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464A -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464A
KR20060125464A KR1020060032352A KR20060032352A KR20060125464A KR 20060125464 A KR20060125464 A KR 20060125464A KR 1020060032352 A KR1020060032352 A KR 1020060032352A KR 20060032352 A KR20060032352 A KR 20060032352A KR 20060125464 A KR20060125464 A KR 20060125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stabilization device
gap
airflow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쓰루 미쓰이
게이이치 묘기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6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 D03D51/08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stopping at definite point in weaving cycle, or moving to such point after stopping
    • D03D51/085Extraction of defectiv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위사넣기 공간의 기압 변동을 억제하여, 실제 위사 비주라인을 안정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바디의 위쪽 및 아래쪽의 적어도 한쪽에 경사개구의 범위 밖에서 제직 앞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위사넣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하나의 장치는 위쪽 및 아래쪽의 부재 중 적어도 한쪽 해당 부재의 부착면과, 바디의 부착면 또는 바디를 슬레이에 유지시키는 바디유지부재의 부착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 다른 하나의 장치는, 위쪽 및 아래쪽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바디 쪽의 개소에 구멍을 형성한다. 또 다른 하나의 장치는, 위쪽 및 아래쪽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제직 앞쪽으로 결락부(欠落部)를 형성한다.
직기, 바디, 위사, 위사넣기, 부압

Description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Weft Insertion Stabilization Device of Water Jet Loo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를 구비한 물분사식 직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를 바디 위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의 상세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의 상세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의 상세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의 상세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 2와 같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 2와 같은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분사식 직기 12 : 경사
14 : 종광틀 16 : 종광
18 : 경사개구 20 : 바디
22 : 위사넣기 노즐 24 : 위사넣기 공간
26 : 클로스 펠(cloth fell) 28 : 직포
30 : 가이드 롤 32 : 바디날개
34, 36 : 꼭지쇠(Mouse-piece) 38 : 바디유지부재
40 : 나사부재 42 : 슬레이
44 : 요동축 46 : 프론트 쉴드 플레이트
48 : 스플래쉬 가이드 50 : 지지축
52, 54 : 기류억제부재 56, 58 나사부재
60 : 스페이서 62 : 틈새
64 : 바디의 움직임 66, 78 : 공기의 흐름
70 : 억제부 72 : 꺾음부
74 : 통기구 80 : 구멍
82, 84, 86, 88 : 조각 90 : 결락부
본 발명은, 물분사식 직기에서 위사(Weft)넣기를 안정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사넣기용 유체로서 압력된 물을 이용하는 물분사식 직기에 있어서는, 위사넣기용으로 분사된 물이 반급사(反給絲)측을 향함에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있다. 이 현상은, 다수의 바디날개를 상하의 꼭지쇠부에 병렬적으로 배치한 바디가 요동(搖動)운동을 함으로써, 바디 앞쪽의 위사넣기 공간 내에 상승기류가 생기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상승기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바디치기 후에 바디가 후퇴하면, 클로스 펠(cloth fell)쪽의 공기가 바디에 의해 끌어당겨지고, 계속하여 바디가 전진하면, 그 끌어당겨진 공기가 바디에 의해 클로스 펠쪽으로 되밀쳐져 상승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사된 물의 상승이동현상은, 고속 운전시나 물절약 운전시 등에 발생하기 쉽다. 그러한 비스듬히 위로 향해 상승 분사된 물이 생기면, 그 상승 분사된 물에 의해 경사(Warp)가 손상되거나, 또는 위사넣기가 불안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사된 물의 상승 이동현상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124318호 공보
상기 종래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경사개구(開口)의 범위 밖에서 클로스 펠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위사넣기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류억제부재(氣流抑制部材)를, 바디의 위쪽 또는 아래쪽의 꼭지쇠부 또는 바디를 슬레이에 유지시키는 바디유지부재의 위쪽 또는 아래쪽의 개소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사개구 내의 위사넣기 공간의 공기의 상승이 기류억제부재로 억제되고, 분사된 물의 상승이동현상이 억제된다.
