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343A -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343A
KR20080070343A KR1020070008307A KR20070008307A KR20080070343A KR 20080070343 A KR20080070343 A KR 20080070343A KR 1020070008307 A KR1020070008307 A KR 1020070008307A KR 20070008307 A KR20070008307 A KR 20070008307A KR 20080070343 A KR20080070343 A KR 20080070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unit
developing
driving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575B1 (ko
Inventor
권재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575B1/ko
Priority to US11/831,092 priority patent/US7796904B2/en
Priority to EP08100799A priority patent/EP1950626A1/en
Priority to CN2008100008826A priority patent/CN101231497B/zh
Publication of KR2008007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유니트의 현상부와 공급부에 전달되는 동력을 독립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는 소정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카트리지와, 이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감광체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부와,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토너를 현상롤러 방향으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부를 포함하는 현상유니트를 구동하는 것으로, 구동원과;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현상부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현상부의 구동시 이외의 시간에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토너공급부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시된 현상유니트 구동방법은, 현상유니트를 통하여 현상프로세스 수행시, 현상부를 구동하고, 토너공급부에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제1단계와; 현상부의 구동시 이외의 시간에 토너공급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토너공급부를 구동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evelop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 및 동력 전달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 및 동력 전달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제1 및 제2캠샤프트에 형성된 캠 프로파일을 보인 도면.
도 8은 도 4의 제1동력전달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9는 도 4의 제2동력전달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감광체 110 : 광주사유니트
120 : 전사유니트 130 : 정착유니트
200 : 현상유니트 201 : 현상카트리지
210 : 현상부 211 : 현상롤러
215 : 공급롤러 220 : 토너공급부
300 :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310 : 구동원
320 : 제1동력전달부 321 : 제1캠샤프트
325, 345 : 캠 326 : 제1커플러
333 : 제1구동부 340 : 제2동력전달부
341 : 제2캠샤프트 346 : 제2커플러
353 : 제2구동부
본 발명은 현상유니트 구동장치와 구동방법 및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현상유니트의 현상부와 공급부에 전달되는 동력을 독립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디지털 복사기 등의 전자사진방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이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칼라 화상 구현 방식에 따라 싱글 패스(single path) 방식과, 멀티 패스(multi-path)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 멀티 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광주사 유니트와 대전기 및 각 칼라를 현상하는 4개의 현상유니트를 채용한 것으로, 감광체의 4회전으로 풀 칼라 화상을 인쇄한다. 따라서, 싱글 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비하여 산술적으로 4배의 인쇄시간이 소용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하나의 광주사 유니트와 대전기를 채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패스 방식의 전자사진방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대전기에 의해 대전되는 감광체(10)와, 이 감광체(10)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니트(LSU; 20)와, 상기 감광체(20)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유니트(30)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유니트(30)는 제1 내지 제4 토너 카트리지(30C)(30M)(30Y)(30K)를 포함하며, 제1 내지 제4토너 카트리지(30C)(30M)(30Y)(30K) 각각에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 분말 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토너 카트리지(30C)(30M)(30Y)(30K)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감광체(10)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토너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부(31)와, 수용된 토너를 상기 현상부(31)에 공급하는 공급부(35)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부(31)는 상기 감광체(10)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어 상기 감광체(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대해 토너 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32)와, 상기 현상롤러(32)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33)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35)는 제1 내지 제4토너 카트리지(30C)(30M)(30Y)(30K)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현상부(31)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벨트(미도시)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복수의 교반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토너 카트리지(30C)(30M)(30Y)(30K)를 통하여 상기 감광체(10)에 현상을 함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10)의 일 회전시 마다 하나의 색상에 대응되는 토너 카트리지의 현상롤러(32) 만이 현상에 기여한다. 따라서, 풀 칼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체(10)가 4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4토너 카트리지(30C)(30M)(30Y) (30K) 각각이 순차로 구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현상유니트의 구동을 위하여,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상유니트 구동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는 제1 및 제2구동원(41)(45)과, 상기 제1구동원(41)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외주에 제1 내지 제4캠(51)(52)(53)(54)이 형성된 캠샤프트(50)와, 상기 제1 내지 제4캠(51)(52)(53)(54)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 되는 커플러(60) 및, 상기 제1 내지 제4토너 카트리지(30C)(30M)(30Y)(30K)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캠(51)(52)(53)(54)은 서로 다른 캠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있어서, 어느 한 캠이 상기 커플러(60)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작하는 경우 다른 캠들은 동력 전달을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샤프트(50)가 위치된 경우, 제3캠(53)이 상기 커플러(60)가 커플링 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제3구동기어(73)가 회전 동작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제2 및 제4캠(51)(52)(54)은 상기 커플러(60)가 커플링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커플러(60)는 상기 제2구동원(45)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클러치(61)와,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캠(51)(52)(53)(54)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제1클러치(61)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클러치(65) 및, 상기 제1클러치(61)와 상기 제2클러치(65)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클러치(61)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6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클러치(61)(65)는 각 칼라에 대응되게 상기 제1 내지 제4캠(51)(52)(53)(54)에 대응되게 복수개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토너 카트리지(30C)(30M)(30Y)(30K) 각각에 동력을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러치(61)는 상기 제2클러치(65)에 맞물리는 제1커플링부(61a)와, 상기 제1 내지 제4캠(51)(52)(53)(5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커플링부(61a)를 상기 제2클러치(65)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시캡(61b)을 포함한다.
