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993A -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993A
KR20080058993A KR1020060133285A KR20060133285A KR20080058993A KR 20080058993 A KR20080058993 A KR 20080058993A KR 1020060133285 A KR1020060133285 A KR 1020060133285A KR 20060133285 A KR20060133285 A KR 20060133285A KR 20080058993 A KR20080058993 A KR 20080058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deo
video data
received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8993A/ko
Publication of KR2008005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이, 방송채널 변경시 변경된 방송채널의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변경 방송채널에서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며,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 수신시 비디오 데이터를 정지 화면으로 표시하고,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를 버퍼링하는 과정과, 버퍼링되는 방송데이타의 타임스탬프 정보가 수신되는가 검사하며, 수신되면 오디오 및 비디오의 타임 오프셋을 조정하여 동기된 비디오 및 오디오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정지화면 표시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디지털방송수신기, DVB, 채널 변경,

Description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표시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VIDEO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채널을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기 DVB-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방송수신부1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상기 DVB-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프로토콜처리부12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 - 도 4f는 상기 DVB-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수신하는 IP 기반의 서비스채널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화면으로 처리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채널변경시에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도 6에서 I프레임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상기 도 6에서 정지화면 표시 후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를 버퍼링 및 재생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방송데이터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 전환시의 방송데이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다양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는 디지털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된 신호로써, 수신기에서는 이를 역으로 복조 및 복호화하여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튜너, 방송데이터복조기 및 방송데이터복호기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 현재 상기 디지털 방송 방식은 크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하나의 주파수 채널에 복수의 서비스채널들을 서비스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상기 서비스채널들은 방송국들에서 방송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전송하는 채널들의 프로그램 정보 및(또는) 방송정보들을 전송하는 채널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를 탑재하거나 멀티미 디어 기능을 강화하는 추세이며,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들 중에서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탑재하는 추세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wireless terminal)는 휴대전화기(mobile phone), 휴대용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RF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방송수신 기능을 선택하는 시점 및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다른 방송으로 채널을 전환하는 경우, 채널 전환 시간 동안 방송을 시청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채널 전환 시간 동안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며, 이로인해 표시부에 화면을 표시할 수 없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채널 전환 시간 동안 채널 전환을 안내하는 화면 또는 특정 이미지들을 표시하여 화면 표시가 중단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시 전환 서비스 채널에서 수신되는 처음 방송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시 동기 설정 전에서 설정된 크기의 방송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설정된 시간 단위로 방송데이타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시 동기가 이루어지 기 전에 처음 방송 화면을 정지화면으로 표시하고, 설정된 크기의 방송데이타가 버퍼링되면 설정된 시간단위로 방송데이타를 표시하며, 동기제어신호 수신시 오디오 및 비디오 동기를 맞춰 방송데이타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DVB-H 디지털방송, 버스트채널의 시간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 전환시 또는 방송 시청을 시도한 상태에서 전환된 방송채널 또는 설정된 방송채널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표시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또는 이런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은 크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방식,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 미디어플로(Media FLO(Forward Link Only))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DMB, DVB, 미디어플로 방식은 모두 디지털 방송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DVB 방식은 DVB_T 방식과 DVB_H 방식이 있으며, 상기 DVB_H 방식은 타임 슬라이싱 및 IP 기반의 방송신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상기 DVB_H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예를들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상기 DVB 방식,DMB 방식, 미디어플로 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먼저 "채널"(channel)은 튜너에서 선택되는 주파수 채널을 의미하며, "서비스"(service)는 선택된 채널 상에 전송되는 실제 방송국의 채널(방송채널)로써 PID(program identifier or product identifier) 등에 의해 구분되는 서비스채널을 의미하며, "이벤트"(event)는 각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어들의 사용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로 사용하며, 서비스는 "서비스채널"(service channel)로 사용하기로 한다. 디지털 방송은 하나의 물리채널에서 다수의 서비스채널들이 전송되며, 물리채널은 튜너에 설정된 채널 주파수를 의미하고, 서비스채널은 상기 물리채널에서 방송국들을 의미한다. 상기 서비스채널은 DMB 및 DVB-T의 경우 상기 PID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며, DVB-H의 경우 PID, IP 어드레스, 및(또는) 포트 정보(이들을 서비스채널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들의 조합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는 복호하기 위한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로써, 다른 프레임 데이터의 참조 없이 단독으로 부호화된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 또는 다른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를 한번 참조하여 부호화한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프레임은 I 프레임(intra frame) 방송신호라고 가정한 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채널을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키입력부17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부170을 통해 발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은 디지털 방송채널의 재생 및 녹화, 서비스채널들의 변경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방송 재생모드의 시작 및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서비스채널의 변경 명령이 발생되면, 설정 또는 변경되는 서비스채널의 방송데이타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채널 전환시의 방송데이타 표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60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60의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채널의 전환시 및 재생모드 시작 요구시 전환 서비스채널 및 설정 서비스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신속하게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방송수신부11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프로토콜처리부120은 상기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처리하여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방송정보 데이터들을 분리 출력한다. 여기서 DVB-H 방식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은 IP데이터 그램의 프 로토콜들을 처리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방송정보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DMB나 DVB-H 방식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은 TS(Transport Stream)을 분석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역다중화한다.
