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032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032A
KR20090058032A KR1020097008468A KR20097008468A KR20090058032A KR 20090058032 A KR20090058032 A KR 20090058032A KR 1020097008468 A KR1020097008468 A KR 1020097008468A KR 20097008468 A KR20097008468 A KR 20097008468A KR 20090058032 A KR20090058032 A KR 20090058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barrel
coil
camera modu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이마이
미츠루 이치카와
후지오 카나이
아츠시 호리단
타카히로 오카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카메라 모듈(22)은, 수용 공간(S)을 갖는 경통부(66)와, 촬영 광학계(34)를 지지하여 수용 공간(S)에 수용되고 촬영 광학계(34)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렌즈 지지부(68)와, 경통부(66)에 마련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29)와, 렌즈 지지부(68)를 촬영 광학계(34)의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72)를 구비하고 있다. 경통부(66)는, 수용 공간(S)이 형성된 내측 경통(80)과, 내측 경통(80)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경통(78)을 갖고 있다. 계지판(86)은, 전판부(86A)와, 2개의 측판부(86B)를 구비하고 있다. 계지판(86)은, 전판부(86A)가 외측 경통(78)의 전단에 계지하여 2개의 측판부(86B)의 선단이 후단면벽(8002)에 계지한 상태로,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을 광축 방향에서 끼워 지지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용의 전자 기기 등에 조립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 카메라 모듈이 조립된 휴대 전화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전자 기기가 제공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은, 촬영 광학계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와, 렌즈 지지부를 수용하는 경통부와, 촬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렌즈 지지부를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로서, 경통부가, 전후 2개의 경통 부분으로 구성되고, 그들 전후의 경통 부분을 접착으로 고정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2006-227103 참조).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전후 2개의 경통 부분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도포량이나 경화 조건의 조정 및 관리가 번잡하고, 접착제의 경화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에 수고로움이 생기고,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불이익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유리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수용 공간을 갖는 경통부와, 촬영 광학계를 지지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렌즈 지지부와, 상기 경통부에 마련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 지지부를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통부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된 내측 경통과, 상기 내측 경통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경통을 가지며, 상기 내측 경통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 위에 연재되고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고 상기 촬상 소자가 수용되는 개구가 형성된 후단면벽을 가지며,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계지하여 상기 전단을 덮는 전판부와, 상기 전판부의 양측에서 굴곡되고 그 선단이 상기 후단면벽에 계지하는 2개의 측판부와, 상기 전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로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계지판이 마련되고, 상기 전판부가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전단에 계지하고 상기 2개의 측판부의 선단이 상기 후단면벽에 계지한 상태로, 상기 내측 경통과 상기 외측 경통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계지판에 의해 끼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 경통과 외측 경통을 계지판을 이용함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끼워 지지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도포량이나 경화 조건의 조정 및 관리가 불필요하며 또한, 접착제의 경화 시간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되고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도 1의 (A), (B)는 촬상 장치(20)가 조립된 전자 기기의 한 예를 도시하는 외관도.
도 2는 촬상 장치(20)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22)과 소켓(24)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소켓(24)의 평면도.
도 4는 기판(30)의 평면도.
도 5는 카메라 모듈(22), 소켓(24) 및 커버(26)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는 도 5의 C화살로 본 도면.
도 10은 변형예의 촬상 장치(20)의 단면도.
도 11은 변형예의 촬상 장치(20)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22)과 소켓(24)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카메라 모듈(22)의 사시도.
도 13은 카메라 모듈(22)의 사시도.
도 14는 카메라 모듈(22)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설명도.
도 16은 도 13의 AA선 단면도.
도 17은 전경통(78)에 전스프링(70A)이 취착된 후면도.
도 18은 코일(76)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19는 코일(76)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20은 코일(76) 및 기판(30)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21은 코일(76) 및 기판(30)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22는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23은 기판(30), 광학 필터(31) 및 코일(76)이 취착된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24는 도 20의 BB선 단면도.
도 25는 마그넷(74)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사시도.
도 26은 마그넷(74) 및 후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사시도.
도 27은 마그넷(74) 및 후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평면도.
도 28은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
도 29는 후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
도 30은 렌즈 지지부(68)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31은 카메라 모듈(22)의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32는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
도 33은 마그넷(74)과 코일(76)의 동작 설명도.
도 34는 카메라 모듈(22)의 분해 사시도.
도 35는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설명도.
도 36은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37은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AA선 단면도.
도 39는 렌즈 지지부(68)가 후경통(80)에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0은 마그넷(82)과 코일(84)의 동작 설명도.
도 41은 마그넷(82)과 코일(84)의 동작 설명도.
도 42는 카메라 모듈(22)의 렌즈 지지부(68)가 후경통(80)에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3은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44는 후경통(80)의 단면도.
도 45는 마그넷(82)과 코일(84)의 동작 설명도.
도 46은 고스트 발생의 설명도.
도 47은 방진 커버(31), 경통부(66), 촬상 소자(29), 기판(30)의 조립 설명도.
도 48은 후단면벽(8002)의 평면도.
도 49는 방진 커버(31)의 부착 설명도.
도 50의 (A), (B)는 방진 커버(31)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51의 (A)는 고체 촬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 (B)는 고체 촬상 장치의 평면도.
도 52는 다른 고체 촬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우선,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제 1의 참고예로부터 설명한다.
도 1의 (A), (B)는 제 1의 참고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22)을 갖는 촬상 장치(20)가 조립된 전자 기기의 한 예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는 휴대 전화기이고, 힌지부(12)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제 2의 몸체(14, 16)를 갖고 있다.
제 1의 몸체(14)의 내면에는 액정 표시 패널(1402)이 마련되고, 제 2의 몸체(16)의 내면에는 텐 키나 기능 키 등의 조작 스위치(1602)가 마련되어 있다.
촬상 장치(20)는, 제 1의 몸체(14)의 기단부에 조립되고, 촬상 장치(20)로 촬상한 화상은 액정 표시 패널(1402)에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촬상 장치(20)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22)과 소켓(24)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소켓(24)의 평면도, 도 4는 기판(30)의 평면도, 도 5는 카메라 모듈(22), 소켓(24) 및 커버(26)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이다.
도 2,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는, 카메라 모듈(22)과,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소켓(24)과, 소켓(24)에 장착되는 커버(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2)은, 케이스(28)와, 촬상 소자(29)(도 7 참조)와, 신호 처리부와, 기판(30)과, 접편(32)(도 4 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8)는, 직사각형 판형상(사각형 판형상)을 나타내고, 두께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상면(2802)과, 두께 방향의 다른쪽에 위치하는 하면(2804)과, 2개의 장변에 따라 위치하는 2개의 장변측 측면(2806)과, 2개의 단변에 따라 위치하는 2개의 단변측 측면(2808)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8)에는 피사체상을 상기 촬상 소자에 유도하는 촬영 광학계(34)가 조립되고, 촬영 광학계(34)는 케이스(28)의 상면(2802)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케이스(28)는 합성 수지제로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2802) 및 2개의 장변측 측면(2806)을 덮도록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 1의 참고예에서는, 케이스(28)는 도전성을 갖는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29)는,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유도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것이고, 케이스(28)의 내부에서 촬영 광학계(34)의 후방(촬상측)의 개소에 조립되어 있 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촬상 소자(29)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기판(3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8)의 하면(2804)에 취착되고, 직사각형 형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기판(30)이 케이스(28)에 면하는 상면(3002)에는, 촬상 소자(29) 및 상기 신호 처리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편(32)(접속 패드)은, 기판(30)이 케이스(28)와 반대측에 면하는 하면(3004)의 2개의 장변에 따라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24)은, 소켓 본체(36)와, 소켓용 차폐판(38)과, 탄성편(40)과, 복수의 접속 단자(42)와, 계합부(41)(도 7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 본체(36)는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본 예에서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소켓 본체(36)는, 카메라 모듈(22)의 기판(30)보다도 큰 윤곽의 직사각형 형상(사각형 판형상)의 저벽(3602)과, 저벽(3602)의 4변에서 기립하는 4개의 측벽(3604)을 가지며, 저벽(3602)상에서 4개의 측벽(3604)의 내측에 카메라 모듈(22)이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4개의 측벽(3604)은, 저벽(3602)의 2개의 장변으로부터 기립하 는 2개의 장변측 측벽(3606)과, 저벽(3602)의 2개의 단변으로부터 기립하는 2개의 단변측 측벽(3608)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벽(3602)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장변에는, 복수의 접속 단자(42)를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노치(3610)가 그들 장변에 따라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접속 단자(42)는,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저벽(3602)의 노치(3610)에, 기판(30)의 접편(32)에 접속 가능하고 저벽(3602)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또한, 소켓(24)은, 전자 기기(1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기판상에 실장되고, 복수의 접속 단자(42)의 기단이 상기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솔더링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장변측 측벽(3606)에는, 탄성편(40)을 수용하기 위한 절단부(3620)가 장변측 측벽(3606)의 긴변 방향에 따라 연재되어 마련되고, 각 단변측 측벽(3608)에는, 탄성편(40)을 수용하기 위한 절단부(3630)가 단변측 측벽(3608)의 긴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마련되어 있다.
소켓용 차폐판(38)은 4개 마련되고, 소켓 본체(36)의 4개의 측벽(3604)에 조립된다.
본 예에서는, 소켓 본체(36)는 소켓용 차폐판(3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측벽(3604)은 서로 마주 보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에 위치하는 외면 을 가지며, 소켓용 차폐판(38)은 각각 측벽(3604)의 외면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소켓용 차폐판(38)은, 2개의 장변측 측벽(3606)에 각각 조립된 2개의 장변측 차폐판(46)과, 2개의 단변측 측벽(3608)에 각각 조립된 2개의 단변측 차폐판(48)을 포함하고 있다.
