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941A -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941A
KR20080020941A KR1020070083721A KR20070083721A KR20080020941A KR 20080020941 A KR20080020941 A KR 20080020941A KR 1020070083721 A KR1020070083721 A KR 1020070083721A KR 20070083721 A KR20070083721 A KR 20070083721A KR 20080020941 A KR20080020941 A KR 2008002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contact
clamp arm
lead terminal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오오모리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65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holders
    • H01R33/965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holders for tubular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Discharge Lamp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단자를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揷脫) 가능한 삽입구를 형성했다 하더라도, 해당 삽입구로부터 티끌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접속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접속장치는, 냉음극 형광램프(전자부품)(10)의 리드단자(12)와 기판(20)을 각각 전기접속시키기 위한 2개의 콘택트(100)와, 2개의 콘택트(100)를 수용하고 있으며 또한 리드단자(12)가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 가능한 한 쌍의 삽입구(222)를 가진 보디(200)와, 보디(200)의 한 쌍의 삽입구(222)를 개폐하기 위한 한 쌍의 셔터(300)와, 보디(200)에 장착되고, 한 쌍의 셔터(300)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한 쌍의 조작부재(4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속장치{CONNECTION DEVICES}
본 발명은, 냉음극 형광램프 등의 전자부품의 리드단자를 전기접속하기 위한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접속장치로서는, 보디에 수용되는 콘택트가, 냉음극관램프의 리드단자를 탄성적으로 끼워 유지하게 되어 있는 제 1의 접속부와, 기판 접속의 제 2의 접속부를 가진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제 1의 접속장치로서는, 상기 제 1의 접속부가, 고정편과, 만곡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부가 형성된 가동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편이 압압 조작됨으로써, 상기 구멍부의 벽면과 상기 고정편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이 틈새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해서 끼워 유지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제 2의 접속장치로서는, 상기 제 1의 접속부가, 보디의 수용부에 장착되는 고정금구와, 이 고정금구의 상단부 면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 대략 「く」자 뒤집은 형상의 가동편과, 이 가동편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부재에 의해 상기 가동편이 압하되면, 해당 가동편의 선단부(先端部)와 고정금구의 상단부 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해당 틈새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해서 끼워 유지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제 3의 접속장치로서는, 상기 콘택트가, 보디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이며, 이 코일스프링을 압축시켜서, 해당 코일스프링의 일단부(一端部)와 보디의 내부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해서 끼워 유지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평06-1712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3-7755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09-92018호 공보
그런데, 이와 같은 접속장치는, 상기 리드단자의 삽탈(揷脫)의 용이성이나 리드단자 및 해당 냉음극 형광램프의 장착 시의 파손의 방지의 요청에 의해, 상기 리드단자를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지만, 상기 접속장치를 상기 리드단자를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보디의 상부면에 리드단자를 삽탈하기 위한 삽입구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보디의 상부면에 삽입구를 형성하면, 티끌이나 먼지가 침입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콘택트의 접촉불량이나 쇼트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리드단자를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 가능한 삽입구를 형성했다 하더라도, 해당 삽입구로부터 티끌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접속장치에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접속장치는, 리드단자를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 가능한 삽입구를 가진 보디와, 이 보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리드단자와 접촉하는 콘택트와, 상기 보디에 상기 삽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셔터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셔터에 의해 상기 삽입구를 폐쇄할 수 있으므로, 티끌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접속장치는, 적어도 상기 셔터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부재이며 또한 상기 보디에 상기 리드단자의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재를 추가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보디에는, 상기 리드단자의 삽탈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 긴 구멍이며 또한 해당 보디를 관통하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의 보디 대향면에는, 상기 장착구멍과 비스듬하게 교차하며 또한 상기 셔터가 상기 장착구멍을 통해서 끼이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는,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안내홈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안내홈의 타단부(他端部)에 걸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장착구멍 내부를 상기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삽입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걸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재를 이동 조작하면, 상기 셔터가 상기 안내홈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안내홈의 타단부에 걸쳐서 비스듬하게 이동함으로써, 상기 장착구멍 내부를 상기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삽입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상기 콘택트는, 리드단자접속용인 제 1의 접속부와, 기판접속용인 제 2의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의 접속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 1, 제 2의 클램프 암은,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이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제 1, 제 2의 파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디의 보디 대향면에는,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한 쌍의 개구부에 상기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편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한 쌍의 편부재는, 상기 셔터가 개방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상기 셔터가 폐쇄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압압을 해제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는, 상기 한 쌍의 편부재에 압압되면,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교차하고, 그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편부재의 압압이 해제되면,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공간이 폐쇄되고,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의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부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셔터의 개폐와, 상기 콘택트의 제 1, 제 2의 클램프 암의 제 1, 제 2의 파지부의 사이의 공간의 개폐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셔터가 리드단자의 삽입로에의 삽입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제 1, 제 2의 파지부의 사이의 공간의 개폐와는 별도로 셔터의 개폐를 위한 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방진(防塵)을 위해서 셔터를 배설했다 하더라도 리드단자를 간단히 콘택트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의 클램프 암의 탄성력은 리드단자의 끼워두는 것에만 이용될 뿐이며, 상기 클램프 암의 탄성력이 보디에 직접 작용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할 뿐이기 때문에, 종래예의 제 3의 접속장치와 같이, 리드단자에 의해 코일스프링인 콘택트를 압압하고, 해당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해당 압압에 의한 리드단자나 그 전자부품이 파손되는 일도 없다.
