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302A - 연속 노에서의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노에서의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302A
KR20080081302A KR1020087015855A KR20087015855A KR20080081302A KR 20080081302 A KR20080081302 A KR 20080081302A KR 1020087015855 A KR1020087015855 A KR 1020087015855A KR 20087015855 A KR20087015855 A KR 20087015855A KR 20080081302 A KR20080081302 A KR 2008008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support
heating
conveying
convey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560B1 (ko
Inventor
로베르트 베호프
페타 부이텐후이스
알폰스 헤트얀스
마르셀 하르트게르스
톤 반 에크
마르셀 야스파스 포크스
Original Assignee
뵈스트알피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뵈스트알피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뵈스트알피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8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4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ails
    • C21D9/0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ails with diminished tendency to become wav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unnel Furnaces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노에서의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구동장치(12)를 가진 제1 운반장치는 부품을 정확한 위치에서 수용하고, 상기 부품을 가열하기 위해 노(3)를 통하여 운반하며, 제2 운반장치(20)는 가열 후 제1 운반장치로부터 상기 부품을 미리 결정된 인도지점 또는 인도 영역에서 넘겨받고, 상승한 속도로 상기 부품을 노(3) 밖으로 운반하며, 추후 가공을 위한 그 밖의 인수지점에서 정확한 위치에 배치한다. 부품은 상이한 운반장치들을 위한 맞물림 수단을 가진 지지체 상에 설치되어 있다.
연속 노, 선형 구동장치, 지지체, 맞물림 수단, 운반장치

Description

연속 노에서의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STEEL COMPONENTS IN A CONTINUOUS FURNACE}
본 발명은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철 부품을 이른바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 가열하고, 이에 이어 급랭에 의해 경화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이른바 경화 노가 공지되어 있고, 이 경화 노 내에 부품이 배치되며 상응하여 가열되고, 그 후 부품은 제거된다.
90 년대 초 이래로 예컨대 샤프트 또는 베어링 같은 강철로 된 기계 부품뿐만 아니라 자동차 바디 부품은 경화된다. 이 방법을 프레스 경화 강철(PHS)이라고도 한다. 이 기술에서는, 고강도의 바디 부품을 실현하기 위해 강철 금속괴는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 가열되며, 이에 이어 금형 내에서 변형되고, 이때 동시에 급랭되며, 따라서 공지의 경화 효과가 생긴다. 이 경화 방법에 의해 바디 재료의 강도는 예컨대 1.500 MPa까지 상승한다. 재료의 허용 가능한 강도에 의해, 바디의 변함없는 무게에서 현대적인 차량의 사고 안전도를 현저히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까지는 이와 같은 강철 금속괴를 가열하기 위해 연속 노 및 특히 롤러 노가 사용되었고, 이 롤러 노에서 금속괴 또는 예비 성형된 부품이 가열되었다. 이 온도에서는 이미 부품의 표면에서 현저한 산화(산화 작용)가 생기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화 또는 가열 노는 일반적으로 보호 가스와 함께 가동된다.
게다가, 금속괴 또는 예비 성형된 부품을 알루미늄으로 된 코팅 또는 대략 각기 절반씩 알루미늄 또는 아연으로 구성된 합금과 함께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코팅에서는 경우에 따라 보호 가스 대기가 누출될 수 있다.
바디 부품을 가열하기 위해 현재 롤러 노 같은 연속 노 및 회전 허스 노(rotary hearth furnace)가 사용되며, 이 회전 허스 노에서 부품은 보다 긴 시간 동안 머문다. 그 후, 바디 부품은 프레스 쪽으로 운반되고, 그곳에서 원하는 형태가 된다.
기존의 노는, 운반 시스템이 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고장이 매우 잘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운반 시스템의 정비는 노가 냉각되어야만 할 수 있다. 또한, 바디 부품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노를 통한 운반 동안 위치 이동이 생길 수 있으며,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거되어 프레스 쪽으로 운반될 수 있기 위해서는 부품은 노를 떠날 때 우선 새로이 배치되어야만 한다. 이 경우, 질서 정연하게 그리고 깨끗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품은 추후 배치 동안 급히 냉각되는 단점이 있다. 이 열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부품은 노 내에서 처음부터 프레스 경화에 필요한 온도보다 현저히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 프레스 경화를 위해 필요한 온도는 일반적으로 930℃이다.
모든 부품이 필요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야 하는데, 부품의 일부는 나중에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이한 온도를 갖는 부품들이 성형 공구 내에 도달한다. 그러나, 온도가 상이하면 경화가 일관성이 없이 이루어지고, 이는 편차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출발 온도가 상이한 부품들이 경우에 따라 상이한 최종 온도를 가짐을 의미하며, 따라서 지체가 생길 수 있다.
게다가, 통상적인 노에서는 무게가 60 kg을 초과하는 제품 지지체가 이용되는 단점이 있다. 이 지지체는 바디 부품의 가열 후 노 밖으로 진출하고, 노의 외부에서 입구로 되돌아가고, 그 후 다시 새로운 부품이 이 지지체 상에 놓일 수 있다. 진출, 되돌아감 및 진입시 지지체는 200℃까지 잃는다. 이 열손실은 노에서 다시 보상되어야만 하는데, 즉 노는 바디 부품뿐만 아니라 지지체도 같이 가열해야만 하며, 따라서 에너지가 추가로 요구된다.
공지의 롤러 허스 노(roller hearth furnace)에 있어서의 그 밖의 단점은, 롤러 허스 노는 그의 넓이에 있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롤러는 세라믹 또는 열에 저항하는 강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의 너무 큰 넓이에서 열 영향으로 인해 본 경우에서 허용될 수 없는 휨이 생긴다. 이 이외에, 이는 롤러에서 부하 교환 손상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철 부품, 특히 프레스 경화를 겪어야 하는 강철 박판 부품이 빠르고 효과적이며 적절한 비용으로 가열될 수 있고, 제품 질이 균일해지며, 에너지가 절약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는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5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는 이에 종속된 청구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경화 노에는 제1 운반장치가 장착되고, 이 제1 운반장치는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노를 통과하는 한정된 수용부를 통해 부품을 완전히 정확한 장소 및 위치에서 노를 통하여 운반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부품을 노 출구에서 제2 운반장치에 넘겨주며, 상기 제2 운반장치는 부품을 제1 운반장치로부터 정확한 위치에서 인도받고, 높은 속도로 노 밖으로 정확한 장소 및 위치에서 안내하며, 프레스 경화가 일어나는 프레스 또는 금형 내에 배치하기 위하여 적절한 인수 장치의 인도 스테이션에서 넘겨 준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운반장치가 존재하며, 상기 제3 운반장치는 부품을 매우 높은 속도로 노 입구 영역에서 바깥으로부터 노 내로 도입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제1 운반장치에 또는 상기 제1 운반장치의 수용부에 인도한다.
