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530A -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530A
KR20070058530A KR1020077006921A KR20077006921A KR20070058530A KR 20070058530 A KR20070058530 A KR 20070058530A KR 1020077006921 A KR1020077006921 A KR 1020077006921A KR 20077006921 A KR20077006921 A KR 20077006921A KR 20070058530 A KR20070058530 A KR 20070058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housing
panel
ceil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사토 요시타케
미노루 나가타
Original Assignee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8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이 개구하는 하우징(1)이 피공조실의 천정내에 부착되고, 하우징(1)의 내부에 열교환기(9) 및 송풍기(8) 등이 수용되고, 화장 패널(2)이 하우징의 하부면 개구부(1a)에 끼워 넣어져 피공조실 내에 노출되고, 분출구(15)가 화장 패널(2)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고, 보강용 연결부재(20)가 분출구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분출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부 사이에 놓여져 화장 패널에 부착되고, 구멍부(100g)가 보강용 연결부재에 설치되고, 고정 나사(23)가 화장 패널로부터 보강용 연결부재의 구멍부를 삽입 통과하여 하우징에 부착되어, 화장 패널을 보강용 연결부재와 함께 하우징에 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장 패널을 구비하고, 이 화장 패널의 길이 방향 거의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분출구에 대한 보강 구조를 갖는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서 점포 등의 넓은 공간을 공조하는 경우에는, 벽면에 부착되는, 소위 벽걸이형 보다도 천정면으로부터 넓은 범위에 걸쳐 균일하게 열교환 공기를 분출할 수 있고 거주자가 받는 압박감이 적은 천정 매립형으로 한 공기조화기가 널리 사용되는 경향에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공기조화기가 일본 특허공보 제2902857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5137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기 본체(이하, 「하우징」이라고 칭함)가 피공조실의 천정내에 부착되고, 내부에는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이 수용된다. 하우징의 하부면 개구부는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화장 패널이 끼워 넣어져 피공조실 내에 노출된다. 화장 패널에는 실내 공기를 하우징 내로 흡입 안내하는 흡입구와, 열교환한 공기를 실내로 분출하여 안내하는 분출구가 설치된다.
상술한 일본 특허공보 제2902857호에는 화장 패널의 한쪽의 측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분출구를 구비한, 소위 일방향 천정 카세트형이라고 칭해진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51376호에는 화장 패널의 양쪽의 측부에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분출구를 구비한, 소위 2방향 천정 카세트형이라고 칭해진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분출구에 관해, 어떤 구성이어도 분출풍의 특성으로부터 분출구 자체는 가능한 긴, 장척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각 특허문헌에서의 분출구의 전체 길이는 화장 패널의 길이 방향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51376호에서 장척 분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지지판과 본체 길이 방향 측벽에 의해 규정된 분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분출 통로에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열교환 공기가 인도되고, 또한 화장 패널에 설치되는 상기 분출구를 통하여 실내로 분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분출 통로가 장척 형상이므로 보강이 필요한 점에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51376호에서는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보강 금구가 지지판과 길이 방향 측벽의 사이에 놓여 있다. 한편, 분출 통로와 동일한 개구 형상을 이루는 화장 패널측의 분출구에 대해서는 어떤 보강 구조도 채용되어 있지 않다.
