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968A -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968A
KR20080076968A KR1020087015085A KR20087015085A KR20080076968A KR 20080076968 A KR20080076968 A KR 20080076968A KR 1020087015085 A KR1020087015085 A KR 1020087015085A KR 20087015085 A KR20087015085 A KR 20087015085A KR 20080076968 A KR20080076968 A KR 20080076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ally substituted
mapk
inhibition
compound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캇 디 씨워트
칼 코센
블라디미르 세레브리아니
Original Assignee
인터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뮨, 인크. filed Critical 인터뮨,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7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e.g. ticlop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61P29/02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without antiinflammat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8Antibacterial agents for lepro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Abstract

본 발명에 이르러, 키나제 p38의 활성 증대와 관련된 다양한 장애를 치료함에 있어서 높은 치료 효과는 p38α에 대해서도 또한 억제 활성을 가진 강력한 p38γ 키나제 억제제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키나제 p38의 활성 증대와 관련된 장애를 가진 대상에게 투여시 원치않는 부작용이 관찰되는 정도로 키나제 p38α의 활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키나제 p38γ 및 키나제 p38α 둘 모두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은, 변형(modification)에 의해 p38γ에 대한 억제 활성이 생기도록 p38α의 억제제를 변형시킴으로써 달성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p38γ 및 p38α에 대한 활성을 가진 화합물이 개시된다. p38γ 및 p38α MAPK를 억제하는 활성 화합물로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SAPK) 시스템을 조절하기 위해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p38γ 및 p38α MAPK를 억제하고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SAPK)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METHOD OF MODULATING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 SYSTEM}
본 발명은 키나제 p38의 활성 증대와 관련된 것들을 비롯한 다양한 섬유성 이상(fibrotic condition)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화합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만성 및 급성 이상이 염증성 반응의 혼란(perturbation)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IL-1, IL-6, IL-8 그리고 TNFα를 비롯한 다수의 사이토카인이 이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염증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이들 사이토카인의 활성은, 일반적으로 p38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SAPK, CSBP 및 RK로도 알려져 있는 MAP 키나제 패밀리의 구성원인 세포 신호전달 경로의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p38의 몇 가지 억제제들, 이를 테면 NPC 31169, SB239063, SB203580, FR-167653 및 피르페니돈(pirfenidone)을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내에서 시험하였으며, 염증성 반응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염증성 폐 섬유증(inflammatory pulmonary fibrosis)과 같은 다양한 염증성 이상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하나의 구체예로,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적어도 2배, 5배 또는 10배 이상의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SAPK,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고,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1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SAPK)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 섬유성 이상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그러한 이상을 가진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및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적어도 2배, 5배 또는 10배 이상의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상기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대상에서 질환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 화합물의 라이브러리(library)를 제공하는 단계;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assay)하는 단계;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적어도 2배, 5배 또는 10배 이상의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적어도 2배, 5배 또는 10배 이상의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1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적어도 2배, 5배 또는 10배 이상의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하나의 구체예로,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μM 내지 약 10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적어도 2배 이상의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SAPK)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 섬유성 이상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그러한 이상을 가진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μM 내지 약 10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적어도 10배 이상의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상기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대상에서 질환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적어도 10배 이상의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적어도 10배 이상의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적어도 10배 이상의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구체예의 일부에서, 화합물은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다른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상기 구체예의 일부에서, 화합물은 하기한 것들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지 않는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01
Figure 112008044372620-PCT00002
Figure 112008044372620-PCT00003
Figure 112008044372620-PCT00004
Figure 112008044372620-PCT00005
Figure 112008044372620-PCT00006
Figure 112008044372620-PCT00007
Figure 112008044372620-PCT00008
Figure 112008044372620-PCT00009
Figure 112008044372620-PCT00010
Figure 112008044372620-PCT00011
Figure 112008044372620-PCT00012
및 피르페니돈(pirfenidone).
또 다른 구체예에서, 하기 I 부류(Genus)의 화학식을 가진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에스테르,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prodrug)이 제공된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13
상기 식에서, R은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 -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구체예로, I 부류의 화합물은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또 다른 구체예는 하기 II 부류의 화학식을 가진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에스테르,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14
상기 식에서, R4는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 -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구체예로, II 부류의 화합물은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또 다른 구체예로, 하기 III 부류의 화학식을 가진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에스테르,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이 제공된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15
상기 식에서, R2는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고,
R3는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구체예로, III 부류의 화합물은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하나의 구체예로, III 부류의 화합물은 1-(5-tert-부틸-2-p-톨릴-2H-피라졸-3-일)-3-[4-(2-모르폴린-4-일-에톡시)나프탈렌-1-일]우레아(BIRB 796)가 아니다.
또 다른 구체예는 하기 IV 부류의 화학식을 가진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에스테르,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16
상기 식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구체예로, IV 부류의 화합물은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하나의 구체예로, IV 부류의 화합물은
Figure 112008044372620-PCT00017
이 아니며, 여기서 X는 N이다.
이들 및 다른 구체예가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비유도된(uninduced) 세포내 콜라겐의 수준을 세포에 투여된 다양한 shRNA-코딩 렌티바이러스 입자를 비롯한 상이한 렌티바이러스 입자의 함수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TGF-β로 유도된 세포내 콜라겐의 수준을 세포에 투여된 다양한 shRNA-코딩 렌티바이러스 입자를 비롯한 상이한 렌티바이러스 입자의 함수로서 나타낸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이르러, 키나제 p38의 활성 증대와 관련된 다양한 장애를 치료함에 있어서 높은 치료 효과는 p38α에 대해서도 또한 억제 활성을 가진 강력한 p38γ 키나제 억제제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키나제 p38의 활성 증대와 관련된 장애를 가진 대상에게 투여시 원치않는 부작용이 관찰되는 정도로 키나제 p38α의 활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키나제 p38γ 및 키나제 p38α 둘 모두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은, 변형(modification)에 의해 p38γ에 대한 억제 활성이 생기도록 p38α의 억제제를 변형시킴으로써 달성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하나의 구체예로, 화합물을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와 접촉시킴으로써 스트레스-활성화 키나제(SAPK)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50 pM 내지 약 1 μM의 범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50 pM 내지 약 200 n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또한 p38γ에 대한 그의 IC50 값보다 적어도 2배 이상의 p38α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낸다.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s)"는 많은 세포성 이벤트(cellular event)의 조절에 관여하는 진화론적으로 보존된 세린/트레오닌 키나제이다. 몇 개의 MAPK 그룹이 포유동물 세포에서 확인되었는데, 이들로는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ERK), p38 및 SAPK/JNK가 포함된다. MAPK는 그들의 특이적인 MAPK 키나제(MAPKKs)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ERK는 MEK1과 MEK2에 의해, p38은 MKK3과 MKK6에 의해, 그리고 SAPK/JNK는 SEK1(MKK4로도 알려짐)과 MKK7(SEK2)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들 MAPKKs는 또한 다양한 MAPKK 키나제(MAPKKKs), 이를 테면 Raf, MLK, MEKK1, TAK1 및 ASK1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도 있다.
MAPK 네트워크는 적어도 12개의 클로닝되고 고도로 보존된 프롤린-지향(directed) 세린-트레오닌 키나제를 포함하며, 이것은 세포 스트레스(산화적 스트레스, DNA 손상, 열 또는 삼투압성 쇼크, 자외선 조사, 허혈성-재관류), 외인성 시약(아니소마이신(anisomycin), Na 아르세니트, 리포다당질(lipopolysaccharide), LPS) 또는 전염증성(proinflammtory) 사이토카인류, TNF-α 및 IL-1β에 의해 활성화되는 경우, 세포질 또는 핵에서 다른 키나제 또는 핵 단백질, 이를 테면 전사 인자를 인산화시키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문헌[Underwood et al. 2001 Prog Respir Res 31:342-345]으로부터의 도 1 참조}.
본원에 사용된 "p38 MAPK"는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패밀리의 구성원으로서, 적어도 4개의 아이소형(isoforms) (α, β, γ, δ)을 포함하며, 이들 중 몇몇은 염증성 반응과 조직 리모델링에 핵심적인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Lee et al. 2000 Immunopharmacol . 47:185-201). 단핵세포와 대식세포에서의 주된 키나제인 p38α 및 p38β는 p38γ(골격근) 또는 p38δ(정소, 췌장, 전립선, 소장, 및 침, 뇌하수체 및 부신)에 비해 더욱 폭넓게 발현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다른 키나제들(MAPKAP K2/3, PRAK, MNK 1/2, MSK1/RLPK, RSK-B), 전사 인자들(ATF2/6, 근세포 인핸서(enhancer) 인자 2, 핵전사 인자-β, CHOP/GADD153, Elk1 및 SAP-IA1) 및 세포질 단백질(스타트민(stathmin))을 비롯한 p38 MAP 키나제의 다수의 기질이 확인되었는데, 이들 중 다수는 생리학적으로 중요하다.
문헌[Jiang, Y. et al. 1996 J Biol Chem 271:17920-17926]은 p38β의 특징을 p38-α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372개-아미노산 단백질로서 보고하고 있다. p38α와 p38β는 모두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류와 환경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p38β는 MAP 키나제 키나제-6(MKK6)에 의해 우선적으로 활성화되며, 전사 인자 2를 우선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문헌[Kumar, S. et al. 1997 Biochem Biophys Res Comm 235:533-538] 및 문헌[Stein, B. et al. 1997 J Biol Chem 272:19509-19517]에는 p38α와 73% 동일한 364개의 아미노산을 가진 p38β의 제2 아이소형인 p-38β2가 보고되어 있다. p38α가 더욱 편재된 조직에서 발현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고된 p38β의 제2 아이소형인 p38β2는 중추신경계(CNS), 심장 및 골격근에서 우선적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보이나, p38β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류와 환경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게다가, 활성화된 전사 인자-2(ATF-2)는 p38α 보다는 p38β2에 대해 더 우수한 기질인 것으로 여겨진다.
p38γ의 확인은 문헌[Li, Z. et al. 1996 Biochem Biophys Res Comm 228:334-340]에 보고되어 있으며, p38δ의 확인은 문헌[Wang, X. et al. 1997 J Biol Chem 272: 23668-23674] 및 문헌[Kumar, S. et al. 1997 Biochem Biophys Res Comm 235:533-538]에 보고되어 있다. 이들 두 p38 아이소형(γ 및 δ)은 그들의 조직발현 패턴, 기질 활용(substrate utilization), 직접 자극과 간접 자극에 대한 반응 및 키나제 억제제에 대한 감수성에 기초하는 MAPK 패밀리의 독특한 아집단(subset)을 나타낸다. p38α 및 β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서로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γ와δ과는 다르다고 여겨진다.
전형적으로, p38 MAP 키나제 경로는 세포 표면 수용체, 이를 테면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케모카인 또는 G 단백질-결합(coupled) 수용체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활성화되며, 이들은 동족(cognate) 수용체와 결합하는 특이적 리간드, 예를 들어 사이토카인류, 케모카인류 또는 리포다당질(LPS)에 의해 활성화되었던 것들이다. 그 결과로서, p38 MAP 키나제는 트레오닌 180과 티로신 182 잔기에서 인산화됨으로써 활성화된다. 활성화후, p38 MAP 키나제는 단백질 키나제를 비롯한 다른 세포내 단백질들을 인산화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세포핵으로 이동할수 있는데, 여기서 그것이 전사 인자들을 인산화시키고 활성화시키는 경우 염증성 반응, 세포 부착 및 단백분해성 분해에 기여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류 및 다른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골수성 계통의 세포, 이를 테면 대식세포와 단핵세포에서, IL-1β와 TNFα 모두가 p38 활성화에 대한 반응으로 전사된다. 이들 및 다른 사이토카인류의 후속적인 전사 및 분비는 인접한 조직에서 그리고 백혈구의 침입을 통해 국소적 또는 전신적 염증성 반응을 개시하게 된다. 이러한 반응은 세포성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의 정상적인 부분이지만, 급성 또는 만성 세포성 스트레스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류의 과량이거나 조절되지 않거나 과량이면서 조절되지 않은 발현을 유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이것은 조직 손상을 유발하여 통증 및 쇠약화를 종종 유발한다.
폐포의 대식세포에서, p38 억제제인 SB203580에 의해 p38 키나제를 억제시키면, 사이토카인 유전자 생성물이 감소된다. 염증성 사이토카인류(TNF-α, IFN-γ, IL-4, IL-5) 및 케모카인류(IL-8, RANTES, 에오탁신(eotaxin))는 만성 기도 염증을 조절하거나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기도 염증의 잠재적인 다수의 매개체의 생성 및 작용은 스트레스-활성화 MAP 키나제 시스템(SAPK) 또는 p38 키나제 캐스케이드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여진다(Underwood et al. 2001 Prog Respir Res 31:342-345). 다수의 환경적 자극에 의해 p38 키나제 경로가 활성화되면, 그의 생성이 번역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고려되어지는 인식된 염증성 매개체의 합성(elaboration)이 일어난다. 추가로, 다양한 염증성 매개체는 p38 MAPK를 활성화시킨 다음 다른 키나제 또는 전사 인자들을 비롯한 MAPK 시스템의 하향 표적(downstream target)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폐내 염증 프로세스의 증폭에 대한 잠재성을 생성시킬 수 있다.
MAP 키나제의 p38 그룹의 하향 기질
p38 α 또는 p38 β의 단백질 키나제 기질: MAP 키나제-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2(MAPKAPK2 또는 M2), MAP 키나제 상호작용 단백질 키나제(MNK1), p38 조절/활성화 키나제(PRAK), 미토겐- 및 스트레스-활성화 키나제(MSK: RSK-B 또는 RLPK).
p38 에 의해 활성화된 전사 인자: 활성화 전사 인자(ATF)-1, 2 및 6, SRF 부속 단백질(accessory protein) 1(Sap 1), CHOP(성장 정지 및 DNA 손상 유도성 유전자 153 또는 GADD153), p53, C/EBPβ, 근세포 증강 인자 2C(MEF2C), MEF2A, MITF1, DDIT3, ELK1, NFAT 및 고이동도(high mobility) 그룹-박스(box) 단백질(HBP1).
p38 에 대한 다른 유형의 기질: cPLA2, Na+/H+ 교환체 아이소형-1, tau, 케라틴 8 및 스타트민.
p38 경로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 c-jun, c-fos, junB, IL-1, TNF, IL-6, IL-8, MCP-1, VCAM-1, iNOS, PPARγ, 시클로옥시게나제(COX)-2, 콜라게나제-1(MMP-1), 콜라게나제-3(MMP-13), HIV-LTR, Fgl-2, 뇌 나트륨이뇨 펩티드(BNP, Brain natriuretic peptide), CD23, CCK, 포스포엔올피루베이트 카르복시-키나제-세포질성, 사이클린 D1, LDL 수용체(Ono et al. 2000 Cellular Signalling 12:1-13).
p38 활성화의 생물학적 결과
p38 및 염증
급성 및 만성 염증은 많은 질환, 이를 테면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COPD) 및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의 발병기전의 중핵이 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p38 경로의 활성화는 하기한 것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1)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류, 이를 테면 IL-1β, TNF-α 및 IL-6의 생성; (2) 병리학적 증상에서 결합 조직의 리모델링을 조절하는 효소, 이를 테면 COX-2의 유도; (3) 산화를 조절하는 세포내 효소, 이를 테면 iNOS의 발현; (4) 부착 단백질, 이를 테면 VCAM-I 및 기타 많은 염증 관련 분자들의 유도. 이들 외에도, p38 경로는 면역 시스템 가운데 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있어서 조절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p38은 GM-CSF, CSF, EPO 및 CD40-유도성 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에 관여할 수 있다.
