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098A - 휴대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098A
KR20080051098A KR1020070125149A KR20070125149A KR20080051098A KR 20080051098 A KR20080051098 A KR 20080051098A KR 1020070125149 A KR1020070125149 A KR 1020070125149A KR 20070125149 A KR20070125149 A KR 20070125149A KR 20080051098 A KR20080051098 A KR 20080051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movement
moved
parallel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709B1 (ko
Inventor
아츠시 미사와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직 배향에 사용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평 배향에 사용될 때 기억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가져올 수 있고, 각 사용 상태에서 사용가능한 배타적 조작부를 이룰 수 있으며,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조작부를 숨길 수 있거나, 또는 표면에 배타적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휴대용 장치를 제공한다.
휴대용 장치, 인클로저, 조작부, 디스플레이부

Description

휴대용 장치{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셀룰러 폰 등의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장치로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인클로저 및 조작부를 갖는 인클로저인 2개의 인클로저가 힌지를 통하여 개폐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형 휴대용 장치, 및 2개의 인클로저가 슬라이드 기구를 통하여 개폐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휴대용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인클로저 및 조작부를 갖는 인클로저를 서로 오버레이함으로써 컴팩트하게 기억된 상태가 캐리(carry)되는 것이 편리해질 수 있다.
그렇게 기억가능한 휴대용 장치에는 텔레비젼 수신 기능이 구비된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기억가능한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직 배향 형상이지만, 텔레비젼 화상 등의 수평 배향으로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평 배향되도록 소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56893호 공보는 디스플레이 유닛부가 회전가능하게 되는 통신 장치를 제안하고, 디스플레이는 조작부 인클 로저에 대하여 수직 배향 또는 수평 배향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유닛부의 회전으로 수직 배향 또는 수평 배향되게 스위칭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8217호 공보는 3축의 회전을 갖는 힌지를 사용하여 회전가능해지도록 본체부 및 플립부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본체부 및 플립부가 각종 형태로 변경가능한 휴대용 장치를 제안한다.
그렇게 기억가능한 휴대용 장치에는 한 종류의 조작부만이 통상 사용되지만, 호출 기능 또는 텔레비젼 기능 등에 사용되도록 기능에 따른 다른 조작부를 이용하는 것이 때때로 효율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30198호 공보는 다른 조작부가 플립을 개폐하는 것에 대응하여 출현하는 셀룰러 폰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에 개시된 휴대용 장치는 이하의 단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56893호 공보에 개시된 통신 장치는 2개의 인클로저가 접힌 채로 기억되는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평 배향에 사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 장치가 스위칭될 때 복수의 조작이 필요하고 이 조작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8217호 공보에 개시된 휴대용 장치는 복수의 축을 갖는 힌지라 불리는 고가이고 복잡한 기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갖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평 배향될 때 조작부 및 인클로저상의 레터도 수평 배향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평 배향될 때 조작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그것은 외관이 동일하므로 혼동의 문제점을 갖는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30198호 공보에 개시된 셀룰러 폰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체 인클로저에 제공될 수 없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아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직 배향에 사용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평 배향에 사용될 때 기억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가져올 수 있고, 각 사용 상태에서 사용가능한 배타적 조작부를 이룰 수 있으며,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조작부를 숨길 수 있거나, 또는 표면에 배타적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휴대용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장치는 제 1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 1 인클로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제 2 인클로저; 제 3 인클로저; 및 상기 제 1 인클로저, 제 2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를 각각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실루엣이 서로 다른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대한 제 1 인클로저에 오버레이되는 제 1 위치로부터의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2 인클로저를 이동가능하게 조인트하는 조인트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1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의 실루엣에 오버레이되도록 제 2 인클로저를 일체로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의 제로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제 3 인클로저를 노출되게 하며;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 이하가 되도록 제한함으로써 제 1 조작부를 조작가능한 상태로 노출되게 한다.
그 결과, 각 사용 상태에서 불필요한 조작부를 숨김으로써 조작성이 향상되고 배타적 외관이 표면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장치는 제 1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 1 인클로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제 2 인클로저;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 3 인클로저; 및 상기 제 1 인클로저, 제 2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 저를 각각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실루엣이 서로 다른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대한 제 1 인클로저에 오버레이되는 제 1 위치로부터의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2 인클로저를 이동가능하게 조인트하는 조인트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1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의 실루엣에 오버레이되도록 제 2 인클로저를 일체로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의 제로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제 2 조작부를 노출되게 하며;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 이하가 되도록 제한함으로써 제 1 조작부를 조작가능한 상태로 노출되게 한다.
그 결과, 필요한 조작부만이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노출되므로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기구(연결 기구)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게 할 수 있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인클로저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그리고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인 2개의 방향에서 평행 이동의 일방향으로 평행 이동을 수행하도록 제 2 인클로저를 위한 기구로서 평행 연결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평행 이동은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기구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기구(연결 기구)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평행 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회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한 기구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 및 회전 이동을 허용하고, 제 2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만을 허용하며, 제 3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회전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제 2 인클로저의 모션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은 불필요한 모션을 수행할 수 없도록 제한되므로 제 2 인클로저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그리고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더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기구(연결 기구)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회전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평행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한 기구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 및 회전 이동을 허용하고, 제 2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회전 이동만을 허용하며, 제 3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제 2 인클로저의 모션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은 불필요한 모션을 수행할 수 없도록 제한되므로 제 2 인클로저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그리고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더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서 각각 소정의 유지력으로 제 2 인클로저를 정지시키는 정지 기구가 포함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인클로저는 각 위치에서 정지되므로 각 위치에서의 조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장치는 제 1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 1 인클로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제 2 인클로저; 제 3 인클로저; 및 상기 제 1 인클로저, 제 2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를 각각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실루엣이 서로 다른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대한 제 1 인클로저에 오버레이되는 제 1 위치로부터의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2 인클로저를 이동가능하게 조인트하는 조인트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1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의 실루엣에 오버레이되도록 제 2 인클로저를 일체로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 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의 제로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제 3 인클로저를 노출되게 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 이하가 되도록 제한함으로써 제 1 조작부를 조작가능한 상태로 노출되게 하며; 상기 휴대용 장치는 휴대용 장치가 있는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 중 어느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 검출 장치; 및 복수의 조작 모드로부터 사용가능한 조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 선택 장치는 위치 검출 장치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복수의 조작 모드로부터 사용가능한 조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그 결과, 각 위치에서의 조작 모드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유저가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휴대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그 길이 방향이 제 2 인클로저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도록 제 2 인클로저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조작 모드 중 하나는 텔리비젼 시청 모드, 동화상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일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이 수평으로 보여지도록 유지될 때 상기 스크린 아래에 노출된 제 1 조작부는 텔레비젼 조작 모드, 동화상 재생 조작부, 또는 게임 조작부일 수 있다.
