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744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744A
KR20080086744A KR1020070028822A KR20070028822A KR20080086744A KR 20080086744 A KR20080086744 A KR 20080086744A KR 1020070028822 A KR1020070028822 A KR 1020070028822A KR 20070028822 A KR20070028822 A KR 20070028822A KR 20080086744 A KR20080086744 A KR 20080086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ignal
driving chip
clock signa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0876B1 (ko
Inventor
문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876B1/ko
Priority to US11/929,034 priority patent/US9063602B2/en
Priority to CN2008100844122A priority patent/CN101271212B/zh
Publication of KR2008008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외부 자극에 대하여 센싱신호를 생성하는 센싱전극과; 상기 센싱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센싱선과; 상기 센싱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싱선으로부터 상기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레지스터값에 따라 포지션 펄스를 출력하는 센싱구동부와; 상기 포지션 펄스와 소정의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극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외부 자극에 효율적으로 반응하고, 감지율이 증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 출력관계를 도시한 제어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싱구동부의 간략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출력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출력파형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표시패널 110 : 표시영역
210 : 게이트선 220 : 데이터선
230 : Y센싱선 240 : X센싱선
235 : Y센싱전극 245 : X센싱전극
300 : 게이트 구동유닛 400 : 데이터 구동유닛
500 : Y센싱구동유닛 600 : X센싱구동유닛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형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널은 액정표시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상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의 최상측에 구비된다.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최근 외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감압센서가 패널의 형태로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디스플레이패널 내부에 장착되는 내장형 터치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내장형 터치패널의 경우, 화소가 형성되는 부분에 센싱을 위한 전극 및 스페이서 등이 형성된다. 외부로부터 소정의 자극이 가해지면 센싱전극은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센싱선에 통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센싱 구동부에 전달한다.
터치패널에 사람의 손 또는 포인터가 닫아 자극이 발생하는 경우, 센싱전극의 높은 분포밀도에 의하여 다수 개의 센싱전극이 반응한다. 또한, 센싱전극들은 패널에 인접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자극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의 센싱전극도 인접한 다른 센싱전극으로 인하여 연쇄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자극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자극에 효율적으로 반응하고, 감지율이 증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외부 자극에 대하여 센싱신호를 생성하는 센싱전극과; 상기 센싱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센싱선과; 상기 센싱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싱선으로부터 상기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레지스터값에 따라 포지션 펄스를 출력하는 센싱구동부와; 상기 포지션 펄스와 소정의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극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센싱신호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구동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레지스터값으로 저 장할 수 있다.
상기 신호제어부는 상기 센싱구동부로 센싱스캔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센싱구동부는 상기 센싱스캔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센싱선을 스캔한다.
상기 포지션 펄스는 자극이 발생한 부분에 대응하는 하이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포지션 펄스에서 상기 하이구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한 값을 제1카운트수 및 상기 하이구간 동안의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한 값을 제2카운트수라고 할 경우, 상기 신호제어부는 다음 식과 같은 제3카운트수에 대응하는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상기 센싱선을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제3카운트수 = 제1카운트수 + (제2카운트수/2)
상기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포지션 펄스에서 상기 하이구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한 값의 이진코드를 제1코드, 상기 하이구간 동안의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한 값의 이진코드를 제2코드, 상기 제2코드에서 최하위 1개의 코드를 삭제한 이진코드를 제3코드라고 할 경우, 상기 신호제어부는 상기 제1코드와 상기 제3코드의 합에 대응하는 이진코드의 십진값을 연산하고, 상기 십진값으로 카운트된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상기 센싱선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센싱구동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일 변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구 동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칩은 복수의 상기 센싱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구동칩 및 상기 제1구동칩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2구동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위치펄스의 제1하이구간과 상기 제2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위치펄스의 제2하이구간이 