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652A - 조절 가능한 진자 지지체를 구비한 차량용 스태빌라이저장치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진자 지지체를 구비한 차량용 스태빌라이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652A
KR20070032652A KR1020067023821A KR20067023821A KR20070032652A KR 20070032652 A KR20070032652 A KR 20070032652A KR 1020067023821 A KR1020067023821 A KR 1020067023821A KR 20067023821 A KR20067023821 A KR 20067023821A KR 20070032652 A KR20070032652 A KR 20070032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stabilizer device
stabilizer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틴 에르소이
젠스 보르트메이어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3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 motion involving steering operation, e.g. cornering,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5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n actuator inducing vehicle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3Hydraul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4Axial actuator,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2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left and right unit on sam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4Type of interconnection using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60G2206/1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of adjustable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차량 구조물에 접촉 연결된 스태빌라이저(1)를 구비하고 있고, 그 스태빌라이저는 각 차량 측에 각각 한 피스톤-실린더-유닛(4,4‘)에 의해 탄성적 차륜 담지 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거기에 있어 피스톤-실린더-유닛(4,4‘)은 그때그때 적어도 실린더(7) 내에 가동적으로 배치된 피스톤(8)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피스톤은 실린더(7)를 서로 분리된 제 1 및 제 2 실린더 실들(7a,7b)로 분할하고, 상기 유닛은 그때그때 일단으로는 스태빌라이저(1)의 일단에 그리고 다른 단부로는 탄성적 차륜 담지 부재에 관절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 용 스태빌라이저 장치.
본 발명은, 적어도 한 피스톤(8) 내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실린더 실(7a,7b)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14)이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 있어 각각 적어도 한 연결관(14) 내에는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체크밸브(15)가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8)은 적어도 한 종점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진자 지지체를 구비한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장치{STABILISE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WITH AN ADJUSTABLE OSCILLATING SUPPOR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태빌라이저 단부들에는 각각 하나의 조절 가능한 피스톤-실린더-유닛이 배치되어 있고 그 유닛은 관절적으로 탄성적 차륜 담지 부재와 연결되어 있다.
높은 승차 안락성을 위해 현대 자동차에서는 약한 스프링 구조물이 사용된다. 그리하여 대응적으로 설계된 완충기와 더불어 차도의 요철에서 개선된 바닥 접촉이 보장된다. 그때 발생하는 곡선로에서의 불리한 요동 각도 상승은 스태빌라이저의 사용에 의해 보정되는데, 그때 스태빌라이저는 차체에 고정되고 단부들에서는 각기 한 진자 지지체를 통해 탄성적 차륜 담지 부재에, 예컨대 크로스바 또는 리지드 액슬에 관절적으로 접촉 연결된다. 스태빌라이저들의 사용에 의해 당연히 가능한 축 교차도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이 안정화기들이 한 축의 차륜의 반대 방향의 하향편향을 제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특히 야외 횡단 차량, 소위 SUV(스포츠용 차량)의 경우 야외 운행 중 스태빌라이저 기능부에 영향을 가할 가능성을 만들어 두는 것이 소망할 가치가 있다. 스위칭 가능한 성분들의 사용에 의해 이것이 보장될 수 있고 그래서 차축의 차륜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성적으로 하향 편향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차량의 모든 차륜들은 지면 접촉을 유지하고 추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칭 가능한 성분들의 사용할 가능성은, 예컨대 미국특허 US 5,217,245 호에 개시된 된 것과 같이, 고형 진자 지지체 대신에. 예컨대 피스톤-실린더-유닛과 같은 유압적으로 오래 변하는 조절 소자를 이용하는데 있다. 스태빌라이저와 차량 구조물 사이에 배치된 오래 변하는 피스톤-실린더-유닛은 피스톤 내에 가동적으로 유지된 관통 피스톤 봉을 가진 피스톤을 나타내고, 거기서 피스톤은 실린더 실을 제 1 및 제 2 실린더 실로 분할한다. 