염증-관련 질환에서 p38 경로의 역할이 몇 가지 동물 모델에서 연구되었다. SB203580에 의한 p38의 억제는 엔도톡신-유도 쇼크의 뮤린(murine) 모델의 치사율을 감소시켰으며, 마우스의 콜라겐-유도 관절염 및 래트의 어쥬반트 관절염의 발생율을 억제하였다. 최근 연구에서는, 더욱 강력한 p38 억제제인 SB220025가 육아종의 혈관 밀도를 용량-의존적으로 현저히 감소시켰음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는 p38 또는 p38 경로의 성분들이 염증성 질환에 대한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p38 및 섬유증
세포외 간질(matrix) 단백질의 비조절(Uncontrolled) 및/또는 이상(aberrant) 침착은 섬유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특발성 폐 섬유증(IPF,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사르코이드증(sarcoidosis), 만성 폐쇄 폐 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및 경화증(cirrhosis)을 비롯한 질환의 발병기전에 기초가 된다. p38은 TGF-β 수용체 신호전달(signaling)에서의 그의 역할을 통해 몇몇 전섬유성(profibrotic) 경로 이벤트에 관련되었다(Kaminska et al Acta Biochimica Polonica 52(2): 329-37). TGF-β는 섬유증에 기초가 되는 것으로서, 콜라겐 침착의 유도, 전섬유성 사이토카인의 합성, 섬유아세포 증식, 근섬유아세포 분화 및 표피-간엽 전이(epithelial-mesenchymal transisition)를 비롯한 이벤트에 관여한다(Kaminska et al Acta Biochimica Polonica 52(2): 329-37; Border and Noble 1994 NEJM 331: 1286-92) (R. Newton and N.S. Holden, Drug Discovery Today: Disease Mechanisms, Volume 3, Issue 1, Spring 2006, Pages 53-61). p38은 인터루킨-1β(IL-1β), 인터루킨-17(IL- 17), 표피 성장 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 및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PDG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를 비롯한, 섬유증과 관련될 수 있는 추가의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에 의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간에서의 섬유증은 간에서의 매트릭스 거대분자(matrix macromolecule)의 생성량 대 분해량 사이의 불균형에 기인한 세포외 매트릭스 성분, 특히 콜라겐의 과잉 침착에 의해 발생한다(NIH Guide PA-99-110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역사적으로, 간 섬유증은 콜라겐-풍부 ECM에 의한 간 실질(hepatic parenchyma)의 점진적인 대체를 포함하는 비가역적인 프로세스인 것으로 고려되어 왔다(Muddu et al., Int J Biochem Cell Biol. 2006 Oct 7). 인간에서 콜라겐 침착의 증가에 대한 생화학적 증거는 급성 및 만성 형태 둘 다의 폐 섬유증을 가진 환자에게서 입증되었다(Laurent, Ciba Found Symp. 1985 114:222-33). 특발성 폐 섬유증의 경우, 콜라겐, 테나신(tenascin) 및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을 비롯한 세포외 매트릭스 분자가 엄청나게 생성된다(Noble, et al., Clin Chest Med 2004 25:749-758). 섬유생성증(가역 가능성이 있는 반응)에서 섬유증(비가역)으로의 단계를 조절하는 메카니즘은 콜라겐의 성숙, 석회화 또는 가교결합된 단백질 덩어리의 형성과 연결될 수 있다(Toxicol Pathol. 1991;19(4 Pt 1):526-39). 본원에 기술되고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p38γ 아이소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않는 p38의 억제가 섬유아세포를 비롯한 표적 세포에서 콜라겐 생성의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RNA 억제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RNA 간섭(RNAi, RNA interference)은, 짧은 간섭(short interfering) RNAs 또는 siRNAs로도 알려진 짧은 이중가닥 RNAs가 상보성 RNA 표적의 분해를 지배하는 세포 메카니즘이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RNA 표적의 수준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엘바시르(Elbashir)와 그의 동료들(2001 Nature 411: 494-8)은 전형적인 siRNA의 구조적 특징을 양단에 2개의 뉴클레오티드 오버행(overhang)을 가진 19개의 염기쌍 이중가닥으로써 정의하였다. 이후, 연구원들은 이러한 형태를 사용하여 2개의 RNA 올리고뉴클레이타이드 중 하나는 관심의 대상이 되는 유전자와 상보성을 띄는 합성 siRNA를 설계하였다. 포유동물 세포에 이러한 합성 siRNA를 도입하면 상보성 mRNA의 분해 및 그에 상응하는 단백질 생성의 감소가 촉진될 수 있다. RNAi 기술을 사용하면, 세포 경로 또는 질환 상태에 있어서 그 유전자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이 특정 유전자의 발현 감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적인 연구가 가능하다.
짧은 헤어핀(hairpin) RNAs(또는 shRNAs)는, 엘바시르와 그의 동료에 의해 개시된 21개의 뉴클레오티드 이중가닥이 헤어핀 형태로 전환되는 관련 연구 수단이다. 헤이핀 설계는 적합한 전사 프로모터로부터의 shRNA 발현을 지배하는 세포에의 발현 카세트의 도입을 고려한다. shRNAs를 사용하면, 특정 세포 형태를 가지고는 어려울 수 있는 합성 siRNA에 의한 세포의 효율적인 핵산전달감염(transfection)에 대한 필요성이 제거되며, 따라서 RNAi를 기초로 하는 실험에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세포 형태가 확대된다. shRNAs를 사용하면 mRNA 표적의 확장된/안정한 넉다운(knockdown) 및 shRNA 발현 카세트에 의해 도입된 세포 집단의 분리가 또한 가능하다.
shRNA 발현 카세트의 안정한 도입의 하나의 양식은 약독화 렌티바이러스이다. 모팻(Moffat)과 그의 동료는 감염 세포의 게놈내로 U6-프로모터 구동 shRNA 발현 카세트가 안정하게 편입되도록 설계된 약독화 렌티바이러스 입자의 라이브러리를 개시하였다(Moffat et al 2006 Cell 124: 1283-98). 개변된 바이러스(engineered virus)의 전사 분절(transferred segment)은, 또한 안정하게 통합된 shRNA 발현 카세트를 가진 세포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퓨로마이신 내성 마커(puromycin resistance marker)를 코딩한다.
p38α 또는 p38γ를 표적하는 상이한 shRNA를 코딩하는 코딩 영역(서열번호: 1-8)을 가진 8개의 렌티바이러스 입자를 실시예 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 및 세포내로 도입하고, 실시예 11에 따라 mRNAs를 분리하고 정량한 다음, 실시예 12에 따라 콜라겐 수준을 분석한 경우, 결과는 p38γ mRNA 수준을 감소시키는 서열이 콜라겐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2의 표 1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p38γ의 억제는 콜라겐 발현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섬유증을 억제할 수 있다.
p38 및 세포자멸( apoptosis )
NGF 이탈(withdrawal) 및 Fas 결찰(ligation)과 같은 p38과 세포자멸의 동시 활성화는 다양한 시약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테인 프로테아제(카스파제)는 세포자멸 경로에 중심에 위치하며 불활성 효소원(zymogens)으로서 발현된다. 이후, 카스파제 억제제는 Fas 가교-결합을 통해 p38 활성화를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우성 활성 MKK6b의 과발현이 또한 카스파제 활성과 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세포자멸에서 p38의 역할은 세포 형태-의존적이며 자극-의존적이다. p38 신호전달은 일부 세포주에서 세포 사멸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다른 세포주에서는 p38이 생존, 세포 성장 및 분화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주기에서의 p38
효모에서 p38α를 과발현시키면 증식 속도의 현저한 감소가 유발되는데, 이는 세포 성장에 p38α가 관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p38 α/β 억제제인 SB203580로 세포를 처리한 경우, 배양시킨 포유동물 세포의 증식 속도가 더 느려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38 심근세포 비대
심근세포 비대에 있어서 p38의 활성화 및 기능이 연구되어 왔다. 비대가 진행되는 동안, p38α와 p38 둘 다의 수준은 증가하였으며, 구성적으로 활성인 MKK3 및 MKK6-유발 비대 반응은 근절 조직화(sarcomeric organization)에 의해 향상되었고, 심방성 나트륨이뇨 인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심장에서 p38 신호전달의 감소는 칼시뉴린(calcineurin)-NFAT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심장세포 분화를 촉진시킨다.
p38 및 발달( development )
p38 넉아웃 마우스의 생존불능에도 불구하고, 발달에 있어서 p38의 상이한 역할과 관련된 증거가 존재한다. p38은 태반의 혈관신생과 연결되어 있지만 몇 가지 연구에서 심혈관 발달과는 연결되지 않았다. 게다가, p38은 또한 적혈구 생성에서의 역할을 제안하는 에리트로포이에틴 발현과 연결되어 있다. PRAK는 최근 마우스 이식에서 세포 발달에 관련되었다. PRAK mRNA 및 p38 아이소형은 포배(blastocyst) 발달을 통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38 및 세포 분화
p38α 및/또는 p38β는 몇 가지 상이한 세포 유형에 대한 세포 분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T3-L1 세포의 지방세포(adipocyte)로의 분화 및 PC12 세포의 뉴런으로의 분화는 모두 p38 α 및/또는 β를 필요로 한다. p38 경로는 헤모글로빈화된 세포로의 SKT6 분화뿐만 아니라 근세관(myotubule)내 C2C112 분화에 필요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 및 종양 억제에서의 p38
p38은 종양생성 및 노화에 작용한다. MKK6 및 MKK3의 활성화는 p38 MAPK 활성에 의존적인 노화 표현형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p38 MAPK 활성은 텔로미어 단축(telomere shortening), H2O2 노출 및 만성 RAS 종양유전자 신호전달에 대한 반응으로 노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양 세포의 공통적인 특징은 노화의 손상이며 p38은 특정 세포에서의 종양생성과 연결된다. p38 활성화가 종양에서 감소된다는 것과, p38 경로의 성분, 이를 테면 MKK3 및 MKK6의 손실이 세포주 또는 이들 연구에 사용된 종양 유도 시약에 상관없이 종양생성 전환의 가능성 및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이 보고되었다.
p38 MAP 키나제 억제제
"p38 MAPK 억제제"는 p38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이다. p38의 활성에 대한 화합물의 억제 효과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포다당질(LPS)-자극 사이토카인 생성의 억제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억제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Lee et al. 1988 Int J Immunopharmacol 10:835-843; Lee et al. 1993 Ann NY Acad Sci 696:149-170; Lee et al. 1994 Nature 372:739-746; Lee et al. 1999 Pharmacol Ther 82:389-397).
p38 MAPK 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일반적으로 효능(potency)을 증가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SB203580은 나노몰 범위로 IC50 값을 가진 강력한 p38 키나제 억제제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SB203580의 경우, IC50이 48 n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에 제시된 피리디닐이미다졸 SKF 86002(P1) 및 SB203582(P2)가 또한 p38 키나제 억제제이다. 최근의 간행물(Lee et al. 2000 Immunopharmacology 47:185-201)에서는 이하에 제시된 p38 억제제(P3 - P6)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억제제 중 주목할만한 것은 화합물 P4(p38 IC50=0.19 nM)에 대하여 설명된 비교적 높은 효능과 선택도 및 SB 220025(P6)에 의한 염증 유발 혈관신생의 억제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p38α 폴리펩티드의 ATP 포켓(pocket)에 결합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보조인자 ATP의 경쟁적 억제제이다.
특정의 피리미딘 이미다졸이 또한 나노몰이하(subnanomolar)의 IC50 값을 가진 강력한 p38 키나제 억제제인 것으로 밝혀졌다(Liverton et al. 1999 J. Med . Chem. 42: 2180-2190). 이러한 화합물은 p38α 폴리펩티드의 ATP 포켓에 결합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필수 보조인자 ATP의 경쟁적 억제제이다.
특정의 디아릴 우레아, 예를 들어 BIRB 796이 또한 p38 MAPK의 강력한 억제제이다(Pargellis et al. Nature Structural Biology 9:268-272). BIRB 796은 TNFα에 대하여 18 nM의 IC50을 가진다. 디아릴 우레아는 피리디닐 이미다졸 및 p38의 피리미디닐 이미다졸 억제제와는 구조적으로 상이하다. 특정의 디아릴 우레아는 p38α의 알로스테리(allosteric) 억제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ATP 결합 포켓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떨어진 부위에 p38α가 결합하면, 알로스테리 억제제가 폴리펩티드의 ATP 결합 포켓에 구조 변화(conformational change)를 유도하며, 이러한 구조 변화로 인해 ATP의 효과적인 결합에 부적합한 ATP 결합 포켓을 생성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p38α 억제제로서의 화합물의 관찰된 효능을 설명하는 것이다.
임상 개발중인 것으로 보고된 두 개의 p38 억제제는 HEP689(P7)와 VX-745(P8)이다. VX-745는 보고에 따르면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대한 제2상 시험(Phase II trials) 중이다. HRP689에 대한 강력한 국소 항염증 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것은 건선 및 다른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한 국소용 제제로서 그의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임상 개발에 들어간 것으로 보고되었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18
Figure 112008044372620-PCT00019
Figure 112008044372620-PCT00020
다양한 p38 억제제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는 문헌[Boehm et al. 2000 Exp Opin Ther Pat 10:25-37; 및 Salituro et al. 1999 Curr Med Chem 6:807-823; 및 Fitzgerald et al. 2003 Nature Structural Biology 10:764-769]에서 찾아볼 수 있다.
p38의 γ 아이소형은 α 아이소형과 상당한 구조적 유사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요한 잔기는 아이소형들 사이에 보존되는 반면, 단백질의 ATP 결합 포켓 주위의 영역을 비롯한 구조 변동(structural variation)이 관찰된다. p38α 억제제가 p38γ 아이소형과 상호작용한 경우에 에너지적으로 불리한 상호작용이 관찰되었음이 위에 개시된 p38 억제제의 모델링를 통해 입증되었다. p38α 억제제가 p38γ 아이소형과 상호작용한 경우에 다른 에너지적으로 유리한 상호작용이 유지되었음이 모델링을 통해 입증되었다.
II 부류의 특정 화합물은 입체적으로 불리한 상호작용, 예를 들어 문헌[Fitzgerald et al. 2003 Nature Structural Biology 10:764-769]에 개시된 화합물 1의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부분과 p38γ의 Met1O9 사이의 입체적으로 불리한 상호작용이 결여되어 있고, 더 나아가 II 부류의 특정 화합물은 p38γ와 상호작용하며 양성의 결합 에너지를 제공하는 치환체들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부분을 간단히 제거하면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치환체를 가진 화합물의 유리한 결합 에너지가 결여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일부 구체예에서, 문헌[Fitzgerald et al. 2003 Nature Structural Biology 10:764-769]의 화합물 1의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치환체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 잔기인 Leu89, Leu58, Leu1O7 및 Leu108에 의해 정의된 소수성 포켓과의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의 Met109와 수소-결합 또는 정전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 잔기인 Leu89, Leu58, Leu1O7 및 Leu108에 의해 정의된 소수성 포켓과의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을 달성하며 또한 p38γ의 Met109와 수소-결합 또는 정전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대체된다.
IV 부류의 특정 화합물은 입체적으로 불리한 상호작용, 예를 들어 p38γ의 Met109와 P2의 플루오로페닐 부분 사이의 입체적으로 불리한 상호작용이 결여되어 있고, 더 나아가 IV 부류의 특정 화합물은 p38γ와 상호작용하며 양성의 결합 에너지를 제공하는 치환체들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일부 구체예에서, P2의 플루오로페닐 부분은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 잔기인 Leu89, Leu58, Leu1O7 및 Leu108에 의해 정의된 소수성 포켓과의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의 Met109와 수소-결합 또는 정전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 잔기인 Leu89, Leu58, Leu1O7 및 Leu108에 의해 정의된 소수성 포켓과의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을 달성하며 또한 p38γ의 Met109와 수소-결합 또는 정전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대체된다.
III 부류의 특정 화합물은 입체적으로 불리한 상호작용, 예를 들어 p38γ의 Met109와 BIRB 796의 치환된 나프틸렌 부분 사이의 입체적으로 불리한 상호작용이 결여되어 있고, 더 나아가 III 부류의 특정 화합물은 p38γ와 상호작용하며 양성의 결합 에너지를 제공하는 치환체들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일부 구체예에서, BIRB 796의 치환된 나프틸렌 부분은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 잔기인 Leu89, Leu58, Leu1O7 및 Leu108에 의해 정의된 소수성 포켓과의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의 Met109와 수소-결합 또는 정전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의 Met109와 수소-결합 또는 정전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의 Phe111과 π-스태킹(stacking) 또는 π-양이온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 잔기인 Leu89, Leu58, Leu1O7 및 Leu108에 의해 정의된 소수성 포켓과의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을 달성하고 또한 p38γ의 Met109와 수소-결합 또는 정전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 잔기인 Leu89, Leu58, Leu1O7 및 Leu108에 의해 정의된 소수성 포켓과의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을 달성하고 또한 p38γ의 Phe111과 π-스태킹 또는 π-양이온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또는 p38γ 잔기인 Leu89, Leu58, Leu1O7 및 Leu108에 의해 정의된 소수성 포켓과의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을 달성하고 또한 p38γ의 Met109와 수소-결합 또는 정전 상호작용을 달성하며 또한 p38γ의 Phe111과 π-스태킹 또는 π-양이온 상호작용을 달성하는 더 작은 분자 부피의 치환체들에 의해 대체된다.
