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582B1 -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갖는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갖는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582B1
KR101046582B1 KR1020070013434A KR20070013434A KR101046582B1 KR 101046582 B1 KR101046582 B1 KR 101046582B1 KR 1020070013434 A KR1020070013434 A KR 1020070013434A KR 20070013434 A KR20070013434 A KR 20070013434A KR 101046582 B1 KR101046582 B1 KR 101046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unit
transfer
plat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392A (ko
Inventor
이준호
박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582B1/ko
Priority to US11/964,981 priority patent/US7783236B2/en
Priority to CN2008100068719A priority patent/CN101241336B/zh
Publication of KR2008007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36Way of functioning of agitator means
    • G03G2215/0841Presentation of developer to donor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기에 있어서,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이송체와; 상기 현상제이송체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제이송체와 대향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현상제가 유동할 수 있는 현상제유동공을 가지며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이송체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구조가 간단하며 현상제이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현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갖는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UNIT HAVING DEVELOPER FEEDING PLA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현상기의 구성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0 : 본체
200 : 급지부 300 : 화상형성부
310 : 상담지체 320 : 현상기
321 : 케이싱 322 : 현상제이송체
324 : 전동부 325 : 운동변환부
326 : 현상제이송플레이트 327 : 탄성부재
400 : 정착부 500 : 배지부
본 발명은, 현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제이송구조를 개선한 현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컬러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상담지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소정 색상의 현상제를 도포하고 기록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컬러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컬러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현상제의 색상은 통상 옐로우(Y, yellow), 마젠타(M, magenta), 시안(C, cyan) 그리고 블랙(K, black)이다.
이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칼라 화상 구현 방식에 따라 싱글 패스(single path) 방식과, 멀티 패스(multi-path)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 멀티 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노광부와 대전기 및 각 칼라를 현상하는 4개의 현상유니트를 채용한 것으로, 상담지체의 4회전으로 칼라 화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싱글 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비하여 4배의 인쇄시간이 소용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하나의 노광부와 대전기를 채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패스 방식의 칼라 화상형성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화상형성장치(10)는 대전기(미도시)에 의해 대전되는 상담지체(20)와, 이 상담지체(20)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부(LSU; 20)와, 상담지체(20)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현상기(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현상기(30)는 내부에 저장되는 현상제의 색상별로 마련된다. 즉 현상기(30)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별로 마련된다. 그리고, 각 현상기(30)는 현상기케이싱(31)과, 상담지체(20)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제이송체(32)와, 현상제이송체(32)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부(33)와, 케이싱(31)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공급부(32)로 이송하는 현상제이송부(35)를 포함한다.
종래 현상제이송부(35)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의 이송을 위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교반기(35a, 35b, 35c, 35d)를 포함한다. 즉, 현상기케이싱(31)의 최내측 교반기(35a)로부터 현상제이송제 측의 교반기(35d)로 순차적으로 현상제가 이송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현상제이송부(35)는 원활한 현상제의 이송을 위해 복수개의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며, 현상기케이싱(31)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교반기(35)의 회전속도가 증가해야 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교반기 각각이 최적의 속도로 회전하기 위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구동부에 큰 부하가 걸리 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현상기케이싱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 현상제의 이송을 위해 교반기의 개수가 더욱 증가하게 되므로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
한편, 교반기의 개수가 증가하면 케이싱의 최내측에 위치한 현상제가 현상제이송체로 공급되기 위해 교반기와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교반기와의 접촉시간이 길어지면 마찰에 의해 받는 현상제가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현상제에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현상제에 변형이 발생할 경우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구조가 간단하며 현상제의 이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현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제의 이송시 현상제에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는 현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현상기에 있어서,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이송체와; 상기 현상제이송체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제이송체와 대향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현상제가 유동할 수 있는 현상제유동공을 가지며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이송체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현상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와 결합하여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이송체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이송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력전달부는 크랭크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축은 소정길이 절곡형성된 절곡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의 이동거리는 상기 절곡가압부가 상기 크랭크축에 대해 절곡된 길이에 대응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의 높이는 상기 절곡가압부가 상기 크랭크축에 대해 절곡된 길이의 2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는 상기 절곡가압부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시 상기 절곡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상기 현상제이송체와 상기 현상제저장부 사이를 이동시키는 가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송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에 마련된 랙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상제이송체와 상기 이송력전달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에 의해 이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이송체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싱과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이송체 측으로부터 상기 현상제저장부로 이동된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가 상기 현상제이송체 측으로 복귀되도록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제저장부로부터 상기 현상제이송체로 복귀하는 복귀속도는 상기 현상제이송체로부터 상기 현상제저장부로 이동하는 이동속도에 비해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제유동공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유동공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지를 공급하는 급지부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현상기와; 상기 현상기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기록지에 도포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노광하는 노광부와; 상기 상담지체의 현상제가 전사되는 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력전달부로 전달하는 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32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기록지를 적재하는 급지부(200)와, 급지부(200)로부터 공급된 기록지에 현상제를 도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300)와, 기록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부(400)와, 기록지가 배지되는 배지부(500)를 포함한다.