제 1 및 제 2 실린더 실은 실린더 외부에 배치된 밸브에 의해 차단- 및 차단해제 가능한 외부 바이패스 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거기에 있어 이 관 내에는 스위칭 가능한 밸브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바이패스 관에 평행으로 두 추가의 내부 바이패스 관이 배치되는데, 이 관들은 실린더의 각 단부 영역을 실린더의 중앙 영역과 연결한다. 이 중앙 영역 내에서는 두 추가 내부 바이패스 관들의 연결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고, 거기에 있어 이 내부 바이패스 관들 내에서 각각 하나의 체크밸브는, 오직 실린더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실린더의 단부 영역으로의 유압 유체의 관류만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외부 바이패스 관의 개방된 연결의 경우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서 자유로 동작하고, 그래서 안정기작용은 중지한다. 피스톤이 중앙 위치 밖에 있고 외부 바이패스 관이 폐쇄되었으면, 피스톤은 오직 중앙 위치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단부 영역들로부터 체크밸브를 통해 유압 유체가 중앙 영역으로 또는 다른 단부 영역으로 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피스톤이 중앙 위치에 도달하는 즉시 이 위치에 고정 유지되는 데, 그 이유는 실린더 실들 간에 유체 교환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는 특히 피스톤이 고정되고 그래서 안정기작용이 형성되는 중앙 위치가 정확하게 한정될 수 없다는 점이 결점이다. 여기서는 이어진 질량 및 이어진 구멍들 때문에 상당한 공차가 생긴다.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장치용 스위칭 가능 진자 지지체의 추가 실시형은 미국 특허 US 4,973,077 호에 공개되어 있는데, 그것에 의하면 여기서도 실린더 외부에 있는 밸브에 의해 차단 및 차단해제 가능한 바이패스 관이 피스톤에 의해 분리된 단부 영역의 두 실린더 실을 서로 연결한다. 피스톤의 양측으로는 실린더 내부에 두 압력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고 그 스프링들은 각 실린더 바닥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피스톤 내에는 연결관이 배치되어 있고 그 관 내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두 체크밸브가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이 그 중앙 위치 밖에 있을 때에는, 이들 체크밸브가 바이패스 관이 차단되었을 때 양 실린더 실 사이의 유체 교환을 허용하고 그리하여 피스톤은 압력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그의 중앙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은 중앙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체크밸브들은 피스톤 내에서 폐쇄되어 있어 유체 교환이 더 이상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위치에서는 안정기작용이 존재한다.
이 실시예서도 다시, 스태빌라이저 상태를 위한 피스톤의 중앙 위치가 정확하게 정의될 수 없다는 점이 결점이다.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공차에 추가하여 - 특히 스프링들은 상이한 특성치를 가질 수 있음 - 스프링은 마모되고 이것은 중앙 위치로부터의 추가 편의를 야기한다. 그리고 이 장치는 다수의 개별 부재들로부터 대단히 큰 비용을 들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피스톤 고정을 위한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위치를 갖는 간단한 형상의 구조를 가진, 스위칭 가능한 피스톤-실린더-유닛을 구비한 자동차 용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주항의 특징을 가진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자동차 용 스태빌라이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형 및 응용 실시형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의해 주어져 있다.
자동차 용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차량 구조물에 배치된 스태빌라이저를 갖고, 그것은 차량의 각 측에 피스톤-실린더-유닛에 의해 탄성적 차륜 담지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피스톤-실린더-유닛은 적어도 실린더 내에 가동적으로 배치된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그 피스톤은 실린더를 제 1 및 제 2 피스톤 실로 분할하고 일단으로는 스태빌라이저의 일단에 또한 타단으로는 탄성 차륜 담지 부재에 관절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피스톤-실린더-유닛의 피스톤 내에는 제 1과 제 2 실을 서로 연결하는 각각 하나의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관 내에는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체크밸브가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은 적어도 한 종말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양 실린더 실을 연결하는 연결관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로 인해 유압 유체는 오직 한 실린더 실로부터 다른 실린더 실 내로만 도달할 수 있고 역방향으로는 가능하지 않다. 이것은, 예컨대 하향 또는 상향 편향 동작에 의해 피스톤이 부하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두 실린더 실 사이에 추가 연결부가 존재하지 않는 한 실린더 내 피스톤은 오직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피스톤은 유리한 방법으로는 실린더 하우징 자체 또는 실린더 내에나 실린더에 별도로 배치된 스토퍼에 의해 형성된 종말 위치로 이동된다. 