상기 제2클러치(65)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65a)와, 상기 제1커플링부(61a)에 맞물리는 제2커플링부(65b)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70)는 상기 샤프트(65a)와 동축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토너 카트리지(30C)(30M)(30Y)(30K)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내지 제4구동기어(71)(72)(73)(74)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토너 카트리지는 상기한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를 통하여 전달된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된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토너 카트리지(30C)(30M)(30Y)(30K)를 구동함에 있어서, 각 토너 카트리지에 대하여 하나의 동력전달 구성을 가진다.
예컨대, 제1토너 카트리지(30C)를 구동함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어(71)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제1토너 카트리지(30C) 내에는 별도의 동력전달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제1구동기어(71)를 통하여 상기 제1토너 카트리지(30K)에 동력이 전달되는 경우, 이 동력을 1차적으로 상기 현상롤러(32)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롤러(32)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공급롤러(33)와 교반기(35)가 회전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토너 카트리지(30K)를 통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32), 공급롤러(33) 및 교반기(35)가 동시에 구동되면서, 현상과 토너 공급이 행해지게 된다.
이 경우, 현상 프로세스 진행시, 상기 교반기(35)의 구동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에 의하여 화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너를 교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 토너 카트리지의 현상 구동시간으로 한정되므로, 현상제 공급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토너 카트리지의 현상부와 공급부의 구동 타이밍을 다르게 하여, 현상 프로세스 수행 중 진동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카트리지와, 이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감광체에 상기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부와, 상기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부를 포함하는 현상유니트를 구동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에 있어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상기 현상부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현상부의 구동시 이외의 시간에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상기 토너공급부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외주에 캠이 형성된 제1캠샤프트와; 상기 캠의 프로파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제1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현상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커플러의 커플링시 상기 제1커플러를 통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현상부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캠샤프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외주에 캠이 형성된 제2캠샤프트와; 상기 제2캠샤프트의 캠의 프로파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와 상기 토너공급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2커플러의 커플링시 상기 제2커플러를 통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토너공급부를 구동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카트리지와, 이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감광체에 상기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부와, 상기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부를 포함하는 현상유니트를 구동하는 현상유니트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를 통하여 현상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현상부를 구동하고, 상기 토너공급부에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현상부의 구동시 이외의 시간에 상기 토너공급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토너공급부를 구동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는,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이 형성된 제1캠샤프트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캠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1커플러가 커플링되어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상기 현상부를 구동하는 단계와;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이 형성된 제2캠샤프트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제2캠샤프트에 형성된 캠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2커플러가 디커플링되어 상기 토너공급부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단계는,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이 형성된 제1캠샤프 트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제1캠샤프트에 형성된 캠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1커플러가 디커플링되어 상기 현상부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와;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이 형성된 제2캠샤프트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캠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2커플러가 커플링되어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상기 토너공급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와; 소정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카트리지와, 이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에 상기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부와, 상기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부를 포함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한 현상유니트 구동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멀티패스 방식의 전자사진방식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감광체(101), 광주사유니트(110), 현상유니트(200),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도 6의 300), 전사유니트(120) 및 정착유니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감광체(101)는 상기 광주사유니트(110)에서 주사된 광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매체이다.