그 결과, 수평 배향에 적당한 텔레비젼 시청, 동화상 재생, 또는 게임은 수평 배향된 디스플레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조작은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수행될 수 있다.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때에만 제 2 인클로저의 백으로부터 노출된 카메라 장치에 사용되는 촬영 렌즈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모드 선택 장치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는 제 2 위치에 제 2 인클로저가 있을 때에만 카메라 장치를 작동시키는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상기 렌즈는 제 2 위치에 노출되고, 카메라 장치에 의한 촬영이 수행될 수 잇다. 촬영 렌즈는 제 1 위치 및 제 3 위치에 노출되지 않고, 촬영 렌즈는 손상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전화 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모드 선택 장치는 복수의 조작 모드로부터의 전화 호출의 도착을 대기하는 대기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는 제 2 위치에 제 2 인클로저가 있을 때에만 상기 모드 선택 장치는 전화 장치에 의해 호출을 허용하는 호출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유리한 유용성을 갖는 전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배향에서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모드에 적당한 조작 부재는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수직 배향에 사용될 때 노출되고, 수평 배향에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모드에 적당한 조작 부재는 디스플레이가 수평 배향에 사용될 때 노출됨으로써 유저가 조작하기에 용이한 휴대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A 내지 1C는 정면에서 본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기억된 상태이고, 도 1B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직 배향에 사용되는 상태에 있는 제 2 위치를 나타낸다. 도 1C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평 배향에 사용되는 상태에 있는 제 3 위치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2C는 배면에서 본 휴대용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 1 위치를 나타낸다. 도 2B는 제 2 위치를 나타낸다. 도 2C는 제 3 위치를 나타낸다.
휴대용 장치(1)는 조작 부재가 셀룰러 폰 등에 슬라이딩되고 기억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이고, 제 1 인클로저(10), 제 2 인클로저(20), 및 제 3 인클로저(30)로 구성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클로저(10)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행 육면체 형상이며, 여기에는 텔레비젼 조작 버튼, 동화상 재생 버튼, 음량 버튼, 등으로 구성된 제 1 조작부(11)가 위치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인클로저(20)도 제 1 인클로저(10)에서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평행 육면체 형상이고, 여기에는 인클로저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길이 방향에 있어서 화상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직사각형 디스플레이(21), 및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26R 및 26L)가 위치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저의 배면측에 위치된 촬영 렌즈(27)가 위치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인클로저(30)는 제 1 인클로 저(10)에서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평행 육면체 형상이고, 제 3 인클로저(30)에서는 호출 버튼, 제거 버튼, 텐 키, 셔터 버튼 등으로 구성된 제 2 조작부(31), 및 전화 호출시에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로폰(39)이 위치된다.
그 다음, 도 3을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장치(1)의 내부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휴대용 장치(1)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제 1 인클로저(10)는, 도 1C에 도시된 제 1 제어부(11)에 더하여, 휴대용 장치(1)가 있는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의 어느 위치를 검출하는 제 1 검출 스위치(16), 전화 안테나(101),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디코더, 변조기 등을 갖는 전화 제어부(102), 촬영 렌즈(27)를 통하여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사 데이터를 디지털 처리하는 카메라 제어부(103), 촬영된 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억부(104), 텔레비젼 안테나(105), 텔레비젼, 디코더 등을 수용하는 튜너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제어부(106),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탈착가능한 외부 미디어를 포함하는 기억부(107), 동화상 기억부(107)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신호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하는 동화상 재생 제어부(108), 각 제어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09), 이들 제어부의 IC 및 전자부품이 실장된 메인 보드(110), 및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를 포함한다.
제 2 인클로저(20)는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1)와 스피커(26), 및 도 2B에 도시된 촬영 렌즈(27)에 더하여 디스플레이(21)에 레터 및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드라이버 등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부(201), 출력 신호를 증폭하고 스피커(26)를 제어하는 증폭기 등을 포함하는 음성 출력 제어부(202), 및 렌즈(27)의 초점 및 다이어프램을 변화시키는 렌즈 제어부(203)를 포함하고, 이들 IC 및 전자부품은 도시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의해 메인 보드(110)에 접속된다.
제 3 인클로저(30)에는 도 1B에 도시된 제 2 조작부(31) 및 마이크로폰(39)에 더하여 휴대용 장치(1)가 있는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 중 어느 위치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스위치(36)가 구비되고, 이들 IC 및 전자부품은 도시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의해 메인 보드(110)에 접속된다.
이렇게 구성된 휴대용 장치(1)는 도 1B에 도시된 제 2 위치에서 제 2 조작부(31)를 사용함으로써 선택 번호로의 호출, 전자 메일의 송수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위치에서 마이크로폰(39)이 노출되고, 그 위치 관계는 마이크로폰(39)이 호출에 편리한 거리에서 분리되도록 되어 전화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스피커(26) 및 마이크로폰(39)을 귀 및 입에 각각 적용하여 호출이 가능해지고, 유리한 조작성이 제공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위치에서 촬영 렌즈(27)가 노출되고, 피사체에 지시된 렌즈에 의해 조작부(31)의 셔터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촬영이 가능하다. 한편, 도 2A 및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렌즈(27)는 제 1 위치 및 제 3 위치에서 노출되지 않으므로 촬영 렌즈는 사용되지 않을 때 보호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제 3 위치에서 텔레비젼 및 각종 동화상은 제 1 조작부(11)를 사용함으로써 시청될 수 있다. 제 3 위치에서 디스플레이(21)는 수평 배향되고, 수평 배향된 텔레비젼 방송의 화상은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3 위치에 노출된 제 1 조작부(11)는 텔레비젼 및 동화상을 시청하는데 배타적인 조작 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에 편리하다.
그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의 조인트 기구(연결 기구)는 도 4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휴대용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며, 여기서 제 2 인클로저(20)는 디스플레이(21) 등을 생략함으로써 저면이 상부로부터 보여질 수 있도록 예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클로저(10)에는 직사각형의 평행 육면체 형상인 키(12), 제 1 로크 핀(13), 제 1 로크 핀(13)이 프레스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검출 스위치(16), 및 제 2 로크 핀(15)이 구비된다. 제 3 인클로저(30)에는 회전용 원형 구멍(32), 제3 로크 핀(33), 제 4 로크 핀(35), 제 4 로크 핀(35)이 프레스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스위치(36), 제 3 원형 구멍(37), 및 양측의 제한 판(38)이 구비된다. 키(12)는 회전용 원형 구멍(32)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고, 제 3 원형 구멍(37)의 구멍 직경은 제 1 로크 핀(13) 및 제 2 로크 핀(15)이 그것에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제 1 로크 핀(13) 및 제 2 로크 핀(15)의 직경보다 크다. 제한 판(38)의 높이는 제 2 인클로저(20)의 두께보다 더 작다.
키구멍형 슬릿(22), 제 1 원형 구멍(23), 제 2 원형 구멍(24), 및 촬영용 렌즈를 배치하는 렌즈용 원형 구멍(25)은 제 2 인클로저(20)의 저면부에 제공된다. 제 1 원형 구멍(23) 및 제 2 원형 구멍(24)의 직경은 제 3 로크 핀(33) 및 제 4 로크 핀(35)의 직경이 그것에서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제 3 로크 핀(33) 및 제 4 로크 핀(35)의 직경보다 더 크다. 키구멍형 슬릿(22)은 원형 구멍부 및 긴 구멍부가 접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키(12)는 원형 구멍부 내부에서 회전가능한 반면, 키(12)는 긴 구멍부 내부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긴 구멍부의 폭은 긴 표면 방향에서의 키(12)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제 1 인크롤저(10)에 제공된 키(12)는 제 3 인클로저의 회전용 원형 구멍(32) 및 제 2 인클로저의 키구멍형 슬릿(22)을 통하여 저락(低落) 방지 캡(17)에 끼워맞춰져 고정된다. 저락 방지 캡(17)의 직경은 회전용 원형 구멍(32) 및 키구멍형 슬릿(22)의 원형 구멍부보다 더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는 제 1 인클로저(10) 및 제 2 인클로저(20)가 제 3 인클로저(30)를 샌트위치하도록 일체화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 다음, 휴대용 장치(1)의 도 1A에 도시된 기억 상태인 제 1 위치는 도 5A 내지 5D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A 내지 5D는 상면에서 본 휴대용 장치(1)의 각 인클로저의 도면이다.
