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472A - 램프용 급전부재, 방전램프, 방전램프 유닛 및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램프용 급전부재, 방전램프, 방전램프 유닛 및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472A
KR20090071472A KR1020080134440A KR20080134440A KR20090071472A KR 20090071472 A KR20090071472 A KR 20090071472A KR 1020080134440 A KR1020080134440 A KR 1020080134440A KR 20080134440 A KR20080134440 A KR 20080134440A KR 20090071472 A KR20090071472 A KR 20090071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main body
glass bulb
terminal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쓰야 다카노
히로아키 니시카타
야스아키 하라
아키오 게이미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쇼메이 프레시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116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176722A/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쇼메이 프레시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쇼메이 프레시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2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making direct electrical contact, e.g. by pie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3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lamp holding means
    • H01R33/0845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lamp holding means with axially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63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H01R33/0872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for mounting in an opening of a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램프의 소켓에 부착이나 수송시에 가해지는 램프의 기계적 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게다가, 안정된 급전이 가능한 램프용 급전부재, 방전램프, 방전램프 유닛 및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전극(14)이 봉해진 유리벌브(11)를 갖는 방전램프 본체 (10)와, 유리벌브(11)의 끝단부가 끼워 삽입 가능한 삽입구(2c)가 형성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2) 및 유리벌브(11)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본체부(2)에 유지되어 삽입구(2c)와 연이어 통하는 연통부(3a)를 갖는 급전단자(3)로 이루어지고, 본체부(2)의 삽입구(2c)에는 유리벌브(11)의 끝단부가 끼워 삽입되며, 급전단자(3)에는 유리벌브(11)의 끝단부로부터 연통부(3a)내에 도출된 전극 리드선(12)이 접속되어 있는 급전부재(1)를 구비하는 방전램프(20)이다.

Description

램프용 급전부재, 방전램프, 방전램프 유닛 및 발광장치{POWER SUPPLY MEMBER FOR LAMP, DISCHARGE LAMP, DISCHARGE LAMP UNIT AND 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냉음극 방전램프 등에 이용되는 급전부재, 이 급전부재를 이용한 방전램프, 방전램프 유닛 및 이 방전램프 유닛을 이용한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음극 방전램프 등의 급전구조로서 유리벌브(glass bulb)의 양 끝단부의 바깥둘레면에 땜납제의 박막을 피착하여, 이 박막과 전극 리드선을 접속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것에는, 용수철 작용을 갖는 끼움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램프 홀더에 의해서, 램프가 유지되는 것과 함께, 램프 홀더와 급전단자인 박막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냉음극 방전램프의 유리관 양 끝단 부근의 외표면에 고리형상의 완충재를 부착하고, 이 완충재가 소켓의 케이스와 커버로 접촉 유지되어, 리드선이 케이스내의 소켓 단자에 탄성적으로 끼워 지지되어 급전 접속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7-157564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7-9562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난 것은, 끼움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램프 홀더에 램프를 유지하는 것으로, 램프의 부착시에, 램프의 유리벌브에 기계적 부하가 걸려, 벌브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게다가, 부착 후에 있어서도, 램프 홀더로부터 벌브에 직접적으로 유지력이 가해지므로, 스트레스의 축적이나 유리의 변형 등의 원인에 의해서 벌브가 파손되는 불량이 생긴다. 게다가, 박막의 피착공정이 번잡하고, 생산수율이 나쁘고, 또한, 램프를 램프 홀더에 삽입할 때에 박막이 깎여져 버리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나타난 것은, 리드선이 소켓 단자에 탄성적으로 끼워 지지되는 것이지만, 램프의 부착시에, 리드선을 통하여 램프에 기계적 부하가 걸리므로, 특허문헌 1과 같이, 벌브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유리관 양 끝단 부근의 외표면에 완충재가 부착되어는 있지만, 램프의 부착에 있어서의 램프에 기계적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근래, 램프의 장척화나 세경화에 수반하여, 램프에 기계적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램프의 소켓에의 부착이나 수송시에 가해지는 램프의 기계적 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게다가, 안정된 급전이 가능한 램프용 급전부재, 방전램프, 방전램프 유닛 및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램프용 급전부재는, 램프용 벌브의 끝단부가 끼워삽입 가능한 삽입구가 형성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삽입구의 반대측으로 돌출하도록 본체부에 유지되어, 삽입구와 연이어 통하는 연통부를 갖는 급전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끼워 삽입은, 벌브의 끝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본체부의 삽입구 내면과의 틈새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삽입구의 내면이 벌브의 끝단부의 표면과 일부 또는 전부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정도로 끼워맞춤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양자가 비접촉상태에서 느슨하게 끼우고 있어도 좋다.
