4-퀴놀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CPD. O)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31
6-아미노-4-퀴놀론 (01) (112 mg, 0.71 mmol) 및 EtOH (10 mL) 중 수성 포름알데히드 (40% w/v, 1.6 mL, 21.2 mmol) 용액에 NaBH3CN (335 mg, 5.67 mmol) 및 1 N HCl (2.8 mL, 2.8 mmo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밝은 노란 현탁액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2회 MeOH 공비혼합 사이클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MeOH에 재현탁하고 Celite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비결정질의 황갈색 고체인 6-디메틸아미노-4-퀴놀론 (02) (80 mg, 60%)을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2.93 [s, 6H, ArN(CH3)2], 5.90 [d, J = 7.00 Hz, 1H, ArH], 7.13 [br s, ArOH], 7.24 [m, 2H, ArH], 7.45 [dd, J = 7.41, 2.29 Hz, 1H, ArH], 7.74 [d, J = 7.00 Hz, 1H, ArH]. LCMS (APCI+): 189 (100%). Rf = 0.48 (10% MeOH:CH2Cl2).
퀴놀론 02 (80 mg, 0.43 mmol)를 POCl3 (10 mL) 중에서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초과분의 POCl3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CH2Cl2에 용해시키고, 0 ℃로 냉각시키고, 수성 암모니아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CH2Cl2(x 3)로 추출하였다. 통합된 유기 추출물을 H2O (x 1 ) 및 염수 (x 1 )로 순차적으로 수세시킨 후,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밝은 노란 오일인 6-디메틸아미노-4-클로로퀴놀린 (03) (70 mg, 80%)을 수득하였다 [Riegel et al., J. Am. Chem. Soc, 1946, 68, 1264]. 1H NMR [(CD3)2SO] δ 3.10 [s, 6H, ArN(CH3)2], 6.96 [d, J = 2.85 Hz, 1H, ArH], 7.74 [dd, J = 9.36, 2.85 Hz, 1H, ArH], 7.57 [d, J = 4.69 Hz, 1H, ArH], 7.90 [d, J = 9.36 Hz, 1H, ArH], 8.46 Hz [d, J = 4.69 Hz, 1H, ArH]. LCMS (APCl+): 207 (100%), 209 (40%). Rf = 0.73 (10% MeOH:CH2Cl2).
1:2 EtOH:H2O (6 mL)에 용해된 아민 B7 (260 mg, 0.65 mmol)의 용액에 cHCl (0.19 mL, 6.34 mmol) 및 O3 (140 mg, 0.7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생성 된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공정 다음에 탑상으로 n-BuOH:H2O:AcO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하여 용출시킨 TLC; Rf = 0.30-0.40, 365 nm에서 밝은 노란 점으로 용출됨). 그 후에,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시켰다. 잔류물은 MeOH에 재용해시키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다시 제거하였다. 나중 과정을 한 번 더 되풀이하고,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2회 결정화시켜 비결정질의 노란 고체인 Cpd. O (163 mg, 45%)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3.06 (s, 6H, Ar(CH3)2), 3.93 (s, 3H, R2N+ -CH3), 7.07 (d, J = 6.58 Hz, 2H, ArH), 7.12 (d, J = 4.98 Hz, 1H, ArH), 7.22 (d, J = 2.43 Hz, 1H, ArH), 7.30 (d, J = 8.70 Hz, 2H, ArH), 7.42 (m, 3H, ArH),7.78 (d, J = 9.28 Hz, ArH), 7.92 (d, J = 10.75 Hz, 2H, ArH), 8.01 (d, J = 8.64 Hz, 1H, ArH), 8.19 (d, J = 6.93 Hz, 2H, ArH), 8.32 (d, J = 4.90 Hz, 1 H, ArH), 8.50 (br s, 1H, -NH-), 8.91 (s, 1 H1 -NH-), 10.28 (s, 1 H, -NH-), 10.80 (v br s, 1H, -NH-). LCMS (APCl+): 490 (100%). HPLC: 95%.
실시예 P.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6-(디메틸아미노)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P)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32
1:2 EtOH:H2O (20 mL) 중 아미드 E5 (228 mg, 0.62 mmol) 용액에 c.HCl (0.17 mL, 5.61 mmol) 및 4-클로로-6-디메틸아미노퀴놀린 (03) (140 mg, 0.68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이후에 MS 및 TLC 분석은 (탑상으로 n-BuOH:H2O:AcO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하여 용출시킴) 약간의 출발 물질이 반응 혼합물에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추가로 03 (140 mg, 0.68 mmol)을 첨가하였다. 몇 시간의 추가 환류 후에, TLC로 반응 종결을 확인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서 (극히 고운) 비결정질의 노란 고체 (170 mg, 51%)인 Cpd. P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2.28 [s, 3H], 3.15 [s, 6 H, ArN(CH3)2], 6.21 [br s, 1 H, ArH], 6.89 [d, J = 6.71 Hz, 1 H, ArH], 7.65 [m, 5 H, ArH], 7.82 [m, 4 H, ArH & ArNH2], 7.96 [d, J = 9.39 Hz, 1 H, ArH], 8.18 [d, J = 8.57 Hz, 2 H, ArH], 8.35 [t, J = 12.38, 6.19 Hz, 1 H, ArH], 10.44 [br s, 1 H, ArH], 10.65 [br s, 1 H, ArNHAr], 10.71 [s, 1 H, ArNHAr], 12.75 [br s, 1 H, ArC(O)NH], 14.56 [d, J = 4.10 Hz, 1 H, 퀴놀리닐 N+H]. LCMS (APCl+): 506 (100%). HPLC: 97.6%.
실시예 Q.
6-(디메틸아미노)-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D. Q)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33
아민 A7 (100mg, 0.28 mmol)을 EtOH (20 mL) 및 H2O (10 mL)에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4-클로로-6-디메틸아미노퀴놀린 (03) (70 mg, 0.33 mmol) 및 c.HCl (3 방울)을 그 후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3d 동안 환류시켰다 (탑상으로 n-BuOH:H2O:AcOH의 5:4:1 혼합물을 이용한 TLC에서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진을 보일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하고, 잔류물은 EtOH로 공비혼합하였다.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킨 후, EtOAc로 희석시켰다. 반응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조 생성물 163 mg을 수득하였는데, 이를 예비의 HPLC로 정제시켜 Cpd. Q (70 mg, 45%)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1H NMR [(CD3)2SO] δ 14.38 (br, 1 H, N+H), 10.71 (s, 1 H, NH), 10.56 (s, 1 H, NH), 10.52 (s, 1 H, NH), 8.36 (d, J = 6.7 Hz, 1 H, ArH), 8.31 (d, J = 7.3 Hz, 2 H, ArH), 8.18 (d, J = 8.6 Hz, 2 H, ArH), 7.99 (brs, 1 H, ArH), 7.92 (d, J= 9.4 Hz, 1 H, ArH), 7.69-7.64 (m, 4 H, ArH), 7.54 (d, J = 2.3 Hz, 1 H, ArH), 7.49 (t, J = 8.1 Hz, 1 H, ArH), 7.21 (d, J = 7.4 Hz, 2 H, ArH), 7.08 (d, J = 7.9 Hz, 1 H, ArH), 6.91 (d, J = 6.7 Hz, 1 H, ArH), 3.98 (s, 3 H, N+CH3), 3.14 [s, 6 H, N(CH3)2].
실시예 R.
1-메틸-4-[3-({4-[(7-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D. R)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34
A7를 4-클로로-7-니트로 퀴놀린 (Ruchelman et al, Biorg. Med. Chem. 2004, 12, 3731)과 커플링시켜 수율 89 %의 Cpd. R을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2-306 0C (dec); 1 H NMR [(CD3)2SO] δ 11.50 (br, 1 H, NH), 10.74 (s, 1 H, NH), 10.58 (s, 1 H, NH), 9.04 (d, J = 9.3 Hz, 1 H, ArH), 8.90 (d, J = 2.3 Hz, 1 H, ArH), 8.77 (d, J = 6.7 Hz, 1 H, ArH), 8.51 (dd, J = 9.3, 4.5 Hz, 1 H, ArH), 8.31 (d, J = 7.4 Hz, 2 H, ArH), 8.18 (d, J = 8.6 Hz, 2 H, ArH), 7.98 (t, J = 1.9 Hz, 1 H, ArH), 7.70 (d, J = 8.6 Hz, 3 H, ArH), 7.49 (t, J = 8.1 Hz, 1 H, ArH), 7.22 (d, J = 7.6 Hz, 2 H, ArH), 7.15 (d, J = 6.7 Hz, 1 H, ArH), 7.09 (br d, J = 7.8 Hz, 1 H, ArH), 3.96 (s, 3 H, N+CH3); HRMS (FAB+) calc. for C28H24N6O3 (M+1) m/z 491.1832, found 491.1825.
실시예 S.
1-메틸-4-[4-(4-{7-니트로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도)-페닐아미노] 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CPD. S)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35
(i) 4-클로로-7-니트로퀴놀린/MeOH/cat. HCl/환류.
무수 MeOH (20 mL) 중 아민 B7 (1.46 g, 3.73 mmol) 용액에 4-클로로-7-니트로퀴놀린 (S1) (0.78 g, 3.73 mmol) 및 c.HCl 두 방울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 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온도는 ~40 ℃로 내리고 추가 65시간 동안 가열을 계속하였다. 그 후에,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에 재용해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다시 제거하였다. 나중 과정을 한 번 더 되풀이하고, 잔류물을 그 후에 MeOH:Et2O로부터 두 차례 재침전시켰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수득된 고체의 일부를 MeOH:EtOAc로부터 재침전시켜 비결정질의 노란-오렌지색 고체(0.070 g, 3%)인 Cpd. S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3.96 [s, 3H, R2N+CH3], 7.14 [m, 3H, ArH], 7.35 [d, J = 8.85 Hz, 2H, ArH], 7.68 [d, J = 8.57 Hz, 2H, ArH], 7.96 [d, J = 8.85 Hz, 2H, ArH], 8.18 [d, J = 8.57 Hz, 2H, ArH], 8.26 [d, J = 7.37 Hz, 2H, ArH], 8.50 [dd, J = 9.28, 2.23 Hz, 1 H, ArH], 8.77 [d, J = 6.65 Hz, 1 H, ArH], 8.94 [d, J = 2.23 Hz,1 H, ArH], 9.08 [d, J = 9.28 Hz, 1 H, ArH], 10.55 [s, 1 H, ArNHAr], 10.71 [s, 1 H, ArNHAr], 11.21 [br s, 1 H, ArC(O)NHAr], 11.21 [v v br s, 1 H, 퀴놀린-N+H]; LCMS (APCl+): 492 (100%), 493 (30%). HPLC: 98.1%.
실시예 T.
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7-니트로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D. T)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36
(i) 4-클로로-7-니트로퀴놀린/MeOH/cat. HCl/환류.
화합물 C6 (92mg, 0.25 mmol)을 EtOH (10 mL) 및 H2O (5 mL)에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4-클로로-7-니트로퀴놀린 (65 mg, 0.31 mmol) 및 c. HCl (3 방울)을 그 후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시켰다(탑상으로 n-BuOH:H2O:AcO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한 TLC에서 출발아민의 완전한 소진을 보일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그 후에 EtOAc로 희석하고, 몇 분 동안 환류시킨 후,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부터 2회 결정화시켜 Cpd. T(104 mg, 71 %)을 수득하였다; mp (MeOH, EtOAc) >300 ℃; 1H NMR [(CD3)2SO] δ 14.80 (br 1 H, N+H), 10.89 (br, 2 H, 2 x NH), 10.60 (s, 1 H, NH), 8.96 (d, J = 9.0 Hz, 1 H, ArH), 8.84 (bs, 1 H, ArH), 8.67 (d, J = 6.5 Hz, 1 H, ArH), 8.32 (d, J = 7.3 Hz, 2 H, ArH), 8.0-7.91 (m, 4 H, ArH), 7.68 (t, J = 7.8 Hz, 1 H, ArH), 7.57 (d, J = 9.4 Hz, 1 H, ArH), 7.49 (d, J = 8.7 Hz, 2 H, ArH), 7.29 (d, J = 7.4 Hz, 2 H, ArH), 6.94 (d, J = 6.6 Hz, 1 H, ArH), 3.99 (s, 3 H, N+CH3). HRMS (FAB+) calc. for C28H23N6O3 (M+1) m/z 491.1832, found 491.1830.
실시예 U.
4-[4-({4-[(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7-니트로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D. U)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37
화합물 D5 (100mg, 0.28 mmol)을 EtOH (20 mL) 및 H2O (10 mL)에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4-클로로-7-니트로퀴놀린 (70 mg, 0.33 mmol) 및 c.HCl (3 방울)을 그 후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시켰다(탑상으로 n-BuOH:H2O:AcO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한 TLC에서 출발아민의 완전한 소진을 보일 때까지). 반응 혼합물은 그 후에 EtOAc로 희석하고, 몇 분 동안 환류시키고,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부터 두 차례 결정화시켜 Cpd. U (99 mg, 63 %)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68℃ (dec); 1H NMR [(CD3)2SO] δ 10.93 (brs, 2 H, 2 x NH), 10.53 (s, 1 H, NH), 8.94 (d, J = 9.2 Hz, 1 H, ArH), 8.85 (bs, 1 H, ArH), 8.67 (d, J = 6.7 Hz, 1 H, ArH), 8.49 (d, J = 9.2 Hz, 1 H, ArH), 8.37 (d, J = 7.5 Hz, 2 H, ArH), 8.13 (d, J = 8.6 Hz, 2 H, ArH), 8.51 (d, J = 8.8 Hz, 2 H, ArH), 7.50 ( X, J = 8.7 Hz, 4 H, ArH), 7.31 (d, J = 7.5 Hz, 2 H, ArH), 6.94 (d, J = 6.8 Hz, 1 H, ArH), 4.02 (s, 3 H, N+CH3). APCl +ve 461.
실시예 V.
4-[3-({4-[(7-암모니오-4-퀴놀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CPD. V)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38
상기와 같은 Cpd. R 의 Fe 더스트 환원으로 83% 수율의 Cpd. V를 수득하였다: mp 281-285 ℃; 1H NMR [(CD3)2SO] δ 13.73 (br, 1 H, NH), 10,79 (s, 1 H, NH), 10.56 (s, 1 H, NH), 10.53 (br s, 1 H, NH), 8.41 (d, J = 9.3 Hz, 1 H, ArH), 8.31 (d, J = 7.4 Hz, 2 H, ArH), 8.24 (d, J = 7.0 Hz, 1 H, ArH), 8.14 (d, J = 8.6 Hz, 2 H, ArH), 7.98 (t, J = 1.9 Hz, 1 H, ArH), 7.67 (br d, J = 9.2 Hz, 1 H, ArH), 7.59 (d, J = 8.6 Hz, 2 H, ArH), 7.48 (t, J = 8.1 Hz, 1 H, ArH), 7.23 (d, J = 7.5 Hz, 2 H, ArH), 7.10-7.06 (m, 2 H, ArH), 6.86 (d, J = 2.1 Hz, 1 H, ArH), 6.76 (br s, 2 H, NH2), 6.68 (d, J = 7.0 Hz, 1 H, ArH), 3.98 (s, 3 H, N+CH3); HRMS (FAB+) calc. for C28H25N6O (M+) m/z 461.2090, found 461.2108; Anal. calc. for C28H26N6CIO3. 1.25 H2O: C, 60.5; H, 5.2; N, 15.1 ; Cl, 12.8; found, C, 60.6; H, 5.2; N, 15.0; Cl, 13.0 %.
실시예 W.
1-메틸-4-[4-(4-{7-아미노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도)-페닐아미노]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CPD. W)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39
2:1 EtOH:H2O (50 mL) 중 Cpd. S (40 mg, 0.07 mmol) 환류 현탁액에 Fe 더스트 (15 mg, 0.28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완료할 때까지 몇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3회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하여 건조시키고, 최종적으로 HCl-MeOH:EtOAc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비결정질 노란 고체인 Cpd. W (34 mg, 90%)를 수득하였다; mp (MeOH, EtOAc) >280℃; 1H NMR [(CD3)2SO]: 3.95 (s, 3H, R2N+CH3), 6.67 (d, J = 7.00 Hz, 1 H, ArH), 6.92 (d, J = 2.13 Hz, 1 H, ArH), 7.07 (dd, J = 9.38, 2.13 Hz, 1 H, ArH), 7.18 (br d, J = 6.45 Hz, 2H, ArNH2), 7.34 (d, J = 8.89 Hz, 2H, ArH), 7.60 (d, J = 8.60 Hz, 2H, ArH), 7.97 (d, J = 8.89 Hz, ArH), 8.16 (d, J = 8.60 Hz, 2H ArH), 8.22 (t, J = 6.66 Hz, 1 H, ArH), 8.27 (d, J = 7.49 Hz, 2H, ArH), 8.51 (d, J = 9.39 Hz, 1 H, ArH), 10.58 (s, 1 H, ArNHAr), 10.71 (s, 1 H, ArNHAr), 11.00 (s, 1 H, ArC(O)NHAr), 14.08 (d, J = 6.09 Hz, 1 H, 퀴놀린-N+-H); LCMS (APCl+): 462 (100%); HPLC: 96.1 %.
실시예 X.
7-아미노-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D. X)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40
5:1 EtOH:H2O (5 mL) 중 화합물 Cpd. T (107 mg, 0.19 mmol)의 격렬하게 교 반된 현탁액에 Fe 더스트 (43 m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시켰다. c.HCl 두 방울을 첨가하고, 환류를 2시간 동안 계속시켰다 (탑상으로 n-BuOH:H2O:AcO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한 TLC에서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진을 보일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그 후에 EtOH (100 mL)로 희석하고, 환류시켰다. 뜨거운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Celite 패드의 맨 위 층을 EtOH로 세 차례 추출하여 아민을 전부 추출하였다. 통합된 에탄올 추출물은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뜨거운 H2O 로 추출하였다. 용액을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EtOH로 수회 공비혼합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키고, 메탄올성 HCl (1.25 M, 1 mL)을 첨가하고, 용액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EtOAc로 희석하고, MeOH의 일부를 증발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Cpd. X (99 mg, 98%)을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3.48 (s, 1 H, N+H), 10.98 (s, 1 H, NH), 10.59 (s, 1 H, NH), 10.32 (s, 1 H, NH), 8.36-8.31 (m, 3 H, ArH), 8.14 (d, J = 7.0 Hz, 1 H, ArH), 8.00-7.91 (m, 4 H, ArH), 7.67 (t, J = 7.7 Hz, 1 H, ArH), 7.57 (d, J = 7.4 H, 1 H, ArH), 7.40 (d, J = 8.6 Hz, 2 H, ArH), 7.02 (d, J = 9.2 Hz, 1 H, ArH), 6.82 (bs, 1 H, ArH), 6.66 (brs, 2 H, NH2), 6.43 (d, J = 6.9 Hz, 1 H, ArH), 3.99 (s, 3 H, N+CH3). HRMS (FAB+) calc. for C28H25N6O (M+1) m/z 461.2090, found 461.2085.
실시예 Y.
4-[4-({4-[(7-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1-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D. Y)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41
~5:1 EtOH:H2O (3 mL) 중 Cpd. U (101 mg, 0.19 mmol) 현탁액에 Fe 더스트 (53 mg)을 첨가하고 후에 AcOH 한 방울을 추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격렬하게 교반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Celite 패드를 뜨거운 EtOH로 수세시켰다. 통합된 EtOH 추출물을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뜨거운 물로 추출하였다. 용액을 Celite를 통하여 여과시킨 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 (3x20 mL)로 공비혼합시킨 후, MeOH (10 mL)에 용해시켰다. 메탄올성 HCl (1.25 M, 2 mL)을 첨가하고, 용액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에 용액을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Cpd. Y(55 mg, 58 %)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90-295 ℃; 1H NMR (CD3)2SO] δ 13.44 (br, 1 H, N+H), 11.04 (s, 1 H, NH), 10.50 (s, 1 H, NH), 10.31 (s, 1 H, NH), 8.38-8.33 (m, 3 H, ArH), 8.15-8.11 (m, 3 H, ArH), 7.97 (d, J = 8.9 Hz, 2 H, ArH), 7.51 (d, J = 8.7 Hz, 2 H, ArH), 7.41 (d, J = 9.9 Hz, 2 H, ArH), 7.33 (d, J = 7.5 Hz, 2 H, ArH), 7.03 (dd, J = 9.2, 2.1 Hz, 1 H, ArH), 6.81 (d, J = 2.2 Hz, 1 H, ArH), 6.67 (bs, 2 H, NH2), 6.44 (d, J = 7.1 Hz, 1 H, ArH), 4.01 (s, 3 H, N+CH3); LCMS 461 +ve.
실시예 Z.
7-(디메틸아미노)-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아닐리노}카르보닐)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D. Z)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42
4-클로로-7-디메틸아미노퀴놀린 (Z1) [Konishi et al., WO 9611187 A1] (70 mg, 0.34 mmol)를 EtOH (20 ml) 및 H2O (10 mL)중의 A7 (100 mg, 0.28 mmol) 용액에 첨가한 후, c.HCl (0.25 mL, 9 당량)를 첨가하고 2일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 샘플의 질량 스펙트럼은 A7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따라서 추가의 4-클로로-7-디메틸아미노퀴놀린 (35 mg, 0.17 mmol)를 첨가하고 추가의 5일 동 안 계속하여 환류시켰다. 후에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키고 EtOAc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부터 결정화시켜 조 생성물 (160mg)을 수득하고, 당해 생성물을 예비의 HPLC로 정제시켜서 (489 +ve 부피를 갖는 분획물은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잔류물은 EtOH/H2O 2:1 (5 mL)에 용해시키고, EtOAc에 희석시킨 후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시켰다) Cpd. Z (20 mg 13%)을 수득하였다. 이를 HPLC에 의하여 90% 정제하였다; MP (MeOH EtOAc) 285-289 ℃ (dec) ; 1 HNMR [(CD3)2SO] δ 13.47 (br, 1 H, N+H) 10.54 (s, 1 H, NH), 10.51 (s, 1 H, NH), 10.49 (s, 1 H, NH), 8.44 (d, J = 9.7 Hz, 1 H, ArH), 8.35-8.30 (m, 3 H, ArH) 8.13 (d, J = 8.6 Hz, 2 H, ArH), 7.98 (t, J = 1.9 Hz, 1 H, ArH), 7.63-7.58 (m, 3 H, ArH), 7.49 (t, J = 8.1 Hz, 1 H, ArH), 7.40 (dd, J = 9.6, 2.5 Hz, 1 H, ArH), 7.18 (d, J = 7.5 Hz, 2 H, ArH), 7.09 (dd, J = 7.7 , 1.3 Hz, 1 H, ArH), 6.81 (d, J = 2.5 Hz, 1 H, ArH), 6.71 (d, J = 7.0 Hz, 1 H, ArH), 3.98 (s, 3 H, N+CH3), 3.16 (s, 6 H, NMe2); Mass APCI +ve 489.
실시예 AA.