상기 현상유니트(200)는 상기 감광체(101)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상유니트(200)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카트리지(201)와, 그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감광체(101)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부(210) 및 현상부(210)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도 6의 300)는 상기 현상유니트(200)를 구동하는 것으로, 도 6을 참조하면, 구동원(310)과, 상기 구동원(310)에서 제공된 동력을 상기 현상부(210)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320)와, 상기 구동원(310)에서 제공된 동력을 상기 토너공급부(220)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동력전달부(320)(330)는 일 토너 카트리지 내에 마련된 현상부(210)와 토너공급부(220)를 구동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시간에 구동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현상유니트(200)와 상기 현상유니트 구동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사유니트(120)는 상기 감광체(101)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전사받고, 이를 인쇄매체(M)로 전사한다. 이 전사유니트(120)에는 상기 감광체(10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각 색상의 토너 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됨으로써 칼라 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정착유니트(130)는 상기 전사유니트(120)에 의하여 인쇄매체(M)에 전사딘 화상을 정착시킨다.
또한, 상기한 멀티패스 방식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감광체(101)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103)와, 상기 감광체(101)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105) 및, 상기 감광체(10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닝유니트(107)를 포함한다. 또한, 인쇄매체(M)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니트(140)와, 정착동작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매체배출유니트(150)를 포함한다.
이하, 현상유니트(200)와 현상유니트 구동장치(3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현상유니트(200)는 소정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카트리지(201)와, 이 토너카트리지(201) 내부에 각각 설치된 현상부(210) 및 토너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현상유니트(200)는 각 칼라별로 구비된 복수의 현상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현상유니트(200)가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를 포함하며, 그 각각에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 분말 상의 토너가 수용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다.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한 현상부(210)와 토너공급부(22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를 통하여 상기 감광체(101)에 현상을 함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101)의 일 회전시 마다 하나 의 색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의 현상부(210) 만이 현상에 기여한다. 따라서, 풀 칼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체(101)가 4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4토너 카트리지상기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 각각이 순차로 구동된다.
상기 현상부(210)는 후술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300)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감광체(101)에 토너를 현상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상부(210)는 상기 감광체(101)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어 상기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211)와, 이 현상롤러(211)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현상롤러(211)와 공급롤러(215)는 후술하는 제1동력전달부(320)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토너 카트리지(201)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롤러(211)와 공급롤러(215)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기어(337a)(337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어(337a)(337b) 각각은 제1구동부(도 6의 333)와 제1연동기어(335)를 통하여 구동원(도 6의 31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된다.
상기 토너공급부(220)는 상기 카트리지(201)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현상부(210)에 공급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부(220)는 토너 카트리지(201) 내에 배치된 복수의 교반기(221)(223)(225)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기(221)(223)(225) 각각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회 전 구동되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201) 내의 토너를 상기 현상부(210) 방향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기(221)(223)(225) 각각은 후술하는 제2동력전달부(340)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토너 카트리지(201) 내에는 상기 교반기(221)(223)(225)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기어(375a)와 이들 사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375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221)에 마련된 회전기어(375a)는 제2구동부(도 6의 353)와 제2연동기어(355)를 통하여 구동원(도 6의 31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연동기어(355) 없이 상기 구동기어(353)와 회전기어(375a)가 직접 맞물리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부(220)는 토너 카트리지(201) 내에 왕복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교반플레이트(231)와, 이 교반플레이트(231)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235)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플레이트(231)에는 복수의 공급 블레이드(233)가 형성되어, 상기 교반플레이트(231)의 왕복 이송시 상기 토너 카트리지(201) 내의 토너를 상기 현상부(21) 방향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플레이트(231)는 후술하는 제2동력전달부(340)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토너 카트리지(201) 