그러나, 종래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에서는, 바디의 요동과정에서 위사넣기 도중에, 실제의 위사 비주(飛走)라인이 경사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위사넣기가 안정되지 않아, 그 결과 위사넣기 불량을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실제의 위사 비주라인의 변화는, 바디의 후퇴시(주축각도가 0°에서 180°)에는 위사넣기 공간이 부압(負壓)이 되어 실제의 위사 비주라인이 바디측으로 이동하여, 바디의 전진시(주축각도가 180°에서 0°)에는 위사넣기 공간이 가압이 되어 실제의 위사 비주라인이 클로스 펠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사넣기 공간의 기압의 변동을 억제함으로써, 실제 위사 비주라인을 안정화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바디의 위쪽 및 아래쪽 중 적어도 한 쪽에 경사개구 범위 밖에서 클로스 펠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위사넣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슬레이에 유지시키는 바디유지부재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바디 쪽의 개소에 구멍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클로스 펠쪽으로 결락부(欠落部)를 형성한다.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틈새, 구멍 및 결락부 중 적어도 1개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개소에 있어서의 위사넣기 공간의 기압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고, 실제 위사 비주라인이 경사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다음과 같다.
바디의 후퇴시에는, 위사넣기 공간 밖의 공기가 틈새, 구멍 또는 결락부를 통하여 위사넣기 공간에 넣어짐으로써, 위사넣기 공간이 부압이 되는 것이 억제되고, 바디의 전진시에는, 위사넣기 공간의 공기가 틈새, 구멍 또는 결락부를 통하여 위사넣기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도망침으로써, 위사넣기 공간이 가압이 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위사넣기 공간 내의 기압의 변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본래의 바디치기시에 있어서의 상승기류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기류의 변화가 억제된다. 그 결과, 실제의 위사 비주라인이 매우 안정화되어, 직기의 멈춤 횟수가 감소한다.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상기 바디의 후방측에 개구된 통기구로서 상기 위쪽의 틈새 또는 구멍에 연이어 통해진 통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통기구가 바디의 뒤쪽으로 개방되고 있으므로, 경사개구 밖의 공기가 바디의 후퇴시에 위사넣기 공간 내에 적극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넣어져, 실제의 위사 비주라인이 보다 안정화된다.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경사 방향의 길이치수는, 위사넣기 방향에 있어서의 개소에 따라서 달라도 좋고,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틈새 또는 상기 구멍의 크기에 있어, 상기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는, 위사넣기 방향으로의 개소에 따라서 달라도 좋다.
상기한 대신에,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중 적어도 한쪽의 앞끝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클로스 펠쪽의 앞끝단 가장자리의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위치는, 위사넣기 방향에 있어서의 개소에 따라서 달라도 좋다.
상기 어느 경우도, 상기 위쪽의 부재 및 상기 아래쪽의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은, 위사넣기 방향에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의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클로스 펠쪽의 앞끝단 가장자리의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위치를, 위사넣기 방향에 있어서의 개소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위치가 보다 바디측으로 될수록 그 개소에 있어서의 결락부가 커진다. 이 결락부가 클수록 기류가 통과하는 양이 많아지므로 상승 기류를 조금 발생시킬 수 있다.
실제의 위사넣기에 있어서는, 위사가 반급사측에 비주함에 따라서 비주력이 저하하여 중력에 의해 위사는 아래쪽으로 비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기 부재가 길이치수 또는 위치에 의한 상기 결락부 혹은 상기 틈새 또는 구멍의 크기 등의 조건을 상기와 같이 하면, 바디의 전진시에 있어서의 위사의 통과범위에 따라서 상기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상승기류를 조금 발생시켜, 위사가 아래쪽으로 비주하는 것이 억제되어, 실제 위사 비주라인이 더 안정화된다.
