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619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619A
KR20090049619A KR1020097006748A KR20097006748A KR20090049619A KR 20090049619 A KR20090049619 A KR 20090049619A KR 1020097006748 A KR1020097006748 A KR 1020097006748A KR 20097006748 A KR20097006748 A KR 20097006748A KR 20090049619 A KR20090049619 A KR 20090049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ox
air conditioner
cleaning
mount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9774B1 (ko
Inventor
아츠시 마츠바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더스트 박스의 적정한 장착을 담보하고, 당해 더스트 박스의 장착 상태의 부적(不適)에 기인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과 함께, 적정한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을 실현한다. 공조 기구(X)와 필터(13)의 상면에 부착한 먼지를 긁어 떨어뜨려 더스트 박스(20) 내에 포집하는 청소 기구(Y)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20)를 케이싱(1) 측의 수납부(30)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하는 것과 함께, 더스트 박스(20)와 수납부(30)의 사이에, 당해 더스트 박스(20)가 적정하게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장착 검지 수단(P)을 설치한다. 관련되는 구성에 의하면, 더스트 박스(20)의 미장착 상태나 불완전 장착 상태가 장착 검지 수단(P)에 의하여 검지되고, 조작자는, 검지 정보의 확인에 의하여, 신속히 더스트 박스(20)를 적정하게 장착할 수 있고, 그 결과, 더스트 박스의 미장착, 불완전 장착 상태에서의 청소 운전이나 공조 운전의 실행 등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공기 조화기, 더스트 박스, 장착 검지 수단, 브러시 기구, 청소 기구 제어부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원 발명은, 공조 기구에, 필터의 청소 기구를 부가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필터를 자동적으로 청소하는 청소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필터의 청소 기구는, 공기 흡입구의 내면을 따라 왕복동 가능하게 배치된 판상(板狀)의 필터를, 당해 필터의 이동 경로 중에 배치한 더스트(dust) 박스 내를 통과시키는 것과 함께, 당해 더스트 박스 내에 있어서 당해 필터의 표리 양면에 배치한 브러시(brush)에 의하여, 당해 필터의 표면에 부착한 먼지를 긁어 떨어뜨리는 것으로 당해 필터의 기능 재생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그 왕복동에 의하여 청소된 필터가, 청소 완료 시점에 있어서 적정 위치에 위치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예를 들면, 필터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즉, 먼지가 혼입한 공기)가 열교환기 측에 빨아들여지고, 이것이 공조 공기로서 실내로 취출(吹出)되어 실내 환경의 악화를 초래하는 일도 염려되어, 이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당해 필터의 배치 위치를 검출하는 리밋 스위치(limit switch)를 구비하여, 당해 필터의 적정 배치하에서의 공조 운전을 담보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01101호
그런데, 상기 더스트 박스는 공기 조화기(실내기)의 케이싱으로부터 외부로 꺼냄이 가능하게 되어, 먼지가 모였을 때에는 당해 더스트 박스를 케이싱 측으로부터 꺼내어 먼지를 버리고, 그 후, 재차 더스트 박스를 케이싱 측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더스트 박스의 재장착을 실념(失念)하여 이것이 미장착인 채 청소 운전이 이루어지면, 필터에 포집되는 먼지가 당해 필터의 이동에 수반하여 주위에 비산하여, 실내 환경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더스트 박스가 장착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그 장착 상태가 적정하지 않고 불완전한 상태이면, 필터로부터 긁어 떨어진 먼지가 당해 더스트 박스와 케이싱의 간극(間隙)으로부터 실내 측으로 비산하여 실내 환경을 악화시킬 우려도 있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는, 청소 기구 그 자체가 파손에 이르는 일도 생각된다.
한편, 상기 더스트 박스가 적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공조 운전이 행하여지면, 예를 들면, 더스트 박스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 취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것에 있어서는 당해 더스트 박스의 존재에 의하여 취출 공기의 흐름이 바뀌어, 결로(結露)를 일으키거나,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등의 것이 생각된다. 또한, 더스트 박스가 흡입구의 근방에 배치된 구조의 것에 있어서는, 당해 더스트 박스의 존재에 의하여 흡입 공기의 흐름이 변화하여 빨아들임 저항의 증가나 이음의 발생 등이 생각된다.