연속되는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1하이구간으로부터 파악된 제1센싱선의 위치와 상기 제2하이구간으로부터 파악된 제2센싱선의 위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센싱선의 위치에서 자극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선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자극이 발생한 위치의 Y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제1센셍선과; 상기 제1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자극이 발생한 위치의 X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X센싱선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구동부는, 상기 Y센싱선에 연결되어 있는 Y센싱구동칩과; 상기 X센싱선에 연결되어 있는 X센싱구동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선 및 상기 게이트선과 교차하는 데이터선과; 상기 게이트선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칩과; 상기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구동칩 또는 상기 데이터 구동칩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화소 및 복수의 센싱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선으로부터 센싱신호를 수신 하여 특정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레지스터값에 따라 자극이 발생한 부분에 대응하는 하이구간을 갖는 포지션 펄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포지션 펄스와 소정의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극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 출력관계를 도시한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영역(110)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유닛(300, 400, 500, 600) 및 구동유닛(300, 400, 500, 600)에 인가될 각종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구동유닛(300, 400, 500, 600)은 게이트선(210)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구동유닛(300), 데이터선(220)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구동유닛(400), Y센싱선(230)에 연결되어 있는 Y센싱구동유닛(500)과 X센싱선(240)에 연결되어 있는 X센싱구동유닛(600)을 포함한다. 각 구동유닛(300, 400, 500, 600)은 연성필름(310, 410, 510, 610) 및 연성필름(310, 410, 510, 610) 상에 실장되어 있는 구동칩(320, 420, 520, 6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성필름(310, 410, 510, 610)에는 각 구동칩(320, 420, 520, 620)과 상술한 신호선(210, 220 230, 240)을 연결하기 위한 리드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패널(100)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또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은 행렬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화소를 형성하기 위하여 표시패널(100)에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게이트선(210), 게이트선(210)과 절연 교차하여 화소를 정의하는 데이터선(220) 및 게이트선(210)과 데이터선(220)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210)은 표시영역(110)의 외곽에서 게이트 구동유닛(300)과 연결되며, 게이트 구동유닛(300)으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신호를 박막트랜지스터에 전달한다. 데이터선(220)은 데이터 구동유닛(400)과 연결되며,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를 박막트랜지스터에 전달한다. 게이트선(210) 및 데이터선(220)은 각 구동유닛(300, 400)과 연결되기 위하여 표시영역(110)의 외곽에서 그 간격이 좁아지는 팬아웃부(215, 225)를 형성한다. 게이트 구동칩(310)은 게이트선(210)에 게이트 온전압 및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 구성되는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이고, 데이터 구동칩(420)은 데이터선(220)에 인가할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칩(310) 및 데이터 구동칩(320)은 연성필름(310, 410)에 실장되는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표시패널(100)에 연결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에 장착되는 COG(chop on glass)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패널(100)에는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전극(235, 245) 및 센싱전극(235, 245)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센싱선(230, 240)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의 자극이 발생하면, 표시패널(100)의 전면에 인가되어 있는 공통전압(Vcom)이 센싱전극(235, 245)에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전기적 신호는 센싱전극(235, 245) 및 센싱선(230, 240)을 통하여 센싱구동유닛(500, 600)으로 출력된다. 센싱전극(235, 245)은 표시패널(100) 전체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자극이 발생한 지점의 Y위치정보를 알려주는 Y센싱전극(235)과 X위치정보를 알려주는 X 센싱전극(245)을 포함한다. Y센싱전극(235)은 Y센싱선(230)과 연결되어 있으며, X센싱전극(245)은 X센싱선(240)과 연결되어 있다. Y센싱선(230)은 게이트선(210)과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하나의 게이트선(210) 사이 마다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X센싱선(240) 역시 하나의 데이터선(220)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연장되어 있다.
Y센싱구동칩(520)은 Y센싱선(230)과 연결되고, X센싱구동칩(620)은 제2구동칩(240)과 연결되어 있으며, Y센싱구동칩(520)과 X센싱구동칩(620)은 표시영역(110)의 변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된다. Y센싱구동칩(520) 및 X센싱구동칩(620)은 센싱선(230, 240)으로부터 전달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포지션 펄스를 출력하는 센싱 구동부에 해당한다. Y센싱구동칩(520) 및 X센싱구동칩(620) 역시 게이트 구동칩(320) 및 데이터 구동칩(420)과 같이 COG(chop on glass)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2는 신호제어부(700) 및 Y센싱구동칩(520)의 제어블록도이며, 신호제어부(700)와 Y센싱구동칩(520) 사이에서 입출력되는 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X센싱구동칩(620)에 대한 것은 Y센싱구동칩(520)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Y센싱구동칩(520)를 일 예로 들어 센싱구동칩과 신호 제어부 간의 제어방법에 관한 설명한다.
