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330A - 와이퍼모터 - Google Patents

와이퍼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330A
KR20060120330A KR1020050042115A KR20050042115A KR20060120330A KR 20060120330 A KR20060120330 A KR 20060120330A KR 1020050042115 A KR1020050042115 A KR 1020050042115A KR 20050042115 A KR20050042115 A KR 20050042115A KR 20060120330 A KR20060120330 A KR 20060120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rush unit
worm gear
cover
wip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671B1 (ko
Inventor
홍성진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67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03Intermittent control circuits
    • B60S1/0807Intermittent control circuits using electronic control means, e.g. tubes, semi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6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a motor-reduction unit and a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ry into oscillatory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8/00Electricity: motive power systems
    • Y10S318/02Windshield wiper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모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모터는, 상기 브러시유니트를 갖는 직류모터와; 상기 직류모터를 그 일측에 구비하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터미널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터미널에 전달하는 송전터미널이 구비된 콘트롤기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직류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터미널 자체를 스태이에 박아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나 터미널케이스가 필요없어 그 구성이 간단하며 단선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특히 상기 터미널과 송전터미널의 접속이 와이퍼모터의 조립시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조립작업이 한결 용이하며 더 나아가 상기 커버와 브러시유니트의 조립 순서를 필요에 따라 서로 바꾸어도 조립이 이루어져 편리하다.

Description

와이퍼모터{Wiper motor}
도 1은 종래의 브러시유니트와 이를 갖는 와이퍼모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모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브러시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별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콘트롤기판에 대한 브러시유니트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이다.
도 5a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와이퍼모터에 있어서 커버를 먼저 조립한 후 브러시유니트를 조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상기 도 5a를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와이퍼모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유니트를 먼저 조립한 후 콘트롤기판 및 커버를 조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와이퍼모터 12:케이싱본체 14:로터샤프트관통구멍
16:브러시유니트장착부 18:워엄기어장착부 20:터미널접속통로
22:커버 24:전력선접속소켓 26:터미널접속소켓
28,72:브러시유니트 30:스태이 32:브러시
34:관통구멍 36:와이어 37:터미널
38:터미널케이스 40:로터 42:워엄
44:케이스 45:직류모터 46:케이스결합부
48:송전터미널 49a:워엄기어 49b:구동샤프트
64:가이드브라켓 66:콘트롤기판 67:슬릿
70:송전터미널 80:터미널 80a:제 1입구
80b:제 2입구 80c:탄력지지부 80d:연장부
80e:가이드부 80f:끼움공간 80g:터미널부재
80k:조임부 82:샤프트통과구멍 84:직류모터
86:나사
본 발명은 와이퍼모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윈드실드 윈도우나 리어윈도우에는 와이퍼(wiper)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는 와이퍼모터에 의해 회동력을 제공받아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좌우로 요동하며 유리를 닦아 운전자에게 안전한 시야를 제공한다. 또한 근래에는 와이퍼에 각종 전자제어시스템이나 센서 등을 부가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동작을 구현한다.
상기 와이퍼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차량의 본넷 내부에는 회전토오크를 발생하는 와이퍼모터와, 상기 와이퍼모터에 링크되어 일정 동작을 반복하는 링크기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와이퍼모터에는 차량 배터리의 전기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직류모터와, 상기 직류모터에 동력 이음되며 상기 링크기구를 동작시키는 여러 전동부품이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직류모터에는 통상의 직류모터에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로터의 정류자에 인가하는 다수의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에 배터리의 전기를 인가하는 터미널을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브러시유니트와 이를 갖는 와이퍼모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와이퍼모터(10)는, 그 일측에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워엄기어장착부(18)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싱본체(12)와, 상기 워엄기어장착부(1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워엄기어(49a)와, 상기 워엄기어(49a)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며 샤프트통과구멍(82)을 통해 케이싱본체(12) 외부로 그 단부가 빠져나가며 링크기구(미도시)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샤프트(49b)와, 상기 커버(2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와 워엄기어장착부(18)는 터미널접속통로(20)을 통해 상호 연통한다.