이 종말 위치는 정밀하게 확정되고 늘 재반복 가능하게 도달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형에 있어 두 실린더 실 외부에는 두 실린더 실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이 배치되고, 이때 이 바이패스 관 내에는 이 관 내로 유압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또는 해방시킬 수 있는 추가 밸브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때 피스톤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자기 작동형 체크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바이패스 관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가 차단해제 상태에 있고 그래서 한 실린더 실로부터 다른 실로 유압 유체의 관류가 해방되면,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서 자유 가동적이다. 피스톤이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유압 유체는 바이패스 관을 통해 한 실린더 실로부터 다른 실로 흐를 수 있고, 한편 피스톤의 역동작시에는 유압 유체는 피스톤 내 연결관을 통해 한 실린더 실로부터 다른 실에 도달한다. 그때 피스톤-실린더-유닛과 결합된 스태빌라이저는 비작동 상태에 놓이고 그래서 축의 차륜들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이제 바이패스 관이 차단되면, 유압 유체는 실린더 실들 사이에서 오직 한 방향으로만 교환될 수 있고, 그래서 피스톤도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차륜의 하향- 및 상향 편향 탄동으로 인해 피스톤은 종말 위치까지 이동되고 거기서부터는 더 이상 나갈 수 없다. 그러면 이 상태에서는 안정기작용이 생기고 그래서 힘이 한 차량 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힘이 전달되어 다시 완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장치의 이점은 안정기 작용이 예컨대 유압펌프에서와 같은 기동기의 사용 없이 다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체크밸브의 전자기적 작동이 바이패스 관 내에서 무 전류 상태에서 체크밸브가 차단 위치에 있도록 사용되면 안전 기능이 생기는데, 그 이유는 정전시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안정기작용이 재생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형에서 피스톤은 관통하는 피스톤 봉으로 이중 작용적으로 형성되고 그에 의해 제 1 및 제 2 실린더 실에는 같은 단면이 주어져 추가 보정 소자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추가 실시형에 있어 피스톤 봉은 피스톤에 단지 일측으로만 형성되고 그럼으로써 피스톤-실린더-유닛은 훨씬 더 작은 구조로 되고 그래서 더 작은 설치 공간을 차지한다. 이 실시형에서는 당연히 피스톤의 양쪽으로 배제 체적의 상이한 크기의 단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예컨대 다른 실린더 실에 의해 수용될 수 없는 그 배제된 유압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압력 가스실을 가진 보정 피스톤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가능한 실시형은, 실린더 내에 분리 배치된 두 피스톤의 사용에 의해 주어지는 것으로, 그때 피스톤들 사이에는 보정 피스톤 및 압력 보정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실린더가 배치된다. 두 피스톤들 중의 하나는 안정기에 연결되는 한편 다른 피스톤은 차륜 담지 부재에 연결된다. 양 피스톤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가 배치되고, 양 피스톤은 실린더 실들 사이의 연결을 나타내는 바이패스 관 차단의 경우에는 단지 같은 방향으로 각 종말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바이패스 관이 차단해제되었을 때에는 양 피스톤들은 실린더 내에서 자유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 용 피스톤-실린더-유닛을 구비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약시도이고,
도 2는 관통하는 피스톤 봉을 구비한 제 1 실시형에 있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피스톤-실린더-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안정기 작용 존재시 피스톤-실린더-유닛을 구비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약시도이고,
도 3b는 안정기 작용은 스위치 오프되고 차륜이 하향 편향되었을 때 피스톤-실린더-유닛을 구비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약시도이고,
도 3c는 안정기 작용은 스위치 오프되고 차륜이 상향 편향되었을 때 피스톤-실린더-유닛을 구비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약시도이고,
도 4는 압력 보정실을 구비한 제 2 실시형에 있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피스톤-실린더-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이중 피스톤 및 압력 보정실을 구비한 제 3 실시형에 있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피스톤-실린더-유닛의 단면도이다.
[부재번호] 1 스태빌라이저, 2 베어링 지점, 3 차량 구조물, 4,4‘ 피스톤-실린더-유닛, 5 차륜, 6 충격 감쇄 부재, 7 실린더, 7a 제 1 실린더 실, 7b 제 2 실린더 실, 7c 제 3 실린더 실, 8 피스톤, 9 피스톤 봉, 9a 피스톤 봉 측부, 9b 피스톤 봉 측부, 10 수용부, 11 케이싱, 12 수용부, 13 실린더 바 닥, 14 연결관, 14a 연결관, 15 체크밸브, 15a 체크밸브, 16 패킹, 17 바이패스 관, 18 실린더 바닥, 19 연결공, 20 연결공, 21 체크밸브, 22 플러그 연결구, 23 종말 스위치, 30 보정 피스톤, 31 패킹, 32 압력 가스 공간, 33 내부 실린더, 34 연결관, 81 피스톤, 91 피스톤 봉, α 하향 편향 거리, β 상향 편향 거리.
