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970A - 개선된 밀봉 수단을 구비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개선된 밀봉 수단을 구비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970A
KR20080092970A KR1020087020642A KR20087020642A KR20080092970A KR 20080092970 A KR20080092970 A KR 20080092970A KR 1020087020642 A KR1020087020642 A KR 1020087020642A KR 20087020642 A KR20087020642 A KR 20087020642A KR 20080092970 A KR20080092970 A KR 2008009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ll
end portion
insulating jacket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877B1 (ko
Inventor
글렌 제이. 베르티니
앤소니 로이 테이머
Original Assignee
노비니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비니움, 인크. filed Critical 노비니움,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9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절연 재킷 내에 둘러싸여진 중앙 연선형 전도체를 구비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영역 내에 간극 체적을 가지는 전력 케이블 섹션용 고압 커넥터로서, 대기압을 초과하지만 폴리머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미만인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감금하기에 적합한 고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이 고압 커넥터는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면서 일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케이블 섹션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연선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된다.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간극 체적과 내부 챔버 내에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감금하기 위한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시 유체 밀봉 결합 상태로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하기 위해 스웨이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 결합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서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7020642
하우징, 결합 부재, 결합부, 스웨이징, 절연 재킷, 커넥터, 전도체

Description

개선된 밀봉 수단을 구비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케이블 커넥터 {SWAGABLE HIGH-PRESSURE CABLE CONNECTORS HAVING IMPROVED SEALING MEANS}
본 발명은 상승된 압력에서 전력 케이블의 간극 체적 내로 유전성 개선 유체를 주입하고, 유사한 상승된 압력에서 내부의 유체를 감금하기에 특히 적합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커넥터는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US 2005/191910호에 이미 개시되어 있다. 두 개의 동일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터미널 커넥터로부터 조립된 이중 하우징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이 공보의 도8에 예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도1로서 재현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치형부(32)가 상온에서 누설이 없는 밀봉부[약 0.69 Mpag(100 psig)까지]를 제공하도록 절연 재킷(12)을 관통하도록 절연 재킷(12)에 스웨이징된다. 이들 고압 커넥터는 특히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US 2005/0189130호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유전 특성을 복원하기 위해 일관된 상승된 압력 하에서 전기 케이블 섹션의 간극 체적 내로 유전성 개선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방법에 사용되는 목적의 것이다. 상승된 압력 주입 방법은 폴리머 절연체 재킷 내에 둘러싸여진 중앙 연선형(stranded) 전도체를 구비하면서(통상적으로, 재킷과 전도체 사이에 전도체 차폐 부를 더 구비함) 전도체의 영역에 간극 체적을 가지는 사용중인(in-service) 전기 케이블 섹션에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케이블 "세그먼트(segment)"는 두 개의 터미널 커넥터 사이의 케이블 섹션을 지칭하며, 케이블 "서브-세그먼트"는 케이블의 두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단되지 않은(즉, 잘려지지 않은) 케이블의 물리적 길이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두 커넥터 사이에 어떠한 스플라이스(splice)도 존재하지 않을 때 케이블 세그먼트는 서브-세그먼트와 동일하다. 달리 말하면, 서브-세그먼트는 터미널 커넥터와 스플라이스 커넥터 사이에 존재할 수 있거나, 두 개의 스플라이스 커넥터 사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케이블 세그먼트는 하나 이상의 서브-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효율을 위해, 용어 "케이블 섹션"은 케이블 세그먼트 또는 케이블 서브-세그먼트를 지칭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것이며, 특정 용어는 필요에 따라 응용될 것이다.
요약하면, 이 방법은 폴리머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미만의 압력에서 유전 특성-보강 유체로 간극 체적을 충전하는 단계와, 약 0.345 Mpag(50 psig)를 초과하는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감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케이블 섹션의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는 케이블 콤포넌트 내에 용해된 유체로 인한 임의의 팽창(융기)을 제외하고, 절연 재킷의 외경(OD)이 25℃ 에서 2%를 초과하는 영구 경화(permanent set)를 갖게 되는(즉, OD가 그 원래 값의 1.02 배 만큼 증가) 간극 체적 내의 내부 압력으로서 정의된다. 이 한계는 예로서, 절연 차폐부와 와이어 랩(wire wrap) 같은 임의의 덮개를 최초 제거한 이 후, 약 24 시간의 기간 동안 전도체 차폐부와 절연 재킷 내에 0.1 중량% 미만의 용해성을 갖는 유체(예를 들어, 물)로 케이블 섹션의 샘플을 가압함으로써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결정의 수행시, 압력이 해제된 24 시간 이후, 최종 OD가 최초 OD와 비교된다. 본 명세서의 목적상, 잔류 압력은 위에서 규정된 탄성 한계의 약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 압력은 섹션의 전체 길이를 따라 부여되고, 공극 체적 내의 잔류 압력은 유전 특성 보강 유체의 폴리머 절연체 내로의 이송을 촉진한다. 케이블이 유체로 충전 및 가압된 이후, 공급부가 분리되고, 압력은 케이블의 전도체 차폐부 및 절연 재킷 내로의 유체의 확산 이송으로 인해 즉시 쇠퇴하기 시작한다. 실온에서, 0 등급 압력으로의 쇠퇴는 수 개월 내지 약 1 년이 걸리며, 55℃에서, 0으로의 쇠퇴는 단지 수일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공보에 상세히 설명된 상술한 고압 커넥터의 하우징과 절연 재킷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웨이징 프로세스는 절연 재킷의 "푸시백(pushback)"을 방지하고, 단기 밀봉 요구를 충족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푸시백은 유체가 높은 잔류 압력에서 그 간극 체적 내에 감금될 때 케이블 섹션의 전도체의 절단된 단부(크림핑된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전도체 차폐부와 절연 재킷의 축방향 이동으로서 정의된다. 상당한 장기적인 온도 사이클링이 없다면, 이들 스웨이징 가능한 장치는 기존 지하 레터럴 거주지 분배 케이블(underground lateral residential distribution cable; URD)의 80% 이상에 적합할 수 있다. 반대로, 이들 스웨이징 가능한 장치는 24 시간 내에 20℃를 초과하는 전도체 온도 동요가 일반적이고, 피크 전도체 온도가 주기적으로 90℃의 일반적 설계 온도에 접근 하는 경우에, 극단적으로는 130℃의 열적 과부하 온도에 접근하는 경우에 기존 지하 공급 분배, 서브-전송 또는 전송 케이블(이하, 공급 케이블)의 80% 이상에 부적합할 수 있다. 상술한 고압 장치의 신뢰성있는 성능을 보증하기 위해, 특히, 공급 케이블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보다 탄성적인 밀봉부가 적합하다.
또한, 케이블의 간극 체적 내에 보유된 유전성 개선 유체로 인해 수년 동안 장기 저압 요구조건이 남아있기 때문에, 내구성있는 밀봉부가 필요하다. 누설 유체로부터의 잠재적 장기 손상은 통상적으로 미국 특허 제4,766,011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외래 물과의 반응시 케이블 내에서 수화 및 올리고머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르가노알콕시실란 모노머(organoalkoxysilane monomer) 성분을 포함하는 잔여 유체의 변화하는 특성에 의해 완화된다. 오르가노알콕시실란의 응축 및 수화로부터 초래되는 올리고머는 대응적으로 높은 점도와 원래 주입된 오르가노알콕시실란 모노머보다 낮은 폴리머내 용융성을 가지며, 따라서, 케이블로부터 쉽게 삼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심지어 미소한 누설로부터도 스플라이스 및 터미네이션(termination)에 대한 약간의 손상 기회가 남아있기 때문에, 누설 방지 특성은 여전히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커넥터로부터 누설된 임의의 유체는 케이블 유전 특성을 치유 및 복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으며, 또한, 이런 누설의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적 및 안전에 관련한 결과도 존재할 수 있다.
폴리머 절연 재킷 내에 둘러싸여진 중앙 연선형 전도체를 구비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영역 내에 간극 체적을 가지는 전력 케이블 섹션을 위한 고압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을 초과하지만 폴리머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미만인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감감하기에 적합하며, 간극 체적 내에 유체 연통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일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크기설정되며, 케이블 섹션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연선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며,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과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유체를 감금하도록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결합부의 내향 변형시 유체 밀봉식 결합으로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하도록 내향 변형가능한 재료로 구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에 위치되고 결합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결합 부재를 구비한다.
도1은 미국 특허 공보 제US 2005/0191910에서 고려된 고압 스웨이징 가능한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횡단면도의 재현도이다.
도2는 온도의 함수로서 반복된 열적 사이클링에 의해 생성된 대표적 케이블을 위한 절연 재킷과 하우징 사이의 계산된 최대(직경방향) 간격의 플롯이다.
도3은 온도의 함수로서 트리메틸메톡시실란(trimethylmethoxysilane), MeOH, 디메틸디메톡시실란(dimethylmethoxysilane) 및 아세토페논(acetophenone)을 위한 순수 성분 증기압의 플롯이다.
도4A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형성된 각진 홈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4B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형성된 단차형 홈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4C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형성된 타원형 홈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4D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사다리꼴 홈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4E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형셩된 도4A의 홈의 변형의 상세 횡단며도이다.
도5는 실질적 사다리꼴 오목부가 형성된 홈을 구비하는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터미널 커넥터 위의 위치에 클램핑된 주입 도구의 부분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5A는 절연 재킷 위의 스웨이징 영역을 도시하는 도5의 상세 영역(5A)의 횡단면도이다.
도5B는 밀봉 튜브와 주입기 팁을 도시하는 도5의 상세 영역(5B)의 횡단면도이다.
도5C는 주입 툴의 축방향을 따라 취해진 도5에 도시된 주입 툴의 하부 부분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5D는 주입 툴의 축방향을 따라 취해진 도5에 도시된 주입 툴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커넥터의 주입 포트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 플러그 핀의 사시도이다.
도7은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스퍼(spur)를 구비한 링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하나의 벽(상단부)의 횡단면도이다.
도7A는 두 개의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스퍼를 구비한 링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하나의 벽(상단부)의 횡단면도이다.
도8은 스웨이징 영역 내에 원주방향 기계가공된 치형부와 사다리꼴 홈을 구비하는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9는 스웨이징 영역 내에 기계가공된 치형부와 사다리꼴 홈을 구비하며 O-링 밀봉부을 포함하는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0은 스웨이징 영역 내에 사다리꼴 홈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만입부를 구비하며 스프링 작동식 경사 축방향 O-링 밀봉부를 포함하는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11은 스웨이징 영역 내에 사다리꼴 홈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만입부를 구비하며 스프링 작동식 축방향 금속-대-플라스틱 밀봉부를 포함하는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12는 스웨이징 영역 내에 사다리꼴 홈과 기계가공된 치형부를 구비하는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내부 하우징 터미널 커넥터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13은 스웨이징 영역 내에 사다리꼴 홈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만입부를 구비하며 스프링 작동식 경사 축방향 금속-대-플라스틱 밀봉부를 포함하는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14는 스웨이징 영역 내에 사다리꼴 홈과 기계가공된 치형부를 구비하는 스 웨이징 가능한 고압 이중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15는 애크미(Acme) 나사형 홈을 구비한 테스트 커넥터의 횡단면도이다.
도15A는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에 정사각형 홈을 구비하는 경우에, 도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테스트 커넥터의 하우징 벽(상단부)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15B는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에 정사각형 홈과 사다리꼴 홈을 구비하는 경우에, 도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테스트 커넥터의 하우징 벽(상단부)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15C는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에서 양자 모두의 축방향으로 각진 부벽(buttress) 나사형 리지를 구비하는 경우에, 도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테스트 커넥터의 하우징 벽(상단부)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15D는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에 정사각형 홈과 O-링을 구비하는 경우에, 도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테스트 커넥터의 하우징 벽(상단부)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16은 통상적 테스트 커넥터의 압력 테스트 동안 시간의 함수로서 압력의 플롯을 도시한다.
도17은 통상적 열적 사이클링 테스트 동안 시간의 함수로서 온도의 플롯을 도시한다.
도18은 도5의 커넥터의 스웨이징 영역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유형의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커넥터가 상당한 열적 사이클링 을 받을 때, 절연 재킷이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어떠한 특정 이론이나 메커니즘에도 얽메이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이 발견의 기초는 하기의 예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통상적 절연 폴리머 가교 결합 저밀도 폴리에틸렌(XLPE)을 위한 열 팽창 계수는 0℃ 내지 90℃의 범위에 걸쳐 약 0.00020℃-1 내지 약 0.0011℃-1 사이에서 변하며, 이는 0.0000053℃-1인 고압 커넥터의 통상적 스테인레스 강(SS) 하우징을 위한 계수보다 약 38 내지 200 배 높다. 따라서, 커넥터/케이블의 온도가 증가된 케이블 부하와 함께 증가할 때, 스웨이지의 영역 내의 폴리에틸렌은 각각의 열적 계수의 불균형으로 인해 압축된다. 이는, 순차적으로 하우징과의 계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즉, 크립(creep)] 스웨이지의 영역 내의 절연 폴리머를 압박하고, 그 이유는, 내향 반경방향 유동이 전도체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이다. 부하가 감소함에 따라(즉, 24 시간 기간 동안의 통상적 부하 사이클) 온도가 다시 감소할 때, 절연부의 외부면은 유한한 간격을 사이에 형성하도록 스웨이지의 영역 내의 하우징의 내부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후퇴해 들어간다. 이는 케이블 내부 내에 임의의 가압된 유체에 대한 누설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런 누설은 압력하의 공기를 포함하면서, 도1에 도시된 유형의 실험적 고압 터미널 커넥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섹션(즉,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일 측부)가 추가로 후술된 바와 같이 가속된 온도 사이클링을 받았을 때 경험적으로 관찰되어 왔다.
