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213A - 절삭 인서트 - Google Patents

절삭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213A
KR20080089213A KR1020080027993A KR20080027993A KR20080089213A KR 20080089213 A KR20080089213 A KR 20080089213A KR 1020080027993 A KR1020080027993 A KR 1020080027993A KR 20080027993 A KR20080027993 A KR 20080027993A KR 20080089213 A KR20080089213 A KR 20080089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sert
cutting edge
protrusion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3992B1 (ko
Inventor
히데히코 나가야
노리오 아소
야스하루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2Cutting tools with straight main part and cutting edge at an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6Profile cutting tools, i.e. forming-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4Overal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24Cross section of the cutting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이 절삭 인서트는,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 본체의 단부에, 사각형상의 플랭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랭크면에, 상기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가로 절삭날과 ; 이들 가로 절삭날의 선단끼리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과 ; 상기 각 가로 절삭날과 상기 정면 절삭날이 교차하는 각 코너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1 쌍의 돌조부와 ; 이들 돌조부의 상기 각 코너부측의 선단부와 상기 각 코너부 사이에서, 상기 돌조부와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돌기부 ; 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절삭 인서트{CUTTING INSERT}
본 발명은, 선삭 가공에 있어서 피삭재의 홈 형성이나 절단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 년 3 월 30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091952호, 제2007-094884호, 및 2008 년 1 월 23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012974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여,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이 종류의 홈 형성이나 절단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74308호에, 절삭 헤드의 정상면에 대략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두렁과, 이들 두렁 사이에 있는 칩 브레이커 피트와, 이 칩 브레이커 피트의 전위, 후위의 피트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굽힘선과, 이 굽힘선과 주절삭날 사이의 전위 피트 부분에 포함되어 배위된 1 쌍의 바 (봉) 를 가지고, 굽힘선과 두렁의 접점 부근역을 스퀴징 지점으로 하여 칩을 밀어 넣는 등의 작용을 발휘시키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74308호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는, 상기 1 쌍의 바가 양 두렁이 대면하는 내면의 근방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한편, 양 두렁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후, 각각 그 선단부가 전위 주절삭날, 즉 정면 절삭날과 측위 절삭날, 즉 가로 절삭날이 교차하는 코너부를 향해 서로 이간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74308호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에서는, 이 절삭 인서트를 상기 세로 방향으로 보내어 전위 주절삭날에 의해 피삭재에 홈 형성 가공을 실시하는 데에 이어서, 인서트를 가로 방향으로 보내어 상기 측위 절삭날에 의해 홈 폭을 넓히는 가공을 실시하고자 한 경우, 이 측위 절삭날의 특히 상기 코너부측에서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는, 상기 두렁에 연속된 그 선단부에 전체적으로 충돌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절삭 저항의 증대를 초래하거나, 절삭 부스러기 막힘을 일으켜, 원활한 절삭 부스러기 처리를 도모할 수 없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 이와 같은 피삭재의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에 있어서도, 통상적으로는 피삭재에 절삭날이 절삭해 들어가는 절삭 부위를 향하여 절삭 유제 (쿨런트) 를 공급하여 윤활이나 냉각을 도모하고 있고, 이와 같은 절삭 유제는, 유출되는 절삭 부스러기에 의해 절삭 부위에 대한 공급이 방해되지 않도록, 절삭 헤드의 정상면, 즉 플랭크면을 향하여 인서트의 후단측으로부터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74308호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두렁의 선단부가 연속되어 코너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랭크면 중 이 두렁과 측위 절삭날 사이를 통과하여 선단측에 공급된 절삭 유제는, 두렁의 선단부에 안내되어 측위 절 삭날측으로 유출될 뿐이 된다. 따라서, 전위 주절삭날의 특히 코너부측에 충분히 절삭 유제를 공급할 수 없게 되어, 이 코너부에 있어서의 절삭날의 열에 의한 손상이나 피삭재에 따라서는 용착 등을 일으키기 쉽고, 또 가공된 피삭재의 홈 벽면이나 절단면에 있어서의 정밀도나 품위도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절삭 인서트를 세로 방향으로 보내어 전위 주절삭날에 의해 오로지 피삭재의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만을 실시하는 경우, 전위 주절삭날에 의해 생성된 절삭 부스러기는 상기 1 쌍의 바에 충돌하여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칩 브레이커 피트로 이송되지만, 이렇게 해서 절삭 부스러기가 계속 슬라이딩 접촉하면 바 (봉) 는 마모되어 그 높이가 낮아져, 이윽고 마멸되어 없어져 버린다. 따라서, 이 바의 마멸에 의해 절삭 부스러기의 제어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절삭 인서트의 수명이 단수명으로 줄어들어 버리는 것은 물론, 바가 마모되어 낮아져 가는 과정에서도 절삭 부스러기 제어가 불안정해지므로, 원활한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삭재의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정면 절삭날의 코너부측에도 확실하게 절삭 유제를 공급할 수 있어 당해 부분의 열 손상이나 융착의 방지 및 피삭재의 홈 벽면이나 절단면의 정밀도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홈 가공시에 인서트를 가로 방향으로 보내어 홈 폭을 넓히는 경우에도, 절삭 저항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원활한 절삭 부스러기 처리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오로지 인서트를 가로 방향으로 보내어 홈 형성이나 절단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삭 부스러기를 항상 확실하게 제어하여 인서트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절삭 부스러기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를 구비하는 절삭 인서트로서, 상기 인서트 본체의 단부에, 사각형상의 플랭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랭크면에, 상기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가로 절삭날과 ; 이들 가로 절삭날의 선단끼리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과 ; 상기 각 가로 절삭날과 상기 정면 절삭날이 교차하는 각 코너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1 쌍의 돌조부와 ; 이들 돌조부의 상기 각 코너부측의 선단부와 상기 각 코너부 사이에서, 상기 돌조부와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돌기부 ;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에서는, 먼저, 상기 1 쌍의 가로 절삭날과 정면 절삭날이 교차하는 코너부를 향하여 각각 연장되는 1 쌍의 돌조부에 대하여, 이들 돌조부의 상기 코너부측의 선단부와 그 코너부 사이에 돌출하는 돌기부가, 간격을 두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랭크면 중 1 쌍의 돌조부와 가로 절삭날 사이를 통과하여 선단측에 공급된 절삭 유제는, 이 돌조부와 돌조부의 선단부 사이의 간격을 둔 부분을 통과하여 정면 절삭날의 코너부측으로 흘러든다. 이 때문에, 이러한 정면 절삭날의 코너부측에도 충분히 절삭 유제를 공급하여 그 윤활이나 냉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여 돌기부가 돌조부의 선단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홈 폭을 넓히는 가공을 실시할 때, 가로 절삭날의 특히 코너부측에서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는, 이 간격을 둔 부분에서는 이들 돌기부나 돌조부에 충돌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그 전체가 저항을 받지 않고, 따라서 절삭 인서트측에 있어서도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이렇게 하여 간격을 둔 돌기부와 돌조부의 선단부에 충돌하는 절삭 부스러기는, 그 폭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유출되면서, 추가로 이 유출 방향으로 컬 된다. 