화장 패널에서의 분출구에 대해서 보강 구조가 없는 점, 일본 특허공보 제2902857호에서도 동일하다. 즉, 화장 패널은 중량 부품을 지지하고 있지 않아서 그다지 중량이 가해지지 않고 또한 하우징에 부착 고정되므로, 특별히 분출구는 보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하우징은 천정내에 부착되어 실내에는 노출되지 않으므로 금속 박판을 판금 가공으로 성형한 것일 뿐이고 미적인 장식은 불필요한데 비해, 화장 패널은 실내에 노출되므로 미관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화장 패널은 미려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또한 그 자체의 중량 경감화를 도모하기 위해 가능한 얇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화장 패널의 강성은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고, 또한 장척 형상의 분출구 주변의 강성에 대한 배려가 거의 되어 있지 않아서, 중간 부근 부분에 힘이 가해지면 강도가 부족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화장 패널에 설치되는 분출구 주변부에 대한 강성의 증대화를 달성하고, 파손의 우려가 없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본체가 피공조실의 천정내에 부착되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이 수용되고, 화장 패널이 공기조화기 본체의 하면부에 부착되어 피공조실 내에 노출되고, 분출구가 화장 패널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쳐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고, 보강용 연결부재가 분출구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분출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부 사이에 놓여져 화장 패널에 부착되고, 구멍부가 보강용 연결부재에 설치되고 고정수단이 화장 패널로부터 보강용 연결부재의 구멍부를 삽입 통과하여 화장 패널을 보강용 연결부재와 함께 공기조화기 본체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동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3은 동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의 분출구 및 보강용 연결부재와 그 주변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동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에서의 화장 패널의 이면 일부와, 탄성부재의 부착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동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에서의 분출구와 루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동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에서의 루버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와 루버의 구동축 부분의 사시도 및
도 6B는 동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에서의 루버의 구동축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로서, 피공조실의 천정판에 설치되는 부착용 개구부 에 삽입되고, 매달림 볼트 등을 통하여 천정내(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매달려 고정되는 공기조화기 본체(이하, 하우징이라고 칭함)(1)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하면부 전체면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a)에 화장 패널(2)이 부착된다. 화장 패널(2)은 하우징(1)에 부착된 상태에서 실내에 노출됨과 동시에, 천정판에 맞추어진 높이로 위치된다. 그리고, 화장 패널(2)은 천정판에 설치되는 부착용 개구부와 하우징(1) 측면부의 틈을 차폐하고 있다.
하우징(1)은 그의 길이 방향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폭 방향보다 긴,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성형된다. 하부면 개구부(1a)를 제외한 다른 면부분 전체의 외장이 금속 박판을 판금 가공하여 성형되고, 내면에는 단열재가 조립되어 단열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우징(1)의 폭방향 양측면부(1b)에는 각각 한쌍씩의 부착용 금구(3)가 이간하여 부착된다. 각각의 부착용 금구(3)는 상단부가 하우징 측면부(1b)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매달림 금구부(3A)로 이루어져 있다. 매달림 금구부(3A)는 돌출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측면부(1b)를 향하여 절개 가공되고, 이 절개 부분이 천정내로부터 매달리는 매달림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부착용 금구(3)는 하부면 개구부(1a)를 형성하는 하우징(1)의 하부면 단부를 따라서 절곡 형성되는 고정 금구부(3B)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금구부(3B)에는 화장 패널(2)의 하우징(1)의 부착용과, 후술하는 드레인판(10)의 부착용으로서의 나사 구멍이 설치된다.
하우징(1)의 한쪽(도면의 우측면)의 측면부(1b)에서 부착용 금구(3)의 근방 부위에 2개의 냉매 접속관(4)과 1개의 케이블용 파이프(5) 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냉매 접속관(4)은 하우징(1)내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열교환기(10)에 연통됨과 동시에 이들 냉매 접속관(4)에는 실외기로부터 연장되는 냉매 이동관(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된다. 케이블용 파이프(5)에는 실내기와 실외기 및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이동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삽입 통과한다.
하우징(1)내의 폭방향 길이의 거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는 간막이판(6)이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걸쳐 설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 내부는 간막이판(6)에 의해 폭방향으로 두개의 방(7A, 7B)으로 구분된다. 간막이판(6)으로 구분되는 한쪽 방을 송풍실(7A)이라고 칭하고, 여기에는 송풍기(8)가 배치된다. 간막이판(6)으로 구분되는 다른쪽 방을 열교환실(7B)이라고 칭하고 여기에는 열교환기(9)와, 이 열교환기의 하부에 드레인판(10)이 배치된다.
송풍기(8)는 중앙부에 팬모터(FM)를 구비하고 있고, 이 팬모터는 좌우 양측부로부터 회전축(100n)이 돌출하는 2축 모터이다. 각각의 회전축(100n)에는 회전에 수반하여 축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방향으로 분출하는 타입의 팬(소위 다익형 팬)(F)이 연결되고, 또한 각각의 팬(F)은 팬 케이싱(fan casing)(8a)으로 둘러싸여진다.
팬 케이싱(8a)은 축방향의 양측부에 공기 흡입 안내용 개구부 100m가 설치된다.
