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881A -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881A
KR20070068881A KR1020050130965A KR20050130965A KR20070068881A KR 20070068881 A KR20070068881 A KR 20070068881A KR 1020050130965 A KR1020050130965 A KR 1020050130965A KR 20050130965 A KR20050130965 A KR 20050130965A KR 20070068881 A KR20070068881 A KR 20070068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leaf
bark
dy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광덕신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덕신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덕신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8881A/ko
Publication of KR2007006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8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색제로 종래 약제로도 사용된 인체에 무해한 천연의 식물성 물질인 소나무, 은행나무, 두충나무, 창포, 오가피나무, 감나무, 복분자나무, 구기자나무, 음양곽, 차조기, 삼백초, 어성초, 쑥 등의 분말, 열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이에 의한 화학 물질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도 우수하면서 동시에 종래 화학 성분의 염색제에 의한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이를 염모제 이외에도 샴푸 또는 린스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소나무, 은행나무, 두충나무, 창포, 오가피나무, 감나무, 복분자나무, 구기자나무, 음양곽, 차조기, 삼백초, 어성초, 쑥, 염모제, 샴푸, 린스

Description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hairdye using natural plant materials}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소나무, 은행나무, 두충나무, 창포, 오가피나무, 감나무, 복분자나무, 구기자나무, 음양곽, 차조기, 삼백초, 어성초, 쑥의 잎, 열매, 줄기, 뿌리, 줄기껍질 또는 뿌리껍질 열수 또는 알코올추출물이나 분말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모제는 염색 효과의 차이에 따라 영구 염모제, 반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로 구분할 수 있다.
영구 염모제는 색소 형성 물질이 모발 내부에 모피질 또는 무수질층까지 침투하여 화학변화를 일으켜 불용성 색소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영구 염모제는 색소 자체가 모피질이나 모발 표면의 큐티클 층에 침투하여 물리적으로 흡착되는 것이다. 또한, 일시 염모제는 색소를 모발의 표면인 큐티클 층에만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것이다.
이중, 영구 염모제는 다시 세가지 즉, 식물성 염모제, 금속성 염모제 및 산 화형 염모제로 나눌 수 있다. 식물성 염모제는 헤나, 카모마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염색 효과가 낮고 밝게 염색하는 것이 어렵다. 금속성 염모제는 납이 산화될 때 검게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독성이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산화형 염모제는 염색 효과가 우수하며, 밝은 색으로 염색이 가능하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화형 염모제는 하기 표 1 및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제 및 2제의 주요 성분을 포함한다.
영구 염모제의 주요 성분(1제)
구분 특징
염료 중간체 자체는 색소가 아니지만 산화되면 색소로 변하는 물질 예) p-페닐렌디아민, p-아미노페놀, p-톨루엔디아민
염료 수정제 염료 중간체와 반응하여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물질 예) 레조르신, m-아미노페놀, m-페닐렌디아민
알칼리제 큐티클을 열게 하고 색소 형성반응이 빠르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해준다. 예)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MEA)
고급 지방산 알칼리제와 반응하여 고급지방산염을 형성한다. 염료 중간체 또는 염료 수정제의 침투를 촉진시키고 세발시 세정을 용이하게 한다.
겔화제 2제와 혼합시 겔을 형성하게 한다. 예) 이소세틸알코올
용제 염료 중간체, 염료 수정제의 용해를 돕는다. 예) 이소프로필알코올
영구 염모제의 주요 성분(2제)
구분 특징
산화제 모발속의 멜라닌 색소를 파괴하여 모발을 탈색시키고 동시에 염료 중간체와 염료 수정제의 반응을 일으켜 새로운 색소를 만들어지도록 한다.
pH 조절제 과산화수소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pH를 4.0 부근으로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 성분 중 디아민계 유기염료의 염료 중간체 및 염료 수정제는 피부를 자극하고 피부 세포와 결합하여 항원으로 작용하게 되어 피부에 발적, 발진, 소양, 심마진, 염증, 수포 등의 부작용, 즉 접촉성 피부염을 발생시키므로 피부가 민감한 사람은 접촉성 알레르기 피부염으로 고생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은 이미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자극성으로 인해 눈에 들어갈 경우 눈에 대해 큰 부작용을 나타내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염모제를 사용하기 전에 피부 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여 음성으로 판정된 사람만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염모할 때마다 상기와 같은 테스트를 실시하기에는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판정결과를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매우 조심해서 염색을 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인은 국내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의 잎, 열매, 줄기, 뿌리, 