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896A - 전선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896A
KR20070032896A KR1020060005641A KR20060005641A KR20070032896A KR 20070032896 A KR20070032896 A KR 20070032896A KR 1020060005641 A KR1020060005641 A KR 1020060005641A KR 20060005641 A KR20060005641 A KR 20060005641A KR 20070032896 A KR20070032896 A KR 2007003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ce
hole
wire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아사이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콘택트3의 탄성 접속편33이, 콘택트 수용구멍12 내로 삽입되는 전선W의 심선Wl과 탄성적으로 접속하여 지지하는 접촉 지지부38을 구비한 전선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또한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탄성 접속편33이 절곡편34, 경사편35 및 접촉편36을 구비하고, 경사편35와 접촉편36에 걸쳐서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37을 형성하고,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37에 있어서 전선 삽입구13 측의 가장자리를 접촉 지지부38로 하고, 접촉 지지부38을 하우징1의 내벽면으로부터 분리시켜 하우징1의 내벽면을 다치게 하지 않고 탄성 접촉편33의 심선W1에 대한 여유 압력을 크게 하고 하우징1의 높이 치수를 억제한다. 또한 하우징1의 콘택트 수용구멍12의 상측부에 접속 해제용 치구5를 삽입하기 위한 치구 삽입구멍16을 형성하여 접속해제를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

Description

전선 접속용 커넥터{CONNECTOR FOR CABLE CONNECTION}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도2의 A-A선 확대 단면도, (b)는 (a)에서의 콘택트3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정면도이다.
도4는, 도2의 하면도이다.
도5는, 도2의 우측면도이다.
도6은, 도3의 배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1에서 프린트 배선기판P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8은, 도2를 정면 측(전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9는, 도2를 배면 측(후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0은, 전선W의 삽입접속, 접속해제의 설명도이다.
도11은, 공지예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는, 공지예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하우징 12…콘택트 수용구멍
13…전선 삽입구 16…치구 삽입구멍
17…윈도우 구멍 3…콘택트
31…지지편 33…탄성 접속편
34…절곡편 35…경사편
36…접촉편 37…접촉 지지부 형성구멍
38…접촉 지지부 39…스토퍼
5…접속 해제용 치구  P…프린트 배선기판
W…전선 W1…전선W의 심선
본 발명은 전선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전선과 프린트 배선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선 접속용 커넥터에는, 예를 들면 도11 또는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도11에 나타내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는, 하우징100과, 이 하우징100에 의하여 지지되는 콘택트110을 구비하고, 콘택트110은, 하우징100으로 지지되 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된 수직 지지편111, 112와, 수직 지지편111, 112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 연결편113과, 수직 지지편111, 11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하우징100의 밖으로 돌출하는 단자편l15, l16과, 일방의 수직 지지편111의 상단으로부터 하우징100의 콘택트 수용구멍101 내로 굽혀져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탄성 접속편118을 구비하고, 탄성 접촉편118의 선단에는 탄성 접속 지지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W와의 접속에는, 하우징100의 전선 삽입구102로부터 전선W를 삽입하고, 그 심선W1을 탄성 접속편118의 접촉 지지부119와 수직 지지편112의 사이에 압입(壓入)하여 탄성 접속편118을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탄성 접촉편118의 접촉 지지부119가 심선W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심선W1을 수직 지지편112와의 사이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전선W와 프린트 배선기판P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전선W의 제거 시에는, 하우징100의 치구 삽입구103으로부터 접속 해제용 치구J를 삽입하여 탄성 접속편118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까지 변위시킴으로써 심선W1에 대한 협지(挾持)를 해제하여 전선W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12에 나타내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는, 프린트 배선기판P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00과, 이 지지부재200에 형성되어 상면이 개구하는 콘택트 수용 오목부201을 폐쇄하는 커버210과, 지지부재200 및 커버2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콘택트220을 구비하고, 콘택트220은, 콘택트 수용 오목부201 내에 설치되어서 지지부재200 및 커버210으로 지지되는 U자 모양의 지지편221과, 그 일단에서 연장된 수평 지지편222와, 수평 지지편222의 선단에서 연장되어서 지지부재200의 밖으로 돌출하는 단자편223과, 지지편221의 타단으로부터 콘택트 수용 오목부201 내로 굽혀진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속편225를 구비하고, 탄성 접촉편225의 선단에는 접촉 지지부2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W와의 접속 시에는, 커버210의 전선 삽입구211로부터 전선W를 삽입하여 심선W1을 탄성 접속편225의 접촉 지지부226과 지지편221의 사이에 압입함으로써 탄성 접속편225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켜 탄성 접속편225의 접촉 지지부226이 심선W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심선W1을 지지편221과의 사이에 협지함과 아울러 전선W와 프린트 배선기판P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전선W의 제거 시에는, 삽입 시 및 접속 시에 도12에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에 있어서 지점2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조작부232를 반시계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가압부233으로 탄성 접속편225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심선W1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여 전선W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도4참조)
