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082A -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082A
KR20080107082A KR1020070054961A KR20070054961A KR20080107082A KR 20080107082 A KR20080107082 A KR 20080107082A KR 1020070054961 A KR1020070054961 A KR 1020070054961A KR 20070054961 A KR20070054961 A KR 20070054961A KR 20080107082 A KR20080107082 A KR 20080107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support
longitudinal
bend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옥
윤만근
신현양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7082A/ko
Priority to US12/132,877 priority patent/US8052408B2/en
Priority to JP2008148229A priority patent/JP4753969B2/ja
Publication of KR2008010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2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parts being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품 부재(10)에 프리텐던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 부재(10)의 형성을 위한 내부 콘크리트 타설 공간이 형성된 거푸집(100); 거푸집(100)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대(200); 거푸집(10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방향 긴장재(20)를 정착하도록 지지대(200)에 설치된 횡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300); 거푸집(100)을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종방향 긴장재(30)를 정착하도록 지지대(200)에 설치된 종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400); 부품 부재(10)의 심부에서, 종방향 긴장재(30)의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지지대(200)에 설치된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를; 포함하는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부재의 종방향 뿐만 아니라 횡방향 단면에 발생하는 응력에 대하여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프리스트레싱, 양방향, 긴장재

Description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PRE-STRESSING SYSTEM FOR WIDTH DIRECTION AND LENGTH DIRECTION}
도 1 내지 1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에 의해 제조된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에 의해 제조된 박스 거더의 사시도.
도 4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의 장착구조의 단면도.
도 5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의 사시도.
도 6은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의 정면도.
도 7은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 확대도.
도 9는 긴장재 지지부의 사시도.
도 10은 지지부재의 정면도.
도 11은 지지부재의 측면도.
도 12는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품 부재 10a : 박스 거더
11a : 상판부 12a : 저판부
13a : 측판부 20 : 횡방향 긴장재
30 : 종방향 긴장재 30a : 긴장재 관통공
31 :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 32 :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
100 : 거푸집 101 : 관통공
110 : 작업공간부 200 : 지지대
300 : 횡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 400 : 종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
500 :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 510 : 받침부
520 : 본체부 521 : 종방향 회전용 힌지부
522 : 횡방향 회전용 힌지부 523 : 본체부 회전용 힌지부
530 : 긴장재 지지부 531 : 지지부재
532 :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 540 : 착탈식 보조 지지부재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품 부재에 프리텐던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이란, 외력에 의해 부재에 발생하는 휨응력, 전 단응력 등을 상쇄하기 위하여, 미리 긴장재에 인장력을 가하여 부재에 정착함으로써, 상기 외력에 의한 휨응력, 전단응력과 반대방향의 응력이 부재 내부에 작용하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빔, 거더 등과 같이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에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을 인가하는 방식은 크게 프리 텐던(pre tendon) 방식과 포스트 텐던(post tendon)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다.
전자는 미리 거푸집에 긴장재를 설치하여 긴장시킨 후, 그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경화와 함께 부재와 긴장재의 정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며, 콘크리트의 양생 완료 후 긴장재를 절단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그라우팅 기타 사후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작업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부재 내부에 긴장재를 절곡하여 정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기 않다는 단점이 있다.
후자는 거푸집에 쉬스를 소정 모양으로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 쉬스에 긴장재를 삽입하여 긴장시킴과 동시에 그 긴장재의 단부를 부재의 양단부에 정착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쉬스의 배치에 의해 긴장재의 절곡 구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쉬스와 긴장재 사이의 공간에 별도의 그라우팅을 실시하는 작업 등 사후 작업이 필요하여 다소 작업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프리스트레싱 작업은 부재의 종방향(길이방향)에 대하여만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는 부재의 횡방향(폭방향) 단면에 발생하는 응력의 영향이 종방향의 그것에 비해 작다는 점, 부재 내부에 종횡 양방향으로 긴장재를 배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 등의 이유에 기인한다.