4-[4-((4-[(7-디메틸아미노)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도)-페닐아미노)-1-메틸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CPD. AA)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43
1:2 EtOH:H2O (3 mL)에 용해된 아민 B7 (311 mg, 0.79 mmol)에 c.HCl (0.22 mL, 0.72 mmol) 및 4-클로로-7-디메틸아미노퀴놀린 (Z1) (175 mg, 0.85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반응 후 TLC함(탑상(top phase)으로 n-BuOH:H2O:AcOH의 5:4:1 혼합물을 사용해 용출시킴; Rf = 0.30-0.40, 365 nm에서 밝은 노란 점으로 용출됨). 그 후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에 재용해시키고 용매를 감압하 다시 제거하였다. 나중 과정을 한 번 더 되풀이하였고,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3회 결정화시켜서 비결정질 노란 고체인 Cpd. AA (93 mg, 21 %)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3.15 [s, 6H, ArN(CH3)2], 3.96 [s, 3H, ArN+-CH3], 6.72 [d, J = 7.00 Hz, 1 H, ArH], 6.91 [d, J = 2.36 Hz, 1 H ArH], 7.14 [d, J = 7.40 Hz, 2H, ArH], 7.36 [m, 3H, ArH], 7.62 [d, J = 8.53 Hz, 2H, ArH], 7.95 [d, J = 8.89 Hz, 2H, ArH], 8.16 [d, J = 8.53 Hz, 2H, ArH], 8.26 [d, J = 7.40 Hz, 2H, ArH], 8.32 [d, J = 7.00 Hz, 1 H, ArH], 8.57 [d, J = 9.59 Hz, 1 H, ArH], 10.53 [s, 1 H, -NH-], 10.70 [s, 1 H, -NH-], 10.75 [s, 1 H, -NH-], 13.85 [br s, 1 H, Ar-N+H]. LCMS (APCI+): 490 (100%), 491 (20%). HPLC: 96.7%.
실시예 BB.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7-(디메틸아미노)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BB)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44
1:2 EtOH:H2O (10 mL) 중 아미드 E5 (306 mg, 0.83 mmol) 용액에 c.HCl (0.23 mL) 및 4-클로로-7-디메틸아미노퀴놀린 (Z1) (188 mg, 0.91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의 MS 및 TLC 분석 (5:4:1 n-BuOH:H2O:CH3CO2H)에서 소량의 잔여 E5가 분해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을 때],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EtOAc 및 헥산으로 순차적으로 수세시켜 비결정질 레몬-노란 고체 (199 mg, 45%)인 Cpd. BB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2.28 [s, 3H, ArCH3], 3.15 [s, 6H, ArN(CH3)2], 6.18 [br s, 1 H, ArH], 6.70 [d, J = 7.02 Hz, 1 H, ArH], 6.88 [d, J = 2.46 Hz, 1 H, ArH], 7.38 [dd, J = 9.62, 2.46 Hz, 1 H, ArH], 7.61 [d, J = 8.60, 2H, ArH], 7.81 [m, 5H, ArH & ArNH2], 8.14 [d, J = 8.60 Hz, 2H, ArH], 8.31 [d, J = 7.02 Hz, 1 H, ArH], 8.55 [d, J = 9.71 Hz, 1 H, ArH], 10.41 [br s, 1 H, ArH], 10.65 [m, 2H, ArNHAr & ArNHAr], 12.68 [v br s, 1 H, ArC(O)NH], 13.77 [v br s, 1 H, 퀴놀리닐 N+H]. LCMS (APCI+): 506 (100%). HPLC: 96.6%.
실시예 CC.
7-(디메틸아미노)-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린]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D. CC)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45
4-클로로-7-디메틸아미노퀴놀린 (Z1) (71 mg, 0.34 mmol) 및 c. HCl (0.3 mL, 9 당량)을 EtOH (10 ml) 및 H2O (5 mL) 중의 C6 (104 mg, 0.029 mmol)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4일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 후에 EtOAc (150 mL)로 희석하고, 환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킨 후, 소량의 MeOH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EtOAc로 희석시킨 후, 예비의 HPLC로 정제시켜서 Cpd. CC (13 mg, 8 %)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188 ℃; 1H NMR [(CD3)2SO] δ 13.22 (bd, J = 5.7 Hz, 1 H, N+H), 10.61 (s, 1 H, NH), 10.51 (s, 1 H, NH), 10.38 (s, 1 H, NH), 8.42 (d, J = 9.7 Hz, 1 H, ArH), 8.32 (d, J = 7.5 Hz, 2 H, ArH), 8.23 (t, J = 6.7 Hz, 1 H, ArH), 7.96-7.92 (m, 3 H, ArH), 7.88 (t, J = 1.8 Hz, 1 H, ArH), 7.69 (t, J = 7.9 Hz, 1 H, ArH), 7.58 (dd, J = 8.0, 1.4 Hz, 1 H, ArH), 7.43 (d, J = 8.9 Hz, 2 H, ArH), 7.34 (dd, J = 9.6, 2.6 Hz, 1 H, ArH), 7.21 (d, J = 7.5 Hz, 2 H, ArH), 6.77 (d, J = 2.5 Hz, 1 H, ArH), 6.48 (d, J = 7.1 Hz, 1 H, ArH), 3.99 (s, 3 H, N+CH3), 3.15 [s, 6 H, N(CH3)2]. Mass APCl +ve 489.
실시예 DD.
7-(디메틸아미노)-4-[4-({4-[(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린]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U. DD)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46
4-클로로-7-디메틸아미노퀴놀린 (Z1) (140 mg, 0.62 mmol) 및 c.HCl (0.3 mL, 9 당량)를 EtOH (20 ml) 및 H2O (10 mL)중의 D5 (110 mg, 0.31 mmol)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4d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 (150 mL)로 희석하고, 환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킨 후, 이를 EtOAc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희석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는데, 이를 예비의 HPLC로 정제시켜 Cpd. DD (47 mg, 27 %)를 수득하였다. HPLC 99.9%; mp (MeOH/EtOAc) 198-200 ℃; 1H NMR [(CD3)2SO] δ 13.26 (br, 1 H, N+H), 1O.71 (s, 1 H, NH), 10.46 (s, 1 H, NH), 10.37 (brs, 1 H, NH), 8.43 (d, J = 9.6 Hz, 1 H, ArH), 8.37 (d, J = 7.4 Hz, 2 H, ArH), 8.23 (d, J = 7.0 Hz, 1 H, ArH), 8.11 (d, J = 8.6 Hz, 2 H, ArH), 7.96 (d, J = 8.8 Hz, 2 H, ArH), 7.50 (d, J = 8.6 Hz, 2 H, ArH), 7.43 (d, J = 8.8 Hz, 2 H, ArH), 7.34 (dd, J = 9.6, 2.4 Hz, 1 H, ArH), 7.28 (d, J = 7.5 Hz, 2 H, ArH), 6.78 (d, J = 2.4 Hz, 1 H, ArH), 6.49 (d, J = 7.0 Hz, 1 H, ArH), 4.01 (s, 3 H, N+CH3), 3.14 [s, 6 H, N(CH3)2]. Mass APCI +ve 489.
[표 2] 발명의 예시적 화합물
Figure 112009028476796-PCT00047
표 2에서 R4는 H, A는 NH 이고 X는 H 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R6- R9 는 H 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G7, G8, D1 및 D2 는 CH이다.
Figure 112009028476796-PCT00048
Figure 112009028476796-PCT00049
Figure 112009028476796-PCT00050
실시예 EE.
4-[4-({3-[(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6-(디메틸아미노)퀴놀리늄 클로라이드(CPD. EE)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51
4-[4-(아세틸아미노)아닐리노]-6-니트로퀴놀리늄 클로라이드(A3).
에탄올 (30 mL) 중 N-(4-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A1 ) (933 mg, 6.2 mmol)의 용액에 에탄올 (10 mL) 중 6-니트로-4-클로로퀴놀린 (A2) (1.08 g, 5.18 mmol)을 첨가하고, 1,4-디옥산 (1.5 mL) 중 4N HCl 용액을 첨가하였다. TLC (SiO2/8%MeOH/DCM)으로 반응 종결을 나타낼 때까지 상기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EtOAc로 수세한 후 MeOH로부터 재결정화시켜 A3 (1.79 g, 96%)를 수득하였다; mp (MeOH) > 280 ℃; 1H NMR [(CD3)2SO] δ 14.59 (br, 1 H, N+H), 11.36 (br,1 H, NH),10.24 (s, 1 H, NH), 9.78 (d, J = 2.3 Hz, 1 H, ArH), 8.71 (dd, J = 9.3, 2.3 Hz, 1 H, ArH), 8.57 (d, J = 7.0 Hz, 1 H, ArH), 8.21 (d, J = 9.3 Hz, 1 H, ArH), 7.80 (d, J = 8.8 Hz, 2 H, ArH), 7.42 (d, J = 8.8 Hz, 2 H, ArH), 6.86 (d, J = 7.0 Hz, 1 H, ArH), 2.09 (s, 3 H, COCH3), APCI +ve 323.
4-[4-(아세틸아미노)아닐리노]-6-아미노퀴놀리늄 클로라이드(A4). MeOH (10 mL) 중 A3 (1.75 g, 4.88 mmol)의 현탁액에 10% Pd/C (0.1 g)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40 psi 하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MeOH로 수세하였다. 여과물의 용적이 절반이 되도록 농축하고 EtOAc로 희석하고 잔류하는 MeOH는 증발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EtOAc로 수세하고 건조시켜 본질상 순수한 (9) (1.255 g 78%)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 280 ℃; 1H NMR [(CD3)2SO] δ 13.95 (br, 1 H, N+H), 10.14 (s, 1 H, NH), 10.01 (s, 1 H, NH), 8.10 (d, J = 6.7 Hz, 1 H, ArH), 7.74 (d, J = 8.9 Hz, 3 H, ArH), 7.43 (d, J = 2.2 Hz, 1 H, ArH), 7.38-7.32 (m, 3 H, ArH), 6.61 (d, J = 6.7 Hz, 1 H, ArH), 5.94 (s, 2 H, NH2), 2.08 (s, 3 H, COCH3); APCI+ ve 293.
N-(4-{[6-(디메틸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A5). MeOH (50 mL) 중 A4 (1.237g, 3.76 mmol) 용액에 38% 수성 포름알데히드(8.4 mL, 112.8 mmol, 30 당량), NaBH3CN (2.134 g, 30.08 mmol, 8 당량), NaOAc (526 mg, 6.41 mmol) 및 2 방울의 c. HCl을 첨가하였다. TLC (SiO2/8%MeOH/DCM/aq NH3) 및 질량 스펙트럼으로 반응 종결을 나타낼 때까지 당해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반응 혼합물을 c. HCl로 산성화하고 1시간 동안 20℃에서 교반하였다. 이 후, 반응 혼합물을 수성 NH3로 조심스럽게 중화시켰다. 감압하에서 MeOH를 증발시키고 수성 잔류물을 수성 NH3와 함께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후 물로 수세하여 본질상 순수한 A5 (1.22 g, 91 %)를 수득하였다;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mp, (MeOH) > 280 ℃; 1H NMR [(CD3)2SO] δ 9.95 (s, 1 H, NH), 8.85 (bs, 1 H, NH), 8.18 (d, J = 5,5 Hz, 1 H, ArH), 7.72 (d, J = 9.3 Hz, 1 H, ArH), 7.65 (d, J = 8.8 Hz, 2 H, ArH), 7.41 (dd, J = 9.3, 2.6 Hz, 1 H, ArH), 7.29-7.26 (m, 3 H, ArH), 6.67 (d, J = 5.5 Hz, 1H, ArH), 3.06 [s, 6 H, N(CH3)2], 2.06 (s, 3 H, COCH3), ; APCI <+> ve 321.
4-(4-아미노아닐리노)-6-(디메틸아미노)퀴놀리늄 클로라이드(A6). 1,4-디옥산 (20 mL) 중 A5의 현탁액에 1.5 M aq HCl (5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환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다음으로 MeOH/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 ℃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EtOAc로 수세한 후 건조하여 본질상 순수한 A6를 연노란색 고체(1.20 g, 100%)로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152-155; 1H NMR [(CD3)2SO] 14.35 (br, 1 H, N+H), 10.50 (br, 2 H, NH2), 8.27 (d, J = 6.6 Hz, 1 H, ArH), 7.92 (d, J = 9.4 Hz, 1 H, ArH), 7.65 (dd, J = 9.5, 2.6 Hz, 1 H, ArH), 7.57 (d, J = 2.4 Hz, 1 H, ArH), 7.54 (d, J = 8.5 Hz, 2 H, ArH), 7.41 (d, J = 8.1 Hz, 2 H, ArH), 6.68 (d, J = 6.7 Hz, 1 H, ArH), 3.12 (s, 6 H, [N(CH3)2]; APCI +ve 279.
3-[(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벤조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A9). 3-아미노 벤조산 (A7) (1.02g, 7.42 mmol) 및 2-아미노-6-클로로-4-메틸피리미딘 (A8) (1.08 g, 7.42mmol)을 가열함으로써 2-에톡시에탄올에 용해시키고, 다음으로 1방울의 c.HCl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20℃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2-에톡시에탄올로 수세한 후 EtOAc로 수세하였다. 당해 고체를 MeOH/EtOAc로부터 재결정화시켜 A9 (1.98 g, 95%)를 회백색(off white) 고체로 수득하였다; mp > 300 ℃; 1H NMR [(CD3)2SO] δ 12.97 (bs 2 H, NH, 및 COOH), 10.81 (s, 1 H, NH), 8.22 (bs, 1 H, ArH), 8.03 (s, 1 H, ArH), 7.82 (br, 2 H, NH2), 7.72 (bd, J = 7.7 Hz, 1 H, ArH), 7.50 (t, J = 7.9 Hz, 1 H, ArH), 6.22 (s, 1 H, ArH); APCI+ ve 245.
4-[4-({3-[(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6-(디메틸아미노)퀴놀리늄 클로라이드(15)(Cpd. EE). 4-(4-아미노아닐리노)-6-(디메틸아미노)퀴놀리늄 클로라이드(A6) (102 mg, 0.32 mmol), A9 (111 mg, 0.32mmol), 및 DMF (5 mL) 중 EDCI (151 mg, 0.64 mmol)의 혼합물을 5분 동안 20 ℃에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DMAP (96 mg, 0.6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20 ℃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H2O로 희석하고 수성 NH3로 염기성화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수세한 후 구배 0-5% DCM/MeOH 및 1 % 수성 NH3로 용출시키는 SiO2 중 크로마토그래피 정제하여 102 mg 62%를 수득하였다. 당해 샘플(98 mg, 0.19 mmol)을 MeOH (5 mL)에 용해시키고, 1,4-디옥산 (0.3 mL) 중 4N HCl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EtOAc로 희석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부터 재결정화시켜 Cpd. EE (107 mg)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13.9 br 1 H, N+H), 12.9 (br (1 H, N+H), 10. 58 (s, 2 H, 2×NH), 10.40 (s, 1 H, NH), 8.26 (d, J = 6.8 Hz, 1 H, ArH), 8.38 (br 1 H, ArH), 8.06 (bs, 1 H, ArH), 8.00 (d, J = 8.9 Hz, 2 H, ArH), 7.89 (d, J = 9.4 Hz, 1 H, ArH), 7.75 (bd, J =7.6 Hz, 1 H, ArH), 7.56-7.52 (m, 2 H, ArH), 7.46 (d, J = 8.8 Hz, 2 H, ArH), 6.67 (d, J = 6.8 Hz, 1 H), 6.19 (s, 1 H, ArH), 3.12 [s, 6 H, (NCH3)2], 2.28(s, 3 H, CH3), NH2에 대한 시그널은 관찰되지 않았다, APCI +ve 505.
실시예 FF.
3-[(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FF1 ) 및 관련 화합물 (CPD. FF2)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52
시약 (i) 2-에톡시에탄올/H+/환류, (ii) H2/10%Pd/C/MeOH, (iii) 4-클로로퀴놀린/EtOH/H2O/환류
3-[(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하 이드로클로라이드(B2). 3-아미노-N-(4-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B1) (1.0 g, 3.89 mmol) 및 4-클로로-6-메틸-2-피리미디닐아민 (A8) (569 mg, 3.89 mmol)을 가온된 2-에톡시에탄올 (20 mL) 중 용해시켰다. 이 후, 2 방울의 c.HCl을 당해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TLC 및 질량 스펙트럼으로 반응 종결이 확인될 때까지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20 ℃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EtOAc로 수세하고 MeOH/EtOAc/Charcoal/Celite로부터 재결정하여 B2 (1.531 g, 98%)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2.86 (br s, 1 H, N+H), 10.90 (s, 1 H, NH), 10.80 (br s, 1 H, NH), 8.30-8.26 (m, 2 H, ArH), 8.11- 8.08 (m, 4 H, ArH), 7.80-7.78 (br m, 3 H, ArH & NH2), 7.56 (t, J = 7.8 Hz, 1 H, ArH), 2.30 (s, 3 H, CH3); mass APCI+ 365.
3-[(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 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B3). MeOH 30 ml 중 화합물 B2 (1.41 g, 3.51 mmol)의 현탁액에 10% Pd/C (20 mg)를 첨가하고 5시간 동안 45 Hg mm하에서 수소화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키고, 다음으로 MeOH 중 1 ml의 1.25M HCl를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재결정화시켜 B3 (758 mg, 58%)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1H NMR [(CD3)2SO] δ 12.70 (br, 1 H, NH), 10.83 (br s, 1 H, NH), 10.43 (s, 1 H, NH), 9.70 (v br, 2 H, NH2), 8.05-7.84 (br m, 2 H, ArH), 7.85-7.75 (m, 4 H, ArH & NH2), 7.55 (t, J = 7.9 Hz, 1 H, ArH), 7.28 (d, J = 8.7 Hz, 2 H, ArH), 6.24 (s, 1 H, ArH), 2.30 (s, 3 H, CH3); mass APCI+ 335.
3-[(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FF1). EtOH (15 ml) 및 H2O (7.5 ml) 중 화합물 B3 (150 mg, 0.37 mmol)의 용액에 4-클로로퀴놀린 (73 mg, 0.45 mmol)을 첨가하고 당해 물질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고, 다음으로 2방울의 c. HCl을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Charcoal/Celite로 재결정시켜 SN 30962 (195 mg, 96 %)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3.72 (v br, 2 H, 2×N+H), 10.91 ( br s, 1 H, NH), 10.96 (br s, 1 H, NH), 10.56 (s, 1 H, HN), 8.79 (d, J = 8.5 Hz, 1 H, ArH), 7.50 (d, J = 6.9 Hz, 1 H, ArH), 8.14-7.99 (m, 6 H, ArH & NH2), 7.83 (m, 3 H, ArH), 7.55 (t, J = 7.9 Hz, 1 H, ArH), 7.49 (d, J = 8.8 Hz, 2 H, ArH), 6.78 (d, J = 6.9 Hz, 1 H, ArH), 6.24 (s, 1 H, ArH), 2.30 (s, 3 H, ArH), mass APCI+ 476.
3-[(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B5). 3-아미노-N-(4-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B1) (1.07 g, 4.14 mmol) 및 4-클로로-2,6-디아미노피리미딘 (B4) (569 mg, 3.89 mmol)을 가온된 2-에톡시에탄올 (20 mL)에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2방울의 c. HCl을 당해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TLC 및 질량 스펙트럼으로 반응 종결이 확인될 때까지 20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20 ℃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EtOAc로 희석하고 MeOH/EtOAc/Charcoal/Celite로부터 재결정하여 화합물 B5 (824 mg, 50%)을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1H NMR [(CD3)2SO] δ 11.57 (br, 1 H, N+H), 10.84 (s, 1 H, NH), 9.98 (s, 1 H, NH), 8.30-8.26 (m, 2 H, Ar), 8.10-8.07 (m, 2 H, ArH), 8.06 (br s, 2 H, NH2), 7.70 (d, J = 7.2 Hz, 1 H, ArH), 7.53-7.49 (m, 3 H, ArH), 7.38 (br s, 2 H, NH2), mass APCI+ 366.
N-(4-아미노페닐)-3-[(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B6). MeOH (30 mL) 중 화합물 B5 (567 mg, 1.41 mmol)의 현탁액에 10% Pd/C (20 mg)를 첨가하고 6시간 동안 40 Hg mm하에서 수소화시켰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키고 다음으로 MeOH 중 1 ml의 1.25M HCl를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재결정하여 B6 (398mg, 76 %)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0.37 (s, 1 H, NH), 9.93 (s, 1 H, NH), 7.92-7.80 (m, 4 H, ArH & NH2), 7.68 (d, J = 7.7 Hz, 1 H, ArH), 7.61 (br s, 2 H, NH2), 7.49-7.45 (m, 3 H, ArH), 7.24 (br d, J = 8.7 Hz, 2 H, ArH), 5.45 (s, 1 H, ArH), mass APCI+ 336.
3-[(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FF2). EtOH (15 mL) 및 H2O (7.5 mL) 중 화합물 B6 (150 mg, 0.37 mmol)의 용액에 4-클로로퀴놀린 (73 mg, 0.45 mmol)을 첨가하고 당해 물질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 후, 2 방울의 c. HC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환류하고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 ℃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수성 NH3 (20 ml) 중에서 교반하여 유리 염기로 전환시켰다. 당해 새로운 침전물을 여과하고 크로마토그래피하여(중성 Al2O3, 0- 7 % DCM/MeOH), 순수한 유리 염기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MeOH 중 1.25 M HCl을 사용하여 HCl 염으로 전환시켜 Cpd. FF2 (139 mg, 70%)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4.25 (br, 1 H, N+H), 12.00 (br, 1 H, N+H), 10.95 (s, 1 H, NH), 10.53 (s, 1 H, NH), 9.93 (s, 1 H, NH), 9.05 (d, J = 8.5 Hz, 1 H, ArH), 7.51 (d, J = 7.0 Hz, 1 H, ArH), 8.06-8.00 (m, 5 H, ArH), 7.95-7.91 (br m, 2 H, NH2), 7.81 (d d, J = 7.6, 1.4 Hz, 1 H, ArH), 7.71 (d, J = 7.6 Hz, 1 H, ArH), 7.58 (s, 2 H, NH2), 7.57-7.47 (m, 5 H, ArH), 6.78 (d, J = 7.0 Hz, 1 H, ArH), 6.78 (d, J = 7.0 Hz, 1 H, ArH), 5.46 (s, 1 H, ArH); HRMS (FAB+) calc. for C26H23N8O (M+1) m/z 463.1995, found 463. 1992.