줄기껍질 및 뿌리껍질을 이용하여 종래 두발 염색제에 대체할 수 있는 염모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천연 물질로부터 수득된 것으로 피부에 대한 부작용 및 종래 산화형 염모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작용이 없는 천연의 식물소재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나무, 은행나무, 두충나무, 창포, 오가피나 무, 감나무, 복분자나무, 구기자나무, 음양곽, 차조기, 삼백초, 어성초, 쑥의 잎, 열매, 줄기, 뿌리, 줄기껍질 또는 뿌리껍질 열수 또는 알코올추출물이나 분말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소재의 잎, 열매, 줄기, 뿌리, 줄기껍질 또는 뿌리껍질의 열수 또는 알코올추출물이나 분말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식물소재의 잎, 열매, 줄기, 뿌리, 줄기껍질 또는 뿌리껍질의 열수 또는 알코올추출물이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소재는 소나무, 은행나무, 두충나무, 창포, 오가피나무, 감나무, 복분자나무, 구기자나무, 음양곽, 차조기, 삼백초, 어성초, 쑥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솔잎, 소나무피, 은행잎, 은행나무피, 두충잎, 두충열매, 두충나무피, 창포잎, 창포줄기, 창포뿌리, 오가피잎, 오가피열매, 오가피나무피, 감잎, 감, 감나무피, 복분자잎, 복분자열매, 복분자나무피, 구기자잎, 구기자열매, 구기자나무피, 음양곽잎, 음양곽줄기, 음양곽뿌리, 소엽, 소자, 차조기줄기, 차조기뿌리, 삼백초잎, 삼백초줄기, 삼백초뿌리, 어성초잎, 어성초줄기, 어성초뿌리, 쑥잎, 쑥줄기 및 쑥뿌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열수추출물 또는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코올추출물은 염모제나 샴푸 또는 린스에 사용할 수 있는 알코올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때 알코올은 에틸알콜, 프로필알콜, 벤질알콜 및 폴리알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솔잎은 소나무의 잎을, 소나무피는 소나무의 줄기 또는 뿌리껍질을 칭하는 것이다.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한국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자라고 다양한 품종이 발견되는데 그 쓰임새도 다양하다. 소나무의 다른 이름으로는 육송(陸松)·적송(赤松)·여송(女松)·솔나무·소오리나무·솔·암솔 등이 있다. 적송은 소나무와 비슷하나 겨울눈이 회백색인 곰솔에 비해 수피의 색이 붉은빛을 띠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고, 육송은 내륙지방에서 흔히 자라기 때문에, 여송은 잎이 다른 종류들에 비해 연하기 때문에 붙여졌다. 한편, 잘 알려진 품종에는 나무줄기가 곧추 자라는 금강소나무(p. d. for. erecta),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처진소나무(p. d. for. pendula), 줄기 밑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는 반송(p. d. for. multicaulis) 등이 있다.
은행잎은 은행나무의 잎을, 은행나무피는 은행나무의 줄기 또는 뿌리껍질을 칭하는 것이다.
은행나무(銀杏, ginkgo)는 은행나무목(銀杏―目 Ginkgoales)에서 유일하게 살아 있는 대표적인 교목이다. 껍질을 벗겨 말린 씨를 백과(百果)라고 하는데, 폐와 위를 깨끗하게 해주며, 진해·거담에 효과가 있다. 씨를 둘러싸고 있는 물렁물렁한 겉껍질은 불쾌한 냄새가 나며 피부 염증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잎에는 여러 가지 화합물이 들어 있는데, 특히 방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틸산이 있어 잎을 책 속에 넣어두면 책에 좀이 먹지 않으며, 몇몇 플라보노이드계(系) 물질은 사람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충잎은 두충나무의 잎을, 두충열매는 두충나무의 열매를, 두충나무피는 두충나무의 줄기 또는 뿌리껍질을 칭하는 것이다.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는 두충과(杜沖科, Eucomm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일반적으로 수피를 약으로 쓰기 위해 심고 있으며 잎과 씨도 말려서 약으로 쓴다. 한의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두충의 수피(樹皮)를 두충이라 칭하는데 이 두충의 수피는 일반적으로 5~6월에 채취하며 독은 없고 단맛이 있으며 맵다. 주로 신장과 간의 경락에 들어가 작용하며 효능은 보간신(補肝腎)·강근골(强筋骨)·안태(安胎 : 태아를 안정되게 함)이다. 두충은 주로 요통에 사용하며 특히 신양허(腎陽虛)로 인한 요통에 반드시 필요하며, 이때 속단(續斷)·토사자(兎絲子)·육종용(肉從容) 등을 배합해 사용한다.
창포는 잎, 줄기 및 뿌리를 사용한다.
창포(Acorus calamus var . angustatus)는 천남성과(天南星科, A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향기가 있고 연못이나 수로, 습지에서 자란다. 땅속줄기는 많은 마디가 있으며 수염뿌리가 있다. 뿌리는 한방에서 종창·치통·치풍·개선 치료 및 건위제·진정제·보익제 등으로 쓰고 줄기에서 나오는 잎은 향료로 사용한다.
오가피잎은 오가피나무의 잎을, 오가피열매는 오가피나무의 열매를, 오가피나무피는 오가피나무의 줄기 또는 뿌리껍질을 칭하는 것이다.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s)는 오가피나무라고도 하는 두릅나무과(─科 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나무는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잎은 나물로 먹으며, 수피(樹皮)로는 오갈피주를 담가 먹는다. 수피와 열매는 한방에서 진통·진정·강심·타박상의 치료에 사용하며 강정제·음위제·진경제·단독제·강장제·피로회복제로 쓰인다.
감잎은 감나무의 잎을, 감은 감나무의 열매를, 감나무피는 감나무의 줄기 또는 뿌리껍질을 칭하는 것이다.
감나무(Japanese persimmon)는 감나무과(Eben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민간의학에서 풋감의 떫은 즙과 감나무의 잎을 중풍, 고혈압 등의 치료와 예방에 쓰고, 이 외에도 감꼭지와 감나무 껍길, 뿌리 등이 두루 활용된다. 감식초 감떡 곶감 등 감으로 만든 여러 가지 식품들도 건강을 지키는 데 좋은 약이 된다. 감즙은 방부, 방습, 수렴 등의 효과가 있어서 화상이나 동상, 타박상 치료에 쓴다. 화상에 감즙을 바르면 흉터가 남지 않고 잘 나으며, 술에 취했을 때 감즙을 마시면 숙취가 없어진다. 또 중풍으로 쓰러져 인사불성이 되었을 때 감즙을 반 홉에서 1홉 가량 마시면 즉시 효력을 보는 수가 있다.
