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344A - 성형기의 제어장치, 성형기의 제어방법 및 성형기 - Google Patents

성형기의 제어장치, 성형기의 제어방법 및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344A
KR20080027344A KR1020087001007A KR20087001007A KR20080027344A KR 20080027344 A KR20080027344 A KR 20080027344A KR 1020087001007 A KR1020087001007 A KR 1020087001007A KR 20087001007 A KR20087001007 A KR 20087001007A KR 20080027344 A KR20080027344 A KR 20080027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olding machine
molding
setting
proces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 마스다
히데오미 히라노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73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218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96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21978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792Auxiliary devices
    • B29C2945/76795Auxiliary devices robots,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상시, 사출성형기의 조작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성형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성형기의 제어방법 및 성형기를 제공한다.
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 처리수단과,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성형기를 운전할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처리수단과, 설정된 모드로 성형기를 운전하는 성형기운전 처리수단을 가진다.
이 경우,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성형기를 운전하는 모드가 설정되고, 설정된 모드로 성형기가 운전된다.
따라서, 성형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성형기의 제어장치, 성형기의 제어방법 및 성형기{Control device for molding machine, control method for molding machine, and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성형기의 제어장치, 성형기의 제어방법 및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성형기, 예컨대,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가열 실린더 내에 있어서 가열되어 용융된 수지를, 고압으로 사출하여 금형장치의 캐비티(cavity) 공간에 충전하고, 이 캐비티 공간 내에 있어서 냉각하여 고화(固化)시킨 후, 성형품, 예컨대,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사출성형기는 상기 금형장치, 형체(型締)장치, 사출장치 등을 가지며, 상기 금형장치는 고정(固定)금형 및 가동(可動)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형체장치는, 고정플래튼 및 가동플래튼을 구비하며, 형체용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가동플래튼을 진퇴시킴으로써 형폐(型閉), 형체(型締) 및 형개(型開)를 행한다.
한편, 상기 사출장치는, 호퍼(hopper)로부터 공급된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상기 가열 실린더, 및 용융된 수지를 사출하는 사출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가 열 실린더 내에 스크루(screw)가 진퇴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계량공정시에, 계량용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스크루를 회전시키면, 수지가 계량되어서, 가열 실린더 내에 있어서의 스크루보다 전방(前方)에 수지가 모이고, 사출공정시에, 사출용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스크루를 전진시키면, 전방에 저장된 수지가 사출되어서, 형체가 행하여진 상태의 금형장치의 캐비티 공간에 충전된다.
이 캐비티 공간 내의 수지가 냉각되어 디스크 기판이 되고, 형개가 행하여지면, 이젝터(ejector)장치의 돌출용 모터가 구동되어, 이젝터 핀이 전진되어, 상기 디스크 기판이 돌출되어, 이형(離型)된다. 그리고, 이형된 디스크 기판을, 인출기에 의하여 파지(把持)하여 인출할 수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자동운전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디스크 기판을 성형할 때, 상기 계량공정에 있어서 수지를 계량하기 위한 성형조건의 설정, 즉, 계량설정이 행하여진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평10-11395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평06-15553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인출기에 있어서는, 수지의 상태, 금형장치의 온도 등이 안정되어 있을 경우, 금형장치로부터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여, 짧은 시간에 디스크 기판을 인출할 수 있음에 대하여, 사출성형기를 기동하였을 때와 같이, 수지의 상태, 금형장치의 온도 등이 안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크 기판이 금형장치에 달라붙기 쉬워서,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디스크 기판을 인출함에 긴 시간이 걸려 버린다.
따라서, 사출성형기를 기동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인출기의 설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그 경우, 성형 사이클이 그만큼 길게 되어, 디스크 기판의 생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종래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예컨대, 반자동 운전에 의하여 디스크 기판을 성형할 때, 사출성형기를 기동하였을 때 등에, 금형장치로부터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경우가 있고, 그 경우, 사출성형기의 조작성이 낮아지거나, 디스크 기판의 생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인출기 및 사출성형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시, 사출성형기의 조작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성형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성형기의 제어방법 및 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성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 처리수단과, 상기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성형기를 운전할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처리수단과, 설정된 운전모드로 성형기를 운전하는 성형기운전 처리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성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 처리수단과, 상기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인출기를 통상의 설정으로 운전하여 성형품을 인출하는 통상모드, 및 상기 인출기를 통상과는 다른 설정으로 운전하여 성형품을 인출하는 지정모드 중의 한쪽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모드설정 처리수단과, 설정된 모드로 성형품을 인출하는 인출 처리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성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성형기의 상태에 근거하여, 성형조건을 설정하는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수단과, 상기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을 경우에, 선택된 모드를 판정하여, 설정하는 모드설정 처리수단과, 설정된 모드로 성형조건을 설정하는 성형조건설정 처리수단과, 설정된 성형조건으로 성형을 행하는 성형 처리수단을 가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 처리수단과, 상기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성형기를 운전할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처리수단과, 설정된 운전모드로 성형기를 운전하는 성형기운전 처리수단을 가진다.
이 경우,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성형기를 운전할 모드가 설정되고, 설정된 모드로 성형기가 운전된다. 따라서, 성형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성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 처리수단과, 상기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인출기를 통상의 설정으로 운전하여 성형품을 인출하는 통상모드, 및 상기 인출기를 통상과는 다른 설정으로 운전하여 성형품을 인출하는 지정모드 중의 한쪽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모드설정 처리수단과, 설정된 모드로 성형품을 인출하는 인출 처리수단을 가진다.
이 경우,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인출기를 통상의 설정으로 운전하여 성형품을 인출하는 통상모드, 및 인출기를 통상과는 다른 설정으로 운전하여 성형품을 인출하는 지정모드 중의 한쪽이 선택되어, 설정되므로, 지정모드에서의 성형이 종료된 후의 성형 사이클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출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성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성형기의 상태에 근거하여, 성형조건을 설정하는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수단과, 상기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을 경우에, 선택된 모드를 판정하여, 설정하는 모드설정 처리수단과, 설정된 모드로 성형조건을 설정하는 성형조건설정 처리수단과, 설정된 성형조건으로 성형을 행하는 성형 처리수단을 가진다.
