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029A -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029A
KR20070095029A KR1020060025172A KR20060025172A KR20070095029A KR 20070095029 A KR20070095029 A KR 20070095029A KR 1020060025172 A KR1020060025172 A KR 1020060025172A KR 20060025172 A KR20060025172 A KR 20060025172A KR 20070095029 A KR20070095029 A KR 2007009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package
circuit film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태
고춘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5029A/ko
Priority to CNA2007100891114A priority patent/CN101043770A/zh
Priority to US11/688,342 priority patent/US20070216299A1/en
Publication of KR2007009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2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in the same plane, e.g. auxiliary printed circuit insert mounted in a main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조립체, 상기 표시판 조립체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판 조립체 위에 부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판 조립체 위에 부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패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패키지의 중앙부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입력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중앙부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입력부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TCP, FPC, 본딩, 집적 회로 칩,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DI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단면의 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판 조립체와 인쇄 회로 기판의 연결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Ⅶ-Ⅶ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판 조립체와 인쇄 회로 기판의 연결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30, 60: 구동 패키지 30a, 60a: 입력부
30b, 60b: 출력부 40, 50: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31: 베이스 필름 32, 62: 구동 회로 칩
33: 배선 34, 41, 51: 보호막
35: 연결 부재 41, 51: 도전층
110: 기판 124: 제어 단자 전극
140: 절연막 154: 반도체
163, 165: 접촉 부재 173: 입력 단자 전극
175: 출력 단자 전극 180: 보호막
185: 접촉 구멍 191: 화소 전극
270: 공통 전극 300: 표시판
361: 격벽 370: 유기 발광 부재
400: 주사 구동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신호 제어부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의 경량화 및 박형화에 따라 표시 장치도 경량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이 평판 표시 장치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능동형 평판 표시 장치에서는 복수의 화소가 행렬 형태로 배열되며, 주어진 휘도 정보에 따라 각 화소의 광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형광성 유기 물질을 전기적으로 여기 발광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자기 발광형이고 소비 전력이 작으며, 시야각이 넓고 화소의 응답 속도가 빠르므로 고화질의 동영상을 표시하기 용이하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이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구비한다. 이 구동 트랜지스터는 활성층(active layer)의 종류에 따라 다결정 규소(poly silicon) 박막 트랜지스터와 비정질 규소(amorphous silicon) 박막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분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크기가 커질수록 동일한 밝기를 표현하는데 소비되는 전류가 증가하므로 공급할 수 있는 전류양이 표시의 균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및 구동 패키지를 통하여 각종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된다. 따라서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및 구동 패키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판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과 구동 패키지는 전달하는 신호가 다르고 이에 따라 그 두께가 다르므로 동일한 공정으로 간단하게 표시판 또는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동 패키지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부착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조립체, 상기 표시판 조립체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판 조립체 위에 부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판 조립체 위에 부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패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패키지의 중앙부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입력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중앙부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입력부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구동 패키지의 중앙부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출력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중앙부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출력부까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출력부의 부착 영역과 상기 구동 패키지의 출력부의 부착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패키지와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사이의 거리 Z는, Z>X+Y(X: 상기 구동 패키지 부착 영역의 가장자리의 길이, Y: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부착 영역의 가장자리의 길이)를 충족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중 어느 하나는 공통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중 어느 하나는 구동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패키지는 주사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패키지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판 조립체와 구동 패키지의 출력부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표시판 조립체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출력부를 부착하는 단계,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구동 패키지의 입력부를 부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입력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패키지의 중앙부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입력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중앙부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입력부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조 립체, 상기 표시판 조립체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판 조립체 위에 부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판 조립체 위에 부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패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패키지의 입력부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입력부보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안쪽에 위치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판(display panel)(300)과 이에 연결된 주사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표시판(300)은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표시 신호선(G1-Gn, D1-Dm)과 복수의 구동 전압선(도시하지 않음) 및 이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ixel)(PX)를 포함한다.
표시 신호선(G1-Gn, D1-Dm)은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 신호선(G1-Gn)과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주사 신호선(G1-G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분리되어 있고 거의 평행하다.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분리되어 있고 거의 평행하다.