복분자잎은 복분자나무의 잎을, 복분자열매는 복분자나무의 열매를, 복분자나무피는 복분자나무의 줄기 또는 뿌리껍질을 칭하는 것이다.
복분자딸기나무(Rubus coreanus)는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다소 붉은빛이 도는 줄기에 가시가 나 있다. 잎은 3~7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어긋나며 열매는 복분자라 하여 식용하거나 말려 한방에서 보신제(補身劑)로 사용한다.
구기자잎은 구기자나무의 잎을, 구기자열매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구기자나무피는 구기자나무의 줄기 또는 뿌리껍질을 칭하는 것이다.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가을에 열매와 뿌리껍질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각각 구기자(枸杞子)와 지골피(地骨皮)라고 하는데, 한방에서 지골피는 강장제·해열제로 쓰거나 폐결핵·당뇨병을 치료하는 데 쓰고 있다. 구기자는 기력을 돋워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피로회복에 효과를 나타내며 혈압을 낮추어준다. 봄에 어린잎을 따서 나물로 먹기도 하고 잎과 열매를 말려 차로 달여 마시거나 구기자주를 담그기도 한다. 열매·잎·뿌리껍질로 구기자차(茶)를 만들기도 하지만 주로 열매와 잎으로 만든다. 잎은 살짝 볶아서, 열매는 잘 말린 다음 불에 천천히 달여 만드는데 구기자차는 옛날부터 동맥경화를 막아주고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해주는 데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음양곽은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사용한다.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는 매자나무과(Berber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가을에 줄기와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음양곽(淫羊藿)이라고 한다. 이는 예로부터 널리 알려진 강장제·강정제로 차를 끓여 마시거나 술을 빚어 마셨 고, 발기부전이나 만성관절염, 월경불순의 치료제로도 쓰인다.
소엽은 차조기의 잎을, 소자는 차조기의 열매를, 차조기줄기는 차조기의 줄기를, 차조기뿌리는 차조기의 뿌리를 칭하는 것이다.
차조기(紫蘇, Beefsteak plant,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 crispa Decne)는 꿀풀과(Lamiaceae)의 일년초풀이다. 한방에서, 잎은 ‘소엽(蘇葉)’, 씨는 ‘소자(蘇子)’라 하여 발한·진해·건위·이뇨·진정 및 진통제로 사용한다. 차조기에 들어 있는 페릴알데히드로 만든 설탕은 정상 설탕보다 2,000배 정도 강한 감미료이므로 담배·장·치약 등에 사용한다. 잎이 자줏빛이 아니고 녹색인 것을 청소엽(for. viridis)이라고 한다. 청소엽은 꽃이 흰색이고 향기가 차조기보다 강하며 약재로 많이 사용한다.
삼백초는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사용한다.
삼백초(三白草, Saururus chinensis)는 삼백초과(三白草科, 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중국에서는 식물 전체를 해독제로 사용하거나 각기병 치료에 사용하며 일본에서는 이뇨제로 쓰고 있다. 줄기 위쪽에 달리는 2~3장의 잎이 하얗기 때문에 삼백초라고 부른다.
어성초는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사용한다.
어성초는 삼백초(三白草)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잎과 줄기에서 고기 비린내를 닮은 냄새가 나기 때문에 어성초라고 부르며 우리말로는 약모밀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중약초, 즙채, 십약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어성초는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렴, 축농증, 기관지염, 치루, 탈홍, 악창 등 갖가지 염증질환에 매 우 탁월한 효험을 낸다.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고 해독작용도 강력하며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항균작용이 가장 강력한 식물 중의 하나이다. 항생제 "설파민"보다 수십 배나 항균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장균, 적리균, 파라티푸스균, 임균, 포도알균, 사상균, 백선균, 무좀균 등을 억제 내지 죽이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풀의 특이한 냄새는 데카노일아세트알데히드와 라우린알데히드로 인한 것인데 이 두 가지 성분은 신선한 풀에만 들어 있고 수증기로 증류하면 성분이 바뀐다.
쑥은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사용한다.
쑥(Artemisia princeps var . orientalis)은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흔히 쑥 이외에 산쑥(A. montana)·참쑥(A. lavandulaefolia)·덤불쑥(A. rubripes) 등도 쑥이라고 일컫는다. 쑥은 약으로 쓰기도 하여 약쑥이라고도 부르는데, 줄기와 잎을 단오 전후에 캐서 그늘에 말린 것을 약애(藥艾)라고 해 복통·구토·지혈에 쓰기도 하며, 잎의 흰 털을 모아 뜸을 뜨는 데 쓰기도 한다. 잎만 말린 것은 애엽(艾葉)이라고 하며, 조금 다친 약한 상처에 잎의 즙을 바르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들은 품종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물소재를 염모제 분야에 사용한다고 보고된 바는 없다.