복호부130은 오디오, 비디오 및 방송정보를 복호하는 데이터 복호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복호기는 서비스채널의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복호기는 서비스채널들의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복호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복호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정보 데이터를 복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호부130은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복호기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복호기는 상기 제어부100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한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시청 중인 서비스채널을 변경할 때,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신속하게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서비스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안정되게 재생하는데 수초의 시간(즉, 채널 전환(변경) 시간)이 필요하다. 이는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방송데이타를 수신하여 설정된 크기로 버퍼링한 후 복호하여 재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 시간 동안에 채널 변경임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거나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데이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디오, 비디오 및 방송정보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서로 동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방송데이타를 재생할 때,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동기를 맞추어 재생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채널 변경 시간이 더욱더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채널 변경이 요구되면,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확인하며, 상기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부150에 표시하며,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를 버퍼링한다. 따라서 채널 변경시 신속하게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특정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시간은 상기 버퍼링되는 방송데이타가 설정된 크기가 될 때 까지 유지한다. 이후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가 설정된 버퍼 크기가 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버퍼링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때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은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표시 시간을 동기시키기 위한 제어정보(이하 타임스탬프(time stamp))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재생은 오디오 및 비디오의 재생시간을 동기시키기 위한 시간제어정보(time stamp)가 수신될 때 까지 유지되며, 상기 동기시간 제어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동기시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는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 데이터의 크기는 약 1초에서 3초 동안 재생할 있는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시간을 동기시키는 제어정보(time stamp)는 복호기의 복호 시작 시간을 동기시키는 복호개시정 보(DTS: decoding time stamp) 및 복호된 방송데이타의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정보(PTS: presentation time stamp)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타임 스탬프는 DTS 및 PTS 중의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동기는 오디오 DTS 및 비디오 DTS(또는 오디오 PTS 및 비디오 PTS)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방송데이타를 검사한다. 이때 수신되는 방송데이타가 상기 변경된 서비스채널에서 수신되는 최초의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복호부130의 비디오 복호기가 상기 특정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의 복호하도록 제어하며, 표시부150이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채널의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 프레임은 I 프레임(Infra frame), P 프레임(Previous or Predicted frame) 및 B 프레임(Bidirectional fram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 프레임은 키 프레임으로써, JPEG와 같은 방식으로 소스로부터 직접 압축 부호화된 전체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 프레임을 의미한다. 상기 P 프레임은 이전의 키 프레임(여기서는 상기 I 프레임)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비디오 데이터 프레임을 의미한다. 상기 B 프레임은 전, 후의 I 또는 P 프레임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비디오 데이터 프레임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상기 I 프레임은 복호시 해당 비디오 프레임 자체로 복호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프레임은 I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이때 재생되는 화면은 정지화면이 될 수 있 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I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복호부130의 입력버퍼에 버퍼링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방송데이타가 설정크기로 버퍼링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복호부130의 오디오 복호기 및 비디오 복호기 각각 상기 버퍼링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피커155 및 표시부150이 각각 상기 복호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 크기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1초에서 3초의 방송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PAL 방식을 사용하는 DVB는 1초에 25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며, NTSC 방식을 사용하는 DMB는 1초에 약 30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상기 DVB 방식인 경우, 상기 버퍼링 비디오 데이터의 크기는 25프레임에서 75프레임 정도의 비디오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때 재생되는 화면은 동영상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50 및 스피커155를 통해 재생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는 서로 동기를 이루지 못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의 타임스탬프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타임스탬프의 오프셋을 적용하여 동기를 맞춘다. 이후 상기 동기가 맞춰진 상태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를 복호하여 정상 재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채널 변경시 2단계 또는 3 단계에 걸쳐 화면을 표시한다. 즉, 상기 채널 변경 표시 과정에서 2번째의 표시 절차는 생략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서비스채널 변경시 먼저 변경된 서비스채널에서 처음 수신되는 I프레임 데이터를 확인하여 재생한다. 이후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의 타임 스탬프 오프셋에 따라 동기를 맞춘 후 변경된 채널의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정상 재생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DVB-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DMB를 포함하는 다른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DVB-H 방식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도 2는 상기 DVB-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방송수신부1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상기 DVB-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프로토콜처리부12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a - 도 4f는 상기 DVB-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수신하는 IP 기반의 서비스채널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a - 도 5c는 DVB-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서비스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선택하여 처리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도 4a - 도 4f의 DVB_H 데이터 매핑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DVB_H 데이터는 MPEG2-TS 구조를 가진다. 도 4a는 각 TS 패킷은 188바이트를 크기를 가지며, 4바트의 패킷헤더 및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킷 헤더는 패킷 동기(sync) 및 PID 정보들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PID는 서비스 채널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페이로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b는 상기 도 4a의 페이로드에 실릴 수 있는 MPE 섹션의 구성으로써, 상기 MPE 섹션은 테이블식별자 (table_ID),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에러보정을 위한 정보(MPE-FEC) 및 수신 데이터를 타임 슬라이싱 하기 위한 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c는 IP 데이터 그램의 구성으로써, IP V6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IP 데이터그램은 IP 버전(IP V6 또는 IP V4 등) 및 발신측 IP 정보(source IP information), 착신측 IP정보(destination IP information) 등을 포함한다. 도 4d는 UDP로써, 발신 및 착신측의 포트 정보(Scr Prt, Dst Prt) 등을 포함한다. 도 4e는 FLUTE/ARC의 구성으로써,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및 파일(files) 등을 포함한다. 도 4f는 RTP 구성으로써,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들이 포함된다.
