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135A -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 Google Patents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135A
KR20080084135A KR1020070025415A KR20070025415A KR20080084135A KR 20080084135 A KR20080084135 A KR 20080084135A KR 1020070025415 A KR1020070025415 A KR 1020070025415A KR 20070025415 A KR20070025415 A KR 20070025415A KR 20080084135 A KR20080084135 A KR 2008008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pip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nnection surfa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권
Original Assignee
(주)씨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씨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07002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4135A/ko
Publication of KR2008008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기존에 설치되어 노후한 하수관 등을 보수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관로 보수관을 조립하는데 소용되는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가 개시된다. 개시된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1)는 보수관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차례로 연결되도록 각 방향의 연결면을 가진다. 그 길이방향의 연결면으로서 측판(102,103)이 구비되는데, 한쪽 측판(102)의 외측 면에는 거기에 볼록한 돌출부(102c)와 이것에 잇대어져 그 외측 면에서 오목한 요홈부(102d)가, 그리고 반대편 측판(103)의 외측 면에는 상기 한쪽 측판의 돌출부와 요홈부에 각각 꼭 맞는 모양의 요홈부(103c)와 돌출부(103d)가 각기 원주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그먼트가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연결될 때, 한 세그먼트 측판의 돌출부(102c)와 요홈부(102d)에 대해 다음 세그먼트 측판의 요홈부(103c)와 돌출부(103d)가 긴밀하게 끼워져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식 관로 보수관의 충분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P1020070025415
보수관, 세그먼트, 길이방향, 원주방향, 돌출부, 요홈부, 수밀성

Description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SEGMENT FOR REHABILITATING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의 표면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한 C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표시한 A-A선상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의 이면을 보인 저면도.
도 5는 도 1에 표시한 D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6은 도 1에 표시한 B-B선상에서 단면도와 그 일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들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그들의 각 연결부분을 종단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부재들의 연결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들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그들의 각 연결부분을 파단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들의 연결상태 단면도와 그 일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기존 설치된 관에 본 발명에 따른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들로 조립된 보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들로 보수관을 조립하는 모 습을 도식화한 작업도.
도 13은 종래의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를 나타낸 단면도와 그 일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종래의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와 그 일부분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세그먼트 2: 관유니트
3: 보수관 4: 기존관
5: 맨홀 6: 세그먼트 연결용 볼트
7: 세그먼트 연결용 너트 9: 관유니트 연결용 볼트
10: 관유니트 연결용 너트 101: 내면판
102,103: 측판 102c,103d: 돌출부
102d,103c: 요홈부 104,105: 단판
104d,105e: 요홈부 104e,104d: 돌출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14098
본 발명은 노후한 하수관 등을 보수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키는 관로 보수관 을 조립하는데 소용되는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segment) 부재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설치되어 노후한 하수관(이하, '기존관'이라 한다) 등을 보수하기 위하여,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관(4) 내에서 그보다 작은 외경으로 설계된 보수관(3)을 조립한 다음, 그 조립된 보수관(3)과 기존관(4)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충전재를 충전, 경화시켜 소위 복합관을 구성하는 기존관 보수방법이 상기 인용된 문헌 등에 의해 알려져 있다.
보수관(3)은 그 관로에 대한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연결되는 세그먼트들로 조립된다. 즉, 기존관(4)으로 통하는 맨홀(5) 내에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S)가 원호모양의 세그먼트를 그 원호의 원주방향(보수관의 원주방향)으로 연결하여 짧은 고리 모양의 관유니트(2)를 조립함과 동시에, 각 세그먼트(1)에 볼트(9)를 고정한 다음, 기존관 내에서 관유니트(2)들을 볼트(9)와 도시하지 않은 너트로 보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함으로써 보수관(3)을 조립하는 것이다.