혹은 상기 제 1의 접속부는, 고정편인 제 1의 클램프 암과,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 2의 클램프 암은,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이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파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디의 보디 대향면에는,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에 대향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상기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편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한 쌍의 편부재는, 상기 셔터가 개방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를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을 향해서 압압하고, 상기 셔터가 폐쇄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압압을 해제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는, 상기 편부재에 압압되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해당 제 1의 클램프 암에 교차하고, 그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편부재의 압압이 해제되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공간이 폐쇄되고, 상기 제 2의 클램프 암의 파지부와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과의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부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셔터의 개폐와,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클램프 암의 파지부와 제 1의 클램프 암과의 사이의 공간의 개폐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므로, 셔터가 리드단자의 삽입로에의 삽입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제 2의 클램프 암의 파지부와 제 1의 클램프 암과의 사이의 개폐와는 별도로 셔터의 개폐를 위한 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방진을 위해서 셔터를 배설했다 하더라도 리드단자를 간단히 콘택트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클램프 암의 탄성력은 리드단자의 끼워두는 것에만 이용될 뿐이며, 상기 제 2의 클램프 암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부하가 보디에 직접 걸리게 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제 2의 클램프 암의 파지부와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할 뿐이기 때문에, 종래예의 제 3의 접속장치와 같이, 리드단자에 의해 코일스프링인 콘택트를 압압하고, 해당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해당 압압에 의한 리드단자나 그 전자부품이 파손되는 일도 없다.
상기 콘택트가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을 2개 가지는 경우, 이 2개의 제 1의 클램프 암이 상기 제 2의 클램프 암의 양쪽에 배설되어 있다. 혹은, 상기 콘택트가 상기 제 2의 클램프 암을 2개 가지는 경우, 이 2개의 제 2의 클램프 암이,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의 양쪽에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 1의 클램프 암 및 1개의 제 2의 클램프 암의 3점, 혹은 2개의 제 2의 클램프 암 및 1개의 제 1의 클램프 암의 3점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도록 하면, 해당 리드단자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디는,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를 상기 기판의 회로패턴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시키기 위한 개방부와, 이 개방부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 2의 접속부의 돌출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기판에 걸리게 되는 걸림클로를 가진다.
이런 경우, 상기 걸림클로를 상기 기판에 걸리게 하면,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가 상기 기판의 회로패턴에 접촉되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를 간단히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는 상기 기판의 회로패턴에 탄성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의 접속부를 상기 회로패턴에 탄성 접촉시키면, 안정된 전기적인 접속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는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 가능한 직선형상의 부위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를 리드선이 압착 가능한 형상으로 되며, 해당 리드선을 통해서 기판과 접속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접속장치에 의한 경우, 보디에 리드단자를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 가능한 삽입구를 형성했다 하더라도, 셔터에 의해 티끌이나 먼지가 상기 삽입구 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디 내부의 콘택트의 접속불량이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접속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측면도, 도 2는 동일장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3은 동일장치의 도 1의 A-A단면도로서, (a)가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가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동일장치의 도 1의 B-B단면도로서, (a)가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가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c)가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동일장치의 일단부의 조작부재를 투과시킨 상태의 개략적 배면도로서, (a)가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가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c)가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동일장치의 조작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정면도, (b)가 개략적 배면도, (c)가 개략적 측면도, (d)가 개략적 평면도, (e)가 개략적 저면도, 도 7은 동일장치의 셔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정면도, (b)가 개략적 배면도, (c)가 개략적 좌측면도, (d)가 개략적 우측면도, (e)가 개략적 평면도, (f)가 개략적 저면도, 도 8은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고정편인 2개의 제 1의 클램프 암과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진 콘택트의 도면, (b)가 가동편인 제 1,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진 콘택트의 도면, (c)가 고정편인 제 1의 클램프 암과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진 콘택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1O은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 가능한 판상체(板狀體)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b)가 기판 실장 가능한 구상체(鉤狀體)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c)가 리드선을 압착 가능한 형상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또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12는 동일장치의 보디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정면도이다.
여기에 게재하는 접속장치는,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소켓으로서, 냉음극 형광램프(전자부품)(10)의 리드단자(12)와 기판(20)을 각각 전기접속시키기 위한 2개의 콘택트(100)와, 2개의 콘택트(100)를 수용하고 있으며 또한 리드단자(12)가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 가능한 한 쌍의 삽입구(222)를 가진 보디(200)와, 보디(200)의 한 쌍의 삽입구(222)를 개폐하기 위한 한 쌍의 셔터(300)와, 보디(200)에 장착되고, 한 쌍의 셔터(300)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한 쌍의 조작부재(4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냉음극 형광램프(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부(11)와, 이 램프부(11)로부터 돌출한 리드단자(12)를 가지고 있다.
