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702A -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702A
KR20090032702A KR1020070098148A KR20070098148A KR20090032702A KR 20090032702 A KR20090032702 A KR 20090032702A KR 1020070098148 A KR1020070098148 A KR 1020070098148A KR 20070098148 A KR20070098148 A KR 20070098148A KR 20090032702 A KR20090032702 A KR 20090032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authoring
customize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우
이병탁
심재찬
송호영
김봉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2702A/ko
Priority to JP2008101409A priority patent/JP2009089350A/ja
Priority to US12/146,998 priority patent/US20090089354A1/en
Publication of KR2009003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측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이미지, 음악, 비디오 클립 등)와 저작정보를 전송하면, 맞춤형 저작 장치 측에서는 전송된 저작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맞춤형 콘텐츠로 저작하여 사용자 측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설정을 통해 맞춤형 콘텐츠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에 있어서,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측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여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사용자 저작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수단;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에 따라 저작하여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 수단; 상기 추출된 메타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생성 수단; 상기 생성된 맞춤형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하나의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 수단; 및 상기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작정보, 맞춤형 콘텐츠, 네트워크 기반, 메타데이터, 사용자 제작 콘텐츠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USER APPARATUS AND METHOD AND 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BASED ON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측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이미지, 음악, 비디오 클립 등)와 저작정보를 전송하면, 맞춤형 저작 장치 측에서는 전송된 저작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맞춤형 콘텐츠로 저작하여 사용자 측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설정을 통해 맞춤형 콘텐츠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대역 네트워크의 발달과 인터넷을 통한 개인 블로그 및 양방향 방송의 출현은 개인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급격한 양산을 가져오고 있다.
종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기술에서는 일반 사용자가 범용 영상 취득 장치로부터 얻은 정지영상이나 비디오 클립파일 등을 고가의 소프트웨어 편집 장치를 통해 직접 영상 편집하고 있으며 가공된 멀티미디어 동영상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본인의 컴퓨터 하드웨어 환경 내에 고가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후,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예외적으로, 네트워크 온라인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해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서비스가 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서비스는 네트워크 온라인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하지만, 일반적으로 홈페이지 제작이나 CD/DVD 타이틀 제작 정도의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다양한 특수효과와 자막 등을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개인적으로 고가의 소프트웨어를 구매해야 하는 어려움도 따른다.
종래 콘텐츠 저작 기술은 종래의 콘텐츠 저작 프로그램(예를 들어, 'Pinacle studio', 'Sony Vegas', 'Adobe Premiere'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러한 복잡한 콘텐츠 저작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숙지해야 하는 노력 및 시간이 필요하고 콘텐츠 저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는 노력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콘텐츠 저작 기술은 사용자 본인의 컴퓨터 하드웨어 환경 내에 고가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후 직접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므로 콘텐츠 저작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하드웨어를 사용자 단말에 따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콘텐츠 저작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 및 노력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콘텐츠 저작 기술은 새로운 콘텐츠 저작 기능을 위해서 새로운 저작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주기적으로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를 업데이트해야 하므로 콘텐츠 저작 프로그램의 초기 비용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 측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이미지, 음악, 비디오 클립 등)와 저작정보를 전송하면, 맞춤형 저작 장치 측에서는 전송된 저작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맞춤형 콘텐츠로 저작하여 사용자 측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설정을 통해 맞춤형 콘텐츠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측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이미지, 음악, 비디오 클립 등)와 저작정보를 전송하면, 맞춤형 저작 장치 측에서는 전송된 저작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맞춤형 콘텐츠로 저작하여 사용자 측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 수단;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저작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하기 위한 저작정보 설정 수단;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를 부호화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부호화 수단; 상기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수단; 상기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 측으로부터 전송된 맞춤형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 수단; 및 상기 수신된 맞춤형 데이터로부터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에 있어서,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측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여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사용자 저작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수단;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 이터를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에 따라 저작하여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 수단; 상기 추출된 메타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생성 수단; 상기 생성된 맞춤형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하나의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 수단; 및 상기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으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데이터 분석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호화 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단계;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저작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하는 저작정보 설정 단계;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를 부호화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부호화 단계; 