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511A -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511A
KR20090073511A KR1020070141476A KR20070141476A KR20090073511A KR 20090073511 A KR20090073511 A KR 20090073511A KR 1020070141476 A KR1020070141476 A KR 1020070141476A KR 20070141476 A KR20070141476 A KR 20070141476A KR 20090073511 A KR20090073511 A KR 20090073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lavanone
residue
flav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웅
임순성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4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511A/ko
Publication of KR2009007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5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은 우수한 말라리아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어 말라리아 치료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가능하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말라리아 치료효과, 세포독성

Description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lavonoid compounds for treating malarial disease}
본 발명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종의 플라본 화합물과 2종의 플라바논 화합물의 우수한 항말라리아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라리아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말라리아는 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감염성 질환으로서 매년 4~9억명이 감염되어 이 가운데 1~3백만명이 사망하는 매우 위험한 질환이다(Breman, 2001). 인간의 말라리아는 플라스모디움 팔시파룸(Plasmodium falciparum), P. 말라리아에(P. malariae), P. 오발레(P. ovale), P. 비박스(P. vivax) 등에 의해 발병되는데, 이 가운데에서 특히 P. 팔시파룸이 가장 중요한 발명원인이 되며 이 원충에 의한 감염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고 사망자의 약 90%가 이 원충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Mendis 등, 2001).
P. 팔시파룸에 의해 발병되는 말라리아를 치료하는 최초의 치료약은 17세기 신코나 나무(cinchona tree)를 이용한데서 비롯되었으며 이 나무에 함유된 키니네(quinine, 퀴놀린 알칼로이드의 일종)가 말라리아에 매우 강한 치료효과가 있음이 알려졌다. 1944년 키니네의 화학적 합성이 보고(Woodward 및 Doering, 1944)된 이후, 여러 가지 종류의 다양한 항말라리아 약물이 합성(Wataya 등, 2005) 되었는데 대표적으로 클로로퀸(chloroquine)과 그 유도체들이 현재까지 유용한 약물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 팔시파룸이 기존의 항말라리아 약물에 내성을 가져 효과가 약해짐에 따라 천연물이나 합성물에 의한 새로운 치료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Gessler 등, 1994; Tran 등, 2003). 본 발명에서 합성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유사한 화합물의 항말라리아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하면,
1) 5,7,3-trihydroxy-4',5'-(2''''.2''''-dimethylpyran)-8,2'-di(3-methyl-2-butenyl)-(2S)- flavanone, 5,7,3-trihydroxy-4'-methoxy-8,2'-di(3-methyl-2-butenyl)-(2S)-flavanone 및 7,3',4-trihydroxy-6-methoxy-8,2'-di(3-methyl-2-butenyl)-2S)-flavan의 IC50 값은 2.6~3.3μg/ml (Kanokmedhakul 등, 2004)이며 2) (R)-4''-methoxydalbergione, obtusafuran, 7,4'-dihydroxy-3'-methoxyisoflavone 및 isoliquiritigenin등은 모두 IC50 값이 5.8~8.7 μM (Beldjoudi 등, 2003)로 보고되어 있으며, 3) 27종의 합성 피페라지닐 플라본류의 IC50 값이 0.18~41.0 μM (Auffret 등, 2007)이며, 4) 28종의 천연 및 합성 플라보노이드의 항말라리아 효과에 대한 보고(Tasdemir 등, 2006)도 있다.
위에 소개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외에도 많은 화합물이 천연물로부터 분리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항말라리아 효과가 검색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합성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의 P. 팔시파룸 성장억제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보고는 아직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알려진 항말라리아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적은 화합물을 찾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그 유도체의 항말라리아 억제효과를 확인하고, 연구를 계속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말라리아를 유발하는 P. 팔시파룸의 성장을 억제하여 말라리아를 치료할 수 있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말라리아를 유발하는 P. 팔시파룸의 성장을 억제하여 말라리아를 치료할 수 있는 플라본 및 플라바논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플라본 및 플라바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그 유도체 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특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말라리아를 치료하기에 유용한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들 화합물들은 말라리아의 주요 발명 원충인 P. 팔시파룸의 성장을 억제하여 말라리아를 치료할 수 있다.
