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077A - 듀플렉서 - Google Patents

듀플렉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077A
KR20070080077A KR20060011164A KR20060011164A KR20070080077A KR 20070080077 A KR20070080077 A KR 20070080077A KR 20060011164 A KR20060011164 A KR 20060011164A KR 20060011164 A KR20060011164 A KR 20060011164A KR 20070080077 A KR20070080077 A KR 2007008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filter
band pass
resonant circuit
resonator
reson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8359B1 (ko
Inventor
박윤권
설상철
송인상
김철수
윤석출
남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1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359B1/ko
Priority to US11/648,664 priority patent/US7518410B2/en
Priority to CN2007100019830A priority patent/CN101018070B/zh
Priority to JP2007013931A priority patent/JP2007215173A/ja
Publication of KR2007008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03Networks using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706Duple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4Handle-bars; Posts for supporting handle-bars, e.g. adjustable po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8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using remote control means, e.g. wireless contro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별도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지 않고도 송신단 필터와 수신단 필터 사이에 발생 가능한 상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듀플렉서가 개시된다. 듀플렉서는 제1 신호 포트와 제2 신호 포트 사이에 형성된 제1 대역 통과 필터 및 제1 신호 포트와 제3 신호 포트 사이에 형성된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각 대역 통과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공진기가 직렬 연결된 제1 공진 회로부, 제1 공진 회로부와 대향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공진기가 직렬 연결된 제2 공진 회로부 및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를 연결하는 분로들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공진기가 병렬 연결된 제3 공진 회로부를 포함한다. 제1 대역 통과 필터와 제2 대역 통과 필터의 구조에 의해 송신 및 수신 신호에 의한 상호간의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듀플렉서를 제작할 수 있다.
FBAR, 위상, 변조, 듀플렉서

Description

듀플렉서{DUPLEX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플렉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FBAR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대역 통과 필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대역 통과 필터의 필터링 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대역 통과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대역 통과 필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대역 통과 필터의 필터링 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제1 대역 통과 필터에 대한 제2 대역 통과 필터의 임 피던스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레서가 단일 칩 셋으로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US6262637호에서 복수개의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를 이용하여 구성한 듀플렉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위상 변조기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위상 변조기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듀플렉서 200 : 제1 대역 통과 필터
300 : 제2 대역 통과 필터 220, 320 : 제1 공진 회로부
240, 340 : 제2 공진 회로부 260, 360 : 제3 공진 회로부
400 : 기판 510, 610 : 하부 전극
520, 620 : 압전층 530, 630 : 상부 전극
1000 : 단일 칩셋 듀플렉서
본 발명은 듀플렉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지 않고도 송신단 필터와 수신단 필터 사이에 발생 가능한 상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듀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로 대표되는 이동 통신 기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됨에 따라 이동 통신 기기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고, 보다 소형 및 경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기기에 사용되는 구성 부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의 일환으로, 이동 통신 기기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듀플렉서(Duplexer)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듀플렉서란, 필터(Filter)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대표적인 소자의 한 종류로써, 주파수 분할 방식(FDD)으로 구현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적절하게 분기함으로써, 같은 안테나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소자이다.
듀플렉서는 크게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송신 신호를 제공받고,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송신단 필터 및 통신 기기 내부에서 출력하는 수신 신호 중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안테나로 제공하는 수신단 필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듀플렉서는 송신단 필터 및 수신단 필터에서 통과시키는 주파수를 달리 조정함으로써, 하나의 안테나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듀플렉서는 상술한 송신단 필터와 수신단 필터를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FBAR는 일반적으로 하부전극, 압전층 및 상부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제조되어, 외부 전계가 인가되면 공진 현상을 일으키는 소자이다. 즉, FBAR의 상부 및 하부 전극에 전기적 에너지를 인가하여 압전층 내에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전계를 유기하면, 압전층이 전기적 에너지를 음향파 형태의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효과를 일으켜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발생하는 공진 주파수를 중심으로 소정 대역 내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게 되므로, 일종의 대역 통과 필터로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FBAR는 소형 및 경량으로 구현 가능하고, 대전력의 용도에 적합하다. 또한, 면적 부담 및 제조 비용의 측면과 대량 생산의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FBAR를 이용하여 필터를 제작하는 경우, 필터의 주요 특성 중 하나인 품질 계수(Quality Factor: Q)를 향상시킬 수 있고, 넓은 구동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마이크로 단위의 주파수 대역에서부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와 DCS(Digital Cordless System) 주파수 대역까지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필터의 구성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도 11은 US6262637호에서 복수개의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를 이용하여 구성한 듀플렉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위상 변조기(70)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위상 변조기(70)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듀플렉서(10)는 안테나 포트(20), 송신 포트(30) 및 수신 포트(40)를 포함하고, 안테나 포트(20)와 송신 포트(30) 사이에 형성된 송신단 필터(50) 및 안테나 포트(20)와 수신 포트(40) 사이에 형성된 수신 단 필터(60)를 포함한다.
