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9197A -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 Google Patents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9197A
KR20060089197A KR1020060067457A KR20060067457A KR20060089197A KR 20060089197 A KR20060089197 A KR 20060089197A KR 1020060067457 A KR1020060067457 A KR 1020060067457A KR 20060067457 A KR20060067457 A KR 20060067457A KR 20060089197 A KR20060089197 A KR 20060089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discharge device
pipe
sewage discharge
se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1790B1 (ko
Inventor
이경우
Original Assignee
이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우 filed Critical 이경우
Priority to KR102006006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79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가 합류식 하수관로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하수 배출장치를 통해 차집관거로 배출하게 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는, 내부에 구비되어 하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되는 차집관거를 포함하는 합류식 하수관로에 있어서,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의 일측벽에 구비된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하수와 우수가 통과하게 되는 차집관로의 상부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유입홀과, 상기 차집관거의 상부벽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초기우수의 월류를 방지하게 되는 월류 방지턱과, 상기 각 유입홀에 구비되어 우수로 인한 초기우수를 차집관거로 배출시키게 되는 하수 배출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합류식 하수관로, 하수, 우수, 하수 배출장치

Description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Apparatus for discharging sewage with combined sewer overf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배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작동도로서,
도 4a는 초기우수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4b는 우수량이 증가한 경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하수 배출장치에 따른 부가적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하수 배출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하수 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합류식 하수관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합류식 하수관로
11 : 차집관거
111 : 유입홀, 112 : 월류 방지턱, 113 : 홀, 114 : 앙카볼트, 115 : 프레임
12 : 유입부
121 : 홀, 122 : 하수관, 123 : 도어, 124 : 우수관
13 : 배출부
131 : 배출구, 132 : 도어
14 : 함몰유로
15 : 수평유지 스토퍼
151 : 홀
16 : 개방 스토퍼
161 : 탭홀
2 : 하수 배출장치
21 : 돌출통
211 : 공기 배출구, 212 : 물 통과부, 213 : 내측 공간부
22 : 상부 부유체
221 : 관통부, 222 : 부유체, 223 : 하강방지 다리, 224 : 거리 유지관
23 : 하부 부유체
231 : 통공, 232 : 개방부, 233 : 몸통, 234 : 부력통, 235 : 암나사부
24 : 승강 부유수단
25 : 지지축
26 : 회전 개폐판
261 : 탭홀
27 : 스크린
28 : 충돌 방지턱
3 : 연결수단
31 : 볼트
32 : 너트
4 : 방취수단
41 : 방취 가이드
411 : 수나사부
42 : 방취캡
43 : 상승 방지턱
5 : 연결 회전수단
51 : 베어링 브라켓
511 : 베어링, 512 : 관통홀
6 : 부력수단
61: 부력통
611 : 공간부
62 : 고정 둘레판
7 : 무게 조절수단
71 : 물통
711 : 물 주입구, 712 : 배출구, 713 : 공간부
72 : 고정 둘레판
721 : 돌출편, 722 : 홀
8 : 높이 조절수단
81 : 수직 나선축
82 : 수직관
821 : 수직장홀
9 : 미끄럼 베어링
본 발명은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가 합류식 하수관로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하수 배출장치를 통해 차집관거로 배출하게 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집관거는 평상시 가정에서 나오는 하수와 우천으로 인한 우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흘려 보내는 관로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합류식 하수관로(Combined Sewer Overflow)는 우수와 하수가 합류하여 흐르는 하수관로를 말하며, 평상시 합류식 하수관거에 유입된 하수는 차집관거를 통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분리되어 처리되나, 우천시에는 우수가 유입되어 기존 하수와 함께 희석된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흐르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종래에 알려진 합류식 하수관로(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비되어 하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되는 차집관거(101)를 포함하며, 일측벽에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유입부(102)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벽에는 상기 유입부(102)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수문(200)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유입부(102)는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100)의 일측벽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03)로 구성되며, 각각의 홀(103)에는 평상시 가정에서 나오는 하수가 차집관거(101)로 유입되도록 차집관거(101)와 연결되는 하수관(300)이 구비되며, 나머지 홀(103)에는 