상기 커버(22)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그 일측부에는 외부의 전력선 플러그를 끼우는 전력선접속소켓(24)이 구비되고, 타측부 저면에는 터미널접속소켓(26)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접속소켓(26)에는 터미널케이스(38)가 삽입 고정되는 소켓으로서 송전터미널(48)이 내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22)의 저면에는 상기 전력선접속소켓(24)을 통해 인가된 전기를 상기 송전터미널(48)로 보내는 회로가 형성된 기판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의 테두리부는 직류모터(45) 케이스(44)의 단부가 밀착 결합하는 케이스결합부(46)로서 평평하다.
상기 직류모터(45)는,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에 끼워져 나사(86)로 고정되는 브러시유니트(28)와, 상기 케이스결합부(46)에 그 선단부가 밀착 결합하며 내주면에는 자석(미도시)을 갖는 케이스(44)와, 상기 케이스(44)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축에는 정류자(미도시)와 워엄(42)이 마련되어 있는 로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40)는 브러시유니트(28)의 중앙 관통구멍(34)을 통과하며 특히 상기 정류자는 브러시유니트(28)에 구비되어 있는 브러시(32)에 접하고, 워엄(42)은 로터샤프트관통구멍(14)을 관통하여 상기 워엄기어장착부(18) 내에서 워엄기어(49a)에 치합한다.
상기 브러시유니트(28)는,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 내부에서 나사(86)로 고정되고 중앙부에 관통구멍(34)을 갖는 스태이(30)와, 상기 스태이(30)의 일측면에 관통구멍(34)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내장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관통구멍(34)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다수의 브러시(32)와, 상기 스태이(30)에 형성된 회로에 접속되어 브러시(32)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그 선단부에 터미널(37)이 물려있는 와이어(36)와, 상기 터미널(37)을 수용하는 터미널케이스(38)를 포함하여 구 성된다.
특히 상기 터미널케이스(38)는 터미널접속통로(20)을 통해 터미널접속소켓(26)에 끼움 결합한다. 상기 터미널케이스(38)가 터미널접속소켓(26)에 끼워짐에 따라 송전터미널(48)이 터미널(37)에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와이퍼모터(10)는, 상기 터미널접속소켓(26)에 대한 터미널케이스(38)의 끼움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터미널접속소켓(26)에 터미널케이스(38)를 끼우기 위해서는, 커버(22) 및 스태이(30)를 고정시키기 전에 먼저 상기 터미널케이스(38)를 상기 터미널접속통로(20)으로 통과시킨 후, 커버(22)를 잡고 상기 터미널접속소켓(26)에 터미널케이스(38)를 압입하여야 한다.
상기 터미널접속소켓(26)에 대한 터미널케이스(38)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야 비로소 상기 커버(22) 및 스태이(30)를 고정시키고 상기 로터(40) 및 케이스(44)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터미널(37)은 송전터미널(48)을 화살표 a방향으로만 받아들 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터미널접속소켓(26)에 터미널케이스(38)를 끼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터미널케이스(38)를 터미널접속통로(20)으로 넣어야 한다. 따라서 예컨대 브러시유니트(28)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 상기 커버(22)도 덩달아 분해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상기 커버(22)를 분해하지 않으면 터미널케이스(38)가 터미널접속소켓(26)으로부터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더우기 한번 분해된 커버(22)는 재장착 이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터미널(37)과 스태이(30)가 와이어(36)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단 브러시유니트(28) 자체는 물론 터미널접속통로(20)의 내부가 복잡하고 특히 경우에 따라 터미널(37)과 와이어(36) 또는 와이어(36)와 스태이(30)가 단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직류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터미널 자체를 스태이에 박아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나 터미널케이스가 필요없어 그 구성이 간단하며 단선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특히 상기 터미널과 송전터미널의 접속이 와이퍼모터의 조립시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조립작업이 한결 용이하며 더 나아가 상기 커버와 브러시유니트의 조립 순서를 필요에 따라 서로 바꾸어도 조립이 이루어져 편리한 와이퍼모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워엄과 정류자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로터를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소정패턴의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스태이와, 상기 스태이의 관통구멍 주위에 설치되며 상기 회로에 접속한 상태로 상기 정류자에 탄성 접속하는 다수의 브러시와,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각 브러시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태이의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회로에 직결되고 그 내부에는 대응하는 상대 터미널을 끼울 수 있는 끼움공간을 갖는 터미널부재를 갖는 브러시유니트를 포함하는 직류모터와; 상기 직류모터를 그 일측에 구비하되 상기 브러시유니트를 수용할 수 있는 브러시유니트장착부와, 터미널접속통로를 통해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와 연통하는 워엄기어장착부를 갖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워엄기어장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로터의 워엄에 치합하고 그 회전중심에는 케이싱본체 외부로 회전토오크를 제공하는 구동샤프트를 갖는 워엄기어와; 상기 워엄기어장착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는 외부의 전력선이 끼워져 접속하는 접속소켓이 