상기 조건의 변경은, 예를 들면, 경사의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부재의 길이치수를 짧게 하는 것 , 부재의 앞끝단 가장자리의 경사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바디측으로 하여 결락부를 크게 하거나, 또는 틈새 또는 구멍의 크기를 작게 하는 등의 수법에 의해, 반급사측의 개소 정도, 위사넣기 공간 내의 상승기류가 늘어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실시예]
[물분사 직기의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물분사식 직기(10)는, 도시하지 않는 경사 빔으로부터 시트형상으로 풀어내어지는 복수의 경사(12)를 복수의 종광틀(Heald Frame, 14)의 각각 병렬적으로 지지된 복수의 종광(16)에 1대1의 형태로 통하고 있고, 또한 그러한 종광틀(14)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경사(12)를 상하 이동시켜 경사개구(18)를 형성한다.
위사(도시하지 않음)는, 바디(20)가 위사넣기 노즐(22)로부터 경사(12)의 이동방향(즉,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종광틀(14)측}에 위치하는 동안에, 위사 넣기 노즐(22)로부터 압력된 물과 함께 분사되고, 경사개구(18)내의 위사넣기 공간(24)(도 3 참조)에 위사넣기 된다.
위사넣기 된 위사는, 바디(20)에 의해 클로스 펠(26)에 부딪쳐, 직포(28)에 짜 넣어진다. 제직된 직포(28)는, 제직의 진행과 함께, 복수의 가이드 롤(30)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천감기 빔에 감긴다.
바디(20)는, 복수의 바디날개(32)를 상하의 꼭지쇠(즉, 꼭지쇠부)(34, 36)에 병렬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또한 하부의 꼭지쇠(36)에서 복수의 바디유지부재(38) 및 복수의 나사부재(40)에 의해 슬레이(42)의 상단부에 상대적 운동 불가능하게 부착되고 있다.
슬레이(42)는, 이것의 하부를 위사넣기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동축(44)에 상대적 운동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요동축(44)은, 직기(10)의 주축의 회전에 동기하여 위사넣기 방향으로 신장하는 축선의 둘레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바디(20)는 요동축(44)의 축선의 둘레로 요동되어 바디치기운동을 한다.
위사넣기 노즐(22)로부터 분사된 물은, 프론트 쉴드 플레이트(즉 고정커버, 46) 및 스플래쉬 가이드(즉 가동커버, 48)에 의해, 각각 앞쪽{즉, 경사(12)의 이동방향에서의 하류측} 및 위쪽으로 비산이 억제된다.
프론트 쉴드 플레이트(46)는, 한 쪽의 가이드 롤(30)의 위쪽을 위사넣기 방향(즉, 직폭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좌우의 끝단부에 대해 좌우의 직기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이동 불가능하게 부착되고 있다.
스플래쉬 가이드(48)는, 경사개구(18)로부터 한 쪽의 가이드 롤(30)까지 경 사(12) 및 직포(28)의 위쪽의 공간을 개방 가능하게 덮는 상태로, 위사넣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플래쉬 가이드(48)는, 경사(12)의 위쪽을 위사넣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경사(12)의 이동방향(즉, 경사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끝단부를 프론트 쉴드 플레이트(46)에 접촉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스플래쉬 가이드(48)는, 이것을 지지축(50)의 축선의 둘레에 각도를 가지고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스 펠(26) 전후의 영역의 위쪽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의 제 1 실시예]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경사개구(18) 내의 기류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위쪽의 꼭지쇠(34) 및 아래쪽에서 클로스 펠쪽의 바디유지부재(38)에 각각 부착된 한 쌍의 기류억제부재(52 및 54)를 포함한다.
두 기류억제부재(52 및 54)는, 판부재로 제작되어 있고, 또한 각각, 위쪽의 꼭지쇠(34) 및 아래쪽에서 클로스 펠쪽의 바디유지부재(38)로부터 클로스 펠(26)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경사개구(18)의 바깥쪽을 위사넣기 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속하여 연장하고 있다.