상기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 단계; 및 상기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 측으로부터 전송된 맞춤형 데이터로부터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맞춤형 콘텐츠 저작 방법에 있어서,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측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여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사용자 저작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분석 단계;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에 따라 저작하여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 단계; 상기 추출된 메타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맞춤형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하나로 묶어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으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 측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이미지, 음악, 비디오 클립 등)와 저작정보를 전송하면, 맞춤형 저작 장치 측에서는 전송된 저작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맞춤형 콘텐츠로 저작하여 사용자 측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다수의 단말 환경을 수용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개인 창작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종래의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도 어렵고 값 또한 고가인 멀티미디어 편집 도구(예를 들면, Pinacle studio, Sony Vegas 또는 Adobe Premiere 등)를 굳이 사용하지 않고도, 콘텐츠 브라우저 환경 내에서 간단히 특수효과, 자막, 배경음악 등의 옵션을 선택하기만 하면 원격지의 서버에서 자동으로 멀티미디어 편집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문적인 영상 편집 지식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콘텐츠 저작을 위한 도구를 서버 환경에 둠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의 하드웨어 성능에 무관할 뿐더러, 사용자가 고가의 소프트웨어 편집 도구를 구매할 필요도 없고, 또한 주기적인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서버 환경에서 관리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어 저비용, 고효율의 최적 작업 환경이 구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개인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최근 유행이 되고 있는 UCC(User Created Contents: 사용자 제작 콘텐츠) 환경의 기반 콘텐츠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의 고부가가치 산업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 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와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를 포함한다.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는 가입자 단에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사용자 저작정보를 함께 부호화하여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에 전송하고,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로부터 전송받은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입자 단의 사용자에 브라우징한다.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는 퍼스널 컴퓨터(PC)나 가입자 단말장치(STB: Set-top Box)를 통해 음악이나 정지영상 및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원격지의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로 전송한다.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는 영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원격지의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에 전송함으로써, 이에 상응하는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원격지의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는 가입자 단의 사용자가 카메라나 비디오 장치로부터 취득된 영상물을 고가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장치를 통해 직접 편집하 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함이다.
이때,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몇 개의 옵션만을 선택하여 개인형 맞춤형 콘텐츠를 손쉽게 저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맞춤형 콘텐츠 저작 시 영상 간의 특수효과, 자막 입력 기능, 새로 저작된 멀티미디어의 음악 삽입기능, 기존 영상 클립의 음악 제거 기능 등을 제공한다.
한편,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는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개인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로 저작하고 저작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가입자 단의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는 가입자 단의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 데이터를 편집하여 새로운 멀티미디어 파일 즉,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에 전송한다.
또한,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는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객체들 간의 특수효과, 자막, 배경음악 삽입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는 맞춤형 데이터의 객체를 합성하고 새로 합성된 맞춤형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는 맞춤형 콘텐츠를 저작하여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로 전송(예를 들어, 스트리밍 다운로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력부(210), 저작정보 설정부(220), 데이터 부호화부(230), 데이터 송신부(240), 데이터 수신부(250), 데이터 출력부(260), 및 데이터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작정보 설정부(220)는 특수효과 조정부(221), 시간 조정부(222), 및 자막 편집부(223)를 포함한다.
이하,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력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영상 취득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비디오 장치 등)로부터 취득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정지영상, 동영상 클립 또는 배경음악 등)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대상 콘텐츠 객체이다.
그리고 저작정보 설정부(22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저작하고자 하는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저작정보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저작정보 설정부(22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작할 때 입력하고자 하는, 영상 간의 특수효과, 자막 또는 멀티미디어의 음악, 제거하고자 하는 영상 클립의 음악에 대한 사용자 저작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저작정보 설정부(220)를 통해 브라우저 환경에서 복수 개의 옵션만을 선택하여 사용자 저작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맞춤형 콘텐츠(개인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쉽게 저작하기 위함이다.
저작정보 설정부(220)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특수효과 조정부(221)는 멀티미 디어 데이터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서로 다른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연결 방식에 따른 다양한 특수효과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그리고 시간 조정부(222)는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 간에 특수효과를 삽입할 때, 특수효과의 시간 간격에 대한 시간조정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자막 편집부(223)는 새로 합성될 맞춤형 콘텐츠에 삽입하고자 하는 자막삽입정보(예를 들어, 자막, 자막의 삽입 지점, 삽입 기간 등)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즉, 사용자 저작정보에는 이러한 특수효과정보, 시간조정정보, 자막삽입정보 등이 포함된다.
한편, 데이터 부호화부(2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저작정보 설정부(220)에서 설정된 저작정보를 압축 부호화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송신부(240)는 데이터 부호화부(230)에서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로 전송한다.
