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034A - 금속 수지 복합관 - Google Patents

금속 수지 복합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034A
KR20090045034A KR1020080105955A KR20080105955A KR20090045034A KR 20090045034 A KR20090045034 A KR 20090045034A KR 1020080105955 A KR1020080105955 A KR 1020080105955A KR 20080105955 A KR20080105955 A KR 20080105955A KR 20090045034 A KR20090045034 A KR 20090045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strip plate
metal
reinforcing strip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키 가나오
Original Assignee
가나플렉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93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13347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플렉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플렉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16L1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having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0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not embedded in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6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wound from profiled strips or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55Elemental metal containing [e.g., substrate, foil, film, coating,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벽에 금속제의 나선 모양의 보강 스트립판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관벽을 얇게 하더라도 충분한 내압 강도 및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플렉시블성의 향상도 가능한 금속 수지 복합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벽(2)을 나선의 파형 모양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벽(2)을 구성하는 나선 모양의 합성수지 벽부(3)의 적어도 마루부(31) 및 상기 마루부(31)에 연속하는 양 측벽부(32)에 금속 박판제의 보강 스트립판(4)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선 모양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금속 수지 복합관(1)으로서, 상기 보강 스트립판(4)의 정상부를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우묵부(41)를 형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수지 복합관{METAL-RESIN COMPOSITE PIPES}
본 발명은, 상수관, 하수(배수)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전력·통신케이블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보호관 등에 주로 사용되는 금속 수지 복합관(金屬 樹脂 複合管)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경량이며 플렉시블성을 구비하여 시공성·경제성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내압 강도를 구비하는 금속 수지 복합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금속 수지 복합관은, 지중(地中)으로의 매설작업 등을 할 때에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제의 관벽(管壁)을 나선의 파형 모양으로 형성하고, 가요성(可撓性)(플렉시블성)을 구비하는 합성수지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지중매설을 하였을 때의 강력한 토압(土壓)에 견딜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관벽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을 수 없어, 성형에 사용하는 합성수지재가 대량으로 필요하여 재료비용이 상승함과 아울러 중량도 커져 운반이나 매설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관벽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관벽의 두께 내에 금속제의 나선 모양의 보강 스트립판을 매설한 것이 제안되어 있고(특허문헌1∼3 참조),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서는, 관벽을 형성하는 나선 파형의 정상부와 상기 정상부에 연속하는 양(兩) 측벽부와 상기 양 측벽부의 관축측(管軸側)에 위치하는 골부의, 모든 벽부에 걸쳐 간벽(間壁)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재 벽부에 금속 박판제의 보강 스트립판이 설치 내장되고, 또한 골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보강 스트립판이 중첩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제의 보강판을 매설하여 형성하는 것은, 관벽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지만, 금속 스트립판이 내장됨으로써 나선의 파형 모양의 관벽이 본래 구비하고 있던 가요성(플렉시블성)이 손상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합성수지 벽부를 얇게 하면, 특히 외측으로부터 압력이나 충격을 직접 받기 쉬운 마루부의 강도·강성(剛性)이 충분하지 않게 되어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가 높아지게 된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62-30080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1-123420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1-123421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관벽에 금속제의 나선 모양의 보강 스트립판을 설치한 금속 수지 복합관에 있어서, 관벽을 얇게 하더라도 충분한 내압 강도 및 강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플렉시블성의 향상도 가능한 금속 수지 복합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金屬 樹脂 複合管)은, 관벽(管壁)을 나선(螺旋)의 파형(波形) 모양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벽을 구성하는 나선 모양의 합성수지 벽부(合成樹脂 壁部)의 적어도 마루부 및 상기 마루부에 연속하는 양(兩) 측벽부(側壁部)에 금속 박판제(金屬 薄板製)의 보강 스트립판(補强 strip板)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선 모양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금속 수지 복합관으로서,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정상부를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우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보강 스트립판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被覆層)을 구비시킴과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적어도 마루부 및 상기 마루부에 연속하는 양 측벽부의 내면측(內面側)에 부설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우묵부의 외면(外面)에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를 밀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의 상기 우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우묵부를 따르는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를, 공간을 남기고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우묵부를 외측에서 