이 경우, 성형기의 상태에 근거하여, 성형조건을 설정하는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되므로, 성형기가 어느 쪽의 상태에 있어서도, 안정된 성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금형장치로부터 성형품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성형기의 조작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성형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출기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성형기의 요부(要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스크 기판의 인출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출설정 입력화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성형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성형기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성형기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상모드에 있어서의 제1 성형조건 입력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정모드에 있어서의 제2 성형조 건 입력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8 : 위치검출부
25 : 인출기구
29 : 인출기 제어부
34, 83 : 척(chuck)판
44, 117 : 표시부
114 : 제어부
116 : 조작부
151 : 사출장치
152 : 금형장치
153 : 형체장치
AR33 : 영역
d1 : 디스크 기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 경우, 성형기, 예컨대, 사출성형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성형기의 제 어장치로서, 사출성형기의 제어장치, 즉, 사출성형기 제어장치, 및 인출기의 제어장치, 즉, 인출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출기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성형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1은 제1 플래튼으로서의 고정(固定)플래튼이고, 이 고정플래튼(11)과 베이스 플레이트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토글 서포트가 대향(對向)되어 설치되며, 고정플래튼(11)과 토글 서포트 사이에 4개의 타이바(12)(도 2에 있어서는, 4개의 타이바(12) 중 2개만을 나타냄)가 가설(架設)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래튼(11)과 대향시켜서, 또한, 타이바(12)를 따라 제2 플래튼으로서의 가동(可動)플래튼(13)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토글 서포트와 가동플래튼(13)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토글기구가 설치된다. 형체용 구동부로서의 형체용 모터(45)를 구동하면, 발생된 회전이 토글기구에 전달되어, 상기 가동플래튼(13)이 진퇴된다. 여기서, 고정플래튼(11), 토글 서포트, 가동플래튼(13), 토글기구, 형체용 모터(45) 등에 의하여 형체장치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래튼(11) 및 가동플래튼(13)에, 서로 대향시켜 고정금형(15) 및 가동금형(16)이 각각 장착되며, 고정금형(15) 및 가동금형(16)에 의하여 금형장치가 구성된다.
또한, 41은 제1 제어부로서의 주(主) 제어부이고, 이 주 제어부(41)는, 연산장치로서의 CPU로 이루어지며, 각종 데이타에 근거하여 컴퓨터로서 기능하여, 각종 처리를 행한다. 다만, 연산장치로서, CPU에 대신하여 MPU를 사용할 수 있다. 42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43은 스위치, 키, 버튼 등의 조작요소를 구비한 조작부, 44는 디스플레이, 램프 등을 구비한 표시부이다. 상기 조작부(43) 및 표시부(44)는 도시되지 않은 조작반 상에 설치된다. 또한, 조작부(43) 및 표시부(44)를 일체화한 터치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형체장치에 있어서, 주 제어부(41)의 도시되지 않은 형개폐(型開閉) 처리수단(형개폐 처리부)이, 형개폐 처리를 행하여, 형체용 모터(45)를 구동하면, 토글기구가 신전(伸展)되어, 가동플래튼(13)이 전진되어 형폐가 행하여져, 고정금형(15)에 가동금형(16)이 접촉된다. 이어서, 형체용 모터(45)를 더욱 구동하면, 토글기구에 있어서 형체력이 발생되고, 이 형체력으로 고정금형(15)에 가동금형(16)이 밀어붙여져서 형체가 행하여져, 고정금형(15)과 가동금형(16) 사이에 상기 캐비티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형체용 모터(45)를 역(逆)방향으로 구동하면, 토글기구가 굴곡(屈曲)되어, 가동플래튼(13)이 후퇴되어, 형개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상기 형체가 행하여진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사출장치로부터 성형재료로서의 수지가 사출되어, 상기 캐비티 공간에 충전되어, 냉각되면, 성형품으로서의 디스크 기판이 성형된다.
이어서, 형개가 행하여짐에 수반하여, 가동플래튼(13)측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이젝터장치에 있어서, 돌출용 구동부로서의 돌출용 모터(46)가 구동되면, 이젝터 핀이 전진되어, 디스크 기판이 돌출되어, 이형된다. 이때, 인출기가 작동되고, 디스크 기판이 파지되어, 인출된다.
상기 인출기는, 상기 주 제어부(41)와 접속된, 제2 제어부로서의 인출기 제어부(29), 가동플래튼(13), 즉, 가동금형(16)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18), 및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는 인출기구(25)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검출부(18)는, 고정플래튼(11)에 장착된 인코더(인코더)(21), 및 가동플래튼(13)에 장착되어, 고정플래튼(11)과 가동플래튼(13) 사이에 가설된 자기(磁氣) 스케일(22)을 구비하고, 가동플래튼(13)이 이동함에 수반하여, 자기 스케일(22)은 인코더(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인코더(21)는 가동금형(16)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여, 검출된 위치를 인출기 제어부(29)로 보낸다. 이 인출기 제어부(29)는, 연산장치로서의 CPU로 이루어지며, 각종 데이타에 근거하여 컴퓨터로서 기능하여, 각종 처리를 행한다. 한편, 상기 연산장치로서, CPU에 대신하여 MPU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출기구(25)는, 제1 방향으로서의 타이바(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대(30), 이 베이스대(30)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시켜 설치된 봉 형상의 지지부재(31), 이 지지부재(31)를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서의 수직(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홀딩부재(49), 이 홀딩부재(49)로부터 상기 제1,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서의 수평(Y축)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된 아암부재(32), 이 아암부재(32)에 장착된 인출아암(33), 및 이 인출아암(33)의 선단에 장착된 파지부재로서의 척(chuck)판(34)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부재(32), 인출아암(33) 및 척판(34)에 의하여 형 내측 진퇴부(36)가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대(3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구동부로서의 서보 모터(5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대(30)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공기압 기기, 및 제2 구동부로서의 서보 모터(52)가 설치되고, 상기 홀딩부재(49)에 제3 구동부로서의 서보 모터(53)가, 상기 아암부재(32)에 제4 구동부로서의 서보 모터(54)가 설치된다.
따라서, 인출기 제어부(29)의 도시되지 않은 인출기 조작 처리수단(인출기 조작 처리부)은, 인출기 조작 처리를 행하여, 상기 서보 모터(51)를 구동함으로써, 척판(34)을 타이바(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서보 모터(52)를 구동함으로써, 척판(34)을 홀딩부재(49)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서보 모터(53)를 구동함으로써, 척판(34)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서보 모터(54)를 구동함으로써, 척판(34)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58은 음압원으로서의 진공펌프, 61∼63은 관로(管路), 65는 전환밸브, 67은 관로(61)에 설치된 압력검출부로서의 압력센서, 71은 타이머이다. 또한, 상기 인출기 제어부(29)에 의하여 인출기 제어장치가 구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출기 제어부(29)와 주 제어부(41)를 별개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지만,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인출기를 사용하여 금형장치로부터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스크 기판의 인출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1은 고정플래튼, 13은 가동플래튼, 15는 고정금형, 16은 가 동금형, 25는 인출기구, 34는 척판, d1은 디스크 기판이다.
우선, 도 3(a)에 있어서, 고정금형(15)에 가동금형(16)이 밀어붙여져, 고정금형(15)과 가동금형(16)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캐비티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척판(34)은, 금형장치 근방의 소정의 위치, 즉, 퇴피(退避)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주 제어부(41)(도 1)로부터 형체용 모터(45)에 형개 신호가 보내지면, 형체용 모터(45)가 구동되어, 가동플래튼(13)이 후퇴되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개가 개시된다.