급지부(200)는 기록지를 적재하고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기록지를 화상형성부(300)로 공급한다. 급지부(200)는 적재된 기록지가 소진될 경우 기록지를 보충할 수 있도록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된다.
급지부(200)는 적재되는 기록지의 크기와 특성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부(200)는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1급지부(200A)와 제2급지부(200B), 그리고 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3급지부(200C)를 포함한다. 각 급지부(200A, 200B, 200C)는 본체(100)에 결합되는 카세트본체(210)와, 기록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20)와,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기록지를 녹업플레이트(220) 외부로 픽업하는 픽업롤러(230)를 포함한다. 또한, 급지부(200)는 픽업롤러(230)에 의해 픽업된 기록지를 화상형성부(300)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40)와, 기록지의 선단을 정렬하는 정렬롤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지부(20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형성부(300)는 현상제가 도포되는 상담지체(310)와, 상담지체(310)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320)와, 상담지체(310)의 현상제가 중간전사되는 중간전사부(330)와, 중간전사부(330)의 현상제를 기록지로 전사하는 전사부(340)와, 상담지체(310)로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부(350)를 포함한다.
상담지체(310)는 중간전사부(330)로 현상제를 전사한다. 상담지체(310)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을 코팅하여 마련된다. 광도전성 물질층은 노광부(350)에 의해 노광될 경우 광에 반응하며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담지체(310)의 일측에는 상담지체(310) 표면을 일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부(311)와, 중간전사부(320)로 현상제를 전송한 후 상담지체 표면의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전부(미도시)와, 중간전사부(320)로 전사되지 못하고 상담지체 표면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313)를 더 포함한다. 클리닝부(313)는 클리닝블레이드(313a)를 포함한다.
현상기(320)는 상담지체(3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담지체(310)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기(320)는 현상제의 색상별로(Y:옐로우, M:마젠타, C:시안, B:블랙) 복수개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320)는 케이싱(321)과, 상담지체(310)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게 마련되어 상담지체(310)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제이송체(322)와, 현상제이송체(322)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부(323)와, 케이싱(321)) 내부를 왕복이동하며 현상제를 공급부(323) 측으로 이송하는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와, 본체(100)의 구동력을 현상기(320)로 전달하는 전동부(324)와, 전동부(32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전달부(325)를 포함한다.
케이싱(321)은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부에 현상제를 저장한다. 케이싱(321)은 현상제이송체(322)가 상담지체(310)와 접촉 또는 비접촉하며 현 상제를 현상하도록 현상제이송체(322)를 지지한다. 케이싱(321)은 현상제이송체(322)와 대향되게 마련된 현상제저장부(A)에 현상제가 저장된다.
현상제이송체(322)는 공급부(323)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상담지체(310)의 정전잠상에 도포한다. 현상제이송체(32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부(324)와 결합하는 전동부결합부(322a)를 포함한다. 현상제이송체(322)는 전동부결합부(322a)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담지체(310)에 현상제를 도포한다. 여기서, 현상제이송체(322)에는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상담지체(310)로 현상하기 위해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현상전압이 인가된다.