청구항 2 기재의 램프용 급전부재는, 청구항 1 기재의 램프용 급전부재에 있어서, 본체부의 삽입구의 안쪽에는 복수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의 램프용 급전부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의 램프용 급전부재에 있어서, 급전단자는 본체부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방전램프는, 한 쌍의 전극이 봉해진 유리벌브를 갖는 방전램프 본체와; 유리벌브의 끝단부가 끼워삽입 가능한 삽입구가 형성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및 유리벌브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본체부에 유지되어 삽입구와 연이어 통하는 연통부를 갖는 급전단자로 이루어지고, 본체부의 삽입구에는 유리벌브의 끝단부가 끼워 삽입되어, 급전단자에는 유리벌브의 끝단부로부터 연통부내에 도출된 전극 리드선이 접속되어 있는 급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방전램프는, 냉음극 방전램프가 적합하지만, 열음극 방전램프 등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청구항 5 기재의 방전램프는, 청구항 4 기재의 방전램프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와 전극 리드선과의 접속은, 급전단자를 펀칭하여, 코킹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 기재의 방전램프는, 청구항 5 기재의 방전램프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의 위치는, 유리벌브의 끝단부로부터 4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 기재의 방전램프는,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기재의 방전램프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코킹부는, 급전단자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의 위치가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 기재의 방전램프는, 청구항 4 기재의 방전램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삽입구의 안쪽에는 복수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유리벌브와 본체부의 삽입구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틈새의 형성은, 모든 돌기가 유리벌브에 접촉하는 상태이더라도, 접촉하지 않는 상태이더라도 좋다.
청구항 9 기재의 방전램프는, 청구항 8 기재의 방전램프에 있어서, 유리벌브 표면과 상기 본체부의 삽입구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치수 t가 0.1mm∼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틈새 치수 t에 격차가 있는 경우에는, 평균치가 해당 범위에 있으면 좋다.
청구항 10 기재의 방전램프는, 청구항 9 기재의 방전램프에 있어서, 유리벌 브의 끝단부가 끼워 삽입되는 부분의 상기 본체부의 두께 T와 상기 틈새 치수 t와의 비율 t/T가 0.1∼0 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 기재의 방전램프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0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방전램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재질이 JIS규격에서 규정하는 경도 50도∼70도의 실리콘 고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 기재의 방전램프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0의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방전램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유리벌브의 끝단부가 끼워 삽입되는 부분은, 한 쌍의 전극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선단 위치보다 유리벌브의 끝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 기재의 방전램프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0의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방전램프에 있어서, 유리벌브 단부와 급전단자는, 소정 치수 이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 기재의 방전램프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0의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방전램프와; 이 방전램프의 급전부재를 지지하는 것과 함께, 급전부재의 급전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갖는 소켓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 기재의 발광장치는,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장착된 청구항 14에 기재의 방전램프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소위 공간을 비추는 조명기구를 포함한 개념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의 소켓에의 부착이나 수송시에 있어 램프에 가해지 는 기계적 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게다가, 안정된 급전이 가능한 램프용 급전부재, 방전램프, 방전램프 유닛 및 발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램프용 급전부재 및 방전램프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램프용 급전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그 단면도, 도 3은, 방전램프 본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방전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방전램프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급전부재(1)는, 본체부(2)와 급전단자(3)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2)는 일본공업규격(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경도 60도의 실리콘 고무제의 열전도성을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거의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깥지름 D는 φ4.7mm, 길이 L은 8.5mm, 두께 T는 1.0mm 정도이다. 본체부(2)의 중공 안지름부는, 제 1 안지름부(2a)와 제 2 안지름부(2b)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안지름부(2a)의 치수 d1은 φ3.7mm 정도이며, 그 개구단측은, 후술하는 방전램프 본체의 벌브의 끝단부가 끼워삽입 가능한 삽입구(2c)가 되어 있다. 또한, 제 1 안지름부(2a)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2d‥)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리브장의 돌기(2d‥)가 각각 거의 120도의 균등한 간격을 두고 중심방향으로 안쪽으로 0.2mm 정도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기(2d‥)는, 제 1 안지름부(2a)의 개구단으로부터 몇mm 안쪽을 기점으로 하여 제 2 안지름부(2b)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벌브의 끝단부가 삽입하기 쉬워져 있다.