구비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고정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터미널접속통로를 통해 터미널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소켓을 통해 인가된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터미널에 전달하는 송전터미널이 구비된 콘트롤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부재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각 터미널부재는 그 하단부가 상기 스태이에 박혀 고정된 상태로 스태이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일체를 이루며 상대 터미널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그 사이에 상기 끼움공간을 형성하는 조임부를 갖는 띠형태의 금속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부는, 스태이측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그 일부가 연장부와 나란하되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하여 연장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장부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임부에는 상기 상대 터미널을 터미널부재의 폭방향으로 받아들여 끼움공간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모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모터(50)는,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와 워엄기어장착부(18)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본체(12)와, 상기 워엄기어장착부(1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저면 중앙에는 구동샤프트(49b)가 고정되어 있는 워엄기어(49a)와, 상기 워엄기어장착부(18)를 커버하는 커버(22)와, 상기 커버(22)의 저면에 고정되는 콘트롤기판(6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측에는 직류모터(84)가 설치된다. 상기 직류모터(84)는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내에 나사(86) 결합하는 브러시유니트(72)와, 상기 브러시유니트(72) 중앙의 관통구멍(78)을 관통한 후 로터샤프트관통구멍(14)을 통해 상기 워엄기어장착부(18)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워엄기어(49a)에 치합하는 워엄(42)을 갖는 로터(40)와, 상기 로터(40)를 수용하며 케이스결합부(46)에 고정되는 케이스(44)로 구성된다.
상기 직류모터(84)는 통상적인 직류모터의 구동원리에 따라 회전토오크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 로터(40)에는 정류자(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와 워엄기어장착부(18)는 터미널접속통로(20)를 통해 상호 연통한다. 상기 터미널접속통로(20)는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에 고정된 상태의 브러시유니트(72)의 브러시(80)를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로 개방하여 수직 하강하는 송전터미널(70)이 브러시(80)에 그대로 꼽힐 수 있 게 한다.
아울러 상기 워엄기어장착부(18)의 바닥면에는 수직의 샤프트통과구멍(8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통과구멍(82)은 상기 구동샤프트(49b)를 케이싱본체(12)의 하부로 통과시키는 구멍으로서 축회전 운동하는 구동샤프트(49b)를 지지한다.
상기 콘트롤기판(66)은 소정 패턴의 콘트롤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PCB기판으로서 그 일측 저면에 세 개의 송전터미널(70)을 갖는다. 상기 콘트롤회로는 전력선접속소켓(24)을 통해 인가된 외부의 전력을 상기 송전터미널(70)측으로 전달한다.
상기 송전터미널(70)은 일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상호 나란한 상태로 하향 연장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송전터미널(70)은 콘트롤기판(66)이 도 6의 화살표 Z방향으로 하강함에 따라 터미널(80)의 제 2입구(도 3의 80b)를 통해 터미널(80)에 끼워져 터미널(80)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이룬다. 상기 송전터미널(70)을 통해 터미널(80)에 인가된 전기는 브러시(76)를 통해 로터(40)의 정류자로 공급되어 직류모터(84)를 구동한다.
아울러 상기 콘트롤기판(66)에 있어서 상기 송전터미널(70)이 고정되어 있는 부위에는 슬릿(6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67)은 송전터미널(70)이 박혀있는 콘트롤기판(66)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일정폭의 틈새로서 이웃하는 송전터미널(70)의 사이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콘트롤기판(66)을 그 저면에 고정시키는 커버(22)의 테두리부 일측에는 네 개의 가이드브라켓(6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64)은 커버(22)와 일체를 이룬 직사각판 형태의 요소로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향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64)은 일부는 상기 슬릿(67)에 끼워진 상태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송전터미널(70)의 사이 사이에 위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송전터미널(70) 양측에 가이드브라켓(64)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64)은 각 터미널(80)의 사이공간(도 6의 W)에 끼워져 터미널(8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64)이나 송전터미널(70)의 개수가 터미널(8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브러시유니트(72)는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내에 나사(86)로 고정되며 중앙에 관통구멍(34)을 가지는 스태이(30)와, 상기 스태이(3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구멍(34)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다수의 브러시(32)와, 상기 스태이(30)의 타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송전터미널(70)의 전기를 각 브러시(32)로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80)을 포함한다.