본 발명에서 식물소재는 건조분말, 열수추출물 또는 알코올추출물의 형태로서 사용되는데, 열수추출물의 형태가 염모 효과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식물소재는 분말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염색을 용이하 게 하기 위하며, 제조된 최종 제품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인 분말기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수준으로 분말화하며,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열수추출물은 식물소재 1중량부에 대해 물 50 내지 150중량부를 넣고 가열하여 수득된 물질을 칭한다. 이 때, 가열 온도는 약 100℃ 이상이 바람직하며 가열시간은 10시간 이상이 좋으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0℃에서 10~15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알코올추출물은 식물소재 1중량부에 대해 알코올 30 내지 100중량부를 넣고 추출하여 얻은 물질을 칭한다. 이 때 추출 조건은 40~50℃에서 5~10시간 추출하는 것이 좋으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5℃에서 8시간 추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식물소재 분말은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에 의해 염색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을 식물소재 분말에 붓고 가열하면서 이를 염색시켜 수득된 식물소재 분말을 칭한다. 이 때, 상기 염색은 식물소재 분말이 약 50% 내지 80% 정도 염색될 때까지 수행한다. 상기 염색은 흡착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에 의한 식물소재 분말의 염색 정도는 두발의 염색 효과를 나타내기에 효과적인 범위로서, 상기 범위 미만으로 식물소재 분말이 염색된 경우, 두발에 대한 염색 효과가 떨어지거나, 요구되는 색을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한 경우,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을 식물소재 분말에 염색시키는 시간이 너무 소요 되어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며, 두발에 대한 염색 효과가 너무 과하여 은은한 색의 염색을 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된 염모제 조성물에 추가로 염료를 포함한다. 염료는 다양한 색을 나타내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염료의 종류는 염모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염료의 첨가량은 염료의 종류 및 나타내고자 하는 두발의 색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염모제 조성물에 대해 0.5 내지 3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바람직한 색 및 염색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염모에 직접 사용하는 경우, 염모제 조성물과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을 포함하는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수득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천연 물질로부터 두발 염색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부작용 측면에서도 종래 약제로서 사용된 물질을 사용하며 이로 인해 첨가되는 화학물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바,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눈에 대한 자극 또한 매우 적어서 종래 화학 염색제를 포함하는 것보다 더욱 적은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천연 물질을 함유하는 염모제에 비해 국내에서 그 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경제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식물소재를 분말의 형태로 사용할 경우 사용 및 운반에 더욱 용이한 장점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물소재의 분말, 열수추출물 및 알코올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식물소재의 분말, 열수추출물 및 알코올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염료를 첨가하여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염료는 염모제의 색을 나타내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염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첨가되는 양은 전체 염모제 조성물에 대해 약 0.5 내지 3 중량%가 바람직하며, 일예로, 1중량% 첨가한다.
또한, 식물소재를 물 중에서 가열하여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제 1단계);
상기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에 식물소재 분말을 첨가하고 가열하면서 반응 및 교반하여 식물소재 열수추출물로 염색된 식물소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제 2단계); 및
상기 수득된 식물소재 분말에 염료를 첨가하여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제 3단계)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단계는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로서, 먼저 식물소재를 물로 세척한 후, 물이 채워진 용기에 넣고 약 100℃ 이상으로 가열한다. 이 때, 가열시간은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이 충분히 수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소재의 양 및 물의 양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약 10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20시간이 좋다.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을 식물소재 분말에 염색시키는 단계로서, 제 1단계의 용기에 식물소재 분말을 붓고 열을 가하면서 식물소재 분말이 충분히 염색될 때까지 가열 교반한다. 이 때, 가열시간은 전체 식물소재 분말에 대해 약 50% 내지 80% 정도 염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약 2시간 이상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5시간이 좋다.
상기와 같이 염색한 후, 식물소재 열수추출물과 염색된 식물소재 분말을 강제순환시켜 분리시킨다. 이렇게 수득된 염색된 식물소재 분말을 열풍으로 건조시켜 건조된 식물소재 분말을 수득한다.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수득된 식물소재 분말에 염료를 첨가하는 단계로서, 염료는 염모제의 색을 나타내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염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첨가되는 양은 전체 염모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약 0.5 내지 3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일예로, 1중량부 첨가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들에서 염료의 첨가 후, 통상적인 분말기를 사용하여 희석한 후 분말화시키는데, 일예로 제트분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염모제 조성물을 규격화된 포장지에 포장하여 실제 염색시까지 보관하거나, 제품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모제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모제, 샴푸 및 린스를 제공한다.
두발 염색시에, 디아민계유기염료, 계면활성제, 향료, 암모니아수, 과산화수소수, 티오글리콜산암모늄, 지방산알콜 등이 포함된 공지의 염모제 조성물에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중 디아민계유기염료는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O-페닐렌디아민,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N-페닐-P-페닐렌디아민,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황산톨루엔-2,5-디아민 등을 의미한다. 일예로, 유효량의 염모제용 조성물에 과산화수소 용액, 물, N-페닐-p-페닐렌아민, 칼륨 백반 및 알코올 등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이 때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의 첨가유효량은 전체 염모제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40중량부가 바람직한데 10중량부보다 첨가량이 적으면 염모 효과가 떨어지며 40중량부보다 많아도 염모 효과가 더 좋아지지 않으므로 경제적으로 더 첨가할 필요가 없다.
더 나아가,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을 샴푸 또는 린스 조성물에 첨가하여, 염색 효과를 추가로 포함하는 샴푸 또는 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샴푸 또는 린스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며, 염색에 필요한 적정한 양, 바람직하기로는 전체 샴푸 또는 린스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3 내지 40중량부가 좋은데 3중량부보다 적으면 염모 효과가 떨이지며 샴푸나 린스는 염모 자체가 본질적인 용도가 아니므로 3중량부 정도 첨가하여도 은은한 염모 효과를 더해주는 샴푸 또는 린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염모제와 같이 40중량부 이상으로 첨가하여도 염모 효과가 더 좋아지지 않고 샴푸 또는 린스 고유의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40중량부 이상은 첨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때 염모제용 조성물은 수용액 형태로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염모제용 조성물의 첨가되는 양은 사용되는 양 및 염색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사항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소재의 분말, 열수추출물 및 알코올추출물 제조
분말 제조
솔잎, 소나무피, 은행잎, 은행나무피, 두충잎, 두충열매, 두충나무피, 창포잎, 창포줄기, 창포뿌리, 오가피잎, 오가피열매, 오가피나무피, 감잎, 감, 감나무피, 복분자잎, 복분자열매, 복분자나무피, 구기자잎, 구기자열매, 구기자나무피, 음양곽잎, 음양곽줄기, 음양곽뿌리, 소엽, 소자, 차조기줄기, 차조기뿌리, 삼백초잎, 삼백초줄기, 삼백초뿌리, 어성초잎, 어성초줄기, 어성초뿌리, 쑥잎, 쑥줄기 및 쑥뿌리를 그늘에서 말려 분말화하였다.