각각의 송신단 및 수신단 필터(50, 60)는 연결된 각각의 포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공진기들(FBAR11,..., FBAR16) 및 각각의 송신단 및 수신단 필터(50, 60)가 연결된 포트들 사이에 형성된 분로들 상에 형성되어 제1 공진기들(FBAR11,..., FBAR16)에 대해 병렬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공진기들(FBAR21,..., FBAR26)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공진기들(FBAR11,..., FBAR16) 및 제2 공진기들(FBAR21,..., FBAR26)은 직렬 및 병렬로 조합되어 래더(ladder) 형 필터를 구성하여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만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로써 동작하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듀플렉서(10)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적절히 분기하는 역할을 하므로, 그 성능을 향상시키려면 송신 및 수신되는 신호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즉, 송신단 필터 및 수신단 필터를 통해 각각 송신 및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그 차이가 미미하므로, 상호 간의 간섭 작용에 의해 듀플렉서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송신단 필터(50) 및 수신단 필터(60)를 격리시켜서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Isolation부의 구성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간섭작용 및 노이즈(noise) 삽입 등을 방지함으로써 듀플렉서(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solation부는 통상적으로 커패시터 및 인덕터를 사용하여 안테나 포트(20)와 수신단 필터(60) 사이에 형성된 위상 변조기(phase shifter)(70)를 구현함으로 써, 송신 및 수신 신호의 주파수의 위상차를 90°가 되도록 하여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상 변조기(70)를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주파수 대역이 예를 들어, 1.88 GHz 내지 1.95 G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때, 송신단 필터(50)에 대한 수신단 필터(60)의 임피던스는 0에 근접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송신단 필터(50)와 수신단 필터(6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는 수신 신호에 의해 송신단 필터(50)가 커플링되어 구동하게 된다.
반면, 위상 변조기(70)를 안테나 포트(20)와 수신단 필터(60) 사이에 형성한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주파수 대역이 예를 들어, 1.88 GHz 내지 1.95 G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때, 송신단 필터(50)에 대한 수신단 필터(60)의 임피던스는 무한대(∞)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송신단 필터(50)와 수신단 필터(60)는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따라서, 수신 신호에 의해 송신단 필터(50)가 커플링되어 구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위상 변조기(70)를 사용하여 각각의 송신단 및 수신단 필터(50, 60)는 필터링 하는 주파수 대역의 송신 및 수신 신호만을 필터링함으로써 하나의 안테나를 공통 사용하는 듀플렉서로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Isolation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포트와 수신단 필터 사이에 커패시터 및 인덕터를 조합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바, 단일 칩셋으로 듀플렉서를 구현 시 공정 마진이 저하되고, FBAR의 제조 공정과 별도로 커패시터 및 인덕터를 기 판 상에 구현하는 등 공정 단계가 증가하게 되며, 공정 단계의 증가 및 회로 소자의 구현 비용 등으로 인하여 듀플렉서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상 변조기와 같은 별도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지 않고도 송신단 필터와 수신단 필터 사이에 발생 가능한 상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듀플렉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플렉서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제1 신호 포트와 제2 신호 포트 사이에 형성된다.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제1 신호 포트와 제3 신호 포트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각 대역 통과 필터는 제1 공진 회로부, 제2 공진 회로부 및 제3 공진 회로부를 포함한다. 제1 공진 회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공진기가 직렬 연결된다. 제2 공진 회로부는 제1 공진 회로부와 대향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공진기가 직렬 연결된다. 제3 공진 회로부는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를 연결하는 분로들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공진기가 병렬 연결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 공진기는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각각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고,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되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된다.
제1 대역 통과 필터의 제1 공진 회로부는 제1 신호 포트와 제2 신호 포트 사이에 형성되고, 제2 대역 통과 필터의 제1 공진 회로부는 제1 신호 포트와 제3 신호 포트 사이에 형성된다.
각 대역 통과 필터의 제2 공진 회로부 양단은 접지 전극에 연결된다.