소켓용 차폐판(38)은,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소켓 본체(36)의 4개의 측벽(3604)의 외면을 덮음에 의해, 케이스(28)의 4개의 측면(장변측 측면(2806), 단변측 측면(2808))을 덮고, 케이스(28)의 4개의 측면을 전자 차폐하는 것이다. 소켓용 차폐판(38)을 형성하는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인청동, 양은, 양철, 구리, 또는, 인청동 등의 구리합금에 니켈 등의 도금 처리를 행한 것, 또는, 스테인리스강(예를 들면 SUS304) 등의 도전성을 갖으며 또한 자성을 갖지 않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서 자성체를 사용하면, 전자 차폐 효과에 더하여 자속 실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 소켓용 차폐판(38)(장변측 차폐판(46), 단변측 차폐판(48))의 상연(上緣)에는, 그들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부착편(38A)이 굴곡 형성되고, 그들 부착편(38A)이 소켓 본체(36)의 측벽(3604)(장변측 측벽(3606), 단변측 측벽(3608))의 단면(端面)에 마련된 부착홈(36A)에 삽입됨으로써 소켓용 차폐판(38)이 각 측벽(3604)(장변측 측벽(3606), 단변측 측벽(3608))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용 차폐판(38)은 전자 기기(10)의 기준 전위(그라운드 레벨)에 접속되어 접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소켓용 차폐판(38)의 부분이, 소켓(24)이 실장된 전자 기기(10)의 기판상에 마련된 기준 전위(그라운드 레벨)의 접속 패드에 솔더링 등에 의해 접속되어 접지되어 있다.
탄성편(40)은 각 소켓용 차폐판(38)과 일체로 마련되고,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씩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편(40)은 각 소켓용 차폐판(38)에 일체로 형성되고,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진 소켓용 차폐판(38)의 상단으로부터 굴곡부(4001)를 통하여 측벽(3604)의 내면측에서 저벽(3602)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탄성편(40)은, 각 소켓용 차폐판(38)이 부착편(38A)을 통하여 소켓 본체(36)의 측벽(3606, 3608)에 부착된 상태에서, 각 측벽(3606, 3608)의 내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 장변측 측벽(3606)에서는, 탄성편(40)은 절단부(3620)에 면하도록 마련되고, 각 단변측 측벽(3608)에서는, 탄성편(40)은 절단부(3630)에 면하도록 마련되고, 탄성편(40)은 각 측벽(3606, 3608)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더 상세하게는, 탄성편(40)의 각 측벽(3606, 3608)의 외면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은, 절단부(3620, 3630) 내에서 행하여진다.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편(40)의 중간부에는, 소켓 본체(36)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굴곡부(4002)가 마련되고, 소켓 본체(36)의 내측에 카메라 모듈(22)이 수용된 상태에서, 굴곡부(4002)가 케이스(28)의 장변측 측면(2806), 단변측 측면(2808)에 접촉함에 의해, 각 측면(2806, 2808)과 각 측벽(3606, 3608)의 내면 사이에 간극(S1)을 확보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22)이 탄성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28)에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이 취착되고, 케이스(28)의 장변측 측면(2806)에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측면부(2810B)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본 예에서는, 굴곡부(4002)가 케이스(28)의 장변측 측면(2806)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측면부(2810B)에 접촉하고, 환언하면, 굴곡부(4002)는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측면부(2810B)를 통하여 케이스(28)의 장변측 측면(2806)에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측면부(2810B)에 장변측 차폐판(46)의 탄성편(40)이 맞닿음으로써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은 장변측 차폐판(46)을 통하여 접지되게 된다.
또한, 도 5의 C화살로 본 도면인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연재 방향의 양단은, 소켓 본체(36)의 4개의 모서리부에서 서로 겹치고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이로써 4개의 소켓용 차폐판(38)에 의해 소켓 본체(36)의 측면의 전둘레 전역이 전자 차폐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소켓용 차폐판(38)의 한쪽의 단부에 굴곡판부(3810)가 형성되고, 이 굴곡판부(3810)가 서로 이웃하는 소켓용 차폐판(38)의 다른쪽의 단부(3811)에 겹치고, 그들 굴곡판부(3810)와 단부(3811)는 소켓용 차폐판(38)이 갖는 탄성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세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부(41)는, 카메라 모듈(22)이 저벽(3602)상에서 4개의 측벽(3604)의 내측에 수용된 때에, 카메라 모듈(22)의 부분에 계합하고 카메라 모듈(22)이 소켓(24)의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이고, 카메라 모듈(22)이 저벽(3602)상에서 4개의 측벽(3604)의 내측에 수용되고, 계합부(41)가 카메라 모듈(22)의 개소에 계합함으로써, 소켓(24)에의 카메라 모듈(22)의 부착 상태가 형성된다.
이 카메라 모듈(22)의 부착 상태에서, 복수의 접속 단자(42)는 탄성 변형되어 기판(30)의 복수의 접편(32)에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카메라 모듈(22)을 케이스(28)의 상면(2802) 방향으로 가세한다. 이로써, 카메라 모듈(22)의 기판(30)과 소켓(24)의 저벽(3602) 사이에 간극(S2)을 확보한 상태에서 기판(30)의 접편(32)과 접속 단자(42)가 항상 확실하게 접촉되게 된다.
계합부(41)는 소켓 본체(36)에 마련되고, 본 예에서는, 계합부(41)는, 단변측 측벽(3608)에 취착된 차폐판(38)의 탄성편(40)의 굴곡부(4002)에 의해 형성되고, 카메라 모듈(22)을 소켓(24)의 내측에 삽입한 때에, 이 굴곡부(4002)가 케이스(28)의 단변측 측면(2808)의 볼록부(2820)에 계지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2)의 소켓(24)의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36)의 단변측 측벽(3608)에는, 커버(26)의 부분에 맞닿아서 커버(26)의 케이스(28)의 상면(2802) 방향으로의 변위를 저지한 스토퍼(62)가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스토퍼(62)는, 각 단변측 차폐판(48)의 외면에 그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2개의 계지 볼록부(480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36)의 장변측 측 벽(3606)에는, 커버(26)에 계탈 가능하게 계합하고 케이스(28)의 두께 방향에서의 소켓(24)에 대한 커버(26)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용 계합부(6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위치 결정용 계합부(64)는, 2개의 장변측 차폐판(46)의 외면에, 장변측 차폐판(46)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계합 오목부(640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26)는,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인청동, 양은, 양철, 구리, 또는, 인청동 등의 구리합금에 니켈 등의 도금 처리를 행한 것, 또는, 스테인리스강(예를 들면 SUS304) 등의 도전성을 갖으며 또한 자성을 갖지 않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서 자성체를 사용하면, 전자 차폐 효과에 더하여 자속 실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6)는, 상면부(50)와, 측면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상면부(50)는, 케이스(28)의 상면(2802)을 덮는 것이고, 측면부(52)는, 4개의 소켓용 차폐판(38)을 덮는 것이다.
상면부(50)가 촬영 광학계(34)에 면하는 개소에 개구(5002)가 형성되고, 개구(5002)에 투명한 렌즈 커버(58)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렌즈 커버(58)는 원판형상을 나타내고, 원환형상의 양면 점착 테이프(5802)를 통하여 상면부(50)의 외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50)의 내면에는, 개구(5002)의 주위에 따라 연재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환형상의 방진용 부재(60)가 마련되어 있다. 방진용 부재(60)는 원환형상의 양면 점착 테이프(6002)를 통하여 상면부(50)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다. 방진용 부재(60)를 구성하는 탄성 재료로서는,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스펀지 상태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부(52)는, 소켓(24)의 2개의 장변측 차폐판(46)을 덮는 장변측 측면부(54)와, 소켓(24)의 2개의 단변측 차폐판(48)을 덮는 단변측 측면부(5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커버(26)의 단변측 측면부(56)의 하연(下緣)이 차폐판(38)의 계지 볼록부(4802)에 계지함으로써 커버(26)의 케이스(28)의 상면(2802) 방향으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또한, 소켓(24)의 계합 오목부(6402)에 대응하는 커버(26)의 장변측 측면부(54)의 내측 개소에 계합 오목부(6402)와 계탈하는 계합 볼록부(5402)가 마련되고, 그들 계합 볼록부(5402)가 계합 오목부(6402)에 계합함으로써 케이스(28)의 두께 방향에서의 커버(26)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커버(26)의 측면부(52)와 소켓 본체(36)의 측벽(3604)에, 서로 계탈 가능하게 계합하고, 케이스(28)의 두께 방향에서의 소켓(24)에 대한 커버(26)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계합 오목부(6402), 계합 볼록부(5402)를 마련함으로써, 커버(26)의 소켓(24)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해지고, 촬상 장치(20)를 단체(單體)로 취급할 때의 작업성의 향상, 또는, 촬상 장치(20)를 전자 기기(10)에 조립할 때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카메라 모듈(22)이 부착된 소켓(24)에 커버(26)가 장착된 상태에서 계합 볼록부(5402)와 계합 오목부(6402)가 계합하고, 동시에, 커버(26)의 단변측 측면부(56)의 하연이 차폐판(38)의 계지 볼록부(4802)에 계지한다.
촬상 장치(20)의 조립은, 전자 기기(10)의 기판에 실장된 소켓(24)에 카메라 모듈(22)을 장착하고, 그 위에서 커버(26)를 소켓(24)에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이로써 촬상 장치(20)가 완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장치(20)는,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의 제 1의 몸체(14)에 마련된 개구(1410)에, 렌즈 커버(58)를 면하게 한 상태에서 제 1의 몸체(14) 내부에 조립된다.
다음에 소켓(24)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스토퍼(62)의 구성이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소켓(24)과 마찬가지이다.
도 10은 촬상 장치(20)의 단면도이고,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와 같은 부분,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스토퍼(62)를 각 단변측 차폐판(48)의 외면에 그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2개의 계지 볼록부(4802)에 의해 구성하였지만, 변형예에서는, 각 단변측 차폐판(48)의 상단의 굴곡부(4001)에 의해 구성하는 점이 전술한 구성과 다르고,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변형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6)의 단변측 측면부(56) 에, 굴곡부(4001)에 계지하는 계지부(5610)가 형성되고, 굴곡부(4001)와 계지부(5610)가 계지함으로써 커버(26)의 케이스(28)의 상면(2802) 방향으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다음에, 카메라 모듈의 지지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8)의 4개의 측면(장변측 측면(2806), 단변측 측면(2808))에 탄접(彈接)하고, 복수의 접편(32)과 복수의 접속 단자(42)를 접속한 상태에서 4개의 측벽(3604) 사이에 간극(S1)을 확보하여 카메라 모듈(22)을 저벽(3602)상에서 4개의 측벽(3604)의 내측에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40)이 각 측벽(3604)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탄성편(40)은, 해당 탄성편(40)이 마련된 측벽(3604)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편(40)에 대응하는 각 측벽(3604)의 개소에, 탄성편(40)이 탄성 변형을 행하기 위한 탄성 변형용 절단부(3620, 363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변형용 절단부(3620, 3630)는, 측벽(3604)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편(40)은, 각 측벽(3604)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개소에 탄접하도록 2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단변측 측벽(3608)에 마련된 탄성 변형용 절단부(3630)는, 그들 2개의 탄성편(40)에 대응한 측벽(3604)의 2개소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변측 측벽(3606)에 마련된 탄성 변형용 절단부(3620)는, 그들 2개의 탄성편(40)이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크기의 단일한 절단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 탄성 변형용 절단부(3620, 3630)는, 측벽(3604)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진 측벽(3604)의 상단에 개방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촬상 장치(2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4개의 측벽(3604)을 덮는 소켓용 차폐판(38)이 마련되고, 소켓용 차폐판(38)은 각 측벽(3604)에 취착되어 배설되고, 탄성편(40)은 소켓용 차폐판(38)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측벽(3604)은, 각각 서로를 마주 보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에 위치하는 외면을 가지며, 소켓용 차폐판(38)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측벽(3604)에 취착되어 부착되고 각 측벽(3604)의 외면을 덮는 본체 판부(3820)를 갖고 있다.