따라서, 용이하게 분단되기 쉬워져, 절삭 부스러기가 받는 저항이 적어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한 절삭 부스러기 처리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서트 본체를 그 길이 방향, 즉 상기 세로 방향으로 보내어 피삭재의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만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정면 절삭날에 의해 생성된 절삭 부스러기는, 오로지 상기 1 쌍의 돌조부의 선단부에 충돌하여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강하게 둥글게 말려들어가 분단되기 쉽게 처리된다. 그러나, 돌조부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코너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플랭크면 상으로 연장되는 것이므로, 절삭 부스러기가 슬라이딩 접촉함으로 인해 마모는 되어도, 마멸되어 없어지거나 하는 경우는 없다. 또, 돌조부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돌출 높이를 일정하게 해두면, 마모에 의해 높이가 변화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원활한 절삭 부스러기 처리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돌기부는, 예를 들어 상기 돌조부의 코너부측의 선단부와 그 코너부 사이에 구 형상이나 원추 형상, 혹은 원추대 형상으로 돌출하는 방향성이 없는 것이어도 된다. 돌기부를 상기 돌조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코너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를 가로 방향으로 보내어 홈 폭을 넓히는 가공을 하는 경우에, 가로 절삭날의 코너부측에서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를 이 돌기부에 의해 절삭날부의 후단측에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잘라낸 절삭 부스러기가 가공된 홈의 저면에 접촉하여 흠집을 내는 등의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이와 같이 돌기부를 돌조부의 선단부로부터 코너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플랭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에 대해 15°∼ 75°의 범위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각도가 상기 범위를 밑돌 정도로 작으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절삭 부스러기를 확실하게 절삭날부의 후단측에 안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는 한편, 각도가 상기 범 위를 웃돌 정도로 크면, 돌기부에 절삭 부스러기가 닿는 것이 점으로 닿는 것에 가깝게 되어 안정적으로 절삭 부스러기를 안내하기가 곤란해짐과 함께, 돌기부의 조기 마모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돌기부를 돌조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코너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그 돌기부는 연속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각각의 상기 돌조부의 선단부와 상기 코너부 사이에, 복수의 상기 돌기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도록 하여, 이들 복수의 돌기부가 돌조부의 선단부로부터 코너부를 향하여 불연속적으로 연장되게 하면, 이들 돌기부 사이에서도 절삭 유제를 정면 절삭날측에 공급할 수 있어, 한층 효율적인 윤활이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피삭재의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 정면 절삭날의 코너부측에도 확실하게 절삭 유제를 공급하여 윤활이나 냉각을 도모할 수 있고, 이 부분의 열에 의한 손상이나 용착을 방지하여 인서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열 손상이나 용착에 의해 피삭재의 홈 벽면이나 절단면의 정밀도나 품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한편으로, 홈 가공시에 인서트를 가로 방향으로 보내어 홈 폭을 넓히는 경우에도, 절삭 부스러기의 전체가 돌조부에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절삭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돌기부와 돌조부에 의해 절삭 부스러기를 확실하게 분단하여 원활한 처리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오로지 인서트를 세로 방향으로 보내어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절삭 부 스러기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돌조부는 마멸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절삭 부스러기를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어 한층 장수명의 절삭 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다.
피삭재의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정면 절삭날의 코너부측에도 확실하게 절삭 유제를 공급할 수 있어 당해 부분의 열 손상이나 융착의 방지 및 피삭재의 홈 벽면이나 절단면의 정밀도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홈 가공시에 인서트를 가로 방향으로 보내어 홈 폭을 넓히는 경우에도, 절삭 저항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원활한 절삭 부스러기 처리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오로지 인서트를 가로 방향으로 보내어 홈 형성이나 절단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삭 부스러기를 항상 확실하게 제어하여 인서트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절삭 부스러기 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서트 본체 (1) 는,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축선 (L) 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방형 축 형상 (방형 기둥상) 을 이루고 있다. 인서트 본체 (1) 는, 축선 (L) 에 직교하여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도 2 ∼ 도 4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의 중앙에 위치하는 평면 (M) 에 관해서 대략 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인서트 본체 (1) 는, 평면 (N) 에 관해서도 대칭인 형상이다. 평면 (N) 은, 평면 (M) 에 직교하여 인서트 본체 (1) 의 폭 방향 (도 2 및 도 4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도 5 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축선 (L) 을 포함하여 인서트 본체 (1) 의 두께 방향 (도 3 및 도 5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으로 연장된다.
이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의 단부 (양 단부) 에는 절삭날부 (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절삭날부 (2) 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절삭날부 (2) 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플랭크면 (5) 이, 상기 두께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랭크면 (5) 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가로 절삭날 (3) 과, 이들 가로 절삭날 (3) 의 선단끼리 사이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 (4) 을 변릉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정면 절삭날 (4) 과 가로 절삭날 (3) 이 교차하는 코너부 (6) 는,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여 플랭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들 정면 절삭날 (4) 과 가로 절삭날 (3) 에 매끄럽게 접하는 1/4 볼록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 양 단의 절삭날부 (2) 사이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플랭크면 (5) 과 동일한 측을 향하는 인서트 본체 (1) 의 상면부 (7)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절삭날부 (2) 보다 두께 방향으로 일단 돌출된다. 상면부 (7) 와, 그 상면부 (7) 와는 반대의 인서트 본체 (1) 의 하면부 (8) 에는, 그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단면이 오목 V 자 모양을 이루는 장착 홈부 (7A, 8A) 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 홈부 (7A, 8A) 는, 인서트 착탈식 선삭 공구의 홀더에 형 성된 인서트 장착좌의 1 쌍의 턱부에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유지된다. 턱부는, 서로 대향하여 단면이 볼록 V 자 모양을 이룬다. 상기 절삭 인서트는, 이 홀더에 유지되어, 피삭재의 홈 형성 가공이나 절단 가공에 사용된다. 상면부 (7) 의 상기 길이 방향을 향하는 단면 (7B) 은, 각각 절삭날부 (2) 측을 향함에 따라 하면부 (8) 측을 향해 경사진다.