이때 적용가능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그 유도체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95009914-PAT00001
상기 식에서 1 내지 3번 화합물은 플라본 유도체이고, 4 내지 5번 화합물은 플라바논 유도체로서, 구체적으로 1번 화합물은 3-브로모-3,4-디메톡시플라본으로, 2번 화합물은 7,3,4-트리메톡시플라본으로, 3번 화합물은 6,7-디메틸-3,4-디메톡시플라본으로, 4번 화합물은 6-메틸-3,4-디메톡시플라바논으로, 5번 화합물은 7,3,4-트리메톡시플라바논으로 명명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의하면,
상기 3번 화합물인 6,7-디메틸-3,4-디메톡시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낮은 FM3A 세포독성의 EC50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견지에 의하면, 일견지 및 제2견지의 플라본 유도체는
(a) 벤즈알데히드 및 2-히드록시아세토페논으로부터 2-히드록시켈콘을 합성하는 단계;
(b) 상기 2-히드록시켈콘을 폐환하는 단계;
(c)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망초로 건조,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잔사를 얻는 단계; 및
(d)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플라본 유도체를 합성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견지에 의하면, 일견지의 플라바논 유도체는
2-히드록시아세토페논과 벤즈알데히드를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붕산, 피페리딘 및 이산화규소를 넣고 120℃ 정도에서 환류하는 단계;
환류도중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상에서 기질이 없어진 것을 확인한 후, 실온에 식히고 아세톤으로 희석하여 여과하는 단계; 및
얻어진 여액을 무수망초로 건조, 여과 후 얻은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플라바논 유도체를 얻는 단계; 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식물에서 생성되는 폴리페놀성 이차 대사산물중의 큰 그룹중의 하나이다. 이 화합물은 두 개의 방향환이 3개의 탄소를 가진 헤테로고리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있으며 크게 6종의 화합물 군(플라본류, 플라바논류, 이소플라본류, 플라보놀류, 플라바놀류 및 안토시아닌류)으로 나누어 진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각종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고 이 외에도 항균, 이뇨, 혈압강하, 항알러지, 瀉下, 鎭痙효과등이 보고되어 있다(三橋 博 등, 1985).
본 발명은 상기 효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을 합성하여 아직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약리효과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일부 화합물이 우수한 항말라리아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들을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화합물들은 알려진 방법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에 의해 얻어진다:
즉, 2-히드록시켈콘을 합성하는 단계; 2-히드록시켈콘을 폐환하는 단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망초로 건조,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잔사를 얻는 단계; 및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2-히드록시켈콘의 합성은 상기 벤즈알데히드에 치환되어있는 수산기와 2-히드록시아세토페논의 2번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수산기는 아세톤 용매하에 탄산칼륨과 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를 넣고 환류하여 보호하고, 상기 아세토페논의 2번 위치의 수산기는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 하에 수소화나트륨을 촉매로 사용하여 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를 0℃에서 반응하여 보호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보호된 수산기를 가지는 알데히드 유도체와 아세토페논 유도체를 에탄올에서 수산화칼륨을 가하여 클라이젠-슈미트 축합반응을 수행하는 제2 단계;를 거쳐 수행하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하여 항말라리아 효과를 갖는 플라본 및 플라바논 유도체를 합성해내기에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합성된 2'-히드록시캘콘은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인 후 요오드를 가하여 환류하는 단계; 상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기질이 소실된 것을 확인한 후, 티오황산나트륨, 수산화칼륨, 얼음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는 단계; 얻어진 수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무 수망초로 건조, 여과 후 얻은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잔사를 수득하는 단계; 및 얻어진 잔사로부터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매: 10% 에틸아세테이트의 헥산용액)로 정제하여 플라본 유도체를 얻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항말라리아 효과를 갖는 플라본 유도체를 합성해낼 수 있다.