본원에 개시된 바람직한 p38 억제제는 이러한 억제의 결과로서 비교적 높은 p38γ 억제 효능을 나타내고 비교적 높은 치료 효과(예를 들어, SAPK 시스템의 조절에 대한)를 가진 이환식 옥소피리딘 유도체 및 유사체이다.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의 p38 억제제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10 pM 내지 약 5 μM 또는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50 pM 내지 약 1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pM 내지 약 200 n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의 p38 억제제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적어도 약 2배 이상인 p38α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의 p38 억제제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적어도 약 5배 이상인 p38α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낸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의 p38 억제제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적어도 약 10배 이상인 p38α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낸다.
본원에 개시된 바람직한 p38 억제제는 이러한 억제의 결과로서 비교적 높은 p38γ 억제 효능을 나타내고 비교적 높은 치료 효과(예를 들어, SAPK 시스템의 조절에 대한)를 가진 피리미디닐 이미다졸 유도체 및 유사체이다.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의 p38 억제제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10 pM 내지 약 5 μM 또는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50 pM 내지 약 1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pM 내지 약 200 n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의 p38 억제제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약 2배 이상인 p38α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의 p38 억제제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적어도 약 5배 이상인 p38α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낸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의 p38 억제제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적어도 약 10배 이상인 p38α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낸다.
본원에 개시된 바람직한 p38 억제제는 이러한 억제의 결과로서 비교적 높은 p38γ 억제 효능을 나타내고 비교적 높은 치료 효과(예를 들어, SAPK 시스템의 조절에 대한)를 가진 디아릴 우레아 유도체 및 유사체이다.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의 p38 억제제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10 pM 내지 약 5 μM 또는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50 pM 내지 약 1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pM 내지 약 200 n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의 p38 억제제는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적어도 약 2배 이상인 p38α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킬"은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1가의 직쇄 또는 분지쇄 래디칼을 말하는 것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헥실 등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케닐"은 탄소 이중 결합을 가진 2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1가의 직쇄 또는 분지쇄 래디칼을 말하는 것으로, 1-프로페닐, 2-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1-부테닐, 2-부테닐 등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를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할로알킬"은 알킬 래디칼에 부가된 하나 이상의 할로 그룹을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니트로알킬"은 알킬 래디칼에 부가된 하나 이상의 니트로 그룹을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티오알킬"은 알킬 래디칼에 부가된 하나 이상의 티오 그룹을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히드록시알킬"은 알킬 래디칼에 부가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 그룹을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콕시"는 --O-- 결합을 통해 모분자에 공유적으로 결합된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래디칼을 말한다. 알콕시 그룹의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n-부톡시, sec-부톡시, t-부톡시 등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콕시알킬"은 알킬 래디칼에 부가된 하나 이상의 알콕시 그룹을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카르복시"는 -COOH를 말한다.
용어 "알콕시카르보닐"은 -(CO)-O-알킬을 말한다. 알콕시카르보닐 그룹의 예로는 메톡시카르보닐 그룹, 에톡시카르보닐 그룹, 프로폭시카르보닐 그룹 등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래디칼은 래디칼을 가진 종들이 또 다른 종들과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의 홀전자(unpaired electron)를 가진 종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래디칼이 반드시 자유 래디칼일 필요는 없다. 오히려, 래디칼은 더 큰 분자의 특정 부분을 의미한다. 용어 "래디칼"은 용어 "그룹"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치환된 그룹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또 다른 원자 또는 그룹으로 교환된 비치환된 모 구조로부터 유래된다. 치환된 경우, 치환체 그룹(들)은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융합된 아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머캅토, 알킬티오, 아릴티오, 시아노, 할로,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니트로, 실릴, 트리할로메탄설포닐,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일치환된 및 이치환된 아미노 그룹을 비롯한 아미노, 및 이들의 보호된 유도체 중에서 개별적이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들)이다. 상기 치환체들의 보호 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보호 그룹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문헌, 이를 테면[Greene and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999]에서 찾아볼 수 있다. 치환체가 "임의 치환된"으로 개시되어 있더라도, 치환체는 상기 치환체들로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정제된"은 분석시 측정 물질의 최소 95%를 포함하도록 다른 화합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말한다.
비대칭 탄소 원자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부분입체 이성체 및 거울상 이성체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을 비롯한 이와 같은 모든 이성체들을 열거된 화합물의 범주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특정의 경우에, 화합물은 호변이성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모든 호변이성체 형태를 열거된 화합물의 범주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마찬가지로, 화합물이 알케닐 또는 알케닐렌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의 시스- 및 트랜스- 이성체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 시스- 및 트랜스- 이성체 둘 다뿐만 아니라 시스- 및 트랜스- 이성체의 혼합물이 예측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달리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은 한, 화합물에 대한 본원에서의 표현은 전술한 모든 이성체 형태를 포함한다.
구체예로, 결정다형, 용매화물, 수화물, 이형태체(conformers), 염 및 전구약물 유도체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가 포함된다. 결정다형은 동일한 화학식을 가지나 그 구조가 상이한 조성물이다. 용매화물은 용매화에 의해 형성된 조성물이다(용질의 분자 또는 이온과 용매 분자의 조합). 수화물은 물의 도입에 의해 형성된 화합물이다. 이형태체는 형태 이성질체(conformational isomer)인 구조를 말한다. 형태 이성질 현상은 동일한 구조식을 가지나 회전하는 결합에 대한 원자의 형태가 상이한(이형태체) 분자의 현상이다. 화합물의 염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의 염은 적합한 염기 또는 산을 화학양론적 당량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구약물은 그의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내기 이전에 생체변화(biotransformation)(화학적인 전환)을 거친 화합물이다. 예를 들어, 전구약물은 따라서 모분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변경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일시적인 방식으로 사용된 특수 보호 그룹을 가진 약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달리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은 한, 화합물에 대한 본원에서의 표현은 전술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이하에 개시되는 화합물은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유용하다. 구체예로, 이하에 개시된 화합물은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 바람직하게는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구체예는 다음 부류(I 부류)에 의해 나타내어진 화합물의 패밀리를 제공한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21
상기 식에서, R은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 -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는 다음 부류(II 부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패밀리를 제공한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22
상기 식에서, R4는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는 다음 부류(III 부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패밀리를 제공한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23
상기 식에서,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구체예로, III 부류의 화합물은 1-(5-tert-부틸-2-p-톨릴-2H-피라졸-3-일)-3-[4-(2-모르폴린-4-일-에톡시)나프탈렌-1-일]우레아(BIRB 796)가 아니다.
또 다른 구체예는 다음 부류(IV 부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패밀리를 제공한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24
상기 식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 -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구체예로, IV 부류의 화합물은
Figure 112008044372620-PCT00025
이 아니며, 여기서 X는 N이다.
본원에 개시된 특정 화합물은 위에 개시된 다양한 부류 중 하나 이상의 구성원일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스트레스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SAPK) 시스템을 조절하는데 유용하다.
또 다른 구체예는 I-IV 부류로 나타내어지는 정제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정제도는 위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백분률로서 표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I-IV 부류로 나타내어지는 정제된 화합물은 정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96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8 중량% 이상의 순도를 가진다.
I-IV 부류의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통상적인 반응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합성의 예로는 실시예 6, 7, 8 및 9에 나타낸 합성식이 포함된다.
이환식 옥소피리딘 유도체로서 I 부류의 화합물은 또한 실시예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환식 옥소피리딘에 대한 공지된 합성식에 기초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통상적인 반응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피리미디닐 이미다졸 유도체로서 II 및 IV 부류의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어 실시예 7 및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리미디닐 이미다졸에 대한 공지된 합성식을 기초로 하는 것들을 비롯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통상적인 반응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디아릴 우레아 유도체로서, III 부류의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어 실시예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아릴 우레아에 대한 공지된 합성식을 기초로 하는 것들을 비롯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통상적인 반응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한 출발 물질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공지되어 있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 개시되지 않은 출발물질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공지되어 있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출발 물질은 적합한 치환체를 가짐으로써 궁극적으로 상응하는 치환체를 가진 소망하는 생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르게는, 치환체를 합성의 임의의 지점에 첨가하여 상응하는 치환체를 가진 소망하는 생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6에 나타낸 합성식은 I 부류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실시예 7 및 9에 나타낸 합성식은 II 및 IV 부류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실시예 8에 나타낸 합성식은 III 부류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당업자라면 다수의 상이한 합성 반응식이 I-IV 부류의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추가로, 당업자라면 비슷한 결과를 얻기 위해 합성 반응에 다수의 상이한 용매, 결합제 및 반응 조건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순서의 변화를 인지할 것이며, 추가로 I-IV 부류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공정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거나 다르게는 공지된 유사한 반응으로부터 적절한 반응 조건의 변화를 인지할 것이다.
I-IV 부류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본원에 개시된 공정에서, 보호 그룹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유기 화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주지된 것으로서, 따라서 일부의 경우에 적절한 보호 그룹의 사용이 본원 반응식의 공정에 수반될 수 있지만, 이러한 그룹을 특별히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적합한 보호 그룹의 도입 및 제거는 유기 화학의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T.W.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Wiley (New York), 1999]을 참조할 수있다. 본원에 개시된 반응의 생성물은 추출, 증류,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I-IV 부류의 화합물의 염,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적합한 염기 또는 산을 화학양론적 당량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I-IV 부류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예를 들어, 에스테르), 대사산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전구약물은 당업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또 다른 구체예는 활성 화합물의 전구약물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전구약물은 생체내에서 대사되어(예를 들어 탈아민화, 탈알킬화, 탈에스테르화 등과 같은 대사적 전환에 의해) 활성 화합물을 제공하는 화합물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전구약물"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의 범위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러지 반응 등이 없이 환자에게 약제학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사용 목적에 효과가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예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가능한 경우 그의 양쪽성 이온 형태(zwitterionic form)를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전구약물 형태의 예가 문헌[T. Higuchi and V. Stella, Pro - drugsas Novel Delivery Systems, Vol. 14 of the A.C.S. Symposium Series, 및 Edward B. Roche, ed.,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 1987]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은 모두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은 또한 대사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사산물"은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에서 구체예의 화합물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구체예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사체 또는 유도체의 대사작용의 생성물을 의미한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은 또한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용매화물"은 용질(본원의 경우 I-IV 부류의 화합물)과 용매에 의해 형성된 복합체를 말한다. 구체예의 목적을 위하여 이러한 용매는 바람직하게도 용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용매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또는 아세트산일 수 있다. 전술한 관점에서, 특정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부류에 대한 본원에서의 표현은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에스테르, 전구약물, 대사산물 및 용매화물을 비롯한 상기 개시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p38 γ 우선 억제제( preferential inhibitor )에 대한 화합물 라이브러리의 스크리닝
또 다른 측면으로,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이 예를 들어 섬유성 이상(예컨대, p38- 또는 사이토카인-관련 이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잠재적으로 유용한 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비교적 높은 p38γ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선택하는 단계 및 추가로 선택된 화합물을 p38α의 억제에 대하여 시험하는 단계 및 비교적 높은 p38α 억제 효능을 또한 나타내는 화합물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비교적 높은 p38γ 억제 효능을 나타내고 비교적 높은 p38α 억제 효능을 또한 나타내는 화합물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p38α의 억제에 대하여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비교적 높은 p38α 억제 효능을 나타내고 비교적 높은 p38γ 억제 효능을 또한 나타내는 화합물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도, 이와 같은 고효능 p38γ 및 p38α 억제제 화합물의 IC50은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10 pM 내지 약 5 μM 또는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도, 이러한 고효능 p38γ 및 p38α 억제제 화합물의 p38α에 대한 IC50 값은 p38γ에 대한 그의 IC50 값보다 2배 이상 크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이러한 고효능 p38γ 및 p38α 억제제 화합물의 p38α에 대한 IC50 값은 p38γ에 대한 그의 IC50 값보다 5배 이상 크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도, 이러한 고효능 p38γ 및 p38α 억제제 화합물의 p38α에 대한 IC50 값은 p38γ에 대한 그의 IC50 값보다 10배 이상 크다. 분석될 복수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도 가능성 있는 화합물의 라이브러리 중에서 선택된다.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구체예에서, 이 방법은 p38γ MAPK를 복수의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화합물이 사이토카인의 활성을 억제하는 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p38 MAPK는 바람직하게도 p38α 및 p38γ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접촉 단계는 시험관내에서 일어나며,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접촉 단계는 p38 MAPK를 포함하는 세포를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에서 세포내 p38 MAPK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세포내 p38 활성을 억제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p38 MAPK를 포함하는 세포를 p38-억제 유효량의 화합물(예를 들어, I-IV 부류의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실시예가 이하의 실시부에 제공된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도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10 pM 내지 약 5 μM 또는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도, p38α에 대한 화합물의 IC50 값은 p38γ에 대한 그의 IC50 값보다 2배 이상 크다.
생체내 방법은 예를 들어 관심의 대상이 되는 화합물(예를 들어, I-IV 부류의 화합물)을 다양한 농도로 경구적으로 또는 주사에 의해 동물군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합물의 도입후, 리포다당질을 정맥내로 투여한다. 혈청 TNFα 수준을 측정하고 대조군 동물과 비교한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TNFα의 방출을 억제하므로, 이로써 시험 동물의 혈액 시료내 TNFα 수준을 감소시킨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TNFα 방출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의 범위로 EC50을 나타낸다.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은 선택된 화합물의 포유동물 독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은, 또한 포유동물 독성의 측정과 관련되거나 다른 이유로 시험 대상에게 선택된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로, 시험 대상은 염증성 이상을 가지고 있거나 그러한 이상에 걸릴 위험이 있다. 바람직하게도, 시험 대상은 포유동물이고, 인간일 수 있다.
p38 MAP 키나제를 억제하는 방법
구체예로,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에서 SAPK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SAPK-조절 농도의 화합물을 p38 MAPK과 접촉시키는(예를 들어, 화합물을 p38 MAPK를 함유하는 세포 또는 조직과 접촉시킴으로써) 단계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화합물은 비교적 높은 p38γ 억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이는 화합물에 의한 p38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억제 농도에 상응한다.
억제 농도(IC)는 용량-반응 곡선상에서 p38 MAPK 활성을 특정 비율(예를 들어 50%, 40%, 30%, 20%, 10%)까지 감소시키는 농도이다. 예를 들어, IC50, IC40, IC30, IC20 및 IC10은 용량-반응 곡선상에서 p38 MAPK 활성을 각각 50%, 40%, 30%, 20% 및 10%까지 감소시키는 농도로써 측정된다. SAPK 시스템-조절 화합물의 IC50은 그 범위가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10 pM 내지 약 5 μM 또는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pM 내지 약 1 μ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pM 내지 약 1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를 접촉시키는 것"은 화합물 또는 물질의 다른 조성물이 세포 또는 조직과 직접 접촉하고 있거나 세포 또는 조직에서 소망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유도하기에 매우 충분한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p38 MAPK를 함유하는 세포 또는 조직을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은 p38 MAPK와 화합물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도록 하여 세포에서 소망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생성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세포 또는 조직을 접촉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화합물(이를 테면 I-IV 부류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염, 에스테르, 전구약물 및/또는 그의 중간체 및/또는 상기한 것들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혼합 또는 투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세포 또는 조직을 접촉시키는 것은, 화합물이 p38 MAPK를 함유하는 세포 또는 조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표적화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화합물을 도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세포 또는 조직을 접촉시키는 것은, 화합물이 p38 MAPK와 결합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으로는 화합물과 p38-함유 세포 또는 조직의 인접성(proximity), pH, 온도 또는 p38 MAPK에 대한 화합물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임의의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세포는 시험관내에서 화합물과 접촉되고, 다른 구체예에서 세포는 생체내에서 화합물과 접촉된다.
세포가 생체내에서 접촉되는 경우, 유효 농도(EC)는 p38 MAPK 활성의 감소에 의존하는 특정의 생리학적 반응에 의해 측정된, p38 MAPK 활성을 특정 비율(예를 들어 50%, 40%, 30%, 20% 및 10%)까지 감소시키는 농도이다. 이러한 생리학적 반응은 예를 들어, 혈액내 또는 다른 체액내 TNFα의 농도의 감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C50, EC40, EC30, EC20 및 EC10은 용량-반응 곡선상에서 TNFα 농도가 각각 50%, 40%, 30%, 20% 및 10%까지 감소되었을 때 측정된, p38 MAPK 활성을 감소시키는 농도이다. SAPK 시스템-조절 화합물의 EC50은 그 범위가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10 pM 내지 약 5 μM 또는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 ,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된다.