또한, 절삭날부 (2) 의 상기 길이 방향을 향하는 선단면은, 정면 절삭날 (4) 의 레이크면 (9) 이다. 절삭날부 (2) 의 폭 방향을 향하는 양 측면은, 1 쌍의 가로 절삭날 (3) 의 레이크면 (9) 이다.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는, 이들 레이크면 (9) 이, 상기 코너부 (6) 에 연결되는 교차 능선부도 포함하여 플랭크면 (5) 으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하면부 (8)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진 포지티브 타입의 인서트이다. 이 절삭날부 (2) 의 레이크면 (9) 이외의 인서트 본체 (1) 의 단면 및 측면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상이다.
상기 1 쌍의 가로 절삭날 (3)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부 (6) 를 포함하여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가로 절삭날 (3) 은, 코너부 (6) 로부터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도록 약간 경사져 백 테이퍼가 주어지고 있다. 정면 절삭날 (4) 은,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는, 정면 절삭날 (4) 은 그 코너부 (6) 측의 양 단부가 그 코너부 (6) 나 가로 절삭날 (3) 과 동일 평면 상으로 연장되도 록 형성된다. 또한, 정면 절삭날 (4) 은, 폭 방향 중앙부는 오목 곡선상을 이루어 두께 방향으로 약간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상기 코너부 (6) 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의 극소한 랜드 (10) 가 형성된다. 플랭크면 (5) 은, 가로 절삭날 (3), 정면 절삭날 (4), 및 코너부 (6) 로부터 이간하여 그 내측을 향함에 따라 두께 방향으로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지는 포지티브 플랭크면이다.
포지티브 플랭크면인 플랭크면 (5) 의 더욱 내측에는, 1 쌍의 돌조부 (11) 가 형성된다. 돌조부 (11) 는, 상기 코너부 (6) 를 향하여 각각 연장되고, 플랭크면 (5) 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다. 각 돌조부 (11) 의 코너부 측의 선단부와 그 코너부 (6) 사이에는, 돌조부 (11) 와 간격을 두고 역시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 (12)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조부 (11) 와 돌기부 (12) 는, 가로 절삭날 (3), 정면 절삭날 (4), 및 코너부 (6) 사이에도 간격을 두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 (11) 는, 1 쌍의 돌조부 (11) 끼리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각각 서로 대향하여 플랭크면 (5) 의 내측을 향하는 내벽면 (13) 과, 각각의 돌조부 (11) 가 연장되는 코너부 (6) 에 연결되는 가로 절삭날 (3) 측을 향하는, 즉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외벽면 (14) 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내외 벽면 (13, 14) 의 교차 능선부로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미근 (尾根) 이 되는 부분에, 돌출 단면 (15) 이 형성되어 있다. 내외 벽면 (13, 14) 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돌출 단면 (15) 으로부터 플랭크면 (5) 측을 향함에 따라 서로 이간하도록 경사져, 돌출 단면 (15) 과 둔각의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고 있다.
이러한 1 쌍의 돌조부 (11) 는, 상면부 (7) 의 상기 단면 (7B) 에 연결되는 그 단면 (7B) 보다 폭이 좁은 제 1 후단부 (11A) 로부터 절삭날부 (2) 의 선단측을 향하여 2 개로 분기하여, 각각 각 코너부 (6) 를 향하여 그 코너부 (6) 에 연결되는 가로 절삭날 (3) 에 인접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 (11) 의 제 2 후단부 (11B) 는, 후단부 (11A) 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가로 절삭날 (3) 의 전체 길이의 대략 1/2 의 위치에 이른다. 제 2 후단부 (11B) 에서는,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코너부 (6) 를 향하여 V 자 모양으로 대략 곧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제 2 후단부 (11B) 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선단부 (11C) 는, 동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각각 인접하는 가로 절삭날 (3) 측을 향하여 볼록 절곡하는 볼록 곡선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제 2 선단부 (11C) 는, 상기 돌출 단면 (15) 이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후단부 (11B) 로부터 절삭날부 (2) 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각 돌조부 (11) 에 인접하는 가로 절삭날 (3) 측에 일단 접근한 후, 다시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그 가로 절삭날 (3) 으로부터 이간하도록 만곡되는 원호형 볼록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2 선단부 (11C) 에 있어서 1 쌍의 돌조부 (11) 의 상기 내벽면 (13) 은,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각 돌조부 (11) 가 인접하는 가로 절삭날 (3) 측을 향하여 오목 절곡하는 오목 곡면상이고, 상기 외벽면 (14) 은 반대로 동 가로 절삭날 (3) 측을 향하여 볼록 절곡하는 볼록 곡면상이며, 그 곡률 반경은, 내외 벽면 (13, 14) 과 돌출 단면 (15) 의 교차 능선 부분에 있어서, 외벽면 (14) 이 이루는 볼록 곡선보다 내벽면 (13) 이 이루는 오목 곡선 쪽이 약간 작다.