구동 전압선은 각 화소(PX)에 구동 전압(Vdd)을 전달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PX), 예를 들면 주사 신호선(Gi)과 데이터선(Dj)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LD), 구동 트랜지스터(Qd), 축전기(Cst), 그리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Qs) 및 축전기(Cst)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Vdd)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LD)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도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 및 입력 단자는 각각 주사 신호선(Gi) 및 데이터선(Dj)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축전기(Cst) 및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연결되어 있다.
축전기(Cst)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와 구동 전압(Vdd)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칭 트랜지스터(Qs)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여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LD)의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는 각각 구동 트랜지스터(Qd)와 공통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LD)는 구동 트랜지스터(Qd)가 공급하는 전류(ILD)의 크기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전류(ILD)의 크기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의 전압(Vgs)의 크기에 의존한다.
스위칭 및 구동 트랜지스터(Qs, Qd)는 비정질 규소 또는 다결정 규소를 포함하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들 트랜지스터(Qs, Qd)는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와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는 서로 상보형(complementary)이므로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의 동작과 전압 및 전류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의 그것과 반대 가 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트랜지스터(Qd)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LD)의 구조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단면의 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개략도이다.
절연 기판(110) 위에 제어 단자 전극(control electrode)(12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단자 전극(124)은 알루미늄(Al)과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은(Ag)과 은 합금 등 은 계열의 금속, 구리(Cu)와 구리 합금 등 구리 계열의 금속, 몰리브덴(Mo)과 몰리브덴 합금 등 몰리브덴 계열의 금속, 크롬(Cr), 티타늄(Ti), 탄탈륨(Ta) 따위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어 단자 전극(124)은 물리적 성질이 다른 두 개의 도전막(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중 한 도전막은 신호 지연이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도록 낮은 비저항(resistivity)의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계열 금속, 은 계열 금속, 구리 계열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다. 이와는 달리, 다른 도전막은 다른 물질, 특히 ITO(indium tin oxide) 및 IZO(indium zinc oxide)와의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접촉 특성이 우수한 물질, 이를테면 몰리브덴 계열 금속, 크롬, 티타늄, 탄탈륨 등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조합의 좋은 예로는 크롬 하부막과 알루미늄 (합금) 상부막 및 알루미늄 (합금) 하부막과 몰리브덴 (합금) 상부막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제어 단자 전극(124)은 다양한 여러 가지 금속과 도전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어 단자 전극(124)은 기판(110) 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그 경사각은 30-80°이다.
제어 단자 전극(124) 위에는 질화규소(SiNx) 따위로 만들어진 절연막(insulating layer)(14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140) 위에는 수소화 비정질 규소(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비정질 규소는 약칭 a-Si로 씀) 또는 다결정 규소(polycrystalline silicon) 등으로 이루어진 반도체(154)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154) 위에는 실리사이드(silicide) 또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n+ 수소화 비정질 규소 따위의 물질로 만들어진 한 쌍의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163, 165)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154)와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의 측면은 기판(110) 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경사각은 30-80°이다.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 및 절연막(140) 위에는 입력 단자 전극(input electrode)(173)과 출력 단자 전극(output electrode)(175)이 형성되어 있다. 입력 단자 전극(173)과 출력 단자 전극(175)은 크롬, 몰리브덴 계열의 금속, 탄탈륨 및 티타늄 등 내화성 금속(refractory metal)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화성 금속 따위의 하부막(도시하지 않음)과 그 위에 위치한 저저항 물질 상부막(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막 구조의 예로는 크롬 또는 몰리브덴 (합금) 하부막과 알루미늄 상부막의 이중막, 몰리브덴 (합금) 하부막 - 알루미늄 (합금) 중간막 - 몰리브덴 (합금) 상부막의 삼중막을 들 수 있다. 입력 단자 전극(173)과 출력 단자 전극(175)도 제어 단자 전극(124)과 마찬가지로 그 측면이 약 30-80°의 각도로 각각 경사져 있다.
입력 단자 전극(173)과 출력 단자 전극(175)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어 단자 전극(124)을 기준으로 양쪽에 위치한다. 제어 단자 전극(124), 입력 단자 전극(173) 및 출력 단자 전극(175)은 반도체(154)와 함께 구동 트랜지스터(Qd)를 이루며, 그 채널(channel)은 입력 단자 전극(173)과 출력 단자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154)에 형성된다.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는 그 하부의 반도체(154)와 그 상부의 입력 단자 전극(173) 및 출력 단자 전극(175) 사이에만 존재하며 접촉 저항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반도체(154)에는 입력 단자 전극(173)과 출력 단자 전극(175)으로 덮이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다.