팬 케이싱(8a)의 간막이판(6) 측단부에는 분출구 본체(100K)가 돌출 설치되고, 간막이판(6)에 부착 고정된다. 간막이판(6)에는 연통구멍(6a)이 개구되고, 여 기에 팬 케이싱(8a)의 분출구 본체(100K)가 접속된다. 따라서, 연통구멍(6a)은 송풍기(8)의 구동에 수반하여 팬 케이싱(8a)의 분출구 본체(100K)로부터 분출되는 바람을, 열교환실(7B)측으로 송풍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열교환실(7B)에 배치되는 열교환기(9)는 후술하는 받침 접시 형상의 드레인판(10) 상에 있고, 상하 방향이 비스듬히 기울어진 자세로 배치된다. 이는 하우징(1)의 상하 방향 크기를 가능한 단축시켜 박형화를 도모하는 점에서, 열교환기(9)의 상하 방향 크기를 충분한 길이로 설정할 수 없다.
또 한편, 열교환기(9)의 열교환 면적을 가능한 확보하여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9)를 상하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로 하여 상하 방향 크기를 억제하면서, 충분한 열교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9)를 평면에서 본 경우, 이 평면에서 본 면적보다도, 드레인판(10)의 평면에서 본 면적 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술한 바와 같은 냉방 운전을 한 경우에, 운전에 수반하여 열교환기(9)에 생성되는 결로수(드레인수)를 드레인판(10)은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다.
한편, 화장 패널(2)은 경량화와 미관의 향상화를 달성하기 위해 합성수지재인, 예를 들어 PS(폴리스티렌)재의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이 화장 패널(2)은 하우징(1)의 하부면 개구부(1a)에 부착되는 점에서, 하부면 개구부 형상에 맞추어 폭 방향보다도 길이 방향이 긴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화장 패널(2)의 폭방향의 한 측부에는 흡입구(12)가 개구되고 흡입 그릴(13)이 끼워 넣어진다. 흡입 그릴(13)은 화장 패널(2)에 대해서 별체로 구비되는 것이 지만, 화장 패널(2)에 일체 성형해도 좋다. 그리고, 흡입 그릴(13)은 화장 패널(2) 이면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필터(14)에 의해 덮인다.
화장 패널(2)이 하우징(1)의 하부면 개구부(1a)에 부착된 상태에서, 흡입 그릴(13)은 송풍실(7A)과 대향한다. 흡입 그릴(13)의 길이 방향은 화장 패널(2)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므로, 하우징 하부면 개구부(1a)의 길이 방향과도 거의 일치한다.
흡입 그릴(13)의 폭방향의 한쪽 가장자리부는 화장 패널(2)의 한쪽 가장자리부 근방 위치에 형성되고, 다른쪽 가장자리부는 간막이판(6)의 하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따라서, 흡입 그릴(13)은 송풍실(7A) 전체면과 거의 동일한 형상 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화장 패널(2)의 폭방향의 다른쪽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분출구(15)가 개구되어 있고, 이 분출구(15)에는 루버(16)가 회동 자유롭게 피봇된다. 분출구(15)의 한 측부에는 구동원(16M)이 부착되고, 루버(16)와는 도시하지 않는 연결기구를 통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원(16M)이 구동함으로써, 루버(16)는 회전 제어되고 분출구(15)로부터의 분출 각도가 조정 자유롭다.
또한, 이 분출구(15)에 대해서 설명하면, 분출구(15)는 화장 패널(2)이 하우징(1)의 하부면 개구부(1a)에 부착된 상태에서, 열교환실(7B)과 대향한다. 분출구(15)는 간막이판(6)과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인, 화장 패널(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또한 화장 패널(2)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개구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에 대해서 폭방향이 극단적으로 짧은 횡방향으 로 긴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이 분출구(15)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보강용 연결부재(20)가 설치된다.
도 3은 분출구(15)에 부착되는 보강용 연결부재(20)의 구성과, 부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보강용 연결부재(20)와의 부착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보강용 연결부재(20)가 부착된 분출구(15)의 주변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화장 패널(2)의 일부 사시도이다.
이 보강용 연결부재(20)는 내유성(耐油性) 합성 수지재(ABS재 등)로 구성되고, 분출구(15)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부 사이에 놓여지고, 그 두 다리부(20a)가 부착 나사(17)를 통하여 화장 패널(2)에 부착되고, 중간부(20b)는 상방으로 거의 삼각형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출구(15)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는 루버(16)는 분출구(15)를 완전 폐쇄하는 상태로부터, 거의 완전 개방될 때까지 자세가 가변한다.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구(15)를 완전 개방 또는 그에 근접한 상태로 했을 때, 루버(16)의 한 측부가 분출구(15)의 안길이까지,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 내부까지 침입하는 궤적을 이룬다. 그래서, 보강용 연결부재(20)의 중간부(20b)는 루버(16)의 회전 궤적을 피하여 형성된다.