조립체의 모든 부분이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동일한 온도로 존재하고, 전도 체는 실질적으로 비압축성 고체(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연선형 전도체)이고, 절연 차폐부는 절연 재킷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가능한 최악의 경우를 나타내기 위해 충분히 긴 시간 이후 절연체 내의 압축 응력이 0에 접근하고, ΔT = 90℃의 온도 사이클 범위에 대해 계산된 최대 직경 간격은 통상적 35 kV 케이블 및 125mm2(250kcm)보다 큰 전도체 크기의 절연부에 대하여 약 0.175 cm(0.068 in)이다. 계산된 직경 간격은 통상적 15 kV 케이블 및 125mm2(250kcm)보다 큰 전도체 크기의 절연부에 대하여 약 0.068 cm(0.027 in)이다. 이 관계는 몇몇 대표적 케이블 형상에 대하여, 도2에 도식적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전도체 크기는 미국 와이어 게이지(American Wire Gage; AWG)이며, 절연부는 산업 표준 ICEA S-94-649에 의한 지시 전압 등급(indicated voltage class)을 위한 공칭 두께를 갖는다. 본 도면에서, X-축은 주어진 열 사이클[예를 들어, 3/0 35 kV 케이블 및 90℃와 20℃ 사이의 사이클에 대하여, 근사 최대 직경 간격은 약 0.152 cm(0.06 in)임]의 온도 범위이다.
유체의 주입으로 인한 초기 잔류 계기압은 US 2005/0191910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약 6.9 Mpag(1000 psig) 만큼 높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잔류 압력은 통상적으로 적당한 시간(예를 들어, 약 1년) 이후 실질적으로 0으로 쇠퇴하며, 커넥터 내의 잔여 장기 압력은 2개 성분을 포함한다. 제1 성분은 대부분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0 Mpag[0 psig(평방 인치당 파운드 계기압)]에 가까운 유체 헤드 압력이다. 따라서, 통상적 거주지의 완만한 언덕(rolling hill)이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어, 단 일 서브-세그먼트 내에서 최대 18.28 m(60 ft) 고도 변화] 지속되기 쉬운 유체 헤드로 인한 적절한 최대 설계 압력은 약 0.207 Mpag(30 psig)이다. 제2 장기 압력 성분은 임의의 잔류 유체의 증기압에 기인한다. 이들 두 압력 성분의 합은 커넥터에 의해 수용되어야 한다.
케이블 복원 방법에서 유전성 개선 유체로서 사용되는 통상적 모노머 오르가노알콕시실란의 증기압은 90℃ 까지의 온도에서 약 0.0069 Mpag(1 psig) 미만이며, 심지어, 아세토페논(도3에서 점선으로 표시됨) 같은 보다 휘발성있는 유전성 개선 유체 성분은 통상적 케이블 동작 온도에서 비교적 낮은 증기압을 갖는다. 그러나, 유전성 개선 유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르가노-기능기 메톡시실란(organo-functional methoxysilane)의 수화의 부산물인 메탄올은 케이블의 내부 내의 유체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0 농도에 접근하기까지 수 년이 소요된다. 온도의 함수로서 메탄올의 증기압도 도3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값은 그 최대 설계 전류용량(ampacity)에서 운용되는 케이블을 위해 약 0.207 Mpag(30 psig)에 접근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372,840호 및 제5,372,841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 케이블 복원 방법은 디메틸디메톡시실란(도3에 다이아몬드로 표시된 데이터) 및 트리메틸메톡시실란(도3에 정사각형으로 표시된 데이터) 같은 보다 휘발성인 성분을 사용한다. 이들 휘발성 성분은 매우 더 높은 설계 압력을 필요로할 수 있다. 그러나, 트리메틸메톡시실란 같은 60℃ 미만의 비등점을 갖는 재료의 경우에, 커넥터에서의 임의의 잠재적 누설 이전에 발생할 수 있는 다른 한계가 빈번히 존재한다. 케이블이 90℃의 온도에 접근할 때, 절연 폴리머의 물리적 특성은 상당히 열화되고, 케이블 "부풀어오름(ballooning)"으로 인해 케이블의 물리적 및 전기적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90℃에 달하는 케이블 전도체 온도에서 동작하는 동안 부풀어오름 없이 케이블이 견딜 수 있는 최대 가능 증기압을 고압 케이블 커넥터가 견디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90℃의 피크까지에서 가닥(strand) 내의(즉, 케이블의 내부 또는 간극 체적) 메탄올의 분압 및 18.28 m(60 ft)의 유체 헤드의 조합을 수용하기 위해, 케이블 커넥터는 사용중의 열적 사이클링 동안 그 피크로부터 약 20℃ 이상의 온도 강하시 누설 없이 피크 온도에서 약 0.414 Mpag(60 psig)의 장기 총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비록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US 2005/019191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US 2005/0189130호 각각이 푸시백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에 관한 커넥터의 축방향 탄성을 갖는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커넥터를 교시하지만, 다수의 공급 케이블에 일반적인 상당한 열적사이클링으로부터 초래되는 케이블의 절연부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의 반경방향 분리(즉, 상술한 직경 간격)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는 없다. 본 명세서의 목적상, "상당한 열적 사이클링"은 높은 전도체 온도와 낮은 전도체 온도 사이의 편차인 ΔT의 시간에 관한 분포의 모드(즉, 피크)가 적어도 약 20℃인 열적 사이클링을 지칭한다. ΔT의 추정은 전류용량을 계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주어진 케이블 유형 및 부하 조건에 대해 이루어진다. 케이블이 상술한 상당한 온도 변화를 받을 때 상술한(직경) 간격 형성으로 인한 누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은 케이블의 절연 재킷과 스웨이징 하우징 사이에 더 강인한 밀봉부를 구비하는 도1에 예시된 유형의 고압 커넥터를 교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압 커넥터는 상술한 디자인의 변경을 도입하며, 개선점은 스웨이징 작업이 완료된 이후, 특히, 케이블이 전기 부하 및 그와 연계된 상승된 온도를 받은 이후, 일반화된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케이블의 절연 재킷과 하우징이 정합되도록 케이블의 절연 재킷에 하우징을 반경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 일반화된 "도브테일" 배열은 커넥터와 케이블이 상당한 열적 사이클링을 받을 때 절연 재킷으로부터 하우징의 반경방향 분리를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선된 고압 커넥터는 상술한 잔류 압력에서 누설이 없고 실제 케이블 동작시 받게될 수 있는 가장 큰 온도 동요의 영향을 견딜 수 있다. 이 고정 수단은 몇몇 개시된 실시예에서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스퍼라 지칭되는 축방향 돌출식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축방향 돌출식 결합 부재는 몇몇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내주를 따라 배치된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리지(ridge)의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폴리머 절연 재킷 내에 수납된 중앙 연선형 전도체를 구비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영역에 간극 체적을 갖는 전력 케이블 섹션을 위한 고압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폴리머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는 낮은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감금하기에 적합하며, 이 고압 커넥터는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면서 일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크기설정된 하우징 벽을 구비한 하우징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케이 블 섹션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며,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간극 체적과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감금하도록, 그리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 부분의 내향 스웨징시 유체 밀봉 결합으로 절연 재킷에 하우징을 고정하도록 스웨이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며, 하우징은 결합부 내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결합 부재를 구비한다.
상술한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스퍼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면서 케이블 섹션(10) 내에 유전성 개선 유체의 주입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유형의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터미널 커넥터(110)는 도5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되고 공보 제US 2005/0191910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블 섹션의 절연 재킷(12)은 커넥터(110)의 하우징(130)의 제1 단부 부분 내에 수용된다. 하우징(130)의 제1 단부 부분은 그 내경(ID)이 절연 재킷(12)의 외경(OD)보다 단지 미소하게 더 크도록 크기설정된다.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하우징(130)의 제1 단부 부분의 외부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0) 내의 내부 원주방향 연장 O-링 홈(135) 내에 배치된 O-링(134)과, 하우징 내의 다수의 내부 원주방향 연장 애크미 나사-형 홈(138) 및 하우징 내의 내부 원주방향 연장 실질적 사다리꼴 홈(136) 위에 스웨이징된다. 이 절연 스웨이징 영역은 도5의 상세부 5A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도5A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및 본 명세서의 다른 도면에서, 동일 또는 대응 요소에는 동일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스웨이징" 또는 "원주방향 크림핑"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축방향 위치에 걸친 하우징의 외주 둘레에서의 반경방향 압축력의 인가를 지칭한다. 이 스웨이징 작업은 하우징의 외부면 상에 원형 원주방향 오목해진 영역을 생성하며, 그 대응 내부면을 절연 재킷(또는, 추가로 후술된 바와 같이, 금속 크림프 커넥터 또는 크림프 커넥터와 연계된 부싱) 내로 내향 돌출시키며, 그래서, 절연 재킷을 그 외주에서 부분적으로 변형시킨다. 스웨이징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캐나다 가드나의 DMC에 의해 공급되는 케이블로크(등록상표)(CableLokTM) 반경방향 스웨이징 공구 같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예로서, 도5 및 도5A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사다리꼴 홈(136)은 한 쌍의 대향 배향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스퍼(210, 212)를 구비한다. 스퍼(210, 212)는 실질적으로 하우징(130)의 내벽에 배치되며, 서로를 향해 대향한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스퍼(210, 212)는 절연 재킷 위의 상술한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의(즉, 하우징의 결합부 내의)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을 따른 축방향 위치에서 하우징(130)의 내벽 내에 원주방향 홈(136)을 형성함으로써 제공된다. 원주방향 홈(136) 및 스퍼(210, 212)는 완전히 하우징(130)의 내벽의 내주를 따라 연장한다. 각 스퍼(210, 212)는 홈 내에 배치된 하우징(130)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오목 벽 부분(216)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214)을 구비한다. 홈(136) 내의 한 쌍의 원주방향 연장 오목부(218)는 하우징(130)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오목 벽 부분(216)과 스퍼(210, 212)의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214) 사이에 형성된다. 오목부(218)는 스퍼의 반경방향 외부에 배치된 축방향 개방 언더컷 공간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서 케이블(10)의 절연 재킷(12)의 일부가 가압되고, 사용중에 부여되는 케이블과 상술한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의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외부에 인가된 스웨이지의 결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동한다. 이 작업은 절연 재킷(12)의 적어도 일부 폴리머를 홈(136) 내로 밀어 넣고, 추가로, 오목부(218) 내로(즉, 언더컷 내로) 밀어넣는다. 실질적으로, 홈(136) 내의 절연 재킷(12)의 폴리머 및 홈 자체는 도브테일 모어타이즈(dovetail mortise) 및 테논 조인트나 유니온 같은 상호로킹 조인트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하우징(130)과 절연 재킷(12)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가 형성되며, 이는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또한, 케이블 섹션이 상승된 압력에서 유체를 감금하면서 상당한 열적 사이클링을 받을 때 누설이 없는 작동을 제공하며, 이렇게 구성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상당한 열적 사이클링은 절연 재킷과 하우징의 상대적 반경방향 이동 및 분리를 유발하고, 따라서, 열적 사이클의 냉각 위상 동안 액체 누설을 유발할 수 있다.
절연 재킷 위의 스웨이징 동작과 연계된 강한 압축하에서 폴리머가 오목부(218) 내로 냉간 유동(cold flow)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부가적인 유동 및 합치는 케이블이 사용처에 배치될 때 전기 부하로 인한 온도의 상승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절연부(12)를 연화시키기 위해 외부적 가열이 제공될 수도 있으 며, 오목부(218) 내로의 유동을 추가로 돕는다(예를 들어, 가열 재킷, 커넥터 하우징의 유도 가열 또는 증기 가열).
절연 재킷과 하우징의 상대적 반경방향 이동 및 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 하우징 홈 형상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4A 내지 도4E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4A 내지 도4E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스퍼가 제공되어 있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일반적 유형의) 커넥터 하우징의 하나의(상단) 벽의 상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4A는 스퍼(121)와 연계된, 홈(120A) 내의 단일 원주방향 연장 오목부(121B)를 구비한 단일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스퍼(121)를 초래하는 하우징(120) 내에 형성된 내부 원주방향 연장 각진 홈(120A)의 상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퍼(210, 212)가 도5 및 도5A의 홈(136)에 의해 제공되지만, 단일 스퍼도 하우징과 절연 재킷의 상대적 반경방향 이동 및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도4B는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 배향된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스퍼(123)를 초래하는 하우징(122) 내에 형성된 내부 원주방향 연장 단차형 홈(122A)의 상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각 스퍼(123)는 홈(122A) 내에 배치된 하우징(122)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오목 벽 부분(122B)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123A)을 구비한다. 홈(122A) 내의 원주방향 연장 오목부(123B)는 하우징(130)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오목 벽 부분(122B)과 각 스퍼(123)의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123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 부(123B)는 스퍼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축방향 개방 언더컷 공간을 형성하며, 이 공간 내에서 케이블 섹션(10)의 절연 재킷(12)의 일부가 가압되고, 사용 상태로 배치된 케이블과 상술한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의 하우징(122)의 제1 단부 부분의 외부에 인가된 스웨이지의 결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동한다. 스퍼(123) 각각은 하우징과 절연 재킷의 상대적 반경방향 이동 및 분리를 자체적으로 억제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반경방향 평면 내에 배향된 축방향 지향 벽(123C)을 구비한다.