그리고,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금형(16)이 형개 한계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인출기 조작 처리수단은, 서보 모터(51∼54)에 형 내측 진입 개시신호를 보내며, 그 결과, 척판(34)은,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금형(15)과 가동금형(16) 사이에 진입하고, 이어서, 도 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기판(d1)과 상대하는 위치, 즉, 작동위치에 놓여진다.
이어서, 도 3(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 제어부(41)의 도시되지 않은 돌출 처리수단(돌출 처리부)은, 돌출처리를 행하여, 돌출용 모터(46)에 돌출 개시신호를 보내며, 그 결과, 도시되지 않은 이젝터 핀이 디스크 기판(d1)을 돌출시킨다.
다음으로, 도 3(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출기 조작 처리수단은, 서보 모터(51)를 구동하여 척판(34)을 전진시켜서, 디스크 기판(d1)에 접촉시키고, 진공펌프(58)로부터의 음압을 척판(34)으로 보낸다. 그 결과, 척판(34)은, 디스크 기판(d1)을 흡인하여 파지한다. 이때, 상기 인출기 조작 처리수단은, 척판(34)을 디스크 기판(d1)에 접촉시킨 타이밍(t)에서 타이머(71)에 의한 시간계측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진공펌프(58)와 척판(34)은 관로(61∼63) 및 전환밸브(65)를 통하여 접속되며, 이 전환밸브(65)를 전환함으로써, 제1 음압(P1), 및 제1 음압(P1)보다 낮은(진공도가 높은) 제2 음압(P2)을 척판(34)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척판(34)에 공급된 음압은, 상기 압력센서(67)에 의하여 검출된다.
그리고, 도 3(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판(34)을 디스크 기판(d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인출복귀 대기시간(τ1)이 경과하여, 타이머(71)에 의한 시간계측이 종료되면, 상기 인출기 조작 처리수단은, 도 3(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보 모터(51)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척판(34)을 후퇴시켜, 도 3(j)에 나타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형 외측의 퇴피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인출복귀 대기시간(τ1)은, 척판(34)을 디스크 기판(d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척판(34)에 공급된 음압에 의하여, 디스크 기판(d1)을 흡인함에 충분한 흡인력이 발생함에 필요한 시간을 τ0로 하였을 때, 이 시간 τ0보다 소정의 마진만큼 길게 설정된다.
그런데, 수지의 상태, 금형장치의 온도 등이 안정되어 있을 경우, 금형장치로부터 디스크 기판(d1)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여, 짧은 시간에 디스크 기판(d1)을 인출할 수 있음에 대하여, 사출성형기를 기동하였을 때와 같이, 수지의 상태, 금형장치의 온도 등이 안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크 기판(d1)이 금형장치에 달라붙기 쉬워, 디스크 기판(d1)을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면, 디스크 기판(d1)을 인출함에 긴 시간이 걸려, 성형 사이클이 그만큼 길어져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출기를 통상의 설정으로 운전하여 디스크 기판(d1)을 인출하는 제1 운전모드로서의 통상모드, 및 상기 인출기를 통상과는 다른 설정으로 운전하여 디스크 기판(d1)을 인출하는 제2 운전모드로서의 지정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인출기 제어부(29)의 도시되지 않은 상태판정 처리수단(상태판정 처리부)은, 상태판정 처리를 행하여, 소정의 변수, 예컨대,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샷(shot) 수(N)를 읽어서, 샷 수(N)가 역치(Nth) 이하인지 아닌지에 의하여, 예컨대, 사출성형기가 기동된 상태인지, 성형이 안정되어 있는 상태인지 등의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고, 인출기 제어부(29)의 도시되지 않은 모드설정 처리수단(모드설정 처리부)은, 모드설정 처리를 행하여, 사출성형기의 상태에 근거하여 통상모드 및 지정모드 중의 한쪽을 선택하여,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샷 수(N)가 역치(Nth) 이하인 경우, 사출성형기가 기동된 상태라고 판단하여, 지정모드를 설정하고, 샷 수(N)가 역치(Nth)보다 많을 경우, 성형이 안정되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통상모드를 설정한다.
따라서, 인출기 제어부(29)의 제1 성형기운전 처리수단(제1 성형기운전 처리부)으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인출 처리수단(인출 처리부)은, 제1 성형기운전 처리로서의 인출 처리를 행하여, 설정된 모드가 통상모드인지, 지정모드인지에 의하여, 다른 설정으로 인출기를 운전한다. 즉, 상기 인출 처리수단은, 설정된 모드가 지정모드인 경우, 통상모드와 다른 동작, 예컨대, 척판(34)을 디스크 기판(d1)에 접촉시킨 후,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후퇴시키는 동작으로 디스크 기판(d1)을 인출한다.
이를 위하여, 주 제어부(41)의 도시되지 않은 표시 처리수단(표시 처리부)은, 표시 처리를 행하여, 표시부(44)에, 통상모드로 인출기를 운전하기 위한 제1 인출설정 입력화면, 및 지정모드로 인출기를 운전하기 위한 제2 인출설정 입력화면을 형성하고, 이 제2 인출설정 입력화면에서 인출복귀 대기시간(τ1)을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길게 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출설정 입력화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AR13은, 사출성형기의 상태에 따라서 인출기의 설정을 변경하여, 지정모드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 영역(AR13)에는, 지정모드로 인출기를 운전할 샷 수(N)의 역치(Nth)를 입력하기 위한 칸(k11), 및 지정모드로 인출기를 운전하는 동안의 인출복귀 대기시간(τ1)을 입력하기 위한 칸(k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조작부(43)(도 1)를 조작하여, 역치(Nth) 및 인출복귀 대기시간(τ1)을 입력하면, 인출기 제어부(29)의 도시되지 않은 설정변경 처리수단(설정변경 처리부)은, 설정변경 처리를 행하여, 입력된 역치(Nth) 및 인출복귀 대기시간(τ1)으로 인출기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출성형기를 기동하였을 때와 같이, 수지의 상태, 금형장치의 온도 등이 안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소정의 샷 수만큼 성형이 행하여지기까지는, 지정모드로 인출기를 운전하여, 인출복귀 대기시간(τ1)이 경과되어 디스크 기판(d1)을 인출하고, 그 후는, 통상모드로 인출기를 운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지정모드에서의 성형이 종료된 후의 성형 사이클을 짧게 할 수 있 다. 따라서, 인출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변경 처리수단은, 지정모드에 있어서 인출복귀 대기시간(τ1)을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길게 하도록 하고 있지만, 지정모드에 있어서, 척판(34)에 공급되는 음압이, 디스크 기판(d1)을 흡인함에 충분한 값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흡인 확인압을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낮게(음의 방향으로 높게) 하거나, 진공펌프(58)에 있어서 발생되는 음압을 변경하여, 척판(34)에 공급되는 음압을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낮게(음의 방향으로 높게) 하거나, 전환밸브(65)를 전환하여 척판(34)에 공급되는 음압을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낮게(음의 방향으로 높게) 하거나, 척판(34)을 디스크 기판(d1)에 접촉시킨 후 더욱 전진시키는 스트로크를,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길게 하거나, 척판(34)이 디스크 기판(d1)에 접촉할 때의 가압력을,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높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출기 제어부(29)에 있어서, 상태판정 처리수단은, 샷 수(N)를 읽어, 이 샷 수(N)가 역치(Nth) 이하인지 아닌지에 의하여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지만, 주 제어부(41)에 있어서,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상태판정 처리수단은, 샷 수(N)가 역치(Nth) 이하인지 아닌지에 의하여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여, 판정결과를 상태신호로서 인출기 제어부(29)에 I/O 출력한다. 따라서, 인출기 제어부(29)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 처리수단은, 상태신호를 읽어서, 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통신에 의하여, 주 제어부(41)로부터 사출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를 상태신호로서 인출기 제어부(29)에 보낼 수 있다.
