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199A -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199A
KR20090076199A KR1020080002001A KR20080002001A KR20090076199A KR 20090076199 A KR20090076199 A KR 20090076199A KR 1020080002001 A KR1020080002001 A KR 1020080002001A KR 20080002001 A KR20080002001 A KR 20080002001A KR 20090076199 A KR20090076199 A KR 2009007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bar
door impact
unit
inspection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표
Original Assignee
금강철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철강(주) filed Critical 금강철강(주)
Priority to KR102008000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6199A/ko
Publication of KR2009007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여부에 따른 선별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동으로 수행되어 도어 임팩트 바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별되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여부를 판단하여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어 임팩트 바가 종방향으로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이송유닛과, 이송유닛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이송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의 횡방향 이송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불량 또는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검사유닛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검사유닛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후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유닛과, 이송유닛, 검사유닛 및 선별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02001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 공급유닛, 이송유닛, 검사유닛, 선별유닛, 제어유닛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BADNESS SORTING DEVICE OF DOOR IMPACT BA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여부에 따른 선별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동으로 수행되어 도어 임팩트 바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별되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도어가 차량 실내로 밀려 들어오면서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지 못하도록 차량의 도어에는 임팩트 바가 설치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취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외측패널(1)과 내측패널(2) 사이에 임팩트 바(3)가 설치되는데, 임팩트 바(3)는 양단이 브라켓(4)에 의해 고정된다. 임팩트 바(3)는 차량의 각 도어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임팩트 바(3)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경우, 차량 측면에서 충돌이 발생되면 먼저 도어의 외측패널(1)이 변형되면서 밀려들어 가게 되고, 다음으로 임팩트 바(3)가 충격에 의해 변형되면서 차량 측면에서 발생된 충격량을 일부분 감소 시키게 되며, 이후 임팩트 바(3)에서 충격량이 감소된 상태에서 다시 충격량이 내측패널(2)로 전달된다. 따라서, 측면에서 발생된 충격력은 외측패널(1), 임팩트바(3), 내측패널(2)을 순차적으로 변형시키면서 감소되기 때문에, 측면 충돌시 도어가 쉽게 꺾이면서 실내로 밀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자나 탑승자의 부상 등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임팩트 바(3)는 통상 고장력 강판을 파이프형으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차량 도어의 규격에 맞도록 적절한 치수를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은 파이프 형상을 갖는 임팩트 바(3)를 제조하는 데에는 그다지 어려움이 없어 대량생산이 가능하지만, 그 선별작업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에서 임팩트 바(3)를 생산한 뒤, 휨 불량에 대한 검사를 하고 또한 차종에 맞도록 치수에 따른 분류작업이 뒤따르게 되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휨 불량여부를 검사한 뒤 정상과 불량으로 분류하여 왔으며, 또한 각 치수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행하여 왔다. 따라서, 생산라인에서 임팩트 바(3)가 아무리 빨리 생산된다고 하더라도 그 불량여부에 따른 선별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다 보니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자에 의해 분류되다 보니 정상으로 분류된 임팩트 바(3)에 대한 신뢰도가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여부에 따른 선별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동으로 수행되어 도어 임팩트 바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별되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여부를 판단하여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어 임팩트 바가 종방향으로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의 횡방향 이송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불량 또는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상기 검사유닛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검사유닛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후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유닛과, 상기 이송유닛, 검사유닛 및 선별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될 수 있는 상부면을 갖고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승시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이송유닛으로 굴러가도록 하는 공급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부면이 소정경사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1승강부재와, 상기 제1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유닛몸체와, 상기 이송유닛몸체의 상단부에 복수로 장착되어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이송유닛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검사유닛을 향하여 굴러갈 수 있도록 상기 이송유닛몸체의 상단부 타측에 장착되는 이송롤러 각각의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면이 소정경사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복수의 제2승강부재와, 상기 제2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유닛몸체와, 상기 이송유닛몸체의 상단부 일측 및 중앙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이송롤러와,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롤러의 회전시 회전되는 제1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이송유닛몸체의 상단부 타측에 상호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되는 복수의 제2이송롤러와,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검사유닛을 향하여 굴러갈 수 있도록 상기 제2이송롤러 각각의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면이 소정경사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복수의 제2승강부재와, 상기 제2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유닛몸체 상단부 타측 끝단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를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도어 임팩트 바의 도달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2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제2승강부재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으로 신호를 보내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유닛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롤러에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1구동모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2승강부재의 상승시 굴러 가는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검사유닛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검사유닛과의 