탄성편(40)은 본체 판부(38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4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진 본체 판부(3820)의 상단으로부터 제 1의 굴곡부(4001)를 통하여 본체 판부(3820)로부터 측벽(3604)의 내면 방향으로 떨어진 개소에서 저벽(3602)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또한, 본체 판부(3820)에 부착편(38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편(38A)은,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진 본체 판부(3820)의 상단의 개소에서 제 1의 굴곡부(4001)와 떨어진 개소로부터 제 2의 굴곡부(3801)를 통하여 본체 판부(3820)로부터 측벽(3604)의 내면 방향으로 떨어진 개소에서 저벽(3602)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소켓용 차폐판(38)의 측벽(3604)에의 취착은, 측벽(3604)의 상단에 개구하고 측벽(3604)의 높이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부착홈(36A)에 부착편(38A)이 삽입되고, 부착편(38A)과 본체 판부(3820)로 부착홈(36A)을 구성하는 측벽(3604)의 개소을 끼워 지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장변측 측벽(3606)에 마련된 단일한 절단부를 이루는 탄성 변형용 절단부(3620)에 대응하는 개소에서는,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진 본체 판부(3820)의 상단으로부터 제 3의 굴곡부(3802)를 통하여 본체 판부(3820)로부터 측벽(3604)의 내면 방향으로 떨어진 개소에서 저벽(3602) 방향으로 연재되고 탄성 변형용 절단부(3620)(단일한 절단부)를 덮는 되접은편(3803)이 마련되고, 되접은편(3803)과 본체 판부(3820)에 의해 전자 차폐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장변측 측벽(3606)에 마련된 2개의 탄성편(40)은, 2개의 제 1의 굴곡부(4001)와 함께, 되접은편(3803)에 노치(3804)를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소켓용 차폐판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측벽(3604)은, 각각 서로를 마주 보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에 위치하는 외면을 가지며,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각 측벽(3604)에 취착되어 4개의 측벽(3604)의 외면을 덮는 복수의 소켓용 차폐판(38)이 마련되고, 그들 소켓용 차폐판(38)은, 부착편(38A)을 부착홈(36A)에 삽입함으로써 측벽(3604)에 취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 판부(3810, 3811)는, 소켓 본체(36)의 이웃하는 측벽(3604)이 교차하는 모서리부(3650)에서 겹치고 그들 각 소켓용 차폐판(38)이 갖는 탄성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소켓용 차폐판(38)은, 4개의 측벽(3604)에 대응하여 4개 마련되고,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판부(3810, 3811)는, 4개의 모서리부(3650)에서 각각 겹치고 그들 각 소켓용 차폐판(38)이 갖는 탄성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용 차폐판(38)은, 4개의 측벽(3604)중의 이웃하는 2개의 측벽(3604)을 덮도록 2개 마련되고,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판부(3810, 3811)는, 2개의 모서리부(3650)에서 각각 겹치고 그들 각 소켓용 차폐판(38)이 갖는 탄성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판부(3810, 3811)는, 측벽(3604)과 같은 높이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2, 도 9,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서리부(3650)에, 측벽(3604)의 높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재된 오목부(3660)가 마련되어 있다.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판부(3810, 3811)는, 오목부(3660) 내에서 그들의 높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겹쳐져서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판부(3810, 3811)에 관해 상세히 설명 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굴곡판부(3810)는, 측벽(3604)에 평행하여 배치되고 측벽(3604)을 덮는 본체 판부(3820)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제 1 당접판부(3810)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당접부(3810)는, 측벽(3604)과 같은 높이를 갖고 있다.
다른쪽의 단부(3811)는, 본체 판부(3820)의 단부에 굴곡부(3815)를 통하여 연접(連接)되고 소켓용 차폐판(38)의 두께만큼 측벽(3604)의 내면 방향으로 변위하고 본체 판부(3820)와 평행하여 연재되는 제 2 당접판부(3811)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당접판부(3811)는, 측벽(3604)과 같은 높이를 갖고 있다.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은 이와 같은 제 1 당접판부(3810)와 제 2 당접판부(3811)가 겹쳐지고 그들의 높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다음에, 카메라 모듈(22)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도 13은 카메라 모듈(22)의 사시도, 도 14는 카메라 모듈(22)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설명도, 도 16은 도 13의 AA선 단면도이다.
카메라 모듈(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8)와, 촬상 소자(29)와, 신호 처리부와, 기판(30)과, 접편(32)에 더하여,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지지부(68)와, 스프링(70)과, 구동부(7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케이스(28)는 경통부(66)에 의해 구성되고, 경통 부(66)는 전경통(78)과 후경통(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7은 전(前)스프링(70A)이 취착된 전경통(78)의 후면도이다.
경통부(66)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지지부(68)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S)을 갖고 있다.
경통부(66)는, 전경통(78)과 후경통(80)이 결합됨으로써 구성되고, 전경통(78)은, 도 14,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광학계(34)의 광축의 주위에 위치하고 수용 공간(S)의 측면을 구획하는 주벽(78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경통(78)은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주벽(7802)은 4개의 측벽을 갖는 사각형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벽(7802)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1조의 제 1 측벽(7802A)과, 서로 대향하는 나머지 1조의 제 2 측벽(7802B)을 갖고 있다.
그들 측벽(7802A, 7802B)은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높이와 이 높이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가지며, 제 1의 참고예에서는, 도 15,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제 1 측벽(7802A)의 내면에서 폭방향의 중앙에 팽출벽(7808)이 높이 방향에 따라 연재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벽(7808)의 전단(前端)에, 팽출벽(7808)의 폭방향의 양단에 돌출하는 돌기(7810)가 형성되고, 팽출벽(7808)의 후단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갈래 형상의 스프링용 누름편(78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제 1 측벽(7802A)의 후단에, 후경통(80)에 결합하기 위한 계합 핀(7814)이 각각 돌설되어 있다.
도 18, 도 19는 코일(76)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20, 도 21은 코일(76) 및 기판(30)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22는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23은 기판(30), 광학 필터(31) 및 코일(76)이 취착된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24는 도 20의 BB선 단면도이다.
후경통(80)은, 도 14, 도 16,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과, 코일 취착용 벽부(8004)와, 개구(8006)와, 계합 돌기(8001)를 갖고 있다.
후단면벽(8002)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 위에 연재되고 수용 공간(S)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8, 도 19,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은, 서로 대향하는 2조의 변(8002A, 8002B)을 가지며, 한쪽의 1조의 변(8002A)에, 계합 핀(7814)이 계합되는 계합구멍(80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 1조의 변(8002B)에 코일 취착용 벽부(8004)가 마련되고, 환언하면, 코일 취착용 벽부(8004)는, 상기 광축을 끼운 후단면벽(8002)의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 취착용 벽부(8004)는 코일(76)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고, 코일 취착용 벽부(8004)는 후단면벽(8002)으로부터 전경통(78)의 주벽(7802)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돌설되어 있다.
도 18,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코일 취착용 벽부(8004)는, 변(8002B)의 양측의 후단면벽(8002) 개소로부터 돌설된 2개의 주벽(柱壁)(8020)과, 2개의 주벽(8020)의 높이 방향의 중간을 접속하는 접속벽(8022)을 갖고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도 22,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주벽(8020)이 각각 외측에 면하는 면이, 동일면상에 연재되는 코일 당접면(8020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참고예에서는, 접속벽(8022)은, 2개의 주벽(8020)의 코일 당접면(8020A)으로부터 외측으로 팽출변(8002B)의 연재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8006)는, 상기 광축상에 위치하는 후단면벽(8004)의 개소에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고, 개구(8006)는 촬상 소자(29)가 수용되는 것이다.
계합 돌기(8001)는, 코일 취착용 벽부(8004)가 마련된 후단면벽(8002)의 외단면(外端面)(나머지 1조의 변(8002B))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9,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의 앞면에서 변(8002A)의 개소에는, 후스프링(70B)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8010)가 마련되고, 부착부(8010)는, 2개의 부착면(8012)과, 각 부착면(8012)으로부터 각각 돌설된 핀(8014)을 갖고 있다.
도 18,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의 앞면에서 각 주벽(8020)의 내측에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단일한 평면상에 연재되는 4개의 당접면(800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8006) 내에 촬상 소자(29)가 위치한 상태에서, 촬상 소자(29)의 외주를 둘러싸는 기판(30)이 후단면벽(8002)의 후면에 접착됨과 함께, 후단면벽(8002)의 앞면에 개구(8006)를 덮는 광학 필터(31)를 접착함으로써 촬상 소자(29)가 밀봉되어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후경통(80)은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도 1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2개의 측면부(2810B)에 형성된 계합 홈(2830)이 2개의 계합 돌기(8001)에 계합함으로써,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상면부(2810A)와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 사이에 전경통(78)이 끼워 지지되고, 이로써 전경통(78)과 후경통(80)이 결합되어 있다.
도 25는 마그넷(74)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사시도, 도 26은 마그넷(74) 및 후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사시도, 도 27은 마그넷(74) 및 후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평면도, 도 28은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 도 29는 후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이다.
렌즈 지지부(68)는, 도 14, 도 16, 도 25 내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광학계(34)를 지지하여 수용 공간(S)에 수용되는 것이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도 14,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광학계(34)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나열하여 배치되는 1군 렌즈 내지 3군 렌즈(34A, 34B, 34C)와, 1군 렌즈(34A)와 2군 렌즈(34B)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34D)와, 2군 렌즈(34B)와 3군 렌즈(34C)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34E)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5,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지지부(68)는 통부(6802)를 가지며, 통부(6802)는 촬영 광학계(34)가 배치되는 내면과, 상기 내면과 반대에 위치하는 외면을 갖고 있다.