위쪽의 기류억제부재(52)는, Z자형상의 종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또한 경사(12)의 위쪽 공간을 위쪽으로부터 덮도록, 위쪽의 꼭지쇠(34)의 클로스 펠(26)쪽으로 복수의 나사부재(56)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아래쪽의 기류억제부재(54)는, L자형상의 종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또한 경사(12)의 아래쪽의 공간을 아래쪽으로부터 덮도록, 아래쪽의 바디유지부재(38)의 클로스 펠(26)쪽으로 복수의 나사부재(58)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기류억제부재(52)와 꼭지쇠(34)와의 사이에는, 나사부재(56)에 지지된 복수의 스페이서(6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위사넣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틈새(62)를, 기류억제부재(52)의 끝단부가 접어 구부러져 형성된 부착면과 꼭지쇠(34)의 부착면 사이에 두고 바디(20) 가까이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한 틈새(62)는, 기류억제부재(52)의 상하 공간을 연이어 통하는 공간이고, 또한 기류억제부재(52)의 상하 공간의 공기의 통과를 허락한다. 위사넣기 방향에 이웃하는 복수의 틈새(62)는, 스페이서(60)에 의해 서로 구획되고 있다(도 2 참조). 도시된 예에서는,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틈새(62)의 폭 치수는 각각 같다.
상기와 같이, 경사개구(18)의 범위 밖에서 클로스 펠(26)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위사넣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류억제부재(52 및 54)가 각각 바디(20)의 꼭지쇠(34) 및 바디유지부재(38)에 설치되고 있으면, 경사개구(18) 내에서의 공기의 상승이 기류억제부재(52 및 54)에 의해 억제되고, 위사넣기 노즐(22)로부터의 분사된 물의 상승이동현상이 억제된다.
또한, 꼭지쇠(34)와 기류억제부재(52) 사이에 틈새(62)를 가지고 있으면, 먼저 도 3에 화살표 64로 나타내는 바디(20)의 후퇴시(주축각도가 0°에서 180°의 범위일 때), 위사넣기 공간(24)의 공기가 바디(20) 쪽으로 끌어 당겨져, 위사넣기 공간(24)이 부압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때는, 바디(20)의 위쪽공간의 공기가 화 살표 66과 같이 흘러 틈새(62)를 통하여 경사개구(18), 특히 위사넣기 공간(24)에 넣어진다. 이에 따라 위사넣기 공간(24)이 부압상태가 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대해, 바디(20)의 전진시(주축각도가 180°에서 0°의 범위일 때), 위사넣기 공간(24)의 공기가 바디(20)에 의해 클로스 펠(26)쪽으로 밀려, 위사넣기 공간(24)이 가압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때는, 경사개구(18), 특히 위사넣기 공간(24) 내의 공기가 틈새(62)를 통하여 바디(20)의 위쪽 공간으로 도망치기 때문에, 위사넣기 공간(24)이 가압상태가 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위사넣기 공간(24)의 기압 변동이 억제되므로, 종래 기술에서의 바디치기시에 있어서의 상승기류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기압 변동이 억제되어, 그 결과 실제 위사 비주라인이 매우 안정화되어, 직기의 멈춤 회수가 감소된다.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의 제 2 실시예]
도 4에 나타내는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기류억제부재(52)는, 그 본래의 기능을 갖는 억제부(70)와, 이 억제부(70)의 상단부에 일체적으로 계속하여 꼭지쇠(34)의 위쪽에서 뒤쪽으로 되접어 꺾인 꺾음부(72)를 포함한다. 꺾음부(72)는, 바디(20)의 뒤쪽으로 열려있고 틈새(62)에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74)를 형성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와 같이, 바디(20)의 뒤쪽으로 개구하는 통기구(74)를 구비하고 있어도, 화살표 64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바디(20)의 후퇴시, 및 그것과는 반대의 방향으로의 바디(20)의 전진시, 각각 위사넣기 공간(24) 이 이론상 부압상태 및 가압상태가 된다.
