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973A -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973A
KR20080030973A KR1020080022684A KR20080022684A KR20080030973A KR 20080030973 A KR20080030973 A KR 20080030973A KR 1020080022684 A KR1020080022684 A KR 1020080022684A KR 20080022684 A KR20080022684 A KR 20080022684A KR 20080030973 A KR20080030973 A KR 20080030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height
sedimentation
tank
set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승
Original Assignee
신한건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건설산업(주) filed Critical 신한건설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2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0973A/ko
Publication of KR2008003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공사 현장에서 토사와 같은 부유물이 혼입되어 발생한 현탁수를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치의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조로 유입된 처리수 내의 잔여 부유물이 응집 활성화되어서 비중의 증가로 농축조와 침전부에 걸쳐 침강되어 쌓이는 슬러지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의해 배출밸브를 자동 개방시켜 슬러지를 주기적으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게 함에 따라 슬러지 배출에 필요한 작업인력 사용을 해소함과 동시에 슬러지 배출시기를 놓쳐 침강되었던 슬러지의 일부가 부양하여 정화수와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을 해소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터널공사 현장에서 토사와 같은 부유물이 혼입되어 발생한 현탁수를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치의 침전조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00)의 농축부(112)와 침전부(111)로 침강되어 쌓이는 슬러지의 침강 높이를 감지하는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200)가 제2처리조(110)의 일측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200)는 침전부(111)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침전조, 슬러지높이무인자동감지장치, 감지부, 부유물유입부, 투광부, 수광 부, 투명창, 세척부, 분사노즐

Description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An unmanned auto sensor of sludge sedimentation height in setting pond by infrared beam}
본 발명은 터널공사 현장에서 토사와 같은 부유물이 혼입되어 발생한 현탁수를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치의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조로 유입된 처리수 내의 잔여 부유물이 응집 활성화되어서 비중의 증가로 농축조와 침전부에 걸쳐 침강되어 쌓이는 슬러지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의해 배출밸브를 자동 개방시켜 슬러지를 주기적으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게 함에 따라 슬러지 배출에 필요한 작업인력 사용을 해소함과 동시에 슬러지 배출시기를 놓쳐 침강되었던 슬러지의 일부가 부양하여 정화수와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을 해소한 발명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 즉, 터널공사 현장에서는 터널을 굴착하는 중에 건수 및 지하수와 같은 물이 공사중인 터널 내부에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된 물에는 굴삭중에 발생하는 토사가 유입되어 탁해진다.
상기와 같이 토사의 혼입으로 발행된 물을 정화하지 않고 하천으로 방류할 경우, 물에 하천 바닥에 토사가 퇴적되어 미생물의 생성 및 활동을 저하시켜 하천수의 수질 악화를 초래 함은 물론 현탁물인 토사가 어류의 아가미를 막아 어류의 생육을 방해 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어류의 생육이 불가능 한 죽은 하천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현탁수(이하 "처리수" 라 합니다)는 정화과정을 거쳐 방류하고 있고, 처리수를 정화하는 방법으로는 물에 혼입된 토사등과 같은 부유물을 침전시켜 처리수를 정화하는 침전방식의 폐수설비를 이용하게 된다.
침전방식에 의해 현탁물이 혼입된 처리수의 부유물을 침전시키는 폐수설비는, 터널공사 현장으로부터 발생한 처리수 내의 부유물을 침강 분리시킴과 동시에 처리수내의 유해성 물질을 살균한 후, 여과 과정을 거쳐 여과된 맑은 물을 방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처리수를 폐수설비를 이용하여 정화시키는 과정을 도1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처리수가 침사조(10)로 유입되어 돌과 같은 큰 입자의 부유물이 침강 분리되어진다.
상기 침사조(10)에서 큰 입자의 부유물이 분리되어진 처리수는 정량펌프(13)에 의해 펌핑되어 중화/반응조(20)로 공급된다.
