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503A - 캡슐화된 발광 안료 - Google Patents

캡슐화된 발광 안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503A
KR20080050503A KR1020087009370A KR20087009370A KR20080050503A KR 20080050503 A KR20080050503 A KR 20080050503A KR 1020087009370 A KR1020087009370 A KR 1020087009370A KR 20087009370 A KR20087009370 A KR 20087009370A KR 20080050503 A KR20080050503 A KR 20080050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yl
luminescent pigment
microencapsulated
polymer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르테 다비드 데
마라 데스트로
체사레 로렌제티
키쇼르 쿠마르 미스트리
미카엘 틴클
마르첼로 비탈레
Original Assignee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5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50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01Post-treatment of organic pigments or dyes
    • C09B67/0004Coated particulate pigments or dyes
    • C09B67/0008Coated particulate pigments or dyes with organic coatings
    • C09B67/0013Coated particulate pigments or dyes with organic coatings with polymeric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01Post-treatment of organic pigments or dyes
    • C09B67/0004Coated particulate pigments or dy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체 쉘에 의해 캡슐화된 캡슐화 발광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캡슐화된 발광 안료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및 전자 장치 및 농업용 필름에서 이들의 용도이다.
캡슐화된 발광 안료, 중합체 조성물, 농업용 필름, 최대 발광

Description

캡슐화된 발광 안료{Encapsulated luminescent pigments}
본 발명은 중합체 쉘(polymeric shell)에 의해 캡슐화된, 캡슐화된 발광 안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이들 캡슐화된 발광 안료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및 전자 장치 및 농업용 필름에서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광 안료는 흔히 광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화학 방사선하에서 즉각 분해되므로, 발광 특성을 손실한다. 이 때문에, 발광 안료는 태양광 및 비에 노출되는 옥외 적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발광 안료에 대한 다양한 강력한 옥외 적용 분야가 존재하지만, 이들은 지금까지 제한된 광 안정성 및 그에 따른 제한된 사용수명으로 인하여 거의 실현되지 않은 실정이다.
발광 안료에 대한 강력한 옥외 적용 분야는 예컨대 태양전지와 같은 전자 장치이며, 발광 안료는 방사선 변환제(converter)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다른 가능한 적용은 도로 표시를 위한 코팅에 사용하는 것으로, 표시의 콘트라스트와 가시성을 향상시킨다.
발광 안료의 가장 유망한 적용 분야 중의 하나는 농업 필름, 예컨대 온실용 농업 필름이며, 이들은 방사선 변환제로서 작용하며 또 식물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식물은 광을 에너지원 및 생장을 지시하는 표시로서 광을 이용한다. 에너지원으로 사용된 광은 PAR(Photosyntehtically Active Radiation) 영역내에 들며, 400 내지 700 nm 사이의 모든 광자로 정의된다. 성장을 조절하기 위해 식물이 사용하는 가장 중요하고 가장 잘 알려진 광 측정법의 하나는 원적외선(700-800 nm)에 대한 적외선(600-700 nm)의 비율이다. 온실 및 터널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은 덮개를 통과하거나, 멀칭 시트(mulching sheet)에 의해 반사되는 천연 광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식물 성장에 대한 이러한 방사선 투입(input)에 영향을 주기 위한 다수의 시도가 행하여져 왔다. 1개의 간단한 전략은 식물에 의해 흡수되지 않아 적외선으로의 에너지 주기에 들어가지 않는, PAR 영역에 속하고 적외선/원적외선 비율에 영향을 주는 자외선의 변형이다.
특히 적합한 것은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1개 성분인 유럽특허 1413599호에 기재된 발광 안료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가 잔존하였다.
발광 안료는 열가소성 중합체 중의 혼입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흡수된 광자의 수로 나누어진 발광 광자의 수로 기재될 수 있는 이들의 발광 효율은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의 소모성 상호작용에 의해 감소된다. 또한 안료의 안정성은 매트릭스 혼입으로 인한 공정에 의해 감소되어 발광이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열가소성 중합체 매트릭스에 분산된 안료는 PAR 투과를 감소시켜 식물에 대한 에너지 투입을 감소시킨다.
놀랍게도, 식물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 사용되는 발광 안료에 적용될 때 마이크로캡슐화는 이들의 광 변환 및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고, 이들의 가시광 흡수 및 반사를 감소시키므로, PAR에서 감소를 초래하고 또 이들의 발광 효과가 더 오랫동안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밝혀졌다. 안료는 연속 중합성 물질 쉘(shell)에 의해 마이크로캡슐화되어, 안료 표면과 공유결합이나 이온 결합을 형성하지 않고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이들을 분리시켜 유지한다.
발광 안료의 마이크로캡슐화하에서 안료 주변에 연속적인 중합체 쉘을 형성하는 물질을 제공하고, 이 쉘은 발광 안료의 표면과 공유결합 또는 이온 결합하지 않거나 또는 긴밀한 접촉을 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개 요지는 350 nm 내지 550 nm 사이에서 최대 흡수이고 또 550 nm 내지 700 nm 사이에서 최대 발광을 갖고 80 nm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스토크 변동(Stokes shift)을 갖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로서 이 마이크로캡슐의 쉘은 가교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가 제공된다.
350 nm 내지 500 nm 사이에서 최대 흡수가 있고 600 nm 내지 700 nm, 특히 620 nm 내지 680 nm 사이에서 최대 발광을 갖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가 바람직하다.
발광이 700 nm 내지 800 nm 범위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면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토크 변동은 120 nm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다.
용어 발광이라는 것은 형광 및 인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적합한 안료는 란타나이드 또는 기타 전이 금속과 같은 발광단(luminophore)으로 도핑된 반도체 매질에 의해 형성된 것과 같은 전통적인 무기 안료로서, 지속성 인광 물질, 유기금속 화합물, 발광성 금속 또는 반도체 나노결정 및 유기 형광 또는 인광 안료를 포함한다.
적합한 광학 특성을 갖고 본 발명에 따라 마이크로캡슐화될 수 있는 란타나이드 착물은 예컨대 WO 99/27006호 및 WO 2000/24243호에 기재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금속 원자는 유로퓸, 이트륨, 사마륨, 테르븀 또는 가돌리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는 유기 발광 안료이다.