막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벽부 중에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적어도 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스트립판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내측면에, 합성수지제 스트립체(合成樹脂製 strip體)를 그 양측 테두리부가 상기 인접하는 보강 스트립판의 양측 테두리에 접촉한 상태 또는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양측 테두리 상에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선 모양으로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선 모양의 관벽의 내주측(內周側)에 내관벽(內管壁)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보강 스트립판을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골부까지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스트립판은, 라미네이트 강판(laminate 鋼板)을 스트립 모양으로 절단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벽부 중에 적어도 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상기 보강 스트립판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내측면에, 합성수지제 스트립체를 그 양측 테두리부가 상기 인접하는 보강 스트립판의 양측 테두리에 접촉한 상태 또는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양측 테두리 상에서 겹쳐진 상태 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선 모양으로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 사이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을 구비하는 평평한 스트립 모양의 금속제 스트립판을 가설(架設)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에 의하면, 관벽의 마루부에 대응하는 보강 스트립판의 정상부를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우묵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전체의 내압 강도의 향상은 물론, 특히 외측으로부터 압력이나 충격을 받기 쉬운 마루부의 강도·강성을 우묵부의 존재에 의하여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의 금속 수지 복합관에 비하여 두께를 얇게(薄肉化)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관 전체의 플렉시블성의 향상,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보강 스트립판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을 구비시킴과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적어도 마루부 및 상기 마루부에 연속하는 양 측벽부의 내면측에 부설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우묵부의 외면에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를 밀착시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지 상호간을 열융착시킴으로써 보강 스트립판과 합성수지 벽부를 용이 또한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 효율적으로 저비용이며 내구성이 높은 금속 수지 복합관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시공할 때에 잘못하여 보강 스트립판의 표면에 상처를 냄으로써 녹(rust)이 발생하게 되는 일이 없어 장기간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의 상기 우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우묵부를 따르는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마루부의 수지량을 억제하여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도 오목부의 형상 자체에 의한 강도 상승이 더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를, 공간을 남기고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우묵부를 외측에서 막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마루부 외면에 함몰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현장 등에서 끌고 다닐 때에 걸리거나 그것에 의한 관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효율도 높일 수 있고, 또한 마루부의 수지량을 억제하여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마루부의 외관이 함몰되는 부분이 없도록 또는 적어도 간이한 것으로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벽부 중에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적어도 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스트립판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내측면에, 합성수지제 스트립체를 그 양측 테두리부가 상기 인접하는 보강 스트립판의 양측 테두리에 접촉한 상태 또는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양측 테두리 상에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선 모양으로 부착시켰기 때문에, 관 전체의 내압 강도를 더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보강 스트립판의 벗겨짐이나 보강 스트립판의 테두리부의 부식, 전선의 걸림에 의한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조나 시공할 때에 있어서 관을 절단하는 경우에 절단 부분의 보강 스트립판이 합성수지 벽부로부터 이간(離間)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절단부에는 거스러미(burr) 등도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제조나 시공할 때의 절단에 관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상기 나선 모양의 관벽의 내주측에 내관벽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보강 스트립판을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골부까지 연장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체가 흐를 때의 저항을 없애고, 상수관이나 하수관으로서 적합한 관으로 함과 아울러 내압 강도를 더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스트립판은, 라미네이트 강판을 스트립 모양으로 절단한 것이기 때문에, 보강 스트립판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 사이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을 구비하는 평평한 스트립 모양의 금속제 스트립판을 가설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보다 내압 강도가 높은 관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1∼도11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金屬 樹脂 複合管)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1, 도6∼도11은 실시예2를 나타내고, 도면 중의 부호1은 금속 수지 복합관, 2는 관벽(管壁), 3은 합성수지 벽부(合成樹脂 壁部), 4는 보강 스트 립판(補强 strip板), 5는 합성수지제 스트립체(合成樹脂製 strip體)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관벽(2)이, 대략 원호 모양 또는 사다리꼴 모양의 마루부(31)와 골부(33)가 측벽부(32)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물결 모양을 하고 있는 관을 기본으로 하여, 마루부(31)에 오목부(34)를 구비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하등의 한정도 없고, 예를 들면 단면이 대략 V자 모양이나 대략 ㄷ자 모양, 다각형 모양 등이며 마루부와 골부가 연속하는 나선의 파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관을 기본으로 한 것이라도 물론 좋다. 또한 측벽부(32)는, 마루부(31)와 골부(33)의 사이를 완만하게 연결하는 대략 직선 모양의 연결 부분을 가리킨다.