중화/반응조(20)로 공급된 처리수는 교반날개(23)를 갖고 전동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축(22)의 회전으로 교반되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교반되어지는 처리수는 약제통(60)으로부터 공급된 황산과 섞여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성 유해물질이 살균됨과 동시에 약제통(70)으로부터 공급되어진 황산반토와 섞이면서 처리수내의 부유물이 1차 응집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응집되어진 부유물은 아래로 침강되어져 슬러지펌프(도면에 특정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수거되어지게 된다.
상기 중화/반응조(20)에서 부유물이 1차 응집되어 정화되어진 처리수는 중화/반응조(20)와 연결된 이송관(90)을 통해 침전조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상기 중화/반응조(20)에서 정화된 처리수가 이송관(90)을 따라 이송할때 이송관(90)에는 약제통(80)으로부터 고분자응집제가 투입되어져 중화/반응조(20)에서 응집되어지지 않은 처리수 내의 미세 부유물이 2차 응집되어지게 된다.
상기 고분자응집제에 의해 미세 부유물이 응집되어진 처리수는 이송관(90)내에서 지그재그로 설치된 버플판에 의해 이송속도가 규제되어서 느린 속도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상기 이송관(90)을 따라 이송하는 처리수는 경사판을 갖는 침전조로 유입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관(90)을 통해 처리수가 유입되어지는 침전조에는 전술한 약제통(60)(70)(80)으로부터 약품들이 재차 투입되어지게 된다.
상기 침전조에 유입된 처리수는 경사판에 의해 저류하거나 저유속으로 흐르면서 현탁수 내의 잔여 부유물의 응집이 활성화되어지게 되고, 응집이 활성화되어 비중이 커진 부유물이 자체 비중에 의해 침전조의 아래로 침강되어서 분리되어지게 된다.
부유물이 침강되어 정화되어진 맑은 물은 여과조(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최종적으로 처리되어진 후, 방류조(50)를 거쳐 방류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침강 분리되어진 상기 침전조 하부에 침강되어 쌓인 부유물(슬러지)은 슬러지배출관(130)을 통해 탈수기(40)로 이송되어 수분이 제거되어진 후 케이크 상태로 처리되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현탁액을 포함하는 처리수를 정화처리 하는 폐수설비에서는 처리수를 최종적으로 정화처리하는 침전조의 기능에 따라 정화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정화효율의 향상을 결정하는 요인 중의 하나가 침전조의 하부 농축부(112)와 침전부(111)에 침강하여 쌓이는 부유물(슬러지)을 적기에 제거하지 않을 경우, 정화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농축부(112)와 침전부(112)에 침강하여 쌓이는 슬러지를 제때 처리하지 않고 지나치게 높은 높이로 쌓이도록 방치하면, 침전지(100)로 유입되는 처리수가 최상단에 위치하는 슬러지에 대하여 지나치게 빠른 유속으로 부딪치기 때문에 최상단에 위치하는 부유물(슬러지)이 부유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슬러지가 지나치게 높은 높이로 쌓여 부유되는 부유물은 방류되어지는 정화수에 혼입 방류되어 폐기물처리시설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농축부와 침전부로 침강되어 쌓이는 슬러 지가 지나치게 높은 높이로 쌓이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적기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농축부와 침전부에 쌓인 슬러지의 배출시기를 작업자가 투시창을 통해 확인한 후 배출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슬러지의 배출시기를 체크함으로써, 상기에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작업자가 수시로 슬러지가 쌓인 정도를 확인해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침전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러지가 침강되어 쌓이는 침전부 내의 슬러지 높이를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가 자동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의해 배출밸브를 자동 개방시켜서 침전조의 농축부와 침전부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침전조 내에 침강되어 쌓인 슬러지를 적기에 배출 제거함에 따라 침전부에 침강되었던 슬러지가 제차 부유되어 정화수에 혼입 방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화수로의 슬러지 혼입 방류로 야기될 수 있는 수질오염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였고, 슬러지가 침강하여 쌓이는 높이를 자동 체크함에 따라 침전부를 점검해야할 작업자가 불필요하여 폐수처리장치의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처리수의 