도 13은, 종래 세그먼트(1)의 폭방향(보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하면이 보수관의 내주면이 되는 내면판(201)의 폭방향 양 측에 측판(202,203)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외측 면 2개소에 V자형 돌출부(202a)와 직사각형 요홈부(203a)가 보수관의 원주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어 있다. 세그먼트(1)는 관유니트(2)들의 연결에 의해, 도 14에 타나낸 바와 같이, 보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것끼리 연결되고, 그때 한 세그먼트(1)의 측판(203)에 형성된 요홈부(203a) 내에 도시하지 않은 시일재가 도포되고, 그 요홈부(203a)에 다음 세그먼트(1)의 측판(202)에 형성된 돌출부(202a)가 끼워져서, 측판(202,203)의 외측 면이 연결면으로서 서로 밀착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써 길이방향의 연결 부분에서의 수밀성을 얻고 있으며, 또한 원주방향의 연결 부분에서도 동일한 구조로써 수밀성을 얻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그먼트(1) 구조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요홈부(203a)에 돌출부(202a)를 끼워서 세그먼트(1)끼리 연결한 상태에서, V자형 돌출부(202a)의 정점부분이 요홈부(203a) 안쪽의 평탄한 면에 선접촉할 뿐이어서 상호간의 접촉 면적이 적고, 그 연결 부분에 틈이 생겨 수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에 있어서, 세그먼트들의 연결 부분에서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는, 보수관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차례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면, 각 방향의 연결면중에서 상기 길이방향의 한쪽 연결면에 이 연결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 이 돌출부에 잇대어 그 연결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부, 그리고 그 길이방향의 반대편 연결면에 그 한쪽 연결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요홈부에 각각 꼭 맞는 모양으로 형성된 요홈부와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의 각 연결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오목부가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연결될 때, 한 세그먼트의 한쪽 연결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와 요홈부에 대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반대편 연결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와 돌출부가 긴밀하게 끼워져 면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는, 상기한 원주방향의 한쪽 연결면에 이 연결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 이 돌출부에 잇대어 그 연결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부, 그리고 그 원주방향의 반대편 연결면에 상기 한쪽 연결면의 돌출부와 요홈부에 각각 꼭 맞는 모양으로 형성된 요홈부와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원주방향의 각 연결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와 요홈부가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고 있고, 상기한 원주방향으로 연결될 때, 한 세그먼트의 상기 한쪽 연결면의 돌출부와 요홈부에 대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반대편 연결면의 요홈부와 돌출부가 긴밀하게 끼워져 면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된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는, 기존에 설치되어 노후한 하수관(이하, '기존관'이라 한다) 등을 보수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보수관을 조립하는데 소용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기존관(4) 안에서 조립되어 일차적으로 고리 모양의 관유니트(2)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 세그먼트(1)는 그 관유니트(2)를 원주방향으로 예컨대 5등분한 정도의 크기에 해당한다. 즉, 기존관 내에서, 세그먼트(1) 5개를 원주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하여 하나의 관유니트(2)를 조성 할 수 있고, 그 조성된 관유니트(2) 다수를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하여 소망의 보수관(3)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세그먼트(1)는, 내면판(101), 측판(102,103), 단판(端板; 104,105) 및 각기 2매씩의 보강판(106,107)을 바람직하게는, 투명, 반투명 혹은 불투명한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는 기법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투명한 플라스틱으로는, 염화비닐, ABS, 상품명인 듀러스터폴리머 등이 사용되고, 반투명 플라스틱으로는 PVC, 폴리에틸렌 등이 사용되며, 불투명 플라스틱으로서는 PVC, 폴리에스테르, ABS,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사용된다.
내면판(101)은, 일정한 폭을 가진 판으로 소정각도, 예를 들면 72ㅀ 정도의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아랫면(상기 원호의 안쪽면)이 관유니트(2)의 내주면, 즉 보수관의 내주면이 된다. 또한, 내면판(101) 원호의 원주방향은 보수관의 원주방향이 되고, 내면판(101)의 폭방향은 보수관의 길이방향이 된다. 내면판(101)의 원주방향 양측에 있는 단부에는 각각 직사각형의 개구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01a)는 원주방향으로 인접하여 연결될 다음 세그먼트(1)와의 볼트(6)(도 8참조) 체결작업을 내측에서 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형성되었으며, 그 체결작업 후에는 도시하지 않은 덮개를 고정하여 막도록 한 것이다.