그런데,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의 배치 상태의 검지 수단은 구비하지만, 더스트 박스의 장착 위치를 검지하는 수단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상기와 같은 더스트 박스의 장착 상태의 부적(不適)에 기인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예상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더스트 박스의 적정한 장착을 담보하고, 당해 더스트 박스의 장착 상태의 부적에 기인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여, 적정한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관련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써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케이싱(1)에 형성된 흡입구(3)로부터 취출구(4)에 이르는 통풍로 내에, 열교환기(7)와 팬(8)을 배치한 공조 기구(X)와, 상기 흡입구(3)의 내면을 따라 배치된 판상 형체를 가지는 필터(13)의 표면에 부착한 먼지를 더스트 박스(20) 내에 포집하도록 한 청소 기구(Y)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더스트 박스(20)를, 상기 케이싱(1) 측의 수납부(30)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더스트 박스(20)와 상기 수납부(30)의 사이에, 당해 더스트 박스(20)가 상기 수납부(30)에 대하여 적정하게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장착 검지 수단(P)을 설치하고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더스트 박스(20)를, 상기 필터(13)의 폭 방향 전역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가로로 긴 형체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을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하고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을,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적정한 장착을 검지하였을 때 전기적인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규제하는 운전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 시에,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운전 규제 수단으로 하여금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를 규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 시에,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장착 상태의 이상을 고지하는 이상 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중단시키는 운전 중단 수단을 구비하고, 공조 운전 중 및/또는 청소 운전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의 상기 검지 신호의 입력이 소멸한 경우에 상기 운전 중단 수단으로 하여금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중단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공조 운전 중 및/또는 청소 운전 중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의 상기 검지 신호의 입력이 소멸한 경우에 장착 상태의 이상을 고지하는 이상 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6 발명 또는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재입력되었을 때,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재개시키고 또는 상기 이상 고지를 종료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정지 중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부터 출력된 경우에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적정하게 장착되고 일을 고지하는 장착 상태 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더스트 박스(20)를, 상기 케이싱(1) 측의 수납부(3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더스트 박스(20)와 상기 수납부(30)의 사이에, 당해 더스트 박스(20)가 상기 수납부(30)에 대하여 적정하게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장착 검지 수단(P)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더스트 박스(20)를 떼어내어 당해 더스트 박스(20) 내에 모인 먼지를 버린 후, 당해 더스트 박스(20)의 재장착을 실념한 경우나, 당해 더스트 박스(20)를 재장착하였지만 그 장착 상태가 불완전하고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에 의하여, 이것이 검지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의 검지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더스트 박스(20)를 상기 수납부(30)에 대하여 적정하게 장착하고, 혹은 불완전한 장착 상태를 수정하여 적정한 장착 상태로 할 수 있고, 그 결과, 예를 들면, 더스트 박스가 미장착인 채 청소 운전이 이루어져, 필터에 포집된 먼지가 주위에 비산하는 것에 의한 실내 환경의 악화나, 더스트 박스(20)가 불완전한 장착 상태인 것에 기인하는 청소 기구의 파손, 혹은 더스트 박스가 미장착인 채 공조 운전이 행하여지는 것에 기인하는 결로나 이음의 발생 등이, 미연에 방지된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더스트 박스(20)를, 상기 필터(13)의 폭 방향 전역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가로로 긴 형체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을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더스트 박스(20)를 상기 수납부(30)의 장착하는 경우, 당해 더스트 박스(20)가 가로로 긴 형체인 것으로부터, 그 폭 방향 양측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가 불균일하게 되기 쉽고, 예를 들면, 더스트 박스(20)의 폭 방향의 일방(一方) 측은 적정한 장착 상태로 되어 있지만, 타방(他方) 측에서는 장착 상태가 불완전하다라고 하는 것과 같은 일도 일어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조작자는,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의 검지 정보로부터 이것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인지하여, 당해 더스트 박스(20)의 장착 상태를 적정 상태로 수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a)에 기재된 효과가 보다 한층 확실하게 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a) 또는 (b)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특유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을,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적정한 장착을 검지하였을 때 전기적인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검지 신호를, 공조 기구(X) 및 청소 기구(Y)의 제어계에 제어 요소의 하나로서 입력하고, 이들 각 기구의 운전을 더스트 박스(20)의 장착 상태에 관련하여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공조 기구(X)에 청소 기구(Y)를 부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운전 상에 있어서의 신뢰성이 향상하게 된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a), (b) 또는 (c)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특유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규제하는 운전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 시에,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운전 규제 수단으로 하여금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를 규제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미장착 혹은 불완전 장착에서의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가 확실하게 규제되고, 예를 들면, 더스트 박스(20)가 미장착인 채 청소 운전이 개시되어 필터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가 주위에 비산하여 실내 환경을 악화시키거나, 더스트 박스(20)가 적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청소 운전이 개시되어 청소 기구(Y)가 손상하거나,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적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공조 운전이 행하여져, 공기 흐름의 변화에 의하여 결로를 일으키거나, 이음이 발생하는 등이, 미연에 또한 확실하게 방지되고, 그 결과, 공조 기구(X)에 청소 기구(Y)를 부가한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에 있어서의 운전성 및 신뢰성이 한층 더 향상하게 된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a), (b) 또는 (c)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특유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 시에,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장착 상태의 이상을 고지하는 이상 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에 앞서, 더스트 박스(20)의 미장착 상태나 불완전 장착 상태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이 인식에 기초하여 즉시 더스트 박스(20)의 장착 상태의 수정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에 있어서의 신뢰성의 향상을 한층 더 기대할 수 있다. 