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835A - 블레이드 텐셔너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835A
KR20060092835A KR1020050067633A KR20050067633A KR20060092835A KR 20060092835 A KR20060092835 A KR 20060092835A KR 1020050067633 A KR1020050067633 A KR 1020050067633A KR 20050067633 A KR20050067633 A KR 20050067633A KR 20060092835 A KR20060092835 A KR 20060092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pring
shoe
sliding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와케
Original Assignee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210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38148A/ja
Application filed by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4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블레이드 텐셔너는 아치형으로 구부러진 체인 미끄럼면을 갖는 블레이드 슈와, 블레이드 슈의 체인 미끄럼면에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슈를 통해 체인에 스프링력을 적용시키는 블레이드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텐셔너는 상기 블레이드 슈의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핀과, 상기 블레이드 슈가 변형될 때에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에 상기 블레이드 스프링의 일 단부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지로 구성된 미끄럼부를 갖는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래킷의 미끄럼부의 양 표면을 따라 수직하게 제공되는 한 쌍의 안내부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텐셔너, 블레이드 슈, 블레이드 스프링, 브래킷, 선단부, 말단부

Description

블레이드 텐셔너{Blade tens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형 텐셔너의 정면도.
도 2는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형 텐셔너의 정면도.
도 4는 선 Ⅳ-Ⅳ를 따라 취한 도 3의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블레이드형 텐셔너의 정면도.
도 6은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도 5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레이드형 텐셔너 2 : 블레이드 슈
2a : 체인 미끄럼면 3 : 블레이드 스프링
4 : 브래킷 부재 5 : 미끄럼부
21 : 선단부 22 : 말단부
22A, 22B : 안내부 50a : 볼록한 만곡면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블레이드 텐셔너"인 2004년 7월 2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4-221026호에 개시된 발명을 청구한다. 35USC§119(a)하에서 상기 일본 특허출원의 이득이 그에 의해 주장되며, 상술한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었다.
본 발명은 체인 미끄럼면을 갖는 블레이드 슈와, 이 블레이드 슈에 스프링력을 부여하기 위한 판스프링형 블레이드 스프링을 포함하는 블레이드형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블레이드형 텐셔너는 자동차 엔진에서 타이밍 체인이나 오일 펌프를 위한 보조 구동 체인과 같은 체인에 장력을 부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블레이드형 텐셔너(101)는 일반적으로 아치형 체인 미끄럼면(102a)을 갖는 플라스틱 블레이드 슈(102)와, 이 블레이드 슈(102)를 통해 체인(도시 생략)에 스프링력을 적용하기 위해 체인 미끄럼면(102a)으로부터 블레이드 슈(102)의 대향 측면에 제공되는 다수의 블레이드 스프링(103)을 포함한다. 또한, 블레이드 텐셔너(101)는 블레이드 슈(102)의 선단부(121)를 스윙가능하게(swingably) 지지하는 지지축부(141)와, 블레이드 슈(102)의 말단부(122)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끄럼부(140)를 갖는 금속 브래킷 부재(104)를 포함한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234656호 참조). 미끄럼부(1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 부재 본체에 대해 박판 금속을 수직하게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작동중에, 체인이 블레이드 슈(102)의 체인 미끄럼면(102a)상에서 미끄럼이동할 때에, 블레이드 스프링(103)의 탄성변형으로 인한 탄성력은 체인의 장력을 유 지하기 위해 체인에 적용된다. 또한, 작동중에 체인 장력이 변동할때, 블레이드 슈(102)의 말단부(122)는 브래킷 부재(104)의 미끄럼부(140)의 미끄럼면(140a)상에서 미끄럼이동하며, 선단부(121)는 지지축부(141) 주위를 스윙한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 스프링(103)의 곡률 반경은 변화하며, 블레이드 스프링(103)의 변형으로 인한 스프링력은 체인에 적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블레이드형 텐셔너에서, 브래킷 부재(104)의 미끄럼부(140)는 박판 금속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따라서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의 블레이드형 텐셔너에서는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형 텐셔너는 아치형으로 만곡된 체인 미끄럼면을 갖는 블레이드 슈와, 블레이드 슈를 통해 체인에 스프링력을 적용시키기 위해 체인 미끄럼면으로부터 블레이드 슈의 대향 측면에 제공되는 블레이드 스프링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형 스프링이다. 또한, 상기 텐셔너는 블레이드 슈의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부와, 블레이드 슈 및 블레이드 스프링의 변형중에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에서 블레이드 스프링의 일 단부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미끄럼부를 갖는 브래킷 부재를 포함한다. 