또한, 이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는,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체로 코너부 (6) 가 이루는 볼록 원호와 병행하도록 만곡되어, 또는 이 원호의 현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선단부 (11D) 의 선단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정면 절삭날 (4) 의 중앙부가 오목 곡선상을 이루어 두께 방향으로 오목해지기 시작하는 위치에 대략 배치되어 있다. 단, 이 제 1 선단부 (11D) 에 있어서의 돌출 단면 (15) 은, 동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그 코너부 (6) 측의 대체로 그 코너부 (6) 의 이등분선 상에 위치하는 부분이, 이 코너부 (6) 측에 약간 돌출하도록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이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선단에 이르는 부분에서는, 그 돌출 단면 (15) 과 외벽면 (14) 의 교차 능선이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돌출 단면 (15) 의 폭이 점차 작아짐과 함께, 이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제 2 선단부 (11C) 에 있어서 외벽면 (14) 이 볼록 곡면상을 이루는 부분까지가 짧은 범위에서는, 그 외벽면 (14) 이 오목 곡면상을 이루어 잘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조부 (11) 의 상기 제 2 후단부 (11B) 에 있어서는, 내외 벽면 (13, 14) 이 모두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 절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벽면 (13) 은, 그 제 2 후단부 (11B) 가 제 2 선단부 (11C) 에 대해 둔각을 이루어 절곡하는 방향으로 오목 절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이들 내벽면 (13) 의 오목 곡면상을 이루는 제 2 선단부 (11C), 제 2 후단부 (11B) 가 교차하는 곡절부 (13A) 는, 양 오목 곡면에 매끄럽게 연결되는 볼록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돌조부 (11) 의 곡절부 (13A) 간의 상기 폭 방향의 간격은, 돌출 단면 (15) 과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1 쌍의 돌조부 (11) 의 돌출 단면 (15) 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끼리의 폭 방향의 간격보다 작다. 또한, 외벽면 (14) 의 제 2 후단부 (11B) 도, 동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볼록 곡면상을 이루는 제 2 선단부 (11C) 와 매끄럽게 연결되어, 가로 절삭날 (3) 에 대해서는 오목 절곡하도록 형성된다.
돌출 단면 (15) 은, 상기 제 1 후단부 (11A) 로부터 제 2 후단부 (11B) 에 걸쳐서는 두께 방향에 수직이며, 장착 홈부 (7A) 의 홈 바닥보다 약간 두께 방향으로 후퇴한 위치에 배치된 평탄면이다. 돌출 단면 (15) 은, 상기 제 2 선단부 (11C) 에서는, 대략 상기 곡절부 (13A) 의 위치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도 3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절곡하면서 두께 방향으로 일단 후퇴한 후, 다시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탄면을 이루어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에 이른다. 제 1 선단부 (11D) 에 있어서의 돌출 단면 (15) 은, 가로 절삭날 (3) 이 형성된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보다 극히 약간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랭크면 (5) 은, 1 쌍의 돌조부 (11) 의 내벽면보다 더욱 내측에서, 내벽면 (13) 에 매끄럽게 연결됨과 함께, 상기 두께 방향을 따른 폭 방향의 단면에서도 길이 방향의 단면에서도 매끄럽게 연속되는 오목 곡선을 이루는 오목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 (12) 는, 각 코너부 (6) 의 상기 이등분선 상에 대략 위치하여 상기 코너부 (6) 와 돌조부 (11) 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 (12) 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탄한 돌출 단면 (16) 과, 그 주위에 배치되어 이 돌출 단면 (16) 과 둔각으로 교차하고, 플랭크면 (5)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도록 경사진 둘레 벽면 (17) 을 구비하고 있다. 돌출 단면 (16)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선단부 (11D) 에 있어서의 돌조부 (11) 의 돌출 단면 (15) 의 높이와 동등하다. 이러한 돌기부 (12) 가 돌조부 (11) 와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이들 돌기부 (12) 와 돌조부 (11) 사이에는 둘레 벽면 (17) 과 외벽면 (14) 이 교차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 (18) 가 형성된다. 오목부 (18) 의 저면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곡면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돌기부 (12) 는, 상기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로부터 코너부 (6) 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출 단면 (16) 이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타원상을 이루고 있고, 이 타원의 장축이 절삭날부 (2) 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코너부 (6) 를 향하여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 돌기부 (12) 가 코너부 (6) 를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은,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축선 (L) 에 대해 15°∼ 75°의 범위의 각도 (θ) 로 교차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타원의 장축과 축선 (L) 이 이루는 각도 (θ) 가 30°로, 상기 이등분선이 축선 (L) 에 대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돌기부 (12) 는, 그 축선 (L) 방향의 선단, 특히 상기 돌출 단면 (16) 의 선단이, 돌조부 (11) 보다 정면 절삭날 (4)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단, 돌기부 (12) 는 돌조부 (11) 와 비교하여 충분히 작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원상인 상기 돌출 단면이, 돌조부 (11) 의 상기 제 1 선단부 (11D) 에 있어서 코너부 (6) 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선단까지의 부분의 돌출 단면 (15) 과 대략 동일한 크기, 또는 이것보다 한층 작다. 또, 도면 중에 부호 19 로 나타내는 것은, 인서트 본체 (1) 의 양 단부에 형성된 1 쌍의 절삭날부 (2) 를 식별하기 위한 표시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표시부 (19) 는, 상기 돌조부 (11) 에 있어서의 제 1 후단부 (11A) 의 돌출 단면 (15) 상에 형성된 오목부로서, 1 쌍의 절삭날부 (2) 중 일방의 절삭날부 (2) 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삭 인서트는, 인서트 본체 (1) 를 축선 (L) 방향으로 전진시키면서, 절삭날부 (2) 의 정면 절삭날 (4) 과 그 양 단의 코너부 (6) 에 의해 피삭재에 홈 형성 가공이나 절단 가공을 실시한다. 이 경우에는, 이들 정면 절삭날 (4) 과 코너부 (6) 에 의해 생성되어 축선 (L) 방향으로 절삭 부스러기가 유출된다. 이 절삭 부스러기는, 먼저 축선 (L) 방향 최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부 (12) 에 충돌하여 폭 방향 내측에 안내되고, 이어서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에 충돌하여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저항을 받아 폭 방향으로 둥글게 말려 들어가도록 곡절한다. 또, 정면 절삭날 (4) 의 폭 방향 중앙부가 오목 절 곡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도, 절삭 부스러기는 폭 방향으로 둥글게 말려 들어간다.
폭 방향으로 둥글게 말려 들어간 절삭 부스러기는, 오목 곡면인 플랭크면 (5) 상을 스쳐 지나가는 동안에, 폭 방향으로 더욱 둥글게 말려들어감과 함께, 축선 (L) 방향, 즉 유출 방향으로도 둥글게 말려들어가 이 돌조부 (11) 의 제 2 후단부 (11B) 로 보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돌조부 (11) 의 제 2 선단부 (11C) 에 있어서의 내벽면 (13) 이 가로 절삭날 (3) 측을 향하여 오목 절곡하는 오목 곡면상이며, 곡절부 (13A) 에서 1 쌍의 돌조부 (11) 의 내벽면 (13) 끼리의 간격이 폭이 좁기 때문에, 절삭 부스러기는 이 곡절부 (13A) 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둥글게 말려 들어간 폭 방향과 유출 방향에 더욱 큰 저항을 받음에 따라 분단되어 처리된다.