상기 스태이(30)에는 각 터미널(80)과 브러시(3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소정패턴의 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로에는 필요한 여러 종류의 전자부품이 접속된다. 아울러 상기 각 브러시(32)는 관통구멍(34)을 통과한 로터(40)의 정류자에 면접하여 정류자에 전기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80)은 세 개가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러시유니트(72)가 장착된 상태로 터미널(8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터미널접속통로(20)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다.
상기 각 터미널(80)은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편을 벤딩한 상태로 스태이(30) 에 그 하단부를 박아 고정한 것이다. 이 때 상기 각 터미널(80)의 하단부가 스태이(30)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에 접속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터미널(80)을 스태이(30)에 직접 박아 고정함으로써 종래의 연결 와이어가 불필요하여 구성이 한결 간단하고 와이어의 단락과 같은 염려가 없다.
여하튼 상기 각 터미널(80)은 그 하단부가 스태이(30)에 박혀 고정된 상태로 스태이(30)로부터 연장된 두 개의 터미널부재(80g)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부재(80g)는 상기 스태이(30)에 그 하단부가 박히며 스태이로부터 연장된 연장부(80d)와, 상기 연장부(80d)의 선단에 일체를 이루며 상대편 터미널부재(80g)측으로 구부러진 후 상기 스태이(30)측으로 연장된 조임부(80k)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임부(80k)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끼움공간(80f)을 제공한다.
상기 연장부(80d)와 조임부(80k)가 이어지는 구부러진 부위는 송전터미널(70)을 끼움공간(80f)측으로 유도하는 제 1입구(80a)이다. 상기 끼움공간(80f)은 상기 송전터미널(70)이 끼워지는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송전터미널(70)은 일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므로 상기 제 1입구(80a) 또는 후술할 제 2입구(80b)를 통해 끼움공간(80f)에 끼워져 터미널(80)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룬다.
특히 상기 구부러진 부위는 절첩된 것이 아니므로 상기 송전터미널(70)을 화살표 X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임부(80k)의 측부에는 가이드부(80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 다. 상기 가이드부(80e)는 외부로 벌어져 상기 송전터미널(70)이 터미널(80)의 끼움공간(80f)에 가이드부(80e)의 폭방향 즉 화살표 Z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제 2입구(80b)를 이룬다.
또한 상기 각 연장부(80d)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탄력지지부(80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력지지부(80c)는 연장부(80d)의 해당 부위를 외측으로 펀칭하여 성형한 것으로서 터미널(80)이 양측의 가이드브라켓(64)에 탄력 지지되도록 마련한 것이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각 터미널(80)에는 상기 송전터미널(70)을 화살표 X방향 또는 Z방향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제 1,2입구(80a,80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22)와 브러시유니트(72)의 조립 순서를 필요에 따라 뒤바꿀 수 있다. 즉 도 5a와 같이 커버(22)를 먼저 조립한 후 브러시유니트(72)를 나중에 고정시킬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브러시유니트(72)를 먼저 조립한 후 커버(22)를 고정시킬 수 도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브러시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스태이(30)와 터미널(80)만 나타내었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태이(30)의 일측에 세 개의 터미널(80)이 나란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터미널(80)은 세 개가 모두 동일한 형태를 취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사이공간(W)을 제공한다. 상기 사이공간(W)에는 커버(22)의 가이드브라켓(64)이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브라켓(64)이 사이공간(W)에 끼워져 각 탄력지지부(80c)를 내측으로 지지함은 상기한 바와같다.