게다가, 본 방법에 따르면, 제2 및/또는 제3 운반장치는 경화되어야 하는 부품을 각기 하나의 노 입구 및 노 출구 칸막이식 문을 통하여 안내하며, 상기 칸막이식 문은 부품이 통과되는 순간에만 열리고, 그 후 즉시 닫힌다. 노 내로의 공급 또는 노 밖으로의 인출의 높은 속도에 의해 칸막이식 문은 매우 짧은 기간 동안만 열려 있으므로 에너지 손실이 적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경화되어야 하는 부품, 특히 금속괴 또는 예비 성형된 또는 이미 완전 성형된 부품은 각 부품을 위한 특수한 지지체 상에 제공되고, 운반 장치와 함께 운반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체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본래의 노에서 안내되고, 대부분은 노의 외부에서 안내되며, 이때 노를 통한 장소 정확한 운반을 위해서는 상응하는 부합 수용수단이 존재하고, 이 수용수단과 제1 운반장치, 제2 운반장치 및 경우에 따라 제 3 운반장치의 수용 수단이 맞물릴 수 있다. 지지체와 운반장치의 맞물림 또는 커플링은 노의 외부에서 행해진다. 지지체의 안내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 진입 속도 및 노 밖으로의 진출 속도 및 부품의 정확한 장소에서의 운반에 의해 부품에서 열손실이 적고, 그리고 이로 인해 선행기술에서처럼 그리 높게 가열될 필요가 없다는 점이 유리하다. 정확한 장소에서의 운반 및 보다 적은 열손실로 인해 모든 부품은 프레스 방법에서 거의 동일한 온도를 가지며, 이로 인해 균일한 재료 특성이 전체 제조에 걸쳐 실현된다.
지지체가 일부만 가열되고, 또한 칸막이식 문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손실 열로서 노 밖으로 나가는 열은 적게 유지된다. 이로 인해, 방법은 에너지가 최적화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노 공간을 구비하는 노이다. 노 공간 바닥에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슬롯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노 바닥의 아래에는 운반 공간 또는 운반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운반 영역에서, 노 공간의 아래에는 하나 이상의 운반 체인 또는 운반 벨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운반 체인 또는 운반 벨트는 슬롯의 아래에, 체인의 상부 스트랜드는 슬롯을 따라 움직이고 체인의 하부 스트랜드는 되돌아오도록 위치한다.
특히 대류(convection), 복사(radiation) 또는 공기의 유입에 의해 슬롯 밖으로 나가는 열을 저지하기 위해,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밀봉(sealing)을 구비한다. 상기 밀봉은 가장 간단한 경우에는 브러시(brush)형 바로 구성되며, 상기 바는 PTFE 및/또는 금속 섬유 또는 유리 섬유 및/또는 세라믹 섬유와 같은 내열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된 응축된 섬유와 함께, 슬롯을 한정하는 에지로부터 슬롯 내로 돌출한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롯(42)은 상기 슬롯을 한정하는 양 평면으로부터 테플론 립으로 밀봉되고, 이 테플론 립은 바람직하게는 오버랩 영역을 구비한다. 이 이외에, 슬롯을 따라 복수의 금속 박판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금속 박판은 노의 바닥벽에 대해 평행으로 및 슬롯에 대해 수직으로 스프링으로 고정되어(spring-loaded) 슬롯의 위로 선회된다. 브러시 섬유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립 및 스프링으로 고정된 금속 박판은 계속 움직이는 지지체의 지지 기둥으로부터 옆으로 눌려지고 또는 선회되고, 지지 기둥의 통과 후 다시 슬롯의 영역 내에 도달하며, 따라서 열 및/또는 침투 공기에 대해 신뢰성 있는 격벽이 실현된다. 상기 격벽은 에어 커튼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
체인의 편향 스타(star) 또는 가이드 롤러는 노 입구의 및/또는 칸막이식 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체인에는 등간격으로 돌기 또는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체인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면 체인 또는 체인들의 편향 스타 또는 가이드 롤러의 영역에는, 노 입구 쪽으로 또는 노 출구 쪽으로 체인의 운동 방향과 동렬로 배치된 선형 구동장치들이 배치되어 있다. 선형 구동장치는 각기 하나의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는 체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돌기 또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 돌기 또는 돌출부는 마찬가지로 노 바닥 쪽으로 또는 위쪽을 향하게 형성되어 있고, 하지만 이때 선형 구동장치의 돌기 또는 돌출부는 진출 및 진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돌기는 공압식으로 또는 유압식으로 가동될 수 있다. 부품의 운반을 위해 지지체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지지체는 예컨대 평평한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에, 이 평평한 플레이트형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선형 구동장치 및/또는 운반 체인의 돌기와 맞물릴 수 있다. 지지체는 옆으로 u 프로파일 내로 또는 상응하는 미끄럼 레일 내로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내로 안내되며, 따라서 상기 지지체는 이 미끄럼 레일 또는 u 프로파일을 따라 그의 아랫면과 맞물리는 돌기에 의해 밀어진다. 체인으로부터 위쪽으로 및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지지 암(arm)과 함께, 상기 지지체는 노의 슬롯을 관통하고, 이때, 노 내로 돌출하는 지지 암의 자유단에는 경화 대상 부품의 수용 요소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부품을 위한 수용 요소는 부품 형태에 따라 교체될 수 있고, 예컨대 납작한 윤곽을 구비하며, 상기 윤곽 상에 부품이 놓이고, 그러나 이미 구멍 패턴이 도입되어 있는 부품에서는 분기된 지지 암만을 구비하며, 이 지지 암은 아래로부터 각 구멍과 맞물리고, 그리고 이로써 부품을 효율적으로 가열하게 한다. 노 또는 수용 요소 및 지지 기둥은, 가열되어야 하는 부품이 모든 노 벽들에서 200 mm의 최소 간격을 갖도록 치수화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사 및 대류에 의한 슬롯 밖으로의 열손실을 적게 유지하기 위해 노의 바닥 벽은 다른 벽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200 mm의 노 내의 벽두께에서, 바닥은 300 mm의 두께를 갖는다.