우천으로 인한 우수가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100)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도어(401)를 포함한 우수관(40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비가 내릴 경우에는, 상기 우수관을 통해 합류식 하수관로로 초기우수가 유입되어 월류하면서 타측벽에 구비된 수문을 열고 하천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합류식 하수관로는 우천시 도로, 교량, 고가차도등의 도로 노면에 자동차 주행으로 인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미립자나 타이어 및 아스팔트 마모에 의한 먼지와 대기중의 분진등의 오염물질이 섞인 초기우수가 우수관을 통하여 합류식 하수관로로 유입되어 수문으로 배출되면서 하천에 그대로 유입됨으로써 하천 오염의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초기우수가 차집관거로 유입되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지 않고, 그대로 하천에 유입되어 하천의 오염을 발생시킴으로서 물고기와 같은 어류등이 떼죽음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우천시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하수 배출장치의 개방을 통해 차집관거로 배출하게 되고, 우수의 양이 증가하여 맑은 우수가 합류식 하수관로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하수 배출장치가 폐쇄되어 합류식 하수관로의 타측에 설치된 배출부를 통해 하천으로 흘러가게 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되어 하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되는 차집관거를 포함하는 합류식 하수관로에 있어서,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의 일측벽에 구비된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하수와 우수가 통과하게 되는 차집관로의 상부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유입홀과, 상기 차집관거의 상부벽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초기우수의 월류를 방지하게 되는 월류 방지턱과, 상기 각 유입홀에 구비되어 우수로 인한 초기우수를 차집관거로 배출시키게 되는 하수 배출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배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작동도로서, 도 4a는 초기우수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4b는 우수량이 증가한 경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는, 내부에 구비되어 하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되는 차집관거(11)를 포함하는 합류식 하수관로(1)에 있어서,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1)의 일측벽에 구비된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하수와 우수가 통과하게 되는 차집관로(11)의 상부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유입홀(111)과, 상기 차집관거(11)의 상부벽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초기우수의 월류를 방지하게 되는 월류 방지턱(112)과, 상기 각 유입홀(111)에 구비되어 우수로 인한 초기우수를 차집관거(11)로 배출시키게 되는 하수 배출장치(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1)의 타측벽에는 상기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배출부(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부(13)는 초기우수가 하천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구(131)와, 수압에 따라 상기 배출구(131)를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하는 도어(1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1)의 내측에는 함몰유로(14)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함몰유로(14)에는 우천시 합류식 하수관로(1)내로 유입된 우수가 월류되어 흘러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함몰유로(14)를 통해 배출부(13)로 많은 양의 우수가 한꺼번에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우수에 섞인 토사나 이물질등을 침전시킬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맑은 우수를 배출부(13)를 통과하여 하천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유입부(12)는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1)의 일측벽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21)로 구성된다. 각각의 홀(121)에는 평상시 가정에서 나오는 하수가 차집관거(11)로 유입되도록 차집관거(11)와 연결되는 하수관(122)이 구비되며, 홀(121)의 나머지 부분에는 우천시 우수가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1)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힌지를 통해 개폐되는 도어(123)를 포함한 우수관(12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집관거(11)의 유입홀(111)에는 하수 배출장치(2)의 원활한 상,하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금속 재질의 프레임(115)이 더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115)을 차집관거(11)의 상부벽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앙카볼트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월류 방지턱(112)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홀(113)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 홀(113)의 기능은 우천시 초기우수가 우수관(124)을 통하여 월류 방지턱(112) 안에 유입하게 되면 후술하게 될 하수 배출장치(2)의 부유체(222)는 낮은 수위로 그대로 열려 있으면서 우수가 차집관거(11)로 배출되고, 강우량이 많아서 맑은 우수가 유입되면 상기의 부유체(222)가 상승하면서 맑은 우수가 차집관거(11)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월류 방지턱(112)을 월류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비가 그쳐서 우수의 유입이 중단되어도 