도 5A는 상면에서 본 제 2 인클로저(20)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21) 등을 생략하여 도시된 키구멍형 슬릿(22), 제 1 원형 구멍(23), 및 제 2 원형 구멍(24)을 나타낸다. 렌즈용 원형 구멍(25)은 여기서 생략된다. 도 5B는 상면에서 본 제 3 인클로저(30)의 상태를 나타내고, 회전용 원형 구멍(32), 제 3 로크 핀(33), 제 4 로크 핀(35), 제 3 원형 구멍(37), 및 제한 판(38)을 나타낸다. 도 5C는 상면에서 본 제 1 인클로저(10)의 상태를 나타내고, 키(12), 제 1 로크 핀(13), 및 제 2 로크 핀(15)를 나타낸다. 키(12)에 끼워맞춰져 고정된 저락 방지 캡(17)은 여기서 생략된다.
도 5D는 제 3 인클로저(30)가 제 1 인클로저(10)에 오버레이되고, 제 2 인클 로저(20)가 제 3 인클로저(30)에 더 오버레이된 상태, 즉 상면에서 본 기억 상태인 제 1 위치의 도면이다. 제 2 로크 핀(15) 및 제 3 원형 구멍(37)은 원래 제 2 인클로저(20) 뒤에 숨겨져야 하지만, 편의를 위해 제 2 인클로저(20)를 통하여 도시된다.
제 3 인클로저(30)가 제 1 인클로저(10)에 오버레이될 때 제 1 인클로저(10)에 제공된 키(12)는 제 3 인클로저에 제공된 회전용 원형 구멍(32)을 관통하고, 동시에 제 1 인클로저에 제공된 제 2 로크 핀(15)은 제 3 인클로저에 제공된 제 3 원형 구멍(37)에 끼워맞쳐진다. 제 2 인클로저(20)가 제 3 인클로저(30)에 더 오버레이될 때 회전용 원형 구멍(32)을 관통한 키(12)는 제 2 인클로저에 제공된 키구멍형 슬릿(22)의 원형 구멍부를 관통하고, 동시에 제 3 인클로저에 제공된 제 3 로크 핀(33)은 제 2 인클로저에 제공된 제 1 원형 구멍(23)에 끼워맞춰진다. 또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저락 방지 캡(17)은 키(12)에 끼워맞춰져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억 상태인 제 1 위치에서 제 1 인클로저(10) 및 제 2 인클로저(20)는 제 3 인클로저(30)를 샌드위치하도록 일체화되고, 이 위치는 로크 핀 및 원형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인클로저(10)에 제공된 제 1 로크 핀(13)은 제 3 인클로저(30)의 저면부에 의해 프레스되므로 제 1 로크 핀(13)의 하부에 제공된 제 1 검출 스위치(16)는 ON 상태에 있게 된다. 유사하게도, 제 3 인클로저(30)에 제공된 제 4 로크 핀(35)은 제 2 인클로저(20)의 저면부에 의해 프레스되므로 제 4 로크 핀(35)의 하부에 제공된 제 2 검출 스위치(36)도 ON 상태에 있게 된다.
그 다음, 휴대용 장치(1)의 기억 상태인 제 1 위치로부터 도 1B에 도시된 수직 배향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는 제 2 위치로의 시프트는 도 6A 내지 6C, 및 도 7A 내지 7C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A 내지 6C는 상면에서 본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휴대용 장치(1)의 슬라이드 이동의 트랜지션의 도면이다. 제 2 인클로저(20)와 관련하여, 저면은 디스플레이(21) 등을 생략함으로써 가시 상태에 있게 되고, 저락 방지 캡(17)도 생략된다. 도 7A 내지 7C는 도 6A 내지 6C의 a ~ a'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제 1 위치의 평면도이고, 도 7A는 도 6A의 a ~ a' 라인에서 취해진 단면도이다. 제 3 인클로저(30)에 제공된 제 4 로크 핀(35)은 상면으로부터 보여지지 않지만, 편의를 위해 상면을 통하여 도시된다. 제 4 로크 핀(35)이 도 7A에서와 같이 제 2 인클로저(20)의 배면에 의해 프레스되므로 제 2 검출 스위치(36)는 ON되고, 제 3 로크 핀(33)은 제 1 원형 구멍(23)에 끼워맞춰진다.
도 6B는 도 6A의 상태로부터의 도면에서제 2 인클로저(20)가 상부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7B는 도 6B의 a ~ a' 라인에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원형 구멍(23) 및 제 3 로크 핀(33)의 끼워맞춤이 해제되고, 제 2 인클로저(20)는 제 3 인클로저에 제공된 제한 판(38)에 의해 가이드되게 하는 방식으로 상부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된다. 제 3 로크 핀(33)은 상면으로부터 보여질 수 없지만, 여기서 편의를 위해 상면을 통하여 도시된다.
여기서, 제 3 인클로저(30)는 회전용 원형 구멍(32)만을 구비하고, 제 2 인클로저(20)의 키구멍형 슬릿(22)과 같이 긴 구멍부를 갖지 않으므로 제 2 인클로 저(20)에서와 같이 상부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될 수 없다. 따라서, 제 3 인클로저(30)는 제 2 로크 핀(15) 및 제 3 원형 구멍(37)의 끼워맞춤에 의해 제 1 인클로저(10)와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2 인클로저(20)만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7C는 도 7B의 상태로부터의 도면에서 제 2 인클로저(20)가 상부로 이동되도록 더 슬라이딩되는 것, 및 디스플레이부가 수직 배향에 사용되는 상태인 제 2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하고, 도 7C는 도 6C의 a ~ a' 라인의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키(12)는 키구멍형 슬릿(22)의 긴 구멍부의 말단에 접합되고, 그것으로부터의 그 이상의 슬라이딩 이동은 제한되고, 동시에, 제 2 인클로저에 제공된 제 2 원형 구멍(24) 및 제 3 인클로저에 제공된 제 4 로크 핀(35)은 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진다. 구체적으로, 제 2 인클로저(20)에 제공된 디스플레이(21)가 상부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되는 상태에서 제 3 인클로저(30)에 제공된 제 2 조작부(31)가 노출되고, 제 2 조작부(31)는 디스플레이(21)가 수직 방향으로 보여지는 상태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4 로크 핀(35)은 제 2 원형 구멍(24)에 끼워맞춰지므로 제 4 로크 핀(35)의 하부에 제공된 제 2 검출 스위치(36)는 OFF 상태에 있게 된다. 제 1 인크롤저(10) 및 제 3 인클로저(30)의 위치 관계는 변화되지 않으므로 도시되지 않은 제 1 검출 스위치(16)는 ON 상태에 있다.
제 2 인클로저(20)는 도면에서 제 2 인클로저(20)를 하부로 슬라이딩 및 이동시킴으로써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용이하게 리턴될 수 있다.
그 다음, 휴대용 장치(1)의 기억 상태인 제 1 위치로부터 도 1C에 도시된 수평 배향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는 제 3 위치로의 시프트는 도 8A 내지 8C 및 도 9A 내지 9C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8A 내지 8C는 상면에서 본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의 휴대용 장치(1)의 회전 이동의 트랜지션의 도면이다. 제 2 인클로저(20)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21) 등을 생략함으로써 가시 상태에 있게 되고, 저락 방지 캡(17)이 생략된다. 도 9A 내지 9C는 도 8A 내지 8C의 b ~ b' 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제 1 위치의 평면도이고, 도 9A는 도 8A의 b ~ b' 라인의 단면도이다. 제 1 인클로저(10)에 제공된 제 1 로크 핀(13)은 상면에서 보여질 수 없지만, 편의를 위해 상면을 통해 보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1 원형 구멍(23) 및 제 3 로크 핀(33)은 서로 끼워맞춰지고, 유사하게 제 3 원형 구멍(37) 및 제 2 로크 핀(15)은 서로 끼워맞춰진다.
