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824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824A
KR20080086824A KR1020080025836A KR20080025836A KR20080086824A KR 20080086824 A KR20080086824 A KR 20080086824A KR 1020080025836 A KR1020080025836 A KR 1020080025836A KR 20080025836 A KR20080025836 A KR 20080025836A KR 20080086824 A KR20080086824 A KR 20080086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ctuator
elastic arm
arm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8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일 없이 내구성이 뛰어난 콘택트 구성을 갖는 FPC 등의 가요성이 있는 기판을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콘택트(20, 30)는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기판(21, 31)과, 베이스부(21, 31)로부터 연장하고, 하측 접점(24b, 34b)을 갖는 탄성 아암(24, 34)과, 상측 접점(25a, 35a) 및 액츄에이터(40)가 작용하는 피구동부(25b, 35b)를 갖는 아암(25, 35)과, 탄성 아암(24, 34) 및 아암(25, 35)을 연결하는 연결부(26, 36)와, 베이스부(21, 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성 아암(24, 34)의 상방으로의 변형 시에 탄성 아암(24, 34)에 당접하는 정지부(27, 37)를 구비한다.
Figure P1020080025836
전기 커넥터, 콘택트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FPC 등의 가요성이 있는 기판을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FPC 등의 가요성이 있는 기판을 전기 커넥터를 통해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참조). 도 7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며, (a)는 액츄에이터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 (b)는 액츄에이터가 접속 위치에 있을 때의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a), (b)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101)은 FPC 등의 가요성이 있는 기판(미도시)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홈(111)을 갖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회동되는 복수의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과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복수의 대향측 접촉편(130)과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14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복수의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은 하우징(110)의 폭방향(도 7(a)에 있어서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은 전후 방향(도 7(a)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110)에의 고정부(121)와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접촉부(124)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피구동부(125)를 갖는 아암(123)과 고정부(121)으로 아암(123)을 연결하는 연결부(126)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121)에는 회로 기판(미도시)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대향측 접촉편(130)은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치에서 하우징(110)의 폭방향에 따라 소정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대향측 접촉편(130)은 하우징(110)으로의 고정부(131)와, 고정부(131)의 뒤둘레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U자형으로 전방으로 절환되는 하측 접촉부(133)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131)에는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액츄에이터(140)은 도 7(a)에 도시하는 해제 위치와 도 7(B)에 도시하는 접속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가능하게 하우징(110)에 취부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40)의 선단에는 액츄에이터(140)가 해제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에 회동하는 경우에,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의 피구동부(125)를 압압하는 압압부(141)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커넥터(101)에 FPC 등의 기판을 접속하려면, 액츄에이터(140)이 도 7(a)에 도시하는 해제 위치에 있는 때, 기판을 전측으로부터 하우징(110)의 기판 삽입홈(111)에 찔러넣고, 그리고, 액츄에이터(140)을 도 7(b)에 도 시하는 접속 위치에 회동한다. 그러면, 모든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의 피구동부(125)가 액츄에이터(140)의 압압부(141)에 의해 상방으로 압압되어, 각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에 있는 상측 접촉부(124)가 연결부(126)의 상단 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변위하고, 기판 삽입홈(111) 내로 돌출한다. 이에 따라,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의 상측 접촉부(124)와 대향측 접촉편(130)의 하측 접촉부(133)과 기판을 협지하게 된다. 이 때, 상측 접촉부(124)와 기판의 상면에 설치한 도전 패드(미도시)가 접촉하고, 대향측 접촉편(130)의 하측 접촉부(133)와 기판의 하면에 설치한 도전 패드(미도시)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판이 전기 커넥터(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기판과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도통하게 된다.
