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056A -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056A
KR20090025056A KR1020070090104A KR20070090104A KR20090025056A KR 20090025056 A KR20090025056 A KR 20090025056A KR 1020070090104 A KR1020070090104 A KR 1020070090104A KR 20070090104 A KR20070090104 A KR 20070090104A KR 20090025056 A KR20090025056 A KR 20090025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roadcast signal
channel
output
media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056A/ko
Priority to US12/118,041 priority patent/US20090064263A1/en
Publication of KR2009002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에도 데이터 방송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소정 채널의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현재 출력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에 머지시켜 출력하는 머지부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 장치, 데이터 방송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therein}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에도 데이터 방송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방송에 관한 논란이 종식되면서, 디지털 방송을 송출하는 각 방송사에서는 디지털 방송으로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시험방송을 하고 있다. 그 중에서 눈에 띄는 것이 데이터 방송 기능이다. 데이터 방송이라 함은 오디오 및 비디오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 기준 규격인 ATSC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데이터 방송 규격을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출하고 이를 데이터 방송 수신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 단말기(TV 또는 셋톱박스)에서 수신하여 적절한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ATSC에서는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이란 이름으로 케이블과 지상파의 데이터 방송 콘텐츠가 호환되도록 한 북미지상파 DTV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표준을 확립하였으며, 각 제조업체에서는 이에 맞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개발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 혹은 녹화된 컨텐츠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데이터 방송에 함께 전달되는 데이터를 보는 기능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시청자는 녹화된 드라마 컨텐츠를 보려고 한다. 그런데, 현재 국회의원 선거 개표가 진행되고 있다. 선거 개표 현황은 소정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방송 컨텐츠에 데이터로 포함되어 전송이 되고 있으며, 시청자는 녹화된 드라마와 선거 개표 현황을 동시에 보기를 원한다. 그러나, 현 상황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만족시킬 기술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에도 데이터 방송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소정 채널의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현재 출력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에 머지시켜 출력하는 머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은, 소정 채널의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현재 출력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에 머지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에 따르면, 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에도 데이터 방송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 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방송 수신 장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디지털 TV, 셋탑박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0)와, 수신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0)와, 처리된 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30)와, 방송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32)와, 출력부(30)에 출력되고 있는 방송 신호를 녹화하기 위한 녹화 처리부(34)와, 추출된 데이터와 현재 출력부(30)에 출력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를 머지(merge)시키는 머지부(36)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38)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를 포함한다.
수신부(1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혹은 기설정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튜닝한다.
신호 처리부(20)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22)와, 복조된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24)와, 역다중화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디코딩부(26)(예를 들면, 비디오 디코더, 오디오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22)에 의해 복조되어 얻어지는 방송 신호 스트림은 역다중화부(24)로 출력된다. 역다중화부(24)는 입력되는 방송 신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로 각각 분리한다. 즉, 상기 복조된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형태로 다중화되어 있으므로 역다중화하여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는 화면 상에 그래픽 혹은 문자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데이터 캐루젤(carousel)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 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데이터 캐루젤 방식의 경우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호환 방송망 상에서 데이터 모듈을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수신기에서 데이터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는 데이터 방송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데이터인 뉴스 정보, 기상 정보, 교통 정보, 홈쇼핑 정보, 증권 정보, 긴급 속보 등과 실시간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데이터도 적용 가능하다.
역다중화부(24)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디코더로 출력되고, 오디오 디코더는 압축된 오디오 신호를 원래의 오디오 신호로 복원한 후 출력부(30)(예를 들면, 스피커)로 출력한다. 또한, 역다중화부(24)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디코더로 출력되고, 비디오 디코더는 압축된 비디오 신호를 원래의 비디오 신호로 복원한 후 출력부(30)(예를 들면, 화면)에 표시한다.
추출부(32)는 역다중화부(24)에 의해 분리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컨텐츠화시킨다. 즉, 상기 데이터는 헤더 부분(예컨대, 신호의 시작을 알려주는 정보, 다음에 오는 페이로드 부분에 실려 있는 정보를 알 수 있는 패킷 인식 번호 등이 실려 있음)과 페이로드 부분(순수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된 데이터 스트림 형태이므로 상기 순수 데이터 성분만을 추출한 후 하나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조각들을 묶어서 이를 하나의 컨텐츠(이하, "데이터 컨텐츠"라 칭함)로 만든다.