열수추출물 제조
솔잎, 소나무피, 은행잎, 은행나무피, 두충잎, 두충열매, 두충나무피, 창포잎, 창포줄기, 창포뿌리, 오가피잎, 오가피열매, 오가피나무피, 감잎, 감, 감나무피, 복분자잎, 복분자열매, 복분자나무피, 구기자잎, 구기자열매, 구기자나무피, 음양곽잎, 음양곽줄기, 음양곽뿌리, 소엽, 소자, 차조기줄기, 차조기뿌리, 삼백초잎, 삼백초줄기, 삼백초뿌리, 어성초잎, 어성초줄기, 어성초뿌리, 쑥잎, 쑥줄기 및 쑥뿌리를 각각 1kg씩 용기에 넣고 물 10L를 부어 100℃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열수추출물로 제조하였다.
알콜추출물 제조
솔잎, 소나무피, 은행잎, 은행나무피, 두충잎, 두충열매, 두충나무피, 창포잎, 창포줄기, 창포뿌리, 오가피잎, 오가피열매, 오가피나무피, 감잎, 감, 감나무피, 복분자잎, 복분자열매, 복분자나무피, 구기자잎, 구기자열매, 구기자나무피, 음양곽잎, 음양곽줄기, 음양곽뿌리, 소엽, 소자, 차조기줄기, 차조기뿌리, 삼백초잎, 삼백초줄기, 삼백초뿌리, 어성초잎, 어성초줄기, 어성초뿌리, 쑥잎, 쑥줄기 및 쑥뿌리 각각 1kg에 에틸알콜 10L를 넣고 4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알콜을 증류하고 남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알콜추출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단일 식물소재를 이용한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단일 식물소재의 분말, 열수추출물 또는 알코올추출물을 하기 표 3과 같이 배합하여 얻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료 1중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일식물소재를 이용한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의 배합비율(단위: 중량부)
분말 열수추물출 알코올추출물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 번호
솔잎 100 0 0 1
소나무피 0 100 0 2
은행잎 0 0 100 3
은행나무피 80 20 0 4
두충잎 80 0 80 5
두충열매 50 50 0 6
두충나무피 0 50 50 7
창포잎 0 100 0 8
창포줄기 0 0 100 9
창포뿌리 0 20 80 10
오가피잎 100 0 0 11
오가피열매 0 50 50 12
오가피나무피 20 80 0 13
감잎 80 20 0 14
50 20 30 15
감나무피 20 30 50 16
복분자잎 20 20 60 17
복분자열매 60 30 10 18
복분자나무피 0 100 0 19
구기자잎 0 100 0 20
구기자열매 0 20 80 21
구기자나무피 20 30 50 22
음양곽잎 100 0 0 23
음양곽줄기 90 0 10 24
음양곽뿌리 100 0 0 25
소엽 0 100 0 26
소자 100 0 0 27
차조기줄기 50 5 45 28
차조기뿌리 100 0 0 29
삼백초잎 0 100 0 30
삼백초줄기 0 0 100 31
삼백초뿌리 20 50 30 32
어성초잎 20 10 70 33
어성초줄기 100 0 0 34
어성초뿌리 0 100 0 35
쑥잎 0 100 0 36
쑥줄기 20 50 30 37
쑥뿌리 0 40 60 38
실시예 3: 혼합식물소재를 이용한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물소재의 분말을 하기 표 4와 같이 배합하여 얻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료 1중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혼합식물소재를 이용한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의 배합비율(단위: 중량부)
구분 식물소재
솔잎 은행나무피 두충열매 창포줄기 오가피잎 복분자나무피 구기자잎 음양곽잎 소엽 삼백초잎 어성초잎 쑥잎
조성물 39 50 50 0 0 0 0 0 0 0 0 0 0 0
조성물 40 0 0 50 0 50 0 0 0 0 0 0 0 0
조성물 41 10 20 30 0 0 40 0 0 0 0 0 0 0
조성물 42 0 0 0 0 20 30 10 40 0 0 0 0 0
조성물 43 0 0 0 0 0 0 0 0 0 0 50 20 30
조성물 44 0 0 0 0 0 0 0 0 0 50 10 20 20
조성물 45 0 20 0 0 0 50 0 0 10 0 20 0 0
조성물 46 10 10 10 5 5 10 5 10 10 5 10 5 5
실시예 4: 식물소재 열수추출물로 염색한 분말을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의 제조
솔잎, 소나무피, 은행잎, 은행나무피, 두충잎, 두충열매, 두충나무피, 창포잎, 창포줄기, 창포뿌리, 오가피잎, 오가피열매, 오가피나무피, 감잎, 감, 감나무피, 복분자잎, 복분자열매, 복분자나무피, 구기자잎, 구기자열매, 구기자나무피, 음양곽잎, 음양곽줄기, 음양곽뿌리, 소엽, 소자, 차조기줄기, 차조기뿌리, 삼백초잎, 삼백초줄기, 삼백초뿌리, 어성초잎, 어성초줄기, 어성초뿌리, 쑥잎, 쑥줄기 및 쑥뿌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하기 방법으로 열수추출물로 염색한 분말을 제조하여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지만 특별히 소나무피 단독소재와 창포잎 및 소엽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 47 및 48을 각각 제조하였다.