보디(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시 대략 「L」자 형상의 본체부(210)와, 이 본체부(210)의 얇은 부분의 배면의 양단부에 형성된 대 략 직사각형 형상의 2개의 가이드부(220)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부(220)의 내부에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100)를 수용하는 수용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22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으로서, 본체부(210)의 하단부의 개방부(213)와 연통하고 있다. 수용부(221)의 하단부에는 해당 수용부(221)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약간 폭넓은 압입부(2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부(221a)는, 그 폭치수가 콘택트(100)의 중간부(130)의 폭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해당 중간부(130)가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부(220)의 상부면의 중앙부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부에 삽입구(2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구(222)는, 수용부(221)에 연통하는 구멍으로서, 그 폭치수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삽입구(222)의 폭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부에는, 해당 삽입구(222) 내부에 리드단자(12)를 안내하기 위한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220)의 폭방향의 양단부면에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400)를 리드단자(12)의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돌기(223)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20)의 두께방향의 벽부(즉, 조작부재 대향면)의 삽입구(222)의 아래쪽 부분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300)가 상기 삽탈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직교방향이라고 칭함)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장착구멍(224)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220)의 상기 벽부의 양단부에는, 조작부재(400)의 한 쌍의 편부재(430)가 삽입되는 한 쌍의 개구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20)의 벽부의 하단부의 중앙부에는, 조작부재(400)를 걸기 위한 한 쌍의 걸림볼록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25)는, 상기 삽탈방향을 향한 긴 구멍으로서, 수용부(221) 내부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에 대향하고 있다. 이 개구부(225)의 상단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안쪽부가 조작부재(400)의 편부재(430)의 형상에 맞춰서 경사져 있다.
장착구멍(22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220)의 조작부재 대향면을 관통하며 또한 상기 직교방향을 향한 긴 구멍인 본체구멍부(224a)와, 이 본체구멍부(224a)의 상부에 연속되는 해당 본체구멍부(224a)보다도 폭 좁은 가이드오목부(224b)를 가지고 있다.
본체구멍부(224a)는 셔터(300)의 제 1의 런너부(320)가 통과되며, 해당 제 1의 런너부(320)를 상기 직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한편, 가이드오목부(224b)는 셔터(300)의 제 2의 런너부(330)를 상기 직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본체부(210)의 상부면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삽입구(222)와 통하는 한 쌍의 수용홈(211)과, 이 한 쌍의 수용홈(211)과 한 쌍의 삽입구(222)를 구분하는 한 쌍의 벽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212)에는, 삽입구(222)에 연속되는 슬릿(212a)이 상기 삽탈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212a)은, 그 폭치수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해당 리드단자(12)가 삽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릿(212a)의 폭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부에는, 리드단자(12)를 안내하기 위한 테이퍼면이 가이드부(220)의 삽입구(222)의 양쪽 가장자리부의 테이퍼면과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212a)의 깊이 치수는, 리드단자(12)가 수용부(221) 내부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 암(111, 112)에 끼워 유지되는 위치와 거의 동일한 위치까지의 깊이로 되어 있다. 즉, 리드단자(12)가 수용부(221) 내부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 암(111, 112)에 끼워 유지되는 동시에, 슬릿(212a)의 바닥부에 지지되게 되어 있다.
수용홈(211)은, 그 폭치수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부(11)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된 대략 「U」자 형상의 홈이며, 해당 램프부(11)가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수용홈(211)의 폭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부에는, 램프부(11)를 안내하기 위한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211)의 깊이 치수는,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가 벽부(212)의 슬릿(212a)의 바닥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해당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부(11)가 해당 수용홈(211)의 바닥부에 재치(載置)되는 깊이로 설정되어 있다.
본체부(210)의 하단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21)의 압입부(221a)와 연통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부(213)는 수용부(221)에 수용된 콘택트(100)의 제 2의 접속부(120)를 하부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이 개방부(213)의 외부쪽 가장자리부에는, 기판(20)의 도시 하지 않은 걸림구멍에 걸리게 되는 걸림클로(214)가 하부방향(즉, 콘택트(100)의 제 2의 접속부(120)의 돌출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해서 배설되어 있다.
조작부재(4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상자형체(箱體)인 이동체본체부(410)와, 이 이동체본체부(410)의 폭방향 양단부의 모서리부를 파냄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레일홈(420)과, 이동체본체부(410)의 내부면의 한 쌍의 레일홈(420)의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편부재(430)와, 이동체본체부(410)의 내부면의 한 쌍의 편부재(430)의 사이의 위쪽 위치에 형성된 안내홈(440)과, 이동체본체부(4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편(450)과, 가이드부(220)의 상부면의 볼록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노치부(460)를 가지고 있다.
레일홈(420)에는 가이드부(220)의 가이드돌기(223)가 끼인다. 이것에 의해, 이동체본체부(410)가, 도 4(a) 및 도 4(c)에 도시하는 초기위치(즉, 가이드돌기(223)가 레일홈(420)의 맨 위에 위치하는 위치)로부터 도 4(b)에 도시하는 압압위치(즉, 가이드돌기(223)가 레일홈(420)의 맨 아래에 위치하는 위치)에 걸쳐서 가이드부(2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체본체부(410)가 초기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해당 이동체본체부(410)의 노치부(460)의 양쪽 가장자리부가 가이드부(220)의 상부면의 볼록부의 양쪽 측면부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체본체부(410)가 초기위치에서 위치 규제된다. 한편, 이동체본체부(410)가 압압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한 쌍의 편부재(430)의 상단부의 테이퍼면이 가이드부(220)의 개구부(225)의 상단부의 경사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체본체부(410)가 압압위치에서 위치 규제된다.