사이에 소정경사로 설치되는 제1스키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검사유닛은 검사유닛몸체;와, 상기 검사유닛몸체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각각에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스프라킷과, 상기 검사유닛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라킷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되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로 상기 샤프트, 스프라킷 및 체인이 일정시간 동안의 회전 및 정지가 반복되도록 하는 제2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송수단의 샤프트, 스프라킷 및 체인이 일정시간 회전한 뒤 정지되면 도어 임팩트 바가 상승될 수 있도록 상승 하고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 또는 정상여부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체인에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강하는 제3승강부재와,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로 상기 제3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3실린더를 구비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 임팩트 바가 상승되면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로 상기 도어 임팩트 바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불량 또는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선별유닛과의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검사수단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후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홈을 갖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선별유닛 사이에 소정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제2스키드와,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전달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검사유닛몸체의 상단부에 상기 스프라킷 및 체인과 평행하게 인접설치되는 복수의 체인가이드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수단의 제3승강부재는 상기 체인가이드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샤프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3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부면에 복수의 'V' 형 안착홈이 형성되는 블록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검사수단은 상기 검사유닛몸체의 양단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되 상기 승강수단의 제3승강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에 복수로 부착되되 하방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 또는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이송유닛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면에 소정경사를 갖는 취출부가 마련되는 선별유닛몸체와,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상부 일측에 축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 각각에 부착되며 상기 검사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된 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V'형 안착부가 마련되도록 각각 소정경사를 갖고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재 각각의 양단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풀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제1풀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선별용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 및 제2풀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2선별용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선별유닛몸체에 장착되되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취출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4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선별용컨베이어벨트에 안착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되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제4실린더의 작동이 제어되어 상기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 또는 정상여부 에 따라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취출부로 선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유닛은 도어 임팩트 바가 휨불량인 경우에는 상기 검사유닛으로부터 상기 선별유닛으로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바로 선별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4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도어 임팩트 바가 휨정상인 경우에는 길이별로 선별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제4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도어 임팩트 바가 길이불량인 경우에는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타측 끝단에 설치된 제4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에 의하면,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공급, 이송, 불량 또는 정상여부에 대한 검사, 검사결과에 따른 선별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선별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부 입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는 이송유닛(200)과, 검사유닛(300)과, 선별유닛(400), 제어유닛(500)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공급유닛(100)을 더 포함하여, 도어 임팩트 바의 공급, 이송, 불량여부 검사 및 선별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며, 작업자의 수작업은 불량선별공정이 완료된 후 제품을 취출하는 경우에만 필요하다.
이송유닛(200)은 도어 임팩트 바(10)를 이송시켜 검사유닛(300)으로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도어 임팩트 바(10)는 이송유닛(200)에 종방향으로 안착되어 'a2'방향으로 이송이 된다. 이 때, 도어 임팩트 바(10)를 작업자가 직접 이송유닛(200)에 안착시킬 수 있겠지만 별도의 수작업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송유닛(200)으로 도어 임팩트 바(10)를 공급하는 공급유닛(1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급유닛(100)은 성형공정이 완료된 도어 임팩트 바(10)를 이송유닛(20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어 임팩트 바(10)를 성형하는 장치와 이송유닛(200)의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면에 도어 임팩트 바(10)가 안착되어 상승시 도어 임팩트 바(10)가 이송유닛(200)으로 굴러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도어 임팩트 바가 이송유닛(20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검사유닛(300)은 이송유닛(200)의 일측 끝단에 이송유닛(200)의 설치방향과는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며, 이송유닛(200)에 의해 전달된 도어 임팩트 바(10)를 'a3'방향으로 이송 및 정지시키는 것을 반복하면서 불량 또는 정상여부를 검사하여 제어유닛(5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도어 임팩트 바(10)를 선별유닛(4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선별유닛(400)은 검사유닛(300)의 일측 끝단에 검사유닛(300)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검사유닛(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를 'c'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검사유닛(300)에 의한 검사결과를 제어유닛(500)으로부터 전송받아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유닛(500)은 이송유닛(200), 검사유닛(300) 및 선별유닛(400)을 제어하여 도어 임팩트 바(10)의 이송, 검사 및 선별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공급유닛(100), 이송유닛(200), 검사유닛(300), 선별유닛(400) 및 제어유닛(500)에 관하여 도 3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의 공급유닛과 이송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부 입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C부 입면도이다.