부재의 길이에 비해 폭이 적은 보의 경우에는 위와 같이 종방향에 대하여만 프리스트레싱을 실시하더라도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슬랩, 박스 거더 등과 같이 부재의 길이와 폭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횡방향 단면의 응력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종방향 뿐만 아니라 횡방향에 대하여도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하는 것이 구조적 안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종방향 및 횡방향의 양방향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재의 종방향 뿐만 아니라 횡방향 단면에 발생하는 응력에 대하여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품 부재(10)에 프리텐던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품 부재(10)의 형성을 위한 내부 콘크리트 타설 공간이 형성된 거푸집(100); 상기 거푸집(100)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대(200); 상기 거푸집(10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방향 긴장재(20)를 정착하도록 상기 지지대(200)에 설치된 횡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300); 상기 거푸집(100)을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종방향 긴장재(30)를 정착하도록 상기 지지대(200)에 설치된 종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400); 상기 부품 부재(10)의 심부에서, 상기 종방향 긴장재(30)의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대(200)에 설치된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를; 포함하는 부품 부재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종방향 긴장재(30)는 직선형으로 설치되는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와 절곡형으로 설치되는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를 포함하고, 상기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는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에 대하여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방향 긴장재(20)는 상기 부품 부재(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는 상기 부품 부재(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중앙부는 상기 부품 부재(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양단부는 상기 부품 부재(10)의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는 상기 거푸집(100)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101)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거푸집(100)의 사이에는 상기 거푸집(100)의 조립 또는 해체 작업을 위한 작업공간부(1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 즉, 상기 부품 부재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기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로서, 상기 지지대(200)에 설치된 받침부(510); 상기 받침부(510)의 상측에 설치된 본체부(520); 상기 거푸집(100)의 관통공(101)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부(520)의 상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종방향 긴장재(30)를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된 긴장재 지지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를 제시한다.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는 상기 거푸집(100)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이후, 상기 본체부(520)로부터 이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의 상기 본체부(520)에 대한 종방향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520)와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의 결합부에는 종방향 회전용 힌지부(52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의 상기 본체부(520)에 대한 횡방향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520)와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의 결합부에는 횡방향 회전용 힌지부(52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520)의 상기 받침부(510)에 대한 횡방향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520)와 상기 받침부(510)의 결합부에는 본체부 회전용 힌지부(52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 회전용 힌지부(523)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상기 본체부(520)를 소정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부(520)와 상기 지지대(200)의 사이에 설치된 착탈식 보조 지지부재(540)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의 심부에는 상기 종방향 긴장재(30)가 관통되도록 긴장재 관통공(30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방향 긴장재(30)와 접촉하는 상기 긴장재 관통공(30a)의 상측 홈부는 하측을 향하여 만곡진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는 하단이 상기 본체부(520)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531);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531)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긴장재 관통공(30a)의 상측 홈부를 만곡진 구조로서 형성하는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5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532)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531)는 횡방향으로 복수가 평행하게 장착되고, 상기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532)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53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부에 각각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는 상기 거푸집(100)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이후, 상기 본체부(520)로부터 이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부품 부재(10)는 교량에 설치되는 박스 거더(1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거더(10a)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종방향 긴장재(30)는 직선형으로 설치되는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와 절곡형으로 설치되는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를 포함하고, 상기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는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에 대하여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방향 긴장재(20)는 상기 박스 거더(10a)의 상판부(11a)에 설치되고, 상기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는 상기 박스 거더(10a)의 저판부(12a)에 설치되며,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는 상기 박스 거더(10a)의 측판부(13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중앙부는 상기 박스 거더(10a) 측판부(13a)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양단부는 상기 박스 거더(10a) 측판부(13a)의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품 부재(10)에 프리텐던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 부재(10)의 형성을 위한 내부 콘크리트 타설 공간이 형성된 거푸집(100); 거푸집(100)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대(200); 거푸집(10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방향 긴장재(20)를 정착하도록 상기 지지대(200)에 설치된 횡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300); 거푸집(100)을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종방향 긴장재(30)를 정착하도록 상기 지지대(200)에 설치된 종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400); 부품 부재(10)의 심부에서, 종방향 긴장재(30)의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지지대(200)에 설치된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를; 포함하 여 구성된다.