도4C는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 배향된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만곡 스퍼(125)를 초래하는 하우징(124) 내에 형성된 내부 원주방향 연장 실질적 타원형 홈(124A)의 상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스퍼(125) 각각은 스퍼와 연계된, 그리고, 홈(124A) 내의 원주방향 연장 오목부(125B)를구비한다.
도4D는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 배향된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여장 각진 스퍼(127)를 초래하는 하우징(126) 내에 형성된 내부 원주방향 연장 사다리꼴 홈(126A)의 상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스퍼(127) 각각은 스퍼와 연계된, 홈(126A) 내의 원주방향 연장 오목부(127B)를 구비한다.
도4E는 스퍼(129)와 연계된 홈(128A) 내의 단일 원주방향 연장 오목부(129B)를구비한 단일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각진 스퍼(129)를 초래하는 하우징(128) 내에 형성된 내부 원주방향 연장 각진 홈(128A)을 구비한 도4A의 홈의 변형의 상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기술의 숙련자는 하우징 홈의 정확한 형상은 중요하지 않지만, 오목부 및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퍼는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내주를 따라 배치되며, 오목부 에 인접한 스퍼의 벽이 열적 사이클링의 냉각 위항 동안 하우징으로부터 폴리머 절연부의 반경방향 수축을 억제할 수 있는 축방향 성분을 갖는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절연 재킷에 하우징의 벽을 고정하기 위해 변형되어 절연 재킷의 주연을 따라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된 내향 돌출 결합 부재(즉, 치형부)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치형부는 절연 재킷 위에 스웨이징되는 영역(즉, 결합부) 내에서 하우징의 내벽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은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주름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선택적 치형부는 하우징 벽 내에 대응 홈을 절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도5A 및 도15는 각각 하우징(130, 180) 내의 애크미 나사형 홈(138)에 의해 형성된 대략 삼각형 형상의 치형부를 예시한다. 대안적으로, 이들 부가적 치형부는 완전히 생략되어 스퍼와 인접 홈을 제외한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에 하우징의 실질적으로 평활한 내벽을 남길 수 있다.
상술된 다수의 실시예의 일 태양에서, 원주방향 하우징 홈의 종방향 단면 프로파일은 그 적어도 하나의 내부 축방향 치수(즉, 하우징의 축을 따라 측정됨)가 하우징의 내부 반경을 향한 홈의 대응 축방향 치수보다 크다. 달리 말해서,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은 반경방향 내향 홈 치수(Xr)보다 큰 적어도 하나의 치수(Xm)를 구비하며, 여기서, Xm은 (스퍼 내부의 오목부들 내에서, 그리고, 오목부들 사이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r보다 크지만 R보다는 작은 반경에서 최대 홈 축방향 치수이고, Xr은 반경(r) 에서의 홈 축방향 치수이고, r은 하우징의 내부 반경이며, R은 하우징의 외부 반경이다.
"r"은 도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 반경일 수 있거나, 홈의 치수(Xr)가 홈의 치수(Xm)보다 작은 내부 챔버 내의 다른 반경방향 내향 반경방향 위치일 수 있다.
이 관계는 도4A 내지 도4D에 도시된 홈과 도5 및 도5A의 실시예의 사다리꼴 홈을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4D의 사다리꼴 홈(126A) 같이, 스퍼의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은 평탄하거나 굴곡될 수 있으며, 스퍼의 팁은 날카롭거나, 도5A의 다사리꼴 홈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약간 둥글거나 뭉툭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된 하우징 홈은 선반 기계가공, 밀링, 인베스트먼트 주조 및 CNC 작업 같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하우징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과 절연 재킷의 상대적 반경방향 이동 및 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단 하나의 하우징 홈[도5 및 도5A에 도시된 하우징 홈(136) 같이] 만을 보여주는 하우징이 예시되었지만, 하우징은 하우징의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에 둘 이상의 이런 하우징 홈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된 하우징 홈 형상 중 임의의 것을 갖는 고압 커넥터의 하우징은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의 하우징의 내벽과 절연 재킷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된 환형 엘라스토머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그 비교적 낮은 탄성 계수 및 탄력있는 특성(rubbery nature)으로 인해, 이런 엘라스토머 요소는 열적 사이클링에 의해 유발되는 간격을 충전하도록 가역적으로 팽창 및 수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잠재적 누설을 차단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엘라스토머는 영구 경화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이 경화는 절연부로서 통상적으로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의 것보다 작다. 물론, 하우징의 치수는 환형 엘라스토머 요소를 수용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엘라스토머 요소의 비제한적 예는 접촉된 폴리에틸렌 절연 재킷이 크립으로부터 후퇴해 들어갈때, 팽창하는 엘라스토머 O-링 또는 환형 실린더를 포함한다. 이 개선된 밀봉 수단은 절연 재킷의 원주[상술한 공보 제US 2005/0191910호의 도3에 도시된 O-링(134) 같이] 또는 폴리머 면(예를 들어, 상술한 공보 제US 2005/0191910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연 재킷의 단부벽에 대한 O-링) 중 어느 하나 상에 구현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엘라스토머 요소는 각각 하우징 내의 홈 내에 또는 적절한 와셔 내의 홈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엘라스토머 요소의 다른 장점은 케이블 시스템이 열적으로 사이클링될 때(예를 들어, 케이블 가닥의 열적 팽창 및 수축이 케이블 상에 토크를 부여) 또는 설치 또는 정비 작업 동안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때 밀봉부 상에 부여될 수 있는 회전 이동에 대한 상대적 둔감성이다.
도5 및 도5A에 도시된 고압 커넥터의 실시예에서, 절연 재킷(12) 위의 절연부 스웨이징 영역[하우징(130)의 결합부]은 적어도 하나의 사다리꼴 하우징 홈(136)과 O-링(134)을 포함하고, O-링은 분리된 O-링 홈(135) 내에 배치된다.
도5는 추가로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은 케이블 섹션(10) 내에 유전성 개선 유체의 주입 직전에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터미널 커넥터(110) 위의 위치에 클램핑된 주입 도구(139)의 부분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를 사용하는 통상적 조립 절차에서, 케이블 섹션(10)의 절연 재킷(12)이 공보 제US 2005/0191910호에 설 명된 바와 같이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131)를 수용하도록 먼저 준비된다. 커넥터(110)의 하우징(130)은 주입 포트(48)를 포함한다[상세부(5B), 도5B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은 하우징은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그 더 큰 내경(ID)이 절연 재킷(12)의 외경(OD)보다 매우 미소하게 크고, 대향 제2 단부의 그 더 작은 ID가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131)의 OD보다 매우 미소하게 크도록 크기설정된다. 하우징(130)은 케이블 섹션의 절연 재킷(12) 위로, 그리고, 케이블 섹션(10)의 전도체(14) 위로 미끄러지며,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131)는 그후 하우징 내에서 전도체(14)의 단부 위로 미끄러진다. 내부의 홈 내에 배치된 제1 O-링(104)을 구비하는 하우징(130)의 제2 단부 부분은 먼저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131)(즉, 전도체 부재)에 관하여 스웨이징된다. 제1 스웨이지는 하우징(130)의 제2 단부의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으로 기계가공된 내부 치형부(108)와 제1 O-링(104) 위에 인가된다. 스웨이징은 전도체(14)와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131)를 함께 스웨이징하고 하우징(130)을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131)와 함께 스웨이징하는 단일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웨이징은 위상들로 수행될 수 있다[하우징(130)이 결과적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전도체 조합과 함께 스웨이징되기 이전에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131)가 전도체(14)와 함께 스웨이징됨). 이 스웨이징 작업은 전도체(14),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131) 및 하우징(130)을 친밀한 기계적, 열적 및 전기적 결합체로 결합하고, 하우징(130)과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131)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O-링(104)에 대한 이중적 밀봉부를 제공한다. 또한, 전도체 상에서의 스웨이징 이전에 절연체 상에 스웨이징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술한 작업순서가 바람직하다.
도5에서, 구리 터미네이션 러그(133)는 통상적 전기적 연결부를 제공하도록 알루미늄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131)에 스핀 용접된다. 스웨이징된 조립체는 그후 (선택적으로) 가닥 간격의 내외로의 유체 유동을 촉진하도록 전도체(14)의 외부 가닥의 배열체를 직선화하도록 비틀려진다. 그후, 제2 스웨이지가 제2 O-링(134)[하우징(130) 내의 분리된 내부 홈(135) 내에 배치됨], 애크미 나사형 홈(138) 및 사다리꼴 홈(136) 위의[즉, 도5의 상세부(5A) 및 도5A의 확대도의 절연부 스웨이징 영역 위] 하우징(130)의 제1 단부 부분의 외부에 인가된다. 하우징(130)은 303 스테인레스 강으로 기계가공될 수 있으며, 가공 경화에 대한 민감성을 제한하기 위해 기계가공 이후 어닐링될 수 있다. O-링(104, 134)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고무 또는 비톤(등록상표)(Viton) 같은 플루오로엘라스토머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스웨이징 작업은 절연 재킷(12)의 폴리머의 적어도 일부를 사다리꼴 홈(136) 및 애크미 나사 홈(138) 내로 밀어 넣고, 동시에, O-링(134)을 도5A에 도시된 유사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결과적으로, 절연 재킷(12)과 하우징(130)의 제1 단부 부분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가 형성되며, 이 밀봉부는 케이블 섹션(10)이 상승된 압력에서 유체를 수납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당한 열적 사이클링을 받을 때 누설이 없는 동작을 제공한다.
이 시점에서, 스웨이징된 커넥터(110) 및 부착된 케이블 섹션(10)은 상승된 압력에서 유전성 개선 유체가 주입될 준비가된다. 통상적 주입 절차에서, 추가로 후술될 플러그 핀(140)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콜릿(spring collet; 166)에 의해 적소에 유지되도록 주입 도구(139)의 밀봉 튜브 주입기 팁(160) 내에 장전된다. 스프링 콜릿(166)은 부분 절삭 실린더(partially cutout cylinder)를포함하며, 이 부분 절삭 실린더는 두 개의 180°대향 "수지부(finger)"(미도시)를 구비하며, 이 수지부는 플러그 핀이 취급이나 유체 유동에 의해 분리되지 않지만, 플러그 핀(140)이 도5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포트(48) 내에 삽입될 때에는 분리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플러그 핀(140)을 파지한다. 추가로 후술될 바와 같은 주입될 유체는 스프링 콜릿(166)의 이들 "수지부"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도5 및 도5B를 참조하면, 요크(148)는 요크(148) 내로 나사결합되는 정밀 정렬 핀(미도시)을 사용하여 주입 포트(48)와 정렬된다. 정밀 정렬 핀(미도시)은 클램프 노브(150)와 주입 포트(48)의 축들을 정밀한 정렬 상태가 되게 한다. 요크(148)에 일측에서 부착된 클램프 체인(142)은 하우징(130) 둘레에 감겨지고, 그후, 다시 요크(148)의 다른 측부 상의 후크에 부착된다. 이제, 느슨하게 부착된 체인은 클램프 노브(150)를 돌림으로써(나사에 의해-미도시) 죄어진다. 정밀 정렬 핀은 나사결합 해제되고 요크(148)로부터 제거된다. 주입 도구(139)는 요크(148) 내로 나사결합되고, 그후, 밀봉 노브(146)가 클램프 노브(150) 내로 나사결합되어 폴리머 밀봉부(162)를 하우징(130)의 외부에 대해 압축시키며, 이제, 전체 주입 도구(139)는 주입 포트(48)와 정밀 정렬 상태가 된다. 이 시점에서, 하우징(130)과 밀봉 튜브 주입기 팁(160)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가 존재하며, 그에 의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0)의 내부와 주입 도구(139)의 내부 사이에 주입 포트(48)를 통한 (유체를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도5C 및 도5D는 주입 도구의 축 방향을 따라 도5에 도시된 주입 도구(139)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체인(142)의 장력의 두배와 같은 힘으로 하우징(130)에 대해 가압하는 슬라이드 블록(318)을 도시한다. 안내 핀(316)은 밀봉 튜브 주입기 팁(160) 내의 슬롯과 정렬하고, 이를 하우징(130)에 관하여 그 각각의 굴곡부의 축이 정렬되도록 배향하며, 따라서, 유체 밀봉식 밀봉부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그후, 가압된 유체가 튜브(158), 밀봉 튜브 입구(154) 및 플러그 핀(140)과 가압 핀(152)의 조립체와 밀봉 튜브 주입기 팁(160) 사이에 형성된 환상체(미도시)를 거쳐서 케이블 섹션(10)의 간극 체적과 커넥터(110)의 내부로 도입된다. 사전결정된 양의 유체가 도입된 이후(또는, 상술한 공부 제US 2005/0191910호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블 섹션의 전체 길이를 따른 사전결정된 균일한 압력이 획득된 이후), 가압 핀 작동기 노브(144)가 죄어져서[주입 도구(139) 내에 정합된 나사를 사용하여-미도시] 가압 핀(152)이 주입 포트(48)를 향해 전진하게 하고, 그에 의해, 플러그 핀(140)을 주입 포트(48) 내로 추진하여 플러그 핀의 제1 모따기된 단부(141)에 인접 배치된 플러그 핀(140)의 명목상 원형 단부면이 하우징(130)의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일치되게 한다. 도6의 사시도에 예시된 플러그 핀(140)의 제1 모따기된 단부(141)는 하우징(130)의 최종 조립체를 위한 주입후 "결함없는(no snag)" 외부면을 보증한다. 플러그 핀(140)은 내부에 억지 끼워맞춤을 제공하도록 주입 포트(48)의 직경보다 미소하게 큰 직경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플러그 핀(140)은 또한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주입 포트(48)와의 억지 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주입 포트(48) 내로의 자체 안내를 가능하게 하 도록 제2 모따기된 단부(143)를 구비한다. 이 시점에서, 가압된 유체 공급원이 분리되고, 주입 도구(139)는 주입 프로세스를 완료하도록 커넥터(110)로부터 분리된다. 후속하여 부가적인 유체를 주입하는 결과를 얻도록 플러그 핀(140)이 커넥터(110)의 내부 내로 추진되거나, 소정의 이유로 시스템에 공기주입이 요구되고, 그후 미소하게 보다 큰 플러그 핀이 재삽입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스퍼(176)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링(168)이 실질적으로 하우징(170)의 내벽에 배치되고, 절연부 스웨이징 영역 내에 위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링(168)은 용접부(172, 174)에 의해 하우징(170)에 부착되며, 대안적으로 브레이징(brazing) 또는 납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스퍼(176)는 사이에 원주방향 연장 오목부(171)를 형성하도록 링(168)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168A)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169)을 구비한다. 오목부(218)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171)는 케이블 섹션(10)의 절연 재킷(12)의 일부가 내부에 가압되고 사용중인 상태로 케이블이 배치되고 상술한 절연 스웨이징 영역에서 하우징(170)의 제1 단부의 외부에 인가된 스웨이지의 결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동하는 스퍼(176)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축방향 개방 언더컷 공간을 형성한다. 링(168)은 스퍼(176)를 지지하도록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돌출 원주방향 연장 베이스 부재(173)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원주방향 연장 스퍼(176)를 갖는 링(168)의 횡단면은 단일 오목부(171)를 갖지만, 링 및 스퍼는 도7에 예시된 오목부(171)로부터 스퍼의 대향 측 부 상에 제2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이중 오목부 링 및 스퍼 배열의 오목부는 예로서, 도7A에 도시되고 후술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갖거나 대칭적인 두 개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절연 재킷 위에 스웨이징 작업이 수행될 때, 스퍼(176)는 절연 재킷을 변형 및 만입시킴으로써 절연 재킷을 관통하고, 그 폴리머는 스퍼 둘레로, 그리고, 오목부(171) 내로 유동한다. 이 유동은 케이블이 사용중인 상태로 배치될 때 케이블 상의 부하로 인한 증가된 온도에 의해 촉진된다. 이 동작은 절연 재킷의 폴리머 내에 일반화된 "모어타이즈" 만입부의 형성을 초래하며, 열적 사이클의 냉각 위상 동안 절연 재킷과 하우징 사이의 반경방향 분리를 저지하는 상술한 알반적인 "도브테일" 결합체를 제공한다.