안정적인 정화처리로 폐수처리설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긴 길이를 가지는 침전조(100)의 내부에 원통형 관체(121)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관체(121) 내에는 중화/반응조(20)로부터 공급된 처리수가 저류하거나 저유속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아래로 가면서 좁아지는 상광하협형을 이룸과 동시에 중앙에 처리수이송로(123)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판(122)이 상,하로 등 간격을 이루며 다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사판(122)의 처리수이송로(123)와 나란하는 위치의 상부에 슬러지부양 방지용 차단판(124)이 설치되어 있는 제1처리조(120)와; 상기 제1처리조(120)를 통해 유입된 처리수로부터 부유물이 응집 분리되는 침전부(111)가 하부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침전부(111)에서 처리수로부터 응집 분리되어진 부유물이 침강되어지는 농축부(112)가 부유물배출관(114)을 구비하여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에 쌓이는 슬러지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슬러지확인창이 설치되어 있으며, 침전부(111)로부터 정화처리된 처리수를 여과조(40)로 보내는 배출관(117)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처리조(110)로 구성된 침전조에 있어서,
농축부(112)와 침전부(111)로 침강되어 쌓이는 슬러지의 침강 높이를 감지하는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200)가 제2처리조(110)의 일측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200)는 침전부(111)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 강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 슬러지가 침강되어 쌓이는 농축부(112)와 침전부(111)내의 슬러지 높이를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200)가 자동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의해 슬러지배출밸브(131)를 자동 개방시켜서 침전조(100)의 농축부(112)와 침전부(111)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침전조(100) 내에 침강되어 쌓인 슬러지를 적기에 배출 제거함에 따라 침전부(111)에 침강되었던 슬러지가 재차 부유되어 정화수에 혼입 방류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정화수로의 슬러지 혼입 방류로 야기될 수 있는 수질오염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였고, 슬러지가 침강하여 쌓이는 높이를 자동 체크함에 따라 침전부(111)를 점검해야할 작업자가 불필요하여 폐수처리장치의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처리수의 안정적인 정화처리로 폐수처리설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는, 상하류식으로 제1처리조(120)와 제2처리조(110)로 이루어진 침전조(100)의 제2처리조(110)의 일측으로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20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제2처리조(110)의 침전부(112)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진 것이다.
상기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200)는, 제2처리조(110)의 침전부(111) 와 통하는 부유물유입부(210)와, 침강되어지는 처리수내의 슬러지 농도에 따라 작동하는 감지부(220)와; 상기 감지부(220)의 투명창(223)을 세척해주는 세척부(2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유물유입부(210)는 제2처리조(11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침전부(111)로 침강되어 쌓이는 슬러지가 혼입된 부유물이 유입되어 질 수 있도록 도통 되어 있으며, 침강된 슬러지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면이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유물유입부(210)의 양측벽(211)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감지부(220)는 상기 양측벽(211)에 설치되는 투명창(223)과, 상기 투명창(223) 중 어느 한곳에 투광부(221)와 수광부(2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일체로 투광부(221)와 수광부(222)가 일체로 된 감지부(220)는 투광부(221)에서 조사된 적외선빔의 반사량 변화를 수광부(222)에서 수신하여 적외선빔 반사량의 수신값에 따라 슬러지배출관(130)에 설치된 슬러지배출밸브(131)의 개폐가 결정되어 진다.