이후, 데이터 수신부(250)는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맞춤형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이어서, 데이터 출력부(260)는 데이터 수신부(250)에서 수신된 맞춤형 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브라우징한다. 데이터 출력부(260)는 맞춤형 데이터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때, 파일 저장부(270)는 데이터 수신부(250)에서 수신된 맞춤형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저장 장치에 저장한다. 파일 저장부(270)는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에서 저작된 맞춤형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나 셋톱박스 등의 단말기에 저장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는, 데이터 수신부(310), 데이터 분석부(320), 복호화부(330),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 메타데이터 생성부(350), 다중화부(360), 및 데이터 송신부(37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310)는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콘텐츠 데이터 스트림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사용자 저작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에서 부호화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고, 객체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320)는 데이터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여 콘텐츠 종류(예를 들면, 일련의 정지영상 스트림, 비디오클립 스트림 또는 음악 스트림 등)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분류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320)는 분류된 콘텐츠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한다.
복호화부(330)는 데이터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으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복호화하여 데이터 분석부(320)로 전달한다. 예 를 들면, 복호화부(330)는 콘텐츠 데이터가 압축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이면 비압축 영상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콘텐츠 데이터가 동영상 클립이면 동영상 클립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복호화한다.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는 데이터 분석부(320)에서 분류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저작정보에 따라 저작하여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는 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저작정보에 따라 편집하여(예를 들면, 자막, 음악, 특수효과를 삽입함.) 하나의 합성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맞춤형 데이터로 부호화한다. 예를 들어,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는 멀티미디어 영상 데이터 간에 특수효과를 삽입하거나, 음악 또는 자막을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합성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의 구성요소 각각을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메타데이터 생성부(350)는 데이터 분석부(320)에서 추출된 영상의 메타데이터와 사용자 저작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맞춤형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부호화한다. 여기서, 사용자 저작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각종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다중화부(360)는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에서 생성된 맞춤형 데이터와, 메타데이터 생성부(350)에서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하나로 묶어 하나의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한다.
데이터 송신부(370)는 다중화부(360)에서 다중화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송신부(370)는 스트림 형태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는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 저작정보 입력부(412) 및 부호화부(4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작정보 입력부(412)는 시간 조절부(4121), 자막 입력부(4122), 및 특수효과 선택부(4123)를 포함한다.
저작정보 입력부(412)는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에 입력된 저작정보를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로 전달한다. 여기서, 저작정보 입력부(412)는 데이터 분석부(32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저작정보,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에 기본적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기본 저작정보, 또는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에서 기입력되어 있는 저작정보 중 임의로 선택된 임의 저작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저작정보들 중 어느 하나의 저작정보를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로 전달한다.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는 데이터 분석부(320)에서 분류된 다양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작정보 입력부(412)로부터 전달된 저작정보에 따라 특수효과, 시간, 자막 등을 삽입하거나 제거하는 편집과정을 통해 하나의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는 데이터 분석부(32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정지영상인 경우, 정지 영상 간 특수효과 삽입, 영상 간 시간 설정, 프레임 단위의 자막 삽입 등의 과정을 수행하고 배경음악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는 데이터 분석부(32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영상이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저작정보에 배경음악파일이 포함되어 있으면, 각 객체 동영상 클립에서의 배경음악을 제거하고 각 클립 영상을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로 합성한 후, 전송된 배경음악파일을 합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추가하여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는 사용자 저작정보에 배경음악파일을 따로 포함되지 않고 동영상 클립에 대한 배경음악의 보존 또는 제거 옵션만이 선택된 경우에, 배경음악의 보존 또는 제거 선택에 따라 객체 동영상 클립에서의 배경음악을 보존하거나 제거한다. 이후,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는 동영상 간 특수효과 삽입 및 영상 간 시간설정, 프레임 단위의 자막 삽입 등의 절차를 거쳐 멀티미디어 동영상을 합성한다. 이 합성 과정에는 정지영상에서의 합성과 마찬가지로 동영상 간 특수효과 삽입 및 영상 간 시간설정, 프레임 단위의 자막 삽입 등의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자막 입력부(4122)는 새로운 동영상의 합성 시, 삽입될 자막에 관한 자막삽입정보를 데이터 분석부(320)로부터 입력받아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로 전달한다.
시간 조절부(4121)는 영상 간 특수효과의 지속시간 설정에 관한 시간조정정보를 데이터 분석부(320)로부터 입력받아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로 전달한다.