아울러 각 터미널(80)에 상부에는 제 1입구(80a)가 마련되어 있고, 측부에는 제 2입구(8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 2입구(80b)는 각 조임부(80k)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벌어진 가이드부(80e)에 의해 형성된 부위이다. 여하튼 상기 제 1,2입구(80a,80b)를 통해 상기 끼움공간(80f)이 상부 또는 측부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송전터미널(70)을 끼움공간(80f)에 끼우기가 그만큼 용이하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콘트롤기판에 대한 브러시유니트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22)의 저면에 콘트롤기판(66)이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콘트롤기판(66)의 테두리부에 마련되어 있는 슬릿(67) 내부에 상기 가이드브라켓(64)이 끼워져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64)은 네 개가 구비되며 그 사이에 상기 송전터미널(70)을 각각 수용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송전터미널(70)은 각 터미널(80)의 끼움공간(80f)에 끼워지고 가이드브라켓(64)은 각 터미널(80) 간의 사이공간(도 8의 W)에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80)에 제 1입구(80a)와 제 2입구(80b)가 모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송전터미널(70)에 대해 터미널(80)을 화살표 M방향 또는 N방향으로 근접시켜 터미널(80)의 끼움공간(80f)에 송전터미널(70)을 끼울 수 있다. 터미널(80)을 화살표 M방향으로 끼울 경우 송전터미널(70)은 제 1입구(80a)를 통해 삽입되고, 화살표 N방향으로 끼울 경우 제 2입구(80b)를 통해 삽입된다.
도 5a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와이퍼모터에 있어서 커버를 먼저 조립한 후 브 러시유니트를 조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상기 도 5a를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싱본체(12)의 상부에 커버(22)가 브러시유니트(72) 보다 먼저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22)가 먼저 장착됨에 따라 도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상기 송전터미널(70) 및 가이드브라켓(64)이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내에서 외부로 드러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 브러시유니트(72)를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에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하면 송전터미널(80)이 터미널(80)의 제 1입구(80a)를 통해 끼움공간(80f)에 끼워져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고 로터(도 2의 4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와이퍼모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유니트를 먼저 조립한 후 콘트롤기판 및 커버를 조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16) 내에 상기 브러시유니트(72)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브러시유니트(72)의 터미널(80)은 상기 터미널접속통로(20)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기판(66)이 고정되어 있는 커버(22)를 화살표 Z방향으로 하강시켜 케이싱본체(12)에 맞추어 결합하면 상기 송전터미널(70)이 터미널(80)의 제 2입구(80b)를 통해 끼움공간(80f)에 끼워져 자동적으로 전기적인 접속을 이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터미널(80)은 두 개의 입구(80a,80b)를 가지므로 커버(22)와 브러시유니트(72)의 조립순서를 필요에 따라 뒤바꿀 수 있다. 따 라서 커버(22)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브러시유니트(72)를 빼낼 수 도 있고, 반대로 직류모터(도 2의 84)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커버(22)만 분리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본체(12)에 대해 커버(22) 및 직류모터(84)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전력선접속소켓(24)을 통해 전기를 인가하면, 전기는 콘트롤기판(66)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를 지나 송전터미널(70)과 터미널(80)과 브러시(32)를 거쳐 로터(40)의 정류자에 전달되어 로터(40)를 축회전시킨다. 로터(40)가 축회전하면 워엄(42)에 치합하고 있는 워엄기어(49a)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구동샤프트(49b)가 축회전한다. 구동샤프트(49b)가 축회전하면 상기 구동샤프트(49b)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퍼링크가 구동하여 와이퍼를 왕복 회동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80)에 두 개의 입구(80a,80b)만을 마련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입구의 개수를 늘릴 수 도 있고 입구의 방향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입구(80b)의 반대측에 제 3입구도 추가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직류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터미널 자체를 스태이에 박아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나 터미널케이스가 필요없어 그 구성이 간단하며 단선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특히 상기 터미널과 송전터미널의 접속이 와이 퍼모터의 조립시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조립작업이 한결 용이하며 더 나아가 상기 커버와 브러시유니트의 조립 순서를 필요에 따라 서로 바꾸어도 조립이 이루어져 편리하다.