신호제어부(700)는 외부의 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패널(100)에 인가되는 영상신호 및 전체적인 제어신호를 구동칩(320, 420, 520, 620)에 출력한다. 신호제어부(700)는 Y센싱구동칩(520)으로 클럭신호 및 센싱스캔신호를 출력하고, Y센싱구동칩(520)로부터 입력된 포지션 펄스와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자극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한다. 센싱스캔신호는 Y센싱선(230)을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이며, 신호제어부(700)로부터 출력된 센싱스캔신호는 복수의 Y센싱구동칩(520)에 각각 출력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센싱스캔신호가 특정 방향에 따라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는 Y센싱구동칩(520)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Y센싱구동칩(520)은 센싱스캔신호 및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Y센싱선(230)을 스캔한다. 센싱스캔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부(522)가 온되면 자극이 발생된 Y센싱선(230)으로부터 센싱신호가 입력된다. Y센싱구동칩(520)은 수신한 센싱신호를 특정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레지스터값에 따라 포지션 펄스를 출력한다.
Y센싱구동칩(520)은 도3과 같이, Y센싱전극(235)으로부터 전달된 전압(Vin)을 소정의 기준값(Vref)과 비교하는 비교기(521)와 센싱스캔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칭부(522)를 포함한다. Y센싱전극(235)에 대응되는 부분에 자극이 가해지면, 공통 전압(Vcom)은 Y센싱전극(235) 및 Y센싱선(230)을 통하여 Y센싱구동칩(520)에 입력된다. Y센싱구동칩(520)으로 입력되는 전압(Vin)은 비교기(521)에 입력되고, 비교기(521)는 소정의 기준값(Vref)과 입력전압(Vin)을 비교하여 입력전압(Vin)이 기준값(Vref) 이상인 경우에만 특정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다시 말해, Y센싱구동칩(520)은 입력되는 전압 중 자극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전압만을 샘플링하여 이를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출력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Y센싱구동칩(520)은 내부에 소정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센싱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0,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1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즉, 1은 센싱신호에 발생에 대한 레지스터값에 해당한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Y센싱구동칩(520)에 DL 20개의 Y센싱선(230)과 연결되어 있다면, 20개의 클럭신호에 따라 Y센싱선(230)이 순차적으로 스캔되고, 스캔되는 Y센싱선(230)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0 또는 1이 저장된다.
또한, Y센싱구동칩(520)은 레지스터값이 저장된 부분이 하이구간이고, 센싱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부분은 로우 구간인 포지션 펄스를 신호 제어부(700)로 출력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신호제어부(700)가 입력된 포지션 펄스 및 클럭신호에 따라 자극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Y센싱구동칩(520)은 신호 제어부(700)의 센싱스캔신호 및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Y센싱선(230)을 스캔한다(S10).
스캔된 Y센싱선(230)으로부터 입력된 센싱신호는 비교부(521)에서 기준값과 비교된다(S20). 비교 결과, 센싱신호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메모리에 레지스터값(1)이 메모리에 저장되고(S30), 센싱신호가 전달되지 않거나 기준값에 도달하지 못하면, 메모리에는 "0"이 저장된다(S31).