예컨대 유기 발광 안료는 안트라퀴논, 쿠마린, 벤조-쿠마린, 크산텐, 벤조[a]-크산텐, 벤조[b]크산텐, 벤조[c]크산텐, 펜옥사진, 벤조[a]펜옥사진, 벤조[b]펜옥사진 및 벤조[c]펜옥사진, 나프탈이미드, 나프토락탐, 아즈락톤, 메틴, 옥사진 및 티아진, 디케토피롤로피롤, 페릴렌, 퀴나크리돈, 벤조크산텐, 티오에핀돌린, 락탐이미드, 디페닐말레이미드, 아세토아세트아미드, 이미다조티아진, 벤즈안트론, 페릴렌모노이미드, 페릴렌, 프탈이미드, 벤조트리아졸, 피리미딘, 피라진, 트리아졸, 디벤조푸란, 트리아진 및 바르비투르산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유기 발광 안료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하기 화학식(I)의 크산텐
Figure 112008027818266-PCT00001
식 중에서,
A1은 O 또는 N-Z이고, 이때 Z은 H 또는 C1-C8알킬, 또는 경우에 따라 R2와 또는 R4와 조합되어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2 및 R4 와 조합되어 2개의 융합된 6-원 고리를 형성하며;
A2 는 -OH 또는 -NZ2이고;
R1, R1', R2, R2',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할로겐, 시아노, CF3, C1-C8알킬, C1-C8알킬티오, C1-C8알콕시,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1', R2' 또는 R1 내지 R4 의 알킬 부분은 경우에 따라 할로겐, 카르복시, 설포, 아미노,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 알콕시, 시아노, 할로아세틸 또는 히드록시에 의해 치환되며; 또 R1', R2' 또는 R1 내지 R4 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부분은 경우에 따라 할로겐, 시아노, 카르복시, 설포, 히드록시,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C8)알킬아미노, C1-C8알킬, C1-C8알킬티오 및 C1-C8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고; R0은 할로겐, 시아노, CF3, C1-C8알킬, C1-C8알케닐, C1-C8알닐, 아릴 또는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8027818266-PCT00002
의 헤테로아릴이고;
X1, X2, X3, X4 및 X5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할로겐, 시아노, CF3, C1-C8알킬, C1-C8알콕시, C1-C8알킬티오, C1-C8알케닐, C1-C8알키닐, SO3H 및 CO2H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부가적으로, X1 내지 X5 의 알킬 부분은 또한 할로겐, 카르복시, 설포, 아미노,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 알콕시, 시아노, 할로아세틸 또는 히드록시에 의해 더 치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X1 내지 X5 의 2개의 인접 치환기는 합쳐져서 할로겐, 시아노, 카르복시, 설포, 히드록시,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C8) 알킬아미노, (C1-C8)알킬, (C1-C8)알킬티오 및 (C1-C8)알콕시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 치환기에 의해 경우에 따라 더 치환되는 융합된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로서, 화학식(I)(뿐만 아니라 다른 화학식)의 크산텐 착색제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성질체 또는 토오토머로 존재할 것이다.
b) 하기 화학식( Ia )의 벤조[a]크산텐
Figure 112008027818266-PCT00003
식 중에서,
n 은 0 내지 4의 정수이고,
각 X0은 독립적으로 H, 할로겐, 시아노, CF3, C1-C8알킬, C1-C8알콕시, C1-C8알킬티오, C1-C8알케닐, C1-C8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SO3H 및 CO2H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1, A2, R0, R1, R1', R2'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X0 의 알킬 부분은 할로겐, 카르복시, 설포, 아미노,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 알콕시, 시아노, 할로아세틸 또는 히드록시에 의해 더 치환될 수 있고, 또 R1, R1', R2' 및 R4 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부분은 경우에 따라 할로겐, 시아노, 카르복시, 설포, 히드록시,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C8)알킬아미노, C1-C8알킬, C1-C8알킬티오 및 C1-C8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c) 하기 화학식(1b)의 벤조[b]크산텐
Figure 112008027818266-PCT00004
식 중에서,
n1 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X0, A1, A2, R0, R1,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d) 하기 화학식(1c)의 벤조[b]크산텐
Figure 112008027818266-PCT00005
식 중에서,
n1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X0, A1, A2, R0, R1, R1', R2', R2 및 R3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e) 하기 화학식( II )의 쿠마린
Figure 112008027818266-PCT00006
식 중에서,
A1, R1, R1', R2',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특정 구체예로서, R2 및 R3 은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시아노, CF3, C1-C8알킬, 아릴, 또는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8027818266-PCT00007
의 헤테로아릴이며, 이때 X1, X2, X3, X4 및 X5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안료의 벤조쿠마린 계열은, R2 및 R3 가 조합되어 경우에 따라 할로겐 시아노, 카르복시, 설포, 히드록시,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C8)알킬아미노, C1-C8알킬, C1-C8알킬티오 및 C1-C8알콕시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융합된 벤젠 고리를 형성하는 화학식(II)의 안료이다.
f) 하기 화학식의 펜옥사진
Figure 112008027818266-PCT00008
식 중에서,
R2 "는 상기 R2'에서 주어진 의미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 A1은 R2 및 R4 의 각각과 조합되어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2 및 R4 과 조합되어 2개의 융합된 6-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n1, X0, A1, R1, R1', R2', R 2 , R 3 및 R 4 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g) 나프탈이미드
예컨대 다양한 범위의 나프탈이미드가 공지되어 있다:
Figure 112008027818266-PCT00009
h) 나프토락탐
일부 몇몇 중요한 대표예는 다음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27818266-PCT00010
식중에서,
R300은 H, C1-C8알킬, 또는 C1-C8알콕시임.
i) 아즈락톤
일부 몇몇 중요한 대표예는 다음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27818266-PCT00011
식 중에서, R301은 C1-C8알킬임.
Figure 112008027818266-PCT00012
식 중에서, R302 는 H, 또는 메톡시임.
j) 메틴
일부 몇몇 중요한 대표예는 다음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27818266-PCT00013
k) 옥사진 및 티아진
Figure 112008027818266-PCT00014
Figure 112008027818266-PCT00015
적합한 페릴렌 및 안트라퀴논 안료는 예컨대 상품명 Lumogene F 안료로 시판되고 있다.
다른 바람직한 안료는
Figure 112008027818266-PCT00016
의 축합 생성물이며, 이때 R101 및 R10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8 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아밀, tert-아밀, 헥실, 헵틸, 옥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도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또는 옥타데실이다. 바람직하게는 R101 및 R102는 메틸이다. 축합생성물은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8027818266-PCT00017
이다.
발광 안료는 안트라퀴논, 옥사진, 페릴렌 및 바르비투르산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이다.
특히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는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8027818266-PCT00018
의 축합 생성물이며, 이때 R101 및 R10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8 알킬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바르비투르산 및 파라-디메틸아미노 벤즈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이다. 이 반응 및 생성물은 공지되어 있으며 또 다음 CAS 넘버를 갖는다: (IVa)는 1753-47-5 이고 또 (IVb)는 152734-34-4 이다. 축합 반응은 전형적으로 용매 중, 예컨대 에탄올 중에서 실시한다. 부가적 NH4OH의 양에 따라서, 생성물(IVa) 또는 (IVb)의 형성이 선호된다. 축합반응 온도 범위는 전형적으로 30℃ 내지 100℃ 이다. 축합반응은 통상 대기 압력에서 실시된다.
원칙적으로, 모든 공지 마이크로캡슐화 수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부 코어에 발광 안료를 함유하는 외부 중합체 쉘을 초래한다.
중합체 쉘을 형성하는 전형적인 수법은 예컨대 GB 1,275,712호, 1,475,229호및 1,507,739호, DE 3,545,803호 및 US 3,591,09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방법은 쉘 형성 물질이 용해되어 있는 연속적인 수상을 적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합한 마이크로캡슐화 방법은 3개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a) 코아세르베이션법, b) 계면 중합법 및 c) 인-시츄(in-situ) 중합법. 이들 방법은 이상적으로는 안료 주변에 중합체 쉘을 달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화 방법은 봉입되는 안료 또는 안료들의 크기에 필적하는 크기의 분별 마이크로캡슐을 형성한다. 안료는 안료 표면과 공유결합 또는 이온 결합을 형성하지 않는 연속성 중합체 물질의 쉘에 마이크로캡슐화되며 기질로부터 이들이 분리되지 않게 한다.