제 1단계: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의 제조
식물소재 10kg을 용기에 넣고 물 2,000L를 부었다. 이를 100℃ 이상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 2단계: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에 의해 염색된 식물소재 분말의 제조
교반 과정
상기 단계 1에서 수득된 식물소재 열수추출물 1000L에 식물소재 분말 300kg을 넣고 2시간 이상 가열하면서 반응 및 교반하였다. 얻어진 식물소재 분말은 식물소재 추출물에 의해 약 70% 염색된 상태였다.
탈수 분류 과정
상기 단계를 거친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에 의해 염색된 식물소재 분말 및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을 강제순환시켜 식물소재 분말과 식물소재 열수추출물로 분리시켰다. 이렇게 염색된 식물소재 분말과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을 분리하여 염색능력을 가진 식물소재 분말을 수득하였다.
열풍 건조 과정
식물소재 열수추출물이 염색(흡착)된 식물소재 분말을 열풍으로 건조시켜 건조된 식물소재 분말을 수득하였다.
제 3단계: 원료 재가공 과정
제 2단계를 거쳐 제조된 미세한 식물소재 분말 100중량부에 염료를 1중량부 첨가하고 제트밀분말기로 희석시킨 후 분말로 만들었다.
제 4단계: 포장 과정
제 3단계에서 제조된 최종 염모제용 조성물을 규격화된 포장지에 넣어 포장하였다.
제조예 1: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염모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된 염모제용 조성물 1 내지 48 각각을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염모제 1 내지 48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비고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 23% ICID
과산화수소 용액 3% ICID
61.5% ICID
N-페닐-p-페닐렌디아민 5% ICID
칼륨 백반 2.5% ICID
알코올 5% ICID
제조예 2: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된 염모제용 조성물 1 내지 48 각각을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샴푸 조성물 1 내지 48을 제조하였다.
샴푸 조성물 배합비(단위: 중량부)
원료명 배합비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 1.0
실리콘 오일(100,000cst) 1.5
실리콘검 1.0
라우릴황산암모늄 12.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4.0
코카미드디이에이 3.0
글리콜스테아레이트 1.0
라우라미도르포필베타인 3.0
라우로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3.0
색소, 향, 방부제 적량
증류수 잔량
제조예 3: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린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된 염모제용 조성물 1 내지 48 각각을 하기 표 7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린스 조성물 1 내지 48을 제조하였다.
린스 조성물 배합비(단위: 중량부)
원료명 배합비
본 발명 염모제용 조성물 1.0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1.0
유동파라핀 4.0
디메티콘(10,000 cst) 1.0
세테아릴알콜 3.5
케톤시지 0.02
향료 1.0
구연산 0.01
증류수 잔량
실험예 1: 본 발명 염모제 , 샴푸 및 린스의 염착성 ,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견뢰 조사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염모제 1 내지 48, 샴푸 1 내지 48 및 린스 1 내지 48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로는 염모제의 경우 시중에서 구입한 염모제로서 (주)뮤겐스에서 판매하는 염모제(상품명: 뮤겐스 무빙 헤어칼라)를, 샴푸와 린스의 경우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에서 판매하는 샴푸(상품명: 엘라스틴)와 린스(상품명: 엘라스틴)를 각각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입한 염모제와 샴푸 및 린스를 10명에게 사용하게 하고 본원발명의 제품들 각각에 대하여 10명에게 사용한 것과 대비하여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를 비교하였다.
염착성의 비교는 색차를 통해, 모발 컨디셔닝 효과와 염색 견뢰도의 비교는 5점척도법(5= 효과가 가장 좋다; 4= 효과가 대단히 좋다; 3= 효과가 보통으로 좋다; 2= 효과가 약간 좋다; 1= 효과가 없다)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관능평가전문요원 10명으로 하여금 점수화하게 하고 그 점수의 평균을 구했다.
1) 염착성
염모제의 경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염모제 1 내지 48을 물과 혼합하여 흑모 및 백모에 바르고 1시간 경과한 후 시판되는 샴푸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낸 다음, 헤어드라이기로 건조시켰다. 그 후, 염색한 모발과 미처리 모발과의 색차(△E)를 분광광도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색차가 클수록 모발염색제의 염착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샴푸와 린스의 경우, 상기 제조예 2 및 3에서 제조한 샴푸 조성물 1 내지 48과 린스 조성물 1 내지 48을 이용하여 세발한 후 헤어드라이기로 모발을 건조시켰다. 그 후, 처리 모발과 미처리 모발과의 색차(△E)를 분광광도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색차가 클수록 염착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2) 모발 컨디셔닝 효과
염모제의 경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염모제 1 내지 48을 물과 혼합하여 흑모 및 백모에 바르고 1시간 경과한 후 시판되는 샴푸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낸 다음, 헤어드라이기로 건조시켰다. 그 후, 염색된 모발의 손놀림시 감촉과 세게 20회씩 빗질하여 정전기 발생도를 평가함으로써 비교하였다.
샴푸와 린스의 경우, 상기 제조예 2 및 3에서 제조한 샴푸 1 내지 48과 린스 1 내지 48을 이용하여 세발한 후 모발을 헤어드라이기로 건조시켰다. 그 후, 모발의 손놀림시 감촉과 세게 20회씩 빗질하여 정전기 발생도를 평가함으로써 비교하였다.