즉, 처리수 내에 혼입된 슬러지의 농도에 농축부(112)와 침전부(111)에 점진적으로 높게 쌓여짐에 따라 부유물유입부(210)로 유입되는 처리수 내의 부유물(슬러지) 농도가 높아지게 되고, 부유물(슬러지)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지부(220)를 구성하는 투광부(221)에서 조사된 적외선빔의 반사량이 증가되어지게 되고, 증가된 적외선빔의 반사량을 수광부(222)에서 수신하여 그 수신값에 의해 슬러지배출관(130)에 설치된 슬러지배출밸브(131)를 개방시켜 슬러지를 적기에 배출 탈수 처 리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220)의 투명창(223)을 세척하는 세척부(230)은 정화처리되어진 방류수가 방류되는 방류조(50)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펌핑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모터를 포함하는 세척수관(231)을 구비하고, 상기 부유물유입부(210)의 양측벽(211) 상부로 연결설치된 단부에 투명창(223)에 낀 부유물을 세척해낼 수 있도록 분사노즐(232)이 상기 투명창(223)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가 설치되어진 폐수설비의 침전조(100)를 통해 토사와 같은 현탁물이 혼입된 처리수를 정화 처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본원 발명의 침전조(100)에 의해 처리수 내의 부유물을 정화처리하는 과정을 공정별로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술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표기하기로 하고 침전조(100)의 전처리 공정에서 처리수를 정화 처리하는 과정은 전기에서 설명한 바 있어 본원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침전조(100)를 구성하고 있는 제1처리조(120)에 약제통(60)의 황산과 약제통(70)의 황산반토가 공급되어 상기 처리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성 유해물질이 살균됨과 동시에 약제통(80)으로부터 고분자응집제가 투입되어 부유물이 응집되어진 처리수가 중화/반응조(20)로부터 공급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제1처리조(120)에 유입된 처리수는 경사판(122)과 차단판(124)에 의해 저류하거나 저유속으로 흐르면서 약제통(80)으로부터 공급되어지는 고분자응집제에 의해 작은 입자의 부유물까지도 응집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사판(122)을 따라 저류하거나 저유속으로 흐르는 처리수는 침강하는 거리가 길어지고, 반응/응집되는 시간이 늘어나 부유물의 응집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경사판(122)과 차단판(124)을 처리수가 지나칠 때 와류가 발생하여 교반이 일어나 약제통(80)으로부터 공급되어진 고분자응집제가 처리수 내의 부유물과 골고루 섞여 응집이 활성화되어 진다.
상기와 같와 고분자응집제에 의해 부유물의 응집이 활성화되어지므로, 작은 입자의 부유물(슬러지)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처리조(120)에서 응집되어 비중이 커진 부유물(슬러지)을 가지는 처리수는 제2처리조(110)의 침전부(111)로 유입되어지게 되고, 상기 침전부(111)로 유입된 처리수의 부유물은 자체 비중에 의해 하부의 농축부(112)에 침강되어지게 된다.
상기 농축부(112)로 침강되어지는 부유물은 부유물부상방지판(116)을 지나 그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부유물비상방지판(116)에 의해 침강된 부유물이 부상하지 않고 안정되게 침강 유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비중이 큰 부유물이 분리되어진 처리수는 상부로 부양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처리조(110)로 유입된 처리수가 부양할 수 있는 것은 제2처리조(110)의 배출관(117)이 제1처리조(120)로 처리수를 유입시키는 응집 /반응조(2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양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수로부터 분리되어 농축부(112)와 침전부(111)에 침강되어진 슬러지는 슬러지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어 탈수기(40)에서 탈수 처리되어지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농축부(112)와 침전부(111)에 쌓인 부유물(슬러지)의 배출 처리는 감지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슬러지를 배출시켜 처리하는 상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의 농축부(112)와 침전부(111)에 슬러지가 차곡차곡 쌓여 그 높이가 높아지고, 슬러지의 쌓인 높이가 높아졌을 때 무인자동감지장치(200)의 감지부(220)가 작동한다.