특수효과 선택부(4123)는 서로 다른 영상 데이터를 하나로 이어 붙여 편집할 때에 영상 간 다양한 장면 전환을 위해 필요한 특수효과의 삽입에 관한 특수효과정보를 데이터 분석부(320)로부터 입력받아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로 전달한다.
전술한 대로 특수효과정보, 시간조정정보, 자막삽입정보 등이 포함된 저작정보는 데이터 분석부(3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전송받은 사용자 저작정보이거나, 서버 측에서 기본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기본 저작정보이거나, 또는 서버 측에서 기입력되어있는 것 중 임의로 선택된 임의 저작정보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즉, 시간 조절부(4121), 자막 입력부(4122), 및 특수효과 선택부(4123)는 데이터 분석부(320)로부터 저작정보를 입력받거나, 기본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저작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기입력되어있는 것 중 임의로 선택된 임의 저작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부호화부(413)는 맞춤형 데이터 생성부(411)에서 생성된 맞춤형 콘텐츠를 압축하여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맞춤형 콘텐츠를 다중화부(360)로 전달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서의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력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영상 취득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비디오 장치 등)로부터 취득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정지영상, 동영상 클립 또는 배경음악 등)를 입력받는다(502).
그리고 저작 정보 설정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저작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504).
저작 정보 설정부(220)는 상기 확인 결과(504), 사용자 저작정보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저작정보를 이용해 저작환경(예를 들면, 특수효과, 자막, 시간 설정)을 설정한다(506). 반면에, 저작 정보 설정부(220)는 상기 확인 결과(504), 사용자로 저작정보가 없는 경우에 "508" 과정부터 수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부호화부(2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저작정보 설정부(220)에 입력된 저작정보를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하고 다중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부호화한다(508).
이어서, 데이터 송신부(240)는 데이터 부호화부(230)에서 부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로 송신한다(510).
이후, 데이터 수신부(250)는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맞춤형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맞춤형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는 파일의 저장 여부에 따라(512),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될 수 있다(516).
상기 저장 여부의 확인 결과(512),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에 데이터 출력부(260)는 송신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514).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데이터 수신부(310)는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콘텐츠 데이터에는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사용자 저작정 보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분석부(320)는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여(602) 콘텐츠 종류(예를 들면, 일련의 정지영상 스트림, 비디오클립 스트림 또는 음악 스트림 등)에 따라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류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추출한다.
데이터 분석부(320)는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604).
상기 확인 결과(604),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데이터 분석부(320)에서 분류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저작정보에 따라 저작 및 부호화하여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한다(606). 즉,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는 데이터 분석부(320)에서 분류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객체 데이터를 사용자 저작정보를 이용해 편집하여 자막, 음악, 특수효과를 삽입하고 하나의 합성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부호화한다. 예를 들어,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는 분류된 멀티미디어 영상 데이터 간에 특수효과를 삽입하거나, 음악 또는 자막을 합성한다.
한편, 확인 결과(604), 복호화부(608)는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한다(606). 예를 들면, 복호화부(608)는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음성을 제거하거나 영상 클립을 추출한다. 이어서, "606" 과정부터 수행한다.
그리고 다중화부(360)는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340)에서 생성된 맞춤형 데 이터와, 메타데이터 생성부(350)에서 생성된 새로운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묶어 하나의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한다. 데이터 송신부(370)는 다중화부(360)에서 다중화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110)로 전송한다(61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서의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120: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
210: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력부 220: 저작정보 설정부
230: 데이터 부호화부 240: 데이터 송신부
250: 데이터 수신부 260: 데이터 출력부
270: 데이터 저장부 310: 데이터 수신부
320: 데이터 분석부 330: 복호화부
340: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부 350: 메타데이터 생성부
360: 다중화부 370: 데이터 송신부

Claims (19)

  1.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 수단;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저작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하기 위한 저작정보 설정 수단;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를 부호화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부호화 수단;
    상기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수단;
    상기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 측으로부터 전송된 맞춤형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 수단; 및
    상기 수신된 맞춤형 데이터로부터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정보 설정 수단은,
    상기 입력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연결되는 특수효과에 관한 특수효과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하기 위한 특수효과 조정 수단;
    상기 특수효과가 삽입되는 시간 간격에 대한 시간조정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하기 위한 시간 조정 수단; 및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삽입하고자 하는 자막에 대한 자막삽입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하기 위한 자막 편집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정보 설정 수단은,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작환경에 대한 저작 옵션정보만을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4.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에 있어서,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측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여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사용자 저작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수단;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에 따라 저작하여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 수단;
    상기 추출된 메타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생성 수단;
    상기 생성된 맞춤형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하나의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 수단; 및
    상기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으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데이터 분석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호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 수단은,
    저작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저작정보 입력 수단;
    상기 입력된 저작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작하여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맞춤형 데이터 생성 수단; 및
    상기 생성된 맞춤형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정보 입력 수단은,
    상기 데이터 분석 수단에서 분류된 사용자 저작정보, 또는 기설정되어 있는 기본 저작정보, 또는 기입력된 저작정보 중 임의로 랜덤하게 선택된 기입력된 저작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정보는,
    특수효과정보, 시간조정정보, 및 자막삽입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콘텐츠 각각의 유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에 포함된 저작 옵션정보와 기설정된 저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장치.
