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440A - 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또는 소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또는 소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440A
KR20070077440A KR1020070003100A KR20070003100A KR20070077440A KR 20070077440 A KR20070077440 A KR 20070077440A KR 1020070003100 A KR1020070003100 A KR 1020070003100A KR 20070003100 A KR20070003100 A KR 20070003100A KR 20070077440 A KR20070077440 A KR 20070077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ceptacle
connector
plug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4604B1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타
하야토 콘도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 배열방향 및 이것에 직각인 방향의 2방향에서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을 도모하고, 고속 디지털신호의 전송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리셉터클 보디(110)의 긴쪽방향에 복수의 콘택트(120)를 소정간격으로 조립해 넣는다. 각 콘택트(120)는, 대응하는 콘택트와의 탄성 접촉을 위한 사행 만곡부(122)를 중간부에 가진다. 복수의 콘택트(120)의 각 사행 만곡부(122)의 안쪽을 통과해서 리셉터클 보디(110)의 긴쪽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지부재(130)를, 리셉터클 보디(110)에 조합한다. 접지부재(130)는 사행 만곡부(122)의 각부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 또는 소형 전자기기{MULTI-POLE CONNECTOR,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OR COMPACT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ULTI-POLE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다극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동일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의 사시도;
도 3은 동일 리셉터클의 종단측면도;
도 4는 동일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조합한 다극 커넥터의 종단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리셉터클 110: 리셉터클 보디
120: 리셉터클 콘택트 121: 접점부
122: 사행 만곡부 123: 접속부
124: 기판실장부 130: 접지부재
131: 기판실장부 200: 커넥터 플러그
210: 플러그 보디 220: 플러그 콘택트
221: 제1 접점부 222: 제2 접점부
223: 수평부 224: 경사부
230: 제1 실드부재 240: 제2 실드부재
300: 동축케이블
본 발명은, 휴대전화로 대표되는 휴대형 무선단말이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로 대표되는 소형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커넥터,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로 긴 보디의 긴쪽방향에 복수의 콘택트가 소정간격으로 조립된 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 또는 소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는, 액정표시장치 등에 접속된 케이블을 메인보드 위의 기판에 접속하기 위해서, 다극 기판실장형인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 형식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케이블이 조립되는 가로로 긴 커넥터 플러그와, 이것이 끼워맞춤하는 가로로 긴 기판실장형 리셉터클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33173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5-7166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2005-116447호 공보
가로로 긴 커넥터 플러그는 통상, 가로로 긴 리셉터클에 피복되는 캡형식으 로 되어 있으며, 긴쪽방향(가로폭방향)에 소정간격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플러그 콘택트를 가지고 있다. 다수 개의 플러그 콘택트는, 조립된 다수 개의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리셉터클은, 다수 개의 플러그 콘택트에 대응하도록 긴쪽방향(가로폭방향)에 소정간격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를 가지고 있다. 다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는, 가로로 긴 수지 보디의 긴쪽방향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긴쪽방향에 직각인 슬릿형상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각 리셉터클 콘택트의 일단부는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에 압접하는 접점부이다. 또, 타단부는 기판실장부이며, 기판 표면에 형성된 배선패턴에 납땜 등에 의해 접합된다.
그리고 통상은, 플러그 콘택트와의 탄성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접점부와 기판실장부와의 사이에, 탄성변형부로서의 사행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표면에 실장된 리셉터클에 커넥터 플러그를 장착함으로써, 리셉터클 내의 다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의 각 사행 만곡부 등이 탄성 변형하고, 그 복원력에 의해, 다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가 커넥터 플러그 내의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에 압접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플러그에 조립된 다수 개의 케이블이, 기판 표면에 형성된 배선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다극 기판실장형인 커넥터에 있어서는, 리셉터클의 기판과의 접합강도의 확보나 실드 등을 목적으로 해서, 리셉터클 보디의 양단부, 즉 리셉터클 콘택트군의 양쪽에, 실장 단자를 겸하는 그랜드단자가 형성된다. 그러나, 양단부의 그랜드단자의 사이에 다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가 배치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콘택트의 배치위치에 의해서, 콘택트로부터 그랜드단자까지의 거리에 차이가 생긴다. 즉, 보디의 양단부에 배치된 콘택트는 그랜드단자에 가깝고, 양단부로부터 떨어져서 중앙부에 가까이 갈수록 그랜드단자까지의 거리는 증대한다. 그 결과, 콘택트간에 임피던스특성에 차이가 생겨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고속 디지털신호 처리를 위해서, 커넥터 통과영역에서의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이 요구되지만, 차동전송을 실시하는 경우, 2개의 라인간의 스큐(skew)(전기적인 길이의 차이)가 커지면, 차동전송로의 전송특성이 저하된다. 또, 복수의 차동라인에 의해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차동페어간에 스큐가 커지면, 수신쪽에서의 처리에 오류가 많아질 위험이 있다. 상술한 종래 구조의 경우, 콘택트간에 임피던스특성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스큐가 커지며, 차동페어간의 스큐도 커진다. 그 결과, 상술한 전송특성의 저하나 수신쪽에서의 오류 증가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는 차동페어용 2극의 양쪽에 있는 콘택트를 그랜드단자에 사용해서 양극간에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을 도모하고 있지만, 필요한 콘택트수가 증가하여, 부품점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가 긴쪽방향(콘택트 배열방향)에서 대형화된다.