덧붙여, 이상 고지 수단에 있어서의 이상 고지의 형태로써는, 예를 들면, 음성에 의한 고지, 점등에 의한 고지, 문자 표시에 의한 고지 등을 채용할 수 있고, 이들 어느 쪽의 고지 형태에 있어서도 높은 인식성이 얻어진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a), (b) 또는 (c)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특유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중단시키는 운전 중단 수단을 구비하고, 공조 운전 중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의 상기 검지 신호의 입력이 소멸한 경우, 즉, 공조 운전 중에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떼어내어졌거나, 어떠한 원인으로 적정한 장착 상태에 있던 더스트 박스(20)가 위치 어긋남되어 불완전한 장착 상태로 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된 경우에는, 상기 운전 중단 수단으로 하여금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중단시키는 구성인 것으로부터,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미장착 상태 혹은 불완전 장착 상태로 된 채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이 계속된다고 하는 사태의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그 결과,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에 있어서의 신뢰성이 보다 한층 향상하게 된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a), (b) 또는 (c)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특유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공조 운전 중 및/또는 청소 운전 중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의 상기 검지 신호의 입력이 소멸한 경우, 즉, 공조 운전 중에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떼어내어졌거나, 어떠한 원인으로 적정한 장착 상태에 있던 더스트 박스(20)가 위치 어긋남되어 불완전한 장착 상태로 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된 경우, 상기 이상 고지 수단이 작동하고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장착 상태의 이상이 고지되는 것으로부터, 조작자는 그 이상 고지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으로, 즉시 소요의 대응, 예를 들면, 공조 운전을 정지시켜 상기 더스트 박스(20)에 장착 상태의 확인 및 수정을 행하고, 이것을 적정한 장착 상태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미장착 상태 혹은 불완전 장착 상태로 된 채 공조 운전이 계속된다고 하는 것과 같은 사태의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그 결과,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에 있어서의 신뢰성이 보다 한층 향상하게 된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f) 또는 (g)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특유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재입력되었을 때,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재개시키고, 또는 상기 이상 고지를 종료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적정한 장착 상태로 된 후에 있어서의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재개와 이상 고지를 종료가, 함께 원활하게 행하여지고, 그 만큼 공기 조화기의 조작성이 향상하게 된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a), (b) 또는 (c)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특유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정지 중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부터 출력된 경우, 즉,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적정한 상태로 장착된 경우에, 이것을 고지하는 장착 상태 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의 정지 중에, 상기 더스트 박스(20)를 떼어내고 여기에 모인 먼지를 제거한 후, 당해 더스트 박스(20)를 재장착한 것과 같은 경우에는, 당해 더스트 박스(20)가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상기 장착 상태 고지 수단의 기능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본체 운전 램프의 점멸이나, 경보음의 발생 등에 의하여 고지된다. 따라서, 이 고지 정보를 확인하여 두는 것으로,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재개시키는 경우, 조작자는 다시 더스트 박스(20)의 장착 상태를 확인하는 일 없이 즉시 운전 재개 조작을 행할 수 있어, 그 만큼 공기 조화기의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케이싱을 떼어낸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IV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필터 청소 유닛에 이용되는 필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브러시 기구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VII-VII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8은 더스트 박스를 구성하는 제1 박스체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더스트 박스를 구성하는 제2 박스체의 외관 사시도.
도 10은 브러시 기구에 구비되는 청소 브러시의 구성도.
도 11은 더스트 박스의 공기 조화기 측으로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부분 구조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더스트 박스를 떼어내는 경우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의 부분 구조도.
도 13은 더스트 박스의 공기 조화기 측으로부터의 떼어냄 상태에 있어서의 부분 구조도.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조화기의 기능 블럭도.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싱 3: 흡입구
4: 분출구 7: 열교환기
8: 팬 13: 필터
30: 수납부 P: 장착 검지 수단
Q: 브러시 기구 X: 공조 기구
Y: 청소 기구 Z: 공기 조화기
이하, 본원 발명을 호적(好適)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Z)가 도시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기(Z)는, 세퍼레이트형(separated-type)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실내 벽면에 취부되는 가로로 긴 상자상(狀)의 케이싱(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의 전면(前面)벽(1A)과 천면(天面)벽(1B)에는 각각 전면 흡입구(3A)와 상면 흡입구(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흡입구(3A)의 전면 측에는, 전면 패널(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면 패널(2)은,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각각 실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면 흡입구(3A)에 접근하여 당해 전면 흡입구(3A)를 가림하는 닫음 위치와 동 각 도면에 있어서 각각 쇄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닫음 위치로부터 하방 (下方)으로 이동하면서 그 상단(上端) 측을 전방으로 밀어 낸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되고, 당해 열림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 흡입구(3A)를 개구(開口)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의 저면벽(1C)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에는, 가로로 긴 개구상의 취출구(4)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당해 취출구(4)에는 수평 플랩(flap)(44)과 수직 플랩(45)이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케이싱(1)의 상기 취출구(4)보다도 전방 측으로, 또한 상기 전면벽(1A)의 하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한 수납부(30) 내에는, 후술하는 더스트 박스(20)를 구비한 브러시 기구(Q)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 내의 상기 흡입구(3)로부터 상기 취출구(4)에 이르는 통풍로에는 열교환기(7)와 팬(8)이 수용되고, 이들에 의하여 공조 기구(X)가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열교환기(7)는, 상기 흡입구(3)에 이간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교환기(7A)와, 당해 제1 열교환기(7A)의 상단에 연결되어 여기로부터 배면 벽(1E) 측으로 하강 경사하는 제2 열교환기(7B)로 이루어지는 대략 산형(山形)의 굴곡 형체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1)의 상기 전면 흡입구(3A)와 상기 제1 열교환기(7A)의 전면의 사이의 전면 측 스페이스와, 상기 제1 열교환기(7A)와 제2 열교환기(7B)의 상부와 상기 상면 흡입구(3B)의 사이의 상면 측 스페이스에는, 이들 양 스페이스에 걸쳐 후술하는 청소 기구(Y)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청소 기구(Y)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 의 전면 흡입구(3A)로부터 상면 흡입구(3B)의 내면을 따르도록 만곡(灣曲)한 측면시(側面視) 형체를 가지는 청소 유닛 케이싱(1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 유닛 케이싱(14)은, 가로로 긴 테두리상 형체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1) 측에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 좌우 한 쌍의 측벽부(15, 15)와 이들 각 측벽부(15, 15)의 대향 방향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벽부(16)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이들 각 측벽부(15, 15)와 중간 벽부(16)의 사이를 격자재로 연결하여 일체화한 형체를 가지고 있다.