입력 단자 전극(173) 및 출력 단자 전극(175)과 노출된 반도체(154) 부분 및 절연막(140) 위에는 보호막(passivation layer)(18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은 질화 규소(SiNx)나 산화 규소(SiO2) 따위의 무기 절연물, 유기 절연물, 저유전율 절연물 따위로 만들어진다. 저유전율 절연물의 유전 상수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마 화학 기상 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으로 형성되는 a-Si:C:O, a-Si:O:F 등이 그 예이다. 유기 절연물 중 감광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호막(180)을 만들 수도 있으며, 보호막(180)의 표면은 평탄할 수 있다. 또한 보호막(180)은 반도체(154)의 노출된 부분을 보호하면 서도 유기막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하부 무기막과 상부 유기막의 이중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막(180)에는 출력 단자 전극(175)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contact hole)(185)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전극(191)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은 접촉 구멍(185)을 통하여 출력 단자 전극(175)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ITO 또는 IZO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알루미늄 또는 은 합금의 반사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또한 격벽(361)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361)은 화소 전극(191) 주변 영역주변을 둑(bank)처럼 둘러싸서 개구부(opening)를 정의하며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다.
화소 전극(191) 위에는 유기 발광 부재(3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 부재(370)는 격벽(360)으로 둘러싸인 개구부에 갇혀 있다.
유기 발광 부재(37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층(emitting layer)(EML) 외에 발광층(EML)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대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진다. 부대층에는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ET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HTL)과 전자와 정공의 주입을 강화하기 위한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EIL) 및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HIL)이 있다. 부대층은 생략될 수 있다.
격벽(361) 및 유기 발광 부재(370) 위에는 공통 전압(Vss)이 인가되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70)은 칼슘(Ca), 바륨(Ba), 알루미늄 (Al), 은(Ag) 등을 포함하는 반사성 금속 또는 ITO 또는 IZO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만들어진다.
불투명한 화소 전극(191)과 투명한 공통 전극(270)은 표시판(300)의 상부 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전면 발광(top emission)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하며, 투명한 화소 전극(191)과 불투명한 공통 전극(270)은 표시판(300)의 아래 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한다.
화소 전극(191), 유기 발광 부재(370) 및 공통 전극(270)은 도 2에 도시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LD)를 이루며, 화소 전극(191)이 애노드, 공통 전극(270)이 캐소드가 되거나 반대로 화소 전극(191)이 캐소드, 공통 전극(191)이 애노드가 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LD)는 유기 발광 부재(370)의 재료에 따라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한 색상의 빛을 낸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의 삼원색을 들 수 있으며 삼원색의 공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을 표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주사 구동부(400)는 주사 신호선(G1-Gn)에 연결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턴 온시킬 수 있는 고전압(Von)과 턴 오프시킬 수 있는 저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사 신호를 주사 신호선(G1-Gn)에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신호 제어부(600)는 주사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 등의 동작을 제어하며, 입력 영상 데이터(R, G, B)를 보정한다.
주사 구동부(400) 또는 데이터 구동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표시판(3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되어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표시판(3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주사 구동부(400) 또는 데이터 구동부(500)가 표시판(3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또는 데이터 구동부(500)와 신호 제어부(600) 등은 하나의 IC(one chip)에 집적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60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R, G, 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제공받는다. 신호 제어부(600)는 입력 영상 데이터(R, G, B)와 입력 제어 신호를 기초로 입력 영상 데이터(R, G, B)를 보정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DAT)를 생성하고 주사 제어 신호(CONT1) 및 데이터 제어 신호(CONT2) 등을 생성한 후, 주사 제어 신호(CONT1)를 주사 구동부(400)로 내보내고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와 출력 영상 데이터(DAT)는 데이터 구동부(500)로 내보낸다.