공급유닛(100)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10), 제1승강부재(120), 제1실린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이드레일(110)은 이송유닛(200)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승강부재(120)는 도어 임팩트 바(10)가 안착될 수 있는 상부면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110)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다. 이 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부재(120)의 상부면(122)은 이송유닛(200)을 향하여 소정경사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도어 임팩트 바(10)가 안착된 후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제1승강부재(120)의 상승시 상부면(122)에 안착된 도어 임팩트 바(10)가 이송유닛(200)으로 원활하게 굴러가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도어 임팩트 바(10)가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이송유닛(200)으로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실린더(130)는 제1승강부재(12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송유닛(200)에 장착되는 지지브라켓(134)에 의해 지지되며, 피스톤로드(132)가 제1승강부재(120)와 결합된다.
이송유닛(200)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몸체(210), 복수의 이송롤러(220), 제2승강부재(230), 제2실린더(24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토퍼(250), 감지센서, 제1구동모터(260), 제1스키드(Skid)(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유닛몸체(210)는 복수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이 결합되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며, 직경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도어 임팩트 바(10)가 3 내지 7개 정도 안착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롤러(220)는 이송유닛몸체(210)의 상단부에 복수로 장착되어 도어 임팩트 바를 이송유닛몸체(2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는 복수의 이송롤러(220)에 안착이 되며 이송롤러(220)의 회전시 이송유닛몸체(2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롤러(220)에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이송유닛몸체(210)에는 제1구동모터(260)가 장착된다. 제1구동모터(260)에는 스프라킷(262)이 장착되고 이송롤러(220)의 일측 끝단부에도 스프라킷(222)이 장착되어 제1구동모터(260)의 스프라킷(262)과 인접하는 이송롤러(220)의 스프라킷(222)이 체인(미도시됨)으로 연결되고 이송롤러(220)의 스프라킷(222) 상호간에도 체인(미도시됨)으로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260)가 구동되면 모든 이송롤러(220)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유닛(100)으로부터 도어 임팩트 바(10)가 공급될 때 공급유닛(100)의 제1승강부재(120) 상부면(122)에 안착된 도어 임팩트 바(10)가 이송롤러(220)를 향하여 굴러서 내려오게 되는데, 도어 임팩트 바(10)가 굴러 내려가 바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이송유닛몸체(210)의 상단부, 즉 이송롤러(220)의 일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별도로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는 이송유닛몸체(210)의 상단부에 복수의 이송롤러(220)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 외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될 수 있는 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컨베이어벨트가 복수의 이송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송롤러만 장착된 경우보다 도어 임팩트 바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는 이송롤러의 장착개수를 많이 줄일 수 있는데, 이송유닛몸체(210)의 상단부 일측과 중앙에 한 쌍의 이송롤러(제1이송롤러)를 장착하고 이송유닛몸체(210)의 상단부 타측에 상호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이송롤러(제2이송롤러)를 장착한 후 제1컨베이어벨트가 제1이송롤러 중 상단부 일측에 배치된 것 과 제2이송롤러 중 제1이송롤러에 가장 근접한 것을 감싸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제2이송롤러 중 나머지를 제1컨베이어벨트로 감싸지 않는 것은 후술하는 제2승강부재(23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승강부재(230)는 이송롤러(220)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를 검사유닛(3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송유닛몸체(210)에 장착되는 이송롤러(220) 중 이송유닛몸체(210) 상단부 타측에 장착되는 복수의 이송롤러(220) 각각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이송유닛몸체(210)에 장착되며, 특히 이송롤러(220)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10)가 검사유닛을 향하여 굴러갈 수 있도록 상부면이 검사유닛을 향하여 소정경사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이러한 제2승강부재(230)는 제2실린더(240)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며, 제2실린더(240)는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스토퍼(250)는 이송롤러(220)에 의해 이송유닛몸체(210)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송유닛몸체(210)의 상단부 타측 끝단에 장착되며 도어 임팩트 바(10)의 직경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이송롤러(220)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10)의 일측 단부가 스토퍼(250)에 접촉됨으로써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50)에 의해 도어 임팩트 바(10)의 이동이 정지된 후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2승강부재(230)가 상승하여 도어 임팩트 바(10)를 검사유닛(300)으로 보내게 된다. 이 때, 이송유닛몸체(210)에는 별도의 감지센서(미도시됨)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감지센서는 도어 임팩트 바(10)가 스토퍼(250)에 도달하여 정지된 것이 감지되면 제어유 닛(500)이 제2실린더(2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며, 제2실린더(240)의 승강시 제2승강부재(230)가 함께 승강된다.
