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819A -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819A
KR20070102819A KR1020060034499A KR20060034499A KR20070102819A KR 20070102819 A KR20070102819 A KR 20070102819A KR 1020060034499 A KR1020060034499 A KR 1020060034499A KR 20060034499 A KR20060034499 A KR 20060034499A KR 20070102819 A KR20070102819 A KR 20070102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tack
polymer
mixed injec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찬
김희탁
알렉산드로비치세로프 알렉세이
이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2819A/ko
Priority to US11/783,388 priority patent/US20070243453A1/en
Publication of KR2007010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2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as mix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08Organic or organo-metall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1Alloys or mixtures with metall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3Compounds thereof with non-metall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e.g. polyarylenes, polystyrenes or polybutadiene-sty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and oxygen, e.g. polyethers, 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s [S-PEEK], sulfonated polysaccharides, sulfonated celluloses or sulfonated 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carbon, oxygen and other atoms, e.g. sulfonated 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nitrogen, e.g. sulfonated polybenzimidazoles [S-PBI], polybenzimidazoles with phosphoric acid, sulfonated polyamides [S-PA] or sulfonated polyphosphazenes [S-PP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택은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막-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도전성 기재를 포함한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 및 도전성 기재는 다공성이며,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계 물질의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촉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은 전극으로의 연료 및 산화제의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이를 포함하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스택, 바이폴라 플레이트, 도전성 기재, 탄소계 물질.

Description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STACK FOR MIXED REACTANT FUEL CELL AND MIXED REACTANT FUEL CELL SYSTEM COMPRI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으로의 연료 및 산화제의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료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연료전지(Fuel cell)는 수소 또는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화제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연료전지의 대표적인 예로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직접 산화형 연료전지(Direct Oxidation Fuel Cell)를 들 수 있다. 상기 직접 산화형 연료전지에서 연료로 메탄올을 사용하는 경우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전지(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라 한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크고, 출력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수소 가스의 취급에 주의를 요하고 연료가스인 수소를 생산하기 위하여 메탄이나 메탄올 및 천연 가스 등을 개질하기 위한 연료 개질 장치 등의 부대 설비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직접 산화형 연료전지는 반응속도가 느려서 고분자 전해질형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고, 출력이 낮으며, 많은 양의 전극 촉매를 사용하여야 하나, 액체 상태인 연료의 취급이 용이하고 운전 온도가 낮으며 특히 연료 개질 장치를 필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스택은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와 세퍼레이터(Separator)(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로 이루어진 단위 셀이 수 개 내지 수십 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는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 하는 고분자 전해질 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일명, "연료극" 또는 "산화전극"이라 한다)과 캐소드 전극(일명, "공기극" 또는 "환원 전극"이라고 한다)이 접착된 구조를 가진다.
연료전지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원리는 연료가 연료극인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되어 애노드 전극의 촉매에 흡착되고, 연료가 산화되어, 수소 이온과 전자를 생성시키고, 이때 발생된 전자는 외부 회로에 따라 산화극인 캐소드 전극에 도달하며, 수소 이온은 고분자 전해질 막을 통과하여 캐소드 전극으로 전달된다. 캐소드 전극으로 산화제가 공급되고, 이 산화제, 수소 이온 및 전자가 캐소드 전극의 촉매 상에서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으로의 연료 및 산화제의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료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택을 포함하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막-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도전성 기재를 포함하는 혼합 주입형 연료전지용 스택을 제공한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 및 도전성 기재는 다공성이며,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계 물질의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촉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스택, 상기 스택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상기 스택으로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부를 포함하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 에탄올, 천연기체와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연료의 산화 반응과 산화제의 환원 반응을 통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어내는 발전 시스템으로, 일반적으로 연료 공급부, 스택 및 산화제 공급부로 구성된다.