이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상기 각 측벽부(15, 15)와 중간 벽부(16)의, 상기 케이싱(1)의 상기 상면 흡입구(3B)에 대응하는 상면 측 부분의 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가이드 홈(15a, 16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 중, 상기 케이싱(1)의 전면 흡입구(3A)에 대응하는 전면 부분에는, 이것을 그 외측(전면 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테두리상의 필터 누름(43)이, 그 상연 측(上緣側, 위 가장자리 측)을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외면 측에는, 상기 일방의 측벽부(15)의 가이드 홈(15a)과 중간 벽부(16)의 가이드 홈(16a)의 사이, 및 타방의 측벽부(15)의 가이드 홈(15a)과 중간 벽부(16)의 가이드 홈(16a)의 사이의 각각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격자상의 테두리체(13a)의 내측에 필터재(材)(13b)를 장설(張設, 펼친 상태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판상의 필터(13)가,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만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이 필터(13)는,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전면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필터 누름(43)에 의하여 들려 올라 감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필터(1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전면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평행 배치되는 제1 풀리(pulley)(11)와 제2 풀리(12)의 사이에 걸어 돌려진 벨트(10)에 계지되고, 당해 벨트(10)의 주행에 수반하여 이와 일체적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필터(1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후단(後端)이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그 전단이 상기 제1 풀리(11)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배치 상태를 기본으로 한다. 이 배치 상태는, 통상의 공조 운전 시에 있어서의 위치이며, 이하, 「제1 필터 위치」라고 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필터(13)의 청소를 행하는 청소 운전 시에는, 상기 제1 풀리(11)가 정전(正轉, 정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하고, 상기 벨트(10)가,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주행하며, 상기 필터(13)는 도 4에 쇄선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벨트(10)와 함께 상기 「제1 필터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풀리(11)의 외측을 우회하여 상기 제2 풀리(12) 측까지 끌어내진다. 이 때의 필터(13)의 위치를 「제2 필터 위치」라고 한다. 또한, 상기 제1 풀리(11)가 역전하고 상기 벨트(10)가,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13)는 당해 벨트(10)와 함께 상기 「제2 필터 위치」로부터 「제1 필터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13)가 상기 「제1 필터 위치」와 「제2 필터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동할 때에, 후술의 브러시 기구(Q)에 의하여 상기 필터(13)의 표면에 포집된 먼지가 긁어 떨어지고, 당해 필터(13)의 먼지 포집 기능이 재생되는 것이다.
상기 브러시 기구(Q)는, 본원 발명의 요지를 이루는 것이며, 도 1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의 저면벽(1C)의 전단(前端) 부분에 설치한 수납부(3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취부된다. 이 브러시 기구(Q)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박스체(21)와 제2 박스체(22)로 이루어지는 더스트 박스(20) 내에 청소 브러시(17)를 장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박스체(21)는,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로 긴 대략 평판상의 기재(21a)와, 당해 기재(21a)의 외주 형상을 따라 이것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둘레 벽(21b)과, 당해 둘레 벽(21b) 내에 있어서 이것을 긴쪽 방향에 칸막이하도록 설치된 복수매의 리브(rib, 21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리브(21c)에는, 후술의 청소 브러시(17)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박스체(22)는, 도 4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박스체(21)의 둘레 벽(21b)에 대응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둘레 벽(22a)과, 당해 둘레 벽(22a)의 일방의 긴변 측에 설치된 천벽(22b)과, 상기 둘레 벽(22a) 내에 상기 제1 박스체(21)의 각 리브(21d)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복수매의 리브(22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리브(22c)에는, 후술의 청소 브러시(17)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박스체(22)의 상면 측에는, 상기 둘레 벽(22a)의 일방의 긴변 부분과 상기 천벽(22b)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각 리브(22c)의 세개에 의하여 둘러싸인 개구(22e)가 상기 제2 박스체(22)의 긴쪽 방향에 병설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각 개구(22e)에 면하는 상기 천벽(22b)의 측 가장자리는, 상기 필터(13)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요입하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박스체(22)의 긴쪽 방향의 일단 측에는 레버 당접부(34a)가, 타단 측에는 레버 당접부(34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단 측의 레버 당접부(34a)의 측방에는, 걸이편(35)과 래치용 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둘레 벽(22a)의 상기 개구(22e) 쪽의 긴변 부분은, 후술과 같이 리밋 당접부(33)로서도 기능한다.
상기 청소 브러시(17)는, 브러시 축(18)의 외주면(外周面)의 둘레 방향의 4 위치에, 당해 브러시 축(18)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하여 각각 브러시(19)를 취부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소 브러시(17)의 축 길이를,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긴쪽 치수의 대략 반분의 치수로 설정하고, 2개의 청소 브러시(17, 17)를 같은 축 상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청소 브러시(17, 17)를,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상기 제1 박스체(21)와 제2 박스체(22)의 사이에 개장(介裝, 부재 간에 설치함)하고, 상기 제1 박스체(21) 측의 리브(21c)와 상기 제2 박스체(22) 측의 리브(22c)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승(支承, 떼어냄 가능하게 또는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하는 것과 함께, 상기 청소 브러시(17)의 일방의 축단(軸端)에 설치한 브러시 구동 기어(24)를 브러시 구동 모터(27)(도 11 참조)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일단 측(상기 걸이편(35)과 래치용 돌기(36)가 설치된 측)에 압구(pushbutton, 23)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압구(23)는 후술과 같이 상기 수납부(30) 측에 취부되는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기 브러시 기구(Q)와의 위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편의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는, 상기 브러시 기구(Q)를 상기 케이싱(1) 측의 수납부(3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상기 제2 박스체(22) 측의 상기 각 개구(22e)가 상기 제1 풀리(11)에 걸어 감긴 상기 벨트(10)에 면하는 것과 함께, 당해 개구(22e)를 통하여 상기 청소 브러시(17)의 회전 궤적이 상방으로 연출(延出, 연장되어 나가는 것)하고, 당해 회전 궤적의 최고위 부위와 상기 벨트(10)의 외면의 최저위 부위가 대략 합치하고 있다.