먼저 도1∼도5에 의거하여 실시예1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금속 수지 복합관(1)은,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벽(2)을 나선의 파형 모양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벽(2)을 구성하는 나선 모양의 합성수지 벽부(3)의 마루부(31) 및 상기 마루부(31)에 연속하는 양(兩) 측벽부(32)에 걸쳐 금속 박판제(金屬 薄板製)의 보강 스트립판(4)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선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며, 그 보강 스트립판(4)의 마루부(31)에 대응하는 정상부를 따라 우묵부(41)가 형성되어 있다.
합성수지 벽부(3)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 렌(polypropylene) 등의 폴리올레핀계(polyolefin系)나 염화 비닐계(鹽化 vinyl系) 등의 합성수지에 의하여 성형되지만, 기타 합성고무나 연질수지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합성수지 벽부(3)의, 특히 보강 스트립판을 설치하지 않은 부분에 필요에 따라 실, 직물, 부직포, 유리섬유 등의 섬유로 만든 물질이나 금속망 등의 보강물질을 채워 넣어 보강하더라도 좋다.
합성수지 벽부(3)는 대략 일정한 두께로 되어 있고, 마루부(31)에는 보강 스트립판(4)의 우묵부(41)의 형상을 따라 동일하게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34)를 형성함으로써, 보강 스트립판(4)의 우묵부(41)에 의한 효과와 상승적으로 마루부(31)에 걸리는 압력(토압(土壓) 등)을 분산시켜, 마루부(31)의 강도(强度), 강성(剛性)의 상승은 물론 금속 수지 복합관(1)의 내압 강도도 높일 수 있다.
보강 스트립판(4)은, 금속 박판(40)의 표리(表裏)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被覆層)(42)을 설치한 것이고,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벽부(3)의 마루부(31) 및 상기 마루부(31)에 연속하는 양 측벽부(32)에 걸쳐 내측면에 밀착한 상태이며 나선 모양으로 부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강 스트립판(4)의 피복층(42)은 합성수지 벽부(3)와 서로 용착(溶着)되어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피복층(42)의 소재는, 밀착도의 면에서 합성수지 벽부(3)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스트립판(4)의 금속 박판(40)으로서, 예를 들면 판면(板面)에 다수의 작은 구멍을 형성한 펀칭판(punched plate)이나 작은 구멍이 없는 금속판이더라도 좋고, 금속 박판(40)의 재료로서는 스테인레스 박판(stainless 薄板)이나 스틸 박판(steel 薄板) 이외에 철판을 사용하더라도 좋고, 그 밖에 금속 박판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보강 스트립판(4)의 우묵부(41)는, 단면이 대략 M자 모양이 되도록 정상부를 굴곡한 상태로 변형가공(變形加工)한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원호 모양으로 움푹 파인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ㄷ자 모양이나 V자 모양으로 움푹 파인 형상으로 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의 금속 수지 복합관(1)을 지중매설관(地中埋設管)으로서 사용하는 때에는, 배관 예정지를 원하는 깊이로 굴착한 홈(groove)을 따라 배관하고, 굴착토를 그 위에 덮는다. 설치된 관에 있어서, 토압에 대하여 우묵부(41)를 구비한 보강 스트립판(4)이 우수한 내압성을 발휘한다.