측판(102,103)은 내면판(101)의 원주방향 양측에 있는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내면판(101) 원호의 바깥쪽을 향해 세워져 있다. 측판(102,103) 각각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관유니트(2)끼리 연결하기 위한 볼트(9)를 관통시키는 볼트관통구멍(102a,103a)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개소, 예컨대 본 실시예의 경우 14곳에 형성되어 있다. 각 볼트관통구멍은 볼트(9)의 머리나 너트(10)의 그것보다 약간 크다.
측판(102,103)의 외측 면은, 뒤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관유니트(2)의 길이방향 연결을 위해, 그 길이방향으로 인접하여 연결될 관유니트(2)에 조립되어진 다른 세그먼트(1)의 그것과 접하는 길이방향의 각 연결면으로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길이방향의 한쪽(도면에서 왼쪽)에 있는 측판(102)의 외측 면 하단부에는, 외측 면에서 돌출한 돌출부(102c)와 이것에 잇대어져 그 외측 면에서 오목한 요홈부(10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대편(도면에서 오른쪽) 측판(103)의 외측 면 하단부에는, 그 외측 면에서 오목한 요홈부(103c)와 이것에 잇대어져 외측 면에서 돌출한 돌출부(103d)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각각 내면판(101)의 원주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그 측판(102,103)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하게 형성된 것이다.
한쪽 측판(102)의 돌출부(102c)는 그 돌출 방향에 따른 단면이 사다리꼴로서 선단으로 갈수록 그 선단의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그 돌출 방향을 따라 도면에서의 상측면과 하측면이 경사지고, 그 선단측 면이 측판의 판면과 나란한(도면에서 수직한) 평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측판(102)의 요홈부(102d)는 그 홈 방향을 따라 도면에서의 상측면이 돌출부(102c)의 하측면에 잇대어져 있다. 그리고 그 홈 방향을 따라 단면 모양이 대략 "
Figure 112007020876756-PAT00001
"의 모양으로서, 그 홈 방향의 안쪽면이 상측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것이다.
반대편 측판(103)의 요홈부(103c)는 상기 한쪽 측판(102)의 돌출부(102c)에 꼭 맞는 형상, 즉 틈이 없는 면접촉 상태로 긴밀하게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돌출부(103d)는 상기 한쪽 측판(102)의 요홈부(102d)에 꼭 맞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쪽 측판의 돌출부(102c)와 요홈부(102d)에 대응하여, 반대편 측판의 요홈부(103c) 홈 방향을 따라 도면에서의 하측면에 돌출부(103d)의 돌출 방향을 따라 도면에서의 상측면이 잇대어져 있다.
단판(104,105)은, 내면판(101)의 원주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그 내면판의 폭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내면판(101)의 원호 바깥쪽을 향해 세워져 있다. 단판(104,105)에는 원주방향으로 인접하여 연결될 다음 세그먼트(1)와의 연결을 위한 볼트(6, 도 8 참조)를 관통시키기 위한 볼트관통구멍(104a,105a)이 수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단판(104,105)의 각 외측 면은 원주방향으로 인접하여 연결될 다음 세그먼트(1)와 서로 맞닿는 원주방향의 연결면이 된다. 도 7의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판(104)의 외측 면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그 외측 면에서 V자형으로 오목한 요홈부(104c)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것의 하단부에는 외측 면에서 오목한 요홈부(104d)와 그 외측 면에서 돌출한 돌출부(104e)가 상하로 잇대어 형성되어 있다. 반대편에 있는 단판(105)의 외측 면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외측 면에서 V자형으로 돌출한 돌출부(105c)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것의 하단부에는 외측 면에서 돌출한 돌출부(105d)와 그 외측 면에서 오목한 요홈부(105e)가 상하로 잇대어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단판(104,105)의 폭방향(길이방향)을 따라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것이다.