본 발명을 이하 여러 실시예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예시적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스태빌라이저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베어링 지점들(2) 내 스태빌라이저(1)는 선동적으로 차 구조물에 지지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1)는 그 단부에서 각각 관절적으로 피스톤-실린더-유닛(4)과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실린더-유닛(4)은 스태빌라이저에서 먼 그의 단부에서 그때그때 관절적으로 탄성적인 차륜 담지 부재와, 예컨대 차륜(5)에 접속 연결된 충격 감쇠 부재(6)와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실린더-유닛(4)은 여기서는 고형 진자 지지체를 대신하고 있고, 도 2에 표시된 제 1 실시예에서는 유리하게도 평행 실린더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7) 내에 배치된 피스톤(8)은 두 측부 피스톤 봉(9)을 가졌는데, 첫째의 피스톤 봉 측부(9a)는 실린더(7) 외부로 돌출해 있고 그의 단부에 스태빌라이저(1)에 관절 결합되기 위해 수용부(10)를 갖고 있다. 둘째 피스톤 봉 측부(9b)는 실린더(7) 내에 배치된 케이싱(11) 내에서 뻗고있고, 케이싱(11)은 실린더(7)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있다. 대안적으로는 케이싱(11)은 실린더(7) 내에 별도의 부재로서 예컨대 나사 연결된다. 케이싱(11)은 충격 감쇠기(6)에 가까운 단부에 충격 감쇠기(6)와의 관절 연결을 위해 추가 수용부(12)를 갖고 있다.
피스톤(8)은 실린더(7)를 제 1 및 제 2 실린더 실(7a 및 7b)로 세분하는데, 도 2에 표시된 피스톤(8)의 종점 위치에서는 제 2 실린더 실(7b)의 체적은 영이다. 이 종점 위치에서는 피스톤(8)은 실린더 바닥(13)에 접해 있다. 피스톤(8) 내에는 연결관(1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에는 탄성이 걸려있는 체크밸브(15)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의한 표시 도면에는 각각 한 체크밸브를 가진 두 개의 연결관(14)이 표시되어 있는데 그 연결관(14)의 수는 체적 유량의 요구에 따라 임의로 선정될 수 있다. 여기 표시된 설치 상태에서는 실린더(7)에 있는 유압 유체의 관류는 제 2 실린더 실(7b)로부터 제 1 실린더 실(7a) 내로는 가능하고 한편 역방향 관류는 차단된다. 피스톤(8)은 패킹(16)에 의해 실린더(7)에 대해 밀폐된다.
제 1 과 제 2 실린더 실(7a,7b)은 실린더 외부에 배치된 바이패스 관(1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실린더 바닥(13,18)에는 각각 하나의 연결공(19,20)이 있고 그 구멍들은 실린더(7) 외부 측방으로 밖으로 뻗고 있다. 바이패스 관(17) 내로는 전자기적으로 절환 가능한 제 2 체크밸브(21)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체크밸브(21)는 체크밸브(21)가 통전되는 차단해제 스위칭 위치에서는 제 2 실린더 실(7b)로부터 제 1 실린더 실(7a) 내로의 관류는 차단되고 역방향으로는 가능해진다. 전자기적으로 절환 가능한 체크밸브(21)가 무전류이면, 바이패스 관(17)을 통한 제 2 실린더 실(7b)로부터 제 1 실린더 실(7a) 내로의 관류도 차단되고 역방향으로도 차단된다. 전자기적으로 절환 가능한 제 2 체크밸브(21)는 전자석 작동을 위해 신호- 및 전류 전달을 위한 플러그 연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체크밸브(21)의 작용 방향은 피스톤(8)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15)에는 반대이다.
종점 위치에서 피스톤(8)을 위한 스토퍼 역할을 하는 실린더 바닥(13) 내에는 종점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종말 스위치(23)가 배치된다.
출발 위치에서는 양 피스톤-실린더-유닛(4,4‘)은 스토퍼 역할를 하는 실린더 바닥(13)에 접하고 전자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체크밸브는 무전류이어서, 즉 체크밸브(21)는 차단되고 그래서 바이패스 관(17)을 통해서는 유압 유체는 흐를 수 없다. 이 위치에서는 피스톤(8)은 실린더 바닥(13)에 유지되는데, 그 이유는 체크밸브(15) 및 연결관(14)을 통해 유압 유체가 제 1 실린더 실(7a)로부터 제 2 실린더 실(7b) 내로 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위치에서는 피스톤-실린더-유닛들(4,4‘)은 도 3a에 표시된 위치에 유지될 것이고 그래서 완전한 안정기 작용이 존재하게 된다. 그래서 차량의 요동 경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한 차량 측으로부터 다른 힘 및 모멘트로 전달될 수 있다.