내에는 구동기어(도 6의 353)에 맞물려 회전 구동되는 연동기어(355)에 의해 회전되는 캠부재(359)와, 상기 교반플레이트(231)에 형성되며 상기 캠부재(359)에 선택적으로 간접되어 상기 탄성부재(235)의 탄성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교반플레이트(231) 를 밀어주는 푸시부(23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캠부재(359)와 상기 푸시부(231a) 사이의 간섭과 상기 탄성부재(23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교반플레이트(231)가 왕복 이송됨으로써, 토너를 공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 및 제2캠샤프트에 형성된 캠 프로파일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 각각은 도 4의 제1 및 제2동력전달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는 구동원(310)과, 상기 구동원(310)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동력전달부(320)(3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320)는 상기 구동원(310)에서 제공된 동력을 상기 현상부(210)에 전달하는 것으로, 외주에 캠(325)이 형성된 제1캠샤프트(321)와, 상기 캠(325)의 프로파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제1커플러(326) 및, 상기 현상부(210)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3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캠(325), 제1커플러(326) 및 제1구동부(333)는 채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를 구비한 경우는 상기 캠(325), 제1커플러(326) 및 제1구동부(333) 각각은 4개 구비되며, 이들 각각은 복수의 현상유니트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동력전달부(320)는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에 소정 순서로 동력을 전달한다. 반면, 현상유니트를 하나 구비하는 단색 화상형성장치(미도시)에 적용되는 경우는 상기 캠(325), 제1커플러(326) 및 제1구동부(333)는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과 같이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캠샤프트(321)의 외주에 형성된 캠(325)은 복수의 캠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캠(325C)(325M)(325Y)(325K)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커플러(326)는 상기 제1 내지 제4캠(325C)(325M)(325Y)(325K)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캠(325C)(325M)(325Y)(325K)은 서로 다른 캠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있어서, 어느 한 캠이 상기 제1커플러(326)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작하는 경우 다른 캠들은 동력 전달을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샤프트(321)가 위치된 경우, 상기 제1커플러(326)가 커플링 되도록 상기 제4캠(325K)이 위치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하나의 제1구동부(333K)가 회전 동작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제2 및 제3캠(325C)(325M)(325Y)은 상기 제1커플러(326)가 커플링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제1구동부(333)는 상기 제1커플러(326)와 상기 현상부(21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커플러(326)의 커플링시 상기 제1커플러(326)를 통하여 상기 구동원(310)의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현상부(210)를 구동한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340)는 상기 구동원(310)에서 제공된 동력을 상기 토너 공급부(220)에 전달하는 것으로, 외주에 캠(345)이 형성된 제2캠샤프트(341)와, 상기 캠(345)의 프로파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제2커플러(346) 및, 상기 토너공급부(220)를 구동하는 제2구동부(3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구동부(353)는 상기 제2커플러(346)와 상기 토너공급부(2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2커플러(346)의 커플링시 상기 제2커플러(346)를 통하여 상기 구동원(310)의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토너공급부(220)를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2캠샤프트(341)에 형성된 캠(345), 제2커플러(346) 및 제2구동부(353)는 채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 (200Y)(200K)를 구비한 경우는 상기 제2캠샤프트(341)에 형성된 캠(345), 제2커플러(346) 및 제2구동부(353) 각각은 4개 구비되며, 이들 각각은 복수의 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동력전달부(340)는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 각각의 토너공급부(220)에 소정 순서로 동력을 전달한다. 반면, 현상유니트를 하나 구비하는 단색 화상형성장치(미도시)에 적용되는 경우는 상기 캠(345), 제2커플러(346) 및 제2구동부(353)는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과 같이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캠샤프트(341)의 외주에 형성된 캠(345)은 복수의 캠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내지 제8캠(345C)(345M)(345Y)(345K)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2커플러(346)는 상기 제5 내지 제8캠(345C)(345M)(345Y)(345K)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5 내지 제8캠(345C)(345M)(345Y)(345K)은 서로 다른 캠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한 캠이 상기 제2커플러(346)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작하는 경우, 일부 캠은 동력 전달을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캠샤프트(341)가 위치된 경우, 상기 제5 내지 제7캠(345C)(345M)(345Y)이 상기 제2커플러(346)가 커플링 되도록 위치된 반면, 상기 제8캠(345K)이 상기 제2커플러(346)가 커플링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인다.
여기서, 제1캠(325C)과 제5캠(345C), 제2캠(325M)과 제6캠(345M), 제3캠(325Y)과 제7캠(345Y), 제4캠(325K)과 제8캠(345K) 각각이 상기 현상유니트 중에서 동일한 현상유니트의 구동에 관여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캠(325C)(325M)(325Y) (325K) 중 어느 한 캠을 통하여 상기 현상부(21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상기 제5 내지 제8캠(345C)(345M)(345Y)(345K) 각각은 동력이 전달되는 현상유니트 이외의 현상유니트의 토너공급부(220)에 동력을 전달하여 교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현상이 수행되는 현상유니트 내의 토너공급부(220)의 교반을 멈춤으로써, 현상시 교반 수행에 따른 진동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캠의 캠돌기가 상기 제1커플러(326)를 가압하는 방향(도 7의 상방)으로 배열된 경우, 제1 내지 제3캠(325C)(325M)(325Y) 각각의 캠돌기는 상기 제1커플러(326)를 가압하는 방향을 회피하여 배치된다.