두 번째로 상기 도 5a - 도 5c의 타임 슬라이싱 및 비디오 데이터의 복호 절차를 살펴보면, DVB-H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물리채널에 다수의 서비스채널들이 전송되며, 각 서비스채널들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정렬 및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상기 도 5a는 하나의 물리채널에 10개의 서비스채널들(ch1-ch10)이 전송되며, ch3이 서비스채널로 선택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ch1-ch10의 구간은 ??t라 칭하며, ch3 서비스채널에서 버스트 온되고, 나머지 서비스채널 버스트들은 오프 타임이 된다. 따라서 DVB-H는 도 5b와 같이 타임 슬라이싱 기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서비스채널에서만 방송수신부110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도 5b와 같이 수신되는 ch3의 버스트 데이터는 도 5c와 같이 ??t 구간에서 복호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각 물리채널의 방송수신110은 튜너200 및 방송데이터 복조기로 구성되고,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는 A/D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210, 복조기220, PID필터230 및 복조제어기240 등으로 구성된다. 튜너2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채널이 전송되는 물리채널 주파수로 세트되며, 상기 세트된 물리채널의 서비스채널들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튜너200은 물리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PLL과, 수신되는 방송신호와 상기 PLL에서 발생되는 물리채널 주파수를 혼합하여 설정된 물리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와, 설정된 물리채널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여파 출력하는 대역 여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되는 채널 제어데이터에 의해 상기 튜너200을 제어하여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 주파수를 세트하고, 상기 PID필터230에 선택된 서비스채널들의 PID를 세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방송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PSI/SI 정보 및 프로토콜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ESG(Electronin Service Guide)에 포함된 SDP 정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채널들의 PID, IP 및 포트 정보를 확인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PID필터230에서 필터링되는 PID가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이면, 상기 테이블(PSI/SI)로부터 물리채널 및 서비스채널들의 PID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에서 상기 도 4e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ESG 데이터에서 SDP를 추출 및 분석하여 각 서비스채널들 및 각 서비스채널들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들을 식별하기 위한 PID, IP 및 포트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PSI/SI 및(또는) SDP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각 서비스채널들 및 각 서비스채널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들을 구분하기 위한 PID, IP 및 포트 정보들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서비스채널들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복조제어기240에 선택된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채널 및 서비스채널의 PID를 필터링하기 위한 채널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서비스채널들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서비스채널의 PID를 포함하는 채널 제어데이터를 상기 복조제어기240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튜너200에 선택된 서비스채널을 수신하는 물리채널 주파수를 세트하고, 상기 PID필터230에 선택 서비스채널의 PID를 세트한다. 그러면 상기 튜너200은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상기 세트된 물리채널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튜너200의 출력을 수신하는 A/D변환기210은 상기 튜너20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복조기220은 변조된 방송신호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조한다. 여기서 상기 복조기220은 OFDM 또는 COFDM 복조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조기220에서 복조된 데이터는 상기 도 4a와 같은 MPEG2-TS의 TS 패킷 스트림(stream)이 될 수 있으며, 상기 TS 패킷은 서비스채널의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인 P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PID필터230은 상기 복조된 IP 데이터그램에서 상기 서비스채널의 PID를 가지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필터링하며, PSI/SI 정보는 상기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PID필터230에서 출력되는 도 4b와 같은 데이터는 MPE-FEC(MultiProtocol Encapsulation - Forward Error Correction) 및 타임 슬라이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복조제 어기240은 상기 도 4b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면, 수신되는 버스트 데이터를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 제어한다. 즉,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도 4b의 타임 슬라이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튜너110 및 복조기22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타임 슬라이싱 정보는 상기 서비스채널의 버스트 온 시간(burst on time)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타임 슬라이싱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서비스 채널의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튜너200 및 복조기220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또한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도 4b와 같은 MPE 섹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ID필터230에서 출력되는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MPE-FEC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되는 채널 제어데이터에 의해 상기 튜너200을 제어하여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 주파수를 세트하고, 상기 PID필터230에 서비스채널들의 PID를 세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수신되는 도 4b와 같은 MPE 섹션 정보에 의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타임슬라이싱(time slicing)의 동작을 제어하며, 수신시 발생하는 에러를 보정하여 수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MPE-FEC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복조제어기24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도 4c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IP 데이터 그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송수신부 100의 구성에서 상기 튜너200은 설정된 물리채널의 방송신호들을 선택하며, 복조기220은 상기 튜너200의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복조(OFDM 또는 COFDM)한다. 이때 상기 복조된 데이터는 상기 도 4a와 같은 MPEG2 TS 구조이며, 상기 해당 물리채널의 서비스채널들을 구분하기 위한 PID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PID필터230은 상기 복조된 데이터의 PID를 분석하여 상기 PSI/SI PID 및 선택 서비스채널의 PID를 가지는 복조 데이터를 출력(filtering)한다. 이때 상기 PSI/SI등의 PID 목록에 관련된 정보의 PID를 가지는 데이터들은 상기 제어부100에 전달되며,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들과 ESG를 포함하는 방송정보 데이터들은 상기 복조제어기240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도 4b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MPE 섹션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임 슬라이싱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PID 필터링된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의 에러 보정을 수행한다.
