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762A -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762A
KR20070093762A KR1020060024088A KR20060024088A KR20070093762A KR 20070093762 A KR20070093762 A KR 20070093762A KR 1020060024088 A KR1020060024088 A KR 1020060024088A KR 20060024088 A KR20060024088 A KR 20060024088A KR 20070093762 A KR20070093762 A KR 20070093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hape
mold
plate
shap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7192B1 (ko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19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8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unfavourable weather influe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성형기의 고정부에 설치되는 고정측판과, 일면에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형상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판에 설치되는 제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부에 설치되는 가동측판과, 상기 가동측판의 받침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형상코어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제1형상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들며 부품이 인서트되는 제2형상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제2형상코어를 상기 제2형판내에 고정시키는 고정포크와, 상기 고정포크를 전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형상코어는 기계장치에 의해 상기 제2형판에 착탈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에서 인서트 사출을 수행함에 있어서 인서트물이 장착되는 형상코어를 메인코어에서 자동으로 착탈가능하게 하여 형상코어에의 인서트작업을 금형조립체의 외부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금형조립체의 온도에 상관없이 인서트작업이 가능하므로 인서트 사출성형의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사출성형, 인서트, 금형조립체

Description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Mold assembly for insert injection mold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동측 부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동측 부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동측 부분의 구성을 보인 분해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고정측판 32: 제1형판
34: 제1캐비티 36: 제1메인코어
37: 제1형상코어캐비티 38: 제1형상코어
40: 가동측판 42: 스페이서블록
44: 받침판 46: 안착요홈부
47: 스톱단차부 48: 메인코어받침판
49: 탄성부재 50: 제2형판
52: 제2캐비티 54: 제2메인코어
56: 제2형상코어캐비티 58: 핑거관통부
60: 제2형상코어 62: 제2코어받침판
64: 걸이홈 66: 가이드면
68: 가이드통공 70: 가이드봉
74: 구동원 76: 구동아암
78: 장착브라켓 80: 연결아암
84: 고정포크 85: 걸이단차
86: 핑거 88: 고정단차
90: 걸이슬롯 92: 밀핀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서트 사출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인서트물이 장착되고 제품형상을 형성하는 형상코어를 자동적으로 착탈가능하게 한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금형조립체를 사용하여 합성수지 제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미리 만들어진 부품을 형상코어 내에 삽입하여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일명 인서트 사출성형이라고 한다. 인서트 사출성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형상코어 내에 미리 만들어진 부품을 장착, 즉 인서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일회의 성형이 끝나면, 형상코어에 다시 미리 만들어진 부품을 인서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사출성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제품을 형성하기 위한 합성수지의 특성에 따라서는 금형조립체의 형상코어등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금형조립체의 형상코어에 작업자가 부품을 인서트하기 위해서는 금형조립체의 온도가 일정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역시 사출성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온에서 사출성형되어야 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인서트 사출성형의 작업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성형기의 고정부에 설치되는 고정측판과, 일면에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형상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판에 설치되는 제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부에 설치되는 가동측판과, 상기 가동측판의 받침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형상코어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제1형상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들며 부품이 인서트되는 제2형상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제2형상코어를 상기 제2형판내에 고정시키는 고정포크와, 상기 고정포크를 전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형상코어는 기계장치에 의해 상기 제2형판에 착탈된다.
상기 제2형상코어는 상기 제2형판에 형성된 제2캐비티에 설치되는 제2메인코 어의 형상코어캐비티내에 장착되는데, 상기 받침판에 안착되는 메인코어받침판 상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그 하면이 지지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의 상면에는 상기 제2형상코어의 파지를 위한 상기 기계장치가 위치되는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형상코어캐비티는 입구가 상대적으로 넓게 되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형상코어의 측면은 상기 형상코어캐비티의 측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진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2형판및/또는 받침판에 장착브라켓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고정포크의 선단 양측에 구비되는 핑거는 상기 받침판과 제2형판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제2메인코어의 형상코어캐비티 내외부로 입출되면서 상기 제2형상코어의 걸이홈에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상기 메인코어받침판이 안착되는 받침판상의 안착요홈부에는 가이드봉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메인코어받침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2형상코어에 형성된 가이드통공에 안착되어 제2형상코어의 안착위치를 안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에서 인서트 사출을 수행함에 있어서 인서트물이 장착되는 형상코어를 메인코어에서 자동으로 착탈가능하게 하여 형상코어에의 인서트작업을 금형조립체의 외부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금형조립체의 온도에 상관없이 인서트작업이 가능하므로 인서트 사출성형의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단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동측 부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동측 부분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동측 부분의 구성이 분해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측판(30)은 성형기의 고정부에 설치된다. 고정측판(3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그 일면에 제1형판(32)이 설치된다. 상기 제1형판(32)과 상기 고정측판(30)은 볼트 등이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형판(32)에는 제1캐비티(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캐비티(34)는 상기 제1형판(32)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내면 바닥을 상기 고정측판(30)이 형성한다.