또한, 2-히드록시아세토페논과 벤즈알데히드를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붕산, 피페리딘 및 이산화규소를 넣고 120℃ 정도에서 환류하는 단계; 환류도중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상에서 기질이 없어진 것을 확인한 후, 실온에 식히고 아세톤으로 희석하여 여과하는 단계; 및 얻어진 여액을 무수망초로 건조, 여과 후 얻은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용매: 10% 에틸아세테이트의 헥산용액)로 정제하여 플라바논 유도체를 얻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항말라리아 효과를 갖는 플라바논 유도체를 합성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화합물의 유효량은 투여경로, 제형, 사용하 는 목적, 환자의 질환의 정도 등에 따라 광범위한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함량이 1.0-2.0 mg/kg/주(week), 바람직하게는 1.5 mg/kg/주의 농도로 투여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위의 화합물을 상기한 범위 내로 투여하기 위한 제제는 통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알약 형태나 캡슐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경구 또는 각종의 비경구 투여 경로를 통해 말라리아의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 제형에 따라 적합한, 그리고 당업자에게 이미 주지되어 있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는 각종의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P. 팔시파룸 원충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말라리아 질환을 치료할 수 있어 항말라리아제로 유효하게 사용될 뿐 아니라 이 과정에서 플라본 유도체의 일종인 6,7-디메틸-3,4-디메톡시플라본이 낮은 FM3A 세포독성의 EC50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P. 팔시파룸 원충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말라리아 질환을 치료할 수 있어 항말라리아제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플라본 유도체는 암 예방 및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다.
[ 실시예 1] 2'- 히드록시캘콘의 합성
벤즈알데히드에 치환되어있는 수산기와 2-히드록시아세토페논의 2번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수산기는 아세톤 용매하에 탄산칼륨과 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를 넣고 환류하여 보호하고, 아세토페논의 2번 위치의 수산기는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 하에 수소화나트륨을 촉매로 사용하여 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를 0℃에서 반응하여 보호하였다. 보호된 수산기를 가지는 알데히드 유도체와 아세토페논 유도체를 96% 에탄올에서 수산화칼륨을 가하여 클라이젠-슈미트 축합반응을 통해 2'-히드록시캘콘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2] 플라본 유도체의 합성
2'-히드록시캘콘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인 후 요오드를 가하여 150℃에서 1시간동안 환류한다. 얇은층 크로마토그래피로 기질이 소실된 것을 확인한 후, 티오황산나트륨, 수산화칼륨, 얼음물을 가한다. 수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무수망초로 건조, 여과 후 얻은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용매: 10% 에틸아세테이트의 헥산용액)를 행하여 플라본 유도체를 얻었다.
[ 실시예 3] 플라바논 유도체의 합성
2-히드록시아세토페논과 벤즈알데히드를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붕산, 피페리딘 그리고 이산화규소를 넣고 120℃에서 환류한다. 얇은층 크로마토그래피상에서 기질 이 없어진 것을 확인한 후, 실온에서 반응물을 식힌 다음, 아세톤으로 희석하여 여과하였다. 얻은 여액을 무수망초로 건조, 여과 후 얻은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용매: 10% 에틸아세테이트의 헥산용액)를 행하여 플라바논 유도체를 얻었다.
< 실험예 1> 말라리아 원충의 배양
본 실험에 사용된 말라리아 원충인 플라스모디움 팔시파룸(ATCC 30932, FCR-3 strain)은 Trager와 Jensen의 방법(Trager 등, 1976)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즉, A형 인간 적혈구세포의 5% 헤마토크리트를 RPMI 1640 배지에 현탁시키고 열로 활성화시킨 10% A형 인간혈청을 보충하였다. 플레이트를 5% 이산화탄소-5% 산소-90% 질소가 함유된 배양기에서 37°C에서 배양시키고, 100개의 적혈구마다 5개가 원충에 감염될 때까지 (5% parasitemia) 배지를 매일 바꾸어 주었다.
< 실험예 2> 항말라리아 효과 측정
상기 실험예 1에서 배양한 플라스모디움 팔시파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알려진 방법(Kim 등, 1998; 1999)을 약간 변형하여 항말라리아 활성을 검색하였다.