상기 도 3은 DVB_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프로토콜처리부120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프로토콜처리부120은 상기 수신되는 선택 서비스채널 데이터의 IP 및 프로토콜 정보들을 처리한 후, 비디오, 오디오 및 방송정보 데이터를 분류하여 출력한다. 비디오 복호기380은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표시부150에 출력한다. 오디오복호기390은 상기 프로토콜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스피커155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정보 데이터는 제어부100으로 전달되어 복호된다.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은 IP추출부310, UDP추출부320, FLUTE전달부330 및 RTP전달부3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IP추출부(IP decapsule module)310에 입력되는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는 상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송신측 및 수신측의 IP 정보(source IP address, desination IP address)를 포함하고 있는 IP 데이터 그램이다. 상기 IP추출부310은 상기 IP 데이터그램을 디캡슐하여 IP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UDP추출부(UDP decapsule module)413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어드레스(source port address & destination port address; Scr Prt & Dst Prt)를 포함하는 UDP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UDP추출부320은 상기 포트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UDP가 제거된 프로토콜데이터가 도 4e와 같은 FLUTE/ALC 프로토콜 데이터이면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FLUTE전달부(file transport(FLUTE)module)330에 전달하며, RTP 프로토콜이면 RTP전달부(A/V transport(RTP/TRCP) module)34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FLUTE/ALC 프로토콜인 경우, 상기 데이터는 ESG 또는 파일등으로 구성되는 데이터(XML, SDP, HTML, JPG, POL 등)가 될 수 있으며, 상기 ESG 및 파일 데이터들은 제어부100에 전달되어 복호된다. 또한 RTP 프로토콜인 경우, 상기 데이터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길이, 타임스탬프 및 데이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인 경우, 헤더를 분석하여 I 및 P 프레임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RTP 프로토콜 처리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들은 각각 대응되는 비디오복호기380 및 오디오복호기390에 전달되어 복호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에서 처리되는 프로토콜들을 처리하여 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ESG엔진(XML engine 및 ESG 디코더), SDP 파서(parser), PSI/SI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토콜 정보의 제어기(controller) 및 관리기(manager)들을 구비하여 상기 프로토콜의 처리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에서 추출 및 전달되는 각 프로토콜 정보 및 데이터들을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방송수신부110에서 추출되는 PSI/SI정보(NIT, SDT, EIT)를 분석하여 MPEG-2 및 DVB-SI 표준에 따른 PSI/SI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에서 전달되는 ESG 데이터의 SDP(방송에 관한 메인 데이터 셋(main data set))를 파싱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채널, 각 서비스채널의 ESG,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들은 PID, IP 정보, 포트 정보들에 의해 확인된다. 즉, 상기 PSI/SI 및 SDP에는 상기 서비스채널의 식별자, 각 서비스채널의 오디오, 비디오 및 ESG 식별자 정보들을 정의하는 테이블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PSI/SI 디코딩 결과 및 SDT를 참조하여 서비스채널 및(또는), 오디오데이터 및(또는) 비디오데이터 및(또는) 방송정보 데이터들을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은 프로토콜처리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방송수신부110 및 프로토콜처리부120의 경로(path)를 제어한다. 상기 도 4a - 도 4f에 도시된 MPEG-TS 스트림 및 IP 데이터 그램의 대부분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버스트 데이터가 수신되면, 버스트 데이터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데이터가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들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수신되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구성부를 구동하고 나머지 구성부들은 경로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경로 제어부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수신 데이터가 도 4b와 같은 MPE 섹션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복조제어기240을 구동하여 버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MPE 섹션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임슬라이싱 및 MPE-FEC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 데이터가 IP V6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IP추출부310을 구동하여 추출되는 IP 목록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수신 데이터가 UDP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UDP추출부320을 구동하여 추출되는 포트 목록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 데이터가 FLUTE/ALC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FLUTE전달부330을 구동하여 이후 수신되는 ESG 및(또는) 파일들을 처리한다. 그리고 수신 데이터가 RTP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RTP전달부340을 구동하여 RTP를 처리한 후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비디오복호기380 및 오디오복호기390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구성부를 인에이블시키고 나머지 구성부들은 단지 경로만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부들은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이패스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따라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에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면, 상기 비디오복호기380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복호기390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스피커155에 재생한다. 상기 비디오복호기380은 H.264 또는 MPEG 계열의 복호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오디오복호기390은 AAC 복호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비디오복호기380은 H.264 디코더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DMB 방식의 방송수신부100은 튜너 및 복조기로만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방송수신부100에서 출력되는 최종 데이터는 MPEG-TS 구조의 패킷 스트림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프로토콜처러부120은 역다중화기(demux)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역다중화기는 수신되는 패킷 스트림에서 패킷헤더에 포함된 PID를 분석하여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패킷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패킷들에서 PES 헤더의 포함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PES 헤더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역다중화기는 수신되는 패킷들을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들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S 헤더에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오디오 및 비디오를 재생하는 타임 오프셋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패킷의 경우 상기 PES 헤더를 분석하여 해당 비디오 데이터가 I 프레임인지 P 프레임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VB-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채널 변경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RTP전달부340에서 출력되는 방송데이타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방송데이타는 타임스탬프 및 가변길이의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길이의 데이터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I 및 P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데이터가 H.264 방식으로 코딩된 경우 하기 <표 1>과 같은 8비트의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헤더 및 가변길이의 비디오 데이터들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NAL header data