미끄럼부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브래킷 부재의 구부림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미끄럼부가 블레이드 스프링에 접촉하므로, 블레이드 스프링은 이 블레이드 스프링이 변형중에 미끄럼부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여 미끄럼부의 눌러붙음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형 텐셔너는 아치형으로 만곡된 체인 미끄럼면을 갖는 블레이드 슈와, 블레이드 슈를 통해 체인에 스프링력을 적용시키기 위해 체인 미끄럼면으로부터 블레이드 슈의 대향 측면에 제공되는 블레이드 스프링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형이다. 또한, 상기 텐셔너는 블레이드 슈의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부와, 블레이드 슈와 블레이드 스프링의 변형중에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플라스틱 미끄럼부를 갖는 브래킷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브래킷 부재의 구부림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체 브래킷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브래킷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수지로 형성되며, 따라서 제조 비용이 더욱 감소된다.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는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의 측면을 따라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에 매달려 있는 안내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가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를 따라 이동할 때에, 안내부는 블레이드 슈 의 말단부의 이동을 안내한다.
안내부는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가 컵형 단면을 가지도록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가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를 따라 이동할 때에, 안내부는 그 양 측면을 향해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며, 이에 의해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의 이동을 확실하게 안내한다.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는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를 안내하기 위해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의 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가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를 따라 이동할 때에,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는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의 이동을 안내한다.
미끄럼부는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미끄럼부는 바람직하게는 컵형 단면을 갖는다.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가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를 따라 이동할 때에,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는 그 양 측면을 향해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며, 이에 의해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의 이동을 확실하게 안내한다.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는 선택적으로 볼록한 만곡면을 갖는다.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는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와 블레이드 스프링의 접촉점이 체인 장력의 증가로 인한 블레이드 스프링의 변형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블레이드 스프링의 중앙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슈와 블레이드 스프링이 증가하는 체인 장력에 의해 내향으로 가압될 때, 블레이드 스프링의 유효 길이는 블레이드 슈의 선단부와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 사이에서 짧아지고, 따라서 스프링율은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 스프링의 탄성력은 체인 장력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텐셔너는 체인 장력의 증가에 효과적으로 반응한다.
일 실시예에서,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는 블레이드 스프링의 길이에 따라 배치된 다수의 만곡된 돌출부를 바람직하게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형 텐셔너(1)는 아치형으로 만곡된 체인 미끄럼면(2a)을 갖는 플라스틱 블레이드 슈(2)와, 블레이드 슈(2)를 통해 체인(도시 생략)에 스프링력을 적용시키기 위해 블레이드 슈(2)의 체인 미끄럼면(2a)으로부터 대향 측면에 제공되어 적층되는 다수의 판스프링형 금속 블레이드 스프링(3), 및 블레이드 슈(2)를 지지하기 위한 금속 브래킷 부재(4)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슈(2)는 블레이드 스프링(3)의 각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양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들(21a, 22a)을 갖는다. 블레이드 슈(2)의 선단부(21)는 브래킷 부재(4)의 일 단부에 고정된 핀(41)을 수용하기 위한 홀을 갖는다. 선단부(21)는 핀(41)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스프링(3)의 폭 방향에서 대향 측면을 향해 분기되고 하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안내부(22A, 22B)를 갖는다. 말단부(22)는 컵형 단면을 갖는다. 미끄럼부(5)는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의 안내부들(22A와 22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안내부들(22A, 22B)은 미끄럼부(5)의 측면을 따라 하향으로 연장한다.
수지로 형성된 미끄럼부(5)는 브래킷 부재(4)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그 내부에 형성된 슬릿(5a)을 갖는다. 미끄럼부(5)는 주입성형, 용접, 접합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공정을 통해 금속 브래킷 부재(4)에 일체로 고정된다.
