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437A - 가설벤트 - Google Patents

가설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437A
KR20090047437A KR1020090035166A KR20090035166A KR20090047437A KR 20090047437 A KR20090047437 A KR 20090047437A KR 1020090035166 A KR1020090035166 A KR 1020090035166A KR 20090035166 A KR20090035166 A KR 20090035166A KR 20090047437 A KR20090047437 A KR 20090047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frame
arm
suppor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태
김종섭
최상철
Original Assignee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7437A/ko
Publication of KR2009004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50) 사이에는 조절유닛(30)이 설치된다. 상기 조절유닛(30)은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50)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설벤트(B)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구조물(1)과 가설벤트(B) 사이로 양중장비를 삽입하여 가설벤트(B)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가설벤트(B)의 이송이 용이해지고, 따라서 시공속도가 빨라지는 이점이 있다.
가설벤트, 조절유닛, 조절암

Description

가설벤트{Temporary bent}
본 발명은 가설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거푸집과 같은 구조물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설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판과 같이 좌우로 길게 연장되면서 만들어지는 구조물의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양생과정 동안에 그 하중을 견디도록 가설벤트가 사용된다.
즉, 교량상판과 같은 구조물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만들어지는데, 이때 상기 거푸집 및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서 통상은 가설벤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교량건설 모습과 교량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벤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교량구조물(1)에는 교량상판(3)이 구비된다. 상기 교량상판(3)은 교량구조물(1)의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연장되도록 성형되는데, 그 성형은 거푸집구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교량구조물(1)의 시공에는 지지트러스(5)가 사용된다. 상기 지지트러 스(5)는 철골구조물로서, 작업자를 위한 작업발판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트러스(5)에는 가설벤트(7)가 안착된다. 상기 가설벤트(7)는 상기 교량상판(3)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거푸집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트러스(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가설벤트(7)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가설벤트(7)는 상기 교량상판(3)을 지지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교량상판(3)이 완성된 후에는 제거되어 추후에 재활용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설벤트(7)는 크레인(C)과 같은 양중장비에 의해 상기 지지트러스(5) 상에 안착되는데, 상기 교량상판(3)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가설벤트(7)가 제거되어야 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C)을 이용하여 상기 가설벤트(7)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크레인(C)의 일단에 구비된 걸이부(C')는 완성된 교량상판(3)에 간섭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설벤트(7)를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크레인(C)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가설벤트(7)를 완전히 분리한 다음, 각 부품을 차례로 이송할 수도 있으나, 이는 작업시간 및 공수를 늘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설벤트(7)를 분리하지 않고 제거할 수 있다 하여도, 상기 가설벤트(7)의 기본적인 높이와 그 부피로 인해, 이를 이송하고 재설치하는 작업은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설벤트(7)는 그 높이가 일정하므로, 교량상판(3)의 높이 또는 상기 지지트러스(5)의 설치상태 등에 따라 상기 교량상판(3)과의 상대 거리가 변하게 되므로, 적절하게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을 임시로 지지하기 위한 가설벤트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설벤트가 접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유닛은 센터블록과, 상기 센터블록의 4모서리에 그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에 힌지고정되는 2쌍의 조절암을 포함하여, 상기 센터블록을 중심으로 상기 조절암이 회전되면 상기 조절암이 쌍을 이루어 각각 접히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조절암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센터블록의 가장자리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프 레임에 힌지결합되는 고정암과,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의 대각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터블록의 가장자리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암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암의 선단에는 가이드편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에 걸어지는 걸림채널이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암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암의 일단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블록에는 상기 조절암의 회전에 따른 상기 고정공의 회전경로를 따라 관통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 및 관통공을 각각 관통하도록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조절암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암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암 사이에는 보강빔이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조절유닛은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조절유닛 사이에는 지지바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바의 적어도 어느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연결프레임 사이 및 상기 연결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사이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프레임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설벤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설벤트의 높이가 조절가능하므로,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되면 가설벤트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구조물과 가설벤트 사이로 양중장비를 삽입하여 가설벤트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가설벤트의 이송이 용이해지고, 따라서 시공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가설벤트가 접혀 그 높이가 낮아진 상태에서 가설벤트를 이동시킬 수 있어, 가설벤트를 장거리 이송시키는 경우에도 별도로 가설벤트를 해체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가설벤트의 재설치시간도 줄어들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설벤트의 높이를 현장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설벤트의 호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가설벤트의 조절유닛에 총 4개의 조절암이 구비되므로 조절유닛에 가해지는 부하가 각 회전암으로 분산될 수 있어, 가설벤트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 없이도 고정핀을 이용하여 조절유닛의 회전암의 