상기 제1캐비티(34)의 내부에는 제1메인코어(36)가 설치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36)에는 다수개의 형상코어캐비티(37)가 형성된다. 상기 형상코어캐비티(37)는 제1형상코어(38)가 설치된다. 상기 제1형상코어(38)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형상코어(60)와 협력하여 실질적으로 제품을 만들어내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제1형상코어(38)와 제2형상코어(60) 외에도 제품의 형상에 따라서는 슬라이드코어를 더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39는 로케이팅링이고, 상기 로케이팅링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용융된 재료가 주입되는 통로인 주입구가 상기 고정측판(30), 제1메인코어(36)을 통해 형성된다.
가동측판(40)은 성형기의 가동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측판(40)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되는 부분을 통틀어서 가동측이라고 한다. 상기 가동측판(40)도 상기 고정측판(30)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판상이다. 상기 가동측판(40)에는 스페이서블록(42)에 의해 받침판(44)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판(44)의 중앙에는 안착요홈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요홈부(46)는 받침판(44)의 중앙에 소정 깊이만큼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요홈부(46)의 깊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메인코어받침판(48)의 높이와 같다. 상기 안착요홈부(46)를 통해서는 만들어진 제품을 제2형상코어(60)에서 분리하여 취출하기 위한 아래에서 설명될 밀핀(92)이 관통한다. 상기 받침판(44)의 상면 양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포크(84)의 이동행정을 규제하기 위한 스톱단차부(47)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44)의 안착관통부(46)에는 메인코어받침판(48)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코어받침판(48)은 상기 받침판(44)상에 안착된 상태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2메인코어(54)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코어받침판(48)상에는 다수개의 탄성부재(49)가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2형상코어(60)가 형상코어캐비티(56)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49)는 상기 메인코어받침판(48)상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제2형상코어(60)의 하면, 보다 정확하게는 제2코어받침판(62)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받침판(44)에는 제2형판(50)이 고정된다. 상기 제2형판(50)은 상기 제1형판(32)과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제1형판(32)과 제2형판(50)은 제품의 성형시에 서로 밀착되었다가, 성형된 제품의 취출시에는 분리된다. 이는 성형기에 의해 가동측이 고정측에 대해 이동됨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2형판(50)에는 제2캐비티(5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캐비티(52)는 상기 제1캐비티(3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캐비티(5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메인코어(54)가 위치된다. 상기 제2형판(50)의 양측 하단 중앙에는 포크관통부(53)가 형성된다. 상기 포크관통부(53)는 상기 제2형판(50)의 외측에서 상기 제2캐비티(52)까지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메인코어(54)는 상기 제2캐비티(52)에 안착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54)는 상기 제2캐비티(52)에서 제2형판(50)에 키이(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54)에는 다수개의 형상코어캐비티(5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형상코어캐비티(56)가 상기 제2메인코어(54)에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형상코어캐비티(56)의 입구 가장자리중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는 파지홈(57)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홈(57)은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에 안착된 제2형상코어(60)를 기계장치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메인코어(54)의 양측면에는 상기 포크관통부(53)를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와 연통시키도록 핑거관통부(58)가 형성된다. 상기 제2형상코어캐비티(56)의 측면(56')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으로 된 측면(56')에 의해 상기 제2형상코어캐비티(56)는 도면 상 하부가 상부에 비해 면적이 좁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형상코어캐비티(56)의 입구쪽이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된다.