치료 방법 및/또는 예방 방법
다른 구체예는 질환 상태, 예를 들어 섬유성 이상(들)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섬유성 이상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그러한 이상을 가지고 있는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및 화합물을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10 pM 내지 약 5 μM 또는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p38α에 대한 화합물의 IC50 값은 p38γ에 대한 그의 IC50 값보다 2배 이상 크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유효량은 화합물에 의한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IC50 또는 IC40 또는 IC30 또는 IC20 또는 IC10과 같거나 그 이하인 농도의 혈액 또는 혈청 또는 다른 체액을 생성하며, 더 나아가 유효량은 화합물에 의한 p38α의 억제에 대하여 IC50 또는 IC40 또는 IC30 또는 IC20 또는 IC10과 같거나 그 이하인 농도의 혈액 또는 혈청 또는 다른 체액을 생성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TNFα 분비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pM 내지 약 1 μM의 범위로 EC50을 나타낸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유효량은 화합물에 의한 체액내 LPS-자극 TNFα 방출의 억제에 대하여 EC50 또는 EC40 또는 EC30 또는 EC20 또는 EC10과 같거나 그 이하인 농도의 혈액 또는 혈청 또는 다른 체액을 생성한다. 유효량은 대상에 졸음, 위장장애 및 감광성 발진과 같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양의 바람직하게는 약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하이다.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도 I-IV 부류의 화합물이다.
섬유성 이상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그러한 이상을 가지고 있는 대상을 식별하는 방법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거나 예방될 수 있는 섬유성 이상의 예로는 p-38 관련 이상, 예를 들어 변형 사이토카인활성과 관련된 이상, SAPK 시스템의 조절과 관련된 이상, 자가면역 질환 및 섬유증과 관련된 질환이 포함된다. 사이토카인(또는 사이토카인류)은 바람직하게는 IL-1β, IL-6, IL-8 및 TNFα로 구성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구체예에서, 염증성 이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합물은 SAPK 신호전달 경로에서 키나제를 억제하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로는 I-IV 부류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용어 "p38-관련 이상"은 p38 MAP 키나제 신호전달 경로가 직접적으로든 또는 간접적으로든 영향을 주는 질환 또는 다른 유해한 이상을 의미한다. p38-관련 이상의 예로는 p38 활성 수준의 유지, 연장, 증대 또는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IL-1β, TNFα, IL-6 또는 IL-8의 조절이상(dysregulation) 또는 과발현에 의해 야기되는 이상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상으로는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섬유성 질환, 파괴성 골 장애, 증식성 장애, 감염성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알러지, 졸중시 재관류 허혈, 심장마비, 혈관신생 장애, 기관 저산소증, 혈관 과형성, 심장 비대, 트롬빈-유도 혈소판 응집, 및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시클로옥시게나제 경로와 관련된 이상, 예를 들어 프로스타글란딘 엔도퍼옥시드 신타제와 연관된 이상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p38-관련 이상으로는 p38의 아이소형과 관련이 있거나 이에 의해 매개되는 임의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섬유성 이상", "섬유증식성 이상", "섬유성 질환", "섬유증식성 질환", "섬유성 장애" 및 "섬유증식성 장애"는 섬유아세포의 조절이상 증식 또는 활성 및/또는 콜라겐 조직의 병적 또는 과잉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질환 또는 장애를 말하는 것으로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임의의 이러한 질환, 장애 또는 이상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치료가능하다. 섬유성 장애로는 공지된 병인으로부터의 폐 섬유증 및 특발성 폐 섬유증(IPF)을 비롯한 폐 섬유증, 간 섬유증 및 신장 섬유증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시적인 섬유성 이상으로는 근골격성 섬유증, 심장 섬유증, 수술후 유착, 공피증, 녹내장 및 켈로이드와 같은 피부 병변이 포함된다.
용어 "SAPK 시스템을 조절하는 것"은 시험관내에서든 또는 생체내에서든 예를 들어 p38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시스템의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SAPK 시스템은 미처리 대조군 세포의 p38 활성과 비교하여 세포내 p38 활성이 약 50% 까지, 약 40% 까지, 약 30% 까지, 약 20% 까지 또는 약 10% 까지 억제되는 경우에 조절된다.
본원에 사용된 변형 사이토카인 활성과 관련된 이상은 비질환 상태와 비교하여 사이토카인 활성이 변형된 이상을 말한다. 이로는 p38 활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사이토카인 활성 수준의 유지, 연장, 증대 또는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IL-1β, TNFα, IL-6 또는 IL-8의 과생성 또는 조절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이상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상으로는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섬유성 질환, 파괴성 골 장애, 증식성 장애, 감염성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알러지, 졸중시 재관류 허혈, 심장마비, 혈관신생 장애, 기관 저산소증, 혈관 과형성, 심장 비대, 트롬빈-유도 혈소판 응집, 및 프로스타글란딘 엔도퍼옥시드 신타제와 같은 시클로옥시게나제 및 리폭시게나제 신호전달 경로와 관련된 이상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이토카인-관련 이상으로는 IL-1(특히 IL-1β), TNFα, IL-6 또는 IL-8, 또는 p38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사이토카인과 관련이 있거나 이에 의해 매개되는 임의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사이토카인 관련 이상은 TNFα와 관련된 이상이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또한 자가면역 질환, 및 급성 및 만성 염증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질환으로는 만성 폐색성 폐 질환(COPD), 염증성 폐 섬유증(IPF),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척추염; 골관절염; 통풍, 기타 관절성 이상; 패혈증; 패혈성 쇼크; 내독소성 쇼크; 그램-음성 패혈증; 독성 쇼크 증후군; 근막 통증 증후군(myofacial pain syndrome, MPS); 시겔라증(Shigellosis); 천식;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Crohn's disease); 건선; 습진; 궤양성 대장염; 사구체 신염; 공피증; 만성 갑상선염; 그레이브 질환(Grave's disease); 오르몬드 질환(Ormond's disease); 자가면역성 위염;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성 호중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췌장 섬유증; 간 섬유증을 비롯한 만성 활성 간염; 급성 및 만성 신장 질환; 신장 섬유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발열; 재협착증; 뇌성 말라리아; 졸중성 및 허혈성 손상; 신경성 외상; 알츠하이머병; 헌팅톤병; 파킨슨병; 급성 및 만성 동통; 알러지성 비염 및 알러지성 결막염을 비롯한 알러지; 심장 비대증, 만성 심부전;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악액질; 말라리아; 나병; 레슈마니아증(leishmaniasis); 라임(Lyme) 질환; 라이터 증후군(Reiter's syndrome); 급성 활막염; 근육 변성, 활액낭염; 건염; 건활막염; 헤르니아형(herniated), 파열형(ruptured) 또는 탈출형(prolapsed) 추간원판 증후군; 골화석증; 혈전증; 규폐증; 폐 연화증; 골 흡수 질환, 이를 테면 골다공증 또는 다발성 골수종-관련 골 질환; 전이성 유방암, 대장직장암, 악성 흑색종, 위암 및 비-소세포 폐암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암; 이식편-대-숙주 반응; 및 자가면역 질환, 이를 테면 다발성 경화증, 루푸스 및 섬유근육통; AIDS 및 기타 바이러스성 질환, 이를 테면 대상 포진, 단순 포진 I 또는 II,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증 급성 호흡 증후군(SARS) 및 거대세포바이러스; 및 당뇨병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로, 구체예의 방법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다발성 골수종, 전이성 유방암을 포함하는 유방암; 대장직장암; 골 전이(bone metastase) 등을 비롯한 증식성 장애(양성 및 악성 과형성 모두를 포함); 신경근육 통증, 두통, 암성 통증, 치통 및 관절염 통증을 비롯한 통증 장애; 고형 종양 혈관신생, 안구 혈관신생 및 유아 혈관종(infantile hemangioma)을 비롯한 혈관신생 장애; 프로스타글란딘 엔도퍼옥시드 신타제-2와 관련된 이상을 비롯한 시클로옥시게나제 및 리폭시게나제 신호전달 경로와 관련된 이상(부종, 열, 진통 및 동통 포함); 기관 저산소증; 트롬빈-유도 혈소판 응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포유동물을 비롯한 동물에서 원충성(protozoal)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대상으로는 하나 이상의 세포 또는 조직, 또는 기관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대상은 포유동물이다. 포유동물로는 임의의 포유동물이 포함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바람직한 포유동물로는 소(cattle), 돼지, 양, 염소, 말, 타조, 버팔로, 고양이, 개, 래트, 마우스 및 인간이 포함된다. 매우 바람직한 대상인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화합물(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약물 전달 경로를 통해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다. 특정의 예시적인 투여 경로로는 경구, 안구(ocular), 직장, 구강, 국소, 비강, 안과적(ophthalmic), 피하, 근육내, 정맥내(볼루스 또는 주입액), 뇌내(intracerebral), 경피(transdermal) 및 폐가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치료학적 유효량" 및 "예방적 유효량"의 내용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확인된 질환 또는 이상을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하는데 충분한 화합물의 양, 또는 검출가능한 치료 효과, 예방 효과 또는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데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말한다. 효과는 예를 들어 다음의 실시예에 개시된 분석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대상에 대한 정확한 유효량은 대상의 체중, 크기 및 건강; 이상의 성질 및 정도; 및 투여를 위해 선택된 치료제 또는 치료제 조합물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주어진 상황에 대한 치료학적 및 예방적 유효량은 임상의사의 기술 및 판단내에서 통상적인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은 p38 MAP 키나제의 억제에 대하여 IC50, IC40, IC30, IC20 또는 IC10 미만인 농도의 혈액 또는 혈청 또는 체액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도, 구체예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은 전혈(whole blood)로부터의 TNFα 분비를 10%, 15%, 20%, 30%, 40% 또는 50%까지 변경시키는데 유효한 농도의 혈액 또는 혈청 또는 다른 체액을 생성한다.
임의의 화합물의 경우, 치료학적 또는 예방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신생(neoplastic) 세포의 세포 배양물 분석에서 또는 일반적으로 래트, 마우스, 토끼, 개 또는 돼지의 동물 모델에서 초기에 산출될 수 있다. 동물 모델은 또한 적절한 농도 범위 및 투여의 경로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이후 인간에게 투여하기 위한 유용한 용량 및 경로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치료학적/예방적 효능 및 독성, 예를 들어 ED50(개체군의 50%에 대한 치료학적 유효량) 및 LD50(개체군의 50%에 대한 치사량)은 세포 배양물 또는 실험 동물에서 표준 약제학적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치료 효과와 독성 효과 사이의 용량비가 치료 지수(therapeutic index)이며, 이는 ED50/LD50 비로서 표현될 수 있다. 치료 지수가 큰 약학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치료 지수가 좁은 약학 조성물이 또한 구체예의 범위내에 속한다. 세포 배양물 분석 및 동물 연구로부터 얻은 데이터는 인간에게 사용하기 위한 투여량의 범위를 공식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되는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도 독성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이 ED50을 포함하는 혈중 농도(circulating concentration)의 범위내에 있다. 투여량은 사용된 투여 형태, 환자의 민감도 및 투여 경로에 따라 좌우되는 이러한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정확한 투여량은 치료를 요하는 대상과 관련된 인자를 고려하여 진료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투여량 및 투여는 충분한 수준의 활성 제제(들)를 제공하거나 소망하는 효과를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고려해야 할 인자로는 질환 상태의 중증도, 대상의 전체적인 건강, 연령, 체중 및 대상의 성별, 식이, 투여의 시간 및 빈도, 약물 조합물(들), 반응 민감도 및 치료에 대한 내성/반응이 포함된다. 장시간-작용형 약학 조성물은 특정 제형의 반감기 및 청소율에 따라 3일 내지 4일 마다, 매주 또는 2주에 한번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치료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개선하거나,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손상을 회복시키거나 질환을 치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하나의 측면에서,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면 치료받지 않은 대상의 개체군에 비해 치료받은 대상의 개체군의 평균 생존 시간이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도, 평균 생존 시간은 약 30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60일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0일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20일 이상 증가된다. 개체군의 생존 시간의 증가는 임의의 재생가능한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에 의한 치료를 개시한 후 개체군의 평균 생존 길이를 산출함으로써 개체군의 평균 생존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측면에서, 개체군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는 또한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에 의한 치료의 제1과정을 완료한 후 개체군의 평균 생존 길이를 산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면 담체만을 수용하는 대상의 개체군에 비해 치료받은 대상의 개체군의 사망률이 감소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면 치료받지 않은 개체군에 비해 치료받은 대상의 개체군의 사망률이 감소된다. 추가의 측면에서,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면 구체예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대사산물, 유사체 또는 유도체가 아닌 약물에 의한 단일요법을 수용하는 개체군에 비해 치료받은 대상의 개체군의 사망률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도, 사망률은 약 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5% 이상 감소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치료받은 대상의 개체군의 사망률 감소는 임의의 재생가능한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측면에서, 개체군의 사망률 감소는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에 의한 치료를 개시한 후 개체군의 단위 시간당 질환-관련 사망의 평균 수를 산출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측면에서, 개체군의 사망률 감소는 또한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에 의한 치료의 제1과정을 완료한 후 개체군의 단위 시간당 질환-관련 사망의 평균 수를 산출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면 종양의 성장 속도가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도, 치료후 종양 성장 속도는 치료 이전에 비해 최소 약 5% 까지 감소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치료후 종양 성장 속도는 최소 약 10% 까지 감소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20% 까지 감소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30% 까지 감소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40% 까지 감소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50% 까지 감소되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최소 60% 까지 감소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75% 까지 감소된다. 종양 성장 속도는 임의의 재생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종양 성장 속도는 단위 시간당 종양 직경의 변화에 따라 측정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면 세포 증식 속도가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도, 치료후 세포 증식 속도는 최소 약 5%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1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2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3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4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50% 까지;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최소 60% 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75% 까지 감소된다. 세포 증식 속도는 임의의 재생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세포 증식 속도는 예를 들어 단위 시간당 조직 시료내 세포의 분열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면 증식하는 세포의 비율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도, 치료후 증식하는 세포의 비율은 최소 약 5%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1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2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3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4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50% 까지;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최소 60% 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75% 까지 감소된다. 증식하는 세포의 비율은 임의의 재생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증식하는 세포의 비율은 예를 들어 조직 시료내 분열하지 않는 세포의 수와 비교하여 분열하는 세포의 수를 정량화함으로써 측정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측면에서, 증식하는 세포의 비율은 유사분열 지수와 동등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면 세포 증식의 영역 또는 구역의 크기가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도, 치료후 세포 증식의 영역 또는 구역의 크기는 최소 약 5%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1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2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3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40%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50% 까지;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최소 60% 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75% 까지 감소된다. 세포 증식의 영역 또는 구역의 크기는 임의의 재생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세포 증식의 영역 또는 구역의 크기는 세포 증식의 영역 또는 구역의 직경 또는 폭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방법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매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방법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는 치료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대상을 표시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는 임상 진단, 실험실 시험, 또는 식별을 위한 수단의 임의의 조합을 비롯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부분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필요한 경우에 약학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질환 또는 이상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경구 투여이다. 투여는 단일 용량 투여의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구체예의 화합물은 일정 기간에 걸쳐 분할 용량으로 또는 연속-방출 제제 또는 투여 방법(예를 들어 펌프)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예의 화합물이 대상에게 투여되지만, 투여되는 화합물의 양 및 선택된 투여 경로는 병적 상태의 효율적 치료가 가능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구체예의 방법은 또한 병적 상태의 치료를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와 함께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의 조합은 (1) 조합 제제로 공동-제제화된(co-formulated) 다음 동시에 투여되거나 전달될 수 있거나; (2) 분리된 제제로서 교대로 또는 병행하여 전달될 수 있거나; (3)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병용 치료 요법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교대 치료법으로 전달되는 경우,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개별적인 용액, 유제, 현탁액, 정제, 환제 또는 캡슐제로 또는 개별적인 시린지의 상이한 주사제에 의해 순차적으로 활성 성분을 투여하거나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교대 치료하는 동안 유효 투여량의 각각의 활성 성분은 순차적으로, 즉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반면, 동시 치료에서 유효 투여량의 둘 이상의 활성 성분은 함께 투여된다. 간헐적인 병용 요법의 다양한 순서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일부로서 진단 시험이 예측된다. 예를 들어, 섬유성 이상, 예를 들어 p38-관련 또는 사이토카인-관련 이상으로부터 고통받는 대상으로부터 조직 생검 시료를 취할 수 있다. 생검 시료는 시료 중에 존재하는 p38 활성의 수준(또는 사이토카인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될 수 있으며; 그후 시료를 구체예의 선택된 화합물과 접촉시킬 수 있고, 화합물에 소망하는 효과(예를 들어, p38γ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pM 내지 약 5 μM 또는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pM 내지 약 1 μ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pM 내지 약 1 μM의 범위로 IC50을 가지며, p38γ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최소 2배의 p38α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가진 p38 또는 사이토카인 활성의 억제)가 있는 지를 측정하기 위해 p38 활성(또는 사이토카인 수준)이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험은 이러한 화합물에 의한 치료가 그 대상에서 효과적일 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시료를 표지된 화합물(에를 들어, 형광-표지된 화합물 또는 방사능-표지된 화합물)과 접촉시킬 수 있으며, 그후 시료를 조사하고 형광 또는 방사능 신호를 검출하여 조직 시료내 p38의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치료 과정 중에 취한 반복 생검 시료는 또한 치료의 효능을 연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다른 진단 시험은 본 명세서의 교시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구체예는 세포 또는 조직 시료내 p38 단백질의 존재, 위치 및/또는 양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a) 화합물이 p38 MAPK와 결합할 수 있는 조건하에서 세포 또는 조직 시료를 구체예의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세포 또는 조직 시료내 화합물의 존재, 위치 및/또는 양을 결정함으로써 세포 또는 조직 시료내 p38 MAPK의 존재, 위치 및/또는 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세포 또는 조직 시료내 화합물의 존재, 위치 및/또는 양을 측정하는 단계는 세포 또는 조직내 화합물의 존재, 위치 및/또는 양을 나타내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개시된 바와 같이, 방사능 또는 형광 표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의 존재, 위치 및/또는 양을 결정하는 추가의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는 (1) 화합물이 염증성 이상으로부터 고통받는 대상을 치료하기 위한 유용한 치료제인 지를 결정하거나, (2) 질환의 중증도를 결정하거나, (3) 질환-조정제(disease-modifying agent)로 치료하는 동안 질환의 경과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a)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다른 질환-조정제로 치료하기 전, 치료하는 동안, 치료 완료후 대상으로부터 세포 또는 조직 시료를 얻는 단계; b) 시료를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시료와 결합하는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화합물의 p38 MAPK에 대한 결합은 시료내 p38 MAPK의 양과 관련이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에 의해 치료될 것으로 예측되는 질환의 구체적인 예
COPD
만성 폐색성 폐 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은 (1) 기도 및 유조직(parenchyma)내 염증 세포수의 증가(호중구, 대식세포 및 SD8+ T 세포), (2)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발현의 증가, 및 (3) 프로테아제 수의 증가(엘라스타제, 카텝신 및 매트릭스 금속단백분해효소 MMP(matrix metallo-proteinase))를 포함하는 폐내 만성 염증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기도 염증의 많은 잠재 매개체(potential mediator)의 생성 및 작용은 스트레스-유도된 MAPK 또는 p38 키나제 캐스케이드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몇몇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폐혈량 증가 이벤트와 p38 키나제 활성의 관련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폐 미세혈관 내피 세포상에서의 LPS- 및 TNFα-유도된 세포간 부착 분자-1 발현, MMP-9 활성화, 폐 동맥 세포의 저산소증-유도된 자극, 기관지 상피 세포내에서의 고오스몰증(hyperosmolarity)-유도된 IL-8 발현, 및 호산구 수송(trafficking)과 생존률 증가.
