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293A -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293A
KR20090016293A KR1020070080825A KR20070080825A KR20090016293A KR 20090016293 A KR20090016293 A KR 20090016293A KR 1020070080825 A KR1020070080825 A KR 1020070080825A KR 20070080825 A KR20070080825 A KR 20070080825A KR 20090016293 A KR20090016293 A KR 20090016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external device
portable terminal
multimedia conten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표
김인숙
문민권
최재영
임혜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6293A/ko
Priority to US12/184,085 priority patent/US20090042608A1/en
Publication of KR2009001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된 각종 오디오 파일 및 동영상 파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 THERETO}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된 각종 오디오 파일 및 동영상 파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최근에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외부로부터 휴대 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직접 접속하 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가 예컨대 일반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외부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와 외부기기는 여러 가지 연결 모드들 중 어느 하나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휴대단말기와 외부기기가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었음에도 휴대단말기와 외부기기에서 제공될 수 있는 연결모드가 서로 달라서 서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기 사용에 능숙하지 못한 사용자는 휴대단말기 및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이 난 것으로 착각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와 이에 연결되는 외부기기 간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가 더욱 용이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휴대단말기와 이에 연결되는 외부기기 간에 연결 모드가 확립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용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인터페이스부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외부기기에 연결될 때, 상기 외부기기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protocol mode)를 지원하지 않으면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non 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protocol mode)로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는 MTP(Media Transfer Protocol)을 포함한다.
상기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는 대용량 저장 모드 및 데이터 서비스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외부 기기 연결 방법를 제공한다. 상기 외부기기 연결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기기 연결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protocol mode)를 지원하지 않으면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non 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protocol mode)로 연결되는 연결 모드 결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가 외부기기에 예컨대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로 연결이 시도된 경우에 상기 외부기기의 소프트웨어적인 사양 부족으로 연결이 실패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외부기기에 적합한 다른 연결 모드로 다시 연결 시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이유로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외부기기 간의 연결이 실패될 때, 단말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기기의 소프트웨어적인 사양 부족으로 연결이 실패되었음을 안내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 및/또는 상기 외부기기의 기기 결함이 있는 것은 아님을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방송수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l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본 발명이 모바일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될 용어들 중 일부에 대해 먼저 정의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라 함은, 음향·문자·그림·동영상 등이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되어 구성된 매체로 이루어진 각종 정보를 의미한다.
"동기화"라 함은,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외부기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전 분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자동으로 공유될 수 있도록, 기기 간에 서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내용적 및/또는 시간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라 함은,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에 연결되었을 때 상호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모드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안한 MTP(Media Transfer Protocol) 모드가 있다.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라 함은, 휴대단말기와 외부기기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를 제외한 모든 연결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몰 모드"는 대용량 저장 모드 및 데이터 서비스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대용량 저장 모드의 예로는 UMS(USB(Universial Serial Bus) Mass Storage)모드 등이 있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드의 예로는 PC 싱크(sync)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생략되거나,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 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단자, USB(Universial Serial Bus) 연결단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각종 신호(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포함)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종 신호(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는 예컨대 데스크탑, 노트북 또는 핸드헬드 컴퓨터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기기와, 전술한 바와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multimedia-content-management protocol mode) 또는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non-multimedia-content-management protocol mode에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될 때 반드시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Wi-Fi에 따른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해서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련 모드인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및/또는 관리와 관련된 UI,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60)는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들과,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 및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내장 또는 외장의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어부(180)과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100A)와, 제 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 1 바디(100A)가 제 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100A)가 제 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 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 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 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조작부(130-1)는 본 발명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 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 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조작부(130-1, 130-2, 130-3)는 도 1의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고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 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제 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제 3 조작부(130-3)는 사이드키의 형태로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 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 2 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 2 카메라모듈(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 2 카메라모듈(121-2)은 제 1 카메라모듈(121-1, 도 2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 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모듈(121-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 2 카메라모듈(121-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가 추가 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 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는 사용자가 제 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 2 음향출력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음향출력모듈(152-2)는 제 1 음향출력부(152-1,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 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 1 바디(100A)와 제 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 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 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 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 1 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 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 2 카메라모듈(121-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 1 카메라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 및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대해 실시예 별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이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임의 외부기기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의 USB 단자를 통해 USB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휴대 단말기와 임의 외부기기가 상기 USB 단자를 통해서만 연결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는 MTP 모드이고, 상기 대용량 저장 모드는 UMS 모드이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드는 PC 싱크 모드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계속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외부 기기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와 연결될 때 우선적으로 사용될 연결모드(이하, "우선 연결 모드"라고도 함)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와의 우선적 연결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적 상태도이다.