3) 견뢰도
염모제의 경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염모제 1 내지 48을 물과 혼합하여 흑모 및 백모에 바르고 1시간 경과한 후 시판되는 샴푸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낸 다음, 헤어드라이기로 건조시켰다. 그 후, 상기와 같이 염착된 모발을 땀성분과 유사한 산성 용액에 담구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그 변색 정도를 관찰하였다.
샴푸와 린스의 경우, 상기 제조예 2 및 3에서 제조한 샴푸 1 내지 48과 린스 1 내지 48을 이용하여 세발한 후 모발을 헤어드라이기로 건조시켰다. 그 후, 상기와 같이 염착된 모발을 땀성분과 유사한 산성 용액에 담구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그 변색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 내지 표 11에 나타내었다.
염모제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염모제 비교예
1 2 3 4 5 6 7 8
염착성 (ΔE) 62 59 60 59 60 61 63 62 42
모발 컨디셔닝 효과 4.3 4.0 4.2 4.0 4.3 4.4 4.1 4.0 2.3
염색 견뢰도 4.5 4.3 4.4 4.4 4.5 4.0 4.1 4.4 2.1
염모제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염모제 비교예
9 10 11 12 13 14 15 16
염착성 (ΔE) 59 57 60 61 62 59 58 63 42
모발 컨디셔닝 효과 4.2 4.4 4.3 4.5 4.0 3.9 3.7 4.0 2.3
염색 견뢰도 4.4 4.4 4.0 3.7 4.0 4.1 4.2 3.9 2.1
염모제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염모제 비교예
17 18 19 20 21 22 23 24
염착성 (ΔE) 60 48 50 62 60 63 57 63 42
모발 컨디셔닝 효과 4.0 4.0 4.1 4.5 4.2 4.4 4.6 4.0 2.3
염색 견뢰도 4.4 4.5 4.0 4.7 4.0 4.0 3.7 4.2 2.1
염모제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염모제 비교예
25 26 27 28 29 30 31 32
염착성 (ΔE) 59 57 60 61 65 67 64 59 42
모발 컨디셔닝 효과 4.0 4.1 4.2 4.0 4.4 4.0 3.7 4.0 2.3
염색 견뢰도 4.4 4.0 4.3 3.7 4.0 4.0 4.2 4.5 2.1
염모제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염모제 비교예
33 34 35 36 37 38 39 40
염착성 (ΔE) 59 59 60 63 64 60 71 72 42
모발 컨디셔닝 효과 4.5 4.0 4.2 4.3 4.0 3.6 4.0 4.2 2.3
염색 견뢰도 4.0 4.0 3.8 3.9 4.0 4.1 4.5 4.8 2.1
염모제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염모제 비교예
41 42 43 44 45 46 47 48
염착성 (ΔE) 72 69 67 68 63 67 63 62 42
모발 컨디셔닝 효과 4.0 3.7 4.0 4.1 4.0 4.1 4.0 3.9 2.3
염색 견뢰도 4.6 4.8 4.5 4.6 4.4 4.7 4.0 4.2 2.1
샴푸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샴푸 비교예
1 2 3 4 5 6 7 8
염착성 (ΔE) 22 23 19 18 20 23 17 19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4.0 4.2 3.9 4.0 3.7 4.0 3.5 3.7 3.6
염색 견뢰도 4.0 3.9 3.7 3.9 4.0 4.1 3.8 3.9 0
샴푸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샴푸 비교예
9 10 11 12 13 14 15 16
염착성 (ΔE) 20 20 18 20 21 22 18 22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4.1 3.8 3.8 4.1 3.9 4.1 4.0 4.1 3.6
염색 견뢰도 3.8 3.9 4.0 3.8 4.1 4.0 3.8 4.2 0
샴푸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샴푸 비교예
17 18 19 20 21 22 23 24
염착성 (ΔE) 22 23 24 30 19 25 19 20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4.0 3.9 4.0 4.2 3.8 4.0 3.8 4.0 3.6
염색 견뢰도 3.9 4.0 3.9 3.9 4.0 4.1 3.9 4.1 0
샴푸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샴푸 비교예
25 26 27 28 29 30 31 32
염착성 (ΔE) 25 30 27 21 25 18 17 23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4.1 4.0 3.9 4.1 3.9 4.2 4.0 3.6 3.6
염색 견뢰도 3.7 4.2 4.2 3.7 4.2 4.0 3.7 4.0 0
샴푸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샴푸 비교예
33 34 35 36 37 38 39 40
염착성 (ΔE) 22 31 20 19 18 25 35 30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4.0 3.9 3.0 3.9 4.2 4.0 4.1 4.0 3.6
염색 견뢰도 3.0 4.1 4.0 4.3 4.0 4.2 4.3 4.5 0
샴푸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샴푸 비교예
41 42 43 44 45 46 47 48
염착성 (ΔE) 32 40 32 25 29 27 23 25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4.1 4.0 3.8 3.7 4.0 3.9 4.3 4.1 3.6
염색 견뢰도 4.3 4.5 4.4 4.5 4.0 4.7 4.3 4.2 0
린스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린스 비교예
1 2 3 4 5 6 7 8
염착성 (ΔE) 20 18 15 20 22 20 13 15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4.1 4.1 3.9 4.0 4.1 4.0 3.9 4.0 3.5
염색 견뢰도 3.0 3.5 3.4 3.5 3.2 3.7 3.3 3.8 0
린스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린스 비교예
9 10 11 12 13 14 15 16
염착성 (ΔE) 25 22 25 21 16 21 19 19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4.0 3.1 3.5 4.2 3.8 3.1 3.2 4.2 3.5
염색 견뢰도 3.2 3.9 4.2 3.9 3.0 3.5 4.3 3.9 0
린스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린스 비교예
17 18 19 20 21 22 23 24
염착성 (ΔE) 20 15 16 22 29 22 27 21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3.6 3.9 4.0 4.1 3.5 3.3 3.9 3.2 3.5
염색 견뢰도 3.3 3.4 3.2 3.7 3.5 3.7 4.0 4.0 0
린스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린스 비교예
25 26 27 28 29 30 31 32
염착성 (ΔE) 18 17 20 14 25 20 18 15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3.2 4.0 3.6 4.0 3.5 3.0 3.7 3.8 3.5
염색 견뢰도 3.2 3.0 4.0 3.8 3.2 3.2 4.1 3.5 0
린스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린스 비교예
33 34 35 36 37 38 39 40
염착성 (ΔE) 22 19 21 22 15 22 29 27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3.7 3.9 4.3 4.1 3.9 4.0 3.5 4.0 3.5
염색 견뢰도 3.9 4.0 3.7 3.2 3.0 3.9 4.0 3.4 0
린스의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비교
평가항목 린스 비교예
41 42 43 44 45 46 47 48
염착성 (ΔE) 29 30 25 24 19 32 19 20 0
