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773A -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773A
KR20080016773A KR1020070046724A KR20070046724A KR20080016773A KR 20080016773 A KR20080016773 A KR 20080016773A KR 1020070046724 A KR1020070046724 A KR 1020070046724A KR 20070046724 A KR20070046724 A KR 20070046724A KR 20080016773 A KR20080016773 A KR 20080016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urified water
valve
water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672B1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이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이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7004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67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61C1/0092Pump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정수배관에 각각 연결되는 치과용 유닛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상기 정수배관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상기 정수배관 내에 잔류하는 정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유닛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배관 내에 혼탁도 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혼탁도를 임계값 이하로 유지시킴으로써 깨끗한 정수를 각각의 유닛체어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바이오필름(biofilm), 혼탁도 측정센서

Description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A DENTAL CLEANING WATER PROCESS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110 : 정수기
120, 220 : 정수배관 130 : 유닛체어
140 : 배수관 150 : 혼탁도 측정센서
160 : 제1밸브 170 : 차단밸브
180 : 에어배관 210 : 제2밸브
230 : 제3밸브 240 : 순환펌프
본 발명은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배관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정수배관 내에 잔류하는 정수를 처리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유닛체어에 공급되는 물은 핸드피스 등과 같은 치과진료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고 치아 등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가루 및 찌꺼기 등을 제거하거나, 타구대나 오토컵 등과 같은 치과 보조진료장치에 공급되어 구강의 양치 시에 이용된다. 이러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공급되는 물은 구강의 상처 부위 및 치료 부위에 직접 닿게 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위생과 청결이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에 공급하는 물은 수돗물을 바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수기를 이용하여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 등을 제거한 정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유닛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배관은 그 배관 내에서 정수가 장시간 정체되어 있거나 오염물질이 많이 섞여 들어오는 경우에 내벽에 바이오필름(Biofilm)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오 필름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 등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바이오 필름이 형성된 곳에는 세균이나 곰팡이 등 유해한 미생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오 필름이 형성된 정수배관을 통해 정수가 공급되어 환자의 구강으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에는 환자에게 2차 감염 등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유닛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배관 내의 혼탁도를 임계값 이하로 유지시킴으로써 깨끗한 정수를 각각의 유닛체어에 공급할 수 있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정수배관에 각각 연결되는 치과용 유닛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상기 정수배관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상기 정수배관 내에 잔류하는 정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상기 정수 배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체어; 상기 정수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정수배관 내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정수배관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혼탁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로 상기 정수배관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상기 정수배관 내에 잔류하는 정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닛체어가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지점 이후의 정수배관의 끝단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는 상기 정수배관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정수배관 내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되 에어배관과 연결되며,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배관에서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유닛체어 쪽으로 유출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배관의 정수의 유입은 차단함과 함께 상기 에어배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유닛체어 쪽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로부터 입력된 측 정값과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더 큰 경우 상기 제1밸브를 오프상태로 변화시킨다. 이때,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정수배관의 시작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원수배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정수배관으로 출수하는 정수기; 상기 정수기의 출수구 측 정수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는 제2밸브; 상기 정수 배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체어; 상기 유닛체어가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지점 이후의 정수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는 제3밸브; 상기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정수배관 내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정수배관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혼탁도 측정센서; 및 상기 정수배관의 일정위치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체어가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지점 이후의 정수배관의 끝단이 상기 제2밸브에 연결되어 순환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순환배관을 형성하는 상기 정수배관의 일정위치에 구비되는 순환펌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정수기의 출수구 측에 위치하고,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기에서 출수된 정수를 순환 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순환 배관을 순환한 정수를 다시 순환 배관으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3밸브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3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배관에 서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배관에서 유입되는 정수를 다시 정수배관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는 상기 유닛체어가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지점 이후의 상기 정수배관과 상기 제3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로부터 입력된 측정값과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더 큰 경우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오프 상태로 변화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상기 정수배관과 상기 각각의 유닛체어를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표시부 및 알람부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 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100)는 크게 정수기(110), 정수배관(120), 유닛체어(130), 배수관(140) 및 제어부(19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100)는 상기 정수배관(120)의 일정위치에 3-웨이 밸브인 제1밸브(160)와 혼탁도 측정센서(150)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100)는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15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정수배관(120) 내에 잔류한 정수를 상기 에어배관(180)에서 유입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관(140)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정수기(110)에는 원수(즉, 수돗물)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원수 밸브(11)를 구비하는 입수 배관(1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수 배관(10)으로부터 입수된 원수를 정수하여 출수구를 통해 상기 정수배관(120)으로 출수시킨다.