이를 위해 합성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여러 가지 농도의 디메틸설폭사이드 용액을 만들었으며 이 용액 5 μl를 24-웰 멀티-디쉬(24-well multi-dish)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0.3% parasitemia 정도의 적혈구를 995 μl의 배지를 함유하는 각 웰에 가하여 최종 헤마토크리트 레벨이 3%가 되게 하였다. 이들 플레이트를 5% 이산화탄소-5% 산소-90% 질소가 함유된 배양기에서 37 °C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시료의 항말라리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배양 플레이트에서 얇은 혈액필름을 만들고 김사(Giemsa)로 염색하였다. 한 개의 혈액필름 당 총 만개의 적혈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모든 측정 시료화합물은 최종 농도가 5.0-5.8 μg/ml에서 2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이와 동시에 약물이 없는 대조군도 함께 측정하였으며 모든 데이터는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대조군의 Parasitemia는 72 시간에 4-5%가 되게 조절하였다.
EC50 값은 72시간 동안 원충의 증가를 대조군에 비해 50% 억제하는 효과를 의미한다.
< 실험예 3> 포유류 종양세포의 배양
마우스의 종양세포 [FM3A 세포; wild-type, subclone F28-7(Yoshioka 등, 1987)]는 일본 암연구 자원은행(Japanese Cancer Research Resources Bank)에서 공급받았으며 이 FM3A 세포를 현탁배지에서 37 °C에서 5% 이산화탄소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이 때, 2% 열로 불활성화된 태아 소의 혈청이 든 ES 배지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병에서 배양하였다.
< 실험예 4> 포유류 종양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
FM3A 세포는 약 12시간 2회에 걸쳐 성장시켰다. 시료화합물에 노출되기 전 에 세포의 농도는 5×104 cells/ml에 맞추었다. 995 μl의 세포현탁액을 시험용 플레이트에 나누고 디메틸설폭사이드(5 μl)에 용해한 여러 가지 농도의 화합물을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이 플레이트를 37 °C에서 5% CO2 하에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모든 시료 화합물은 각각의 농도에서 2회 측정하였다. 세포수는 Micro cell counter CC-130 (Toa Medical Electric Co., Japan)으로 측정하였으며 모든 데이터는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EC50 값은 48시간 동안 대조군의 세포 증가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화합물의 농도를 의미한다. 선택성(selectivity)은 FM3A 세포에 대한 평균 EC50 값을 P. 팔시파룸에 대한 평균 EC50 값으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번호 최종 농도 (μg/ml) P. 팔시파룸 억제효과 (% 억제율 / EC50 값) FM3A 세포독성 EC50 (μg/ml) 선택지수
1 5.3 40 무독성 -
2 5.8 37 3.2 -
3 5.2 13 2.0 -
4 5.0 100 / 1.6 >4.8 >3
5 5.7 36 무독성 -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중에서 4번 화합물(6-메틸-3,4-디메톡시플라바논)은 최종 농도 5.0 μg/ml에서 P. 팔시파룸의 성장을 100% 억제하였으며 EC50 값도 매우 낮은 1.6 μg/ml로 나타나 매우 우수한 항말라리아 효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이 화합물은 P. 팔시파룸에 대한 EC50 값을 FM3A 세포독성의 EC50 값으로 나눈 선택지수가 >3으로 산출되어 매우 강력한 항말라리아 약물로 개발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1번 화합물(3-브로모-3,4-디메톡시플라본). 2번 화합물(7,3,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5번 화합물(7,3,4-트리메톡시플라바논)은 P. 팔시파룸 성장효과가 36~40%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3번 화합물(6,7-디메틸-3,4-디메톡시플라본)만이 비교적 약하였다. 그러나 3번 화합물은 FM3A 세포독성의 EC50 값이 다른 화합물에 비해 낮아 마우스 종양세포 억제효과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1.Breman, J. Am . J. Trop . Med . Hyg . 2001, 64, 1
2.Mendis, K.; Sina, B.; Marchesini, P.; Carter, R. Am . J. Trop . Med . Hyg . 2001, 64, 97
3. Woodward, R.; Doering, W. J. Am . Chem . Soc . 1944, 66, 849.
4. Wataya, Y.; Kim, H-S. Jikken Igaku, 2005, 23, 2741.
5. Gessler, M. C.; Nkunya, M. H. H.; Mwasumbi, L. B.; Heinrick, M.; Tanner, M. ACTA Tropica , 1994, 56,65.
6. Tran, Q. L.; Tezuka, Y.; Ueda, J.-Y.; Nguyen, N. T.; Maruyama, Y.; Begum, K.; Kim, H.-S.; Wataya, Y.; Tran, Q. K.; Kadota, S. J. Ethnopharmacol. 2003, 86, 249.