실시예 GG.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U. GG1 ) 및 관련 화합물 (CPD. GG2, CPD. GG3, CPD. GG4, CPD. GG5)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53
(i) 2-에톡시에탄올/H+/환류; (ii) H2/10%Pd/C/MeOH; (iii) 치환된 4-클로로퀴놀린/EtOH/H2O/환류.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5). 4-아미노-N-(4-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C1) (730 mg, 2.84 mmol) 및 4-클로로-6-메틸-2-피리미디닐아민 (A8) (416 mg, 2.84 mmol)를 가온된 2-에톡시에탄올 (20 ml)에 용해시키고, 다음으로 2방울의 c.HCl을 당해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TLC 및 MS로 반응 종결이 확인될 때까지 40분 동안 환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2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EtOAc로 수세하여 고체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MeOH 내 현탁시키고, 수성 NH3로 염기성화하고, 물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C2 (671 mg)를 수득하였다. 여액을 농축하여 추가의 276 mg의 C2 (전체 92%)를 수득하였다.: mp (MeOH) >300 ℃; 1H NMR [(CD3)2SO] δ 10.59 (s, 1 H, NH), 9.37 (s, 1 H, NH), 8.27-8.24 (m, 2 H, ArH), 8.09-8.06 (m, 2 H, ArH), 8.05-7.90 (m, 4 H, ArH), 6.25 (s, 2 H, NH2), 5.96 (s, 1 H, ArH), 2.16 (s, 3 H, CH3); Mass APCI + 365.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C3). MeOH (50 ml) 중 C2 (671 mg, 1.84 mmol)의 현탁액을 3시간 동안 40 Hg mm에서 수소화(10% Pd/C 50 mg)하였다.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 침전시켰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MeOH/HCl/H2O (100 mL/2 mL/50 ml) 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여 Pd/C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MeOH/EtOAc로부터 재결정화시켜 C3 (740 mg, 99%)을 수득하였다; M. 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0.96 (bs, 1 H, NH), 10.38 (s, 1 H, NH), 8.02-7.97 (m, 4 H, ArH), 7.86 (d, J =8.8 Hz, 2 H, ArH), 7.30 (d, J = 8.8 Hz, 2 H, ArH), 6.30 (d, J = 0.6 Hz, 1 H, ArH), 2.33 (s, 3 H, CH3). 2 x NH2 그룹에 대한 시그날은 관찰되지 않았다; mass spectrum APCI+ 335.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GG1). EtOH (20 ml) 및 H2O (10 ml) 중 C3 (218 mg, 0.54 mmol)의 용액에 4-클로로퀴놀린 (96 mg, 0.59 mmol)을 첨가하고, 당해 물질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 후 2 방울의 c. HCl을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고 EtOAc로 희석시키고 끓인 후 20 ℃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Charcoal/Celite로부터 재결정하여 Cpd. GG1 (259 mg 98%)를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3.75 (br. 2 H, 2×N+H), 11.07 (s, 1 H, NH), 10.99 (s, 1 H, NH), 10.52 (s, 1 H, NH), 8.83 (d, J = 8.4 Hz, 1 H, ArH), 8.50 (d, J = 7.0 Hz, 1 H, ArH), 8.11-7.99 (m, 10 H, ArH & NH2), 7.80 (dt, J = 8.0, 1.1 Hz, 1 H, ArH), 7.48 (d, J =8.9 Hz, 2 H, ArH), 6.78 (d, J = 7.0 Hz, 1 H, ArH), 6.35 (s, 1 H, ArH), 2.31 (s, 3 H, CH3); 13C NMR [(CD3)2SO] δ 164.8, 161.6, 155.9, 155.0, 153.3, 142.5, 141.4, 138.4, 138.1, 133.7, 132.1 , 129.6, 128.5 (2×C), 126.8, 125.8(2xC), 123.5, 121.4 (2×C), 120.2, 120.1, 116.9, 99.6, 94.3, 18.4, 4급 탄소들 중 하나가 관찰되기 어려웠다; HRMS FAB+ calc. for C27H25N7O (M+1) m/z, 462,2042 found 462.2047.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GG4). EtOH (20 mL) 및 H2O (10 mL) 중 화합물 C3 (200 mg, 0.49 mmol) 용액에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113 mg, 0.54 mmol)을 첨가하고 이것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고 다음으로 2 방울의 c. HCl을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환류하고 EtOAc로 희석하고 끊인 후 20℃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Charcoal/Celite로 부터 재결정화시켜 Cpd. GG4 (247 mg 87%)를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95-300 ℃; 1H NMR [(CD3)2SO] δ 13.50 (br,2 H, 2×N+H), 11.32 (br, 1 H, NH), 11.00 (brs, 1 H, NH), 10.51 (s, 1 H, NH), 9.81 (d, J = 2.2 Hz, 1 H, ArH), 8.69 (dd, J = 9.3, 2.2 Hz, 1 H, ArH), 8.59 (d, J = 6.9 Hz, 1 H, ArH), 8.24 (d, J = 9.3 Hz, 1 H, ArH), 8.06-7.98 (m, 7 H, ArH & NH2), 7.48 (d, J = 8.9 Hz, 2 H, ArH), 6.90 (d, J = 6.9 Hz, 1 H, ArH), 6.32 (s, 1 H, ArH), 2.32 (d, J = 0.4 Hz, 3 H, CH3); HRMS (FAB+) calc. for C27H23N8O3 (M+1) m/z 507.1893, found 507.1896.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6-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GG3). MeOH 30 (mL) 중 SN 31001 (140 mg, 0.24 mmol)의 현탁액에 10% Pd/C를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45 Hg mm하에서 수소화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키고, 다음으로 MeOH 중 1 ml의 1.25M HCl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 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Cpd. GG3 (107 mg, 81%)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δ 14.13 (d, J = 5.6 Hz, 1 H, N+H), 12.95 (s, 1 H, N+H), 10.97 (s, 1 H, NH), 10.44 (s, 1 H, NH), 10.20 (s, 1 H, NH), 8.22 (t, J = 6.5 Hz, 1 H, ArH), 8.05-7.96 (m, 7 H, ArH), 7.79 (d, J = 9.1 Hz, 1 H, ArH), 7.49 (d, J = 1.9 Hz, 1 H, ArH), 7.43-7.38 (m, 3 H, ArH), 6.66 (d, J = 6.8 Hz, ArH), 6.30 (s, 1 H, ArH), 2.24 (d, J = 0.6 Hz, 3 H, CH3); HRMS (FAB+) calc. for C27H25N8O (M+1) m/z 477.2151, found 477.2153.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7-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GG5). EtOH (20 mL) 및 H2O (10 mL) 중 C3 (235 mg, 0.58 mmol)의 용액에 4-클로로-7-니트로퀴놀린 (132 mg, 0.63 mmol)을 첨가하고 이것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 후 2 방울의 c.HCl을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환류하고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Charcoal/Celite로 재결정화시켜 Cpd. GG5 (317 mg 94%)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2.9 (br, 1 H, N+H), 10.81 (brs, 2 H, 2×NH), 10.44 (s, 1 H, NH), 8.93 (d, J = 9.3 Hz, 1 H, ArH), 8.81 (d, J = 1.9 Hz, 1 H, ArH), 8.66 (d, J = 6.6 Hz, 1 H, ArH), 8.46 (d, J = 8.9 Hz, 1 H, ArH), 8.05-7.98 (m, 8 H, ArH & NH2), 7.47 (d, J = 8.8 Hz, 1 H, ArH), 6.94 (d, J = 6.6 Hz, 1 H, ArH), 6.26 (s, 1 H, ArH), 2.32 (s, 3 H, CH3); HRMS (FAB+) calc. for C27H23N8O3 (M+1) m/z 507.1893, found 507.1885.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7-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GG2). MeOH 30 (mL) 중 SN 31002 (150 mg, 0.25 mmol)의 현탁액에 10% Pd/C (20 mg)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45 Hg mm하에서 수소화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킨 후, MeOH 중 1 ml의 1.25M HCl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 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Cpd. GG2 (141 mg, 100%)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57-262℃. 1H NMR [(CD3)2SO] δ 13.45 (br, 2 H, 2×N+H), 10.33 (s, 1 H, NH), 10.30 (s, 1 H, NH), 10.00 (br, 1 H, NH), 8.33 (d, J = 9.4 Hz, 1 H, ArH), 8.14 (d, J = 7.0 Hz, 1 H, ArH), 3.19-7.92 (m, 6 H, ArH ), 7.39 (d, J = 8.9 Hz, 2 H, ArH), 7.04-7.01 (br m, 3 H, ArH), 6.86 (d, J = 2.2 Hz, 1 H, ArH), 6.67 (br s, 2 H, NH2), 6.43 (d, J = 7.0 Hz, 1 H, ArH & NH2)), 6.13 (s, 1 H, ArH), 2.22 (s, 3 H, CH3); HRMS (FAB+) calc. for C27H25N8O (M+1) m/z 477.2151, found 477.2153.
실시예 HH.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디메틸아미노H-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HH)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54
(i) 2-에톡시에탄올/H+/환류, (ii) AS/EDCI/DMAP/N-메틸피롤리디논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벤조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D2). p-아미노벤조산 (D1) (1.48 g, 10.8 mmol) 및 4-클로로-6-메틸-2-피리미딘아민 (A8) (1.60 g, 11.9 mmol)을 가온된 2-에톡시에탄올 (20 mL)에 용해시키고, 다음으 로 2 방울의 c. HCl을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20 ℃로 냉각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2-에톡시에탄올 및 EtOAc로 수세하였다. 당해 고체를 MeOH 중 비등시키고 여과하고 추가의 MeOH로 수세한 후 건조하여 D2 (2.89 g, 95%)를 수득하였다; m.p. (MeOH) >300 ℃; 1H NMR [(CD3)2SO] δ 12.93 (br, 1 H, N+H 또는 COOH), 12.80 (br, 1 H, N+H 또는 COOH), 10.87 (s, 1 H, NH), 7.92 (s, 6 H, ArH & NH2)), 6.27 (s, 1 H, ArH), 2.32 (s, 3 H, CH3); mass APCI+ 245.
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디메틸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HH). 화합물 D2 (111 mg, 0.4 mmol), EDCI (155 mg, 0.72 mmol), 및 N-메틸 피롤리디논 (5 mL) 중 DMAP (174 mg, 1.44 mmol)를 20 ℃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N4-(4-아미노페닐)-N4,N4-디메틸-4,6-퀴놀린디아민(100 mg, 0.36 mmol)을 다음으로 첨가하고 당해 반응 혼합물을 20 시간 동안 20℃에서 교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수세한 후 공기 중 건조시켰다. 당해 고체를 뜨거운 MeOH 중 용해시키고 챠콜과 함께 비등시키고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MeOH (10 mL) 중 용해시키고 MeOH (1 mL) 중 1.25 M HCl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 물을 MeOH/EtOAc로부터 재결정화시켜 Cpd. HH (135 mg, 65%)를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4.10 (br, 1 H, N+H), 12.75 (br, 1 H, N+H), 10.85 (br, 1 H, NH), 10.45 (s, 1 H, NH), 10.40 (s, 1 H, NH), 8.27 (d, J = 6.8 Hz, 1 H, ArH), 8.08-7.99 (m, 6 H, ArH), 7.88 (d, J = 9.4 Hz, 1 H, ArH), 7.65 (dd, J = 9.4, 2.5 Hz, 1 H, ArH), 7.54 (d, J = 2.4 Hz, 1 H, ArH), 7.45 (d, J = 8.9 Hz, 2 H, ArH), 6.67 (d, J = 6.8 Hz, 1 H, ArH), 6.27 (s, 1 H, ArH), 3.12 [s, 6 H, N(CH3)2], 2.32 (s, 3 H, CH3); mass APCI+ 505.
실시예 II.
N-[3-(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II)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55
(i) 3-니트로아닐린/2--에톡시에탄올/cHCl/환류, (ii) Fe 더스트/(2:1) EtOH/H2O, 2% v/v HCl/환류, (iii)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피리딘/EtOH/환류, (iv) 2:1 EtOH/H20/cHCl/환류
6-메틸-N 4 -(3-니트로페닐)피리미딘-2,4-디아민 (E1). 2-에톡시에탄올 (300 mL) 중 2-아미노-4-클로로-6-메틸-피리미딘 (A8) [10.04 g, 69.93 mmol] 및 3-니트로아닐린 (99.95 g, 72.02 mmol)의 현탁액에 c.HCl (3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 16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당해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다음으로 염수 및 H2O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수집된 고체 물질을 MeOH에 재용해시키고 celite 패드로 여과시켰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여 디아민 E1을 무정형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 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2.97 (br s, 1 H, 피리미디닐-N+-H), 11.03 (s, 1 H, ArNHAr), 8.52 (s, 1 H, ArH), 8.31 (d, J = 7.83 Hz, 1 H, ArH), 7.97 (ddd, J = 8.20, 2.19, 0.72 Hz, 1 H, ArH), 7.83 (v br s, 2H, ArNH2), 7.66 (t, J = 8.21 Hz, 1 H, ArH), 6.25 (s, 1 H, ArH), 2.31 (s, 3H, ArCH3); LCMS (APCI+): 246 (100%).
N 4 -(3-아미노페닐)-6-메틸피리미딘-2,4-디아민 (E2). 2:1 EtOH:H2O (500 mL) 중 디아민 E1의 환류 현탁액에 Fe 더스트(15.6 g, 4 몰당량 wrt 1) 및 c.HCl (10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환류하였다. 이 후,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뜨거운 H2O에 재용해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3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산성화된 MeOH:EtOAc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무정형 황갈색(tan) 고체인 디아민 E2 (5.36 g, A8로부터 3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2.90 (v v br s, 1 H, 피리미디닐-N+-H), 11.00 (br s, 1 H, ArH), 9.75 (v v br s, 2H, ArNH2), 8.20-7.50 (m, 4H, ArH & ArNH2), 7.37 (t, J = 8.05 Hz, 1 H, ArH), 6.98 (d, J = 7.82 Hz, ArH, 1 H), 6.26 (s, 1 H, ArH), 2.29 (s, 3H, ArCH3); LCMS (APCI+): 216 (100%), 217 (40%).
N-[3-(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니트로벤즈아미드 (E3). 무수 디옥산 (200 mL) 중 디아민 E2 (5.25 g, 20.85 mmol) 및 무수 피리딘 (8.40 mL, 104.26 mmol)의 현탁액에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10.79 g, 58.13 mmol)를 첨가하고 생성 용액을 ~14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다음으로 암모니아 수용액을 첨가하여 염기성화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H2O로 희석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여 무정형 황갈색 고체인 아미드 E3을 수득하였다(7.89 g, 94%) [상기 조 생성물의 소량의 샘플은 특성화를 위해 산성화된 MeOH:EtOAc로 재결정되었으며, 남은 양은 추가 정제없이 사용되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2.99 (br s, 1 H, 피리미디닐-N+-H), 10.82 (s, 1 H, ArNHAr), 10.76 (br s, 1 H, ArC(O)NHAr), 8.35 (dd, J = 6.92, 1.99 Hz, 2H, ArH), 8.27 (d, J = 6.92, 1.99 Hz, 2H, ArH), 7.90 (v v v br s, 2H, ArNH2), 8.20-7.50 (m, 4H, ArH & ArNH2), 7.45-7.10 (m, 2H, ArH), 6.25 (s, 1 H, ArH), 2.28 (s, 3H, ArCH3); LCMS (APCI+): 365 (100%).
4-아미노-N-[3-(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E4). 2:1 EtOH:H2O (500 mL) 중 아미드 E3 (7.89 g, 20.00 mmol)의 환류 현탁액에 Fe 더스트 (4.40 g, 79 mmol) 및 c.HCl (2% v/v, 10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4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당해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뜨거운 H2O에 재용해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3 MeOH 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산성화된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아민 E4를 무정형의 황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95 g, 12%); 1H NMR (400 MHz, DMSO): δ 12.71 (br s, 1 H, 피리미디닐-N+-H), 10.55 (br s, 1 H, ArC(O)NHAr), 9.95 (s, 1 H, ArNHAr), 8.10- 7.40 (m, 7H, ArH & ArNH2), 7.32 (m, 1 H, ArH), 6.77 (d, J = 8.30 Hz, 2H, ArH), 6.18 (s, 1 H, ArH), 2.28 (s, 3H, ArCH3); LCMS (APCI+): 335 (100%).
N-[3-(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II). 1:2 EtOH:H2O (30 mL) 중 아민 E4 (0.26 g, 0.63 mmol)의 용액에 4-클로로퀴놀린 (0.62 g, 3.78 mmol) 및 c.HCl (0.17 mL, 5.67 mmo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반응 과정 후 TLC함(탑상으로 n-BuOH:H2O:아세트산의 5:4:1 혼합물을 사용하여 용출시킴); 생성물 Rf = 0.43, KMnO4로 염색 후 황색 점). 이 후,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3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당해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침전시켜 Cpd. II의 무정형 레몬-황색 고체(0.27 g, 79%)를 수득하였다; mp 251-255 ℃ (분말-글루); 1H NMR (400 MHz, DMSO): δ 14.78 (v br s, 1 H, 퀴놀리닐-N+- H), 12.79 (v br s, 1 H, 피리미디닐-N+-H), 11.14 (s, 1 H, ArNHAr), 10.64 (br s, 1 H, ArC(O)NHAr), 10.52 (s, 1 H, ArNHAr), 8.87 (d, J = 8.44 Hz, 1 H, ArH), 8.61 (d, J = 6.94 Hz, 1 H, ArH), 8.30-7.45 (m, 12H, ArH & ArNH2), 7.38 (t, J = 8.07 Hz, 1 H, ArH), 7.00 (d, J = 6.94 Hz, 1 H, ArH), 6.22 (s, 1 H ArH), 2.29 (s, 3H, ArCH3); LCMS (APCI+): 463 (100%); HPLC: 95.4%.
실시예 JJ.
(E)-N-[3-(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4-[6-(디메틸아미노)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JJ1 ) 및 관련 화합물(CPD. JJ2)의 합성
Figure 112009028476796-PCT00056
(i) 구아니딘 설페이트/MeOH/c. HCl/환류/14 h, (ii) Fe 더스트, cat. c. HCl, 2:1 EtOH:H2O, 환류, 14 h, (iii) 피리딘, 디옥산, 환류, 17 h, (iv) 4-클로로퀴놀린/1:2 EtOH/H2O/c. HCl/환류/20 h, (vi) 4-클로로-6-(디메틸아미노)퀴놀린/1:2 EtOH/H2O/c. HCl/환류, 40 h
(E)-N-[4-(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3-니트로벤젠 하이드로클로라이드(F2). MeOH (400 mL) 중 아미노구아니딘 설페이트 (21.25 g, 80.41 mmol) 및 3-니트로아세토페논 (F1) (13.53 g, 81.93 mmol)의 용액에 c.HCl (2.44 mL, 80.42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4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용매를 생성된 백색 현탁액으로부터 제거하여 무정형 백색 고체인 디아민 F2를 수득하여,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1.00 (v v br s, 1 H, 하 이드라조닐-N+-H), 8.59 (t, J = 1.94 Hz, 1 H, ArH), 8.39 (d, J = 7.87 Hz, 1 H, ArH), 8.19 (ddd, J = 8.14, 2.18, 0.82 Hz, 1 H, ArH), 7.83 (br s, 4H, =C(NH2)2), 7.66 (t, J = 8.05 Hz, 1 H, ArH), 2.40 (s, 3H, Ar(CH3)=N-); LCMS (APCI+): 222 (100%).
(E)-N-[4-(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3-벤즈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F3). 2:1 EtOH:H2O (500 mL) 중 디아민 F2의 환류 현탁액에 Fe 더스트(17.87 g, 320.00 mmol, 4 몰당량) 및 c.HCl (10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뜨거운 H2O 중 재용해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3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산성화된 MeOH/EtOAc로 재침전시켜 무정형 백색 고체의 트리아민 F3 (10.78 g, 2 단계 후 51%)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1.35 (s, 1 H, 하이드라조닐-N+-H), 9.40 (v v br s, 3H, ArNH3 +), 7.84 (br m, 5H, ArH & =C(NH2)2), 7.75 (s, 1 H, ArH), 7.43 (t, J = 7.91 Hz, 1 H, ArH), 7.27 (d, J = 8.27 Hz, 1 H, ArH), 2.34 (s, 3H, Ar(CH3)=N-); LCMS (APCI+): 192 (100%).
(E)-N-[3-(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4-니트로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F4). 무수 디옥산 (300 mL) 중 트리아민 F3 (5.15 g, 19.49 mmol) 및 무수 피리딘 (7.85 mL, 97.45 mmol)의 현탁액에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10.52 g, 56.69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7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당해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암모니아 수용액을 첨가하여 염기성화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H2O로 희석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시켜 수집하여 무정형 크림형 황색 고체인 아미드 F4 (4.21 g, 51 %)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1.09 (s, 1 H, 하이드라조닐-N+-H), 10.68 (s, 1 H, ArC(O)NHAr), 8.39 (d, J = 9.22 Hz, 1 H, ArH), 8.29 (m, 3H, ArH), 7.89 (d, J = 8.07 Hz, 1 H, ArH), 7.82 (d, J = 7.89 Hz, 1 H, ArH), 7.73 (br s, 4H, =C(NH2)2), 7.44 (t, J = 7.98 Hz, 1 H, ArH), 2.34 (s, 3H, Ar(CH3)=N-); LCMS (APCI+): 341 (100%).
(E)-4-아미노-N-[3-(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F5). 2:1 EtOH:H2O (100 mL) 중 아미드 F4 (2.02 g, 5.36 mmol)의 환류 현탁액에 Fe 더스트(1.20 g, 21.44 mmol) 및 c.HCl (2 mL)를 순차적 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14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뜨거운 H2O에 재용해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3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산성화된 MeOH로 재침전시켜 무정형의 크림 고체인 트리아민 F5를 수득하였다(2.18 g, 정량적) ; 1H NMR (400 MHz, DMSO): δ 11.30 (s, 1 H, 하이드라조닐-N+-H), 10.05 (s, 1 H, ArC(O)NHAr), 8.21 (s, 1 H, ArH), 8.20-7.55 (m, 8H, ArH & =C(NH2)2), 7.36 (t, J = 7.90 Hz, 1 H, ArH), 6.91 (d, J = 7.96 Hz, 1 H, ArH), 5.30 (v br s, 3H, ArNH3 +), 2.35 (s, 3H, Ar(CH3)=N-); LCMS (APCI+): 311 (100%).
(E)-N-[3-(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4-[6-(디메틸아미노)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JJ1). 1:2 EtOH:H2O (60 mL) 중 트리아민 F5 (0.22 g, 0.59 mmol)의 용액에 6-디메틸아미노-4-클로로퀴놀린 (0.13 g, 0.64 mmol) 및 c.HCl (0.16 mL, 5.32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20시간 동안 환류하였다(반응 후 TLC함(탑상으로 n-BuOH:H2O:아세트산의 5:4:1 혼합물을 사용해 용출시킴)). 이 후,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2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EtOAc로부터 재침 전시켜 무정형 암갈색 고체인 Cpd. JJ1 (61 mg, 19%)를 수득하였다; mp 239-243 ℃ (분말->글루), 278- 282 ℃ (글루->액체); 1H NMR (400 MHz, DMSO): δ 14.44 (s, 1 H, 퀴놀리닐-N+-H), 11.20 (s, 1 H, 하이드라조닐-N+-H), 10.58 (s, 1 H, ArC(O)NHAr), 10.46 (s, 1 H, ArNHAr), 8.35 (d, J = 6.71 Hz, 1 H, ArH), 8.26 (t, J = 1.73 Hz, 1 H, ArH), 8.22 (d, J = 8.61 Hz, 3H, ArH), 7.95 (m, 2H, ArH), 7.79 (m, 5H, ArH & =C(NH2)2), 7.69 (d, J = 2.52 Hz, 1 H, ArH), 7.66 (d, J = 8.61 Hz, 2H, ArH), 7.58 (d, J = 2.43 Hz, 1 H, ArH), 7.43 (t, J = 7.98 Hz, 1 H, ArH), 6.95 (d, J = 6.71 Hz, 1 H, ArH), 3.15 (s, 6H, ArN(CHs)2), 2.37 (s, 3H, Ar(CH3)=N-); LCMS (APCI+): 482 (100%); HPLC: 95.8%.