또, 이렇게 해서 피삭재에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을 실시할 때에, 정면 절삭날 (4) 이나 코너부 (6) 에 의한 절삭 부위의 윤활이나 냉각을 위해,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으로부터 플랭크면 (5) 을 향하여 절삭 유제를 공급하면, 1 쌍의 돌조부 (11) 의 내측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삭 부스러기가 스쳐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절삭 유제는 오로지 이들 돌조부 (11) 의 외측의 가로 절삭날 (3) 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선단측으로 보내진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와 그 코너부 (6) 사이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 (12) 가, 돌조부 (11) 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돌출하고 있어, 돌조부 (11) 와 돌기부 (12) 사이에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연통하는 상기 오목부 (18) 가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오목부 (18) 를 통과하여 절삭 유제를 확 실하게 정면 절삭날 (4) 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이렇게 하여 공급된 절삭 유제에 의해 정면 절삭날 (4) 에 의한 절삭 부위를 효과적으로 윤활,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절삭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절삭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정면 절삭날 (4) 에 손상이나 용착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서트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특히 이 돌조부 (11) 와 돌기부 (12) 사이의 오목부 (18) 는, 정면 절삭날 (4) 의 코너부 (6) 측 부분을 향하여 개구하므로,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의 손상이나 용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정면 절삭날 (4) 의 코너부 (6) 측에 의해 형성되는 피삭재의 홈 형성 가공시의 홈 벽면이나 절단 가공시의 절단면을 고정밀도이며 고품위로 마무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이렇게 하여 인서트 본체 (1) 를 그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으로 보내어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절삭 부스러기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에 충돌하여 슬라이딩 접촉함으로 인해 저항을 받아 둥글게 말려 들어간다. 이 저항에 의해 돌조부 (11) 에는 마모가 발생하는데, 그 돌조부 (11) 는 코너부 (6) 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고 플랭크면 (5) 상으로 연장되므로, 마모되어도 마멸되어 버리는 경우는 없다. 절삭 부스러기에 의해 저항을 받는 것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74308호에 기재된 바 (봉) 와 같은 것이면,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바 (B) 의 마모가 진행됨으로써 그 높이 (H) 가 점차 작아지고, 이윽고 마멸, 즉 바 (B) 가 없어져 버린다. 또한, 이 도 9a 에 있어서 바 (B)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도 9b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이에 대하여 상기 절삭 인서트와 같이 절삭 부스러기에 의한 저항을 받는 것이 돌조부 (11) 이면,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모에 의해 제 1 선단부 (11D) 가 후퇴는 하더라도, 마멸되어 없어지는 경우는 없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에 있어서의 돌출 단면 (15) 이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탄면이므로,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모에 의해 후퇴해도 높이 (H) 는 변함없다. 따라서 절삭 부스러기에 대해 항상 일정한 저항을 부여할 수 있어, 원활한 절삭 부스러기 처리를 도모함과 함께, 장수명의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홈 형성 가공시, 인서트 본체 (1) 를 축선 (L) 방향으로 보내어 소정 깊이까지 홈을 형성한 후에, 그대로 인서트 본체 (1) 를 상기 폭 방향 (가로 방향) 으로 보내어 홈 폭을 넓히는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폭 방향으로 보내어지는 측의 가로 절삭날 (3) 과 코너부 (6) 에 의해 절삭이 행해진다. 이 경우에도, 상기 구성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돌조부 (11) 와 돌기부 (12) 가 간격을 두고 있음으로써, 절삭 저항을 감소하면서, 절삭 부스러기의 원활하고 확실한 처리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로 절삭날 (3) 과 이것에 연결되는 코너부 (6) 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는, 코너부 (6) 로부터 상기 소정 깊이의 폭으로 인서트 본체 (1) 의 상기 폭 방향으로 유출되고, 돌조부 (11) 의 외벽면 (14) 과 돌기부 (12) 에 충돌하여 처리된다. 이 때, 돌조부 (11) 와 돌기부 (12) 가 간격을 두고 있으므로, 절삭 부스러기는 그 전체가 이들 돌조부 (11) 와 돌기부 (12), 특히 돌조부 (11) 의 외벽면 (14) 이, 이른바 전체적으로 닿는 경우가 없어, 절삭 부스러기가 충돌할 때의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조부 (11) 의 제 2 선단부 (11C) 의 외벽면 (14) 이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가로 절삭날 (3) 측에 볼록이 되는 볼록 곡면상이다. 따라서 이 외벽면 (14) 에 절삭 부스러기가 충돌하는 부분에서도, 가로 절삭날 (3) 측에 가장 볼록이 되어 접근한 부분의 주변만이 충돌하므로, 이 절삭 부스러기로부터 받는 절삭 저항의 저감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이렇게 해서 간격을 둔 돌기부 (12) 와 돌조부 (11) 에 충돌함으로써, 가로 절삭날 (3) 에 의해 생성된 절삭 부스러기는, 상기 정면 절삭날 (4) 에 의해 절삭된 절삭 부스러기가 1 쌍의 돌조부 (11) 의 선단에 충돌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폭 방향 (인서트 본체 (1) 에서는 길이 방향) 으로 둥글게 말려 들어가도록 절곡됨과 함께, 플랭크면 (5) 상에 돌출된 이들 돌조부 (11) 및 돌기부 (12) 에 눌림으로써, 유출 방향 (인서트 본체 (1) 에서는 폭 방향) 으로도 둥글게 말려 들어가도록 컬 한다. 따라서, 이렇게 하여 폭 방향과 유출 방향으로 절곡됨으로 인해, 절삭 부스러기는 응력을 받아 분단되기 쉬워져, 설령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돌조부 (11) 와 돌기부 (12) 에 절삭 부스러기가 충돌할 때의 저항이 적어도, 확실하게 절삭 부스러기를 분단하여 원활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돌기부 (12) 가, 코너부 (6) 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와 그 코너부 (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본체 (1) 를 축선 (L) 방향으로 전진시켜 정면 절삭날 (4) 에 의해 홈 형성 가공이나 절단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나, 인서트 본체 (1) 를 폭 방향으로 보내어 홈 폭을 넓히는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 이외에, 예를 들어 인서트 본체 (1) 를 전진시키면서 폭 방향으로도 보내거나, 혹은 인서트 본체 (1) 를 후퇴시키면서 폭 방향으로도 보내거나 하여, 피삭재에 형성된 홈의 벽면이나 피삭재의 단면을 경사지게 절삭하는 경우에도, 절삭 부스러기를 확실하게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사이나 돌조부 (11) 와 돌기부 (12) 사이에 안내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인서트 본체 (1) 를 전진시키면서 폭 방향으로도 보내어 피삭재의 홈 벽면이나 단면을 경사지게 절삭하는 경우, 절삭 부스러기는, 이 폭 방향으로 보내는 방향, 즉 폭 송출 방향에 대해 후방측의 코너부 (6) 로부터 정면 절삭날 (4) 의 폭 송출 방향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의해 생성되어, 정면 절삭날 (4) 으로부터 축선 (L) 방향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 폭 송출 방향 후방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유출된다. 폭 송출 방향 후방측의 코너부 (6) 와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사이에 돌기부 (12) 가 배치 형성되어 절삭 부스러기가 충돌한다. 이로 인해, 그 절삭 부스러기는 그 유출 방향을 축선 (L) 을 따른 방향을 향하도록 안내되어, 폭 송출 방향 후방측의 돌조부 (11) 에 슬라이딩 접촉하거나, 혹은 이 돌조부 (11) 의 내측으로 둥글게 말려 들어가 컬 한다.