미끄럼부(5)는 바람직하게는 그 상부면에 볼록한 만곡면(50a)을 갖는다. 블레이드 스프링(3)의 일 단부는 미끄럼부(5)의 볼록한 만곡면(50a)에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블레이드 스프링(3)은 블레이드 슈(2)가 체인으로부터 내부하중에 따라 변형될 때에, 볼록한 만곡면(50a)상에서 미끄럼이동하도록 항상 미끄럼부(5)의 볼록한 만곡면(50a)과 접촉한다.
본 예에서, 볼록한 만곡면(50a)은 단일 곡률 반경을 갖는 단일 만곡면이나, 대안적으로 다수의 곡률 반경을 갖는 혼합된 만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만곡된 돌출부가 블레이드 스프링(3)의 길이를 따라 볼록한 만곡면(50a)에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부재(4)는 또한 부착 볼트들을 수용하기 위해 그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부착 홀(43)을 갖는다. 작동중에, 체인(도시 생략)은 블레이드 슈(2)의 체인 미끄럼면(2a)을 따라 미끄럼이동하고, 그 시간 동안, 블레이드 스프링(3)의 변형에 따른 스프링력은 블레이드 슈(2)를 통해 체인에 작용한다.
작동중에 체인 장력이 변동할 때에, 블레이드 스프링(3)은 체인의 내력에 따라 미끄럼부(5)의 볼록한 만곡면(50a)상에서 미끄럼이동하며, 블레이드 슈(2)의 선단부(21)는 지지축부(41) 둘레를 회전한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 스프링(3)의 곡률 반경이 변화한다.
브래킷 부재(4)의 미끄럼부(5)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미끄럼부(5)를 형성하기 위해 브래킷 부재(4)의 구부림은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또한, 플라스틱 미끄럼부(5)가 금속 블레이드 스프링(3)에 접촉하므로, 블레이드 스프링(3)의 변형중에 블레이드 스프링(3)이 미끄럼부(5)를 따라 미끄럼이동할 때에, 블레이드 스프링(3)의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미끄럼부(5)의 눌러붙음을 방지한다.
또한,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가 블레이드 스프링(3)의 미끄럼이동에 따라서 미끄럼부(5)를 따라 이동할 때,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의 이동은 안내부(22A, 22B)에 의해 대향 방향에서 측방향으로 안내되며, 이에 의해 말단부(22)를 확실하게 안내한다.
더욱이, 미끄럼부(5)의 볼록한 만곡면(50a)은 볼록한 만곡면(50a)과 블레이드 스프링(3)의 접촉점이 체인 장력의 증가로 인한 블레이드 스프링(3)의 변형에 따라, 신장 방향으로 블레이드 스프링(3)의 중앙 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부(5)의 볼록한 만곡면(50a)의 곡률은 블레이드 스프링(3)의 곡률보다 조금 더 크게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미끄럼부(5)의 볼록한 만곡면(50a)의 곡률 반경이 블레이드 스프링(3)의 곡률 반경보다 조금 더 작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블레이드 스프링(3)이 체인으로 인한 내력에 따라 더 편평한 형상으로 변형될 때에, 미끄럼부(5)의 볼록한 만곡면(50a)과 블레이드 스프링(3)의 접촉점은 신장 방향으로 블레이드 스프링(3)의 중심을 향해 이동한다.