코아세르베이션법은 o/w 에멀젼의 형성을 이용한다. 중합체 쉘 물질은 수성 매질로부터 코아세르베이트되며 또 중합체 콜로이드는 농도, pH 및 온도를 조심스레 조절함으로써 분산된 오일상 방울 주변에 캡슐 쉘로서 퇴적되어 마이크로캡슐을 형성한다. 코아세르베이션에 적합한 물질은 미국 특허 2 800 45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젤라틴 및 검 아카시아를 포함한다. WO 9220441호는 저임계 용액 온도(low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중합체의 가역적 불용화의 온도에 대한 물 제거 억제제 및 저임계 용액 온도 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아세르베이트 코팅에 의해 둘러쌓인 코어를 포함하는 캡슐화된 입자를 개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중합체의 용액 중의 수불용성 코어 입자의 분산액을 형성하고, 상기 용액을 가열하여 코아세르베이트로서 석출을 유발한 다음 상기 억제제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다. 상기 방법에서, LCST 벽 형성 물질은 외부로부터 코아세르베이트로 된다. 본 발명의 캡슐화된 입자가 응집되어 이들이 사용될 환경에서 상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알지네이트 또는 녹말과 같은 엔트로피 안정화 중합체가 캡슐화 이전에 LCST 중합체 성분과 혼합될 수 있다.
계면 중합법은 o/w 에멀젼의 계면에서 2개의 계면간 중합성 단량체의 반응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오일 용해성 제1 단량체가 분산 상에 용해되고 또 제2 수용해성 단량체를 수상에 부가된다. 단량체들은 분산된 오일상 방울 및 주변의 수성 매질 사이의 계면에서 중축합반응에 의해 반응하여 오일 방울 주변에 중합체 막을 형성한다. 형성된 중합체 막은 미국특허 3 429 827호 및 미국특허 4 428 97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우레아 및 폴리우레탄이다.
아미노 수지의 인-시츄 중합반응을 포함하는 캡슐의 형성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아미노플라스트 캡슐은 아미노플라스트 전구체를 함유하는 수성 액체, 예컨대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중에 물 불혼화성 액체를 분포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한다. 캡슐 벽은 아미노 수지 예비중합체를 물 불혼화성 액체 방울 상에서 인-시츄 중합반응함으로써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캡슐 벽은 수성 연속 상으로부터 예비중합체의 중축합에 의해 외부로부터 형성된다. 인-시츄 중합반응은 잘 공지된 방법이며 그의 기본적 특징은 GB 1 507 739호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쉘의 가교 중합체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페놀-포름알데히드, 폴리아미드,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피리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폭사이드, 젤라틴, 폴리(비닐 알코올),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카 및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쉘의 중합체가 인-시츄 중합에 의해 형성된 아미노플라스트인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가 바람직하다.
특히 쉘의 가교 중합체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및 페놀-포름알데히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예컨대 쉘의 가교 중합체는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중합체이다.
예컨대 쉘의 가교 중합체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수지가 아니다.
전형적으로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는 평균 입자 크기가 0.8 내지 50 μ,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0 μ이다.
전형적으로 쉘의 벽 두께는 20 nm 내지 2000 nm, 바람직하게는 100 nm 내지 1000 nm 이다.
예컨대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에 대한 마이크로캡슐-형성 물질의 중량비는 0.001:1 내지 1:1이다. 많은 경우 0.01:1 내지 0.5:1이 좋은 선택이다.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는 부가적으로 마이크로캡슐에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 UV 흡수제, 광 안정화제, 단일 산소 켄쳐(oxygen quencher), 추가의 형광 염료 또는 안료, 가공 보조제, 대전방지제, 김서림방지 첨가제 및 충전제 또는 강화 물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는 이후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a) 열가소성, 탄성중합성 또는 가교 중합체, 및
b) 350 nm 내지 550 nm 사이에서 최대 흡수 및 550 nm 내지 700 nm 사이에서 최대 발광을 갖고 또 80 nm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스토크 변동을 갖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쉘은 가교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조성물이다.
적합한 열가소성, 탄성중합성 또는 가교 중합체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뿐만 아니라 시클로올레핀(예컨대,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폴리에틸렌(선택적으로 교차 결합될 수 있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VLDPE) 및 (ULDPE).
폴리올레핀 즉, 앞 단락에서 예시된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하게, 특히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라디칼 중합 반응(정상적으로는 고압하 및 고온에서)
b) 정상적으로는 주기율표의 Ⅳb,Ⅴb, VIb 또는 Ⅷ 금속족 1이상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 중합반응. 이같은 금속은 일반적으로 1이상의 리간드, 예컨대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켄일 및/또는 아릴을 가진다. 이같은 금속 착물은 유리 형태이거나 기질 상에, 전형적으로 활성화된 염화 마그네슘, 염화티탄(Ⅲ), 알루미나 또는 산화 실리콘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같은 촉매는 중합반응 매질에서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이들 촉매는 그 자체로 중합반응에서 사용되거나 추가의 활성제, 전형적으로 금속 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금속은 주기율표 Ia, IIa 및/또는 IIIa 족의 원소이다. 활성제는 추가의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개질될 수 있다. 상기 촉매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Phillips, Standard Oil Indiana, Ziegler(-Natta), TNZ(DuPont), 메탈로센 또는 단자리 촉매(SSC)라고 칭한다.
2. 1)이하에서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PP/HDPE, PP/LDPE) 및 다양한 유형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LDPE/HDPE).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서로간 또는 다른 비닐 단위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이들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산 공중합체, 에틸렌/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노르보르넨 같은 COC), 에틸렌/1-올레핀 공중합체, 이때 1-올레핀은 같은 자리에서 생성됨;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센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예컨대,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삼중합체; 및 이같은 공중합체 간 그리고 이같은 공중합체와 상기 1)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LLDPE/EVA, LLDPE/EAA 및 교대의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예컨대, 폴리아미드)와 이들의 혼합물.
4. 수소화된 개질형(예컨대, 점착제) 및 폴리알킬렌과 전분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예컨대 C5-C9).
상기 1) 내지 4)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임의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된다.
5.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6.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의 모든 이성질체, 특히 p-비닐톨루엔, 에틸 스티렌의 모든 이성질체, 프로필 스티렌, 비닐 비페닐, 비닐 나프탈렌, 및 비닐 안트라센을 비롯한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방향족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임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된다.
6a.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니트릴, 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비닐 아세테이트 및 염화비닐로부터 선택된 상술한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그의 아크릴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에틸렌 (인터중합체), 스티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아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의 고충역 강도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과 같은 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
6b. 6)하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수소화로부터 유도된 수소화된 방향족 중합체, 특히 아탁틱 폴리스티렌을 수소화시켜 제조한 폴리시클로헥실에틸렌(PCHE)(흔히 폴리비닐시클로헥산(PVCH)으로 칭함).
6c. 6a)하에서 수록된 중합체의 수소화로부터 유도된 수소화된 방향족 중합체.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임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된다.
7.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과 같은 비닐 방향족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중합체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뿐만 아니라 이들과 6)이하에 목록화된 공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로 공지된 공중합체 혼합물.
8. 할로겐-함유 중합체, 예컨대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의 염소화 및 브롬화 공중합체(할로부틸 고무), 염소화 또는 황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염소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동종-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리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리드, 폴리비닐 플루오리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리드,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공중합체(예컨대, 비닐 클로리드/비닐리덴 클로리드, 비닐 클로리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리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9. α,β-불포화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충격 개질됨).