월류 방지턱(112)안에 우수가 가득 차 있으면, 상기 부유체(222)가 하강하지 못하므로 상기 홀(113)을 통해 월류 방지턱(112)내로 유입된 우수를 조금씩 배출하여 부유체(222)가 하강하게 됨 으로서 다음 우천시에 초기우수가 유입되면 이를 차집관거(11)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수 배출장치(2)는 상부에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구(211)가 형성되고 하부 둘레에 물 통과부(212)가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내측 공간부(213)를 포함하는 돌출통(21) 및 상기 내측 공간부(213)와 유입홀(111)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공간부(213)에 구비되고 하부 둘레에는 다수의 관통부(221)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 부유체(22)와, 상기 유입홀(111)에 승강 가능하게 상기 상부 부유체(22)의 하부에 연결수단(3)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1)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물 통과부(212)가 개방되게 하강상태를 유지하여 우수가 차집관거(11)로 유입되게 하고, 차집관거(11)의 수위가 올라가면 부상되어 상기 물 통과부(212)가 차단되게 상승상태를 유지하여 우수가 차집관거(11)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부유체(23)로 이루어진 승강 부유수단(2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부유체(22)는 상기 내측 공간부(213)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부유체(222)와 이 부유체(222)의 하부에 구비되어 부유체(222)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방지 다리(2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부유체(23)는 상판에 다수의 통공(231)이 구비되고 하부에 개방부(232)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1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몸통(233)과 상기 몸통(233)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하수량에 따라 부유하게 되는 부력통(23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개방부(232)에는 방취수단(4)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방취수단(4)은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방취 가이드(41)와, 상기 방취 가이드(41)의 상부에 구비되어 우수의 유입량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방취 가이드(41)의 입구를 개폐하게 되는 방취캡(42)과, 상기 방취캡(42)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부 부유체(23)의 몸통(233) 내측에 구비된 상승 방지턱(43)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방취 가이드(41)의 외측 둘레에 다수의 수나사부(4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취 가이드(41)의 수나사부(411)와 암,수 체결되도록 상기 하부 부유체(23)의 몸통(233) 내측 하부에 암나사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3)은 상기 하부 부유체(23)의 상판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부유체(22)의 부유체(222) 하부에 돌출된 거리 유지관(224)을 관통하는 볼트(31)와, 상기 볼트(31)에 체결되는 너트(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통(21)은 상기 공기 배출구(211)를 통해 공기가 배출하게 되며, 유입부(12)로부터 우수가 유입됨으로써 녹에 의한 부식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중에서도 스테인레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하수 배출장치(2)의 전방 상부에는, 합류식 하수관로(1)의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와 섞인 부유물에 의해 물 통과부(212)가 막히지 않도록 스크린(27)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하수 배출장치(2)의 전방 하부에는, 차집관거(11)내로 유입되는 하수와 우수에 의해 상기 하수 배출장치(2)의 하부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돌 방지턱(28)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하수와 우수로 인해 하수 배출장치(2)에 수압이 가해져 발생되는 하수 배출장치(2)의 기울어짐을 사전에 미리 방지함으로써 하수 배출장치(2)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배출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평상시에는 승강 부유수단(24)의 상,하 부유체(22,23)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상,하 부유체(22,23)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서 돌출통(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물 통과부(212)와 상부 부유체(22)의 하강방지 다리(223)사이의 공간이 상호 연통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평상시 가정에서 나오는 하수는 합류식 하수관로(도 1 참조)의 유입부(12)의 하수관(122)을 통하여 차집관거(11)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또한, 우천시 초기우수가 유입부(12)의 우수관(124)을 통하여 월류 방지턱(112) 안으로 유입되어도 승강 부유수단(24)의 상,하 부유체(22,23)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서, 상기 상,하 부유체(22,23)가 하강되어 돌출통(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물 통과부(212)와 상부 부유체(22)의 하강방지 다리(223)사이의 공간이 상호 연통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합류식 하수관로(1)의 유입부(12)를 통해 적은 양의 초기우수가 유입되면, 초기우수가 상기 물 통과부(212)와 상부 부유체(22)의 하강방지 다리(223)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하부 부유체(23)의 상판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231)과 개방부(232)를 통과하여 차집관거(11)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왜냐하면 초기우수에는 노면등에 잔류되어 있는 토사, 분진, 쓰레기 등의 오 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오염된 초기우수는 차집관거(11)를 통해 하수 처리장으로 보낸 후 정화 처리하여 하천으로 방출함으로써 하천의 오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량이 증가하여 합류식 하수관로(도 1 참조)로 많은 양의 맑은 우수가 유입될 경우에는 월류 방지턱(112) 내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승강 부유수단(24)을 구성하는 상부 부유체(22)의 부유체(222)가 상승하면서 하부 부유체(23)의 몸통(233)이 돌출통(21)의 물 통과부(212)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맑은 우수는 월류 방지턱(112)(도 1 참조)을 넘어서 합류식 하수관로(1)로 흐르게 된다. 