단판(105)의 돌출부(105d)와 요홈부(105e)의 형상은 측판(102)의 돌출부(102c)와 요홈부(102d)에 각각 대응된다. 즉, 돌출부(105d)는 그 돌출방향에 따른 단면 모양이 옆 방향 사다리꼴이며, 선단측으로 갈수록 도면에서의 상하의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그 돌출 방향을 따라 상측면과 하측면이 경사지고, 선단면이 수직한(판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홈부(105e)는 그 홈 방향을 따라 도면에서 상측면이 돌출부(105d)의 하측면에 잇대어져 있고, 홈 방향의 안쪽면이 도면에서 상측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단판(104)의 요홈부(104d)는 돌출부(105d)에 꼭 맞고, 또 돌출부(104e)는 요홈부(105e)에 꼭 맞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05d)와 요홈부(105e)에 대응하여, 요홈부(104d)의 홈 방향을 따라 도면에서 하측면에 돌출부(104e)의 돌출 방향을 따라 상측면이 잇대어져 있다. 또한, 요홈부(104c)와 돌출부(105c)의 형상도 일치한다.
보강판(106,107)은, 세그먼트(1) 전체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면판(101) 표면(원호의 외측 면)의 측판(102,103) 내측에서 내면판(101) 원호의 외측을 향해 세워져 있다. 보강판(106,107)에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관유니트(2)끼리 연결하기 위한 볼트(9, 도 9 참조)를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볼트관통구멍(106a)과 절결부(107a)가 측판(102,103)의 볼트관통구멍(102a,103a)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볼트관통구멍(106a)의 크기는 볼트(9)의 축부분 직경보다 약간 크고, 볼트(9)의 머리나 너트(10)의 그것보다는 작게 되어 있다.
측판(102,103)의 안쪽면과 보강판(106,107)의 양측면(보강판(107) 한쪽은 편 면뿐임)에는, 각각의 변형을 막기 위해 옆쪽으로 뻗은 복수의 작은 직각삼각형의 리브(102b,103b,106b,107b)들이 인접하는 볼트관통구멍(102a,103a,106a) 및 절결부(107a)의 각 사이에 서로 엇갈리게 되어, 그 저변이 내면판(10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5참조).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1)를 앞에 서술된 도 12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하여 관유니트(2)를 조립할 수 있고, 그 관유니트(2)를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함으로서 소망의 보수관(3)을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의 연결 방법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기에 앞서, 도 9에 나타난 관유니트(2) 연결용의 볼트(9)를 세그먼트(1)에 고정시킨다. 물론, 이 고정은 원주방향으로의 연결 후에 해도 된다.
볼트(9)의 고정에는, 먼저 볼트(9)를 세그먼트(1) 측판(102,103)의 한쪽, 예를 들어 측판(102)의 볼트관통구멍(102a)으로 삽입하여, 보강판(106,107)의 볼트관통구멍(106a) 및 절결부(107a)와 측판(103)의 볼트관통구멍(103a)으로 관통시키고, 도 9와 같이, 볼트(9)의 머리가 측판(102)쪽 보강판(106)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시킨다. 그리고 측판(10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볼트(9)의 선단측에 너트(10)를 체결하여, 측판(102)쪽 보강판(106)에 맞닿는 위치까지 조이고, 원통 모양의 위치결정부재(19)를 볼트(9) 선단측에 관통시켜서 측판(103)쪽 보강판(106)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함으로써 볼트(9)를 고정시킨다. 위치결정부재(19)는 볼트(9)를 볼트관통구멍(103a)과 동심으로 위치결정시키는 동시에, 후술되는 바와 같 이 연결되는 관유니트(2)끼리 볼트관통구멍(102a,103a)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볼트(9)의 고정 개소는 볼트관통구멍(102a) 수의 절반 이하로 하여, 볼트관통구멍 1개 내지 복수개 간격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볼트(9)의 길이는 측판(103)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길이가 세그먼트(1)의 폭(측판(102) 외측 면에서 측판(103) 외측 면까지)보다 약간 짧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세그먼트(1)에 볼트(9)를 고정한 다음, 도 7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그먼트(1)를 원주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한다. 즉, 먼저 도 7에서 왼쪽 세그먼트(1) 단판(105)의 돌출부(105c,105d) 및 요홈부(105e)를 각각 오른쪽 세그먼트(1) 단판(104)의 요홈부(104c,104d) 및 돌출부(104e)에 끼워서 단판(104,105)의 외측 면끼리 밀착시킨다. 이때, 그 요홈부(104c,104d) 및 요홈부(105e)의 안쪽면에 도시하지 않은 시일재를 미리 도포하여 두는 것이다.