그런 다음, Y센싱구동칩(520)은 1에 대응되는 부분이 하이구간을 갖는 포지션 펄스를 신호 제어부(700)로 출력한다(S40). Y센싱구동칩(520)은 Y센싱선(230)이 스캔되어 메모리에 레지스터값(1)이 저장되는 것과 거의 실시간으로 포지션 펄스를 신호 제어부(700)로 출력한다. 만약, Y 센싱구동칩(520)이 실시간이 아닌 소정 시간 경과 후 포지션 펄스를 출력한다면 신호 제어부(700)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출력할 것이고, Y센싱선(230)이 스캔되는 시각과 포지션 펄스가 출력되는 시각 사이의 클럭신호 정보는 신호 제어부(700)가 가지고 있을 것이다. 도4와 같이, 20개의 Y센싱선(230)이 스캔되는 동안 4번 내지 8번의 Y센싱선(230)에서 센싱신호가 수신되고, 14 내지 16번 Y센싱선(230)에서 센싱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두 개의 하이 구간을 갖는 포지션 펄스가 출력된다.
포지션 펄스를 수신한 신호 제어부(700)는 하이구간과 동기되는 클럭신호를 파악하여 센싱신호가 수신된 Y센싱선(23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Y센싱선(230)이 스캔되므로 신호 제어부(700)는 역으로, 하이구간에 대응되는 클럭신호를 통하여 Y센싱선(23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하나의 Y센싱선(230)으로부터 센싱신호가 수신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Y센싱선(230)으로부터 센싱신호가 수신되기도 한다. 하나의 자극이 발생하여도 센싱전극(235)의 높은 분포밀도에 의하여 다수 개의 센싱전극(235)이 반응하고, 센싱전극(235)들은 패널에 인접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자극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의 센싱전극(235)도 인접한 다른 센싱전극으로 인하여 연쇄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자극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제어부(700)는 자극이 발생한 정확한 지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이구간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Y센싱선(230)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를 위하여, 신호제어부(700)는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된 후 포지션 펄스에서 하이구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고, 하이구간 동안의 클럭신호를 카운트한다(S50). 신호제어부(700)가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된 후 포지션 펄스에서 하이구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카운트한 클럭신호의 수를 제1카운트수, 하이구간 동안 카운트한 클럭신호의 수를 제2카운트수라고 한다.
이후 신호제어부(700)는 다음 식과 같은 제3카운트수를 연산한다(S60).
[수학식 1] 제3카운트수 = 제1카운트수 + (제2카운트수/2)
즉, 도4의 첫번 째 하이구간의 경우, 제1카운트수는 4가 되고, 제2카운트수는 5, 수학식 1을 따라 연산한 값은4+2.5=5.5 가 된다. 이때 소수점 이하는 버림으로 처리한다. 물론 소수점의 처리는 사용자의 의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3카운트수는 6.5에서 소수점을 버림하면 6이 된다. 또한, 두번 째 하이구간의 경 우, 제1카운트수는 14, 제2카운트수는 3, 제3카운트수는 15가 된다.
신호제어부(700)는 제3카운트수에 대응하는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Y센싱선(230)의 위치를 파악한다(S70). 즉, 신호제어부(700)는 여섯 번째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Y센싱선(230) 및 15번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Y센싱선(230)을 통하여 센싱신호가 전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하나의 자극에 대하여 복수의 센싱전극(235)이 반응하면 신호제어부(700)는 하이구간의 중간에 대응되는 지점의 Y센싱선(230)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가 파악된 Y센싱선(230)에 연결되어 있는 Y센싱전극(235)에서 자극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복수의 X센싱선(240)으로부터 센싱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호제어부(700)는 상술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자극이 발생한 X센싱선(240)의 위치를 파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Y센싱선(230)을 스캔하는 단계(S30)부터 포지션 펄스를 출력하는 단계(S40)까지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과 동일하다.
포지션 펄스를 수신한 신호제어부(700)는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된 후 포지션 펄스에서 하이구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의 클럭신호 및 하이구간 동안의 클럭신호를 를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값을 이진코드로 변환한다(S51).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된 후 포지션 펄스에서 하이구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클럭신호를 카운트한 값의 이진코드를 제1코드, 하이구간 동안의 클럭신호를 카운 트한 값의 이진코드를 제2코드, 제2코드에서 최하위 1개의 코드를 삭제한 이진코드를 제3코드라고 할 경우, 신호제어부(700)는 제1코드와 제3코드의 합에 대응하는 이진코드의 십진값을 연산한다(S61).