통부(6802)의 외면의 전후에는, 각각 전플랜지(6804), 후플랜지(680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6802)의 외측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4개소에는 전플랜지(6804)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스프링 당접면(6805)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스프링 당접면(6805)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연재되어 있다.
또한, 도 25,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6802)의 상기 외면이 대향하는 2개소에,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한 가상 평면에 평행한 마그넷 부착용의 부착면(680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면(6808)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마그넷 협지용(挾持用)의 1 쌍의 협지편(68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5,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플랜지(6806)의 후면의 4구석에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단일한 평면상에 연재되는 4개의 당접면(68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렌즈 지지부(68)는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70)은, 도 14,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S)에 배설되고 렌즈 지지부(68)를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 는 것이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스프링(70)은, 전스프링(70A)과 후스프링(70B)의 2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그들 스프링(70A, 70B)은 수용 공간(S) 내에서 렌즈 지지부(68)의 상기 광축을 따라 끼운 개소와 경통부(66)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 있다.
전스프링(70A)은 전경통(78)과 렌즈 지지부(68)의 사이에 배설되고, 후스프링(70B)은 후경통(80)과 렌즈 지지부(68)의 사이에 배설되는 것이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들 2개의 스프링(70A, 70B)은, 얇게 작은 폭의 편체(片體)로 중앙에 촬영 광학계(34)의 광로용의 개구(7001)가 확보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에 개구(7001)가 형성된 환판부(7002)와, 환판부(7002)의 외주에 접속된 2개의 지지편(7004)을 가지며, 상기 광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스프링(70A)은, 외주의 2개의 지지편(7004)이 전경통(78)의 돌기(7810)에 취착되고, 개구(7001)에 렌즈 지지부(68)의 통부(6802)의 앞 부분이 삽통되고 환판부(7002)가 렌즈 지지부(68)의 4개의 스프링 당접면(6805)(도 25 참조)에 맞대여져서 전경통(78)과 렌즈 지지부(68)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2개의 지지편(7004)은 전경통(78)의 성형시에 매입되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돌기(7810)(도 17 참조)에 취착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스프링(70B)은, 내측에 개구(7001)가 형성된 환판부(7010)와, 환판부(7010)의 외주에 접속된 2개의 지지편(7012)을 갖고 있다.
후스프링(70B)은, 환판부(7010)가 렌즈 지지부(68)의 후플랜지(6806)의 후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후스프링(70B)의 2개의 지지편(7012)에 형성된 구멍(7014)(도 29 참조)이 후경통(80)의 핀(8014)(도 19 참조)에 삽통되고, 지지편(7012)의 구멍(7014)의 주위의 부분이, 전경통(78)의 스프링용 누름편(7812)(도 17 참조)과, 후경통(80)의 부착면(8012)(도 19 참조) 사이에서 끼워 지지되고, 이로써, 후스프링(70B)은, 후경통(80)과 렌즈 지지부(68)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76)에 통전되지 않고 마그넷(74)(렌즈 지지부(68))에 추력(推力)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스프링(70A)과 후스프링(70B)은, 렌즈 지지부(68)를, 렌즈 지지부(68)의 각 당접면(6812)(도 25, 도 29 참조)이,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의 각 당접면(8008)(도 18, 도 22 참조)에 맞닿도록, 환언하면, 상기 광축 방향에서 가장 후단에 위치시키도록 가세하고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렌즈 지지부(68)의 각 당접면(6812)이,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의 각 당접면(8008)에 맞닿음으로써,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이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대해 직교하는 상태가 되고, 또한,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상의 초점 거리가 무한원이 되고, 따라서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無限遠位置))가 형성된다.
구동부(72)는, 렌즈 지지부(68)를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74)과 코일(7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도 25,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74)은 2 개 마련되고, 이들 마그넷(74)은,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마그넷(74)은, 상기 광축을 끼운 렌즈 지지부(68)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한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시켜서 배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그넷(74)은, 각 부착면(6808)상에 배치되고, 한 쌍의 협지편(6810)에 끼워 지지된 상태로 부착면(6808)에 접착되어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마그넷(74)은 상기 광축에 따른 양단에 N극과 S극이 위치하도록 착자되어 있고, 각 마그넷(74)은, 그들의 자속을 효율적으로 코일(76)에 유도하기 위한 판형상의 요크(7402)를 통하여 부착면(6808)에 접착되어 있다.
코일(76)은, 도 18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74)에 면하는 경통부(66)의 2개소에 각각 마련되고, 이들 2개의 코일(76)은, 각각 도선이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축심의 주변에 권회(卷回)되어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재되는 폭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코일(76)은, 상기 광축을 끼운 경통부(66)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한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시켜서 배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코일(76)은 도선이 권회됨으로써 구성되고,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참고예에서는, 2개의 평행한 직선부와, 직선부의 양단을 접속하는 2개의 만곡부를 갖는 장원형상을 나타내고, 중앙에 가늘고 긴 중앙 개 구(7602)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76)은, 도 14,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긴변 방향의 양단을 주벽(8020)에 합침과 함께 상기 2개의 만곡부를 코일 당접면(8020A)에 맞대고, 또한, 코일(76)의 중앙 개구(7602)에 접속벽(8022)을 끼워 넣은(嵌入) 상태로 접착제에 의해 취착되어 있다.
]2개의 코일(76)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선의 중간부분(7604)을 통하여 직렬 접속되어 있고,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코일(76)의 도선의 단부(7605)는, 후단면벽(8002)으로부터 돌설된 볼록부(8003)에 각각 권회되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들 권회된 부분이 솔더링에 의해 기판(30)의 표면의 솔더링 패드(3010)에 솔더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선에는, 기판(30)으로부터 각 솔더링 패드(3010)를 통하여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이로써, 코일(76)로부터 자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코일(76)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74)의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코일(76)에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힘(추력)이 발생하고, 이로써, 스프링(70)에 의해 지지된 렌즈 지지부(68) 및 촬영 광학계(34)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결상된 피사체상의 초점 맞춤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33은 마그넷(74)과 코일(76)의 동작 설명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76)에 구동 신호가 화살표(A)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74)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 지지부(68)에는, 광축 방향을 따라 화살표 방향의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코일(76)에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 신호가 흐르면,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자계가 코일(76)로부터 발생함으로써, 렌즈 지지부(68)에는, 광축 방향에 따라 상기와는 역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또한, 제 1의 참고예에서는, 촬영 광학계(34)와 마그넷(74)이 마련된 렌즈 지지부(68)의 중심을 끼우는 2개소가 코일(76)에 의한 추력이 발생하는 역점으로서 구성되고, 또한, 전스프링(70A) 및 후스프링(70B)의 작용점이 상기 중심과 상기 역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렌즈 지지부(68)가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정확하게 이동하는데 유리해지고, 따라서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의 왜곡을 억제하는데 유리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경통(78)에 전스프링(70A)이 조립된 제 1 유닛(U1)과, 렌즈 지지부(68)에 촬영 광학계(34)와 마그넷(74)과 후스프링(70B)이 조립된 제 2의 유닛(U2)과, 후경통(80)에 코일(76)과 촬상 소자(29)와 기판(30)이 조립된 제 3 유닛(U3)을, 각각 제각기 조립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제 2 유닛(U2)을 제 3 유닛(U3)에 조립한다. 환언하면, 후스프링(70B)의 구멍(7014)에 후경통(80)의 핀(8014)(도 38 참조)을 삽통하여 제 2 유닛(U2)과 제 3 유닛(U3)을 합친다.
뒤이어, 그 조립한 것에 제 1 유닛(U1)을 조립한다. 환언하면, 전스프 링(70A)의 개구(7001)에 렌즈 지지부(68)의 통부(6802)의 앞 부분을 삽통하여 환판부(7002)를 렌즈 지지부(68)의 4개의 스프링 당접면(6805)에 맞닿게 하여 제 1 유닛(U1)과 제 2 유닛(U2)을 합친다.
최후로,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을 제 1 유닛(U1)의 위에 씌워서, 그 계합 홈(2830)을 계합 돌기(8001)에 계합시킨다. 환언하면,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을 제 1 유닛(U1)의 위에 씌워서,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상면부(2810A)와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 사이에 전경통(78)을 끼워 지지시킨다.
이로써 제 1 유닛(U1)과 제 3 유닛(U3)이 결합되고, 카메라 모듈(22)이 완성된다.
또한, 제 1의 참고예에서는, 렌즈 지지부(68)의 각 당접면(6812)이,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의 각 당접면(8008)에 맞닿음으로써,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가 형성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렌즈 지지부(68)의 각 당접면(6812)이,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의 각 당접면(8008)에 맞닿을 때, 렌즈 지지부(68)가 기울어진 상태로 무한원 위치가 형성되면, 촬영 광학계(34)의 광축이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대해 기울어져서,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면에 결상된 피사체상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이 우려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촬영 광학계(34)를 포함하는 렌즈 지지부(68)의 중심(重心)과, 렌즈 지지부(68)와 각 스프링(70A, 70B)이 연결되어 있는 개소, 즉, 작용점(지점)과, 2개의 마그넷(76)에 있어서의 추력이 발생하는 위치인 역점의 3개의 위치를 합치시키는 것이 구조상 불가능하고, 게다가, 그들 3개의 위치가 부품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에 의해 흐트러짐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이런 종류의 카메라 모듈(22)에서는, 많은 경우, 카메라 모듈(22)과 피사체와의 거리가 약 1m 이상이고, 따라서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비율이 8할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무한원 위치에 있어서 촬상된 화상의 왜곡을 방지하는 것이 카메라 모듈(22)을 실제로 사용하는데 가장 중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에 있어서의 렌즈 지지부(68)의 기울어짐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도 30은 렌즈 지지부(68)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31은 카메라 모듈(22)의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32는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이다.
도 30,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에는, 해당 후단면벽(8002)이 연재되는 평면과 직교하는 축선에 따라 형성된 원추면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오목부(8040)가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계합 오목부(8040)는, 상기 광축을 끼우고, 또한, 상기 광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등한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도 30,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계합 오목부(8040)에 면하는 렌즈 지지부(68)의 후플랜지(6806)의 개소에는, 상기 광축와 평행한 축선에 따라 형 성되고 2개의 계합 오목부(8040)의 원추면과 합치하는 형상의 원추면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볼록부(684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76)에의 통전이 정지되면, 스프링(70A, 70B)의 가세력에 의해, 렌즈 지지부(68)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렌즈 지지부(68)의 2개의 계합 볼록부(6840)가 후경통(80)의 2개의 계합 오목부(8040)에 계합하고, 이로써,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가 형성된다.