다음,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볼트(6)를 오른쪽 세그먼트(1) 내면판(101)의 개구부(101a)로 집어넣어서 단판(104,105)의 볼트관통구멍(104a,105a)으로 삽입하고, 왼쪽 세그먼트(1)의 개구부(101a)로부터 너트(7)를 넣어서 볼트(6)에 나사결합시켜 단판(105)에 체결함으로써 세그먼트(1,1)끼리 원주방향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세그먼트(1)를 원주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함으로써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유니트(2)가 조립되는 것이다.
다음, 관유니트(2)끼리의 연결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행한다. 예를 들면 도 9에서 왼쪽 관유니트(2)를 오른쪽에 이미 보수관(3)의 일부로서 조립 되어 있는 관유니트(2)에 연결하는 데는, 먼저 오른쪽 관유니트(2)의 각 세그먼트(1) 측판(103)의 외측 면으로 돌출해 있는 볼트(9)를 왼쪽 관유니트(2) 세그먼트(1)의 볼트(9)가 고정되지 않은 부분의 측판(102)과 보강판(106,107)의 볼트관통구멍(102a,106a) 및 절결부(107a)로 관통시켜, 위치 결정부재(19)를 볼트관통구멍(102a)에 삽입시키도록 하고, 왼쪽 관유니트(2)의 세그먼트(1) 측판(102)의 외측 면을 오른쪽 관유니트(2)의 세그먼트(1) 측판(103) 외측 면으로 눌러서 도 10과 같이 측판(102)의 돌출부(102c)와 요홈부(102d)를 측판(103)의 요홈부(103c)와 돌출부(103d)에 끼워서 측판(102,103)의 외측 면끼리 밀착시킨다. 또한 그 전에 도시하지 않은 시일재를 요홈부(102d,103c)의 안쪽면에 도포하여 둔다. 여기에서, 도 9의 오른쪽 관유니트(2)의 세그먼트(1)로부터 돌출한 볼트(9)의 선단부는 왼쪽 관유니트(2)의 세그먼트(1) 측판(103) 안쪽 근방에 이르므로, 볼트관통구멍(103a)에서 너트(10)를 볼트(9) 선단에 나사결합시켜 측판(103)에 인접하는 보강판(106)에 체결함으로써 왼쪽 관유니트(2)가 오른쪽 관유니트(2)에 고정 연결되어 보수관(3) 일부로서 조립되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세그먼트(1)끼리 각각 관유니트(2)의 일부로서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도 10과 같이 측판(102)의 돌출부(102c)와 요홈부(102d)를 측판(103)의 요홈부(103c)와 돌출부(103d)에 끼울 때, 돌출부(102c)와 요홈부(103c)의 형상이 일치하고 있고, 요홈부(102d)와 돌출부(103d)의 형상도 일치하고 있으므로, 돌출부(102c)와 요홈부(102d)를 요홈부(103c)와 돌출부(103d)에 대해 긴밀하게(틈이 없게) 면접촉시켜 끼울 수 있다. 게다가 돌출부(102c)와 요홈부(102d) 및 요홈부(103c)와 돌출부(103d)는 잇대어져 있고, 양자를 합친 형상이 얽혀 있으므로, 면접촉하는 면적이 부분적으로 커지고, 결합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 연결 부분의 수밀성을 향상시켜, 충분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길이방향 연결시에, 볼트(9)의 체결력에 의해, 돌출부(103d)에 대하여 돌출부(102c)의 경사진 하측면에서 아래로 향하는 힘이 가해지지만, 요홈부(102d)의 경사진 안쪽면에서 위로 향하는 힘이 가해져 상쇄되므로, 돌출부(103d)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주방향으로의 연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도 7에서 도 8과 같이, 단판(105)의 돌출부(105c,105d) 및 요홈부(105e)를 각각 단판(104)의 요홈부(104c,104d) 및 돌출부(104e)에 끼울 때, 상호 끼워지는 형상이 일치하고 있으므로, 긴밀하게 면접촉시켜 끼울 수 있고, 게다가 돌출부(105d)와 요홈부(105e), 및 요홈부(104d)와 돌출부(104e) 부분에서는 면접촉하는 면적이 부분적으로 커지게 되어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주방향의 연결부분에 대해서도 수밀성을 향상시켜, 충분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돌출부(104e)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102c,103d,104e,105d) 및 요홈부(102d,103c,104d,105e)의 형상은, 각 측면이 평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네모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그 적어도 일부분의 측면이 만곡된 둥그런 모양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측판(102) 혹은 단판(105)에 형성된 돌출부(102c 혹은 105d)는, 돌출부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상하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돌출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상측면 및/또는 하측면을 각각 수평면으로도 할 수 있고, 이것들의 돌출부(102c,105d)와 끼워지는 요홈부(103c,104d)를 그것과 긴밀하게 면접촉하는 면을 갖는 요홈부로도 형성할 수 있다.