이 전기 커넥터(101)에 의하면, 기판 삽입홈(111) 내에 삽입된 기판을 향해 협지동작접촉편(120)의 상측접촉부(124)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140)을 구비한 것에 의해, FPC 등의 가요성이 있는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특허 문헌 l] 특개 2002-19036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전기 커넥터(101)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의 피구동부(125)가 액츄에이터(140)의 압압부(141)에 의해 상방으로 압압되어 상측 접촉부(124)가 연결부(126)의 상단 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하부에 변위할 때에, 연결부(126)이 탄성변형하게 된다. 이 액츄에이터(140)을 구동했을 때에, 협지 동작용 접촉편(120)에 있어서, 탄성변형하는 영역은 거의 연결부(126)뿐이며, 응력이 연결부(126)에 집중하여 내구성에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각 대향측 접촉편(130)의 하측 접촉부(133)은 액츄에이터(140)에 의해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기판과의 접압을 확보하기 위해 기판 삽입홈(111) 내에 항상 돌출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기판을 기판 삽입홈(111)에 찔러넣은 때, 기판과 하측 접촉부(133)이 접촉하고, 하측 접촉부(133)이 기판의 삽입에 저항하게 된다. 하측 접촉부(133)이 기판의 삽입 저항이 되어 버려서는 전기 커넥터(101)을 ZIF(Zero Insertion Force)형, 이른바 무삽발력형으로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일 없이 내구성이 뛰어난 콘택트 구성을 갖는 FPC 등의 가요성이 있는 기판을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을 삽입하는 때에 ZIF를 달성할 수 있는 FPC 등의 가요성 있는 기판을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는 가요성이 있는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 요부를 갖는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에 취부된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콘택트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해당 베이스부의 전측 옆부분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하고, 상측으로 돌출하는 하측 접점을 갖는 탄성 아암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단 근방에 하측으로 돌출하는 상측 접점을, 후단 근방에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용하는 피구동부를 갖는 아암과, 상기 탄성 아암의 후측 옆부분과 상기 아암의 상기 상측 접점과 상기 피구동부와의 사이의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성 아암의 상방으로의 변형 시에 상기 탄성 아암의 후단부에 당접하는 정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가요성이 있는 기판이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가요성이 있는 회로 기판에 한정하지 않고, FFC(Flexib1e Flat Cable) 등의 가요성이 있는 케이블도 포함한다는 뜻이다. 또, 본 발명중 청구항 2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는 청구항1 기재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측 접점은 상기 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전에 상기 기판 삽입 요부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콘택트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해당 베이스부의 전측 옆부분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하고, 상측으로 돌출하는 하측 접점을 갖는 탄성 아암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단 근방에 하측으로 돌출하는 상측 접점을, 후단 근방에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용하는 피구동부를 갖는 아암과, 상기 탄성 아암의 후측 옆부분과 상기 아암의 상기 상측 접점과 상기 피구동부와의 사이의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성 아암의 상방으로의 변형 시에 상기 탄성 아암의 후단부에 당접하는 정지부를 구비하므로, 연결부에 응역이 집중하지 않고 내구성이 뛰어난 콘택트구성을 갖는 FPC 등의 가요성이 있는 기판을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청구항 1기재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측 접점은 상기 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전에 상기 기판 삽입 요부에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기판을 기판 삽입 요부에 삽입하는 때에 기판은 하측 접점에 접촉하지 않고 ZIF, 이른바 무삽발력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를 FPC와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의 일부를 전후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1 콘택트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액츄에이터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1 콘택트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액츄에이터가 해제 위치로부터 45°회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1 콘택트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액츄에이터가 접속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2 콘택트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액츄에이터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1)은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취부된 복수의 제1 콘택트(20)및 복수의 제2 콘택트(30)과 하우징(10)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제1및 제2 콘택트(20, 