걸림편(45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부가 가이드부(220)를 향해서 볼록하게 되어 있으며, 이동체본체부(410)가 초기위치에 위치했을 때, 가이드부(220)의 한 쌍의 걸림볼록부(226)에 걸리게 된다.
한 쌍의 편부재(430)의 상단부에는 그 사이의 간격이 잠시 감소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편부재(430)는, 한 쌍의 개구부(225)에 상기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이동체본체부(410)가 압압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수용부(221) 내부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 암(111, 112)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하고, 이동체본체부(410)가 초기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의 압압을 해제하게 되어 있다.
안내홈(4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220)의 장착구멍(224)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교차한 경사홈부(441)와, 이 경사홈부(441)의 상단부(즉, 안내홈(440)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부(442)와, 경사홈부(441)의 하단부(즉, 안내홈(440)의 일단부)에 연속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443)를 가지고 있다.
구멍부(442)는, 이동체본체부(410)가 초기위치에 위치했을 때, 가이드부(220)의 삽입구(222)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직교방향의 일단부쪽으로 약간 위치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442)는 관통구멍이며, 셔터(300)의 제 3의 런너부(34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피프 홀(peep hole)로 되어 있다. 오목부(443)는, 이동체본체부(410)가 압압위치에 위치했을 때, 가이드부(220)의 삽입구(222)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직교방향의 타단부쪽으로 약간 위치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홈부(441)는, 셔터(300)의 제 3의 런너부(340)를 구멍부(442)로부터 오목부(443)에 걸쳐서 안내하는 홈이다.
셔터(30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220)의 삽입구(222)를 개폐하기 위한 판형상의 셔터본체(310)와, 이 셔터본체(310)에 직각으로 형성된 판형상의 제 1의 런너부(320)와, 이 제 1의 런너부(320) 위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제 2의 런너부(330)와, 제 1, 제 2의 런너부(320, 330)의 일단부 면에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제 3의 런너부(340)를 가지고 있다.
셔터본체(310)는 제 1의 런너부(320)의 타단부쪽에 편재해 있다. 제 1의 런너부(320)는 가이드부(220)의 본체구멍부(224a)에 이동 가능하게 끼인다. 제 2의 런너부(330)는 가이드부(220)의 가이드오목부(224b)에 이동 가능하게 끼인다. 제 3의 런너부(340)는 조작부재(400)의 안내홈(440)에 이동 가능하게 끼인다.
즉, 제 3의 런너부(340)가 안내홈(440)의 구멍부(442)에 위치했을 때에는, 제 1, 제 2의 런너부(320, 330)는 가이드부(220)의 본체구멍부(224a), 가이드오목부(224b)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셔터본체(310)가 가이드부(220)의 삽입구(222)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위치한다. 한편, 제 3의 런너부(340)가 안내홈(440)의 오목부(443)에 위치했을 때에는, 제 1, 제 2의 런너부(320, 330)는 가이드부(220)의 본체구멍부(224a), 가이드오목부(224b)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셔터본체(310)가 가이드부(220)의 삽입구(22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한다.
콘택트(100)는,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을 가진 판스프링으로서, 리드단자접속용인 제 1의 접속부(110)와, 기판접속용 인 제 2의 접속부(120)와, 제 1, 제 2의 접속부(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130)를 가진다.
중간부(130)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체로서, 그 폭치수가 보디(200)의 수용부(221)의 압입부(221a)의 폭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중간부(130)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걸림돌기(131)가 수용부(221)의 압입부(221a)에 압입됨으로써, 콘택트(100)가 수용부(221) 내부에서 유지된다.
제 2의 접속부(120)는, 중간부(130)의 하단부에 연속되며 또한 대략 「つ」자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 제 2의 접속부(120)의 높이 치수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부(130)가 콘택트(100)가 보디(200)의 수용부(221)에서 유지된 상태로, 보디(200)의 개방부(213)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로 되어 있다.
제 1의 접속부(110)는, 중간부(130)의 상단부에 사이를 두고 배설된 탄성 변형 가능한 2개의 제 1의 클램프 암(111)과, 중간부(130)의 상단부의 2개의 제 1의 클램프 암(111)의 사이에 배설된 탄성 변형 가능한 제 2의 클램프 암(112)을 가진다.
제 1의 클램프 암(111)은, 대략 「く」자 형상의 제 1의 굴곡부(111a)와, 이 제 1의 굴곡부(111a)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제 1의 굴곡부(111a)와 반대방향을 향해서 절곡된 제 1의 파지부(111b)를 가지고 있다.
제 2의 클램프 암(112)은, 대략 「く」자 뒤집은 형상(즉, 제 1의 굴곡부(111a)와 반대방향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음)의 제 2의 굴곡부(112a)와, 이 제 2 의 굴곡부(112a)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제 2의 굴곡부(112a)와 반대방향을 향해서 절곡된 제 2의 파지부(112b)를 가지고 있다.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는, 그 위쪽의 직선부가 기판(20)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의 상기 위쪽의 직선부의 길이 치수는, 양자가 초기상태에서 교차하지 않은 길이이며 또한 해당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가 조작부재(400)의 한 쌍의 편부재(430)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서로 교차되며,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에 리드단자(12)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 α가 생기게 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접속장치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콘택트(100)의 중간부(130)와, 보디(200)의 수용부(211)의 압입부(211a)를 위치맞춤을 하면서 압입하며, 해당 콘택트(100)를 수용부(211)에 수용시킨다.