따라서, 청소 운전에 있어서, 상기 필터(13)가 상기 제1 풀리(11)에 걸어 감긴 상기 벨트(10)와 함께 당해 제1 풀리(11)의 외주 측을 우회하여 「제1 필터 위치」와 「제2 필터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동될 때, 상기 청소 브러시(17)를 회전 시키는 것으로, 당해 청소 브러시(17)의 브러시(19)에 의하여 상기 필터(13)의 표면이 스치고 지나가져, 당해 필터(13)의 표면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가 당해 표면으로부터 털어내어져, 상기 더스트 박스(20) 내에 모아진다. 이 결과, 상기 필터(13)는, 그 표면이 청정화되고, 그 먼지 포집 기능이 재생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청소 브러시(17)의 회전 궤적이 상기 제2 박스체(22) 측에 설치한 연출 리브(22f)의 선단 부분과 중합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상기 청소 브러시(17)의 회전 시에는 상기 브러시(19)의 선단 부분이 상기 연출 리브(22f)에 접촉하고, 당해 브러시(19) 측에 부착하고 있는 먼지가 긁어 떨어진다. 이 결과, 상기 브러시(19)의 털어냄 기능이 재생되고, 예를 들면, 필터(13) 측으로부터 브러시(19)에 의하여 털어내어진 먼지가 그대로 당해 브러시(19) 측에 잔류하여 상기 필터(13)의 이미 청소된 부분에 재부착한다고 하는 문제가 회피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상기 브러시 기구(Q)의 상기 필터(13)에 대한 청소 작용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 기구(Q)가 상기 수납부(30) 내의 적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조건으로 된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의 것에서는, 후술과 같이, 상기 브러시 기구(Q)를 적정 위치에 장착 보관 유지하기 위한 구성과, 당해 더스트 박스(20)가 적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것을 도 11 ~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1은, 상기 케이싱(1) 측의 더스트 박스 받침재(28)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부(30) 내에, 상기 브러시 기구(Q)가 적정하게 장착된 상태(즉,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더스트 박스 받침재(28) 측에 좌우 한 쌍의 로크 레버(lock lever, 39A, 39B)를 구비하고 있다.
 우측의 로크 레버(39A)는, 대략 L상의 형체를 갖고, 지점 핀(38)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더스트 박스 받침재(28)에 취부되는 것으로, 그 일단 측은 당접부(39Aa)로 되고, 타단 측은 그 선단 부분이 훅(hook)부(39Ab)로 되어 있다. 또 한, 이 로크 레버(39A)는, 계합(係合) 핀(40)을 통하여, 상기 더스트 박스 받침재(28) 측에 설치된 압구(23)의 본체부(23a)에 계합되어 있다. 이 압구(23)는, 그 압압부(23b)를 밀어 넣는 것으로 전체가 상기 더스트 박스 받침재(28)에 대하여 화살표 c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고, 당해 압압부(23b)로의 압압력을 해제하는 것으로 화살표 d 방향으로 자동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구(23)는, 여기에 아무런 압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초기 상태(도 1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압압부(23b)의 표면이 상기 케이싱(1)의 전면벽(1A)과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압구(23)의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 레버(39A)는, 그 당접부(39Aa)가 상기 브러시 기구(Q)의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레버 당접부(34a)에 근접하는 것과 함께, 상기 훅부(39Ab)가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상기 걸이편(35)에 계지되도록, 상기 압구(23) 및 상기 더스트 박스(20)에 대한 상대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 레버(39A)는, 상기 브러시 기구(Q)를 상기 수납부(30)로부터 외방으로 밀어내는 작용은 하지 않고, 당해 브러시 기구(Q)는 상기 훅부(39Ab)와 상기 걸이편(35)의 계지에 의하여 현재의 장착 상태가 보지(保持)된다. 덧붙여, 이 경우, 상기 더스트 박스 받침재(28) 측에 설치한 스프링(37)의 계합부(37a)는,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래치용 돌기(36)와는 비계합으로 되어 있다.
한편, 좌측의 로크 레버(39B)는, 대략 L상의 형체를 갖고, 지점 핀(38)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더스트 박스 받침재(28)에 취부되어 있고, 그 일단 측은 당접부(39Ba)로 되고, 타단 측의 선단 부분은 훅부(39Bb)로 되어 있다.