이제 체크밸브(21)가 통전되면, 그 체크밸브는 차단 해제되고 그래서 바이패스 관(17)을 통해 유압 유체는 제 1 실린더 실(7a)로부터 제 2 실린더 실(7b) 내로 흐를 수 있다. 피스톤(8)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15)를 통해 유압 유체는 제 2 실린더 실(7b)로부터 제 1 실린더 실(7a) 내로 흐를 수도 있기 때문에 피스톤(8)은 실린더(7) 내에서 자유 가동적이다. 이 상태는 두 피스톤-실린더-유닛(4,4‘)에서 존재하고 그리하여 스태빌라이저(1)는 작용을 나타내지 못한다. 도 3b에 표시된 한 차륜의 탄성적 하향 편향 거리(α)에 따라 실린더(7)는 상부 수용부(12)를 통해 높 이 끌어올려지고 반면에 피스톤(7)은 피스톤 봉(9)에 의해 하부 수용부(10)를 통해 자기 위치에 머문다. 스태빌라이저(1)는 어떤 회전 모멘트도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 모멘트는 다른 차량 측에 전달되지 않는다.
도 3c에 따라 거리(β)만큼 상향으로 편향되면, 탄성적 상향 편향 동작은 피스톤(8)이 그 종점 위치에서 실린더 바닥(13)에 접하는 피스톤-실린더-유닛(4)을 통해 스태빌라이저(1)에 전달된다. 그래서 스태빌라이저(1)는 다른 차량 측에 회전 모멘트 전달이 없이 틀어지는데, 그 이유는 피스톤(8)은 피스톤-실린더-유닛(4‘)에서 체크밸브(21)가 통전될 때에는 자유 동작 가능하고 실린더(7) 내에서 실린더 바닥의 방향으로 끌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강화된 축 교차가 가능하다. 축 교차가 강화될 수 있는 양 피스톤-실린더-유닛(4,4’)의 이 체크밸브(21)의 통전 상태는 특히 차량의 야외(크로스컨트리) 운전시 사용된다.
이제 예컨대 도로 운행을 위해 스태빌라이저 작용을 회복하려 한다면, 피스톤-실린더-유닛(4,4’)에서 체크밸브(21)는 무전류 유지되고 그리하여 체크밸브(21)는 차단되고 유량 유체의 양방향으로의 관류, 따라서 제 1 실린더 실(7a)로부터 제 2 실린더 실(7b) 내로 및 역방향으로의 관류는 차단된다. 이제 피스톤에 배치된 체크밸브(15)를 통해 단지 유압 유체는 제 2 실린더 실(7b)로부터 제 1 실린더 실(7a) 내로만 흐를 수 있다. 이것은 피스톤(8)은 실린더(7) 내에서 단지 실린더 바닥(13)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린더(7) 및 피스톤 봉(9)에 전달되는 차륜(5)의 하향 및 상향 편향 동작에 의해, 피스톤 봉(9) 및 피스톤(8)은 실린더 바닥(13)의 방향으로 눌러지는데, 그 이유는 피스톤(8)의 다 른 동작 방향은 알려져 있듯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피스톤(8)은 이것이 실린더 바닥(13)에 접할 때까지 실린더 바닥(13)의 방향으로 눌러진다. 이것은 피스톤(8)의 종점 위치를 표시한다. 이제 다시 출발 위치에 도달했다.
실린더 바닥(13)은 종점 위치에서 피스톤(8)을 위한 고형 기초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종점 위치 도달에 대한 높은 반복 정확성이 보장되고, 그와 동시에 스태빌라이저의 절환 후 그것의 기능 확실성이 보장된다. 여기서 시스템은 그의 출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매 전원 또는 기동기 없이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은 또한 중요하다. 그리고 실패시도 안전한 기능이 보장되는데, 그 이유는 전류 차질의 경우 체크밸브(21)는 차단되기 때문에 피스톤(8)은 종점 위치로 움직이고 스태빌라이저 기능은 보장된다. 스태빌라이저에 아무 변경도 필요 없는 이 구성 유닛은 그래서 폐쇄 자족 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4는 조절 가능한 진자 지지체의 본 발명적 형태의 추가 실시예를 표시한다. 피스톤-실린더-유닛(4)은 관통하는 피스톤 봉을 갖고 있지 않고 제 2 실린더 실(7b)의 측에 보정 피스톤(30)을 갖고 있고, 그 피스톤은 제 2 실린더 실(7b) 내에 가동적으로 패킹(31)을 통해 배치되어 있다. 제 2 실린더 실(7b)로부터 먼 보정 피스톤(30)의 쪽에는 압축성 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압력 가스 실(32)이 있다.
