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658A -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658A
KR20070028658A KR1020050080166A KR20050080166A KR20070028658A KR 20070028658 A KR20070028658 A KR 20070028658A KR 1020050080166 A KR1020050080166 A KR 1020050080166A KR 20050080166 A KR20050080166 A KR 20050080166A KR 20070028658 A KR20070028658 A KR 20070028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electrode
optical device
cylinde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김영식
안건호
김진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8658A/ko
Publication of KR2007002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20Rangefinders coupled with focusing arrangements, e.g. adjustment of rangefinder automatically focusing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구동 없이 구경을 조절하고, 셔터 기능과 칼라렌즈 기능을 수행하며 초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사부를 통하여 입사된 빛을 광학 처리하여 투과부를 통하여 투과시키는 광학기기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에 연접하고 유채색이며 비전해질인 제1액체와, 상기 투과부에 연접하고 빛을 차단하며 비전해질인 제3액체와, 상기 제1액체 및 상기 제3액체 사이에 위치하며 전해질인 제2액체를 저장하는 광학처리부; 및 상기 제2액체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인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구경(aperture)의 크기 조절시 전력 소비를 줄이고, 완전한 원형의 조리개와 칼라렌즈를 만들 수 있고, 지속적인 작동을 해도 중심축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으며, 기계적 구동없이도 초점조절이 가능하다.
전기습윤, 액체렌즈, 조리개, 구경, 셔터

Description

광학기기{Optical Instrument}
도1a는 전기습윤 현상을 나타낸 모식도.
도1b는 종래의 조리개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인가장치가 구비된 광학기기의 단면도.
도5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에 입사된 빛의 경로를 나타낸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절연층 110 : 전극층
120 : 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의 전해질 액체의 곡면
130 :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의 전해질 액체의 곡면
160 : 구경(aperture) 170 : 구경 조절용 판
200 : 제1실린더 205 : 제1전극
210 : 제1절연층 215 : 제1친수성 물질층
220 : 제2실린더 225 : 제2전극
230 : 제2절연층 235 : 제2소수성 물질층
240 : 접착층 250 : 투과부
255 : 제3액체 260 : 제2액체
265 : 제1액체 270 : 입사부
280 : 제3전극 284 : 광학기기에 입사되는 투명광
287 : 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의 구경
290 : 제1전원 293 : 제2전원
330 : 칼라렌즈 기능을 하는 영역 340 : 투명광이 통과되는 영역
본 발명은 광학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개, 셔터 및 광학렌즈에 관한 것이다. 조리개는 광학기기의 전면에 부착되어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이다.
도1b는 종래의 조리개의 평면도이다. 도1b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조리개는 외곽에 다수개의 부채꼴 모양의 판(170)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부채꼴 모양의 판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구경(160)이 위치한다.
상기 조리개에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리개에 입사되는 빛의 양을 줄이고자 할 때는 상기 다수개의 부채꼴 모양의 판(170)들이 상기 조리개의 안 쪽으로 이동하여 구경(160)을 좁히고, 상기 조리개에 입사 되는 빛의 양을 늘이고자 할 때는 상기 다수개의 부채꼴 모양의 판(170)들이 상기 조리개의 바깥 쪽으로 이동하여 구경(160)을 넓힌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부채꼴 모양의 판(170)이 상기 조리개 안쪽의 한 점에서 만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을 완전히 차단하면, 셔터(Shutter)의 역할을 하여, 상기 다수개의 부채꼴 모양의 판(170)와 구경(160)은 각각 사람 눈의 홍채와 동공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조리개 및 셔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조리개 및 셔터는 기계적 구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구경을 조절할 때 많은 양의 전력이 소모된다.
둘째, 구경을 원형에 가깝게 만들려면 상기 다수개의 부채꼴 모양의 판(170)의 개수가 증가해야 하므로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하며, 완전히 원형의 구경(Aperture)으로 만들 수 없었다.