이것에 부가해서, 고속 디지털신호 처리에서는, 기판배선, 케이블배선 및 커넥터배선은, 단순한 접속선이 아니라, 신호전송로라고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며, 신호전송로와 그랜드와의 위치관계를 일정하게 할 배려가 필요해진다. 즉, 콘택트 배열방향뿐만 아니라, 콘택트 배열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도, 콘택트와 그랜드와의 위치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임피던스특성을 균일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기판실장형 리셉터클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쪽의 대응하는 콘택트와의 탄성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리셉터클 콘택트의 중간부에 사행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많다. 그 결과, 이 사행 만곡부에서 그랜드와의 위치관계가 크게 변화되고, 이것에 의해서도 임피던스특성의 부정합에 기인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이며, 콘택트수가 많은 경우에도 콘택트 배열방향에서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을 도모할 수 있는 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 또는 소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택트 중간부에 탄성변형부로서의 사행 만곡부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에서 콘택트와 그랜드의 사이의 위치관계를 가급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콘택트 배열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을 도모할 수 있는 다극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극 커넥터는, 가로로 긴 보디의 긴쪽방향에 복수의 콘택트가 소정간격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각 콘택트가, 대응하는 콘택트와의 탄성 접촉을 위한 탄성변형부로서 사행 만곡부를 중간부에 가지는 다극 커넥터로서, 복수의 콘택트의 각 사행 만곡부의 안쪽을 통과해서 상기 보디의 긴쪽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는, 복수의 콘택트의 각 사행 만곡 부의 안쪽을 통과해서 보디의 긴쪽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지부재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콘택트 배열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트와 그랜드와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되며, 콘택트간에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이 도모된다. 또, 복수의 콘택트의 각 사행 만곡부에서, 콘택트와 그랜드의 위치관계가 균등화되고, 콘택트 배열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도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이 도모된다.
이 접지부재는, 각 콘택트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에 대해서 동일한 위치관계인 것이, 콘택트간에서의 임피던스 정합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사행 만곡부에서의 콘택트와 그랜드의 위치관계의 균등화를 도모하는 점에서, 각 콘택트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의 안쪽 거의 중앙부에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각 콘택트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가, 3개의 직선부를 거의 직각으로 연결한 대략 コ자 형상인 경우는, 접지부재는, 이들 3개의 직선부로부터 거의 등거리의 위치에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부재는 또, 보디 속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조립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디에 홈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며, 보디의 강도 저하에 의한 휨 방지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접지부재와 콘택트를 접근시키기 위한 박형화도 가능해지며, 접지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자유도가 커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극 커넥터는, 기판실장형으로서 매우 적합하며, 특히 커넥터 플러그와 조합되는 리셉터클에 그 구조는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는, 콘택트의 사행 만곡부에 대해서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을 도모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하지만, 사행 만곡부는 통상 콘택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점부와 타단부에 형성된 기판실장부와의 사이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부분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 이외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도, 아래쪽 기판까지의 거리가 상기 사행 만곡부로부터 상기 접지부재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 배열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의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성이 한층더 향상된다.
또, 리셉터클과 커넥터 플러그가 조합되는 다극 커넥터인 경우, 커넥터 플러그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에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를 보디에 장비하는 동시에, 상기 보디를 피복하는 실드부재를 장비하고 있으며, 각 플러그 콘택트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접촉하는 제1 접점부를 일단부에 가지는 동시에, 타단부에 케이블과 접속되는 제2 접점부를 가지는 것이 통례이다.