현상전압은 대전부(311)의 대전전압에 의해 상담지체(310) 표면이 갖게 되는 표면전압 보다는 높고 노광부(350)에 의해 노광된 정전잠상의 표면전압보다는 낮게 마련된다. 이에 의해 현상제이송체(322) 표면의 현상제가 전위차에 의해 상담지체(310)의 정전잠상에 부착되게 된다.
한편, 현상제이송체(322)의 일측에는 공급부(323)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현상제이송체(322)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도록 현상제이송체(322)에 접촉선압을 가하는 현상제규제부재(미도시)가 마련된다. 현상제규제부재(미도시)는 현상제이송체(322)와 접촉하는 영역의 굽힘각도를 통해 현상제이송체(322)에 도포되는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한다.
공급부(323)는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회전하며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에 의해 현상제저장부(A)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현상제이송체(144) 측으로 공급한다. 공급부(145)는 롤러, 스펀지, 또는 브러쉬형태로 마련되어 현상제와 접촉하며 정전 기를 발생시켜 현상제를 마찰대전시킨다.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는 도3과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21)의 바닥면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현상제저장부(A)의 현상제를 공급부(323) 측으로 이송한다.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는 소정면적을 가지며 현상제저장부(A)와 공급부(323) 사이를 이동하는 플레이트본체(326a)와, 플레이트본체(326a)에 관통형성되어 현상제저장부(A)로부터 이송된 현상제가 유동되는 현상제유동공(326b)과, 플레이트본체(326a)의 일측에 마련되어 이송력전달부(325)에 의해 가압되어 플레이트본체(326a)를 이동시키는 가압리브(326c)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본체(326a)는 케이싱(321)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폭(W)을 가지며, 케이싱(321)의 바닥면의 길이(L)에 비해 소정길이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본체(326a)는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력전달부(325)와 탄성부재(327)에 의해 공급부(323)와 현상제저장부(A) 측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현상제이송공(326b)은 플레이트본체(326a)에 관통형성되어 플레이트본체(326a)가 현상제저장부(A)와 공급부(323) 사이를 이동할 때 현상제를 유동시킨다. 현상제는 플레이트본체(326a)가 현상제저장부(A)로 이동할 때 플레이트본체(326a)에 적재되어 공급부(323)로 이송되고, 공급부(323) 측에서 플레이트본체(326a)가 현상제저장부(A) 측으로 이동할 때 현상제는 플레이트본체(326a)와의 상대속도차에 의해 현상제유동공(326b)을 통해 공급부(323)측 바닥면에 적재된다.
현상제이송공(236b)은 현상제가 유동될 수 있는 적정한 크기의 형상으로 마 련될 수 있다. 현상제이송공(326b)은 삼각형,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이나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이송공(326b)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현상제이송공(326b)과 상호 교호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현상제이송공(326b)이 플레이트본체(326a)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클 경우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0)가 공급부(323)로부터 현상제저장부(A)로의 1회왕복에 의해 이송되는 현상제의 양이 적게되므로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0)의 이송속도와 이송량을 고려하여 적정면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상제이송공(326b)의 배열간격은 현상제이송플레이트의 이송거리에 비해 작거나 같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리브(326c)는 이송력전달부(325)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이송력전달부(325)의 회전시 가압되어 플레이트본체(326a)가 현상제저장부(A)와 공급부(323) 사이를 이동하도록 한다. 가압리브(326c)는 도6a 내지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본체(326a)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이송력전달부(325)의 굽힘부(325c)에 접촉가압된다. 가압리브(326c)는 굽힘부(325c)에 접촉가압될 수 있는 높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부(324)는 케이싱(321)의 일측에 마련되어 케이싱(321)이 본체(100)에 장착될 경우 본체(100)의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전동부(324)는 현상제이송체(323)와 이송력전달부(325)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전동부(32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동부(324)는 현상제이송체(323)와, 이송력전달부(325)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한편, 전동부(324) 는 기어 외에 벨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송력전달부(325)는 전동부(324)를 통해 전달된 회전운동을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이송력전달부(325)는 전동부(324)와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25a)와, 동력전달부(32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325b)과, 회전축(325b)으로부터 소정길이 굽힘형성되어 플레이트본체(326a)를 가압하는 굽힘부(325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력전달부(325)는 크랭크축으로 구현된다.