즉, 도 4에 첫번 째 하이구간의 경우, 제1카운트수는 4가 되고 이를 이진코드로 변환한 제1코드는 100, 제2카운트수는 5이므로 이진코드로 변환한 제2코드는 101이 된다. 또한, 제2코드에서 최하위 1개의 코드를 삭제하면 제3코드는 10이 된다. 제1코드와 제3코드를 합한 이진코드는 110이 되고, 이에 대한 십진값은 6이된다. 또한, 두 번째 하이구간의 경우, 제1코드는 1110, 제2코드는 11, 제3코드는 1이 된다, 제1코드와 제3코드를 합한 이진코드는 1111이 되고, 이에 대한 십진값은 15가 된다.
그럼 다음, 신호제어부(700)는 십진값으로 카운트된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Y센싱선(230)의 위치를 파악한다(S71).
도7 및 도8은 본 실시예에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과 같이,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Y센싱구동칩(520)에서 출력되는 포지션 펄스의 하이구간이 연속되는 경우, 신호제어부(700)는 각 센싱구동칩(520)로부터 출력되는 하이구간의 중심에 대응되는 센싱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두 개의 인접한 Y센싱구동칩(230) 중 어느 하나를 제1구동칩, 나머지 하나를 제2구동칩이라고 하고, 제1구동칩에 연결되어 있는 센싱선을 제1센싱선 및 제2구동칩에 연결되어 있는 센싱선을 제2센싱선이라고 할 경우, 자극에 대하여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제1센싱선 및 제2센싱선으로부터 동시에 센싱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제1센싱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하이구간(Ⅰ)과 제2센싱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하이구간(Ⅱ)은 연속된다.
제1구동칩 및 제2구동칩으로 개별적인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신호제어부(700)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통하여 제1하이구간(Ⅰ)으로부터 자극이 발생한 제1센싱선의 위치를 파악하고, 제2하이구간(Ⅱ)으로부터 자극이 발생한 제2센싱선의 위치를 파악한다. 즉,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제1하이구간으로부터 19번 째 클럭신호에 대응하여 스캔된 제1센싱선 및 제2하이구간으로부터 3번째 클럭신호에 대응하여 스캔된 제2센싱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제어부(700)는 하나의 자극에 대하여 두개의 위치정보가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센싱선 및 제2센싱선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센싱선의 위치를 파악한다. 신호제어부(700)는 제1구동칩 및 상기 제2구동칩으로 개별적인 센싱스캔신호를 출력하면서, 입력되는 모든 포지션 펄스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는 추가센싱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즉, 추가센싱스캔신호는 개별적인 센싱스캔신호와는 별도로 구동칩에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트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추가센싱스캔신호에 의하여 제1하이구간(Ⅰ)의 중심에 대응하는 클럭신호, 제2하이구간(Ⅱ)의 중심에 대응하는 클럭신호 및 이들의 중심에 대응하는 클럭신호를 카운트 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제3센싱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제어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인접한 구동칩으로부터 연속적인 하이구간을 갖는 포지션 펄스를 수신하면(S100), 신호제어부(700)는 제1하이구간(Ⅰ)으로부터 제1센싱선의 위치를 파악하고, 제2하이구간(Ⅱ)으로부터 제2센싱선의 위치를 파악한다(S110, S120).
그런 다음, 추가센싱스캔신호에 따라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제1센싱선과 제2센싱선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센싱선의 위치를 파악한다(S130).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Y센싱구동칩과 X센싱 구동칩을 별도로 포함하지 않는다. 즉, 센싱구동칩(520, 620)으로 구현되는 센싱구동부는 게이트 구동칩(320) 및 데이터 구동칩(420)에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칩(310) 및 데이터 구동칩(410)은 센싱선(230, 240)에 센싱스캔신호를 인가하고 센싱선(230, 24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하고, 포지션 펄스를 신호제어부(700)로 출력한다.