블레이드 슈(2)와 블레이드 스프링(3)이 증가하는 체인 장력에 의해 내향으로 가압될 때에, 블레이드 슈(2)의 선단부(21)와 브래킷 부재(4)의 미끄럼부(5) 사이에 지지되는 블레이드 스프링(3)의 유효 길이는 스프링율을 크게 하기 위해 감소된다. 그 결과, 블레이드 스프링(3)의 탄성력은 텐셔너가 체인 장력의 증가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도록 체인 장력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대안적으로, 브래킷 부재(4)의 미끄럼부(5)는 블레이드 스프링(3)의 길이에 따라 배치된 다수의 만곡된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슈(2) 및 블레이드 스프링(3)이 체인 장력의 증가에 의해 내향으로 가압될 때에, 블레이드 스프링(3)은 신장 방향에서 더 중앙 측면을 향해 만곡된 돌출부에 서서히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블레이드 스프링(3)의 유효 길이는 스프링율을 크게 하기 위해 감소된다. 그 결과, 블레이드 스프링의 탄성력은 텐셔너가 체인 장력의 증가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도록 체인 장력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미끄럼부(5)는 금속 브래킷 부재(4)에 고정되나, 미끄럼부를 포함하는 전체 브래킷 부재는 제조 비용을 더 감소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의 안내부는 바람직하게는 브래킷 부재(4)의 미끄럼부(5)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나, 안내부들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 서,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 및 브래킷 부재(4)의 미끄럼부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들과 다르다. 브래킷 부재(4)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브래킷 부재(4)는 일 단부에서 분기된 한 쌍의 미끄럼부들(40A, 40B)로 형성된다.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는 미끄럼부들(40A와 40B) 사이에 형성된 홈(40c)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다. 다른 한편, 미끄럼부들(40A, 40B)은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를 안내하기 위해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의 측면을 따라 브래킷 부재(4)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브래킷 부재(4)의 미끄럼부들(40A, 40B)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미끄럼부들(40A, 40B)을 형성하기 위해 브래킷 부재(4)의 구부림은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또한, 플라스틱 미끄럼부들(40A, 40B)이 금속 블레이드 스프링(3)에 접촉하므로, 블레이드 스프링(3)의 변형중에 블레이드 스프링(3)이 미끄럼부들(40A, 40B)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때에, 블레이드 스프링(3)의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미끄럼부들(40A, 40B)의 눌러붙음을 방지한다.
또한,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가 블레이드 스프링(3)의 미끄러짐 이동에 따라서 브래킷 부재(4)의 미끄럼부들(40A, 40B)을 따라 이동할 때에, 블레이드 슈(2)의 말단부(22)의 이동은 미끄럼부들(40A, 40B)에 의해 대향 방향에서 측방향으로 안내되며, 이에 의해 말단부(22)를 확실하게 안내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각 실시예에서, 브래킷 부재(4)의 미끄럼부는 블레 이드 스프링(3)과 접촉하나, 본 발명은 그러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브래킷 부재(4)의 플라스틱 미끄럼부는 종래 기술의 블레이드형 텐셔너에서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도 5 참조)와 유사한 말단부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형 텐셔너는 특히 자동차 엔진의 타이밍 체인에 적합하나, 오일 펌프 구동 체인과 같은 보조 구동 체인에도 또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래킷 부재의 미끄럼부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브래킷 부재의 구부림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또한, 미끄럼부가 블레이드 스프링에 접촉하므로, 블레이드 스프링은 이 블레이드 스프링이 변형중에 미끄럼부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여 미끄럼부의 눌러붙음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의 적용을 위해서만 설명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기준은 본 발명에 대해 필수적으로 고려되는 이들 특징을 인용하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12)

  1. 체인에 장력을 적용하기 위한 블레이드 텐셔너로서,
    체인 미끄럼면을 갖는 아치형 블레이드 슈와,
    상기 체인 미끄럼면에 대향하는 블레이드 슈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슈를 통해 체인에 스프링력을 적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스프링과,
    상기 블레이드 슈의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부와, 상기 블레이드 슈와 블레이드 스프링이 변형될 때에 상기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에 상기 블레이드 스프링의 일 단부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미끄럼부를 구비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텐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블레이드 텐셔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스프링은 판스프링인 블레이드 텐셔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블레이드 텐셔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는 상기 미끄럼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텐셔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브래킷의 미끄럼부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는 컵형 단면을 갖는 블레이드 텐셔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미끄럼부는 상기 블레이드 슈 말단부의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제공되고, 상기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를 안내하는 블레이드 텐셔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는 상기 블레이드 슈의 말단부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미끄럼부는 컵형 단면을 갖는 블레이드 텐셔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는 볼록한 면을 갖는 블레이드 텐셔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미끄럼부는 상기 블레이드 스프링이 변형될 때에, 상기 브래킷의 미끄럼부와 블레이드 스프링 사이의 접촉점이 상기 블레이드 스프링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 텐셔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미끄럼부는 상기 블레이드 스프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만곡면 돌출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텐셔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스프링에 접촉하는 미끄럼부 표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블레이드 스프링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블레이드 텐셔너.