주사 제어 신호(CONT1)는 고전압(Von)의 주사 시작을 지시하는 주사 동기 시작 신호(STV)와 고전압(Von)의 출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록 신호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한 화소 행의 데이터 전송을 알리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STH)와 데이터선(D1-Dm)에 해당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라는 로드 신호(LOAD) 및 데이터 클록 신호(HCLK)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신호 제어부(60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한 행의 화소에 대한 영상 데이터(DAT)를 차례로 입력받아 각 영상 데이터(DAT)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 후 이를 해당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주사 구동부(400)는 신호 제어부(600)로부터의 주사 제어 신호(CONT1)에 따라 주사 신호를 주사 신호선(G1-Gn)에 인가하여 이 주사 신호선(G1-Gn)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턴 온시키며, 이에 따라 데이터선(D1-Dm)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이 턴 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통하여 해당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에 인가된다.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축전기(Cst)에 충전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s)가 오프되더라도 충전된 전압은 유지된다.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온이 되며, 이 전압에 의존하는 전류(ILD)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전류(ILD)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LD)에 흐르면서 해당 화소(PX)는 영상을 표시한다.
1 수평 주기(또는 "1H")[수평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한 주기]가 지나면 데이터 구동부(500)와 주사 구동부(400)는 다음 행의 화소(PX)에 대하여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프레임(frame) 동안 모든 주사 신호선(G1-Gn)에 대하여 차례로 주사 신호를 인가하여, 모든 화소(PX)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한다. 한 프레임이 끝나면 다음 프레임이 시작되고 다음 프레임에서도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여러 가지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판(300)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표시판(300)은 복수의 화소가 구비되어 영상을 실질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영역(310)을 구비한다. 유기 발광 표시판(300) 중 표시 영역(310) 이외의 주변 영역 공간(가장 자리)은 표시판(300)을 구동하기 위한 여러 가지 부재를 부착하는 부분이다.
유기 발광 표시판(300)의 상부 주변 영역에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 패키지(30)가 부착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 표시판(300)의 측부 주변 영역에는 복수의 주사 구동 패키지(60)가 부착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 패키지(30) 및 주사 구동 패키지(60)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과 그 위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회로 칩을 포함하며,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ilm)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가 표시판(300)에 직접 장착되거나, 표시판(3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복수의 데이터 구동 패키지(30)의 사이, 주사 구동 패키지(60)의 사이 및 유기 발광 표시판(300)의 하부 주변 영역에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FPC)(40, 50)이 부착되어 있다.
도 5에서는 데이터 구동 패키지(30) 또는 주사 구동 패키지(60)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60)과 함께 표시판(300)의 다른 가장자리에도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판(300)의 좌우 주변 영역 모두에 주사 구동 패키지(60)를 부착하였으나 어느 한 측부에만 주사 구동 패키지(60)를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60)과 함께 부착하고 나머지 한 측부에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만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Ⅶ-Ⅶ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구동 패키지(30, 60)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은 표시판(300) 및 인쇄 회로 기판(900)에 부착되어 이들을 연결한다. 구동 패키지(30, 60)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각종 제어 신호 등을 받은 다음 데이터 전압 등을 표시판(300)에 인가한다.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60)은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구동 전압(Vdd) 또는 공통 전압(Vss)을 받아 표시판(300)에 전달한다.
구동 전압(Vdd)은 주로 표시판(300)의 상하 방향으로 흐르고, 공통 전압 (Vss)은 표시판(300)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판(300)의 상부 및 하부 주변 영역에는 구동 전압(Vdd)을 전달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및 공통 전압(Vss)을 전달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50)이 모두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측부 주변 영역에는 공통 전압(Vss)를 전달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50) 만이 부착될 수 있다.
구동 패키지(30)는 베이스 필름(31), 베이스 필름(31) 위에 실장되어 있는 구동 집적 회로 칩(32), 베이스 필름(3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33)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31)은 구동 패키지(30)의 지지체로서 그 형태를 유지시키며 배선(33) 등을 보호한다. 베이스 필름(31)은 절연성 및 가요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동 회로 칩(32)은 베이스 필름(31)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 회로 칩(32)은 유기 발광 표시판(300)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칩이다. 구동 회로 칩(32)은 유기 발광 표시판(300)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 칩일 수도 있다.