이 때, 계합 볼록부(6840)와 계합 오목부(8040)의 서로의 원추면이 겹처짐으로써 서로의 원추면의 축선이 합치하도록, 렌즈 지지부(68)의 자세가 정해지고, 이로써,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에 있어서의 렌즈 지지부(68)의 기울어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무한원 위치와 반대측의 위치인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전단 위치, 즉, 카메라 모듈(22)과 피사체가 가장 접근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화상의 왜곡을 방지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그 때에는, 렌즈 지지부(68)와 전경통(78)에 각각 계합 볼록부와 계합 오목부를 마련하면 좋다.
다음에 제 2의 참고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34는 제 2의 참고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22)의 분해 사시도, 도 35는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설명도, 도 36은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37은 후경 통(80)의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AA선 단면도, 도 39는 렌즈 지지부(68)가 후경통(80)에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2의 참고예가 상술한 제 1의 참고예와 다른 것은 코일의 구성이고, 그 밖의 구성은 제 1의 참고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 1의 참고예와 같은 부분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카메라 모듈(22)은, 도 34 내지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통부(66)와, 렌즈 지지부(68)와, 스프링(70)과, 촬상 소자(29)와, 구동부(72)를 구비하고, 구동부(72)는, 마그넷(82)과, 코일(8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렌즈 지지부(68)와, 스프링(70)과, 촬상 소자(29)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 1의 참고예와 마찬가지이다.
2개의 마그넷(82)은, 제 1의 참고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광축을 끼운 렌즈 지지부(68)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한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시켜 배설되어 있다.
2개의 마그넷(82)은, 제 1의 참고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재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그넷(82)의 배설은 제 1의 참고예와 마찬가지이고, 도 34 내지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82)은, 렌즈 지지부(68)의 한 쌍의 협지편(6810)에 끼워 지지된 상태로 요크(8202)를 통하여 렌즈 지지부(68)의 부착면(6808)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82)의 착자 형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코일(84)은, 도선이 상기 광축의 주변에 권회되어 광축 방향에서 보아 광축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의 참고예에서는, 코일(84)은 사각형의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코일(84)은 마그넷(82)의 상기 광축 방향의 앞 부분에 면하는 제 1의 코일(84A)과, 마그넷(82)의 광축 방향의 뒷 부분에 면하는 제 2의 코일(84B)의 2개의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은, 도 35,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일한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재되고 2개의 마그넷(82)에 면하는 2개의 코일부(8402)를 각각 갖고 있다.
각 코일부(8402)는,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재되는 폭과 그들 높이 및 폭보다도 작은 치수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경통부(66)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경통(78)과, 후경통(80)을 갖고 있다.
전경통(78)은,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축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벽(78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경통(80)은, 도 37,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 위에 연재되고 주벽(7802)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는 후단면벽(8002)과, 후단면벽(8002)으로부터 돌설되고 주벽(7802)의 내측에 수용되어 수용 공간(S) 의 측면을 구획하고 코일(84)이 권장된 통형상 벽부(8050)와, 상기 광축상에 위치하는 후단면벽(8002)의 개소에 마련되고 촬상 소자(29)가 수용되는 개구(800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형상 벽부(8050)의 외주에 광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 1의 코일 장착 홈(8052A)과 제 2의 코일 장착 홈(8052B)이 마련됨과 함께 그들 코일 장착 홈(8052A, 8052B)의 사이에 플랜지(8054)가 돌설되어 있다.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코일 장착 홈(8052A)의 저면과 제 2의 코일 장착 홈(8052B)의 저면은, 단일한 가상 평면에 평행하게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저면부(8056A, 8056B)를 각각 갖고 있다.
제 1의 코일(84A)은 제 1의 코일 장착 홈(8052A)에 장착되어 배설되어 있다.
제 2의 코일(84B)은 제 2의 코일 장착 홈(8052B)에 장착되어 배설되어 있다.
도 37,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코일 장착 홈(8052A)의 저면부(8056A)와 제 2의 코일 장착 홈(8052B)의 저면부(8056B)에,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을 마그넷(82)에 대면시키는 개구(805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경통(78)에 전스프링(70A)이 조립된 제 1 유닛(U1)과, 렌즈 지지부(68)에 촬영 광학계(34)와 마그넷(82)과 후스프링(70B)이 조립된 제 2의 유닛(U2)과, 후경통(80)에 코일(84)과 촬상 소자(29)와 기판(30)이 조립된 제 3 유닛(U3)을, 각각 제각기 조립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제 2 유닛(U2)을 제 3 유닛(U3)에 조립한다. 환언하면, 후스프 링(70B)의 구멍(7014)에 후경통(80)의 핀(8014)(도 38 참조)을 삽통하여 제 2 유닛(U2)과 제 3 유닛(U3)을 합친다.
뒤이어, 그 조립한 것에 제 1 유닛(U1)을 조립한다. 환언하면, 전스프링(70A)의 개구(7001)에 렌즈 지지부(68)의 통부(6802)의 앞 부분을 삽통하고 환판부(7002)를 렌즈 지지부(68)의 4개의 스프링 당접면(6805)에 맞닿게 하여 제 1 유닛(U1)과 제 2 유닛(U2)을 합친다.
최후로,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을 제 1 유닛(U1)의 위에 씌워서, 그 계합 홈(2830)을 계합 돌기(8001)에 계합시킨다. 환언하면,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을 제 1 유닛(U1)의 위에 씌워서,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상면부(2810A)와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 사이에 전경통(78)을 끼워 지지시킨다.
이로써 제 1 유닛(U1)과 제 3 유닛(U3)이 결합되고, 카메라 모듈(22)이 완성된다.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은, 도선의 중간부분(도시 생략)을 통하여 직렬 접속되어 있고, 제 1의 참고예와 마찬가지로,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코일(84A, 84B)의 도선의 단부는,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으로부터 돌설된 볼록부(8003)에 각각 권회되고, 그들 권회된 부분이 솔더링에 의해 기판(30)의 표면의 솔더링 패드에 솔더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선에는, 기판(30)으로부터 상기 각 솔더링 패드를 통하여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이로써,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로부터 자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 넷(82)의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에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힘(추력)이 발생하고, 이로써, 스프링(70)에 의해 지지된 렌즈 지지부(68) 및 촬영 광학계(34)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결상된 피사체상의 초점 맞춤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의 권회 방향과 마그넷(82)의 착자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0, 도 41은 마그넷(82)과 코일(84)의 동작 설명도이다.
우선, 도 40을 참조하여, 제 1의 코일(84A)의 도선의 권회 방향과, 제 2의 코일(84B)의 도선의 권회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마그넷(82)은, 상기 광축에 따른 양단에 N극과 S극이 위치하도록 착자된 것을 이용한다.
제 1의 코일(84A)(코일부(8402))에 구동 신호가 화살표(A) 방향으로 흐름과 함께, 제 2의 코일(84B)(코일부(8402))에 구동 신호가 화살표(B)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82)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 지지부(68)에는, 광축 방향에 따라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또한, 제 1, 제 2의 코일(84A, 84B)(코일부(8402))에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 신호가 흐르면,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자계가 제 1, 제 2의 코일(84A, 84B)로부터 발생함으로써, 렌즈 지지부(68)에는,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다음에, 도 41을 참조하여, 제 1의 코일(84A)의 도선의 권회 방향과, 제 2의 코일(84B)의 도선의 권회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마그넷(82)은, 그 두께 방향의 양측에 N극과 S극이 위치하도록 착자된 것을 이용한다.
제 1, 제 2의 코일(84A, 84B)(코일부(8402))에 구동 신호가 화살표(A)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82)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 지지부(68)에는, 광축 방향에 따라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제 1, 제 2의 코일(84A, 84B)(코일부(8402))에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 신호가 흐르면,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자계가 제 1, 제 2의 코일(84A, 84B)로부터 발생함으로써, 렌즈 지지부(68)에는,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의 참고예의 카메라 모듈(22)에 의하면, 촬영 광학계(34)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68)에 마그넷(82)을 마련하고, 경통부(66)에 코일(84)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렌즈 지지부에 코일을 마련하고, 경통부에 코일을 마련한 카메라 모듈에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의 이동에 수반하여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에 스트레스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에 충격이 가해져서 렌즈 지지부가 이동하면, 코일의 도선에 큰 힘이 가해져, 단 선 등의 발생이 우려됨에 대해, 제 2의 참고예에서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와 같은 부적합함의 발생이 방지되고, 내구성이나 내충격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종래에는, 경통부에 마그넷을 마련하고 렌즈 지지부에 코일을 마련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도전 부재로 형성하고, 이 스프링을 코일에 솔더링하고, 스프링을 통하여 코일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솔더링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코일을 마련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준비하고, 이 전용 부재에 코일을 부착한 상태에서 솔더링을 행하고, 그 후, 전용 부재를 렌즈 지지부에 부착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수고가 든다. 이에 대해, 제 2의 참고예에서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일을 부착하기 위한 전용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코일의 부착이 간단하게 되고, 부품 갯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소형화, 제조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종래에는, 렌즈 지지부에 마련된 코일이 통전에 의해 발열하면, 그 열이 렌즈 지지부를 통하여 촬영 광학계에 전해지고 렌즈가 열에 의한 영향을 받아(예를 들면 열팽창에 의한 변형 등) 광학 특성의 악화가 우려됨에 대해, 제 2의 참고예에서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부적합함의 발생이 방지되고, 촬영 광학계의 광학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종래에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을 솔더링하는 공정에 있어서, 그 열이 렌즈 지지부를 통하여 촬영 광학계에 전해지고 렌즈가 열에 의한 영향을 받아 광학 특성이 악화되는 것이 우려됨에 대해, 제 2의 참고예에서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와 같은 부적합함의 발생이 방지되고, 촬영 광학계의 광학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종래에는 구동 신호를 스프링을 통하여 코일에 공급하기 때문에, 스프링의 재료가 도전 재료로 한정됨에 대해, 제 2의 참고예에서는, 코일(84)에 직접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스프링을 통하여 구동 신호를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프링의 재질이 비도전 재료라도 좋고, 설계의 자유도를 확보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종래에는, 도선을 권회한 코일을 렌즈 지지부에 마련하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의 중심의 밸런스가 코일의 중심의 편차에 의해 좌우되는 부적합함이 있음에 대해, 제 2의 참고예에서는, 코일에 비교하여 형상이나 치수의 정밀도를 내기 쉬운 마그넷을 렌즈 지지부에 마련하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의 중심의 밸런스를 잡기 쉽고, 촬영 광학계의 광축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종래에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을 마련하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를 경통부에 조립할 때에, 코일의 도선의 배선이나 솔더링이 번잡하였음에 대해, 제 2의 참고예에서는, 렌즈 지지부에 마그넷이 마련되고, 경통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유닛(U1, U2, U3)을 제각기 조립하여 둠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용이하게 완성할 수 있고, 코일의 도선의 배선이나 솔더링 등의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제 2의 참고예에 의하면, 코일(84)은, 도선이 상기 광축의 주변에 권회되어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아 광축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경통부(66)에 도선을 권회함으로써 코일(84)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일(84)을 경통부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의 참고예와 같이, 미리 도선을 고리형상으로 권회하여 성형한 것을 준비하여 두고, 뒤이어, 그 성형된 코일(84)을 경통부에 접착으로 부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조립 작업의 간소화,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다음에 제 3의 참고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3의 참고예가 제 2의 참고예와 다른 것은 코일의 구성이고, 그 밖의 구성은 제 1의 참고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 2의 참고예와 같은 부분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2는 제 3의 참고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22)의 렌즈 지지부(68)가 후경통(80)에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3은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44는 후경통(80)의 단면도이다.