도 8B는 제 3 인클로저(30)가 도 8A의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8B의 b ~ b' 라인의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제 3 원형 구멍(37) 및 제 2 로크 핀(15)의 끼워맞춤이 해제되고, 제 3 인클로저(30)는 키(12)가 관통하는 회전용 원형 구멍(32) 주위에서 회전 이동한다. 이 경우에 제한 판(38)은 제 3 인클로저(30)의 양측에 제공되므로 제 3 인클로저(30)가 회전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20)도 제 3 인클로저와 일체로 회전 이동된다.
도 8C는 제 3 인클로저(30)가 도 8B의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 되는 것,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평 배향에 사용되는 제 3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C는 도 9C의 b ~ b' 라인의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제 3 인클로저(30)에 제공된 제 3 원형 구멍(37)은 제 1 인클로저(10)에 제공된 제 1 로크 핀(13)에 끼워맞춰져서 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인클로저(10)에 제공된 제 1 조작부(11)는 제 2 인클로저에 제공된 디스플레이(21)가 상부로 회전 이동되는 상태에 노출되고, 제 1 조작부(11)는 수평 방향에서 보여진 디스플레이(21)과 함께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로크 핀(13)은 제 3 원형 구멍(37)에 끼워맞춰지므로 제 1 로크 핀(13)의 하부에 제공된 제 1 검출 스위치(16)는 OFF 상태에 있게 된다. 제 3 인클로저(30) 및 제 2 인클로저(20)의 위치 관계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도시되지 않은 제 2 검출 스위치(36)는 ON 상태에 있다. 제 3 인클로저(3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은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90도로 제한되므로 제 3 인클로저(30)는 90보다 더 많이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휴대용 장치는 제 3 인클로저(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제 3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용이하게 리턴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인클로저(20)는 제한 판(38)에 의해 제 3 인클로저(30)와 일체로 회전된다.
그 다음, 휴대용 장치(1)의 조작은 도 10 및 11을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각 위치에서 제 1 검출 스위치(16) 및 제 2 검출 스위치(34)의 ON/OFF 상태를 나타내는 표이고, ON 및 OFF의 조합은 각 위치에 따라 다르다. 도 11은 휴대용 장치(1)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109)는 제 1 검출 스위치(16) 및 제 2 검출 스위치(34)의 ON/OFF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용 장치(1)가 어느 위치에 있는 지를 결정한다. 먼저, 시스템 제어부(109)는 휴대용 장치(1)가 제 1 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스텝 S1). 그것은 휴대용 장치(1)가 제 1 위치에 있는 지를 결정할 때 제 1 조작부(11) 및 제 2 조작부(31)의 입력을 유효하지 않게 하고 디스플레이(21)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로 가져오고(스텝 S2), 동시에 전력 소비를 감속시킨다. 시스템 제어부(109)는 그 위치가 다른 위치로 시프트되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위치에서 휴대용 장치가 호출 대기 모드에 있고, 전화 호출의 도착 및 전자 메일의 수신은 전화 제어부(102)를 조작하는 시스템 제어부(109)에 의해 가능하다. 그 후, 임의의 모드에서 전화 호출의 도착 및 전자 메일이 수신이 가능하다.
시스템 제어부(109)는 휴대용 장치가 제 1 위치에 없는 지를 결정할 때 그것은 다음에 휴대용 장치가 제 2 위치 또는 제 3 위치에 있는 지를 결정한다(스텝 S3). 그것은 휴대용 장치가 여기서 제 3 위치에 있는 지를 결정할 때 제 1 조작부(11)를 유효하게 하고, 디스플레이(21)가 수평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한다(스텝 S4).
그 다음, 시스템 제어부(109)는 텔레비젼 시청 모드에 휴대용 장치(1)를 세팅하고(스텝 S5), 텔레비젼 제어부(106)가 조작되어 텔레비젼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텔레비젼 시청에 적당한 제 1 조작부(11)가 유효하기 때문에 채널 스위칭, 볼륨 조정 등은 제 1 조작부(11)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시스템 제어부는 항상 제 1 검출 스위치(16) 및 제 2 검출 스위치(34)를 모니터링하고(스텝 S6), 그것은 그 위치가 제 1 위치로 시프트되는 것을 결정할 때 제 1 조작부(11)가 유효하지 않게 하고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를 정지시킨다.(스텝 S2).
이 상태에서 제 1 조작부(11)를 사용함으로써 텔레비젼 시청 모드로부터 동화상 재생 모드로 휴대용 장치를 시프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스텝 S7). 모드 스위칭은 외부 미디어를 기억부(107)로 삽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모드 스위칭이 수행될 때 시스템 제어부(109)는 동화상 재생 모드에 휴대용 장치(1)를 세팅하고(스텝 S8), 텔레비젼 제어부(106)를 정지시키고 동화상 재생 제어부(108)를 조작하여 동화상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동화상 재생에 적당한 제 1 조작부(11)는 텔레비젼 시청 모드에서와 같이 노출되고, 입력은 유효하게 된다. 따라서, 재생, 볼륨 조정 등의 개시, 정지, 및 일시 정지는 제 1 조작부(11)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텔레비젼 시청 모드에서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는 항상 제 1 검출 스위치(16) 및 제 2 검출 스위치(34)를 모니터링하고(스텝 S9), 그것은 휴대용 장치가 제 1 위치로 시프트되는 것을 결정할 때 제 1 조작부(11)를 유효하지 않게 하고,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를 정지시킨다(스텝 S2).
동화상 재생 모드로부터 텔레비젼 시청 모드로 휴대용 장치를 시프트시키는 것이 가능하고(스텝 S1O), 모드 스위칭이 수행될 때 시스템 제어부(109)는 텔레비젼 시청 모드에 휴대용 장치(1)를 세팅하고(스텝 S5), 동화상 재생 제어부(108)를 정지시키고 텔레비젼 제어부(106)를 조작하여 텔레비젼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 시스템 제어부(109)는 휴대용 장치가 스텝 S3에서 제 2 위치에 있는 지를 결정할 때 제 2 조작부(34)를 유효하게 하고 디스플레이(21)가 수직 배향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한다(스텝 S11). 그 다음, 시스템 제어부(109)는 호출 모드에 휴대용 장치(1)를 세팅하고(스텝 S12), 선택 번호로의 호출, 전자 메일의 송신, 주소록 검색 등은 모든 모드에서 가능한 전화 호출의 도착 및 전자 메일의 수신에 더하여 가능해진다. 이 때 전화 기능에 적당한 제 2 조작부(31)가 노출되고 입력이 유효하기 때문에 유리한 유용성이 얻어진다.
시스템 제어부는 항상 제 1 검출 스위치(16) 및 제 2 검출 스위치(34)를 모니터링하고(스텝 S13), 시스템 제어부는 휴대용 장치가 제 1 위치로 시프트될 때 제 2 조작부(31)의 입력을 유효하지 않게 하고, 디스플레이(21)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로 가져온다.(스텝 S2).