그리고, 보디(200)의 가이드부(220)의 장착구멍(224)의 본체구멍부(224a)에 셔터(300)의 셔터본체(310)의 선단부 면으로부터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셔터(300)의 제 1의 런너부(320)가 장착구멍(224)의 본체구멍부(224a)에, 해당 셔터(300)의 제 2의 런너부(330)가 해당 장착구멍(224)의 가이드오목부(224b)에 끼인다.
그 후, 조작부재(400)의 한 쌍의 편부재(430)를 보디(200)의 가이드부(220)의 한 쌍의 개구부(225)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또한 수용부(221) 내부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에 접촉되지 않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셔터(300)를 폐쇄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작부재(400)를 보디(200)의 가이드 부(220)에 가압접촉한다. 그러면, 조작부재(400)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가이드부(220)의 가이드돌기(223)를 탄성 변형해서 넘어간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부(220)의 가이드돌기(223)가 조작부재(400)의 레일홈(420)에 끼인다. 이것과 동시에, 셔터(300)의 제 3의 런너부(340)가 조작부재(400)의 안내홈(440)의 구멍부(442)에 끼인다.
이하, 이와 같이 조립되는 접속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보디(200)의 걸림클로(214)를 기판(20)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구멍에 삽입하여, 걸리게 한다. 그러면, 보디(200)의 개방부(213)로부터 돌출한 콘택트(100)의 제 2의 접속부(120)가 기판(20)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패턴에 가압되어서, 탄성 접촉한다.이것에 의해, 콘택트(100)가 기판(20)의 회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후, 조작부재(400)를 초기위치로부터 압압위치에 걸쳐서 이동시킨다. 이때, 조작부재(400)의 걸림편(450)이 가이드부(220)의 한 쌍의 걸림볼록부(226)를 넘어간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400)의 한 쌍의 편부재(430)가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 암(111, 112)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한다. 그러면, 해당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교차하며, 그리고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사이에 공간 α를 형성한다.
이것과 동시에, 셔터(300)의 제 3의 런너부(340)가,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400)의 안내홈(440)의 구멍 부(442)로부터, 경사홈부(441)에 안내되며, 오목부(443)로 이동한다. 이때, 셔터(300)의 제 1, 제 2의 런너부(320, 330)가 보디(200)의 장착구멍(224)의 본체구멍부(224a), 가이드오목부(224b)의 상단부 면에 접촉하면서, 해당 장착구멍(224)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서 상기 직교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셔터(300)의 셔터본체(310)가 보디(200)의 삽입구(222)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그 후,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부(11)를 보디(200)의 수용홈(211)에, 해당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를 해당 측면으로부터 보디(200)의 삽입구(222)에 삽입한다. 그러면, 리드단자(12)가 보디(200)의 벽부(212)의 슬릿(212a)에 안내되고, 해당 보디(200)의 수용부(221) 내부의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의 공간 α에 삽입된다.
그 후, 조작부재(400)를 압압위치로부터 초기위치에 걸쳐서 이동시킨다. 이때, 조작부재(400)의 걸림편(450)이 가이드부(220)의 걸림볼록부(226)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조작부재(400)의 한 쌍의 편부재(430)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에 대한 압압이 해제된다. 그러면, 제 1, 제 2의 클램프 암(111, 112) 자체의 복귀력에 의해,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가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공간 α가 폐쇄되며, 해당 공간 α에 삽입된 리드단자(12)가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에 끼워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해서 리드단자(12)가 콘택트(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과 동시에, 셔터(300)의 제 3의 런너부(340)가, 도 4(b), 도 4(c),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400)의 안내홈(440)의 오목부(443)로부터, 경사홈부(441)에 안내되며, 구멍부(442)로 이동한다. 이때, 셔터(300)의 제 1, 제 2의 런너부(320, 330)가 보디(200)의 장착구멍(224)의 본체구멍부(224a), 가이드오목부(224b)의 하단부 면에 접촉하면서, 해당 장착구멍(224)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에 걸쳐서 상기 직교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셔터(300)의 셔터본체(310)가 보디(200)의 삽입구(22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부터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리드단자(12)를 분리할 때에는, 조작부재(400)를 다시 초기위치로부터 압압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조작부재(400)의 걸림편(450)이 가이드부(220)의 걸림볼록부(226)를 넘어간다. 그러면, 조작부재(400)의 한 쌍의 편부재(430)가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 암(111, 112)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한다. 그러면, 해당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가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공간 α가 개방되며, 해당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에 의한 리드단자(12)를 끼워두는 것이 해제된다.
이것과 동시에, 셔터(300)의 제 3의 런너부(340)가, 도 4(b), 도 4(a), 도 5(b) 및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400)의 안내홈(440)의 구멍부(442)로부터, 경사홈부(441)에 안내되며, 오목부(443)로 이동한다. 이때, 셔터(300)의 제 1, 제 2의 런너부(320, 330)가 보디(200)의 장착구멍(224)의 본체구 멍부(224a), 가이드오목부(224b)의 상단부 면에 접촉하면서, 해당 장착구멍(224)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서 상기 직교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셔터(300)의 셔터본체(310)가 보디(200)의 삽입구(222)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그 후, 해당 리드단자(12)를 보디(200)의 삽입구(222)로부터 뽑아낸다.