Claims (4)

  1. 워엄과 정류자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로터를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소정패턴의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스태이와, 상기 스태이의 관통구멍 주위에 설치되며 상기 회로에 접속한 상태로 상기 정류자에 탄성 접속하는 다수의 브러시와,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각 브러시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태이의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회로에 직결되고 그 내부에는 대응하는 상대 터미널을 끼울 수 있는 끼움공간을 갖는 터미널부재를 갖는 브러시유니트를 포함하는 직류모터와;
    상기 직류모터를 그 일측에 구비하되 상기 브러시유니트를 수용할 수 있는 브러시유니트장착부와, 터미널접속통로를 통해 상기 브러시유니트장착부와 연통하는 워엄기어장착부를 갖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워엄기어장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로터의 워엄에 치합하고 그 회전중심에는 케이싱본체 외부로 회전토오크를 제공하는 구동샤프트를 갖는 워엄기어와;
    상기 워엄기어장착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는 외부의 전력선이 끼워져 접속하는 접속소켓이 구비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고정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터미널접속통로를 통해 터미널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소켓을 통해 인가된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터미널에 전달하는 송전터미널이 구비된 콘트롤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재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각 터미널부재는 그 하단부가 상기 스태이에 박혀 고정된 상태로 스태이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일체를 이루며 상대 터미널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그 사이에 상기 끼움공간을 형성하는 조임부를 갖는 띠형태의 금속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스태이측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그 일부가 연장부와 나란하되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하여 연장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장부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모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에는 상기 상대 터미널을 터미널부재의 폭방향으로 받아들여 끼움공간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모터.
KR1020050042115A 2005-05-19 2005-05-19 와이퍼모터 KR100925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115A KR100925671B1 (ko) 2005-05-19 2005-05-19 와이퍼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115A KR100925671B1 (ko) 2005-05-19 2005-05-19 와이퍼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330A true KR20060120330A (ko) 2006-11-27
KR100925671B1 KR100925671B1 (ko) 2009-11-10

Family

ID=3770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115A KR100925671B1 (ko) 2005-05-19 2005-05-19 와이퍼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6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70B1 (ko) 2007-01-18 2008-05-13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KR20150026460A (ko) * 2013-09-03 2015-03-11 주식회사 만도 전자 제어 유닛의 핀부재
KR20190007281A (ko) * 2017-07-12 2019-01-22 몰렉스 엘엘씨 포크인 커넥터
JP2019504596A (ja) * 2015-12-17 2019-02-14 ヴァレオ システム デシュヤージュValeo Systemes D’Essuyage ワイパーモータ用の接続ユニット及びワイパー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277U (ja) * 1993-01-27 1994-08-19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モータのホルダベース取付構造
JP3646175B2 (ja) * 1996-02-23 2005-05-11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モー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70B1 (ko) 2007-01-18 2008-05-13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KR20150026460A (ko) * 2013-09-03 2015-03-11 주식회사 만도 전자 제어 유닛의 핀부재
JP2019504596A (ja) * 2015-12-17 2019-02-14 ヴァレオ システム デシュヤージュValeo Systemes D’Essuyage ワイパーモータ用の接続ユニット及びワイパーモータ
US11043873B2 (en) 2015-12-17 2021-06-22 Valeo Systèmes d'Essuyage Connection unit for a wiper motor and wiper motor
KR20190007281A (ko) * 2017-07-12 2019-01-22 몰렉스 엘엘씨 포크인 커넥터
US10439306B2 (en) 2017-07-12 2019-10-08 Molex, Ll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671B1 (ko) 2009-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9068B1 (en) Motor connecting plug, in particular for a variable-speed commutator motor, having slots for contact tracks
US8853902B2 (en) Displacement drive, in particular window lifter drive
US6787953B2 (en) Motor having circuit board
KR100760834B1 (ko) 전기 윈도우 또는 선루프 모터용 모터 하우징 및 전극커버
US5204565A (en) Small-sized electric motor with connector for power supply
WO2004047254A1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KR100925671B1 (ko) 와이퍼모터
KR100698797B1 (ko) 전기 모터, 특히 차량 유니트용 전기 기어드 모터
CN103415983A (zh) 电动机驱动装置
JP3679022B2 (ja) モータ
JP4705415B2 (ja) 電動モータ
KR20060050330A (ko) 기어모터 및 그 조립방법
EP1874585B1 (en) Relay connector
JP4091459B2 (ja) モータ
CN101522482B (zh) 用于安装电机电子设备的连接支架
JP3688920B2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5006564B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JP7383328B2 (ja) 電動弁
JP2007274767A (ja) 減速機構付モータ
JP4699103B2 (ja) 電動モータ
CN101536288B (zh) 用在汽车用辅助驱动装置中的插头布置
JP2007014156A (ja) 電動モータ
US20240218938A1 (en) Electric valve
KR200330598Y1 (ko)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JP4397900B2 (ja) 駆動装置用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