스퍼(176)는 내부에 배치된 절연 재킷의 폴리머가 절연 재킷과 하우징의 상대적 반경방향 이동 및 분리를 억제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 오목부(171)를 유지하면서, 스웨이징 작업 동안 인가된 반경방향 내향력의 적용시 절연 재킷을 변형 및 만입시키기에 충분항 강성을 갖는 강성적 재료로 이루어진다. 스퍼(176)는 사실 절연 재킷을 후킹(hooking)한다. 본 실시예에서, 링(168) 및 그 스퍼(176)는 연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70)도 동일한 연성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도5 및 도5A와 도4A 내지 도4E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벽 내로 형성된 "홈" 실시예 및 상술한 스퍼의 "링" 실시예에서, 스퍼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절연 재킷을 변형 및 만입시키기에 충분한 상성을 갖도록 동일한 적절한 강성을 구비하는 스퍼를 제공하고 스퍼(176)를 위한 상 술된 바와 같은 대응적으로 배치된 오목부를 유지하는 300 시리즈 스테인레스 강 같은 연성(변형가능) 금속이다.
대안적으로,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스퍼(176)를 갖는 링(168)은 하우징(170)이 절연 재킷에 스웨이징될 때와 동일한 시기에 스웨이징에 의해 하우징(170)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얕은 홈(미도시)이 하우징의 내벽에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추후 부착될 수 있는 링을 수용하도록 하우징(170)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하우징 홈의 경우에서와 같이, 오목부(171) 및 스퍼가 열적 사이클링의 냉각 부분 동안 하우징으로부터 절연 재킷의 반경방향 후퇴를 저지할 수 있는 축방향 성분을 갖는 오목부에 인접한 스퍼의 적어도 하나의 벽(169)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한, 스퍼(176)의 형상은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스퍼(176)는 도5 및 도5A와 도4A 내지 도4E에 도시된 스퍼의 프로파일과 유사한 단면 프로파일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스퍼(176)는 하우징의 벽 내에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전자의 스퍼보다 많이 반경방향 내향 돌출할 수 있다.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스퍼를 갖는 상술된 링의 변형에서, 도7A에 도시된 링(168B)은 베이스 부재(173)의 대향 측부 상의 오목부(171A, 171B)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스퍼 부분을 구비한 이중 원주방향 스퍼(17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스퍼(176B)는 스퍼의 두 개의 벽(169A, 169B)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벽은 열적 사이클의 냉각 부분 동안 하우징으로부터 절연 재킷의 반경방향 후퇴를 저지할 수 있는 축방향 성분을 가지며, 오목부(171A, 171B) 중 상응하는 하나의 오목부에 각각 인접한다. 또한, 하우징 홈 형상을 사용 하는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하우징의 절연부 스웨이징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스퍼를 구비한 둘 이상의 링이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연장 스퍼가 그 하우징의 절연부 스웨이징 영역 내에 통합된다는 단서하에 상술한 공보 제US 2005/019190호에 고려된 임의의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터미널 커넥터 또는 스플라이스 커넥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로서, 이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하우징 고압 스웨이징 가능한 스플라이스 커넥터일 수 있다. 이 커넥터는 사다리꼴 홈(136)이 사용되고, 도1의 스프링 작동식 밸브(36)는 상술한 바와 같은 플러그 핀 폐쇄를 가능하게 하도록 삭제되어 있는 도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상적 조립 절차에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20)는 본 명세서의 도면에 관하여 좌측 및 우측 케이블 섹션이라 지칭되는 두 개의 케이블 섹션(10)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케이블 섹션(10)은 부품 제조업자의 권장사항에 따른 컷백 요구조건을 수용하도록 존재시 재킷(미도시), 중간 전도체(미도시) 및 절연 차폐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케이블 섹션의 최외부 층을 컷백함으로써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즉, 전도체 부재)를 수용하도록 먼저 준비된다. 유사하게, 케이블 섹션(10)의 절연 재킷(12) 및 전도체 차폐부(미도시)는 제조업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각 연선형 전도체(14)를 노출시키도록 컷백된다.
하우징(16)은 그 ID(내경)가 절연 재킷(12)의 OD(외경)보다 매우 미소하게 크도록 크기설정되며, 내부에 양 케이블 섹션(10)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원 유체의 도입을 위하 주입 포트(48)를 구비하는 하우징(16)은 후술된 바와 같이 부싱(22)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도록 노출된 가닥 전도체(14)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절연 재킷(12) 위로 미끄러진다. 하우징(16)의 ID보다 미소하게 작은 OD 및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의 OD보다 미소하게 큰 ID를 갖는 부싱(22)은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상으로 미끄러지고, 부싱(22) 내의 채널 내에 배치된 O-링(24)이 직접적으로 중앙의 크림핑되지 않은 부분 위에 있도록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상에 중심설정된다. 부싱(22)은 전도체(14)에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를 결합시키는 크림핑 작업 동안 동시에 크림핑되는(즉, 부싱,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및 가닥 전도체는 하나의 작업으로 함께 크림핑됨) 그 양 단부에 스커트(30)를 포함한다. 이 3 부재 크림핑은 전도체(14),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부싱(22)이 친밀한 기계적, 열적 및 전기적 결합체가 되게 하고, 각각의 변형으로 인해 접촉하게 한다. 부싱 스커트(30),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전도체(14)를 결합시키는 크림프는 연결부의 전류용량이 커넥터 제조업자의 요구조건 및 관련 표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보증하는 2 지점, 육각형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 같은 종래 기술에 잘 알려진 임의의 다양한 것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위에 긴밀하게 끼워짐으로서 압축되는 O-링(24)은 부싱(22)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사이의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형성한다.
그후, 하우징(16)은 절연 재킷(12) 위로 미끄러지고, 부싱(22) 및 스플라이 스 크림프 커넥터(18) 위에 중심설정된다. 크림프는 부싱(22)의 부싱 만입부(28)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6)의 중심으로부터 측정된 위치에서 하우징(16) 외부 상에 형성된다. 이는 하우징(16)과 부싱(22)을 전기적으로, 열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크림핑이 부싱 만입부(28) 바로 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보증한다. 부싱(22) 내의 채널 내에 배치된 O-링(26)은 하우징(16)가 부싱(22) 사이의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크기설정된다. 본 실시예의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양 케이블 섹션에 대한 동시 주입을 위해 사용될 때(예를 들어, 관통 유동 모드), 적어도 O-링(26)이 생략되고, 바람직하게는 O-링(24, 26) 양자 모두가 생략된다. 만입부(28) 위의 중앙 크림프는 부싱(22)을 통한 하우징(16)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사이의 기계적, 전기적 및 열적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지점들에서만 형성된다(즉, 부싱을 지나치는 유체의 유량을 규제하는 원주방향 크림프나 스웨이지는 그렇지 않다). 대안적으로, 부싱(22)은 자체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기계적/전기적/열적 결합체 및 접촉을 제공하도록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에 직접적으로 하우징(16)이 크림핑될 수 있다(즉, 다수 지점에서 크림핑됨).
하우징(16)이 도8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된 이후, 스웨이지는 원주방향 치형부(32) 및 사다리꼴 홈(136) 위에서 하우징(16)의 단부 부분 외주에 인가된다. 하우징(16)의 단부 부분은 치형부(32)와 홈(136)의 스퍼가 변형되어 그 외주를 따라 각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면서, 또한, 동시에, 절연 재킷과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형성하여 지속되는 내부 압력을 케이블 섹션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받게 될 때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면서 열적 사이클링에 대해 내성적인 밀봉부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절연 재킷(12)에 대하여 견고하고 안전하게 그들을 배치하도록 스웨이징된다. 하우징(16)의 원주방향 벽 단부 부분은 적어도 절연 스웨이징 영역 내의 하우징의 외주에서, 내부의 케이블 섹션의 절연 재킷(12) 상으로의 그 내향 스웨이징을 가능하게 하고, 후속하여, 주입 포트 내로의 유체의 도입 동안, 그리고, 잔류 압력에서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유체가 감금되어 있는 동안 하우징에 관해 절연 재킷을 종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면서, 절연 재킷과 스웨이징된 변형가능한 재료 사이에 유체 밀봉식 결합을 생성하기에 충분하게 케이블 섹션을 파지할 수 있게 하도록 변형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케이블 섹션의 다른 원격 단부로부터 물 및 오염된 유체의 인출과, 각 케이블 섹션 중 하나의 단부에서의 유체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주입 포트(48)가 사용된다. 따라서, 각 주입 포트는 유체를 주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20)의 각 측부(또는 양 측부)로부터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 및 본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간극 체적(들) 내외로의 유체 유동을 촉진하도록, 크림핑 동작에 의해 결합되는 전도체(14)의 가닥들은 케이블 섹션(10)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으로 먼저 직선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부싱/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조합(22/18)은 좌측 케이블 섹션(10)의 전도체 같은 하나의 전도체(14)에 그와 기계적, 전기적 및 열적 단일체가 되도록 먼저 크림핑된다. 부싱/스플라이스 크림 프 커넥터 조합(22/18)은 다음에 그 전도체의 가닥들의 최외부층의 원래의 배열을 먼저 직선화하도록 약 15°회전되며, 그후, 최초 가닥 비틈 방향에 반대쪽으로 15°더 회전된다. 부싱/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조합(22/18)은 다음에 우측 케이블 섹션(10)의 전도체(14)에 크림핑된다. 부싱/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조합(22/18)은 그후 제2 전도체의 가닥의 최외부층의 배열을 직전화하기위해 약 15°역방향으로(즉, 제1 전도체의 최초 가닥 비틈 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제1 전도체도 이 작업에 의해 회전되며, 그에 의해, 좌측 전도체의 카운터 배열 및 우측 전도체의 원래 배열을 제거한다. 크림핑 작업 이전에 직전화된 커넥터로부터 모든 그리스 및 먼지가 세정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치형부(32)는 그 각 단부[즉, 절연 재킷(12)에 대한 스웨이징이 적용되는 하우징의 부분]에서 하우징(16)의 내부면을 따라 기계가공된 복수의 삼각형 원주방향 홈을 포함한다. 도8의 하우징(16)의 내부면은 본 명세서의 목적상 기계가공된 치형부(32)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다리꼴 홈(136)이 포함되고, 크림핑 작업이 하우징(16)과 절연 재킷(12)을 상술한 밀봉 및 고정 기능을 제공하기에 충분하게 변형시키는 한, 하우징(16)의 내부면은 나사형성, 톱니형상화, 리브형성 또는 심지어 평활할 수 있다. 하우징(16)의 이 내부면은 또한, 추가로 후술될 바와 같이, 물결모양 조면부를 갖거나, 내향 지향 탭 또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후술된 도9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 내부면과 절연 재킷(12)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고무 O-링 또는 다른 적절한 엘라스토머 밀봉부를 도입하는 것 및 O-링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측부 에 인접한 주연면에서 하우징을 스웨이징하여 이중적 밀봉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9에 예시된 상술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다른 변형예에서, 도8의 기계가공된 치형부(32)는 절연 재킷(12)을 관통하도록 내향 크림핑면서 고정 기능을 제공하고 푸시백을 제거하는 복수의 절삭된(예로서, 밀링 또는 스탬핑된) 직사각형 탭(56)으로 대체되어 있다. 이는 통상적 지점 크림핑의 변형이며, 바람직하게는 절연 재킷(12) 내로 각 탭을 내리누르기 위해 특수 도구를 사용한다. 대안적으로, 탭(56)은 보다 연성의 플라스틱 절연부가 각 탭(56) 둘레로 홈을 통해 이동하여 견고한 로크를 제공함에 따라, 고정 기능을 제공하도록 스웨이징될 수 있다. 하우징(54)의 두께보다 외경 상에서 더 두꺼운 각 탭(56)을 남기는 제조 공정에 의해 보유 성능을 추가로 개선하도록 스웨이징 동안 추가적인 내향 탭 편향이 달성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탭의 형상은 필요한 고정 기능을 제공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삼각형, 가리비형). O-링(58)은 절연 재킷(12)과 이중적인 밀봉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우징(54)의 성형된 홈(60) 내에 배치된다.