셋째, 상기 다수개의 부채꼴 모양의 판(170)은 기계적인 구동을 통해 작동하므로, 지속적인 작동을 통해 중심축의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종래의 기술에 의한 광학렌즈의 경우 초점거리를 조절할 때 렌즈를 기계적인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데, 경통길이의 한계로 인해서 초점거리의 조절에 한계가 있으며 초점조절에 일정한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경을 조절할 때 전력소모가 적은 광학기기를 제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전히 원형의 구경(Aperture)을 가진 광학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인 구동에 의해 작동하지 않아서, 지속적인 작동을 해도 중심축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광학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광학기기에 비해서 초점거리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초점조절에 소비되는 시간도 절약되는 광학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라렌즈 기능과 셔터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습윤 현상을 이용하는데, 전기습윤 현상이란 전해질 액체의 표면 장력을 전기를 가함으로써 변화시키는 현상으로, 가브리엘 리프만 박사에 의해 발견되었다.
가브리엘 리프만 박사는 수조에 물을 담근 후 그 안에 가는 관을 넣으면, 상기 관 안의 수면이 상기 수조 안의 수면보다 더 높게 올라가는 모세관 현상에서, 벽면이 금속으로 된 수조와 관을 사용하여 수조와 모세관 속 물에 전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관 안의 수면 높이에 변화를 일으킨 전기 모세관 현상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상기 현상은 1V 정도의 낮은 전압에서만 발견되는데, 이는 전압이 높아지면 전기가 흘러서 물이 전기분해되어서 기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물리학자인 브루노 버즈(Bruno Berge) 박사는 높은 전압에서 표면 장력을 제어할 수 없었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는데, 그는 금속과 물이 접하지 않도록 금속의 표면에 수 ㎛ 정도 두께의 절연체 층을 코팅한 후, 그 위에 물방울을 떨어뜨리고 금속판과 물방울에 전기를 가하는 경우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물방울의 표면모양이 바뀌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절연체를 중간에 삽입하는 경우 낮은 전압뿐 만 아니라, 수십 V에서도 물방울의 표면 모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도1a는 전기습윤 현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전극(110) 위에 절연층(100)이 코팅되어 있으며, 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는 액체의 곡률이 크나(120),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는 상기 액체의 곡률이 상대적으로 더 작아진다(130),
상기 액체의 곡률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48457131-PAT00001
상기 θ°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았을 때, 액체가 표면 장력에 의해 곡면을 이룰 때 상기 액체와 액체가 놓인 판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상기 θ는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전기습윤 현상에 의해 액체의 표면장력이 커졌을 때의 상기 액체와 액체가 놓인 판이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d는 절연층의 두께이고, 상기 ε은 유전율을 나타내고, 상기ε。는 진공에서의 유전율이다. 상기 V는 상기 액체에 인가된 전압이고, 상기 γ는 상기 액체의 표면장력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체에 인가된 전압이 더 클수록, 상기 액체와 상기 액체가 놓인 판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진다. 즉, 더 강한 전압을 인가할수록 더 납작한 형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액체에 빛이 입사될 때 굴절되는 정도가 변한다.
상기 원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입사부를 통하여 입사된 빛을 광학 처리하여 투과부를 통하여 투과시키는 광학기기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에 연접하고 유채색이며 비전해질인 제1액체와, 상기 투과부에 연접하고 빛을 차단하며 비전해질인 제3액체와, 상기 제1액체 및 상기 제3액체 사이에 위치하며 전해질인 제2액체를 저장하는 광학처리부; 및 상기 제2액체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인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원 인가 수단은, 상기 제1액체와 상기 제2액체의 경계면의 곡률을 제어하는 제1전원 인가 수단 및 상기 제2액체와 상기 제3액체의 경계면의 곡률을 제어하는 제2전원 인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액체의 굴절률은 상기 제1액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3액체는 검정색 오일(oil)인 광학기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의 평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인가장치가 구비된 광학기기의 단면 도이다. 상기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는, 광학처리부의 내부에 3종류의 액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광학처리부의 한 면은 외부에서 빛을 입사받는 입사부(270)와 접합되어 있고 상기 광학처리부의 다른 한 면은 상기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과부(250)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처리부 및 상기 입사부(270)과 상기 투과부(250)의 사이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야 하고, 상기 입사부와 투과부(270,250)는 광투과율이 우수한 투명한 재질이어야 하며, 상기 광학처리부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임이 바람직하나 내부가 경사진 구조 또는 내부가 휘어진 구조도 가능하다.