[특허문헌1] U.S. Patent No.5,915,991
그러나 도11에 나타낸 공지예에서는, 프린트 배선기판P의 기판면에 대하여 수직인 전선W를 삽입하는 세로형이기 때문에 높이를 억제할 수 없다 라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택트110의 수직 지지편111, 112가 콘택트 수용구멍101 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폭 치수를 크게 하여야만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외형 형상이 커지게 된다(예를 들면 2극의 경우에 세로 10.0mm, 가로 8.5mm, 높이 12.5mm)라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12에 나타낸 공지예에서는, 레버230이 필요하게 되는 등 구조가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소형화(예를 들면 높이를 낮게 하는 것)를 도모할 수 있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전면에 전선 삽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선 삽입구로 통하는 콘택트 수용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으로 지지되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콘택트는,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구멍의 하측부로 지지되는 지지편과, 지지편에 있어서 전선 삽입구 측에서 굽혀져 콘택트 수용구멍 내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의 심선과 탄성 접촉하는 탄성 접속편을 구비한 전선 접속용 커넥터로서, 탄성 접속편이, 지지편에 있어서 전선 삽입구 측으로 연속하도록 설치된 절 곡편과, 절곡편의 선단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서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구멍의 상측부에 근접하도록 경사진 경사편과, 경사편의 선단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서 콘택트 수용구멍 상측벽 내면에 접촉하는 접촉편을 구비하고, 경사편과 접촉편에 걸쳐서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을 형성하고,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에 있어서 전선 삽입구 측의 가장자리를 삽입되는 전선의 심선과 접촉시켜 이것을 지지하는 접촉 지지부로 하고,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구멍의 상측부이며 접촉편과 접촉하는 부분에 접속 해제용 치구를 삽입하기 위한 치구 삽입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은, 평면에서 볼 때에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가로폭이 전선 삽입구의 가로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의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구멍의 상측부로서 접촉편과 접촉하는 부분에,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심선의 유무를 눈을 확인할 수 있는 윈도우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윈도우 구멍을 치구 삽입구멍과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4의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 접촉편에, 접촉편의 일부를 하측으로 세워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심선의 선단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이, 펀칭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U자형 구멍과, 이 U자형 구멍으로 형성된 설편을 하측으로 세워 형성된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단하여 세워진 설편을 스토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도1~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1은 하우징, 3은 콘택트, 5는 접속 해제용 치구, 6은 홀드다운(hold down), P는 프린트 배선기판, W는 전선, Wl은 전선W의 심선(예를 들면 단선(單線)), W2는 전선W의 피복 부분이다.
하우징1은, 절연성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외형이 높이가 낮은 직육면체 형상(예를 들면 세로가 9mm, 가로가 13mm, 높이가 2.7mm)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에는, 도8,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사각형 통 모양의 중앙 관통구멍11과, 이 중앙 관통구멍11의 양측에 위치하여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정사각형 통 모양의 콘택트 수용구멍12, 1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전면 측에는, 콘택트 수용구멍12와 통하는 전선 삽입구13 및 전선결합 단차부14가 형성되고, 하우징1의 후면 측에는 콘택트 수용구멍12와 통하는 콘택트 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전선 삽입구13은, 콘택트 수용구멍12의 상측부에서 콘택트 수용구멍12와 통함과 아울러 단면이 대략 정방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심선Wl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면 측이 확대되는 테이퍼(taper)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전면 측 개구 단면(端面)이 전선결합 단차부14의 단면(端面)이 되어서 전선W의 피복 부분W2가 콘택트 수용구멍12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콘택트 수용구멍12 상측벽 중에서 후면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치구 삽입구멍16과 윈도우 구멍17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치구 삽입구멍16은 접속 해제용 치구5를 삽입하는 위한 것으로, 윈도우 구멍17보다 후면 측에 위치하여 형성되고, 윈도우 구멍17의 전면 측 테두리는 후술하는 콘택트3의 스토퍼39보다 전면 측에 위치하여 형성되고, 이 윈도우 구멍17에 의하여 삽입되는 전선W의 심선W1이 콘택트 수용구멍12 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1의 전면 양 측부에는,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측과 하면 측이 개구한 홀드다운 지지 홈18, 18이 형성되고, 이 홀드다운 지지 홈18, 18에는, 홀드다운6, 6이 압입, 결합되어 있다.