또한,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성형 사이클을 길게 할 경우에도, 수지의 상태, 금형장치의 온도 등이 안정되지 않아서, 디스크 기판(d1)이 캐비티 공간의 내주면에 달라붙기 쉬워, 금형장치로부터 디스크 기판(d1)을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성형 사이클이 길게 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모드설정 처리수단은 지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기판(d1)의 인출 미스가 발생하였을 때에, 약간의 기간 동안, 사출성형기를 정지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그 후, 사출성형기의 운전을 재개하였을 때도, 수지의 상태, 금형장치의 온도 등이 안정되지 않아서, 디스크 기판(d1)이 캐비티 공간의 내주면에 달라붙기 쉬워, 금형장치로부터 디스크 기판(d1)을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사출성형기가 약간의 기간동안 정지되고, 운전이 재개되었을 때에, 모드설정 처리수단은 지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판정 처리수단은, 샷 수(N)와 역치(Nth)를 비교함으로써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지만, 조작자가 관측에 의하여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여, 조작부(43)를 조작함으로써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그 경우, 조작부(43)에 버튼을 설치하던지, 표시부(44)에 형성된 설정화면에 키를 설치하고, 상태판정 처리수단은, 조작자가 상기 버튼을 눌렀는지, 또는 키를 터치했는지 아닌지에 의하여,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성형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한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서는 동(同) 실시예의 효과를 인용한다.
도면에 있어서, 81은 인출기, 82는 선회축(sh1)을 요동(搖動)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암부재, 83은 이 아암부재(82)의 선단에 장착된 파지부재로서의 척판이다.
이 경우, 상기 아암부재(82)는, 인출용 구동부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서보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요동되고, 그에 따라, 척판(83)은, 금형장치 근방의 퇴피위치, 및 도시되지 않은 디스크 기판과 대향하는 작동위치에 위치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예컨대, 반자동 운전에 의하여 디스크 기판을 성형할 때, 사출성형기를 기동하였을 때 등에, 금형장치로부터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경우가 있고, 그 경우, 사출성형기의 조작성이 낮아지거나, 디스크 기판의 생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다음으로, 상시, 사출성형기의 조작성을 높게 할 수 있어, 디스크 기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성형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성형기의 개념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51은 사출장치, 152는 제1 금형으로서의 고정금형(111) 및 제2 금형으로서의 가동금형(112)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장치, 153은 사출장치(151)와 대향시켜 설치된 형체장치, 154는 상기 사출장치(151)을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소화 이동장치, 155는 이젝터장치, 160은 토글 조정장치로서 기능하는 형두께 조 정장치, fr1은, 상기 사출장치(151), 형체장치(153), 가소화 이동장치(154) 등을 지지하는 성형기 프레임이다.
상기 사출장치(151)는, 실린더 부재로서의 가열 실린더(156), 이 가열 실린더(156)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사출부재로서의 스크루(157), 상기 가열 실린더(156)의 전단에 장착된 사출노즐(158), 상기 가열 실린더(156)의 후단 근방에 설치된 호퍼(159), 상기 스크루(157)의 후단에 돌출시켜 형성된 스크루 축(161), 하중 검출부로서의 로드 셀(170)을 통하여 연결된 전측(前側) 지지부(171) 및 후측(後側) 지지부(172)를 구비함과 함께,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크루 축(16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셔 플레이트(162), 상기 전측 지지부(171)에 장착되어, 풀리·벨트식의 회전 전달계(구동요소로서의 구동 풀리, 종동요소로서의 종동 풀리, 및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에 장력을 가지도록 설치된 전동(傳動)부재로서의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짐)(165)를 통하여 스크루 축(161)과 연결된 계량용의 구동부로서의 계량용 모터(166), 상기 성형기 프레임(fr1)에 장착되어, 풀리·벨트식의 회전 전달계(구동요소로서의 구동 풀리, 종동요소로서의 종동 풀리, 및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에 장력을 가지도록 설치된 전동부재로서의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짐)(168)를 통하여 운동방향 변환부로서의 볼나사(175)와 연결된, 사출용의 구동부로서의 사출용 모터(169) 등을 구비한다. 상기 볼나사(175)는,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방향 변환부로서 기능하고, 회전 전달계(168)와 연결된 제1 변환요소로서의 볼나사축(173), 및 후측 지지부(172)에 장착되어, 상기 볼나사축(173)과 나사결합되는 제2 변환요소로서의 볼 너트(17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소화 이동장치(154)는, 사출장치 프레임(fr2), 이 사출장치 프레임(fr2)에 장착되어, 가소화 이동용 구동부로서의 가소화 이동용 모터(177), 상기 사출장치 프레임(fr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전측 지지부(171) 및 후측 지지부(172)를 안내하는 가이드(178), 사출장치 프레임(fr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소화 이동용 모터(177)를 구동함으로써 회전되는 제1 변환요소로서의 볼나사축(181), 이 볼나사축(181)과 나사결합되는 제2 변환요소로서의 볼너트(182), 상기 가열 실린더(156)의 후단에 장착된 브래킷(183), 상기 볼너트(182)와 브래킷(183) 사이에 설치되는 바이어싱 부재로서의 스프링(184) 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볼나사축(181) 및 볼너트(182)에 의하여 볼나사(186)가 구성되고, 이 볼나사(186)는,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방향 변환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형체장치(153)는, 성형기 프레임(fr1)에 장착된 제1 플래튼으로서의 고정플래튼(191), 베이스 플레이트로서의 토글 서포트(192), 상기 고정플래튼(191)과 토글 서포트(192) 사이에 가설(架設)된 타이바(193)(도면에 있어서는, 4개의 타이바(193) 중의 2개만을 나타냄), 고정플래튼(191)과 대향시켜, 또한, 타이바(193)를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플래튼으로서의 가동플래튼(194), 및 이 가동플래튼(194)과 토글 서포트(192) 사이에 설치된 토글기구(195), 형체용의 구동부로서의 형체용 모터(196), 이 형체용 모터(196)를 구동함으로써 발생된 회전을 토글기구(195)에 전달하는 풀리·벨트식의 회전 전달계(구동요소로서의 구동 풀리, 종동요소로서의 종동 풀리, 및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에 장력을 가지도록 설 치된 전동부재로서의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짐)(197), 이 회전 전달계(197)와 연결된 운동방향 변환부로서의 볼나사(198), 이 볼나사(198)와 연결된 크로스헤드(199)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래튼(191) 및 가동플래튼(194)에, 서로 대향시켜 상기 고정금형(111) 및 가동금형(112)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볼나사(198)는,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방향 변환부로서 기능하고, 회전 전달계(197)와 연결된 제1 변환요소로서의 볼나사축(201), 및 크로스헤드(199)에 장착되어, 상기 볼나사축(201)과 나사결합되는 제2 변환요소로서의 볼너트(20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토글기구(195)는, 크로스헤드(199)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레버(205), 토글 서포트(19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레버(206), 및 가동플래튼(194)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아암(207)을 구비하며, 토글 레버(205, 206) 사이, 및 토글 레버(206)와 토글 아암(207) 사이가 각각 링크 결합된다.