10. 9)이하에서 언급된 단위체의 서로간의 또는 다른 불포화 단위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비닐 할라이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중합체.
11. 불포화 알코올 및 아민 또는 아실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아세탈로 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폴리비닐 말레에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 멜라민; 뿐만 아니라 이들과 상기 1)에서 언급된 올레핀과 의 공중합체.
12.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같은 환형 에테르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의 공중합체.
13. 폴리옥시메틸렌 및 공단량체로 에틸렌 옥시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폴리아세탈;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에 의해 개질된 폴리아세탈.
14. 폴리페닐렌 옥시드 및 술피드, 및 폴리페닐렌 옥시드와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의 혼합물.
15. 한편으로는 히드록시-말단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타디엔 및 또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전구물질.
16. 디아민 및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 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아미드 4,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6/10, 6/9, 6/12, 4/6, 12/12,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m-크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으로 부터 개시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탄성 중합체를 개질제로서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소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으로 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및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그라프트된 탄성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EPDM 또는 ABS에 의해 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가공하는 동안 축합된 폴리아미드(RIM 폴리아미드 시스템).
17. 폴리우레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8. 디카르복시산 및 디올로 부터 및/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그와 상응하는 락톤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PAN) 및 폴리히드록시벤조에이트 뿐만아니라, 히드록실-말단 폴리에테르로 부터 유도된 블록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MBS에 의해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19.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20. 폴리케톤.
21.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및 폴리에테르 케톤.
22. 한편으로는 알데히드로부터 또 다른 한편으로는 페놀, 우레아 및 멜라민으로 부터 유도된 교차결합한 중합체 예컨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23. 건조 및 비건조 알키드 수지.
24. 가교제로 다가 알코올 및 비닐 화합물 그리고 저가연성인 그들의 할로겐-함유 변형제와 함께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시산의 코폴리에스테르로 부터 유도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치환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교차결합성 아크릴 수지.
26.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로 교차결합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
27. 지방족, 지환족, 이종 원자 고리 또는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로 부터 유도된 교차결합한 에폭시 수지 예컨대, 가속제와 함께 또는 가속제 없이 무수물 또는 아민 등의 통상의 경화제와 교차결합한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의 생성물.
28. 천연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고무, 젤라틴 및 화학적으로 변성된 그의 동종 유도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또는 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테르; 뿐만 아니라 송진 및 이들의 유도체.
29. 전술한 중합체의 혼합물(복혼합물) 예컨대,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P/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 PBT/PC/ABS 또는 PBT/PET/PC.
성분 a)가 열가소성 중합체인 중합체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10 μ 내지 300μ의 두께를 갖는 필름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가능한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구체예로서, 상기 필름은 1 이상의 층 중에 성분 b)를 함유하는 2 내지 7개 중합체 층의 다층 구조이다.
상기 경우에서, 비교적 다량의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소량의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를 함유하거나 전혀 함유하지 않는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성형 물품에 박층(10-20 μ)으로 도포된다. 도포는 예컨대 공압출에 의해 기재 물품을 성형하는 것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다르게는, 필름을 적층하는 것에 의해 또는 용액으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성형된 후 기재 물품에 도포할 수 있다.
예컨대 중합체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 UV 흡수제, 광안정화제, 단일 산소 켄쳐, 다른 형광 염료 또는 안료, 가공 보조제, 대전방지제, 김서림방지 첨가제 및 충전제 또는 강화 물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 또는 중합체 기질에 존재할 수 있는 이러한 첨가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들어 2,6-디-t-부틸-4-메틸페놀, 2-t-부틸-4,6-디메틸페놀, 2,6-디-t-부틸-4-에틸페놀, 2,6-디-t-부틸-4-n-부틸페놀, 2,6-디-t-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 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t-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에서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크-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t-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 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를들어 2,6-디-t-부틸-4-메톡시페놀, 2,5-디-t-부틸-히드로퀴논, 2,5-디-t-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t-부틸-히드로퀴논, 2,5-디-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토코페놀, β-토코페놀, γ-토코페놀, δ-토코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비타민E)
1.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들어 2,2'-티오비스(6-t-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t-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sec-아밀페놀), 4,4'-비스 (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t-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t-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t-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 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t-부틸-2-메틸페놀), 1,1-비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t-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t-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t-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 (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 닐)펜탄.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t-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t-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머캅토아세테이트.
1.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t-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 (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 포스포네이트, 예를들어 디메틸-2,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t-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 포스포네이트,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를들어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4.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 -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5-t-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5.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6.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
1.17. β-(3,5-디-t-부틸-4- 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들어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피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t-부 틸-4-히드록시-페닐프오피오닐)히드라지드, N,N'-비스[2-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옥사미드 (NaugardR XL-1, 유니로얄사 공급).
1.18.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1.19. 아민 산화방지제,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t-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t-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t-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t-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t-부틸/t-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t-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t-부틸/t-옥틸페노타이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t-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2. UV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
2.1. 2-(2'- 히드록시페닐 ) 벤조트리아졸, 예를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sec-부틸 -5'-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과 2-[3'-t-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R이 3'-t-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 2-[2'-히드록시-3'-(α,α-디메틸벤질)-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인
Figure 112008027818266-PCT00019
; 2-[2'-히드록시-3'-(1,1,3,3-테트라메틸부틸)-5'-(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 2- 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4-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t-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t-부틸페닐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t-부틸페닐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들어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예 :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가 있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t-부틸 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예 : 2-히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가 있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 장애 아민,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t-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t-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 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티렌디아민 및 4-시클로헥실아민-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및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뿐만 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생성물(CAS Reg. No.[136504-96-6]); 1,6-헥산디아민 및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과 N,N-디부틸아민 및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생성물 (CAS Reg. NO. [192268-64-7]); N-(2,2,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생성물, 1,1-비스(1, 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카르보닐)-2-(4-메톡시페닐)에텐,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4-메톡시메틸렌말론산과 1,2,2,6,6-펜타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의 디에스테르,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실옥산, 말레산 무수물-α-올레핀 공중합체와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 생성물, 2,4-비스[N-(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N-부틸아미노]-6-(2-히드록시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타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5-(2-에틸헥사노일)옥시메틸-3,3,5-트리메틸-2-모르폴리논, Sanduvor (Clariant; CAS Reg. No. 106917-31-1], 5-(2-에틸헥사노일)옥시메틸-3,3,5-트리메틸-2-모르폴리논,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과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의 반응생성물, 1,3,5-트리스(N-시클로헥실-N-(2,2,6,6-테트라메틸피페라진-3-온-4-일)아미노)-s-트리아진, 1, 3,5-트리스(N-시클로헥실-N-(1,2,2,6,6-펜타메틸피페라진-3-온-4-일)-아미노)-s-트리아진.
2.7. 옥사미드,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t-부톡사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t-부톡사아닐리드, 2-에톡시-2'-에톡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t-부틸-2'-에톡사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5,4'-디-t-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중 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중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2.8. 2-(2- 히드록시페닐 )-1,3,5- 트리아진, 예를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라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 4-디메틸)-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사아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오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포스포나이트,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큐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t-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t-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t-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이하의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IrgafosR 168, 시바 가이기 제조),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Figure 112008027818266-PCT00020
Figure 112008027818266-PCT00021
Figure 112008027818266-PCT00022
5. 히드록실아민, 예를들어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 수지로 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6. 니트론, 예를들어 N-벤질-α-페닐니트론, N-에틸-α-메틸니트론, N-옥틸-α-헵틸니트론, N-라우릴-α-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α-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α-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펜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α -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헥사데실니트론, N-메틸-α-헵타데실니트론 및 수소화 수지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티오상승제, 예를들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디설피드.