이때 우수와 섞인 토사나 이물질등이 월류 방지턱(112)의 내측에 쌓이면서 손쉽게 토사를 제거할 수 있으며, 월류 방지턱(112)을 넘어선 맑은 우수는 합류식 하수관로(1)의 배출부(13)를 통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방취수단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수가 내리지 않는 평상시에는 차집관거(11)로 하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방취캡(42)을 통해 개방부(232)를 막음에 따라서 차집관거(11)의 악취가 합류식 하수관로(1)내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우천시 초기우수가 물 통과부(212)와 상부 부유체(22)의 하강방지 다리(223)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하부 부유체(23)의 상판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231)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공(231)을 통과한 초기우수가 방취 가이드(41)에 의해 안내되 면서 방취캡(42)이 상승되어 방취 가이드(41)의 입구가 개방됨으로써 초기우수가 차집관거(11)로 흘러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방취캡(42)을 통해 개방부(232)를 막음에 따라서 차집관거(11)의 악취가 합류식 하수관로(1)내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우수량이 증가하여 하부 부유체(23)의 상판에 있는 통공(231)을 통하여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방취캡(42)을 통해 개방부(232)를 막음에 따라서 차집관거(11)의 악취가 합류식 하수관로(1)내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하수 배출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 배출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게 될 하수 배출장치를 제외한 타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함을 전제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 배출장치(2)는 유입홀(111)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지지축(25)과, 상기 지지축(25)의 상부에 연결 회전수단(5)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유입홀(111)을 하수의 흐름에 따라 개폐하는 회전 개폐판(26)과,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개폐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력수단(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수단(6)은 내부에 구비된 공간부(611)를 포함하는 부력 통(61)과, 상기 부력통(61)이 이탈되지 않도록 부력통(61)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 둘레판(6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전,후방 하부에는 외측에 물 주입구(711)와 배출구(712)가 형성되며 내부에 구비된 공간부(713)를 포함하는 다수의 물통(71)과, 상기 물통(71)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통(71)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 둘레판(72)으로 이루어진 무게 조절수단(7)이 더 구비된다.
특히,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하부에는 다수의 탭홀(2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둘레판(72)의 전,후단에는 전,후방으로 돌출되게 돌출편(7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편(721)에는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탭홀(261)과 상응되게 각각의 홀(7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개폐판(26)에 상기 고정 둘레판(72)을 볼트 체결함으로써 물통(7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물 주입구(711)와 배출구(712)를 통해 물을 주입하거나 배출시켜 무게를 가변시킴으로써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개폐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 회전수단(5)은 상기 지지축(25)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베어링(511)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하부에 형성된 탭홀(261)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관통홀(512)이 구비된 베어링 브라켓(5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차집관거(11)의 전방벽 상부에는 지지축(25)을 통해 유입홀(111)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회전 개폐판(26)의 닫힘 상태를 단속하는 수평유지 스토퍼(15)와, 상기 차집관거(11)의 전방벽 하부에는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는 개방 스토퍼(16)가 더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하수 배출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평상시에는 가정에서 발생한 하수는 합류식 하수관로(1)의 일측벽에 있는 유입부(12)의 하수관(122)을 통하여 차집관거(11)의 내부로 흘러 들어간다.
또한, 강우시 소량의 초기우수가 상기의 유입부(12)의 우수관(124)를 통하여 합류식 하수관로(1)에 설치되어 있는 월류 방지턱(112)의 안쪽으로 유입하게 되면 회전 개폐판(26)이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으므로 차집관거(11)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어 하수 처리장으로 원활히 흘러가게 된다.