그리고 상기 <표 1>에서 상기 NAL 헤더는 3비트의 우선순위(priority) 및 5비트의 NAL 타입(type)으로 구성된다. 상기 NAL 타입의 정보를 분석하면 이어지는 비디오 데이터가 I 프레임인지 또는 P 프레임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70을 통해 채널 변경이 요구되면,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제어정보(DVB-H인 경우에는 PID, IP 어드레스, port 어드레스 등)을 변경하고, 상기 방송수신부110에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PID를 세트한다. 그러면 상기 방송수신부110은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방송데이타를 복조하여 프로토콜처리부120에 출력하며, 프로토콜처리부120의 RTP전달부340은 상기 <표 1>과 같은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변경된 서비스채널에서 수신되는 최초의 I 프레임 데이터를 검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변경 서비스채널에서 수신되는 상기 <표 1>과 같은 비디오 데이터의 NAL 타입을 검사하여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임을 확인하면, 상기 복호부의 비디오복호기380을 제어하여 상기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비디오복호기380에서 복호되는 변경 서비스채널의 최초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는 표시부150에 인가되어 정지화면으로 재생된다.
또한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타임 스탬프는 매번 포함되지 않는다. 즉, 상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버스트 구간에서 상기 타임 스탬프가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으며, 또한 다수개의 버스트 구간 동안에 하나도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동기를 맞춰야 하므로 오디오 및 비디오 타임스탬프를 모두 수신하여야 하는데 하는데 한 종류의 타임 스탬프만 수신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설정된 크기(여기서는 버스트 구간에서 수신하는 방송데이타의 크기)의 방송데이타를 버퍼링한 상태에서도 상기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재생 시간에 대한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기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상기 버퍼링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재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정된 크기의 방송데이타가 버퍼링된 상태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동기가 이루어지기 전 까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시간(local clock)을 이용하여 설정된 속도로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며, 이후 타임스탬프가 수신되면 오디오 및 비디오의 타임 오프셋을 조정하여 정상적인 오디오 및 비디오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채널변경시에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DVB-H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키입력부170을 통해 다른 서비스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3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서비스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정보는 PID, IP 어드레스, 포트 어드레스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ID 정보는 방송수신부110에 전달되며, PID필터230은 상기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PID로 세팅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버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타임 슬라이싱 정보를 상기 방송수신부110에 알려준다. 그러면 상기 방송수신부110은 상기 설정된 타임 슬라이싱 정보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채널의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방송수신부110은 상기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방송데이타를 선택하여 복조하며, 상기 복조된 방송데이타는 프로토콜처리부12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은 상기 방송데이타의 프로토콜을 처리하여 오디오, 비디오 및 방송정보로 분류하여 상기 복호부130의 각각 대응되는 복호기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415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변경 후 처음 수신되는 I프레임 비디오데이타를 확인하여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도 7은 상기 도 6의 415단계에서 I프레임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채널을 변경한 후,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10에서 분류된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수신된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H.264 방식으로 부호화된 데이터이며, 상기 복호부130의 비디오 복호기380은 H.264 디코더라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의 RTP전달부34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표 1>과 같이 NAL 태그 및 데이터들로 구성되며, 상기 NAL 태그는 5비트의 NAL 타입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NAL 타입 정보 중에는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타가 I 프레임 또는 P 프레임임을 나타내는 프레임 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513단계에서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에서 전달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서비스채널 변경 후 처음으로 수신되는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인지 검사하며, 그렇지 않으면 515단계에서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지 않고(즉, skip)하고 다음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변경된 서비스채널에서 최초의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3단계에서를 이를 확인하고, 517단계에서 복호부130의 비디오 복호기380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되는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의 복호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비디오 복호기38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수신되는 변경 서비스채널의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며, 상기 복호된 비디오 데이터는 표시부150에 전달되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은 서비스 채널 변경시 변경된 서비스채널에서 처음 수신되는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이로인해 채널 변경시점에서 빠르게 변경 서비스채널의 방송신호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는 P 프레임 및 B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와는 달리 단독으로 복호가 가능한 비디오 데이터이므로, 상기 I 프레임 데이터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빠르게 변경 서비스채널의 방송을 재생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의 채널 변환시 화면 표시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채널 변경 후 처음으로 수신되는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이후 수신되는 I 프레임 데이터들을 모두 복호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서비스채널 변경 후 처음으로 수신되는 I 프레임을 검출하면, 이후 수신되는 다른 프레임의 비디오데이타(여기서는 P 프레임(B 프레임이 포함될 수도 있음)이 될 수 있음)들도 복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도 6의 415단계에서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최초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확인하면, 이를 표시하는 동시에 4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 및 이후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들을 버퍼링한다. 이때 상기 방송데이타의 버퍼링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방송데이타를 버퍼링하는 상태에서 상기 방송데이타가 설정된 버퍼 크기까지 버퍼링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9단계에서 상기 버퍼링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설정된 속도로 복호하여 재생한다.