보강용 연결부재(20)의 두 다리부(20a)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측단부에는 부착용 구멍(100c)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두 다리부(20a)를 분출구(15)의 주변부를 따라서 상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突堤部)(15a) 상 에 재치하고, 보강용 연결부재(20)의 부착용 구멍(100c)을 돌출부(15a)에 설치되는 나사 구멍(100d)에 연통한다. 그리고, 보강용 연결부재(20)의 부착용 구멍(100c)을 통하여 나사 구멍(100d)에 부착용 나사(17)를 체결함으로써 보강용 연결부재(20)는 화장 패널(2)에 부착 고정된다.
또한, 보강용 연결부재(2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다리부(20a)의 한쪽(루버(16) 부착측)에서, 또한 부착용 나사(17)가 삽입 통과하는 부착용 구멍(100c)의 근방 부위에는 다리부(20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보스부(20c)가 일체로 설치된다. 더욱 설명하면, 이 보스부(20c)의 상부면은 다리부(20a)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두고 돌출하고, 또한 보스부의 하부면은 다리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 돌출부(15a)의 상부면 부위는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00e)에 보스부(20c)의 하부면 오목 형상부가 끼워 넣어진다. 따라서, 보강용 연결부재(20)의 돌출부(15a)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보강용 연결부재 보스부(20c)와 화장 패널 돌출부(15a)에는 서로 연통하는 구멍부(100g)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 구멍부(100g)와 대향하는 하우징(1) 부위에는 나사 구멍(h)을 구비한 너트부(18)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 패널(2)을 하우징(1)에 부착 고정하는 데에 있어서, 특히 보강용 연결부재(20)에서도 고정수단인 고정 나사(23)가 보스부(20c)와 돌출부(15a)의 구멍부(100g)를 통하여 하우징(1)에 부착된 너트부(18)의 나사 구멍(h)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장 패널(2)에 보강용 연결부재(20)가 부착된 상태에서, 특 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용 연결부재(20) 상에 탄성 부재(22)가 분출구(15)의 주변부를 따라서 부착된다.
즉, 탄성부재(22)는 예를 들어 스펀지재 등의 쿠션성을 구비하고 있고, 동 도면에서는 분출구(15)의 폭 방향 한 측부와 화장 패널(2) 한 변부에 걸쳐 이미 탄성부재(22)가 부착되고, 별도로 준비된 2개의 탄성부재(22A, 22B)가 분출구(15)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보강용 연결부재(20)의 보스부(20c)가 형성된 다리부(20a)측의 변부에 부착되는 탄성부재(22A)에는 보스부(20c)의 직경과 거의 동등한 직경의 구멍부(100f)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22A)를 돌출부(15a)에 부착하면, 탄성부재의 구멍부(100f)에 보강용 연결부재 보스부(20c)가 끼워 넣어진다. 이 탄성부재(22A)의 두께는 보스부(20c)의 높이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22A)를 돌출부(15a)에 부착하면 보스부(20c)는 구멍부(100f) 내에 몰입된다.
이러한 상태로 하고 나서, 화장 패널(2)을 하우징(1)의 하부면 개구부(1a)에 접촉시키고, 부착용 금구(3)에 절곡 형성되는 고정 금구부(3B)의 나사 구멍에 화장 패널(2)을 통하여 부착용 나사를 체결하여 화장 패널(2)을 하우징(1)에 부착 고정한다. 보강용 연결부재(20)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 돌출부(100e)와 보스부(20c)에 설치되는 구멍부(100g)를 통하여 하우징(1)에 설치되는 너트부(18)의 나사 구멍(h)에 고정 나사(23)가 체결된다.
특히, 화장 패널(2)의 분출구(15)를 형성하는 돌출부(15a)와 하우징(1)의 하부면 개구부(1a) 주변부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부재(22)는 화장 패널(2)과 하우 징(1) 사이에 끼워 고정되어, 그대로는 본래의 두께가 몇 분의 1로 압축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보강용 연결부재(20)의 다리부(20a)에 일체로 보스부(20c)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나서, 탄성부재(22A)가 하우징(1)과 화장 패널(2) 사이에 압축되어도 보스부(20c)의 높이 이하로의 압축은 보스부가 규제한다. 즉, 탄성부재(22A)는 필요 불가결한 두께를 유지하고, 따라서 시일성이 확보된다.