그러나 바디(20)의 후퇴시, 경사개구(18) 밖의 공기가 바디(20)의 뒤쪽에 개구하고 있는 통기구(72)에 의해 제 1 실시예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위사넣기 공간(24)에 넣어진다. 이에 따라, 위사넣기 공간(24)이 부압상태가 되는 것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또한, 바디(20)의 전진시, 경사개구(18), 특히 위사넣기 공간(24) 내의 공기가 바디(20)의 뒤쪽으로 개구하고 있는 통기구(74)에 의해 위사넣기 공간(24) 내의 가압상태가 억제되고, 또한 틈새(62)가 없는 경우와 동등하게 상승기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20)의 위쪽이 직접 개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틈새(62)에 의한 상승기류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꺾음부(72)를 구비하고 있어, 공기의 유입 효율이 오르기 때문에, 틈새(62)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틈새(62)를 작게 함으로써, 경사개구(18) 내의 상승기류가 위사넣기 공간(24)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디(20)의 전진시에 있어서의 상승 기류의 누락이 최소로 억제된다.
상기한 결과, 도 4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기류 변동이 억제되고, 실제 위사 비주라인이 매우 안정화된다.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의 제 3 실시예]
도 5에 나타내는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스페이서(60)를 아래쪽의 바디유지부재(38)의 부착면과 아래쪽의 기류억제부재(54)가 접어 구부러진 부착면과의 사이에 배치하고, 복수의 틈새(62)를 아래쪽의 기류억제부재(54) 쪽 에 형성하고 있다. 아래쪽의 기류억제부재(54)는, 바디(20), 상세하게는 꼭지쇠(36)에 부착하더라도 좋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살표 76 방향 및 그것과 반대의 방향으로 바디(20)의 전진시 및 후퇴시, 각각 경사개구(18) 밖 및 경사개구(18) 안의 공기가 아래쪽에 형성된 틈새(62)를 통하여 화살표 78 방향 및 그것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위사넣기 공간(24)이 가압상태 및 부압상태가 되는 것이 억제되어, 실제 위사 비주라인이 매우 안정화된다.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의 제 4 실시예]
도 6에 나타내는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는, 제 2 및 제 3 실시예를 조합하여, 복수의 틈새(62)를 상하의 기류억제부재(52 및 54) 각각에 형성하고 있다. 제 4 실시예에 있어서도, 위사넣기 공간(24)의 부압상태 및 가압 상태는, 상기한 제 1 부터 제 3 실시예와 같이 억제되어, 실제의 위사 비주라인이 매우 안정화된다.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의 제 5 실시예]
도 7에 일례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터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틈새(62) 대신에, 복수의 구멍(80)을 상하의 기류억제부재(52 및 54)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틈새(62) 대신에, 복수의 구멍(80)을 위쪽의 기류억제부재(52)의 바디(20)에 가까운 개소에 형성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기류억제부재(52)의 바디(20)의 부착측에 잘린부분을 형성하고, 기류억제부재(52)를 꼭지쇠(34)에 부착했을 때의, 잘린부분과 꼭지쇠(34)와의 둘러싸인 부분을 구멍(80)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기류억제부재(52)에 구멍(80)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구멍(80)의 형상은, 직사각형이지만, 긴 원형, 타원형, 원형 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구멍(80)을 위쪽의 기류억제부재(52)에 형성했을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꺾음부(72)에 의해 바디(20)의 뒤쪽에 개방되는 통기구(74)를 설치하고 있어도 좋다.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부터 제 4 실시예와 같이 작용하여,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스페이서(60)를 구비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 제 1 부터 제 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틈새(62)에 더하여,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복수의 구멍(80)을 상하의 기류억제부재(52 및 54)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해도 좋다.
도 7과 같이 기류억제부재(52 및 54)에 잘린부분을 형성하는 대신에, 기류억제부재(52 및 54) 그 자체에 구멍(80)을 형성해도 좋다. 상세하게는, 기류억제부재(52 및 54)의 경사방향으로의 중간위치보다 바디측의 영역에 구멍(80)을 형성한다.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의 제 6 실시예]
도 8에 일례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위쪽 또는 아래쪽의 기류억제부재(52 및 54)의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길이치수 및 틈새(62) 또는 구멍(80)의 폭치수를 위사넣기 방향에 있어서의 개소에 따라 다른 값으로 해도 좋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류억제부재(52 및 54) 각각은, 위사넣기 방향에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4개)의 조각(82, 84, 86, 88)을 포함한다. 위사는, 도 8에서 왼쪽으로부터 위사넣기 된다.