(E)-N-[3-(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JJ2). 1:2 EtOH:H2O (3OmL) 중 트리아민 F5 (0.35 g, 0.91 mmol)의 용액에 4-클로로퀴놀린 (0.64 g, 3.90 mmol) 및 c.HCl (0.25 mL, 8.24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20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반응 후 TLC함(탑상으로 n-BuOH:H2O:아세트산의 5:4:1 혼합물을 사용해 용출시킴); 생성물 Rf=0.51, KMnO4로 염색 후 황색 점). 이 후,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믈을 2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당해 잔류물을 MeOH: EtOAc 로 재침전시켜 엷은 황색의 무정형 고체인 Cpd. JJ2 (91 mg, 20%)를 수득하였다; mp 240-244 ℃ (분말-→글루), 264-268 ℃ (글루→액체); 1H NMR (400 MHz, DMSO): δ 14.67 (br s, 1 H, 퀴놀리닐-N+-H), 11.19 (s, 1 H, 하이드라조닐-N+-H), 11.07 (s, 1 H, ArC(O)NHAr), 10.48 (s, 1 H, ArNHAr), 8.72 (d, J = 8.52 Hz, 1 H, ArH), 8.61 (d, J = 6.90 Hz, 1 H, ArH), 8.24 (m, 3H, ArH), 8.08 (m, 2H, ArH), 7.95 (d, J = 8.10 Hz, 1 H, ArH), 7.82 (m, 6H, ArH & =C(NH2)2), 7.68 (d, J = 8.38 Hz, 2H, ArH), 7.43 (t, J = 7.97 Hz, 1 H, ArH), 7.01 (d, J = 6.90 Hz,1 H, ArH), 2.37 (s, 3H, Ar(CH3)2=N-); LCMS (APCI+): 438 (100%); HPLC: 96.4%.
실시예 KK.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6,7,8-트리플루오로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KK)의 합성
Figure 112009028476796-PCT00057
6,7,8-트리플루오로-4-옥소-1,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 (G2). 트리플루오로퀴놀론 에스테르 G1 (3.82 g, 14.09 mmol) 용액을 14 시간 동안 1M NaOH 중에서 환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당해 용액을 1M NaOH로 산성화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여 무정형 백색 고체인 트리플루오로퀴놀론산 G2 (3.31 g, 97%)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mp 264-268 ℃; 1H NMR (400 MHz, DMSO): δ 14.20 (v br s, 2H, 퀴놀리닐-N+-H & ArCO2H), 8.71 (s, 1 H, ArH), 8.08 (ddd, JH-F = 10.17, 7.77, 2.23 Hz, 1 H, ArH); LCMS (APCI+): 244 (100%).
6,7,8-트리플루오로퀴놀린-4(1H)-온 (G3). 트리플루오로퀴놀론산 G2 (1.32 g, 5.43 mmol) 용액을 바이페닐 에테르 (100 mL) 중에서 30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헥산 중에 조심스럽게 붓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당해 현탁액을 여과하여 매우 미세한 무정형 회백색 고체인 트리플루오로퀴놀론 G3 (2개 뱃치, 총 1.32 g, 정량적)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 1H NMR (400 MHz, DMSO): δ 12.14 (s, 1 H, ArOH), 7.91 (dd, J = 6.73, 6.36 Hz, 1 H, ArH), 7.80 (ddd, JH-F = 10.46, 8.11, 2.14 Hz, 1 H, ArH), 6.10 (d, J = 7.43 Hz, 1 H, ArH); LCMS (APCI+): 200 (100%).
4-클로로-6,7,8-트리플루오로퀴놀린 (G4). 퀴놀론 G3 (1.30 g, 6.53 mmol)의 용액을 1.3 시간 동안 POCl3 (50 mL) 중에서 환류하고, 다음으로 초과분의 POCl3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CH2Cl2에 재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암모니아 수용액을 첨가하여 염기성화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CH2Cl2로 추출하고 통합된 유기 추출물을 H2O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수세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100% CH2Cl2->1% MeOH:CH2Cl2->10% MeOH:CH2Cl2로 용출하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의 결정성 고체인 트리플루오로퀴놀린 G4 (0.76 g, 54%)을 수득하였다; mp 119-121 ℃; 1H NMR (400 MHz, DMSO): δ 8.93 (d, J = 4.73 Hz, 1 H, ArH), 8.08 (ddd, JH-F = 10.23, 7.92, 2.30 Hz, 1 H, ArH), 7.95 (d, J = 4.73 Hz, 1 H, ArH); LCMS (APCI+): 218 (100%), 220 (100%).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6,7,8-트리플루오로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KK). 무수 MeOH (20 mL) 중 아민 G5 (0.19 g, 0.46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퀴놀린 G4 (0.22 g, 1.03 mmol) 및 c.HCl (~3 방울)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하였다(반응 공정 후 TLC함(탑상으로 n-BuOH:H2O:아세트산의 5:4:1 혼합물을 사용해 용출시킴); 생성물 Rf= 0.56, KMnO4로 염색 후 황색 점). 이는 G5와 동일한 Rf 이며, G5의 소비는 LCMS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 후,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3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 EtOAc 및 헥산 순으로 적정하고, 다음으로 고진공하 건조하여 무정형 연한/레몬계 황색 고체인 Cpd. KK (2개 뱃치, 총 214 mg, 79%)를 수득하였다; mp > 280 ℃; 1H NMR (400 MHz, DMSO): δ 12.70 (br s, 1 H, 피리미디닐-N-H+), 10.77 (br s, 1 H, ArC(O)NHAr), 10.66 (s, 1 H, ArNHAr), 10.39 (s, 1 H, ArNHAr), 8.84 (m, 1 H, ArH), 8.59 (d, J = 6.35 Hz, 1 H, ArH), 8.14 (d, J = 8.62 Hz, 2H, ArH), 8.06-7.64 (m, 6H, ArH & ArNH2), 7.61 (d, J = 8.62 Hz, 2H, ArH), 7.11 (d, J = 6.35 Hz, 1 H, ArH), 6.19 (s, 1H, ArH), 2.28 (s, 3H, ArCH3) [퀴놀리닐-N+-H는 관찰되지 않았음]; LCMS (APCI+): 517 (100%), 518 (40%); HPLC: 98.9%.
실시예 LL.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6-클로로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CPD. LL)의 합성
Figure 112009028476796-PCT00058
4,6-디클로로퀴놀린 (H2). POCl3 (50 mL) 중 6-클로로-4-퀴놀론 (H1) (1.48 g, 8.22 mmol)의 용액을 3.5시간 동안 환류한 후, 초과분의 POCl3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CH2Cl2에 재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에 암모니아 수용액을 첨가하여 염기성화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CH2Cl2로 추출하고 통합된 유기 추출물을 H2O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수세한 후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여 무정형 크림형-백색 고체인 디클로로퀴놀린 H2(1.54 g, 95%)을 수득하였다; mp 101-103 ℃; Rf = 0.83 (5% MeOH:CH2Cl2); 1H NMR (400 MHz, DMSO): δ 8.88 (d, J = 4.73 Hz, 1 H, ArH), 8.21 (d, J = 2.33 Hz, 1 H, ArH), 8.14 (d, J = 8.99 Hz, 1 H, ArH), 7.91 (dd, J = 8.99, 2.33 Hz, 1 H, ArH), 7.84 (d, J = 4.73 Hz, 1 H, ArH); LCMS (APCI+): 198 (100%), 200 (80%).
N-[4-(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4-(6-클로로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Cpd. LL). 무수 MeOH (40 mL) 중 아민 G5 (0.18 g, 0.44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퀴놀린 H2 (0.17 g, 0.88 mmol) 및 c.HCl (몇 방울)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TLC 분석(탑상으로 n-BuOH:H2O:아세트산의 5:4:1 혼합물을 사용해 용출시킴)은 H2는 소진된 반면 E4는 소량 남은 것으로 나타나, 추가분의 H2(0.17 g, 0.88 mmol)를 3시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TLC 분석에서 가시적 변화가 없을 때까지 14시간 동안 환류하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3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로 적정하고, 다음으로 고진공하에서 건조하여 무정형 황색 고체인 Cpd. LL (2개 뱃치, 총 0.21 g, 83%)을 수득하였다; mp 250- 254 ℃; 1H NMR (400 MHz, DMSO): δ 14.80 (v br s, 1 H, 피리미디닐-N-H+), 12.62 (br s, 1 H, 퀴놀리닐-N+-H), 11.07 (s, 1 H, ArC(O)NHAr), 10.62 (s, 1 H, ArNHAr), 10.44 (s, 1 H, ArNHAr), 9.01 (d, J = 1.50 Hz, 1 H, ArH), 8.63 (d, J = 6.90 Hz, 1 H, ArH), 8.13 (m, 4H, ArH), 8.05-7.45 (m, 8H, ArH & ArNH2), 7.04 (d, J = 6.90 Hz, 1 H, ArH), 6.18 (s, 1 H, ArH), 2.28 (s, 3H, ArCH3); LCMS (APCI+): 497 (100%), 499 (60%); HPLC: 99.7%.
실시예 MM.
N-[4-(피리딘-4-일아미노)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MM)의 합성
Figure 112009028476796-PCT00059
(i) 4-클로로퀴놀린/c. HCl, 1:10 MeOH:EtOH, 환류
N-[4-(피리딘-4-일아미노)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MM). 1:10 MeOH:EtOH 중 아민 I1 (0.45 g, 1.18 mmol)의 현탁액에 4-클로로퀴놀린 (0.97 g, 5.91 mmol), c.HCl (3 mL), 및 H2O (10 mL)을 순차적 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4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반응 공정 후 TLC함(탑상으로 n-BuOH:H2O:아세트산의 5:4:1 혼합물을 사용해 용출시킴); 생성물 Rf= 0.30, KMnO4로 염색 후 황색 점). 이 후,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3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당해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침전시키고 예비 HPLC로 추가 정제하여 무정형 레몬계 황색 고체인 Cpd. MM (0.14 g, 32% brsm)을 수득하였다; mp: 148-151 ℃ (분말->글루), 171-174 ℃ (글루->액체); 1H NMR (400 MHz, DMSO): δ 13.97 (br s, 2H, 피리디닐-N+-H & 퀴놀리닐-N+-H), 10.83 (br s, 1 H, ArC(O)NHAr), 10.49 (s, 1 H, ArNHAr), 10.44 (s, 1 H, ArNHAr), 8.71 (d, J = 8.47 Hz, 1 H, ArH), 8.63 (d, J = 6.81 Hz, 1 H, ArH), 8.27 (d, J = 7.14 Hz, 2H, ArH), 8.17 (d, J = 8.51 Hz, 2H, ArH), 8.05 (m, 2H, ArH), 7.94 (d, J = 8.82 Hz, 2H, ArH), 7.85 (ddd, J = 8.32, 5.64, 2.51 Hz, 1 H, ArH), 7.67 (d, J =8.51 Hz, 2H, ArH), 7.36 (d, J = 8.80 Hz, 2H, ArH), 7.08 (d, J = 7.27 Hz, 2H, ArH), 7.03 (d, J = 6.81 Hz, 1 H, ArH); LCMS (APCI+): 431 (50%), 433 (100%); HPLC: 100%.
실시예 NN.
(E)-N-(4-(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4-(6-(디메틸아미노)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U. NN)의 합성
Figure 112009028476796-PCT00060
(i) 6-(디메틸아미노)-4-클로로퀴놀린/1:2 EtOH:H2O, c. HCl, 환류, 32 h
(E)-N-(4-(1-((디아미노메틸렌)하이드라조노)에틸)페닐)-4-(6-(디메틸아미노)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NN).
1:2 EtOH:H2O (20 mL) 중 아민 J1 (0.22 g, 0.56 mmol)의 용액에 1:2 EtOH:H2O (10 mL) 중 6-(디메틸아미노)-4-클로로퀴놀린 (0.13 g, 0.61 mmol) 및 c.HCl (0.17 mL, 5.5 mmol)의 용액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몇시간 동안 환류하고 실온으로 밤새 가온시켰다. 이 후(16 h), TLC 분석(탑상으로 n-BuOH:H2O:아세트산의 5:4:1 혼합물을 사용해 용출시킴)으로 당해 반응 혼합물 내 약간의 6이 잔존함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J1 (0.22 g, 0.56 mmol)의 추가 당량을 첨가하고, 당해 혼합물을 추가 16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TLC 분석으로 퀴놀린이 거의 완전히 소비되었음을 확인하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3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 (1.25 메탄올성 HCl로 산성화된):EtOAc로 재침전시키고, 예비 HPLC를 통해 추가 정제하여 무정형 황갈색 고체의 Cpd. NN(18 mg, 6%)을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80 ℃; 1H NMR [(CD3)2SO]: δ 2.33 [s, 3H, ArC(CH3)=N-], 3.11 [s, 6H, ArN(CH3)2], 7.00 (s, 1 H, ArH], 7.41 [s, 1 H, ArH], 7.57-7.90 [m, 8H, ArH & =C(NH2)2], 7.99 [d, J = 8.45 Hz, 2H, ArH], 8.12 [d, J = 7.01 Hz, 2H, ArH], 8.35 [br s, 1 H, ArH], 9.86 [br s, 1 H, ArH], 10.40 [s, 1 H, ArH], 10.86 [br s, 1 H, ArNHAr] {3개의 잔존하는 교환가능한 H 시그날은 발견되지 않았다}; LCMS (APCI+): 482 (100%); HPLC: 98.7%.
실시예 OO.
6-(디메틸아미노)-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CPU. OO1) 및 이와 관련된 화합물 (CPD. OO2)의 합성
Figure 112009028476796-PCT00061
(i) 6-(디메틸아미노)-4-클로로퀴놀린/EtOH/H20 (2:1)/c. HCl/환류
6-(디메틸아미노)-4-[4-({3-[(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 Sg EPG 133(Cpd. OO1). 에탄올 (28 mL) 및 물 (14 mL) 중 아민 K1 (151 mg, 0.43 mmol)의 용액에 에탄올 (5 mL) 중 6-(디메틸아미노)-4-클로로 퀴놀린 (107 mg, 0.52 mmol) 및 2 방울의 c.HC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일 동안 환류하고 EtOAc (150 mL)로 희석하고 끓인 후 이를 20 ℃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EtOAc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황색 고체 194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예비 HPLC (TFA/ CH3CN)로 정제하고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3) (80 mg, 33%)을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17-173 ℃ (dec); 1H NMR [(CD3)3SO] δ 13.88 (bs, 1 H, N+H), 10.64 (s, 1 H, NH), 10.53 (s, 1 H, NH), 10. 25 (bs, 1 H, NH), 8.32 (d, J = d, J = 7.5 Hz, 2 H, ArH), 8.27 (d, J = 6.5 Hz, 1 H, ArH), 7.98 (d, J = 8.9 Hz, 2 H, ArH), 7.94 (d, J = 8.0 Hz, 1 H, ArH), 7.90 (bs, 1 H, ArH), 7.84 (d, J = 9.4 Hz, 1 H, ArH), 7.69 (t, J = 7.9 Hz, 1 H, ArH), 7.64 (dd, J = 9.4, 2.6 Hz, 1 H, ArH), 7.58 (dd, J = 8.0, 1.3 Hz, 1 H, ArH), 7.48-7.45 (m, 3 H, ArH), 7.22 (d, J = 7.5 Hz, 2 H, ArH), 6.68 (s, 1 H, ArH), 3.99 (s, 3 H, N+CH3), 3.12 [s, 6 H, N(CH3)2]; APCI ve<+> 489.
6-(디메틸아미노)-4-[4-({4-[(1-메틸-4-피리디늄일)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퀴놀리늄 디클로라이드 SG EPG 134 (Cpd. OO2). 에탄올 (28 mL) 및 물 (14 mL) 중 아민 K2 (162 mg, 0.46 mmol) 용액에 에탄올 (5 mL) 및 2 방울의 c.HCl 중 6-(디메틸아미노)-4-클로로 퀴놀린 (114 mg, 0.5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일 동안 환류하고 EtOAc (150 mL)로 희석하고 끓인 후 이를 20 ℃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EtOAc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황색 고체 161 mg을 수득하고, 이를 예비 HPLC (TFA/ CH3CN)로 정제한 후 MeOH /EtOAC로 재결정화시켜 (5) (80 mg, 31 %)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156℃ (dec); 1H NMR [(CD3)2SO] δ 13.90 (bs, 1 H, N+H), 10.73 (s, 1 H, NH), 10.48 (s, 1 H, NH), 10.29 (bs, 1 H, NH), 8.36 (d, J = 7.5 Hz, 2 H, ArH), 8.28 (d, J = 6.7 Hz, 1 H, ArH), 8.11 (d, J = 8.6 Hz, 2 H, ArH), 8.00 (d, J = 8.8 Hz, 2 H, ArH), 7.84 (d, J = 9.4 Hz, 1 H, ArH), 7.65 (dd, J = 9.4, 2.2 Hz, 1 H, ArH), 7.52-7.45 (m, 5 H, ArH), 7.28 (d, J = 7.5 Hz, 2 H, ArH), 6.68 (d, J = 6.8 Hz, 1 H, ArH), 4.01 (s, 3 H, N+CH3), 3.12 [s, 6 H, N(CH3)2] APCI ve+ 489.
실시예 PP.
4-[(1E)-N-(디아미노메틸렌)에탄하이드라조노일]-N-(4-{[6-(디메틸아미노)- 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PP)의 합성
Figure 112009028476796-PCT00062
(i) c. HCl/ MeOH/환류/H2NN=C(NH2)2, (ii) EDCI/DMAP/DMF/RT
4-[(1E)-N-(디아미노메틸렌)에탄하이드라조노일]벤조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L2). MeOH (30 mL) 중 4-아세틸벤조산 (L1) (1.041 g, 6.34 mmol), 아미노 구아니딘 비카보네이트 (1.12 g, 8.2 mmol, 1.3 당량) 및 c.HCl (0.7 ml, 7.0 mmol)을 1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20℃로 냉각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L2 (887 mg, 55%)을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7.97-7.89 (m, 4 H, ArH), 6.75 (br, 4 H, 2×NH2), 2.25 (s, 3 H, CH3), mass APCI+ 221.
4-[(1E)-N-(디아미노메틸렌)에탄하이드라조노일]-N-(4-{[6-(디메틸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PP). DMF (10 mL) 중 N4-(4-아미노페닐)-N6,N6-디메틸-4,6-퀴놀린디아민 (A6) (108 mg, 0.34 mmol), L2 (107 mg, 0.34 mmol), EDCI (160 mg, 0.68 mmol) 및 DMAP (101 mg, 0.68 mmol)를 72시간 동안 2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55℃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로 희석하고 수성 NH3로 염기화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을 수세하고 공기 중 건조시킨 후 크로마토그래피(SiO2/DCM/MeOH/aq NH3 0-7% 2% NH3)하였다. 정확한 중량을 함유하는 분획을 통합하고 증발 건조시켜 황색 고체 120mg을 수득하였다. 이를 1,4-디옥산 중의 수방울의 4N HCl을 첨가하여 HCl 염으로 변환시고 MeOH 중 현탁액으로 하고, 다음으로 당해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HPLC로 2개의 주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 생성물 (107 mg)을 수득하였다. 이를 예비 HPLC (HCOO-N+H4)로 정제하여 Cpd. PP (52 mg, 27%)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 1H NMR [(CD3)2SO] δ 14.09 (br s, 1 H, N+H), 11.21 (s, 1 H, NH), 10.56 (s, 1 H, NH), 10.40 (s, 1 H, NH), 8.27 (d, J = 6.8 Hz, 1 H, ArH), 8.13(d, J = 8.6 Hz, 2 H, ArH), 8.06-8.01 (m, 4 H, ArH), 7.88 (d, J = 9.4 Hz, 1 H, ArH), 7.83 (br, 4 H, 2×NH2), 7.65 (dd, J = 9.4, 2.3 Hz, 1 H, ArH), 7.53 (d, J = 2.3 Hz, 1 H, ArH), 7.47 (d, J = 8.9 Hz, 2 H, ArH), 6.67 (d, J = 6.8 Hz, 1 H, ArH), 3.13 [s, 6 H, [N(CH3)2], 2.41 (s, 3 H, CH3); mass APCI+ 481.
실시예 QQ.
4-[4-({3-[(1E-N-(디아미노메틸렌)에탄하이드라조노일]-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6-(디메틸아미노)퀴놀리늄 클로라이드(CPU. QQ)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63
(i) EDCI/DMAP/DMF/20℃, (ii) MeOH/HCl/환류
4-{4-[(3-아세틸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6-(디메틸아미노)퀴놀리늄 클로라이드(M2). DMF (5 mL) 중 A3 (181 mg, 0.58 mmol), 3-아세틸벤조산 (M1) (97 mg, 0.58 mmol) 및 EDCI (220mg, 0.1.16 mmol)의 혼합물을 5분 동안 20 ℃에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DMAP (140 mg, 1.1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2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수성 NaHCO3 중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구배 (0-7.5 %)의 MeOH/DCM으로 용출시키는 SiO2 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M2 (113 mg, 42%)를 수득하였다; mp (DCM/MeOH) >280℃; 1H NMR [(CD3)2SO] δ 14.02 (br, 1 H, N+H), 10.66 (s, 1 H, NH), 10.31 (s, 1 H, NH), 8.53 (t, J = 1.6 Hz, 1 H, ArH), 8.28 (d, J = 6.7 Hz, 1 H, ArH), 8.24 (td, J = 8.1, 1.5 Hz, 1 H, ArH), 8.19 (td, J = 7.8, 2.8 Hz, 1 H, ArH), 8.00 (d, J = 6.8 Hz, 2 H, ArH), 7.87 (d, J = 9.4 Hz, 1 H, ArH), 7.78 (t, J = 7.8 Hz, 1 H, ArH), 7.64 (dd, J = 9.4, 2.6 Hz, 1 H, ArH), 7.51 (d, J = 2.5 Hz, 1 H, ArH), 7.47 (d, J = 8.8 Hz, 2 H, ArH), 6.69 (d, J = 6.7 Hz, 1 H, ArH), 3.09 [s, 6 H, (NCH3)2], 2.68 (s, 3 H, COCH3); APCI +ve 425.
4-[4-({3-[(1E)-N-(디아미노메틸렌)에탄하이드라조노일]벤조일}아미노)아닐리노]-6-(디메틸아미노)퀴놀리늄 클로라이드(Cpd. QQ). MEOH 10 mL 중 M2 (94 mg, 0.20 mmol), 아미노구아니딘 비카보네이트 (42 mg, 0.3 mmol) 및 c.HCl (0.02 mL, 0.022 mmol)의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EtOAc로 희석한 후, 약간의 MeOH를 끓여 제거하고 2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EtOAc로 수세하고 MeOH/EtOAc로 재결정하여 황색 고체인 Cpd. QQ (109 mg 100%)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80 ℃; 1H NMR [(CD3)2SO] δ 14.13 (br 1 H, N+H), 11.25 (s, 1 H, NH), 10.67 (s, 1 H, NH), 10.42 (S1 1 H, NH), 8.48 (t, J = 1. 5 Hz, 1 H, ArH), 8.27 (d, J = 6.8 Hz, 1 H, ArH), 8.22 (t,d, J = 7.9, 1.4 Hz, 1 H, ArH), 8.05-8.01 (m, 3 H, ArH), 7.89 (d, J = 9.6 Hz, 1 H, ArH), 7.85 (br, 4 H, 2× NH2), 7.66-7.59 (m, 2 H, ArH), 7.54 (d, J = 2.3 Hz, 1 H, ArH), 7.47 (d, J = 8.8 Hz, 2 H, ArH), 6.67 (d, J = 6.8 Hz, 1 H, ArH), 3.13 [s, 3, 6 H, (NCH3)2], 2.45 (s, 3 H, CH3); APCI +ve 481.
실시예 RR.
