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495A - Cleaner robot - Google Patents

Cleaner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495A
KR20070092495A KR1020060022712A KR20060022712A KR20070092495A KR 20070092495 A KR20070092495 A KR 20070092495A KR 1020060022712 A KR1020060022712 A KR 1020060022712A KR 20060022712 A KR20060022712 A KR 20060022712A KR 20070092495 A KR20070092495 A KR 20070092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robot
dust
suction port
roll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재경
안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2495A/en
Publication of KR2007009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4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A robot cleaner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sweeping the dust to the direction of a suction hole and to enhance the suction force by positioning two rollers sweeping the dust around the suction hole slantly. A robot cleaner comprises a robot cleaner body, a dust collection unit, and two rollers(212a, 212b). The robot cleaner body is composed of a suction hole at the lower part. The dust collection unit is installed at the robot cleaner body, collects the garbage, is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hole. The two rollers are installed at the front part of the suction hole, transfers the garbage collect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into the dust collection unit, and have a rotary shaft in an inclina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Description

청소기 로봇{Cleaner robot}Cleaner robot}

도 1은 종래의 청소기 로봇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leaner robot.

도 2는 종래의 청소기 로봇의 일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배면도. 2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leaner robot.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도 4는 종래의 청소기 로봇의 다른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배면도. Figure 4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cleaner robot.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로봇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배면도. Figure 6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ean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FIG. 7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FIG.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롤러가 설치된 부분의 확대도.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where the rollers shown in FIGS. 6 and 7 are install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110, 200: 청소기 로봇 102: 전방 카메라 100, 110, 200: cleaner robot 102: front camera

103: 천장 카메라 104: 공기 출구 103: ceiling camera 104: air outlet

105: 디스플레이부 107: 기능키 105: display unit 107: function keys

111, 211: 방향조정륜 111, 211: steering wheel

112, 112a, 112b, 212, 212a, 212b: 롤러 112, 112a, 112b, 212, 212a, 212b: roller

113, 213: 흡입 유로 114, 214: 흡입팬 113, 213: suction passage 114, 214: suction fan

115, 215: 흡입팬 구동모터 116, 216: 먼지통 115, 215: Suction fan drive motors 116, 216: Dust bin

117, 217: 구동륜 218: 흡입구 117 and 217: drive wheel 218: suction port

219: 먼지 방지턱 222: 칼날219: dust barrier 222: blade

232: 깃 232: feather

본 발명은 청소기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 로봇의 먼지 흡입 성능이 향상되고,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한 청소기 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robot capable of improving dust suction performance of the cleaner robot and enabling stable operation.

청소기 로봇은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된 피청소구역을 자동으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장치이다. The cleaner robot is a device that cleans the floor while automatically driving in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built-in program.

도 1에는 종래의 청소기 로봇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청소기 로봇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leaner robot, FIG. 2 is a rear view of the cleaner robot,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청소기 로봇(100)은 통상 납작한 외관의 본체를 가지고, 본체에는 청소기 로봇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방 카메라(102)와 천장 카메라(103)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키(107)와 디스플레이부(105)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leaner robot 100 generally has a main body having a flat appearance, and includes a front camera 102 and a ceiling camera 103 for allowing the cleaner robot to grasp its position. . In addition, a function key 107 and a display unit 105 for interfacing with a user are provid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청소기 로봇(100)은 배면에 이동을 위한 방향조정륜(111) 및 구동륜(117)과,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118)를 구비한다. 또한, 내부에는 먼지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114), 흡입팬 구동 모터(115)와 먼지를 담는 먼지통(116)을 구비한다. 먼지와 함께 청소기 로봇 내로 흡입된 후 방출되는 공기를 위한 공기 배출구(104)가 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leaner robot 100 includes a direction adjusting wheel 111 and a driving wheel 117 for movement on the rear surface, and a suction port 118 for sucking dust. In addition, the inside is provided with a suction fan 114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tioning dust, a suction fan drive motor 115 and a dust container 116 containing the dust. An air outlet 104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r the side for the air discharged after being sucked into the cleaner robot with the dust.