제2형상코어(60)는 상기 제1형상코어(38)와 협력하여 실질적으로 제품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형상코어(60)에는 미리 만들어진 부품이 인서트될 수 있 다. 상기 제2형상코어(60)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구성될 수 있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제2형상코어(60)가 형성되고, 이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그 하부에 제2코어받침판(62)이 구비된다. 상기 제2코어받침판(62)과 제2형상코어(60)는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2형상코어(60)의 양측면에는 걸이홈(6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64)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포크(84)가 상기 제2형상코어(60)를 형상코어캐비티(56)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홈(64)은 상기 제2형상코어(60)와 제2코어받침판(62)에 걸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형상코어(60)의 측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66)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면(66)은 상기 제2형상코어(60)가 그 상단부에 비해 하단부의 폭이 좁게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면(66)을 두는 것은 상기 제2형상코어(60)를 기계장치가 파지하여 제2형상코어캐비티(56)에 삽입할 때,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형상코어(60)와 제2코어받침판(62)을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가이드통공(6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통공(68)은 대략 육면체 형상인 상기 제2형상코어(60)의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통공(68)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봉(70)이 관통하여 제2형상코어(60)의 삽입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고 세팅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봉(70)은 도 3을 기준으로 하단이 상기 받침판(44)의 안착요홈부(46) 바닥에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봉(70)은 상기 메인코어받침판(48)을 관통하여 상기 제2형상코어(60)의 가이드통공(68)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봉(70)은 도 1에서는 표시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형상코어(60)가 상기 제2메인코어(54)의 형상코어캐비티(56) 내에 체결/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받침판(44)과 제2형판(50)의 양측면에는 구동원(74)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원(74)으로는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구동되는 엑츄에이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구동원(74)에는 그 외부로 돌출되는 정도가 제어되는 구동아암(76)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원(74)은 장착브라켓(78)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브라켓(78)은 상기 받침판(44)과 제2형판(50)에 동시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장착브라켓(78)은 상기 받침판(44)과 제2형판(50)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78)에는 상기 구동아암(76)이 통과하는 관통슬릿(79)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원(74)의 구동아암(76)에는 연결아암(80)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아암(80)과 구동아암(76)이 결합되는 구성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아암(76)이 연결아암(80)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공에 압입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아암(80)의 선단에는 걸이단(8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포크(84)는 상기 연결아암(80)을 통해 상기 구동원(7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포크(84)는 상기 받침판(44)과 제2형판(50)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제2메인코어(54)의 형상코어캐비티(56)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포크(84)는 상기 제2형판(50)의 포크관통부(53)와 제2메인코어(54)의 핑거관통부(58)에 걸쳐 설치된다.
상기 고정포크(84)에는 상기 스톱단차부(47)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단차(85)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차(85)는 상기 스톱단차부(47)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고정포크(84)가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로 진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포크(84)에는 핑거(86)가 구비된다. 상기 핑거(86)는 본 실시예에서 2개가 서로 나란히 고정포크(84)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핑거(86)의 끝부분에는 고정단차(88)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차(88)가 구비된 상기 핑거(86)의 선단은 상기 걸이홈(64)에 핑거(86)의 선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2형상코어(60)가 형상코어캐비티(56)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면부호 90은 상기 고정포크(84)의 후단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아암(80)의 걸이단(82)이 걸어지는 걸이슬롯(90)이다.
한편, 도 1을 살펴보면, 제품을 금형조립체에서 취출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받침판(44)과 가동측판(40)의 사이에 설치된다. 즉, 제2형상코어(60)에 있는 제품을 밀어주는 밀핀(92)이 구비된다. 상기 밀핀(92)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단부가 상기 받침판(44)과 가동측판(4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받침판(44)과 메인코어받침판(48)과 제2형상코어(60) 등을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밀핀(92)의 하단부는 이젝트하판(94)에 지지되고, 상기 이젝트하판(94)상에는 상기 밀핀(92)이 관통하는 이젝트상판(96)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밀핀(92)은 상기 이젝트하판(94)과 이젝트상판(96)에 의해 지지되고, 성형기의 가동부 에 구비되는 별도의 구성에 의해 구동되어 완성된 제품을 밀어낼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만들어진 부품이 인서트되는 제2형상코어(60)를 다수개를 사용하여 교체하면서 인서트 사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한번에 2개의 제2형상코어(60)가 상기 제2메인코어(54)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최소 4개의 제2형상코어(60)를 준비한다.