회전상태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설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설벤트가 접힌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구성이 각각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설벤트(B)의 골격은 베이스프레임(10)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지지트러스(5,도 5참조)나 지반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3)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대략 4각틀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3)는 'H'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1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딩암(35b)의 가이드편(38)이 끼워져 슬라이딩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이격된 위치에는 연결프레임(20)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프레임(5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20) 없이, 가설벤트(B)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50)만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H빔이 서로 엇갈려 대략 4각틀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사이에는 조절유닛(30)이 설치된다. 상기 조절유닛(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연결프레임(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접혀 베이스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가설벤트(B)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조절유닛(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블록(31)과 4개의 조절암(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터블록(31)은 조절유닛(30)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으로 조절유닛(30)의 동작 중에 항상 조절유닛(30)의 중심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터블록(31)에는 힌지공(32)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공(32)은 조절암(35)이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총 2개가 형성된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힌지공(32)에는 2개의 조절암(35)이 힌지결합되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힌지공(32)에는 다른 2개의 조절암(35)이 힌지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힌지공(32)에는 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조절암(35)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센터블록(31)에는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3)은 상기 조절암(35)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핀(미도시)이 조절암(35)의 고정공(미도시)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3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조절암(35)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조절암(35)이 상기 힌지핀과 고정핀에 의해 2지점에서 관통되므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통공(33)은 상기 조절암(35)의 고정공의 회전경로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상기 관통공(33)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핀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조절암(35)은 다양한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조절암(35)에 대해 총 2개의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으나, 3개 이상의 관통공(3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암(35)은 대략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총 4개로 구성되는데, 한 쌍의 고정암(35a)과, 한 쌍의 슬라이딩암(35b)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암(35a)은, 도 2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그 일단이 상기 센터블록(31)에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연결프레임(20)에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고정암(35a)은 상기 조절유닛(30)의 작동과정에서 서로 접히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면부호 36은 힌지부를 나타낸다.
상기 슬라이딩암(35b)은, 도 2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암(35a)의 대각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암(35b)은 그 일단은 상기 센터블록(3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편(38)에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암(35b)은 상기 고정암(35a)과 마찬가지로 상기 조절유닛(30)의 작동과정에서 서로 접히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암(35b)의 일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연결프레임(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암(35b)은 그 일단이 가이드편(38)에 결합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연결프레임(20)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암(35b)의 일단은 상기 고정암(35a)과 직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미끌어지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미끌어지면서 상기 조절유닛(30)이 작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암(35b)의 일단에는 가이드편(38)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편(38)은 상기 슬라이딩암(35b)에 결합되어 슬라이딩암(35b)이 용이하게 미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4(a) 및 도 4(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38a)와 슬라이드부(38b)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38a)에는 힌지공(38a')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암(35b)이 힌지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부(38b)에는 걸림채널(38c)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 또는 연결프레임(20)이 그 내부에 걸어지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0) 또는 연결프레임(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걸림채널(38c) 내부에 삽입되므로, 상기 가이드편(38)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 또는 연결프레임(20)을 벗어나지 않고 직선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하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암(35b)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 상을 슬라이딩하게 되면, 상기 조절유닛(30)이 접히면서 가설벤트(B)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 도 3에는 상기 조절유닛(30)이 접혀 가설벤트(B)의 높이가 가장 낮아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절유닛(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의 사이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조절유닛(30)은 베이스프레임(10) 과 연결프레임(20) 사이에서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조절유닛(30)은 베이스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육면체 구조에서 3측면 또는 4측면을 모두 두르도록 3개 또는 4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암(35a)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암(35b) 사이에는 보강빔(39)이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보강빔(39)은 상기 조절유닛(30)과 함께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한 쌍의 보강빔(39)은 그 양단이 각각 두 고정암(35a)과 두 슬라이딩암(35b)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물론, 상기 조절유닛(30)을 접게 되는 경우에는 미리 이를 탈거해야 한다.
