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239A -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239A
KR20060133239A KR1020050052984A KR20050052984A KR20060133239A KR 20060133239 A KR20060133239 A KR 20060133239A KR 1020050052984 A KR1020050052984 A KR 1020050052984A KR 20050052984 A KR20050052984 A KR 20050052984A KR 20060133239 A KR20060133239 A KR 2006013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antenna
portable terminal
conductive meta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민제
Original Assignee
(주)엠알더블유 커뮤니케이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알더블유 커뮤니케이션스 filed Critical (주)엠알더블유 커뮤니케이션스
Priority to KR102005005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3239A/ko
Priority to PCT/KR2006/002370 priority patent/WO2006137677A1/en
Publication of KR2006013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유전체의 표면에 도금하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한 후, 그 표면에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여 복사소자를 제작한 다음 급전수단과 외부 커버를 조립하여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장형이며, 이 경우 복사체와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제조 방법은 통상 접착제 등을 사용한 본딩 방식이다. 그러나, 본딩 방식에 의해 안테나를 제작하게 되면 이종재질인 접착제의 영향에 의해 안테나의 제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외관이 미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견고성도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한 것으로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 표면에 도금하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하고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여 외장형 또는 내장형 안테나의 복사소자를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시 재현성이 뛰어나고 제조원가가 절감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antenna and apparatus using thereof}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헬리컬 안테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린트 안테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안테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 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안테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안테나의 도금부 상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급전단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도금부 상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측정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12, 205. 고정수단 102. 보빈
103. 헬리컬 코일 104, 115, 206. 커버
111. 장착수단 113. 접점
114. 프린트기판 116. 도체패턴
121. 복사체 122. 베이스부
123. 제 1 급전단자 124. 제 2 급전단자
125. 돌기 126. 간극
201, 301. 비도금 유전체 202, 302. 소자 형성부
203, 303. 도금 형성부 204, 304. 도금부
207. 돌출부 305. 급전홀
306. 단락홀 307. 급전핀
307-1. 급전단자 308. 단락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유전체의 표면에 도금하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한 후, 그 표면에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여 복사소자를 제작한 다음 급전수단과 외부 커버를 조립하여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용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 다기능화, 경량화 및 저전력화를 목표로 발전되어 왔으며, 기지국과 단말기에는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안테나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소형 안테나는 장착되는 단말기의 형태나 재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상태에 따라서도 그 성능이 변화하기 때문에 최적의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단말기 모델에 따라 설계가 달 라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같은 단말기용 안테나 분야에 있어서 종래에는 통상 신축가능형(retractable) 안테나 또는 고정형(stubby) 안테나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안테나들은 단말기 상단에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나선 형상의 헬리컬(helical) 안테나를 사용하여 그 물리적인 길이를 단축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최근 단말기의 다기능화와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내장형 안테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들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각 헬리컬 안테나, 프린트 안테나 및 내장형 안테나에 대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헬리컬 안테나의 제조 방법은 통상 단말기 내의 회로부와 접속되는 금속재 고정수단(101)과 헬리컬 코일(102)을 납땜 등으로 접속하고, 상기 헬리컬 코일에 유전체 보빈(103)이 끼워진 후 고정수단의 외주면에 연접하여 씌워지는 합성수지 계열 재질의 커버(104)가 본딩에 의해 접착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린트 안테나의 제조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스냅인(snap-in) 방식으로 끼워 장착하는 장착수단(111)과, 상기 장착수단의 하부 소정 위치에 형성된 슬릿(slit)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휴대 단말기의 내부 회로와 접속되는 접점(113)과, 상기 장착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그 상부에는 도체패턴(116)이 형성된 프린트기판(114)이 끼워져 조립되는 고정수단(112) 및 상기 장착수단과 본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115)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는 복사체인 헬리컬 코일(102)이나 프린트기판(114)을 감싸는 커버(104, 115)를 조립하기 위해 통상 접착제 등을 사용하게 되므로 조립 후에 안테나의 제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본딩 방식에 의해 안테나를 제작하게 되면 본딩부가 균일하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종재질인 접착제의 영향에 의해 안테나의 특성이 저하됨과 함께 외관이 미려하지 않으며, 제품의 견고성도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 표면에 도금하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하고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여 외장형 또는 내장형 안테나의 복사소자를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시 재현성이 뛰어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201, 301)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성형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에 복사소자의 형상으로 도금성 유전체(203, 303)를 인서트 사출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인서트 사출된 도금성 유전체의 복사소자의 형상에 전도성 금속 피막(204, 304)을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이 형성된 유전체에 급전수단(205, 307, 308)을 조립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급전수단이 조립된 유전체에 외부 커버(206)를 조립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안테나는, 소정 형상을 갖는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201) 표면에 도금하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203)를 인서트 사출하고 