3-[(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RR1) 및 관련 화합물(CPD. RR2 및 CPD. RR3)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64
(i) 4-클로로퀴놀린/EtOH/H20/H+/환류, (ii) H2/Pd/C/MeOH
3-[(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RR1). EtOH (20 mL) 및 H2O (10 mL) 중 아민 B6 (204 mg, 0.55 mmol)의 용액에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126 mg, 0.61 mmol)을 첨가하고 이것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고 다음으로 2 방울의 c. HCl을 첨 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하고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Cpd. RR1 (224 mg 70 %)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4.75 (br, 1 H, N+H), 11.50 (br, 1 H, N+H), 11.10 (br, 1 H, NH), 10.50 (s, 1 H, NH), 9.88 (s, 1 H, NH), 9.77 (s, 1 H, NH), 9.76 (s, 1 H, ArH), 8.66 (d, J = 9.3 Hz, 1 H, ArH), 8.60 (d, J = 6.8 Hz, 1 H, ArH), 8.19 (d, J = 9.3 Hz, 1 H, ArH), 8.25 (d, J = 8.8 Hz, 2 H, ArH), 7.94 (br s 2 H, NH2), 7.71 (d, J = 7.6 Hz, 1 H, ArH), 7.56-7.42 (m, 6 H, NH2 & 4 x ArH), 6.91 (d, J = 6.8 Hz, 1 H, ArH), 5.44 (s, 1 H, ArH). HRMS (FAB+) calc. for C26H22N9O3 (M+1) m/z 508.1846, found 508.1841.
3-[(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RR2). EtOH (20 mL) 및 H2O (10 mL) 중 아민 B3 (205 mg, 0.55 mmol)의 용액에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135 mg, 0.64 mmol)을 첨가하고 이것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고 다음으로 2 방울의 c. HCl을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환류하고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Cpd. RR2 (217 mg, 68 %)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3.00 (br,2 H, 2 x N+H), 10.99 (br, 1 H, NH), 10.75 (br s, 1 H, NH), 10.53 (s, 1 H, NH), 9.75 (d, J = 1.9 Hz, 1 H, ArH), 8.64 (br d, J =7.4 Hz, 1 H, ArH), 8.60 (d, J = 6.7 Hz, 1 H, ArH), 8.17 (d, J = 9.3 Hz, 1 H, ArH), 8.15 (br, 1 H, NH), 8.07 (br s, 1 H, NH), 7.99 (d, J = 8.8 Hz, 2 H, ArH), 7.79 (br d, J = 7.5 Hz, 3 H, ArH), 7.57 (t, J = 7.9 Hz, 1 H, ArH), 7.48 (d, J = 8.8 Hz, 2 H, ArH), 6.91 (d, J = 6.7 Hz, 1 H, ArH), 6.22 (d, J = 0.6 Hz, 1 H, ArH), 2.30 (s, 3 H. CH3); HRMS (FAB+) calc. for C27H23N8O3 (M+1) m/z 507.1893, found 507.1888.
3-[(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N-{4-[(6-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RR3). 화합물 Cpd. RR2 (146 mg, 146 mg, 0.25 mmol)를 MeOH (30 ml)에 용해시키고, 3시간 동안 30 Hg mm에서 10% Pd/C (20 mg)로 수소화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증발 건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MeOH (10 mL)에 용해시키고 MeOH (0.5 mL) 중 1.25 M HCl과 함께 교반한 후, EtOAc을 첨가하여 침전시키고, 여과 및 건조하여 120mg의 화합물 7을 수득하였다. 이를 HPLC로 90% 정제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여과된 수성 NH3 중에서 교반함으로써 유리 염기로 전환시키고 공기 중 건 조하고 중성 알루미나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구배 (0-10%)의, 1% 수성 NH3를 함유하는 MeOH/DCM로 용출시킴))하여 83mg의 정제된 유리 염기를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MeOH에 용해시키고 MeOH 중 1.25 M HCl을 첨가함으로써 HCl 염으로 전환시켰다. 증발 건조하고 잔류물을 MeOH/EtOAc으로 재결정화시켜 Cpd. RR3 (88 mg, 64%)을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80-284 ℃; 1H NMR [(CD3)2SO] δ 14.0 (d, J = 5.4 Hz, 1 H, N+H), 12.78 (br s, 1 H, N+H), 10.79 (br s, 1 H, NH), 10. 50 (s, 1 H, NH), 10.19 (s, 1 H, NH), 8.22 ( t, J = 6.4 Hz, 2 H, ArH), 8.16-8.07 (br, 2 H, NH2), 7.96 ( d, J = 8.9 Hz, 2 H, ArH), 7.80 ( br s, 1 H, ArH), 7.78 (d, J = 9.0 Hz, 2 H, ArH), 7.56 (t, J = 8.0 Hz, 1 H, ArH), 7.47 ( br d, J = 2.1 Hz, 1 H, ArH), 7.43 (d, J = 8.7 Hz, 2 H, ArH), 7.39 (dd, J = 9.0, 2.2 Hz, 1 H, ArH), 6.67 (d, J = 6.8 Hz, 1 H, ArH), 6.23 (s, 1 H, ArH), 5.9 (v. br, 2 H, NH2), 2.31 (s, 3 H, CH3).
실시예 SS.
4-[(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디메틸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SS)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65
(i) 에탄올/H+/환류, (ii) AS/EDCI/DMAP/N-메틸피롤리디논
4-[(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벤조산 (01).
4-아미노벤조산 (D1) (2.0 g, 14.55 mmol), 및 2,6-디아미노-4-클로로피리미딘 (B4) (2.013g, 14.55 mmol)을 2-에톡시에탄올 (20 mL)에 용해시켰다. 2 방울의 c. HCl을 당해 혼합물에 첨가하고 20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20℃로 냉각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화합물 O1 (3.12 g, 56%)을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 1H NMR [(CD3)2SO] δ 12.65 (br, 1 H, COOH 또는 N+H), 11.84 (br s, 1 H, N+H 또는 COOH), 10.07 (s, 1 H, NH), 7.86 (br d, J = 8.7 Hz, 2 H, ArH), 7.75 (v.br d, J = 7.8, 2 H, ArH), 7.64 (br, 2 H, NH2), 7.51 (br, 2 H, NH2), 5.50 (s, 1 H, ArH).
4-[(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디메틸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SS). N-메틸피롤리디논 (5mL) 중 화합물 01 (101.4 mg, 0.36 mmol), EDCI (138 mg, 0.72 mmol) 및 DMAP (88 mg, 0.36 mmol)을 5분 동안 20℃에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화합물 11 (100 mg, 0.36 mmol) 및 Et3N (0.2 mL, 1.44 mmol)을 첨가하고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량 샘플을 TLC(AI2O3/DCM/MeOH 5% 및/aq NH3)했을 때 화합물 11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추가의 EDCl (138 mg 0.72 mmol)을 첨가하고 72시간 교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다음으로 H2O로 희석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수세하고 공기 중 건조하여, 구배 0-5%의 DCI/MeOH로 용출시키는 중성 알루미나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미반응된 11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음으로 1% aq. NH3를 첨가하여 생성물 12를 용출시켰다. 이를 소량의 MeOH 중 용해시키고, MeOH (0.5 mL) 중 1.25 M HCl과 함께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Cpd. SS (84 mg, 40%)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83-287 ℃; 1H NMR [(CD3)2SO] δ 14.14 (d, J = 4.7 Hz, 1 H, N+H), 11.81 (br, 1 H, N+H), 10.42 (s, 1 H, NH), 10.39 (s, 1 H, NH), 10.09 (s, 1 H, NH), 8.26 (t, J = 6.4 Hz 1 H, ArH), 8.02-7.98 (m, 4 H, ArH), 7.89 (d, J = 8.7 Hz, 1 H, ArH), 7.80 (br d, 2 H, ArH), 7.68 (br, 2 H, NH2), 7.64 (dd, J = 9.4, 2.5 Hz, 1 H, ArH), 7.53 (dd, J = 9.3, 2.5 Hz, 1 H, ArH), 7.52 (br s, 2 H, NH2), 7.45 (d, J = 8.9 Hz, 2 H, ArH), 6.66 (d, J = 6.8 Hz, 1 H, ArH), 5.51 (s, 1 H, ArH), 3.12 [s, 6 H, N(CH3)3].
실시예 TT.
4-[(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TT)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66
(i) MeOH/HCl/환류, (ii) H2/Pd/C/Me0H, (iii) 4-클로로퀴놀린/2:1 EtOH/H2O/H+ 환류
4-[(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P2). 아민 P1 (1.0 g, 3.89 mmol) 및 클로로피리미딘 B4 (1.12 g, 7.78 mmol)을 가열하여 MeOH (200 mL)에 용해시키고, 그 후 c. HCl (3 방울)을 첨가하고 5일 동안 환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20 ℃로 냉각하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MeOH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본질상 순수한 화합물 P2 (814 mg 52%)을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11.84 (s, 1 H, N+H), 10.75 (s, 1 H, NH), 10.12 (s, 1 H, NH), 8.28-8.24 (m, 2 H, ArH), 8.11-8.07 (m, 2 H, ArH), 8.24 (br d, J = 8.7 Hz, 2 H, ArH), 7.83 (br, 2 H, ArH), 7.68 (br, 2 H, NH2), 7.54 (br, 2 H, NH2), 5.51 (s, 1 H, ArH). HRMS (FAB+) calc. for C15H16N7O3 (M+) m/z 366.1315, found 366.1306.
N-(4-아미노페닐)-4-[(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P3). MeOH 100 (mL) 중 화합물 P2 (811 mg, 2.01 mmol)의 현탁액을 20시간 동안 40 Hg mm H2 압력에서 10% Pd/C (100 mg)로 수소화하였다. 생성된 새로운 현탁액을 MeOH (5 mL) 중 1.25 M HCl과 함께 교반하여 생성물을 용해시키고 이를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여 Pd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증발 건조하고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화합물 P3 (785 mg, 100 %)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10.02 (s, 1 H, NH), 9.88 (s, 1 H, NH), 7.91 (d, J = 8.7 Hz, 2 H, ArH), 7.74 (d, J = 8.5 Hz, 2 H, ArH), 7.62 (br, 2 H, NH2), 7.68 (br s, 2 H, NH2), 7.47 (d, J = 8.8 Hz, 2 H, ArH), 6.71 (d, J = 8.7 Hz, 2 H, ArH), 5.45 (s, 1 H, ArH).
4-[(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TT). EtOH (20 mL) 및 H2O (10 mL) 중 화합물 P3 (128 mg, 0.34 mmol)의 용액에 4-클로로퀴놀린 (127 mg, 0.51 mmol)을 첨가하고 이것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 후, 2 방울의 c.HCl를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하고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Cpd. TT (151 mg, 83%)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63-267 ℃; 1H NMR[(CD3)2SO] δ 14.10 (br, 1 H, N+H), 11.90 (br, 1 H, N+H), 10.89 (s, 1 H, NH), 10.40 (s, 1 H, NH), 10.04 (s, 1 H, NH), 8.77 (d, J = 8.7 Hz, 1 H, ArH), 8.51 (d, J = 7.0 Hz, 1 H, ArH), 8.06-7.98 (m, 6 H, ArH), 7.83-7.79 (m, 3 H, ArH & NH2), 7.61 (br, 2 H, NH2), 7.47 (d, J = 8.9 Hz, m, 2 H, ArH), 6.78 (d, J = 7.0 Hz, 1 H, ArH), 5.45 (s, 1 H, ArH).
실시예 UU.
N-{4-[(6-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3-[(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UU)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67
(i) H2/Pd/C/MeOH
N-{4-[(6-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3-[(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UU). 3-[(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RR1) (148 mg, 0.25 mmol)를 MeOH (30 ml)에 용해시키고, 20시간 동안 30 Hg mm에서 10% Pd/C (20 mg)로 수소화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증발 건조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MeOH (10 mL)에 용해시키고, MeOH (0.5 mL) 중 1.25 M HCl과 함께 교반한 후 EtOAc를 첨가하여 침전시키고, 여과 및 건조시켜 90mg의 화합물 1을 수득하였다. 이를 HPLC로 78% 정제하였다. 그 후, 이를 수성 NH3 중에서 교반함으로써 유리 염기로 전환시키고 여과 및 공기 중 건조하고, 1.5% aq NH3를 함유하는 구배 0-7%의 MeOH/DCM로 용출시키는 중성 알루미나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SN 31043 (51 mg, 43%)의 정제된 유리 염기 51mg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MeOH에 용해시키고, MeOH 중 1.25 M HCl을 첨가함으로써 HCl 염으로 전환시켰다. 증발 건조하고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결정하여 Cpd. UU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50-255 ℃; 1H NMR [(CD3)2SO] δ 14.15 (d, J = 6.1 Hz, 1 H, N+H), 11.70 (br 1 H, N+H), 10.48 (s, 1 H, NH), 10.46 (s, 1 H, NH, 10.21 (S, 1 H, NH), 8.22 (t, J = 6.5 Hz, 1 H, ArH), 8.05-7.89 (m, 4 H, ArH), 7.79 (d, J = 9.1 Hz, 1 H, ArH), 7.71 (br d, J = 7.5 Hz, 1 H, ArH), 7.59 (br, 2 H, NH2), 7.53-7.38 (m, 8 H, ArH & NH2), 6.67 (d, J = 6.7 Hz, 1 H, ArH), 5.45 (s, 1 H, ArH). HPLC 순도 %. HRMS (FAB+), calc. for C26H23N9O (M+1) m/z 478.2104, found, 478.2103.
실시예 VV.
D[(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VV1 ) 및 이와 관련된 화합물(CPD. VV2)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68
(i) EtOH/H2O/환류; (ii)H2O/Pd/C/MeOH
4-[(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N-{4-[(6-니트로-4-퀴놀리닐)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VV1). EtOH (20 mL) 및 H2O (10 mL) 중 화합물 P3 (288 mg, 0.76 mmol)의 용액에 4-클로로-6-니트로퀴놀린 (196 mg, 0.94 mmol)을 첨가하고 이것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 후, 2 방울의 c. HC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하고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Cpd. VV1 (445 mg 99 %)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60-265 ℃; 1H NMR [(CD3)2SO] δ 11.38 (br s, 1 H, N+H), 10.43 (s, 1 H, NH), 10.10 (s, 1 H, NH), 9.81 (d, J = 2.1 Hz, 1 H, NH), 8.78 (dd, J = 9.3, 2.2 Hz, 1 H, ArH), 8.84 (d, J = 7.2 Hz, 1 H, ArH), 8.24 (d, J = 9.3 Hz, 1 H, NH), 8.04-7.98 (m, 4 H, ArH), 7.81 (br d, J = 7.4 Hz, 2 H, ArH), 7.68 (br s, 2 H, NH2), 7.53( br s, 2 H, NH2), 7.48 (d, J = 8.9 Hz, 2 H, ArH), 6.90 (d, J = 7.0 Hz, 1 H, ArH), 5.52 (s, 1 H, ArH). HPLC 순도 100%; HRMS (FAB+) calc for C26H21N9O3 (M+1) m/z 508.1846, found 508.1844; Anal. Calc. for C26H23Cl2N9O3O3.4H2O: C, 47.9; H, 4.2; N, 19.3; Cl, 10.9; found C, 48.0; H, 4.4; N, 19.2; Cl, 11.1 %.
N-{4-[(6-아미노-4-퀴놀리닐)아미노]페닐}-4-[(2,6-디아미노-4-피리미디닐)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VV2). Cpd. VV1 (211 mg, 0.36 mmol)의 용액을 MeOH (30 ml)에 용해시키고 5시간 동안 30 Hg mm에서 10% Pd/C (20 mg)로 수소화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증발 건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MeOH (10 mL)에 용해시키고, MeOH (0.5 mL) 중 1.25 M HCl과 함께 교반한 후 MeOH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MeOH에 재용해하고 증발 건조시킨 후 MeOH/EtOAc로부터 재결정화시켜 178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HPLC로 93%만 정제하였다. 그 후, 이를 수성 NH3 중에서 교반함으로써 유리 염기로 전환시키고 여과 및 공기 중 건조하고, 1.5% aq NH3를 함유하는 구배 0-7.5%의 MeOH/DCM로 용출시키는 중성 알루미나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Cpd. VV2의 정제된 유리 염기를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MeOH에 용해시키고, MeOH 중 1.25 M HCl을 첨가함으로써 HCl 염으로 전환시켰다. 증발 건조 후 잔류물을 MeOH/ EtOAc로부터 재결정화시켜 Cpd. VV2 (138 mg, 70%)를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262-266 ℃; 1H NMR [(CD3)2SO] δ 14.11 ( br s, 1 H, N+H), 11.81 (br, 1 H, N+H), 10.36 (s, 1 H, NH), 10.19 (s, 1 H, NH), 10.08 (s, 1 H, NH), 8.21 (t, J = 6.0 Hz, 1 H, ArH), 8.00-7.96 (m, 4 H, ArH), 7.79 (br s, 2 H, NH2), 7.78 (d, J = 9.1 Hz, 1 H, ArH), 7.67 (br s, 2 H, NH2), 7.53 (br s, 2 H, NH2), 7.48 (br s, 1 H, ArH), 7.42-7.38 (m, 3 H, ArH), 6.66 (d, J = 6.7 Hz, 1 H, ArH), 6.00 (v.br, 2 H, NH2), 5.51 (s, 1 H, ArH). HPLC 순도 99.7%; HRMS (FAB+) calc. for C26H24N9O (M+1) m/z 478.2104 found 478.2107.
실시예 WW.
N-메틸-N-[4-(피리딘-4-일아미노)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U. WW)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69
N-메틸-4-니트로-N-[4-(피리딘-4-일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 무수 디옥산 (70 mL) 중 아민 1 (0.82 g, 4.10 mmol)의 용액에 무수 피리딘 (1.65 mL, 20.50 mmol) 및 산 클로라이드 2 (2.08 g, 11.19 mmo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60시간 환류하였다. 이 후, 당해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수집하였다. 여액에 수성 NH3를 첨가하여 염기성화하고 생성된 제2 뱃치의 고체를 여과로 수집하였다. 고체 뱃치를 통합하여 무정형 황색 고체(3.46 g)의 아미드 3을 수득하고, 이를 1H NMR 및 MS로 분석하고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8.88 (dd, J = 6.32, 1.32 Hz, 4H, ArC(O)N(CH3)Ar & ArNHAr), 8.32 (ddd, J, = 9.17, 4.31, 2.27 Hz, 4H, ArH), 8.17 (ddd, J = 9.17, 4.31, 2.28), 7.98 (dd, J = 7.59, 6.50 Hz, 4H, ArH) [피리딜-N+-H는 관찰되지 않음]; LCMS (APCI+): 349 (100%).
4-아미노-N-메틸-N-[4-(피리딘-4-일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 MeOH (~40 mL) 중 아미드 3 (3.46 g, 8.99 mmol)의 용액에 스파튤러 끝 만큼의 10% Pd/C를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16시간 40psi에서 수소화하였다. 이 후, 당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침전하여 무정형 크림형 고체인 아민 4(0.25 g, 1로부터 15%)를 수득하였다; mp 235-238 ℃ (분말 -tar), 245-249 ℃ (가스 발생); 1H NMR: 13.85 (v br s, 1 H, 피리딘-N+-H), 10.75 (s, 1 H, ArNHAr), 8.28 (d, J = 7.23 Hz, 2H, ArH), 7.25 (s, 4H, ArH), 7.16 (d, J = 8.44 Hz, 2H, ArH), 7.07 (d, J = 7.03 Hz, 2H, ArH), 6.73 (d, J = 7.79 Hz, 2H, ArH), 3.36 (s, ArC(O)N(CH3)Ar) [ArN+H3은 관찰되지 않음]; HRMS (El) calc. for C19H18N4O m/z 318.1481 , found 318.1481.
N-메틸-N-[4-(피리딘-4-일아미노)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Cpd. WW. 20% 수성 EtOH (40 mL) 중 아민 4 (0.23 g, 0.58 mmol)의 용액에 퀴놀린 5 (0.22 g, 1.36 mmol) 및 c.HCl (0.17 mL, 5.6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환류하였다. 이 후,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침전시켜 Cpd. WW를 연황색 무정형 고체(0.27 g, 91 %)로 수득하였다. mp 287-292 ℃ (tar-액체); 1H NMR: 14.6 (v br s, 1 H, 퀴놀리닐-N+-H), 13.84 (v br s, 1 H, 피리디닐-N+-H, 1 H), 11.02 (s, 1 H, ArNHAr), 10.95 (s, 1 H, ArNHAr), 8.80 (d, J = 8.49 Hz, 1 H, ArH), 8.58 (d, J = 6.95 Hz, 1 H, ArH), 8.28 (d, J = 7.28 Hz, 2H, ArH), 8.06 (m, 2H, ArH), 7.79 (ddd, J = 8.31, 6.80, 1.30 Hz, 1 H, ArH), 7.49 (d, J = 8.50 Hz, 1 H, ArH), 7.40 (d, J = 8.53 Hz, 1 H, ArH), 7.36 (d, J = 8.78 Hz, 1 H, ArH), 7.31 (m, 4H), 7.13 (d, J = 7.10 Hz, 2H, ArH), 6.76 (d, J = 6.94 Hz, 1 H, ArH), 3.44 (s, 3H, ArC(O)N(CH3)Ar); HRMS (FAB+): calc. for C28H24N5O (MH+) m/z 446.1981, found 446.1985; HPLC: 96.3%.
실시예 XX.
N-{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페닐}-5-(4-퀴놀리닐아미노)-2-피리딘카복스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U. XX)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70
N-{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6): 에탄올 (50 mL) 중 4-아미노아세트아닐리드 14 (3.55g, 23.64 mmol) 및 2-아미노-4-클로로-6-메틸피리미딘 15 (3.73 g, 26 mmol)의 혼합물에 C. HCl (2 방울)을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환류 조건 하에서 2시간 교반하고 20℃로 냉각시키고, 생성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에탄올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본질상 순 수한 16(6.38g, 92%)을 수득하였다; mp (EtOH) 203-207 ℃; 1H NMR [(CD3)2SO] δ 12.60 (br, 1 H, N+H), 10.50 (br 1 H, NH), 10.02 (s, 1 H, NH), 7.60- 7.58 (br m, 6 H, NH2 & ArH), 6.13 (s, 1 H, H-5"), 2.26 (s, 3 H, CH3), 2.04 (s, 3 H, CH3); HRMS (FAB<+>), calc. for C13H16N5O (M+1) m/z 258.1355, found 258.1346.
N 4 -(4-아미노페닐)-6-메틸-2,4-피리미딘디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7): 16 (6.0 g, 20 mmol)의 현탁액에 2N HCl (40 mL)을 첨가하고 당해 혼합물을 20시간 환류하였다. 용매를 증발 건조하고 잔류물을 MeOH 중에서 끓인 후 EtOAc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EtOAc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본질상 순수한 17 (5.Og, 97%)을 수득하였다 ; mp (MeOH/EtOAc) 275-280 ℃; 1H NMR [(CD3)2SO] δ 12.50 (br, 1 H, N+H), 10.75 (br s, 1 H, NH), 9.75 (br s, 2 H, NH2), 7.85 (br s, 4 H, NH2 & ArH)), 7.34 (d, J = 8.6 Hz, 2 H, ArH), 6.24 (br s, 1 H, ArH), 2.79 (s, 3 H, CH3), HRMS (FAB+) calc. for C11H14N5 (M+1) m/z 216.1249, found 216.1247.