예컨대, 지지체의 플레이트형 부품은 아래쪽에 돌기 또는 돌출부를 위한 3 개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들은 운반 방향으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체를 상응하는 노 내로 도입하기 위해 지지체는 완전 자동으로 선형 구동장치의 제1 돌기 상에 올려지며, 상기 선형 구동장치는 지지체를 노 내로 밀어 넣어야만 한다. 선형 구동장치는, 상기 선형 구동장치가 특정한 시점에 지지체 또는 플레이트를 u 프로파일 또는 미끄럼 레일 내로 노 입구 칸막이식 문 상에 밀도록 제어되며, 상기 노 입구 칸막이식 문은 예컨대 공지의 방식으로 잇달아 배치된 2개의 문으로 구성된다.
지지체가 노 또는 노 입구의 특정 영역을 통과하고, 이때 이 영역은 예컨대 미끄럼 레일 내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 확인되면 제1 노 문이 열리며, 그리고 이 영역의 통과 후 닫힌다. 지지체는 이때, 상기 지지체가 그 밖의 영역을 지나갈 때까지 중간 칸막이식 문을 통하여 안내되며, 상기 지지체는 내부 칸막이식 문을 열게 한다.
그 후, 상기 칸막이식 문은 마찬가지로 열리고, 선형 구동장치는 지지체를 또한 이 영역을 통해 민다. 이때, 냉각 제어가 실행되어 운반 체인의 상응하는 돌기 또는 돌출부가 운반 스타 둘레로 위쪽으로 안내되면 지지체가 운반 체인의 제 1 편향 스타 또는 제 1 편향 롤러의 영역에 배치된다.
그 후, 이 돌기 또는 돌출부는 중앙 오목부와 맞물리고, 이때 이 시간 동안 이미 선형 구동장치는 그 돌출부를 내렸고, 그의 출발 위치로 되돌아가며 이동되고, 그리고 그곳에서 다음번 지지체를 수용하고 운반한다. 그 후, 지지체는 미끄럼 레일 또는 u 프로파일을 따라 옆으로 노를 통하여 안내되어 달려지고, 이때 상기 지지체는 운반 체인의 돌출부에 의해 밀려나간다.
운반 체인의 끝에서, 운반 체인의 운반 돌출부는 지지체 내의 오목부 밖에 도달하고, 이때 시간 제어되어 가능한 한 동시에 돌기는 운반 방향으로 플레이트의 및 이와 연결된 선형 구동장치의 제3 전방 오목부와 맞물리며, 지지체를 노 밖으로 잡아당긴다. 이 경우, 지지체는 여전히 u 프로파일 또는 측면 안내 레일 내로 안내되고, 이때 노의 출구에서의 노 칸막이식 문의 제어는 입구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행해진다.
물론, 노 칸막이식 문은 하나의 유일한 문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노의 입구 및 출구에서의 선형 구동장치는 지지체 및 이 위에 놓인 부품을 매우 강하게 가속화하고, 그리고 매우 높은 속도로 노 밖으로 안내할 수 있다.
지지체가 정확한 장소 및 위치에서 u 프로파일 또는 미끄럼 레일 내로 안내되고, 그리고 또한 선형 구동장치 및 운반 체인의 운반 돌기 또는 돌출부가 통과 위치를 정확히 결정함으로써, 지지체 및 부품은 정확한 위치에서 노 밖에 도달한다. 부품 또는 지지체가 노 밖에 도달하자마자, 부품은 제거되어 프레스 내로 안내될 수 있다. 지지체는 상응하는 안내 레일에서 제거되고, 자동화되어 노의 아래 또는 위에서 노 입구쪽으로 되돌아가며, 그리고 그곳에서 다시 레일 내로 삽입되고, 선형 구동장치와 함께 운반된다.
하나의 운반 체인 대신에,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2 개의 운반 체인이 동시적인 구동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체를 넘겨주기 위해 또는 넘겨받기 위해, 각 선형 구동장치는 체인들 사이에서 달릴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러그 같은 맞물림 수단은 서로 평행으로 각기 하나의 체인 상에서 달리며, 따라서 2개의 맞물림 수단이 존재하고, 중앙 영역의 양쪽에서 지지체 또는 부합하는 맞물림 수단에서 맞물린다. 선형 구동장치는 그 맞물림 수단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체인 러그를 위한 맞물림 수단들 사이의 지지체의 횡방향 중앙 영역에서의 하나의 유일한 맞물림 수단과 맞물린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장치에서도 지지체는 노에서 제거되고, 노 입구에서 다시 노 내로 도입되기는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시스템에서는 지지체의 적은 일부만이 가열되고, 따라서 열손실이 선행기술에서보다 현저히 적다.
본 발명은 운반 체인, 슬롯 및 올려 놓여 있는 하나의 유일한 부품을 위해 설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 개의 또는 여러 개의 운반 체인을 평행으로 노 아래에서 달릴 수 있게 하고, 각 운반 체인을 위해 슬롯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몇 배로 증가된 상응하는 수량의 부품을 노를 통하여 운반하고, 그 후 프레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면에서는, 운반 체인 및 선형 구동장치를 그들의 운동과 관련하여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고, 예컨대 큰 개별부품을 2개 또는 여러 개의 지지체 상에 놓고, 노를 통하여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술된 운반 시스템 이외에, 물론 다른 운반 시스템도 가능하다. 즉, 운반 체인은 지지체의 아래에서 및 지지체의 측면 영역에서 운반 또는 미끄럼 레일 또는 u 프로파일에 인접하여 상응하는 오목부와 맞물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체는 예컨대 종방향 중간에 양 선형 구동장치를 위한 단지 하나의 오목부만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운반 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평행으로 배치된 2개의 돌출부 또는 돌기를 갖는 하나의 체인 대신에 운동이 동시에 행해지는 2 개의 운반 체인도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전한 인도를 보장하기 위해 선형 구동장치는 양 운반 스타 또는 편향 롤러들 사이의 영역 내로 운반할 수 있다.