관통형 피스톤 봉의 생략에 의해 양 실린더 실(7a 및 7b)의 상이한 배제 체적으로 인해 압력 가스 공간(32)과 함께 보정 피스톤(30)이 필요하다. 장치의 나머지 구조 및 기능 방식은 도 2에 표시된 실시형에 상당한다. 피스톤(8)에 배치된 체크밸브(15)는, 바이패스 관(17) 및 바이패스 관(17) 내에 배치된 제 2 전자기 절환 가능 체크밸브(21)와 같이 여기서도 존재한다. 여기서도 피스톤(8)의 종점 위치에 대한 고정 스토퍼는 실린더 바닥(13)에 의해 주어져 있다. 이 장치의 중요한 이점은 감소된 진자 지지체의 외부 치수 및 그럼으로써 요구되는 감소된 설치 공간이다.
도 5는 이중 피스톤(9,91) 및 압력 보정실(32)을 가진 조절 가능한 진자 지지체의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양태를 보여준다. 그리고 실린더(7) 내에는 스태빌라이저 쪽 및 차 구조물 쪽에 서로 독립적으로 가동적인 피스톤 봉(9 및 91)이 배치되어 있는데, 그 봉들은 각각 한 피스톤(8,81)을 갖고 있다. 두 피스톤(8,81) 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14,14a)이 그 안에 배치된 체크밸브(15,15a)와 함께 형성되어 있고, 두 체크밸브(15,15a)는 실린더(7)에 관해 같은 작용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두 피스톤들(8,81) 사이에는 실린더(7) 내에 예컨대 접착, 납땜 또는 압입에 의해 내부 실린더(33)가 강고히 설치되어 있고, 이 내부 단일면 개방 실린더(33) 내에는 보정 피스톤(30)이 가동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압력 가스 공간(32)이 있다. 압력 가스 공간에서 먼 보정 피스톤(31)의 쪽에는 직접 접경된 제 2 실린더 실(7b)이 있다. 내부 실린더(33)는 동시에 스태빌라이저에 하부 피스톤(8)을 위한 스토퍼를 또한 형성한다.
바이패스 관(17)은 제 1 및 제 2 실린더 실들(7a,7b)을 서로 연결할 뿐 아니라 동시에 피스톤(81)과 내부 실린더(33) 사이에 형성된 제 3 실린더 실(7c)과의 연결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실린더(7) 외부에는 다시 한 추가 연결관(34)이 있고 이 도관은 제 2 실린더 실(7b)을 제 3 실린더 실(7c)에서 먼쪽 피스톤(81)의 쪽에 있는 제 4 실린더 실(7d)과 연결한다. 여기서는 단지 표시만 되어 있는, 바이패스 관(17) 내에 배치된 전자기적 작동형 체크밸브(21)는 차단 위치에서는 모든 세 실린더 실(7a,7b 및 7c)간의 관류를 차단하고 그래서 두 피스톤들(8,81)은 이들 둘이 종점 위치에서 스토퍼에 접하여 머물 때까지 단지 한 공통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다. 피스톤(8)은 내부 실린더(33)에 접하고 피스톤(81)은 실린더(7)의 실린더 바닥(13)에 접한다. 거기 반하여 체크밸브(21)가 자유 동작적이면 양 피스톤(8,81)은 피스톤(7) 내에서 자유 동작적으로 되고 그래서 스태빌라이저 작용 없이 확대된 축 교차가 가능하다. 기타 이중 피스톤을 가진 이 구성의 기능 작용은 도 2 및 도 4에 의한 실시와 일치한다. 추가의 가능한 응용형은 바이패스 관(17) 또는 제 3 실시예의 연결관(34)을 실린더(7) 내에 통합하여 경우에 따라 별도의 부재가 생략될 수도 있게 하는 것이다.