동력전달부(325a)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부(324)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동부(324)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동력전달부(325a)는 전동부(324)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즉, 전동부(324)가 기어로 구현되는 경우 동력전달부(325a)도 기어로 마련된다. 여기서, 동력전달부(325a)는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회전축(325b)의 회전속도를 결정한다. 즉, 동력전달부(325a)의 회전속도에 따라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의 이송속도가 결정되므로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의 1회이동시 이송되는 현상제의 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325b)은 공급부(323)와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 사이에 마련되어 동력전달부(325a)의 회전시 함께 회전한다. 회전축(235b)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부(325c)가 케이싱(321) 바닥면에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 굽힘부(325c)가 바닥면에 닿지 않는 높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부(325c)는 회전축(325b)의 회전시 플레이트본체(326a)의 가압리 브(326c)를 가압하여 회전축(325b)의 회전운동을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굽힘부(325c)는 회전축(325b)으로부터 소정길이 절곡형성되어 가압리브(326c)를 가압한다. 여기서, 회전축(325b)의 회전에 따라 굽힘부(325c)가 가압리브(326c)를 접촉가압하면 플레이트본체(326a)는 현상제저장부(A) 측으로 이동한다. 플레이트본체(236a)가 공급부(323)로부터 현상제저장부(A)로 이동하는 이동속도는 회전축(325b)의 회전속도에 비례한다.
한편, 회전축(325b)의 회전에 따라 굽힘부(325c)가 가압리브(326c)와 접촉해제되면 플레이트본체(326a)는 후술하는 탄성부재(327)의 탄성력에 의해 공급부(323) 측으로 이동한다.
굽힘부(325c)의 절곡길이(R)는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의 이동거리를 좌우한다. 절곡길이(R)가 길 경우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는 현상제저장부(A) 측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크므로 이송하는 현상제의 양이 많아질 수 있다. 그러나, 절곡길이(R)가 길 경우 굽힘부(325c)의 회전반경이 커지므로 케이싱(321)의 높이(h)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케이싱(321)의 높이(h)와 공급부(323)와 현상제저장부(A)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절곡길이(R)를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굽힘부(325c)는 회전축(325b)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굽힘부(325c)는 회전축(325b)의 중심영역에 마련되거나 양단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327)는 케이싱(321)과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 사이에 마련되어 현상제저장부(A) 측으로 이동된 플레이트본체(326a)가 공급부(323) 측으로 복귀하 도록 플레이트본체(326a)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탄성부재(327)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또는 여타 탄성력을 갖는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327)가 코일스프링일 경우 도5a와 같이 탄성부재(327)가 현상제저장부(A) 측에 마련되거나,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부(323)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5a의 경우 탄성부재(327)는 신장용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즉, 코일스프링은 굽힘부(325c)의 가압에 의해 플레이트본체(326a)가 현상제저장부(A) 측으로 이동할 때 압축되고, 굽힘부(325c)의 플레이트본체(326a)에 대한 가압이 해지되면 탄성적으로 신장되며 플레이트본체(326a)를 공급부(323) 측으로 복귀시킨다.
반면, 도5b의 경우 탄성부재(327)는 압축용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즉, 굽힘부(325c)의 가압에 의해 플레이트본체(326a)가 현상제저장부(A) 측으로 이동하면 코일스프링은 초기길이로부터 신장되고 굽힘부(325c)의 가압이 해지되면 압축되며 플레이트본체(326a)가 공급부(323) 측으로 복귀시킨다.