상기 압구(23)가 조작되어 있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 레버(39B)는, 그 당접부(39Ba)가 상기 브러시 기구(Q)의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레버 당접부(34b)에 근접하는 것과 함께, 상기 훅부(39Bb)가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상기 걸이편(35)에 계지되도록, 상기 더스트 박스(20)와의 상대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 레버(39B)는, 상기 브러시 기구(Q)를 상기 수납부(30)로부터 외방으로 밀어내는 작용은 하지 않고, 상기 훅부(39Bb)와 상기 걸이편(35)의 계지에 의하여 현재의 장착 상태가 보지되는 것은 상기 우측의 로크 레버(39A)의 경우와 같다. 덧붙여, 이 경우, 상기 더스트 박스 받침재(28) 측에 설치한 스프링(37)의 계합부(37a)는,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래치용 돌기(36)와는 비계합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의 로크 레버(39B)는, 여기에 부설한 레버(42)가, 상기 우측의 로크 레버(39A)에 부설된 레버(42)와 링크 바(link bar, 4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압구(23)의 조작에 기초하는 상기 우측의 로크 레버(39A)의 동작에 연동하여, 이것과 동기 상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상기 압구(23)의 압압부(23b)가 압압 조작되면, 먼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압구(23)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로크 레버(39A)는 상기 지점 핀(38) 둘레로 회동되고, 상기 훅부(39Ab)가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상기 걸이편(35)으로부터 계지 해제되는 것과 함께, 상기 당접부(39Aa)가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레버 당접부(34a)에 당접(堂接, 부딪는 상 태로 접합)하여 이것을 압압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브러시 기구(Q)는 상기 수납부(30)로부터 외방 측으로 밀려 나온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37)의 계합부(37a)가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래치용 돌기(36)와 탄성적으로 계합하고, 상기 브러시 기구(Q)의 자유 이동을 규제한다. 이 때문에, 상기 압구(23)를 조작하였을 때, 상기 브러시 기구(Q)가 단번에 이동하여 상기 수납부(30)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다음은, 조작자가 손으로 브러시 기구(Q)를 꺼내면 된다. 도 13에는, 상기 브러시 기구(Q)를 상기 수납부(30)로부터 완전하게 꺼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브러시 기구(Q)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30)에 장착된 상태로, 청소 운전 시에는 상기 필터(13)에 부착한 먼지를 긁어 떨어뜨려 이것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청소 운전에 의하여 상기 더스트 박스(20) 내에 먼지가 모이고, 그 양이 많아지면, 상술과 같이 당해 더스트 박스(20)를 상기 수납부(30) 측으로부터 꺼내어 먼지를 버리고 다시, 이것을 상기 수납부(30)에 장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브러시 기구(Q)를 떼어낸 후, 이것을 재장착하는 것을 실념하고, 그대로 공조 운전 또는 청소 운전을 행하는 일도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기구(Q)를 재장착하였지만, 그 장착 상태가 불완전하거나, 좌우 양단측의 어느 일방은 적정 상태로 장착되어 있지만, 타방 측은 불완전한 장착 상태라고 하는 것과 같은 일도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공기 조화기(Z)가 공조 운전 또는 청소 운전되면, 예를 들면, 먼지의 비산에 의한 실내 환경의 악화나, 소 음의 증대나, 브러시 기구(Q) 그 자체의 손상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은 기술(旣述)한 바와 같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러시 기구(Q)가 상기 수납부(30)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 나아가 당해 브러시 기구(Q)의 좌우 양측 모두에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30)의 안쪽 벽의 좌우 양측 위치에 각각 리밋 스위치(31, 32)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리밋 스위치(31, 32)는, 특허 청구의 범위 중의 「장착 검지 수단(P)」을 구성하는 것이고, 그 접촉자(接觸子, 31a, 32a)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 기구(Q)가 상기 수납부(30) 내에 적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리밋 당접부(33)에 접촉하여 신호를 출력하는(즉, 적정한 장착 상태를 검지하는)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 기구(Q)가 상기 수납부(30) 내에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더스트 박스(20) 측의 리밋 당접부(33)와 비접촉으로 되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즉, 적정한 장착 상태가 아닌 것을 검지하는 것)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Z)의 사용자는, 상기 각 리밋 스위치(31, 32)로부터의 신호의 출력을 어떠한 수단에 의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상기 브러시 기구(Q)의 장착 상태를 확인하고, 소요의 대응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리밋 스위치(31, 3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Z)의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 상기 브러시 기구(Q)의 장착 상태에 기초하는 상기 공기 조화기(Z)의 제어를 구체적으로 제어한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Z)의 제어계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공기 조화기(Z)에서는, 제어부로서, 실내기 제어부(151)와 실외기 제어부(152)와 공조 기구(X)를 제어하는 공조 기구 제어부(153)와 청소 기구(Y)를 제어하는 청소 기구 제어부(154)와 가습·환기 제어부(15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내기 제어부(151)에는, 공조 운전 제어부(151a)와 청소 기구 이상 판정부(151b)와 청소 기구 초기화 처리부(151c)와 필터 청소 시기 판정부(151d)와 청소 기구 제어부(151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조 기구 제어부(153)에는, 전면 패널 구동부(153a)와 수평 플랩 구동부(153b)와 수직 플랩 구동부(153c)와 팬 구동부(153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청소 기구 제어부(154)에는, 브러시 구동부(154a)와 필터 구동부(154b)와 필터 위치 검지부(154c)와 더스트 박스 검지부(154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 제어부(151)는, 리모컨(156)과 본체 운전 스위치(157)에 의하여 조작되는 것과 함께, 표시부(58)와 버저(159) 및 원격 조작 장치(160)가 부설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브러시 기구(Q)의 장착 상태와의 관계에서 그 제어가 문제로 되는 것은, 상기 실내기 제어부(151)와 상기 청소 기구 제어부(154)의 더스트 박스 검지부(154d), 및 상기 표시부(158)이며, 여기에서는 이들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이 이외의 제어부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더스트 박스 검지부(154d)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20)는 적정 위치에 확실하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각 리밋 스위치(31, 32)로부터의 입력 신호의 유무에 의하여 검지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 제어부(151)의 청소 기구 이상 판정부(151b)에서는, 상기 더스트 박스 검지부(154d)로부터의 입력 신호의 유무에 의하여 청소 기구(Y)의 이상 판정을 행한다. 여기서, 「이상 없음」이라고 판정되면, 청소 기구 제어부(151e)에 의한 청소 운전과 공조 운전 제어부(151a)에 의한 공조 운전 중 어느 쪽의 운전도 허용된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공조 운전과 청소 운전을 택일적으로 설정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들 양 운전을 동시에 설정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 있음」이라고 판정되면, 청소 기구 제어부(151e)에 의한 청소 운전과 공조 운전 제어부(151a)에 의한 공조 운전 중 어느 쪽의 운전도 규제된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소 기구 이상 판정부(151b)가 특허 청구의 범위 중의 「운전 규제 수단」 및 「운전 중단 수단」에 해당한다.