N-{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페닐}-5-니트로-2-피리딘카복스아미드 20. 5-니트로피리딘-2-카복실산 18 (1.06g, 6.31 mmol)을 1시간 POCl3 (10 mL) 중에서 환류하고(맑은 용액이 생성됨), 20℃로 냉각시키고 초과분의 POCl3를 진공 하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1,4-디옥산 ((20 mL)에 용해시키고 서서히 1,4-디옥산 (20 mL) 중 17 (1.44 g, 5.72 mmol) 및 N,N-디에틸아닐린 (2.0 mL, 12.62 mmol)의 현탁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3일 동안 20 ℃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1,4-디옥산으로 수세하였다. 고체를 수성 NH3 (20 mL) 중에서 교반하고 생성된 적색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수세한 후 MeOH로 재결정화시켜 20 (708 mg, 31 %)를 수득하였다; mp (MeOH) >290℃; 1H NMR ([(CD3)2SO] δ 10.74 (1 H, NH), 9.43 (dd, J = 2.6, 0.5 Hz, 1 H, H-6), 8.96 (s, 1 H, NH), 8.81(dd, J = 8.6, 2.6 Hz, 1 H, H-4), 8.38 (dd, J = 8.6, 0.6 Hz, 1 H, H-3), 7.81 (d, J = 9.0 Hz, 2 H, H-2' H-6'), 7.70 (d, J = 9.1 Hz, 2 H, H-3', 5'), 6.09 (s, 2 H, NH2), 5.87 (s, 1 H, H-5"), 2.09 (s, 3 H, CH3); HRMS (FAB+) calc. for C17H16N7O3 (M+1) m/z 366.1315, found 366.1314; Anal, calc. for C17H15N7O3.0.25 MeOH: C, 55.5; H, 4.4: N, 26.3; found, C, 55.7; H, 4.5; N, 26.2%.
5-아미노-N-{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페닐}-2-피리딘카복스아미드 (21): 20 (523 mg, 1.43 mmol)의 현탁액을 1:1 MeOH/THF (100 ml) 중에 현탁시키고 10 % Pd/C (100 mg)를 첨가하고 5시간 55 Hg mm에서 수소화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DCM/Pet.에테르로 재결정화시켜 21 (649 mg, 96%)를 수득하였다; mp (DCM/Pet.ether) >290℃; 1H NMR [(CD3)2SO] δ 10.05 (s, 1 H, NH), 8.85 (s, 1 H, NH), 8.25 (d, J = 2.5 Hz, 1 H, H-6), 7.82 (d, J = 8.6 Hz, 1 H, H-3), 7.73 (d, J = 9.0 Hz, 2 H, H-2',6'), 7.60 (d, J = 9.0 Hz, 2 H, H-3',5'), 7.03 (dd, J = 8.5, 2.7 Hz, 1 H, H-4), 6.04 (brs, 2 H, NH2), 6.03 (brs, 2 H, NH2), 5.85 (s, 1 H, H-5"), 2.08 (s, 3 H, CH3); Anal. calc. for C17H17N7).0.25 H2O C, 60.1 ; H, 5.2; N, 28.9; found, C, 60.0; H, 5.2; N, 28.7%.
N-{4-[(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페닐}-5-(4-퀴놀리닐아미노)-2-피리딘카복스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22) (Cpd. XX).
EtOH (30 mL) 및 H2O (15 mL) 중 21 (270 mg, 0.81 mmol)의 용액에 몇 방울의 c.HCl을 첨가하고, 4-클로로퀴놀린 (264 mg, 1.62 mmol, 2 당량)을 첨가한 후 용해될 때까지 20℃에서 교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고 추가의 4-클로로퀴놀린 (264 mg, 1.62 mmol)을 첨가하고 20시간 환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연황색 고체(HPLC로 95% 정제)를 수득하였다. 당해 고체를 수성 NH3 중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수세하고 건조한 후, MeOH로 재결정화시켜 생성물(300 mg)의 유리 염기를 수득하였다. (이를 HPLC로 98% 정제하였다) 다음으로 당해 유기 염기를 MeOH (2.5 mL) 중 1.25M HCl을 첨가함으로써 HCl염으로 전환하고 30분 교반하고 증발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EtOAc로 재결정화시켜 22 (SN 31319) (297 mg 69%)를 수득하였다 ; HPLC 99.2%; mp (MeOH/EtOAc) >290℃; 1H NMR [(CD3)2SO] δ 15.00 (br, 1 H, N+H), 12.50 (br, 1 H, N+H), 11.23 (brs, 1 H, NH), 10.74 (s, 1 H, NH), 10.65 (brs, 1 H, NH), 8.92 (d, J = 2.3 Hz, 1 H, ArH), 8.89 (d, J = 8.5 Hz, 1 H, ArH), 8.66 (d, J =6.8 Hz, 1 H, ArH), 8.31 (d, J = 8.5 Hz, 1 H, ArH), 8.22 (dd, J = 8.4, 2.5 Hz, 1 H, ArH), 8.15 (d, J = 7.9 Hz, 1 H, ArH), 8.08 (t, J = 7.9 Hz, 1 H, ArH), 7.96 (d, J =8.9 Hz, 2 H, ArH), 7.87 (t, J = 7.6 Hz, 1 H, ArH), 7.77 (br, 3 H, ArH & NH2), 7.13 (d, J = 6.8 Hz, 1 H, ArH), 6.18 (s, 1 H, ArH), 2.28 (s, 3 H, CH3) 방향족 CH 시그날 중 어느 하나도 관찰되지 않았다; Anal. calc. for C26H24Cl2N8O.0.5 H2O: C, 57.4; H, 4.6; N, 20.6; Cl, 13.0; found, C, 57.3; H, 4.8; N, 20.7; Cl, 12.7%.
실시예 YY.
N-{6-[(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3-피리디닐}-4-(4-퀴놀리닐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U. YY)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71
6-메틸-N 4 -(5-니트로-2-피리디닐)-2,4-피리미딘디아민 (9).
에탄올 (30 mL) 중 2-아미노-5-니트로피리딘 1 (1.23g, 8.84 mmol) 및 2-아미노-4-클로로-6-메틸피리미딘 (1.40, g, 9.72 mmol)의 용액에 몇 방울의 c. HCl을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2일 환류하고 20℃로 냉각하고, 에탄올을 증발 건조시켰다. 생성된 갈색의 글루(glue)를 MeOH 중 교반하여 여과될 수 있는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여과하고 추가의 MeOH로 수세하여 하이드로클로라이드염인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1H NMR은 당해 물질이 완전히 정제된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당해 물질을 수성 NH3 중에서 교반함으로써 유리 염기로 전환시키고 여과하고 재결정화시켜 9 (682 mg, 31 %)를 수득하였다; mp (MeO) >300 ℃; 1H NMR [(CD3)2SO] δ 10.47 (s, 1 H, NH), 9.10 (dd, J = 2.8, 0.4 Hz, 1 H, H-6'), 8.39 (dd, J = 9.4, 2.8 Hz, 1 H, H-4'), 8.28 (dd, J = 9.3, 0.3 Hz, 1 H, H-3'), 6.63 (s, 1 H, H-5), 6.39 (s, 2 H, NH2), 2.18 (s, 3 H, CH3); HRMS (El+) calc. for C10H10N6O2 (M+) m/z 246.0865, found 246.0866; Anal. calc. for C10H10N6O2: C, 48.8; H, 4.1 ; N, 34.1 ; found C, 48.7; H, 4.2; N, 34.1 %.
N 4 -(5-아미노-2-피리디닐)-6-메틸-2,4-피리미딘디아민 (10). 화합물 9 (634 mg, 246 mmol)를 MeOH (50 mL) 중에서 20시간동안 45 Hg mm에서 10% Pd/C (100mg)로 수소화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10 (550 mg, 99%)을 수득하였다; mp (MeOH) 230-233 ℃; 1H NMR [(CD3)2SO] δ 8.96 (s, 1 H, NH), 7.70 (d, J = 8.7 Hz, 1 H, H-3'), 7.65 (d, J = 2.5 Hz, 1 H, H-6'), 6.95 (dd , J = 8.8, 2.9 Hz, H-4'), 6.30 (s, 1 H, H-5), 5.94 (s, 2 H, NH2), 4.84 (s, 2 H, NH2), 2.07 (s, 3 H, CH3); HRMS (FAB+) calc. for C100H13N6 (M+1) m/z 217.1202, found 217.1202; Anal. calc. for C100H12N6; C, 55.5; H, 5.6; N, 38.9; found C, 55.3; H, 5.7; N, 38.6%.
N-{6-[(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3-피리디닐}-4-니트로벤즈아미드 (11). 0℃에서 1,4-디옥산 (20 ml) 중 10 (500 mg, 2.31 mmol) 및 N,N-디에틸아닐린 (1 ml, 1.5 당량)의 현탁액에 p-니트로벤조일클로라이드(429 mg, 12.31 mmol) 용액을 점적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20℃에서 교반하였다. TLC 및 질량 스펙트럼으로 10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가의 p-니트로벤조일클로라이드(43 mg, 0.1 당량)를 첨가하고 20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1,4-디옥산으로 수세하였다. 수집된 고체를 수성 NH3 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한 후 물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본질상 순수한 11 (821 mg, 97%)을 수득하였다; mp (MeOH) >300℃; 1H NMR [(CD3)2SO] δ 10.58 (s, 1 H, NH), 9.56 (s, 1 H, NH), 8.65 (d, J = 2.5 Hz, 1 H, H-2'), 8.38 (d, J = 8.9 Hz, 2 H, H-3,5), 8.20 (d, J = 9.2 Hz, 2 H, H-2,6), 8.17 (d, J = 9.1 Hz, 1 H, H-5'), 8.02 (dd, J = 9.0, 2.6 Hz, 1 H, H-4'), 6.45 (s, 1 H, H-5"), 6.15 (s, 2 H, NH2), 2.12 (s, 3 H, CH3); HRMS (FAB+) (M+1) m/z calc. for C17H16N7O3 (M+1) m/z, 366.1315, found 366. 1314; Anal. calc. for C17H15N7O3: C,55.9; H, 4.1 , N, 26.8, found C,55.6; H, 4.2; N, 26.8%.
4-아미노-N-{6-[(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3-피리디닐}벤즈아미드 12. 1:1 MeOH/THF (100 ml) 중 11 (790 mg, 2.16 mmol)의 현탁액에 10 % Pd/C (100 mg)를 첨가하고 20시간 동안 45 Hg mm에서 수소화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고 DCM/Pert.에테르로 재결정화시켜 12 (695 mg, 96%)를 수득하였다; mp (DCM/pet.ether) >300℃; 1H NMR [(CD3)2SO] δ 9.78 (s, 1 H, NH), 9.45 (s, 1 H, NH), 8.63 (dd, J = 2.4, 0.3 Hz, 1 H, H-2'), 8.09 (d, J = 9.0 Hz, 1 H, H-5'), 7.98 (dd, J = 9.0, 2.6 Hz, 1 H, H-4'), 7.72 (d, J = 8.7 Hz, 2 H, H-2,6), 6.61 (d, J = 8.7 Hz, 2 H, H-3,5), 6.43 (s, 1 H, H-5"), 6.13 (s, 2 H, NH2), 5.73 (s, 2 H, NH2), 2.12 (s, 3 H, CH3); HRMS (FAB+) calc. for C17H18N7O (M+1) m/z 336.1573, found 336.1578; Anal. calc. for C17H17N70.25H2O: C, 60.1 ; H, 5.2; N, 28.9; C, 60.2; N, 5.3; N, 29.0%.
N-{6-[(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3-피리디닐}-4-(4-퀴놀리닐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13) (Cpd. YY). EtOH (40 mL) 및 H2O (20 mL) 중 12 (250 mg, 0.75 mmol)의 용액에 몇 방울의 c.HCl을 첨가하고 또한 4-클로로퀴놀린 (159 mg, 0.98 mmol, 1.3 당량)을 첨가한 후 용해될 때까지 2O℃에서 교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하고 추가의 4-클로로퀴놀린 (100 mg)을 첨가하고 20시간 환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연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HPLC로 75% 정제). 당해 고체를 수성 NH3 중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유리 염기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HPLC로 96% 정제하였다. 다음으로, 당해 유리 염기를 MeOH (2.5 mL) 중 1.25M HCl을 첨가하여 HCl 염으로 전환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증발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MeOH (10 mL) 중 교반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13 (Cpd. YY) (365 mg 91 %)을 수득하였다 ; HPLC 98.9%; mp (MeOH) >290℃; 1H NMR [(CD3)2SO] δ 14.70 (br 1 H, N+H), 12.98 (br, 1 H, N+H), 11.12 (s, 1 H, NH), 11.01(s, 1 H, NH), 10.68 (s, 1 H, NH), 8.88 (d, J = 3.0 Hz, 1 H, ArH), 8.84 (d, J = 8.6 Hz, 1 H, ArH), 8.62 (d, J = 6.9 Hz, 1 H, ArH), 8.26 (dd, J = 9.0, 2.6 Hz, 1 H, ArH), 8.22 (d, J = 8.6 Hz, 2 H, ArH), 8.15-8.05 (m, 2 H, ArH), 7.86 (ddd, J = 7.6, 6.8, 1.5 Hz, 1 H, ArH), 7.70 (d, J = 8.6 Hz, 2 H, ArH), 7.01 (d, J = 6.9 Hz, 1 H, ArH), 7.02 (v.br, 1 H, ArH), 2.32 (s, 3 H, CH3), NH2 및 방향족에 대한 시그날은 관찰되지 않았다; HRMS (FAB+) calc. for C26H23N8O (M+1) m/z 463.1995, found 463.1996; Anal. calc for C26H24N8Cl2O.HCl.0.25H2O:, C, 54.2; H, 4.5; N, 19.4; Cl, 18.5; found C, 54.2; H, 4.5; N, 19.3; Cl, 17.7%.
실시예 ZZ.
N-{5-[(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2-피리디닐}-4-(4-퀴놀리닐아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ZZ)의 제조
Figure 112009028476796-PCT00072
N-{5-[(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2-피리디닐}아세트아미드 4. EtOH (30 mL) 중 N-(5-아미노-2-피리디닐)아세트아미드 2(1.04 g, 6.88 mmol), 및 2-아미노-4-클로로-6-메틸피리미딘 (1.09 g, 7.57 mmol)의 용액에 2 방울의 c. HCl을 첨가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2시간 환류하고 20 ℃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추가의 에탄올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1.85 g을 수득하였으며, 추 가의 물질 (165 mg)을 모액 농축물로부터 분리하였다. 4의 총 수득율은 99.3 %이었다. mp (MeOH/EtOAc) >300 ℃. 1H NMR [(CD3)2SO] δ 12.77 (br, 1 H, NH), 10.72 (br, 1 H, NH), 10.44 (s, 1 H, NH), 8.63 ( br s, 1 H, ArH), 8.13-8.06 (m, 2 H, ArH), 7.79 (v. br, 2 H, NH2), 6.18 (s, 1 H, ArH), 2.30 (s, 3 H, COCH3), 2.09 (s, 3 H, CH3); HRMS (FAB+) calc. for C12H15N6O (M+1) m/z 259.1307, found 259.1304; Anal. Calc. for C12H15Cl6N6O.H2O: C, 46.1 ; H, 5.5; N, 26.9; Cl, 11.3; found C, 45.9; H, 5.5; N, 26.4; Cl, 11.45%.
N 4 -(6-아미노-3-피리디닐)-6-메틸-2,4-피리미딘디아민 5. 1,4-디옥산/MeOH (1:1, 100 mL) 중 4 (1.53 g, 5.19 mmol), 및 2 N HCl [10 mL, H2O mL + c. HCl 2 mL]의 현탁액을 24시간 환류하였다. 당해 용매를 증발 건조하고 잔류물을 수성 NH3로 염기성화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EtOAc (10×50 mL)로 추출하고, 건조 (Na2SO4) 및 용매를 증발시켜 5 (1.11 g, 99%)를 수득하였다. 소량의 샘플을 DCM/Pet.에테르로 재결정화하였다; mp (DCM/Pet.ether) 183-186 ℃; 1H NMR [(CD3)2SO] δ 8.41 (s, 1 H, NH), 8.01 (d, J = 2.5 Hz, 1 H, H-2'), 7.56 (dd, J = 8.7, '), 6.42 (d;2.6 Hz, 1 H, H-4 J = 8.8 Hz, 1 H, H-5'), 5.90 (s, 2 H, NH2), 5.67 (s, 1 H, H-5), 5.59 (s, 2 H, NH2, H, CH), 2.03 (s, 33) HRMS (El+) calc. for C10H12N6 (M+) m/z 216.1123, found 216.1124; Anal. Calc. for C10H12N6.0.25 H2O: C, 54.4; H, 5.7; N, 38.1 ; found, C, 54.4; H, 5.7; N, 37.9%.
N-{5-[(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2-피리디닐}-4- 니트로벤즈아미드) 6. 0℃에서 1,4-디옥산 (20 mL) 중 5 (830 mg, 3.84 mmol) 및 N,N-디에틸아닐린 (1.0 mL, 5.76 mmol)의 현탁액에 1,4-디옥산 (20 mL) 중 4-니트로벤조일클로라이드(720 mg, 3.88 mmol) 용액을 점적 첨가하였다. 당해 첨가가 완료된 후 당해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디옥산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H2O (50 mL) 중에서 교반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수성 NH3, H2O, 및 pet. 에테르로 수세하였다. 당해 잔류물을 MeOH 중에서 비등시키고 불용성 적색 고체를 수집하였다. 이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하여 본질상 순수한 6 (903 mg, 65%)을 수득하였다, [반복하는 경우 생성물은 디옥산으로부터 여과되어 추가 단계를 피할 수 있다]; mp (MeOH) 294-297℃; 1H NMR [(CD3)2SO] 10.99 (s, 1 H, NH), 9.14 (s, 1 H, NH), 8.68 (d, J = 2.5 Hz, 1 H, H-6'), 8.32 (d, J = 8.9 Hz, 2 H, H-3&5), 8.27 (dd, J = 9.0, 2.7 Hz, 1 H, H-4'), 8.23 (d, J = 8.9 Hz, 2 H, H-2&H-6), 8.08 (d, J = 9.0 Hz, 1 H, H-3'), 6.18 (s, 2 H, NH2), 5.88 (s, 1 H, H- 5"), 2.11 (s, 3 H, CH3); HRMS(FAB+), calc. for C17H16N7O3 (M+1) m/z 366.1315, found 366.1312; Anal. calc. for C17H15N7O3-CH3OH: C, 54.4; H, 4.8; N, 24.7; found C, 54.5; H, 4.8; N, 24.7%.
4-아미노-N-{5-[(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2-피리디닐}벤즈아미드 7. 1:1 MeOH/THF (100 ml) 중 6 (802 mg, 2.19 mmol)의 현탁액에 10 % Pd/C (100 mg)를 첨가하고 20시간 동안 45 Hg mm에서 수소화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고 DCM/Pert.에테르로 재결정화시켜 7 (697 mg, 95%)을 수득하였다; mp (DCM/pet. 에테르) 157-161℃; 1H NMR [(CD3)2SO] δ 9.98 (s, 1 H, NH), 9.03 (s, 1 H, NH), 8.59 (d, J = 2.4 Hz, 1 H, H-6'), 8.16 (dd, J = 9.0, 2.7 Hz, 1 H, H-4'), 8.04 (d, J = 8.9 Hz, 1 H, H-3'), 7.77 (d, J = 8.7 Hz, 2 H, H-2,6), 6.57 (d, J = 8.7 Hz, 2 H, H-3,5), 6.13 (s, 2 H, NH2), 5.13 (s, 1 H, H-5"), 5.74 (s, 2 H, NH2), 2.10 (s, 3 H, CH3); HRMS(FAB+), calc. for C17H18N7O (M+1) m/z 336.1573, found 366.1574; Anal. calc. for C17H17N7O.2H2O: C, 55.0; H, 5,7; N, 26.4; found C, 55.2; H, 5.7; N, 26.3%.
N-{5-[(2-아미노-6-메틸-4-피리미디닐)아미노]-2-피리디닐}-4-(4-퀴놀리닐아 미노)벤즈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8 (Cpd. ZZ). EtOH (20 mL) 중 7 (241 mg, 0.72 mmol)의 용액 및 H2O (10 mL)에 4-클로로퀴놀린 (153 mg, 0.94 mmol, 1.3 당량)을 첨가하고 용해될 때까지 20℃에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몇 방울의 c.HCl를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당해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끓인 후 2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연황색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MeOH/EtOAc로 재결정하여 350 mg의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HPLC로 84% 정제하였다. 당해 고체를 수성 NH3 중에서 교반하여 생성물의 유기 염기로 전환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204 mg을 수득하였다. 이를 HPLC로 98% 정제하였다. 당해 유리 염기를 MeOH (1 mL) 중 1.25M HCl를 첨가함으로써 HCl 염으로 전환시키고 30분 교반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8 (Cpd. ZZ) (224 mg 58%)을 수득하였다; HPLC 100%; mp (MeOH) >295℃; 1H NMR [(CD3)2SO] δ 14.75 (br, 1 H, N+H), 12.89 (bs, 1 H, N+H), 11.14 (s, 1 H, NH), 10.99 (bs, 1 H, NH), 10.94 (s, 1 H, NH), 8.87 (d, J = 8.5 Hz, 1 H, ArH), 8.77 (br 1 H, ArH), 8.61 ( d, J = 6.9 Hz, 1 H, ArH), 8.31 (br, 1 H, ArH), 8.23 (d, J = 8.6 Hz, 2 H, ArH), 8.13 (dd, J = 8.0, 0.9 Hz, 1 H, ArH), 8.07 (td, J = 7.7, 0.9 Hz, 1 H, ArH), 7.85 (td, J = 7.7, 1.2 Hz, 1 H, ArH), 7.67 (d, J = 8.6 Hz, 2 H, ArH), 7.02 (d, J = 6.9 Hz, 1 H, ArH), 6.26 (s, 1 H, ArH), 2.31 (s, 3 H, CH3); HRMS (FAB+), calc. for C26H23N8O (M+1) m/z 4631995, found 463.1994; Anal. calc. for C26H24Cl2N8O.HCl. H2O: C, %2.9; H, 4.6; N, 19.0; Cl, 18.0; Found C. 53.1 ; H, 4.6; N, 19.2; Cl, 17.9%.
실시예 AAA
Figure 112009028476796-PCT00073
4-(피리딘-4-일티오)아닐린 (3). 무수 DMF (90 mL) 중 4-아미노벤젠티올[1] (5.10 g, 40.74 mmol) 용액에 4-클로로피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2] (6.41 g, 42.68 mmol) 및 무수 K2CO3 (14.70 g, 106.34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 후, 당해 반응 혼합물을 EtOAc (100 mL) 및 H2O (100 mL)로 희석하고, 유기 층을 분리하였다. 수층을 추가의 EtOAc (100 mL x 2)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액을 통합하고 염수로 수세한 후 마지막으로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1:1 Et2O:헥산 (300 mL)으로 수세하여 고운 회백색 결정성 고체인 아민 3 (4.64 g, 56%)을 수득하였다, mp (MeOH:EtOAc) 171-173 ℃; 1H NMR [(CD3)2SO]: δ 5.64 (s, 2H, NH2), 6.67 (ddd, J = 9.40, 4.78, 2.81 Hz, 2H, ArH), 6.90 (dd, J = 4.61, 1.59 Hz, 2H, ArH), 7.20 (ddd, J = 9.40, 4.78, 2.81 Hz, 2H, ArH), 8.29 (dd, J = 4.61, 1.59 Hz, 2H, ArH); HRMS: Calc. for C11H11N2S (M+) 203.0643, found 203.0641.