조절 가능한 진자 지지체 대신에 본 발명의 본질적 사상을, 예컨대 체크밸브가 있는 선동 블레이드에 의해 분할된 선동 공간을 갖는 회전 구조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면 그런 시스템은 직접 스태빌라이저 내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 차량 구조물에 접촉 연결된 스태빌라이저(1)를 구비하고 있고, 그 스태빌라이저는
    - 각 차량 측에 각각 한 피스톤-실린더-유닛(4,4‘)에 의해 탄성적 차륜 담지 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거기에 있어 피스톤-실린더-유닛(4,4‘)은
    - 그때그때 적어도 실린더(7) 내에 가동적으로 배치된 피스톤(8)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피스톤은 실린더(7)를 서로 분리된 제 1 및 제 2 실린더 실들(7a,7b)로 분할하고,
    - 상기 유닛은 그때그때 일단으로는 스태빌라이저(1)의 일단에 그리고 다른 단부로는 탄성적 차륜 담지 부재에 관절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 용 스태빌라이저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한 피스톤(8) 내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실린더 실(7a,7b)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14)이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 있어 각각 적어도 한 연결관(14) 내에는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체크밸브(15)가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8)은 적어도 한 종점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 실(7a,7b) 외부에는 두 실린더 실(7a,7b)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17)이 배치되어 있고 그 바이패스 관(17) 내에는 밸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 밸브가 제 1로부터 제 2 실린더 실(7a,7b)로 및/또는 역방향으로의 관류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4.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21)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관(17)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21)는 피스톤(8)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15)에 상대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6. 제 4 항 또는 5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관(17)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21)는 차단 가능하거나 또는 차단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관(17)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21)는 전자기 작동에 의해 차단 가능하거나 또는 차단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피스톤(8)은 바이패스 관(17)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21) 가 차단 해제되었을 때에는 실린더(7) 내에서 자유 동작 가능하고 체크밸브(21)가 차단되었을 때에는 단지 종말 스토퍼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9. 상기 각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스톤(8)의 적어도 한 종말 상태는 실린더 하우징에 의해 또는 실린더 하우징을 폐쇄하는 실린더 바닥(13)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10. 상기 각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스톤(8)의 적어도 한 종말 상태는 하우징에 또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별도의 스토퍼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11. 상기 각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7) 내에 종말 스위치(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12. 상기 각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스톤(8)은 관통하는 피스톤 봉(9)에 의해 이중 작용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13. 제 1 항 내지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스톤 봉(9)은 피스톤(8)에 한 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체적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압력 가스 공간(32)을 가진 보정 피스톤(30)이 실린더(7)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14. 제 1 항 내지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피스톤 봉(91)을 가진 제 2 피스톤(81)은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 있어 제 1 피스톤(8)과 제 2 피스톤(81) 사이에 내부 실린더(3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실린더는 보정 피스톤(30)과 압력 가스 공간(32)을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KR1020067023821A 2004-05-24 2005-05-18 조절 가능한 진자 지지체를 구비한 차량용 스태빌라이저장치 KR20070032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5806A DE102004025806B4 (de) 2004-05-24 2004-05-24 Stabilisato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verstellbarer Pendelstütze
DE102004025806.6 2004-05-24
PCT/DE2005/000910 WO2005113273A1 (de) 2004-05-24 2005-05-18 Stabilisato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verstellbarer pendelstütz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652A true KR20070032652A (ko) 2007-03-22

Family

ID=3497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821A KR20070032652A (ko) 2004-05-24 2005-05-18 조절 가능한 진자 지지체를 구비한 차량용 스태빌라이저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28307B2 (ko)
EP (1) EP1750958A1 (ko)
JP (1) JP4728328B2 (ko)
KR (1) KR20070032652A (ko)
CN (1) CN100537284C (ko)
DE (1) DE102004025806B4 (ko)
WO (1) WO2005113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7848A3 (fr) * 2008-02-25 2009-08-28 Renault Sas Dispositif anti-roulis en opposition
DE102011075890A1 (de) * 2011-05-16 2012-11-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ankstabilisator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4019822B3 (de) * 2013-02-14 2017-09-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aufhängung mit Stabilisatoranordnung
DE102013202373A1 (de) 2013-02-14 2014-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aufhängung mit Stabilisatoranordnung