제1스키드(Skid)(270)는 제2승강부재(230)의 상승시 검사유닛(300) 쪽으로 굴러가는 도어 임팩트 바(10)가 검사유닛(300)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송유닛몸체(210)와 검사유닛(300) 사이에 소정경사로 설치된다.
따라서,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이송유닛(200)에 공급된 도어 임팩트 바(10)는 이송롤러(220)에 의해 이송되다가 스토퍼(250)에 도달하여 제2승강부재(230)의 상부에서 정지하게 되고, 감지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유닛(500)으로 신호를 보내며, 신호를 받은 제어유닛(500)은 제2실린더(240)가 작동하도록 신호를 보내 제2실린더(240)가 상승하게 되고 제2실린더(240)와 함께 제2승강부재(230)가 상승하게 되어 도어 임팩트 바(10)는 제2승강부재(230)의 상부면(232)을 따라 굴러 내려가게 되고 제1스키드(270)를 통해 검사유닛(300)으로 가이드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의 검사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D부 입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의 검사유닛의 검사수단에 대한 입면도이다.
검사유닛(300)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유닛몸체(310), 이송수단(320), 승강수단(330), 검사수단(340)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전달수단(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사유닛몸체(310)는 이송유닛(200)의 이송유닛몸체(21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송유닛(200)에서 도 어 임팩트 바(10)가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것과는 달리 검사유닛(300)에서는 도어 임팩트 바(10)가 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검사가 수행되기 때문에 검사유닛몸체(310)의 폭은 도어 임팩트 바(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송수단(320)은 검사유닛몸체(31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도어 임팩트 바(10)를 횡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샤프트(322), 스프라킷(324), 체인(326), 제2구동모터(328)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체인가이드플레이트(3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322)는 검사유닛몸체(310)의 상단부에 한 쌍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샤프트(322)는 검사유닛몸체(310)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이송유닛몸체(2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스프라킷(324)은 한 쌍의 샤프트(322) 각각에 복수로 설치되며 샤프트(322)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체인(326)은 복수의 스프라킷(324) 중 검사유닛몸체(310)의 길이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라킷(324)에 체결되어 샤프트(322) 및 스프라킷(324)의 회전시 동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체인(326)이 복수로 설치됨으로써 체인(326)상에 도어 임팩트 바(10)가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유닛(2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10)가 복수의 체인(326)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스프라킷(324)과 체인(326)을 지지할 수 있는 체인가이드플레이트(327)를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체인가이드플레이트(327)는 검사유닛몸체(310)의 상단부에 스프라킷(324) 및 체인(326)과 평행하게 인접설치된다.
그리고, 제2구동모터(328)는 샤프트(322)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되, 제어유닛(500)의 제어로 일정시간 동안의 회전 및 정지가 반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샤프트(322)와 스프라킷(324) 및 체인(326)이 일정시간 동안의 회전 및 정지가 반복됨으로써 체인(326)에 안착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도 일정시간 동안의 이송 및 정지가 반복되는데, 도어 임팩트 바(10)가 정지되어 있는 동안 그 불량 또는 정상여부에 대한 검사가 진행된다.