30)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4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은 절연성 수지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폭방향(도 1에 있어서 좌우방향, 도 3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거의 직방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하우징 본체(11)과 하우징 본체(11)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후방(도 3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연장부 (15)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11)에는 도 1 내지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PC(50)가 삽입되는 기판 삽입 요부(12)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 삽입 요부(12)는 하우징 본체(11)의 폭방향 거의 전역에 걸치고 나아가 전면에 개구하여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고 있다. 하우징 본체(11)에는 제l콘택트 (20)이 수용되는 제1 콘택트 수용구(13) 및 제2 콘택트(30)이 수용되는 제2 콘택트 수용구(14)가 하우징 본체(11)의 폭방향에 따라 소정 피치로 교대로 설치되 어 있다. 제1 콘택트 수용구(13) 및 제2 콘택트 수용구(14)는 기판 삽입 요부(12)와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콘택트(2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후측으로부터 제1 콘택트 수용구(13) 내에 수용되고, 하우징 본체(11)에 압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1 콘택트(2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21)과 베이스부(21)의 전측옆의 부분에서 후방으로 향해 연장되는 탄성 아암(24)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25)와 탄성 아암(24)와 아암(25)를 연결하는 연결부(26)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제1 콘택트(20)은 용수철 탄성을 갖는 금속판을 타발하여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베이스부(21)의 전단에는 하우징 본체(11)에 압입 고정되는 압입 고정부(22)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베이스부(21)은 압입 고정부(22)에 의해 하우징 본체(11)에 압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탄성 아암(24)는 베이스부(21)의 전측옆의 부분에서 만곡부(24a)를 통해 후방으로 연장되어 전후 방향의 거의 중간 위치에 상측으로 돌출하는 하측 접점(24b)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 접점(24b)는 FPC(50)의 하면측의 단부에 설치된 도전패드(미도시)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 아암(2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전단 근방에는 하측에 돌출하는 상측 접점(25a)이, 후단 근방에는 액츄에이터(40)이 작용하는 하측에 돌출하는 피구동부(25b)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접점(25a)의 전후 방향위치는 하측 접점(24b)의 전후 방향위치에 거의 대응하고, 상측 접점(25a)는 하측 접점(24b)에 대해 거의 대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측 접점(25a)는 FPC(50)의 상면측에 설치된 도전 패 드(미도시)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FPC(50)의 상면측에 설치된 도전 패드는 하면측에 설치된 상기 도전 패드와는 회로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연결부(26)은 탄성 아암(24)의 후측옆부분과 아암(25)의 상측 접점(25a)와 피구동부(25b)와의 사이의 부분을 연결하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21)의 후단부에는 회로 기판(PCB) 상에 납땜접속되는 기판 접속부(23)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베이스부(21)의 후측옆부분에는 탄성 아암(24)가 상방으로 변형한 때에 탄성 아암(24)의 후단부(24C)에 당접하는 정지부(27)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콘택트(30)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콘택트(20)과는 다른 하우징 본체(11)의 전측으로부터 제2 콘택트 수용구(14) 내에 수용되어 하우징 본체(11)에 압입 고정 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2 콘택트(30)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콘택트(20)과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31)과 베이스부(31)의 전측 옆부분에서 후방으로 향해 연장되는 탄성 아암(34)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35)와 탄성 아암(34)와 아암(35)를 연결하는 연결부(36)을 갖추고 있다. 각 제2아암(30)은 용수철 탄성을 갖는 금속판을 타발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베이스부(31)의 후단에는 하우징 본체(11)에 압입 고정되는 압입 고정부 (32)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베이스부(31)은 압입 고정부(32)에 의해 하우징 본체(11)에 압입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 아암(34)는 베이스부(31)의 전측 옆부분에서 만곡부(34a)를 통해 후방에 연장되어 전후 방향의 거의 중간의 위치에 상측에 돌출하는 하측 접점(34b)가 설치되어 있다. 