한편, 인서트 본체 (1) 를 후퇴시키면서 폭 방향으로도 보내어 홈 벽면이나 단면을 경사지게 절삭하는 경우에는, 이 폭 송출 방향측의 코너부 (6) 로부터 축선 (L) 방향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가로 절삭날 (3) 의 선단측 부분에 의해 절삭 부스러기가 생성된다. 이 절삭 부스러기의 유출 방향은 축선 (L) 방향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폭 홍출 방향 후방측을 향하여 역시 경사지게 경사진 방향이 된다. 그런데, 절삭 부스러기를 생성하는 가로 절삭날 (3) 에 대해, 이 유출 방향측에도 돌기부 (12) 가 상기 폭 송출 방향측의 코너부 (6) 와 돌조부 (1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돌기부 (12) 와 충돌함으로써 절삭 부스러기는, 그 유출 방향을 축선 (L) 에 수직인 폭 방향을 따르도록 안내되어, 단순히 인서트 본체 (1) 를 가로 방향으로 보내어 절삭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돌기부 (12) 와 돌조부 (11) 의 외벽면 (14) 에 충돌하여 처리된다. 즉, 상기 구성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이렇게 하여 인서트 본체 (1) 를 경사지게 보내는 경우에도, 생성된 절삭 부스러기를 확실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는, 그 돌출 단면 (16) 이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상을 이루어,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로부터 코너부 (6) 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본체 (1) 를 폭 방향으로만 보내어 홈 폭을 넓히는 경우에는, 이 돌기부 (12) 에 충돌한 절삭 부스러기를, 그 돌기부 (12) 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에 안내하도록 유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로 절삭날 (3) 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본체 (1) 의 폭 방향을 따른 유 출 방향으로 둥글게 말려 들어간 절삭 부스러기가, 그대로 절삭된 홈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그 홈 벽면이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한층 고정밀도이며 고품위의 가공을 촉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렇게 해서 코너부 (6) 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부 (12) 의 연장 방향, 즉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돌기부 (12) 의 돌출 단면 (16) 이 이루는 타원의 장축 방향이, 동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축선 (L) 에 대해 15°∼ 75°의 각도 (θ) 의 범위에서 교차하는 방향이다. 각도 (θ) 가 너무 작아 돌기부 (12) 가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에 가까운, 즉 가로 절삭날 (3) 이 연장되는 방향으로도 평행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인서트 본체 (1) 의 폭 방향을 따라 유출된 절삭 부스러기가 둥글게 말려 들어가 그대로 홈 벽면에 접촉할 우려가 생긴다. 반대로 각도 (θ) 가 너무 커서 돌기부 (12) 의 연장 방향이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로 절삭날 (3) 에 수직인 방향에 가까워지면, 돌기부 (12) 와 절삭 부스러기의 충돌이 점으로 닿는 것에 가까워져 안정적인 안내가 곤란해짐과 함께, 돌기부 (12) 가 조기에 마모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돌기부 (12) 의 연장 방향이 축선 (L) 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 가, 코너부 (6) 의 이등분선이 축선 (L) 에 대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이 각도 (θ) 가 상기 범위 내이면,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돌기부 (21) 의 연장 형성 방향이 축선 (L) 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 가, 코너부 (6) 의 이등분선이 축선 (L) 에 대해 이루는 각도보다 커도 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각도 (θ) 는 60°이다. 이와 같이 각도 (θ) 를 크게 한 제 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인서트 본체 (101) 를 축선 (L) 방향으로 보내어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을 실시할 때, 정면 절삭날 (4) 의 코너부 (6) 측의 부분은 물론, 이 코너부 (6) 자체에도, 보다 넓은 범위에 상기 오목부 (18) 를 통과하여 절삭 유제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저항 저감과 열손상이나 용착의 방지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들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 (12, 21) 가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그 돌출 단면 (16, 116) 을 타원상으로 하여 코너부 (6) 측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인서트 본체 (201) 와 같이,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로부터 코너부 (6) 측을 향하여, 복수의 예를 들어 원추대 형상 등의 돌기부 (22) 를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하여, 이들 돌기부 (22) 가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돌기부 (22) 와 돌조부 (11)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 (18) 이외에, 돌기부 (22) 끼리의 간격 부분에 형성되는 오목부 (218) 로부터도 정면 절삭날 (4) 측에 절삭 유제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제 공급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오로지 피삭재의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에 사용되는 것만으로, 홈 폭을 넓히는 가공에는 이용되지 않는 절삭 인서트이면, 도 12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인서트 본체 (301) 와 같이, 방향성을 갖지 않는 원추대 형상의 돌기부 (23), 혹은 구면 형상의 돌기부를 1 쌍의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와 각 코너부 (6) 사이에 1 개씩 돌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돌기부 (23) 와 제 1 선단부 (11D) 혹은 코너부 (6) 의 간격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역시 정면 절삭날 (4) 측에 대한 절삭 유제의 공급량을 증대시켜 효율적인 윤활, 냉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도 10 내지 도 12 에 나타낸 제 2 내지 제 4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기부 (21 ∼ 23) 등 이외의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 1 실시형태를 비롯하여, 이들 제 2 내지 제 4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1 쌍의 돌조부 (11) 의 제 2 선단부 (11C) 는, 각 돌조부 (11) 가 인접하는 가로 절삭날 (2) 측을 향하여, 그 내벽면 (13) 이 오목 절곡하는 오목 곡면상임과 함께 외벽면 (14) 은 볼록 절곡하는 볼록 곡면상이다. 