그 중 스택은 연료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와 산화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산화제를 이용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대체로 수 개의 막-전극 어셈블리와 이들 사이를 분리시키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애노드 전극에서 발생한 수소 이온을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시키는 고분자 전해질 막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연료 전지의 반응에 필요한 연료와 산화제를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역할과 막-전극 어셈블리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는 애노드 전극으로, 산화제는 캐소드 전극으로 주입되는데, 연료와 산화제가 다른 전극으로 유입되면 연료 전지의 성능을 저해하는 반응들이 일어나게 되므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두어 상호간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달리,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는 애노드 전극에는 연료의 산화 반응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촉매를, 캐소드 전극에는 산화제의 환원 반응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연료와 산화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에 주입하더라도 애노드 전극에서는 연료의 산화 반응만이, 캐소드 전극에서는 산화제의 환원 반응만이 일어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는 종래 일반적인 연료 전지에서는 반드시 요구되던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필요 없게 되어, 연료 전지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연료 전지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반적인 연료 전지에서 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없앰에 따라,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에 있어서 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하는 새로운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다공성의 도전성 기재 및 막-전극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연료 및 산화제가 스택의 어느 일면으로 주입되더라도 도전성 기재 및 막-전극 어셈블리 내 기공을 통해 스택의 전 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에 탄소계 물질을 포함시킴으로써, 전극의 기공도을 높여 전극 내에서의 연료 및 산화제의 확산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결과 연료 전지의 전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10)은 적어도 하나의 막-전극 어셈블리(19),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도전성 기재(11)를 포함하며,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19) 및 도전성 기재(11)는 다공성이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19)는 고분자 전해질 막(15),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13) 및 캐소드 전극(17)을 포함하여, 상기 애노드 전극(13) 및 캐소드 전극(17)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계 물질의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촉매를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15)는 애노드 전극에서 생성된 수소 이온을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시키는 이온 교환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공성이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15)으로는 연료 전지에서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 사용되며, 수소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로 제조된 것은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측쇄에 술폰산기, 카르복실산기, 인산기, 포스포닌산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양이온 교환기를 갖고 있는 고분자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의 대표적인 예로는 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또는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일반적으로 나피온으로 시판됨),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폴리(2,5-벤즈이미다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의 수소 이온 전도성기에서 H를 Na, K, Li, Cs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으로 치환할 수도 있다. 측쇄 말단의 이온 교환기에서 H를 Na으로 치환하는 경우에는 촉매 조성물 제조시 NaOH를, 테트라부틸암모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를 사용하여 치환하며, K, Li 또는 Cs도 적절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치환할 수 있다. 이 치환 방법은 당해 분야에 널리 알려진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15)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10 내지 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혼합 주입형 연료전지에서는 연료의 크로스 오버(cross over)가 문제되지 않으므로, 수소 이온 전도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분자 전해질 막의 두께를 10 내지 10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15) 양면에는 애노드 전극(13) 및 캐소드 전극(17)이 위치하며, 이들 전극 역시 다공성이다.
상기 애노드 전극(13) 및 캐소드 전극(17)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계 물질의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촉매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는 관련 반응(연료의 산화 및 산화제의 환원)을 촉매적으로 도와주는 것으로, 상기 애노드 전극(13)에는 연료의 산화 반응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백금-루테늄 합금 촉매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소드 전극(17)에는 산화제의 환원 반응에 대한 선택성을 갖는 촉매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철-테트라페닐포르피린(Fe-tetraphenylporphyrin, Fe-TPP), 코발트-테트라페닐포르피린(Co-tetraphenylporphyrin, Co-TPP), 철-테트라메톡시페닐포르피린(Fe-tetramethoxyphenylporphyrin, Fe-TMPP), 코발트-테트라메톡시페닐포르피린(Co-tetramethoxyphenylporphyrin, Co-TMPP), 철-프탈로시아닌(Fe-phthalocyanine, Fe-PC), 코발트-프탈로시아닌(Co-phthalocyanine, Co-PC), Ru-S, Ru-Se, Ru-Mo-S, Ru-Mo-Se, Ru-W-S, Ru-W-S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촉매들이 산화제의 환원 반응에 대한 높은 활성과 선택성으로 인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철-테트라페닐포르피린(Fe-tetraphenylporphyrin, Fe-TPP), 코발트-테트라페닐포르피린(Co-tetraphenylporphyrin, Co-TPP), 철-테트라메톡시페닐포르피린(Fe-tetramethoxyphenylporphyrin, Fe-TMPP), 코발트-테트라메톡시페닐포르피린(Co-tetramethoxyphenylporphyrin, Co-TMPP), 철-프탈로시아닌(Fe-phthalocyanine, Fe-PC) 및 코발트-프탈로시아닌(Co-phthalocyanine, Co-PC)은 사용전 열처리 공정을 더 실시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13) 및 캐소드 전극(17)에 포함되는 촉매는 촉매 자체(black)로 사용할 수도 있고, 담체에 담지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담체로는 흑연, 덴카블랙, 케첸블랙, 아세틸렌 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파이버, 카본나 노와이어, 카본나노볼, 또는 활성탄소 등의 탄소계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 또는 티타니아 등의 무기물 미립자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탄소계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전극(13, 17)내에서 분산되어 골격, 즉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탄소계 물질이 네트워크를 형성함에 따라 네트워크 사이로 기공이 형성되고, 결과 전극(13, 17)내 다공성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탄소계 물질로는 카본 파이버, 기상 합성 카본 파이버, 카본 나노 튜브, 카본 나노 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파이버 또는 기상 합성 카본 파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전극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탄소계 물질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전극 내의 촉매 함량이 작아 전극의 활성이 떨어지며, 1중량% 미만일 경우 기공도 및 기공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 연료 및 산화제의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전극(13, 17)은 또한 고분자 전해질 막(15)과 전극의 접착력 향상 및 수소 이온의 전달을 위하여 바인더 수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수소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쇄에 술폰산기, 카르복실산기, 인산기, 포스포닌산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양이온 교환기를 갖고 있 는 고분자 수지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폴리(2,5-벤즈이미다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단일물 또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가능하며, 또한 선택적으로 고분자 전해질 막과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목적으로 비전도성 고분자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그 사용량은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 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thylene/tetrafluoroethylene(E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 로필렌의 코폴리머(PVdF-HFP), 도데실벤젠술폰산, 소르비톨(sorbitol)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공성의 막-전극 어셈블리(19)의 적어도 일면에는 다공성의 도전성 기재(11)가 위치한다.