제 2 조작부(31)를 사용함으로써 호출 모드로부터 카메라 모드로 휴대용 장치를 시프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스텝 S15). 모드 스위칭이 수행될 때 시스템 제어부(109)는 카메라 모드에 휴대용 장치(1)를 세팅하고(스텝 S15), 텔레비젼 제어부(102)를 제어하여 텔레비젼 기능을 전화 호출의 도착 및 전자 메일의 수신에만 제한하고, 카메라 제어부를 조작하여 촬영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촬영에 적당한 제 2 조작부(31)는 호출 모드에서와 같이 노출되고, 입력은 유효하다. 따라서, 촬영 모드 스위칭, 줌 조정 및 실제 촬영은 제 2 조작부(31)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시스템 제어부(109)는 항상 호출 모드에서와 같이 제 1 검출 스위치(16) 및 제 2 검출 스위치(34)를 모니터링한다(스텝 S16). 시스템 제어부(109)는 휴대용 장치가 제 1 위치로 시프트되는 것을 결정할 때 제 2 조작부(31)를 유효하지 않게 하고 디스플레이(21)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로 가져온다(스텝 S2).
또한, 카메라 모드로부터 호출 모드로 휴대용 장치를 시프트시키는 것이 가능하고(스텝 S17), 모드 스위칭이 수행될 때 시스템 제어부는 호출 모드에 휴대용 장치(1)를 세팅하고(스텝 S12), 카메라 제어부(103)를 정지시키고 전화 제어부(102)를 제어하여 호출 및 전자 메일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 제 3 인클로저(30)는 도 12를 사용함으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12는 제 3 인클로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3 인클로저(30)는 제 2 조작부(31), 제 3 로크 핀(33), 제 4 로크 핀(35), 및 제한 판(38)을 포함하는 상면부(30a), 멤브레인 스위치(90), 및 하면부(30b)를 포함하고, 상면부(30a) 및 하면부(30b)가 멤브레인 스위치(90)를 샌드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멤브레인 스위치(90)는 제 2 검출 스위치(36) 및 마이크로폰(39)의 신호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플펙시블 프린트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제 1 인클로저(10)의 메인 보드(110)에 접속된다. 그러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제 1 조작부(11)의 버튼 배열 및 제 2 조작부(31)의 버튼 배열이 자유롭게 세팅될 수 있고, 각 기능에 적당한 버튼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인클로저(30)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제 3 인클로저(30)는 조작 버튼의 키 상부만을 포함하고, 키 상부가 프레스될 때 키 샤프트는 제 3 인클로저(30)의 저면부에 제공된 키 샤프트에 대하여 구멍부로부터 돌출된다.
도 13은 제 3 인클로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3 인클로저(30)는 제 3 로크 핀(33), 제 4 로크 핀(35), 및 제한 판(38)을 포함하는 상면부(30a), 키 샤프트용 구멍부를 포함하는 하면부(30b), 및 키 상부 그룹(130)을 포함하고, 상면부(30a) 및 하면부(30b)가 키 상부 그룹(130)을 샌드하도록 구성된다.
도 14는 제 2 위치에서의 제 3 인클로저의 제 2 조작부(31) 및 제 1 인클로저(10)의 조작부(11)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20)만이 슬라이딩되어 이동되고, 제 3 인클로저(30) 및 제 1 인클로저(10)가 일체화되고, 제 3 인클로저(30)의 제 2 조작부(31)는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제 2 인클로저(20)에 의해 노출된다. 이 때 제 2 조작부(31) 및 제 1 조작부(11)의 조작 버튼의 위치 관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2 조작부(31)의 제 1 키 상부(131)는 제 1 조작부(11)의 제 1 조작 버튼(111) 바로 위에 배치되고, 제 2 조작부(31)의 제 2 키 상부(132)는 제 1 조작부(11)의 제 2 조작 버튼(112) 바로 위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것들을 배치함으로써 제 1 키 상부(131)를 프레스하는 유저에 의해 제 1 키 상부(131)의 키 샤프트는 키 샤프트의 구멍부를 통하여 제 1 조작 버튼(111)을 프레스하고, 제 2 키 상부(132)를 프레스하는 유저에 의해 키 샤프트용 원형 구멍을 통하여 제 2 조작 버튼(112)을 프레스하는 제 2 키 상부(132)의 키 샤프트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시스템 제어부(10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위치 검출 스위치의 ON/OFF 상태에 의해 휴대용 장치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 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그것은 제 1 조작 버튼(111)의 입력이 제 1 조작 버튼(111)을 직접 프레스함으로써 이루어진 입력 또는 제 1 키 상부(131)를 프레스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제 1 조작 버튼(111)을 프레스함으로써 이루어진 입력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조작부(31)의 모든 키 상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면 그 구조는 간소화되고, 제 3 인클로저(30) 및 제 1 인클로저(10)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신호의 교환이 감소될 수 있고,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작부(11)의 제 3 조작 버튼(113a) 및 제 4 조작 버튼(113b) 바로 위에 하나의 조작 버튼을 갖는 2개의 키 샤프트 및 구멍부를 포함하는 제 3 키 상부(133)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제 3 키 상부(133)의 키 샤프트는 제 3 키 상부(133)의 좌측이 프레스될 때 키 샤프트용 원형 구멍을 통하여 제 3 조작 버튼(113a)을 프레스하고, 제 3 키 상부(133)의 키 샤프트는 제 3 키 상부(133)의 우측이 프레스될 때 키 샤프트용 원형 구멍을 통하여 제 4 조작 버튼(113b)을 프레스하고, 제 3 키 상부(133)의 키 샤프트는 제 3 키 상부(133)의 중심이 프레스될 때 키 샤프트용 원형 구멍을 통하여 제 3 조작 버튼(113a) 및 제 4 조작 버튼(113b)을 프레스하여 그들은 다른 기능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작부(11)의 제 5 조작 버튼(114) 바로 위 에 제 2 조작부(310)의 키 상부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장치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기억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 가져올 수 있고, 사용 목적에 대응하는 조작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용성이 높은 휴대용 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는 도 15 내지 20을 사용함으로써 설명될 것이다. 동일 참조 번호는 제 1 실시형태에 공통적인 부분으로 제공되고,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5A 내지 15C는 정면에서 본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5A는 기억 상태인 제 1 위치를 나타낸다. 도 15B는 수직 배향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인 제 2 위치를 나타낸다. 도 15C는 수평 배향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치를 상태인 제 3 위치를 나타낸다. 도 15B에 도시된 제 2 조작부(71)에 전화 및 카메라용 조작 버튼이 위치되고, 도 15C에 도시된 제 1 조작부(51)에 텔레비젼 시청, 및 동화상 재생용 조작 버튼이 위치된다.
도 16A 내지 16C는 배면측에서 본 휴대용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제 1 위치를 나타낸다. 도 16B는 제 2 위치를 나타낸다. 도 16C는 제 3 위치를 나타낸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렌즈(27)는 제 2 인클로저(60)의 배면부에 위치된다.
그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의 조인트 기구(연결 기구)는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7은 휴대용 장치(1)의 분해 사시 도이고, 제 2 인클로저(60)는 저면이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21) 등을 생략함으로써 상부로부터 보여지도록 예시된다.
참조 번호 52는 연결 암(52a) 및 판(52b)으로 구성된 평행 연결 기구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53 및 54는 판(52b)에 제공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나타낸다. 제 5 로크 핀(56) 및 제 6 로크 핀(57)은 링크 암(52a)에 제공된 제 5 원형 구멍(55)에 더하여 제 1 인클로저(50)에 위치된다.