상기 토글기구(195)는, 형체용 모터(196)를 구동함으로써 크로스헤드(199)를 토글 서포트(192)와 가동플래튼(194) 사이에서 진퇴시키고, 가동플래튼(194)을 타이바(193)를 따라 진퇴시켜, 가동금형(112)을 고정금형(111)에 대하여 접근 분리시켜, 형폐, 형체 및 형개를 행한다.
또한, 상기 이젝터장치(155)는, 가동플래튼(194)의 후단면에 설치되고, 가동플래튼(194)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크로스헤드(211), 돌출용 구동부로서의 돌출용 모터(212), 상기 크로스헤드(2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변환요소로서의 볼나사축(213), 상기 크로스헤드(211)에 장착되어, 상기 볼나사축(213)과 나사결합되는 제2 변환요소로서의 볼너트(214), 상기 돌출용 모터(212)를 구동함으로써 발생된 회전을 볼나사축(213)에 전달하는 풀리·벨트식의 회전 전달계(구동요소로서의 구동 풀리, 종동요소로서의 종동 풀리, 및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에 장력을 가지도록 설치된 전동부재로서의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짐)(216), 상기 크로스헤드(211)의 진퇴에 수반하여 진퇴되는 도시되지 않은 이젝터 로드, 이젝터 핀 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볼나사축(213) 및 볼너트(214)에 의하여 볼나사(215)가 구성되고, 이 볼나사(215)는,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방향 변환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형두께 조정장치(160)는, 각 타이바(193)의 후단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나사부와 나사결합된 토글 조정부재로서의, 또한, 형두께 조정부재로서의 조정 너트(221), 토글 조정용의, 또한, 형두께 조정용의 구동부로서의 형두께 조정용 모터(222), 이 형두께 조정용 모터(222)를 구동함으로써 발생된 회전을 각 조정 너트(221)에 전달하는 전동부재로서의 타이밍 벨트(223) 등을 구비하여, 토글 서포트(192)를 고정플래튼(191)에 대하여 진퇴시켜 형두께 조정을 행한다.
상기 구성의 사출장치(151)에 있어서, 가소화 이동용 모터(177)를 구동하면, 이 가소화 이동용 모터(177)의 회전은 볼나사축(181)에 전달되어, 볼너트(182)가 진퇴된다. 그리고, 볼너트(182)의 추력이 스프링(184)을 통하여 브래킷(183)에 전달되어, 사출장치(151)가 진퇴된다.
또한, 계량공정에 있어서, 계량용 모터(166)를 구동하여, 회전 전달계(165) 를 통하여 스크루 축(161)에 회전을 전달하여, 스크루(157)를 회전시키면, 호퍼(159)로부터 공급된 성형재료로서의 수지는, 가열 실린더(156) 내에 있어서 가열되어서 용융되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스크루(157)의 전방에 모인다. 이에 수반하여, 스크루(157)는, 소정의 위치까지 후퇴된다.
또한, 사출공정에 있어서, 사출노즐(158)을 고정금형(111)에 밀어붙이고, 사출용 모터(169)를 구동하여, 회전 전달계(168)를 통하여 볼나사축(173)을 회전시킨다. 이때, 프레셔 플레이트(162)는 볼나사축(173)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되어, 스크루(157)를 전진시키므로, 스크루(157)의 전방에 저장된 수지는, 사출노즐(158)로부터 사출되어, 고정금형(111)과 가동금형(112) 사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캐비티 공간에 충전된다. 그때의 반력(反力)을, 로드 셀(170)이 받아, 이 로드 셀(170)에 의하여 압력이 검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형체장치(153) 및 이젝터장치(155)에 있어서, 형체용 모터(196)를 구동하면, 이 형체용 모터(196)의 회전은, 회전 전달계(197)를 통하여 볼나사축(201)에 전달되고, 볼너트(202)가 진퇴되어, 크로스헤드(199)도 진퇴된다. 그리고, 이 크로스헤드(199)의 전진에 따라, 토글기구(195)가 신전(伸展)되어, 가동플래튼(194)이 전진되어 형폐가 행하여져, 고정금형(111)에 가동금형(112)이 접촉된다. 이어서, 형체용 모터(196)를 더욱 구동하면, 토글기구(195)에 있어서 형체력이 발생되고, 이 형체력으로 고정금형(111)에 가동금형(112)이 밀어붙여져, 고정금형(111)과 가동금형(112) 사이에 상기 캐비티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크로스헤드(199)의 후퇴에 수반하여, 토글기구(195)가 굴곡(屈曲)되면, 가동플래튼(194)이 후퇴되어, 형개가 행하여진다.
이어서, 돌출용 모터(212)를 구동하면, 이 돌출용 모터(212)의 회전은, 회전 전달계(216)를 통하여 볼나사축(213)에 전달되어, 크로스헤드(211)가 진퇴되어, 상기 이젝터 로드가 진퇴된다. 그리고, 형개가 행하여짐에 수반하여, 돌출용 모터(212)를 구동하여 크로스헤드(211)를 전진시키면, 상기 이젝터 핀이 전진되어, 디스크 기판이 돌출된다.
또한, 이때, 도시되지 않은 인출기가 작동되어, 디스크 기판이 파지되어,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형두께 조정장치(160)에 있어서, 형두께 조정용 모터(222)를 구동하면, 형두께 조정용 모터(222)의 회전은, 타이밍 벨트(223)를 통하여 각 조정 너트(221)에 전달되고, 이 각 조정 너트(221)는, 회전됨에 수반하여 타이바(193)에 대하여 진퇴되어, 토글 서포트(192)를 진퇴시킨다. 그 결과, 형두께가 조정됨과 함께, 토글기구(195)의 기준위치가 조정된다.