도10에 예시된 상술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다른 실시에서, 도8의 치형부(32)는 스웨이징 가능한 성형된 만입부(52)로 대체되어있으며, 이 만입부는 절연체의 푸시백을 억제하고, 백업 밀봉부로서 작용한다. 이 경우에, 주 밀봉부는 하우징(62)의 내부면과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O-링(66)을 갖는 스프링 작동식 경사진 금속 와셔(64)이다. 부가적으로, 와셔(64)는 절연 재킷(12)의 경사진 단부 부분과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O-링(68)을 구비하며, O-링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와셔(64) 내의 대응 홈 내에 배치된다. 절연 재킷(12)의 경사 형성은 종래 기술에 잘 알려진 펜슬링 도구(penciling tool)로 달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 섹션(10)의 단부의 준비시 최종 단계로서 수행된다.
적용시, 도10의 하우징(62)은 도8의 실시예를 위해 설명된 바와 같이, 우측 또는 좌측 중 어느 하나로 절연 재킷(12) 위로 미끄러진다. 그 두 개의 사전설치된 O-링(66, 68)과 함께 경사진 와셔(64)는 각(즉, 좌측 및 우측) 케이블 섹션(10)의 전도체(14) 위로 미끄러진다. 스프링(70)은 다음에 각 전도체(14) 위로 미끄러지고, 경사진 와셔(64)에 대해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크기설정된 부싱(22)은 O-링(24)이 직접적으로 그 중앙의 크림핑되지 않은 부분 위에 있도록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상으로 미끄러져 그 위에 중심설정된다. 크림프가 부싱(22)의 부싱 스커트(30) 각각에 인가되기 직전에, 부싱(22) 및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는 크림핑이 완료될 때 스프링(70)이 완전히 압축되어 O-링(68)을 예비부하하고,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절연 재킷(12)의 경사면의 열적으로 유도된 또는 기계적으로 유도된 이동을 제공하도록, 말하자면, 절연 재킷(12)이 종방향으로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스프링에 대하여 단일체로서 밀려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관통 유동 모드에서 사용될 때,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양자 모두의 O-링(24, 26)이 생략된다. 추가로 상술된 바와 같이, 스웨이지는 케이블 섹션(들)이 가압될 때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고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형성하도 록 형성된 만입부(52) 및 사다리꼴 홈(136) 위에서 하우징(62) 외부에 인가된다.
도11에 예시된 상술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10의 경사진 와셔(64) 및 O-링(66)은 치형 와셔(72) 및 연계된 O-링(74)으로 대체된다. 치형 와셔(72)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돌출식 동심 배열 원형 면 치형부(76)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설치는 도10과 연계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 성형된 만입부(52) 위에서의 스웨이징이 완료될 때, 스프링(70)이 완전히 압축되고, 원형 면 치형부/치형부들(76)이 절연 재킷(12)의 단부면 내로 완전히 매립되어 부가적인 밀봉 기능을 제공하도록,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부싱(22)의 부싱 스커트(30)의 전도체(14)에 대한 크림핑 이전에 스프링(70)에, 그리고, 순차적으로, 와셔(72)에 충분한 축방향 힘이 인가된다.
물론, 본 기술의 숙련자들은 다양한 밀봉/고정 수단을 채용하는 임의의 상술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고압 터미널 커넥터를 제공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이는 단순히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를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로 대체하고 하우징과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는 하우징에 고정된다. 또한,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 및 하우징은 도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와 하우징 사이에 어떠한 부가적인 밀봉부도 필요하지 않도록 일체화될 수 있다. 이 고압 터미널 커넥터(84)에서, 내부 치형부(32), 사다리꼴 홈(136) 및 주입 포트(48)를 구비하는 하 우징(80)은 그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 부분(82)과 일체화된다. 적용시, 터미네이션 크림프 커넥터 부분(82)은 중첩 영역에서, 전도체에 고정되어 전도체와 전기적 소통을 제공하도록 전도체(14)에 크림핑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우징(80)은 절연 재킷(12)에 관한 밀봉 및 고정 기능을 제공하도록 원주방향 치형부(32) 및 사다리꼴 홈(36)의 영역에서 스웨이징된다.
도13에 예시된 고압 스웨이징 가능한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10의 경사 와셔(64)는 절연 재킷(12)의 경사 단부에 애하여 밀봉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축방향 돌출식 동심 배열 원형 면 치형부(96)를 갖는 치형 경사 와셔(92)로 대체되고, O-링(94)은 하우징(50)의 내부에 대한 밀봉부를 제공한다. 또한, 역시, 공보 제US 2005/0191910호에서 고려된 바와 같이, 하우징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의 상대적 치수가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에 대한 하우징의 크림핑(또는 스웨이징)을 가능하게 하는 한, 도8 내지 도11 및 도13에 도시된 단일 하우징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에서 부싱(22)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5에 도시된 유형의 두 개의 동일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터미널 커넥터로부터 조립된 이중 하우징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도14에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내부에 홈 내에 배치된 O-링(104)을 구비하는 하우징(100)은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에 관하여 스웨이징된다. 스웨이지는 대략 삼각형으로부터 대략 정사각형으로 변하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는 기계가공된 치형부(108)와 O-링(104) 위의 위치(102)에서 인가된다. 이 스웨이 징 작업은 전도체(14),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하우징(100)을 친밀한 기계적, 열적, 전기적 결합체 및 접촉으로 결합하고, O-링(104)에 대한 이중적 밀봉부를 제공한다. 도14의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가 관통 유동 모드에 사용될 때, 물 정지 영역(106)[즉,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0) 내의 배리어 벽]은 생략될 수 있거나, 조립 이전에 천공 제거될 수 있다. 그후, 케이블 섹션이 가압될 때, 절연부의 푸시백을 방지하고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각각의 절연 재킷(12)이 충분히 변형되도록 기계가공된 치형부(32)와 사다리꼴 홈(136) 위에서 각 하우징(100)의 외부에 스웨이지가 인가된다. 하우징(100) 상의 주입 포트(4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된 압력에서 유체가 주입 또는 인출될 수 있게 한다. 역시, 본 실시예에 따른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관통 유동 모드에 사용될 때, 주입 포트는 생략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의 중앙을 통과하면서 케이블 축에 수직인 평면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적이며, 설명된 조립 절차는 스플라이스의 양 단부에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위해 여기에 설명된 밀봉 및 크림핑 옵션의 다양한 조합은 의도된 밀봉 및 고정 기능을 제공하도록 "혼합-및-정합" 형태로 조합될 수 있지만, 본 기술의 숙련자는 더 많은 바람직한 및/또는 논리적 조합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고무(엘라스토머) O-링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의 구성요소는 예상되는 압력 및 온도를 견디도록 설계되며,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스테인레스 강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고무 와셔 및 O-링은 커넥터의 최대 작동 온도 및 주입을 위해 고려되는 유체(들)과 공존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양호한 고무는 플루오로카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우레탄 고무 및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며, 최종적 선택은 존재하는 임의의 고무 성분의 융기 또는 열화를 최소화하도록 사용되는 유체(들)과의 화학적 공존가능성 및 용융성의 함수이다.
비록, 단지 고압 터미널 및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고압 커넥터는 또한 공보 제US 2005/0191910호에 설명된 Y, T 또는 H 전기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직렬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된 하우징 홈 형상중 임의의 형상을 갖는 고압 커넥터의 성능은 하우징/절연 재킷 계면에서 절연 재킷(12) 위에 현장 수축(shrink-in-place) 튜브 같은 외부적 밀봉부를 추가함으로서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실시예
케이블 섹션의 절연 재킷에 관하여 다양한 하우징 밀봉 형상을 갖는 하기의 터미널 고압 커넥터가 상당한 열적 사이클링 조건 하에서 누설에 대해 평가되었다. 사용된 테스트 커넥터는 전도체 차폐부(13)가 도시되어 있는 경우인, 도15의 단면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일 단부에 나사형 주입 포트(182)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였다. 다섯개의 서로 다른 하우징 밀봉 형상이 테스트되었으며(도15 및 도15A 내지 도15D에 도시됨), 이들은 하기와 같다.
(I) 하우징(180) 내의 애크미 나사형 홈(138)(하우징의 절연부 스웨이징 영 역을 식별하기 위해 파선을 사용하고 있는 도15 참조).
(II) 하우징(184) 내의 정사각형 홈(132)(절연부 스웨이징 영역의 상세부를 도시하는 도15A 참조).
(III) 상술한 도5 및 도5A에 예시된 사다리꼴 홈(136)에 대응하는 홈(186) 내에 정사각형 홈(132)에 조합된 사다리꼴 홈(136)(절연부 스웨이징 영역의 상세부를 도시하는 도15B 참조).
(IV) 하우징(188) 내의 각진 홈(190, 192)으로부터 형성된 지지 리브(194).
(V) 하우징(196) 내의 정사각형 홈(132)과 조합한 원주방향 O-링(134)(절연부 스웨이징 영역의 상세부를 도시하는 도15D 참조). 이 경우, O-링(134)은 정사각형 홈(132)보다 미소하게 더 깊은 정사각형 홈 내에 배치된다. 상술한 테스트 커넥터에서, 각 하우징은 어닐링된 304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되었으며, O-링은 EPDM 고무로 이루어졌다. 상술한 형상 각각은(표2의 제1 컬럼에 표시됨) 후술된 압력 테스팅 및 가속된 에이징(aging) 프로토콜을 받았다.