급사측(즉, 위사넣기측)에 위치하는 조각(82 및 84)은, 스페이서(60)에 의해 기류억제부재 조각(82, 84)과의 사이에 틈새(62)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급사측에 위치하는 조각(8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62)의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폭치수는, 조각 84에 의해 형성되는 그것보다 크다. 이것은, 다른 길이치수의 스페이서(60)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되고 있다.
반급사측(즉, 반위사넣기측=도달측)에 위치하는 조각(86 및 88)은, 스페이서(60)를 이용하는 일 없이, 위쪽의 경우는 꼭지쇠(34), 아래쪽의 경우는 바디유지부재(38)에 직접적으로 나사 고정되어 있다.
가장 반급사측에 위치하는 조각(88)을 제외한 조각(82, 84 및 86)의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길이 치수는 같다. 그러나,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조각 88의 길이치수는 다른 조각(82, 84 및 86)의 그것보다 작다. 또한, 급사측의 조각(82)의 틈새(62)보다, 반급사측의 조각(84)의 틈새(62)가 작다.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틈새(62)의 폭치수 및 조각(82, 84, 86, 88)의 길이치수가 상기와 같기 때문에, 경사 이동방향으로서의 바디(20){또는 바디유지부재(38)}로부터의 기류억제부재의 길이치수는, 위사넣기 방향으로의 개소에 따라 다 르다. 상세하게는, 급사측으로부터 반급사측을 향함에 따라,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조각의 길이치수 및 틈새는 작아진다.
즉 기류억제부재의 짜기 전(26)쪽의 앞끝단 가장자리의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위치는, 위사넣기 방향으로의 개소에 따라 다르다. 상세하게는, 급사측으로부터 반급사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위치는 바디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급사측의 기류억제부재에 대해서 반급사측의 기류억제부재의 클로스 펠쪽에는 결락부(90)가 형성되며, 그 보다 반급사측의 기류억제부재일수록 결락부(90)가 커지고 있다.
꼭지쇠(34)로부터 기류억제부재의 앞끝단 가장자리가 가장 떨어져 있는 조각(82)의 앞끝단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L1 + L5인 위치로부터 바디가 이어진 방향으로 평행한 가상선을 그었을 때에, 조각 82와는 다른 영역, 예를 들면 꼭지쇠(34)로부터 조각 82의 앞끝단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L2 + L6인 위치와 상기 가상선 사이의 결락된 공간을 결락부(90)로 한다. 이 경우는, 거리 L1 + L5보다 거리가 짧은 거리 L2 + L6의 조각(84)의 앞끝단 가장자리의 클로스 펠쪽의 일부 영역에서 앞끝단부에 결락부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조각 82, 84 및 86의 길이치수(L1, L2 및 L3)는 각각 35mm이고, 조각 88의 길이 치수 L4는 25mm이고, 틈새 62 및 62의 폭치수(L5 및 L6)는 각각 6mm 및 3mm이다. 이 때문에, 조각(82, 84, 86 및 88)들은 급사측일수록 클로스 펠(26)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바디(20)의 전진시, 후진시 각각의 위사 통과범위에서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그러한 영역의 경계, 즉 바디(20)의 요동방향이 반전하는 주축각도가 약 180°의 위치를 경계로 하여, 그 경계의 급사측에 틈새(62) 및 구멍(80)이 형성되어, 급사측을 향함에 따라 틈새(62) 및 구멍(80)을 보다 크게 하고, 조각 82, 84의 사이를 경계로 하여, 그 경계의 반급사측에 결락부(90)가 존재하고, 반급사측을 향함에 따라 결락부(90)을 보다 크게 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 급사측으로부터 위사넣기 되는 위사의 앞끝단은, 바디(20)의 후퇴시(위사넣기 전반)에 있어서는 조각 82 및 84에 의해 형성되는 약 왼쪽 절반의 영역을 통과하고, 바디(20)의 전진시(위사넣기 후반)에 있어서는 조각 86 및 88에 의해 형성되는 약 오른쪽 절반의 영역을 통과한다.