그런데, 조작자가 상기 조작반을 조작하여,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성형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성형기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상모드에 있어서의 제1 성형조건 입력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정모드에 있어서의 제2 성형조건 입력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114는 제어부이며, 이 제어부(114)는, 연산장치로서의 CPU로 이루어지고, 각종 데이타에 근거하여 컴퓨터로서 기능하여, 각종 처리를 행한다. 다만, 연산장치로서, CPU에 대신하여 MPU를 사용할 수 있다. 115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116은 스위치, 키, 버튼 등의 조작요소를 구비한 조작부, 117은 디스플레이, 램프 등을 구비한 표시부이다. 상기 조작부(116) 및 표시부(117)는 상기 조작반 상에 설치되며, 조작부(116) 및 표시부(117)를 일체화한 터치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166은 계량용 모터이며, 이 계량용 모터(166)에 로터의 위치(θ1)를 검출하는 인코더, 리졸버 등의 회전 검출부(118)가 설치된다. 또한, 169는 사출용 모터이며, 이 사출용 모터(169)에 로터의 위치(θ2)를 검출하는 인코더, 리졸버 등의 회전 검출부(119)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14)의 도시되지 않은 위치검출 처리수단(위치검출 처리부)은, 위치검출 처리를 행하여, 위치(θ1)를 읽어, 산출에 의하여 스크루(157)(도 6)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4)의 도시되지 않은 속도검출 처리수단(속도검출 처리부)은, 속도검출 처리를 행하여, 위치(θ1)를 읽어, 위치(θ1)를 미분함으로써, 산출에 의하여 계량용 모터(166)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위치(θ2)를 읽어, 위치(θ2)를 미분함으로써, 산출에 의하여 사출용 모터(169)의 회전속도를 검출한다.
그런데, 조작자가 조작부(116)를 조작함으로써, 사출성형기의 성형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4)의 도시되지 않은 표시 처리수단(표시 처리부)은, 표시 처리를 행하여, 표시부(117)에 제1, 제2 성형조건 입력 화면을 형성하고, 조작자가 각 제1, 제2 성형조건 입력화면에 있어서, 소정의 성형조건에 대하여 입력하면, 제어부(114)의 도시되지 않은 성형조건설정 처리수단(성형조건설정 처리부)은, 성형조건설정 처리를 행하여, 사출장치(151)에 대하여, 계량공정의 성형조건을 계량조건으로서, 사출공정의 성형조건을 사출조건으로서 설정하고, 형체장치(153)에 대하여, 형폐, 형체 및 형개의 성형조건을 형개폐조건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처리수단은, 표시부(117)에 성형조건 표시화면을 형성하여, 이 성형조건 표시화면에 설정된 성형조건을 표시한다.
이어서, 사출성형기의 자동운전이 개시되면, 제어부(114)의 제2 성형기운전 처리수단(제2 성형기운전 처리부)으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성형 처리수단(성형 처리부)은, 제2 성형기운전 처리로서의 성형 처리를 행하여, 설정된 성형조건으로 성형을 행한다. 즉, 우선, 제어부(114)의 도시되지 않은 형개폐 처리수단(형개폐 처리부)은, 형개폐 처리를 행하여, 형개폐동작의 성형조건으로서의 형개폐조건에 따라 형체용 모터(196)를 구동한다. 이어서, 제어부(114)의 도시되지 않은 사출 처리수단(사출 처리부)은, 사출 처리를 행하여, 상기 사출조건에 따라 사출용 모터(169)를 구동한다. 그리고, 충전·보압이 완료되면, 제어부(114)의 도시되지 않은 계량 처리수단(계량 처리부)은, 계량 처리를 행하여, 상기 계량조건에 따라 계량용 모터(166)를 구동하여, 수지를 용융한다. 여기서, 상기 사출성형기는, 제어부(114), 표시부(117), 금형장치(152), 형체장치(153), 사출장치(151) 등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성형기의 제어장치는 제어부(114)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자동운전을 행할 때, 사출성형기는 형폐 동작부터 개시하는데, 그때에, 1 샷째의 수지를 미리 용융시켜 둘 필요가 있어, 1 샷째의 계량공정에 있어서는, 수동에 의한 계량, 즉, 수동계량이 행하여진다. 이 수동계량에 있어서는, 캐비티 공간에 형성된 디스크 기판이 없는 상태이며, 또한, 가열 실린더(156) 내의 스크루(157)의 전방이 막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계량이 행하여지므로, 스크루(157)에 배압은 가하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스크루(157)의 전방에 저장된 수지는 개략적인 상태가 되어 버려, 그 상태로 사출공정에 있어서 수지를 사출하면, 캐비티 공간 내에 충분한 양의 수지를 충전할 수 없게 되어, 디스크 기판에 샷 등의 성형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버린다. 그 결과, 디스크 기판이 캐비티 공간의 내주면에 달라붙기 쉬워지게 되어, 금형장치(152)로부터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1 샷마다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면서 조건 결정을 하기 위하여 반자동 운전을 행할 경우, 사출성형기를 기동하였을 때와 같이 형성이 안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소정 샷 수의 성형을 행할 경우, 후공정 기기 등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와 같이, 성형 사이클을 길게 하여 성형을 행할 경우, 인출기에 의한 인출 미스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사출성형기를 정지시킨 후에 성형을 행할 경우, 사출성형기에 무언가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성형을 행할 경우 등과 같이, 금형장치(152) 및 수지의 온도가 안정되어 있지 않아, 안정적인 성형을 행할 수 없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디스크 기판이 캐비티 공간의 내주면에 달라붙기 쉬워져, 금형장치(152)로부터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그 결과, 사출성형기의 조작성이 낮아지거나, 디스크 기판의 생산성이 저하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출성형기를 운전하는 상태에 따라서, 조작자가 조작부(116)를 조작함으로써, 계량조건을 다르게 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운전모드로서의 통상모드, 및 제2 운전모드로서의 복수(複數)의 지정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조작자는, 조작부(116)를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모드를 선택하여, 각 모드마다 계량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조작부(116)에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설치하던지, 표시부(117)에 소정의 모드 선택화면을 형성하여, 이 모드 선택화면에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조작부(116)를 조작하여 상기 버튼을 누르던가, 또는 키를 터치(클릭)함으로써, 자동운전을 개시할 때의 1 샷째에 있어서 수동계량을 행할 경우, 제1 지정모드로서의 수동계량모드를, 반자동 운전을 행할 경우, 제2 지정모드로서의 반자동 운전모드를, 사출성형기를 기동하였을 때에 성형을 행할 경우, 제3 지정모드로서의 기동모드를, 성형 사이클을 길게 하여 성형을 행할 경우, 제4 지정모드로서의 성형 사이클 연장모드를, 일시적으로 사출성형기를 정지시킨 후에 성형을 행할 경우, 제5의 지정모드로서의 일시정지모드를, 사출성형기에 무언가의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성형을 행할 경우, 제6의 지정모드로서의 이상발생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수동계량모드, 반자동운전모드, 기동모드, 성형 사이클 연장모 드, 일시정지모드, 이상발생모드 등에 의한 운전이 종료된 후, 자동운전을 행할 경우, 조작자는 통상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의 도시되지 않은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수단(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부)은,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를 행하여, 조작자가 조작부(116)를 조작하여 상기 버튼을 눌렀거나, 또는 키를 터치했는지 아닌지에 의하여, 모드를 변경하는 조건, 즉,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조작자가 상기 버튼을 눌렀거나, 또는 키를 터치하였을 경우,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수단은,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하고, 제어부(114)의 도시되지 않은 모드설정 처리수단(모드설정 처리부)은, 모드설정 처리를 행하여,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가 통상모드인지, 또는 지정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선택된 모드를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표시 처리수단은, 설정된 모드에 따라서,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통상모드에 있어서의 제1 성형조건 입력화면, 또는,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지정모드에 있어서의 제2 성형조건 입력화면을 표시한다.