KR1020050067633A 2004-07-29 2005-07-26 블레이드 텐셔너 KR200600928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1026 2004-07-29
JP2004221026A JP2006038148A (ja) 2004-07-29 2004-07-29 ブレードテンショナ
US11/179,329 2005-07-12
US11/179,329 US20060025256A1 (en) 2004-07-29 2005-07-12 Blade tens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835A true KR20060092835A (ko) 2006-08-23

Family

ID=3513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633A KR20060092835A (ko) 2004-07-29 2005-07-26 블레이드 텐셔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621798A3 (ko)
KR (1) KR200600928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0088B2 (en) 2011-09-22 2016-06-07 Borgwarner Inc. Chain drive tensioner spring force control mechanism
WO2014099291A1 (en) 2012-12-18 2014-06-26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spring force control in a second bore
KR102165369B1 (ko) 2013-03-07 2020-10-15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스프링력 제어를 갖는 텐셔너
KR20200105922A (ko) 2018-01-31 2020-09-09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캡 디스크 스프링을 구비한 가변력 텐셔너 아암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45152A (en) * 1935-05-15 1936-04-03 Standard Motor Co Ltd Automatic tensioners for transmission chains
GB523015A (en) * 1938-12-22 1940-07-03 Standard Motor Co Ltd Automatic tensioners for transmission chains
US2355003A (en) * 1943-03-12 1944-08-01 Chain Belt Co Lubricating mechanism for sprocket chains
US3334524A (en) * 1964-10-27 1967-08-08 North British Rubber Co Ltd Power transmission belts
JPS581308B2 (ja) * 1975-03-24 1983-01-11 株式会社クボタ タイトナ−バネシジコウゾウ
JPS5797946A (en) * 1980-12-05 1982-06-17 Touyoushiya:Kk Trnsmission structure
FR2496815B1 (fr) * 1980-12-19 1985-06-21 Sedis Transmissions Meca Dispositif mecanique de tension pour chaine ou courroie de transmission
JPH08184358A (ja) * 1994-12-28 1996-07-1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チェーン張り装置
JP3702359B2 (ja) 1999-02-16 2005-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レードテンショナ
JP2001032895A (ja) * 1999-07-22 2001-02-06 Borg Warner Automotive Kk ブレードテンショナ
JP2001327201A (ja) * 2000-05-23 2001-11-27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ロータリ耕耘装置のブリーザ機構
JP4651778B2 (ja) * 2000-06-15 2011-03-16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ブレードテンショナ
US20040132570A1 (en) * 2001-02-06 2004-07-08 Borgwarner Morse Tec Japan K.K. Blade tensioner
US20040005953A1 (en) * 2002-02-26 2004-01-08 Borgwarner Morse Tec Japan K.K. Blade-type tens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1798A3 (en) 2007-06-27
EP1621798A2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25256A1 (en) Blade tensioner
US6902505B2 (en) Blade-type tensioner
US7691018B2 (en) Wedge-damped blade tensioner
EP1030079B1 (en) Blade-type chain tensioner
EP1070875B1 (en) Blade-type chain tensioner
US20060270502A1 (en) Tensioner for simultaneously tensioning multiple strands
CN101566220B (zh) 包括可移位张紧滑轨的张紧器组件
GB2330641A (en) Shoe for guiding a chain
US20020039941A1 (en) Blade-type chain tensioner
KR101224757B1 (ko) 복합 체인 구동 가이드
US6447414B1 (en) Hydraulic tensioner having flexible blade arm
KR20060092835A (ko) 블레이드 텐셔너
US6375587B1 (en) Timing chain having multiple blade tensioners contacting the same section of chain
US20040005953A1 (en) Blade-type tensioner
US20070004544A1 (en) Blade Tensioner
CN1624357B (zh) 具有片簧的柔顺性链条引导件
US20070129195A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EP1258656B1 (en) Blade tensioner and system for a chain
EP1182378A2 (en) Chain or belt tensioner arm
JP2002227946A (ja) ブレードテンショナ
JP3753373B2 (ja) チェーン用ブレードテンショナシステム
US20040132570A1 (en) Blade tensioner
CN201992015U (zh) 一种汽车机油泵的链条张紧器
EP1323949B1 (en) Hydraulic tensioner with stop mechanism
JP3719655B2 (ja) ブレード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