제 2의 참고예에서는 2개의 코일(84A, 84B)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제 3의 참고예에서는 코일(84)은 1개만 사용되고 있다.
코일(84)은, 도 42,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한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재되고 2개의 마그넷(82)에 면하는 2개의 코일부(8402)를 갖고 있다.
코일부(8402)는, 마그넷(82)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과 그들 높이 및 폭보다도 작은 치수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경통부(66)는, 제 2의 참고예와 마찬가지로, 전경통(78)과, 후경통(80)을 가지며, 도 42,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경통(80)의 통형상 벽부(8050)의 외주에 코일 장착 홈(8460)이 마련되어 있다.
코일 장착 홈(8460)의 저면은, 상기 단일한 가상 평면에 평행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저면부(8462)를 각각 갖고 있다.
코일(84)은 코일 장착 홈(8460)에 장착되어 배설되고, 코일 장착 홈(8460)의 저면부(8462)에, 코일(84)을 마그넷(82)에 대면시키는 개구(8464)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84)의 도선의 양단부는,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으로부터 돌설된 볼록부(8003)에 각각 권회되고, 그들 권회된 부분이 솔더링에 의해 기판(30)의 표면의 솔더링 패드에 솔더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선에는, 기판(30)으로부터 상기 각 솔더링 패드를 통하여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이로써, 코일(84)로부터 자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코일(84)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82)의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코일(84)에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힘(추력)이 발생하고, 이로써, 스프링(70)에 의해 지지된 렌즈 지지부(68) 및 촬영 광학계(34)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의 초점 맞춤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코일(84)의 권회 방향과 마그넷(82)의 착자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5는 마그넷(82)과 코일(84)의 동작 설명도이다.
마그넷(82)은, 그 두께 방향의 양측에 N극과 S극이 위치하도록 착자된 것을 이용한다.
코일(84)(코일부(8402))에 구동 신호가 화살표(A)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82)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 지지부(68)에는, 광축 방향에 따라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코일(84)(코일부(8402))에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 신호가 흐르면,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자계가 코일(84)로부터 발생함으로써, 렌즈 지지부(68)에는,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제 3의 참고예에서도, 제 2의 참고예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제 2의 참고예에서는, 제 1, 제 2의 코일(84A, 84B)의 2개의 코일을 이용하고 있지만, 제 3의 참고예에서는, 코일(84)이 하나로 끝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의 간소화,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더욱더 유리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2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그들 내측 경통과 외측 경통을 끼워 지지하는 계지판(86)을 주요부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의 참고예에서 설명한 전경통(78)이 외측 경통(78)이 되고, 후경통(80)이 내측 경통(80)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2)은, 수용 공간(S)을 갖는 경통부(66)와, 촬영 광학계(34)를 지지하고 수용 공간(S)에 수용되고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렌즈 지지부(68)와, 경통부(66)에 마련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29)와, 렌즈 지지부(68)를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7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경통부(66)는, 수용 공간(S)이 형성된 내측 경통(80)과, 내측 경통(80)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경통(78)을 갖고 있다.
내측 경통(80)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 위에 연재되고 외측 경통(78)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고 촬상 소자(29)가 수용되는 개구(8006)가 형성된 후단면벽(8002)을 갖고 있다.
내측 경통(80)의 외측에 외측 경통(78)이 배치된 상태에서, 그들 경통(78, 80)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덜컹거리는 일 없이 결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4개의 주벽(8020)이, 도 17에 도시하는 외측 경통(78)의 주벽(7802)의 내측의 4개의 모서리부(7820)에 계합함으로써, 그들 경통(78, 80)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덜컹거리는 일 없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이 상기 광축 방향의 전 방에 면하는 개소에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제 1의 당접면(8061)이 형성되고, 외측 경통(78)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에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제 2의 당접면(7822)이 형성되고, 내측 경통(80)의 외측에 외측 경통(78)이 배치되는 상태에서, 제 1의 당접면(8061)과 제 2의 당접면(7822)이 맞대여진다.
즉, 제 1의 당접면(8061)과 제 2의 당접면(7822)이 맞대여진 상태에서 계지판(86)에 의해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이 상기 광축 방향에서 끼워 지지된다.
계지판(86)은, 도 1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판부(86A)와, 2개의 측판부(86B)를 구비하고 있다.
계지판(86)은, 전판부(86A)가 외측 경통(78)의 전단에 계지하고 2개의 측판부(86B)의 선단이 후단면벽(8002)에 계지한 상태로,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을 상기 광축 방향에서 끼워 지지하는 것이다.
이 계지판(86)은, 제 1의 참고예에서 설명한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지판(86)은, 자기 차폐성과 전자 차폐성과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서, 예를 들면, 고투자성 금속, 파마로이, 산화철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계지판(86)의 전판부(86A)가 외측 경통(78)의 전단에 면하는 내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면(8602)에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며 또한 도전성을 갖는 표면 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도료의 도장 또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도금 처리가 채용 가능하다. 상기 도료로서는 예를 들면 흑색의 도료 등 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도 1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판부(86A)는, 외측 경통(78)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계지하여 전단을 덮는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판부(86A)의 중앙에 촬영 광학계(34)의 광로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8604)가 형성되어 있다.
경통부(66)는, 내측 경통(80)의 외측에 외측 경통(78)이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두께와, 두께보다도 큰 치수의 세로와 가로를 갖는 사각형판형상의 윤곽을 나타내고, 전판부(86A)는 사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경통(78)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제 3의 당접면(7824)이 형성되고, 전판부(86A)가 제 3의 당접면(7824)에 맞대여짐으로써, 전판부(86A)가 외측 경통(78)의 전단에 계지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3의 당접면(7824)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아 사각형 테두리형상으로 연재되어 있다.
또한, 도 1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의 당접면(7824)에 볼록부(7826)가 마련되고, 전판부(86A)에 볼록부(7826)에 계합 가능한 절단부(8606)가 마련되고, 볼록부(7826)와 절단부(8606)가 계합함으로써,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있어서 외측 경통(78)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대한 전판부(86A)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부(86B)는, 전판부(86A)가 대향하는 1조의 변으로부터 각각 굴곡되어 있다.
측판부(86B)의 선단에 계지용의 계합 홈(2830)이 마련되어 있다.
후단면벽(8002)의 외주의 상기 광축을 끼운 2개소에 각각 계지용의 돌기(8001)가 마련되고, 2개의 측판부(86B)의 선단의 후단면벽(8002)에의 계지는, 돌기(8001)와 계합 홈(2830)이 계지함으로써 간단하게 확실히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경통(78)의 외주의 상기 광축을 끼운 개소에,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한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부(7830)가 각각 형성되고, 전판부(86A)가 외측 경통(78)의 전단에 계지하고 2개의 측판부(86B)의 선단이 후단면벽(8002)에 계지한 상태로, 2개의 측판부(86B)는 평면부(7830)에 각각 맞대여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을 계지판(86)을 이용함에 의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간단하게 끼워 지지할 수 있고,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접착제의 도포량이나 경화 조건의 조정 및 관리가 불필요하며 또한, 접착제의 경화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되고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돌기(8001)로부터 계합 홈(2830)을 벗김으로써 계지판(86)의 분리도 간단하게 되고, 계지판(86)을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으로부터 떼어냄에 의해,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을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에 조립된 렌즈 지지부(68)나 구동부(72)의 조정이나 수리를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행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구동부(72)가 렌즈 지지부(68)에 마련된 마그넷과, 내측 경통(80)에 마련된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마그넷이 카메라 모듈(22)의 외부로부터 작용한 자계에 의한 서로 자계 작용에 의해 생기는 힘에 의해 이동하고, 본래 위치해야 할 위치로부터 변위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그 경우,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 소자(29)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의 초점 어긋남 등이 발생하여 버리는 등의 부적합함이 발생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지판(86)이 자기 차폐성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자계가 계지판(86)에서 차폐되어 구동부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상기 부적합함을 방지할 수 있고 촬상된 화상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구동부의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는 계지판(86)에서 차폐되기 때문에, 그 자계가 카메라 모듈 주변의 전자 부품이나 전자 회로에 복사되어 악영향을 미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서 유리해진다.
특히, 카메라 모듈(22)이 휴대 전화기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22)의 부근에, 착신 통보용의 바이브레이션(진동) 발생용의 모터나 수화기(스피커) 등과 같이 자계를 발생하는 코일이나 마그넷을 이용한 부품이 배치되는 일이 된다.
또한, 근래, 휴대 전화기는 보다 한층의 소형화, 박형화가 도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품과 카메라 모듈과의 거리가 근접하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구동부는 휴대 전화기 내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영향을 보다 받기 쉬워지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지판(86)을 자기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의 소형화, 박형화를 실현하면서, 상기 부품으로부터의 자계의 영향을 방지하고, 촬상 소자(29)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지판(86)이 자기 차폐성에 더하여 전자 차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구동부(72)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계지판(86)에서 차폐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2)의 외부로 전자파가 복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22)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전자 부품이나 전자 회로에 대한 전자파의 영향을 방지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지판(86)이 도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계지판(86)을 소켓(24)을 통하여 접지함으로써, 상기 전자파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폐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구동부(72)와 달리, 구동부가 렌즈 지지부에 마련된 코일과, 경통부에 마련된 마그넷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그넷이 경통부에 마련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의 외부로부터의 자계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것이지만, 구동부의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가 카메라 모듈에 근 접하여 배치된 전자 부품이나 전자 회로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것이 우려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계지판(86)을, 전자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상기의 부적합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기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판재, 철망, 펀칭 메탈, 금속막(금속박, 증착, 도금)을 시행한 판재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자기 차폐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2)을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의 몸체 내부에 조립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22)은, 계지판(86)의 전판부(86A)의 개구를 몸체에 마련된 몸체측 개구에 면하게 하여 배치된다.