인서트 본체 (1, 101, 201, 301) 를 축선 (L) 방향으로 보내어 홈 형성이나 절단 가공을 실시할 때에 정면 절삭날 (4) 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는, 1 쌍의 돌조부 (11) 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면 (13) 끼리에 의해, 상기 서술하는 바와 같이 분단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홈 폭을 넓히는 가공에 있어서 가로 절삭날 (3) 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는, 외벽면 (14) 과 돌기부 (12, 21 ∼ 23) 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홈 폭을 넓히는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인서트 본체 (1, 101, 201, 301) 를 폭 방향으로 보내면서 후퇴시켜, 경사진 홈 벽면을 형성할 때와 같이, 절삭 부스러기가 인서트 본체 (1, 101, 201, 301) 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절삭날부 (2) 의 선단측을 향해서도 유출되는 것 같은, 절삭 부스러기의 유출 방향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외벽면 (14) 이 볼록 곡면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외벽면 (14) 은 이 절삭 부스러기의 유출 방향에 항상 대향한다. 따라서, 이 외벽면 (14) 에 안정적으로 절삭 부스러기를 충돌시켜 확실한 처리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돌조부 (11) 의 제 2 선단부 (11C) 에 있어서의 외벽면 (14) 이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볼록 곡면임에 반해, 제 2 후단부 (11B) 의 외벽면 (14) 은 인접하는 가로 절삭날 (3) 에 대해 오목 절곡하는 오목 곡면상이다. 따라서 제 2 후단부 (11B) 에서는 가로 절삭날 (3) 과 돌조부 (11) 사이에 의해 큰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큰 간격을 통하여, 절삭날부 (2) 선단측의 상기 돌기부 (12, 21 ∼ 23) 와 돌조부 (11) 사이의 오목부 (18) 를 향하여 보다 많은 절삭 유제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들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층 확실하게 정면 절삭날 (4) 의 특히 코너부 (6) 측에 절삭 유제를 공급하여 효율적인 윤활이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D) 에 있어서의 돌출 단면 (15) 이,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코너부 (6) 의 이등분선 상에 위치하는 부분을 그 코너부 (6) 측에 약간 돌출시켜 폭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돌출 단면 (15) 혹은 돌조부 (11) 자체가, 적어도 제 1 선단부 (11D) 또는 제 1 선단부 (11D) 로부터 상기 제 2 선단부 (11C) 도 포함한 범위에 있어서,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폭이 좁아지게 되거나, 혹은 일정 폭인 상태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도 13 내지 도 16 에 각각 나타내는 것은, 돌출 단면 (115) 의 폭을 제 1 선단부 (111D) 로부터 제 2 선단부 (111C) 도 포함한 범위에 있어서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폭이 좁아지게 한 경우의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인서트 본체 (401, 501, 601, 701) 이다. 이와 같이 돌출 단면 (15) 이나 돌조부 (111) 에 있어서 제 1 선단부 (111D) 에 폭 넓게 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돌조부 (111) 와 돌기부 (12, 21 ∼ 23) 의 간격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선단측에 다량의 절삭 유제를 공급 가능해짐과 함께, 공급되는 절삭 유제의 흐름도 원활하게 하여 효율적인 공급을 촉구할 수 있다.
단, 이렇게 하여 돌조부 (111) 의 제 1 선단부 (111D) 에 있어서의 돌출 단면 (115) 의 폭을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게 하거나 일정 폭으로 한 경우에도, 돌기부 (12) 는 돌조부 (111) 보다 작다. 즉,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돌기부 (12, 21) 의 돌출 단면 (16, 116) 이 타원상을 이루고 있을 때에는, 그 단축 방향의 폭은 돌조부 (111) 의 제 1 선단부 (111D) 에 있어서의 돌출 단면 (115) 의 폭과 대략 동등하거나 그보다 작고, 장축 방향의 길이는 돌출 단면 (115) 보다 작다. 또한,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돌기부 (22, 23) 가 원추대 형상이나 구면 형상을 이루어 그 돌출 단면 (216, 316) 이 원형일 때에는, 이 원형의 돌출 단면 (216, 316) 의 직경이, 제 1 선단부 (111D) 에 있어서의 돌조부 (111) 의 돌출 단면 (115) 의 폭과 대략 동등하거나 그보다 작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하는 클레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플랭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저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2 에 있어서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있어서의 ZZ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 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74308호에 기재된 발명의 바 (봉) 의, 마모의 진행에 의한 높이 (H) 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에 있어서의 YY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 이다.