반대로, 우수량이 증가하여 상기의 유입부(12)의 우수관(124)를 통하여 합류식 하수관로(1)에 설치되어 있는 월류 방지턱(112)의 안쪽으로 많은 양의 맑은 물이 유입될 경우에는, 회전 개폐판(26)의 전방 상부에 구비된 부력통(61)의 외면과 하수면이 닿게 되면서 부력통(61)에 의한 부력으로 인해 회전 개폐판(26)의 전방이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즉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전방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회전 개폐판(26)이 수평상태가 되어 유입홀(111)을 단속함으로써 맑은 우수가 회전 개폐판(26)의 상부에 고이게 되고, 점차 월류 방지턱(112)을 넘어서 합류식 하수관로(1)로 흐르게 된다. 이때 우수와 섞인 토사나 이물질등이 월류 방지턱(112)의 내측에 쌓이면서 손쉽게 토사를 제거할 수 있으며, 월류 방지턱(112)을 넘어선 맑은 우수는 합류식 하수관로(1)의 타측 일측면에 있는 배출부(13)를 통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하수 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수평유지 스토퍼(15)의 하부에는 상기 개방 스토퍼(16)의 높이를 조정하여 회전 개폐판(26)의 개방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수단(8)이 더 구비된다.
특히 상기 높이 조절수단(8)은, 상기 수평유지 스토퍼(15)의 일측에 형성된 홀(151)에 삽입되어 외부에서의 조작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차집관거(11)의 전방 상부벽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방 스토퍼(16)가 승강 가능하게 관통 체결된 수직 나선축(81)과, 상기 수직 나선축(81)을 감싸며 후방에 상기 개방 스토퍼(16)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수직장홀(821)을 포함하는 수직관(8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홀(111)의 둘레에는 상기 지지축(25)과 회전 개폐판(26)을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1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관(82)은 상기 전방 프레임(115)에 용접이나 볼트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하부가 흔들지 않도록 수직관(82)의 측벽에 홀을 형성하여 앙카볼트(114)등을 이용하여 차집관거(11)의 전방 상부벽에 고정시킨다.
아울러 상기 수직관(82)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수직 나선축(81)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미끄럼 베어링(9)이 더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 조절수단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하수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높이 조절수단(8)을 통해 회전 개폐판(26)의 개방각도를 단속하는 개방 스토퍼(16)를 하강시킨다.
즉 외부에서 수직 나선축(81)의 상부를 역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수직 나선축(81)과 체결되어 있는 개방 스토퍼(16)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 스토퍼(16)의 하강으로 인하여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전방도 하강되면서 개방각도가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수단(8)의 작동을 통해 하수량에 따라 하수의 유입면적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높이 조절수단(8)을 통해 회전 개폐판(26)의 개방상태를 조절하게 되는 개방 스토퍼(16)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게 됨으로써 하수가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시점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는 우천시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하수 배출장치의 개방을 통해 차집관거로 배출하게 되고, 우수의 양이 증가하여 맑은 우수가 합류식 하수관로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하수 배출장치가 폐쇄되어 합류식 하수관로의 타측에 설치된 배출부를 통해 하천으로 흘러가게 됨으로써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 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9)

  1. 내부에 구비되어 하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되는 차집관거(11)를 포함하는 합류식 하수관로(1)에 있어서,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1)의 일측벽에 구비된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하수와 우수가 통과하게 되는 차집관로(11)의 상부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유입홀(111)과,
    상기 차집관거(11)의 상부벽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초기우수의 월류를 방지하게 되는 월류 방지턱(112)과,
    상기 각 유입홀(111)에 구비되어 우수로 인한 초기우수를 차집관거(11)로 배출시키게 되는 하수 배출장치(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배출장치(2)는,
    상부에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구(211)가 형성되고 하부 둘레에 물 통과부(212)가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내측 공간부(213)를 포함하는 돌출통(21); 및
    상기 내측 공간부(213)와 유입홀(111)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공간부(213)에 구비되고 하부 둘레에는 다수의 관통부(221)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 부유체(22)와, 상기 유입홀(111)에 승강 가능하게 상기 상부 부유체(22)의 하부에 연결수단(3)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1)의 내부로 우수가 유 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물 통과부(212)가 개방되게 하강상태를 유지하여 우수가 차집관거(11)로 유입되게 하고, 차집관거(11)의 수위가 올라가면 부상되어 상기 물 통과부(212)가 차단되게 상승상태를 유지하여 우수가 차집관거(11)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부유체(23)로 이루어진 승강 부유수단(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유체(22)는, 상기 내측 공간부(213)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부유체(222)와 이 부유체(222)의 하부에 구비되어 부유체(222)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방지 다리(223)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부유체(23)는, 상판에 다수의 통공(231)이 구비되고 하부에 개방부(232)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1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몸통(233)과 상기 몸통(233)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하수량에 따라 부유하게 되는 부력통(23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232)에는 방취수단(4)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방취수단(4)은,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방취 가이드(41)와,