상기 조절유닛(30)이 설치되지 않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 사이 공간에는 지지바(4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바(40)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연결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유닛(30) 및 보강빔(39)과 함께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 사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지지바(40)는 쌍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바(40)의 양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단은 베이스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설벤트(B)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조절유닛(30)을 접는 경우에, 상기 지지바(40)를 상기 가설벤트(B)로부터 완전히 탈거하지 않고, 단순히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상면에는 또 다른 조절유닛(30')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프레임(2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지지프레임(5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50) 사이에 또 다른 조절유닛(3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구조물의 하방에 위치하여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제1지지빔(51)과 제2지지빔(52)이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되어 대략 4각틀 형상이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50)에는 별도의 턴버클(70,도 5참조)이 구비되어, 구조물(1)을 실질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60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설벤트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설벤트를 이용하여 교량구조물을 시공하고, 가설벤트를 제거하는 모습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가설벤트(B)를 이용하여 구조물(1)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지지트러스(5) 상에 가설벤트(B)를 설치한다. 상기 가설벤트(B)는 크레인과 같은 양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트러스(5)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설벤트(B)는 상기 조절유닛(30)이 접힌 상태, 즉 높이가 가장 낮은 상태로 상기 지지트러스(5) 상으로 이동되고, 조절유닛(30)을 펼쳐 사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센터블록(31)을 중심으로 상기 4개의 조절암(35)이 대략 'X'자 형상이 되도록 벌려 지지프레임(50)과 베이스프레임(10) 사이의 간격이 가장 크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구조물(1)의 형상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50)과 베이스프레임(10) 사이의 간격은 조절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50)과 베이스프레임(10) 사이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조절유닛(30)의 조절암(35)에 보강빔(39)을 설치하고, 지지바(40)를 삽입하여 가설벤트(B)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50)과 상기 구조물(1)의 교량상판(3) 사이에 턴버클(70)을 설치하여 상기 교량상판(3)이 양생될 때까지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가설벤트를 해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는 상기 턴버클(70)을 제거한다. 이는 상기 교량상판(3)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이미 양생된 후에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교량상판(3)에 윈치(winch)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50)에 연결한다. 이는 상기 조절유닛(30)을 접어 가설벤트(B)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과정에서 조절유닛(30)이 급격하게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조절유닛(30)의 센터블록(31)으로부터 고정핀을 제거한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조절암(35)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핀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조절암(35)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조절유닛(30)에 끼워져 있던 보강빔(39)을 제거한다. 상기 보강빔(39)은 상기 조절유닛(30)에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해제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빔(39)을 제거하여도 상기 윈치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을 잡고 있으므로, 상기 조절유닛(30)이 급격하게 주저 앉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조절유닛(30)으로부터 상기 지지바(40) 역시 제거한다.
다음으로, 윈치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프레임(50)을 잡고 있는 힘을 줄이면 조절유닛(30)이 접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절암(35) 중에서 상기 슬라이딩암(35b)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을 따라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암(35a)과 일직선이 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어 상기 조절유닛(30)이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가설벤트(B)의 높이는 가장 낮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센터블록(31)의 관통공(33)에 상기 고정핀을 삽입하면 상기 조절유닛(30)이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윈치를 상기 교량상판(3)으로부터 제거하고, 크레인(C)의 일단의 걸이부(C')에 상기 가설벤트(B)를 고정시켜 준다. 이와 같은 모습 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설벤트(B)는 그 높이가 낮아져 상기 교량상판(3)과의 사이에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상기 크레인(C)의 걸이부(C')가 그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크레인(C)을 작동시켜 상기 가설벤트(B)를 지상이나 또는 바지선 상으로 이동시켜 준다.
이와 같이 상기 가설벤트(B)는 조절유닛(30)을 통해 그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므로, 상기 가설벤트(B)의 제거가 용이해지고, 가설벤트(B)를 재조립하는 것 역시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50)과 베이스프레임(10) 사이에 별도의 연결프레임(20)이 설치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생략되고 상기 지지프레임(50)과 베이스프레임(1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20)은 2개 이상이 구비되고 연결프레임(20) 사이에 조절유닛(30)이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조절암(35) 중에서 2개(고정암(35a))는 단순힌지결합되고, 2개(슬라이딩암(35b))는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4개의 조절암(35) 모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교량상판(3)을 제작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하방에서 지지가 필요한 기타 구조물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설벤트를 사용하여 교량구조물의 시공하는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설벤트가 접힌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구성을 각각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가설벤트를 이용하여 교량구조물을 시공하고, 가설벤트를 제거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프레임 20: 연결프레임
30: 조절유닛 31: 센터블록
32: 힌지공 33: 관통공
35: 조절암 35a: 고정암
35b: 슬라이딩암 38: 가이드편
39: 보강암 40: 지지바
50: 지지프레임 60: 난간
70: 턴버클