DE202013100681U1 (de) 2013-02-14 2013-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aufhängung mit Stabilisatoranordnung
DE102014207156A1 (de) * 2014-04-15 2015-10-15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entkopplungsvorrichtung für Rad- und/oder Lenkantriebe von Flurförderzeugen
CN105082924A (zh) * 2015-08-24 2015-11-25 华一精密机械(昆山)有限公司 一种汽车平衡杆
DE102016212342A1 (de) 2016-07-06 2018-01-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abilisatoranordnung
DE102018221158B4 (de) 2018-12-06 2022-08-11 Zf Friedrichshafen Ag Längenveränderbare Pendelstütz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Wankstabilisators
DE102019201391A1 (de) 2019-02-04 2019-12-19 Zf Friedrichshafen Ag Längenveränderbare Pendelstütze
DE102019201394B3 (de) * 2019-02-04 2020-03-12 Zf Friedrichshafen Ag Längenveränderlicher Akto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9212908A1 (de) * 2019-08-28 2021-03-04 Thyssenkrupp Ag Schwingungsdämpfer mit verstellbarer Dämpfkraft
CN114590093B (zh) * 2022-03-28 2023-12-12 智己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调校的横向稳定杆及其可调连接杆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2236A (ko) * 1968-05-25 1971-05-19
FR2287627A1 (fr) * 1974-10-11 1976-05-07 Sirven Jacques Amortisseur hydraulique de suspension de vehicule
US3972396A (en) * 1975-06-05 1976-08-0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Leakage detector with back pressure sensor
US4480555A (en) * 1979-01-22 1984-11-06 The Cessna Aircraft Company Double acting railway car stabilizing cylinder
JPS57103947A (en) * 1980-12-18 1982-06-28 Kuroda Precision Ind Ltd Pneumatic shock absorber
EP0234808B1 (en) * 1986-02-17 1993-04-21 Nippondenso Co., Ltd. Stabilizer control system
KR900009133B1 (ko) * 1986-12-01 1990-12-22 미쓰비시지도오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
GB2227547B (en) * 1988-12-14 1992-10-28 Tokico Ltd Adjustable damping force hydraulic shock absorber
JPH074969Y2 (ja) * 1988-12-28 1995-02-08 日本発条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JPH035224A (ja) * 1989-05-31 1991-01-11 Chuo Spring Co Ltd 車輌用スタビライザ装置
DE4125285C2 (de) * 1991-07-31 1996-12-12 Daimler Benz Ag Zylinder-Kolbenaggregat
US5217245A (en) * 1991-09-03 1993-06-08 Monroe Auto Equipment Company Switchable roll-stabilizer bar
DE4132262A1 (de) * 1991-09-27 1993-04-01 Teves Gmbh Alfred Hydraulischer regelbarer schwingungsdaempfer fuer kraftfahrzeuge
JP3146392B2 (ja) * 1992-11-20 2001-03-12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5586627A (en) * 1993-05-20 1996-12-24 Tokico, Ltd. Hydraulic shock absorber of damping force adjustable type
JP3464029B2 (ja) * 1993-12-24 2003-11-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のスタビライザー装置
US5934422A (en) * 1997-03-17 1999-08-10 Tenneco Automotive Inc. Step motor actuated continuously variable shock absorber
DE19801055C1 (de) * 1998-01-14 1999-04-08 Mannesmann Sachs Ag Hydropneumatische Feder
GB2343663B (en) * 1998-11-16 2002-03-20 Delphi France Automotive Sys A roll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DE10134715A1 (de) * 2001-07-17 2003-02-06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r Wankabstützung von Fahr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28328B2 (ja) 2011-07-20
DE102004025806A1 (de) 2005-12-22
US20080067769A1 (en) 2008-03-20
DE102004025806B4 (de) 2008-10-23
EP1750958A1 (de) 2007-02-14
CN100537284C (zh) 2009-09-09
US7828307B2 (en) 2010-11-09
CN1960887A (zh) 2007-05-09
JP2008500227A (ja) 2008-01-10
WO2005113273A1 (de)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2652A (ko) 조절 가능한 진자 지지체를 구비한 차량용 스태빌라이저장치
RU2408475C2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подвеск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7686309B2 (en) Hydraulic system for a vehicle suspension
US20050199457A1 (en) Spring strut unit for suspension systems of motor vehicles
US7360777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US7427073B2 (en) Active roll control system using a motor
US5219181A (en) Anti-roll system with tilt limitation
EP1937995B1 (en) Arrangement for telescopic fork leg with parallel damping
CN102307738A (zh) 具有缩短的中间管的三管减震器
US6296235B1 (en) Automobile stabilization assembly
JP4417822B2 (ja) 緩衝器
US7600770B2 (en) Suspension system
CN113692502A (zh) 可伸缩阻尼器
CN107207046B (zh) 转向稳定装置
AU2005266861B2 (en) Hydraulic vehicle suspension system
US4214775A (en) Suspension assemblies for vehicles
US8714321B2 (en) Long travel shock absorber
CA2511067A1 (en) Aircraft landing gear with vibration damper
US8087646B2 (en) Hydropneumatic suspension with load-dependent damping control
KR102532579B1 (ko) 능동 현가 시스템
JP4426956B2 (ja) 緩衝器
KR20070031906A (ko) 자동차 용 스태빌라이저 장치
KR200171635Y1 (ko) 쇽업소버 시스템
KR10023518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감쇠력 가변형 쇽 업소버
WO2011000990A1 (es) Dispositivo amortiguador de doble cuerpo hidraul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