그리고, 각 플러그 콘택트에 대해서도 임피던스 대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실드부재까지의 각 거리가, 리셉터클 콘택트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로부터 상기 접지부재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접점부와 제2 접점부를 연결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실드부재까지의 거리가 리셉터클 콘택트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로부터 상기 접지부재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 배열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의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성이 한층더 향상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다극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동일 커넥터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의 사시도, 도 3은 동일 리셉터클의 종단측면도, 도 4는 동일 리셉터클을 플러그를 조합한 상태의 종단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극 커넥터는, 휴대전화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의 액정표시장치와 메인보드 위의 기판과의 접속 등에 사용되는 기판실장형인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는,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가로로 긴 리셉터클(100)과, 이것에 장착되는 가로로 긴 커넥터 플러그(200)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플러그(200)에는, 가로로 나열하는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300)이 정면쪽으로부터 삽입되어서 접속되어 있다.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100)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로로 긴 리셉터클 보디(110)와, 이것에 유지된 다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120)와, 리셉터클 보디(110) 내에 긴쪽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매설된 가로로 긴 접지부재(130)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보디(110)는 가로로 긴 직육면체이며, 긴쪽방향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콘택트삽입부(111)를 가지고 있다. 콘택트삽입부(111)는 보디(110)의 긴쪽방향에 직각인 슬릿형상의 오목부이며, 보디(110)의 양단부 및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부(111)는, 정면쪽 깊은 오목부(112)와, 보디(110)의 볼록부(115) 위에 형성된 배면쪽 얕은 부분(113)과, 더한층 배면쪽인 관통부(114)로 이루어지며, 정면쪽 오목부(111)는, 리셉터클 콘택트(120)를 돌출시키 기 위해서 정면쪽에 개구하고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120)는, 정면쪽이 거의 수직인 접점부(121)와, 접점부(121)의 배면쪽에 연접된 위에 볼록의 사행 만곡부(122)와, 이들을 연결하는 수평인 접속부(123)와, 사행 만곡부(122)의 배면쪽에 연속해서 형성된 기판실장부(124)로 이루어진다. 접점부(121)는, 플러그(200) 쪽의 대응하는 콘택트와의 접촉성을 높이기 위해서, 정면쪽으로 볼록한 「く」자 형상으로 절곡해서, 삽입부(111)의 정면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사행 만곡부(122)는, 수평부(122a)와 그 양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나온 한 쌍의 수직부(122b, 122c)로 이루어지는 역U자 형상의 사각형 만곡부이며, 보디(110)의 볼록부(115)에 피복되도록 해서 삽입부(111)에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정면쪽 수직부(122b)는, 그 하단부와 접점부(12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수평인 접속부(123)와 함께, 삽입부(111)의 깊은 오목부(112)에 끼워맞춤하고 있으며, 수평부(122a)는 볼록부(115) 위의 얕은 부분(113)에 끼워맞춤하고 있다. 또, 배면쪽의 수직부(122c)는 관통부(114)에 끼워맞춤하고 있다.
기판실장부(124)는, 수직부(122c)의 하단부로부터 배면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또한 기판과의 접속을 위해서 보디(110)로부터 배면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기판실장부(124)의 하부면은 보디(110)의 하부면과 동일레벨이다.