콘택트3은, 두께t(예를 들면 t = 0.25mm)의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가공하고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콘택트3은, 콘택트 삽입구15로부터 하우징1의 콘택트 수용구멍12 내에 수용되어서 지지되어 하우징1의 콘택트 수용구멍12의 하측부(하측벽)에 형성 된 결합 홈에 압입, 결합되는 대략 직사각형 판자 모양의 지지편31과, 지지편31의 후면 측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폭이 좁은 띠 모양의 단자편32와, 지지편31과 연속하도록 형성된 탄성 접속편33을 구비하고 있다.
탄성 접속편33은, 지지편31의 전면 측에서 후면 측으로 굽혀진 절곡편34와, 이 절곡편34의 선단 측에 순차적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경사편35, 접촉편36을 구비하고 있다.
절곡편34는, 지지편31보다 약간 좁은 폭의 띠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접혀진 후에는 콘택트 수용구멍12 상측벽 내면과 대략 평행한 것으로서, 상측벽 내면과의 간격이 심선W1의 지름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편35는, 절곡편34보다 약간 광폭(廣幅)의 띠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콘택트 수용구멍12 상측벽 내면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접촉편36은, 콘택트 수용구멍12 상측벽 내면에 접촉하는 압력에 여유를 가지고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편35와 접촉편36에는, 양측에 걸쳐지고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사각형 모양의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37이 형성되고, 이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37의 전면 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전선W의 심선W1과 탄성적으로 접속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접촉 지지부38로 되어 있다.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37은, 콘택트3의 성형 시에 있어서의 펀칭가공으로 형성된 U자형 구멍과, 이 U자형 구멍으로 형성된 설편(舌片)을 하측으로 세 워 형성된 구멍으로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설편은 스토퍼39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전선 접속용 커넥터는, 도7에 나타내는 프린트 배선기판P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콘택트3, 3의 단자편32, 32가 프린트 배선기판P에 있어서 대응하는 접속 패드P1, P1에 솔더링 접속되어서 프린트 배선기판P의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홀드다운6이 프린트 배선기판P에 있어서 대응하는 접속 패드P2, P2에 솔더링 접속되어서 하우징1이 프린트 배선기판P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프린트 배선기판P에 접속, 고정된 전선 접속용 커넥터에 대한 전선W의 삽입, 접속과 접속해제에 대하여, 도10을 병용하여 설명한다.
(1)도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선W의 심선W1을 전선 삽입구13으로부터 콘택트 수용구멍12 내로 삽입하면, 콘택트3의 절곡편34의 상면과 콘택트 수용구멍12 상측벽 내면이 대략 평행하고 그 간격이 심선Wl의 지름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크므로, 경사편35에 접촉할 때 까지 원활하게 삽입된다.
(2)계속하여, 전선W의 심선W1을 콘택트 수용구멍12 상측벽 내면과 콘택트3의 경사편35 및 접촉편36의 사이에 압입하면, 콘택트3의 경사편35 및 접촉편36이 가압되어 밑으로 변위하여 탄성 접촉편33이 도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하여 심선W1이 탄성 접속편33의 접촉 지지부38에 탄성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콘택트3을 통하여 전선W와 프린트 배선기판P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에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37의 가로폭(예를 들면 1.2mm)이 전선 삽입구13의 가로폭(예를 들면 0.8mm)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심선W1의 압입을 쉽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선W의 콘택트 수용구멍12에 대한 삽입 시에 심선W1의 선단이 스토퍼39에 접촉하여 삽입이 제한되므로, 심선W1의 지나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구멍17의 전면 측 가장자리가 스토퍼39보다 전면 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된 전선W의 심선W1이 콘택트 수용구멍12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면 스토퍼39의 부근)까지 삽입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윈도우 구멍17을 통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선W가 적정하게 삽입된 것인가 아닌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3)전선W를 전선 접속용 커넥터로부터 접속 해제할 때에는, 도10(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 해제용 치구5를 치구 삽입구멍16으로부터 삽입하여 그 선단부에 의하여 접촉편36을 하방으로 가압, 변위시킴으로써 탄성 접속편33의 접촉 지지부38에 의한 심선W1에 대한 접촉, 지지를 해제하여 전선W를 콘택트 수용구멍1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에 스토퍼39의 선단부가 지지편31에 접촉하여 접촉편36이 필요 이상 하방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탄성 접속편33에 필요 이상의 외압이 가해지는 것을 제한하여 접촉편36이 엉덩방아를 찧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선의 심선이 단선으로서, 전선접속용 커넥터의 삽입, 접속을 심선의 압입으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선의 심선이 연선(撚線)이고 접속 해제용 치구로 콘택트의 접촉편을 가압하여 콘택트 수용구멍 상측벽 내면과 접촉 지지부의 사이를 확대함으로써 심선의 삽입을 하는 경우나, 전선의 심선이 단선이고 접속 해제용 치구로 콘택트의 접촉편을 가압하여 콘택트 수용구멍 상측벽 내면과 접촉 지지부의 사이를 확대함으로써 압입하지 않고 심선을 삽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과 스토퍼의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을 U자형 구멍과 설편의 형성으로 형성된 구멍으로 