이때, 제1 대역 통과 필터의 제2 공진 회로부는 제2 공진기 사이의 노드 중 임의의 노드와 접지 전극이 더 연결된다. 제1 대역 통과 필터의 제2 공진 회로부는 제2 공진기 사이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만 접지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제2 공진 회로부와 접지 전극 사이에 각각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제1 공진 회로부에 제1 공진기 중 전단과 후단의 제1 공진기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각 제1 및 제2 공진기가 각각 대향 배치되고, 분로들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공진기 양단 노드를 연결한다.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각 제1 및 제2 공진기가 대향 배치되고, 적어도 한쌍의 분로 중 제1 분로는 제1 공진기 전단 노드와 제2 공진기 후단 노드를 연결하며, 제2 분로는 제1 공진기 후단 노드와 제2 공진기 전단 노드를 연결한다.
이때,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제1 및 제2 신호 포트와 제1 공진 회로부 사이 에 임피던스 매칭 및 감쇠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4 공진기를 각각 더 포함한다. 또한,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제1 신호 포트와 제1 공진 회로부 사이에 형성된 제4 공진기와 병렬 연결된 인덕터를 더 포함한다.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제2 공진 회로부의 후단과 접지 전극 사이에 인덕터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듀플렉서에 의하면, 송신단 필터에서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수신단 필터는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되어 위상 변조기와 같은 별도의 구성 요소 없이도 송신단 필터와 수신단 필터 사이의 상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플렉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플렉서(100)는 제1 대역 통과 필터(200)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는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2 신호 포트(SIG_P2) 사이에 형성되고,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한다.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는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3 신호 포트(SIG_P3)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한다.
여기서, 제1 신호 포트(SIG_P1)는 듀플렉서(100) 외부에 형성되어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 포트로, 제2 신호 포트(SIG_P2)는 통신 기기 내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가 인가되는 송신 포트로, 제3 신호 포트(SIG_P3)는 안테나 포트에 인가된 수신 신호를 통신 기기 내부로 제공하는 수신 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200, 300)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 이하, FBAR)들이 직렬 및 병렬로 상호 연결되어 각각 제1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만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FBAR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FBAR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FBAR는 송신단 필터 FBAR(500) 및 수신단 필터 FBAR(600)가 동일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Si 또는 GaAs와 같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400) 상에 Al, W, Au, Pt, 또는 Mo 등의 도전 물질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진 하부 전극(510, 610), 하부 전극(510, 610) 상에 AlN, ZnO 등의 물질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진 압전층(520, 620) 및 압전층(520, 620) 상에 Al, W, Au, Pt, 또는 Mo 등의 도전 물질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진 상부 전극(530, 630)을 포함한다.
이때, 압전층(520, 620)에 발생되는 벌크 음향이 기판(400)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400)과 FBAR들(500, 600)을 격리시키는 구조 예를 들어, 반사막 구조 또는 에어 갭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FBAR들(500, 600)은 하부 및 상부 전극(510, 610, 530, 630)에 전압을 인가하여 압전층(520, 620) 내에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전계를 유기시키고, 이에 따라 소정 음향파를 출력하는 압전 효과를 일으켜 공진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FBAR들(500, 600)의 면적 또는 상부 전극의 두께 등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FBAR들(500, 600)의 공진 주파수를 다르게 제어한다.
따라서, 송신단 필터 FBAR(500)와 수신단 필터 FBAR(600)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송신단 필터와 수신단 필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각 송신단 및 수신단 필터는 각각 복수개의 송신단 필터 및 수신단 필터 FBAR(500, 600)를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공진 주파수의 튜닝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플렉서(100)는 제1 대역 통과 필터(200)가 송신단 필터로 구성되고, 제2 대역 통과 필터(300)가 수신단 필터로 구성된 경우,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와 제2 대역 통과 필터(300) 사이의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위상 변조기(70)를 구비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위상 변조기(70)의 구성을 생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플렉서(100)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는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되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는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관하여는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200, 300)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는 제1 공진 회로부(220, 320), 제2 공진 회로부(240, 340) 및 제3 공진 회로부(260, 360)를 각각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의 제1 공진 회로부(220)는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2 신호 포트(SIG_P2) 사이에 형성되고,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의 제1 공진 회로부(320)는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3 신호 포트(SIG_P3)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신호 포트(SIG_P1)가 안테나 포트로, 제2 신호 포트(SIG_P2)가 송신단 포트로, 제3 신호 포트(SIG_P3)는 수신단 포트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대역 통과 필터(200)는 송신단 필터로 사용되고,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는 수신단 필터로 사용된다.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200, 300)의 각 제2 공진 회로부(240, 340)는 각 제1 공진 회로부(220, 320)와 대향 배치되고, 각 제2 공진 회로부(240, 340) 양단은 접지 전극(GND)과 각각 연결된다.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200, 300)의 각 제3 공진 회로부(260, 360)는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220, 320, 240, 340)에 형성된 분로들 상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220, 320, 240, 340)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며,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220, 320, 240, 3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각 공진 회로부(220, 240, 260, 320, 340, 360)는 1개 이상의 공진기들 즉,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 이하 FBAR)들을 포함한다.