단, 상기 입사부(270)와 상기 투과부(250)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의 방향이 바뀌면 상호 간의 역할이 바뀔 수 있다.
상기 광학처리부에는 유채색이고 비전해질인 제1액체(265)와, 빛을 차단하고 비전해질인 제3액체(255)와, 상기 제1액체와 상기 제3액체의 사이에 구비되고 전해질 물질이 용해되어 있는 제2액체(260)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1액체(265)는 무극성, 절연성을 나타내는 오일(oil)류임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액체(260)는 전류를 통하여야 하므로 전해질 물질이 녹아 있는 수용액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액체(255)는 광투과율이 낮은 비전해질 액체이어야 하며 검정색임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가 칼라렌즈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액체(265)는 유책색이어야 한다.
유채색이란 명도와 채도를 모두 갖는 색으로서, 백색과 회색 및 흑색은 명도만을 갖는 무채색이다.
또한, 상기 제1,2,3액체(265,260,255)은 중력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밀도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액체(260)와 제1액체(265)는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해야 하므로 굴절률이 서로 상이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입사부(270)를 통하여 입사된 빛은 상기 광학처리부 내부를 통과한 후, 굴절되어서 상기 투과부(250)를 통해 외부로 투과된다.
또한, 상기 광학기기에는 상기 제2액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인가 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원 인가 수단은, 상기 제1액체와 상기 제2액체의 경계면의 곡률을 제어하는 제1전원 인가 수단과 상기 제2액체와 상기 제3액체와의 경계면의 곡률을 제어하는 제2전원 인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광학처리부는 제1실린더(200)와 제2실린더(220)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전압 인가 수단과 상기 제2전압 인가 수단을 이루는 전극이 각각 형성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제1실린더(200)와 상기 제2실린더(220)의 사이에는 접착층(2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전압 인가 수단은 제1절연층(2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액체(260)와 접하는 제1전극(205)과, 상기 제2액체(260)와 직접 접하는 제3전극(280), 그리고 상기 제1전극(205)과 상기 제3전극(280)에 연결된 제1전원(2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전극(205)은 코팅의 방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절연층(210)은 전기습윤 현상에서 전해질 액체에 전류가 흘러 상기 전해질 액체가 전기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205)은 상기 제1실린더(200)의 표면에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제3전극(280)은 상기 입사부(270)와 제1실린더(200)의 사이에 또는 상기 투과부(250)와 상기 제2실린더(220)의 사이에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3전극(280)은 광투과율이 높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ITO(Induim-Tin-Oxide)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절연층(210)의 표면에는 제1소수성 물질층(215)이 구비되어 비전해질인 상기 제1액체(265)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전원 인가 수단은 제2전극(225)과 제2절연층(230)과 제3전극(280)과 제2전원(29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구성 및 기능은 상기 제1전압 인가 수단의 제1전극(205)과 제1절연층(210)과 제3전극(280)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2전극(225)은 상기 제2실린더(220)의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절연층(230)은 상기 제2전극(225)의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전원(293)은 상기 제2전극(225)과 상기 제3전극(280)에 연결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광학기기에 외부에서 빛이 입사될때, 상기 제1액체(265)를 직접 통과한 빛은 유채색을 띠며, 상기 제1액체(265) 내부의 영역(284)을 통과한 빛만 자연색을 띠고 광학기기 내부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제3액체(255)는 빛을 차단하므로, 상기 1점 쇄선(287)의 내부로만 빛이 통과된다.
즉, 상기 1점 쇄선(287)의 내부가 광학기기의 구경(aperture)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1액체(265)는 칼라렌즈 내지 칼라필터의 역할을 한다.