승강수단(330)은 이송수단(320)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를 불량 또는 정상여부에 대한 검사를 위해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3승강부재(332)와 제3실린더(3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3승강부재(332)는 이송수단(320)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수단(320)의 체인(326)에 안착되는 도어 임팩트 바(10)가 일정시간 이송된 후 정지되면 상승을 하여 도어 임팩트 바(10)를 상승시켜 불량 또는 정상여부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도록 하고, 검사가 완료되는 순간 하강을 하여 도어 임팩트 바(10)를 이송수단(320)의 체인(326)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3실린더(334)는 제어유닛(500)의 제어를 받아 제3승강부재(332)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3승강부재(332)는 이송수단(320)의 체인가이드플레이트(327)의 하부에 샤프트(322)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3실린더(334)에 의해 승강되는 브라켓(332a)과, 브라켓(332a)의 상단에 부착되는 블록(332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332b)은 도어 임팩트 바(10)를 상승시키는 경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면에 복수의 'V'형 안착홈(도면부호 미표시됨)이 형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착홈은 3 내지 5개 정도 형성될 수 있다.
검사수단(340)은 이송수단(320)의 상측에 마련되며 승강수단(330)에 의해 도어 임팩트 바(10)가 상승되면 제어유닛(500)의 제어로 도어 임팩트 바(10)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불량 또는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검사수단(340)은 수직 및 수평프레임(342, 344), 이동부재(346), 검사부재(348)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직 및 수평프레임(342, 344)은 검사수단(340)의 몸체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직프레임(342)이 검사유닛(300)의 양단에 설치되고 수평프레임(344)이 수직프레임(342)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특히 수평프레임(344)은 그 하측에서 도어 임팩트 바(10)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승강수단(330)의 제3승강부재(332)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46)는 수평프레임(344)의 하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그 하측에 승강수단(330)의 제3승강부재(332)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검사부재(348)는 이동부재(346)의 하단에 복수로 부착되며 하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도어 임팩트 바(10)의 불량 또는 검사여부를 검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동부재(346)와 함께 검사부재(348)가 그 하측에서 상승되는 도어 임팩트 바(10)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광원을 조사하여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검사부재(348)는 도어 임팩트 바(10)의 중심선을 향하여 광원이 조사될 수 있도록 이동부재(346)의 하단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송수단(320)에 의해 이송되다가 정지된 도어 임팩트 바(10)가 승 강수단(330)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이동부재(346)가 도어 임팩트 바(10)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검사부재(348)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도어 임팩트 바(10)를 향하여 광원을 조사하여 도어 임팩트 바(10)의 불량 또는 정상여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 뒤 제어유닛(5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 때, 도어 임팩트 바(10)의 휨불량 여부와 길이불량 여부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전달수단(350)은 검사수단(340)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후 이송수단(320)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를 선별유닛(4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회전부재(352), 제2스키드(Skid)(354), 제3구동모터(356)를 구비한다. 여기서, 회전부재(352)는 이송수단(320)과 선별유닛(400)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수단(320)으로부터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를 회전시키면서 선별유닛(400)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어 임팩트 바(10)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홈(353)을 갖는다. 그리고, 제2스키드(Skid)(354)는 회전부재(352)와 선별유닛(40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부재(352)에 의해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를 선별유닛(400)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도어 임팩트 바(10)가 선별유닛(400)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소정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3구동모터(356)는 회전부재(352)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부재(35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제3구동모터(356)에는 감속기(357)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353은 도어 임팩트 바(10)를 이송수단(320)으로부터 전달수단(340)으로 가이드 하는 별도의 스키드(Skid)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의 선별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E-E'에 대한 단면도이다.
선별유닛(40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유닛몸체(410), 회동부재(420), 제1 및 제2가이드부재(430a, 430b), 제1 및 제2풀리(440a, 440b), 제1 및 제2선별용컨베이어벨트(450a, 450b), 제4실린더(460)를 포함한다.