이와 같은 접속장치에 의한 경우, 보디(200)의 삽입구(222)를 셔터(300)에 의해 폐쇄할 수 있으므로, 티끌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상기 티끌이나 먼지에 의해 콘택트(100)의 도통불량이나 쇼트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재(4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콘택트(100)의 제 1, 제 2의 클램프 암(111, 112)의 리드단자(12)의 끼워둠 및 그 해제와, 셔터(300)의 개폐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해당 셔터(300)가 리드단자(12)의 삽탈 시에 방해가 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셔터(300)의 개폐조작을 리드단자(12)의 끼워둠 및 그 해제의 조작과 별도로 실행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방진을 위해서 셔터(300)를 형성했다 하더라도, 리드단자(12)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냉음극 형광램프(10)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재(400)를 압압위치로 이동시켜서, 해당 조작부재(400)의 편부재(430)의 압압에 의해 제 1, 제 2의 클램프 암(111, 112)의 제 1, 제 2의 파지 (111b, 112b)의 사이에 공간 α를 형성시키고, 해당 공간 α에 리드단자(12)를 삽입하며, 그 후, 조작부재(40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켜서 조작부재(400)의 편부재 (430)의 압압을 해제함으로써, 공간 α를 폐쇄시키고,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에 리드단자(12)를 끼워 유지시키게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제 1, 제 2의 클램프 암(111, 112)의 탄성력에 기인하는 부하가 직접 보디(200)에 걸리지 않으므로, 장기간의 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리드단자(12)를 장착할 때에,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의 사이의 공간 α에 리드단자(12)를 삽입하고, 해당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에 끼워 유지시킬 뿐이므로, 종래예와 같이 리드단자(12)를 콘택트(100)에 압압하고, 해당 리드단자(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상기 압압에 의한 부하에 의해서 장착 시의 냉음극 형광램프(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보디(200)의 걸림클로(214)를 기판(20)의 걸림구멍에 걸리게 함으로써, 보디(200)의 개방부(213)로부터 돌출한 콘택트(100)의 제 2의 접속부(120)가 기판(20)의 회로패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납땜 접속을 이용하지 않고, 콘택트(100)를 기판(20)에 간단히 접속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장치는, 리드단자를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 가능한 삽입구를 가진 보디와, 이 보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리드단자와 접촉하는 콘택트와, 상기 보디에 상기 삽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셔터를 구비하고 있는 한 어떠한 설계변경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콘택트(100)의 제 1의 접속부(110)에 대해서는, 적어도 한쪽이 가동편인 한 쌍의 클램프 암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동편의 굴곡부가 압압 조작됨으로써, 해 당 가동편의 파지부가 다른 클램프 암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교차하고, 그 사이에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있는 한 어떠한 설계변경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접속부가, 고정편인 2개의 판형상의 제 1의 클램프 암(111')과, 그 사이에 배설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 암(112')을 가진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지만 2개의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1의 클램프 암과, 그 사이에 배설된 고정편인 판형상의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점에 리드단자(12)를 끼워 유지하도록 하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한 쌍의 제 1, 제 2의 클램프 암(111', 112')을 가진 구성,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편인 판형상의 제 1의 클램프 암(111')과,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 암(112')을 가진 구성과 같은 2점에 끼워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클램프 암을 4개 이상 배설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 및 제 1, 제 2의 파지부(111b, 112b)에 대해서는, 만곡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 및 파지부(111b, 112b)는, 굴곡형상인 것 및 만곡형상인 것을 조합할 수도 있다.
콘택트(100)의 제 2의 접속부(120)에 대해서는, 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설계변경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기판(20)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의 접속부를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 가능한 직선형상의 판상체로 할 수 있고, 도 10(b)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제 2의 접속부를 기판(20)의 회로패턴에 접촉하여 표면 실장 가능한 구상체로 할 수도 있으며,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의 접속부를 기판(20)의 회로패턴 또는 기타 전자부품 등과 접속하기 위한 리드선이 압착 가능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제 2의 접속부(120)를 별체로서, 제 1의 접속부(120)에 접촉시키도록 하는 것도 일단 가능하다. 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의 접속부를 측면시 대략 「凹」자 형상으로 하고, 그 양단부에 제 1의 접속부를 각각 형성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디(200)에 대해서는, 상기 콘택트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떻게 설계변경해도 상관없다. 따라서, 보디(200)는, 콘택트(100)가 2개 수용되는 구성이라고 했지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수용할 수 있으면 된다.
보디(200)의 걸림클로(214)에 대해서는, 보디(200)의 개방부(213)의 가장자리부에 제 2의 접속부(120)의 돌출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기판(20)에 걸림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또, 걸림클로(214)는 기판(20)의 걸림구멍에 걸리게 된다고 했지만, 해당 기판(20)의 단부나 홈부에 걸리게 되도록 해도 상관없으며, 기판(20) 위에 형성한 다른 부품에 걸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기판(20)에 걸림클로를 형성하는 한편, 보디(200)에 상기 걸림클로가 걸리게 되는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도 일단 가능하다.