문헌[Trifilieff et al. (2005 Brit J Pharmacol 144:1002-10)]에는 CGH2466, 복합(combined)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 p38 MAPK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형태 4 억제제가 천식 및 COPD와 같은 질환에서 강력한 시험관내 및 생체내 항염증 활성을 보였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문헌[Underwood et al. (2000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79:L895-L902)]에는, 강력하고 선택적인 p38 MAPK 억제제 SB239063이 섬유아세포 증식 및 매트릭스 생성을 조절하는 그의 능력으로 인해 기도 섬유증과 관련이 있는 IL-1β, TNF-α, IL-6 및 IL-8을 비롯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감소시키며; 폐내 호중구 수송 및 활성화를 감소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어 있다. 이보다 먼저, 같은 화합물이 블레오마이신에 의해 유도된 만성 섬유증과 관련된 반응을 변경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억제 활성은 p38의 α 및 β 아이소형에 대하여 선택적이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은 COPD의 치료에 유용하다.
폐 섬유증
폐 섬유증은 또한 특발성 폐 섬유증(IPF), 미만성 간질성 폐 섬유증, 염증성 폐 섬유증 또는 섬유화성 폐포염이라고 불리며, 염증성 폐 장애로서 폐포 중격으로의 염증성 세포의 침투와 그로 인한 섬유증을 포함하는 폐포염에 의해 야기되는 폐포 사이 섬유 조직의 비정상적인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그룹의 이상(condition)이다. IPF의 영향은 만성적이고 진행적이며 종종 치명적이다. p38 MAPK 활성화는 폐 섬유증을 가진 환자의 폐에서 입증되었다. 폐내 일부 사이토카인의 지속적이고 증대된 발현이 염증 세포의 동원(recruitment) 및 세포외 매트릭스 성분의 축적, 이후 폐 구조의 리모델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폐 섬유증에 관한 다수의 조사에서 나타내고 있다. 특히, TNF-α 및 인터루킨 IL-1β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류가 폐렴 및 폐 섬유증의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추가로, TGF-β 및 CTGF와 같은 전섬유성(profibrotic) 사이토카인류가 또한 폐 섬유증의 발병기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헌[Matsuoka et al. (2002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83:L1O3-L112)]에는 p38 억제제 FR-167653이 뮤린 블레오마이신-유도된 폐 섬유증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어 있다. 추가로, 복합적인 항염증 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섬유화 효과를 가진 화합물 피르페니돈(5-메틸-1-페닐-2-(1H)-피리돈)은 폐 섬유증의 실험 모델뿐만 아니라 임상 연구에서도 효과적임이 밝혀졌다(Raghu et al. 1999 Am J Respir Crit Care Med 159:1061-1069; Nagai et al. 2002 Intern Med 41:1118-1123; Gahl et al. 2002 Mol Genet Metab 76:234-242; Azuma et al. 2002 Am J Respir Crit Care Med 165:A729).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은 IPF와 같은 폐 섬유증의 치료에 유용하였다.
신장 섬유증
초기 손상의 특징과 관계없이, 신장 섬유증은 신장 질환이 말기 신장 기능상실로 진행하는 공통적인 최종 경로인 것으로 고려된다. 문헌[Stambe et al. (2004 J Am Soc Nephrol 15:370-379)]에는 시오스 인코포레이션(Scios Inc.)(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소재)에 의해 개발된 p38의 활성(인산화) 형태의 억제제인 NPC 31169가 신장 섬유증을 가진 래트 모델에 대하여 시험되었고, 틈새 부피(interstitial volume), 콜라겐 IV 침착 및 결합 조직 성장 mRNA 수준에 의해 평가된 신장 섬유증의 현저한 감소가 보고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은 신장 섬유증의 치료에 유용하다.
평활근종
자궁 평활근종 또는 섬유종은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골반부 종양으로서, 이용가능한 장기효과적인 약물 치료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 평활근종은 세포 증식 및 조직 섬유화의 증가를 특징으로 한다. 배양시킨 자궁근 및 평활근종의 평활근세포에서의 세포 증식 및 콜라겐 발현에 대하여 피르페니돈을 시험하였고, 자궁근 및 평활근종 세포 증식의 효과적인 억제제인 것으로 밝혀졌다(Lee et al. 1998 J Clin Endocrinol Metab 83:219-223).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은 평활근종의 치료에 유용하다.
심내막심근 섬유증
심내막심근 섬유증(EMF, Endomyocardial fibrosis)은 제한성 심근증의 발생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이다. EMF는 때때로 뢰플러 심내막염(비열대성 호산구성 심내막심근 섬유증 또는 호산구 증가증을 수반하는 섬유형성성벽 심내막염)을 포함하는 일련의 단일 질환 과정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된다. EMF의 경우, 기초 과정(underlying process)은 심장의 심내막 표면의 반성 섬유증(patchy fibrosis)을 생성하는데, 심내막심근 표면이 전체적으로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순응성 및 결국에는 제한성 심근증이 감소된다. 심내막 섬유증은 주로 좌우 심실의 유입로를 침투하며, 방실 판막에 영향을 미쳐 삼첨판 및 승모판 역류를 유발시킨다. MAPK 활성화는 EMF에서 부정맥유발성 심방 구조 리모델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은 심내막심근 섬유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기타 염증성 질환
많은 자가면역 질환 및 만성 염증과 관련된 질환은 급성기 반응(acute response) 뿐만 아니라 p38 MAP 키나제의 활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류의 과발현 또는 조절이상과 연관이 있다. 이들 질환으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척추염; 골관절염; 통풍, 기타 관절성 이상; 패혈증; 패혈성 쇼크; 내독소성 쇼크; 그램-음성 패혈증; 독성 쇼크 증후군; 천식;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 만성 폐색성 폐 질환; 만성 폐 염증;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 건선; 습진; 궤양성 대장염; 췌장 섬유증; 간 섬유증; 급성 및 만성 신장 질환;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발열; 재협착증; 뇌성 말라리아; 졸중성 및 허혈성 손상; 신경성 외상; 알츠하이머병; 헌팅톤병; 파킨슨병; 급성 및 만성 동통;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결막염; 만성 심부전;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악액질; 말라리아; 나병; 레슈마니아증; 라임 질환; 라이터증후군; 급성 활막염; 근육 변성; 활액낭염; 건염; 건활막염; 헤르니아형, 파열형 또는 탈출형 추간원판 증후군; 골화석증; 혈전증; 암; 재협착증; 규폐증; 폐췌육증; 골 흡수 질환, 이를 테면 골다공증; 이식편-대-숙주반응; 및 자가면역 질환, 이를 테면 다발성 경화증, 루푸스 및 섬유근육통; AIDS 및 기타 바이러스성 질환, 이를 테면 대상 포진, 단순 포진 I 또는 II,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거대세포바이러스; 및 당뇨병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p38 MAP 키나제의 활성을 감소시키면, 그의 상류 활성인자(upstream activator) 또는 그의 하류 효과인자(downstream effector)가 유전적 또는 화학적 수단을 통해 염증성 반응을 둔화시켜 조직 손상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한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 의해 나타났다(예를 들어, 문헌[English, et al. 2002 Trends Pharmacol Sci 23:40-45; 및 Donget al. 2002 Annu Rev Immunol 20:55-72]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토카인의 과잉 또는 조절되지 않은 생성도 또한 억제하고, 하나 이상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할 수 있는 p38 활성의 억제제는 항염증성 제제 및 치료제로서 유용할 수 있다. 추가로, p38 MAP 키나제-관련 염증성 반응과 관련된 다수의 질환은 이들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심혈관계 질환. 염증 및 백혈구 활성화/침윤(infiltration)은 죽상경화증 및 심장 기능상실을 비롯한 심혈관계 질환의 개시 및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급성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 경로 억제는 심근 허혈/재관류 손상에서 조직 손상 및 백혈구 축적을 약화시킨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은 심혈관계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다발성 경화증. 중추신경계에서의 염증은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질환에서 발생하며, 축삭 기능이상 및 파괴를 유발시킨다. 시험관내 및 생체내 관찰 모두 염증성 축삭병증을 매개하는데 있어서 산화질소(NO)의 중요한 역할을 나타내고 있다. p38 MAP 키나제는 NO 노출에 의해 활성화되며, p38 신호전달의 억제는 뉴런 및 축삭의 생존 작용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OCM 및 IGF-1은 NO-노출된 피질 뉴런에서 p38 활성화를 감소시켰고, NO에 노출시킨 배양물에서 축삭의 생존을 개선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은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세포외 신호-관련 키나제 신호전달에 의존한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은 다발성 경화증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원발성 이식편 기능부전. 비특이성 염증은 원발성 이식편 기능부전(PNF, primary graft nonfunction)과 관련이 있다. 염증성 소도(inflammatory islet) 손상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류, 이를 테면 인터루킨-1β(IL-1β) 및 상주 소도 대식세포(resident islet macrophage)에 의해 생성된 종양 괴사 인자-α(TNF-α)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개된다. p38 경로는 단핵세포-대식세포 계통(lineage)의 세포에서의 사이토카인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적 p38 억제제 SB203580에 의해 p38 경로를 억제하면, 리포다당질(LPS) 및/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류에 노출된 인간 소도에서 IL-1β 및 TNF-α 생성이 억제된다. IL-1β는 주로 상주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되지만, 도관 세포 및 소도 혈관 내피 세포가 분리된(isolated) 인간 소도에서의 IL-1β의 또 다른 세포 공급원인 것이 밝혀졌다. SB203580은 또한 처리한 소도에서 유도가능 산화질소 신타제(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제-2(COX-2) 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추가로, 이식하기 전에 SB203580으로 1 시간동안 처리한 인간 소도는 이식편의 기능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은 임상적 소도 이식에서 이식편의 생존률을 개선하는데 유용하다.
급성 신장 손상. 시스플라틴(cisplatin)은 중요한 화학요법제이나 급성 신장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급성 신장 손상의 일부는 종양 괴사 인자-α(TNF-α)를 통해 매개된다. 시스플라틴은 p38 MAPK를 활성화시키고 암세포에서의 세포자멸을 유도한다. p38 MAPK 활성화는 허혈성 손상 및 대식세포에서 TNF-α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시험관내에서, 시스플라틴은 근위 세관 세포에서 p38 MAPK의 용량 의존적 활성화를 야기하였다. p38 MAPK 활성화를 억제하였더니 TNF-α의 생성이 억제되었다. 생체내에서, 단일 용량의 시스플라틴으로 처리한 마우스에서 중증의 신장 기능이상이 전개되었으며, 이는 신장 p38 MAPK 활성의 증가 및 침윤 백혈구의 증가를 수반하였다. 그러나, 시스플라틴과 함께 p38 MAPK 억제제 SKF86002로 처리한 동물에서는 시스플라틴+비히클(vehicle)로 처리한 동물에 비해 더 적은 신장 기능이상, 덜 중증인 조직학적 손상 및 더 적은 백혈구를 나타내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은 급성 신장 손상을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치주염. 전염증성 매개체 브라디키닌(BK, bradykinin)은 시험관내에서 인간 치은 섬유아세포내 인터루킨-8(IL-8) 생성을 자극하며, 치주염을 비롯한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발병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정의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 억제제 SB203580은 IL-1β-자극 IL-8 생성뿐만 아니라 BK 및 IL-1β의 조합에 의해 자극된 IL-8 생성을 감소시켰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방법은 치주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일부 구체예에서, 위에 개시된 용도 중 어느 것에 대한 p38 억제제는 하기한 것들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지 않는다:
Figure 112008044372620-PCT00026
Figure 112008044372620-PCT00027
Figure 112008044372620-PCT00028
Figure 112008044372620-PCT00029
Figure 112008044372620-PCT00030
Figure 112008044372620-PCT00031
Figure 112008044372620-PCT00032
Figure 112008044372620-PCT00033
Figure 112008044372620-PCT00034
Figure 112008044372620-PCT00035
Figure 112008044372620-PCT00036
Figure 112008044372620-PCT00037
및 피르페니돈.
약학 조성물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지만, 화합물을 약학 조성물로서 제제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이상, 예를 들어 p38 활성 또는 사이토카인 활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관련된 이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약학 조성물은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 또는 둘 모두에서 이상을 치료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는 임의의 조성물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생체내로 투여될 수 있다. 대상으로는 하나 이상의 세포 또는 조직, 또는 기관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대상은 포유동물이다. 포유동물로는 임의의 포유동물, 이를 테면 비한정적인 예로서 소, 돼지, 양, 염소, 말, 낙타, 버팔로, 고양이, 개, 래트, 마우스 및 인간이 포함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대상인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구체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특정의 투여 방식 및 투여 형태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이를 테면, 담체, 용매, 안정화제, 보조제(adjuvants), 희석제 등과 함께 제제화시킬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pH를 달성하도록 제제화되어야 하며, 제제화 및 투여 경로에 따라 pH 약 3 내지pH 약 11, 바람직하게는 약 pH 3 내지 약 pH 7의 범위일 수 있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pH는 약 pH 5.0 내지 약 pH 8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약학 조성물은 치료학적 또는 예방적 유효량의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약학 조성물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세균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제2의 활성성분(예를 들어 항균제 또는 항미생물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경구적 또는 경구적 투여용 제제는 대부분 전형적으로 고체, 액체 용액, 유제 또는 현탁제인 반면, 경폐 투여용 흡입가능 제제는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분말이고, 분말 제제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약학 조성물은 또한 투여하기 전에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재구성되는 동결건조 고체로 제제화될 수 있다. 대안적인 약학 조성물은 시럽, 크림, 연고, 정제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과 같은 약제학적 제제를 투여하기 위한 부형제를 말한다. 이 용어는 과도한 독성없이 투여될 수 있는 임의의 약제학적 부형제를 말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투여되는 특정 조성물 뿐만 아니라 조성물을 투여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방법에 의해 일부 결정된다. 따라서, 폭넓은 종류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제제가 존재한다(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를 참조할 수 있다).