하기와 같이, 케이블 및 커넥터가 60℃로부터 상온(약 22℃)으로 사이클링되는 동안 수일의 기간에 걸쳐 약 0.207 Mpag(30 psig)의 최대 헤드 압력으로 케이블 및 커넥터 내의 유체의 압력이 쇠퇴하는 위상 동안 주입후 고압 커넥터 밀봉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제1 일련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케이블 섹션은 4.968 Mpag(720 psig)의 압력에서 약 5 중량%의 멘틸 안트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와, 25℃에서 0.65 cS의 점도를 갖는 약 95 중량%의 폴리디메틸실록산 유체의 혼합물로 주입되었다. 테스트 스트링 전반에 걸쳐 압력이 달성된 이후 수분 내에 상술한 혼합물의 주입을 위해 사용된 펌프가 분리되었다. 테스트 스트링은 수 개의 1/0 케이블 섹션과 일련의 서로 다른 구조의 고압 터미널 커넥터를 포함하였다. 커넥터로부터의 누설은 이 테스트 전반에 걸쳐 UV 광을 사용하여 모니터링되었다(메틸 안트라닐레이트는 UV 조명하에서 밝은 녹색을 발광한다). 그후, 압력은 약 22℃의 상온에서 약 20 시간 동안 쇠퇴되었다. 테스트 샘플 조립체(각 테스트 형상의 두 개의 커넥터를 각각 구비하는 케입르 섹션의 스트링)는 상온의 덮개가 덮혀진 수조 내에 침지되었으며, 온도가 약 90 분의 기간에 걸쳐 약 60℃로 증가되엇다. 수조가 명목상 60℃ 목표에 도달하였을 때, 덮개가 수조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물이 냉각될 수 있도록 가열이 중단되었다. 약 7 시간 이후, 테스트 스트링이 물로부터 제거되고, 샘플은 테스트의 완료를 위해 주변 공기 온도로 유지되었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목상 잔류 압력이 약 0.345 Mpag(50 psig)가 될 때 까지, 주입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의 함수로서 압력이 기록되었다. 가압 이후 약 4일 동안 누설과, 케이블 섹션 내의 임의의 잔여 유체에 대한 최종 체크가 이루어졌으며, 그후, 커넥터는 배수 및 공기 취출 작업이 이루어졌다. 테스트 샘플 상에서는 어떠한 누설도 존재하지 않앗으며, 이는 각 디자인이 이런 온건한 열적 사이클링 조건하에서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체 압력 레벨이 실질적으로 유전성 개선 유체의 증기압 및 헤드 압력만을 나타내는 레벨로 쇠퇴되고, 이 압력 레벨이 연장된 기간(예를 들어, 수년) 동안 남아있는 위상 동안 주입후 밀봉 성능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제2 일련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후술된 테스트 1 내지 13에 대하여, 커넥터 및 부착된 케이블을 포함하 는 테스트 조립체는 약 18.28 m(60 피트)의 수직 헤드 또는 더 낮은 헤드 및 소정 유체 증기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공기로 0.207 Mpag(30 psig)로 가압되었다. 테스트 14 및 15에 대하여, 테스트 조립체는 약 18.28 m(60 피트)의 수직 헤드 및 0.2208 Mpag(32 psig)의 유체 증기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공기로 0.414 Mpag(60 psig)로 가압되었다. 온도는 반복적으로 ΔT = 48℃ 내지 ΔT = 80℃의 근사 공칭 범위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이클링되었다. 즉, 커넥터를 포함하는 테스트 조립체는 약 19℃의 저온과 67℃와 97℃ 사이의 범위의 높은 샘플 온도 사이에서 사이클링되었으며, 상부 온도는 후술된 바와 같은 증분 또는 상승 시퀀스로 상승되었다. 따라서, 본 테스트 프로토콜에 따라, 케이블 섹션 및 부착된 커넥터는 0.207 Mpag(30 psig)의 공기로 가압되고, 약 20 내지 22℃의 실온 수조 내에 침지되었다. 수온은 67℃ 내지 97℃(모든 경우 +/- 1℃) 범위의 (상승하는) 고온과, 15℃ 내지 22℃의 꼭지에서 흘러내리는 물(tap water)의 저온 사이에서 160 내지 110 분의 사이클 시간으로 사이클링되었으며, 시스템은 매일 약 9 내지 13회의 완전한 온도 사이클을 받았다. 기록된 온도 대 시간의 세 개의 통상적 사이클이 도17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된 15 테스트를 위한 시퀀스가 표1에 요약되어 있다. 이들 테스트의 결과는 표2에 나타나있으며, 제1 컬럼에 나열된 각 디자인의 두 개의 커넥터가 양자 모두의 샘플이 누설되어 이들 두 샘플이 제거되지 않은 한, 모든 15 테스트를 받았다.
표1
테스트 번호 설명 피크 온도 범위 밸리 온도 범위
1 17일 동안 75℃의 고온까지 81 사이클, 1일당 81℃의 최고점까지 1회 67 내지 81℃ 18 내지 27℃
2 12일의 기간에 걸쳐 81℃의 고온까지 128 사이클, 2회는 84℃까지 80 내지 84℃ 18 내지 22℃
3 2일의 기간에 걸쳐 8회의 추가 사이클 86 내지 89℃ 18 내지 22℃
4 어떠한 부가적 열 사이클도 없이 누설 섹션을 제거하기 위해 테스트 스트링을 분리 및 재조립 상온 상온
5 커넥터의 두번째 취급(4와 동일) 상온 상온
6 각 섹션을 독립적으로 체크하기 위해 테스트 스트링을 완전히 분리(테스트 4, 5 및 6은 열 및 압력 사이클로 인한 임의의 변화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케이블 샘플의 외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됨) 상온 상온
7 4일의 기간에 걸쳐 34 사이클 80 내지 82℃ 18 내지 21℃
8 9일의 기간에 걸쳐 71 사이클 80 내지 82℃ 18 내지 21℃
9 22일의 기간에 걸쳐 222 사이클 80 내지 85℃ 18 내지 21℃
10 7일의 기간에 걸쳐 63 사이클 86 내지 89℃ 18 내지 20℃
11 8일의 기간에 걸쳐 71 사이클 89 내지 90℃ 17 내지 20℃
12 6일의 기간에 걸쳐 45 사이클 1사이클은 95℃까지 89 내지 95℃ 17 내지 20℃
13 14일의 기간에 걸쳐 81 사이클 87 내지 90℃ 15 내지 19℃
14 10일의 기간에 걸쳐 56 사이클 88 내지 91℃ 14 내지 17℃
15 7일의 기간에 걸쳐 66 사이클 93 내지 97℃ 13 내지 15℃
수조 내의 기포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은 누설이 기록되었으며, 임으의 누설 샘플은 열적 사이클링으로 인해 주어진 디자인의 양 샘플이 모두 손상되었을 때 실험으로부터 제거되었다. 두개의 샘플들 중 단 하나가 손상되었을 때, 이는 제 위치에 남겨지고 누설 또는 "자체 치유"를 지속할 수 있게 하였다. 원주방향 O-링 형상을 제외하면, 분리 및 취급 단계(즉, 표1의 테스트 4 내지 6) 중 적어도 하나 동안 각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이 누설되었다. 그러나, 몇몇 샘플은 자체 치유되었고, 후속 테스트를 받았을 때 누설되지 않았다. 따라서, 예로서, 사다리꼴 형상 샘플 부품들 양자 모두는 테스트 6 이후 누설되었지만, 테스트 7 내지 15에 대한 표2의 공백 셀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후에는 누설되지 않았다. 상술한 테 스트는 표시된 시간 동안 또는 손상시까지 수행되었다.
표2
Figure 112008059975311-PCT00001
L=누설된 샘플
X=양자 모두 누설된 이후 테스트로부터 제거된 샘플
표2로부터, 사다리꼴 형상(III) 만이 모든 테스트 조건 하에서 유체 밀봉을 제공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공백 셀로 표시된 바와 같이). 또한, 이들 샘플들은 테스트 4 내지 6의 거친 취급 및 부분적 분해 이후에도 누설 없는 동작을 제공하도록 자체 치유되었다.

Claims (67)

  1. 폴리머 절연 재킷 내에 둘러싸여진 중앙 연선형 전도체를 구비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영역 내에 간극 체적을 가지는 전력 케이블 섹션용 고압 커넥터로서, 대기압을 초과하지만 폴리머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미만인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감금하기에 적합한 고압 커넥터이며,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면서 일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케이블 섹션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연선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결합부를 구비하며, 결합부는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과 내부 챔버 내에 유체를 감금하기 위해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내향 스웨이징시에 유체 밀봉 결합으로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하는 스웨이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고,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서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스퍼를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스퍼는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 내의 원주 방향 홈에 의해 형성되고, 홈은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오목 벽 부분을 구비하며, 스퍼는 하우징 벽을 절연 재킷에 고정하기 위해 절연 재킷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홈 내에서 사이에 원주방향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홈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오목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스퍼의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내부 챔버 내에서 실질적 축방향으로 돌출하며,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이후에 결합부와 절연 재킷 사이의 반경방향 분리를 저지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반경방향 정합을 제공하는 고압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시에 절연 재킷과 하우징 벽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 둘레로 연장하는 연속적 부재인 고압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스퍼의 반경방향 외측의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는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고,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해 하우징 벽을 고정하기 위해 절연 재킷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사이에 원주방향 홈 을 형성하도록 결합부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스퍼의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내부 챔버 내에서 실질적 축방향으로 돌출하며,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이후에 절연 재킷과 결합부 사이의 반경방향 분리를 저지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반경방향 정합을 제공하는 고압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시에 절연 재킷과 하우징 벽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 둘레로 연장하는 연속적 부재인 고압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서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고 스퍼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원주방향 제1 부재와, 상기 원주방향 제1 부재와 스퍼를 함께 연결하는 원주방향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원주방향 제1 부재는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고, 스퍼는 원주방향 제1 부재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고, 원주방향 제1 부재, 스퍼 및 원주방향 제2 부재 의 벽 부분들은 절연 재킷에 대해 하우징 벽을 고정하기 위해 절연 재킷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원주방향 오목부를 사이에 형성하는 고압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원주방향 제1 부재는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 부착되는 고압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서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된 원주방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원주방향 부재는 스퍼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과, 스퍼에 연결되어 스퍼를 지지하는 원주방향 연결부를 구비하고,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벽의 고정을 위해 절연 재킷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원주방향 오목부를 사이에 형성하도록 원주방향 부재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원주방향 부재는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 부착되는 고압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스퍼의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내부 챔버 내에서 실질적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이후에 절연 재킷과 결합부 사이의 반경방향 분리를 저지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반경방향 정합을 제공하는 고압 커넥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시에 절연 재킷과 하우징 벽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 둘레로 연장하는 연속적 부재인 고압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는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하기 위해, 절연 재킷의 외주를 따라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된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압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연선형 전도체에 고정되어 연선형 전도체와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도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압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고압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과 유체 밀봉식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고압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개방 단부를 구비한 내부 부재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구비하고, 내부 부재 챔버는 연선형 전도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며, 부재 벽은 부재 벽의 내향 크림핑 시에 전도체 부재를 전기 접촉 상태로 연선형 전도체에 고정하도록 크림핑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압 커넥터.
  19. 제15항에 있어서, 하우징 및 전도체 부재는 단일체 부재인 고압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개방 단부를 구비한 내부 부재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구비하고, 내부 부재 챔버는 내부에 연선형 전도체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며, 부재 벽은 부재 벽의 내향 크림핑 시에 전도체 부재를 전기 접촉 상태로 연선형 전도체에 고정하도록 크림핑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압 커넥터.
  21. 제15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터미널 크림프 커넥터인 고압 커넥터.
  22. 제15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인 고압 커넥터.
  23.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내부 챔버와 유체 연통하면서 내부 챔버 내로 유체를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포함하는 고압 커넥터.
  24. 폴리머 절연 재킷 내에 둘러싸여진 중앙 연선형 전도체를 구비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영역 내에 간극 체적을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 섹션용 고압 커넥터로서, 대기압을 초과하지만 폴리머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미만인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감금하기에 적합한 고압 커넥터이며,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면서 절연 재킷의 일 단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케이블 섹션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며,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결합부를 구비하며, 결합부는 간극 체적과 내부 챔버 내에 잔류 압력에서 유체를 감금하기 위해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내향 변형 시에 유체 밀봉 결합 상태로 절연 재킷에 대해 하우징 벽을 고정하도록 내향 변형가능한 재료로 구성되고,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서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25. 제24항에 있어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는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고, 결합 부재는 절연 재킷에 대해 하우징 벽을 고정하기 위해 절연 재킷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원주방향 오목부를 사이에 형성하도록 결합부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26. 제25항에 있어서, 결합 부재의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변형 이후 절연 재킷과 결합부 사이의 반경방향 분리를 저지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반경방향 정합을 제공하도록 내부 챔버 내에서 실질적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압 커넥터.
  27. 제24항에 있어서, 결합 부재는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 둘레로 연장하는 연속적 부재이며,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변형 시에 절연 재킷과 하우징 벽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는 고압 커넥터.
  28. 제24항에 있어서, 결합 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의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는 절연 재킷에 대해 하우징 벽을 고정하기 위해 절연 재킷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원주방향 오목부를 사이에 형성하도록 결합부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29. 제24항에 있어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서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고 결합 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원주방향 제1 부재와, 상기 원주방향 제1 부재와 결합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원주방향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원주방향 제1 부재는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을 포함하고, 결합 부재는 원주방향 제1 부재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며, 원주방향 제1 부재와 결합 부재의 벽 부분들은 절연 재킷에 대해 하우징 벽을 고정하기 위해 절연 재킷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원주방향 오목부를 사이에 형성하는 고압 커넥터.
  30. 제24항에 있어서,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전기 접촉 상태로 연선형 전도체에 고정되는 전도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압 커넥터.
  31. 제30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과 유체 밀봉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고압 커넥터.
  32. 제31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개방 단부를 구비한 내부 부재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구비하고, 내부 부재 챔버는 내부에 연선형 전도체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며, 부재 벽은 부재 벽의 내향 크림핑시 전기 접촉 상태로 연선형 전도체에 전도체 부재를 고정하도록 크림핑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압 커넥터.
  33. 제32항에 있어서, 하우징 및 전도체 부재는 단일체 부재인 고압 커넥터.
  34. 제24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내부 챔버와 유체 연통하면서 유체를 내부 챔버 내로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포함하는 고압 커넥터.
  35. 폴리머 재킷 내에 둘러싸여진 중앙 연선형 전도체를 구비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영역 내에 간극 체적을 가지는 전력 케이블 섹션용 고압 커넥터로서, 대기압을 초과하지만 폴리머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미만인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감금하기에 적합한 고압 커넥터이며,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일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크기설정되며, 케이블 섹션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결합부를 구비하며, 결합부는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과 내부 챔버 내에 유체를 감금하기 위해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내향 스웨이징 시에 유체 밀봉 결합 상태로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하도록 스웨이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고,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 배치된 적어도 제1 및 제2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스퍼를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36. 제3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퍼는 서로 인접한 고압 커넥터.
  37. 제3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퍼는 서로를 향해 대향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압 커넥터.
  38. 제3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퍼는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대향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압 커넥터.
  39. 제3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퍼는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 내의 원주방향 홈에 의해 형성되고, 홈은 반경방향 내향 지향 오목 벽 부분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 스퍼 각각은 절연 재킷에 대해 하우징 벽을 고정하기 위해 절연 재킷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홈 내에서 사이에 원주방향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홈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오목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40. 제39항에 있어서, 홈은 실질적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고, 제1 및 제2 스퍼는 서로를 향해 대향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압 커넥터.