상기 버퍼링된 방송데이타의 재생은 2가지 단계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재생 시간이 동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각각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재생시간 제어정보(time stamp)들을 가지며, 이런 시간 제어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DTS 및 PTS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간 제어정보는 매번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퍼링된 방송데이타의 양이 설정된 크기가 되면, 일단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설정된 속도로 재생하며, 이후 상기 타임 스탬프 정보가 수신되면 오디오 및 비디오의 타임 오프셋을 조정한 후, 정상적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도 8은 상기 도 6의 417단계 및 419단계에서 수행되는 재생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에서 수신되는 최초의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51단계에서 비디오 입력버퍼를 초기화(Vbcnt = 0)하고,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도시하지 않은 비디오 및 오디오 입력버퍼에 저장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입력버퍼는 각각 상기 비디오복호기380 및 오디오복호기390의 전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553단계에서 상기 비디오 입력버퍼에 버퍼링된 비디오 데이터의 량이 설정된 크기(여기서는 상기 비디오 입력버퍼의 크기가 될 수 있음)가 되었는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 크기(buffer size)는 상기 서비스채널의 버스트 크기가 될 수 있으며, 시간적으로 1초에서 3초 동안 재생할 수 있는 크기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DVB-H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1초에 25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버퍼 크기는 25프레임에서 75프레임 정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초 분량(50 프레임 정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버퍼 크기 만큼 버퍼링이 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5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55단계에서 수신되는 방송데이타(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대응되는 입력버퍼에 저장하며, 557단계에서 상기 버퍼의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559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50에 상기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를 버퍼링하는 중에 상기 버퍼 카운트 값이 상기 비디오 입력버퍼의 설정 크기 값이 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5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61단계에서 상기 오디오복호기390을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입력버퍼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의 복호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573단계에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시간(local clock)을확인하고, 이전 재생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타임스탬프 정보는 아직 수신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7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77단계에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현재 시간을 확인하며, 579단계에서 이전 재생시간(last play time)에 재생간격 시간(play_interval)을 더한 후 상기 확인된 현재시간과 비교한다. 이때 상기 현재시간이 상기 이전 재생시간 + 재생간격 시간 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어부 58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비디오 입력버퍼에 버퍼링된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577단계로 되돌아가 대기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설정된 크기의 방송데이타를 버퍼링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시간(로컬 타임)을 확인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버퍼링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한다. 예를들면 1초에 25프레임을 재생하는 DVB-H 수신기이고, 상기 재생간격 시간(play_interval)이 1초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577단계 및 579단계를 통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로컬 시간을 확인하여 이전 재생시간에서 재생간격 시간이 경과되면(여기서는 방송데이타를 재생한 후 1초가 경과되면), 상기 비디오복호기380을 제어하여 상기 비디오 입력버퍼에 저장된 25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를 1초동안 재생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571단계 및 573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확인된 시간을 이전 재생 시간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타임 스탬프 정보가 수신될 때 까지 상기 버퍼링된 방송데이타들을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로컬 시간에 맞춰 재생한다. 이런 경우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서 오프셋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디오복호기380에서 디코딩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표시부150에 인가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오디오신호는 오디오복호기390을 통해 연속적으로 재생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가 설정된 크기 이상 버퍼링되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내부 시간을 참조하여 설정된 속도로 재생한다.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는 상기 RTP전달부340에서 전달되는 RTCP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RTCP가 수신되면 비디오 데이터의 타임 스탬프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RTCP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타임 스탬프 값을 확인할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571단계 - 581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시간에 따라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상기 RTCP는 매 버스트에 포함되어 전송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RTCP는 하나의 버스트에 두 개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버스트가 수신되는 동안에 한번도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RTCP 수신시 오디오 및 비디오 RTCP를 모두 수신하여야 오디오 및 비디오의 타임 오프셋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오디오 RTCP에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시간 정보(오디오 DTS 또는 PTS)가 포함되며, 상기 비디오 RTCP에는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시간 정보(비디오 DTS 또는 PTS)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수신하여 두시간 정보의 타임 오프셋을 계산한 후, 이를 조정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동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575단계에서 타임스탬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75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591단계에서 상기 두 타임스탬프 값의 오프셋을 확인하여 이를 조정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동기를 이루고, 593단계에서 상기 오디오복호기390 및 비디오 복호기380(또는 도시하지 않은 오디오 출력버퍼 및 비디오 출력버퍼, 여기서 각 출력버퍼들은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임)의 디코딩 시점을 제어하면서 정상 재생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서비스채널 변경시, 먼저 변경된 서비스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최초의 I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정지화면으로 표시하며,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들을 버퍼링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데이타가 설정된 크기로 버퍼링되면,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방송데이타의 타임 스탬프 정보가 수신될 때 까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로컬 시간을 참조하여 버퍼링된 방송데이타들을 재생하며, 상기 타임 스탬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 오프셋을 조정하여 정상적인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로컬 시간으로 방송데이타를 재생하는 절차는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변경된 서비스채널에서 수신되는 최초의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정지화면으로 표시하는 상태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면서 타임스탬프 정보가 수신될 때 까지 대기한다. 