8. 과산화물 분해화합물, 예를들어 β-티오디프로핀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또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디부틸디티오카밤산 아연,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온에이트.
9.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들어 요오다이드 및/또는 인 화합물과 조합된 구리 염 및 2가 망간의 염.
10.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베헨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리시놀레산 나트륨, 팔미트산 칼륨, 피로카테콜산 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 아연.
11. 통상의 핵 생성제, 예를들어 무기물질(예;활석), 금속 산화물(예; 이산화 티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황산염; 유기 화합물(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이들의 염, 예컨대 4-t-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나트륨; 중합성 화합물, 예컨대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 특히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디(파라메틸디벤질리덴)소르비톨 및 1,3:2,4-디(벤질리덴)소르비톨이 바람직하다.
12. 충전재 및 강화제, 예를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유리 구,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 블랙, 흑연, 나무 분말 및 기타 천연 생성물의 분말 또는 섬유, 합성 섬유.
13. 다른 첨가제, 예를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학적 첨가제, 촉매, 흐름-조절제, 광학 광택제, 내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및 발포제.
14. 벤조푸라논 인돌리논 , 예를들어 US-A-4 325 863호, US-A-4 338 244호, US-A-5 175 312호, US-A-5 216 052호, US-A-5 252 643호, DE-A-4 316 611호, DE-A-4 316 622호, DE-A-4 316 876호, EP-A-0 589 839호, EP-A-0 591 102호, EP-A-1291384호에 개시된 것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t-부틸-벤조푸란-2-온, 5,7-디-t-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t-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t-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t-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t-부틸-벤조푸란-2-온, 3-(3,4-디메틸페닐)-5,7-디-t-부틸벤조푸란-2-온, 3-(2,3-디메틸페닐)-5,7-디-t-부틸벤조푸란-2-온.
부가된 다른 첨가제의 성질 및 양은 안정화될 기질의 성질 및 그의 사용 용도에 의해 결정되며; 많은 경우에서 안정화될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 중량%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및 임의의 다른 성분은 개별적으로 또는 중합체 물질에 부가되거나 또는 서로 혼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개별 서분은 건조 블렌딩, 압축에 의해 중합체에 또는 용융물에 혼입되기 전에 서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및 임의의 다른 성분을 중합체에 혼입하는 것은 분말 형태로 건조 블렌딩 또는 예컨대 불활성 용매, 물 또는 오일 중의 용액, 분산액 또는 현탁액 형태로 습윤 혼합하는 것과 같은 공지 방법에 의해 실시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 및 기타 다른 첨가제는 성형하기 전 또는 후에 또는 용해되거나 또는 분산된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을 중합체 물질에 도포하고, 경우에 따라 용매 또는 현탁제/분산제의 증발을 실시하여 혼입될 수 있다. 이들은 가공 장치(예컨대 압출기, 내부 혼합기 등)에 직접적으로 건조 혼합물 또는 분말 또는 용액 또는 분산액 또는 현탁액 또는 용융물로서 부가될 수 있다.
상기 혼입은 교반기를 구비한 가열성 용기, 예컨대 혼련기, 혼합기 또는 교반되는 용기와 같은 밀폐 장치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혼입은 바람직하게는 압출기 또는 혼련기로 실시될 수 있다. 가공이 불활성 분위기 또는 산소 존재하에서 실시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또는 첨가제 블렌드를 중합체에 부가하는 것은 중합체가 용융되어 첨가제와 혼합되는 모든 통상적인 혼합 기기에서 실시될 수 있다. 적합한 기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주로 혼합기, 혼련기 및 압출기이다.
가공은 바람직하게는 가공하는 동안 첨가제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압출기에서 실시된다.
특히 바람직한 가공 기기는 단축 스크류 압출기, 콘트라회전(contrarotating) 및 공동회전 2축 스크류 압출기, 플레인터리 기어 압출기, 링 압출기 또는 공동혼련기이다. 진공이 인가될 수 있는 1 이상의 가스 제거 구획를 구비한 가공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적합한 압출기 및 혼련기는 예컨대 Handbuch der Kunststoffextrusion , Vol . 1 Grundlagen , Editors F. Hensen , W. Knappe , H. Potente , 1989, pp .3-7, ISBN :3-446-14339-4 ( Vol . 2 Extrusionanlagen 1986, ISBN 3-446-14329-7)에 기재되어 있다.
예컨대, 스크류 길이는 1-60 스크류 직경이고, 바람직하게는 35-48 스크류 직경이다. 스크류의 회전 속도는 10-600 회전/분(rpm), 아주 특히 바람직하게는 25-300 rpm 이다.
최대 처리량은 스크류 직경, 회전 속도 및 구동력에 따라 달라진다.
복수의 성분을 부가하면, 이들은 미리 혼합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부가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및 임의의 다른 첨가제는 중합체 물질 상에 분무될 수 있다. 이들은 다른 첨가제(예컨대 상기 나타낸 통상의 첨가제) 또는 이들의 용융물을 희석하여 이들을 첨가제와 함께 물질 상에 분무될 수 있다. 중합체 촉매의 탈활성화하는 동안 분무에 의한 부가가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발생한 스팀은 촉매의 탈활성화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구형적으로 중합된 폴리올레핀이 경우, 예컨대 경우에 따라 다른 첨가제와 함께 분무에 의해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및 임의의 다른 첨가제는 중합체 중에 약 1% 내지 약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약 20 중량%의 농도로 성분들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농축물) 형태로 중합체에 부가될 수 있다. 중합체는 첨가제가 마지막으로 부가되는 중합체와 반드시 구조가 동일한 필요는 없다. 이러한 작업에서, 중합체는 분말, 과립, 용액, 현탁액 또는 라티스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혼입은 성형 작업 이전에 또는 성형 작업 동안 실시할 수 있거나, 또는 용해되거나 분산된 화합물을 중합체에 적용하고, 경우에 따라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의 경우, 이들은 라티스로 안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를 중합체에 혼입하는 다른 가능성은 상응하는 단량체를 중합하기 이전, 도중 또는 직후에 이들을 부가하는 것이다.