제 2 안지름부(2b)의 개구단 치수 d2는 φ2.5mm 정도이고, 제 1 안지름부(2a)보다 작은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는, 경도 50도∼70도의 실리콘 고무제의 탄성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도 50도 미만이면 유지의 안정성에 영향이 있고, 경도 70도를 넘으면 벌브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져, 벌브의 파손을 초래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한편, 본체부(2)의 재질은, 실리콘고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합성수지 등을 적용해도 좋고, 요점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체이면 좋다. 게다가, 복수의 돌기(2d‥)는, 리브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도트형상이라도 좋고, 형상, 배치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안지름부(2b)에는, 급전단자(3)가 설치되어 있다. 급전단자(3)는 황동제이며, 거의 원통형상으로 중공형상의 연통부(3a)를 가진 핀형상을 이루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본체부(2)에 결합되어 있다. 급전단자(3)의 길이 L1은 약 10.0mm, 바깥지름 D1은 φ2.35mm이고, 연통부(3a)의 근원부의 안지름 d3은 φ1.72mm, 선단부의 안지름 d4는 φ0.9mm이다. 그리고, 연통부(3a)의 근원부측의 개구단은, 후술하는 방전램프 본체의 전극 리드선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b)로서 그 안지름이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2)의 제 2 안지름부(2b)의 개구단 치수 d2와 거의 동일 치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중간부에는 바깥지름을 팽출 확대한 빠짐방지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3b)는, 빠짐방지로서의 기능도 더불어 갖게 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2)와 급전단자(3)와의 결합은, 본체부(2)에 급전단자(3)를 눌러넣어서 결합해도 좋다. 급전단자(3)의 형상은, 원통형상이 바람직하 지만, 사각, 육각 등의 다각 기둥형상이라도 좋고, 또한, 단면이 C자형상을 이루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급전단자(3)는 황동제에 한정하지 않고, 인청동 등, 도전성을 갖는 재료가 적용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냉음극 방전램프 본체(10)는, 유리벌브(11)와 전극 리드선(12)을 구비하고 있다. 유리벌브(11)는, 붕·규산 유리, 소다 유리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 냉음극 방전램프 본체(10)는, 액정패널의 백라이트의 광원으로서 이용되는 경우, 유리벌브(11)의 바깥지름의 종류에 φ1.5mm∼φ5.0mm의 범위내에서 여러 종류가 준비되며, 액정패널의 사양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도 150mm∼1300mm 정도의 것이 준비되어 있고, 그 치수는, 가는 지름화, 장척화하는 경향에 있다. 전극 리드선(12)은, 바깥지름이 φ0.6mm이고 유리벌브(11)의 양 끝단부로부터 도출되어 있고, 봉착부재(12a)와 리드부재(12b)로 구성되어 있다. 봉착부재(12a)와 리드부재(12b)는, 용착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봉착부재(12a)는, 코바, 몰리브덴, 텅스텐 등의 도전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리드부재(12b)에는, 니켈철합금의 둘레를 동으로 피복한 쥬멧트선이 이용되고 있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방전램프(20)는, 냉음극 방전램프 본체(10)에 급전부재(1)를 끼워 삽입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벌브(11)의 바깥지름 φ3.0mm, 안지름 φ2.4mm, 두께 0.3mm의 냉음극 방전램프 본체(10)를 이용하고 있다. 유리벌브(11)는 양 끝단이 밀봉되어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아르곤, 크세논, 네온 등의 희가스 및 수은증기가 봉입되어 있다. 또한, 유리벌브(11)의 내면에는, 형광막(13)이 형성되어 있다. 형광막(13)은, 할로인산염 형 광체나 희토류 금속 산화물 형광체 등이 적용되어 있다. 전극(14)은, 유리벌브(11)의 안지름보다 약간 작은 바깥지름을 가진 컵 형상이며, 니켈, 몰리브덴, 니오브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14)은, 유리벌브(11)의 양 끝단부에 한 쌍 봉해져 있고, 컵 형상의 개구부(14a)를 서로 대향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극(14)의 바닥부에 봉착부재(12a)가 레이저 빔 용접 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전극(14)과 전극 리드선(12)으로 구성되는 전극 유닛은, 유리벌브(11)와의 접합에 앞서 봉착부재(12a)에 비드유리가 용착된다. 그리고, 전극 유닛을 유리벌브(11)에 접합할 때는, 비드유리와 유리벌브(11)의 끝단부를 용융해서 봉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전램프 본체(10)의 유리벌브(11)의 끝단부에 급전부재(1)를 그 삽입구(2c)로부터 전극 리드선(12)을 통하여 피복하도록 끼워 삽입한다. 이 경우, 본체부(2)의 삽입구(2c), 구체적으로는, 제 1 안지름부(2a)와 유리벌브(11)의 표면과의 틈새 치수 t는, 0.35mm 정도가 된다. 급전부재(1)의 유리벌브(11)에 끼워 삽입하는 작업성 및 후술하는 급전부재(1)의 소켓 케이스(31)와 소켓 커버(32) 사이의 끼워 지지한 상태를 더불어 고려하면, 상기 틈새 치수 t는, 0.1mm∼0.5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2)의 두께 T는 1.0mm 정도이고, 상기 틈새 치수 t는, 0.35mm 정도이기 때문에, 그 비율 t/T는, 0.35가 된다. 본 발명자들은, 급전부재(1)의 램프 소켓(30)에서 끼워 지지한 상태나 유리벌브(11)의 진동의 흡수상태 등,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상기 두께 T와 틈새 치수 t와의 비율 t/T는, 0.1∼0.5가 적합하다는 사실을 얻었다.
계속하여, 급전부재(1)의 끼워 삽입 후, 급전단자(3)의 선단측을 펀치로 코 킹하여, 코킹부(3d)를 형성하여, 급전단자(3)와 전극 리드선(12)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방전램프(20)를 구성한다. 이 경우, 코킹부(3d)의 위치는, 유리벌브(11)의 끝단부, 즉, 전극 리드선(12)의 봉착부로부터 4mm 이상의 길이 치수 L2를 확보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소정의 길이 치수를 확보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펀칭공정이나 조립공정에 있어서, 급전단자(3)를 통하여 전극 리드선(12)에 굽힘응력이 걸린 경우에도 전극 리드선(12)이 휘어지기 쉽고, 봉착부에 걸리는 응력을 경감할 수 있어, 유리벌브(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펀치에 의한 코킹은, 복수 개소 행하더라도 좋고, 또한, 급전단자(3)와 전극 리드선(12)과의 접속은 용접에 의해서도 좋다. 이들 접속에 있어서는, 100N 이상의 인장 강도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급전단자(3)와 전극 리드선(12)을 접속하는 코킹(3d)나 용접 등의 수단은, 급전부재(1)와 방전램프 본체(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이것들을 일체화하는 것으로, 전기적, 기계적 겸용 접속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완수하고 있는 것이다.