전도성 금속 피막(204)을 형성하여 제작된 복사소자;와 그 하부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고 그 상부에 돌출부(207)가 형성되어 상기 복사소자의 하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고정수단(205); 및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에 씌워져 조립되는 외부 커버(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하나의 급전홀(30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락홀(306)이 형성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301) 표면에 도금하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303)를 인서트 사출하고 전도성 금속 피막(304)을 형성하여 제작된 복사소자;와 상기 급전홀과 단락홀에 각각 끼워져 조립되는 급전핀(307); 및 단락핀(3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201, 301)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성형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에 복사소자의 형상으로 도금성 유전체(203, 303)를 인서트 사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인서트 사출된 도금성 유전체에 전도성 금속 피막(204, 304)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이 형성된 유전체에 급전수단(205, 307, 308)을 조립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급전수단이 조립된 유전체에 외부 커버(206)를 조립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단계는,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201, 301)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로서 우레탄(urethane)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PC;Polycarbonate)와 같은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를 원통 또는 육면체와 같은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되, 그 외주면 또는 상부에 복사소자의 형상을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한다. 이와같은 제 1 단계는 절삭가공 또는 사출 성형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는, 제 1 단계에서 성형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에 복사소자의 형상으로 도금성 유전체(203, 303)를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과 부타디엔(butadiene)의 혼성중합체 및 스티렌(styrene)과 부타디엔의 혼성중합체를 혼합한 도금용 ABS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 3 단계는, 제 2 단계에서 인서트 사출된 도금성 유전체에 전도성 금속 피막(204, 304)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전도성이 우수한 금, 은 또는 구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금에 의하거나 상기 제 2 단계에서와 같은 인서트 사출, 또는 증착에 의 한 기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이 형성된 유전체에 급전수단(205, 307, 308)을 조립하는 단계로서 외장형 안테나인 경우 고정수단(205)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되고, 내장형 안테나인 경우 급전핀(307)과 단락핀(308)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급전수단이 조립된 유전체에 외부 커버(206)를 조립하는 단계로서 외장형 안테나인 경우 본딩 또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조립되며, 내장형 안테나인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므로 본 단계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안테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에서 상술한 제 1 단계에 의해 우레탄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와 같은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201)를 원통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성형하되, 그 외주면에는 사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복사소자의 형상을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한다. 이때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것처럼 수치제어(NC;Numerical Control)에 의해 절삭가공하거나 사출 성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b)에서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성형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복사소자의 형상으로 도금성 유전체(203)를 인서트 사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써 도금용 ABS를 사용하였다.
이어, 도 3의 (c)에서는 상기 제 2 단계에서 인서트 사출된 도금성 유전체에 전도성 금속 피막(204)을 형성하게 되는데, 통상 전도성이 우수한 금, 은 또는 구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전도성 금 속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금에 의하거나 인서트 사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d)는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이 형성된 유전체에 급전수단(205)이 조립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안테나는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이 형성된 유전체에 고정수단(205)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다음으로, 도 3의 (e)는 상기 급전수단이 조립된 유전체에 외부 커버(206)가 조립된 것을 나타내는데, 이때의 조립 방법은 미리 제작된 외부 커버가 급전수단에 씌워져 본딩되거나 급전수단이 조립된 유전체에 외부 커버를 인서트 사출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안테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3의 (a) 내지 (c)의 과정에 의해 전도성 금속 피막(204)이 형성된 유전체(201)의 하부에 고정수단(205)이 끼워진 후 외부 커버(206)가 씌워져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그 하부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고 그 상부에는 돌출부(207)가 형성되어 상기 유전체 하부의 중공홀(도시되지 않음)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안테나의 도금부 상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복사소자의 형태를 양각으로 형성한 것이고 도 5의 (b)는 복사소자의 형태를 음각으로 형성한 것이다. 즉, 도 5의 (a)에서는 비도금 유전체(201)의 외주면에 양각으로 복사소자의 형태를 형성하고 그 위에 도금성 유전체(203)를 인서트 사출한 다음 다시 전도성 금속 피막(204)이 도포된다. 또한, 도 5의 (b)에서는 비도금 유전체(201)의 외주면에 음각으로 복사소자의 형태 를 형성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도금성 유전체(203)와 전도성 금속 피막(204)이 도포된다.
이때, 도 5(a)의 양각에 의해 형성되는 복사소자의 폭 L1은 도 5(b)의 음각에 의해 형성되는 복사소자의 폭 L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넓어지게 되므로 안테나의 복사효울이 좋고 대역폭이 넓어지는 효과를 갖는 반면, 안테나의 외경이 더 굵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안테나의 형태만 다를뿐 상기 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다. 우선, 도 6의 (a)에서 상술한 제 1 단계에 의해 우레탄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와 같은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301)를 육면체 형상으로 성형하되, 그 상부에는 사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복사소자의 형상을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한다. 이때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것처럼 수치제어(NC;Numerical Control)에 의해 절삭가공하거나 사출 성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의 (b)에서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성형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복사소자의 형상으로 도금성 유전체(303)를 인서트 사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써 도금용 ABS를 사용하였다.