상기 무인자동감지장치(200)의 감지부(220)의 작동은, 슬러지가 농축부(112)에순차적으로 쌓이는 동안에는 침전부(111)에 위치하는 처리수의 혼탁도 농도가 낮아 감지부(220)의 투광부(221)에서 조사된 적외선빔의 반사량이 수광부(222)에 수지되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슬러지가 농축부(112)를 넘어 침전부(111)에 까지 점진적으로 쌓이게 되면, 침전부(111)에 위치하는 처리수의 혼탁 농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220)의 수광부(222)에서 인식하는 투광부(221)로부터의 조사된 적외선빔의 반사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광부(222)에 인식하는 투광부(221)의 적외선빔의 반사량은 처리수의 혼탁도 높으면 높을수록 반사량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수광부(222)에서 인식된 적외선빔의 수신값이 높아지게 되면, 수광부(222)에 인식된 신호에 의해 슬러 지배출관(130)에 설치된 슬러지배출밸브(131)가 개방되어져 슬러지를 탈수기(40)로 배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기(220)의 수광부(222)에 인신된 반사량의 값은 설비시공시 현장 조건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혼탁도에 의해 수광부(222)에서 적외선빔을 인식하는 인식값이 달라질 수 있다.
감지부(220)가 작동되어지는 일예를 들어보면, 투광부(221)의 적외선빔이 조사되었을 때 처리수를 투과하는 적외선빔의 투과량을 "100"으로 하였을 때, 그 투과량이 "50" 이하로 떨어져 상기 수광부(222)에 적외선빔의 반사량이 "50"이상이되면 슬러지배출밸브(131)를 개방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에 준하여 감지부(220)가 작동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부(220)의 작동에 의해 침전지(100)내의 슬러지를 배출 처리한 후에는 제차 농축부(112)와 침전부(111)에 쌓이는 슬러지의 원활한 처리를 위하여 부유물유입부(210)의 양측벽(211)으로 설치되어진 감지부(220)의 투명창(223)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여서 상기 감지부(220)가 정상적인 작동되어질 수 있도록 환경을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투명창(223)의 세척은 세척부(23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감지부(220)의 투명창(223) 세척은 방류조(50)의 방류수 사용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세척수관(231)의 펌프모터(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작동시켜 부유물유입부(210)의 내부로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사노즐(232)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시켜 투명 창(223)에 낀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감지부(220)가 항상 정상적으로 작동되어지면서 슬러지를 자동으로 배출 처리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현탁물이 혼입된 처리수를 정화처리 하는 폐수설비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침전조와 그 주변 설비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전조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침전조의 요부를 발췌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침전조 110 : 제2처리조
111 : 침전부 112 : 농축부
116 : 부유물부상방지판 117 : 배출관
120 : 제1처리조 121 : 관체
122 : 경사판 123 : 처리수이송로
124 : 차단판 130 : 슬러지배출관
131 : 슬러지배출밸브 200 :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
210 : 부유물유입부 211 : 양측벽
220 : 감지부 221 : 투광부
222 : 수광부 223 ; 투명창
230 : 세척부 231 : 세척수관
232 : 분사노즐

Claims (2)

  1. 상,하로 긴 길이를 가지는 침전조(100)의 내부에 원통형 관체(121)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관체(121) 내에는 중화/반응조(20)로부터 공급된 처리수가 저류하거나 저유속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아래로 가면서 좁아지는 상광하협형을 이룸과 동시에 중앙에 처리수이송로(123)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판(122)이 상,하로 등 간격을 이루며 다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사판(122)의 처리수이송로(123)와 나란하는 위치의 상부에 슬러지부양 방지용 차단판(124)이 설치되어 있는 제1처리조(120)와; 상기 제1처리조(120)를 통해 유입된 처리수로부터 부유물이 응집 분리되는 침전부(111)가 하부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침전부(111)에서 처리수로부터 응집 분리되어진 부유물이 침강되어지는 농축부(112)가 부유물배출관(114)을 구비하여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에 쌓이는 슬러지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슬러지확인창이 설치되어 있으며, 침전부(111)로부터 정화처리된 처리수를 여과조(40)로 보내는 배출관(117)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처리조(110)로 구성된 침전조에 있어서,
    농축부(112)와 침전부(111)로 침강되어 쌓이는 슬러지의 침강 높이를 감지하는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200)가 제2처리조(110)의 일측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200)는 침전부(111)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200)는 제2처리조(11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침전부(111)로 침강되어 쌓이는 슬러지가 혼입된 부유물이 유입되어 질 수 있도록 도통 되어 있으며, 침강된 슬러지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면이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부유물유입부(210)와;