모발 컨디셔닝 효과 4.0 3.5 4.0 3.7 3.0 3.7 3.2 3.9 3.5
염색 견뢰도 4.3 4.5 4.3 4.5 4.7 4.3 3.9 3.7 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은 염색제로 종래 약제로도 사용된 인체에 무해한 천연의 식물성 물질인 소나무, 은행나무, 두충나무, 창포, 오가피나무, 감나무, 복분자나무, 구기자나무, 음양곽, 차조기, 삼백초, 어성초, 쑥 등의 분말, 열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을 사용하고 이에 의한 화학 물질의 부작용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도 우수하면서 동시에 종래 화학 성분의 염색제에 의한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염모제 뿐만 아니라 샴푸 또는 린스 등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학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솔잎, 소나무피, 은행잎, 은행나무피, 두충잎, 두충열매, 두충나무피, 창포잎, 창포줄기, 창포뿌리, 오가피잎, 오가피열매, 오가피나무피, 감잎, 감, 감나무피, 복분자잎, 복분자열매, 복분자나무피, 구기자잎, 구기자열매, 구기자나무피, 음양곽잎, 음양곽줄기, 음양곽뿌리, 소엽, 소자, 차조기줄기, 차조기뿌리, 삼백초잎, 삼백초줄기, 삼백초뿌리, 어성초잎, 어성초줄기, 어성초뿌리, 쑥잎, 쑥줄기 및 쑥뿌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열수추출물 또는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2. 제 1항 기재의 염모제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모제.
  3. 제 1항 기재의 염모제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샴푸.
  4. 제 1항 기재의 염모제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린스.
KR1020050130965A 2005-12-27 2005-12-27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20070068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965A KR20070068881A (ko) 2005-12-27 2005-12-27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965A KR20070068881A (ko) 2005-12-27 2005-12-27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881A true KR20070068881A (ko) 2007-07-02

Family

ID=3850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965A KR20070068881A (ko) 2005-12-27 2005-12-27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888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662B1 (ko) * 2007-11-14 2008-05-16 김성오 식물성 파우더가 함유된 염모제 조성물
KR100832044B1 (ko) * 2008-01-09 2008-05-27 (주) 아름다운 화장품 겔타입의 모발염색용 조성물
WO2010027753A2 (en) * 2008-08-26 2010-03-11 Anthony Defries Engineering light manipulation in structured films or coatings
KR100970126B1 (ko) * 2008-01-09 2010-07-13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14680B1 (ko) * 2013-01-04 2013-10-04 주식회사 다솔 복분자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CN111450137A (zh) * 2020-05-15 2020-07-28 上海希尔维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毛发生长的杜仲/淫羊藿植物提取物溶液及其应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662B1 (ko) * 2007-11-14 2008-05-16 김성오 식물성 파우더가 함유된 염모제 조성물
WO2009064061A1 (en) * 2007-11-14 2009-05-22 Sung O Kim Botanical powdered hair dye composition
KR100832044B1 (ko) * 2008-01-09 2008-05-27 (주) 아름다운 화장품 겔타입의 모발염색용 조성물
KR100970126B1 (ko) * 2008-01-09 2010-07-13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0027753A2 (en) * 2008-08-26 2010-03-11 Anthony Defries Engineering light manipulation in structured films or coatings
WO2010027753A3 (en) * 2008-08-26 2010-07-29 Anthony Defries Engineering light manipulation in structured films or coatings
KR101314680B1 (ko) * 2013-01-04 2013-10-04 주식회사 다솔 복분자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CN111450137A (zh) * 2020-05-15 2020-07-28 上海希尔维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毛发生长的杜仲/淫羊藿植物提取物溶液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8190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미용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4680B1 (ko)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KR101374093B1 (ko) 숯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2823A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US20180169000A1 (en) Dying agent using natural henna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20200065911A (ko) 한방 발효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057197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1713A (ko) 모발용 천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50613B1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7361B1 (ko) 모발 및 두피 건강 개선용 천연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8164B1 (ko)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2088597B1 (ko)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0569788B1 (ko) 상심자, 상엽 또는 상백피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101712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두발 화장료 조성물
KR101530960B1 (ko)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KR102114392B1 (ko)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2103108B1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2328308B1 (ko) 천연원료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구강 청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5526B1 (ko)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