7. Kanokmedhakul, S.; Kanokmedhakul, K.; Nambuddee, K.; Kongsaeree, P. J. Nat . Prod. 2004, 67, 968.
8 Beldjoudi, N.; Mambu, L.; Labaieed, M.; Grellier, P.; Ramanitrahasimbola, D.; Rasoanaivo, P.; Martin, M. T.; Frappier, F. J. Nat . Prod. 2003, 66, 1447.
9 Auffret, G.; Labaied, M.; Frappier, F.; Rasoanaivo, P.; Grellier, P.; Lewin, G. Bioorg . Med . Chem . Letters 2007, 17, 959.
10 Tasdemir, D.; Lack, G.; Brun, R.; Ruedi, P.; Scapozza, L.; Perozzo, R. J. Med . Chem. 2006, 49, 3345.
11. 三橋 博 등. 天然物化學, pp. 217-219., 南江堂(일본), 1985.
12. Trager, W.; Jensen, J. B. Science 1976,193,673.
13. Kim, H.-S.; Miyake, H.; Arai, M.; Wataya, Y.. Parasitology International 1998, 47, 59.
14. Kim, H.-S.; Shibata, Y.; Wataya, Y.; Tsuchiya, K.; Masuyama, A.; Nojima, M. . J. Med . Chem . 1999, 42, 2604.
15. Yoshioka, A.; Tanaka, S.; Hiraoka, O.; Koyama, Y.; Hirota, Y.; Ayusawa, D.; Seno, T.; Garrett, C.; Wataya, Y. J. Biol . Chem . 1987, 262, 8235.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P. 팔시파룸 원충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말라리아 질환을 치료할 수 있어 항말라리아제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플라본 유도체는 암 예방 및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플라본 및 플라바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본 유도체는 3-브로모-3,4-디메톡시플라본, 7,3,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6,7-디메틸-3,4-디메톡시플라본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바논 유도체는 6-메틸-3,4-디메톡시플라바논, 및 7,3,4-트리메톡시플라바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1.0-2.0 mg/kg/주(week)의 농도로 제형화되어, P. 팔시파룸 억제에 의한 말라리아 치료 및 예방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6,7-디메틸-3,4-디메톡시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낮은 FM3A 세포독성의 EC50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2,4, 5항중 어느 한항의 플라본 유도체는
    (a) 벤즈알데히드 및 2-히드록시아세토페논으로부터 2-히드록시켈콘을 합성하는 단계;
    (b) 상기 2-히드록시켈콘을 폐환하는 단계;
    (c)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망초로 건조,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잔사를 얻는 단계; 및
    (d)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플라본 유도체를 합성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2-히드록시켈콘의 합성 단계는
    상기 벤즈알데히드에 치환되어있는 수산기와 2-히드록시아세토페논의 2번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수산기는 아세톤 용매하에 탄산칼륨과 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를 넣고 환류하여 보호하고, 상기 아세토페논의 2번 위치의 수산기는 테트라히드로퓨 란 용매 하에 수소화나트륨을 촉매로 사용하여 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를 0℃에서 반응하여 보호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보호된 수산기를 가지는 알데히드 유도체와 아세토페논 유도체를 에탄올에서 수산화칼륨을 가하여 클라이젠-슈미트 축합반응을 수행하는 제2 단계;를 거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d) 단계는
    제6항의 2'-히드록시캘콘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인 후 요오드를 가하여 환류하는 단계;
    상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기질이 소실된 것을 확인한 후, 티오황산나트륨, 수산화칼륨, 얼음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는 단계;
    얻어진 수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무수망초로 건조, 여과 후 얻은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잔사를 수득하는 단계; 및
    얻어진 잔사로부터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으로 정제하여 플라본 유도체를 얻는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3,4항중 어느 한 항의 플라바논 유도체는
    2-히드록시아세토페논과 벤즈알데히드를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붕산, 피페리딘 및 이산화규소를 넣고 120℃ 정도에서 환류하는 단계;
    환류도중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상에서 기질이 없어진 것을 확인한 후, 실온에 식히고 아세톤으로 희석하여 여과하는 단계; 및