도 4의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200)에는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대기화면에서 "메뉴" 아이콘(210)을 선택하면 도 4의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 내의 각종 메뉴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메뉴" 아이콘(210)의 선택은 상기 조작부(130)의 해당 키조작(예를 들면, 해당 소프트키(미도시))을 통해 행해질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메뉴" 아이콘(210)을 직접 선택함으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200) 상에서 임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이하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가 도 4의 (4-2)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각종 메뉴 아이콘들 중에서 "setting" 메뉴 아이콘(220)를 선택하면, 도 4의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에는 상기 "setting" 메뉴의 하부 메뉴들에 대한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가 도 4의 (4-3)에서 디스플레이되는 "setting" 메뉴 의 하부 메뉴 아이콘들 중에서 "외부기기 연결" 메뉴 아이콘(230)을 선택하면, 도 4의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에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 메뉴의 하부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가 도 4의 (4-4)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 메뉴의 하부 메뉴들 중에서 "USB 연결 모드" 메뉴 아이콘(230)을 선택하면, 도 4의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에는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USB 연결될 때 사용될 수 있는 우선 연결 모드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하에서는 도 4의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선 연결 모드로서 MTP 모드가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계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우선 연결 모드 설정은 단말기 제조사에 의해 어느 한 연결 모드가 우선 연결 모드로 디폴트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외부 기기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상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외부 기기 연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와 우선 설정 모드로 연결이 성공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와 우선 설정 모드로 연결이 실패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도이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기기(300)에 USB 연결된다[S61].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도 7의 (7-1)에 도시된 대기 화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기기(300)와 우선 연결 모드 즉, MTP 모드로 연결 시도 중에 있음을 나타내는 도 7의 (7-2)의 화면으로 전환된다[S62].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외부기기(300) 간의 연결이 성공되면, 도 7의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에는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상기 외부기기(300)와 MTP 모드로 연결 중에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가 디스플레이된다[S63, S64].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외부기기(300) 간의 연결이 실패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상기 휴대단말기(100) 및/또는 상기 외부기기(300) 자체 결함에 기인할 수도 있겠으나, 더욱 빈번하게는 상기 외부기기(300)가 MTP 모드 연결을 위한 사양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상기 외부기기(300)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개인용 컴퓨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가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MTP 연결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운영체제가 윈도우XP, 윈도우 비스타, 또는 그 상위급의 버전이여야 한다. 즉, 상기 운영체제가 그 하위급의 버전, 즉 윈도우 2000, 윈도우 98, 윈도우 95, 및 윈도우 ME인 경우에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는 상기 MTP 연결을 지원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에 윈도우XP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에서 사용될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WMP; Window Media Player)가 그 버전이 WMP 10 이상이여야 한다.
즉,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가 상기 사양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물리적으로 연결이 되더라도 MTP 모드 연결은 제공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100) 또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의 자체 결함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의 사양 부족으로 인해 상기 휴대단말기(100)와의 MTP 모드 연결이 실패되는 경우에 대해 도 8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과 MTP 모드 연결 시도 중에 있다[S61]. 도 8의 (8-1)에는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과 MTP 모드 연결 시도 중임을 알리는 안내(25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S62].
그러나, 상기 MTP 모드 연결이 실패되면, 도 8의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200)에는 상기 연결이 실패되었음을 나타내는 안내(270)가 디스플레이된다[S63, S65]. 상기 연결 실패 안내(270)와 더불어 (또는 별도로) 상기 연결 실패의 원인(275)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MTP 모드 연결이 실패되면, 도 8의 (8-3) 및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MTP 모드가 아닌 연결모드(즉,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로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와 연결하도록 시도한다. 상기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로서 도 8에는 UMS 모드와 PC 싱크 모드가 예시되어 있다. 도 8의 (8-3) 및 (8-4) 각각에는 UMS 모드 또는 PC 싱크 모드로 연결 시도 중에 있음을 알리는 안내(283, 287)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UMS 모드와 PC 싱크 모드 중 어느 모드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외부 메모리 장착을 허용하는 기종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두 모드들 중 어느 모드로 연결될 것인지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S66].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메모리 장착을 허용하는 기종이라면, 도 8의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MS 모드로 연결 시도된다[S67].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외부 메모리 장착을 허용하지 않는 기종이라면, 도 8의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 싱크 모드로 연결 시도된다[S68].
도 6의 순서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UMS 모드(또는 상기 PC 싱크 모드)로 연결 시도함에서 불구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가 해당 모드로 연결이 되지 않을 때에는 또다시 서로 다른 모드, 즉 상기 PC 싱크 모드(또는 상기 UMS 모드)로 연결 시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외부 기기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외부 기기 연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와 우선 설정 모드로 연결이 실패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와의 MTP 연결이 성공하는 경우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S91, S92, S93, S94].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 간의 상기 MTP 모드 연결이 실패되면, 도 10의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200)에는 상기 연결이 실패되었음을 나타내는 안내(270)가 디스플레이됨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S93, S95].