단, 하측 접점(34b)의 전후 방향에 따른 위치는 제2 콘택트 수용구(14) 내에 수용된 때에, 제1 콘택트(20)의 하측 접점(24b)보다 약간 후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접점(34b)는 FPC(50)의 하면측의 단부에 설치된 도전 패드(미도시)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아암(2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전단 근방에는 하측에 돌출하는 상측 접점(35a)가, 후단 근방에는 액츄에이터(40)이 작용하는 하측에 돌출하는 피구동부(35b)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접점(35a)의 전후 방향에 따른 위치는, 하측 접점(34b)와 마찬가지로, 제2 콘택트 수용구(14) 내에 수용된 때에, 제1 콘택트 상측 접점(24 a)보다 약간 후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되고, 하측 접점(34b)의 전후 방향에 따른 위치에 거의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제2 콘택트(30)의 하측 접점(34b) 및 상측 접점(35a)의 전후 방향에 따른 위치를 각 제1 콘택트(20)의 하측 접점(24b) 및 상측 접점(25a)의 전후 방향에 따른 위치에 대해 후측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폭방향에 있어서의 접점의 물떼새 배열을 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측 접점(35a)는 FPC(50)의 상면측에 설치된 도전 패드(미도시)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FPC(50)의 상면측에 설치된 도전 패드는, 하면측에 설치된 상기 도전 패드와는 회로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연결부(36)은 탄성 아암(34)의 후측 옆부분과, 아암(36)의 상측 접점(35a)와 피구동부(35b)와의 사이의 부분을 연결하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31)의 전단부에는 회로 기판(PCB) 상에 납땜접속되는 기판 접속부(33)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베이스부(31)의 후측옆부분에는 탄성 아암(34)가 상방으로 변형한 때에 탄성 아암(34)의 후단부(34C)에 당접하는 정지부(37)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액츄에이터(40)은 하우징(1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조작부(41)과 조작부(41)으로부터 연장됨과 동시에, 하우징(10)에 설치된 1 쌍의 연장부(15) 사이를 연장하는 취부부(42)를 갖추고 있다. 액츄에이터(40)은 절연성의 수지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40)의 취부부(42)의 폭 방향 양단에 설치된 축부(미도시)가 하우징(10)의 1쌍의 연장부(15)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축지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40)은 도 3에 도시하는 해제 위치와 도 5에 도시하는 접속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부부(42)에는 각 제1 콘택트(20)의 피구동부(25b)가 파고들어가는 제1홈(43)및 각 제2 콘택트(30)의 피구동부(35b)가 파고 들어가는 제2홈(44)가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홈(43)에는 액츄에이터(40)이 해제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를 향해 회동하는 때에, 제1 콘택트(20)의 피구동부(25b)에 작용하고, 피구동부(25b)를 밀어올리는 제1구동부(45)가 설치되어 있다. 그 한편, 제2홈(44)에도 액츄에이터(40)이 해제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를 향해 회동하는 때에, 제2 콘택트(30)의 피구동부(35b)에 작용하고, 피구동부(35b)를 밀어올리는 제2구동부(46)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커넥터(1)에 FPC(50)를 접속하는 방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액츄에이터(40)이 도 3에 도시하는 해제 위치에 있는 때, FPC(50)를 하우징(10)의 전측으로부터 기판 삽입 요부(12)내에 찔러넣는다. 이어서, 액츄에이터(40)을 도 5에 도시하는 접속 위치를 향해 회동시킨다. 그러면 액츄에이터(40)의 제1구동부(45)가 제l콘택트(20)의 피구동부(25b)에 작용 하여 피구동부(25b)를 밀어 올리고, 또 동시에 액츄에이터(40)의 제2 구동부(46)이 제2 콘택트(30)의 피구동부(35b)에 작용하여 피구동부(35b)를 밀어 올린다. 이에 수반하여 제l콘택트(20)의 아암(25), 연결부(26) 및 탄성 아암(24)가 탄성 아암(24)의 만곡부(24a) 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상방을 향해 변형한다. 또한 동시에, 제2 콘택트(30)의 아암(35), 연결부(36)및 탄성 아암(34)가 탄성 아암(34)의 만곡부(34a)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상방을 향해 변형한다. 이 때에, 탄성 아암(24, 34), 연결부(26, 36)및 연결부(26, 36)으로부터 피구동부(25b, 35b)까지가 탄성변형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액츄에이터(40)이 도 4에 도시하는 해제 위치로부터 45° 회동한 상태가 되면, 각 제1 콘택트(20)의 하측 접점(24b) 및 각 제2 콘택트(30)의 하측 접점(34b)는 하우징(10)의 기판 삽입 요부(12)에 돌출한다. 하측 접점(24b, 34b)의 상방으로는 상측 접점(25a, 35a)가 거의 대향한 위치에 있어, FPC(50)를 상방으로부터 받고 있으므로, 하측 접점(24b) 및 34(b)가 FPC(50)에 대해 하측으로부터 접압을 부여하게 된다. 또, 이 때, 각 제1 콘택트(20)의 탄성 아암(24)의 후단부(24C)가 정지부(27)에 당접함과 함께, 각 제2 콘택트(30)의 탄성 아암(34)의 후단부(34c)가 정지부(37)에 당접하게 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40)이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접속 위치가 될 때까지의 사이에서는, 액츄에이터(40)의 제1구동부(45)가 제1 콘택트(20)의 피구동부(25b)에 작용하여 피구동부(25b)를 더욱 밀어 올리고, 또 동시에 액츄에이터(40)의 제2구동부(46)이 제2 콘택트(30)의 피구동부(35b)에 작용하여 피 구동부(35b)를 더욱 밀어 올린다. 이 때에, 제1 콘택트(20)의 탄성 아암(24)는 후단부(24C)가 정지부(27)에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변형하지 않고, 제l콘택트(20)의 아암(25)의 상측 접점(25a)측이 연결부(26)의 상단 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변위하게 된다. 또 동시에, 제2 콘택트(30)의 탄성 아암(34)는, 후단부(34C)가 정지부(37)에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변형하지 않고, 제2 콘택트(30)의 아암(35)의 상측 접점(35a)측이 연결부(36)의 상단 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변위하게 된다. 