측판(103) 혹은 단판(104)에 형성된 돌출부(103d 혹은 104e)는, 돌출부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상측면이 아래쪽으로 경사지고, 또한 돌출부의 선단면이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지만, 이것들의 상측면 및/또는 선단면을 수평면 혹은 수직면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것들의 돌출부(103d,104e)와 끼워지는 요홈부(102d,105e)를 그것과 긴밀하게 면접촉하는 면을 갖는 요홈부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측판(102,103)에 형성되는 돌출부(102c,103d)와 이것들의 돌출부와 끼워지는 요홈부(103c,102d), 그리고 단판(104,105)에 형성되는 돌출부(104e,105d)와 이것들의 돌출부에 끼워지는 요홈부(105e,104d)는, 각각 세그먼트 아래 부분에 형성되어 있지만, 그 이외, 예를 들면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들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때에, 어느 한 세그먼트의 길이방향의 한쪽 연결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요홈부에 대하여 다른 세그먼트의 반대편 연결면에 형성된 요홈부와 돌출부를 긴밀하게 면접촉하는 상태로 끼울 수 있는 동시에, 돌출부와 요홈부가 연속한 형상으로 뒤얽혀 있으므로 접촉 면적이 부분적으로 커져서 강하게 결합되므로, 길이방향 연결 부분에서의 충분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원주방향으로의 연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 연결 부분에서의 충분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노후한 관을 보수하기 위한 보수관을 조립하기 위한 세그먼트로서, 보수관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차례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면, 각 방향의 연결면중에서 상기 길이방향의 한쪽 연결면에 이 연결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 이 돌출부에 잇대어 그 연결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부, 그리고 그 길이방향의 반대편 연결면에 그 한쪽 연결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요홈부에 각각 꼭 맞는 모양으로 형성된 요홈부와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의 각 연결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오목부가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연결될 때, 한 세그먼트의 한쪽 연결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와 요홈부에 대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반대편 연결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와 돌출부가 긴밀하게 끼워져 면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원주방향의 한쪽 연결면에 이 연결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 이 돌출부에 잇대어 그 연결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부, 그리고 그 원주방향의 반대편 연결면에 상기 한쪽 연결면의 돌출부와 요홈부에 각각 꼭 맞는 모양으로 형성된 요홈부와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원주방향의 각 연결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와 요홈부가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고 있고, 상기한 원주방향으로 연결될 때, 한 세그먼트의 상기 한쪽 연결면의 돌출부와 요홈부에 대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반대편 연결면의 요홈부와 돌출부가 긴밀하게 끼워져 면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3. 노후한 관을 보수하기 위한 보수관을 조립하기 위한 세그먼트로서, 보수관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차례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면, 각 방향의 연결면중에서 상기 원주방향의 한쪽 연결면에 이 연결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 이 돌출부에 잇대어 그 연결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부, 그리고 그 원주방향의 반대편 연결면에 그 한쪽 연결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요홈부에 각각 꼭 맞는 모양으로 형성된 요홈부와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원주방향의 각 연결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오목부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원주방향으로 연결될 때, 한 세그먼트의 한쪽 연결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와 요홈부에 대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반대편 연결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와 돌출부가 긴밀하게 끼워져 면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한쪽 면이 상기 보수관의 내주면으로 되는 내면판, 이 내면판의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나란히 설치된 측판이 구비되어 있고, 그 양측 측판의 각 외측 면이 상기 길이방향의 한쪽 연결면과 반대편 연결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한쪽 면이 상기 보수관의 내주면으로 되는 내면판, 이 내면판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나란히 설치된 단판이 구 비되어 있고, 그 양측 단판의 각 외측 면이 상기 원주방향의 한쪽 연결면과 반대편 연결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6. 