도 5는 분출구(15)에 피봇되는 루버(16)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루버(16) 단일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루버(16)의 일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특히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16)는 4개의 축(25A~25D)으로, 분출구(15)에 축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시한 도면의 우측 단부에 설치되는 축(25D)을 제외한 3개의 축(25A~25C)은 단순하게 분출구(15)의 한 측부와 중간부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의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것 뿐이고, 우측 단부의 축(25D)은 구동원(16M)에 연결되는 구동축이다.
즉, 3개의 축(25A~25C)은 단순한 지지축이므로 직경이 가늘어도 좋지만, 구동축(25D)은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힘이 가해지는 점에서, 어느 정도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3개의 축보다도 직경이 두껍다. 그리고,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구동축(25D)만 다른 3개의 축(25A~25C)과는 상위하고 널링(knurling) 형상의 홈부착 축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송풍기(8)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가 흡입구(12)를 형성하는 흡입 그릴(13)과 필터(14)를 통하여, 하우징(1)내의 송풍실(7A)에 흡입된다. 실내 공기는 송풍기(8)를 구성하는 팬 케이 싱(8a)과, 간막이판(6)에 설치되는 연통구멍(6a)을 통하여 열교환실(7B)로 인도되어, 열교환기(9)와 열교환된다.
열교환기(9)와 열교환한 후의 열교환 공기는 분출구(15)로 인도되어 루버(16)를 통하여 실내로 분출되고, 실내의 열교환 작용을 이룬다. 특히 냉방 운전시에는 열교환기(9)의 열교환 작용에 수반하여 결로수가 생성되어 적하한다. 이들 결로수를 드레인판(10)이 수용 집류하여, 최종적으로 실외로 배수한다.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 중 어떤 공조운전에서도 화장 패널(2)에 설치되는 하나의 분출구(15)로부터 열교환 공기가 분출되는 한 방향 분출이다. 그러나, 분출구(15)의 루버(16)에 대한 자세 제어에 의해, 실내의 더욱 넓은 범위에 걸쳐 균일하게 열교환 공기를 분출하여 안내할 수 있고 효율이 좋은 공조작용이 얻어진다.
또한, 분출구(15)는 화장 패널(2)의 폭방향의 한쪽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설치되고, 또한 화장 패널(2)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개구하고 있으므로, 실내에 대해서 보다 넓은 범위에서 분출이 이루어지고, 한 방향 분출이어도 분출 특성이 좋다.
분출구(15) 자체는 강도가 낮은 화장 패널(2)에 설치되고, 화장 패널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개구하고 있으므로, 분출구(15)를 형성하는 주변부의 강도가 낮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분출구(15)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분출구(15)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부 사이에 놓여진 상태로 부착용 나사(17)를 통하여 보강용 연결부재(20)를 화장 패널(1)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그 상태에서, 고정 나사(23)가 화장 패널(2)과 함께 보강용 연결부 재(20)를 하우징(1)에 부착 고정시킨다. 따라서, 화장 패널(2)이 미려함을 유지하기 위해 강도가 낮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분출구(15)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이 분출구(15) 주변부의 강도 부족을 보완하여 파손 우려 등이 일체 없다.
또한, 하우징(1)의 하부면 개구부(1a) 둘레 가장자리부와 화장 패널(2)의 둘레 가장자리부 사이에, 시일용 탄성부재(22)가 개재되지만, 보강용 연결부재(20)에 탄성부재(22)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보스부(20c)를 돌출시켰으므로, 특히 탄성부재(22A)에서의 필요 최소한의 두께는 보증되고 시일성이 확보된다.
화장 패널(2)을 PS(폴리스티렌)재의 성형품으로 한 구성에서, 판금제에 비해 경량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성형성이 좋으므로 성형 형상의 자유도가 높고,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리사이클성도 좋다.