급전부재(1)의 끼워삽입상태에서는, 급전부재(1)의 본체부(2)에 있어서의 유리벌브(11)에 끼워 삽입된 부분은, 전극(14) 선단부로부터 유리벌브(11)의 끝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유리벌브(11)의 끝단부와 급전단자(3)의 가이드부(3b)는 축방향으로 소정치수 이간(G1)하고 있고, 또한, 급전단자(3)의 연통부(3a)에는, 전극 리드선(12)과 소정치수 빈틈(G2)이 형성되어 있고, 급전단자(3)와 전극 리드선(12)과의 사이에는, 여유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리벌브(11)의 끝단부와 급전단자(3)의 가이드부(3b)와의 소정 치수의 이간(G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벌브(11)의 끝단부와 급전단자(3)의 가이드부(3b)를 근접시킨 상태에서, 상호간을 고리형상으로 소정치수 이간(G1) 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1) 급전단자(3)는 전극 리드선(12)을 피복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급전단자(3)에 의해 실질적으로 전극 리드선(12)의 도전면적을 증대할 수 있어, 안정된 급전이 가능해진다. (2) 급전부재(1)는, 본체부(2)와 급전단자(3)를 일체화했으므로 단일의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 조립이나 부품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3) 방전램프(20)의 소켓에 부착이나 조립시 또는 수송시 등에 급전단자(3)에 스트레스가 가해졌다고 해도 본체부(2)는 소정의 경도를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전극 리드선(12)에 작용하는 기계적 부하는 완화된다. 게다가, 유리벌브(11)의 끝단부와 급전단자(3)는 소정치수 이간(G1)하고 있으므로, 급전단자(3)에 가해진 스트레스가 유리벌브(11)의 끝단부에 작용하는 일도 없다. 또한, 급전단자(3)와 전극 리드선(12)과의 사이에는, 여유가 형성되고 있는 것과 더불어, 전극 리드선(12)에 직접 걸리는 기계적 부하가 한층 완화된다. 따라서, 유리벌브(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4) 급전단자(3)를 본체부(2)에 인서트 성형한 경우는 제작이 용이하고, 본체부(2)와 급전단자(3)와의 결합이 강고하게 된다. (5) 본체부(2)의 삽입구(2c)의 안쪽에는 복수의 돌기(2d‥)가 형성되고 있으므로, 본체부(2)의 안지름부(2a)의 중심으로 유리벌브(11)를 끼워 삽입할 수 있다. (6) 실리콘 고무제의 본체부(2)는,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극(14) 부근의 열을 방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봉착부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7) 급전단자(3)에는, 가이드부(3b)가 형성되고 있으므로 전극 리드선(12)이 삽입하기 쉬운 효과를 이룬다. (8) 급전단자(3)의 코킹부(3d)의 위치는, 유리벌브(11)의 끝단부로부터 4mm 이상의 길이 치수 L2가 확보되고 있으므로, 전극 리드선(12)이 휘어지기 쉽고, 봉착부에 걸리는 응력을 경감할 수 있어, 유리벌브(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방전램프 유닛의 실시형태를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방전램프 유닛은, 방전램프와 램프 소켓으로 구성된다. 우선, 도 6은, 램프 소켓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소켓 커버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램프 소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방전램프 유닛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방전램프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소켓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램프 소켓(30)은, 소켓 케이스(31)와, 이 소켓 케이스(31)에 걸어맞춤하는 소켓 커버(32)로 구성되어 있다. 소켓 케이스(31)는, 소켓 케이스 본체(33)와, 이 소켓 케이스 본체(33)에 배치되는 전기접속단자(34)를 갖는다. 소켓 케이스 본체(33)는, PBT수지 또는 ABS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소켓 케이스 본체(33)의 상면에는, 상기 급전부재(1)의 본체부(2)가 얹어 놓여지는 반원통형상의 받침 오목부(33a)와, 이 받침 오목부(33a)에 연달아 접하는 직방체 형상의 전기접속단자 설치 오목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받침 오목부(33a)의 전단 개구부에는, 반원통형상의 지름이 축소된 안쪽을 향하는 리브(33c)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접속단자 설치 오목부(33b)의 양측에는, 전기접속단자(34)의 부착용 삽입구멍(3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33)의 네 귀퉁이에는, 후술하는 소켓 커버(32)의 걸어맞춤조가 삽입되는 걸어맞춤구멍(33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33)의 양측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걸어맞춤조(33f)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접속단자(34)는, 황동 또는 인청동 등의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거의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34a)와, 이 베이스(34a)의 양측으로부터 선단이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베이스다리(34b)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34a)에는, 상기 급전단자(3)가 얹어 놓여지는 반원통형상의 접속 오목부(34c)가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전기접속단자(34)는, 접속 오목부(34c)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L자형상으로 굴곡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베이스다리(34b)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잘라낸 절기편(34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기편(34d)은, 베이스다리(34b)를 삽입구멍(33d)에 삽입했을 때에 빠짐방지의 작용을 이룬다.
소켓 커버(32)는, 소켓 케이스 본체(33)와 같이 PBT수지 또는 ABS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이면 네 귀퉁이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걸어맞춤조(32f)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커버(32)에는, 상기 소켓 케이스 본체(33)의 받침 오목부(33a)와 대향하는 위치에, 반원통형상이 누름 오목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누름 오목부(32a)에 연달아 접하여 상기 전기접속단자(34)의 접속 오목부(34c)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압부로서 상기 누름 오목부(32a)보다 작은지름인 반원통형상의 가압 오목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 오목부(32b)의 전단 개구부에는, 반원통형상의 지름이 축소된 리브(3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램프 소켓(30)은, 우선, 소켓 케이스 본체(33)에 전기접속단자(34)가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켓 케이스 본체(33)의 삽입구멍(33d)에 전기접속단자(34)의 베이스다리(34b)가 삽입되어 행하여진다. 다음에, 소켓 커버(32)의 걸어맞춤조(32f)를 소켓 케이스 본체(33)의 네 귀퉁이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33e)에 삽입한다. 이상에 의해 램프 소켓(30)은 조합된다(도 8 참조).