이 이외에, 지지체의 플레이트형 부품이 옆으로 u 프로파일을 넘어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돌출부와 체인의 돌기 또는 돌출부가 맞물린다. 이를 위해, 그 후 플레이트형 부품의 측면 영역에서의 안내 레일은 열린 바닥을 가진 u 프로파일로서 또는 단지 l 모양 지지 레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레일은 돌출하는 에지와 함께 플레이트의 측면 안내를 안전하게 하나, 상기 에지는 플레이트를 위쪽으로 덮지 않는다.
이 이외에, 노의 아래에서 플레이트형 부품을 움직이는 운반 체인의 돌기는 측면 돌출부의 뒤와 맞물리거나 또는 아래쪽 오목부와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단지 플레이트의 후방 횡방향 에지의 뒤에서 올라오며, 후방 횡방향 에지에서 맞물리고, 그리고 이로써 플레이트를 노를 통하여 미는 것이 가능하다. 장비 기술적인 이유로 인해 플레이트의 리턴 운반이 필요한 경우, 이것 또한 문제가 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되돌아 가는 체인의 돌기는 그 후 상응하여 전방 횡방향 에지에서 맞물리기 때문이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위해 단지 중요한 것은, 지지체가 선형 구동장치와 함께 그리고 비교적 높은 속도로 정확한 위치에서 노 내로 운반되며, 상응하는 운반장치와 함께 정확한 위치에서 노를 통하여 운반되고, 그리고 노의 끝에서 선형 구동장치와 함께 높은 속도로 정확한 위치에서 노 밖으로 운반되며,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서 인도 스테이션에 배치되는 것이다. 게다가, 전체 운반장치는 비임계 온도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 운반 시스템이 노의 내부가 아니라 노 바닥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부품을 수용하는 작은 지지체만이 바닥쪽 슬롯을 통해 노 내로 돌출되지만 지지체의 나머지는 노의 외부에서 안내된다.
선형 구동장치는 통상적인 스핀들 구동장치, 공압식 구동장치 또는 유압식 구동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사용을 위해 결정적인 것은 위치 및 경로 정확한 제어이다. 따라서, 선형 구동장치는 맞물림 수단 대신에 단부쪽 그리퍼(gripper)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그리퍼는 지지체를 에지에서 잡는다.
체인 상의 돌기 또는 운반 돌출부는 예컨대 200 mm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운반 방향으로 임의의 다른 간격도 가능하며, 상기 간격은 상응하는 지지체에 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인 대신에 물론 톱니 벨트, V 벨트 또는 모든 다른 공지의 벨트 유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부 스트랜드 및 하부 스트랜드와 함께 안내되는 체인, 벨트 또는 그 밖의 구동장치 대신에, 노 바닥의 영역에서의 운반을 스핀들 구동장치와 함께, 공압식 또는 유압식 구동장치와 함께 실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물론, 노의 상이한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운반하는 개별 선형 구동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유도가열로 인해 가열이 빨리 진행되거나 또는 특히 많은 개수가 달성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적은 크기로 인해 매우 빨리 가열되는 판형이 가열되어야 하는 유닛에서 사용가능하다.
지지체 또는 부품의 이와 같이 빠른 진입 시간 또는 진출 시간은 롤러 허스 노를 가진 선행기술에서는 달성될 수 없다. 한편으론 롤러 허스 노와 함께 내부로의 빠른 운반을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운반 롤러는 가속화의 발생을 위한 너무 낮은 마찰저항을 가지기 때문이다. 둘째로, 롤러 운반의 내부에서 상이한 롤러 속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이로 인해, 부품이 보다 빠른 롤러로부터 보다 느린 롤러 상에 도달하는 영역에서 부품은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옮겨질 것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가 보다 느린 롤러로부터 보다 빠른 롤러로의 인도점에서 행해진다. 원칙적으로, 롤러 허스 노에서는 실제로 위치 및 장소 정확한 운반이 가능하지 않음이 또한 지적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은 이러한 정확한 위치에서의 운반은 중요한데, 왜냐하면 가열의 끝에서 제 2 운반장치로부터 부품은 일반적으로 로봇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 서보 구동된 선형 구동장치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선형 구동장치와 또는 부품의 위치와 로봇 사이의 제어 연결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로봇에 의해 '일시적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넓이에 있어 한정된 롤러 허스 노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노는 임의의 넓이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수량의 슬롯을 제공하고, 또한 노 공간에 들어서기 위해 아래로부터 접근 홀 또는 맨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분 절단된 측면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운반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제 1 운반장치와 제 2 운반장치 사이의 인도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는 아래로부터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지지체이고,
도 5는 선형 구동장치의 부합하는 맞물림 수단을 위한 맞물림 수단의 영역에서 부품 지지체의 종방향 단면이고,
도 6은 체인 또는 벨트 구동장치의 부합하는 맞물림 수단을 위한 맞물림 수단을 도시하는, 도 5에 따른 지지체의 부분 절단도이다.
부품(2)을 가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운반장치(4)를 가진 연 속 노(3)를 포함한다. 노(3)는 노 입구(5), 가열 구역(6) 및 노 출구(7)를 포함한다. 노 입구(5)와 노 출구(7)는 각기 하나의 칸막이식 문(8, 9)에 의해 가열구역(6)과 분리되어 있다. 게다가, 노 입구(5)와 노 출구(7)는 바깥쪽으로 대기에 대해 각기 하나의 노 문(10, 11)을 갖고 분리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 노 문(10, 11)만 또는 칸막이식 문(8, 9)만 존재할 수 있다.