여기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품 부재(10)란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휨응력 및 전단응력에 대항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싱을 필요로 하는 모든 부재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보, 슬랩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이러한 부품 부재(10)의 형성을 위한 거푸집에 대하여, 지지대(200)에 의해 횡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300) 및 종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400)에 의해 양방향으로 긴장재를 배치하고,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에 의해 종방향 긴장재(30)에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를 취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첫째, 횡방향 긴장재(20) 및 종방향 긴장재(30)가 함께 설치되어 부재(10)에 양방향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하므로, 부재의 양방향 단면에 작용하는 휨응력, 전단응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재의 길이와 폭의 차이가 크지 않은 슬랩, 박스 거더 등에 적용되는 경우, 특히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측면이다.
둘째,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에 의해 종방향 긴장재(30)의 배치구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횡방향 긴장재(20) 및 종방향 긴장재(30)가 함께 설치됨에 따른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종방향 긴장재(30)의 절곡구조는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휨응력에 저항 한다는 측면에서, 구조역학적으로 유리한 구조이므로, 상기 횡방향 긴장재(20)와의 간섭을 피한다는 효과와 구조역학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포스트 텐던 방식이 아닌 프리 텐던 방식에 의해 모든 프리스트레싱 작업을 실시하므로, 별도의 정착장치, 쉬스 등이 필요치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방향 긴장재(30)의 전부가 절곡형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부재(10)의 구조 및 성격에 따라, 직선형으로 설치되는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와 절곡형으로 설치되는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는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에 대하여만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횡방향 긴장재(20),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가 함께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긴장재(20)는 부품 부재(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는 상기 부품 부재(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상호 간섭을 방지한다는 측면 및 구조역학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외력에 의한 휨 모멘트에 의해 부재(10) 단면에 발생하는 휨응력 중 가장 큰 응력이 발생하는 지점은 종방향 단면의 중앙부 하측이므로, 이 부분에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를 배치하여 집중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경우, 그 중앙부는 위와 같은 이유로 부품 부 재(10)의 하측에 설치되도록 하고, 그 양단부는 부품 부재(10)의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를 갖도록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자형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구조역학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지지대(200)와 거푸집(100)의 사이에는 여유공간에 의한 작업공간부(1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거푸집(100)의 조립 또는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에 의해 제조된 부재(10)의 일실시예로서 박스 거더(10a)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긴장재(20),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가 함께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횡방향 긴장재(20)는 박스 거더(10a)의 상판부(11a)에 설치되고,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는 박스 거더(10a)의 저판부(12a)에 설치되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는 박스 거더(10a)의 측판부(13a)에 설치된다.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중앙부는 박스 거더(10a) 측판부(13a)의 하측에 설치되고,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양단부는 박스 거더(10a) 측판부(13a)의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의 작용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을 구성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는 거푸집(100)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10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관통공(101)과 절곡부 형성장치(500) 사이의 공극으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고무 팩킹 등의 충전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는 거푸집(100)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대(200)에 설치된 받침부(510); 그 받침부(510)의 상측에 설치된 본체부(520); 거푸집(100)의 관통공(101)을 관통하도록, 본체부(520)의 상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종방향 긴장재(30)를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된 긴장재 지지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긴장재 지지부(530)는 거푸집(100)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이후,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부재(10)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곤란하므로, 본체부(52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본체부(520)로부터 이탈 후 경화된 부재(10) 내부에 매설되어 그 부재(10)와 일체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푸집(100) 내에 설치된 긴장재 지지부(530)의 위치는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절곡부 형성 지점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절곡부 