다음에,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방전램프 유닛(40)의 조립 부착공정을 설명한다. 방전램프 유닛(40)은, 방전램프(20)와 램프 소켓(30)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액정패널의 백라이트장치의 기판이나 틀체(50)에 부착된다. 기판이나 틀체(50)에는, 방전램프 유닛(40)의 부착 개수에 따른 부착구멍(51)이 형성되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틀체(50)에 3개의 부착구멍(51)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부착구멍(51)에 방전램프 유닛(40)이 부착된다. 도 9에서, 틀체(50) 및 소켓 케이스(31), 방전램프(20) 및 소켓 커버(32)가 적층되도록 차례차례 나타나 있다. 우선, 소켓 케이스(31)를 틀체(50)에 부착하는데 있어서는, 소켓 케이스(31)의 걸어맞춤조(33f)를 부착구멍(51)에 걸어맞춤하도록 삽입한다. 그러면 걸어맞춤조(33f)가 부착구멍(51)을 통하여 틀체(50) 이면의 부착구멍(51)의 구멍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한다(도 10, 도 12 참조).
다음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램프(20)를 소켓 케이스(31)에 얹어 놓는다. 구체적으로는, 급전부재(1)의 본체부(2)를 소켓 케이스(31)의 받침 오목부(33a)에 끼워맞춤하도록 얹어 놓고, 급전단자(3)를 전기접속단자(34)의 접속 오목부(34c)에 얹어 놓는다. 계속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케이스 (31)에 소켓 커버(32)를 차례차례 걸어맞춤한다. 이 걸어맞춤은, 소켓 커버(32)의 걸어맞춤조(32f)를 소켓 케이스 본체(33)의 네 귀퉁이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33e)에 삽입하고, 삽입을 더 진행하여, 틀체(50)의 부착구멍(51)까지 이르게 한다. 이 때문에, 상기 소켓 케이스(31)의 걸어맞춤조(33f)와 같이, 걸어맞춤조(32f)는 부착구멍(51)을 통하여 틀체(50) 이면의 부착구멍(51)의 구멍가장자리에 탄성 걸어맞춤한다(도 12 참조). 따라서, 이들 일련의 조립 부착공정은, 틀체(50)에 대해서, 한 방향, 즉, 전부 상하방향으로부터 부품을 적층하도록 이동하여 실시할 수 있어, 방전램프(20)에 걸리는 기계적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작업의 간략화가 가능하고 조립 부착공정의 자동화를 실시하는 경우에 유리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는, 소켓 커버(32)의 걸어맞춤조(32f)는, 소켓 케이스 본체(33)의 걸어맞춤구멍(33e) 및 틀체(50)의 부착구멍(51)을 관통하여 걸어맞춤하고 있으므로, 소켓 커버(32)가 소켓 케이스(31)에 걸어맞춤될 뿐만이 아니라, 소켓 커버(32) 자체도 틀체(50)에 걸어맞춤된다. 환언하면, 소켓 커버(32)는, 소켓 케이스(31)와 방전램프(20)를 함께 포함하여 틀체(50)에 걸어맞춤하고 있고, 이 경우, 소켓 케이스(31)는 그 자체도 틀체(50)에 걸어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이중으로 틀체(50)에 걸어맞춤하고 있게 된다.
도 12를 덧붙여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걸어맞춤에 있어서는, 급전부재(1)의 본체부(2)는, 소켓 커버(32)의 누름 오목부(32a)에 가압되어 약간의 탄성변형을 수반하면서, 소켓 케이스(31)와 소켓 커버(32) 사이에 끼워 지지된다. 이 때, 본체부(2)와 유리벌브(11)와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 오목부(32a)의 가압에 의해 틈새가 균등하게 감소하여, 중심축이 어긋나는 일 없이 끼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급전부재(1)의 급전단자(3)는, 소켓 커버 (32)의 가압 오목부(32b)에 눌러져 전기접속단자(34)의 접속 오목부(34c)에 탄성적으로 밀리면서 끼워 지지된다. 이 때, 급전단자(3)는 유리벌브(11)의 중심축에 대해서 어긋나도록 휘는 것이 가능하고, 접속 오목부(34c)와 가압 오목부(32b)와의 사이에 탄성 복귀 응력과 가압력에 의해서 적절한 접촉압력이 확보되어, 전기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상태로 배치된다. 덧붙여, 가령, 급전부재(1) 등에 치수 오차가 있어도, 상기 휘어짐에 의해서 오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소켓 커버 (32)의 걸어맞춤에 있어서는, 최초로, 소켓 커버(32)의 가압 오목부(32b)가 급전단자(3)에 접촉하고, 다음에, 소켓 커버(32)의 누름 오목부(32a)가 급전부재(1)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2)에 접촉하는 치수 관계가 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의 소켓 커버(32)의 걸어맞춤 과정에 있어서는, 우선, 급전단자 (3)가 전기접속단자(34)의 접속 오목부(34c)의 방향으로 조금 휘어, 접속 오목부 (34c)와의 접촉압을 높인다. 계속하여, 본체부(2)는, 소켓 커버(32)의 누름 오목부(32a)에 가압되어, 탄성변형하는 것과 함께, 급전단자(3)는 가압 오목부(32b)에 더 밀려 접속 오목부(34c)와의 접촉압을 높여 간다. 따라서, 급전단자(3)는 전기접속단자(34)와 적절한 접촉압으로 확실히 접속되는 것과 함께, 방전램프(20)는 램프 소켓(30)에 확실히 유지된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램프(20)의 급전부재(1)는 램프 소켓(30)에 끼워 지지된다. 급전부재(1)의 본체부(2)는, 소켓 케이스 본체(33)의 받침 오목부(33a)와 소켓 커버(32)의 누름 오목부(32a) 사이에 유지된다. 이 경우, 본체부(2)는, 리브 32c 및 리브 33c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급전부재(1)의 급전단자(3)는, 전기접속단자(34)의 접속 오목부(34c)와 소켓 커버(32)의 가압 오목부(32b)사이에 유지된다. 