본래의 노(3)의 아래에 운반장치(4)가 배치되어 있다. 운반장치(4)는 적어도 노(3)의 아래에 그리고 노(3)의 가열 구역(6)의 아래에 제 1 운반장치로서 벨트 또는 체인 운반장치(12)를 포함한다. 벨트 또는 체인 운반장치(12)는 상부 스트랜드(13) 및 하부 스트랜드(1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체인(12a) 또는 벨트(12a)를 구비하며, 이때 상부 스트랜드(13) 및 하부 스트랜드(14)는 상응하는 벨트 디스크 또는 톱니 또는 체인 휠(15, 16)을 둘러싸도록 안내되어 있다. 벨트 또는 체인 운반장치(12)는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특히 2개의 평행한 체인 또는 벨트(12a, 12b)를 구비하며, 이때 각 운반장치(12a, 12b)를 위해 각기 하나의 하부 스트랜드 및 상부 스트랜드(13a, 13b, 14a, 14b)가 존재한다. 상응하는 톱니휠 및/또는 벨트 디스크(15a, 15b, 16a, 16b)는 바람직하게는 각기 하나의 공통의 구동 샤프트(17)(도 3)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커플링된다. 체인(12a, 12b)의 상부 스트랜드(13a, 13b)와 하부 스트랜드(14a, 14b), 또는 체인 또는 벨트(12a, 12b) 자체는 바깥쪽으로, 즉 휠(15, 16)로부터 멀리 향하는 운반 러그, 운반 돌출부 또는 운반 돌기(18)를 구비한다. 상기 운반 러그, 돌기 또는 돌출부는 체인(12) 또는 벨트(1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맞물림 수단(18)으로서 사용된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선형(linear) 운반장치(20)가 제2 운반장치로서 존재한다. 선형 운반장치(20)는 유압식으로, 공압식으로, 전자기식으로 또는 스핀들 구동장치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선형 구동장치이다. 이때 선형 구동장치(20)의 운동 방향(화살표 21)은 운반장치(4)의 추진 방향(22)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는 반면, 운반장치(4)는 작동시 단지 한 방향으로만 작동하고, 선형 구동장치(20) 또는 선형 구동장치(20)의 운동 방향은 반대가 된다.
선형 구동장치(20)는 러그(18)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는 또는 움직일 수 있는 러그 또는 돌기(24)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는 진출 및 진입 가능하게 선형 운반장치(20)에 배치되어 있다. 선형 구동장치(20)는 축(17)의 위에서 및 양 체인들(12a, 12b) 또는 벨트들(12a, 12b) 또는 벨트 디스크들(16a, 16b) 사이에서 움직여질 수 있다.
게다가, 제1 선형 구동장치(20)에 마주하여 놓여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 제2 선형 구동장치(25)가 제3 운반장치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형 구동장치(20)는 바람직하게는 노 출구 영역(7)의 아래에 놓여 있고 선형 구동장치(25)는 노 입구 영역(5)의 아래에 놓여 있다. 선형 구동장치(20, 25)는 바람직하게는 서보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경화 대상 부품을 노(3)를 통하여 안내하기 위해 지지 요소(30)가 존재한다. 지지 요소(30)는 평평한 플레이트형 베이스(31)를 구비하며, 이 베이스는 운동 방향(22)으로 전방 에지(32), 후방 에지(33) 및 오른쪽 및 왼쪽 측면 에지(34)를 구 비한다. 이 이외에, 상기 베이스는 아랫면(35) 및 윗면(36)을 구비한다. 중앙 가운데에서 베이스(31)의 윗면(36)에는 지지 기둥(37)이 존재한다. 지지 기둥(37)은 베이스(31)로부터 멀리 뻗어나간다.
종방향 에지(34)와 함께 및 상기 종방향 에지를 에워싸면서 베이스(31)는 안내 레일(40) 내로 안내되어 있으며, 이 안내 레일은 노 입구로부터 노 출구까지 연장된다. 이때, 안내 레일(40)은 운반장치(4, 20, 25)의 위에서 및 노 바닥(41)의 아래에서 연장되며, 베이스(31)를 운동 방향(22)에 대해 수직 방향에서뿐만 아니라 수평 횡방향으로도 안내한다. 그의 측면 에지(34)에서, 지지 요소는 돌출하는 지지 롤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지지 롤러는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는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안내 레일 내로 굴러가며 안내된다. 이 이외에, 안내 롤러 또는 안내 구가 존재할 수 있고, 이 안내 롤러 또는 안내 구는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수직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운반장치에 대해 가로질러 안내하게 한다.
노 바닥(41)에는 슬롯(42)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슬롯은 노 입구로부터 노 출구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롯(42)을 통하여 지지 기둥(37)이 안내되며, 이 지지 기둥은 일부분이 노 공간(6) 내로 연장된다. 지지 기둥(37)의 자유단(42)에는 공작물(2) 또는 가열되어야 하는 부품(2)을 위한 홀딩 장치(4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슬롯은 가능한 한 가늘게 형성되어 있으나, 지지 기둥(37)에 대해 간격을 갖는다.
지지 요소(30)는 장치(4, 20, 25)를 통한 노 통과 방향(22)의 방향으로의 운 반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31)는 그의 아랫면(35)에 운반장치(4)의 체인(들)(12) 또는 벨트(12)의 부합하는 맞물림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맞물림 수단(50)을 구비한다. 게다가, 상기 베이스는 아래쪽에서 그의 아랫면에 맞물림 수단(51)을 구비하며, 이 맞물림 수단은 선형 구동장치(20, 25)의 맞물림 수단과 결합한다.
운반장치(4)의 맞물림 수단이 체인으로부터 돌출하는 러그, 돌기 또는 돌출부(18)에 관한 것이면 맞물림 수단(50)은 평행한 그루브(groove)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그루브의 간격은 추진 방향(22)을 따라 평행으로 달리는 운반장치(4)의 러그(18)의 간격에 일치한다. 그루브(50)는 베이스(31)의 후방 정면(33)에서 열려 있고, 전방 에지(32)에 대해 인접하여 각기 하나의 그루브 바닥(52)을 갖고 닫힌다.
선형 구동장치의 맞물림 수단이 돌출하며 진출 가능한 러그 또는 돌출부(24)이면, 베이스(31)의 바닥(35)에서의 상응하는 맞물림 참가 수단은 상응하는 형상 끼워맞춤식 오목부(recess, 51)이다.