형성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U자형 구멍의 형성을 생략하고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을 펀칭으로 형성하고, 이 펀칭 시에 남겨진 펀칭 가공편을 스토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선이 필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 접속편의 엉덩방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편의 변위량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스토퍼를 생략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구멍 및 치구 삽입구멍의 형성을 쉽게 하 기 위하여, 윈도우 구멍을 치구 삽입구멍과 연속하여 형성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윈도우 구멍과 치구 삽입구멍을 분리하여 각각 형성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선의 심선이 콘택트의 접촉 지지부에 접촉, 지지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구멍 상측벽에 상당하는 부분에 윈도우 구멍을 형성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윈도우 구멍을 생략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선의 심선을 콘택트 수용구멍 내에 삽입하는 조작을 쉽게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의 가로폭을 전선 삽입구의 가로폭보다 크게 형성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의 가로폭을 전선 삽입구의 가로폭보다 작게 형성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하우징과 콘택트를 구비하고, 콘택트가 지지편과 탄성 접속편을 구비한 전선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탄성 접속편이 절곡편, 경사편 및 접촉편을 구비하고, 경사편과 접촉편에 걸쳐서 접촉 지지 부 형성구멍을 형성하고,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에 있어서 전선 삽입구 측의 가장자리를 전선의 심선에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접촉 지지부로 하고, 접촉 지지부가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구멍 상측벽 내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했으므로, 하우징의 내벽면을 상처를 입히지 않고 탄성 접속편의 심선에 대한 압력에 있어서 여유를 크게 할 수 있고, 높이 치수를 억제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구멍 상측벽에 치구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이 치구 삽입구멍으로부터 삽입한 접속 해제용 치구로 탄성 접속편을 가압하여 심선과의 접촉을 해제할 수 있게 했으므로, 전선과의 접속 해제를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을 평면에서 볼 때에 사각형 모양으로 하는 동시에 그 가로폭을 전선 삽입구의 가로폭보다 크게 형성했으므로, 전선의 심선을 콘택트 수용구멍 내로 삽입하는 조작을 쉽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은, 제1항 또는 제2항의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구멍의 상측부이며 접촉편과 접촉하는 부분에 윈도우 구멍을 형성하고,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심선의 유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했으므로, 전선의 심선이 탄성 접속편의 접촉 지지부에 접촉, 지지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윈도우 구멍을 치구 삽입구멍과 연속하여 형성했으므로, 윈도우 구멍 및 치구 삽입구멍 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4의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 접촉편의 일부를 절단하여 하측으로 세운 스토퍼를 접촉편에 형성하고,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심선의 선단에 접촉하도록 했으므로, 전선의 심선이 필요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선과의 접속 해제 시에 접속 해제용 치구로 가압되는 탄성 접속편의 변위량을 제한하여 탄성 접속편의 엉덩방아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이 U자형 구멍과 설편을 절단하여 세워 형성된 구멍으로 형성되고, 절단하여 세워진 설편을 스토퍼로 했으므로,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과 스토퍼의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전면(前面)에 전선 삽입구(13)이 형성되고 내부에 전선 삽입구(13)로 통하는 콘택트 수용구멍(12)이 형성된 하우징(1)과,
    하우징(1)로 지지되는 콘택트(3)를
    구비하고,
    콘택트(3)은, 하우징(1)의 콘택트 수용구멍(12)의 하측부로 지지되는 지지편(31)과, 지지편(31)에 있어서 전선 삽입구(13) 측에서 굽혀져 콘택트 수용구멍(12) 내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전선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되는 전선(W)의 심선(W1)과 탄성 접촉하는 탄성 접속편(33)을 구비한
    전선 접속용 커넥터로서,
    탄성 접속편(33)이, 지지편(31)에 있어서 전선 삽입구(13) 측으로 연속하도록 설치된 절곡편(34)과, 절곡편(34)의 선단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서 하우징(1)의 콘택트 수용구멍(12)의 상측부에 근접하도록 경사진 경사편(35)과, 경사편(35)의 선단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서 콘택트 수용구멍(12) 상측벽 내면에 접촉하는 접촉편(36)을 구비하고, 경사편(35)과 접촉편(36)에 걸쳐서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37)을 형성하고,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37)에 있어서 전선 삽입구(13) 측의 가장자리를 삽입되는 전선(W)의 심선(W1)과 접촉시켜 이것을 지지하는 접촉 지지부(38)로 하고, 하우징(1)의 콘택트 수용구 멍(12)의 상측부이며 접촉편(36)과 접촉하는 부분에 접속 해제용 치구(5)를 삽입하기 위한 치구 삽입구멍(1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37)은, 평면에서 볼 때에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가로폭이 전선 삽입구(13)의 가로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1)의 콘택트 수용구멍(12)의 상측부로서 접촉편(36)과 접촉하는 부분에, 전선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전선(W)의 