가로로 긴 접지부재(130)는, 구리판 등의 판형성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보디(110) 내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긴쪽방향으로 관통해서 매설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는 기판실장부(131, 131)로서, 보디(110)의 양단부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접지 부재(130)의 양단부를 제외한 매설부분은, 보디(110)의 볼록부(115)를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볼록부(115)에 피복되는 사행 만곡부(122)의 수평부(122a) 및 수직부(122b, 122c)의 3부분으로부터 등거리로 되는 볼록부(115)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양단부의 기판실장부(131, 131)는, 기판의 표면으로의 실장을 위해서, 리셉터클 콘택트(120)의 기판실장부(124)와 마찬가지로, 보디(110)의 바닥면과 동일레벨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 플러그(200)는, 기판 표면에 실장된 상기 리셉터클(100)에 위쪽으로부터 피복되는 가로로 긴 캡이다. 이 커넥터 플러그(200)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로로 긴 플러그 보디(210)와, 플러그 보디(210) 내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조합된 다수 개의 플러그 콘택트(220)와, 플러그 보디(210)에 플러그 콘택트(220)와 함께 인서트성형에 의해 조합된 제1 실드부재(230)와, 플러그 보디(110)에 끼워맞춤에 의해 조합되는 제2 실드부재(240)를 구비하고 있다. 양실드부재(230, 240)는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보디(210)는, 리셉터클(100)이 끼워맞춤하는 가로로 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211)를 하부면에 가지고 있다. 다수 개의 플러그 콘택트(220)는, 리셉터클 콘택트(120)에 대응해서 보디(210)의 긴쪽방향에 소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220)는, 리셉터클 콘택트(120)의 접점부(121)와 접촉하도록 끼워맞춤부(211)의 내부벽면(리셉터클 보디(110)의 정면에 대향하는 정면쪽의 내부벽면)에 노출한 수직인 제1 접점부(221)를 일단부에 가지고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220)의 타단부는, 동축케이블(300)의 심선(310)과의 접속을 위해서, 보디(210)의 배면쪽 상부면에 노출한 수평인 제2 접점부(222)이다. 수직인 제1 접점부(221)는, 끼워맞춤부(211)의 천정면에 노출하는 수평접속부(223), 그 선단부로부터 배면쪽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나오는 경사접속부(224)를 개재해서 위쪽의 수평인 제2 접점부(222)에 접속되어 있으며, 경사접속부(224)는 플러그 보디(210) 속에 완전히 매설되어 있다.
제1 실드부재(230)는, 보디(210)의 정면 및 정면쪽의 상부면을 피복하는 단면이 역L자 형상인 실드 케이스이며, 보디(210)의 정면에 노출하는 수직면부(231)와, 보디(210)의 정면쪽 상부면에 노출하는 수평면부(232)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실드부재(240)는, 플러그 보디(210)의 배면 및 플러그 보디(210)의 상부면 전체를 피복하는 단면이 역L자 형상인 실드 커버이며, 플러그 보디(210)의 배면에 접촉하는 수직면부(241)와, 수직면부(241)의 상단부로부터 정면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나온 수평면부(242)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면부(242)는, 플러그 보디(210)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동축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케이블 수용부(243)를 형성한다.
동축케이블(300)은, 그 피복커버(330)를 제거해서 접지선(320)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케이블수용부(243)에 삽입된다. 삽입부의 선단부분에서는, 심선(310)이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부가 노출된 접지선(320)을 일괄 납땜부(400)에 의해 제1 실드부재(230)의 수평면부(232) 및 제2 실드부재(240)의 수평면부(242)에 일괄해서 납땜함으로써 그랜드 바를 형성하고 있다. 선단부분이 노출된 심선(310)은,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220)의 제2 접점부(222)에 납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극 커넥터의 사용방법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셉터클(100)을 기판의 표면에 실장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120)의 각 기판실장부(124)를 기판 표면의 대응하는 패턴에 납땜에 의해 접합한다. 이것과 동시에, 리셉터클 보디(110)를 긴쪽방향으로 관통하는 접지부재(130)의 양단부의 실장단자부(131, 131)를 기판 표면의 그랜드패턴에 납땜에 의해 접합한다. 리셉터클 콘택트(120)의 각 기판실장부(124) 이외에, 접지부재(130)의 양실장단자부(131, 131)를 기판 표면에 접합하므로, 우수한 접합강도가 확보된다. 또한, 양실장단자부(131, 131)는 접지부재(130)의 일부이며, 일부품이므로, 부품점수의 증가가 회피된다.
또, 그 접지부재(130)는 리셉터클 보디(110)에 인서트성형되어 있으므로, 리셉터클(10)의 조립공정에서 실장단자부(131, 131)를 리셉터클 보디(110)에 장착할 필요가 없다. 리셉터클(100)의 조립공정에서 장착을 실시하는 것은 리셉터클 콘택트(120)뿐이다. 이것에 의해, 1공정에서 리셉터클(100)의 조립을 종료할 수 있으며, 2공정에서 문제로 되는 공정간의 이동에 의한 시간적 낭비이나 부품변형이 방지된다.
기기조립에서는, 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리셉터클(100)에, 동축케이블(300)이 접속된 커넥터 플러그(20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플러그(200)의 보디 하부면에 형성된 리셉터클 걸어맞춤부(211)에 리셉터클(100)이 끼워맞춤하도록, 리 셉터클(100)에 커넥터 플러그(200)를 피복시킨다.