통상 청소기 로봇은 원활한 기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선으로 작동되므로 동작을 위한 전원은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얻게 된다. 그런데,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력용량의 제한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유선으로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키는 청소기에 비하여 흡입력이 약하게 되기 쉽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흡입구(118)에 브러시가 달린 롤러 또는 유연한 재질의 깃이 달린 롤러(112)를 설치하여 청소기 로봇의 흡입력을 보완하기도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청소기 로봇에서는 하나의 롤러(112)가 흡입구(118)에 배치된 청소기 로봇이 도시되어 있다. Since the cleaner robot is wirelessly operated to ensure smooth maneuverability, power for operation is obtained from a battery (not shown) mounted therein. By the way, when the battery is used as a power sourc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power capacity of the battery, the suction power tends to be weaker than that of the vacuum cleaner that the user directly operates by wi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 suction roller of the cleaner robot may be supplemented by installing a roller with a brush or a roller 112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the suction port 118. In the cleaner robot illustrated in FIGS. 2 and 3, a cleaner robot in which one roller 112 is disposed at the suction port 118 is illustrated.

또한, 도 4 및 도 5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청소기 로봇과 유사한 종래의 청소기 로봇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4 and 5 also show a view of a conventional cleaner robot similar to the cleaner robot shown in FIGS. 2 and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청소기 로봇(110)의 흡입구(118)에는 두 개의 롤러(112a, 112b)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롤러(112a, 112b)가 각자 먼지를 흡입구(118)로 유인하는 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wo rollers 112a and 112b may be installed at the suction port 118 of the cleaner robot 110. In this case, the two rollers 112a and 112b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attract the dust to the suction port 118, respectively.

위에서 살펴본 두 가지의 청소기 로봇(100, 110)은 모두 흡입구(118)에 롤러 (112, 112a, 112b)가 설치됨으로써 청소기의 흡입력을 보완해주기는 하지만, 상당한 흡입 압력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압력 손실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게 되었다. The two cleaner robots 100 and 110 described above compensate for the suction force of the cleaner by installing the rollers 112, 112a and 112b in the suction port 118,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ignificant suction pressure loss occurs. Therefore, the necessity to devise a way to avoid such pressure loss has emerg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구에서의 압력 손실을 피하여 흡입력이 향상된 청소기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robot with improved suction force by avoiding pressure loss at the suction por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청소기 로봇 본체; A cleaner robot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med at a bottom thereof;

청소기 로봇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어 오물을 포집하는 집진부; 및 A dust collecting unit installed in a cleaner robot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to collect dirt; And

상기 흡입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 전방에 설치되고, 피청소면에서 오물을 포집하여 상기 집진부로 이송하며, 그 회전축은 진행방향과 경사를 이루면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로봇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The cleaner robo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and collects the dir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ransports it to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the rotating shaft includes at least two rollers arranged in an inclined direction and an inclination direction. Is achieved by providing

여기서 상기 흡입구의 후방에는 설치된 먼지 방지턱과, Here, the dust prevention jaw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port,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칼날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the blade provided in the direction which intersects the rotating shaft of the said roller.

또한, 여기서 상기 롤러의 둘레에는 깃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깃에는 상기 칼날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eather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aid roller, and the said collar is provided with the groove | channel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said blade can be avoid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로봇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VII-V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6 is a rear view of the clean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로봇(200)은 청소기 로봇 본체(220), 집진부 및 롤러(212)를 포함한다. 6 and 7, the cleaner robo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robot body 220, a dust collector and a roller 212.

상기 청소기 로봇 본체(220)에는 배면에 흡입구(2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롤러(212)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구(218)는 종래의 청소기 로봇들에 비하여 약 20% 이하의 좁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한된 전력용량으로도 먼지 흡입 속도 및 흡입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에도 청소기 로봇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동륜(217) 및 방향조정륜(211)과 조작버튼(미도시), 공기 배출구(204) 등이 더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로봇 본체에는 집진부가 내부에 설치된다. The suction robot 218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leaner robot body 220, and the roller 212 is installed. The suction port 218 is formed to have a narrower cross-sectional area of about 20% or less than conventional cleaner robots so that dust suction speed and suction force can be improved even with limited power capacity. In addition, the driving wheel 217 and the direction adjusting wheel 211 and the operation button (not shown), the air outlet 204 and the like are further installed to secure the mobility of the cleaner robot. The dust collecting part is installed inside the cleaner robot body.