배선(33)은 범프 등의 연결 부재(35)를 통하여 구동 회로 칩(32)과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스 필름(31) 위에 구동 회로 칩(32)으로부터 양 쪽 끝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선(33)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호를 전달한다. 도 7에서 배선(33)은 베이스 필름(31)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필름(31) 아래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 패키지(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쪽 끝(이하, 입력단이라한다)(30a)은 인쇄 회로 기판(900)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하, 출력단이라 한다)(30b)은 유기 발광 표시판(300)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패키지(300)는 인쇄 회로 기판(900)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는 각종 구동부(400, 500, 600)의 제어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유기 발광 표시판(300)에 전달한다.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은 유기 발광 표시판(300)을 구동하는 공통 전압(Vss) 또는 구동 전압(Vdd)을 전달하는 도전층(41, 51) 및 도전층(41, 51)을 보호하는 보호막(42, 52)을 포함한다.
공통 전압(Vss) 또는 구동 전압(Vdd)을 전달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두께(H1)은 데이터 전압 또는 게이트 전압을 전달하는 구동 패키지(30)의 두께(H2)보다 두껍다.
구동 패키지(30)의 중앙부, 즉 구동 회로 칩(32)에서 입력단(30a) 까지의 길이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중앙부에서 인쇄 회로 기판(900)까지의 길이보다 길며, 구동 패키지(30)의 중앙부, 즉 구동 회로 칩(32)에서 출력단(30b)까지의 길이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중앙부에서 유기 발광 표시판(300)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즉, 유기 발광 표시판(300) 및 인쇄 회로 기판(900)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 패키지(30)의 길이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판(300) 및 인쇄 회로 기판(900) 위에 구동 패키지(30)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이 부착되는 위치는 서로 다르다. 유기 발 광 표시판(300) 위에 구동 패키지가 부착되는 영역(71)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30, 40)이 부착되는 영역(72) 보다 표시판(300)의 안쪽에 위치하고, 인쇄 회로 기판(900) 상에 구동 패키지(30)가 부착되는 영역(73)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30, 40)이 부착되는 영역(74) 보다 인쇄 회로 기판(900)의 안쪽에 위치한다.
이제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연 기판(110) 위에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화소 전극 및 발광 소자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표시 영역(도시하지 않음)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영역(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판(300)을 제조한다.
주변 영역에 구동 패키지(30)의 한 쪽 끝을 정렬한다. 그 후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사이에 두고 본딩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압력을 가하여 구동 패키지(30)을 유기 발광 표시판(300)에 부착한다. 복수의 구동 패키지(30)는 각각 따로 정렬, 압착을 행하여 더욱 정밀한 공정을 이루어지도록 한다.이방성 도전 필름은 수지 속에 도전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 도전 입자를 통하여 구동 패키지(30)과 표시판(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 후 주변 영역에 복수의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한 쪽 끝을 정렬하고,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사이에 두고 압력을 가하여 복수의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을 유기 발광 표시판(300)에 부착한다. 역시, 복수의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와 표시판(300)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복수의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부착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어서, 인쇄 회로 기판(900)에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다른 쪽 끝을 정렬하고,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이에 두고 압력을 가하여 인쇄 회로 기판(900)에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을 부착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900)에 구동 패키지(30)의 다른 쪽 끝을 정렬하고,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이에 두고 압력을 가하여 인쇄 회로 기판(900)에 구동 패키지(30)을 부착한다. 여기서도, 구동 패키지(30)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부착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패키지(30)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길이가 서로다르므로 표시판(300) 및 인쇄 회로 기판(900) 위에 구동 패키지(30)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을 부착하는 단계를 서로 분리되어 수행된다. 만일 구동 패키지(30)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을 동시에 압착하면, 각각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압착은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패키지(30)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두께가 서로 다르더라도 두 가지 모두 부착 과정을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역시 유기 발광 표시판(300), 인쇄 회로 기판(900) 및 이들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구동 패키지(60)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도 8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구동 패키지(60)는 중앙부, 즉 구동 회로 칩(62)에서 출력단(60b)까지의 길이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중앙부에서 입력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하다. 즉 표시판(300) 위에 구동 패키지(60)가 부착되는 영역(75)과 표시판(300) 위에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이 부착되는 영역(76)은 실질적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구동 패키지(60) 및 이와 이웃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은 일정 거리를 유지하고 부착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구동 패키지(60) 및 구동 패키지(60)와 이웃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사이의 거리(Z)는 다음 수학식을 만족한다.