선별유닛몸체(410)는 검사유닛(30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이 가능하도록 이송유닛(200)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선별유닛몸체(410)의 상부면은 소정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도어 임팩트 바(10)의 취출부(412)가 마련되며, 취출부(412)의 끝단부에는 경사로 인해 굴러 내려오는 도어 임팩트 바(10)의 스토퍼 역할을 하는 걸림턱(41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선별유닛몸체(410)의 취출부(412)는 도어 임팩트 바(10)가 휨불량인 경우의 취출부와, 휨정상인 경우에는 길이에 따른 복수의 취출부와, 길이불량인 경우의 취출부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회동부재(420)는 검사유닛(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를 선별유닛몸체(410)의 취출부(412)로 보낼 수 있도록 선별유닛몸체(410)의 상단부에 축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별유닛몸체(4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가이드부재(430a, 430b)는 회동부재(420)에 부착되어 검사유닛(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10)의 안착부가 마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어 임팩트 바(10) 안착된 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V'형 안착 부(도면부호 미표시됨)가 마련되도록 각각 소정경사를 갖고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동부재(420)가 사각기둥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가이드부재(430a, 430b)를 회동부재(420)의 인접하는 면에 각각 부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V'형 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풀리(440a)와 제1선별용컨베이어벨트(450a) 및 제2풀리(440b)와 제2선별용컨베이어벨트(450b)는 각각 제1 및 제2가이드부재(430a, 430b)에 설치되어 안착되는 도어 임팩트 바(10)가 선별유닛몸체(4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제1풀리(440a)는 제1가이드부재(430a)의 양단에 한 쌍이 설치되고 제1선별용컨베이어벨트(450a)는 제1가이드부재(430a)와 제1풀리(440a)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풀리(440a)의 회전시 제1선별용컨베이어벨트(450a)가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풀리(440b)는 제2가이드부재(430b)의 양단에 한 쌍이 설치되고 제2선별용컨베이어벨트(450b)는 제2가이드부재(430b)와 제2풀리(440b)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2풀리(440b)의 회전시 제2선별용컨베이어벨트(450b)가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검사유닛(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는 제1 및 제2선별용컨베이어벨트(450a, 450b)의 상면에 안착된 후 선별유닛몸체(4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된다.
제4실린더(460)는 선별유닛몸체(410)에 장착되되 회동부재(420)와 연결되어 회동부재(420)가 선별유닛몸체(410)의 취출부(412)를 향하여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검사유닛(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별유닛몸체(4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데, 이송되는 과정에서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이 필요한 경우 제4실린더(460)가 회동부재(420)를 회동시켜 도어 임팩트 바(10)가 선별유닛몸체(410)의 취출부(412)로 선별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4실린더(460)와 회동부재(420)는 아암(42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4실린더(460)의 작동은 제어유닛(500)에 의해 제어가 되는데, 제어유닛(500)에 의한 제어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지만, 먼저 휨불량인 도어 임팩트 바(10)를 선별한 후 휨정상인 도어 임팩트 바(10)는 그 요구되는 길이별로 선별되도록 하며 요구되는 길이에 속하지 않는 즉, 길이불량인 도어 임팩트 바(10)가 최후에 선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어유닛(500)은 도어 임팩트 바가 휨불량인 경우에는 선별유닛몸체(4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4실린더(460)의 작동을 제어하여 검사유닛(300)으로부터 선별유닛(400)으로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10)가 선별유닛몸체(410)의 취출부(412)에 바로 선별되도록 하고, 휨정상인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제4실린더(460)의 작동을 제어하여 길이별로 선별되도록 하고, 길이불량인 경우에는 선별유닛몸체(410)의 타측 끝단에 설치된 제4실린더(460)의 작동을 제어하여 길이불량품이 선별되도록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성형공정이 완료된 도어 임팩트 바(10)는 도 2a의 'a1'방향으로 공급유닛(100)에 이송되어 공급유닛(100)의 제1승강부재(120)에 안착되고 제1승강부재(120)의 상승시 이송유닛(200)으로 공급된다. 이 때, 도어 임팩트 바(10)는 이송유닛(200)으로 굴러가 이송유닛몸체(210) 상단부의 복수의 이송롤러(220)에 종방향 으로 안착이 되고 이송롤러(220)에 의해 이송유닛몸체(2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도 2a의 'a2'방향으로) 이송이 된다.
그리고, 이송롤러(220)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10)는 이송유닛몸체(210)의 상단부 타측에 장착된 스토퍼(250)에 의해 정지가 되고, 감지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유닛(500)으로 신호를 보내며, 제어유닛(500)의 제어로 제2실린더(240)가 작동되어 제2승강부재(230)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제2승강부재(230)의 상승으로 도어 임팩트 바(10)가 검사유닛(300) 쪽으로 굴러가게 되고 제1스키드(270)를 통해 검사유닛(300)으로 가이드 된다.