Claims (8)

  1.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설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센터블록과,
    상기 센터블록의 가장자리에 그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에 힌지고정되는 2쌍의 조절암을 포함하여,
    상기 센터블록을 중심으로 상기 조절암이 회전되면 상기 조절암이 쌍을 이루어 각각 접히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간격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암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센터블록의 가장자리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고정암과,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의 대각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터블록의 가장자리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암을 포함하는 가설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암의 선단에는 가이드편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에 걸어지는 걸림채널이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암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가설벤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암의 일단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블록에는 상기 조절암의 회전에 따른 상기 고정공의 회전경로를 따라 관통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 및 관통공을 각각 관통하도록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조절암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6.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조절암 사이에는 보강빔이 선택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조절유닛 사이에는 지지바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바의 적어도 어느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연결프레임 사이 및 상기 연결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사이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프레임 사이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KR1020090035166A 2009-04-22 2009-04-22 가설벤트 KR20090047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166A KR20090047437A (ko) 2009-04-22 2009-04-22 가설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166A KR20090047437A (ko) 2009-04-22 2009-04-22 가설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437A true KR20090047437A (ko) 2009-05-12

Family

ID=4085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166A KR20090047437A (ko) 2009-04-22 2009-04-22 가설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74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9269A (zh) * 2014-11-14 2015-03-04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桥梁支座预留孔四孔定位装置及方法
KR20190122925A (ko) 2018-04-23 2019-10-31 이일섭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9269A (zh) * 2014-11-14 2015-03-04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桥梁支座预留孔四孔定位装置及方法
KR20190122925A (ko) 2018-04-23 2019-10-31 이일섭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4430B1 (en) Peripheral slab formwork system
CN212453615U (zh) 模板支撑***
JP5368109B2 (ja) 建築分野で利用するためのガイドシュー及び昇降システム
US7748193B2 (en) Pumping tower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use
EP2893103B1 (en) A panel support bracket
KR101587400B1 (ko)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JP5394334B2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US20230383556A1 (en) Support head having a lowerable support height for a formwork support
EP3121349B1 (en) Formwork structure for the execution of horizontal castings for the provision of floor slabs
KR101776113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102059552B1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043920B1 (ko) 거푸집 이송장치
KR20090047437A (ko) 가설벤트
RU2668608C2 (ru) Подмости
JP4040447B2 (ja) ストラット付き箱桁用のワーゲン型枠装置およびストラット支持装置ならびにストラット付き箱桁の築造方法
CN113015833B (zh) Alphadeck-大面积平板模板***
KR101520833B1 (ko) 가변형 철골계단 선행공법형 지지시스템
KR101969434B1 (ko) 갱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16493B1 (ko) 수직터널 콘크리트 주벽 성형용 슬립폼과 그 콘크리트 주벽시공방법
KR102089758B1 (ko)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JP6059176B2 (ja) 仮設高架桟橋組立て用の移動昇降足場
KR20080069784A (ko) 건축용 드롭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폼 시공방법
ITPR20120022A1 (it) Testa di sostegn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sovrastruttu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