제1 대역 통과 필터(200)는 제1 공진 회로부(220)에 포함된 FBAR들과 제2 공진 회로부(240)에 포함된 FBAR들은 래더(ladder) 구조로 형성되고, 제2 공진 회로부(240)에 포함된 FBAR들과 제3 공진 회로부(260)에 포함된 FBAR들 또한 래더 구조로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는 제1 내지 제3 공진 회로부(220, 240, 260)에 포함된 FBAR들이 브릿지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의 필터링 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대역 통과 필터(200)는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2 신호 포트(SIG_P2) 사이에 형성된 제1 공진 회로부(220), 제1 공진 회로부(220)와 대향 배치되는 제2 공진 회로부(240) 및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220, 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로들(DL1,..., DLk) 상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220, 240)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며,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220, 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공진 회로부(2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공진 회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FBAR로 형성된 복수개의 공진기들(FBAR1,..., FBAR1n)이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2 신호 포트(SIG_P2) 사이에서 상호 직렬로 연결된다.
제2 공진 회로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FBAR로 형성된 복수개의 공진기들(FBAR21,..., FBAR2m)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2 공진 회로부(240) 양단은 접지 전극(GND)과 연결되고, 접지 전극(GND)과 제21 공진기(FBAR21) 사이의 제21 노드(N21) 및 접지 전극(GND)과 제2m 공진기(FBAR2m) 사이의 제2(m+1) 노드에는 각각 제1 및 제2 인덕터(IDT1, IDT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인덕터(IDT1, IDT2)는 듀플렉서(100)에 송신 및 수신 주파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인가됨에 따라 듀플렉서 설계시 의도한 공진 주파수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다.
이때, 제2 공진 회로부(240)에 인접한 공진기들(FBAR21,..., FBAR2m) 사이에 형성된 노드들(N22,..., N2m) 중 하나의 노드만 예를 들어, 제22 노드(N22)만 수신 또는 송신되는 주파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접지 단자(GND)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공진 회로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FBAR로 형성된 복수개의 공진기들(FBAR31,..., FBAR3k)이 제1 공진 회로부(220)와 제2 공진 회로부(240)를 연결하는 분로(DL1,..., DLk) 상에 형성되어 상호 병렬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31 공진기(FBAR31)는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11 공진기(FBAR11) 사이의 제11 노드(N11)에서 분기되어 접지 전극(GND)과 제21 공진기(FBAR 21) 사이의 제21 노드(N21)와 연결되는 제1 분로(DL1)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공진 회로부(220, 240, 260)에 포함된 공진기들은 상호간에 브릿지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공진 회로부(100)에 포함된 제11 공진기(FBAR11)와 제2 공진 회로부(200)에 포함된 제21 공진기(FBAR21) 및 제3 공진 회로부(300)에 포함된 제31 및 제32 공진기들(FBAR31, FBAR32)은 서로 브릿지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를 형성하였을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 통과 필터가 필터링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2.07 GHz 내지 2.16 GHz의 주파수 대역을 벗어나면 급격한 감쇠 특성이 나타나고, 2.07 GHz 내지 2.16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과 계수가 크게 형성되어 이 주파수 대역을 잘 통과시키는 필터링 특성이 나타난다.
반면, 인접한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1.88 GHz 내지 1.95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과 계수가 -40dB 이하로 작게 형성되어 통과 주파수 대역 주변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과 특성을 낮추는 필터링 특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동 통신 기기에서의 송수신 주파수 대역의 차가 작은 경우에 적용하기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도 4에서는 제1 공진 회로부(100)에 포함된 n 개의 공진기(FBAR1,..., FBAR1n)와 제2 공진 회로부(200)에 포함된 m 개의 공진기(FBAR21,..., FBAR2m)는 서로 동일한 수 즉, n 과 m 은 동일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일례로 제11 노드(N11)와 제21 노드(N21)를 연결하는 분로 (DL1) 상에 제31 공진기(FBAR31)가 형성되어 브릿지 구조를 가짐으로써, k는 n+1의 값을 갖는 것으로 형성하였으나, 제11 노드(N11)와 제1(n+1) 노드(N1(n+1))에 형성된 분로(DL1, DLk)를 제거하여 k는 n-1의 값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하게 분로(DL)의 수를 구성하여 제1 내지 제3 공진 회로부(100, 200, 300)에 포함된 공진기들을 브릿지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1 공진기들(FBAR11,..., FBAR1n)과 제2 공진기들(FBAR21,..., FBAR2m)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공진기들(FBAR11,..., FBAR1n) 및 제2 공진기들(FBAR21,..., FBAR2m)은 각각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필터링 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공진 주파수를 형성하도록 설계시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대역 통과 필터(200)는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2 신호 포트(SIG_P2) 사이에 형성된 제1 공진 회로부(220), 제1 공진 회로부(220)와 대향 배치되는 제2 공진 회로부(240) 및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220, 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로(DL1,..., DLk) 상에 형성된 제3 공진 회로부(2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공진 회로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FBAR로 형성된 복수개의 공진기들(FBAR1,..., FBAR1n)이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2 신호 포트(SIG_P2) 사이에서 상호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1 공진 회로부(220) 전단과 후단에 형성된 공진기들 즉, 제11 공진기(FBAR11)와 제1n 공진기(FBAR1n)에는 제11 공진기(FBAR11) 및 제1n 공진기(FBAR1n)에 대해 각각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들(IDT1, IDT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인덕터(IDT1, IDT2)는 듀플렉서(100)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인가됨에 따른 의도한 공진 주파수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다.