형성 지점은 시공 여건상 현장 상황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520)와 긴장재 지지부(530)의 결합부에 종방향 회전용 힌지부(521)가 형성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긴장재 지지부(530)의 본체부(520)에 대한 종방향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변동하는 절곡부 형성 지점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체부(520)와 긴장재 지지부(530)의 결합부에 횡방향 회전용 힌지부(522)가 형성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긴장재 지지부(530)의 본체부(520)에 대한 횡방향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체부(520)와 받침부(510)의 결합부에 본체부 회전용 힌지부(523)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본체부(520)의 받침부(510)에 대한 종방향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긴장재(32)의 절곡부 형성 작업을 더욱 용이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본체부(520) 자체가 받침부(510)에 대하여 회전구동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직전 절곡부 형성장치(500)의 위치고정이 문제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 회전용 힌지부(523)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본체부(520)를 소정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본체부(520)와 상기 지지대(200)의 사이에 착탈식 보조 지지부재(540)가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장재 지지부(530)는 종방향 긴장재(30)를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도 5 이하에서는 긴장재 지지부(530)의 심부에 종방향 긴장재(30)가 관통되도록 긴장재 관통공(30a)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30a)에 종방향 긴장재(30)가 삽입 지지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종방향 긴장재(30)와 긴장재 관통공(30a)의 상측 홈부와의 접촉에 의한 긴장재의 파단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재 관통공(30a)의 상측 홈부가 하측을 향하여 만곡진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긴장재 지지부(530)는 일체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조립식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도 8 내지 12에서는 후자의 실시예로서, 하단이 본체부(520)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531); 그 복수의 지지부재(531) 사이에 결합되어, 긴장재 관통공(30a)의 상측 홈부를 만곡진 구조로서 형성하는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532)를;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도 10,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지지부재(531)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그 사이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부 형성부재(532)를 장착한 후, 볼트 등에 의해 장착공(531a)을 관통하여 홈부 형성부재(532)를 고정하는 구조 등에 의해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종방향 긴장재(30)에 대하여 절곡부를 형성하는 경우, 긴장재 지지부(530)에는 그에 해당하는 수만큼의 긴장재 관통공(30a)이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532)를 복수의 지지부재(531)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 장착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재(531)가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장착되는 경우,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532)가 복수의 지지부재(53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부에 각각 장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부재의 종방향 뿐만 아니라 횡방향 단면에 발생하는 응력에 대하여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을 제공한다.

Claims (22)

  1.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품 부재(10)에 프리텐던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품 부재(10)의 형성을 위한 내부 콘크리트 타설 공간이 형성된 거푸집(100);
    상기 거푸집(100)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대(200);
    상기 거푸집(10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방향 긴장재(20)를 정착하도록 상기 지지대(200)에 설치된 횡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300);
    상기 거푸집(100)을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종방향 긴장재(30)를 정착하도록 상기 지지대(200)에 설치된 종방향 긴장재의 정착장치(400);
    상기 부품 부재(10)의 심부에서, 상기 종방향 긴장재(30)의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대(200)에 설치된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를;
    포함하는 부품 부재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긴장재(30)는 직선형으로 설치되는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와 절곡형으로 설치되는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를 포함하고,
    상기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는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에 대하여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부재의 양방향 프 리스트레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긴장재(20)는 상기 부품 부재(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는 상기 부품 부재(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부재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중앙부는 상기 부품 부재(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양단부는 상기 부품 부재(10)의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부재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는