상기 도전성 기재(11)는 전극(13, 17)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전극으로 연료 및 산화제를 확산시켜 전극으로 연료 및 산화제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공성이다.
상기 도전성 기재(11)로는 카본 페이퍼(carbon paper), 카본 클로쓰(carbon cloth), 카본 펠트(carbon felt) 또는 금속천(섬유 상태의 금속천으로 구성된 다공성의 필름 또는 고분자 섬유로 형성된 천의 표면에 금속 필름이 형성된 것(metalized polymer fiber)을 말함)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택(10)은 반응물 확산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도전성 기재(11)와 전극(13, 17) 사이에 미세 기공층(microporous layer: 미도시)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미세 기공층은 일반적으로 입경이 작은 도전성 분말, 예를 들어 탄소 분말,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활성 탄소, 카본 파이버, 플러렌(fullerene), 카본 나노 튜브, 카본 나노 와이어, 카본 나노 혼(carbon nano-horn) 또는 카본 나노 링(carbon nano r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 기공층은 도전성 분말,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전극 기재에 코팅하여 제조된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폴리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폴리퍼플루오로술포닐플루오라이드, 알콕시비닐 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코폴리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과 같은 알코올, 물,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술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돈,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코팅 공정은 조성물의 점성에 따라 스크린 프린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또는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한 코팅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택(10)으로 연료 및 산화제가 주입되면, 주입된 연료 및 산화제는 다공성의 고분자 전해질 막(15), 애노드 전극(13), 캐소드 전극(17) 및 도전성 기재(11)를 통해 스택(10)의 전 영역으로 확산된다. 애노드 전극(13) 및 캐소드 전극(17)에는 연료 및 산화제가 모두 전달되나, 애노드 전극(13)에는 연료의 산화 반응에 선택성을 갖는 촉매가 포함되므로 연료의 산화 반응만이 일어나며, 캐소드 전극(17)에는 산화제의 환원 반응에 선택성을 갖는 촉매가 포함되므로 산화제의 환원 반응만이 일어난다. 연료의 산화 반응을 통해 발생한 수소 이온은 고분자 전해질 막(15)을 통해 애노드 전극(13)에서 캐소드 전극(17)으로 이동하여 인접한 막-전극 어셈블리(19)의 애노드 전극(13)으로부터 전달된 전자 및 산화제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10)에 있어서, 도전성 기재(11) 및 막-전극 어셈블리(19)는 다공성이어서 연료 및 산화제가 스택의 어느 방향으로 주 입되더라도 연료 및 산화제는 스택 전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연료 및 산화제의 주입 방향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막-전극 어셈블리(19) 및 도전성 기재(11)와 직교하는 방향(A 방향, B 방향 등)뿐만 아니라, 막-전극 어셈블리(19) 및 도전성 기재(11)와 수평인 방향 (C 방향, D 방향 등) 및 비스듬히게 교차하는 방향 등 어떤 방향으로도 연료 및 산화제의 공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10)에는 연료 및 산화제의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막-전극 어셈블리(19) 또는 도전성 기재(11)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반응물 공급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연료 및 산화제는 반응물 공급 통로(12)를 통해 용이하게 스택(10) 내부로 공급된 후 다공성인 막-전극 어셈블리(19) 및 도전성 기(11)재의 기공을 통해 스택(10) 전 영역으로 확산되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 및 산화제의 공급 방향은 제한되지 않으므로 반응물 공급 통로(12)의 형성 방향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연료 및 산화제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연료 공급 통로 및 산화제 공급 통로를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은 상기 본 발명의 스택, 연료 공급부 및 산화제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 공급부는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산화제 공급부는 산화제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료로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또는 탄화수소 연료가 사용되며, 대표적인 탄화수소 연료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천연 가스를 들 수 있다. 상기 산화제로는 산소가 대표적이며, 산소 또는 공기를 산화제 공급부에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은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및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Direct Oxidation Fuel Cell)에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특히,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에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 및 산화제는 혼합되어 스택으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각기 스택의 다른 영역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다만, 고분자 전해질 막,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도전성 기재는 모두 다공성이어서, 상기의 어떤 방식으로 공급되더라도 연료 및 산화제는 스택의 전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 연료 및 산화제가 혼합되어 공급되는 경우, 본 발명의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은 연료 공급부로부터 공급 받은 연료와 산화제 공급부로부터 공급 받은 산화제를 혼합하여 스택으로 전달하는 반응물 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낸 구조는 연료 및 산화제를 펌프를 사용하여 스택(10)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확산 방식을 이용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구조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본 발명의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은 스택(10)과, 연료를 상기 스택(10)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20)와, 산화제를 상기 스택(10)으로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료를 공급하는 상기 연료 공급부(20)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21)와, 연료 탱크(21)에 연결 설치되는 연료 펌프(22)를 구비한다. 