상기 광학기기의 내부로 입사된 빛은 상기 제1액체(265)를 통과한 후 상기 제2액체(260)로 진행하는데, 굴절률 차이에 의해 상기 제1,2액체(265,260)의 경계면에서 굴절하여 렌즈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3에서 상기 광학기기의 중앙부(284)를 통과한 빛(340)은 입사광과 동일한 색을 띠며, 유채색인 제1액체(265) 영역을 통과한 빛(330)은 상기 제1액체(265)와 동일한 색을 띠며, 상기 제3액체(255)에 입사된 빛(320)는 상기 광학기기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에 따르면 상기 광학기기 내부에 저장된 상기 제3액체(255)가 입사광을 차단하여 조리개 또는 구경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1,2액체(265,260)는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렌즈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1액체(265)는 칼라필터의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3액체(255)는 사람 눈의 홍채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1,2액체(265,260)는 사람 눈의 수정체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전원 인가 장치에 포함된 제1전원(290)을 온(on)하면 상기 제2액체(260) 중 상기 입사부(270)에 접한 부분이 전기 습윤 현상에 의해 커패시터(capacitor)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원(290)의 전압이 커질수록 상기 투명광을 통과시킬 수 있는 영역(284)이 점점 좁아지며, 일정치 이상의 전원이 가해지면 상기 광학기기는 완전한 칼라렌즈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전원 인가 장치에 포함된 제2전원(293)을 온(on)하면 상기 제2액체(260) 중 상기 투과부(250)에 접한 부분이 전기 습윤 현상에 의해 커패시터(capacitor)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전원(293)의 전압이 커질수록 상기 제3액체(255)가 상기 투과부(250)와 접하는 면적이 점점 커져서, 결과적으로 상기 광학기기의 조리개가 점점 더 작아진다.
또한, 상기 제2전원(293)의 전압이 일정치 이상으로 커지면 상기 제3액체(293)가 상기 투과부(250)의 표면을 모두 덮어서, 상기 광학기기의 내부에 입사된 빛은 상기 투과부(250)로 투과되지 못하여 상기 광학기기는 셔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짧은 시간 동안에만 상기 제2전원(293)에 일정치 이상의 전압을 가하면, 상기 광학기기는 순간적으로 입사광을 전혀 투과하지 않아서 카메라의 셔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5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에 입사된 빛의 경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오일 성분인 제1액체(665)의 굴절율은 전해질 물질이 용해된 제2액체(660)의 굴절율보다 큰 경우가 일반적이다.
상기 제1액체(665)와 상기 제2액체(660)의 경계면이 도5와 같은 곡면을 이룰 때, 본 발명에 따른 광학렌즈에 입사된 빛은 중심축에서 외부로 진행하여 상기 광학기기는 오목렌즈의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액체(665)와 상기 제2액체(660)의 경계면이 도6과 같은 곡면을 이룰 때, 본 발명에 따른 광학렌즈에 입사된 빛은 중심축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광학기기는 볼록렌즈의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액체(665)의 굴절율이 상기 제2액체(660)의 굴절율보다 작은 경우 상기 광학기기는 반대 작용, 즉 도5와 같은 곡률에서는 볼록렌즈의 기능을 도6과 같은 곡률에서는 오목렌즈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5와 도6에서 상기 광학기기에 입사된 빛은, 모두 상기 제1액체(665)를 통과하므로 상기 제3액체(665)가 칼라필터의 역할을 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광학기기가 칼라렌즈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광학기기의 내부 벽면에 제1,2 소수성 물질층(215,235)가 구비되면 상기 광학기기의 내부 벽면이 소수성을 띠므로, 전기습윤 현상에 의한 상기 전해질인 제2액체(26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소수성 물질층은 상기 광학기기 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도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기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적 구동에 의하지 않으므로 광학기기의 구경을 조절할 때 전력소모가 적다.
둘째, 광학기기가 완전히 원형의 구경(Aperture)을 갖는다.
셋째, 광학기기가 기계적인 구동에 의해 작동하지 않아서, 지속적인 작동을 해도 중심축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렌즈의 중심과 조리개의 중심이 완전히 일치한다.
넷째, 종래의 광학기기에 비해서 초점거리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초점조절에 소비되는 시간도 절약된다.