  11.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단계;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저작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하는 저작정보 설정 단계;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를 부호화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부호화 단계;
    상기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 단계; 및
    상기 맞춤형 콘텐츠 저작 장치 측으로부터 전송된 맞춤형 데이터로부터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서의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정보 설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연결되는 특수효과에 관한 특수효과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하는 특수효과 조정 단계;
    상기 특수효과가 삽입되는 시간 간격에 대한 시간조정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하는 시간 조정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삽입하고자 하는 자막에 대한 자막삽입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하는 자막 편집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서의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정보 설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작환경에 대한 저작 옵션정보만을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에서의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14. 맞춤형 콘텐츠 저작 방법에 있어서,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측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여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사용자 저작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분석 단계;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에 따라 저작하여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 단계;
    상기 추출된 메타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맞춤형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하나로 묶어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맞춤형 콘텐츠 사용자 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으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데이터 부호화 단계는,
    특수효과정보, 시간조정정보, 및 자막삽입정보를 포함하는 저작정보를 입력받는 저작정보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저작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작하여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맞춤형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맞춤형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정보 입력 단계는,
    상기 데이터 분석 단계에서 분류된 사용자 저작정보, 또는 기설정되어 있는 기본 저작정보, 또는 기입력된 저작정보 중 임의로 랜덤하게 선택된 기입력된 저작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콘텐츠 각각의 유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저작정보에 포함된 저작 옵션정보와 기설정된 저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 방법.
KR1020070098148A 2007-09-28 2007-09-28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32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148A KR20090032702A (ko) 2007-09-28 2007-09-28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JP2008101409A JP2009089350A (ja) 2007-09-28 2008-04-09 ネットワーク基盤のカスタマイズ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ユーザ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著作装置及びその方法
US12/146,998 US20090089354A1 (en) 2007-09-28 2008-06-26 User device and method and autho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based 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148A KR20090032702A (ko) 2007-09-28 2007-09-28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702A true KR20090032702A (ko) 2009-04-01

Family

ID=4050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148A KR20090032702A (ko) 2007-09-28 2007-09-28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89354A1 (ko)
JP (1) JP2009089350A (ko)
KR (1) KR200900327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3116B2 (ja) * 2008-11-12 2011-05-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US9219945B1 (en) * 2011-06-16 2015-12-22 Amazon Technologies, Inc. Embedding content of personal media in a portion of a frame of streaming media indicated by a frame identifier
KR101929484B1 (ko) 2012-04-23 2018-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866074B2 (en) 2021-04-19 2024-01-09 Shiloh Williams Belly dump trailer with conveyors for moving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0107A (en) * 1971-10-27 1973-07-31 Sci Tek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haracters on a real time basis
US5526398A (en) * 1993-05-04 1996-06-11 Motorola, Inc. Method of operating a combination radiotelephone and paging device
US5675752A (en) * 1994-09-15 1997-10-07 Sony Corporation Interactive applications generator for an interactive presentation environment
JP3577794B2 (ja) * 1995-07-18 2004-10-1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復号化装置
US20010020244A1 (en) * 1996-11-15 2001-09-06 Charles E. Belanger Remote home page authoring system
JP3419645B2 (ja) * 1997-03-14 2003-06-2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動画像編集方法
US6307849B1 (en) * 1997-09-08 2001-10-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forward traffic channel power allocation during soft handoff
WO1999031663A1 (fr) * 1997-12-17 1999-06-24 Sony Corporation Dispositif pour generer une liste de montage, procede et dispositif de montage
US7020381B1 (en) * 1999-11-05 2006-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for combin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to generate a series of edited motion video image data