또한, 이상 상태인 것이, 상기 표시부(158)의 표시, 상기 버저(159)의 경보음, 및 상기 원격 조작 장치(160)로의 표시 등에 의하여, 각각 고지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부(158)와 상기 버저(159) 및 상기 원격 조작 장치(160)가 특허 청구의 범위 중의 「이상 고지 수단」에 해당한다. 덧붙여 이 이상 고지 수단으로써는, 상기 표시부(158), 상기 버저(159) 및 상기 원격 조작 장치(160) 외에, 예를 들면, 쌍방향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 리모컨이나 와이어드 리모컨을 이용하여 이들에 표시, 점등 등으로 고지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결과, 청소 기구의 이상, 특히 「브러시 기구(Q)의 장착 이상」이 생겨 있는 상황하에서의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이 확실히 방지된다.
이상 검지를 받아 상기 브러시 기구(Q)의 장착 상태가 수정되고, 이것이 적정 상태로 장착되면,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이 허용된다. 특히 청소 운전의 도중에 이상 발생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청소 기구 초기화 처리부(151c)에 있어서 청소 기구(Y)가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필터 청소 시기 판정부(151d)에서는, 예를 들면, 공조 운전의 누적 시간이 계측되고, 이것이 소정 시간에 달하면, 상기 청소 기구 제어부(151e)에 의한 청소 운전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이상의 제어의 실제를, 도 15에 도시하는 플로차트(flow chart)를 참조하여, 한층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어 개시 후, 먼저 스텝 S1에 있어서, 공조 운전 조작의 유무(즉, 본체 운전 스위치(157) 또는 리모컨(156)에 의하여 공조 운전이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다음으로, 스텝 S2에 있어서, 자동 청소 모드의 설정의 유무가 판단된다. 그리고, 자동 청소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청소 운전의 요구의 유무(즉, 필터 청소 시기 판정부(151d)로부터 청소 운전 신호가 출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한편, 스텝 S2에 있어서, 자동 청소 모드의 설정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4에 있어서 수동 조작(즉, 본체 운전 스위치(157) 혹은 리모컨(156)의 조작)에서의 청소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자동 청소 모드에서의 청소 요구가 있는 경우도, 수동 조작에서의 청소 요구가 있는 경우도, 모두, 청소 운전의 개시에 앞서, 더스트 박스(20)의 장착 상태가 확인된다(스텝 S5, 스텝 S6). 여기서, 더스트 박스(20)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장착되어 있지만 그 상태가 불완전인 경우에는, 청소 운전으로 이행하지 않고, 이상 상태를 고지하여 종료한다(스텝 S7).
스텝 S6에서, 더스트 박스(20)의 장착이 적정 상태이다, 혹은 적정 상태로 수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처음으로 청소 운전으로 이행한다. 먼저, 스텝 S8에 있어서 필터(13)를 구동시키는 것과 함께, 청소 브러시(17)를 구동시키고, 당해 청소 브러시(17)에 의하여 상기 필터(13)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를 긁어 떨어뜨려 당해 필터(13)의 먼지 포집 기능을 재생시킨다.
그리고, 스텝 S10에 있어서, 청소가 완료하고(자동 청소 모드의 경우), 혹은 리모컨 등의 스위치가 OFF 설정된 경우(수동 조작에 의한 청소 운전의 경우)에는, 상기 브러시(19)를 정지시키고(스텝 S11), 청소 운전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에 있어서, 「공조 운전 조작 ON」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먼저, 더스트 박스(20)의 장착 상태를 확인한다(스텝 S12, 스텝 S13). 여기서, 더스트 박스(20)가 적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4에 있어서 플래그 F1, F2가 모두 [1]인지 여부가 판정되지만, 초기는 각 플래그 F1, F2 모두 「0」이므로, 스텝 S15를 거쳐 스텝 S16으로 이행하고, 플래그 F1을 「1」로 설정한 후, 공조 운전을 개시시키는(스텝 S17) 것과 함께, 플래그 F2를 「0」으로 리셋하고, 스텝 S1로 리턴한다.
그리고, 차회 이후는, 스텝 S12, 스텝 S13, 스텝 S14, 스텝 S15를 거쳐, 공 조 운전을 계속한다(스텝 S19). 따라서, 공조 운전 조작 스위치가 OFF 설정되거나, 더스트 박스(20)가 떼어지거나 하지 않는 한, 공조 운전이 계속된다.
한편, 공조 운전의 도중에, 더스트 박스(20)가 떼어졌거나, 적정한 장착 상태가 손상된 것과 같은 경우에는(스텝 S13)에는, 스텝 S20에 있어서 플래그 F2를 「1」로 설정하는 것과 함께, 이상 표시(스텝 S21)를 한 후, 공조 운전을 정지시킨다(스텝 S22).
그리고, 더스트 박스(20)의 장착 상태가 수정되면(스텝 S13), 플래그 F1, F2 모두 「1」로 되기 때문에(스텝 S14), 공조 운전을 재개하고(스텝 S23), 플래그 F2를 「0」으로 리셋한 후, 스텝 S1로 리턴한다.