또한 관 내에 전선 등을 삽입하는 때에는, 종래와 같이 골부의 내주면(內周面)에서만 전선 등이 가동 지지(可動 支持)되기 때문에 상기 내주면과 전선 등의 마찰 면적이 작아, 전선 등의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관 내에 결로(結露)가 발생하더라도 이슬이 관 하방의 마루부 내에 고이기 때문에 전선 등(전선피복 등)이 직접 침지되는 일이 없어, 장기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출성형(壓出成形)된 직후의 반경화(半硬化) 상태의 오목부(34)를 구비하는 합성수지 벽부 성형체(30)에 대하여, 별도로 우묵부(41)를 구비하는 보강 스트립판(4)을 나선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오목부(34)의 M자 모양으로 만곡한 내주면에, 마찬가지로 M자 모양으로 만곡한 외주면(外周面)을 구비하는 보강 스트립판(4)을 합착(合着)시킴으로써 당해 합성수지 벽부 성형체(30)의 마루부(31) 및 이에 연속하는 측벽부(32)의 내면과 보강 스트립판(4)의 피복층(42)을 서로 용착하여 일체화시키면서, 상기 성형체(30)의 양측 테두리 부분을 중합시켜 순차적으로 나선 모양으로 감음과 동시에, 합성수지제 스트립체(5)를 내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보강 스트립판(4) 사이의 골부(33)를 포함하는 내측면에 부착시키면서 감아서 성형하고 있다. 또한 보강 스트립판(4)과 합성수지 벽부 성형체(30) 또는 합성수지제 스트립체(5)와 합성수지 벽부 성형체(30)는, 서로 가열장치로 가열용융(加熱溶融)하여 부착시키더라도 좋고, 또한 보강 스트립판(4)과 합성수지 벽부 성형체(30) 및 합성수지제 스트립체(5)를 일체적으로 나선 모양으로 압출하여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보강 스트립판(4)이나 합성수지제 스트립체(5)를 관벽(2)의 소정의 장소에 고착(固着)시키더라도 좋다. 합성수지제 스트립체(5)를 나선 모양으로 공급하는 때에는,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양측 테두리부를 상기 인접하는 보강 스트립판(4, 4)의 양측 테두리 상에서 겹쳐진 상태로 부착시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벽부 성형체(30)의 일방(一方)에 골부의 전부를 형성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성형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 벽부(3)의 마루부(31)의 형상을 보강 스트립판(4)과 동일하게 대략 M자 모양으로 형성하였지만, 도4(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벽부(3)의 마루부(31)의 우묵부(41)에 대응하는 외주 부분을 대략 평평한 상태로 성형하더라도 좋다. 또는 더 외측으로 팽출(膨出)시켜 활 모양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마루부 외면에 함몰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현장 등에서 끌고 다닐 때에 걸리거나 그것에 의한 관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강 스트립판(4)의 우묵부(41)를 2개 이상 나란하게 형성하더라도 좋고, 이에 따라 내압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도 합성수지 벽부(3)는, 도5(a) 중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도 보강 스트립판(4)을 따라 파도 모양으로 형성하더라도 좋고, 또한 도5(b) 중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루부(31)의 외주면을 대략 평평하게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벽부(3)의 마루부(31)를, 공간(s)을 남기고 보강 스트립판(4)의 우묵부(41)를 외측에서 막도록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마찬가지로 마루부 외면에 함몰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현장 등에서 끌고 다닐 때에 걸리거나 그것에 의한 관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효율도 높일 수 있고, 제조도 용이하게 되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합성수지 벽부(3)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6∼도11에 의거하여 실시예2를 설명한다.