제2 공진 회로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FBAR로 형성된 복수개의 공진기들(FBAR21,..., FBAR2m)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2 공진 회로부(240) 양단은 접지 전극(GND)과 연결되고, 제2 공진 회로부(240)에 인접한 공진기들(FBAR) 사이에 형성된 노드들(FBAR22,..., FBAR2m) 중 하나의 노드는 수신 및 송신되는 주파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접지 단자(GND)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공진 회로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FBAR로 형성된 복수개의 공진기들(FBAR31,..., FBAR3m)이 제1 공진 회로부(220)와 제2 공진 회로부(240)를 연결하는 분로들(DL1,..., DLk)) 상에 형성되어 상호 병렬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31 공진기(FBAR31)는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11 공진기(FBAR11) 사이의 제11 노드(N11)에서 분기되어 접지 전극(GND)과 제21 공진기(FBAR21) 사이의 제21 노드(N21)와 연결되는 제1 분로(DL1)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공진 회로부(220, 240, 260)에 포함된 공진기(FBAR)들은 상호간에 브릿지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공진 회로부(100)에 포함된 제11 공진기(FBAR11)와 제2 공진 회로부(200)에 포함된 제21 공진기(FBAR21) 및 제3 공진 회로부(300)에 포함된 제31 및 제32 공진기들(FBAR31, FBAR32)은 서로 브릿지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를 형성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필터링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의 통과 주파수 대역 주변의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1.88 GHz 내지 1.95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과 계수가 거의 균일한 값을 갖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대역 통과 필터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필터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는 제1 공진 회로부(320)에 포함된 FBAR들과 제2 공진 회로부(340)에 포함된 FBAR들은 래더(ladder) 구조로 형성되고, 제2 공진 회로부(340)에 포함된 FBAR들과 제3 공진 회로부(360)에 포함된 FBAR들 또한 래더 구조로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는 제1 내지 제3 공진 회로부(320, 340, 360)에 포함된 FBAR들이 브릿지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제1 공진 회로부(320)와 제2 공진 회로부(340)를 연결하는 분로 중 적어도 하나의 분로는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교차하는 분로 상에 제3 공진 회로부(360)의 FBAR가 형성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의 필터링 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는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3 신호 포트(SIG_P3) 사이에 형성된 제1 공진 회로부 (320), 제1 공진 회로부(320)와 대향 배치되는 제2 공진 회로부(340) 및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320, 3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로들(DL1,..., DLk) 상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320, 340)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며,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320, 3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공진 회로부(3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공진 회로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FBAR로 형성된 복수개의 공진기들(FBAR1,..., FBAR1n)이 제1 신호 포트(SIG_P1)와 제3 신호 포트( SIG_P3) 사이에서 상호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는 제1 공진 회로부(320)와 제1 신호 포트(SIG_P1) 사이의 노드(N10) 및 제1 공진 회로부(320)와 제2 신호 포트(SIG_P2) 사이의 노드(N1n)에 제1 공진 회로부(320)와 직렬 연결되는 제10 및 제1(n+1) 공진기들(FBAR10, FBAR1(n+1))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10 및 제1(n+1) 공진기들(FBAR10, FBAR1(n+1))은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의 통과 주파수 대역 주변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감쇠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한다. 여기서, 특허청구범위에 작성된 제4 공진기들은 상기 제10 및 제1(n+1) 공진기들(FBAR10, FBAR1(n+1))을 의미한다.
또한, 제1 공진 회로부(320)와 제1 신호 포트(SIG_P1) 사이의 노드(N10)에 형성된 제10 공진기(FBAR10)에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인덕터(IDT1)가 병렬 연결된다.