상기 집진부는 흡입팬(214), 구동 모터(215) 및 먼지통(216)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216)은 흡입 유로(213)를 통해 상기 흡입구(218)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구동 모터(215)의 회전에 의해 흡입팬(214)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입구(218)로부터 상기 먼지통(216)으로 먼지가 흡입된다.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es a suction fan 214, a driving motor 215, and a dust container 216, and the dust container 216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218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213. Dust is sucked into the dust container 216 from the suction port 218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suction fan 214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15.

상기 롤러(212)는 상대적으로 흡입력이 약한 청소기 로봇의 먼지 흡입력을 보완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흡입구(218) 방향으로 먼지를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롤러(212)는 도 6에 잘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흡입구(218)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청소기 로봇 본체(220)의 외곽에 가까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롤러(212)는 두 개가 전방에 대해 경사를 이루면서 흡입구(218) 방향으로 먼지를 이송시키면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즉, 상기 롤러(212a, 212b)들의 회전축은 전후방을 잇는 선에 대해 소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면서 배치된다. The roller 212 serves to supplement the dust suction force of the cleaner robot having a relatively weak suction force, and serves to transport dust toward the suction port 218. As shown in FIG. 6, the roller 212 is disposed closer to the outer side of the cleaner robot body 2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suction port 218. In addition, the two rollers 212 are installed so as to rotate while conveying dust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218 while the two are inclined relative to the front. That is, the rotation axes of the rollers 212a and 212b are arranged while making an inclin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ine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상기 흡입구(218)의 후방에는 먼지 방지턱(219)이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먼지 방지턱(219)은 상기 롤러(212a, 212b)들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218) 방향으로 이송되는 먼지 중에서 상기 흡입구(218)를 통해 흡입되지 못하는 먼지가 발생하여도 이 먼지가 청소기 로봇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다시 흡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먼지 방지턱(219)의 형상은 상기 흡입구(218)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ust barrier 219 may be further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port 218. The dust prevention jaw 219 is the rear of the cleaner robot even when dust that cannot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18 is generated among the dust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218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s 212a and 212b. It functions to induce it to be sucked back without being separated. The shape of the dust barrier 219 may be concave in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218.