  41. 제3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퍼는 홈의 대향한 축방향 단부 부분들에 배치되는 고압 커넥터.
  42. 제3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퍼의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내부 챔버 내에서 실질적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이후에 절연 재킷과 결합부 사이의 반경방향 분리를 저지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반경방향 정합을 제공하는 고압 커넥터.
  43. 제3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퍼는 각각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시에 절연 재킷과 하우징 벽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 둘레로 연장하는 연속적 부재인 고압 커넥터.
  44. 제43항에 있어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서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고 스퍼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원주방향 제1 부재와, 상기 원주방향 제1 부재를 제1 및 제2 스퍼와 함께 연결하는 원주방향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원주방향 제1 부재는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제1 및 제2 벽 부분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스퍼는 각각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며, 제1 스퍼의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벽의 고정을 위해 절연 재킷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에 원주방향 제1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원주방향 제1 부재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제1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되어 있으며, 제2 스퍼의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벽의 고정을 위해 절연 재킷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에 원주방향 제2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원주방향 제1 부재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제2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되어 있는 고압 커넥터.
  45. 제44항에 있어서, 원주방향 제1 부재는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 부착되는 고압 커넥터.
  46. 제35항에 있어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서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스퍼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스퍼를 지지하는 원주방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원주방향 부재는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제1 및 제2 벽 부분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스퍼는 각각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며, 제1 스퍼의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벽의 고정을 위해 절연 재킷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에 원주방향 제1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원주방향 부재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제1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되며, 제2 스퍼의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벽의 고정을 위해 절연 재킷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원주방향 제2 오목부를 사이에 형성하도록 원주방향 제1 부재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제2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되는 고압 커넥터.
  47. 제46항에 있어서, 원주방향 부재는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 부착되는 고압 커넥터.
  48. 제4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퍼의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내부 챔버 내에서 실질적 축방향으로 돌출하며,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이후에 절연 재킷과 결합부 사이의 반경방향 분리를 저지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캐킷에 대한 반경방향 정합을 제공하는 고압 커넥터.
  49. 제4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퍼는 각각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시에 절연 재킷과 하우징 벽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 둘레로 연장하는 연속적 부재인 고압 커넥터.
  50. 제46항에 있어서, 원주방향 부재는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 고정 부착된 링 부분을 포함하는 고압 커넥터.
  51. 절연 재킷 내에 둘러싸여진 중앙 연선형 전도체를 구비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영역 내에 간극 체적을 가지는 전력 케이블 섹션용 고압 커넥터로서,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감금하기에 적합한 고압 커넥터이며,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을 가지며, 하우징 단부 부분에서의 하우징 벽은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크기설정되며, 연선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결합부를 구비하며, 결합부는 간극 체적과 내부 챔버 내에 잔류 압력에서 유체를 감금하기 위해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내향 스웨이징 시에 유체 밀봉식 결합으로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하도록 스웨이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며,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 내에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은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서 내부 챔버 내에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스퍼를 형성하는 고압 커넥터.
  52. 제51항에 있어서, 홈은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오목 벽 부분을 구비하고,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벽의 고정을 위해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홈 내에서 원주방향 오목부를 사이에 형성하도록 홈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오목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53. 제52항에 있어서, 스퍼의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내부 챔버 내에서 실질적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스퍼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이후에 절연 재킷과 결합부 사이의 반경방향 분리를 저지하도록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반경방향 정합을 제공하는 고압 커넥터.
  54. 폴리머 절연 재킷 내에 둘러싸여진 중앙 연선형 전도체를 구비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영역 내에 간극 체적을 갖는 전력 케이블 섹션용 고압 커넥터로서, 대기압을 초과하지만 폴리머 재킷의 탄성 한계 미만인 잔류 압력에서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감금하기에 적합한 고압 커넥터이며,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을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일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크기설정되며, 케이블 섹션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연선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며,
    하우징 단부 부분에서의 하우징 벽은 결합부를 구비하고, 결합부는 간극 체적과 내부 챔버 내에 잔류 압력에서 유체를 감금하도록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시에 유체 밀봉식 결합으로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하도록 스웨이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고,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에서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홈을 가지고, 상기 홈은 축방향 치수 Xr보다 큰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치수 Xm을 가지며,
    Xm은 r보다 크지만 R보다는 작은 반경에서의 최대 홈 축방향 치수이고,
    Xr은 반경 r에서의 홈 축방향 치수이며,
    R은 하우징의 외부 반경이고,
    r은 홈의 치수 Xr이 홈의 치수 Xm 미만인 내부 챔버 내의 반경방향 내향 반경방향 위치인 고압 커넥터.
  55. 제54항에 있어서, r은 하우징의 내부 반경인 고압 커넥터.
  56. 제54항에 있어서,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 벽의 고정을 위해 변형되어 절연 재킷의 외주를 따라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된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압 커넥터.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는 고압 커넥터.
  58. 제1 폴리머 절연 재킷 내에 둘러싸여진 제1 중앙 연선형 전도체를 구비하고 제1 연선형 전도체의 영역 내에 제1 간극 체적을 가지는 제1 전력 케이블 섹션과, 제2 폴리머 절연 재킷 내에 둘러싸여진 제2 중앙 연선형 전도체를 구비하고 제2 연선형 전도체의 영역 내에 제2 간극 체적을 가지는 제2 전력 케이블 섹션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고압 커넥터로서, 대기압을 초과하지만 제1 폴리머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미만인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간극 체적 내에 제1 유체를 감금하면서 대기압을 초과하지만 제2 폴리머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미만인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간극 체적 내에 제2 유체를 감금하기에 적합한 고압 커넥터이며,
    제1 및 제2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을 구비한 하우징과, 전기 접촉 상태로 제1 및 제2 연선형 전도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전도체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내부 챔버는 제1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하우징은 제1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제1 내부 챔버 내에 제1 케이블 섹션의 제1 절연 재킷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일 단부에서 제1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크기설정되며, 제1 케이블 섹션은 하우징 제1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케이블 섹션의 제1 연선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고,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제1 잔류 압력에서 제1 간극 체적과 제1 내부 챔버 내에 제1 유체를 감금하기 위해 제1 절연 재킷에 대한 제1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시에 제1 절연 재킷과 유체 밀봉 결합 상태로 제1 절연 재킷에 대해 제1 단부 부분의 벽을 고정하도록 스웨이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벽의 결합부에서 제1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제1 스퍼를 구비하고,
    제2 내부 챔버는 제2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하우징은 제2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제2 내부 챔버 내에 제2 케이블 섹션의 제2 절연 재킷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일 단부에서 제2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크기설정되며, 제2 케이블 섹션은 하우징 제2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제2 케이블 섹션의 제2 연선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며, 제2 단부 부분의 벽은 제2 잔류 압력에서 제2 간극 체적과 제2 내부 챔버 내에 제2 유체를 감금하기 위해 제2 절연 재킷에 대한 제2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시에 제2 절연 재킷과 유체 밀봉 결합 상태로 제2 절연 재킷에 제2 단부 부분의 벽을 고정하도록 스웨이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며, 하우징은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벽의 결합부에서 제2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식 원주방향 제2 스퍼를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59. 제58항에 있어서, 제1 스퍼의 반경방향 외측의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제1 결합부는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고, 제1 스퍼는 제1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하기 위해 제1 절연 재킷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사이에 제1 원주방향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제1 결합부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고, 제2 스퍼의 반경방향 외측의 하우징의 제2 단부의 제2 결합부는 실질적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을 가지고, 제2 스퍼는 제2 절연 재킷에 대해 하우징 벽을 고정하기 위해 제2 절연 재킷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사이에 제2 원주방향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제2 결 합부의 반경방향 내향 지향 벽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이격된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을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60. 제59항에 있어서, 제1 스퍼의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제1 내부 챔버 내에서 실질적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제2 스퍼의 실질적 반경방향 외향 지향 벽 부분은 제2 내부 챔버 내에서 실질적 축방향으로 돌출하며, 제1 스퍼는 제1 절연 재킷에 대한 제1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이후에 제1 절연 재킷과 제1 결합부 사이의 반경방향 분리를 저지하도록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벽의 제1 결합부의 절연 재킷에 대한 반경방향 정합을 제공하며, 제2 스퍼는 제2 절연 재킷에 대한 제2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 이후에 제2 절연 재킷과 제2 결합부 사이의 반경방향 분리를 저지하도록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벽의 제2 결합부의 제2 절연 재킷에 대한 반경방향 정합을 제공하는 고압 커넥터.
  61. 제59항에 있어서, 제1 스퍼는 제1 절연 재킷에 대한 제1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시 제1 절연 재킷과 하우징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제1 결합부 둘레로 연장하는 연속적 부재이며, 제2 스퍼는 제2 절연 재킷에 대한 제2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시 제2 절연 재킷과 하우징 사이에 유체 밀봉식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제2 결합부 둘레로 연장하는 연속적 부재인 고압 커넥터.
  62. 제58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제1 및 제2 내부 챔버 중 적어도 하나와 유체 연통하며, 내부에 유체를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포함하는 고압 커넥터.
  63. 제62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고압 커넥터.
  64. 제63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 사이의 위치에서 하우징과 유체 밀봉식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고압 커넥터.
  65. 제62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제1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도록 크기설정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되도록 크기설정된 제2 단부 부분을 구비하는 고압 커넥터.
  66. 제65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의 제1 단부 부분은 제1 개방 단부를 구비한 제1 내부 부재 챔버를 형성하는 제1 부재 벽을 구비하고, 제1 내부 부재 챔버는 내부에 제1 연선형 전도체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제1 부재 벽은 제1 부재 벽의 내향 크림핑시 전기 접촉 상태로 제1 연선형 전도체에 전도체 부재의 제1 단부 부분을 고정하도록 크림핑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도체 부재의 제2 단부 부분은 제2 개방 단부를 구비한 제2 내부 부재 챔버를 형성하는 제2 부재 벽을 구비하고, 제2 내부 부재 챔버는 내부에 제2 연선형 전도체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며, 제2 부재 벽은 제2 부재 벽의 내향 크림핑시 전기 접촉 상태로 제2 연선형 전도체에 전도체 부재의 제2 단부 부분을 고정하도록 크림핑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압 커넥터.
  67. 제66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전도체 부재의 제1 및 제2 부재 벽 사이의 위치에서 하우징과 유체 밀봉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고압 커넥터.