4-니트로-N-[4-(피리딘-4-일티오)페닐]벤즈아미드 (5). 무수 디옥산 (70 mL) 중 아민 3 (2.03 g, 10.06 mmol)의 용액에 무수 피리딘 (4.05 mL, 50.28 mmol) 및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4) (3.19 g, 17.18 mmol, 30 mL 무수 디옥산 중 용액)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50 ℃에서 교반하였다. 이 후, 생성된 황색 고체를 여과로 분리하고 디옥산, EtOAc, 및 헥산으로 순차적으로 수세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MeOH (~5 L)에 재용해시키고, 당해 용액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여 용해되지 않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감압하 소량으로 농축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재현탁시키고 EtOH, MeOH, 및 EtOAc로 순차적으로 수세하여, 마지막으로 여과에 의해 재수집하였다. 생성 물질을 헥산으로 수세하고 고진공하 건조시켜 무정형 황색 분말성 고체인 아미드 5를 수득하였다, mp 295-298 ℃; 1H NMR [(CD3)2SO]: δ 7.38 (d, J = 6.15 Hz, 2H, ArH), 7.55 (ddd, J = 9.42, 4.45, 2.59 Hz, 2H, ArH), 8.07 (m, 2H, ArH), 8.24 (ddd, J = 9.21, 4.32, 2.31 Hz, 2H, ArH), 8.39 (dd, J = 6.92, 1.97 Hz, 2H, ArH), 8.53 (d, J = 6.6 Hz, 2H, ArH), 10.97 (s, 1 H, -C(O)NH-); HRMS: Calc. for C18H14N3O3S (M+) 352.0756, found 352.0755.
4-아미노-N-[(4-(피리딘-4-일티오)페닐]벤즈아미드 (6). 2:1 EtOH:H2O (100 mL) 중 니트로 화합물 5 (0.54 g, 1.53 mmol)의 환류 용액에 Fe 더스트 (0.54 g, 9.72 mmol) 및 c.HCl (2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1시간 환류하였다. 이 후,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에 재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밤새 celite와 함께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1.25 M 메탄올성 HCl로 산성화하였다. 당해 용액을 감압하 소량으로 농축하고 생성된 고체를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함으로써 제거하였다. 여액을 재산성화하고 전과 같이 처리하여(2회) 최종적으로 무정형 오커색의 고체(0.38 g, 77%)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CD3)2SO]: δ 5.79 (s, 2H, -NH2), 6.62 (d, J = 8.58 Hz, 2H, ArH), 6.98 (d, J = 5.96 Hz, 2H, ArH), 7.53 (d, J = 8.61 Hz, 2H, ArH), 7.74 (d, J = 8.58 Hz, 2H, ArH), 7.96 (d, J = 8.61 Hz, 2H, ArH), 8.34 (d, J = 5.35 Hz, 2H, ArH), 10.02 (s, 1 H, -C(O)NH-); LCMS (APCI+): 322 (100%).
N-[4-(피리딘-4-일티오)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AAA). 20% aq. EtOH (100 mL) 중 아민 5 (0.31 g, 0.97 mmol)의 용액에 4-클로로퀴놀린 [7] (0.33 g, 2.02 mmol) 및 c.HCl (0.20 mL, 8.71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15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2 MeOH 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2회)(용출액: 5%->10%->20% MeOH: CH2Cl2)로 정제하여 고체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MeOH:메탄올성 HCl:EtOAc로 재침전시켜 무정형 황색 고체인 Cpd. AAA(0.15 g, 29%)를 수득하였다, mp (EtOAc:MeOH) 306-310 ℃; 1H NMR [(CD3)2SO]: δ 7.01 (d, J = 6.94 Hz, 1 H, ArH), 7.45 (d, J = 6.77 Hz, 2H, ArH), 7.70 (m, 4H), 7.86 (m, 1 H), 8.11 (m, 4H), 8.22 (dd, J = 6.82, 1.79 Hz, 2H, ArH), 8.55 (d, J = 6.77 Hz, 2H, ArH), 8.62 (d, J = 6.94 Hz, 1 H, ArH), 8.89 (d, J = 8.35 Hz, 1 H, ArH), 10.78 (s, 1 H, ArNHAr), 11.19 (s, 1 H, -C(O)NH-), 14.72 (br s, 1 H, 피리디늄-N+-H) [퀴놀리늄 N+-H은 관찰되지 않음]; HRMS: Calc. for C27H21N4OS (M+) 449.1436, found 449.1441 ; HPLC: 99.3%.
실시예 BBB
Figure 112009028476796-PCT00074
4-(4-아미노페닐티오)피리딘-2-아민 (9). 무수 DMF (54 mL) 중 4-아미노벤젠 티올 (1) (9.49 g, 75.77 mmol) 용액에 4-클로로-2-아미노피리딘 (8) (3.70 g, 28.80 mmol) 및 무수 K2CO3 (10.70 g, 107.97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황색 현탁액을 ~45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이 후, 생성된 갈색계 흑색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H2O 및 EtOAc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 (x2)로 추출하고, 유기 분획을 통합하고 염수로 수세 후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재용해시키고 실리카겔 패드을 통해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여 무정형의 크림형-자주색 고체인 아민 9 (5.66 g, 90%)를 수득하였다, mp: 141-143 ℃; 1H NMR [(CD3)2SO]: δ 5.56 (br s, 2H, NH2), 5.76 (br s, 2H, NH2), 5.94 (d, J = 1.22 Hz, 1 H, ArH), 6.10 (dd, J = 5.46, 1.68 Hz, 1 H, ArH), 6.64 (ddd, J = 9.37, 4.78, 2.79 Hz, 2H, ArH), 7.17 (ddd, J = 9.38, 4.74, 2.79 Hz, 2H, ArH), 7.65 (d, J = 5.44 Hz, 1 H, ArH); HRMS: Calc. for C11H12N3S (MH+) m/z 218.0753, found 218.0750.
N-[4-(2-아미노피리딘-4-일티오)페닐]-4-니트로벤즈아미드 (10). 무수 디옥산 (30 mL) 중 아민 9 (1.09 g, 5.01 mmol) 용액에 무수 피리딘 (2.08 mL, 25.04 mmol) 및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4) (1.60 g, 8.60 mmol; 무수 DMF 20mL 중 용액으로서 첨가됨)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55 내지 60 ℃ (수조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이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로 수집하고 디옥산, EtOAc, 및 헥산으로 순차적으로 수세하였다. 당해 조 생성물을 MeOH:메탄올성 HCl:EtOAc로 재침전시켜 무정형 황색 고체인 화합물 10(1.19 g, 64%)을 수득하였다, mp >300 ℃; 1H NMR [(CD3)2SO]: δ 13.35 (br s, 1 H, 퀴놀린-N+-H), 10.97 (s, 1 H, ArC(O)NHAr), 8.39 (ddd, J = 9.25, 4.40, 2.37 Hz, 2H, ArH), 8.23 (ddd, J = 9.20, 4.34, 2.31 Hz, 2H, ArH), 8.06 (ddd, J = 9.43, 4.53, 2.62 Hz, 2H, ArH), 7.81 (m, 3H, ArH & ArNH2), 7.66 (ddd, J = 9.41 , 4.52, 2.61 Hz, 2H, ArH), 6.65 (dd, J = 6.87, 1.91 Hz, 1 H, ArH), 6.29 (d, J = 1.73 Hz, 1 H, ArH); HRMS: Calc. for C18H15N4O3S (MH+) m/z 367.0865, found 367.0865.
4-아미노-N-[4-(2-아미노피리딘-4-일티오)페닐]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1). 니트로 화합물 10 (0.83 g, 2.07 mmol)을 2:1 EtOH:H2O (100 mL)에 현탁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환류하였다. 당해 혼합물에 Fe 더스트 (0.54 g, 9.59 mmol) 및 c.HCl (2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어두운 오렌지색 현탁액을 1시간 환류하였다. 이 후, 생성된 황색 현탁액을 celite 패드를 통해 뜨겁게(hot)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H2O에 재현탁시키고 여기에 상당량의 celite를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밤새 교반하였다. 이 후, 현탁액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여 무정형 회백색 고체인 조 아민 11(0.65 g, 93%)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CD3)2SO]: δ 9.98 (s, 1 H, ArC(O)NHAr), 7.91 (ddd, J = 9.40, 4.48, 2.58 Hz, 2H, ArH), 7.72 (m, 3H, ArH), 7.48 (ddd, J = 9.37, 4.39, 2.55 Hz, 2H, ArH), 6.61 (d, J = 7.85 Hz, 2H, ArH), 6.18 (dd, J = 5.46, 1.68 Hz, 1 H, ArH), 5.82 (d, J = 1.36 Hz, 1 H, ArH), 6.01 (br s, 2H, ArNH2), 5.82 (br s, 2H, ArNH2); HRMS: Calc. for C18H17N4OS (MH+) m/z 337.1123, found 337.1126.
N-[4-(2-아미노피리딘-4-일티오)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BBB). 4-클로로퀴놀린 (7) (0.66 g, 4.01 mmol) 및 c.HCl (0.52 mL, 17.13 mmol)을 20% aq. EtOH (100 mL) 중 아민 11 (0.63 g, 1.88 mmol)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환류하였다. 이 후,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2 MeOH 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MeOH:메탄올성 HCl:EtOAc로 2회 재침전시켜 무정형 황색 고체인 Cpd. BBB (0.55 g, 54%)를 수득하였다, mp 225-239 ℃; 1H NMR [(CD3)2SO]: δ 14.10 (v v br s, 2H, 퀴놀리닐-N+-H & 피리디닐-N+H), 11.14 (s, 1 H, ArNHAr), 10.75 (s, 1 H, ArC(O)NHAr), 8.87 (d, J = 8.48 Hz, 1 H, ArH), 8.62 (d, J = 6.92 Hz, 1 H, ArH), 8.20 (d, J = 8.61 Hz, 2H, ArH), 8.09 (m, 4H, ArH), 7.82 (m, 4H, ArH & ArNH2), 7.68 (m, 4H, ArH), 7.01 (d, J = 6.91 Hz, 1 H, ArH), 6.66 (dd, J = 6.88, 1.87 Hz, 1 H, ArH), 6.31 (d, J = 1.74 Hz, 1 H, ArH); HRMS: Calc. for C27H22N5OS (MH+) m/z 464.1541 , found 464.1541 ; HPLC: 97.4%.
실시예 CCC
Figure 112009028476796-PCT00075
4-(4-아미노페닐티오)피리딘-2-올 (13). 무수 DMF (54 mL) 중 4-아미노벤젠 티올 [1] (3.68 g, 29.40 mmol) 용액에 4-클로로-2-하이드록시피리딘 (12) (0.49 g, 3.81 mmol) 및 무수 K2CO3 (10.70 g, 107.97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황색 현탁액을 ~1시간동안 ~120℃(수조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이 후 반응 혼합물의 LCMS 분석은 여전히 상당량의 12가 존재함을 보여주었으며, 따라서 추가적으로 상당량의 1 (1.28 g, 10.22 mmol)을 첨가하였다(무수 DMF 10 mL 중 용액으로서). 1시간 후, LCMS 및 TLC 분석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H2O로 희석한 후 EtOAc( x 3)로 추출하였다. 통합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수세하고 무수 MgSO4로 건조한 후 용매를 감압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1 % -> 10% MeOH:CH2Cl2)로 정제하여 무정형 회백색 고체(0.47 g, 56%)인 아민 13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CD3)2SO]: δ 11.20 (br s, 1 H, ArOH), 7.18 (m, 3H, ArH), 6.66 (ddd, J = 9.38, 4.76, 2.80 Hz, 2H, ArH), 5.89 (dd, J = 6.95, 1.92 Hz), 5.64 (br s, 2H, ArNH2), 5.55 (d, J = 1.79 Hz, 1 H, ArH); HRMS: Calc. for C11H11N2OS (MH+) m/z 219.0592, found 219.0591.
N-[4-(2-하이드록시피리딘-4-일티오)페닐]-4-니트로벤즈아미드 (14). 무수 디옥산 (120 mL) 중 아민 13 (0.47 g, 2.13 mmol) 용액에 무수 피리딘 (0.86 mL, 10.65 mmol) 및 4-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4) (0.70 g, 3.76 mmol, 20 mL의 무수 DMF 중 용액으로서 첨가됨)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0℃ (수조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다음으로 상당량의 실리카와 배합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생성된 실리카 흡착물을 실리카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1 % -> 20% MeOH:CH2Cl2 (0.5% aq.NH3와 함께))로 정제하여 클리너(cleaner) 14를 수득하였다. 당해 물질을 MeOH로 수세하고 용해되지 않은 고체를 여과시키고 건조하여 제1 뱃치의 니트로 화합물 14 (0.27 g)을 수득하였다. 당해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을 소량의 MeOH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추가적으로 상당량의 14 (0.30 g, 총 68%)를 수득하였다, mp 255-260 ℃ (어두운색 분말->타르); 1H NMR [(CD3)2SO]: δ 10.86 (s, 1 H, ArC(O)NHAr), 8.38 (ddd, J = 9.22, 4.34, 2.33 Hz, 2H ArH), 8.22 (ddd, J = 9.24, 4.32, 2.31 Hz, 2H, ArH), 7.98 (ddd, J = 9,40, 4.48, 2.57 Hz, 2H ArH), 7.61 (ddd, J = 9.33, 4.46, 2.56 Hz, 2H, ArH), 7.38 (d, J = 6.95 Hz, 1 H, ArH), 6.05 (dd, J = 6.94, 1.93 Hz, 1 H, ArH), 5.73 (d, J = 1.78 Hz, 1 H, ArH) [-OH 시그날은 5.6 ppm 근처에서 매우 넓게 분포]; HRMS: Calc. for C18H14N3O4S (MH+) m/z 368.0705, found 368.0711.
4-아미노-N-[4-(2-하이드록시피리딘-4-일티오]페닐)벤즈아미드 (15). 니트로 화합물 14 (0.48 g, 1.18 mmol)을 2:1 EtOH:H2O (100 mL) 내 현탁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환류하였다. 당해 혼합물에 Fe 더스트 (0.30 g, 9.59 mmol) 및 c.HCl (2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15분 환류하였다. 이 때 TLC 및 LCMS 분석으로 당해 반응이 완결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Fe 더스트 (0.80 g, 14.29 mmol) 및 c.HCl (10 mL)을 첨가하고, 당해 혼합물을 추가의 50 분 동안 환류하였다. 이 후, 당해 반응이 종결되었고, 따라서 당해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뜨겁게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2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하고, MeOH 중 재용해시키고, celite 및 활성탄과 함께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에 재용해시키고, 상당량의 실리카겔에 흡수시키고, 생성된 실리카 흡착물을 실리카겔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1 % -> 20% MeOH:CH2Cl2 (0.5% aq.NH3와 함께))로 정제하여 조 15를 수득하였다. 당해 물질을 MeOH:메탄올성 HCl:EtOAc로 재침전시킴으로써 추가 정제하여 무정형 크림형 고체인 아민 15(15 mg, 3% - 아마도 상당량의 화합물이 활성탄에 흡착되어 소실된 것으로 보이며 후자를 수회 추출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를 수득하였다; 1H NMR [(CD3)2SO]: δ 11.40 (v v br s, 1 H, 퀴놀리닐-N+-H), 10.08 (s, 1 H, ArH), 7.94 (ddd, J = 9.40, 4.51 , 2.59 Hz, 2H, ArH), 7.78 (d, J = 8.67 Hz, 2H, ArH), 7.52 (ddd, J = 9.40, 4.49, 2.61 Hz, 2H, ArH), 7.27 (d, J = 6.95 Hz, 1 H, ArH), 6.71 (d, J = 8.52 Hz, 2H, ArH), 5.96 (dd, J = 6.96, 1.93 Hz, 1 H, ArH) [ArOH & ArNH2는 관찰되지 않음]; LCMS (APCI+): 338 (100%), 423 (60%), 169 (40%).
N-[4-(2-하이드록시피리딘-4-일티오)페닐]-4-(퀴놀린-4-일아미노)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Cpd. CCC). 4-클로로퀴놀린 (7) (12 mg, 0.07 mmol) 및 c.HCl (30 [mu]l_, 17.13 mmol)을 20% aq. EtOH (6 mL) 중 아민 15 (13 mg, 0.032 mmol)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환류하였다. 이 후,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류물을 2 MeOH-공비혼합 사이클을 통해 건조시켰다. 생성된 물질을 MeOH에 재용해시키고 상당량의 실리카겔에 흡수시키고, 생성된 실리카 흡착물을 실리카겔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1 % -> 10% MeOH:CH2Cl2 (0.5% aq.NH3와 함께))로 정제하여 클리너(cleaner) 15를 수득하였다. 당해 물질을 MeOH:메탄올성 HCl:EtOAc로 재침전시킴으로써 추가 정제하여 무정형 크림형 황색 고체인(7 mg, 41%) Cpd. CCC를 수득하였다, mp 209-214 ℃; 1H NMR [(CD3)2SO]: δ 14.42 (br s, 1 H, 1 H, 퀴놀리닐-N+-H), 11.34 (br s, 1 H, 피리디닐-N+-H), 10.99 (s, 1 H, ArNHAr), 10.61 (s, 1 H, ArC(O)NHAr), 8.77 (d, J = 8.60 Hz, 1 H, ArH), 8.62 (d, J = 6.90 Hz, 1 H, ArH), 8.19 (d, J = 8.60 Hz, 2H, ArH), 8.07 (m, 2H), 8.00 (dd, J = 6.88, 1.83 Hz, 2H, ArH), 7.87 (septet, J = 11.29, 8.36, 5.40, 2.76 Hz, 1 H, ArH), 7.69 (d, J = 8.55 Hz, 2H, ArH), 7.60 (d, J = 8.60 Hz, 2H, ArH), 7.27 (d, J = 6.97 Hz, 1 H, ArH), 7.06 (d, J = 6.94 Hz, 1 H, ArH), 5.97 (d, J = 6.96, 1.88 Hz), 1 H, ArH), 5.63 (d, J = 1.76 Hz, 1 H, ArH) [ArOH은 관찰되지 않음]; HRMS: Calc. for C27H21N4O2S (MH+) m/z 465.1385, found 465.1389; HPLC: 93.5%.
실시예 DDD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4-아닐리노퀴놀린에 의한 DNMT1의 선택적 감소에 대한 테스트를 고샬 등(Ghoshal et al.)에 나타난 바와 같이 3가지 효소 모두에 대해 특이성이 높은 항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참조:Mol. Cell Biol. 2005, 11, 4727-41.]. DNMT1은 Santa Cruz 또는 New England Biolabs으로부터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웨스턴 블롯 또는 면역침강 분석에서 서로 교차 반응하지 않는, 높은 적정을 보이는 DNMT3a 및 3b에 대한 항체가 신선하게 제조되었다. 단백질 추출물(100㎍ 동등량)을, 농도 5, 10 및 100μM에서 4-아닐리노퀴놀린으로 처리된, HCT116 세포(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3개의 DNMTs 모두를 발현하는 결장암 세포)로부터 추출하였다.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리닝된 화합물 중 100μM에서는 9개의 화합물, 10μM에서는 13개의 화합물, 5μM에서는 11개의 화합물이 60% 초과의 DNMT1 분해(DNMT1 수준 40% 미만)를 유도할 수 있었다. 4개의 화합물(Cpd. DDD1, Cpd. DDD2, Cpd. DDD3, 및 Cpd. DDD4)이 10μM에서 94% 초과의 DNMT1 분해(6% 미만의 DNMT1 수준)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데시타빈에 의해 수득된 효과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비(non)-비스-4급 4-아닐리노퀴놀린의 탈메틸화 활성을 세포계 GFP (녹색 형광 단백질)에서 테스트하였다. 이 검사는 CMV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GFP 유전자를 가지며 당해 프로모터 내 CpG 사이트의 메틸화에 민감하다. 메틸화 억제제에의 노출에 의한 메틸화의 감소로 GFP 발현에 이르고 용이하게 기록된다. 구체적으로, 후생유전학적 침묵된 GFP 트랜스진을 함유하는 CMV-EE210 세포주를 플로우 시토메트리에 의한 GFP 발현 재활성화 검사에 사용하였다. CMV-EE210는 NIH 3T3 세포를 pTR-UF/UF1/UF2 플라스미드(Zolotuhin et al., 1996)로 형질전환시킴으로써 제조되었으며, 이는 포유류 세포에서 발현을 위해 사용되는 인간화된 GFP 유전자를 유도하는 시토메갈로바이러스(CMV) 프로모터를 함유하는, pBS(+) (Stratagene, Inc.)으로 구성된다. 형질전환 후, 고수준의 GFP 발현 세포를 FACS 분석에 의해 초기에 선택하고 MoFlo 시토미터(Cytomation, Inc.)를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포유류 DNMT1의 강력한 억제제인 데시타빈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CMV-EE210 재활성화를 스크리닝하기 위해, 데시타빈(1 μM) 또는 시험 화합물 (30-50 μM의 농도)을 10% 소태아 혈청(Hyclone)으로 보충된 완전 배지(페놀 적색 프리 DMEM(Gibco, Life Technologies))에 첨가하였다. 이 후, 세포를 시험 화합물을 함 유하는 96 웰 플레이트 내 30% 콘플루언스(confluence)(~5000 세포/웰)로 씨딩하고 3일 동안 5% CO2하의 37℃에서 배양시켰다. 당해 플레이트를 450 내지 490 여기 필터(I3 필터 큐브, Leica, Deerfield IL)를 사용하여 형광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생육된 세포 10%가 GFP를 발현하는 경우 웰을 g1 양성으로 점수매기고, 생육된 세포 30%가 GFP를 발현하는 경우 g2 양성으로, 생육된 세포의 75% 초과가 GFP를 발현하는 경우 g3 양성으로 점수를 매겼다. GFP IC50은 GFP 발현 수준을 g3 내지 g1/2가 되게 하는 억제제의 농도를 말한다(IC50과 유사).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 화합물 중, 6개의 화합물(Cpd. DDD5, Cpd. DDD6, Cpd. DDD7, Cpd. DDD8, Cpd. DDD9, 및 Cpd. DDD10)가 GFP 유전자의 전사를 75% 수준보다 크게 재활성화시켰다. 더욱이, 이들 화합물은 데시타빈에 비해 절반 미만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표 3]
본 발명의 선택 화합물의 탈메틸 활성 및 DNMT1 분해 유도의 요약.