한편, 제5 내지 제8캠(345C)(345M)(345Y)(345K)의 프로파일을 살펴보면, 제4캠(325K)에 대응되는 제8캠(345K)의 오목부가 상기 제2커플러(346) 방향(도 7의 상방)에 배열되어, 상기 제2커플러(346)가 결합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 상기 제5 내지 7캠(345C)(345M)(345Y)은 상기 제2커플러(346)를 가압하는 곡면이 상기 제2커플러(346)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상기 제2커플러(346)가 맞물리도록 한다. 따라서, 블랙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200K)가 구동시, 이 현상유니트(200K) 내의 토너공급부(220)의 구동은 정지하고, 다른 현상유니트(200C)(200M)(200Y) 내의 토너공급부(220)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커플러(326)는 각 칼라에 대응되게 상기 제1 내지 제4캠(325C)(325M)(325Y)(325K)에 대응되게 복수개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 각각의 현상부(210)에 동력을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제1커플러(326)는 제1 및 제2클러치(327)(329)와, 상기 제1클러치(327)와 제2클러치(329) 사이에 개재된 제1탄성부재(3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클러치(327)는 상기 구동원(310)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1캠샤프트(321)에 형성된 캠(325)의 회전 위치에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클러치(327)는 상기 구동원(310)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제1피동부(327a)와, 상기 제2클러치(329)에 맞물리는 제1커플링부(327b) 및, 상기 캠(325)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커플링부(327b)를 상기 제2클러치(329)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푸시캡(327c)을 포함한다. 상기 제1클러치(327)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캠(325)이 상기 제1푸시캡(327c)을 밀어주는 경우 상기 제2클러치(329)에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제1피동부(327a)는 제1중계기어(311) 등을 통하여 상기 구동원(3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클러치(327)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클러치(327)의 축방향 왕복 이동되더라도 상기 구동원(310)이 연결되어 계속하여 동력을 제공받는다. 그러므로, 상기 제1클러치(327)는 현상모드시, 계속하여 회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2클러치(329)는 상기 제1커플링부(327a)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커플링부(329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캠(325)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원(31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현상롤러(211)와 상기 공급롤러(215)가 회전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331)는 상기 제1클러치(327)와 상기 제2클러치(329)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클러치(327)를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따라서, 상기 캠(325)에 의한 가압력 해제시, 상기 제1클러치(327)를 상기 캠(325)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클러치(327)(329)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제1구동부(333)는 상기 제2클러치(329)와 동축 상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제1커플러(326)의 커플링시, 상기 구동원(310)의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현상부(210)를 구동한다. 즉, 상기 제1구동부(333)는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 각각에 대응되게 4개의 구동부(333C)(333M)(333Y)(333K)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부(333)는 제1연동기어(335)를 통하거나, 직접 회전기어(337a)(337b)에 기어물림되어 상기 현상롤 러(211)와, 공급롤러(215)를 구동한다.
상기 제2커플러(346)는 각 칼라에 대응되게 상기 제5 내지 제8캠(325C)(325M)(325Y)(325K)에 대응되게 복수개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 각각의 토너공급부(220)에 동력을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제2커플러(346)는 제3 및 제4클러치(347)(349)와, 상기 제3클러치(347)와 제4클러치(349) 사이에 개재된 제2탄성부재(351)를 포함한다.