    상기 거푸집(100)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101)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부재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거푸집(100)의 사이에는 상기 거푸집(100)의 조립 또는 해체 작업을 위한 작업공간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부재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부품 부재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기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로서,
    상기 지지대(200)에 설치된 받침부(510);
    상기 받침부(510)의 상측에 설치된 본체부(520);
    상기 거푸집(100)의 관통공(101)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부(520)의 상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종방향 긴장재(30)를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된 긴장재 지지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는
    상기 거푸집(100)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이후, 상기 본체부(520)로부터 이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의 상기 본체부(520)에 대한 종방향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520)와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의 결합부에는 종방향 회전 용 힌지부(5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의 상기 본체부(520)에 대한 횡방향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520)와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의 결합부에는 횡방향 회전용 힌지부(5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520)의 상기 받침부(510)에 대한 횡방향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520)와 상기 받침부(510)의 결합부에는 본체부 회전용 힌지부(5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회전용 힌지부(523)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상기 본체부(520)를 소정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부(520)와 상기 지지대(200)의 사이에 설치된 착탈식 보조 지지부재(54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의 심부에는 상기 종방향 긴장재(30)가 관통되도록 긴장재 관통공(3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긴장재(30)와 접촉하는 상기 긴장재 관통공(30a)의 상측 홈부는 하측을 향하여 만곡진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는
    하단이 상기 본체부(520)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531);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531)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긴장재 관통공(30a)의 상측 홈부를 만곡진 구조로서 형성하는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5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532)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31)는 횡방향으로 복수가 평행하게 장착되고, 상기 만곡진 홈부 형성부재(532)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53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부에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지지부(530)는
    상기 거푸집(100)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이후, 상기 본체부(520)로부터 이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
  19. 제1항에 의한 부품 부재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품 부재(10)는 교량에 설치되는 박스 거더(1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거더(10a)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긴장재(30)는 직선형으로 설치되는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와 절곡형으로 설치되는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를 포함하고,
    상기 긴장재의 절곡부 형성장치(500)는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에 대하여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거더(10a)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긴장재(20)는 상기 박스 거더(10a)의 상판부(11a)에 설치되고, 상기 직선형 종방향 긴장재(31)는 상기 박스 거더(10a)의 저판부(12a)에 설치되며,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는 상기 박스 거더(10a)의 측판부(13a)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거더(10a)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중앙부는 상기 박스 거더(10a) 측판부(13a)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절곡형 종방향 긴장재(32)의 양단부는 상기 박스 거더(10a) 측판부(13a)의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거더(10a)의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KR1020070054961A 2007-06-05 2007-06-05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KR20080107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61A KR20080107082A (ko) 2007-06-05 2007-06-05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US12/132,877 US8052408B2 (en) 2007-06-05 2008-06-04 Two-way pre-stress system and bending device therefor
JP2008148229A JP4753969B2 (ja) 2007-06-05 2008-06-05 双方向のプレストレッシングシステム及び折曲部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61A KR20080107082A (ko) 2007-06-05 2007-06-05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082A true KR20080107082A (ko) 2008-12-10

Family

ID=4009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961A KR20080107082A (ko) 2007-06-05 2007-06-05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52408B2 (ko)
JP (1) JP4753969B2 (ko)
KR (1) KR200801070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7041A (zh) * 2020-12-24 2021-04-09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预应力钢束多梁连接的转向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2597B (zh) * 2011-11-04 2013-07-24 湖南大学 预应力超高性能混凝土连续箱梁桥及其施工方法