리셉터클(100)에 커넥터 플러그(200)가 장착되면, 리셉터클(100)에 있어서의 다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120)의 각 접점부(121)가, 커넥터 플러그(200)에 있어서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220)의 제1 접점부(221)에 압접된다. 이때, 리셉터클 콘택트(120)에서는, 접점부(121)와 함께, 탄성변형부일 뿐만 아니라 볼록형상인 사행 만곡부(122)가 탄성 변형된다. 이들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확실한 전기적 접촉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전기적 접촉에 의해, 동축케이블(300)의 심선(310)이, 플러그 콘택트(220) 및 리셉터클 콘택트(120)를 개재해서 기판 위의 대응하는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병렬하는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300)의 각 접지선(320)은, 일괄 납땜부(400)를 개재해서, 플러그(200)를 피복하는 제1 실드부재(230)(실드 케이스) 및 제2 실드부재(240)(실드커버)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리셉터클 보디(110)에 조립된 다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120)에 주목하면, 보디(110)를 접지부재(130)가 긴쪽방향, 즉 리셉터클 콘택트(120)의 배열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런 연유로, 모든 리셉터클 콘택트(120)는 그랜드에 대해서 위치관계가 동일하게 되며, 콘택트 배열방향에 있어서의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이 도모된다.
또한, 이 접지부재(130)는, 각 리셉터클 콘택트(120)의 사행 만곡부(122)가 피복되는 보디(100)의 볼록부(115)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위로 볼록인 사각형상의 사행 만곡부(122)를 구성하는 수평부(122a) 및 수직 부(122b, 122c)의 3부분으로부터 등거리로 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위로 볼록인 사각형상의 사행 만곡부(122)는, 리셉터클 콘택트(120)의 탄성 접촉을 위해서 중요한 부분이지만, 필연적으로 이 부분에서 콘택트(120)가 하부의 기판으로부터 분리된다.
리셉터클 콘택트(120)는, 고속 디지털신호의 전송에서는, 플러그 콘택트(220)와 함께 신호전송선로를 구성한다. 즉, 이들은 단순한 접속선이 아니라, 신호전송선로로 되는 것이다. 이런 연유로, 리셉터클 콘택트(120)의 각부도 그랜드로부터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되는 것이 요망되지만, 사행 만곡부(122)의 부분에서는, 리셉터클 콘택트(120)가 하부의 기판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그랜드와의 위치관계가 부분적으로 붕괴하는 원인으로 된다. 그런데도, 상기 접지부재(130)는, 사행 만곡부(122)를 구성하는 수평부(122a) 및 수직부(122b, 122c)의 3부분으로부터 등거리로 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크게 변형하는 사행 만곡부(122)의 부분에서도, 그랜드와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다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120)는, 그들의 배열방향뿐만 아니라, 배열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도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이 도모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리셉터클 콘택트(120)에서의 사행 만곡부(122)에 기인하는, 콘택트 배열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임피던스특성의 부정합이 해소된다.
이것에 부가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극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 콘택트(120)의 정면쪽의 접점부(121)와 사행 만곡부(122)를 연결하는 수평인 접속부(123)로부터 그 하부의 평행인 기판까지의 거리도, 사행 만곡부(122)로부터 접지 부재(130)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접점부(121)가 탄성 접촉하는 플러그 콘택트(220)의 수직인 제1 접점부(221)로부터, 그 정면쪽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실드부재(230)의 수직면부(231)까지의 거리도, 사행 만곡부(122)로부터 접지부재(130)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개개의 리셉터클 콘택트(120)는, 사행 만곡부(122)의 부분뿐만 아니라, 기판과 접합되는 기판실장부(124)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그랜드와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이 도모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리셉터클 콘택트(120)에서의 전송특성이 우수하다.