제 1 로크 스프링(63), 제 2 로크 스프링(64), 및 레일 홈(56)은 제 2 인클로저(60)에 위치된다. 제 1 원형 구멍(73) 및 제 2 원형 구멍(74)은 제 3 인클로저(70)에 위치되고, 판(52b)에 제공된 제 1 돌출부(53) 및 제 2 돌출부(54)에 각각 끼워맞춰짐으로써 제 1 인클로저(50) 및 제 3 인클로저(70)가 일체화된다. 레일(75)은 제 2 인클로저(60)를 샌드위치하기 위해 레일 결합 홈(76)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제 2 인클로저(60) 및 제 3 인크롤저(70)가 일체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는 제 1 인클로저(50), 제 2 인클로저(60), 및 제 3 인클로저(70)가 일체화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18A, 18B 및 18C는 상부에서 본 각 인클로저의 도면이다. 도 18A는 상부에서 본 제 2 인클로저(60)의 도면이고, 제 1 로크 스프링(63), 제 2 로크 스프링(64), 및 레일 홈(65)을 나타내지만, 렌즈용 원형 구멍(25)을 생략한다. 도 18B는 상부에서 본 제 3 인클로저(70)의 도면이고, 제한 판(38) 및 레일(75)을 나타낸다. 도 18C는 상부에서 본 제 1 인클로저(50)의 도면이고, 평행 연결 기구(52)에 더하여 서로 끼워맞춰지는 로크용 제 5 구멍(55) 및 제 5 로크 핀(56)과 함께 링크 암에 제공된 제 5 원형 구멍(55), 제 5 로크 핀(56), 및 제 1 인크롤저(50)에 제공된 제 6 로크 핀(57)을 나타낸다.
도 19A 내지 19D는 상측에서 본 수직 배향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인 제 2 위치에 대한 기억 상태인 제 1 위치로부터의 휴대용 장치(1)의 수직 슬라이드 이동의 트랜지션의 도면이고, 그 저면은 디스플레이(21) 등을 생략함으로써 상부로부터 보여진다.
도 19A는 상측에서 본 제 1 위치의 상태의 도면이고, 제 2 인클로저(60)에 제공된 제 1 로크 스프링(63)은 제 3 인클로저(70)에 결합되는 레일(75)의 슬라이드에 형성된 홈과 맞물린다(도 17 참조).
도 19B는 제 2 인클로저(60)가 슬라이딩되어 도 19A의 상태로부터의 도면의 상부에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로크 스프링(63) 및 레일(75)의 V 홈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제 2 인크롤저(60)가 슬라이딩되어 제 3 인크롤저(70)의 양측에 제한 판(38)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상부로 직선 이동된다. 여기서, 제 3 인클로저(70)는 평행 연결 기구(52)에 의해 제 1 인클로저(50)에 결합되고, 제 2 인클로저(60)와 함께 상부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제 3 인클로저(70)는 제 1 인클로저(50)와 일체회되고, 제 2 인클로저(60)만이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다.
도 19C는 제 2 인클로저(60)가 도 19B의 상태로부터의 도면의 상부로 더 슬라이딩되어 시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휴대용 장치는 수직 배향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인 제 2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레일 홈(65)의 말단 에 접합되어 그것으로부터 그 이상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고, 동시에 제 2 로크 스프링(64) 및 레일(75)의 V 홈이 서로 맞물리고, 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도시되지 않은 위치 검출 기구는 휴대용 장치가 제 2 위치에 있다는 것을 검출하고, 시스템 제어부(109)는 디스플레이(21)를 수직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제 2 조작부(71)를 사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인클로저(70)에 제공된 제 2 조작부(71)는 제 2 인클로저(60)에 제공된 디스플레이(21)가 상부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상태에 노출되고, 제 2 조작부(71)는 수직 방향으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21)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위치에서 전화 기능 및 카메라 기능이 사용가능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조작부(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 및 카메라에 대한 조작부가 된다.
휴대용 장치는 제 2 인클로저(60)를 도면의 하부로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킴으로써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용이하게 리턴될 수 있다. 이 때 레일(75)은 제 2 로크 스프링(64)과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고, 제 1 로크 스프링(63)과 맞물려 제 1 위치로 리턴된다. 도시되지 않은 위치 검출 기구에 의해 휴대용 장치가 제 1 위치에 있게 되고, 제 2 조작(71)의 입력이 유효하지 않게 되고, 디스플레이(21)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로 가져오게 되는 것이 검출된다.
그 다음, 기억 상태인 제 1 위치로부터 수평 배향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인 제 3 위치로의 시프트는 도 20A 내지 20C를 사용함으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20A 내지 20C는 상부에서 본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의 휴대용 장 치(1)의 수평 슬라이드 이동의 트랜지션의 도면이고, 제 2 인클로저(60)는 생략된다.
도 20A는 상측에서 본 제 1 위치의 상태의 도면이다. 제 1 인클로저(50)에 포함된 로프 스프링 및 평행 연결 기구는 원래 상측에서 보여지지 않지만, 편의를 위해 상부를 통하여 도시된다. 제 1 위치에서 링크 암(52a)에 제공된 제 5 원형 구멍(55) 및 제 1 인클로저에 제공된 제 5 로크 핀은 서로 끼워맞춰지고, 제 1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가 일체화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도 20B는 제 3 인클로저(70)가 도 20A의 상태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제 5 원형 구멍(55) 및 제 5 로크 핀(56)의 끼워맞춤이 해제되고, 제 3 인클로저(70)는 링크 암으로 드로잉된 원형 아크를 따라 이동된다. 제 2 인클로저(60) 및 제 3 인클로저(70)에 대해서는 제 2 인클로저(60)는 레일(75) 및 제 1 로크 스프링(63) 및 제한 판(38)의 맞물림에 의해 제 3 인클로저(70)와 일체화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다.
도 20C는 제 3 인클로저(70)가 도 20B의 상태로부터 좌측으로 더 이동되고, 수평 배향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인 제 3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제 5 원형 구멍(55) 및 제 6 로크 핀(57)이 서로 끼워맞춰지고,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제 3 인클로저(70)의 이동은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제 3 위치로 제한되므로 제 3 인클로저(70)는 제 3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 때 시스템 제어부(109)는 휴대용 장치가 도시되지 않은 위치 검출 기구에 의해 제 3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고, 시스템 제어부(109)는 디스플레이(21)를 수평 배향에 디스플레이하고, 제 1 조작부(51)를 사용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인클로저(50)에 제공된 제 1 조작부(51)는 제 2 인클로저(60)에 제공된 디스플레이(21)가 좌측부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상태에 노출되고, 전체 장치를 90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제 1 조작부(51)는 디스플레이(21)가 수평 방향으로 보여지는 상태에 사용될 수 있다. 제 3 위치에서 텔레비젼 시청 기능, 및 동화상 재생 기능이 사용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조작부(51)는 텔레비젼 시청, 및 동화상 재생의 조작부이다.