이 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접속단자(34)의 베이스(34a)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소켓 케이스 본체(33)의 전기접속단자 설치 오목부(33b)로부터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급전단자(3)와의 접촉압을 적절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의 램프용 급전부재 및 방전램프의 실시형태의 효과에 덧붙여, 다음의 효과를 이룬다. (1) 방전램프(20)를 램프 소켓(30)에 부착하는 작업은, 상하 한방향의 동작으로 행할 수 있어, 방전램프(20)에 걸리는 기계적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작업의 간략화가 가능하여, 조립로봇 등의 자동 기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자동 조립화를 실현할 수 있어, 조립공정의 생력화(省力化)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방전램프(20)의 램프 소켓(30)에 부착시 가해지는 충격은 급전부재(1)의 본체부(2)에 의해 흡수되므로, 유리벌브(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3) 방전램프(20)를 램프 소켓(30)에 부착할 때, 급전단자(3)는 유리벌브(11)에 대해서 휘는 것이 가능하고, 급전단자(3)와 전기접속단자(34)와의 적절한 접촉압을 확보하여, 전기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와 유리벌브(11)와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 오목부(32a)의 가압에 의해 틈새가 균등하게 감소하여, 중심축이 어긋나는 일 없이 위치적으로 정밀도가 높은 부착을 행할 수 있다. (4) 방전램프 유닛(40)의 수송시나 사용시 등에 가해지는 충격, 진동이 급전부재(1)의 본체부(2)에 의해서 흡수, 완화되므로, 유리벌브(11)의 파손, 램프가 점등이 안 되는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충격, 진동의 급전부재(1)에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어, 안정된 급전이 가능해진다. (5) 방전램프(20)의 점등에 의해, 유리벌브(11)에 지름방향, 축방향의 열팽창이 생기지만, 탄성체의 본체부(2)에 의해 열팽창이 흡수되어 유리벌브(11)의 변형 등을 경감할 수 있다.
(6) 유리벌브(11)와 급전단자(3)는, 소정치수 이간(G1)하고 있으므로, 급전단자(3)에 유리벌브(11)의 진동이나 열팽창의 영향이 완화되며, 본체부(2)의 흡수작용과 더불어, 한층 안정된 급전이 가능해진다. (7) 급전부재(1)는, 램프 소켓 (30)의 리브 32c 및 리브 33c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소정의 위치에 방전램프(20)를 배치할 수 있다. (8) 전기접속단자(34)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소켓 케이스 본체(33)로부터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급전단자(3)와의 접촉압을 적절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9) 전기접속단자(34)는, 접속 오목부(34c)의 양측으로부터 단순히 L자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10) 소켓 커버(32)의 걸어맞춤에 있어서는, 최초로, 소켓 커버(32)의 가압 오목부(32b)가 급전단자(3)에 접촉하고, 다음에, 소켓 커버(32)의 누름 오목부(32a)가 급전부재(1)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2)에 접촉하는 치수 관계가 되고 있으므로, 급전단자(3)는 전기접속단자(34)와 적절한 접촉압으로 확실히 접속되는 것과 함께, 방전램프(20)는 램프 소켓(30)에 확실히 유지된다.
(11) 본체부(2)의 삽입구(2c)와 유리벌브(11)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전부재(1)의 본체부(2)는, 소켓 커버(32)에 가압되어, 약간의 탄성변형을 수반하면서 본체부(2) 자체의 탄성과 함께 소켓 케이스(31)와 소켓 커버(32) 사이에 끼워 지지되며, 이 점에 있어서도 램프 소켓(30)에 의한 방전램프(20)의 유지가 확실하게 된다. (12) 램프 소켓(30)의 걸어맞춤구조에 의해, 그 걸어맞춤이 강고하게 되어 있고, 게다가, 소켓 커버(32)를 틀체(50)에 부착한 상태에서 소켓 커버(32)만을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고, 방전램프(20)의 교환 등을 하기 쉬운 효과를 이룬다. (13) 급전부재(1)의 본체부(2)는, 실리콘 고무제이며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극(14) 부근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즉, 전극(14) 부근의 열은, 유리벌브(11), 본체부(2)를 경유하여, 표면적이 큰 램프 소켓(30)에 전도되어 방열된다. 덧붙여, 전극(14) 부근의 열은, 전극 리드선(12), 급전단자(3)로부터 전기접속단자(34), 램프 소켓(30)에 전도되는 것에 의해서도 방열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램프용 급전부재 및 방전램프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급전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6은, 도 15와 90도 각도를 바꾸어 표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있어서의 우측면도, 도 18은, 급전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방전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부재(1)를 방전램프 본체(10)의 유리벌브(11)의 끝단부에 끼워삽입 후, 급전단자(3)의 복수개소를 펀치로 코킹하여, 코킹부(3d1,3d2)를 형성하여, 급전단자(3)와 전극 리드선(12)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물론, 펀치로 코킹부(3d1,3d2)를 형성하는 펀칭공정은, 급전부재(1)를 유리벌브(11)에 끼워 삽입하고, 급전단자(3)의 연통부(3a)에 전극 리드선(12)을 도출한 후에 행하여지는 공정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14 내지 도 18에 있어서는, 전극 리드선(12)을 생략하고 있다.