많은 경우, 몸체측 개구에는, 도 46에 도시하는 커버 유리(2)(도 1에 도시하는 렌즈 커버(58)에 상당)가 장착되고, 카메라 모듈의 계지판(86)의 전판부(86A)의 외면(8602)과, 해당 외면이 면하는 커버 유리(2)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때, 몸체의 바깥쪽으로부터 커버 유리(2)를 통과한 광(L)의 일부가, 전판부(86A)의 외면(8602)과, 커버 유리(2)의 내면 사이에서 반사를 반복하여 촬영 광학계(34)에 진입하면, 고스트라 불리는 흐린 화상이 촬상 소자(29)에서 촬상되어 버리는 등의 부적합함이 생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지판(86)의 전판부(86A)의 외면(8602)에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표면 처리가 시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광(L)의 반사를 억제함으로써 고스트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촬상 소자(29)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품질 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상기 표면 처리는, 계지판(86)의 전판부(86A) 및 측판부(86B)의 외면의 전역에 실시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그 경우, 상기 표면 처리에서 이용하는 도료나 도금을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 하면, 계지판(86)의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계지판(86)을 소켓(24)을 통하여 접지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계지판(86)에 의한 전자 차폐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지판(86)이 외측 경통(78)의 전단을 덮는 전판부(86A)와, 외측 경통(78)의 주벽(7802)이 대향하는 2개의 면을 덮는 2개의 측판부(86B)를 갖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전판부(86A)의 3변 또는 4변에서 측판부를 각각 굴곡 형성하고, 그들 3개 또는 4개의 측판부로 외측 경통(78)의 주벽(7802)의 3면 또는 4면을 덮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측판부(86B)의 선단에 위치하는 변에서 기판(30)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를 굴곡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계지판(86)으로 덮는 경통부(66)의 면의 수가 많을수록, 자기 차폐 효과나 전자 차폐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해진다.
다음에 제 4의 참고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47은 방진 커버(31), 경통부(66), 촬상 소자(29), 기판(30)의 조립 설명도, 도 48은 후단면벽(8002)의 평면도, 도 49는 방진 커버(31)의 부착 설명도, 도 50(A), (B)는 방진 커버(31)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또한, 제 4의 참고예에서는, 제 1의 참고예에서 설명한 광학 필터(31)가 방진 커버(31)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2)은, 경통부(66)와, 촬영 광학계(34)를 지지하고 경통부(66)에 수용되어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렌즈 지지부(68)와, 경통부(66)에 마련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29)와, 촬상 소자(29)가 탑재된 기판(30)과, 렌즈 지지부(68)를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7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경통부(66)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 위에 연재되고 경통부(66)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고 촬상 소자(29)가 수용되는 개구(8006)가 형성된 후단면벽(8002)을 갖고 있다.
도 47,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은, 상기 광축 방향의 전방을 향한 앞면(8070A)과, 상기 광축 방향의 후방을 향한 후면(8070B)을 갖고 있다.
촬상 소자(29)가 개구(8006)에 수용된 상태로 기판(30)이 후단면벽(8002)의 후면(8070B)에 접착제로 취착되어 있다. 이 기판(30) 및 접착제에 의해, 개구(8006)의 주위의 후단면벽(8002)의 후면(8070B) 개소가 폐색되고, 밀폐되어 있다.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에 투명한 방진 커버(31)가 접착제(B)에 의해 취착되고 개구(8006)가 폐색되어 있다.
또한, 방진 커버(31)는, 먼지의 개구(8006)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적외선 컷트 필터라도 좋고, 광학 필터 기능을 갖지 않는 유리 또는 합성 수지라도 좋다.
도 48,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의 개구(8006)의 주위에, 개구(8006)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평탄한 당접면(806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8006)의 주위의 당접면(8060)의 개소에, 접착제(B)가 충전되는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은 개구(8006)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고 연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의 연재 방향의 양단의 사이에,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이 형성되지 않은 당접면(8060)의 개소(8060A)가 잔존하고 있다.
투명한 방진 커버(31)가 당접면(8060)에 맞대여지고, 방진 커버(31)는, 접착제 충전용 홈(8062)에 충전된 접착제(B)에 의해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당접면(8060))에 취착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의 개구(8006)의 주위의 고리형상 부분과, 개구(8006)의 주위에 위치하는 방진 커버(31)의 외주부 사이에, 접착제 충전용 홈(8062)에 충전된 접착제(B)가 위치하는 접착부(90A)(도 50(A))와, 접착제(B)가 충전되지 않은 비접착부(90B)(도 50(B))가 개재하고, 비접착부(90B)는,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이 형성되지 않은 당접면(8060)의 개소(8060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착부(90A)에서는, 방진 커버(31)가 당접면(8060)에 맞대여지고, 또 한, 그들의 사이에 접착제(B)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부(90A)에서는, 개구(8006)가 기밀하게 폐색되어 있다.
또한, 비접착부(90B)에서는, 방진 커버(31)가 당접면(8060)에 맞대여져 있기 때문에, 비접착부(90B)에서는, 엄밀하게는 기밀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개구(8006)가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제 4의 참고예에서는, 접착부(90A)는, 개구(8006)의 주위에서 연속상태로 연재되어 있고, 비접착부(90B)는, 접착부(90A)의 연재 방향의 양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경통부(66)는 합성 수지제로,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에 성형시의 웰드 라인(WL)이 존재하고 있고, 이 웰드 라인(WL)은, 비접착부(90B)가 개재하는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의 개구(8006)의 주위의 고리형상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제 4의 참고예에 의하면, 경통부(66)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단면벽(8002)에 마련한 개구(8006)에 촬상 소자(29)를 수용하고, 이 개구(8006)의 앞 부분을 방진 커버(31)로 덮고, 개구(8006)의 뒷 부분을 촬상 소자(29)가 실장된 기판(30)으로 덮음에 의해, 패키지를 생략하고, 경통부(66)의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개구(8006)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용적이 종래의 패키지의 수용 오목부의 용적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상기 공간 내의 공기가 팽창하는데, 제 4의 참고예에서는, 방진 커버(31)와 당접면(8060)을 합친 구성의 비접착부(90B)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방진 커버(31)와 당접면(8060) 사이에 먼지의 침입이 저지되면서 또한 공기의 유통이 허용되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고, 이로써, 먼지의 개구(8006)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동시에, 비접착부(90B)를 통하여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져서, 방진 커버(31)의 변형의 우려가 없고, 촬상 소자(29)에서 촬상되는 화상의 품질을 확보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경통부(66)의 성형시에 형성된 웰드 라인(WL)은 일반적으로 미세한 오목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웰드 라인(WL)에 의해 상술한 공기의 출입을 확보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웰드 라인(WL)을,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이 형성되어 있는 당접면(8060)의 개소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웰드 라인(WL)을,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이 형성되지 않은 당접면(8060)의 개소(8060A)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개구(8006)의 주위의 당접면(8060)의 두께를 확보하고, 당접면(8060)의 강도를 확보하는데 유리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 4의 참고예와 같은 구성이 고체 촬상 장치에 적용된 제 5의 참고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51의 (A)는 고체 촬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 (B)는 고체 촬상 장치의 평면도이다.
고체 촬상 장치(92)는, 패키지(93)와, 촬상 소자(29)와, 방진 커버(94)를 구비하고 있다.
패키지(93)에 수용 오목부(9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오목부(95)는 패키지(93)가 평탄한 상면(93A)에 개구하고 있다.
수용 오목부(95)에는 촬상 소자(29)가 수용되어 있다.
방진 커버(94)는 상면(93A)에 맞대여지고, 방진 커버(94)는 접착제(B)에 의해 상면(93A)에 취착되고, 수용 오목부(95)의 개구(95A)를 폐색하고 있다.
상면(93A)의 개구(95A)의 주위의 고리형상 부분과, 개구(95A)의 주위에 위치하는 방진 커버(94)의 외주부 사이에,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는 접착부(96A)와, 접착제(B)가 충전되지 않은 비접착부(96B)가 개재하고 있다.
상면(93A)에 접착부(96A)를 구성하는 접착제(B)가 충전된 접착제 충전용 홈(97)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 충전용 홈(97)은, 개구(95A)의 주위에서 연속상태로 연재되어 있고, 접착제 충전용 홈(97)의 연재 방향의 양단의 사이에 접착제 충전용 홈(97)이 형성되지 않은 상면부분(93B)이 잔존하고 있다.
접착제 충전용 홈(97)에 충전된 접착제(B)에 의해 패키지(93)의 상면(93A)에 방진 커버(94)가 취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면(93A)의 개구(95A)의 주위의 고리형상 부분과, 개구(95A)의 주위에 위치하는 방진 커버(94)의 외주부 사이에,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는 접착부(96A)와, 접착제(B)가 충전되지 않은 비접착부(96B)가 개재하고 있다. 환언하면, 개구(95A)의 주위에서, 상면(93A)과 방진 커버(94) 사이에, 접착부(96A)와 비접착부(96B)가 개재하고 있다. 비접착부(96B)는, 접착제 충전용 홈(97)이 형성되지 않은 상면부분(93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비접착부(96B)에서는, 방진 커버(94)는 상 면(93A)에 맞대여져 있다.
접착부(96A)에서는, 방진 커버(94)가 상면(93A)에 맞대여지고, 또한, 그들의 사이에 접착제(B)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부(96A)에서는, 개구(95A)가 기밀하게 폐색되어 있다.