    얻어진 여액을 무수망초로 건조, 여과 후 얻은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플라바논 유도체를 얻는 단계; 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70141476A 2007-12-31 2007-12-31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KR20090073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476A KR20090073511A (ko) 2007-12-31 2007-12-31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476A KR20090073511A (ko) 2007-12-31 2007-12-31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511A true KR20090073511A (ko) 2009-07-03

Family

ID=4133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476A KR20090073511A (ko) 2007-12-31 2007-12-31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5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6956A (zh) * 2014-06-17 2014-09-03 广西师范学院 5,2′,4′-三羟基-7-甲基-3-烃基黄酮类似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016957A (zh) * 2014-06-17 2014-09-03 广西师范学院 7-甲基-3-香叶基黄酮和7-甲基-3-异戊烯基黄酮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36442A (ko) * 2019-09-25 2021-04-05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천연 약초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말라리아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6956A (zh) * 2014-06-17 2014-09-03 广西师范学院 5,2′,4′-三羟基-7-甲基-3-烃基黄酮类似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016957A (zh) * 2014-06-17 2014-09-03 广西师范学院 7-甲基-3-香叶基黄酮和7-甲基-3-异戊烯基黄酮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36442A (ko) * 2019-09-25 2021-04-05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천연 약초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말라리아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yat et al. Antiprotozoal activity of chloroquinoline based chalcones
US11542257B2 (en) Arylnaphthalene compounds as vacuolar-ATPase inhibitors and the use thereof
JP2008505937A (ja) インドールアミン2,3−ジオキシゲナーゼ(ido)阻害剤
US6677350B1 (en) Beta-fluoroethyl thiourea compounds and use
JP2009539817A (ja) 抗真菌療法におけるクマリン誘導体の使用
JPH11508264A (ja) 抗ウィルス剤としてのビフラバノイドおよびその誘導体
JP2005060396A (ja) スピロ及びジスピロ1,2,4−トリオキソラン抗マラリア物質
KR20090073511A (ko)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KR100979945B1 (ko) 캘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 약학적조성물
KR100543897B1 (ko) 치자 추출물 및 치자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JP2008526949A (ja) 新規の抗マラリア薬9a−カルバモイル−アミノアルキルおよび9a−チオカルバモイル−アミノアルキルアザライド
US11884653B2 (en) Arylnaphthalene compounds as vacuolar-ATPase inhibitors and the use thereof
JP5288532B2 (ja) セスキテルペンラクトン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CN113214097B (zh) 治疗阿尔茨海默病的化合物
KR100979948B1 (ko) 캘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0269859B (zh) 喹噁啉-1,4-二氧类化合物在抗弓形虫感染上的应用
JP4382898B2 (ja) 抗マラリア活性を有するペルオキシド誘導体
KR100956576B1 (ko) 에피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청각보호제 조성물
KR20020045417A (ko) 녹차로부터 추출된 항암효과가 우수한 폴리페놀류 화합물
US4920147A (en) Deoxoartemisinin: new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malaria
JP2021116291A (ja) 2,4−ジアミノ−6,7−ジメトキシキナゾリ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医薬品組成物、及び特定の構造を有する2,4−ジアミノ−6,7−ジメトキシキナゾリン誘導体
WO2006087935A1 (ja) フェノキサジニウム化合物を活性成分として含有する医薬組成物
CN115340538B (zh) 8-苯亚胺基甲基小檗碱型衍生物及其制备药物的应用
KR101701547B1 (ko) 말라리아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페로퀸의 용도
JP3740284B2 (ja) 抗マラリア活性を有する新規化合物又はその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