제2 공진 회로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FBAR로 형성된 복수개의 공진기들(FBAR21,..., FBAR2m)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2 공진 회로부(340) 양단 은 접지 전극(GND)과 연결된다. 또한, 접지 전극(GND)과 제2 공진 회로부(340) 사이의 제20 노드(N20)에는 제2 공진 회로부(340)와 직렬 연결되어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의 통과 주파수 대역 주변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감쇠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0 공진기(FBAR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접지 전극(GND)과 제2m 공진기(FBAR2m) 사이의 제2m 노드에는 제2 인덕터(IDT2)가 형성된다. 여기서, 특허청구범위에 작성된 제5 공진기는 제20 공진기(FBAR20)를 의미한다.
여기서, 제2 인덕터(IDT2)는 듀플렉서(100)에 송신 및 수신 주파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인가됨에 따라 듀플렉서 설계시 의도한 공진 주파수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다.
제3 공진 회로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FBAR로 형성된 복수개의 공진기들(FBAR31,..., FBAR3k)이 제1 공진 회로부(320)와 제2 공진 회로부(340)를 연결하는 분로(DL1,..., DLk) 상에 형성되어 상호 병렬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3k 공진기는 제1 공진 회로부(320)의 제1n 노드(N1n)에서 분기되어 제2 공진 회로부(340)의 제2m 노드(N2m)와 연결되는 제k 분로(DLk) 상에 형성된다.
또한, 분로들(DL1,..., DLk) 중 적어도 한 쌍의 분로 예를 들어, 제1 분로(DL1)와 제2 분로(DL2)는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즉, 제1 분로(DL1)와 제2 분로(DL2)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공진기 예를 들어, 제1 공진기(FBAR11)와 제2 공진기(FBAR21) 양단에서 분기되고, 제1 분로(DL1)는 제1 공진기(FBAR11) 전단 노드(N10)와 제2 공진기(FBAR21)의 후단 노드(N21)를 연결하고, 제2 분로(DL2)는 제1 공진기(FBAR11)의 후단 노드(N11)와 제2 공진기(FBAR21)의 전단 노드(N20)를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공진 회로부(100, 200, 300)에 포함된 공진기들은 적어도 한쌍의 분로가 교차되는 브릿지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를 형성하였을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대역 통과 필터(300)가 필터링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2.07 ~ 2.16 GHz의 주파수 대역을 벗어나면 급격한 감쇠 특성이 나타나고, 2.07 ~ 2.16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과 계수가 크게 형성되어 이 주파수 대역을 잘 통과시키는 필터링 특성이 나타난다.
반면, 인접한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1.88 ~ 1.95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과 계수가 -40dB 이하로 작게 형성되어 통과 주파수 대역 주변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과 특성을 낮추는 필터링 특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동 통신 기기에서의 송수신 주파수 대역의 차가 작은 경우에 적용하기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의 통과 주파수 대역을 송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나,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의 제1 내지 제3 공진 회로부(320, 340, 360)의 공진기들(FBAR)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제2 대역 통과 필터(300)가 1.88 GHz 내지1.95 GHz 범위의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와 제2 대역 통과 필터(300)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대역 통과 필터 (200)와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하나의 실시예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의 조합으로 듀플렉서(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에 대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의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200, 300)를 형성하였을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가 소정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1.88 GHz 내지 1.95 G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때,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에 대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의 임피던스는 무한대(∞)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제1 대역 통과 필터(200)는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에 대해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는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수신 신호에 의해 제1 대역 통과 필터(200)가 커플링되어 구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상 변조기(700)를 구비하지 않고도 본 발명에 의한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200, 300)의 구조만으로도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와 제2 대역 통과 필터(300) 각각에 인가되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에 의한 상호간의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수신 신호에 대해 제1 대역 통과 필터(200)가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원리로 송신 신호가 소정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2.07 GHz 내지 2.16 G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때, 제2 대역 통과 필터(300)에 대한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의 임피던스는 무한대(∞)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제2 대역 통과 필터(300)가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대역 통과 필터(300)는 제1 대역 통과 필터(200)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송신 신호에 의해 제2 대역 통과 필터(300)가 커플링되어 구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레서가 단일 칩 셋으로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플렉서(1000)는 제1 대역 통과 필터(200), 제2 대역 통과 필터(300), 제1 신호 포트(SIG_P1), 제2 신호 포트(SIG_P2), 제3 신호 포트(SIG_P1) 및 접지 포트(GND_P)를 포함한다.
제1 및 2 대역 통과 필터(200, 300)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FBAR를 직렬 및 병렬로 조합하여 구현된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2 및 3 신호 포트(SIG_P1, SIG_P2, SIG_P3)는 각각 외부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부분으로 도전체 물질로 형성된다. 각 신호 포트는 소정의 메탈 물질로 이루어진 연결 라인들을 통하여 제1 및 2 대역 통과 필터(200, 300)와 연결된다.