보디(200)의 장착구멍(224)에 대해서는, 삽입구(222)의 아래쪽 또는 위쪽 위치에 삽탈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긴 구멍 또는 긴 홈(상세한 것은 후술함)으로서, 셔터(300)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에 걸쳐서 안내하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장착구멍을 삽입구의 위쪽 위치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해당 삽입구의 가장자리부에 벽을 형성하고, 해당 벽부에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셔터(300)에 대해서는, 보디의 삽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또, 셔터(300)의 제 1의 런너부(320)에 대해서는, 보디의 장착구멍에 상기 직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 어떠한 형상의 것을 이용해도 된다. 셔터(300)의 제 2의 런너부(330)에 대해서는, 제 1의 런너부(320)만으로 상기 장착구멍 내부를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셔터(300)의 제 3의 런너부(340)에 대해서는, 조작부재(400)의 안내홈(440)에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것이면, 그 형상은 임의이다.
조작부재(400)에 대해서는, 보디에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장착구멍과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안내홈을 가지는 한 어떠한 설계변경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즉, 상기 조작부재를 보디(200)의 수용부(221)의 내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경우, 조작부재의 안내홈은 해당 조작부재를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장착구멍이 상기 보디의 조작부재 대향면에 긴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홈 및 장착구멍은 쌍방 관통구멍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상기 조작부재를 셔터조작전용인 조작부재로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하는 조작부재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보디(200)의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의 위쪽 위치의 부분에 개구를 형성하고, 막대형상의 조작부재(400)를 삽입함으로써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보디(200)의 양단부로부터 노출시키고, 손으로 조작 가능하게 하는 것도 일단 가능하다.
조작부재(400)의 편부재(430)에 대해서는, 제 1, 제 2의 굴곡부(111a, 112a)를 압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접속장치는, 냉음극 형광램프의 소켓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드단자와 기판을 전기접속하는 커넥터 등의 기타 접속장치로서 적응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측면도;
도 2는 동일장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3은 동일장치의 도 1의 A-A단면도로서, (a)가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가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동일장치의 도 1의 B-B단면도로서, (a)가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가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c)가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동일장치의 일단부의 조작부재를 투과시킨 상태의 개략적 배면도로서, (a)가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가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c)가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동일장치의 조작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정면도, (b)가 개략적 배면도, (c)가 개략적 측면도, (d)가 개략적 평면도, (e)가 개략적 저면도;
도 7은 동일장치의 셔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정면도, (b)가 개략적 배면도, (c)가 개략적 좌측면도, (d)가 개략적 우측면도, (e)가 개략적 평면도, (f)가 개략적 저면도;
도 8은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고정편인 2개의 제 1의 클램프 암과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진 콘택트의 도면, (b)가 가동편인 제 1,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진 콘택트의 도면, (c)가 고정편인 제 1의 클램프 암과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진 콘택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1O은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 가능한 판상체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b)가 기판 실장 가능한 구상체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c)가 리드선을 압착 가능한 형상인 제 2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동일장치의 콘택트의 또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12는 동일장치의 보디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콘택트 110: 제 1의 접속부
111: 제 1의 클램프 암 111a: 제 1의 굴곡부
111b: 제 1의 파지부 112: 제 2의 클램프 암
112a: 제 2의 굴곡부 112b: 제 2의 파지부
120: 제 2의 접속부 200: 보디
224: 장착구멍 300: 셔터
400: 조작부재 440: 안내홈
α: 공간

Claims (10)

  1. 리드단자를 해당 측면으로부터 삽탈(揷脫) 가능한 삽입구를 가진 보디와, 이 보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리드단자와 접촉하는 콘택트와, 상기 보디에 상기 삽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셔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셔터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부재이며 또한 상기 보디에 상기 리드단자의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보디에는, 상기 리드단자의 삽탈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 긴 구멍이며 또한 해당 보디를 관통하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의 보디 대향면에는, 상기 장착구멍과 비스듬하게 교차하며 또한 상기 셔터가 상기 장착구멍을 통해서 끼이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는,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안내홈의 일단부(一端部)로부터 해당 안내홈의 타단부(他端部)에 걸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장착구멍 내부를 상기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삽입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걸쳐서 이동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리드단자접속용인 제 1의 접속부와, 기판접속용인 제 2의 접속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의 접속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지며, 이 제 1, 제 2의 클램프 암은,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이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제 1, 제 2의 파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디의 보디 대향면에는,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한 쌍의 개구부에 상기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편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한 쌍의 편부재는, 상기 셔터가 개방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상기 셔터가 폐쇄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압압을 해제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는, 상기 한 쌍의 편부재에 압압되면,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교차하고, 그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편부재의 압압이 해제되면,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공간이 폐쇄되고, 상기 제 1, 제 2의 파지부의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리드단자접속용인 제 1의 접속부와, 기판접속용인 제 2의 접속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의 접속부는, 고정편인 제 1의 클램프 암과,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편인 제 2의 클램프 암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제 2의 클램프 암은,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이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굴곡부 또는 만곡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한 파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디의 보디 대향면에는,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에 대향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상기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편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한 쌍의 편부재는, 상기 셔터가 개방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를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을 향해서 압압하고, 상기 셔터가 폐쇄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압압을 해제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굴곡부 또는 만곡부는, 상기 편부재에 압압되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해당 제 1의 클램프 암에 교차하 고, 그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편부재의 압압이 해제되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공간이 폐쇄되고, 상기 제 2의 클램프 암의 파지부와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과의 사이에 상기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이, 상기 제 2의 클램프 암의 양쪽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 2의 클램프 암이, 상기 제 1의 클램프 암의 양쪽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7.