KR1020087020642A 2006-01-23 2007-01-22 개선된 밀봉 수단을 구비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케이블 커넥터 KR101165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109906P 2006-01-23 2006-01-23
US60/761,099 2006-01-23
US11/625,264 US7538274B2 (en) 2006-01-23 2007-01-19 Swagable high-pressure cable connectors having improved sealing means
US11/625,264 2007-01-19
PCT/US2007/060873 WO2007087513A2 (en) 2006-01-23 2007-01-22 Swagable high-pressure cable connectors having improved sealing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970A true KR20080092970A (ko) 2008-10-16
KR101165877B1 KR101165877B1 (ko) 2012-07-13

Family

ID=3828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642A KR101165877B1 (ko) 2006-01-23 2007-01-22 개선된 밀봉 수단을 구비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538274B2 (ko)
EP (1) EP1984980B1 (ko)
KR (1) KR101165877B1 (ko)
AU (1) AU2007208134B2 (ko)
CA (1) CA2637938C (ko)
WO (1) WO200708751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62A (ko) * 2015-09-08 2017-03-1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방수형 티피에이를 구비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3355B2 (en) * 2003-07-09 2011-07-19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F signal combining and adaptive bit loading for data rate maximization in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US8391322B2 (en) 2003-07-09 2013-03-0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ingle weight (SW) antenna system for spatial multiplexing (SM) MIMO system for WCDMA/HSDPA
DK1744866T3 (da) * 2004-03-01 2012-09-10 Novinium Inc Fremgangsmåde til at vælge formuleringer til behandling af elektriske kabler
US7615247B2 (en) * 2004-03-01 2009-11-10 Novinium, Inc. Method for treating electrical cable at sustained elevated pressure
US7658808B2 (en) * 2005-08-30 2010-02-09 Novinium, Inc. Method for extending long-term electrical power cable performance
US7700871B2 (en) * 2007-01-19 2010-04-20 Novinium, Inc. Acid-catalyzed dielectric enhancement fluid and cable restoration method employing same
CA2618518C (en) * 2007-11-27 2016-03-01 Novinium, Inc. Method for restoring power cables
US8572842B2 (en) * 2008-11-14 2013-11-05 Novinium, Inc. Method for thermally enhancing injection of power cables
US8442658B2 (en) * 2009-01-30 2013-05-14 Pacesetter, Inc. Crimp-through crimp connector for connecting a conductor cable and an electrode of an implantable cardiac electrotherapy lead
US9385449B2 (en) * 2009-02-16 2016-07-05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Terminal/connector having integral oxide breaker element
US7862392B1 (en) * 2009-09-27 2011-01-04 Uta Auto Industrial Co., Ltd. Sleeve-type wire connector
WO2011044487A1 (en) * 2009-10-09 2011-04-14 Shell Oil Company Compacted coupling joint for coupling insulated conductors
WO2012044304A1 (en) 2010-09-30 2012-04-05 Molex Incorporated Receptacle connector
EP2637274B1 (en) * 2012-03-05 2022-05-04 Vetco Gray Scandinavia AS Power cable termination arrangement
EP2664354B1 (fr) * 2012-05-16 2015-09-16 Sorin CRM SAS Sonde médicale avec une électrode en forme de bague destinée à être implantée dans un vaisseau cardiaque ou cérébral et un procédé pour sa fabrication
US8816196B2 (en) 2012-10-04 2014-08-2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Pressure balanced connector termination
US8816197B2 (en) 2012-10-04 2014-08-2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Pressure balanced connector termination
DE102012111270B4 (de) * 2012-11-22 2018-11-22 R.Stahl Schaltgeräte GmbH Explosionsgeschützte Anordnung mit einer Kabelverbindungseinrichtung und einem Kabel
US9853394B2 (en) 2014-05-02 2017-12-2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Pressure-blocking feedthru with pressure-balanced cable terminations
DE202014010576U1 (de) * 2014-06-12 2016-01-07 Pfisterer Kontaktsysteme Gmbh Vorrichtung zum Kontaktieren eines elektrischen Leiters sowie Anschluss- oder Verbindungs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14112701A1 (de) * 2014-09-03 2016-03-03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Crimpkontakt
EP3001523B1 (en) * 2014-09-24 2018-11-14 Tyco Electronics Raychem GmbH Electrical connector for end-to-end connection
US10410766B2 (en) * 2014-11-25 2019-09-10 Nkt Hv Cables Gmbh Jointed power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93029B2 (en) 2015-01-21 2017-10-1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Flexible, pressure-balanced cable assembly
CN109166650A (zh) * 2015-09-30 2019-01-08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多芯电缆用芯电线和多芯电缆
CA3018998C (en) 2016-04-28 2024-01-30 Novinium, Inc. Injection electrical connector
US9843113B1 (en) 2017-04-06 2017-12-1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Crimpless electrical connectors
US9941622B1 (en) 2017-04-20 2018-04-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Connector with sealing boot and moveable shuttle
US10276969B2 (en) 2017-04-20 2019-04-3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Connector with sealing boot and moveable shuttle
KR102207877B1 (ko) * 2018-08-24 2021-01-26 대한전선 주식회사 이종 케이블 접속재
KR20220031118A (ko) 2019-07-15 2022-03-11 노비니움, 인크. 장기간 전력용 케이블 성능을 연장하기 위한 실란 기능 안정제
US10978225B1 (en) 2020-03-12 2021-04-13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High-voltage insulator having multiple materials
CN112697637B (zh) * 2020-12-22 2023-06-30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固体火箭发动机用绝热层材料可挥发份含量的测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0271A (en) 1936-06-20 1937-05-11 S R Dresser Mfg Co Reducer for threaded follower pipe joints or couplings
US2247671A (en) * 1938-09-14 1941-07-01 John C Boyton Cable seal
US2958844A (en) * 1955-05-02 1960-11-01 Amp Inc High voltage, high altitude bushing
US2938940A (en) * 1958-04-16 1960-05-31 Roy A Calendine Cable splicing sleeve
GB870165A (en) 1958-10-16 1961-06-14 British Insulated Callenders Improvements in joints and terminations of electric cables
US3036147A (en) * 1959-08-21 1962-05-22 Fargo Mfg Co Inc Connector
US3141060A (en) * 1961-11-07 1964-07-14 Union Carbide Corp Metal shielded electrical cable termination
US3242255A (en) * 1964-02-03 1966-03-22 Cons Edison Co New York Inc Cable terminal assembly
US3457359A (en) 1966-06-06 1969-07-22 Uniroyal Inc Electrically grounded hose
US3717717A (en) * 1970-04-20 1973-02-20 Joslyn Mfg & Supply Co Shrinkable cable joint sleeve, cable joint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a cable joint
US3846578A (en) * 1972-03-22 1974-11-05 Phelps Dodge Ind Inc Splice for electric cables
US3812448A (en) * 1972-11-24 1974-05-21 Thomas & Betts Corp Electrical connector
US3848451A (en) 1972-11-24 1974-11-19 Deutsch Co Metal Components Swaging tool
US3845450A (en) 1972-12-26 1974-10-29 Bendix Corp Underwater electrical connector
US3810078A (en) * 1973-02-08 1974-05-07 J Chordas Compression splice for electrically coupling electrical conductors
GB1470049A (en) * 1973-03-21 1977-04-14 Rachem Corp Splicing method and heat-recoverable article
US3816641A (en) * 1973-05-14 1974-06-11 Viking Industries Underwater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823254A (en) * 1973-06-18 1974-07-09 Roart Plastics Inc Cable splice housing
US3883208A (en) * 1973-10-25 1975-05-13 Rte Corp Visible break tee-connector
US3939882A (en) 1974-02-25 1976-02-24 John T. Thompson Cable reclamation method and apparatus
US3945700A (en) 1974-08-06 1976-03-23 Boston Insulated Wire & Cable Co. Connector with fluid-resistant sleeve assembly
US3992569A (en) 1975-02-11 1976-11-16 Hexcel Corporation Protective cable enclosure, cab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encapsulating a cable in a protective enclosure
US3961127A (en) * 1975-06-11 1976-06-01 G & W Electric Specialty Company Universal power cable joint for use with power cables having various insulations
US4174145A (en) 1976-12-29 1979-11-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High pressure electrical insulated feed thru connector
GB2037498B (en) 1978-10-16 1982-10-27 Bicc Ltd Electric couplings
US4372988A (en) 1979-01-22 1983-02-08 Cable Technology Laboratories, Inc. Extension of cable life
US4477376A (en) * 1980-03-10 1984-10-16 Gold Marvin H Castable mixture for insulating spliced high voltage cable
US4345783A (en) 1980-06-09 1982-08-24 Bergstrand Gunnar M Pipe coupling device
DE3041657A1 (de) * 1980-11-05 1982-06-03 HEW-Kabel Heinz Eilentropp KG, 5272 Wipperfürt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zugfester und druckdichter, insbesondere temperaturbestaendiger, verbindungen fuer elektrische kabel und leitungen
US4375577A (en) 1981-01-05 1983-03-01 Pirelli Cable Corporation Stop joint assembly for pressurized laminar dielectric cable
US4403110A (en) * 1981-05-15 1983-09-06 Walter Kidde And Company, Inc. Electrical cable splice
US4450318A (en) * 1981-09-29 1984-05-22 Siemens-Allis, Inc. Means and method for providing insulation splice
DE3149048C2 (de) 1981-12-11 1989-03-16 Kabel- Und Lackdrahtfabriken Gmbh, 6800 Mannheim Anordnung zum Verbinden von Kabeln
US4479690A (en) 1982-09-13 1984-10-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nderwater splice for submarine coaxial cable
DE3308178C1 (de) 1983-03-08 1984-04-05 RAWE Datentechnik GmbH, 8999 Weiler Leitungsklemmvorrichtung
US4503283A (en) * 1983-05-27 1985-03-05 At&T Technologies, Inc. Cable stub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GB2154075B (en) * 1984-02-02 1987-11-25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Submarine cable joint housing
US4545133A (en) 1984-04-20 1985-10-08 American Public Power Associ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longing the service life of electrical power cables
IT1177429B (it) * 1984-12-17 1987-08-26 Pirelli Cavi Spa Giunto tra cavo ad isolante estruso e cavo con isolante assistito da un dielettrico fluido
US5006286A (en) * 1986-03-31 1991-04-09 Amp Incorporated Polymeric electrical inter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4723230A (en) 1986-08-13 1988-02-02 Bolt Technology Corporation High ambient liquid pressure-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US4764232A (en) * 1986-09-26 1988-08-16 Raychem Corporation Method of protecting a cable splice with a splice closure having pressure measuring means
GB8630335D0 (en) * 1986-12-19 1987-01-28 Raychem Gmbh Hv cables
US4766011A (en) 1986-12-29 1988-08-23 Dow Corning Corporation Restoring stranded conductor electrical distribution cable
JP2576482B2 (ja) * 1987-01-20 1997-01-29 オムロン株式会社 直流モ−タ速度制御回路
US4978694A (en) * 1987-04-23 1990-12-18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water block for electrical cables
US4845309A (en) 1987-04-23 1989-07-04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water block for electrical cables
US4961961A (en) * 1987-04-23 1990-10-09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water block for electrical cable
US4945653A (en) * 1987-09-24 1990-08-07 Empire State Electric Energy Research Corp. Apparatus for use in impregnating electrical cables
US4888886A (en) 1987-09-24 1989-12-26 Empire State Electric Energy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for use in impregnating electrical cables
US5069058A (en) * 1988-12-27 1991-12-03 Deutsch Metal Components Swaging tool
US4943685A (en) * 1989-03-17 1990-07-24 Commu-Tec, Inc. Cable splicing and termination system
US4946393A (en) 1989-08-04 1990-08-07 Amerace Corporation Separable connector access port and fittings
US4959022A (en) * 1989-08-30 1990-09-25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with rapid pressure transients
TW215446B (ko) * 1990-02-23 1993-11-01 Furukawa Electric Co Ltd
US5082449A (en) * 1990-08-28 1992-01-21 Amerace Corporation Removable media injection fitting
US5408047A (en) * 1990-10-25 1995-04-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ition joint for oil-filled cables
US5115950A (en) * 1991-01-14 1992-05-26 Seaquist Closures A Divison Of Pittway Corporation Dispensing closure with unitary structure for retaining a pressure-actuated flexible valve
US5132495A (en) * 1991-01-23 1992-07-21 Homac Mfg. Company Submersible splice cover with resilient corrugated and sections
US5115959A (en) * 1991-05-01 1992-05-26 Ar-Gov, Inc. Soldering machine for rope chain
US5245133A (en) * 1991-10-15 1993-09-14 Thomas & Betts Corporation Moisture-resistant cable splice and sealing structure thereof
US5372840A (en) * 1993-04-20 1994-12-13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enhancing dielectric strength of cable using fluid having a high diffusion coefficient
US5372841A (en) * 1993-04-20 1994-12-13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enhancing the dielectrical strength of cable using a fluid mixture
SE502171C2 (sv) * 1993-12-20 1995-09-04 Borealis Holding As Polyetenkompatibla sulfonsyror som silanförnätningskatalysatorer
GB9414038D0 (en) * 1994-07-11 1994-08-31 Raychem Ltd Electrical interconnection
FR2743402B1 (fr) * 1996-01-10 1998-01-30 Gremco Sa Manchon de gaine tressee destine a etre enfile sur au moins un element allonge a protege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manchon
US5907128A (en) * 1997-02-13 1999-05-25 Utilx Corporation Cable connector with fluid injection port
US20020046865A1 (en) 1997-02-13 2002-04-25 Glen J. Bertini Cable fluid injection sleeve
US6332785B1 (en) * 1997-06-30 2001-12-25 Cooper Industries, Inc.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or with access cavity and inserts for use therewith
EP1222723B1 (en) * 1999-10-11 2007-03-07 Utilx Corporation Connections and terminations for cables
US6517366B2 (en) * 2000-12-06 2003-02-11 Util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pathways between a power cable and the environment
NO319369B1 (no) 2002-07-11 2005-07-25 Nexans Undervannskopling
DK1744866T3 (da) * 2004-03-01 2012-09-10 Novinium Inc Fremgangsmåde til at vælge formuleringer til behandling af elektriske kabler
AU2005218563B2 (en) * 2004-03-01 2009-12-24 Novinium, Inc. High-pressure power cable connector
US7615247B2 (en) * 2004-03-01 2009-11-10 Novinium, Inc. Method for treating electrical cable at sustained elevated pressure
US7658808B2 (en) * 2005-08-30 2010-02-09 Novinium, Inc. Method for extending long-term electrical power cable performance
US7353601B1 (en) * 2005-08-30 2008-04-08 Novinium, Inc. Integrated method for restoring electrical power cable
US7700871B2 (en) * 2007-01-19 2010-04-20 Novinium, Inc. Acid-catalyzed dielectric enhancement fluid and cable restoration method employ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62A (ko) * 2015-09-08 2017-03-1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방수형 티피에이를 구비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37938C (en) 2014-12-23
AU2007208134A1 (en) 2007-08-02
WO2007087513A2 (en) 2007-08-02
US7683260B2 (en) 2010-03-23
AU2007208134B2 (en) 2010-11-04
US7538274B2 (en) 2009-05-26
WO2007087513A3 (en) 2008-04-17
EP1984980B1 (en) 2015-07-22
EP1984980A4 (en) 2014-03-05
US20070169954A1 (en) 2007-07-26
EP1984980A2 (en) 2008-10-29
US20090203265A1 (en) 2009-08-13
KR101165877B1 (ko) 2012-07-13
CA2637938A1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877B1 (ko) 개선된 밀봉 수단을 구비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케이블 커넥터
KR101005127B1 (ko) 고압 전력 케이블 커넥터
US20110140364A1 (en) Seal, assembly and method, particularly for downhole electric cable terminations
US5478970A (en) Apparatus for terminating and interconnecting rigid electrical cable and method
US7942696B2 (en) Pothead connectors for submersible motor head and methods of assembly thereof
AU2006282081C1 (en) Cable and cable connection assembly
CA2713405C (en) Segmented decompression resistant cable spli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WO2013155121A1 (en) Radial electrical connector resistant to fluids
US4073559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submersible oil well pump cables
RU2264681C2 (ru) Муфта кабельного удлинителя кабельной линии погруж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EA043754B1 (ru) Стационарный скважинный коннектор, стыкуемый в сухих условиях, с применением технологии сплава с эффектом запоминания форм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