여기서 제 3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휴대용 장치를 리턴시키기 위해 제 2 인클로저(60) 및 제 3 인클로저(70)은 일체화되어 유지되면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제 5 원형 구멍(55)은 제 6 로크 핀(57)과의 끼워맞춤으로부터 해제되고, 제 5 로크 핀(56)에 끼워맞춰진다. 이 때 시스템 제어부는 휴대용 장치가 도시되지 않은 위치 검출 기구에 의해 제 1 위치에 있게 되고, 제 1 조작부(51)를 유효하지 않게 하고, 디스플레이(21)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로 가져오게 하는 것을 검출한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위치에서 촬영 렌즈(27)가 노출되고, 상기 렌즈를 피사체에 포인팅함으로써 카메라 조작, 촬영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6A 및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렌즈(27)는 제 1 위치 및 제 3 위치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촬영 렌즈는 이 렌즈가 사용되지 않을 때 보호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슬릿 기구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사용되고, 평행 연결 기구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사용된다. 그러나, 평행 연결 기구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사용될 수 있고, 슬릿 기구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슬라이드 이동 및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각각 제한되지 않으므로 그들의 슬라이드 이동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 위치 검출 기구가 우선 검출하는 위치의 조작이 수행된다. 본래, 제한 기구는 그들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드 이동만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도 15A 내지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인클로저(70)는 제 1 인클로저(50)와 일체화되고,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고정되며, 제 3 인클로저(70)에 제공된 제 2 조작부(71)만이 제 2 위치에 노출된다. 그러나, 긴 구멍이 되도록 제 3 인클로저(70)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원형 구멍(73) 및 제 2 원형 구멍(74)을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제 3 인클로저(70)는 다른 조작부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서 각각 동작가능한 동안 제 1 인클로저(50)의 일부를 노출하기 위해 제 1 인클로저(50)와 어느 정도까지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1A는 제 1 인클로저(50)의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인 제 2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작 부재는 제 1 인클로저(50)의 노출부에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에 조작 부재는 다른 조작부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서 각각 동작가능한 동안 제공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제 3 인클로저(70)는 제 2 인클로저(60)와 일체화되고, 제 3 위치에서 제 1 인클로저(50)에 제공된 제 1 조작부(51)만이 노출된다. 그러나, 공차 등을 제한 판(38)에 제공하는 방법에서, 예컨대, 제 3 인클로저(70)는 제 2 인클로저(60)와 완전히 일체화되고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의 제 1 인클로저(50)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이동되지 않고, 그 일부는 제 1 인클로저의 표면을 커버하고, 제 3 인클로저(70)의 일부가 노출되고, 동일한 조작은 다른 조작부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서 각각 동작가능한 동안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1B는 제 3 인클로저(70)의 일부가 제 1 인클로저(50)를 커버하고 제 3 인클로저(70)의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인 제 3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조작 부재는 이 경우에 다른 조작부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서 동작가능한 동안 제 3 인클로저의 노출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조작부(71)는 제 3 인클로저(70)에서 제거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제 2 위치에서 제 3 인클로저(70)는 제 1 조작부(51)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크로폰(39)이 노출되고, 스피커(26)와 마이크로폰(39)의 위치 관계는 그들이 호출에 유리한 거리에서 분리되고, 스피커(26) 및 마이크로폰(39)이 귀 및 입 각각에 적용됨으로써 전화 기능에서의 유리한 유용성을 갖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유사하게도, 제 1 조작부(51)는 제 1 인클로저(50)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이 경우의 제 3 위치에서 전체 장치를 90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그리고 디스플레이(21)가 수평 방향으로 보여지는 상태에서 손으로 제 1 인클로저(50)를 유지함으로써 유지하기에 용이한 구성이 제공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22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는 제 2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수평 배향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상태인 제 3 위치에서 게임 기능이 사용가능하고, 제 1 인클로저(80)에 제공된 제 1 조작부(81)가 게임용 조작부인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 4 실시형태>
도 23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는 제 2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수평 배향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상태인 제 3 위치에서 PDA 기능이 사용가능하고, 제 1 인클로저(82)에 제공된 제 1 조작부(83)가 풀 키보드인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A 내지 1C는 정면에서 본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2A 내지 2C는 배면측에서 본 휴대용 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휴대용 장치(1)의 시스템 블록도이며;
도 4는 휴대용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5D는 상부측에서 본 휴대용 장치(1)의 각 인클로저의 도면이며;
도 6A 내지 6C는 상부측에서 본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휴대용 장치(1)의 슬라이드 이동의 트랜지션의 도면이며;
도 7A 내지 7C는 도 6A 내지 6C의 a' 라인의 단면도이며;
도 8A 내지 8C는 상부측에서 본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의 휴대용 장치(1)의 회전 이동의 트랜지션의 도면이며;
도 9A 내지 9C는 도 8A 내지 8C의 b ~ b' 라인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각 위치에서 제 1 검출 스위치(16) 및 제 2 검출 스위치(34)의 ON 및 OFF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11은 휴대용 장치(1)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2는 제 3 인클로저(3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제 3 인클로저(3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제 2 조작부(31) 및 제 1 조작부(11)의 단면도이며;
도 15A 내지 15C는 정면에서 본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 의 사시도이며;
도 16A 내지 16C는 배면측에서 본 휴대용 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휴대용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A 내지 18C는 상부에서 본 각 인클로저의 도면이며;
도 19A 내지 19C는 상부측에서 본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수직 슬라이드 이동의 트랜지션의 도면이며;
도 20A 내지 20C는 상부측에서 본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의 휴대용 장치(1)의 수평 슬라이드 이동의 트랜지션의 도면이며;
도 21A 및 21B는 정면에서 본 휴대용 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의 제 3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용 장치(1)의 제 3 위치의 도면이다.

Claims (20)

  1. 제 1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 1 인클로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제 2 인클로저;
    제 3 인클로저; 및
    상기 제 1 인클로저, 제 2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를 각각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실루엣이 서로 다른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대한 제 1 인클로저에 오버레이되는 제 1 위치로부터의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2 인클로저를 이동가능하게 조인트하는 조인트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1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의 실루엣에 오버레이되도록 제 2 인클로저를 일체로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의 제로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제 3 인클로저를 노출되게 하며;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 이하가 되도록 제한함으로써 제 1 조작부를 조작가능한 상태로 노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인 2개의 방향에서 평행 이동의 일방향으로 평행 이동을 수행하도록 제 2 인클로저를 위한 기구로서 평행 연결 기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평행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회전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 기구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 및 회전 이동을 허용하고,
    제 2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만을 허용하며,
    제 3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회전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제 2 인클로저의 모션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회전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평행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 기구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 및 회전 이동을 허용하고,
    제 2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회전 이동만을 허용하며,
    제 3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제 2 인클로저의 모션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서 각각 소정의 유지력으로 제 2 인클로저를 정지시키는 정지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9. 제 1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 1 인클로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제 2 인클로저;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 3 인클로저; 및
    상기 제 1 인클로저, 제 2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를 각각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실루엣이 서로 다른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대한 제 1 인클로저에 오버레이되는 제 1 위치로부터의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2 인클로저를 이동가능하게 조인트하는 조인트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1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의 실루엣에 오버레이되도록 제 2 인클로저를 일체로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의 제로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제 2 조작부를 노출되게 하며;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 이하가 되도록 제한함으로써 제 1 조작부를 조작가능한 상태로 노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인 2개의 방향에서 평행 이동의 일방향으로 평행 이동을 수행하도록 제 2 인클로저를 위한 기구로서 평행 연결 기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평행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회전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 기구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 및 회전 이동을 허용하고,
    제 2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만을 허용하며,
    제 3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회전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제 2 인클로저의 모션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회전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제 2 인클로저가 평행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 기구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 및 회전 이동을 허용하고,
    제 2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회전 이동만을 허용하며,
    제 3 위치에서 제 2 인클로저의 평행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제 2 인클로저의 모션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서 각각 소정의 유지력으로 제 2 인클로저를 정지시키는 정지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7. 제 1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 1 인클로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제 2 인클로저;