우선, 도 14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단자(3)는, 원통형상으로 중공형상의 연통부(3a)를 가진 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급전단자(3)의, 예를 들면, 선단부의 2개소를 펀치로 코킹하여, 코킹부(3d1,3d2)를 형성하는 것으로, 급전단자(3)를 바깥쪽으로부터 펀치로 가압하여 눌러 부수고, 연통부(3a)의 안쪽으로 돌출한 볼록부(3e1,3e2)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볼록부(3e1,3e2)와 대면하는 내벽을 전극 리드선(12)에 누름 접합하여 급전단자(3)와 전극 리드선(12)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여기서, 코킹부(3d1)와 코킹부(3d2)는, 서로 급전단자(3)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 즉,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방향으로는, 코킹부 1개분 정도 어긋나고, 둘레방향으로는, 대략 90도 어긋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볼록부(3e1,3e2)도 어긋나서 연통부(3a)의 안쪽으로 돌출하며, 전극 리드선(12)을 누름 접합하게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급전단자(3)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실리콘 고무제의 본체부(2)가 결합되어 있으며, 급전부재(1)를 구성하고 있다. 그 리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급전부재(1)를 방전램프 본체(10)의 유리벌브(11)의 끝단부에 끼워 삽입하고, 급전단자(3)의 선단부의 2개소를 펀치로 코킹하여, 코킹부(3d1,3d2)를 형성한다. 한편, 이 경우, 코킹부(3d2)의 위치는, 유리벌브(11)의 끝단부, 즉, 전극 리드선(12)의 봉착부로부터 4mm 이상의 길이 치수 L2가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코킹부(3d1,3d2)를 형성하는 펀칭공정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코킹장치로서, 펀치를 갖는 2개의 헤드가 평면상 대략 90도의 각도를 두고 배치된 설비가 준비되어 있다. 우선, 급전부재(1)가 끼워 삽입된 유리벌브(11)를 홀더 등에 의해서 수직으로 지지하고, 급전단자(3)를 가이드 블록의 가이드구멍에 삽입 통과시킨다. 이 상태에서, 급전단자(3)의 둘레방향, 즉, 평면상 90도의 각도를 두고, 또한 급전단자(3)의 축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코킹부 1개분의 간격을 두고 세트된 2개의 펀치에 의해 펀칭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펀치를 급전단자(3)측에 전진시키면, 각각의 펀치의 선단부는 가이드구멍내에 진입하여, 급전단자(3)의 측벽을 눌러 부수고, 연통부(3a)의 안쪽으로 돌출한 볼록부(3e1,3e2)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에 덧붙여 급전단자(3)와 전극리드선(12)은, 복수개소의 코킹부(3d1,3d2)에 의해서 접속되고 있으므로, 접속이 확실하여,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급전단자(3)와 전극 리드선(12)의 도통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코킹부(3d1,3d2)는, 급전단자(3)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므로, 코킹에 의한 가압력으로 전극 리드선(12)이 단선되거나, 급전단자(3)의 둘레의 벽이 전단되거나 하는 것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킹부 (3d1,3d2)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볼록부(3e1,3e2)가 형성되므로, 이 볼록부 (3e1,3e2)에 의한 전극 리드선(12)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방향이 다르고, 그 결과, 전극 리드선(12)의 휘는 방향이 다르며, 볼록부(3e1,3e2)와 전극 리드선(12)과의 접촉이 확실하게 확보되어, 안정된 급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킹 장치의 설비로서, 펀치의 헤드를 평면상 대략 90도의 각도를 두고 배치할 수 있어, 배치의 공간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킹부(3d1,3d2)를 급전단자(3)의 축방향에는, 코킹부 1개분 정도, 둘레방향에는, 대략 90도 어긋나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축방향 및 둘레방향의 치우침량은, 각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설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코킹 장치의 설비의 배치도 상기와 같이 2개의 헤드를 평면상 대략 90도의 각도를 두고 배치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발광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기 실시형태의 방전램프 유닛(40)은, 장치 본체에 장착하여, 발광장치로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이른바 공간을 비추는 조명기구를 포함한 개념이다. 예를 들면, 액정패널의 백라이트 장치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또한, 옥내 또는 옥외에서 사용되는 조명기구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백라이트 장치에 있어서는, 직하 방식, 사이드 라이트 방식 등의 어느 것에 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발광장치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방전램프 유닛 (40)의 효과를 이루는 발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램프 소켓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형태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타입의 것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켓 케이스에 대해서 소켓 커버를 축으로 지지하여 회전운동하도록 하여, 소켓 케이스의 상면을 개폐하는 것과 함께, 이 개폐에 연동하여 한 쌍의 소켓 단자 사이를 개폐하는 구성을 적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램프용 급전부재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방전램프 본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방전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방전램프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램프 소켓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소켓 커버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램프 소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방전램프 유닛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방전램프 유닛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소켓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급전단자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일한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있어서의 우측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급전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방전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램프용 급전부재 2 : 본체부
2c : 삽입구 2d : 돌기
3 : 급전단자 3a : 연통부
3d : 코킹부 10 : 방전램프 본체
11 : 유리벌브 12 : 전극 리드선
14 : 전극 20 : 방전램프
30 : 램프 소켓 40 : 방전램프 유닛

Claims (15)

  1. 램프용 벌브의 끝단부가 끼워 삽입 가능한 삽입구가 형성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삽입구의 반대측으로 돌출하도록 본체부에 유지되어, 삽입구와 연이어 통하는 연통부를 갖는 급전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급전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부의 삽입구의 안쪽에는 복수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급전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급전단자는 본체부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급전부재.