추출부(32)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컨텐츠는 비디오 디코더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함께 화면에 표시되거나 후술할 머지부(36)로 출력된 다. 여기서, 데이터 컨텐츠가 비디오 디코더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함께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는 데이터 방송이 출력부(30)에 출력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한편, 머지부(36)로 출력되는 데이터 컨텐츠는 사용자의 데이터 추출 명령 입력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데이터 추출 명령 입력은 데이터가 추출될 채널 정보에 대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데이터가 추출될 채널 정보를 채널 5로 설정하였을 때, 추출부(32)는 채널 5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컨텐츠화시킨다. 이를 위해, 데이터 추출 명령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한 리모컨,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방송 수신 장치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이렇게 출력되는 방송 신호는 녹화 처리부(34)에 의해 녹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녹화된 방송 신호는 각각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로 분리되어 내부나 외부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녹화된 방송 신호의 재생을 요청할 경우, 제어부(38)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방송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부(26)를 통해 디코딩하도록 한다. 디코딩된 방송 신호는 출력부(30)로 출력된다. 물론, 제어부(38)는 녹화된 방송 신호의 재생 요청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망)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혹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 등의 재생 요청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녹화된 방송 신호,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혹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 등을 통칭하여 "재생 컨 텐츠"라 칭하기로 한다.
머지부(36)는 재생 컨텐츠와 데이터 컨텐츠를 머지(merge)하여 출력한다. 이 때, 도 2와 같이 재생 컨텐츠(42) 상에 데이터 컨텐츠(44)를 PIP(Picture In Picture)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재생 컨텐츠(42)를 보고 있는 중에도 데이터 컨텐츠(44)를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는 재생 컨텐츠(42)를 주화면에, 데이터 컨텐츠(44)를 부화면에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데이터 컨텐츠(44)를 주화면에, 재생 컨텐츠(42)를 부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두 가지 경우의 상호 변경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 컨텐츠(44)를 부화면에서 주화면으로, 혹은 주화면에서 부화면으로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재생 컨텐츠를 보고 있는 중에, PIP로 표시되는 데이터 컨텐츠를 더 크게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컨텐츠를 주화면으로 표시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재생 컨텐츠와 데이터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때 PIP로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과 같이 화면을 소정 방향(예를 들면, 가로 혹은 세로 방향)을 따라 소정 비율로 분할하여 재생 컨텐츠(42)와 데이터 컨텐츠(44)를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 다양한 화면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 또는 데이터 컨텐츠를 비표시로 선택하는 경우, 또는 데이터 컨텐츠 표시 완료 후에는 재생 컨텐츠 화면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머지부(36)는 데이터 컨텐츠가 재생 컨텐츠와 머지되는 것으로 상술하 였으나, 소정 채널의 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출력부(30)로 출력되고 있는 경우, 상기 채널과 다른 채널의 방송 신호에서 데이터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 컨텐츠를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와 머지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38)는 사용자로부터 시청할 채널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수신부(10), 신호 처리부(20)를 제어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 신호의 경우, 추출부(32)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 컨텐츠도 함께 출력부(30)에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8)는 녹화 명령을 입력받으면, 현재 출력부(30)에 출력되고 있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저장 매체에 저장하도록 녹화 처리부(34)를 제어한다.
제어부(38)는 데이터가 추출될 채널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입력된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컨텐츠화하도록 수신부(10), 신호 처리부(20) 및 추출부(32)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8)는 머지부(36)를 제어하여 추출부(32)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컨텐츠를 재생 컨텐츠(혹은 실시간 방송 컨텐츠)와 머지시켜 출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기에 앞서, 출력부(30)에는 재생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재생 컨텐츠를 보고 있는 중에(S10), 날씨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데이터 추출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데이터가 추출 될 채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 정보가 채널 10에서 수신된다고 하자.
사용자가 데이터가 추출될 채널 정보로서 채널 10을 입력하게 되면(S20), 추출부(32)는 채널 10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서 날씨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컨텐츠화시킨다(S30).
날씨 정보에 관한 데이터 컨텐츠는 머지부(36)에 출력되고, 머지부(36)는 날씨 정보에 관한 데이터 컨텐츠와 현재 재생 컨텐츠를 머지시켜 출력부(30)에 출력한다(S40).