적절한 부형제는 단백질, 다당질,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중합체 아미노산, 아미노산 공중합체 및 불활성 바이러스 입자와 같이 크고 느리게 대사되는 거대분자를 포함하는 담체 분자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부형제로는 항산화제, 이를 테면 아스코르브산; 킬레이트화제, 이를 테면 EDTA; 탄수화물, 이를 테면 덱스트린, 히드록시알킬셀룰로즈, 히드록시알킬메틸셀룰로즈, 스테아르산; 액체, 이를 테면 오일, 물, 식염수, 글리세롤 및 에탄올; 습윤제 또는 유화제; pH 완충 물질; 등이 포함된다. 리포좀이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의 정의내에 포함된다.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은 의도된 투여 방법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경구용인 경우, 예를 들어 정제, 트로키(troche), 로젠지(lozenge),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비수성 용액, 분산성 산제(dispersible powder) 또는 과립제(미분 입자 또는 나노입자 포함), 유제, 경질 또는 연질 캡슐제, 시럽 또는 에릭시르제(elixir)가 제조될 수 있다. 경구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은 맛좋은 제제를 제공하기 위해 감미제, 착향제, 착색제 및 보존제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시약을 함유할 수 있다.
정제와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이를 테면 셀룰로즈, 탄산칼슘 또는 탄산나트륨, 락토즈, 인산칼슘 또는 인산나트륨; 붕해제, 이를 테면 가교결합 포비돈, 옥수수 전분 또는알긴산; 결합제, 이를 테면 포비돈, 전분, 젤라틴 또는 아카시아; 및 윤활제, 이를 테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활석이 포함된다.
정제는 코팅되지 않을 수도 있거나, 소화관에서의 붕해 및 흡착을 지연시켜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미세캡슐화를 비롯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코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시간 지연 물질이 단독 또는 왁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는 또한 활성 성분이 불활성 고체 희석제, 예를 들어 셀룰로즈, 락토즈,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혼합되는 경우에는 경질 젤라틴 캡슐제로서 또는 활성 성분이 비수성 또는 유성 매질, 이를 테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낙화생유, 액체 파라핀 또는 올리브유와 혼합되는 경우에는 연질 젤라틴 캡슐제로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현탁액 제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의 혼합물로 구체예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현탁액으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부형제의 첨가에 의해 현탁액 제조에 적합한 분산가능 산제 또는 과립제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현탁액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형제로는 현탁화제, 이를 테면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알기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검 트라가칸트, 검 아카시아, 분산제 또는 습윤제, 이를 테면 자연발생 포스파티드(예를 들어, 레시틴), 지방산과 알킬렌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장쇄 지방족 알콜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예를 들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증점제, 이를 테면 카보머, 밀랍(beeswax),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콜이 포함된다. 현탁액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존제, 이를 테면 아세트산, 메틸 및/또는 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착향제; 및 하나 이상의 감미제, 이를 테면 수크로스 또는 사카린을 함유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또한 수중유(oil-in water) 유제의 형태일 수 있다. 유성상은 올리브유 또는 아라키스유와 같은 식물유, 액체 파라핀과 같은 광물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로는 자연발생 검, 이를 테면 검 아카시아 및 검 트라가칸트; 자연발생 포스파디드, 이를 테면 대두 레시틴,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헥시톨 무수물, 이를 테면 솔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에틸렌 옥사이드와 이들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이를 테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에이트가 포함된다. 유제는 또한 감미제 및 착향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럽 및 에릭시르제는 글리세롤, 솔비톨 또는 수크로즈와 같은 감미제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또한 점활제, 보존제, 착향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추가로, 약학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제제, 이를 테면 멸균 주사용 수성 유제 또는 유성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유제 또는 현탁액은 상기 언급한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이를 테면 1,2-프로판-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동결건조 분말로서 제조될 수 있다.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 중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 링거 용액 및 염화나트륨 등장수이다. 또한, 멸균 고정유가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비롯한 임의의 무자극성(bland) 고정유(fixedoils)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이 마찬가지로 주사가능 물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안정한 수용성 투여형의 약학 조성물을 얻기 위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수용액, 이를 테면 숙신산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의 0.3 M 용액에 용해시킬 수 있다. 수용성 염 형태를 얻을 수 없는 경우, 화합물을 적합한 공용매 또는 공용매의 조합물에 용해시킬 수 있다. 적합한 공용매의 예로는 총 부피의 약 0 내지 약 60% 범위의 농도로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 폴리소르베이트 80, 글리세린 등이 포함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활성 화합물을 DMSO에 용해시키거나 물로 희석시킨다.
약학 조성물은 또한 물 또는 등장 식염수 또는 덱스트로즈 용액과 같은 적절한 수성 비히클 중의 활성 성분의 염 형태의 용액 형태일 수 있다. 화합물이 더욱 적합하게 전달(예를 들어, 용해도, 생물활성 및 맛의 증가, 및 부작용의 감소 등)될 수 있도록 하는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부분의 치환 또는 첨가에 의해, 예를 들어 에스테르화, 글리코실화, PEG화 등에 의해 변형된 화합물이 또한 예측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에 적합한 지질계 제제로 경구적으로 투여하기 위해 제제화될 수 있다. 지질계 제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화합물의 경구적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약학 조성물은 치료학적 또는 예방적 유효량의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중쇄 지방산 또는 그의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예를 들어, 카프릴계 및 카프린계 지방산과 같은 식용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 폴리옥실 40 수소화 피마자유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계면활성제와 함께 포함한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수용해도 향상제로서 시클로덱스트린이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시클로덱스트린으로는 α-, β- 및 γ-시클로덱스트린의 히드록시프로필, 히드록시에틸, 글루코실, 말토실 및 말토트리오실 유도체가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시클로덱스트린 용해도 향상제는 히드록시프로필-o-시클로덱스트린(BPBC)이며, 이것은 상술된 조성물 중 임의의 것에 첨가되어 구체예의 화합물의 수용해도 특징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20%의 히드록시프로필-o-시클로덱스트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5%의 히드록시프로필-o-시클로덱스트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0%의 히드록시프로필-o-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용해도 향상제의 양은 조성물내의 구체예의 화합물의 양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약학 조성물은 의도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활성 성분(들)의 총량을 함유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부 구체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치료학적 유효량(예를 들어, 염증성 질환 또는 이상의 증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SAPK-조절 화합물의 양으로서, 여기서 화합물은 p38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μM 내지 약 1000 μM, 바람직하게는 약 200 μM 내지 약 8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낸다)을 함유한다. 담체 물질과 결합하여 단위 투여형을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의 총량은 치료받는 숙주 및 특정의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조성물은 용량 0.01 내지 100 mg/kg체중/일의 SAPK-조절 화합물이 조성물을 받는 환자에게 투여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실시예 1
시험관내에서 p38 MAP 키나제에 의한 ATF2 인산화를 억제하는 능력에 대하여 화합물을 스크리닝하였다. 시험관내 분석에서 ATF2 인산화를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은, 생체내에서 p38 MAP 키나제 및 TNFα 발현을 억제하는 것과 상관이 있으며, 따라서 잠재적인 생체내 치료 활성의 지표이다(Raingeaud, J. et al. 1995 J. Biol. Chem . 270:7420-7426; Brinkman, M.N., et al. 1999 J. Biol . Chem . 274:30882-30886; and Fuchs, S.Y. et al. J. Biol . Chem . 275:12560-12564, 2000).
모든 키나제 및 기질 ATF2는 업스테이트(Upstate)(버지니아 샬로츠빌 소재)로부터 입수하였다. p38 MAP 키나제는 이. 콜라이(E. coli)에서 발현시키고 정제시킨 아미노-말단 GST 융합을 가진 재조합 인간 전장(full-length) 단백질이다. ATF2 는 이. 콜라이(E. coli)에서 발현시킨 인간 ATF2의 19-96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GST 융합 단백질이다. 모든 단백질은 분취하여 -80℃에서 저장하였다.
25 mM HEPES, pH 7.5, 10 mM MgCl2, 2 mM DTT, 20 mM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0.1 mM Na3VO4, 40 μM ATP 및 1.25 μM의 ATF2를, 6 ng의 p38α 단백질, 12 ng p38β 단백질, 1.5 ng p38γ 또는 0.4 ng JNK2α2와 함께 함유하는 분석 버퍼(assay buffer)를 사용하여 p38 MAP 키나제 분석을 수행하였다. 화합물을 DMSO에 연속적으로 희석하고, 다양한 농도의 2 ㎕의 시험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비히클 대조군은 DMSO만을 수여받았다.
시험 화합물을 20 ㎕의 효소와 함께 키나제 버퍼(25 mM HEPES, pH 7.5, 10 mM MgCl2, 2 mM DTT, 20 mM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및 0.1 mM Na3VO4) 중에서 15분동안 실온에서 예비-인큐베이션하였다. 30 ㎕의 기질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여 키나제 버퍼 중 최종 농도 40 μM ATP 및 1.25 μM ATF2를 수득하였다. 반응을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고, 18 ㎕의 200 mM EDTA를 첨가하여 종결시켰다. ELISA 방법을 사용하여 Thr 69에서 ATF2의 인산화를 측정하였다. 높은 결합 96-웰플레이트를 50 ㎕의 키나제 반응으로 1 시간동안 37℃에서 코팅하였다. 코팅한 플레이트를 200 ㎕의 세척 버퍼(25 mM Tris HCl, pH 8.3, 192 mM 글리신, 0.1% SDS 및 0.05% Tween-20)로 3회 세척하였다. 이어, 플레이트를 TBS 중 SuperBlock(피어스(Pierce), 37535)으로 3회 세척하였다. 블로킹(blocking)한 후, 플레이트를 50 ㎕의 토끼 항-포스포-ATF2 항체(셀 시그널링(Cell Signaling), 9221L, 1:500)와 함 께 37℃에서 30 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를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50 ㎕ HRP-접합(conjugated) 염소 항-토끼 항체(셀 시그널링, 7074, 1:500)와 함께 37℃에서 30 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 플레이트를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50 ㎕의 Ultra TMB-ELISA(피어스(Pierce), 34028)와 함께 실온에서 8 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마지막으로, 50 ㎕의 인산(1 M)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SpectraMax 250 플레이트 판독기(plate reader)에서 450 nm에서의 플레이트 흡광도를 판독하였다.
화합물은 이러한 시험관내 분석에서 ATF2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약 100 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μM 이하의 IC50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시험관내에서 리포다당질(LPS)로 자극시킨 THP-1 세포로부터 TNFα 방출을 억제하는 능력에 대하여 화합물을 스크리닝하였다. 이러한 시험관내 분석에서 TNFα 방출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은, p38 활성 및 TNFα를 억제하는 것과 상관이있으며, 따라서 잠재적인 생체내 치료 활성의 지표이다(Lee J. C. et al. 1993 Ann. N.Y. Acad . Sci . 696:149-170; 및 1994 Nature 372:739-746).
에이티시시(ATCC)(TIB202)로부터의 THP-1 세포를, 4.5 g/ℓ의 글루코스를 함유하고 10% 소태아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50 μM β-머캅토에탄올로 보충시킨 RPMI 1640 배지(미디어텍(MediaTech), 버지니아 헌든 소재) 중에서 37℃, 5% CO2에 유지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먼저 1% DMSO(v/v)와 함께 RPMI 배지에 용해시켰다. 이어, 모든 후속 희석액을 위해 화합물을 RPMI 배지중에서 연속적으로 희석하였다. 멸균 조건하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배양 밀도 6-8×105 세포/㎖로 THP-1 세포를 수집하고, RPMI 배지에 106 세포/㎖로 재현탁하였다. 재현탁한 세포 100 ㎕를 100 ㎕의 시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최종 농도의 2 배로 제조하였다. DMSO의 최종 농도는 0.5% (v/v)이하였다. 세포를 화합물과 함께 37℃, 5% CO2에서 60 분동안 예비-인큐베이션한 다음, 리포다당질(LPS)(시그마(Sigma) L-2880, PBS 중 4 ㎎/㎖ 스탁(stock))로 자극하였다. 각 웰의 최종 LPS 농도는 TNFα 및 IL-1β 방출에 대하여 각각 10 또는 30 ㎍/㎖이었다. 자극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 현탁액에는 PBS 비히클만을 수여받았다. 세포 혼합물을 TNFα 및 IL-1β 방출을 위해 각각 18 또는 48 시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50 ㎕의 상청액을 취해 신선한 플레이트로 옮기고 추가 분석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TNFα 및 IL-1β 수준을 측정하였다. 플레이트 판독기로서 발광(Luminescence)을 사용하였다. 비선형 회귀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여 용량 반응 곡선을 얻었다. 산출된 IC50 값은 TNFα 또는 IL-1β 수준을 50% 감소시키는 시험 화합물의 농도이다.
이러한 시험관내 분석에서 화합물은 TNFα, IL-1β, 또는 TNFα 및 IL-1β 모두의 방출을 억제하였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TNFα 및/또는 IL-1β에 대하여 약 100 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 μM 이하의 IC50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시험관내에서 리포다당질(LPS)로 자극시킨 일차 인간 말초 혈액 단핵세포(PBMC, primary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로부터 TNFα 방출을 억제하는 능력에 대하여 화합물을 스크리닝하였다. 이러한 시험관내 분석에서 TNFα 방출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은, p38 활성을 억제하는 것과 상관이 있으며, 따라서 잠재적인 생체내 치료 활성의 지표이다(2002 Osteoarthritis & Cartilage 10:961-967; and Laufer, S.A. and Wagner, G.K. 2002 J Med . Chem . 45:2733-2740).
3-8명의 공혈자의 혼주 혈청으로부터 Ficoll-HyPaque 밀도 구배를 통한 분별 원심분리에 의해 인간 말초 혈액 단핵세포(PBMC)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PBMC는 대략 10%의 CD-14 양성 단핵세포, 90%의 림프구 및 <1%의 과립구 및 혈소판을 함유하였다. PBMC(106/㎖)를 폴리스티렌 플레이트에서 배양하고, 연속 희석액 중의 시험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하에 이중으로 무혈청 GIBCOTM RPM1 배지(인비트로겐(Invitrogen), 캘리포니아 칼스배드 소재)에서 24 시간동안 37℃에서 리포다당질(LPS; 50 ng/㎖; 시그마(Sigma), 미주리 세인트 루이스 소재)로 자극시켰다. 세포 상청액 중의 TNFα 수준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키트(MDS Panlabs #309700)를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이러한 분석에서 TNFα의 방출을 약 100 μM 이하, 바람 직하게는 약 1 μM 이하의 IC50 값으로 억제하였다.
실시예 4
생체내 동물 모델에서 TNFα 방출을 억제하는 능력에 대하여 화합물을 스크리닝하였다(예를 들어, 문헌[Griswold D. E. et al. 1993 Drugs Exp . Clin . Res . 19:243-248; Badger, A.M. et al. 1996 J. Pharmacol . Exp . Ther . 279:1453-1461; Dong, C. et al. 2002 Annu . Rev . Immunol . 20:55-72(및 상기 문헌에 인용된 참고문헌); Ono, K. and Han, J. 2000 Cellular Signalling 12:1-13 (및 상기 문헌에 인용된 참고문헌); and Griffiths, J.B. et al. 1999 Curr . Rheumatol . Rep . 1:139-148]을 참조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의해 결부됨이 없이, 이러한 모델에서 TNFα의 억제는 화합물에 의한 p38 MAP 키나제의 억제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수컷 스프래그-돌리(Sprague-Dawley) 래트(0.2-0.35 ㎏)를 무작위적으로 6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경우에 적합한 제제의 형태로 시험 화합물을 주입 또는 일시 주사(bolus injection)에 의해 정맥내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하였다. 주입 또는 일시 주사하고 30 분후 및 경구 투여하고 1-2 시간후, 리포다당질 이 콜라이(E. coli)/0127:B8(0.8 ㎎/㎏)를 정맥내 투여하였다. LPS로 처리하고 1.5 시간후에 혈액 시료를 수집하였다. 바이오소스(Biosource)(KRC3011C)의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혈청 TNFα 수준을 측정하고 비히클-처리 대조군으로부터의 수준과 비교하였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생체내 분석에서 TNFα의 방출을 억제하였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5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의 EC50 값을 나타내었다.