JP5937898B2 (ja) * 2012-06-20 2016-06-22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箱桁橋の構築法
CN102922601B (zh) * 2012-10-10 2014-12-17 中铁十二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预应力张拉控制及反馈方法
CN104772822B (zh) * 2015-04-03 2017-01-25 德州海天机电科技有限公司 长线预制板材两侧出筋生产平台
CN105507596A (zh) * 2015-12-04 2016-04-20 上海同程建设科技工程有限公司 预应力钢结构施工的双向可转动牵引式工装装置
CN110405936B (zh) * 2019-07-30 2021-06-25 江苏诚意住宅工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生产预应力混凝土波形板桩的模具
WO2021239221A1 (en) * 2020-05-27 2021-12-02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Gmbh Damping arrangement for a cable
US11603632B1 (en) * 2021-01-11 2023-03-14 AEEE Capital Holding & Advisory Group Method for producing a prestressed concrete bridge bea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0606A (en) * 1952-10-15 1958-01-21 Valenzuela Ricardo Barredo De Tensioning system
US3041702A (en) * 1957-10-15 1962-07-03 United States Steel Corp Method of making a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3086273A (en) * 1959-12-28 1963-04-23 Super Concrete Emulsions Ltd Method for pre-stressing concrete
JPS4922530B1 (ko) * 1969-04-05 1974-06-10
JPS57202545A (en) * 1981-06-08 1982-12-11 Ricoh Co Ltd Electrophotographic receptor
JPS62178649A (ja) * 1986-01-29 1987-08-05 鹿島建設株式会社 プレストレス導入装置
JP2593311B2 (ja) * 1987-06-26 1997-03-26 清水建設株式会社 二方向プレストレス導入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装置
JPH0783911B2 (ja) * 1991-01-14 1995-09-13 株式会社ピー・エス Pc鋼より線の曲げ上げ金具
US5471812A (en) * 1993-07-13 1995-12-05 Muller; Jean Method for fabricating pretensioned concrete structures
JP3043946B2 (ja) * 1994-04-11 2000-05-22 株式会社佐藤工業所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の緊張材曲げ上げ具
JP3610828B2 (ja) * 1999-06-07 2005-01-19 ピーシー橋梁株式会社 高強度軽量合成桁橋及びその構築方法
DE10310715A1 (de) * 2003-03-10 2004-10-07 Fachhochschule Gießen-Friedberg Erfindung betreffend Bauteile als Bewehrungselemente sowie daraus hergestellte Betonteile
JP4362330B2 (ja) * 2003-07-31 2009-11-11 株式会社ピーエス三菱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2006322312A (ja) * 2005-04-20 2006-11-30 Concrete Fukugo Kozo Kenkyu Kiko:Kk コンクリート桁橋及びその構築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7041A (zh) * 2020-12-24 2021-04-09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预应力钢束多梁连接的转向装置
CN112627041B (zh) * 2020-12-24 2021-12-17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预应力钢束多梁连接的转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02034A1 (en) 2008-12-11
JP4753969B2 (ja) 2011-08-24
US8052408B2 (en) 2011-11-08
JP2008303702A (ja)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7082A (ko)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KR100888941B1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249285B1 (ko) 상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브라켓으로 캔틸레버부가 형성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를 갖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99019B1 (ko) 아치형상의 교량용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JP5367297B2 (ja) プレキャスト横桁とプレキャスト縦桁とを備えた橋梁およびその施工法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0936944B1 (ko) 연속화 거더 및 거더의 연속화 구조와 그 시공방법
JP4416337B2 (ja) 打ち替え合成床版鋼桁橋の施工方法
KR101264577B1 (ko) 철골 콘크리트 빔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0755605B1 (ko)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KR10078563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및 그공법
KR102139132B1 (ko) 단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강재 거푸집 구조체, 이를 통해 제작된 psc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0655654B1 (ko) Pc강선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psc 박스거더 교량의횡방향 프리스트레싱 방법
KR10106771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196343B1 (ko)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KR102325276B1 (ko) 하프 pc 연속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JP5041481B2 (ja) 既設支承装置の更新方法及び更新構造
KR100881700B1 (ko) 장 경간용 피피씨 거더를 이용한 조립식 라멘교 시공방법
KR102027125B1 (ko)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KR100480471B1 (ko) 허니컴 거더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연속화연결구조 및 연속화 방법
KR20060028828A (ko) 슬래브 일체형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100137749A (ko) 슬라브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JP3713192B2 (ja) アンカーボルト付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364210B2 (ja) 橋脚の補強構造
KR100493514B1 (ko) 철근 콘크리트 교량에 있어서 교각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단면확대보수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면확대 보수보강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