Z>X+Y
여기서 X는 표시판(300) 위에 구동 패키지(60)를 부착하기 위한 본딩 장치가 접촉하는 영역(75)의 가장 자리부, 즉 부착 영역(75) 중 구동 패키지(60)와 중첩하지 않는 부분 중 표시판(300)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이다. Y는 표시판(300) 위에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을 부착하기 위한 본딩 장치가 접촉하는 영역(76)의 가장자리부, 즉 부착 영역(75) 중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와 중첩하지 않는 부분 중 표시판(300)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이다.
이와 같이 구동 패키지(60)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둠으로써, 구동 패키지(60)의 부착 영역(75)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의 부착 영역(76)은 중첩하지 않는다.
인쇄 회로 기판(900) 위에 부착되는 구동 패키지(60)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의 부분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제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연 기판(110) 위에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화소 전극 및 발광 소자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표시 영역(도시하지 않음)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영역(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판(300)을 제조한다.
주변 영역에 구동 패키지(60)의 한 쪽 끝을 정렬한다. 그 후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사이에 두고 본딩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압력을 가하여 구동 패키지(60)을 유기 발광 표시판(300)에 부착한다. 이어서, 주변 영역에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한 쪽 끝을 정렬하고,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사이에 두고 압력을 가하여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을 유기 발광 표시판(300)에 부착한다. 이 때 구동 패키지(60)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은 서로 충분하게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패키지(60)의 중앙부에서 출력단(60b)까지의 거리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의 중앙부에서 출력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더라도, 서로 두께가 다른 구동 패키지(60)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부착 공정이 서로 영향받지 않는다. 이로써, 구동 패키지(60)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 각각을 완전하게 부착하면서도, 부착 영역의 전체 폭(W2)을 도 6의 경우의 부착 영역 폭(W1)보다 줄일 수 있다.
이어서, 인쇄 회로 기판(900)에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다른 쪽 끝을 정렬하고,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이에 두고 압력을 가하여 인쇄 회로 기판(900)에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을 부착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900)에 구동 패키지(30)의 다른 쪽 끝을 정렬하고,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이에 두고 압력을 가하여 인쇄 회로 기판(900)에 구동 패키지(30)을 부착한다. 여기서, 구동 패키지(30)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40, 50)의 부착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패키지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부착 공정을 보다 간단히 하면서도, 부착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조립체,
    상기 표시판 조립체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판 조립체 위에 부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판 조립체 위에 부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패키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패키지의 중앙부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입력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중앙부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입력부까지의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중앙부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출력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중앙부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출력부까지의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출력부의 부착 영역과 상기 구동 패키지의 출력부의 부착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와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사이의 거리 Z는,
    Z>X+Y
    (X: 상기 구동 패키지 부착 영역의 가장자리의 길이, Y: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부착 영역의 가장자리의 길이)
    를 충족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중 어느 하나는 공통 전압을 전달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중 어느 하나는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는 주사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표시판 조립체와 구동 패키지의 출력부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표시판 조립체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출력부를 부착하는 단계,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구동 패키지의 입력부를 부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입력부를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패키지의 중앙부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입력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중앙부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입력부까지의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중앙부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출력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중앙부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출력부까 지의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출력부의 부착 영역과 상기 구동 패키지의 출력부의 부착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와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사이의 거리 Z는,
    Z>X+Y
    (X: 상기 구동 패키지 부착 영역의 가장자리의 길이, Y: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부착 영역의 가장자리의 길이)
    를 충족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조립체,
    상기 표시판 조립체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판 조립체 위에 부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판 조립체 위에 부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패키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패키지의 입력부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입력부보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안쪽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의 입력부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입력부보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안쪽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의 출력부의 부착 영역과 상기 구동 패키지의 출력부의 부착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구동 패키지와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사이의 거리 Z는,
    Z>X+Y
    (X: 상기 구동 패키지 부착 영역의 가장자리의 길이, Y: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부착 영역의 가장자리의 길이)
    를 충족하는
    표시 장치.