도6은 실시예2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1A)의 정면도이고, 도7(a)는 종단면도, (b)는 그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6 및 도7(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강 스트립판(4)을 합성수지 벽부(3)의 골부까지 연장한 것이고, 또한 그 내측에 일직선(straight) 모양의 합성수지의 내관(內管)(7)을 설치한 것이다. 이 내관(7)에 의하여 내부를 유체물(流體物)이 유동하기 쉬워, 예를 들면 상수관, 하수관 등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내관(7)은, 밀착도의 면에서 합성수지 벽부(3)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벽부(3)의 인접하는 마루부(31, 31) 사이에 금속판 또는 금속망 스트립(metal reticular strip)(60)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61)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평평한 스트립 모양의 금속제 스트립판(6)을 가설(架設)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저비용이며 용이하게 관 자체의 강도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9 및 도10(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벽부(3)의 마루부(31)의 외주면을 평평한 상태로 성형하더라도 좋고, 이에 따라 마루부 외면에 함몰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현장 등에서 끌고 다닐 때에 걸리거나 그것에 의한 관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관(7)이 일직선 모양(대략 일직선의 원통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지만, 이 내벽은 반드시 일직선 모양의 것이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면 다소의 요철파형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일직선 모양의 내관(7)을 설치하는 대신,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평한 스트립 모양의 합성수지제의 내측 보강판(8)을 나선 모양으로 골부(33)의 내측에만 부설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내압 강도를 높게 유지하면서 보다 플렉시블성이 있는 것으로 함과 아울러 합성수지 등 원재료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중량도 가볍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면, 운반면 및 시공면 등에 있어서 보다 유리해진다.
또한 도12(a), (b)는, 실시예1에 있어서 도5(c)에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벽부(3)의 마루부(31)를, 공간(s)을 남기고 보강 스트립판(4)의 우묵부(41)를 외측에서 막도록 형성한 실시예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마찬가지로 마루부 외면에 함몰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현장 등에서 끌고 다닐 때에 걸리거나 그것에 의한 관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효율도 높일 수 있고, 제조도 용이하게 되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벽부(3)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루부(31)는 우묵부(41)를 막도록 스트레이트 모양으로 가설한 형태의 것으로 하더라도 좋지만,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약간 오목하게 하여 우묵부(41)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고, 공간(s)을 작게 하여 강도를 높인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강도 상승에 있어서는 도5(c)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마루부(31)를, 우묵부(41)에 대하여 공간(s)을 유지하면서 외측에서 막도록 형성한 형태에 있어서,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 모양의 내관(7)을 대신하여 평평한 스트립 모양의 합성수지제의 내측 보강판(8)을 나선 모양으로 골부(33)의 내측에만 부설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그 밖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며, 동일한 구조에 있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단면도, (b)는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 (b)는 각각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 부분 확대도, (c)는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 부분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 부분 확대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 부분 확대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 부분 확대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금속 수지 복합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금속 수지 복합관 2 관벽
3 합성수지 벽부 4 보강 스트립판
5 합성수지제 스트립체 6 금속제 스트립판
7 내관 8 내측 보강판
30 합성수지 벽부 성형체 31 마루부
32 측벽부 33 골부
34 오목부 40 금속 박판
41 우묵부 42 피복층
60 금속망 스트립 61 피복층
s 공간

Claims (8)

  1. 관벽(管壁)을 나선(螺旋)의 파형(波形) 모양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벽을 구성하는 나선 모양의 합성수지 벽부(合成樹脂 壁部)의 적어도 마루부 및 상기 마루부에 연속하는 양(兩) 측벽부(側壁部)에 금속 박판제(金屬 薄板製)의 보강 스트립판(補强 strip板)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선 모양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금속 수지 복합관(金屬 樹脂 複合管)으로서,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정상부를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우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수지 복합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스트립판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被覆層)을 구비시킴과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적어도 마루부 및 상기 마루부에 연속하는 양 측벽부의 내면측(內面側)에 부설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우묵부의 외면(外面)에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를 밀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수지 복합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의 상기 우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우묵부를 따르는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수지 복합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를, 공간을 남기고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우묵부를 외측에서 막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수지 복합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벽부 중에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적어도 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스트립판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내측면에, 합성수지제 스트립체(合成樹脂製 strip體)를 그 양측 테두리부가 상기 인접하는 보강 스트립판의 양측 테두리에 접촉한 상태 또는 상기 보강 스트립판의 양측 테두리 상에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선 모양으로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수지 복합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모양의 관벽의 내주측(內周側)에 내관벽(內管壁)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보강 스트립판을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골부까지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수지 복합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스트립판은, 라미네이트 강판(laminate 鋼板)을 스트립 모양으로 절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수지 복합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벽부의 마루부 사이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을 구비하는 평평한 스트립 모양의 금속제 스트립판을 가설(架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수지 복합관.