심선(W1)의 유무를 눈을 확인할 수 있는 윈도우 구멍(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윈도우 구멍(17)을 치구 삽입구멍(16)과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편(36)에, 접촉편(36)의 일부를 하측으로 세워 전선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전선(W)의 심선(W1)의 선단에 접촉하는 스토퍼(3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접촉 지지부 형성구멍(37)이, 펀칭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U자형 구멍과, 이 U자형 구멍으로 형성된 설편을 하측으로 세워 형성된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편을 스토퍼(39)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1020060005641A 2005-09-20 2006-01-19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200700328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1574A JP2007087621A (ja) 2005-09-20 2005-09-20 電線接続用コネクタ
JPJP-P-2005-00271574 2005-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896A true KR20070032896A (ko) 2007-03-23

Family

ID=3795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641A KR20070032896A (ko) 2005-09-20 2006-01-19 전선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087621A (ko)
KR (1) KR20070032896A (ko)
CN (1) CN19373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808A1 (ko) * 2013-09-12 2015-03-19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4549A4 (en) * 2009-05-20 2014-07-09 Yukita Electric Wire Co Ltd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ND TERMINAL BOX
KR101420394B1 (ko) 2013-07-12 2014-07-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적 연결장치
CN104157992A (zh) * 2014-08-12 2014-11-19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led用接线端子连接器
CN105552605A (zh) * 2014-10-22 2016-05-04 西蒙独资有限公司 用于电连接的快接端子装置
CN104767041B (zh) * 2015-04-01 2016-12-07 苏州华旃航天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快速锁线结构的连接器
JP6537905B2 (ja) 2015-06-30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111627A1 (de) * 2016-06-24 2017-12-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JP2020047464A (ja) * 2018-09-19 2020-03-2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気機器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0826A (en) * 1929-01-15 1934-03-13 Hart Mfg Co Quick detachable electrical connection
US3638171A (en) * 1969-04-25 1972-01-25 Gen Electric Canada Terminal structure for wiring devices
US4952167A (en) * 1988-02-29 1990-08-28 Chris Hertelendy Electrical connector
JPH0222572U (ko) * 1988-07-29 1990-02-15
JPH07326399A (ja) * 1994-05-30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808A1 (ko) * 2013-09-12 2015-03-19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US9397419B2 (en) 2013-09-12 2016-07-19 Joinset Co., Ltd. Solderable electri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87621A (ja) 2007-04-05
CN1937325A (zh)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549B2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JP3121388U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
KR20070032896A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EP1562262B1 (en) A connector and a method of mounting it to an electric device
US9627822B2 (en) Connector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US7942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US7878843B2 (en) Cable assembly having hold-down arrangement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US20040005794A1 (en) Construction for mounting a terminal, a circuit board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it
US777124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5095405A (ja) 電気コネクタ
JP2002170618A (ja) コネクタ
US1168285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1210419A (ja) 雌型端子
US2008021406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885192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9164105A (ja)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JP4521351B2 (ja) 基板用コネクタ
CN102623857A (zh) 连接器
US20170179626A1 (en) Connector
JP5049619B2 (ja) プラグ接続アダプタ
US798508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uxiliary hold-down arrangement
EP1538706B1 (en) A connector fixing bracket
KR20020071452A (ko) 수평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