Figure 112009028476796-PCT00076
Figure 112009028476796-PCT00077
Figure 112009028476796-PCT00078
유전자 발현에 대한 RT-PCR 검사
RKO 및 HCT-116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SN31439.Cl, SN31486.Cl, 및 SN31575.Cl로 처러하였다. 48시간 배양 후, 세포들을 Qiagen RNeasy 미니 키트를 사용해 RNA 동정을 위해 수거하였다. RNA를 스텍트로포토미터를 사용해 정량하고 1㎍의 RNA를 Bio-Rad iScript cDNA 합성 키트를 사용한 cDNA 합성에 사용하였다. RTPCR을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SYBER GreenER qPCR SuperMix for iCycler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과 같이 p16 5'-atgtcctgccttttaacgta-3' 및 5'-gtgctcactccagaaaactc-3', MLH-1 5'-tgaggaagggaacctgattg-3' 및 5'-tcttcgtcccaattcacctc-3', p15 5'- caccatgaagcgaaacacag-3' 및 5'-tccatcggaagattcgtagc-3', GAPDH 5'- attgccctcaacgaccactt-3' 및 5'-ggtccaccaccctgttgc-3', 및 B-액틴 5'- ctggaacggtgaaggtgaca-3' 및 5'-aagggacttcctgtaacaacgca-3'이다. 샘플들을 바이 오-래드사의 iQ5 Multicolor 실시간 PCR 검출 시스템 상에서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Q5 광학 시스템 소프트웨어 버젼 2.0을 사용하여 시행하였으며, 여기서 역치 사이클(CT) 및 CT는 당해 소프트웨어로부터 측정된 평균값을 나타낸다. 각 샘플에서 적어도 4개의 반응이 있으며, p16에 대한 2개 반응과 GAPDH(하우스키핑 대조군)에 대한 2개 반응이다. GAPDH 반응으로부터 평균 CT 값을 각각의 상응하는 p16 샘플 CT로부터 차감하여 델타 CT라 불리는 값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비처리된 p16 샘플에 대한 델타 CT를 모든 처리된 델타 CT값으로부터 차감하여 델타 델타 CT라 불리는 다른 값을 산출한다. 상대적 발현 값은 음성 델타 델타 CT 값(=2^- 델타 델타 CT)의 파워의 곱과 동일하다. 당해 2배된 샘플을 함께 평균화하여 각 처리에 대한 평균 상대 발현율을 수득하고 표준 오차를 계산한다. p15 및 MLH-1에 대한 상대적 발현 값을 동일한 값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d. AAA, Cpd. BBB, 및 Cpd. CCC는 0.1μM의 농도에서 비처리된 군에 비해 p16의 가장 큰 재발현을 유도하여, p16. SN31439의 RNA 발현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p16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p16의 재발현을 일으키는 데 덜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테스트된 고농도에서 약물 용해도 또는 독성과 관련된 특정 이슈가 있을 수 있다.
세포 기초 성장 검사
세포 배양-기초 검사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세포 활성(예: 암 세포 성장 및/또는 생존)을 억제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많은 암세포주가 아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ATCC) 및 기타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간략하게, 세포 증식의 속도에 따라 100㎕의 적합한 성장 배지(ATCC에 의해 결정됨) 중에서 웰당 5000 내지 10000 세포수의 세포를 96-웰의, 조직-배양 처리된 불투명한 백색 플레이트(Thermo Electron, Vantaa, 필란드)에 씨딩하였다. 이후,세포들을 적합한 농도의 약물 또는 동일 양의 DMSO(약물 희석)에 노출시키고, 이의 존재 하에서 96시간 동안 성장시켰다. 이후, 100㎕의 세포-적정-Glo(CTG) 시약(Promega, Inc., Madison, Wl)을 각 웰에 첨가한다. 이후,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2분 동안 진탕시켜 세포 용해를 유도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배양시켜 발광 시그날을 안정화시킨다. Promega의 키나제-Glo 검사 시약과 유사하게 당해 시약은 발광 효소 및 이의 기질 루시페린 모두를 함유한다. 세포 용해물 내 ATP에 의해 활성화된 루시페라제는 루시페린이 옥시루시페린으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는 데, 당해 반응으로 빛이 생성된다. 생성된 빛의 양은 세포 용해물 내 ATP의 양에 비례하며, 이는 세포 수에 비례하여 세포 증식의 지표를 제공한다. 대표적 화합물의 C50 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09028476796-PCT00079
본 발명은 특정 양태 및 실시예를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 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양태 및 실시예에 대해 추가의 개질이나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5)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화학식 I]
    Figure 112009028476796-PCT00080
    상기 식에서, G1, G2, G3 및 G4은 각각 독립적으로 C, N 또는 N+ (여기서, R6 내지 R9가 N에 부착되어 있음)이고; G5 및 G6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며; G7 및 G8이 각각 독립적으로 CH, C(여기서, R2가 C에 부착되어 있음), N 또는 N+ (여기서, R2가 N에 부착되어 있음)이고,
    D1 및 D2는 각각 별도로 CH, C(여기서, R3이 C에 부착되어 있음), N 또는 N+ (여기서, R3이 N에 부착되어 있음)이며,
    R6, R7, R8 및 R9는 각각 별도로 H, 할로겐, CF3, OCF3, CN, CONHR4, CONR4R5, SO2Me, SO2NHR4, SO2NR4R5, NHCOR4, NHR4, NR4R5, OR4, NO2, 또는 CH2R4이고, 여기에서 R4 및 R5은 각각 독립적으로 H이거나, 아미노, 히드록실 또는 메톡시기로 임의로 치환된 저급 C1-C6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모르포린, 피롤리딘, 피페리딘, 이미다졸 또는 4-메틸피페라진을 나타낼 수 있는 시클로알킬 구조의 일부로서 일종 이상의 산소 또는 질소 원자로 임의 치환된 저급 C1-C6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N=에 의한 -CH= 고리 탄소의 치환일 수 있으며,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NHR4, NR4R5, OR4, NO2 또는 CH2R4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X는 H이거나, 아미노, 히드록실 또는 메톡시기로 임의 치환된 C1-C6 알킬이거나, 아제티딘, 피롤리딘, 피페리딘, 피페라진 또는 모르폴린을 나타낼 수 있는 시클로알킬 구조의 부분으로서 일종 이상의 산소 또는 질소 원자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C1-C6 알킬이며;
    Y는 CONR4, NR4CO, O, S(O)n [n은 0 내지 2이다], (CH2)k [k는 1 내지 6이다], -CH=CH-, NR4, 또는 두 개의 방향족 고리 사이의 직접 결합(즉, 두 개의 방향족 고 리 사이의 C-C 결합)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o, m 및 p 는 잔기 Z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며;
    Z는 하기 화학식 II에 나타난 Q1 내지 Q43기들 중의 어느 하나로서,
    [화학식 II]
    Figure 112009028476796-PCT00081
    Figure 112009028476796-PCT00082
    Figure 112009028476796-PCT00083
    상기 화학식 II에서, A는 O 또는 NR4이며, 여기에서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G9 내지 G13이 각각 독립적으로 C, N 또는 N+(R10 내지 R13이 N에 부착되어 있음)이며; 그러나 G9 내지 G13 중 적어도 세 개는 C이고;
    R10, R11, R12, R13 및 R14는 각각 별도로 H, 할로겐, 알킬, CF3, OCF3, CN, CONHR4, CONR4R5, SO2Me, SO2NHR4, SO2NR4R5, NHCOR4, NHR4, NR4R5, OR4, NO2 또는 CH2R4 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2.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화학식 III]
    Figure 112009028476796-PCT00084
    상기 식에서, R6, R7, R8 및 R9은 각각 별도로 H, 할로겐, CF3, OCF3, CN, CONHR4, CONR4R5, SO2Me, SO2NHR4, SO2NR4R5, NHCOR4, NHR4, NR4R5, OR4, NO2 또는 CH2R4이며, 여기에서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 히드록실 또는 메톡시기로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이고;
    X는 H이거나, 하나 이상의 아미노, 히드록실 또는 메톡시기로 임의 치환된 C1-C6 알킬이며;
    Y는 CONR4, NR4CO, O, S(O)n (n은 0 내지 2이다), (CH2)k (k는 1 내지 6이다), -CH=CH- 또는 NR4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G7 및 G8은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D1 및 D2은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o, m 및 p은 잔기 Z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며;
    Z는 청구항 1에서 화학식 II로 표시된 Q1 내지 Q43기들 중 어느 하나로, 당해 화학식 II에서, A는 O 또는 NR4(여기서, R4는 청구항 1에 정의된 바와 같음)이고, G9 내지 G13이 각각 독립적으로 C, N 또는 N+(여기서, R10 내지 R13은 N에 부착되어 있음)이며, 그러나 G9 내지 G13 중 적어도 세 개는 C이고, R10, R11, R12, R13 및 R14가 각각 별도로 H, 할로겐, 알킬, CF3, OCF3, CN, CONHR4, CONR4R5, SO2Me, SO2NHR4, SO2NR4R5, NHCOR4, NHR4, NR4R5, OR4, NO2 또는 CH2R4이며, 여기에서 R4 및 R5는 청구항 1에 정의된 바와 같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카르복시산, 설폰산, 설포산 또는 포스포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숙신산, 말레산, 히드록시말레산, 메틸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옥살산, 글루콘산, 글루카르산, 글루쿠론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살리실산, 4- 아미노살리실산, 2-페녹시벤조산, 2-아세톡시벤조산, 엠본산, 니코틴산, 이소니코틴산, 아미노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페닐아세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2-히드록시에탄설폰산, 에탄-1,2-디설폰산, 벤젠설폰산, 4-메틸벤젠설폰산, 나프탈렌-2-설폰산, 나프탈렌-1,5-디설폰산, 2- 또는 3-포스포글리세레이트, 글루코스-6-포스페이트, N-시클로헥실설팜산 및 아스코르브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산으로 형성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나트륨염, 칼슘염, 리튬염, 칼륨염, 암모늄염 또는 트리알킬암모늄염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5. 제1항에 있어서, Z가, Q1, Q2, Q3, Q4, Q9 또는 Q10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6. 제1항에 있어서, R6, R7, R8 및 R9가 각각 H이고; X는 H이고; Y가 CONH 또는 NHCO이고; Z가 Q2 또는 Q9이며; A가 NH이고; Z가 m 또는 p 위치에 부착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7. 제1항에 있어서, R6, R7, R8 및 R9가 각각 H이고; X는 H이고; Y가 CONH이고; Z가 Q2이며; A가 NH이고; Z가 p 위치에 부착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8. 제1항에 있어서, R6, R7, R8 및 R9가 각각 H이고; X는 H이고; Y가 CONH이고; Z가 Q9이며; A가 NH이고; Z가 p 위치에 부착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9. 제1항에 있어서, R6, R7, R8 및 R9가 각각 H이고; X는 H이고; Y가 CONH 또는 NHCO이고; Z가 Q2이며; A가 NH이고; Z가 m 위치에 부착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10. 제1항에 있어서, R6, R8 및 R9가 각각 H이고; R7이 NMe2이고; X가 H이고; Y가 CONH 또는 NHCO이고; Z가 Q2이며; A가 NH이고; Z가 m 위치에 부착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11. 제1항에 있어서, R6, R8 및 R9가 각각 H이고; R7이 Cl이고; X가 H이고; Y가 CONH이고; Z가 Q2이며; A가 NH이고; Z가 p 위치에 부착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12. 제1항에 있어서, R6, R7, R8 및 R9가 각각 H, F 또는 Cl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포스페이트 프로드럭, 또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프로드럭.
  13. 제1항에 따른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이 고체 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 투여 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주사 투여 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국소 투여 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항의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와 접촉시켜 세포의 DNA 메틸화 활성을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에서 DNA 메틸화를 억제시키는 방법.
  19. 제1항의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와 접촉시켜 세포 내 DNA 메틸트랜스퍼라제 활성을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에서 DNA 메틸화를 억제시키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NA 메틸트랜스퍼라제 활성을 DNA 메틸트랜스퍼라제 DNMT1의 분해를 통해 억제시키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가, 생물학적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 물,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와 접촉시킴으로써, 세포 내 DNA 메틸트랜스퍼라제 DNMT1 활성이 50% 이상 억제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가, 생물학적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와 접촉시킴으로써, 세포 내 DNA 메틸트랜스퍼라제 DNMT1 활성이 25% 이상 억제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3. 생물학적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와 접촉시킴으로써, DNA 메틸화-억제 유전자의 활성이 상기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의 부존재시에 비해 25% 이상 상승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 내 DNA 메틸화-억제 유전자의 활성을 회복시키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가, 생물학적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을 세포와 접촉시킴으로써, DNA 메틸화-억제 유전자의 전사 활성 또는 전사 수준이 25% 이상 증가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DNA 메틸화 억제 유전자가, 14-3-3 시그마, ABL1 (P1), ABO, APC, AR (안드로겐 수용체), BLT1 (류코트리엔 B4 수용체), BRCA1, CALCA (칼시토닌), CASP8 (CASPASE 8), 카베올린 1, CD44, CFTR, COX2, CSPG2 (베르시칸), CX26 (콘넥신 26), 사이클린 A1, DBCCR1, ECAD (E-카드헤린), 엔도텔린 수용체 B, EPHA3, EPO (에리트로포이에틴), ER (에스트로겐 수용체), FHIT, GPC3 (글리피칸 3), GST-pi, H19, H-카드헤린(CDH13), γ-글로빈, HIC1, hMLH1, HOXA5, IGF2 (유사 인슐린 성장 인자 II), IGFBP7, IRF7, LKB1, LRP-2 (메갈린), MDGI (젖샘 유래 성장 억제제), MDR1, MDR3 (PGY3), MGMT (06 메틸 구아닌 메틸 트란스페라제), MUC2, MYOD1, N33, NEP (중성 엔도펩티다아제 24.1)/CALLA, NIS (나트륨-요오드 심포터(symporter) 유전자), P14/ARF, P15 (CDKN2B), P16 (CDKN2A), P27KIP1, p57 KIP2, PAX6, Pg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RAR-Beta2, RASSF1, RB1 (망막모세포종), TERT, TESTIN, TGFBRI, THBS1 (트롬보스폰딘-1), TIMP3, TLS3 (T-플라스틴), 우로키나제(uPA), VHL (본-히펠 린다우), WT1, 및 ZO2 (조나 오클루덴스 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6.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염 또는 프로드럭,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정상적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에 걸린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 비경구, 국소, 복막내, 정맥내, 동맥내, 경피, 설하, 근육내, 직장, 구강, 비강내, 리포솜, 흡입, 질내, 안구내, 국소 전달, 피하, 지방내, 관절내 또는 경막내 투여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 투여되는,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병용하여 제2의 치료제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치료제가 데시타빈 또는 아자시티딘인,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치료제가, 히스톤 데아실라제 억제제, 항생제, 알킬화제, 레티노이드, 호르몬제, 식물 유래 약제, 생물학적 제제, 인터루킨, 인터페론, 사이토킨, 면역조절제 및 단일클론 항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톤 데아실라제 억제제가, 트리코스타틴 A, 서버로일아닐리드 히드록삼산, 옥삼플라틴, 수베릭 비스히드록삼산, m-카르복시-신남산 비스히드록삼산, 피록사미드, 트라폭신 A, 아피시딘, 뎁시펩티드, N-(2-아미노페닐)-4-[N-(피리딘-3-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부티르산, 페닐부티레이트 및 아르기닌 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적 DNA 메틸화와 관련된 질환이, 혈액 질환, 양성 종양 및 암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질환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및 겸상적혈구성 빈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유방암, 피부암, 골암, 전립선암, 간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뇌암, 후두암, 담낭암, 췌장암, 직장암, 부갑상선암, 갑상선암, 부신암, 신경조직암, 두경부암, 결장암, 위암, 기관지암, 신장암, 기저세포 암종, 궤양성 및 유두상 유형 편평세포 암종, 전이성 피부 암종, 골 육종, 유잉스(Ewing) 육종, 세망세포 육종, 골수종, 거대세포 종양, 소세포 폐 종양, 담석, 섬세포 종양, 원발성 뇌종양, 급성 및 만성 림프구 및 과립구 종양, 모상세포 종양, 선종, 과다형성증, 수질 암종, 크롬친화세포종, 점막 신경종, 장 신경절신경종, 과다형성 각막 신경 종양, 마르파노이드 체질 종양, 윌름(Willm) 종양, 정상피종, 난소 종양, 평활근 종양, 자궁경부 이형성 및 상피내 암종, 신경아세포종, 망막아세포종, 연조직 육종, 악성 카르시노이드, 국소 피부 병변, 균상 식육종, 횡문근육종, 카포시(Kaposi) 육종, 골원성 육종, 악성 고칼슘혈증, 신장세포 종양, 진성 다혈구증, 선암종, 다형성 신경교아종, 백혈병, 림프종, 악성 흑색종 및 표피양 암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KR1020097009745A 2006-10-12 2007-10-12 Dna 메틸화 조절을 위한 퀴놀린 유도체 KR200900898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150206P 2006-10-12 2006-10-12
US60/921,502 2006-10-12
US91185007P 2007-04-13 2007-04-13
US60/911,850 2007-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854A true KR20090089854A (ko) 2009-08-24

Family

ID=3918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745A KR20090089854A (ko) 2006-10-12 2007-10-12 Dna 메틸화 조절을 위한 퀴놀린 유도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80175814A1 (ko)
EP (2) EP2174938A1 (ko)
JP (1) JP2010506856A (ko)
KR (1) KR20090089854A (ko)
CA (1) CA2664631A1 (ko)
WO (1) WO200804608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9546B2 (en) 2007-10-12 2011-05-10 Supergen, Inc. Quinoline derivatives for modulating DNA methylation
US7790746B2 (en) * 2007-10-12 2010-09-07 Supergen, Inc. Quinoline derivatives for modulating DNA methylation
WO2010077740A2 (en) * 2008-12-09 2010-07-08 Cytokine Pharmasciences, Inc. Novel antiviral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12079079A1 (en) * 2010-12-10 2012-06-14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roduction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WO2013071306A1 (en) * 2011-11-11 2013-05-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Topoisomer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as therapeutic agents
ES2885523T3 (es) 2011-11-23 2021-12-14 Therapeuticsmd Inc Formulaciones y terapias de reposición hormonal de combinación naturales
US9301920B2 (en) 2012-06-18 2016-04-05 Therapeuticsmd, Inc. Natural combination hormone replacement formulations and therapies
WO2013086379A2 (en) * 2011-12-08 2013-06-13 Fundacion Sal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ntiprogestin-resistant cancers
US10806740B2 (en) 2012-06-18 2020-10-20 Therapeuticsmd, Inc. Natural combination hormone replacement formulations and therapies
US20130338122A1 (en) 2012-06-18 2013-12-19 Therapeuticsmd, Inc. Transdermal hormone replacement therapies
US20150196640A1 (en) 2012-06-18 2015-07-16 Therapeuticsmd, Inc. Progesterone formulations having a desirable pk profile
US10806697B2 (en) 2012-12-21 2020-10-20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EP3557260B1 (en) 2012-12-21 2022-05-18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Gpc3-targeting drug which is administered to patient responsive to gpc3-targeting drug therapy
US11246875B2 (en) 2012-12-21 2022-02-15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9180091B2 (en) 2012-12-21 2015-11-10 Therapeuticsmd, Inc. Soluble estradiol capsule for vaginal insertion
US11266661B2 (en) 2012-12-21 2022-03-08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471072B2 (en) 2012-12-21 2019-11-12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537581B2 (en) 2012-12-21 2020-01-21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568891B2 (en) 2012-12-21 2020-02-25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TWI693073B (zh) 2012-12-21 2020-05-11 日商中外製藥股份有限公司 對gpc3標的治療劑療法為有效之患者投與的gpc3標的治療劑
US10337049B2 (en) 2013-06-17 2019-07-02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Universal methylation profiling methods
US11760807B2 (en) 2014-05-08 2023-09-19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GPC3-targeting drug which is administered to patient responsive to GPC3-targeting drug therapy
KR20170005819A (ko) 2014-05-22 2017-01-16 쎄러퓨틱스엠디, 인코퍼레이티드 천연 복합 호르몬 대체 제형 및 요법
CA2987978C (en) 2014-06-16 2022-08-16 Fundacion Para La Investigacion Medica Aplicada Novel compounds as dual inhibitors of histone methyltransferases and dna methyltransferases
BR112017012504A2 (pt) * 2014-12-12 2018-01-09 Acetylon Pharmaceuticals, Inc. derivados de piperidina como inibidores de hdac1/2
WO2016168174A1 (en) 2015-04-13 2016-10-20 The Translational Genomics Research Institute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metastatic cancer using epigenomic biomarkers and non-invasive methodologies
US10328087B2 (en) 2015-07-23 2019-06-25 Therapeuticsmd, Inc. Formulations for solubilizing hormones
US11291719B2 (en) 2016-01-15 2022-04-05 August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Akt3
US10342868B2 (en) 2016-01-15 2019-07-09 August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Akt3
US10292978B2 (en) 2016-01-15 2019-05-21 August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Inc. Specific Akt3 inhibitor and uses thereof
JP2019513709A (ja) 2016-04-01 2019-05-30 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エムディ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Therapeuticsmd, Inc. ステロイドホルモン薬学的組成物
US10286077B2 (en) 2016-04-01 2019-05-14 Therapeuticsmd, Inc. Steroid hormone compositions in medium chain oils
IL305085A (en) * 2017-09-07 2023-10-01 Univ Res Inst Inc Augusta A specific AKT3 activator and its uses
CN107501570B (zh) * 2017-09-27 2020-09-29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金属镉配位聚合物及其制备方法
US11058675B2 (en) 2018-03-29 2021-07-13 Carnegie Mellon University Cell-based screening and compounds that modulate GaINAc-transferases
KR102115960B1 (ko) * 2018-11-28 2020-05-27 송미연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를 갑상선 호르몬 분비세포로 분화 방법
WO2020205991A1 (en) * 2019-04-01 2020-10-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TOPOISOMERASE II-alpha INHIBITORS AND METHODS OF TREATING CANCE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01228A (fr) 1943-01-16 1945-07-20 Deutsche Edelstahlwerke Ag Système d'aimant à entrefer annulaire
KR0122128B1 (ko) 1991-07-23 1997-11-20 세끼사와 요시 헤드의 미소이동기구
FR2705099B1 (fr) 1993-05-12 1995-08-04 Centre Nat Rech Scient Oligonucléotides phosphorothioates triesters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AU3619695A (en) 1994-10-07 1996-05-02 Zenyaku Kogyo Kabushiki Kaisha Thioquinolone derivative
CA2384291A1 (en) * 1999-09-21 2001-03-29 Astrazeneca Ab Quinazol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s
US7378524B2 (en) * 2003-04-11 2008-05-27 Taigen Biotechnology Co., Ltd. Aminoquinoline compounds
MXPA06014125A (es) * 2004-06-04 2007-01-31 Astrazeneca Ab Derivados de quinazolina en la forma de cinasas de tirosina de receptor erbb.
US7790746B2 (en) * 2007-10-12 2010-09-07 Supergen, Inc. Quinoline derivatives for modulating DNA methy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06856A (ja) 2010-03-04
WO2008046085A3 (en) 2008-06-05
EP2078008A2 (en) 2009-07-15
US20100129320A1 (en) 2010-05-27
WO2008046085A2 (en) 2008-04-17
EP2174938A1 (en) 2010-04-14
CA2664631A1 (en) 2008-04-17
US20080175814A1 (en)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0746B2 (en) Quinoline derivatives for modulating DNA methylation
US7939546B2 (en) Quinoline derivatives for modulating DNA methylation
KR20090089854A (ko) Dna 메틸화 조절을 위한 퀴놀린 유도체
JP2010506856A5 (ko)
JP7042245B2 (ja) Aidsを治療する為に有用な化合物
US9827237B2 (en) Compounds useful f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retroviruses
US7595323B2 (en) N-phenyl-2-pyrimidine-am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6694476B2 (ja) Aidsを治療する為に有用な化合物
CN101535295A (zh) 用于调节dna甲基化的喹啉衍生物
RU2575845C2 (ru) Соединения, пригодные для лечения спида
KR20210064093A (ko) 신규한 트리아졸로피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