이어, 도 6의 (c)에서는 상기 제 2 단계에서 인서트 사출된 도금성 유전체에 전도성 금속 피막(304)을 형성하게 되는데, 통상 전도성이 우수한 금, 은 또는 구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금에 의하거나 인서트 사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의 (d)는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이 형성된 유전체에 급전수단들(307, 308)이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는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이 형성된 유전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하나의 급전홀(305)에 급전핀(307)이 끼워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락홀(306)에 단락핀(308)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급전단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A-A 단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 6과는 달리 별도의 급전핀(307)과 단락핀(308)이 조립되지 않고 상기 유전체의 하부 소정 위치에 연장하여 급전단자(307-1)와 단락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일체로 형성된 후 전도성 금속 피막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4 단계가 생략되므로 제 1 내지 제 3 단계만에 의해 내장형 안테나가 제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도금부 상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종래 기술을 나타내며 도 8의 (b)는 본 발명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도 8의 (a)에서 종래 기술은 베이스부(122)의 소정 위치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125)에 복사체(121)가 끼워진 후 상기 돌기들을 열에 의해 납작하게 함으로써 조립하게 되는데, 상기 베이스부와 복사체 사이에는 t만큼의 간극(126)이 생기게 된다.
이와는 달리, 도 8의 (b)에서 본 발명은 비도금 유전체(301)의 외주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복사소자의 형태를 형성하고 그 위에 도금성 유전체(303)를 인서트 사출한 다음 다시 전도성 금속 피막(304)이 도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 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간극(126)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안테나의 전체 높이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도 8(b)의 A 부분과 같이 안테나의 형상이 곡면인 경우에도 그 면을 따라 복사소자가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 8의 (a)에서와 같이 간극 t를 갖게 되면 공기보다 유전율이 큰(εr>ε0=1) 베이스부와 유전율이 1인(ε0=1) 공기층이 혼합된 형태가 되어 유전율 차에 의한 안테나 특성의 변화가 생기게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안테나의 특성이 균일하게 된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측정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각 전압정재파비(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와 수평면에서의 복사특성을 나타낸다. 도 9a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824~894MHz의 이동전화 대역, 1.575GHz의 GPS 대역 및 1.85~1.99GHz의 개인휴대통신 대역에 공진되어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b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수평면에서 전방향성의 복사특성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 표면에 도금하 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하고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여 외장형 또는 내장형 안테나의 복사소자를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시 재현성이 뛰어나고 제조원가가 절감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무선통신용 휴대 단말기 안테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성형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에 복사소자의 형상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인서트 사출된 도금성 유전체의 복사소자의 형상에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이 형성된 유전체에 급전수단을 조립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급전수단이 조립된 유전체에 외부 커버를 조립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휴 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고 복사소자의 형상을 성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성형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에 복사소자의 형상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에서 인서트 사출된 도금성 유전체의 복사소자의 형상에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전도성 금속 피막이 형성된 유전체에 급전수단을 조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제 4 단계에서 급전수단이 조립된 유전체에 외부 커버를 조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사출 성형에 의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절삭 가공에 의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복사소자의 형상을 양각으로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복사소자의 형상을 음각으로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전기적 도금에 의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증착에 의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15. 제 1 항 또는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16. 무선통신용 휴대 단말기 안테나에 있어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유전체의 표면에 도금하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한 후, 그 표면에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한 다음 급전수단과 외부 커버를 조립하여 제작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17. 무선통신용 휴대 단말기 안테나에 있어서,
    소정 형상을 갖는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 표면에 도금하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하고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여 제작된 복사소자;와
    그 하부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고 그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사소자의 하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에 씌워져 조립되는 외부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안테나.