한편, 탄성부재(327)의 일단부는 플레이트본체(326a)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케이싱(321)에 직접 결합되거나 케이싱(321)으로부터 돌출형성된 탄성부재결합부(321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27)의 타단부는 플레이트본체(326a)에 직접 결합하거나, 플레이트본체(326b)로부터 돌출된 탄성부재결합부(326d, 도5b참조)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탄성부재(327)는 탄성력에 의한 플레이트본체(326a)의 복귀속도가 굽힘부(325c)의 가압에 의한 이송속도보다 크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현상제저장부(A)의 현상제가 플레이트본체(326a)에 적재된 상태로 공급 부(323)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327)는 회전축(325b)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탄성계수와, 두께, 크기 등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기(230′)는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 326′)를 포함한다. 두 개의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 326′)는 탄성부재(327)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굽힘부(325c)의 가압에 의해 가압된다. 케이싱(321)의 높이(h)가 낮고 길이(L)가 긴 경우 제2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 326′)를 상호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상기(320″)는 도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력전달부(325)가 피니언(326e)과 랙(326f)에 의해 구현된다. 피니언(326e)은 전동부(32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 한다. 이 때, 전동부(324)와 피니언(326e)은 벨트 등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피니언(326e)은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의 이동거리의 가운데지점에 마련되는 것이 피니언(326)의 회전수를 줄이며 현상제이송플레이트(326)의 이송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랙(326f)은 플레이트본체(326a)의 양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피니언(326e)의 정역회전에 대응하여 공급부(323)와 현상제저장부(A) 사이를 이동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현상기(320)는 피니언(326e)의 회전구동에 따라 플레이트본체(326a)의 이동거리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피니언(326e)의 구동을 위해 전동부(324)에 벨트 등이 추가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중간전사부(330)는 상담지체(310) 표면의 가시화상을 이루는 현상제가 1차전사된다. 중간전사부(3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지체(310)와 접촉하며 회전하는 중간전사벨트(331)와, 중간전사벨트(331)의 후면에 상담지체(310)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중간전사벨트(331)로 전사전압을 인가하는 중간전사롤러(333a)와, 중간전사벨트(331)를 상담지체(310)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롤러(333b)와, 중간전사벨트(331)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335a, 335b)를 포함한다. 중간전사벨트(331)는 통상 ITB(image transfer belt)로 마련된다.
전사부(340)는 중간전사벨트(331) 표면으로 1차 전사된 현상제를 기록지로 2차 전사한다. 전사부(340)는 급지부(200)로부터 급지된 기록지를 중심으로 중간전사벨트(331)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전사롤러(340)를 포함한다. 전사부(340)는 기록지의 배면으로 전사전압을 인가하여 중간전사벨트(331) 표면의 현상제를 기록지로 2차 전사한다.
노광부(350)는 상담지체(310)로 광을 주사하여 상담지체(310) 표면에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부(350)는 케이싱(351)과, 광원부(미도시)와, 광원부(미도시)에서 발생한 광을 상담지체(310)의 부주사방향으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어셈블리(353)와, 폴리곤미러어셈블리(353)에서 주시된 광을 상담지체(310)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미러(355)를 포함한다. 또한, 노광부(350)는 케이싱(351)의 광주상창(미도시)을 주기적으로 클리닝하는 클리닝셔터(357)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부(400)는 기록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지 표면으로 2차 전사된 현 상제를 기록지에 정착시킨다. 정착부(400)는 기록지에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410)와, 히팅롤러(410)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기록지에 압력을 가하는 프레싱롤러(420)를 포함한다. 또한, 정착부(400)는 프레싱롤러(420)을 히팅롤러(410)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지부(500)는 화상형성부(300)에서 화상이 형성된 기록지를 외부로 배지시킨다. 배지부(500)는 기록지를 배지시키는 배지롤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작동과정을 도3 내지 도6c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대전부(311)는 상담지체(310)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담지체(310)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노광부(350)는 상담지체(310)로 광을 주사하여 인쇄신호가 인가된 화상데이타의 색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한편, 현상기(320)는 도6a와 같이 회전축(325b)가 회전하고 굽힘부(325c)가 가압리브(326c)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본체(326a)는 회전축(325b)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이동속도로 현상제저장부(A) 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탄성부재(327)는 플레이트본체(326a)의 이동거리만큼 압축된다. 플레이트본체(326a)의 이동에 따라 플레이트본체(326a) 위에 적재되어 있던 현상제(T)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유동공(326b)을 통해 바닥면에 적재된다.