그리고, 2개의 제2형상코어(60)를 상기 제2메인코어(54)에 장착하여 사출작업을 진행하는 중에, 나머지 2개의 제2형상코어(60)에는 미리 만들어진 부품을 인서트하게 된다. 그리고, 제2메인코어(54)에서 제품 형성을 마친 제2형상코어(60)는 제2메인코어(54)에서 별도의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분리하고, 부품이 인서트된 2개의 제2형상코어(60)를 상기 제2메인코어(54)에 장착하여 사출작업을 진행한다.
물론, 상기 제2형상코어(60)를 본 실시예의 경우에 6개 또는 8개 이상을 두고 보다 신속하게 제2메인코어(54)에 순차적으로 장착하면서 사출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고정측에 하나의 가동측만이 있은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고정측에 두개의 가동측을 구비한 금형조립체에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다.
일단, 상기 제2메인코어(54)에 제2형상코어(60)가 장착되면, 상기 가동측판(40)이 이동하여 상기 제1형판(32)과 제2형판(5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용융된 재료를 공급하여 제1형상코어(38)와 제2형 상코어(60)가 형성하는 공간에 채워지게 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재료가 어느 정도 경화되면, 상기 가동측판(40)을 구동시켜 상기 제1형판(32)과 제2형판(50)이 서로 분리되게 한다. 그리고, 이들 형판(32,50)이 분리됨에 의해 제2형상코어(60)에 노출된 제품은 상기 밀핀(92)이 동작함에 의해 분리된다. 이와 같이 제품이 분리되면, 다음으로 상기 제2형상코어(60)를 상기 제2메인코어(54)에서 분리하여 미리 만들어진 부품이 인서트된 또 다른 제2형상코어(60)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제2형상코어(60)가 상기 제2메인코어(54)에 장착되는 것과 작업이 끝난 제2형상코어(60)를 분리하는 것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2형상코어(60)가 상기 제2메인코어(54)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고정포크(84)가 상기 구동원(74)에 의해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에서 후퇴된 상태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포크(84)의 핑거(86) 선단이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에서 빠져나와 상기 제2메인코어(54)의 핑거관통부(58)내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형상코어(60)를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의 내부로 기계장치가 투입한다. 이때,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의 측면(56')의 경사를 상기 제2형상코어(60)의 경사진 가이드면(66)이 안내되면서 삽입된다. 즉,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의 입구는 상기 제2형상코어(60)의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 기계장치에 의한 제2형상코어(6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형상코어(6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봉(70)은 상기 제2형 상코어(60)의 가이드통공(68)에 삽입되어 제2형상코어(60)가 삽입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한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봉(70)이 관통하는 가이드통공은 상기 제2코어받침판(62)에도 상기 가이드통공(68)과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형상코어(60)는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 내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형상코어(60)는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계장치에 의해 눌러진다. 즉, 상기 탄성부재(49)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2형상코어(60)는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원(74)이 구동하여 상기 구동아암(76)이 구동원(74)의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동아암(76)이 돌출됨에 의해 상기 고정포크(84)가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포크(84)의 핑거(86)는 제2형상코어(60)의 걸이홈(64)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1에서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걸이홈(64)에 상기 고정포크(84)의 핑거(86) 선단이 안착되어 있으면, 상기 제2형상코어(60)는 상기 탄성부재(4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되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형상코어(60)를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에서 꺼내는 과정을 설명한다. 만들어진 제품을 밀핀(92)을 사용하여 취출한 후에는 상기 구동원(74)이 동작된다. 상기 구동원(74)에 의해 상기 구동아암(76)이 동작되어 후퇴되면 상기 고정포크(84)가 후퇴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포크(84)의 핑커(86) 선단은 상기 걸이홈(64)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탄성부재(4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형상코어(60)가 상기 형상코어캐비티(56)에서 밀려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기계장치에 의한 상기 제2형상코어(60)의 파지가 보다 정확하게 된다. 물론, 상기 파지홈(57)이 있어 기계장치가 제2형상코어(60)를 파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은 아니나, 상기 탄성부재(49)에 의해 제2형상코어(60)가 밀어올려져 제2형상코어(60)가 형상코어캐비티(56)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부품이 인서트되는 제2형상코어를 제2메인코어에서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2형상코어의 온도에 상관없이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인서트사출작업의 작업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2형상코어를 다수개 준비하여 사출작업중에 있는 제2형상코어 외의 다른 형상코어에서는 부품을 인서트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인서트 사출성형의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사출성형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성형기의 고정부에 설치되는 고정측판과,