필름은 블로운 필름 압출 또는 캐스트 필름 압출과 같은 필름 압출에 의해 공압출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적층될 수 있고 또 이들은 폴리아미드(PA 6 또는 6,6 또는 11 또는 12 또는 OPA를 비롯한 6/6,6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OPET를 비롯한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에틸렌 비닐 알코올 (EvOH), 폴리프로필렌(OPP를 비롯),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 또는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VDC) 또는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중합체를 기본으로 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은 상술한 중합체 또는 실리콘-기재 코팅(예컨대 SiOx) 또는 산화 알루미늄 또는 플라즈마에 의해 도포된 다른 코팅, 웹 코팅 또는 전자-비임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식물을 상술한 중합체 조성물 위에, 뒤에 또는 아래에서 화학 방사선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성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온실용 필름 및 소형 터널 커버, 차광 네트(shading net) 및 스크린용 필름 또는 필라멘트, 멀치 필름, 어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부직 또는 성형 물품 형태로 농업 용도에 적용하기 위한 열가소성 중합체에서 식물 성장 향상성 첨가제로서 상기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에 대해 나타낸 정의 및 바람직한 내용은 방법 및 용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네트는 예컨대 통기 향상(및 곤충 차단)용 또는 차광 및 에너지 절약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네트는 상이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필름을 소형 스트립으로 절단한 다음 직조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모노필라멘트 섬유로부터 시작해서 직조하는 것이다. 차광 네트(소위 스크린)를 제조하는 다른 방식은 더욱 복잡하다. 네트는 상기 네트를 통하여 직조 테이프와 함께 직조 모노필라멘트 섬유로부터 형성된다. 이들 테이프는 알루미늄 및/또는 다양한 중합체를 기본으로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모노필라멘트 네트는 예컨대 PE와 함께 1면 또는 양면에 적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실 및 소형 터널 커버가 바람직하다. 온실 및 소형 터널 커버에서 성장하고 그 성장이 본 발명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 식물은 예컨대 꽃, 콩과식물, 과일 및 작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전기 또는 전자 용도에서 광 변환 첨가제(light converting additive)로서 상술한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의 용도이다.
태양 전지에서 광 변환 첨가제로서 상술한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의 용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기재된 마이크로캡슐화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발광 안료의 효과적인 분리를 초래하여 높은 발광 세기, 높은 가시광 투과 및 안료 자체 및 전체 조성물의 더 느린 분해 속도를 유발한다. 상술한 효과 전부는 마이크로캡슐화된 안료가 자외선을 적외선으로 변환할 때 식물 성장에 유리할 수 있고 또 마이크로캡슐은 필름 또는 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 분산되어 농업용 온실 또는 터널 또는 멀칭 물질(mulching material)을 덮는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된 발광 안료: 분말 형태의 Smartlight RL 1000,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인코포레이티드 공급. 이 제품은 바르비투르산 및 디메틸아미노 벤즈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로서, 예컨대 EP141359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한다.
실시예 1 - 마이크로캡슐화된 Smartlight 안료의 제조 (샘플 SL1 , SL2 SL3 )
분산 도구(용해 교반기)를 구비한 1리터 반응기에 탈이온수 300 ml를 장입한 다음 PEG300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 10방울을 물에 부가하였다. 반응기의 내용물을 항온 수조를 이용하여 60℃로 승온시켰다. 이어, 50%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 지(PIAMID® M50, SKW Stickstoffwerke Piesteritz 공급) 17 g 및 2N 아미도설폰산 10 ml를 각각 부가하였다. 1분 후, Smartlight RL1000 분말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발광 안료) 60 g을 부가하고 교반속도를 1400 rpm으로 증가시켜 안료 입자를 분산시켰다. 10분간 분산 후, 교반기 속도를 800 rpm으로 낮추었다. 이어, 생성한 수성 분산액을 60℃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켜 안료 입자의 캡슐화를 완료하였다. 마이크로캡슐화된 안료 분산액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마이크로캡슐화된 Smartlight 안료를 여과에 의해 회수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60℃에서 진공 건조시켰다.
마이크로캡슐화된 Smartlight 입자는 입자 크기가 약 1-15 ㎛ 이고 쉘 두께는 약 50-100 nm 이다.
실시예 2 - 마이크로캡슐화된 안료의 배합
실시예 1의 마이크로캡슐화된 Smartlight 입자를 1% Smartlight 함량을 갖는 (순수한 Smartlight에 비교하여) LDPE (Riblene FF29)에 배합하였다. 배합은 내부 온도 및 토르크 그리고 마이크로캡슐의 배합을 위해 고안된 스크류 구조를 조절하여 2축 스크류 압출기(브라벤더 DSE25/36D 형, 공동혼련)로 실시하였다. 토르크는 150 rpm으로 설정하였다. 폴리에틸렌 및 마이크로캡슐을 개별적으로 측량 기구(저울)를 이용하여 공급하였다. 폴리에틸렌 용융물에 공급될 소량의 Smartlight로 인하여, Smartlight 마이크로캡슐 및 폴리에틸렌 분말( < 1mm로 스크리닝됨)의 프리믹스(premix)를 부가하였다(6,7 중량% Smartlight 마이크로캡슐). 초기 혼합물은 적용하기 전에 터뷸라-혼합기에서 균질화시켰다. 깔때기를 열-절연시키고 Smartlight 마이크로캡슐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 공급분을 냉각시켰다. 마이크로캡슐을 폴리에틸렌 용융물에 부가하는 것은, 높은 기계적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하여, 상기 배합물을 배출하기 전에 실시한다. 상기 배합물은 높은 압출 압력을 피하기 위하여 단일 젯 주입 노즐(직경 5.7 mm)을 통하여 배출된다. 배합물은 과립화되고 추가의 가공 및 안정성 시험을 위해 공기 건조되었다. 샘플 SL1 - SL3을 3 kg씩 배합하였다. 이 배합물을 균질 색 분포를 갖도록 적색 착색시켰고 투명하지 않았다. 배합물에서 Smartlight 마이크로캡슐의 안정성을 산출하기 위하여 과립의 냉동파괴 후에 스캐닝 전자 현미경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이크로캡슐화된 Smartlight 입자를 폴리에틸렌 매트릭스에서 균질하게 분포시켰다. 응집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입자 크기는 배합하기 전의 크기에 상응한다. 순수한 Smartlight 입자는 폴리에틸렌 매트릭스에 비하여 예리한 파쇄 에지를 특징으로 한다. 대조적으로, 마이크로캡슐 쉘과 폴리에틸렌 매트릭스 사이에는 안정한 접착이 존재한다.
실시예 3: 마이크로캡슐화된 안료를 함유하는 LDPE 필름의 제조
150 미크론 두께 LDPE 필름은 Formac Lab 압출기를 이용하고 압출 프로필 온도를 200 내지 210℃에서 제조하였다.
인공 풍화(weathering) 시험
실시예 3의 LDPE 필름의 인공 풍화 시험은 크세논 램프(340 nm에서 0.35 W/m2의 방출)를 이용하여 작용하는 웨더로미터(Weather-O-Meter)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 발광 분석
이 실시예는 캡슐화되지 않은 Smartlight 안료와 대비한 마이크로캡슐화된 Smartlight 안료를 함유하는 LDPE 필름의 발광에서 향상을 나타낸다.
발광 분석은 LDPE 필름을 기준으로 하여 캡슐화되지 않지만(not encapsulated) 시판되는 등급의 Smartlight(NESL)를 이용한 이외에는 다른 성분, 동일 두께 및 동일 안료 부하량을 이용하여 제조한 동일 배합물을 이용하여 노출 필름 상에서 실시하였다.
캡슐화된 Smartlight 발광은 캡슐화되지 않은 것에 비하여 훨씬 강하였다. 동일 기구 변수로 측정하면, 비율은 약 6:1이었다.
표 1은 캡슐화되지 않은 안료와 비교한 상이한 캡슐화된 샘플의 인공풍화후의 발광 변화를 도시한다.