또한, 비접착부(96B)에서는, 방진 커버(94)가 상면(93A)에 맞대여져 있기 때문에, 비접착부(96B)에서는, 엄밀하게는 기밀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개구(95A)가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제 5의 참고예에서는, 접착부(96A)는, 개구(95A)의 주위에서 연속상태로 연재되어 있고, 비접착부(96B)는, 접착부(96A)의 연재 방향의 양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 충전용 홈(97)은, 상면(93A)에 교차하는 패키지(93)의 측면에 개방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5의 참고예에 의하면,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수용 오목부(95) 내부의 공간 내의 공기가 팽창하여도, 방진 커버(94)와 상면(93A)을 합친 구성의 비접착부(96B)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방진 커버(94)와 상면(93A) 사이에 먼지의 침입이 저지되면서 또한 공기의 유통이 허용되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고, 이로써, 먼지의 수용 오목부(95) 내로의 침입이 저지되는 동시에, 비접착부(96B)를 통하여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져서, 방진 커버(31)의 변형의 우려가 없고, 촬상 소자(29)에서 촬상된 화상의 품질을 확보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20)가 조립되는 전자 기기(10)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예를 들면, PDA,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또는,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의 여러가지의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14)

  1. 수용 공간을 갖는 경통부와,
    촬영 광학계를 지지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렌즈 지지부와,
    상기 경통부에 마련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 지지부를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통부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된 내측 경통과, 상기 내측 경통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경통을 가지며,
    상기 내측 경통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 위에 연재되고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고 상기 촬상 소자가 수용되는 개구가 형성된 후단면벽을 가지며,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계지하여 상기 전단을 덮는 전판부와, 상기 전판부의 양측에서 굴곡되고 그 선단이 상기 후단면벽에 계지하는 2개의 측판부와, 상기 전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로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계지판이 마련되고,
    상기 전판부가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전단에 계지하고 상기 2개의 측판부의 선단이 상기 후단면벽에 계지한 상태로, 상기 내측 경통과 상기 외측 경통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계지판에 의해 끼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경통의 외측에 상기 외측 경통이 배치되는 상태에서, 그들 경통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덜컥거리는 일 없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경통의 외주의 상기 광축을 끼운 개소에,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한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판부가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전단에 계지하고 상기 2개의 측판부의 선단이 상기 후단면벽에 계지한 상태로, 상기 2개의 측판부는 상기 평면부에 각각 맞대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면벽이 상기 광축 방향의 전방에 면하는 개소에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제 1의 당접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에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제 2의 당접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경통의 외측에 상기 외측 경통이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이 당접면과 상기 제 2의 당접면이 맞대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제 3의 당접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판부가 상기 제 3의 당접면에 맞대여짐으로써, 상기 전판부가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전단에 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제 3의 당접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판부가 상기 제 3의 당접면에 맞대여짐으로써, 상기 전판부가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전단에 계지하고,
    상기 제 3의 당접면에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판부에 상기 볼록부에 계합 가능한 절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절단부가 계합함으로써,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경통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대한 상기 전판부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면벽의 외주의 상기 광축을 끼운 2개소에 각각 계지용의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측판부의 선단에 계지용의 절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2개의 측판부의 선단의 상기 후단면벽에의 계지는, 상기 돌기와 상기 절단부가 계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는, 상기 내측 경통의 외측에 외측 경통이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두께와, 상기 두께보다도 큰 치수의 세로와 가로를 갖는 사각형판형상의 윤곽을 나타내고,
    상기 전판부는 사각형을 나타내고,
    상기 측판부는, 상기 전판부의 대향하는 1조의 변에서 각각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마그넷과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의 한쪽이 상기 렌즈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의 다른쪽이 상기 경통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판은 자기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판은 전자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판은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판부가 상기 외측 경통의 전단에 면하는 내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면에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표면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는, 도료에 의한 도장, 또는, 도금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97008468A 2006-10-27 2007-10-24 카메라 모듈 KR200900580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93066 2006-10-27
JP2006293066A JP4844829B2 (ja) 2006-10-27 2006-10-27 カメラ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032A true KR20090058032A (ko) 2009-06-08

Family

ID=3932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468A KR20090058032A (ko) 2006-10-27 2007-10-2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65479B2 (ko)
EP (1) EP2077460A4 (ko)
JP (1) JP4844829B2 (ko)
KR (1) KR20090058032A (ko)
CN (1) CN101573647A (ko)
TW (1) TW200827811A (ko)
WO (1) WO200805080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078B1 (ko) * 2012-12-28 2014-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쉴드캔 및 쉴드캔 제조용 지그
KR20150008662A (ko) * 2013-07-15 2015-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81109A (ko) * 2014-01-03 2015-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598954B2 (en) 2013-05-29 2020-03-2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4829B2 (ja) 2006-10-27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5238991B2 (ja) * 2007-11-14 2013-07-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09271405A (ja) * 2008-05-09 2009-11-19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984338B1 (ko) * 2008-11-25 2010-09-30 주식회사 하이소닉 스페이서부재가 장착된 카메라모듈
KR101028093B1 (ko) * 2009-02-02 201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JP5532881B2 (ja) * 2009-04-10 2014-06-25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車載撮像装置、撮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604068B2 (ja) * 2009-08-11 2014-10-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48235B2 (ja) * 2009-08-21 2013-1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カメラ
JP5846346B2 (ja) 2009-08-21 2016-0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5499320B2 (ja) * 2009-12-25 2014-05-2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347952B2 (ja) * 2009-12-25 2013-11-20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560705B2 (ja) * 2009-12-25 2014-07-30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11133790A (ja) * 2009-12-25 2011-07-07 T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2113186A (ja) * 2010-11-26 2012-06-14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WO2012077915A1 (en) * 2010-12-09 2012-06-1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20120070718A (ko) * 2010-12-22 2012-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모듈 소켓장치
JP5853175B2 (ja) 2011-03-28 2016-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13006811A1 (en) * 2011-07-06 2013-01-10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magnetic shie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2937770A (zh) * 2011-08-16 2013-02-2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摄像模组及应用该摄像模组的便携式电子装置
US8698952B2 (en) * 2011-10-31 2014-04-15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US9094592B2 (en) 2011-11-15 2015-07-2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CN103309131B (zh) * 2012-03-06 2016-12-28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影像撷取装置
JP5988783B2 (ja) * 2012-09-06 2016-09-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KR102064596B1 (ko) * 2013-03-11 2020-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US9494845B2 (en) * 2014-08-29 2016-11-15 Apple Inc. Camera features of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69381A (ko) 2014-12-08 2016-06-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D783077S1 (en) * 2015-03-16 2017-04-04 Lg Electronics Inc. Vibration arrestor for compact camera
KR102213027B1 (ko) * 2016-03-16 2021-02-04 젠텍스 코포레이션 차폐된 이미저 회로를 구비한 카메라 어셈블리
US10447931B2 (en) * 2016-04-01 2019-10-15 Tdk Taiwan Corp. Camera module having electromagnetic driving assembly
US10369936B2 (en) * 2016-04-15 2019-08-06 Veoneer Us, Inc. Camera arrangements for motor vehicles
JP7178993B2 (ja) * 2016-10-06 2022-11-28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製造方法
KR102612541B1 (ko) 2016-10-18 2023-1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647850B1 (ko) * 2016-11-21 2024-03-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207010790U (zh) * 2017-04-17 2018-02-13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成像模组
CN109633850A (zh) * 2017-10-09 2019-04-16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照相装置与电子设备
JP7163121B2 (ja) * 2018-09-27 202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665401B1 (ko) * 2019-01-18 2024-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JP2020160316A (ja) * 2019-03-27 2020-10-0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遮蔽装置、電子機器
JP7026987B2 (ja) * 2019-12-27 2022-03-01 リバーフィールド株式会社 カメラヘッドアダプタ
US20230100251A1 (en) * 2020-03-31 2023-03-30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Camera module
TWI751786B (zh) * 2020-11-13 2022-01-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用以驅動成像鏡頭的驅動器和包含其的取像裝置與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7258B1 (en) * 1998-12-22 2001-10-23 Silicon Bandwidth, Inc. Open-cavity semiconductor die package
US20030194188A1 (en) * 2002-04-11 2003-10-16 Masato Shiino Adapter
US7025512B2 (en) * 2002-08-27 2006-04-11 Pentax Corporation Retracting mechanism of a retractable lens
NL1023381C2 (nl) * 2003-05-09 2004-11-15 Eaton Electric Nv Elektromagnetische actuator.
TW200509480A (en) * 2003-08-27 2005-03-01 Mitsumi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camera module
JP2005107084A (ja) * 2003-09-30 2005-04-21 Sankyo Seiki Mf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2006094992A (ja) * 2004-09-29 2006-04-13 Hitachi Ltd 血糖値測定装置及び血糖値測定方法
JP4923535B2 (ja) * 2005-01-27 2012-04-2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ユニット
TWI298805B (en) * 2005-02-15 2008-07-11 Sony Corp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JP4433303B2 (ja) * 2005-02-15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100674833B1 (ko) * 2005-02-16 2007-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4632083B2 (ja) * 2005-03-31 2011-02-1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4654359B2 (ja) * 2005-03-31 2011-03-16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US7520686B2 (en) * 2005-04-20 2009-04-21 Airbus Deutschland Gmbh Modular installation concept for a camera
JP2007124733A (ja) * 2005-10-25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4618507B2 (ja) * 2005-10-28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US7295388B2 (en) * 2005-11-23 2007-11-13 E-Pin International Co., Ltd. Lens module
TWM293571U (en) * 2006-03-01 2006-07-01 Jess Link Products Co Ltd Socket device
JP4844829B2 (ja) 2006-10-27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US7734171B2 (en) * 2008-01-29 2010-06-08 Autoliv Asp, Inc. Snap-in retainer for a sensor system
JP5272636B2 (ja) * 2008-10-10 2013-08-2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コネク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078B1 (ko) * 2012-12-28 2014-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쉴드캔 및 쉴드캔 제조용 지그
US9338934B2 (en) 2012-12-28 2016-05-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hield-can and jig for manufacturing shield-can
US10598954B2 (en) 2013-05-29 2020-03-2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US11199723B2 (en) 2013-05-29 2021-12-1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US11914171B2 (en) 2013-05-29 2024-02-27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KR20150008662A (ko) * 2013-07-15 2015-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81109A (ko) * 2014-01-03 2015-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50805A1 (fr) 2008-05-02
EP2077460A1 (en) 2009-07-08
TWI355525B (ko) 2012-01-01
US20100150545A1 (en) 2010-06-17
JP4844829B2 (ja) 2011-12-28
EP2077460A4 (en) 2011-06-15
CN101573647A (zh) 2009-11-04
US8265479B2 (en) 2012-09-11
TW200827811A (en) 2008-07-01
JP2008111867A (ja)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8032A (ko) 카메라 모듈
JP533802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11187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11874520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odule
CN101689010B (zh) 照相机模块
US780299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KR20090132536A (ko) 카메라 모듈
KR20100120619A (ko) 카메라 모듈
KR20070045960A (ko)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CN109154709A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JP200811186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固体撮像装置
CN213693907U (zh) 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CN110703401A (zh) 透镜驱动装置、照相机装置、电子设备及这些的制造方法
JP201000272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