이 때에, 연결부(26, 36)이 탄성변형하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각 제1 콘택트(20)의 상측 접점(25a)및 각 제2 콘택트(30)의 상측 접점(35a)는 하우징(10)의 기판 삽입 요부(12)에 돌출하고, 상측 접점(25a) 및 35a가 FPC(50)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더욱 접압을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40)이 도 5에 도시하는 접속 위치가 되면, 액츄에이터(40)의 제1구동부(45)가 제1 콘택트(20)의 피구동부(25b)를 더욱 밀어 올리고 또 동시에 액츄에이터(40)의 제2구동부(46)이 제2 콘택트(30)의 피구동부(35b)를 더욱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제1 콘택트(20)의 아암(25)의 상측 접점(25a)측이 연결부(26)의 상단 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더욱 하방으로 변위하고, 제2 콘택트(30)의 아암(35)의 상측 접점(35a)측이 연결부(36)의 상단 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더욱 하부로 변위하고, 상측 접점(25a) 및 (35a)가 FPC(50)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더욱 접압을 부여하게 된다. 액츄에이터(40)이 접속 위치가 된 상태로 FPC(50)의 전기 커넥터(1)로의 접속이 완료한다.
이와 같이,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 액츄에이터(40)이 도 4에 도시하는 해 제 위치로부터 45° 회동한 상태가 될 때까지는, 제1 콘택트(20)의 아암(25), 연결부 26 및 탄성 아암(24)가 탄성 아암(24)의 만곡부(24a)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향해 변형함과 함께, 제2 콘택트(30)의 아암(35), 연결부(36) 및 탄성 아암(34)가 탄성 아암(34)의 만곡부(34a) 근방을 지점으로하여 상방으로 향해 변형한다. 이 때에는 탄성 아암(24, 34) 연결부(26, 36) 및 연결부(26, 36)으로부터 피구동부(25b, 35b)까지가 탄성변형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액츄에이터(40)이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접속 위치가 될 때까지의 사이에서는 제1 콘택트(20)의 아암(25)의 상측 접점(25a)측이 연결부(26)의 상단 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변형하고, 제2 콘택트(30)의 아암(35)의 상측 접점(35a)측이 연결부(36)의 상단 근방을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변형한다. 이 때에는, 연결부(26, 36)이 탄성변형하는 영역이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40)이 해제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가 되기까지는 연결부(26, 36)만이 탄성변형 하는 영역은 아니며 비교적 긴 영역이 탄성변형하므로, 연결부(26, 36)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뛰어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인해, 상측 접점(25a, 35a)의 변위량을 탄성변형 하는 영역이 연결부(26, 36)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크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액츄에이터(40)이 도 4에 도시하는 해제 위치로부터 45° 회동한 상태가 되면, 각 제1 콘택트(20)의 탄성 아암(24)의 후단부(24C)가 정지부(27)에 당접함과 함께, 각 제2 콘택트(30)의 탄성 아암(34)의 후단부(34C)가 정지부(37)에 당접하고, 지점이 탄성 아암(24, 34)의 만곡부(24a, 34 a)근방으로부터 연결부(26, 36)의 상단 근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지점이 이동한 이후, 용수철 길이가 연결부(26, 36)에만 단축 하기 때문에 상측 접점(25a, 35a)이 필요한 접압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FPC(50)와 전기 커넥터(1)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액츄에이터(40)을 도 5에 도시하는 접속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해제 위치를 향해 회동하고, FPC(50)를 뽑아내면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 개량을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FPC(50)를 전기 커넥터(l)에 접속하도록 했으나, 가요성이 있는 기판이면, FPC(50)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기판을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또,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가요성이 있는 케이블을 전기 커넥터(1)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측 접점(24b, 34b)는 액츄에이터(40)을 조작하기 전(도 3에 도시하는 액츄에이터(40)의 해제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10)의 기판 삽입 요부(12) 내에 돌출하고 있지만, 기판 삽입 요부(12) 내에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시켜도 좋다. 이것은, 액츄에이터(40)의 조작에 의해, 하측 접점(24b, 34b)가 상승함과 함께 상측 접점(25a, 35a)가 하강함으로써 가능해 진다. 이에 의해, FPC(50) 등의 기판의 ZIF 삽입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를 FPC와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의 일부를 전후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1 콘택트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절단 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액츄에이터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1 콘택트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액츄에이터가 해제 위치로부터 45°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1 콘택트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절단 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액츄에이터가 접속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2 콘택트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절단 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액츄에이터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며, (a)는 액츄에이터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의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 (b)는 액츄에이터가 접속 위치에 있을 때의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2 : 기판 삽입 요부