상기한 연료 펌프(22)는 소정의 펌핑력에 의해 연료 탱크(21)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스택(10)으로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부(30)는 소정의 펌핑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펌프(31)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은 반응물 혼합부(4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반응물 혼합부(40)는 산화제 공급부(30)로부터 전달된 산화제와 연료 공급부(20)로부터 전달된 연료를 혼합하여 스택(10)으로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택(10)으로 주입된 연료 및 산화제는 스택(10)의 전 영역으로 확산되며, 애노드 전극(13)에서 일어나는 연료의 산화 반응과, 캐소드 전극(17)에서 일어나는 산화제의 환원 반응을 통해 전기를 발생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르곤 가스 분위기에서 750℃의 온도로 4시간 동안 열처리한 카본 담지 철-테트라페닐포르피린 (Fe-tetraphenylporphyrin, Fe-TPP) 0.34g, 5중량% 폴리퍼플루오로설포네이트 바인더 2.08g, 기상 합성 카본 파이버(vapor grown carbon fiber) 0.03g 및 이소프로필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혼합비 9:1) 7.4ml를 혼합하여 캐소드용 촉매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캐소드용 촉매 슬러리를 카본 페이퍼 도전성 기재 위에 코팅한 후 건조하여 도전성 기재위에 캐소드 전극을 형성하였다.
백금-루테늄 블랙 0.34g, 폴리퍼플루오로설포네이트 바인더 2.08g, 기상 합성 카본 파이버(vapor grown carbon fiber) 0.03g 및 이소프로필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혼합비 9:1) 7.4ml를 혼합하여 제조한 애노드용 촉매 슬러리를 별도의 도전성 기재위에 코팅한 후 건조하여 애노드 전극을 형성하였다.
상기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이 형성된 도전성 기재를 다공성의 퍼플루오로설폰산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각각 위치시킨 후 125℃에서 200kgf/㎠의 압력으로 3분간 열압착하여 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캐소드용 촉매 슬러리 제조시 기상 합성 카본 파이버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단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단전지에 대하여 출력 밀도를 측정하였다. 1mol/L 농도의 메탄올 용액과 공기의 혼합물을 캐소드에 주입하고, 캐소드에서 나오는 생성물을 다시 애노드로 주입하여 혼합 주입 상태에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전극 제조시 카본 파이버를 첨가한 실시예 1의 단전지가 비교예 1의 단전지에 비해 훨씬 우수한 출력 밀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은 전극으로의 연료 및 산화제의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이를 포함하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막-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도전성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 및 도전성 기재는 다공성이며,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계 물질의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촉매를 포함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 파이버, 기상 합성 카본 파이버, 카본 나노 튜브, 카본 나노 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 파이버 또는 기상 합성 카본 파이버인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은 전극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은 전극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은 백금-루테늄 합금 촉매를 포함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은 철-테트라페닐포르피린(Fe-tetraphenylporphyrin, Fe-TPP), 코발트-테트라페닐포르피린(Co-tetraphenylporphyrin, Co-TPP), 철-테트라메톡시페닐포르피린(Fe-tetramethoxyphenylporphyrin, Fe-TMPP), 코발트-테트라메톡시페닐포르피린(Co-tetramethoxyphenylporphyrin, Co-TMPP), 철-프탈로시아닌(Fe-phthalocyanine, Fe-PC), 코발트-프탈로시아닌(Co-phthalocyanine, Co-PC), Ru-S, Ru-Se, Ru-Mo-S, Ru-Mo-Se, Ru-W-S, Ru-W-S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철-테트라페닐포르피린, 코발트-테트라페닐포르피린, 철-테트라메톡시페닐포르피린, 코발트-테트라메톡시페닐포르피린, 철-프탈로시아닌, 및 코발트-프탈로시아닌은 열처리된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측쇄에 설폰산기, 카르복실산기, 인산기, 포스포닌산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양이온 교환기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은 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및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플루오로비닐에 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폴리(2,5-벤즈이미다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기재는 카본 페이퍼(carbon paper), 카본 클로쓰(carbon cloth), 카본 펠트(carbon felt), 금속 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은 막-전극 어셈블리 또는 도전성 기재를 관통하는 반응물 공급 통로를 포함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택;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부
    를 포함하는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은 반응물 혼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은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인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은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인 것인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060034499A 2006-04-17 2006-04-17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70102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499A KR20070102819A (ko) 2006-04-17 2006-04-17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US11/783,388 US20070243453A1 (en) 2006-04-17 2007-04-09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mixed reactant fuel cell and mixed reactant fuel cell system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499A KR20070102819A (ko) 2006-04-17 2006-04-17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819A true KR20070102819A (ko) 2007-10-22