이후 상기 타임 스탬프 정보가 수신되어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동기를 이루면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임 스탬프 정보가 수신되기 전에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정지화면으로 재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신호의 재생도 생략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의 동기가 이루어지 전에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I 프레임의 정지화면만을 표시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6 - 도 8의 동작절차는 DVB-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면 표시 방법은 DMB 방식에서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방송수신부110의 복조부는 PID필터230 및 복조제어기240을 구비하지 않으며, 상기 프로토콜처리부120은 역다중화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방송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TS 패킷 스트림이 될 수 있으며, 역다중화기는 상기 TS 패킷 스트림에서 비디오 PES 정보를 분석하여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와 같은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은 채널 변경 시점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절차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최초 방송 시청을 요구하는 경우, 채널 설정 절차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동하시는 시점에서 채널을 설정할 때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메모리160, 키입력부170, 표시부150, 스피커155의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통신부190은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하강 주파수 변환하고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상승 주파수 변환하는 주파수변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시 송신신호를 변조하고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기 및 송신신호를 부호화하고 수신신호를 복호하는 코덱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기는 상기 무선통신부190에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부100에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는 통신모드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은 오프되며, 무선통신부190을 통해 RF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방송모드시 상기 통신 기능은 대기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서비스채널 또는 방송 사업자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90을 통해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수신부110, 프로토콜처리부120 및 복호부130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서비스채널을 설정 또는 변경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설정된 서비스채널의 정보들을 변경하여 상기 방송수신부110 및 프로토콜처리부120에 세팅한다. 이때 서비스채널이 선택되면, 방송수신부110은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들의 버스트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타임 슬라이싱 제어를 하며, 상기 수신되는 버스트 데이터의 PID를 확인하여 설정된 서비스채널들의 버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며, 프로토콜처리부120은 상기 수신되는 버스트 데이터의 프로토콜들을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에서 수신되는 최초의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확인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며, 이후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들을 각각 대응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버퍼들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로컬 시간을 이용하여 설정된 크기의 비디오 데이터들을 재생하며, 이런 동작은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타임 스탬프 정보가 수신될 때 까지 반복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의 타임 스탬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두 데이터들의 시간 오프셋을 조정하여 동기시킨 후, 정상적인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착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착신호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착신 경보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착신호 경보모드에는 일반 착신 경보 및 무음 착신 경보모드가 있다. 상기 일반 착신 경보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스피커155를 통해 설정된 착신 경보음(멜로디, 벨, 음악 등)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150에는 착신호의 발신가입자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무음 착신 경보는 진동 경보 및 표시 경보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진동 경보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착신호 발생시 상기 제어부100은 도시하지 않는 모터를 구동하여 휴대단말기를 진동시키고 상기 표시부150에 상기 착신호의 발신 가입자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경보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착신호 발생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50에 착신호가 발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와 함께 상기 착신호의 발신가입자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착신 표시는 점멸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50에는 서비스채널의 비디오 데이터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착신호 정보가 오버레이되어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송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이면, 사용자는 방송 화면을 시청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방송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착신 경보모드를 표시 경보 모드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서비스 채널의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발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지털 방송은 다양한 서비스채널들을 구비하며, 이런 경우 방송 중에 시청자의 요구 또는 응답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쇼핑 서비스채널인 경우, 사용자는 표시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리턴 통신채널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오락 및 게임 등의 서비스채널에서 사용자는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므로, 상기 무선통신부 190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는 무선통신부190을 통해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송중인 서비스채널과 통신할 수 있는 정보(예를들면 서비스채널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부서의 전화번호 또는 IP 정보 등)를 제어부100이 확인할 수 있다. 