KR1020080105955A 2007-11-01 2008-10-28 금속 수지 복합관 KR200900450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85246 2007-11-01
JPJP-P-2007-285246 2007-11-01
JP2008093493A JP2009133474A (ja) 2007-11-01 2008-03-31 金属樹脂複合管
JPJP-P-2008-093493 2008-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034A true KR20090045034A (ko) 2009-05-07

Family

ID=4025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955A KR20090045034A (ko) 2007-11-01 2008-10-28 금속 수지 복합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17302A1 (ko)
EP (1) EP2056008A3 (ko)
KR (1) KR200900450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96B1 (ko) * 2020-06-26 2020-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회수법(sagd)에 적용되는 인젝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87698B1 (ko) * 2020-06-29 2020-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회수법(sagd)에 적용되는 매립관의 센터 고정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5394B2 (en) 2009-06-05 2016-02-09 Stormtech Llc Corrugated stormwater chamber having sub-corrugations
US8672583B1 (en) 2009-06-05 2014-03-18 Stormtech Llc Corrugated stormwater chamber having sub-corrugations
WO2011162622A1 (en) * 2010-06-22 2011-12-29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omponents for medical circuits
CN102322551B (zh) * 2011-08-23 2013-11-13 深圳金鸿机械电气制造有限公司 增强热塑复合结构壁管成套生产装置
US9765509B1 (en) * 2016-08-08 2017-09-19 Robert J. DiTullio Stormwater chamber with stackable reinforcing ribs
DE102018111192A1 (de) * 2018-05-09 2019-11-14 Montaplast Gmbh Luftleitung für Kraftfahrzeug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950A (en) * 1972-12-29 1974-06-25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Rib structure
DE2722928C2 (de) * 1977-05-20 1983-01-05 Hans Grohe Gmbh & Co Kg, 7622 Schiltach Flexibler Kunststoffschlauch
US4360042A (en) * 1978-12-07 1982-11-23 Hancor, Inc. Arched conduit with improved corrugations
JPS6010984U (ja) * 1983-07-04 1985-01-25 キヨ−ラク株式会社 蛇腹中空体
JPH0311510Y2 (ko) 1985-08-09 1991-03-19
BR8600761A (pt) * 1985-02-25 1986-11-04 Shiro Kanao Cano subterraneo de resina sintetica com capacidade de suportar altas pressoes
CA1282571C (en) * 1986-07-03 1991-04-09 Stanley William Otto Menzel Method of and means for producing reinforced ribbed structures
GB8627929D0 (en) * 1986-11-21 1986-12-31 Standard Hose Ltd Flexible hose
US4759389A (en) * 1986-12-04 1988-07-26 Kim Woo Suck Synthetic resin pipe for underground installation
AU596339B2 (en) * 1987-03-06 1990-04-26 Tonen Sekiyukagaku K.K. Plastic pip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US4860797A (en) * 1987-05-21 1989-08-29 Fabricated Plastics, Inc. Reinforced strip and flexible hoses produced therewith
JPH01123421A (ja) 1987-11-09 1989-05-16 Toshiba Corp プラズマエッチング装置
JPH01123420U (ko) 1988-02-15 1989-08-22
JP2767427B2 (ja) * 1988-07-05 1998-06-18 三菱樹脂株式会社 コルゲート管の製造方法
US5184649A (en) * 1988-11-26 1993-02-09 Shiro Kanao Pressure-resistant helical corrugated pipe
JP2544194B2 (ja) * 1988-11-26 1996-10-16 史朗 金尾 耐圧螺旋波形管
JPH0535270Y2 (ko) * 1988-12-20 1993-09-07