정확하고 확실한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오목부(51)는 예컨대 원뿔형으로 또는 절두 원뿔형으로(frusto-conical) 형성되고, 선형 구동장치(20, 25)의 상응하는 러그(24)는, 상기 러그가 진출 후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오목부(51) 안에 들어맞고, 상응하는 절두 원뿔 벽(53)에 의해 형상 끼워맞춤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배치도 이루어지도록 부합하는 형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방식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노 입구(5) 앞에서, 지지체(30)는 그의 베이스(31)와 함께 레일(40) 내로 삽입된다. 지지 기둥(37)의 자유단(42)에는 - 이미 갖춰져 있지 않은 한 - 부품(2)을 위한 지지 요소(43)가 설치된다. 이어서, 부품(2)은 정확한 위치에서 올려진다. 부품(2)이 이미 예비 성형된 부품(2)에 관한 것이면, 지지 요소(43)는, 상기 지지 요소가 부품(2)의 특정한 윤곽 부분에서 맞물거나 또는 상응하는 핀을 갖고 예컨대 이미 제공된 구멍을 통해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 후, 러그(24)를 가진 선형 구동장치(25)는 지지체(30)의 베이스(31)의 개구부(51)의 아래로 들어간다. 러그(24)는 유압식으로, 공압식으로 또는 전자기식으로 오목부 또는 맞물림 수단(51) 내로 진입된다. 이에 이어, 선형 구동장치(25)는 부품(2)을 가진 지지체(30)를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제1 노 문(10), 노 입구 구역(5) 및 경우에 따라 입구 구역(5)을 가열 구역(6)과 분리하는 제2 문을 통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주행 운동은 러그(24)를 가진 선형 구동장치(25)가 체인휠(16a, 16b) 또는 벨트 디스크(16a, 16b)의 영역에 그리고 축(17)의 위에 위치하면 끝난다. 선형 구동장치(25)의 러그(24)는 이때 아래쪽으로 내려지므로 선형 구동장치는 이 영역 밖으로 다시 노 앞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형 구동장치는 동일한 방식으로 다음번 지지체(30)를 운반한다. 그루브가 제공됨으로써, 인접한 러그들(18) 사이의 세로 간격보다 긴 지지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휠(15a, 15b)의 영역에 위치하는 지지체(30)는 이때, 러그(18)가 운반장치(4)의 또는 체인 또는 벨트의 각 상부 스트랜드(13)의 외부둘레에서 휠(15, 16) 의 순환에 복종하며 휠(15)에서 높이 이동하고 뒤로부터 그루브(50) 내로 진입함으로써 계속 나아간다. 러그(18)가 그루브 벽 또는 그루브 바닥(52)에 밀착하는 순간, 지지체는 체인에 의해 가열 구역(6)을 통하여 운반된다. 인접한 러그들(18) 사이의 세로 간격보다 긴 그루브의 제공에 의해, 그루브 세로 간격보다 긴 지지 요소(3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구동장치와 체인 및 벨트 구동장치의 운동 과정은 동시에 작동된다. 즉, 제1 선형 구동장치는 높은 속도로 운반하고, 인도 영역에서는 부드럽게 제동하고, 그 후, 체인 또는 벨트 구동장치의 러그가 갑작스럽게 당겨지는 일이 없이 맞물리고, 계속 운반한다. 즉, 선형 구동장치는 맞물림이 해제되기까지 체인 속도가 작은 경로를 달린다. 인도지점에서는, 방법에 따라, 선형 구동장치는 체인과 함께 이동하고, 지지체와 맞물리고, 그런 후 운반 속도를 높이는 반면, 체인 구동장치의 러그는 가라앉는다.
가열 구역(6)의 끝에서 이미 선형 구동장치(20)는 지지체(30)를 기다리고 있으며, 이때 선형 구동장치(20)의 러그(24)는 지지체(30)가 이 위에 위치하는 순간 개구부(51) 내로 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마찬가지로 각 체인(12) 또는 벨트(12)의 편향점에서 시작되며, 따라서 러그는 그루브(50) 밖으로 나오는 반면 러그(24)는 지지체(30) 내로 개구부(51) 내로 진입한다. 선형 구동장치(20)는 이때 지지체(30)를 가열 구역 또는 가열 구역(6) 밖으로 문(9)을 통하여, 출구 구역(7)을 통하여 그리고 제2 문(11)을 통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바깥쪽으로 당길 수 있다.
이 경우 선형 구동장치(20, 25)의 운반 속도는 운반장치(4)의 운반 속도보다 아주 현저히 높을 수 있다. 특히, 예컨대 10 m/sec의 운반 속도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칸막이식 문(8, 9) 및 문(10, 11)은, 선형 구동장치의 운동이 상응하는 시간에 문이 개방되고 지지체가 통과한 후 문을 즉시 다시 닫도록 트리거링된다. 이로 인해, 비용을 줄이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노의 작동방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달리, 운반은 운반장치(4)에 의해 이미 노 입구 영역(5)에서 시작하고 노 출구 영역(7)에서 끝날 수 있으며, 그러면 노 입구 영역(5)과 가열 구역(6)과 노 출구 구역(7) 사이에는 부품의 통과시 개방 및 폐쇄에 대해 상응하여 트리거링되는 문들이 존재하거나, 또는 문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상응하는 따뜻한 또는 차가운 에어 커튼 또는 공기 흡입부에 의해 제조되는 칸막이식 문만 존재한다.
지지체(30)가 부품(2)과 함께 노 밖으로 완전히 빠져나온 후, 부품은 제거되고, 계속 가공된다. 지지체도 마찬가지로 레일 밖으로 꺼내지고, 적합한 리턴 장치를 통해 노 입구쪽으로 다시 되돌아가며, 그리고 그곳에서 다시 레일 내로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서, 지지 요소 또는 부품 지지체(30)는 대부분 노의 외부에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부품 지지체의 보다 적은 부분만이 가열되며, 그리고 이로써 에너지 손실은 노의 외부에서의 부품 지지체의 냉각에 의해 최소화된다.