센싱구동부를 별도의 센싱구동칩으로 형성하지 않고 게이트 구동칩(320) 또는 데이터 구동칩(420)에 실장함으로써 구동칩 제조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키고 표시패널(100)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자극에 효율적으로 반응하고, 감 지율이 증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6)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외부 자극에 대하여 센싱신호를 생성하는 센싱전극과;
    상기 센싱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센싱선과;
    상기 센싱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싱선으로부터 상기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레지스터값에 따라 포지션 펄스를 출력하는 센싱구동부와;
    상기 포지션 펄스와 소정의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극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신호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구동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제어부는 상기 센싱구동부로 센싱스캔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센싱구동부는 상기 센싱스캔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센싱선을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펄스는 자극이 발생한 부분에 대응하는 하이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포지션 펄스에서 상기 하이구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한 값을 제1카운트수 및 상기 하이구간 동안의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한 값을 제2카운트수라고 할 경우, 상기 신호제어부는 다음 식과 같은 제3카운트수에 대응하는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상기 센싱선을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수학식 1] 제3카운트수 = 제1카운트수 + (제2카운트수/2)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포지션 펄스에서 상기 하이구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한 값의 이진코드를 제1코드, 상기 하이구간 동안의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한 값의 이진코드를 제2코드, 상기 제2코드에서 최하위 1개의 코드를 삭제한 이진코드를 제3코드라고 할 경우, 상기 신호제어부는 상기 제1코드와 상기 제3코드의 합에 대응하는 이진코드의 십진값을 연산하고, 상기 십진값으로 카운트된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상기 센싱선을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구동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일 변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구동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칩은 복수의 상기 센싱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구동칩 및 상기 제1구동칩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2구동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위치펄스의 제1하이구간과 상기 제2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위치펄스의 제2하이구간이 연속되는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1하이구간으로부터 파악된 제1센싱선의 위치와 상기 제2하이구간으로부터 파악된 제2센싱선의 위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센싱선의 위치에서 자극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선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자극이 발생한 위치의 Y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Y센싱선과;
    상기 제1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자극이 발생한 위 치의 X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X센싱선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구동부는,
    상기 Y센싱선에 연결되어 있는 Y센싱구동칩과;
    상기 X센싱선에 연결되어 있는 X센싱구동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선 및 상기 게이트선과 교차하는 데이터선과;
    상기 게이트선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칩과;
    상기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구동칩 또는 상기 데이터 구동칩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복수의 화소 및 복수의 센싱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선으로부터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레지스터값에 따라 자극이 발생한 부분에 대응하는 하이구간을 갖는 포지션 펄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포지션 펄스와 소정의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극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값을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소정의 센싱스캔신호 및 소정의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센싱선을 스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신호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레지스터값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적 신호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단계는,
    상기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포지션 펄스에서 상기 하이구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하이구간 동안의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카운트된 상기 클럭신호의 개수를 제1카운트수, 상기 제2단계에서 카운트된 상기 클럭신호의 개수를 제2카운트수라고 할 경우, 다음 식과 같은 제3카운트수를 연산하고, 상기 제3카운트수에 대응하는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상기 센싱선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수학식 1] 제3카운트수 = 제1카운트수 + (제2카운트수/2)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단계는,
    상기 센싱스캔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포지션 펄스에서 상기 하이구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값을 이진코드로 변환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하이구간 동안의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값을 이진코드로 변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변환된 이진코드를 제1코드, 상기 제2단계에서 변환된 이진코드를 제2코드, 상기 제2코드에서 최하위 1개의 코드를 삭제한 이진코드를 제3코드라고 할 경우, 상기 제1코드와 상기 제3코드의 합에 대응하는 이진코드의 십진값을 연산하고, 상기 십진값으로 카운트된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스캔된 상기 센싱선을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상기 센싱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구동칩 및 상기 제1구동칩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2구동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위치펄스의 제1하이구간과 상기 제2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위치펄스의 제2하이구간이 연속되는 경우,
    상기 위치파악단계는,