일반적으로, 바디(20)의 후퇴시에 위사 앞끝단이 급사측의 영역(즉, 전반영역)을 비주하고 있을 때 위사의 비주력은 크지만, 위사의 비주력은 위사넣기 중에 점차 저감한다. 그것에 의해, 위사 앞끝단이 반급사측의 영역(즉, 후반영역)을 비주하고 있을 때, 위사는 후반영역에서 중력에 의해 위사의 비주속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위사의 비주위치가 아래쪽으로 변위하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틈새(62)로부터 위사넣기 공간(24)에 공기가 넣어지는 것과, 급사측의 조각(82 및 84)에 의해, 위사 앞끝단이 전반영역을 통과할 때의 위사넣기 공간(24) 내의 부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에 따라, 위사의 비주력이 큰 것은 물론, 위사 비주위치의 바디(20)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바디의 전진시에 위사 앞끝단이 비주하는 후반영역의 조각(86 및 88)은, 틈새(62)를 갖지 않고, 클로스 펠(26)쪽의 앞끝단 가장자리가 조각 82 및 84의 그것보다도 클로스 펠(26)로부터 후퇴되어 있고, 결락부(9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반영역에 있어서는, 위사넣기 공간(24)의 상승기류를 조금 발생시키고, 위사는 그 비주위치의 하강을 상승기류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사측일수록 위사 비주위치의 바디(20)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반면, 반급사측일수록 상승기류를 조절하여, 위사 비주위치의 하강이 억제된다. 그 결과, 실제의 위사 비주라인이 보다 안정된다.
상기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틈새(62) 또는 구멍(80)이 바디(20)로부터 크게 떨어진 개소에 위치하면, 바디의 전진시에 경사개구(18) 내의 공기가 틈새(62) 또는 구멍(80)으로부터 빠지고, 상승기류가 위사넣기 공간(24)에 발생하여, 그 결과 실제의 위사 비주라인이 상하로 변동한다.
특히, 틈새(62) 또는 구멍(80)이 위사넣기 공간(24)의 위쪽에 존재하면, 상기와 같은 상승기류에 의해 위사도 상승해 버린다. 이 때문에, 틈새(62)또는 구멍(80)은 가능한 한 바디(20)의 근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틈새(62) 또는 구멍(80)을 형성하지 않고, 경사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위쪽 또는 아래쪽의 기류억제부재(52 또는 54)의 길이치수만을 위사넣기 방향으로의 개소에 따라 다른 값으로 해도 좋다. 또한, 위사넣기 방향 및 경사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위쪽 또는 아래쪽의 기류억제부재(52 또는 54)가 길이치수, 및 틈새(62), 구멍(80), 결락부(90)의 크기는, 위사넣기 공간 내의 공기의 흐름이나 직기의 구성(상세하게는 바디치기의 스트로크, 직폭, 위사넣기 타이밍, 직기 회전수 등)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사넣기 공간(24)에 대한 공기의 이동을 허용하는 틈새(62)또는 구멍(80)은, 상하의 기류억제부재(52 및 54) 중 어느 한 쪽에 형성해도 좋고, 양 쪽에 형성해도 좋다. 틈새(62)의 크기는 두께가 다른 스페이서를 바꿈으로써 조정 가능하게 해도 좋고, 구멍(80)의 크기는 예를 들면 구멍(80)을 막는 부재를 구멍(8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겹쳐 포개어 고정함으로써 조정 가능하게 해도 좋다.
기류억제부재(52 또는 54)를 단일의 부재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이동방향의 위쪽 또는 아래쪽의 기류억제부재(52 또는 54)가 길이치수 및 틈새(62) 또는 구멍(80)의 폭치수를 위사넣기 방향으로의 개소에 따라 다른 값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기류억제부재(52 또는 54)를 꼭지쇠(34 또는 36) 또는 바디유지부재(38)와 일체로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다.