    일면에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형상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판에 설치되는 제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부에 설치되는 가동측판과,
    상기 가동측판의 받침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형상코어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제1형상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들며 부품이 인서트되는 제2형상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제2형상코어를 상기 제2형판내에 고정시키는 고정포크와,
    상기 고정포크를 전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형상코어는 기계장치에 의해 상기 제2형판에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상코어는 상기 제2형판에 형성된 제2캐비티에 설치되는 제2메인코어의 형상코어캐비티내에 장착되는데, 상기 받침판에 안착되는 메인코어받침판 상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그 하면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인코어의 상면에는 상기 제2형상코어의 파지를 위한 상기 기계장치가 위치되는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형상코어캐비티는 입구가 상대적으로 넓게 되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형상코어의 측면은 상기 형상코어캐비티의 측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2형판및/또는 받침판에 장착브라켓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고정포크의 선단 양측에 구비되는 핑거는 상기 받침판과 제2형판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제2메인코어의 형상코어캐비티 내외부로 입출되면서 상기 제2형상코어의 걸이홈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코어받침판이 안착되는 받침판상의 안착요홈부에는 가이드봉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메인코어받침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2형상코어에 형성된 가이드통공에 안착되어 제2형상코어의 안착위치를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KR1020060024088A 2006-03-15 2006-03-15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KR10078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088A KR100787192B1 (ko) 2006-03-15 2006-03-15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088A KR100787192B1 (ko) 2006-03-15 2006-03-15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762A true KR20070093762A (ko) 2007-09-19
KR100787192B1 KR100787192B1 (ko) 2007-12-21

Family

ID=3868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088A KR100787192B1 (ko) 2006-03-15 2006-03-15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1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12B1 (ko) * 2012-06-19 2013-08-13 신성몰드테크(주) 코어가 내장되는 서포트 메인용 사출금형
CN106113414A (zh) * 2016-08-31 2016-11-16 玉环新华辰电器有限公司 一种制作电源线接口的模具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304B1 (ko) 2010-07-27 2011-08-31 김현수 슬라이드 텐션장치를 구비한 사출 금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554B1 (ko) * 1992-01-06 1995-08-03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오샤 사출성형금형장치
CN105828073B (zh) * 2009-07-02 2019-09-17 汤姆逊许可证公司 使用自适应树选择来对二进制集进行视频编解码的方法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12B1 (ko) * 2012-06-19 2013-08-13 신성몰드테크(주) 코어가 내장되는 서포트 메인용 사출금형
CN106113414A (zh) * 2016-08-31 2016-11-16 玉环新华辰电器有限公司 一种制作电源线接口的模具及方法
CN106113414B (zh) * 2016-08-31 2023-11-21 玉环新华辰电器有限公司 一种制作电源线接口的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192B1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192B1 (ko)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CN110667083A (zh) 吹塑模具单元以及使用该吹塑模具单元的吹塑成型装置
KR100787195B1 (ko) 사출성형금형의 언더컷용 슬라이드 구동구조
KR101736777B1 (ko) 차량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스위치 러버 제조를 위한 사출물 인서트용 지그 장치
KR200440564Y1 (ko) 언더컷 성형을 위한 슬라이드 코아장치
WO2016075943A1 (ja) 成形金型、及び金型交換方法
JPS5944979B2 (ja) 射出成形用金型
US3930778A (en) Molding ejector device for interchangeable molds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N108422628B (zh) 双角度斜顶滑块集成联动抽芯机构
JPH06278141A (ja) プラスチック成形装置
CN114131832B (zh) 一种用于带嵌件注塑产品的注塑模具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CN210817314U (zh) 带有顶针驱动机构的铸造模具
KR200444344Y1 (ko) 다중 언더컷 취출을 위한 슬라이드 코어
CN209971413U (zh) 拼接式垫板注塑模具
KR20230027353A (ko)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CN114179305A (zh) 一种滚刀柄的行位内抽斜针模具
JP2671356B2 (ja) 成形装置
CN112829224A (zh) 一种带有倾斜手柄的注塑产品的注塑模具和注塑方法
JPS5922713A (ja) プラスチツク成形型のアンダ−カツト処理装置
KR20100002922A (ko) 금형조립체
KR100864251B1 (ko) 금형조립체
KR100838768B1 (ko) 금형조립체의 게이트돌기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KR100838769B1 (ko) 금형조립체의 게이트돌기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