이때, 상기 정수기(110)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예컨대, 놋물, 세균 또는 미생물 등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수기(110)는 복수 개의 필터, 모터펌프 및 정수 탱크 등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10)의 출수구 측에는 정수배관(12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정수배관(120)에는 상기 유닛체어(130)에 구비된 각종 치과진료장치나 진료보조장치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배관(121)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배관(121)의 일정 영역에는 차단 밸브(170)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유닛체어(130)로 정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160)는 3-웨이 밸브(3-way valve)로서, 상기 정수배관(120)과 에어배관(180)을 연결하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밸브(160)는 온 상태일 때는 상기 정수배관(120)에서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유닛체어(130) 쪽으 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는 상기 정수배관(120)의 정수의 유입은 차단함과 함께 상기 에어배관(180)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유닛체어(130) 쪽으로 유출시킨다. 이때, 상기 제1밸브(160)는 상기 정수배관(120)의 시작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에어배관(180)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배관(120) 내에 잔류하는 정수를 배출할 때, 상기 제1밸브(160)가 상기 정수기(110)의 출수구에 연결된 상기 정수배관(120)의 시작단에 연결되어 있어야 더 많은 부분의 상기 정수배관(120)을 청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150)는 상기 정수배관(120)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90)로 입력시킨다. 상기 정수배관(120)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빛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배관(120)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나, 상기 정수배관(120) 내에 구비된 저항값 측정수단에 낀 스케일의 정도를 측정하여 혼탁도를 측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150)는 상기 정수배관(120)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정수배관(120)에 마지막으로 연결된 유닛체어(130) 이후의 상기 정수배관(120)에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150)가 설치되어 있어야 상기 유닛체어(130)로 들어가는 정수의 실제적인 혼탁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정수배관(120)의 끝단에는 상기 배수관(140)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정수배관(120) 내에 있는 정수를 상기 배수관(140)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밸브(16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150)부터 입력된 상기 정수배관(120) 내의 혼탁도 측정값과 이미 설정되어 있는 혼탁도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밸브(16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혼탁도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160)를 온 상태로 그대로 유지시키고, 상기 혼탁도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160)를 오프 상태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밸브(160)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정수배관(120) 내에 잔류하고 있는 정수는 상기 에어배관(180)으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배수관(140)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물배관(121)에 구비된 상기 차단밸브(170)가 작동하여 상기 유닛체어(130)로 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191)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150)에 의해 측정된 혼탁도 측정값이 상기 제어부(190)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90)에 입력된 측정값은 상기 표시부(191)에 송신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알람부(192)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정수배관(120) 내의 혼탁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경보음을 울려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상기 정수배관(120) 내의 혼탁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200)는 크게 정수기(110), 정수배관(220), 유닛체어(130), 배수관(140) 및 제어부(19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정수 장치(200)는 상기 정수배관(220)이 순환배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수배관(220)의 일정위치에 3-웨이 밸브인 제2밸브(210)와 제3밸브(230), 순환펌프(240) 및 혼탁도 측정센서(150)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200)는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15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순환배관을 이루는 정수배관(220) 내에 잔류한 정수를 순환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정수기(110)에는 원수 밸브(11)를 구비하는 입수 배관(1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수 배관(10)으로부터 입수된 원수를 정수하여 출수구를 통해 상기 정수배관(220)으로 출수시킨다.
상기 정수기(110)의 출수구 측에는 정수배관(220)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정수배관(220)은 순환배관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정수배관(220)에는 상기 유닛체어(130)에 구비된 각종 치과진료장치나 진료보조장치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배관(121)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수배관(220)의 일정위치에는 순환펌프(24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배관(121)의 일정 영역에는 차단 밸브(170)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유닛체어(130)로 정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210)는 3-웨이 밸브로서, 순화배관인 상기 정수배관(220)과 상기 정수기(110)에서 출수하는 정수배관(220)을 연결하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제2밸브(210)는 온 상태일 때는 상기 정수기(110)에서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유닛체어(130) 쪽으로 유출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는 상기 정수배관(220) 을 순환한 정수를 다시 정수배관(220) 쪽으로 유출하여 순환시킨다. 이때, 상기 제2밸브(210)는 상기 정수기(110)의 출수구 쪽의 상기 정수배관(2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밸브(230)는 3-웨이 밸브로서, 순화배관인 상기 정수배관(220)과 상기 배수관(140)을 연결하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제3밸브(230)는 온 상태일 때는 상기 정수배관(220)에서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배수관(140)으로 배출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는 상기 정수배관(220)에서 유입된 정수를 다시 정수배관(220)으로 유출시킨다. 이때, 상기 제3밸브(230)는 상기 유닛체어(130)가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지점 이후의 상기 정수배관(220)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150)는 상기 정수배관(220)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90)로 입력시킨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2밸브(210), 제3밸브(23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150)부터 입력된 상기 정수배관(220) 내의 혼탁도 측정값과 이미 설정되어 있는 혼탁도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2밸브(210)와 제3밸브(23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혼탁도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210)와 제3밸브(230)를 온 상태로 그대로 유지시키고, 상기 혼탁도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210)와 제3밸브(230)를 오프 상태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밸브(210)와 제3밸브(230)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정수배 관(220) 내에 잔류하고 있는 정수는 상기 순환펌프(240)의 힘에 의해 순환배관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정수배관(220)을 순환한다. 이때, 상기 물배관(121)에 구비된 상기 차단밸브(170)가 작동하여 상기 유닛체어(130)로 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191) 및 알람부(192)와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각각의 유닛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배관 내에 혼탁도 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혼탁도를 임계값 이하로 유지시킴으로써 깨끗한 정수를 각각의 유닛체어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정수배관에 각각 연결되는 치과용 유닛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배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체어;