20 : 제1 콘택트(콘택트) 21 : 베이스부
24 : 탄성 아암 24b : 하측 접점
24c : 후단부 25 : 아암
25a : 상측 접점 25b: 피구동부
26 : 연결부 27 : 정지부
30 : 제2 콘택트(콘택트) 34 : 탄성 아암
34b 하측 접점 34c : 후단부
35 : 아암 35a : 상측 접점
35b : 피구동부 36 : 연결부
37 : 정지부 40 : 액츄에이터
50 : FPC(가요성이 있는 기판)

Claims (2)

  1. 가요성이 있는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 요부를 갖는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에 취부된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콘택트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해당 베이스부의 전측 옆부분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하고, 상측으로 돌출하는 하측 접점을 갖는 탄성 아암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단 근방에 하측으로 돌출하는 상측 접점을, 후단 근방에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용하는 피구동부를 갖는 아암과, 상기 탄성 아암의 후측 옆부분과 상기 아암의 상기 상측 접점과 상기 피구동부와의 사이의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성 아암의 상방으로의 변형 시에 상기 탄성 아암의 후단부에 당접하는 정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접점은 상기 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전에 상기 기판 삽입 요부에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80025836A 2007-03-23 2008-03-20 전기 커넥터 KR200800868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76710 2007-03-23
JP2007076710A JP2008235183A (ja) 2007-03-23 2007-03-23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824A true KR20080086824A (ko) 2008-09-26

Family

ID=3990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836A KR20080086824A (ko) 2007-03-23 2008-03-2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235183A (ko)
KR (1) KR200800868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2420A2 (en) * 2008-10-08 2010-04-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oard cable connection structure
CN102255185A (zh) * 2010-04-08 2011-11-23 松下电工株式会社 连接器
CN102570165A (zh) * 2010-11-29 2012-07-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连接器
KR101250658B1 (ko) * 2010-04-08 2013-04-03 파나소닉 주식회사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0352B2 (ja) * 2016-08-04 2020-11-0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2420A2 (en) * 2008-10-08 2010-04-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oard cable connection structure
WO2010042420A3 (en) * 2008-10-08 2010-07-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oard cable connection structure
CN102255185A (zh) * 2010-04-08 2011-11-23 松下电工株式会社 连接器
KR101250658B1 (ko) * 2010-04-08 2013-04-03 파나소닉 주식회사 커넥터
CN102570165A (zh) * 2010-11-29 2012-07-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连接器
KR101308841B1 (ko) * 2010-11-29 2013-09-13 파나소닉 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35183A (ja)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3338B2 (ja) Fpc用コネクタ
US861363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80050958A1 (en) Connector
JP4575402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90101463A (ko) 케이블 커넥터
JP4479989B2 (ja) コネクタ
JP3903332B2 (ja) 電気コネクタ
TW201008052A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2002252067A (ja) 電気コネクタ
JP4707610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1566861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KR20080086824A (ko) 전기 커넥터
US7950952B2 (en)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JP4830785B2 (ja) コネクタ
JP2007265825A (ja) 中継コネクタ
JP591863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JP465150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US9093790B2 (en) Connector device
JP5077032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8123802A (ja) 電気コネクタ
JP388962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3435600B2 (ja) 板状物用コネクタ
KR100739934B1 (ko) 커넥터
JP2007123057A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WO2009099006A1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