또, 플러그(200) 쪽의 콘택트(220)에 주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점부(221)로부터, 그 정면쪽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실드부재(230)의 수직면부(231)까지의 거리가, 사행 만곡부(122)로부터 접지부재(130)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동축케이블(300)의 심선(310)과 접속되는 수평인 제2 접점부(222)에 대해서도, 그 위에 평행으로 배치된 제2 실드부재(240)의 수평면부(242)까지의 거리가, 사행 만곡부(122)로부터 접지부재(130)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점부(221)와 제2 접점부(222)를 연결하는 수평접속부(223)에 대해서도, 그 위에 평행으로 배치된 제1 실드부재(230)의 수평면부(232)까지의 거리가, 사행 만곡부(122)로부터 접지부재(130)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개개의 플러그 콘택트(220)는, 경사접속부(224)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실드부재(그랜드)와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이 도모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리셉터클 콘택트(120)뿐만 아니라, 플러그 콘택트(220)에서의 전송특성도 우수하다. 또한, 제1 실드부재(230) 및 제2 실드부재(240)는, 리셉터클(100)에의 플러그(200)의 장착에 수반하여, 리셉터클(100) 쪽의 접지부재(130)를 개재해서 접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콘택트(120)는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한 1열 배치이지만, 접점부(121)가 서로 향하는 2열 배치 등이어도 되고, 리셉터클 콘택트(120) 및 플러그 콘택트(220)의 배열형태나 각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극 커넥터는, 복수의 콘택트의 각 사행 만곡부의 안쪽을 통과해서 보디의 긴쪽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콘택트수가 많은 경우도 각 콘택트와 그랜드와의 위치관계를 일정하게 하고, 콘택트간, 즉 콘택트 배열방향에서의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콘택트가 사행 만곡부를 가지므로, 대응하는 콘택트와의 접촉상태가 양호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행 만곡부에서 콘택트와 그랜드와의 위치관계가 균등화되고, 콘택트 배열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도 임피던스특성의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임피던스 제어에 의해, 임피던스특성의 부정합에 기인하는 모든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고속 디지털신호의 안정전송에 기여한다. 또, 접지부재에 의해 보디를 강화할 수 있다거나, 접지부재가 사행 만곡부의 안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보디의 대형화가 회피된다고 하는 효과도,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극 커넥터는 나타낸 다.
그리고,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니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극 커넥터를 휴대형 무선단말 또는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하면, 이들의 기기는 고속 디지털신호의 전송특성이 우수하며, 동시에 경제성, 신뢰성에도 우수한 것으로 된다.

Claims (10)

  1. 가로로 긴 보디의 긴쪽방향에 복수의 콘택트가 소정간격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각 콘택트가, 대응하는 콘택트와의 탄성 접촉을 위한 탄성변형부로서 사행 만곡부를 중간부에 가지는 다극 커넥터로서, 복수의 콘택트의 각 사행 만곡부의 안쪽을 통과해서 상기 보디의 긴쪽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각 콘택트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에 대해서 동일한 위치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각 콘택트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의 안쪽 거의 중앙부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각 콘택트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는, 3개의 직선부를 거의 직각으로 연결한 U자 형상이며, 상기 접지부재는, 이들 3개의 직선부로부터 거의 등거리의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 만곡부는, 콘택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점부와 타단부에 형성된 기판실장부와의 사이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부분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 이외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아래쪽 기판까지의 거리가 상기 사행 만곡부로부터 상기 접지부재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보디 속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기판실장형인 리셉터클 보디이며, 해당 보디에 피복되는 커넥터 플러그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콘택트에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를 보디에 장비하는 동시에, 상기 보디를 피복하는 실드부재를 장비하고 있으며, 각 플러그 콘택트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접촉하는 제1 접점부를 일단부에 가지는 동시에, 타단부에 케이블과 접속되는 제2 접점부를 가지고 있으며,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상기 실드부재까지의 각 거리가, 리셉터클 콘택트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로부터 상기 접지부재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제1 접점부와 제2 접점부를 연결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실드부재까지의 거리가 리셉터클 콘택트에 있어서의 사행 만곡부로부터 상기 접지부재까지의 거리에 거의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극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단말 또는 소형 전자기기.