그리고, 검사유닛(300)으로 전달된 도어 임팩트 바(10)는 검사유닛(300)의 이송수단(320)에 횡방향으로 안착되어 도 2a의 'a3'방향 이송되는데, 제어유닛(500)의 제어로 이송 및 정지가 반복된다. 이 경우, 이송수단(320)에 의해 도어 임팩트 바(10)의 이송이 정지되면 제어유닛(500)의 제어로 승강수단(330)이 상승하여 도어 임팩트 바(10)를 상승시키게 되고 검사수단(340)이 도어 임팩트 바(10)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불량 또는 정상여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며, 검사가 완료되면 승강수단(330)은 하강하여 도어 임팩트 바(10)가 이송수단(320)에 안착되도록 하고 이송수단(320)은 다시 도어 임팩트 바(10)를 이송시키게 되고 검사가 완료된 도어 임팩트 바(10)는 전달수단(350)에 의해 선별유닛(400)으로 전달이 된다.
이렇게 선별유닛(400)으로 전달된 도어 임팩트 바(10)는 선별유닛몸체(410)의 제1 및 제2선별용컨베이어벨트(450a, 450b)에 의해 도 2a의 'a4'방향으로 이송이 됨과 동시에 제어유닛(500)의 제4실린더(460) 작동 제어로 인해 검사유닛(300) 에서의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유닛몸체(410)의 취출부(412)로 선별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임팩트 바(10)가 휨불량인 경우에는 'a51'방향으로 선별되도록 하고, 휨정상인 경우에는 'a52' 내지 'a55'방향으로 길이별로 선별되도록 하고, 길이불량인 경우에는 'a56'방향으로 선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어 임팩트 바(10)의 공급, 이송, 검사 및 선별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고, 작업이 완료된 경우 작업자는 제품을 선별결과에 따라 취출하기만 하면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취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부 입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의 공급유닛과 이송유닛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B부 입면도.
도 3c는 도 3a의 C부 입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의 검사유닛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D부 입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의 검사유닛의 검사수단에 대한 입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의 선별유닛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E부 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공급유닛 110 : 가이드레일
120 : 제1승강부재 130 : 제1실린더
200 : 이송유닛 210 : 이송유닛몸체
220 : 이송롤러 230 : 제2승강부재
240 : 제2실린더 250 : 스토퍼
260 : 제1구동모터 270 : 제1스키드
300 : 검사유닛 310 : 검사유닛몸체
320 : 이송수단 322 : 샤프트
324 : 스프라킷 326 : 체인
327 : 체인가이드플레이트 328 : 제2구동모터
330 : 승강수단 332 : 제3승강부재
332a : 브라켓 332b : 블록
334 : 제3실린더 340 : 검사수단
342 : 수직프레임 344 : 수평프레임
346 : 이동부재 348 : 검사부재
350 : 전달수단 352 : 회전부재
354 : 제2스키드 356 : 제3구동모터
400 : 선별유닛 410 : 선별유닛몸체
412 : 취출부 420 : 회동부재
430a, 430b : 가이드부재 440a, 440b : 풀리
450a, 450b : 선별용컨베이어벨트 460 : 제4실린더
500 : 제어유닛

Claims (15)

  1.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여부를 판단하여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어 임팩트 바가 종방향으로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의 횡방향 이송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불량 또는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
    상기 검사유닛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검사유닛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후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 검사유닛 및 선별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될 수 있는 상부면을 갖고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승시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이송유닛으로 굴러가도록 하는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부면이 소정경사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1승강부재와, 상기 제1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유닛몸체와, 상기 이송유닛몸체의 상단부에 복수로 장착되어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이송유닛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검사유닛을 향하여 굴러갈 수 있도록 상기 이송유닛몸체의 상단부 타측에 장착되는 이송롤러 각각의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면이 소정경사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복수의 제2승강부재와, 상기 제2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유닛몸체와, 상기 이송유닛몸체의 상단부 일측 및 중앙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이송롤러와,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롤러의 회전시 회전되는 제1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이송유닛몸체의 상단부 타측에 상호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장착 되는 복수의 제2이송롤러와,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검사유닛을 향하여 굴러갈 수 있도록 상기 제2이송롤러 각각의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면이 소정경사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복수의 제2승강부재와, 상기 제2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유닛몸체 상단부 타측 끝단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를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도어 임팩트 바의 도달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2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제2승강부재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으로 신호를 보내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유닛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롤러에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1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2승강부재의 상승시 굴러 가는 도어 임팩트 바가 상 기 검사유닛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검사유닛과의 사이에 소정경사로 설치되는 제1스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은,
    검사유닛몸체;