Family

ID=3860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499A KR20070102819A (ko) 2006-04-17 2006-04-17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243453A1 (ko)
KR (1) KR200701028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9310A (zh) * 2019-08-12 2019-11-08 上海元城汽车技术有限公司 改性全氟磺酸复合膜及其制备方法、燃料电池以及电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259001A (en) * 2000-03-24 2001-10-08 Scient Generics Ltd Mixed reactant fuel cells with flow through porous electrodes
JP4974403B2 (ja) * 2000-05-31 2012-07-11 日本ゴア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US6663997B2 (en) * 2000-12-22 2003-12-16 Ballard Power Systems Inc. Oxidant flow field for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6632553B2 (en) * 2001-03-27 2003-10-14 Mti Microfuel Cell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effluent products in a fuel cell system
KR100397611B1 (ko) * 2001-03-31 2003-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소이온교환 연료전지 스택
US6794071B2 (en) * 2001-06-14 2004-09-21 Mti Microfuel Cel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ly increasing power output from a direct oxidation fuel cell
JP3850721B2 (ja) * 2001-12-03 2006-1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制御方法
FR2845824B1 (fr) * 2002-10-11 2005-06-1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ource d'energie electrique comportant une pile a combustible sans rejet de matiere vers l'exterieur et procede de controle d'une telle source d'energie
RU2230400C1 (ru) * 2002-11-18 2004-06-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депендент Пауэр Технолоджис" "ИПТ" Спиртово-воздушный топливный элемент
KR100528340B1 (ko) * 2003-10-01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체연료 혼합장치 및 이를 적용한 직접액체연료 전지
US20050074656A1 (en) * 2003-10-03 2005-04-07 Hitachi Maxell, Ltd. Fuel cell, electronic appliance and business method
US20050084737A1 (en) * 2003-10-20 2005-04-21 Wine David W. Fuel cells having cross directional laminar flowstreams
KR100571821B1 (ko) * 2003-10-22 2006-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및 이를 장착한 휴대용 컴퓨터
US9346673B2 (en) * 2004-06-23 2016-05-24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for fuel 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electrode
WO2006003943A1 (ja) * 2004-06-30 2006-01-12 Tdk Corporation 直接アルコール型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34630A (ja) * 2004-11-04 2006-05-25 Honda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電極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43453A1 (en)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961B1 (ko) 연료 전지용 담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촉매,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시스템
KR100658688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100717790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101319377B1 (ko) 연료 전지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70106200A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0953617B1 (ko) 연료 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JP2007335407A (ja)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システム
KR20080111906A (ko)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이를 포함하는 혼합주입형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혼합 주입형 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098136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20070099120A (ko) 연료 전지용 애노드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959117B1 (ko) 연료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709198B1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직접산화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45461A (ko)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110002127A (ko)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택
KR100778437B1 (ko)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70099935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20090032772A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0728188B1 (ko)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70102819A (ko)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70103569A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41846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696672B1 (ko)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759435B1 (ko) 연료 전지용 촉매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어셈블리
KR20070099121A (ko) 연료 전지용 애노드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13101A (ko) 연료 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