상기 제3클러치(347)는 상기 구동원(310)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2캠샤프트(341)에 형성된 캠(345)의 회전 위치에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3클러치(347)는 상기 구동원(310)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제2피동부(347a)와, 상기 제4클러치(349)에 맞물리는 제3커플링부(347b) 및, 상기 캠(345)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3커플링부(347b)를 상기 제4클러치(349)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푸시캡(347c)을 포함한다. 상기 제3클러치(347)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캠(345)이 상기 제2푸시캡(347c)을 밀어주는 경우 상기 제4클러치(349)에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제2피동부(347a)는 제2중계기어(315) 등을 통하여 상기 구동원(3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3클러치(347)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 제2피동부(347a)는 상기 제3클러치(347)의 축방향 왕복 이동되더라도 상기 구동원(310)이 연결되어 계속하여 동력을 제공받는다. 그러므로, 상기 제3클러치(347)는 현상모드시, 계속하여 회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4클러치(349)는 상기 제3커플링부(347b)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4커플링부(349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캠(345)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원(31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토너공급부(220)가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351)는 상기 제3클러치(347)와 상기 제4클러치(349)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3클러치(347)를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따라서, 상기 캠(345)에 의한 가압력 해제시, 상기 제3클러치(347)를 상기 캠(345)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킴으로써, 상기 제3 및 제4클러치(347)(349)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제2구동부(353)는 상기 제4클러치(349)와 동축 상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제2커플러(346)의 커플링시, 상기 구동원(310)의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토너공급부(220)를 구동한다. 즉, 상기 제2구동부(353)는 제1 내지 제4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 각각에 대응되게 4개의 구동부(353C)(353M)(353Y)(353K)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구동부(353)는 제2연동기어(355)를 통하거나, 직접적으로 상기 토너공급부(220)를 구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니트 구동장치(300)는 상기 캠(325)(345)의 회전 위치를 조절하는 캠구동부(360)와, 상기 캠구동부(360)에서 제공된 동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캠샤프트(321)(341)가 상호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구동부(360)는 상기 제1 또는 제2캠샤프트(321)(341)를 회전시켜 상기 캠(325)(345)의 위치를 조절한다. 도 6은 상기 캠구동부(360)가 상기 제1캠샤프 트(321)에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캠구동부(360)의 일예로서, 솔레노이드(361)와, 상기 제1캠샤프트(321)와 동축 상에 마련된 래치부재(363) 및, 상기 제1캠샤프트(321)의 일 방향 회전을 규제하는 원웨이 클러치(36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361)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상기 래치부재(363)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캠샤프트(321)를 회전 구동한다.
상기 연동부재(370)는 상기 제1 및 제2캠샤프트(321)(341)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연동기어(371)(37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캠구동부(360)에 의해 상기 제1캠샤프트(321)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캠샤프트(341)가 상기 제1캠샤프트(321)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캠(325)(345)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캠샤프트(321)(341)에 형성된 홈마크(381)와, 상기 홈마크(381)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홈 위치센서(3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위치센서(385)는 수발광 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홈마크(381)의 일 위치에 돌출 형성된 광차폐부(381a)가 상기 홈 위치센서(381)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캠(325)(345) 위치를 초기화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상유니트를 구동하는 현상유니트 구동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 구동방법은 크게 제 1 및 제2단계를 나누어 상기 현상유니트(200)를 구동한다.
제1단계는 상기 현상유니트(200)를 통하여 현상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현상부(210)를 구동하고, 상기 토너공급부(220)에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제2단계는 상기 현상부(210)의 구동시 이외의 시간에 상기 토너공급부(22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토너공급부(220)를 구동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단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 2단계로 날 수 있다.