접지 포트(GND_P)는 외부의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각 대역 통과 필터(200, 300)와 소정의 메탈 물질로 이루어진 연결 라인들을 통하여 연결된다.
제1 신호 포트(SIG_P1)는 외부의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와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200, 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대역 통과 필터(200)가 송신단 필터이고 제2 대역 통과 필터(300)가 수신단 필터로 구성된 경우, 송수신 신호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각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200, 300)의 구조에 의해 송수신 신호에 의해 상호간의 간섭 현상을 방지하면서, 송신 신호는 송신단 필터로 인가되어 안테나로 출력되고, 수신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단 필터로 인가된다.
따라서,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상 변조기를 제거 가능하고, 이에 따라 각 공진기들(FBAR)의 공정 마진이 향상된다. 이는 다시, 각 공진기들(FBAR)의 형성 면적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어 공진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안테나로 송신 및 수신 신호를 인가받거나 출력하는 듀플렉서의 중요 구성 요소인 위상 변조기를 제거 가능하여 단일 칩으로 듀플렉서의 제조 시 공정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듀플렉서의 공정 마진을 향상시킴에 따라 각 공진기들의 면적을 확장 가능하여 듀플렉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상 변조기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단계 및 회로 소자의 구성을 제거 가능하여 듀플렉서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 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제1 신호 포트와 제2 신호 포트 사이에 형성된 제1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1 신호 포트와 제3 신호 포트 사이에 형성된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대역 통과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공진기가 직렬 연결된 제1 공진 회로부;
    상기 제1 공진 회로부와 대향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공진기가 직렬 연결된 제2 공진 회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공진 회로부를 연결하는 분로들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공진기가 병렬 연결된 제3 공진 회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공진기는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각각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라인 오픈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의 제1 공진 회로부는 상기 제1 신호 포트와 상기 제2 신호 포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의 제1 공진 회로부는 상기 제1 신호 포트와 상기 제3 신호 포트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역 통과 필터의 제2 공진 회로부 양단은 접지 전극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의 제2 공진 회로부는 상기 제2 공진기 사이의 노드 중 임의의 노드와 상기 접지 전극이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의 제2 공진 회로부는 상기 제2 공진기 사이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만 상기 접지 전극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제2 공진 회로부와 상기 접지 전극 사이에 각각 인덕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제1 공진 회로부의 상기 제1 공진기 중 전단과 후단의 제1 공진기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각 제1 및 제2 공진기가 각각 대향 배치되고, 상기 분로들은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공진기 양단 노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각 제1 및 제2 공진기가 대향 배치되고, 적어도 한쌍의 상기 분로 중 제1 분로는 상기 제1 공진기 전단 노드와 상기 제2 공진기 후단 노드를 연결하고, 제2 분로는 상기 제1 공진기 후단 노드와 상기 제2 공진기 전단 노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 포트와 상기 제1 공진 회로부 사이에 임피던스 매칭 및 감쇠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4 공진기를 각각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제1 신호 포트와 상기 제1 공진 회로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4 공진기와 병렬 연결된 인덕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제2 공진 회로부의 후단과 상기 접지 전극 사이에 인덕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KR20060011164A 2006-02-06 2006-02-06 듀플렉서 KR101238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1164A KR101238359B1 (ko) 2006-02-06 2006-02-06 듀플렉서
US11/648,664 US7518410B2 (en) 2006-02-06 2007-01-03 Duplexer
CN2007100019830A CN101018070B (zh) 2006-02-06 2007-01-16 双工器
JP2007013931A JP2007215173A (ja) 2006-02-06 2007-01-24 デュプレク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1164A KR101238359B1 (ko) 2006-02-06 2006-02-06 듀플렉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077A true KR20070080077A (ko) 2007-08-09
KR101238359B1 KR101238359B1 (ko) 2013-03-04

Family

ID=3833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1164A KR101238359B1 (ko) 2006-02-06 2006-02-06 듀플렉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18410B2 (ko)
JP (1) JP2007215173A (ko)
KR (1) KR101238359B1 (ko)
CN (1) CN1010180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5812A1 (en) * 2004-05-17 200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F front-end apparatus in a T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238358B1 (ko) * 2006-02-06 201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듀플렉서
JP2013062556A (ja) * 2010-01-13 2013-04-04 Murata Mfg Co Ltd マルチプレクサ
CN102547803A (zh) * 2012-01-30 2012-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站的射频测试***、方法及多工器