    상기 정수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정수배관 내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정수배관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혼탁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로 상기 정수배관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상기 정수배관 내에 잔류하는 정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상기 유닛체어가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지점 이후의 정수배관의 끝단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정수배관 내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되 에어배관과 연결되며,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배관에서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유닛체어 쪽으로 유출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배관의 정수의 유입은 차단함과 함께 상기 에 어배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유닛체어 쪽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로부터 입력된 측정값과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더 큰 경우 상기 제1밸브를 오프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5. 정수배관에 각각 연결되는 치과용 유닛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원수배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정수배관으로 출수하는 정수기;
    상기 정수기의 출수구 측 정수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는 제2밸브;
    상기 정수 배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체어;
    상기 유닛체어가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지점 이후의 정수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는 제3밸브;
    상기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정수배관 내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정수배관 내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혼탁도 측정센서; 및
    상기 정수배관의 일정위치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체어가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지점 이후의 정수배관의 끝단이 상기 제2밸브에 연결되어 순환배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기에서 출수된 정수를 순환 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순환 배관을 순환한 정수를 다시 순환 배관으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배관에서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제3밸브와 연결되는 배수관으로 배출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배관에서 유입되는 정수를 다시 정수배관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탁도 측정센서로부터 입력된 측정값과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더 큰 경우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오프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상기 정수배관과 상기 각각의 유닛체어를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표시부 및 알람부를 더욱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KR1020070046724A 2007-05-14 2007-05-14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KR10095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24A KR100959672B1 (ko) 2007-05-14 2007-05-14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24A KR100959672B1 (ko) 2007-05-14 2007-05-14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262U Division KR200433988Y1 (ko) 2006-08-19 2006-08-19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773A true KR20080016773A (ko) 2008-02-22
KR100959672B1 KR100959672B1 (ko) 2010-05-26

Family

ID=3938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724A KR100959672B1 (ko) 2007-05-14 2007-05-14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562B1 (ko) * 2010-01-29 2012-03-26 고유삼 치과용 정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6651B2 (en) 2017-06-27 2020-07-21 Dr. Pik Co., Ltd. Oral care device and oral care method
KR101999236B1 (ko) * 2017-11-24 2019-07-11 주식회사 닥터픽 구강 관리 장치 및 치과용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750A (ja) * 1994-06-27 1996-01-16 Tokyo Gas Co Ltd 浄水装置
US5785523A (en) 1997-08-15 1998-07-28 Overmyer; Thad J. Dental water line flushing and disinfecting system
JP2001232354A (ja) * 2000-02-24 2001-08-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浄水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562B1 (ko) * 2010-01-29 2012-03-26 고유삼 치과용 정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672B1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613B1 (en) Compressed water supply system and supply device for dental unit-chair
KR100959672B1 (ko)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KR200433988Y1 (ko)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KR101031684B1 (ko) 치과용수 관리시스템
JP7129757B2 (ja) 血液浄化装置及び滅菌方法
KR100874510B1 (ko)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KR0126324Y1 (ko) 정수기의 살균용 정수순환장치
KR100874509B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100834533B1 (ko) 치과용 정수 처리 장치
KR20080078171A (ko) 치과용 의료배관 및 치과용 의료기기를 소독하기 위한정수장치
KR100688388B1 (ko) 정수기 및 은공급수단작동방법
KR200433981Y1 (ko) 청소 알림 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정수 장치
KR200432183Y1 (ko)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KR100885866B1 (ko) 치과용 구강 세척수 공급장치
KR100499785B1 (ko) 치과용 물탱크 자동 급수장치
KR200432184Y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200435234Y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101599934B1 (ko)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KR200433990Y1 (ko) 치과용 정수 처리 장치
KR100907340B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TWI236892B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dental water tank
KR20080015135A (ko)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KR101126562B1 (ko) 치과용 정수시스템
KR100874511B1 (ko)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처리 장치
JP4437924B2 (ja) 浴水循環装置における浄化装置とその浴水浄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