    상기 제1하이구간으로부터 파악된 제1센싱선의 위치와 상기 제2하이구간으로부터 파악된 제2센싱선의 위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센싱선의 위치에서 자극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70028822A 2007-03-23 2007-03-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5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822A KR101350876B1 (ko) 2007-03-23 2007-03-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929,034 US9063602B2 (en) 2007-03-23 2007-10-30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2008100844122A CN101271212B (zh) 2007-03-23 2008-03-21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822A KR101350876B1 (ko) 2007-03-23 2007-03-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744A true KR20080086744A (ko) 2008-09-26
KR101350876B1 KR101350876B1 (ko) 2014-01-13

Family

ID=3977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822A KR101350876B1 (ko) 2007-03-23 2007-03-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63602B2 (ko)
KR (1) KR101350876B1 (ko)
CN (1) CN1012712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15B1 (ko) * 2007-06-21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2124426A (zh) * 2009-09-27 2011-07-13 智点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器
US8780079B2 (en) * 2011-11-15 2014-07-15 Shenzhen Chi 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ouch panel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position thereof and touch display apparatus
TWI588718B (zh) * 2012-03-28 2017-06-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US20140253459A1 (en) * 2013-03-06 2014-09-1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Chip-on-glass for touch applications
KR20150014679A (ko) * 2013-07-30 2015-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985342B (zh) * 2014-05-09 2017-01-0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CN105573543B (zh) * 2014-11-11 2019-02-12 宏碁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其触控装置的运作方法
KR20160076227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16152808A1 (ja) * 2015-03-24 2016-09-29 株式会社カネカ 透明電極付き基板および透明電極付き基板の製造方法
EP3649811A4 (en) * 2017-07-06 2021-03-31 James R. Seleva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SYNCHRONIZED SIGNALING OF THE POSITIONS OF MOVING PEDESTRIANS 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8305A (en) * 1984-06-18 1986-07-01 Xerox Corporation Depletion mode thin film semiconductor photodetectors
US4786896A (en) * 1985-08-09 1988-11-22 Harte J Richard Input mechanism for word processor
JPH01314324A (ja) * 1988-06-14 1989-12-19 Sony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GB9406702D0 (en) 1994-04-05 1994-05-25 Binstead Ronald P Multiple input proximity detector and touchpad system
JPH08106358A (ja) * 1994-08-10 1996-04-23 Fujitsu Ltd タブレット機能付き液晶表示装置、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及びタブレット機能付き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394187B2 (ja) * 1997-08-08 2003-04-07 シャー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および表示一体型座標入力装置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KR20010061329A (ko) 1999-12-28 2001-07-07 서평원 터치신호의 에러 검출장치 및 방법
GB2398916A (en) * 2003-02-28 2004-09-01 Sharp Kk Display and sensor apparatus
US7612818B2 (en) * 2004-03-29 2009-11-0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Input sensor contain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054343B1 (ko) 2004-06-10 2011-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6079589A (ja) 2004-08-05 2006-03-23 Sanyo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ネル
KR101122233B1 (ko) * 2004-12-23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소자를 내장한 표시 장치
JP3856149B2 (ja) 2005-01-13 2006-12-13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US8243027B2 (en) * 2006-06-09 2012-08-14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1212A (zh) 2008-09-24
KR101350876B1 (ko) 2014-01-13
US9063602B2 (en) 2015-06-23
US20080231606A1 (en) 2008-09-25
CN101271212B (zh)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87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36101B2 (en) Touch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ler,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US923964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138406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8300005B2 (en) Display that implements image displaying and light reception concurrently or alternately
KR102644692B1 (ko) 고해상도 구현을 위한 터치센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073141A1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indicating object
EP2940561A1 (en) Apparatus adapted to provide images,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2605112B1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285921B2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143415A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070033532A (ko)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그 구동 장치 및 감지신호 처리 방법
KR20190081730A (ko) 지문 센싱 서브픽셀,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04318819A (ja) 表示装置および情報端末装置
KR20200057377A (ko) 표시 장치
US6914595B1 (en) Digitizing apparatus
KR101608254B1 (ko) 표시장치
KR102350727B1 (ko) 지문 센서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표시장치
US20130141344A1 (en) Labeling Touch Regions of a Display Device
KR10133725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4013975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90018951A (ko) 센싱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센싱방법
US20150193053A1 (en) Input device
KR20170038307A (ko)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079859A (ko) 서브픽셀,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