화합물에 의한 p38 억제의 IC50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p38 MAPK의 하류 기질 중 임의의 것을 정량적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방법은 개별적으로 또는 유전자 어레이(gene array)로서 p38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의 발현을 검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5
키나제 분석
P38 키나제 아이소형 P38γ 및 P38α의 활성을 32P-γ-ATP의 존재하에서 ARF-2의 인산화에 의해 측정하였다. 억제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32P가 ATF-2에 도입되는 것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생화학적 분석으로 P38γ 및 P38α 키나제 활성의 억제에 대하여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시험하였다. 화합물을 물 또는 DMSO에 용해시키고, 적합한 희석용 용매를 사용하여 0 내지 10 mM의 상이한 농도에서 및 비히클 대조군으로써 시험하였다. 효소 P38γ 및 P38α는 활성화 및 정제된 재조합 단백질로서 수득되었다(업스테이트(upstate), 버지니아 샬로츠빌 소재). 활성화된 효 소는 최종 반응에서 24.8 nM로 사용하였다. 반응에 앞서, 효소를 버퍼(1M HEPES, pH 7.4, 50OmM DTT, 1% Triton X-100 및 1O ㎎/㎖ BSA)로 희석하였다. 2 배의 스탁 용액으로서 제조된 용액(1M HEPES, pH 7.4, 50OmM DTT 및 1% Triton X-100)에서 반응을 수행하였고, 비방사성 ATP는 이 반응에서 6.25 μM ATP(셀 시그널링, 매사추세츠 비버리 소재)로 존재하였다. ATF-2의 인산화를 측정하기 위해, 32P-γ-TP 3000Ci/밀리몰을 각 반응에 7.5 μM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키나제 기질로서 ATF-2(셀 시그널링, 매사추세츠 비버리 소재)를 3 μM로 사용하였다. 효소 반응을 어셈블링하는 첫 제1단계로서, 활성화된 키나제 및 억제제 또는 적합한 비히클 대조군을 반응 버퍼에 첨가 첨가하고, 실온에서 30 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ATF-2 및 ATP 혼합물의 첨가에 의해 키나제 반응을 개시하였다. 각 반응에 대한 최종 부피는 20 ㎕이었고, 실온에서 30 분동안 실시하였다. 인큐베이션 30 분후, 80 ㎕의 Laemmlie 버퍼를 첨가하였다. 그후, 환원 조건하에 SDS-Page(바이오래드(BioRad), 캘리포니아 헤라클레스 소재)에서 반응의 20%를 분리하였다. 전기영동후, 겔을 32P-증감지(intensifying screen)에 실온에서 밤새 노출시키고, 포스포이메이저(phosphoimager)인 Storm System(애머샴 바이오사이언시스(Amersham Biosciences), 뉴저지 피스캐터웨이 소재)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득된 신호를 바탕 보정(background correction)후 정량한 다음, 비히클 대조군에 의해 억제되지 않은 키나제 활성을 0% 억제율로서 사용하여 % 억제율로서 산출하였다. 상이한 억제제 농도의 존재하에서의 키나제 활성을 칼레이다그래프(Kaleidagraph)(시너지 소 프트웨어(Synergy Software), 펜실베이니아 레딩 소재)를 사용하여 플롯팅하여 각각의 화합물 및 시험 p38 키나제에 대한 EC50을 측정하였다.
TNF α 유도의 억제
THP-1(에이티시시(ATCC), 메릴랜드 록빌 소재)을 에이티시시사가 권고하는 바와 같은 정상적인 조직 배양 조건하에서 성장시켰다. 실험하기 18 시간전에, 세포를 1% 혈청 및 500,000 세포/웰의 밀도로 0.25 ㎖의 배양 부피를 함유하는 정상 배지에서 96 웰 포맷에 플레이팅하였다. 각각의 웰에 삼중으로 세포를 첨가하였고, 적절한 용매 대조군을 각각의 분석에 포함시켰다. 1 μM/㎖의 p38 억제제 SB203850(업스테이트(upstate), 버지니아 샬로츠빌 소재)을 각각의 분석에서 양성 대조군으로서 포함시켰다. TNFα 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화합물을 첨가하고 30 분후에 각각의 웰에 1 ㎍/㎖의 LPS를 첨가하였다. 조직 배양 조건하에서 4 시간 인큐베이션한 다음, 세포를 원심분리에 의해 침전시킨 다음(10 분, 1OOO rpm, Beckman table top centrifuge), 세포 무함유 상청액의 분핵을 수집하고 TNFα 특이 ELISA(알앤디 시스템즈(R&D Systems), 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 소재)에서 정량화하기 위해 1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TNFα ELISA는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TNFα는 pg/㎖로 검출하였고 용매 대조군에서의 TNFα 발현에 대하여 정규화시킨 분획 활성으로서 플롯팅하였다.
세포계 분석에서 화합물 독성 시험
세포막 파열의 결과로서 LDH가 방출되는 것을 세포 독성의 측정에 적용하였 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진단 키트(로슈 다이어그노스틱스(Roche Diagnostics), Cat# 1 644 793)를 사용하여 그의 효소 활성에 의해 LDH를 검출하였다. 이전 실험에서 유도된 TNFα 발현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세포 독성의 측정에 THP-1 세포를 사용하였다. TNFα 유도 억제 시험에 대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세포를 1% 혈청 및 정상적인 조직 배양 조건하에 96 웰 포맷에서 배양하였다. 화합물을 상이한 농도로 삼중으로 첨가하였다. 적절한 용매 대조군을 각각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화합물을 첨가한 후, 세포를 정상적인 조직 배양 조건하에서 18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러한 인큐베이션 기간후, Triton-x-100(2% v/v)을 미처리 세포에 첨가하여 양성 대조군을 개시시킨 다음, 완전한 세포 용해를 위해 추가로 10 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 원심분리에 의해 세포를 침전시키고, 상청액의 분획을 제거한 다음 제조자의 지침에 따라 LDH 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Triton-X-100 용해 세포를 100% 세포 독성으로 정규화시킨 % 세포 독성으로서 데이터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Figure 112008044372620-PCT00038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바로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상업적 공 급원으로부터 얻거나 공지된 방법을 통해 제조한 R-치환된 3-아실피리딘(화합물 2)을 에틸 머캅토 아세테이트 음이온과 반응시켜 티에노[2,3-b]피리딘 유도체(화합물 3)를 형성하였다. 화합물 3을 N-옥사이드(화합물 4)로 산화시키고, 아세트산 무수물로 처리하고 이어 가수분해하여 피리디논(화합물 5)으로 전환시켰다. 화합물 5를 아세트산 구리의 존재하에 4-클로로페닐 보론산을 사용하여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N-아릴화시켰다. 화합물 1은 I 부류 화합물의 예이다. I 부류의 다른 화합물이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될 수 있다.
실시예 7
Figure 112008044372620-PCT00039
화학식 (9)의 화합물을 바로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로 2-티오메틸-4-메틸피리미딘을 탈양성화시킨 다음 적합한 N,O-디 메틸하이드록사미드(화합물 1)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케톤(화합물 2)을 제공하였다. 후자를 아세트산 중에서 아질산나트륨과 반응시켜 알파-옥시모케톤(화합물 3)으로 전환시켰다. 화합물 3을 N-벤질옥시카보닐 (Cbz)-보호된 피페리딘-4-카브알데하이드와 축합하여 N-히드록시이미다졸(화합물 4)을 제공한 다음, 통상적인 조건하에 이미다졸 중간체(화합물 5)를 형성하도록 환원시키고 메틸화하여 N-메틸-이미다졸(화합물 6)로 전환시켰다. 설폰(화합물 7)을 형성하도록 산화시킨 다음, 메틸설포닐 그룹을 아민으로 치환하여 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8)를 제공하였다. 아세트산 중 HBr과 같은 표준 조건하에서 피페리딘 질소를 최종적으로 탈보호하여 목적하는 치환된 이미다졸(화합물 9)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9는 II 부류 화합물의 예이다. II 부류의 다른 화합물이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될 수 있다.
실시예 8
Figure 112008044372620-PCT00040
화학식 (4)의 화합물을 바로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지된 방법(문헌[J. Org. Chem., 62, 17, 5908-5919]을 참조할 수 있다)에 따라 합성하였다. 피나콜론 음이온을 에틸 옥살레이트와 반응시켜 5,5-디메틸-2,4-디옥소헥산산의 에틸 에스테르(화합물 1)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을 적절히 치환된 하이드라진과 반응시켜 피 라졸(화합물 2)을 제공한 다음,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목적하는 화합물 4로 전환시켰다. 화합물 4는 III 부류 화합물의 예이다. III 부류의 다른 화합물이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될 수 있다.
실시예 9
Figure 112008044372620-PCT00041
화학식 (4)의 화합물을 바로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에틸 4-메틸티오메틸벤조에이트를 에탄올성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제조한 벤즈아미딘(화합물 1)을 알파-클로로케톤(화합물 2)과 반응시켜 이미다졸(화합물 3)을 제공하였다. 표준 조건하에, 예를 들어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황산칼륨으로 중간체(3)를 산화시켜 목적하는 화합물(4)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4는 IV 부류 화합물의 예이다. IV 부류의 다른 화합물이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될 수 있다.
실시예 10
배양된 세포에의 p38 α 또는 p38 γ를 표적하는 짧은 헤어핀 RBNA ( shRNA )의 도입.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미주리 세인트 루이스 소재)로부터 MISSIONTM TRC shRNA 렌티바이러스 입자를 얻었다. 이들 자가-불활성화 복제 불능 바이러스 입자는 U6 프로모터로부터 shRNA을 발현하고 감염 세포의 퓨로마이신 선택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shRNA는 인간 p38γ(서열번호:1-4를 가진 코딩 영역을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 입자) 및 인간 p38α(서열번호:5-8을 가진 코딩 영역을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 입자)를 표적으로 하도록 설계되었다. 제1대조군 렌티바이러스 입자는 적어도 5개의 미스매치(mismatch)를 모든 알려진 인간 및 마우스 유전자에 운반하는 shRNA를 코딩하였지만, 임의의 공지된 인간 또는 마우스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지 않았다. 제2대조군 렌티바이러스 입자는 shRNA을 발현하지 않았다. 녹색 형광 단백질(GFP, green fluorescent protein)을 발현하도록 설계된 제3대조군 렌티바이러스 입자를 사용하여 감염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HFL1 세포(에이티시시(ATCC), 메릴랜드 록빌 소재)를, L-글루탐산염, 10% 소태아 혈청, 중탄산나트륨(1.5 g/L)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으로 보충시킨 F12K 배지(미디어텍(MediaTech), 버지니아 헌든 소재) 중에서 37℃, 5% CO2에 유지하였다. 세포를 감염시키기 하루 전에 24개의 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였고, 감염시 대략 2/3가 융합되었다(confluent). 감염을 위해, 배지를 제거하고 0-12 ㎍/㎖의 헥사디메트린 브로마이드(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미주리 세인트 루이스 소재)를 함유하는 신선한 배지로 교체한 다음 감염다중도(MOI) 1-5로 렌티바이러스 입자를 첨가하였다. 24 시간후, 감염 배지를 제거하고 신선한 배치로 교체하였다. 감염후 모든 단계에 대하여, 세포를 필요에 따라 5 내지 완전 융합의 스탁을 유지 하도록 통과시켰다. 감염후 1-3 일동안, 세포를 비감염 세포의 퓨로마이신 민감성에 기초하여 정의된 0.2-1 ㎍/㎖의 최종 농도를 가진 퓨로마이신 선택하에 배치하였다. 5-10 일동안 선택을 유지하였고, 비감염 세포의 생육성 손실뿐만 아니라 GFP를 발현하도록 설계된 렌티바이러스로 핵산전달감염된 세포를 관찰함으로써 선택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HFL1 세포를 모의 감염시키거나, HFL1 세포를 퓨로마이신 내성을 부여하고, 인간 p38α(서열번호:5-8)를 표적화시키는 shRNA, 인간 p38γ(서열번호:1-4)를 표적화시키는 shRNA, 공지된 인간 및 마우스 유전자를 표적화시키지 않는 shRNA, 무(대조군 바이러스) 또는 녹색 형광 단백질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도록 설계된 렌티바이러스로 감염시켰다.
NIH3T3 세포(에이티시시(ATCC), 메릴랜드 록빌 소재)를, L-글루탐산염, 10% 소태아 혈청, 중탄산나트륨(1.5 g/L)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으로 보충시킨 DMEM 배지(미디어텍(MediaTech), 버지니아 헌든 소재) 중에서 유지하였다. 상술된 바와 같이 세포를 감염시키고 퓨로마이신 선택하도록 하였다. NIH3T3 세포를 모의 감염시키거나, NIH3T3 세포를 퓨로마이신 내성을 부여하고, 인간 p38α(서열번호:5-8)를 표적화시키는 shRNA, 인간 p38γ(서열번호:1-4)를 표적화시키는 shRNA, 공지된 인간 및 마우스 유전자를 표적화시키지 않는 shRNA, 무(대조군 바이러스) 또는 녹색 형광 단백질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도록 설계된 렌티바이러스로 감염시켰다.
실시예 11
정량 PCR 을 이용한 mRNA 의 분리 및 mRNA 수준의 측정. RNaqueous 96 RNA 분 리 키트(앰비온(Ambion), 텍사스 오스틴 소재)를 사용하고 제조자의 지침에 따라 약 15,000 내지 150,000 개 세포로부터의 RNA를 얻었다. 랜덤 헥사머 프라이머(random hexamer primer)를 사용하는 TaqMan® 역전사 시약(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Applied Biosystems), 뉴저지 브랜치버그 소재)을 이용하고 제조자의 지침에 따라 RNA를 cDNA로 전환시켰다. 위에서 얻은 cDNA,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프로브 프라이머 세트(TaqMan® Gene Expression Arrays,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 및 TaqMan® Universal PCR Master Mix(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 뉴저지 브랜치버그 소재)를 사용하고 제조자의 지침에 따라 Applied Biosystems 7900 HT Sequence Detection System(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Applied Biosystems), 뉴저지 브랜치버그 소재)에서 정량 PCR 반응을 삼중으로 실시하였다. 인간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탈수소효소(GAPDH; 내인성 대조군), 인간 p38α 및 인간 p38γ를 증폭하도록 설계된 프로브/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HFL1 세포에 대하여 상기 3 개의 플레이트를 처리하였다. 마우스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탈수소효소(GAPDH; 내인성 대조군), 마우스 p38α 및 마우스 p38γ를 증폭하도록 설계된 프로브/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NIH3T3 세포에 대하여 상기 3 개의 플레이트를 처리하였다. 내인성 대조군으로서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탈수소효소를 사용하여 입력 RNA의 수준을 표준화시킨 ΔΔCt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역치(Ct, threshold cycle) 값을 증폭 플롯의 기하학적 위상(geometric phase)으로부터 수득하였다. 유전자 발현의 상대적 수준을 다음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측 정하였다:
ΔΔCt=(평균 Ct분석물 GAPDH-평균 Ct대조군 GAPDH)-(평균 Ct분석물 p38-평균 Ct대조군 p38)
상기 식에서,
평균 Ct분석물 GAPDH는 GAPDH 프로브 프라이머 세트를 가진 분석물(렌티바이러스 처리) 세포주에 대한 평균 Ct 값이고,
평균 Ct대조군 GAPDH는 GAPDH 프로브 프라이머 세트를 가진 대조군 세포(미처리)에 대한 평균 Ct 값이며,
평균 Ct분석물 p38은 p38(α 또는 γ) 프로브 프라이머 세트를 가진 분석물(렌티바이러스 처리) 세포주에 대한 평균 Ct 값이고,
평균 Ct대조군 p38은 p38(α 또는 γ) 프로브 프라이머 세트를 가진 대조군 세포(미처리)에 대한 평균 Ct 값이다.
입력 RNA 수준을 GAPDH 내인성 대조군을 사용하여 보정했을 때 미처리 세포와 비교한 렌티바이러스 처리 세포에서의 상대 p38 mRNA 수준으로서 데이터를 기록하였다. 선택된 shRNA 작제물에 대하여 관찰된 p38 mRNA 수준을 아래 실시예 12에서 표 1에 제공하였다.
실시예 12
콜라겐 수준의 분석. 정상 HFL1 세포 또는 렌티바이러스로 감염시키고 퓨로마이신으로서 선택된 세포를 L-글루탐산염, 10% 소태아 혈청, 중탄산나트륨(1.5 g/L)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으로 보충시킨 F12K 배지(미디어텍(MediaTech), 버지니아 헌든 소재) 중에서 37℃, 5% CO2에서 융합하도록 성장시켰다. 콜라겐 분석을 위해, 2 ㎖/웰의 스타베이션(starvation) 배지(L-글루탐산염, 0.1% 소태아 혈청, 중탄산나트륨(1.5 g/L)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으로 보충시킨 F12K 배지)에 웰 당 약 6×105 세포/웰의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플레이팅하였다. 16-20 시간후, 배지를 제거하고 20 ㎍/㎖의 아스코르브산(이엠 사이언스(EM Science), 뉴저지 깁스타운 소재) 및 10 uM L-프롤린(칼바이오켐(Calbiochem), 캘리포니아 엘 졸라 소재)으로 보충된 신선한 배치로 교체하였다. 이러한 배지 전환하고 1 시간후, 세포를 5 ng/㎖(10 ng/웰)의 전환 성장 인자-β1(TGF-β; 매사추세츠 빌러리카 소재 케미콘/밀리포어(Chemicon/Millipore) 또는 미주리 세인트 루이스 소재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로 처리하였다. TGF-β를 첨가하고 40-48 시간후에 세포 배지를 제거한 다음, 세포를 1.25% Triton X-100(피셔(Fisher), 뉴저지 페어 론 소재) 및 완전 프로테이나제 억제제 칵테일(로쉐(Roche), 독일 만하임 소재)로 보충시킨 250 ㎕ 인산 완충 식염수(PBS)에 용해시켰다. 세포 스크래퍼(cell scraper) 또는 피펫 팁(pipette tip)을 사용하여 플레이트로부터 세포를 긁어내고, 용해물을 -20℃에서 동결시켰다.