전체 운반장치가 노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손상, 정비 또는 이와 유사한 경우에 노를 제거할 필요 없이 운반장치에 접근하여 손상을 제거하거나 또는 정비를 할 수 있다. 이는 또한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운반장치(4, 20, 21) 또는 지지체(30)의 각 맞물림 수단이 러그 또는 돌기일 필요는 없으며, 추진을 초래할 수 있는 서로 부합하는 형태들이라면 어떤 방식이라도 적합하다. 이 이외에, 맞물림 수단이 지지체의 바닥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운반장치(4, 20, 25)의 러그 또는 그 밖의 수단은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체의 전방 또는 후방 횡방향 에지들에서 맞물릴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이 수용 요소로부터 떨어져 노 바닥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바닥 위에서 이동하는 클리어링 블레이드를 가진 특별한 지지체가 안내 레일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 부품을 노 밖으로 운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0)

  1. 가열 대상 강철 부품이 노(3)를 통하여 안내되고, 상기 노(3)에서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며, 이때 노(3)를 통하여 부품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4)가 존재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에 있어서,
    제1 운반장치(12)는 부품을 정확한 위치에서 수용하고, 상기 부품을 가열하기 위해 노(3)을 통하여 운반하며, 제2 운반장치(20)는 가열 후 상기 제 1 운반장치로부터 상기 부품을 미리 결정된 인도지점 또는 인도 영역에서 넘겨받고, 증가된 속도로 노(3) 밖으로 운반하며, 추후 가공을 위한 인수지점에서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3 운반장치(25)가 존재하며, 상기 제3 운반장치는 부품(2)을 가열 전 노(3)의 앞에서 정확한 위치에서 수용하고, 정확한 장소에서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서 부품(2)을 높은 속도로 노(3) 내로 운반하며, 미리 결정된 인도지점 또는 인도 영역에서 부품(2)을 정확한 위치 및 장소에서 제1 운반장치(12)에 넘겨주고, 상기 제1 운반장치는 상기 부품을 보다 낮은 속도로 계속 노(3)를 통하여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되어야 하는 부품(2)은 지지체(30) 상에 올려지고, 상기 지지체(30)는 제1 맞물림 수단(50, 51)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맞물림 수단과 상기 운반장치의 제2 맞물림 수단은 운반시 지지체(30)의 정확한 위치 및 장소가 언제나 안전하게 되도록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2)은 복사 및/또는 대류 및/또는 유도 및/또는 극초단파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5. 강철 부품을 가열하기 위한 노(3) 및 상기 노(3)를 통하여 부품을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운반장치(4)를 구비하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강철 부품의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운반장치(4)는 하나 이상의 제1 운반장치(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운반장치는 노(3)의 가열 구역(6)에 또는 상기 가열 구역 내에 배치되어 있고, 가열 동안 부품의 운반을 위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운반장치(20)는 상기 제1 운반장치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운반 방향으로 노(3)의 길이를 넘어 뻗어나가며, 따라서 부품은 상기 제2 운반장치(20)에 의해 노(3) 밖으로 운반될 수 있고, 이때 운반장치(4)는 노(3)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30)에서의 부합하는 맞물림 수단(50, 51)과 맞물리는 맞물림 수단(18, 24)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요소는 노(3)의 외부에서 운반장치(4)에 의해 운반되어 그 위치 및 장소에 고정되고, 이때 지지 요소(3)는 노 벽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며, 부품(2)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43)를 노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3 운반장치(25)가 제공되며, 상기 제3 운반장치는 운반 방향으로 노(3)의 상류 영역으로부터 제1 운반장치(12)까지 부품(2)이 상기 제3 운반장치에 의해 노(3) 내로 운반될 수 있도록 뻗어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노(3)에서 가열되어야 하는 부품(2)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장치(30)는 제1 영역(31)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안내 장치(40) 내에서 노 입구로부터 노 출구까지 수직으로 및 운반 방향에 대해 수평 횡방향으로 안내되어 있고, 상기 지지 장치(30)에는 또한 제2 및 제3 운반장치(20, 25)의 부합하는 맞물림 수단(24)을 위한 맞물림 수단(51)이 존재하며, 또한 제1 운반장치(12)의 부합하는 맞물림 수단(18)을 위한 맞물림 수단(50)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30)의 일부 섹션(37)에 의해 관통되는 노 벽에는 종방향 슬롯이 운반 방향으로 존재하며, 상기 종방향 슬롯은 지지체(30)의 일부 섹션(37)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 벽에서의 슬롯(42)은 적절한 밀봉 장치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봉되며, 따라서 바깥으로부터 공기가 노(3) 내로 침투하지 않고, 복사 및/또는 대류에 의한 열손실이 바깥쪽으로 저지되며, 이때 상기 밀봉 장치는 상기 슬롯을 따라 종방향으로 뻗어 있고 슬롯 에지로부터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는 플라스틱 밀봉립 및/또는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브러시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 요소는 금속 및/또는 세라믹 및/또는 유리 및/또는 플라스틱 섬유를 구비하며, 상기 플라스틱 섬유는 응축되어 있고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며 및/또는 금속 박판이 존재하고, 상기 금속 박판은 슬롯(42)이 제공되어 있는 노 벽면에 대해 평행하게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슬롯(42)에 대해 수직으로 슬롯(42)의 위로 선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슬롯(42)을 통하여 이동하는 지지체는 상기 밀봉 장치를 상기 슬롯의 영역 밖으로 선회하고, 상기 밀봉 장치는 지지체의 통과 후 슬롯(42) 내로 다시 탄성적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열 장치를 위한 노에 있어서,
    상기 노(3)는 노 입구로부터 노 출구까지 노 종축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는 연속적인 슬롯을 하나 이상의 벽에 구비하고 있어, 노(3)의 외부에서 움직이며 슬롯을 관통하는 지지체와 함께 가열 대상 부품을 노(3)를 통하여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부품의 가열 장치.
KR1020087015855A 2005-12-02 2006-11-09 연속 노에서의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및 장치 KR101052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7742.3 2005-12-02
DE102005057742A DE102005057742B3 (de) 2005-12-02 2005-12-0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heizen von Stahlbauteilen
PCT/EP2006/010754 WO2007062734A1 (de) 2005-12-02 2006-11-0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heizen von stahlbauteilen in einem durchlaufof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302A true KR20080081302A (ko) 2008-09-09
KR101052560B1 KR101052560B1 (ko) 2011-08-01

Family

ID=3774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855A KR101052560B1 (ko) 2005-12-02 2006-11-09 연속 노에서의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153051B2 (ko)
EP (1) EP1954997B1 (ko)
JP (1) JP2009517544A (ko)
KR (1) KR101052560B1 (ko)
CN (1) CN101322002B (ko)
BR (1) BRPI0620589B1 (ko)
CA (1) CA2631576C (ko)
DE (1) DE102005057742B3 (ko)
ES (1) ES2407154T3 (ko)
WO (1) WO2007062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4967B4 (de) * 2009-01-14 2010-12-02 Schwartz, Ev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richtung von erwärmten Werkstücken
DE102009051157B4 (de) 2009-10-29 2011-09-2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ammerofen mit Übertemperatur
DE102010019215A1 (de) * 2010-05-04 2011-11-10 Bsn Thermprozesstechnik Gmbh Vorrichtung zur Vorwärmung von Blechen aus Stahl zum Presshärten
JP5769593B2 (ja) * 2011-11-16 2015-08-26 中外炉工業株式会社 炉内搬送装置及び加熱炉
DE102011056444C5 (de) * 2011-12-14 2015-10-15 Voestalpine Metal Form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artiellen Härten von Blechbauteilen
DE102012104537A1 (de) * 2012-05-25 2013-11-2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Ofenanlag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r Ofenanlage
DE102013104229B3 (de) * 2013-04-25 2014-10-16 N. Bättenhausen Industrielle Wärme- und Elektrotechnik GmbH Vorrichtung zum Presshärten von Bauteilen
DE102013007852B4 (de) * 2013-05-08 2016-06-02 Sew-Eurodrive Gmbh & Co Kg Anlage mit Gliederkette
DE102015006098A1 (de) 2015-05-09 2016-11-10 Eisenmann Se Temperiervorrichtung zum Temperieren von Werkstücken
CN110091025A (zh) * 2019-06-25 2019-08-06 唐山铁路工务器材制造有限公司 连续钎焊设备及方法
EP4314683A1 (de) * 2021-04-16 2024-02-07 Aerospace Transmission Technologies GmbH Steu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nlage und eines prozesses zur wärmebehandlung von metallischen werkstücke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612A (en) * 1934-01-08 1935-07-02 American Manganese Steel Co Furnace carrier
DE971874C (de) * 1942-08-08 1959-04-09 Benno Schilde Maschb Ag Austragsvorrichtung fuer Durchlauf-Gluehoefen u. dgl.