  4. 한 쌍의 전극이 봉해진 유리벌브를 갖는 방전램프 본체와;
    유리벌브의 끝단부가 끼워삽입 가능한 삽입구가 형성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및 유리벌브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본체부에 유지되어 삽입구와 연이어 통하는 연통부를 갖는 급전단자로 이루어지고, 본체부의 삽입구에는 유리벌브의 끝단부가 끼워 삽입되어, 급전단자에는 유리벌브의 끝단부로부터 연통부내에 도출된 전극 리드선이 접속되어 있는 급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와 전극 리드선과의 접속은, 급전단자를 펀칭하여, 코킹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의 위치는, 유리벌브의 끝단부로부터 4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코킹부는, 급전단자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의 위치가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삽입구의 안쪽에는 복수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유리벌브와 본체부의 삽입구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유리벌브 표면과 상기 본체부의 삽입구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치수 t가 0.1mm∼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유리벌브의 끝단부가 끼워 삽입되는 부분의 상기 본체부의 두께 T와 상기 틈새치수 t와의 비율 t/T가 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1.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재질이 JIS규격에서 규정하는 경도 50도∼70도의 실리콘 고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2.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유리벌브의 끝단부가 끼워 삽입되는 부분은, 한 쌍의 전극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선단 위치보다 유리벌브의 끝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3.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벌브 끝단부와 급전단자는, 소정치수 이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4.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방전램프와;
    이 방전램프의 급전부재를 지지하는 것과 함께, 급전부재의 급전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갖는 소켓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유닛.
  15.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장착된 제 14 항에 있어서의 방전램프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KR1020080134440A 2007-12-27 2008-12-26 램프용 급전부재, 방전램프, 방전램프 유닛 및 발광장치 KR200900714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5749 2007-12-27
JP2007335749 2007-12-27
JP2008311659A JP2009176722A (ja) 2007-12-27 2008-12-06 ランプ用給電部材、放電ランプ、放電ランプユニット及び発光装置
JPJP-P-2008-311659 2008-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472A true KR20090071472A (ko) 2009-07-01

Family

ID=4132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440A KR20090071472A (ko) 2007-12-27 2008-12-26 램프용 급전부재, 방전램프, 방전램프 유닛 및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14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98Y1 (ko) * 2012-08-28 2014-04-08 주식회사보림전자 엘이디용 컨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98Y1 (ko) * 2012-08-28 2014-04-08 주식회사보림전자 엘이디용 컨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510B2 (en) Power connection apparatus of direct type backlight unit
US20090209126A1 (en) Relay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of relay connector and chassis, and mounting structure of relay connector and discharge tube
JP2007095625A (ja) 冷陰極管接続用コネクタ、該コネクタを有する主基板及び該主基板への冷陰極管の実装方法
JP2009176722A (ja) ランプ用給電部材、放電ランプ、放電ランプユニット及び発光装置
US20100072923A1 (e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t least two parts and electrical device with such a connection
KR20090071473A (ko) 램프 소켓, 방전램프 유닛 및 발광장치
JP2014053219A (ja) 直管型ledランプ
KR20090071472A (ko) 램프용 급전부재, 방전램프, 방전램프 유닛 및 발광장치
US6547582B2 (en) Lampholder
US6008570A (en) Compact low-pressure discharge lamp with conductive spring element
CA2227008C (en) Compact low pressure discharge lamp
JP2009176723A (ja) ランプソケット、放電ランプユニット及び発光装置
US7726867B2 (en) Backlight module with conductive mechanisms therein for providing power to lamps thereof
US6653770B1 (en) Lamp with internally attached eyelet lead, and method therefor
CA2255177C (en) Compact low-pressure discharge lamp
US6717341B1 (en) Bulb-form lam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328513B2 (ja) 照明器具
WO2008134254A1 (en) Fluorescent lamp and connecting system of fluorescent lamp
US6469427B1 (en) Lamp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EP2078326B1 (en) Reversible lamp base
KR100777785B1 (ko) 전도성 고무를 이용한 엘씨디 백라이트용 램프 점등장치 및 방법
JP2003168302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JPH0343904A (ja) けい光ランプ装置
KR100912760B1 (ko) 방전관용 커넥터, 커넥터부착 방전관 및 면광원장치
JP2005050796A (ja) ソケット装置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