    상기 검사유닛몸체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각각에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스프라킷과, 상기 검사유닛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라킷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되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로 상기 샤프트, 스프라킷 및 체인이 일정시간 동안의 회전 및 정지가 반복되도록 하는 제2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송수단의 샤프트, 스프라킷 및 체인이 일정시간 회전한 뒤 정지되면 도어 임팩트 바가 상승될 수 있도록 상승하고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 또는 정상여부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체인에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강하는 제3승강부재와,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로 상기 제3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3실린더를 구비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 임팩트 바가 상승되면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로 상기 도어 임팩트 바의 종방향으로 슬라이 딩 이동되면서 불량 또는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선별유닛과의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검사수단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후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홈을 갖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선별유닛 사이에 소정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제2스키드와,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검사유닛몸체의 상단부에 상기 스프라킷 및 체인과 평행하게 인접설치되는 복수의 체인가이드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의 제3승강부재는 상기 체인가이드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샤프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3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 부면에 복수의 'V' 형 안착홈이 형성되는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검사수단은 상기 검사유닛몸체의 양단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되 상기 승강수단의 제3승강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에 복수로 부착되되 하방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 또는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이송유닛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면에 소정경사를 갖는 취출부가 마련되는 선별유닛몸체와,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상부 일측에 축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 각각에 부착되며 상기 검사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안착된 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V'형 안착부가 마련되도록 각각 소정경사를 갖고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재 각각의 양단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풀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제1풀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선별용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 및 제 2풀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2선별용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선별유닛몸체에 장착되되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취출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4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선별용컨베이어벨트에 안착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되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제4실린더의 작동이 제어되어 상기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 또는 정상여부에 따라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취출부로 선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도어 임팩트 바가 휨불량인 경우에는 상기 검사유닛으로부터 상기 선별유닛으로 전달되는 도어 임팩트 바가 바로 선별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4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도어 임팩트 바가 휨정상인 경우에는 길이별로 선별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제4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도어 임팩트 바가 길이불량인 경우에는 상기 선별유닛몸체의 타측 끝단에 설치된 제4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 불량선별장치.
KR1020080002001A 2008-01-08 2008-01-08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KR20090076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001A KR20090076199A (ko) 2008-01-08 2008-01-08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001A KR20090076199A (ko) 2008-01-08 2008-01-08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199A true KR20090076199A (ko) 2009-07-13

Family

ID=4133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001A KR20090076199A (ko) 2008-01-08 2008-01-08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61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682B1 (ko) 타이어 균일성 측정장치
KR101176308B1 (ko) 타이어 시험기용 타이어 팽창 방법
KR100923273B1 (ko) 풀리 자동검사장치
CN108394594B (zh) 一种轮胎打包机及流水线
CN103723495B (zh) 翻转装置、具有该翻转装置的检测设备及翻转方法
CN1244255A (zh) 轮胎测试***用的输入传送机
NL1032683C2 (nl) Samenstel en werkwijze voor het maken van tenminste een deel van een band.
CN109719048B (zh) 一种银亮钢棒自动探伤智能下料***
CN116037487A (zh) 一种塑料瓶盖加工用厚度检测设备
KR101286999B1 (ko) 자동변속기 밸브바디의 사상 검사 장치
CN113857077A (zh) 一种引线框架检测设备
US6732849B2 (en) Sorting system
KR20090076199A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바의 불량선별장치
CN219807477U (zh) 一种装车设备中的行走机构
CN113482362B (zh) 一种异形箍筋和纵筋上下位定位绑扎方法
JP4835535B2 (ja) 板状体検査設備
KR20130091436A (ko) 자동 다축 천공장치
CN102367099A (zh) 物料工位分配装置
CN115165191A (zh) 一种铝合金残余应力无损检测设备及方法
CN211637387U (zh) 升降式橡胶轮胎分级组合装置
KR102003482B1 (ko) 차량용 샤프트의 열처리 검사장치
US6152286A (en) Roll separation assembly
KR200446986Y1 (ko) 타이어용 벨트의 말림 방지장치
KR200368857Y1 (ko) 타이어 센터링 정렬장치
JP3792414B2 (ja) 鋼製枕木の連続製造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