보강용 연결부재(20)를 내유성 합성수지재(ABS 등)의 성형품으로 했으므로, 기름이나 약품의 부착에 의한, 소위 솔벤트 크랙(solvent crack)의 발생이 없고, 강도의 증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용 연결부재(20)는 합성수지재이므로 열전도율이 낮고, 따라서 금속소재와 같이 결로의 발생도 없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루버(16)는 4개의 축(25A~25D)으로 분출구(15)에 축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시한 도면의 우측 단부에 설치되는 축(25D)을 제외한 3개의 축(25A~25C)은 단순히 분출구(15)의 한 측부와 중간부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의 구멍에 끼워 넣어질 뿐이고, 우측 단부의 축(25D)은 구동원(16M)에 연결되는 구동축이다. 즉, 3개의 축(25A~25C)은 단순한 지지축이므로 직경이 가늘 어도 좋지만, 구동축(25D)은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힘이 가해지는 측면에서 어느 정도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3개의 축보다도 직경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냉방운전시에서의 냉풍 분출 중에는 구동축(25D)의 하류부분에서 성에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구동축(25D)만 다른 3개의 축(25A~25C)과는 상위하여 널링 형상의 홈부착 축으로 구성하여 이슬이 발생하기 어렵게 함과 동시에, 이슬이 발생한 경우에도 낙하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즉, 구동축(25D)에서의 이슬 부착이나 이슬의 낙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축(25A~25C)은 직경이 가늘기 때문에, 원래 이슬 부착이 없고, 매끄러운 원주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특별히 문제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 패널에 설치되는 분출구 주변부에 대한 강성의 증대화를 달성하여 파손의 우려가 없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피공조실의 천정내에 부착되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면이 개구되고, 또한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이 수용되는 공기조화기 본체,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하면부에 부착되고, 피공조실 내에 노출되는 화장 패널,
    상기 화장패널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는 분출구,
    상기 분출구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분출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부 사이에 놓여지고, 화장 패널에 부착되는 보강용 연결부재,
    상기 보강용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구멍부 및
    상기 화장 패널로부터 보강용 연결부재의 상기 구멍부를 삽입 통과하여, 화장 패널을 보강용 연결부재와 함께 공기조화기 본체에 부착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하부면 개구 둘레단부와 화장 패널의 둘레단부 사이에, 시일용 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보강용 연결부재의 구멍부 주위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보스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패널은 폴리스티렌재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용 연결부재는 내유성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KR1020077006921A 2004-09-28 2005-09-27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KR200700585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2747 2004-09-28
JP2004282747 2004-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530A true KR20070058530A (ko) 2007-06-08

Family

ID=3611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921A KR20070058530A (ko) 2004-09-28 2005-09-27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04002A4 (ko)
JP (1) JPWO2006035747A1 (ko)
KR (1) KR20070058530A (ko)
CN (1) CN101031752A (ko)
WO (1) WO2006035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1817B2 (ja) * 2015-03-24 2019-03-1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6233398B2 (ja) * 2015-12-22 2017-11-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2249321B1 (ko) * 2017-09-05 2021-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622A (ja) * 1990-04-23 1992-01-09 Oki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伝送方法
JPH0710170Y2 (ja) * 1990-04-26 1995-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化粧パネル取付装置
JP2902857B2 (ja) * 1992-06-16 1999-06-07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095583B2 (ja) * 1993-08-06 2000-10-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の天井パネル
JPH07151376A (ja) * 1993-11-29 1995-06-13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JPH109609A (ja) * 1996-06-21 1998-01-16 Mitsubishi Heavy Ind Ltd 天井埋込形空調機の天井パネル
US6338676B1 (en) * 1998-12-28 2002-01-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JP3438659B2 (ja) * 1999-08-06 2003-08-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設置型空気調和装置
JP3709777B2 (ja) * 2000-09-29 2005-10-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35747A1 (ja) 2008-05-15
EP1804002A1 (en) 2007-07-04
EP1804002A4 (en) 2010-05-19
WO2006035747A1 (ja) 2006-04-06
CN101031752A (zh)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728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342072Y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EP2163831B1 (en) Air conditioner
JP2006242545A (ja) 室内機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KR20070058530A (ko)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KR100432222B1 (ko) 공기조화기
JP4523822B2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JP2007100980A (ja) 空気調和装置
KR20060081841A (ko) 공기조화기
KR102343464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JPH0861690A (ja) 空気調和機の化粧パネル
JP3257753B2 (ja) 空気調和機
JPH09170775A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KR100345085B1 (ko) 에어콘의 흡입구 프론트 패널
KR200210379Y1 (ko) 에어콘용 그릴 브라켓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WO1993017283A1 (fr) Climatiseur monobloc
KR20090082729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5195706B2 (ja) 壁掛型室内ユニットの固定爪構造
JP4683041B2 (ja) 空気調和機
WO2011136271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KR101016304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서비스밸브 설치구조
KR200474596Y1 (ko) 공조기 토출 정압 손실 저감을 위한 라운드형 토출 프레임 구조
JP2003214648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