  18. 무선통신용 휴대 단말기 안테나에 있어서,
    소정 형상을 가지며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하나의 급전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락홀이 형성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 표면에 도금하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하고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여 제작된 복사소자;와
    상기 급전홀과 단락홀에 각각 끼워져 조립되는 급전핀; 및 단락핀;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19. 무선통신용 휴대 단말기 안테나에 있어서,
    소정 형상을 가지며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하나의 급전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락홀이 형성된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 표면에 도금하고자 하는 패턴으로 도금성 유전체를 인서트 사출하고 전도성 금속 피막을 형성하여 제작된 복사소자;와
    상기 복사소자에 연장 형성되는 급전단자; 및 단락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2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16 항, 제 17 항, 제 18 항,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는,
    우레탄 계열의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21.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16 항, 제 17 항, 제 18 항,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금 재질의 유전체는,
    폴리 카보네이트 계열의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22.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16 항, 제 17 항, 제 18 항,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성 유전체는,
    도금용 ABS 계열의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23. 제 1 항, 제 4 항, 제 5 항, 제 16 항, 제 17 항, 제 18 항,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금속 피막은,
    금, 은, 동으로 이루어진 고전도성 금속군 가운데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KR1020050052984A 2005-06-20 2005-06-20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장치 KR20060133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984A KR20060133239A (ko) 2005-06-20 2005-06-20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장치
PCT/KR2006/002370 WO2006137677A1 (en) 2005-06-20 2006-06-20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antenna and apparatus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984A KR20060133239A (ko) 2005-06-20 2005-06-20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39A true KR20060133239A (ko) 2006-12-26

Family

ID=3757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984A KR20060133239A (ko) 2005-06-20 2005-06-20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133239A (ko)
WO (1) WO2006137677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117B1 (ko) * 2007-02-21 2008-07-10 김효순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0849805B1 (ko) * 2007-02-02 2008-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 및 내장형 안테나 제조방법
KR100891792B1 (ko) * 2007-08-28 2009-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0927331B1 (ko) * 2007-10-30 2009-11-19 (주)에이스안테나 탄성 단자 지지물을 구비하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0957455B1 (ko) * 2009-09-02 2010-05-11 마상영 무선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70498B1 (ko) * 2013-03-12 2014-03-06 대산전자(주) 전자기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방법
CN104160552A (zh) * 2012-03-02 2014-11-19 派斯电子公司 沉积天线设备及方法
US9833802B2 (en) 2014-06-27 2017-12-05 Pulse Finland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ductive element deposition and formation
US10020561B2 (en) 2013-09-19 2018-07-10 Pulse Finland Oy Deposited three-dimensiona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4820A (ja) * 1997-11-21 1999-06-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小型ヘリカルアンテナ
JPH11261327A (ja) * 1998-03-13 1999-09-24 Tokin Corp アンテナ
EP0987788A3 (en) * 1998-09-18 2003-04-16 The Whitaker Corporation Multiple band antenna
KR100477197B1 (ko) * 2002-04-24 2005-03-21 위무량 다이렉트 몰딩 안테나
JP2003324305A (ja) * 2002-04-30 2003-11-14 Sansei Denki Kk 3バンドアンテナの構成方法、および、3バンドアンテナ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05B1 (ko) * 2007-02-02 2008-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 및 내장형 안테나 제조방법
KR100845117B1 (ko) * 2007-02-21 2008-07-10 김효순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0891792B1 (ko) * 2007-08-28 2009-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0927331B1 (ko) * 2007-10-30 2009-11-19 (주)에이스안테나 탄성 단자 지지물을 구비하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0957455B1 (ko) * 2009-09-02 2010-05-11 마상영 무선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N104160552A (zh) * 2012-03-02 2014-11-19 派斯电子公司 沉积天线设备及方法
CN104160552B (zh) * 2012-03-02 2017-05-24 派斯电子公司 沉积天线设备及方法
US9780438B2 (en) 2012-03-02 2017-10-03 Pulse Electronics, Inc. Deposition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KR101370498B1 (ko) * 2013-03-12 2014-03-06 대산전자(주) 전자기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방법
US10020561B2 (en) 2013-09-19 2018-07-10 Pulse Finland Oy Deposited three-dimensiona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9833802B2 (en) 2014-06-27 2017-12-05 Pulse Finland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ductive element deposition and 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7677A1 (en)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3239A (ko)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장치
US20070040755A1 (en) Built-in antenna modu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798267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ntenna
FI116334B (fi) Antennielementti
US20050001777A1 (en) Dual band single feed dipole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0574124C (zh) 无线通信终端的内置天线模块
US7944397B2 (en) Chip antenna
US6232925B1 (en) Antenna device
TW200419843A (en) Dual-frequency inverted-F antenna
US6285340B1 (en) Helical antenna for portable phon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940220B2 (en) Case structure having conductive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593888B2 (en) Inverted-F antenna
CN103682643B (zh) 天线和具有天线的便携式装置
KR20130033091A (ko)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US7532165B2 (en) Built-in antenna having center feeding structure for wireless terminal
US7825862B2 (en) Antenna device with surface antenna pattern integrally coated casing of electronic device
US6885347B2 (en) Method for assembling antenna onto plastic base
US7728773B2 (en) Multi-band antenna
CN101268585A (zh) 芯片天线
KR20010052177A (ko) 기판 안테나
KR20090003966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22046A (ko)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KR100797659B1 (ko) 칩 안테나
KR20050082432A (ko) 다중 방사체들을 갖는 이동 통신기기용 안테나 구조
KR20060065837A (ko) 휴대용 무선 통신기기에 내장된 rf 안테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