Claims (7)

  1. 바디의 위쪽 및 아래쪽 중 적어도 한쪽에 경사개구 범위 밖에서 클로스 펠(cloth fell)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위사넣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를 설치한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로서,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해당 부재의 부착면과 상기 바디의 부착면 또는 상기 바디를 슬레이에 유지시키는 바디유지부재의 부착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바디 쪽의 개소에 형성된 구멍,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결락부 가운데 적어도 1개를 갖는,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뒤쪽으로 개구된 통기구로서 상기 위쪽의 틈새 또는 구멍에 연이어 통해진 통기구를 구비하는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경사방향의 길이치수는, 위사넣기 방향으로의 개소에 따라 다른,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틈새, 상기 구멍 또는 상기 결락부의 상기 경사방향으로의 크기는, 위사넣기 방향으로의 개소에 따라 다른,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앞끝단 가장자리에 있어, 상기 클로스 펠쪽의 앞끝단 가장자리의 경사 이동방향으로의 위치는, 위사넣기 방향으로의 개소에 따라 다른,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위사넣기 방향으로의 상기 틈새, 상기 구멍 및 상기 결락부 중 어느 하나를 복수로 나란히 형성하는 동시에, 그것들 중 적어도 2개에 대해 다른 크기를 갖는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쪽 및 상기 아래쪽의 상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위사넣기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의 조각을 포함하는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KR1020060032352A 2005-06-02 2006-04-10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KR20060125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2317 2005-06-02
JPJP-P-2005-00162317 2005-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464A true KR20060125464A (ko) 2006-12-06

Family

ID=3748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352A KR20060125464A (ko) 2005-06-02 2006-04-10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60125464A (ko)
CN (1) CN1873075B (ko)
TW (1) TWI3396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4511B2 (ja) * 2009-07-23 2013-10-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JP7184675B2 (ja) * 2019-03-06 2022-12-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入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0759B2 (ja) * 2002-10-03 2008-08-2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の緯入れ安定化装置
JP2004277974A (ja) * 2003-03-19 2004-10-07 Tsudakoma Corp 水噴射式織機の緯入れ安定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3075A (zh) 2006-12-06
TW200702507A (en) 2007-01-16
TWI339694B (en) 2011-04-01
CN1873075B (zh)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2019B1 (en) Weft tension device for jet looms
JP3276652B2 (ja) 織機におけるよこ糸の引張り装置
US4031926A (en) Loom with means for introducing the filling threads by means of a fluid
EP0691430A1 (en) Weft inserting device for air jet loom
KR20060125464A (ko) 물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안정화 장치
JP5544313B2 (ja) 空気噴射式織機における製織方法
JP6119715B2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における緯糸張力付与装置
JP4989098B2 (ja) 水噴射式織機の緯入れ安定化装置
JP4140759B2 (ja) 水噴射式織機の緯入れ安定化装置
EP2808431B1 (en) Air jet loom part with weft yarn tension applying apparatus, air jet loom and method of using the air jet loom part
JP2001336045A (ja) 分割筬
JP5369915B2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における緯糸張力付与装置
EP4163428A1 (en) Weft insertion device for air jet loom
KR940002445Y1 (ko)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위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
JPH0345969Y2 (ko)
EP0393468A1 (en) Weft yarn suction device for air looms
CN111663232B (zh) 喷气织机的引纬装置
JP7311297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サブノズル
JP2023156763A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糸張力付与装置
JP2829704B2 (ja) 流体噴射織機の緯糸安定化装置
JP2001164443A (ja) 織機の補助開口装置
JP2001073259A (ja) 空気噴射織機及び空気噴射織機用筬
JPH0345968Y2 (ko)
JP2001303396A (ja) フィラメント織物の製織方法および製織用エアジェットルーム
JP6348016B2 (ja) 空気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規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