    제 3 인클로저; 및
    상기 제 1 인클로저, 제 2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를 각각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의 실루엣이 서로 다른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대한 제 1 인클로저에 오버레이되는 제 1 위치로부터의 제 1 인클로저에 대하여 제 2 인클로저 를 이동가능하게 조인트하는 조인트 기구;
    휴대용 장치가 있는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 중 어느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 검출 장치; 및
    복수의 조작 모드로부터 사용가능한 조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1 인클로저 및 제 3 인클로저의 실루엣에 오버레이되도록 제 2 인클로저를 일체로 조인트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의 제로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제 3 인클로저를 노출되게 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조인트 기구는 제 2 인클로저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3 인클로저의 이동량을 제 2 인클로저의 이동량 이하가 되도록 제한함으로써 제 1 조작부를 조작가능한 상태로 노출되게 하며;
    상기 모드 선택 장치는 위치 검출 장치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복수의 조작 모드로부터 사용가능한 조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그 길이 방향이 제 2 인클로저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도 록 제 2 인클로저에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조작 모드 중 하나는 텔리비젼 시청 모드, 동화상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이 수평으로 보여지도록 유지될 때 상기 스크린 아래에 노출된 제 1 조작부는 텔레비젼 조작 모드, 동화상 재생 조작부, 또는 게임 조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때에만 제 2 인클로저의 백으로부터 노출된 카메라 장치에 사용되는 촬영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 선택 장치는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는 제 2 위치에 제 2 인클로저가 있을 때에만 카메라 장치를 작동시키는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는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모드 선택 장치는 복수의 조작 모드로부터의 전화 호출의 도착을 대기하는 대기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인클로저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는 제 2 위치에 제 2 인클로저가 있을 때에만 상기 모드 선택 장치는 전화 장치에 의해 호출을 허용하는 호출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KR1020070125149A 2006-12-04 2007-12-04 휴대용 장치 KR100950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27446 2006-12-04
JP2006327446A JP4852403B2 (ja) 2006-12-04 2006-12-04 携帯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098A true KR20080051098A (ko) 2008-06-10
KR100950709B1 KR100950709B1 (ko) 2010-03-31

Family

ID=3926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149A KR100950709B1 (ko) 2006-12-04 2007-12-04 휴대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32288A1 (ko)
EP (1) EP1931118B1 (ko)
JP (1) JP4852403B2 (ko)
KR (1) KR100950709B1 (ko)
CN (1) CN1011978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1369A1 (ja) 2008-10-10 2010-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US20100216513A1 (en) * 2009-02-23 2010-08-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member
BRPI1012833A2 (pt) * 2009-06-08 2018-03-06 Commscope Inc North Carolina sistema de conexão de comunicação
JP5363890B2 (ja) * 2009-06-26 2013-12-1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8332000B2 (en) 2009-10-13 2012-12-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slide-and-twist mechanism
EP2312811B1 (en) * 2009-10-13 2015-02-18 BlackBerry Limited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slide-and-twist mechanism
US8284554B2 (en) * 2010-02-15 2012-10-0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pivoting and sliding portions
US8711099B2 (en) 2010-05-10 2014-04-29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CN102255986B (zh) * 2010-05-20 2014-04-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JP5636873B2 (ja) * 2010-10-26 2014-12-10 富士通株式会社 筐体機構
US8514179B2 (en) 2010-12-23 2013-08-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ge compensating display
US8532721B2 (en) 2010-12-23 2013-09-10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providing event notification
US8723890B2 (en) 2010-12-23 2014-05-13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and position configurable camera
JP2011183227A (ja) * 2011-06-14 2011-09-22 Takashi Chiba 一体型囲碁盤
USD666980S1 (en) * 2011-07-26 2012-09-11 Nokia Corporation Handset
KR102003377B1 (ko) * 2012-12-13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D755748S1 (en) * 2013-09-27 2016-05-10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56323S1 (en) * 2013-10-04 2016-05-1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56948S1 (en) * 2013-11-11 2016-05-2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56949S1 (en) * 2013-11-11 2016-05-2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CN104660796A (zh) * 2013-11-25 2015-05-27 青岛海尔通信有限公司 手机及其拍照控制方法
USD757675S1 (en) * 2014-02-03 2016-05-31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57674S1 (en) * 2014-02-03 2016-05-31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88753S1 (en) * 2015-04-23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83566S1 (en) * 2015-04-23 2017-04-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801958S1 (en) * 2015-06-30 2017-11-07 L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D798282S1 (en) * 2015-06-30 2017-09-26 L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D784950S1 (en) * 2015-06-30 2017-04-25 L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CN109660644A (zh) * 2018-12-17 2019-04-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USD1015430S1 (en) * 2020-05-13 2024-02-20 Intellivision Entertainment LLC Gaming console and gaming controller system
US12015719B1 (en) 2023-09-13 2024-06-18 Zecurity,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ying on non-flashable circuitry for improving security on public or private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741B2 (ja) * 1997-04-25 2001-03-0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情報端末装置
US6397078B1 (en) * 1999-08-27 2002-05-28 Young S. Kim Combined mobile telephon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2001156893A (ja) 1999-11-29 2001-06-08 Nec Saitama Ltd 通信機器の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2330198A (ja) 2001-04-26 2002-11-15 Kyocera Corp 携帯電話機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6766181B1 (en) * 2002-08-30 2004-07-20 Nokia Corporation Folding mobile station with dual-movement hinge
JP4192024B2 (ja) * 2003-04-17 2008-12-03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用取付装置
JP2005038217A (ja) 2003-07-16 2005-02-10 Nec Access Technica Ltd 折り畳み式携帯装置
US20050091431A1 (en) 2003-10-23 2005-04-28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7058433B2 (en) * 2003-11-06 2006-06-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chanism for ergonomic integration of a digital camera into a mobile phone
EP1685475A2 (en) * 2003-11-19 2006-08-02 QUALCOMM Incorporated A portable device with versatile keyboards
KR100704031B1 (ko) * 2004-04-29 200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06004B1 (ko) * 2004-05-03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US7252511B2 (en) * 2004-09-20 2007-08-07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yers of an electronic device
KR100675360B1 (ko) * 2005-01-07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TWI260904B (en) 2005-03-14 2006-08-21 Benq Corp Two ways slider-type electronic device and sliding assembly
US7158817B2 (en) * 2005-03-17 2007-01-02 Masaharu Kubo Portable terminal
KR100709808B1 (ko) * 2005-03-31 2007-04-23 주식회사 팬택 회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50128A (ko) * 2005-11-10 2007-05-15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 파트 및 스윙 파트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JP2007179525A (ja) * 2005-11-30 2007-07-12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KR100743093B1 (ko) * 2005-12-21 2007-07-27 주식회사 팬택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JP2007300310A (ja) * 2006-04-28 2007-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端末の筐体構造
JP2008131454A (ja) * 2006-11-22 2008-06-05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1118A3 (en) 2008-08-06
CN101197861A (zh) 2008-06-11
JP2008141615A (ja) 2008-06-19
JP4852403B2 (ja) 2012-01-11
CN101197861B (zh) 2013-04-10
EP1931118B1 (en) 2017-10-11
US20080132288A1 (en) 2008-06-05
EP1931118A2 (en) 2008-06-11
KR100950709B1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709B1 (ko) 휴대용 장치
US87604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749907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US7599720B2 (en) Portable device
US6069648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3882687B2 (ja) 携帯型通信装置
US7433722B2 (en) Portable device
US7953463B2 (en) Portable device
EP1798940A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WO2006038499A1 (ja) 携帯情報端末
WO2007080775A1 (ja) 折畳み式携帯機器
US8275425B2 (en)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JP2004120290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画像表示方法
JP2007036636A (ja) 携帯電話端末
JP4384467B2 (ja) 携帯型通信端末機
JPH09205629A (ja) テレビ会議装置
JP2001313863A (ja) 撮像装置、撮像装置一体型ハンドセット電話機及び撮像装置一体型携帯情報機器
AU2007201325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JP2009136027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情報記録制御方法
KR20060065384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69372A (ko)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50094575A (ko) 스테레오 스피커와 카메라를 장착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35030A (ko) 액정표시부가 회전 및 자동절환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