Figure 112008027818266-PCT00023
캡슐화되지 않은 Smartlight와 비교하여 인공 풍화하는 동안 보유된 발광의 현저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캡슐화된 및 캡슐화되지 않은 Smartlight 함유 샘플은 습도 영향의 극한 확인으로서 물에 침지된채로 조사(irradiated)되었다. WOM 장치에서 288 시간 후, 캡슐화된 안료를 함유하는 샘플은 시판되는 Smartlight를 함유하는 샘플에 비하여 5배 이상의 발광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광학 특성
이 실시예는 캡슐화되지 않은 Smartlight 안료와 비교한 마이크로캡슐화된 Smartlight를 함유하는 LDPE 필름의 가시광 투과의 향상을 설명한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요약한다.
Figure 112008027818266-PCT00024
캡슐을 함유하는 LDPE 필름에 의해 투과된 가시광은 캡슐화되지 않은 안료에 비하여 모든 경우에서 향상되었다.
실시예 6 - 다른 중합체 첨가제의 상호작용
표 3은 공동첨가제 존재하에서 필름을 함유하는 캡슐화된 시판되는 Smartlight의 형광 특성을 나타낸다:
0.25% 스테아르산 칼슘 (Ca St)
2.5% Serdox NXK 1000 (Serdon)
2.5% Atmer 103 (A103)
2.5% Atmer 185 (A185)
5% Polestar 200 R (카올린)
표 3으로부터, 캡슐화되지 않은 Smartlight 안료와 비교하여, 캡슐화된 Smartlight 안료와 다른 중합체 첨가제의 사용성은 현저하게 향상됨을 분명히 알 수 있다.
Figure 112008027818266-PCT00025

Claims (23)

  1. 350 nm 내지 550 nm 사이에서 최대 흡수이고 또 550 nm 내지 700 nm 사이에서 최대 발광을 갖고 80 nm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스토크 변동을 갖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로서 이 마이크로캡슐의 쉘은 가교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2. 제 1항에 있어서, 350 nm 내지 500 nm 사이에서 최대 흡수가 있고 또 600 nm 내지 700 nm 사이에서 최대 발광을 갖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3. 제 1항에 있어서, 스토크 변동은 120 nm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4. 제 1항에 있어서, 발광 안료는 유기 발광 안료인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5. 제 1항에 있어서, 발광 안료는 안트라퀴논, 쿠마린, 벤조-쿠마린, 크산텐, 벤조[a]-크산텐, 벤조[b]크산텐, 벤조[c]크산텐, 펜옥사진, 벤조[a]펜옥사진, 벤조[b]펜옥사진 및 벤조[c]펜옥사진, 나프탈이미드, 나프토락탐, 아즈락톤, 메틴, 옥사진 및 티아진, 디케토피롤로피롤, 페릴렌, 퀴나크리돈, 벤조크산텐, 티오에핀 돌린, 락탐이미드, 디페닐말레이미드, 아세토아세트아미드, 이미다조티아진, 벤즈안트론, 페릴렌모노이미드, 페릴렌, 프탈이미드, 벤조트리아졸, 피리미딘, 피라진, 트리아졸, 디벤조푸란, 트리아진 및 바르비투르산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6. 제 1항에 있어서, 발광 안료는 안트라퀴논, 옥사진, 페릴렌 및 바르비투르산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7. 제 1항에 있어서, 발광 안료는
    Figure 112008027818266-PCT00026
    의 축합 생성물이며, 이때 R101 및 R10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8 알킬인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8. 제 1항에 있어서, 쉘의 중합체는 인-시츄 중합반응에 의해 가교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9. 제 1항에 있어서, 쉘의 가교 중합체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페놀-포름알데히드, 폴리아미드,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피리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 에폭사이드, 젤라틴, 폴리(비닐 알코올),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카 및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10. 제 9항에 있어서, 쉘의 가교 중합체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및 페놀-포름알데히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11. 제 1항에 있어서, 평균 입자 크기가 0.8 내지 50 μ인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12.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에 대한 마이크로캡슐-형성 물질의 중량비는 0.001:1 내지 1:1인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13.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캡슐에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 UV 흡수제, 광 안정화제, 단일 산소 켄쳐(oxygen quencher), 추가의 형광 염료 또는 안료, 가공 보조제, 대전방지제, 김서림방지 첨가제 및 충전제 또는 강화 물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
  14. a) 열가소성, 탄성중합성 또는 가교 중합체, 및
    b) 350 nm 내지 550 nm 사이에서 최대 흡수 및 550 nm 내지 700 nm 사이에서 최대 발광을 갖고 또 80 nm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스토크 변동을 갖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쉘은 가교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성분 a)가 열가소성 중합체인 중합체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조성물.
  17. 제 14항에 있어서, 10 μ 내지 300μ의 두께를 갖는 필름 형태인 중합체 조성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1 이상의 층 중에 성분 b)를 함유하는 2 내지 7개 중합체 층의 다층 구조인 중합체 조성물.
  19. 제 14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 UV 흡수제, 광안정화제, 단일 산소 켄쳐, 다른 형광 염료 또는 안료, 가공 보조제, 대전방지제, 김서림방지 첨가제 및 충전제 또는 강화 물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20. 제 14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 위에서, 뒤에서 또는 아래에서 식물을 화학방사선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성장을 향상시키는 방법.
  21. 온실용 필름 및 소형 터널 커버, 차광 네트(shading net) 및 스크린용 필름 또는 필라멘트, 멀치 필름, 어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부직 또는 성형 물품 형태로 농업 용도에 적용하기 위한 열가소성 중합체에서 식물 성장 향상성 첨가제로서 제1 항에 따른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의 용도.
  22. 전기 또는 전자 용도에서 광 변환 첨가제로서 제1항에 따른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의 용도.
  23. 태양 전지에서 광 변환 첨가제로서 제1항에 따른 마이크로캡슐화된 발광 안료의 용도.