우선, 첫 단계는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325)이 형성된 제1캠샤프트(321)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캠(325)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1커플러(326)가 커플링되어 구동원(310)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상기 현상부(210)를 구동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다음 단계는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345)이 형성된 제2캠샤프트(341)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제2캠샤프트(341)에 형성된 캠(345)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2커플러(346)가 디커플링되어 상기 토너공급부(220)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제2단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 2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단계는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325)이 형성된 제1캠샤프트(321)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제1캠샤프트(321)에 형성된 캠(325)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1커플러(326)가 디커플링되어 상기 현상부(210)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다음 단계는 제2캠샤프트(341)를 회전 구동하여, 제2캠샤프트(341)에 형성된 캠(345)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2커플러(346)가 커플링되어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상기 토너공급부(220)를 구동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현상유니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색상의 토너를 각각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유니트(200C)(200M)(200Y)(200K)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상기 제1 및 제2단계는 복수의 현상유니트 중 일 현상유니트의 현상부(210)와 토너공급부(220)에 대하여 각각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캠구동부(360)에 의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캠샤프트(321)(341)를 회전시켜, 상기 캠(325)(345)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캠구동부(360)에서 제공된 동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캠샤프트(321)(341)가 상호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은 일 현상유니트 내에 포함된 현상부와 공급부를 구동함에 있어서, 현상 프로세스 수행시 공급부의 구동을 멈춤으로써 현상유니트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상 불량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는 복수의 현상유니트를 순차로 구동하는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시, 캠 구동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별도의 회로적인 제어 구조의 도입없이도, 현상부와 토너공급부에 독립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특히, 4개의 현상유니트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일 현상유니트으의 현상 프로세스 수행시, 다른 3개의 현상유니트 내의 공급부를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토너 공급시간을 길게 확보할 수 있어서 토너 공급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을 지 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4)

  1. 소정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카트리지와, 이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감광체에 상기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부와, 상기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부를 포함하는 현상유니트를 구동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에 있어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상기 현상부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현상부의 구동시 이외의 시간에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상기 토너공급부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외주에 캠이 형성된 제1캠샤프트와;
    상기 캠의 프로파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제1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현상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커플러의 커플링시 상기 제1커플러를 통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현상부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캠샤프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외주에 캠이 형성된 제2캠샤프트와;
    상기 제2캠샤프트의 캠의 프로파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와 상기 토너공급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2커플러의 커플링시 상기 제2커플러를 통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토너공급부를 구동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 각각은,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상기 캠의 회전 위치에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클러치와;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캠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클러치에 맞물리는 제2클러치와;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클러치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제1피동부와;
    상기 제2클러치에 맞물리는 제1커플링부와;
    상기 캠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커플링부를 상기 제2클러치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시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러치는,
    상기 제1커플링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커플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는
    소정 색상의 토너를 각각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현상유니트 각각의 현상부에 소정 순서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현상유니트 각각의 토너공급부에 소정 순서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현상유니트에 대응되게 마련되고 서로 다른 캠프로파일을 가지는 복수의 캠이 외주에 형성된 제1캠샤프트와;
    상기 현상유니트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캠의 캠프로파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복수의 제1커플러와;
    상기 복수의 제1커플러와 상기 복수의 현상부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1커플러 중 커플링된 제1커플러를 통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제공받아 대응되는 현상부를 구동하는 복수의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캠샤프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유니트에 대응되게 마련되고 사로 다른 캠프로파일을 가지는 복수의 캠이 외주에 형성된 제2캠샤프트와;
    상기 현상유니트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캠샤프트에 형성된 캠의 캠프로파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복수의 제2커플러와;
    상기 복수의 제2커플러와 상기 복수의 토너공급부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2커플러 중 커플링된 제2커플러를 통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제공받아 대응되는 토너공급부를 구동하는 복수의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커플러 각각은,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상기 캠의 회전 위치에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클러치와;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캠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클러치에 맞물리는 제2클러치와;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클러치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제1피동부와;
    상기 제2클러치에 맞물리는 제1커플링부와;
    상기 캠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커플링부를 상기 제2클러치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시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러치는,
    상기 제1커플링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커플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13. 제3항 내지 제6항,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샤프트 또는 제2캠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캠의 위치를 조절하는 캠구동부와;
    상기 캠구동부에서 제공된 동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캠샤프트가 상호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캠샤프트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연동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캠샤프트에 형성된 홈마크와;
    상기 홈마크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홈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15. 제2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캠샤프트에 형성된 홈마크와;
    상기 홈마크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홈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16. 소정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카트리지와, 이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감광체에 상기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부와, 상기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부를 포함하는 현상유니트를 구동하는 현상유니트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를 통하여 현상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현상부를 구동하고, 상기 토너공급부에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현상부의 구동시 이외의 시간에 상기 토너공급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토너공급부를 구동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이 형성된 제1캠샤프트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캠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1커플러가 커플링되어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상기 현상부를 구동하는 단계와;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이 형성된 제2캠샤프트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제2캠샤프트에 형성된 캠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2커플러가 디커플링되어 상기 토너공급부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이 형성된 제1캠샤프트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제1캠샤프트에 형성된 캠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1커플러가 디커플링되어 상기 현상부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와;
    외주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이 형성된 제2캠샤프트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캠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2커플러가 커플링되어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상기 토너공급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는 소정 색상의 토너를 각각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단계는,
    복수의 현상유니트 중 일 현상유니트의 현상부와 토너공급부에 대하여 각각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방법.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캠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제1캠샤프트 또는 제2캠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캠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캠구동부에서 제공된 동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캠샤프트가 상호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구동방법.