즉, DVH-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수신되는 ESG 데이터로부터 해당 서비스채널의 프로그램에 관련되는 전화번호, IP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수신되는 EPG로부터 해당 서비스채널의 프로그램에 관련된 전화번호, IP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발신 기능을 선택하면(즉, 통화키를 누르면) 무선통신부190에서 해당 서비스채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발신 정보(예를들면 구매 정보, vote 등) 발생하면 상기 발신 정보를 상기 방송중인 서비스채널 측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중인 서비스채널의 응답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키입력부170을 통해 커서의 위치를 통신하고자 하는 서비스채널의 방송화면 상에 위치시키고 발신 통화기능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서비스채널의 방송 화면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부150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특정 위치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발신 통신 기능을 요구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00의 상의 커서 위치를 확인한 후 방송중인 서비스채널 및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며, 이후 상기 서비스채널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통신 정보(예를들면 전화번호, IP 등)에 따른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송모드에서 발신모드를 수행하게 되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시청중인 서비스채널과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서비스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방송 시청 시작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 또는 설정 서비스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를 신속하게 재생할 수 있어, 채널 변경시간 또는 방송 화면 표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전환시 오디오 및 비디오의 시간 동기가 이루어지 않은 상태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표시 기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방송채널 변경시 상기 변경된 방송채널의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방송채널에서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며,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 수신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정지 화면으로 표시하고,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를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링되는 방송데이타의 타임스탬프 정보가 수신되는가 검사하며,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의 타임 오프셋을 조정하여 동기된 비디오 및 오디오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정지화면 표시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는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버퍼링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
  4.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방송채널 변경시 상기 변경된 방송채널의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방송채널에서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며,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 수신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정지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를 버퍼링하며,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로컬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링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타임스탬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재생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재생 시간 오프셋을 조정하여 동기시킨 후 정상 재생동작을 수행하면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는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이, 현재 로컬 시간 및 재생시간 간격이 되면 상기 버퍼링된 설정된 수의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비디오복호기를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
  7.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방송 시청 요구시 상기 이전에 시청된 방송채널의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채널에서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며,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 수신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정지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를 버퍼링하며,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로컬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링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타임스탬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재생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재생 시간 오프셋을 조정하여 동기시킨 후 정상 재생동작을 수행하면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는 I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이, 현재 로컬 시간 및 재생시간 간격이 되면 상기 버퍼링된 설정된 수의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비디오복호기를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20060133285A 2006-12-23 2006-12-23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80058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285A KR20080058993A (ko) 2006-12-23 2006-12-23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표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285A KR20080058993A (ko) 2006-12-23 2006-12-23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993A true KR20080058993A (ko) 2008-06-26

Family

ID=3980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285A KR20080058993A (ko) 2006-12-23 2006-12-23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89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215A (ko) * 2021-08-17 2023-02-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가능한 iptv 셋톱박스 및 iptv 셋톱박스에서의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215A (ko) * 2021-08-17 2023-02-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가능한 iptv 셋톱박스 및 iptv 셋톱박스에서의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577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JP4423263B2 (ja) 携帯端末向け伝送方法及び装置
US8949924B2 (en)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8848112B2 (en) Fast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20090241163A1 (en) Broadcast picture display method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same
US20070110105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eiving a multiplexed broadcast signal carrying a plurality of services
US777827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N1964485B (zh) 一种多媒体广播频道快速播放的方法
US8736771B2 (en) Display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N101151897B (zh) 在数字广播接收机中处理数据的设备和方法
KR101303258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80058993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80005815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304888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229896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35870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26294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070078621A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
JP539424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524476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58991A (ko)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및 장치
EP2106120B1 (en) Broadcast picture display method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same
JP2008227795A (ja) ストリーム受信装置
KR100787981B1 (ko)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KR20210085932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부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