KR1020070003100A 2006-01-23 2007-01-11 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또는 소형 전자기기 KR100904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14349A JP4722712B2 (ja) 2006-01-23 2006-01-23 多極コネクタ及び多極コネクタを使用した携帯型無線端末又は小型電子機器
JPJP-P-2006-00014349 2006-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440A true KR20070077440A (ko) 2007-07-26
KR100904604B1 KR100904604B1 (ko) 2009-06-25

Family

ID=3788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100A KR100904604B1 (ko) 2006-01-23 2007-01-11 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또는 소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89678B2 (ko)
EP (1) EP1811607B1 (ko)
JP (1) JP4722712B2 (ko)
KR (1) KR100904604B1 (ko)
CN (1) CN101009415B (ko)
DE (1) DE602007013125D1 (ko)
TW (1) TW2008030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9626B3 (de) * 2009-04-30 2011-03-03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Verbinder mit Impedanzkorrektur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TW201104979A (en) * 2009-07-29 2011-02-01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Circuit substrate inserting and positioning connector
JP2012146573A (ja) * 2011-01-13 2012-08-02 Hitachi Cable Ltd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とプリント配線板との接続構造
JP2012234634A (ja) * 2011-04-28 2012-11-29 Hitachi Cable Ltd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とプリント配線板との接続構造
JP5796256B2 (ja) * 2011-12-15 2015-10-21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US9112302B2 (en) * 2013-05-02 2015-08-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6891046B2 (ja) * 2017-05-31 2021-06-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源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10777924B1 (en) * 2019-03-05 2020-09-15 Dell Products L.P. Connector receptacle
JP7180757B2 (ja) * 2019-03-29 2022-11-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セット
JP7363440B2 (ja) * 2019-12-10 2023-10-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7267A (en) * 1986-06-27 1987-08-18 Amp Incorpora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FR2704696B1 (fr) * 1993-04-27 1996-05-31 Rudolf Gorlich Connecteur à fiches pour plaques de circuits imprimés.
JP3308132B2 (ja) * 1995-05-25 2002-07-29 ケル株式会社 グランド板付コネクタ
JP3617220B2 (ja) * 1996-11-26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US5915976A (en) * 1997-02-06 1999-06-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speed connector
JP3277154B2 (ja) * 1998-05-06 2002-04-22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JP3466477B2 (ja) * 1998-06-10 2003-11-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Icカードコネクタ装置用のコネクタ
JP4324822B2 (ja) 1999-05-21 2009-09-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2419700Y (zh) * 2000-03-29 2001-02-14 杨泰和 具有与电磁波隔离壳体隔离结构的导电连接接口装置、
DE60214371T2 (de) 2001-06-13 2007-08-30 Molex Inc., Lisle Mehrfachhochgeschwindigkeitssteckverbinder
SG98466A1 (en) * 2001-12-28 2003-09-19 Fci Asia Technology Pte Ltd An electrical connector
JP4441157B2 (ja) 2002-01-28 2010-03-3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DE60336234D1 (de) 2002-07-23 2011-04-14 Panasonic Elec Works Co Ltd Flachprofilverbinder
KR100511180B1 (ko) * 2003-02-19 2005-08-30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전자커넥터 제조방법
JP4744791B2 (ja) * 2003-06-23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面実装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回路装置
JP2005071669A (ja) 2003-08-20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線接続用コネクタ
JP2005116447A (ja) * 2003-10-10 2005-04-28 Sony Corp 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9415B (zh) 2011-04-06
EP1811607A1 (en) 2007-07-25
TW200803065A (en) 2008-01-01
EP1811607B1 (en) 2011-03-16
JP4722712B2 (ja) 2011-07-13
KR100904604B1 (ko) 2009-06-25
US7789678B2 (en) 2010-09-07
JP2007200575A (ja) 2007-08-09
DE602007013125D1 (de) 2011-04-28
CN101009415A (zh) 2007-08-01
TWI318813B (ko) 2009-12-21
US20070173116A1 (en)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604B1 (ko) 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또는 소형 전자기기
TWI738170B (zh) 第一連接器、第二連接器以及連接器組件
CN110800169B (zh) 电连接器装置
KR10263815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US9466903B2 (en)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CN106921060B (zh) 刚性-柔性电路连接器
US7086902B1 (en)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mber
US7553191B2 (en) Plug connector with improved cable arrangement
US716898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mproved inner shield
US7686618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KR20070060024A (ko) 메이팅 커넥터에 축적된 정전하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커넥터
JP2017033655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US20220094088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6887101B2 (en) Differential transmission connector
US7285025B2 (en) Enhanced jack with plug engaging printed circuit board
JP5868140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モジュール、同軸ケーブル用多極コネクタ及び多極複合コネクタ
US923131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supporting plate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US20120322306A1 (en) Electrical connector
JPWO2008001453A1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17813732A (zh) 包括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的连接器组件及插头连接器
US7445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US7524193B2 (en) Connector excellent in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US888251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iable signal transmission
JP2006331711A (ja) コネクタ
US20060228942A1 (en) Fine wire coaxi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