이에, 사용자는 재생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동시에 날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추출부(32)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 컨텐츠는 저장되어 추후 사용자 필요에 따라 재표시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데이터의 화면 출력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신부 20 : 신호 처리부
22 : 복조부 24 : 역다중화부
26 : 디코딩부 30 : 출력부
32 : 추출부 34 :녹화 처리부
36 : 머지부 38 : 제어부
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4)

  1. 소정 채널의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현재 출력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에 머지시켜 출력하는 머지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는 녹화된 방송 신호,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혹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 상기 채널과 다른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화면 상에 그래픽 혹은 문자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데이터 캐루젤(carousel)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지부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컨텐츠 상에 PIP(Picture In Picture) 형태 혹은 화면을 소정 방향을 따라 소정 비율로 분할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데이터를 함께 출력하도록 하는, 방송 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추출된 데이터의 출력 위치가 변경되는, 방송 수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지부는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 또는 상기 데이터를 비표시로 선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데이터의 표시 완료 후에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만이 출력되도록 하는, 방송 수신 장치.
  8. 소정 채널의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현재 출력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에 머지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는 녹화된 방송 신호,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혹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 상기 채널과 다른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채널의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화면 상에 그래픽 혹은 문자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데이터 캐루젤(carousel)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머지시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컨텐츠 상에 PIP(Picture In Picture) 형태 혹은 화면을 소정 방향을 따라 소정 비율로 분할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데이터를 함께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추출된 데이터의 출력 위치가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 또는 상기 데이터를 비표시로 선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데이터의 표시 완료 후에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만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KR1020070090104A 2007-09-05 2007-09-05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KR20090025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104A KR20090025056A (ko) 2007-09-05 2007-09-05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US12/118,041 US20090064263A1 (en) 2007-09-05 2008-05-09 Broadcast-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data by a broadcast-recei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104A KR20090025056A (ko) 2007-09-05 2007-09-05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056A true KR20090025056A (ko) 2009-03-10

Family

ID=4040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104A KR20090025056A (ko) 2007-09-05 2007-09-05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64263A1 (ko)
KR (1) KR200900250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49400B (zh) * 2008-07-15 2014-08-11 Alpha Imaging Technology Corp 手持式電子通訊裝置及其影像處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3356B2 (ja) * 1995-05-26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5815297A (en) * 1995-10-25 1998-09-2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Infrared interface and control apparatus for consumer electronics
KR19980013676A (ko)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텔레비젼의 방송 자동 표시장치
JP3360548B2 (ja) * 1996-10-25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US6097383A (en) * 1997-01-23 2000-08-0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Video and audio functions in a web television
JP4568469B2 (ja) * 2000-03-17 2010-10-27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2つの異なるビデオプログラムを同時に記録及び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493038B1 (en) * 2000-06-21 2002-1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window pip television with the ability to watch two sources of video while scann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030163832A1 (en) * 2000-06-26 2003-08-28 Yossi Tsuria Time shifted interactive television
US20050210145A1 (en) * 2000-07-24 2005-09-22 Vivcom, Inc. Delivering and processing multimedia bookmark
US7096489B2 (en) * 2000-08-28 2006-08-22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7836476B2 (en) * 2000-10-30 2010-11-16 Sony Corporation Contents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contents on recording medium
US6903779B2 (en) * 2001-05-16 2005-06-07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lated components of a media stream that has been transmitted over a computer network
KR100710290B1 (ko) * 2003-11-29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디코딩 장치 및 방법
JP4369263B2 (ja) * 2004-03-12 2009-11-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信号生成方法
KR100631610B1 (ko) * 2004-11-26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합성장치 및 방법
CA2592508C (en) * 2005-01-11 2017-05-02 Yakkov Merli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oggling between internet and tv broadcasts
US20070079335A1 (en) * 2005-09-30 2007-04-05 Mcdonough John C Generating an alert signal for use with digital video recorders
KR100763385B1 (ko) * 2005-12-12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신호 출력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4263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317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25397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한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20080060818A (ko) 데이터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데이터 방송 신호를처리하는 방법
KR100507808B1 (ko) 디지털 티브이용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에서이티티정보 존재여부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20070013788A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채널 정보 정렬 방법
EP235958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broadcasting thereof
JP2006217662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90025056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방법
KR20070014333A (ko)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0288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JP4357588B1 (ja) 録画装置および録画装置の制御方法
KR10152069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40098852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전환시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0793757B1 (ko) 다양한 epg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KR20080054181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JP2015159363A (ja) 受信機及び放送システム
JP200102495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025212B1 (ko)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시 선호 채널 팝업창 표시 시스템 및방법
KR20090002810A (ko) 데이터방송에서의 방송 저장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20100073344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00066445A (ko) 디지털 티브이의 캡션정보 저장/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774188B1 (ko) Tv 수신장치 및 이를 위한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EP2312836A2 (en) Broadcast receiver and multi-screen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KR100701308B1 (ko) 슬라이드식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제공 방법
JP2006050507A (ja) ディジタル放送内容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