KR1020060025172A 2006-03-20 2006-03-20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95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172A KR20070095029A (ko) 2006-03-20 2006-03-20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A2007100891114A CN101043770A (zh) 2006-03-20 2007-03-19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1/688,342 US20070216299A1 (en) 2006-03-20 2007-03-2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172A KR20070095029A (ko) 2006-03-20 2006-03-20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029A true KR20070095029A (ko) 2007-09-28

Family

ID=3851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172A KR20070095029A (ko) 2006-03-20 2006-03-20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216299A1 (ko)
KR (1) KR20070095029A (ko)
CN (1) CN1010437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888B1 (ko) * 2005-08-04 2012-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구동 필름, 구동 패키지 및 이를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07414B1 (ko) * 2008-01-18 2009-07-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907415B1 (ko) * 2008-01-18 2009-07-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916911B1 (ko) * 2008-01-18 2009-09-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TWI424411B (zh) * 2009-12-31 2014-01-21 Au Optronics Corp 電致發光裝置
KR101084241B1 (ko) * 2010-01-05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11341B1 (ko) * 2010-12-09 2017-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514673B2 (en) 2012-11-22 2016-12-0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46864B1 (ko) * 2013-03-13 2019-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CN104464582B (zh) * 2014-12-04 2017-02-01 昆山精讯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oled面板的压接治具
US10566976B2 (en) 2016-09-19 2020-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lementary logic circuit and application to thin-film hybrid electronics
KR20180075872A (ko) 2016-12-27 2018-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회로 기판 모듈,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용 회로 기판 모듈의 제조 방법
WO2024020855A1 (zh) * 2022-07-27 2024-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印刷电路板、包括该印刷电路板的显示设备和图像显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199A (en) * 1993-01-27 1997-01-07 Sharp Kabushiki Kaisha Assembly structure of a flat type device including a panel having electrode terminals disposed on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6089442A (en) * 1996-04-10 2000-07-18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de connection method
US6052172A (en) * 1996-05-29 2000-04-18 Enplas Corporation Contacting device for display panel
US6525718B1 (en) * 1997-02-05 2003-02-25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6064116A (en) * 1997-06-06 2000-05-16 Micron Technology, Inc. Device for electrically or thermally coupling to the backsides of integrated circuit dice in chip-on-board applications
JPH10340070A (ja) * 1997-06-09 1998-12-22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063831B2 (ja) * 1997-08-11 2000-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464599B2 (ja) * 1997-10-06 2003-11-1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H11133926A (ja) * 1997-10-30 1999-05-21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808224B2 (ja) * 1998-12-02 2006-08-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0321599A (ja) * 1999-05-10 2000-11-2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508837B2 (ja) * 1999-12-10 2004-03-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表示装置、液晶コントローラ、ビデオ信号伝送方法
TW538395B (en) * 2000-11-15 2003-06-21 Toshiba Corp Display device
JP4088422B2 (ja) * 2001-04-26 2008-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データの伝送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840235B1 (ko) * 2001-08-29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3149665A (ja) * 2001-11-08 2003-05-2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7508479B2 (en) * 2001-11-15 2009-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3157020A (ja) * 2001-11-22 2003-05-30 Advanced Display Inc フレキシブル基板の実装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0531246B1 (ko) * 2003-06-23 2005-11-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피모스소자의 누설전류 저감을 위한 평판디스플레이장치및 그 신호인가방법
JP2005062582A (ja) * 2003-08-18 2005-03-10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4583052B2 (ja) * 2004-03-03 2010-11-17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101119729B1 (ko) * 2004-12-31 2012-03-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765399B1 (ko) * 2005-02-15 2007-10-1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체의 표시 모듈과, 이것에 사용되는 패널 유닛 및 화상제어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16299A1 (en) 2007-09-20
CN101043770A (zh)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88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구동 필름, 구동 패키지 및 이를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70095029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TWI410912B (zh) 顯示器裝置及其驅動方法
US7742025B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710366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384687B2 (en) Device display
JP5111779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800417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a power line in a non-pixel region
KR2007001940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구동 필름, 구동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표시 장치
US20080106532A1 (en) Display device
US2007007595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7936432B2 (en) Display device
US20070126683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20060158397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20060110668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60083101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77276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053039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80046418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7021629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200992A1 (en) LCD display device having dummy pixels
KR2008003853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70062742A (ko) 표시 장치
KR2007006337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구동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 장치
KR20070037036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