    상기 부유물유입부(210) 양측벽(211)에 설치되는 투명창(223)과, 상기 투명창(223) 중 어느 한곳으로 설치되어 적외선빔을 조사하는 투광부(221)와, 상기 투광부에서 조사된 적외선빔의 반사량 변화를 수광부(222)에서 수신하여 적외선빔 반사량의 수신값에 따라 슬러지배출관(130)에 설치된 슬러지배출밸브(131)를 개폐 제어하는 수광부(222)로 이루어진 감지부(220)와;
    상기 감지부(220)의 투명창(223)을 세척하는 세척부(230)은 정화처리되어진 방류수가 방류되는 방류조(50)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펌핑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모터를 포함하는 세척수관(231)을 구비하고, 상기 부유물유입부(210)의 양측벽(211) 상부로 연결설치된 단부에 투명창(223)에 낀 이물질을 세척해낼 수 있도록 세척수관(23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분사노즐(232)로 이루어진 세척부(2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 감지장치.
KR1020080022684A 2008-03-12 2008-03-12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감지장치 KR20080030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684A KR20080030973A (ko) 2008-03-12 2008-03-12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684A KR20080030973A (ko) 2008-03-12 2008-03-12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973A true KR20080030973A (ko) 2008-04-07

Family

ID=3953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684A KR20080030973A (ko) 2008-03-12 2008-03-12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09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8925A (zh) * 2021-03-18 2021-06-29 清华四川能源互联网研究院 消力池水下淤积高度测量与安全分级方法
US20220152529A1 (en) * 2021-09-24 2022-05-19 Hohai University Immersed active infrared self-cleaning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sludge blanket induction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8925A (zh) * 2021-03-18 2021-06-29 清华四川能源互联网研究院 消力池水下淤积高度测量与安全分级方法
US20220152529A1 (en) * 2021-09-24 2022-05-19 Hohai University Immersed active infrared self-cleaning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sludge blanket induction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GB2604236A (en) * 2021-09-24 2022-08-31 Univ Hohai Immersed active infrared self-cleaning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sludge blanket induction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US11673076B2 (en) * 2021-09-24 2023-06-13 Hohai University Immersed active infrared self-cleaning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sludge blanket induction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GB2604236B (en) * 2021-09-24 2023-07-19 Univ Hohai Immersed active infrared self-cleaning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sludge blanket induction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855A (en) Closed chemically enhanced treatment system
KR100808289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0792030B1 (ko) 고형물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처리 수질의 원격 감시 시스템을 포함하는 오ㆍ폐수 처리 설비
KR100882200B1 (ko)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KR101278958B1 (ko) 폐수처리시스템
KR102013599B1 (ko)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KR100646042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1261839B1 (ko) 반류수 처리장치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CN110282853A (zh) 集成污水物化处理与污泥脱水的净化装置及其净化方法
KR100844503B1 (ko) 하수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80030973A (ko)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감지장치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CN208632279U (zh) 含磷废水处理***
CN212214694U (zh) 一种用于泥水分离的监测设备及泥水分离设备
JP4215780B2 (ja) 汚濁水浄化装置
CN108751611A (zh) 高效印染废水处理***及其处理方法
KR200384139Y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CN111646615B (zh) 撬装式光芬顿水处理设备
CN209456207U (zh) 一种用于脱硫塔废料回收装置
CN209797614U (zh) 一种污水处理反应器
KR102009674B1 (ko) 친환경 생활하수 처리시스템
CN108726733A (zh) 含磷废水处理***及其处理方法
JP4455735B2 (ja) 凝集沈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