NIH3T3 세포 및 렌티바이러스로 감염시키고 퓨로마이신으로서 선택된 NIH3T3 세포를, F12K 배지를 DMEM(미디어텍(MediaTech), 버지니아주 헌든 소재)으로 교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DMEM 배지는 상기 F12K에 서와 같이 추가의 성분으로 보충시켰다.
수확된 세포를 얼음으로 해동시켰다. 200 ㎕의 시료를 1.7 ㎖의 미소원심분리관에서 동일 부피의 0.5 M 아세트산과 혼합하였다. 제조자 프로토콜의 변화량을 사용하고 Sircol Soluble Collagen Assay(바이오컬러 리미티드(Biocolor Ltd.) 북아일랜드 뉴톤아비 소재)를 사용하여 콜라겐 농도를 측정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1 밀리리터의 Sircol 염료 시약을 첨가하고 시료를 30-60 분동안 진탕하였다(시간 길이는 실험의 모든 시료에 대해 일정하게 하였다). 이어, 시료를 모델 테이블탑 미소원심분리기(model tabletop microcentrifuge)에서 약 10,000 x g으로 30 분동안 원심분리하였다. 펠릿(pellet)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깊게 사용하여 피펫 팁을 가지고 펠릿으로부터 비결합 염료를 제거하였다. 시료를 추가로 4 분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피펫 팁을 가지고 펠릿으로부터 남아있는 비결합 염료를 주의깊게 제거하였다. 그후, 제조자의 알칼리 시약 200 ㎕를 첨가하고, 시료를 침전이 용해할 때까지 진탕하였다. 상기 프로토콜에서 콜라겐 표준(바이오컬러 리미티드(Biocolor Ltd.) 북아일랜드 뉴톤아비 소재)의 공지된 양을 사용하여 표준 곡선을 작성하였다. 100 ㎕의 표준 또는 시료를 투명한 96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μQuant 분광광도계(바이오텍(BioTek), 버몬트 위누스키 소재)를 사용하여 540 nm에서의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하의 표 1 및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38α 및 p38γ 발현을 감소시키면 콜라겐 수준이 감소하였고, p38α 또는 p38γ 수준을 증가시키면 콜라겐 수준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들 데이터는, 예를 들어 p38γ를 억제하면 콜라겐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섬유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표 1. 상이한 shRNA 작제물에 의한 p38 mRNA 및 콜라겐의 발현
Figure 112008044372620-PCT00042
실시예 13
일부 화합물을 p38α 및 p38β MARK 아이소형의 억제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그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WO 2006/122154의 실시예 5에 개시된 분석법을 사용하여 IC50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선택된 화합물의 p38 억제 효과
Figure 112008044372620-PCT00043
본 발명은 명확히 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다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제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사항의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언급된 모든 도면, 표, 부록, 특허, 특허 출원 및 공개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SEQUENCE LISTING <110> Intermune, Inc. Seiwert, et al. <120> METHOD OF MODULATING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 SYSTEM <130> 30481/30019 <150> US 60/739,315 <151> 2005-11-23 <150> US 60/775,823 <151> 2006-02-21 <150> US 60/793,526 <151> 2006-04-20 <160> 8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emically synthesized <400> 1 ccggctggat gacttcacgg actttctcga gaaagtccgt gaagtcatcc agttttt 57 <210> 2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emically synthesized <400> 2 ccggcatctt gaattggatg cgctactcga gtagcgcatc caattcaaga tgttttt 57 <210> 3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emically synthesized <400> 3 ccggccaggt ccagaagtat gatgactcga gtcatcatac ttctggacct ggttttt 57 <210> 4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emically synthesized <400> 4 ccgggccctt ccagtccgag ctgttctcga gaacagctcg gactggaagg gcttttt 57 <210> 5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emically synthesized <400> 5 ccgggttacg tgtggcagtg aagaactcga gttcttcact gccacacgta acttttt 57 <210> 6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emically synthesized <400> 6 ccgggttcag ttccttatct accaactcga gttggtagat aaggaactga acttttt 57 <210> 7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emically synthesized <400> 7 ccgggacata attcacaggg acctactcga gtaggtccct gtgaattatg tcttttt 57 <210> 8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emically synthesized <400> 8 ccggctcggc acacagatga tgaaactcga gtttcatcat ctgtgtgccg agttttt 57

Claims (74)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112008044372620-PCT00044
    상기 식에서, R은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6 알킬, 임의 치환된 C3-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 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2.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112008044372620-PCT00045
    상기 식에서, R4는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 -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3. 1-(5-tert-부틸-2-p-톨릴-2H-피라졸-3-일)-3-[4-(2-모르폴린-4-일-에톡시)나프탈렌-1-일]우레아(BIRB 796)가 아닌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112008044372620-PCT00046
    상기 식에서,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10 알킬시 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 -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4. X가 N인
    Figure 112008044372620-PCT00047
    이 아닌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112008044372620-PCT00048
    상기 식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6 알킬, 임의 치환된 C3-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 -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 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5.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112008044372620-PCT00049
    상기 식에서, 상기 화합물이 p38γ에 결합할 때, R4는 p38γ Met109 설피드릴 부분으로부터 5Å 이상 25 Å 이하로 떨어져 위치된 기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4가 H, 할로,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2-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1 -6 알콕시, 임의 치환된 C6 또는 10 아릴, 임의 치환된 피리디닐, 임의 치환된 피리미디닐, 임의 치환된 티에닐, 임의 치환된 푸라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페녹시, 임의 치환된 티오페녹시, 임의 치환된 설폰아미도, 임의 치환된 우레아, 임의 치환된 티오우레아, 임의 치환된 아미도, 임의 치환된 케토,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 임의 치환된 카바밀, 임의 치환된 설피드, 임의 치환된 설폭시드, 임의 치환된 설폰,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콕시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알킬아미노, 임의 치환된 알킬카르복시, 임의 치환된 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피라지닐, 임의 치환된 피리다지닐, 임의 치환된 피롤릴, 임의 치환된 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옥사졸릴, 임의 치환된 이미다졸릴, 임의 치환된 이속사졸릴,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임의 치환된 이소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나프틸, 임의 치환된 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이소퀴놀리닐, 임의 치환된 퀴녹살리닐, 임의 치환된 벤조티아졸릴, 임의 치환된 벤조티오페닐, 임의 치환된 벤조푸라닐, 임의 치환된 인돌릴 및 임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7. 개체에게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개체의 염증성 또는 섬유성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8. 개체에게 유효량의 제2항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개체의 염증성 또는 섬유성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9. 개체에게 유효량의 제3항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개체의 염증성 또는 섬유성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10. 개체에게 유효량의 제4항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개체의 염증성 또는 섬유성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11. 개체에게 유효량의 제5항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개체의 염증성 또는 섬유성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12. 개체에게 유효량의 제6항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개체의 염증성 또는 섬유성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또는 섬유성 질환이 섬유증, 특발성 폐 섬유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염증성 폐 섬유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척추염; 골관절염; 통풍; 패혈증; 패혈성 쇼크; 내독소성 쇼크; 그램-음성 패혈증; 독성 쇼크 증후군; 근막 통증 증후군(MPS); 시겔라증(Shigellosis); 천식;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Crohn's disease); 건선; 습진; 궤양성 대장염; 사구체 신염; 공피증; 만성 갑상선염; 그레이브 질환(Grave's disease); 오르몬드 질환(Ormond's disease); 자가면역성 위염;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성 호중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 증; 췌장 섬유증; 만성 활성 간염; 간 섬유증; 신장 질환; 신장 섬유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발열; 재협착증; 뇌성 말라리아; 졸중성 및 허혈성 손상; 신경성 외상; 알츠하이머병; 헌팅톤병; 파킨슨병; 급성 및 만성 동통; 알러지; 심장 비대증, 만성 심부전;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악액질; 말라리아; 나병; 레슈마니아증(leishmaniasis); 라임(Lyme) 질환; 라이터 증후군(Reiter's syndrome); 급성 활막염; 근육 변성, 활액낭염; 건염; 건활막염; 헤르니아형(herniated), 파열형(ruptured) 또는 탈출형(prolapsed) 추간원판 증후군; 골화석증; 혈전증; 규폐증; 폐 연화증; 골 흡수 질환; 암; 다발성 경화증, 루푸스; 섬유근육통; AIDS; 대상 포진 바이러스 감염,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증 급성 호흡 증후군(SARS);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및 당뇨병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4.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2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SAPK)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방법.
  17.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5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SAPK)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방법.
  20.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보다 10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SAPK)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방법.
  23.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고,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1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SAPK)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고;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고;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1500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방법.
  26.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가 SAPK-조절 농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50 pM 내지 약 1 μ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방법.
  27.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가 SAPK-조절 농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50 pM 내지 약 200 nM의 범위로 IC50 값을 나타내는 방법.
  28. 제1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9. 염증성 또는 섬유성 이상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그러한 이상을 가진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2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상기 염증성 또는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대상에서 질환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32. 염증성 또는 섬유성 이상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그러한 이상을 가진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5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상기 염증성 또는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대상에서 질환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35. 염증성 또는 섬유성 이상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그러한 이상을 가진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10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상기 염증성 또는 섬유성 이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대상에서 질환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 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38. 제2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50 pM 내지 약 1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39. 제2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상기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50 pM 내지 약 200 n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40. 화합물의 라이브러리(library)를 제공하는 단계;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10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43.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5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46.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2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49.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10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52.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5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55.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2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58.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1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10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1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61.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1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5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1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64.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1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고,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 보다 2배 이상 높은 p38α MAPK의 억제에 대한 IC50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상기 복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식별하는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 pM 내지 약 5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100 nM 내지 약 1500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67. 제40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가 SAPK-조절 농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접촉시키는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50 pM 내지 약 1 μ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68. 제40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가 SAPK-조절 농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접촉시키는 화합물이 p38γ MAPK의 억제에 대하여 약 50 pM 내지 약 200 nM의 범위로 IC50을 나타내는 방법.
  69. 제40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선택된 화합물의 포유동물 독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0. 제40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선택된 화합물을 시험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대상이 염증성 또는 섬유성 이상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이러한 이상을 가지고 있는 방법.
  72. 제14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지 않는 방법:
    Figure 112008044372620-PCT00050
    Figure 112008044372620-PCT00051
    Figure 112008044372620-PCT00052
    Figure 112008044372620-PCT00053
    Figure 112008044372620-PCT00054
    Figure 112008044372620-PCT00055
    Figure 112008044372620-PCT00056
    Figure 112008044372620-PCT00057
    Figure 112008044372620-PCT00058
    Figure 112008044372620-PCT00059
    Figure 112008044372620-PCT00060
    Figure 112008044372620-PCT00061
    및 피르페니돈(pirfenidone).
  73. a)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의 화합 물;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4. 개체에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본원에 개시된 질환 또는 이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KR1020087015085A 2005-11-23 2006-11-22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 KR200800769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931505P 2005-11-23 2005-11-23
US60/739,315 2005-11-23
US77582306P 2006-02-21 2006-02-21
US60/775,823 2006-02-21
US79352606P 2006-04-20 2006-04-20
US60/793,526 2006-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968A true KR20080076968A (ko) 2008-08-20

Family

ID=3806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085A KR20080076968A (ko) 2005-11-23 2006-11-22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034495A1 (ko)
EP (2) EP1960405A2 (ko)
JP (1) JP2009517390A (ko)
KR (1) KR20080076968A (ko)
AU (1) AU2006318428A1 (ko)
BR (1) BRPI0618939A2 (ko)
CA (1) CA2630752A1 (ko)
WO (1) WO20070621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00460T3 (es) 2005-05-10 2017-02-09 Intermune, Inc. Derivados de piridona-2-ona como moduladores del sistema de proteína cinasa activada por estrés
MX2007009796A (es) 2007-08-14 2009-02-25 Cell Therapy And Technology S Gel conteniendo pirfenidona.
CA2726588C (en) 2008-06-03 2019-04-16 Karl Koss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ory and fibrotic disorders
US7635707B1 (en) 2008-11-10 2009-12-22 Intermune, Inc. Pirfenidon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typical liver function
SG176053A1 (en) * 2009-05-15 2011-12-29 Intermune Inc Methods of treating hiv patients with anti-fibrotics
CN102149682B (zh) 2009-05-25 2012-12-05 中南大学 1-(取代芳基)-5-三氟甲基-2-(1h)吡啶酮化合物及其盐的制备方法及其用途
KR101478133B1 (ko) 2009-05-25 2014-12-31 센트럴 사우스 유니버시티 1-(치환된 벤질기)-5-트리플루오로메틸-2-(1h)피리돈 화합물 및 그 염의 제조방법 및 용도
GB0921730D0 (en) * 2009-12-11 2010-01-27 Respivert Ltd Method of treatment
US10092552B2 (en) 2011-01-31 2018-10-09 Avalyn Pharma Inc. Aerosol pirfenidone and pyridone analog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10105356B2 (en) 2011-01-31 2018-10-23 Avalyn Pharma Inc. Aerosol pirfenidone and pyridone analog compounds and uses thereof
MX346763B (es) 2012-03-28 2017-03-31 Cell Therapy And Tech S A De C V Composición tópica semisólida conteniendo pirfenidona y dialil óxido de disulfuro modificado (odd-m) para eliminar o prevenir el acné.
AR092742A1 (es) 2012-10-02 2015-04-29 Intermune Inc Piridinonas antifibroticas
EP2968322B1 (en) 2013-03-15 2018-12-2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ap kinase modulators and uses thereof
NZ722927A (en) 2014-01-10 2022-07-29 Avalyn Pharma Inc Aerosol pirfenidone and pyridone analog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15153683A1 (en) 2014-04-02 2015-10-08 Intermune, Inc. Anti-fibrotic pyridinones
AU2017225907B2 (en) * 2016-03-01 2023-11-23 Macquarie University Use of phosphorylated tau and p38gamma to treat a neurological condition
JP7203846B2 (ja) * 2017-12-15 2023-01-13 ユニオン・セラピューティクス・アクティエセルスカブ 置換アゼチジンジヒドロチエノピリジンおよび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7618A1 (en) * 1996-06-10 1997-12-18 Merck & Co., Inc. Substituted imidazoles having cytokine inhibitory activity
GB0124848D0 (en) * 2001-10-16 2001-12-05 Celltech R&D Ltd Chemical compounds
GB0214268D0 (en) * 2002-06-20 2002-07-31 Celltech R&D Ltd Chemical compounds
EP1641804A1 (en) * 2003-06-20 2006-04-05 Celltech R &amp; D Limited Thienopyridone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30752A1 (en) 2007-05-31
EP1960405A2 (en) 2008-08-27
EP2426134A3 (en) 2012-07-04
US20110034495A1 (en) 2011-02-10
BRPI0618939A2 (pt) 2011-09-13
WO2007062167A9 (en) 2007-07-26
AU2006318428A1 (en) 2007-05-31
EP2426134A2 (en) 2012-03-07
JP2009517390A (ja) 2009-04-30
WO2007062167A3 (en) 2007-11-15
WO2007062167A2 (en)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6968A (ko)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
AU2006244072B2 (en) Pyridone derivatives for modulating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 system
JP2020169171A (ja) スプライシングをモジュレートする方法および組成物
EP2296653B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ory and fibrotic disorders
WO2011020849A1 (en) Cytohesin inhibitors
CN101360750A (zh) 应激活化蛋白激酶***的调节方法
CN109553604A (zh) 4-氨基嘧啶衍生物作cxcr4抑制剂及其应用
CN111484504B (zh) Acc抑制剂的光学异构体及其应用
KR101865356B1 (ko) 슈단-ⅶ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AU2012216834A1 (en) Pyridone Derivatives for Modulating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 System
JP2022506341A (ja) 処置、予防、および診断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