도 8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롤러가 설치된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in which the rollers shown in FIGS. 6 and 7 are installed.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롤러(212)는 회전축에 연결된 롤러 본체(230)와 롤러 본체(230) 둘레에 나선형으로 배치된 깃(232)을 구비한다. 상기 깃(232)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소정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롤러(212)가 설치된 청소기 로봇 본체(220)의 하부에는 상기 깃(232)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칼날(222)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칼날(222)이 세워진 방향은 상기 롤러(212)의 회전축과 교차되는 방향이다. 이와 같이 칼날(222)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롤러(212)에 머리카락이나 길이가 긴 먼지가 기타 오물이 걸리는 경우에도 칼날(222)에 의해 머리카락 등이 절단되어 롤러(212)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8, the roller 212 includes a roller body 230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and a feather 232 spirally disposed around the roller body 230. The feather 232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made to form groov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blade 222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robot body 220 in which the roller 212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formed in the feather 232.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ade 222 is erected is a direction crossing the rotation axis of the roller 212. As the blade 222 is provided in this way, the hair or the like is cut by the blade 222 so that the roller 212 is not interrupted even when hair or long dust is caught on the roller 212.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칼날은 항상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둘레에 감기는 길이가 긴 오물을 절단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로 내려와 길이가 긴 오물을 절단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롤러의 회전이 길이가 긴 오물에 의해 방해를 받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고 그 때에만 선별적으로 오물을 절단할 수 있는 위치로 내려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롤러의 회전을 담당하는 모터(미도시)에 부하가 크게 걸리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동작을 멈추고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한 후, 사용자가 칼날이 내려오도록 조작하여 오물을 절단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러한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lade is installed so as to always b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may function to cut the long dirt wound around the roller, and if necessary to descen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s long It may be installed to cut dirt. For example, it may be installed so as to provide a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rotation of the roller is interrupted by long dirt and only then to come down to a position where it can selectively cut dirt. That is, when a load is greatly applied to the motor (not shown) that is responsible for the rotation of the roller, it stops the operation and generates a warning sound, and then the user may manipulate the blade to come down to cut the dirt. You can also configure this to happen automatically.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청소기 로봇은 종래에 공기 흡입구의 입구에 설치되었던 롤러의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유동손실을 감소시켰다. 또한, 먼지를 쓸어주는 롤러의 배치를 흡입구를 중심으로 사선이 되도록 함으로써 먼지를 흡입구 방향으로 쓸어모아서 먼지 포집효율을 개선하였다. 이를 통해 종래의 청소기 로봇에 비하여 더 큰 먼지 흡입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머리카락과 같은 길이가 긴 형태의 오물이 롤러에 걸려서 롤러의 회전이 방해되거나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leaner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reduces the flow loss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roller, which was conventionally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air intake port, to the front.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rollers sweeping the dust around the suction port, the dust is collected in the suction port direction to improve dust collection efficienc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xhibit a greater dust suction force than the conventional cleaner robo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dirt of the long form, such as the hair is caught on the rolle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roller.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청소기 로봇 본체; A cleaner robot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med at a bottom thereof; 청소기 로봇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어 오물을 포집하는 집진부; 및 A dust collecting unit installed in a cleaner robot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to collect dirt; And 상기 흡입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 전방에 설치되고, 피청소면에서 오물을 포집하여 상기 집진부로 이송하며, 그 회전축은 진행방향과 경사를 이루면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로봇. The cleaner robo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and collects the dir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ransports it to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the rotating shaft includes at least two rollers arranged in an inclined direction and an inclination direction. .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구의 후방에는 먼지 방지턱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로봇. Cleaner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barrier is disposed behind the suction por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청소기 로봇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칼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로봇. And a blad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leaner robot body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otation axis of the roller.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롤러의 둘레에는 깃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깃에는 상기 칼날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로봇. A feather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roller, and the feather is formed with a groove so a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blade.
KR1020060022712A 2006-03-10 2006-03-10 Cleaner robot KR200700924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712A KR20070092495A (en) 2006-03-10 2006-03-10 Cleaner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712A KR20070092495A (en) 2006-03-10 2006-03-10 Cleaner rob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495A true KR20070092495A (en) 2007-09-13

Family

ID=3868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712A KR20070092495A (en) 2006-03-10 2006-03-10 Cleaner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249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3223A (en) * 2021-08-03 2021-11-12 杭州华橙软件技术有限公司 Cleaning method, clean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WO2022052384A1 (en) * 2020-09-11 2022-03-17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Garbage collection bas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2384A1 (en) * 2020-09-11 2022-03-17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Garbage collection bas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CN113633223A (en) * 2021-08-03 2021-11-12 杭州华橙软件技术有限公司 Cleaning method, clean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8352B2 (en) Autonomous traveling vacuum cleaner
JP4801516B2 (en) Vacuum cleaner mouthpiece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mouthpiece
WO2017177685A1 (en) Wind path structure for automatic cleaning device, and automatic cleaning device
JPWO2005092168A1 (en) Dust collector
JP3937405B2 (en) Vacuum cleaner suction tool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06312066A (en) Vacuum cleaner
CN107105949A (en) Robotic vacuum cleaner
KR19990003478A (en) Suction device of vacuum cleaner
CN106691315B (en) Drum for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or with same
KR20070092495A (en) Cleaner robot
JP2000107094A (en) Vacuum cleaner suction tool and vacuum cleaner
JPH119524A (en) Su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EP126769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KR101055961B1 (en) Nozzle of vacuum cleaner
JP3187346B2 (en) Suction body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JP2001149281A (en) Sucking port body and electric vacuum cleaner
JP3749056B2 (en)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JP408848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0137488B1 (en) Device for dust fly of a vacuum cleaner
JP3701528B2 (en)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KR200169070Y1 (en) cleaning device for conner seat i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200159712Y1 (en) Suction device of vacuum cleaner
JP3815610B2 (en)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port
JP3457864B2 (en) Suction port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JP2003135326A (en) Inlet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