도 9b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조부 (11) 에서, 마모의 진행에 의한 높이 (H) 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에 있어서의 YY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 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플랭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플랭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플랭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 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플랭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플랭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 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플랭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6 은,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플랭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201, 301, 401, 501, 601, 701: 인서트 본체
2: 절삭날부
3: 가로 절삭날
4: 정면 절삭날
5: 플랭크면
6: 코너부
11, 111: 돌조부
11A: 돌조부 (11) 의 제 1 후단부
11B: 돌조부 (11) 의 제 2 후단부
11C: 돌조부 (11) 의 제 2 선단부
111C: 돌조부 (111) 의 제 2 선단부
11D: 돌조부 (11) 의 제 1 선단부
111D: 돌조부 (111) 의 제 1 선단부
12, 21 ∼ 23: 돌기부
13: 돌조부 (11) 의 내벽면
14: 돌조부 (11) 의 외벽면
15: 돌조부 (11) 의 돌출 단면
115: 돌조부 (111) 의 돌출 단면
16, 116, 216, 316: 돌기부 (12, 21 ∼ 23) 의 돌출 단면
17: 돌기부 (12, 21 ∼ 23) 의 둘레 벽면
18: 돌조부 (11) 와 돌기부 (12, 21 ∼ 23) 사이의 오목부
218: 돌기부 (216) 사이의 오목부
L: 인서트 본체 (1, 201, 301, 401, 501, 601, 701) 의 축선
θ: 인서트 본체 (1, 201, 301, 401, 501, 601, 701) 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플랭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면, 돌기부 (12, 21 ∼ 23) 가 연장되는 방향이 인서트 본체 (1, 201, 301, 401, 501, 601, 701)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L) 에 대해 교차하는 각도

Claims (4)

  1.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를 구비하는 절삭 인서트로서,
    상기 인서트 본체의 단부에, 사각형상의 플랭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랭크면에는,
    상기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가로 절삭날과;
    이들 가로 절삭날의 선단끼리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과;
    상기 각 가로 절삭날과 상기 정면 절삭날이 교차하는 각 코너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1 쌍의 돌조부와;
    이들 돌조부의 상기 각 코너부측의 선단부와 상기 각 코너부 사이에서, 상기 돌조부와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돌기부;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조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코너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플랭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에 대해 15°∼ 75°의 범위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조부의 선단부와 상기 코너부 사이에는, 복수의 상기 돌기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KR1020080027993A 2007-03-30 2008-03-26 절삭 인서트 KR101463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91952 2007-03-30
JPJP-P-2007-00094884 2007-03-30
JP2007094884 2007-03-30
JPJP-P-2007-00091952 2007-03-30
JP2008012974A JP5217449B2 (ja) 2007-03-30 2008-01-23 切削インサート
JPJP-P-2008-00012974 2008-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213A true KR20080089213A (ko) 2008-10-06
KR101463992B1 KR101463992B1 (ko) 2014-11-20

Family

ID=400515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993A KR101463992B1 (ko) 2007-03-30 2008-03-26 절삭 인서트
KR1020080027991A KR20080089212A (ko) 2007-03-30 2008-03-26 절삭 인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991A KR20080089212A (ko) 2007-03-30 2008-03-26 절삭 인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217449B2 (ko)
KR (2) KR101463992B1 (ko)
AT (1) ATE548142T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10B1 (ko) * 2010-01-29 2014-07-31 쿄세라 코포레이션 절삭 인서트와 절삭 공구 및 그들을 사용한 피삭재의 절삭 방법
US20200206823A1 (en) * 2017-06-19 2020-07-0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Turning insert for metal cut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6459B (zh) 2009-10-29 2015-07-15 京瓷株式会社 切削镶刀及切削工具、以及使用该切削工具的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EP2578340B1 (en) 2010-05-27 2017-11-22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and method of producing cut product using same
KR101175454B1 (ko) * 2010-06-17 2012-08-20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하기 위한 공구 홀더
CN103379975B (zh) 2011-02-28 2016-02-24 京瓷株式会社 切削刀具及切削工具,以及使用它们的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EP2868409B1 (en) * 2012-06-29 2017-11-29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cut/machined object using same
JP6059041B2 (ja) * 2013-02-28 2017-01-11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US10029311B2 (en) 2013-10-29 2018-07-24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m
JP6186335B2 (ja) * 2014-10-28 2017-08-2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
JP6798663B2 (ja) * 2016-04-27 2020-12-09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
KR101943627B1 (ko) * 2016-12-28 2019-01-30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CN107790755B (zh) * 2017-11-23 2024-03-26 炎陵欧科亿数控精密刀具有限公司 一种用于切槽、切断和外圆仿形加工的切削刀片
CN111001835A (zh) * 2019-12-25 2020-04-14 厦门金鹭特种合金有限公司 一种带断屑槽的超硬切槽刀具
CN111468748A (zh) * 2020-04-28 2020-07-31 厦门金鹭特种合金有限公司 一种可转位切削刀片
JP7269540B1 (ja) 2022-09-28 2023-05-0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7544B2 (ja) * 1994-08-31 2002-07-02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
JP3250939B2 (ja) * 1995-04-26 2002-01-28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
SE504182C2 (sv) * 1995-11-23 1996-12-02 Sandvik Ab Skär för spårstickning samt breddning av spå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10B1 (ko) * 2010-01-29 2014-07-31 쿄세라 코포레이션 절삭 인서트와 절삭 공구 및 그들을 사용한 피삭재의 절삭 방법
US20200206823A1 (en) * 2017-06-19 2020-07-0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Turning insert for metal cutting
US11623283B2 (en) * 2017-06-19 2023-04-1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Turning insert for metal cu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212A (ko) 2008-10-06
JP5217449B2 (ja) 2013-06-19
JP2008272924A (ja) 2008-11-13
ATE548142T1 (de) 2012-03-15
KR101463992B1 (ko) 2014-11-20
JP2008272923A (ja)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9213A (ko) 절삭 인서트
EP1980348B1 (en) Cutting insert
EP1980349A2 (en) Cutting insert
KR100771032B1 (ko) 홈 가공 및 윤곽 가공용 절삭 인서트
KR101585283B1 (ko) 절삭 인서트
US8366355B2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method
JP5161324B2 (ja) 中ぐり用切削工具
US10717136B2 (en) Cutting insert
JP4353067B2 (ja) ねじ切り切削用インサート
EP1297921B1 (en) Turning insert
KR102003617B1 (ko) 절삭 인서트
CN108602130B (zh) 用于金属切削的面切槽刀具主体
JP4729894B2 (ja) インサート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WO2011096511A1 (ja)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端面溝入れ加工方法
JP2022502274A (ja) ワークピースを加工するための切削インサート及び工具
JP4891491B2 (ja) リーマ
JP7171605B2 (ja) 前部および後部コンポーネントの切れ刃を備えた分割切れ刃を有する切削インサート
JP5589425B2 (ja) 溝入れ・突っ切り加工用切削インサート
JP2005288613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5332504B2 (ja) 切削インサート
JP741713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5332503B2 (ja) 切削インサート
JP2007290057A (ja) 超高圧焼結体切削工具
JP5239316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CN215587886U (zh) 切削刀片及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