KR1020087009370A 2005-10-12 2006-10-04 캡슐화된 발광 안료 KR200800505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9465.4 2005-10-12
EP05109465 2005-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503A true KR20080050503A (ko) 2008-06-05

Family

ID=3657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370A KR20080050503A (ko) 2005-10-12 2006-10-04 캡슐화된 발광 안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90247406A1 (ko)
EP (1) EP1937779A1 (ko)
JP (1) JP2009511686A (ko)
KR (1) KR20080050503A (ko)
CN (1) CN101283052A (ko)
AR (1) AR057544A1 (ko)
AU (1) AU2006301300A1 (ko)
BR (1) BRPI0617199A2 (ko)
CA (1) CA2624784A1 (ko)
EC (1) ECSP088356A (ko)
IL (1) IL190288A0 (ko)
WO (1) WO2007042438A1 (ko)
ZA (1) ZA20080248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7996A3 (ko) * 2008-12-09 2010-09-3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트리알콕시실릴기 함유 신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063593A1 (en) * 2011-10-27 2013-05-02 Chromatic Technologies, Inc. Photochromic inks
WO2018139743A1 (ko) * 2017-01-26 2018-08-02 주식회사 볼빅 시인성이 향상된 무광 표면을 갖는 골프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2561B2 (ja) * 2006-06-22 2013-01-16 チバ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植物生長を増進させる方法
ATE469677T1 (de) 2007-05-04 2010-06-15 Lufthansa Technik Ag Fluchtwegmarkierung für ein flugzeug
EP2291479B1 (en) * 2008-06-02 2013-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encapsulating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s made therewith
EP2161304B1 (en) 2008-09-04 2014-04-23 Rohm and Haas Company Opacifying pigment particle
KR101462657B1 (ko) * 2008-12-19 2014-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나노 결정 복합체
EP2458941A4 (en) * 2009-07-23 2013-05-29 Adeka Corp OPTICAL FILTER
JP5158375B2 (ja) * 2009-07-27 2013-03-06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ナノ粒子蛍光体
KR20140113736A (ko) * 2009-09-29 2014-09-24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파장 변환용 형광 재료, 이것을 포함하는 파장 변환용 수지 조성물, 이들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 파장 변환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JP5373582B2 (ja) * 2009-12-16 2013-12-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110184096A1 (en) * 2010-01-25 2011-07-28 Sivapackia Ganapathiappan Coated pigment composition
CN102905513A (zh) * 2010-05-28 2013-01-30 旭硝子株式会社 波长转换膜
WO2012009729A1 (en) * 2010-07-16 2012-01-19 Sumitomo Chemical Co., Ltd. Organic additives for improved lifetimes in organic and solution processible electronic devices
JP2012095601A (ja) * 2010-11-02 2012-05-24 Japan Polyethylene Corp 農業用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13024526A2 (pt) * 2011-03-31 2019-09-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ormulação de resina termoplástica,material em folha,e,módulo fotovoltaico para a conversão de radiação eletromagnética incidente em energia elétrica
WO2013008120A1 (en) * 2011-07-08 2013-01-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wavelength conversion foil for use with a light source
EP2546319A1 (en) * 2011-07-13 2013-01-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igh efficiency plastic light conversion components by incorporation of phosphor in a polymer by adding to monomers before polymerisation
AU2012365434B2 (en) * 2011-11-02 2015-09-03 Deepak Shah Variable release water dispersible granule composition
US20140352762A1 (en) * 2012-02-03 2014-12-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uminescent Electricity-Generating Window for Plant Growth
CN103450882A (zh) * 2012-05-30 2013-12-1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荧光粉
CN105378518B (zh) 2013-07-10 2018-04-27 富士胶片株式会社 光学膜、使用该光学膜的偏振片及液晶显示装置
CN103483860A (zh) * 2013-09-11 2014-01-01 吴江市冰心文教用品有限公司 一种耐腐蚀耐候的红色颜料
US9320201B2 (en) 2013-12-20 2016-04-26 Elwha Llc Reflective articles and methods for increasing photosynthesis
ES2735148T3 (es) * 2015-07-31 2019-12-16 Cytec Ind Inc Composiciones estabilizantes encapsuladas
DE102015014539A1 (de) * 2015-11-11 2017-05-11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pigment basierend auf Kern-Hülle-Teilchen und Herstellungsverfahren
DE102015014560A1 (de) * 2015-11-11 2017-05-11 Giesecke & Devrient Gmbh Pigmentsystem, Lumineszenzfarbsystem und Wertdokument
CN106554453B (zh) * 2016-10-12 2018-10-09 沈阳大学 一种农用转光膜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996990B (zh) * 2016-10-14 2021-12-28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用于减少彩色边纹的装置
WO2019060916A2 (en) * 2017-09-25 2019-03-28 Northeastern University COSMETIC AND DERMATOLOGICAL COMPOSITIONS
EP3688115A2 (en) 2017-09-25 2020-08-05 Northeastern University Biologically-inspired compositions that enable visible through infrared color changing compositions
CN108865044A (zh) * 2018-06-19 2018-11-23 佛山腾鲤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光伏电池组件密封胶的制备方法
CN111286133A (zh) * 2018-12-06 2020-06-16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一种光转换膜及其制作方法
WO2023182121A1 (ja) * 2022-03-22 2023-09-28 Dic株式会社 マスターバッチ、そ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CN115011108B (zh) * 2022-06-30 2023-09-01 江西中塑新材料科技有限公司 发光型透明尼龙树脂及其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84836D1 (de) * 1985-07-29 1992-05-21 Shiseido Co Ltd Mit silikonpolymer ueberzogenes pulver oder teilchenfoermiges material.
US4707297A (en) * 1986-04-29 1987-11-17 Bell & Howell Company Removable guidepath for automated guidance vehicles
JPH0395270A (ja) * 1989-09-08 1991-04-19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蛍光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8208976A (ja) * 1994-10-31 1996-08-13 Dainippon Ink & Chem Inc 蛍光顔料及び/又は蛍光染料を含むマイクロビーズ
JP2002035571A (ja) * 2000-07-26 2002-02-05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会合性クロロフィル系色素内包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ES2309024T3 (es) * 2001-08-17 2008-12-16 Cognis Ip Management Gmbh Microcapsulas (xv).
DE10200291A1 (de) * 2002-01-07 2002-10-10 Benq Corp Phosphoriszierende Tintenzusammensetzung
ATE292144T1 (de) * 2002-08-02 2005-04-15 Inst Curie Shiga-toxin-untereinheit b als vektor zur diagnose von tumoren und zur arzneimittelverabreichung an gb3-exprimierenden tumoren
AU2003262719A1 (en) * 2002-08-14 2004-03-03 Encap Technologies, Inc. Microencapsulated and nanoencapsulated particles, moisture barrier resin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same
CO5410180A1 (es) * 2002-10-22 2004-06-30 Ciba Sc Holding Ag Composicion y proceso para potenciar la produccion de bio-masa en invernadero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7996A3 (ko) * 2008-12-09 2010-09-3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트리알콕시실릴기 함유 신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063593A1 (en) * 2011-10-27 2013-05-02 Chromatic Technologies, Inc. Photochromic inks
US9187668B2 (en) 2011-10-27 2015-11-17 Chromatic Technologies, Inc. Photochromic inks
US9738825B2 (en) 2011-10-27 2017-08-22 Chromatic Technologies, Inc. Photochromic inks
WO2018139743A1 (ko) * 2017-01-26 2018-08-02 주식회사 볼빅 시인성이 향상된 무광 표면을 갖는 골프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42438A1 (en) 2007-04-19
BRPI0617199A2 (pt) 2011-07-19
ZA200802482B (en) 2009-08-26
CA2624784A1 (en) 2007-04-19
US20090247406A1 (en) 2009-10-01
IL190288A0 (en) 2009-09-22
CN101283052A (zh) 2008-10-08
AU2006301300A1 (en) 2007-04-19
EP1937779A1 (en) 2008-07-02
JP2009511686A (ja) 2009-03-19
ECSP088356A (es) 2008-05-30
AR057544A1 (es)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0503A (ko) 캡슐화된 발광 안료
KR101691898B1 (ko) 열 흡수 첨가제
KR101611627B1 (ko) 열 차폐용 첨가제
KR101782173B1 (ko) 칼륨 세슘 텅스텐 브론즈 입자
ES2350805T3 (es) Ftalocianinas de absorción infrarroja cercana y su uso.
KR100778769B1 (ko) 두께가 얇은 투명한 중합체 물질
KR101099452B1 (ko) 광변색 계의 안정화
JP4461319B2 (ja) 温室中でのバイオマス生産を増進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CA2506729C (en) Polymeric material containing a latent acid
JP4239170B2 (ja) 高い相溶性のヒドロキシフェニルトリアジン紫外線吸収剤
KR20080020677A (ko) 방향족 카보사이클릭 융합된 환 시스템을 갖는하이드록시페닐트리아진
US20140336313A1 (en) Sterically hindered amine stabilizer
CN111051418A (zh) 添加剂混合物
US20230159727A1 (en) Sterically hindered amine stabilizer mixtures
ES2854702T3 (es) Aditivos absorbentes de cal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