도 8에 있어서, 실적값 표시영역으로서의 영역 AR21에는, 사출공정을 개시할 때의 스크루(157)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 전 위치, 스크루(157)를 전진시킴에 있어서, 속도와 압력을 바꾸기 위한 VP 전환위치, 스크루(157)의 전진한계위치를 나타내는 쿠션위치, 수지를 충전할 때의 수지 압력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피크압, 보압을 완료하는 스크루(157)의 위치를 나타내는 보압완료위치, 스크루(157)의 위치를 나타내는 스크루위치, 성형 사이클의 시간을 나타내는 사이클시간, 충전되는 시 간을 나타내는 충전시간, 계량이 행하여지는 시간을 나타내는 계량시간, 스크루(157)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스크루 회전속도, 스크루(157)의 토크를 나타내는 회전토크 등이 표시된다.
또한, 설정값 표시영역으로서의 영역 AR22에는, 스크루(157)의 속도, 보압의 단수(段數), 보압의 시간, 및 각 시간마다의 압력이 표시되고, 영역 AR23에는, 충전에 대하여, 충전시간, 충전압력, 스크루(157)의 위치, 각 위치마다의 스크루(157)의 속도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영역 AR24에는, 냉각시간, 휴지시간, VP 전환방법, 성형모드, 제압(除壓: 압력제거)의 방법 등이 표시된다.
또한, 영역 AR25에는, 계량에 대하여, 계량공정이 완료된 위치로부터 스크루(157)를 후퇴시키는 양을 나타내는 썩백 량, 썩백을 행할 때의 스크루(157)의 속도 등 외에, 계량공정 중의 스크루(157)에 가하여지는 배압, 스크루(157)의 회전속도 등이 표시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실적값 표시영역으로서의 영역 AR31에는, 충전 전 위치, 쿠션위치, 형개를 행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형개시간, 사이클시간, 충전시간, 계량시간, 피크압, 형개폐를 행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형개폐위치, 스크루위치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영역 AR33에는, 반자동 운전에 의하여 수동으로 디스크 기판을 성형할 때의 계량공정이 완료되는 스크루(157)의 위치, 즉, 계량완료위치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2 성형조건 입력화면이 표시되면, 조작자는, 제2 성형조건 입 력화면의 각 성형조건을 입력한다.
이 경우, 지정모드가 설정되면, 도 9에 나타나는 제2 성형조건 입력화면에 있어서, 조작자는 계량완료위치를 변경하여, 변경된 성형조건을 변경조건으로서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조작자는, 계량완료위치 외에, 계량공정시의 배압, 계량공정시의 스크루(157)의 회전속도인 계량회전속도, 썩백 량, 쿠션위치 등을 변경하여, 변경된 성형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계량완료위치, 배압, 계량회전속도, 썩백 량, 쿠션위치 등 중의 두 가지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량완료위치는, 계량공정이 완료되었을 때의 스크루(157)의 위치이며, 또한, 캐비티 공간에 대한 수지의 충전량을 규정하는 변량(變量)으로서, 배압, 계량회전속도, 썩백 량, 쿠션위치 등도 마찬가지로 충전량을 규정하는 변량이다.
예컨대, 계량완료위치를 후퇴시키면, 충전량이 과잉 경향이 되어, 오버팩(Over Pack)에서의 성형을 행할 수 있고, 계량완료위치를 전진시키면, 충전량이 부족 경향이 되어, 숏 샷(Short Shot)에서의 성형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출성형기의 상태에 근거하여 모드가 설정되고, 필요에 따라서 성형조건이 변경되므로, 자동운전에 의하여 디스크 기판을 성형하는 상태, 반자동 운전에 의하여 디스크 기판을 성형하는 상태, 사출성형기가 기동된 상태, 성형이 안정되어 있는 상태 등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안정된 성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금형장치(152)로부터 디스크 기판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사출성형기의 조작성을 높게 할 수 있어, 디스크 기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성형조건을 변경함에 있어서, 성형조건을 직접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동운전에 있어서의 성형조건을 기준값 m으로 하였을 때의 변화량 ±α를 입력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표시 처리수단은, 제2 성형조건 표시화면에 있어서, 성형조건을 m+α, m-α 등과 같이 표시한다. 또한, 변화량 ±α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되기 때문에, 입력 미스가 발생하여, 오(誤)설정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의 수치는, 도 8의 계량 설정값의 「30」과 연동하고 있고, 기동모드에 있어서는, 자동성형의 값보다 5.00〔㎜〕만큼 많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수단은, 조작자가 조작부(116)를 조작하여 상기 버튼을 눌렀는지, 또는 키를 터치했는지 아닌지에 의하여,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지만, 제어부(114)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수단은, 타이밍 신호 등과 같은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읽어, 이 신호에 근거하여 사출성형기의 상태, 예컨대, 수동계량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인지, 반자동 운전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인지, 사출성형기가 기동된 상태인지, 성형 사이클을 길게 하여 성형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인지, 일시적으로 사출성형기를 정지시킨 후에 성형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인지, 사출성형기에 무언가의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성형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인지 등을 판단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근거하여 다양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사출성형기의 인출기 및 사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 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 처리수단과,
    ⒝ 상기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성형기를 운전할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처리수단과,
    ⒞ 설정된 운전모드로 성형기를 운전하는 성형기운전 처리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2. ⒜ 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 처리수단과,
    ⒝ 상기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인출기를 통상의 설정으로 운전하여 성형품을 인출하는 통상모드, 및 상기 인출기를 통상과는 다른 설정으로 운전하여 성형품을 인출하는 지정모드 중의 한쪽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모드설정 처리수단과,
    ⒞ 설정된 모드로 성형품을 인출하는 인출 처리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정모드에 있어서, 인출복귀 대기시간이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길게 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정모드에 있어서, 파지(把持)부재에 공급되는 음압이, 성형품을 흡인함에 충분한 값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흡인 확인압이,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낮게 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정모드에 있어서, 파지부재에 공급되는 음압이,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낮게 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정모드에 있어서, 파지부재가 성형품에 접촉하고 난 후 더욱 전진시키는 스트로크가,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길게 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정모드에 있어서, 파지부재가 성형품에 접촉할 때의 가압력이, 통상모드의 설정보다 높게 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8. ⒜ 성형기의 상태를 판정하고,
    ⒝ 이 성형기 상태의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인출기를 통상의 설정으로 운전하여 성형품을 인출하는 통상모드, 및 인출기를 통상과는 다른 설정으로 운전하여 성형품을 인출하는 지정모드 중의 한쪽을 선택하여, 설정하고,
    ⒞ 설정된 모드로 성형품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의 제어방법.