GB937079A (en) * 1961-11-17 1963-09-18 Greer J W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veyors
DE1508420B1 (de) * 1966-10-24 1970-10-01 Wilhelm Krause Einrichtung zum Transportieren metallischer Werkstuecke in Waermoefen
US3830479A (en) * 1972-08-23 1974-08-20 M Knowles Heat treatment furnace
US4033715A (en) * 1976-01-12 1977-07-05 Btu Engineering Corporation Heat processing system
US4289944A (en) * 1977-12-19 1981-09-15 Reese Thurston F Apparatus for reheating, storing and conveying cast bars
FR2534676B1 (fr) * 1982-10-15 1987-11-27 Europ Composants Electron Four a passage comportant un dispositif d'etancheite
JPS6237313A (ja) * 1985-08-09 1987-02-18 Chugai Ro Kogyo Kaisha Ltd ウオ−キングビ−ム型鋼片加熱炉
JPH0247440Y2 (ko) * 1986-07-09 1990-12-13
DE4420467B8 (de) * 1994-06-13 2004-08-26 Loi Thermprocess Gmbh Erwärmungsofen für Werkstücke
DE69616631T2 (de) * 1995-04-13 2002-07-25 Patherm S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ärmebehandlung von Werkstücken
GB2332503B (en) * 1997-12-19 2000-10-25 Jack Beaumont Kilns Limited Tunnel kiln
JP2000128346A (ja) * 1998-08-20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浮揚装置、浮揚搬送装置および熱処理装置
EP1080800B1 (de) 1999-08-06 2005-01-12 Muhr und Bender KG Verfahren zum flexiblen Walzen eines Metallbandes
EP1074317B1 (de) 1999-08-06 2005-02-16 Muhr und Bender KG Verfahren zum flexiblen Walzen eines Metallbandes
GB0018616D0 (en) * 2000-07-28 2000-09-13 Dormer Tools Sheffield Ltd Method and means for heat treating cutting tools
DE10041280C2 (de) 2000-08-22 2003-03-06 Muhr & Bender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lexiblen Walzen eines Metallbandes
JP2003329372A (ja) * 2002-05-14 2003-11-19 Nittetsu Elex Co Ltd 連続処理設備
JP2004286426A (ja) * 2003-03-06 2004-10-14 Ngk Insulators Ltd 低顕熱容量搬送機構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熱処理炉及び熱処理方法
JP2005241138A (ja) * 2004-02-26 2005-09-08 Hirano Giken Kogyo Kk 連続加熱炉
JP2006132921A (ja) * 2004-10-04 2006-05-25 Ngk Insulators Ltd 連続式熱処理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53051B2 (en) 2012-04-10
CA2631576A1 (en) 2007-06-07
BRPI0620589B1 (pt) 2017-03-28
CN101322002B (zh) 2012-07-18
US20090127753A1 (en) 2009-05-21
WO2007062734A1 (de) 2007-06-07
CA2631576C (en) 2011-03-29
EP1954997B1 (de) 2013-01-09
KR101052560B1 (ko) 2011-08-01
DE102005057742B3 (de) 2007-06-14
JP2009517544A (ja) 2009-04-30
EP1954997A1 (de) 2008-08-13
BRPI0620589A2 (pt) 2011-11-16
ES2407154T3 (es) 2013-06-12
CN101322002A (zh)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560B1 (ko) 연속 노에서의 강철 부품의 가열 방법 및 장치
US3994711A (en) Glass tempering system including oscillating roller furnace
US8529250B2 (en) Method and continuous furnace for heating workpieces
US7842230B2 (en) Continuous carburizing furnace
US4421481A (en) Furnace for heating slabs, billets, rough castings and the like
CN101896295B (zh) 运送装置以及具有该运送装置的热压成形装置
US4012233A (en) Conveyor for containers for carrying objects of glass or similar materials, which objects are to be hardened chemically by surface treatment
JP5769593B2 (ja) 炉内搬送装置及び加熱炉
JP5116339B2 (ja) 連続浸炭炉
US3401789A (en) Conveyor for heat treating chambers
KR900002524B1 (ko) 운반되는 유리판의 국부가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ocally heating conveyed glass sheets)
JP3002060B2 (ja) 熱処理装置
JPH06287630A (ja) 熱処理装置
RU13626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рева стальных деталей
CN110088018B (zh) 用于传送至少一个加热部件的装置
JPS6233716A (ja) 被熱物の出入装置
JPS6128724B2 (ko)
MX2008005988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calentar componentes de acero en un horno continuo
KR102025422B1 (ko) 슬롯형 열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방법
RU2795305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нормализации крупного вагонного литья и закалки с последующим отпуском среднего вагонного литья
US11788164B2 (en) Furnace for partially heating metal components
KR101398782B1 (ko) 연속 열처리 장치
JPH0712463U (ja) 熱処理装置
KR790001197B1 (ko) 판유리의 열처리 방법
SU93176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хлаждени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