US6523046B2 (en) * 2000-02-25 2003-02-18 Microsoft Corporation Infra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generic multimedia metadata
GB2380599B (en) * 2000-12-22 2003-10-29 Kent Ridge Digital Labs System and method for media production
US7363372B2 (en) * 2001-02-06 2008-04-22 Mtvn Online Partners I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delivered to a user over a network
WO2002075640A2 (en) * 2001-03-19 2002-09-26 Soundpix, Inc.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data in jpeg files
JP3601710B2 (ja) * 2001-10-12 2004-12-15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再生装置および記憶媒体
US7046664B2 (en) * 2001-10-17 2006-05-16 Broadcom Corporation Point-to-multipoint network interface
US7287222B2 (en) * 2002-01-31 2007-10-23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determines effectiveness of metadata for editing information content
US8611919B2 (en) * 2002-05-23 2013-12-17 Wounder Gmbh.,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 mobile e-commerce
US7236960B2 (en) * 2002-06-25 2007-06-26 Eastman Kodak Company Software and system for customizing a presentation of digital images
US20040117822A1 (en) * 2002-12-11 2004-06-17 Jeyhan Karaoguz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media program production in a media exchange network
JP4125140B2 (ja) * 2003-01-21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040226048A1 (en) * 2003-02-05 2004-11-11 Israel Alpert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tributing multi-media output
US20060210245A1 (en) * 2003-02-21 2006-09-21 Mccrossan Joseph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utilizing audio visual data
JP3677779B2 (ja) * 2003-04-04 2005-08-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611283B2 (en) * 2004-01-28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using a single channel to provide acknowledgement and assignment messages
US20050226601A1 (en) * 2004-04-08 2005-10-13 Alon Coh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n effect to a media presentation
US20050286863A1 (en) * 2004-06-23 2005-12-29 Howarth Rolf M Reliable capture of digital video images for automated indexing, archiving and editing
JP2006041886A (ja) * 2004-07-27 2006-02-0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200957B2 (ja) * 2004-09-09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切り換え装置及び画像切り換え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60114327A1 (en) * 2004-11-26 2006-06-01 Fuji Photo Film, Co., Ltd. Photo movie creat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0728929B1 (ko) * 2004-12-27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캡션을 이용한 개인적인 데이터 삽입 장치 및 그방법
US7715586B2 (en) * 2005-08-11 2010-05-11 Qurio Holdings, Inc Real-time recommendation of album templates for online photosharing
US20080193100A1 (en) * 2007-02-12 2008-08-14 Geoffrey King Baum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dits to online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89354A1 (en) 2009-04-02
JP2009089350A (ja)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9262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quipment Based on Data Transferred In-Band in Video via Optically Encoded Images
JP6081541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CN106471574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US8542868B2 (en) Embedding interactive data into an audiovisual content by watermarking
CN101120590B (zh) 现场提交数字信号的方法
CN103988520B (zh) 接收装置、控制接收装置的方法、分发装置、分发方法、分发***
JP2009521169A (ja) コンテンツストリームから決定されたフィンガープリントを使用したスクリプト同期
JP723894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3260075A (zh) 接收设备和字幕处理方法
KR101257386B1 (ko) 통합 멀티미디어 파일 구조를 이용한 3d 멀티미디어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5049896A (zh) 一种基于hls协议的流媒体广告***方法及***
KR100837721B1 (ko) 개인화된 디지털 방송 콘텐츠의 소비를 위한 통합 형식인코딩 장치와, 이의 디코딩 장치 및 인코딩 방법
KR20090032702A (ko)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KR100908144B1 (ko) 멀티미디어 편집/재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575517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02086760A1 (fr) Appareil de creation de metadonnees et procede de creation de metadonnees
WO200607993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gital program broadcasting, recording and playback
KR101324427B1 (ko) 장면 기술자를 이용하여 mpeg-2 전송스트림을 포함하는 콘텐츠 저작/재생 장치 및 방법
de Oliveira et al. Digital TV based sign language avatar
US20110110641A1 (en) Method for real-sense broadcasting service using device cooperation, production apparatus and play apparatus for real-sense broadcasting content thereof
US202400864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197225B1 (ko) Epg 정보 삽입 및 추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epg 정보 삽입 및 추출 방법
KR20110117568A (ko) 멀티미디어 전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발견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파일 구조
KR10107918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컨텐츠 저장 방법
Dunker et al. Personal television: A synchronized metadat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