또한, 특이한 케이스이지만, 당초부터 더스트 박스(20)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등의 경우(스텝 S12, 스텝 S13)에는, 스텝 S20에 있어서 플래그 F2를 「1」로 설정하는 것과 함께, 이상 표시(스텝 S21)를 한 후, 공조 운전을 정지시킨다(스텝 S22).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스텝 S7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미장착 상태에서는 이상 상태를 고지하여 종료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상기 스텝 S7에 있어서 이상 고지를 행하는 것과 함께,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장착되는 것을 기다리고, 청소 운전으로 이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제어가 실행되는 것으로,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그 장착 상태가 불완전하게 적정하지 않은 것과 같은 상태하에 있어서 공조 운전 혹은 청소 운전이 실행되고, 먼지의 비산에 의한 실내 환경의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미연에 또한 확실하게 방지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부(30)의 폭 방향 양단 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더스트 박스 받침재(28) 측에 좌우 두 개의 리밋 스위치(31, 32)를 설치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하나의 리밋 스위치를 상기 수납부(30)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실내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천정 매입형, 바닥 설치형 등의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Claims (9)

  1. 케이싱(1)에 형성된 흡입구(3)로부터 취출구(4)에 이르는 통풍로 내에, 열교환기(7)와 팬(8)을 배치한 공조 기구(X)와, 상기 흡입구(3)의 내면을 따라 배치된 판상(板狀) 형체를 가지는 필터(13)의 표면에 부착한 먼지를 더스트(dust) 박스(20) 내에 포집하도록 한 청소 기구(Y)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상기 케이싱(1) 측의 수납부(30)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더스트 박스(20)와 상기 수납부(30)의 사이에는,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상기 수납부(30)에 대하여 적정하게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장착 검지 수단(P)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20)가, 상기 필터(13)의 폭 방향 전역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가로로 긴 형체로 되고,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이,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이, 상기 더스트 박스(20)의 적정한 장착을 검지하였을 때 전기적인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인,
    공기 조화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규제하는 운전 규제 수단을 더 구비하고,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 시에,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운전 규제 수단으로 하여금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를 규제하도록 구성된,
    공기 조화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개시 시에,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장착 상태의 이상을 고지(告知)하는 이상 고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중단시키는 운전 중단 수단을 구비하고, 공 조 운전 중 및/또는 청소 운전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의 상기 검지 신호의 입력이 소멸한 경우에 상기 운전 중단 수단으로 하여금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된,
    공기 조화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조 운전 중 및/또는 청소 운전 중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의 상기 검지 신호의 입력이 소멸한 경우에 장착 상태의 이상을 고지하는 이상 고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재입력되었을 때,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을 재개(再開)시키고 또는 상기 이상 고지를 종료시키도록 구성된,
    공기 조화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조 운전 및/또는 청소 운전의 정지 중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지 수단(P)으로부터 상기 검지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부터 출력된 경우에 상기 더스 트 박스(20)가 적정하게 장착되고 일을 고지하는 장착 상태 고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KR1020097006748A 2006-09-15 2007-09-12 공기 조화기 KR101049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51472 2006-09-15
JP2006251472A JP4668873B2 (ja) 2006-09-15 2006-09-15 空気調和機
PCT/JP2007/067738 WO2008032740A1 (fr) 2006-09-15 2007-09-12 Climati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619A true KR20090049619A (ko) 2009-05-18
KR101049774B1 KR101049774B1 (ko) 2011-07-19

Family

ID=3918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748A KR101049774B1 (ko) 2006-09-15 2007-09-12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72927A4 (ko)
JP (1) JP4668873B2 (ko)
KR (1) KR101049774B1 (ko)
CN (1) CN101517330B (ko)
WO (1) WO2008032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8245A (zh) * 2010-04-14 2011-10-19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空气净化器及其过滤器检测方法
JP5108119B2 (ja) * 2011-01-11 2012-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ダストボックス、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CN106440320B (zh) * 2016-09-30 2022-02-1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灰尘检测装置、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CN106969467A (zh) 2017-04-01 2017-07-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自清洁控制方法及装置
KR102283830B1 (ko) * 2019-07-17 2021-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7423281B2 (ja) * 2019-11-29 2024-01-29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12406481A (zh) * 2020-11-24 2021-02-26 深圳市艾德尔健康发展有限公司 一种公交车移动式空气消毒***及带有该***的公交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019U (ko) 1986-03-07 1987-09-12
JP4041962B2 (ja) * 2002-09-11 2008-02-0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06159049A (ja) * 2004-12-06 2006-06-22 Sintokogio Ltd 集塵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2740A1 (fr) 2008-03-20
JP2008070091A (ja) 2008-03-27
EP2072927A1 (en) 2009-06-24
JP4668873B2 (ja) 2011-04-13
KR101049774B1 (ko) 2011-07-19
CN101517330A (zh) 2009-08-26
CN101517330B (zh) 2011-08-31
EP2072927A4 (en)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774B1 (ko) 공기 조화기
JP5686290B2 (ja) 空気調和機
US803851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8230696B2 (en) Device equipped with cooling mechanism
EP2226581B1 (en) Air conditioner
JP4915230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5574833B2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101044509B1 (ko) 필터 청소 유닛이 부착된 공기 조화기
JP2008057881A (ja) 空気調和機
JP2011257549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WO2008026599A1 (fr) Climatiseur
JP2007107762A (ja) 空気調和機
JP2010210191A (ja) 空気調節装置
JP2010286142A (ja) 空気調和装置のフィルタ掃除ユニット
KR101049775B1 (ko) 공기 조화기
JP4872579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1314823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556679B2 (ja) 空気調和機
JP4967792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696838B2 (ja) 空気調和機
JP5569695B2 (ja) 空気調和機
WO2008038585A1 (fr) Appareil de conditionnement d&#39;air
JP6469523B2 (ja) 空気調和機
JP200406917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569694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