US5284185A (en) * 1988-12-27 1994-02-08 Shiro Kanao Pressure-resistant helical corrugated pip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2179213A (ja) * 1988-12-27 1990-07-12 Shiro Kanao 耐圧螺旋波形管
JPH02176291A (ja) * 1988-12-27 1990-07-09 Shiro Kanao 耐圧螺旋波形管
JPH0658158B2 (ja) * 1988-12-27 1994-08-03 史朗 金尾 耐圧螺旋波形管
US5193588A (en) * 1988-12-27 1993-03-16 Shiro Kanao Pressure-resistant helical corrugated pipe
US5348051A (en) * 1992-01-24 1994-09-20 Kallenbach D H F Flexible swimming pool cleaner hose
JP3118579B2 (ja) * 1992-12-09 2000-12-18 金尾 茂樹 耐圧合成樹脂管
US6306235B1 (en) * 1997-10-16 2001-10-23 Nomaco, Inc. Spiral forme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186182B1 (en) * 1998-01-08 2001-02-13 Seongho Csp., Ltd. Double-walled spiral pipe
JP3355437B2 (ja) * 1998-06-08 2002-12-09 東拓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波形管
JP2001254876A (ja) * 2000-03-08 2001-09-21 Totaku Kogyo Kk 可撓性ホース
US7156127B2 (en) * 2001-12-17 2007-01-02 Flexible Technologies, Inc. Current carrying stretch hose
JP3954512B2 (ja) * 2002-04-26 2007-08-08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継手付管及びそれの製造装置
JP2005180609A (ja) * 2003-12-19 2005-07-07 Totaku Industries Inc 耐圧複合管
JP4568508B2 (ja) * 2004-02-23 2010-10-27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ホース
US7757720B1 (en) * 2005-06-14 2010-07-20 Pacific Roller Die Company, Inc. Ribbed spiral pipe
US7156128B1 (en) * 2005-06-21 2007-01-02 Kanaflex Corporation Synthetic resin pipe
US8820801B2 (en) * 2007-11-16 2014-09-02 Advanced Drainage System, Inc. Multi-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EP2098770A2 (en) * 2008-03-07 2009-09-09 Kanaflex Corporation Inc. Connector for a corrugated flexible tubing and tub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96B1 (ko) * 2020-06-26 2020-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회수법(sagd)에 적용되는 인젝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87698B1 (ko) * 2020-06-29 2020-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회수법(sagd)에 적용되는 매립관의 센터 고정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6008A2 (en) 2009-05-06
EP2056008A3 (en) 2010-04-21
US20090117302A1 (en)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5034A (ko) 금속 수지 복합관
JP2005180609A (ja) 耐圧複合管
JPH0479206B2 (ko)
CN101718375B (zh) 用于螺旋波纹形塑钢缠绕管的钢带增强复合带材
JP2009133474A (ja) 金属樹脂複合管
US9188254B2 (en) Unbonded flexible pipe
JP2008307784A (ja) 既設管ライニング用帯状体及びライニング方法
JPH0658158B2 (ja) 耐圧螺旋波形管
JPH02176291A (ja) 耐圧螺旋波形管
JPH0611076A (ja) 耐圧螺旋波形管
CN202349416U (zh) 强化金属树脂复合管
US20120018027A1 (en) Underwater conduit for fluid transport
CN102822583B (zh) 柔性的水软管
JP7048329B2 (ja) 帯状部材
JPH0250351B2 (ko)
JP5656971B2 (ja) 流体輸送用可撓管および流体輸送用可撓管の製造方法
EP0754112B1 (en) Fabricating steel pipe with an integrally formed liner
JP2014101643A (ja) 改修用二重ドレン及びそれを用いた横引き排水用のルーフドレン管の改修方法
JP2009005490A (ja) 電線保護管
JP4171991B2 (ja) 暗渠管
JP2003336244A (ja) 可撓性u字溝
JP2010031516A (ja) 谷樋用素材および谷樋の施工方法
JPH05118478A (ja) 可撓性複合樹脂管
JPH0537117Y2 (ko)
JP2010223409A (ja) 波付き管および波付き管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