EP2733855B1 (en) 2012-11-15 2016-07-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ceiver front-end
KR20140110546A (ko) * 2013-03-08 2014-09-1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
BR112015022333B1 (pt) 2013-03-14 2022-08-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ceptor, e,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WO2014173459A1 (en) 2013-04-26 2014-10-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ceiver arrangement,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2992614B1 (en) 2013-04-30 2017-03-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ceiver arrangement,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900044B2 (en) 2014-01-21 2018-0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ceiver arrange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BR112017008956A2 (pt) 2014-10-29 2017-12-26 Ericsson Telefon Ab L M arranjo de transceptor e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EP3506499B1 (en) * 2017-12-07 2023-08-02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ated rf filter using tunable baw resonator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459B2 (ja) * 1993-08-23 2002-02-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分波器
JP2905094B2 (ja) * 1994-07-01 1999-06-14 富士通株式会社 分波器パッケージ
US5910756A (en) * 1997-05-21 1999-06-0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Filters and duplexers utilizing thin film stacked crystal filter structures and thin film bulk acoustic wave resonators
JP3419339B2 (ja) * 1999-03-11 2003-06-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通信機装置
US6262637B1 (en) * 1999-06-02 2001-07-17 Agilent Technologies, Inc. Duplexer incorporating thin-film bulk acoustic resonators (FBARs)
EP1371135B1 (en) * 2001-03-23 2005-11-30 Infineon Technologies AG Filter device
WO2002093763A1 (fr) * 2001-05-11 2002-11-21 Ube Electronics, Ltd. Filtre utilisant un resonateur acoustique en volume a bande plastique et un commutateur transmission/reception
JP3889343B2 (ja) * 2001-09-21 2007-03-07 株式会社東芝 可変フィルタ
JP3988864B2 (ja) * 2002-03-26 2007-10-10 Tdk株式会社 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た分波器
JP2004173245A (ja) * 2002-10-30 2004-06-17 Murata Mfg Co Ltd ラダー型フィルタ、分波器、および通信機
WO2004047290A1 (en) * 2002-11-19 2004-06-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uplexer and method of isolating an rx-band and a tx-band
US6886260B1 (en) * 2003-11-12 2005-05-03 Hui Ling Lee Electromotive can opener
JP4390682B2 (ja) * 2003-11-20 2009-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圧電共振器を用いたフィルタ
EP1533897A3 (en) * 2003-11-20 2010-06-30 Panasonic Corporation Filter using piezoelectric resonator
DE102004032930A1 (de) * 2004-07-07 2006-02-02 Epcos Ag Beidseitig symmetrisch betreibbares Filter mit Volumenwellenresonatoren
JP2007013930A (ja) * 2005-05-30 2007-01-18 Sony Corp 遠隔制御装置及び遠隔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18410B2 (en) 2009-04-14
CN101018070B (zh) 2010-06-09
US20070182509A1 (en) 2007-08-09
CN101018070A (zh) 2007-08-15
KR101238359B1 (ko) 2013-03-04
JP2007215173A (ja)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359B1 (ko) 듀플렉서
US6710677B2 (en) Band reject filters
US8576024B2 (en) Electro-acoustic filter
US10615775B2 (en) Multiplex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US8125298B2 (en) Acoustic wave filter, duplexer using the acoustic wave filt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duplexer
JP5237138B2 (ja) フィルタ、デュープレクサ、通信モジュール
US7106148B2 (en) Branching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7250831B2 (en) Filter comprising inductor, duplexer using the filter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
JP4468185B2 (ja) 等しい共振周波数を有する共振器フィルタ構造体
US10840885B2 (en) Filter and method of designing an RF filter
JP2001024476A (ja) 送受切換器
JP2007529940A (ja) 結合baw共振器をベースとする送受切換器
US20040085161A1 (en) SAW filt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W filter
JP2006513662A5 (ko)
JP2009508417A (ja) 電気的なモジュール
KR20020029922A (ko) 사다리형 필터, 무선 주파수 대역 통과 필터, 무선 주파수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장치
US20170040966A1 (en) Combined impedance matching and rf filter circuit
JPH11330904A (ja) 共振器型弾性表面波フィルタ
KR101238358B1 (ko) 대역 통과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듀플렉서
JP2005160056A (ja) 圧電デバイス及びアンテナ共用器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圧電共振器の製造方法
US7187255B2 (en) Arrangement of lattice filter
JP2017521007A (ja) RFフィルタ回路、減衰が改善されたrfフィルタおよび分離度が改善されたデュプレクサ
WO2024020785A1 (zh) 滤波器、射频器件和电子装置
Jimenez et al. Design of a Coupled Resonator 3dB power divider based on BAW technology
JP2006129131A (ja) 平衡型高周波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及び平衡型高周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