상기 연결 실패 안내(270)와 더불어 (또는 별도로), 제 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상기 연결 실패의 해결방안에 대한 안내(275)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의 (10-1)에는 예시적으로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버전을 업데이트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상기 업데이트 안내와 더불어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에서 상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를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200)에는, 도 10의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 및 상기 개인용 컴퓨터 간에 어떤 연결 모드로서 연결하기를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된다[S96]. 상기 메뉴들로는 "1. MTP모드 재시도", "2. UMS 모드", "3. PC sync 모드"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MTP모드 재시도가 선택되면, 도 10의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 및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 간에는 MTP 모드로 연결되는 것이 다시 한번 재시도된다. 재시도 후 여전히 MTP 모드의 연결이 실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는 상기 도 10의 (10-2)의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UMS 모드가 선택되면, 도 10의 (1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 및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 간에는 UMS 모드로 연결되는 것이 다시 한번 재시도된다. UMS 모드 연결이 실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는 상기 도 10의 (10-2)의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C 싱크 모드가 선택되면, 도 10의 (1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 및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 간에는 PC 싱크 모드로 연결되는 것이 다시 한번 재시도된다. PC 싱크 모드 연결이 실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는 상기 도 10의 (10-2)의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시도된 연결이 성공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300)는 상기 재시된 연결 모드로서 연결된다[S97, S98].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와의 우선적 연결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적 상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상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외부 기기 연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와 우선 설정 모드로 연결이 성공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와 우선 설정 모드로 연결이 실패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외부 기기 연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가 외부기기와 우선 설정 모드로 연결이 실패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도이다.

Claims (9)

  1.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용 휴대 단말기로서,
    외부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기기에 연결될 때, 상기 외부기기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protocol mode)를 지원하지 않으면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non 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protocol mode)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는 MTP(Media Transfer Protoc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는 대용량 저장 모드 및 데이터 서비스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용량 저장 모드는 UMS(USB Mass Storage)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린 프로토콜 모드를 지원하지 않은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를 지원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가 외장 메모리 장착을 지원하면 상기 대용량 저장 모드로 연결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외장 메모리 장착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드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외부기기가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로 연결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Universial Serial Bus) 연결단자(USB connector) 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휴대 단말기의 외부기기 연결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기기 연결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protocol mode)를 지원하지 않으면 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 모드(non 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protocol mode)로 연결되는 연결 모드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외부기기 연결 방법.
KR1020070080825A 2007-08-10 2007-08-10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 KR20090016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25A KR20090016293A (ko) 2007-08-10 2007-08-10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
US12/184,085 US20090042608A1 (en) 2007-08-10 2008-07-31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necting external device to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25A KR20090016293A (ko) 2007-08-10 2007-08-10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293A true KR20090016293A (ko) 2009-02-13

Family

ID=4034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825A KR20090016293A (ko) 2007-08-10 2007-08-10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42608A1 (ko)
KR (1) KR200900162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31B1 (ko) * 2006-12-22 201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컴퓨터 연결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578728B1 (ko) * 2009-05-22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679420B1 (ko) * 2009-08-11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102541414A (zh) * 2010-12-28 2012-07-04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动切换操作模式的移动终端装置
KR20130028276A (ko) * 2011-09-09 2013-03-19 주식회사 팬택 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US10110693B2 (en) * 2012-02-20 2018-10-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and application accel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760196B2 (en) * 2012-05-29 2017-09-12 Sony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9617883A (zh) * 2018-12-20 2019-04-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与电脑共享文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858016A (zh) 2019-04-29 2020-10-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计算作业处理方法、***、移动设备及加速设备
JP7398881B2 (ja) * 2019-05-07 202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7358A (en) * 1997-12-19 2000-12-26 Nowonder,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a plurality of computer-based systems
TW587891U (en) * 2003-02-27 2004-05-11 Lite On Technology Corp Name card scanner
US7536486B2 (en) * 2004-07-30 2009-05-19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protocol determination for portable devices supporting multiple protocols
US7636586B2 (en) * 2005-10-12 2009-12-22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180934A (ja) * 2005-12-28 2007-07-12 Sony Corp 情報通信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42608A1 (en)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526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on the same
EP260023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9001629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
US859564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receiving input in the mobile terminal
US860716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menu icon thereof
US871346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82365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612740B2 (en) Mobile terminal with a dedicated screen of a first operating system (OS) with at least an icon to touch for execution in a second OS
US836509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EP2827236B1 (en) Mobile terminal
US8208965B2 (en) Displaying broadcast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290514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56097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objects by the mobile terminal
US20090210810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222061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76669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914063B2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mode setting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92134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in mobile terminal
US8577409B2 (en) Mobile terminal and broadcas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70905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0447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22021A (ko) 휴대 단말기, 그 조작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09002441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시지 표시 방법
KR20090035239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방법
KR20090038587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