청구항 1 내지 5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한쪽 연결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돌출 방향에 대한 한쪽 측면에, 그 연결면에 형성된 요홈부의 홈 방향에 대한 한쪽 측면이 잇대어져 있고, 상기 반대편 연결면에 형성된 요홈부의 홈 방향에 대한 한쪽 측면이 그 연결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돌출 방향에 대한 한쪽 측면이 잇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쪽 연결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그 돌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선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그 돌출 방향에 대한 측면이 경사진 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 한쪽 연결면의 요홈부의 홈 방향으로의 안쪽면이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에 잇대어진 그 요홈부의 일측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KR1020070025415A 2007-03-15 2007-03-15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KR20080084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415A KR20080084135A (ko) 2007-03-15 2007-03-15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415A KR20080084135A (ko) 2007-03-15 2007-03-15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135A true KR20080084135A (ko) 2008-09-19

Family

ID=4002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415A KR20080084135A (ko) 2007-03-15 2007-03-15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41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503A (ko) * 2014-12-02 2016-06-10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관 갱생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503A (ko) * 2014-12-02 2016-06-10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관 갱생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4552B2 (ja) 管路施設修復用の更生管
KR20060046606A (ko) 갱생관 및 갱생관 부설방법
KR20030064276A (ko) 유로시설 수복용 블록체 및 유로시설 수복공법
US7506895B2 (en) Segment for a rehabilitating pipe
KR20050094334A (ko) 갱생관 어셈블리용 세그먼트
KR101634142B1 (ko) 세그먼트의 연결 방법 및 연결구
US7322382B2 (en) Segment for a rehabilitating pipe
KR20080084135A (ko)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KR102140110B1 (ko) 탐지기능과 이탈방지기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관 구조
WO2006046477A1 (ja) 更生管及び該更生管を用いた管路施設修復工法
JP4503489B2 (ja) 既設管の補修構造
JP4549268B2 (ja) 既設管の補修構造
JP5101937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WO2016088168A1 (ja) 既設管の更生工法
JP2007032762A (ja) 埋設管及びその敷設方法
JP4541946B2 (ja) 既設管路の補修構造
US20240035608A1 (en) Pipe rehabilitation construction method
WO2022107457A1 (ja) 管更生工法
US20210025532A1 (en) Method for linking segments for rehabilitation pipe and linking tool
KR20090011767A (ko) 갱생관용 세그먼트부재 및 그 세그먼트부재를 이용한갱생관
JPH09166255A (ja) パイプ用継手
KR100696447B1 (ko) 이중벽관 연결소켓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011777A (ko) 갱생관 및 그 갱생관을 이용한 관로시설 수복공법
KR100764842B1 (ko) 하수관 연결용 커플링 연결구
KR200356963Y1 (ko) 이중벽관 연결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