  2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와;
    소정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카트리지와, 이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에 상기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부와, 상기 토너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부를 포함하는 현상유니트와;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현상유니트 구동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는,
    상기 제1캠샤프트 또는 제2캠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캠의 위치를 조절하는 캠구동부와;
    상기 캠구동부에서 제공된 동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캠샤프트가 상호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캠샤프트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캠샤프트에 형성된 홈마크와;
    상기 홈마크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홈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캠샤프트에 형성된 홈마크와;
    상기 홈마크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홈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08307A 2007-01-26 2007-01-26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KR101079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307A KR101079575B1 (ko) 2007-01-26 2007-01-26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US11/831,092 US7796904B2 (en) 2007-01-26 2007-07-31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08100799A EP1950626A1 (en) 2007-01-26 2008-01-23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N2008100008826A CN101231497B (zh) 2007-01-26 2008-01-25 驱动显影单元的装置和方法和采用其的图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307A KR101079575B1 (ko) 2007-01-26 2007-01-26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343A true KR20080070343A (ko) 2008-07-30
KR101079575B1 KR101079575B1 (ko) 2011-11-03

Family

ID=3926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307A KR101079575B1 (ko) 2007-01-26 2007-01-26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96904B2 (ko)
EP (1) EP1950626A1 (ko)
KR (1) KR101079575B1 (ko)
CN (1) CN1012314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582B1 (ko) * 2007-02-08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갖는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PT3242164T (pt) 2012-06-15 2019-09-27 Canon Kk Cartucho, cartucho de processo e aparelho de formar imagem eletrofotográfica
JP6376749B2 (ja) * 2013-12-06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TWI668533B (zh) 2016-03-04 2019-08-11 佳能股份有限公司 處理匣及影像形成裝置
KR20180003315A (ko) 2016-06-30 2018-01-0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구동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6976765B2 (ja) * 2017-07-31 2021-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4979A (ja) * 1988-04-04 1989-10-11 Minolta Camera Co Ltd 現像装置
US5099278A (en) * 1989-07-26 1992-03-24 Konica Corporation Apparatus for switching and driving a plurality of driven system
JPH04162061A (ja) 1990-10-25 1992-06-0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828934A (en) * 1995-06-07 1998-10-27 Konica Corporation Driving device of developing units and toner replenishing units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90754A (ja) 1995-09-25 1997-04-04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1115324A (ja) 1997-06-25 1999-01-22 Mitsubishi Heavy Ind Ltd 定着ローラ駆動装置
JP3063831B2 (ja) * 1997-08-11 2000-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162061B2 (ja) * 1998-06-17 2008-10-08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2003130172A (ja) 2001-10-29 2003-05-08 Canon Inc 回転動力伝達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30102200A1 (en) * 2001-12-04 2003-06-05 Chauhan Vijay Conveying machines
JP3996535B2 (ja) 2003-03-20 2007-10-24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555316B1 (ko) 2003-05-23 2006-03-03 주식회사신도리코 캠을 이용한 스토퍼를 가지는 자동용지 공급장치
KR100699823B1 (ko) * 2003-08-05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저가형 플랙서블 필름 패키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12947A (ko) 2004-08-05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플링장치
KR100636230B1 (ko) 2005-04-20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0626A1 (en) 2008-07-30
US7796904B2 (en) 2010-09-14
US20080181669A1 (en) 2008-07-31
KR101079575B1 (ko) 2011-11-03
CN101231497B (zh) 2012-03-21
CN101231497A (zh)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523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28497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롤러
US7623811B2 (en) Drive transmitt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950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8073056B (zh) 显影盒和使用该显影盒的电子照相成像装置
KR100636239B1 (ko) 전자사진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
KR101079575B1 (ko)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US8027618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otary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JP200630112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636217B1 (ko)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11099537A (ja) 駆動伝達機構及びこの駆動伝達機構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70039317A (ko) 화상형성장치
KR100580205B1 (ko)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515716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
JP2000293003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830752B2 (ja) 駆動装置
JP2012048025A (ja) カラー電子写真装置
KR100619075B1 (ko) 회전력 단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58022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력 단속 장치
US9436129B2 (en)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20060000661A (ko) 동력 커플링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24049516A (ja)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00093230A (ko) 현상 카트리지를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
JP20070650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3279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