Claims (18)

  1. 입사부를 통하여 입사된 빛을 광학 처리하여 투과부를 통하여 투과시키는 광학기기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에 연접하고 유채색이며 비전해질인 제1액체와, 상기 투과부에 연접하고 빛을 차단하며 비전해질인 제3액체와, 상기 제1액체 및 상기 제3액체 사이에 위치하며 전해질인 제2액체를 저장하는 광학처리부; 및
    상기 제2액체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인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광학처리부는,
    상기 입사부에 접한 제1실린더; 및
    상기 투과부에 접한 제2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광학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가 수단은,
    상기 제1액체와 상기 제2액체의 경계면의 곡률을 제어하는 제1전원 인가 수단; 및
    상기 제2액체와 상기 제3액체의 경계면의 곡률을 제어하는 제2전원 인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 인가 수단은,
    제1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액체와 접하는 제1전극;
    상기 제2액체와 접하는 제3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3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전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실린더의 표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은,
    상기 제1전극의 표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은,
    상기 입사부와 상기 제1실린더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은,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제2실린더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1소수성 물질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 인가 수단은,
    제2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액체와 접하는 제2전극;
    상기 제2액체와 접하는 제3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3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전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2실린더의 표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층은,
    상기 제2전극의 표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은,
    상기 입사부와 상기 제1실린더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은,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제2실린더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층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2소수성 물질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체의 굴절률은,
    상기 제1액체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액체는,
    검정색 오일(oi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8. 제4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은 ITO(Indium-Tin-Oxid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KR1020050080166A 2005-08-30 2005-08-30 광학기기 KR20070028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166A KR20070028658A (ko) 2005-08-30 2005-08-30 광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166A KR20070028658A (ko) 2005-08-30 2005-08-30 광학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658A true KR20070028658A (ko) 2007-03-13

Family

ID=3810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166A KR20070028658A (ko) 2005-08-30 2005-08-30 광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865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3306A (ja) * 1999-06-28 2001-01-19 Canon Inc 可変焦点レンズ装置
JP2001249282A (ja) * 2000-03-03 2001-09-14 Canon Inc 光学素子、可変パワー構造を有する光学素子等をレンズ素子に内蔵する光学系および撮影装置
JP2002169005A (ja) * 2000-11-30 2002-06-14 Canon Inc 光学素子、光学装置および撮影装置
KR20040084902A (ko) * 2002-02-14 2004-10-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가변 포커스 렌즈
WO2004102253A1 (en) * 2003-05-14 2004-11-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ariable shape lens
KR20050057412A (ko) * 2002-09-19 2005-06-16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위칭이 가능한 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과, 광학 장치와,광학 스캐닝 장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3306A (ja) * 1999-06-28 2001-01-19 Canon Inc 可変焦点レンズ装置
JP2001249282A (ja) * 2000-03-03 2001-09-14 Canon Inc 光学素子、可変パワー構造を有する光学素子等をレンズ素子に内蔵する光学系および撮影装置
JP2002169005A (ja) * 2000-11-30 2002-06-14 Canon Inc 光学素子、光学装置および撮影装置
KR20040084902A (ko) * 2002-02-14 2004-10-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가변 포커스 렌즈
KR20050057412A (ko) * 2002-09-19 2005-06-16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위칭이 가능한 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과, 광학 장치와,광학 스캐닝 장치 제조 방법
WO2004102253A1 (en) * 2003-05-14 2004-11-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ariable shape le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6907B1 (en) Variable focus spectacles
JP4154858B2 (ja) 可変焦点レンズ
US20180113370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system
JP2008503785A (ja) 双安定エレクトロウェッティング光学要素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80039071A1 (en) Display panel
CN108549173A (zh) 背光模组、液晶显示装置及驱动方法
JP2006250977A (ja) 光学素子
CN100478741C (zh) 具有自适应透射率的太阳眼镜
US11662568B2 (en) Liquid lenses and methods for operating liquid lenses
US20090122417A1 (en) Tunable-Shape Prism
CN110383115A (zh) 液体透镜、相机模块和光学装置
KR100686018B1 (ko) 광학기기
KR20070028658A (ko) 광학기기
KR20060126144A (ko) 액체렌즈
KR20060129779A (ko) 조리개
KR100710310B1 (ko) 광학기기
US11442292B2 (en) Spectacles
JP2005316321A (ja) 表示装置
CN218917693U (zh) 一种液体调节焦距的球面透镜
US20220365253A1 (en) Liquid lens and liquid lens assembly
KR20070008921A (ko) 액체렌즈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94962A (ko) 액체 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126145A (ko) 액체렌즈
KR20200117234A (ko) 안경
JP2007017676A (ja) 光変調素子、光スイッチ、表示素子、および、観察光学系内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