  9. ⒜ 표시부와,
    ⒝ 이 표시부에, 통상모드로 인출기의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인출설정 입력화면, 및 지정모드로 인출기의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인출설정 입력화면을 형성하는 표시 처리수단을 가짐과 함께,
    ⒞ 상기 제2 인출설정 입력화면에, 성형기의 상태에 따라서 인출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10. ⒜ 성형기의 상태에 근거하여, 성형조건을 설정하는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수단과,
    ⒝ 상기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을 경우에, 선택된 모드를 판정하여, 설정하는 모드설정 처리수단과,
    ⒞ 설정된 모드로 성형조건을 설정하는 성형조건설정 처리수단과,
    ⒟ 설정된 성형조건으로 성형을 행하는 성형 처리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수단은, 조작자에 의한 조작부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수단은, 성형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조건판정 처리수단은, 성형기의 성형 사이클이 길게 되어 있을 경우, 상기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되었다고 판단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성형조건설정 처리수단은, 성형재료의 충전량을 규정하는 성형조건을 설정하는 성형기의 제어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충전량을 규정하는 성형조건은, 계량완료위치, 배압, 계량회전속도, 썩백 량 및 쿠션위치 중 적어도 하나인 성형기의 제어장치.
  16. ⒜ 성형기의 상태에 근거하여, 성형조건을 설정하는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 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 이 모드의 변경조건이 성립하였을 경우에, 선택된 모드를 판정하고, 설정하고,
    ⒞ 설정된 모드로 성형조건을 설정하여,
    ⒟ 설정된 성형조건으로 성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의 제어방법.
  17. ⒜ 표시부와,
    ⒝ 이 표시부에, 통상모드로 성형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성형조건 입력화면, 및 지정모드로 성형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성형조건 입력화면을 형성하는 표시 처리수단을 가짐과 함께,
    ⒞ 상기 제2 성형조건 입력화면에, 성형기의 상태에 따라서 성형조건을 변경하는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KR1020087001007A 2005-07-15 2006-07-14 성형기의 제어장치, 성형기의 제어방법 및 성형기 KR200800273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7329A JP2007021892A (ja) 2005-07-15 2005-07-15 取出機制御装置、取出機制御方法及び成形機
JPJP-P-2005-00207329 2005-07-15
JP2005209668A JP2007021978A (ja) 2005-07-20 2005-07-20 成形機制御装置、その成形方法及び成形機
JPJP-P-2005-00209668 2005-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344A true KR20080027344A (ko) 2008-03-26

Family

ID=3766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007A KR20080027344A (ko) 2005-07-15 2006-07-14 성형기의 제어장치, 성형기의 제어방법 및 성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26644A1 (ko)
KR (1) KR20080027344A (ko)
DE (1) DE112006001826T5 (ko)
TW (1) TW200728058A (ko)
WO (1) WO20070108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607A (ko) * 2016-02-29 2017-09-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4189B2 (ja) * 2006-11-27 2012-04-11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射出成形機
AT510154B1 (de) 2010-10-06 2012-02-15 Wittmann Kunststoffgeraete Verfahren zum umschlag bzw. zur hantierung und transport von werkstücken
KR101972477B1 (ko) * 2014-12-24 2019-04-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 성형기 및 형두께 제어 방법
JP6552933B2 (ja) * 2015-09-29 2019-07-3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JP6806036B2 (ja) * 2017-11-08 2021-01-06 新東工業株式会社 主型と中子の嵌合装置、及び、主型と中子の嵌合方法
JP2023044316A (ja) * 2021-09-17 2023-03-30 株式会社ユーシン精機 成形品取出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7649B2 (ja) * 1997-10-31 2005-10-19 住電装プラテック株式会社 複数台の型締装置を備えた旋回式射出成形機
JP3616327B2 (ja) * 2000-12-11 2005-02-02 株式会社スター精機 成型品取出機
JP2003019736A (ja) * 2001-07-06 2003-01-21 Japan Steel Works Ltd:The 射出成形機の立ち上げ方法
JP2003266498A (ja) * 2002-03-13 2003-09-24 Star Seiki Co Ltd 成型品取出機のデータ設定方法
US6990025B2 (en) * 2003-08-29 2006-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ort memory archite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607A (ko) * 2016-02-29 2017-09-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0850A1 (ja) 2007-01-25
DE112006001826T5 (de) 2008-05-08
US20090026644A1 (en) 2009-01-29
TW200728058A (en)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2052B (zh) 射出成形机及其控制方法
KR20080027344A (ko) 성형기의 제어장치, 성형기의 제어방법 및 성형기
JP2011183705A (ja) 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方法
JP2018079485A (ja) 成形機
JP2003326573A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WO2012070522A1 (ja) ダイカストマシン及びダイカストマシンの異常検出方法
JP2007021861A (ja) 成形機管理装置及び成形機管理方法
EP3202549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19171809A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
KR20080032107A (ko) 성형기 제어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의한성형방법
JP2018144398A (ja) 射出成形機
JP2008001028A (ja) 射出成形機の異常検出方法
JP6800798B2 (ja) 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成形用情報処理装置
CN108790010A (zh) 注射成型机
JP4860732B2 (ja) 型厚調整方法
KR20170038159A (ko) 사출성형기
JP2007021978A (ja) 成形機制御装置、その成形方法及び成形機
JP7027224B2 (ja) 射出成形用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
KR102277106B1 (ko) 사출성형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CN105538638B (zh) 注射成型机
CN113573868A (zh) 注射成型方法以及注射成型机
JP4533345B2 (ja) 射出成形機の成形品突出し方法
JP2007021892A (ja) 取出機制御装置、取出機制御方法及び成形機
JP5226191B2 (ja) 成形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4468205B2 (ja) 成形機の成形方法及び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