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를 상기 기판의 회로패턴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시키기 위한 개방부와, 이 개방부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 2의 접속부의 돌출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기판에 걸리게 되는 걸림클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는 상기 기판의 회로패턴에 탄성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는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 가능한 직선형상의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제 2의 접속부는 리드선이 압착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KR1020070083721A 2006-09-01 2007-08-21 접속장치 KR20080020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8180 2006-09-01
JP2006238180A JP4291345B2 (ja) 2006-09-01 2006-09-01 接続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941A true KR20080020941A (ko) 2008-03-06

Family

ID=3856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721A KR20080020941A (ko) 2006-09-01 2007-08-21 접속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99190B2 (ko)
EP (1) EP1895626B1 (ko)
JP (1) JP4291345B2 (ko)
KR (1) KR20080020941A (ko)
CN (1) CN101136507B (ko)
CA (1) CA2582824A1 (ko)
DE (1) DE602007001745D1 (ko)
TW (1) TWI3963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686B1 (ko) * 2005-08-29 2012-10-22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208726B1 (ko) * 2006-09-28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US7806710B2 (en) * 2007-02-27 2010-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mp holding unit
KR101380305B1 (ko) * 2007-06-22 2014-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334023B1 (ko) * 2007-08-17 2013-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48191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소켓 어셈블리, 백라이트 어셈블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00114727A (ko) * 2009-04-16 201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소켓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756906B2 (ja) * 2011-06-24 2015-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KR102473079B1 (ko) * 2020-12-02 2022-12-02 주식회사 솔루엠 양면 접점 터미널 및 전기기기
CN113224551B (zh) * 2021-03-03 2022-09-13 万坤电气有限公司 一种侧面直插接线方式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5376B3 (fr) 1987-12-24 1989-12-08 Schuch Lichttech Spezialfab Douille de lampe pour un luminaire a longue portee antideflagrant
JPH0617123A (ja) 1992-07-02 1994-01-25 Yamaha Motor Co Ltd ショットピーニングに熱処理を併用する駆動系部品の強度向上方法および表面強化された駆動系部品
JP3178582B2 (ja) 1995-09-26 2001-06-18 ニッポ電機株式会社 蛍光ランプ取付器具及び照明装置
JP3104167B2 (ja) * 1996-05-10 2000-10-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蛍光灯用ソケット
DE19817074C1 (de) 1998-04-17 1999-10-21 Broekelmann, Jaeger & Busse Gmbh & Co Fassung für Leuchtstofflampen, insbesondere für Ringlampen
JP3565806B2 (ja) 2001-08-30 2004-09-15 サトーパーツ株式会社 端子台
DE10214922B4 (de) * 2002-04-04 2005-03-10 Vossloh Schwabe Gmbh Fassung für elektrische Betriebsmittel
DE10319431B4 (de) * 2003-04-29 2005-05-25 Bjb Gmbh & Co.Kg Lampenfassung für zweiseitig gesockelte Leuchtstofflampen
US6733316B1 (en) * 2003-05-05 2004-05-11 Chuan-Ying Chen Lamp socket for holding lamp tube
JP2005259370A (ja) * 2004-03-09 2005-09-22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US7059888B2 (en) * 2004-08-31 2006-06-13 Osram Sylvania Inc. High temperature lamp connector and socket for double-ended lamp
US7097327B1 (en) * 2005-03-21 2006-08-29 Daniel W Barton Lever pivot safety stop socket for fluorescent lamps
US6988906B1 (en) * 2005-04-27 2006-01-24 Chuan-Ying Chen Fluorescent lamp tube seat
JP4621092B2 (ja) * 2005-08-12 2011-01-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蛍光管の取付構造
US7267567B1 (en) * 2006-07-31 2007-09-11 Osram Sylvania Inc. Lamp socket with lever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82824A1 (en) 2008-03-01
CN101136507A (zh) 2008-03-05
TW200814469A (en) 2008-03-16
EP1895626A1 (en) 2008-03-05
DE602007001745D1 (de) 2009-09-10
JP4291345B2 (ja) 2009-07-08
CN101136507B (zh) 2011-06-08
EP1895626B1 (en) 2009-07-29
US7399190B2 (en) 2008-07-15
TWI396349B (zh) 2013-05-11
US20080057763A1 (en) 2008-03-06
JP2008060004A (ja)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0941A (ko) 접속장치
CN110663139B (zh) 连接装置
KR100433704B1 (ko)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7648377B2 (en) Connector having connection detecting means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US6609922B2 (en) Connector for substrate
US9160089B2 (en) Wire-to-board connector
CN107645072B (zh) 连接器
JP4291341B2 (ja) 接続装置
CN106981754B (zh) 连接器
EP2472678A2 (en) Connector member comprising a retainer
GB2440649A (en) Socket having movable location board guiding and clamping contacts
KR20150034102A (ko) 선형상 도체 접속용 단자
JP6784580B2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7407687B2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
JP2009048899A (ja) 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備える接続装置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US20180219321A1 (en) Connector connecting member and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KR102468999B1 (ko)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697689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mating contact and a connection object
JP2019129054A (ja) 電気コネクタ
JP6195797B2 (ja) コネクタ
EP2940797A1 (en) Connector for printed-circuit boards
JP4647629B2 (ja) 接続装置
JP5666255B2 (ja) 雌型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