회전축(325b)의 회전이 계속되면 플레이트본체(326a)는 현상제저장부(A)로 이송되고 플레이트본체(326a)의 상면에는 현상제(T)가 적재된다. 회전축(325b)의 회전에 의해 굽힘부(325c)의 가압리브(326c)에 대한 접촉이 해지되면 도6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27)는 탄성적으로 복귀하며 플레이트본체(326a)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본체(326a)는 공급부(323)로부터 현상제저장부(A)로 이송되는 이송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공급부(323)로 복귀하게 된다. 이 때, 플레이트본체(326a) 상면에 적재된 현상제(T)는 플레이트본체(326a)의 복귀시 함께 공급부(323)로 이송된다.
그리고 회전축(325b)의 회전으로 굽힘부(325c)가 다시 가압리브(326c)를 가압하여 플레이트본체(326a)가 이동하면 플레이트본체(326a)의 속도가 복귀속도보다 느리므로 현상제는 플레이트본체(326a)에 끌려가지 않고 현상제유동공(326b)을 통해 바닥면에 적재된다.
공급부(323)는 현상제유동공(326b)를 통해 바닥면에 적재된 현상제를 표면에 부착하여 상담지체(310)의 정전잠상에 현상한다. 상담지체(310)에 도포된 현상제는 중간전사부(330)와 전사부(340)를 통해 기록지로 전사된다. 기록지에 전사된 현상제는 정착부(400)에서 열과 압력을 받아 기록지에 정착된다. 정착부(400)에서 화상형성이 완료된 기록지는 배지부(500)를 통해 외부로 배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는 왕복이송되는 현상제이송플레이트에 의해 현상제를 이송하여 종래 복수의 교반기를 사용하여 발생하던 구동부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전동부가 현상제이송체와 공급부, 그리고 이송력전달부로만 구동력을 전달하면 되므로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으며 구동부의 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의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종래 현상기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줄어든다.
그리고, 현상제가 현상제이송플레이트에 적재되어 이송되므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이송되게 된다. 이에 의해 외첨제의 분리와 같은 현상제의 변형이 적어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큰 부피를 차지하던 교반기를 사용하지 않고 판상의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사용하므로 현상기의 높이를 소형화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멀티패스방식의 화상형성장치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싱글패스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밝힌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 내부를 왕복이동하는 판상의 현상제이송플레이트가 현상제를 이송하므로 구동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전동부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Claims (16)

  1. 현상기에 있어서,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이송체와;
    상기 현상제이송체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제이송체와 대향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현상제가 유동할 수 있는 현상제유동공을 가지며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이송체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서 상기 현상제이송체 측으로 현상제를 이송 및 유동하는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부와 결합하여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이송체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이송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력전달부는 크랭크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은 소정길이 절곡형성된 절곡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의 이동거리는 상기 절곡가압부가 상기 크랭크축에 대해 절곡된 길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높이는 상기 절곡가압부가 상기 크랭크축에 대해 절곡된 길이의 2배길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는 상기 절곡가압부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시 상기 절곡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상기 현상제이송체와 상기 현상제저장부 사이를 이동시키는 가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에 마련된 랙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이송체와 상기 이송력전달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에 의해 이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이송체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이송체 측으로부터 상기 현상제저장부로 이동된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가 상기 현상제이송체 측으로 복귀되도록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제저장부로부터 상기 현상제이송체로 복귀하는 복귀속도는 상기 현상제이송체로부터 상기 현상제저장부로 이동하는 이동속도에 비해 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이송플레이트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유동공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유동공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5.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지를 공급하는 급지부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현상기와;
    상기 현상기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기록지에 도포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노광하는 노광부와;
    상기 상담지체의 현상제가 전사되는 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지를 공급하는 급지부와;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현상기와;
    상기 현상기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기록지에 도포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노광하는 노광부와;
    상기 상담지체의 현상제가 전사되는 전사부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력전달부로 전달하는 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13434A 2007-02-08 2007-02-08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갖는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KR101046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434A KR101046582B1 (ko) 2007-02-08 2007-02-08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갖는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US11/964,981 US7783236B2 (en) 2007-02-08 2007-12-27 Developing unit having developer feeding pla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8100068719A CN101241336B (zh) 2007-02-08 2008-02-02 具有显影剂供应板的显影单元和具有显影单元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434A KR101046582B1 (ko) 2007-02-08 2007-02-08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갖는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392A KR20080074392A (ko) 2008-08-13
KR101046582B1 true KR101046582B1 (ko) 2011-07-06

Family

ID=3968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434A KR101046582B1 (ko) 2007-02-08 2007-02-08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갖는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83236B2 (ko)
KR (1) KR101046582B1 (ko)
CN (1) CN1012413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2159B (zh) * 2011-12-19 2014-07-0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剂运送构件及显影盒
CN103176384A (zh) * 2013-04-01 2013-06-26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粉盒
JP6501582B2 (ja) * 2015-03-27 2019-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78757B2 (ja) * 2015-03-27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13189852B (zh) * 2021-04-27 2022-06-07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显影单元及显影单元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593B2 (en) * 2001-07-31 2004-05-1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with developer bearing member overlying developer containing chamber
US7110708B2 (en) * 2003-12-01 2006-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cartridge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7596B2 (ja) * 1993-12-28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受け入れ装置
US5987280A (en) 1994-03-18 1999-11-16 Fujitsu Limited Developing device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69517666T2 (de) * 1994-12-26 2001-02-22 Canon K.K., Tokio/Tokyo Farbtoner, Zweikomponentenentwickler, Bildherstellungsgerät, Farbbildherstellungsverfahren und Herstellungsverfahren von Farbtonern
KR19990005249A (ko) 1997-06-30 1999-01-25 이대원 원격 통신이 가능한 디지탈 스틸 카메라
KR20040064766A (ko) 2003-01-10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의 토너 혼합공급장치
JP2005215438A (ja) 2004-01-30 2005-08-1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補給装置
CN2916705Y (zh) * 2006-06-03 2007-06-27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电子照相成像设备用显影装置
KR101079575B1 (ko) * 2007-01-26 2011-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니트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 구동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593B2 (en) * 2001-07-31 2004-05-1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with developer bearing member overlying developer containing chamber
US7110708B2 (en) * 2003-12-01 2006-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cartridge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392A (ko) 2008-08-13
US7783236B2 (en) 2010-08-24
CN101241336A (zh) 2008-08-13
CN101241336B (zh) 2012-01-18
US20080193170A1 (en)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0078B2 (en) Toner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0914799B1 (ko) 현상제 용기, 현상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US7421235B2 (en)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169246A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942607B2 (en) Guide device with mechanism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to toner image by water drople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1046582B1 (ko) 현상제이송플레이트를 갖는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US8019259B2 (en) Development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153595A1 (en) Developer driv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919813B2 (ja) 現像器のトナー供給機構
US20060104666A1 (en) Developing unit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515853B2 (en) Toner supply device and developing unit using the same
US20070085880A1 (en) Hybrid image forming apparatus
US90085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feeding device
JP7459964B2 (ja) トナー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クリーニング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3715787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175500B2 (en)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492810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060002B2 (en) Developer stora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4121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ans to prevent image quality degradation
CN111240167A (zh) 显影剂供应装置、显影装置、盒和成像设备
JP2019159021A (ja)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2023041821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90126916A (ko)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제카트리지
JP2005345931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US8081900B2 (en)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