    상기 방취 가이드(41)의 상부에 구비되어 우수의 유입량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방취 가이드(41)의 입구를 개폐하게 되는 방취캡(42)과,
    상기 방취캡(42)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부 부유체(23)의 몸통(233) 내 측에 구비된 상승 방지턱(4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하수 배출장치(2)의 전방 상부에는, 합류식 하수관로(1)의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와 섞인 부유물에 의해 물 통과부(212)가 막히지 않도록 스크린(27)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하수 배출장치(2)의 전방 하부에는, 차집관거(11)내로 유입되는 하수와 우수에 의해 상기 하수 배출장치(2)의 하부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돌 방지턱(28)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배출장치(2)는,
    상기 유입홀(111)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지지축(25)과,
    상기 지지축(25)의 상부에 연결 회전수단(5)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유입홀(111)을 하수의 흐름에 따라 개폐하는 회전 개폐판(26)과,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개폐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력수단(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수단(6)은,
    내부에 구비된 공간부(611)를 포함하는 부력통(61)과,
    상기 부력통(61)이 이탈되지 않도록 부력통(61)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 둘레판(6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전,후방 하부에는,
    외측에 물 주입구(711)와 배출구(712)가 형성되며 내부에 구비된 공간부(713)를 포함하는 다수의 물통(71)과,
    상기 물통(71)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 개폐판(26)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통(71)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 둘레판(72)으로 이루어진 무게 조절수단(7)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 방지턱(112)에는,
    월류방지턱(112)의 내부에 고여 있는 우수를 합류식 하수관로(1)로 배출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홀(11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KR1020060067457A 2006-07-19 2006-07-19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KR100781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457A KR100781790B1 (ko) 2006-07-19 2006-07-19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457A KR100781790B1 (ko) 2006-07-19 2006-07-19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197A true KR20060089197A (ko) 2006-08-08
KR100781790B1 KR100781790B1 (ko) 2007-12-04

Family

ID=3717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457A KR100781790B1 (ko) 2006-07-19 2006-07-19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7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370B1 (ko) * 2011-07-08 2013-06-05 진두남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1306829B1 (ko) * 2011-09-16 2013-09-10 진두남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CN104264772A (zh) * 2014-10-23 2015-01-07 郭家龙 雨水收集***初期弃流装置
CN112982633A (zh) * 2021-03-02 2021-06-18 惠州城际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雨污分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19B1 (ko) 2008-10-13 2011-01-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 처리를 위한 고속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686B1 (ko) * 2001-04-09 2004-05-03 (주) 상원이엔씨 우수토실 유출조
KR100770359B1 (ko) * 2005-12-08 2007-10-25 이경우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681956B1 (ko) * 2006-04-21 2007-02-12 이경우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370B1 (ko) * 2011-07-08 2013-06-05 진두남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1306829B1 (ko) * 2011-09-16 2013-09-10 진두남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CN104264772A (zh) * 2014-10-23 2015-01-07 郭家龙 雨水收集***初期弃流装置
CN112982633A (zh) * 2021-03-02 2021-06-18 惠州城际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雨污分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790B1 (ko) 200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066B1 (ko)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US6796325B1 (en) Apparatus for stormwater retention and release,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1155626B (zh) 一种在下水涵洞口能自动疏通排水入口的装置
CN208363235U (zh) 一种由浮筒与滑轮控制截流管道流量的溢流井
KR100781790B1 (ko)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KR100770359B1 (ko)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681956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CN202440933U (zh) 排水管防倒灌拍门
KR102087872B1 (ko) 교량 배수관용 에어벤트 장치
CN105756179A (zh) 一种污水流量可控及拦渣防倒灌截流井
CN108661152A (zh) 一种雨污分流型雨水口结构
CN104763037B (zh) 初期雨水弃流雨水口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221721B1 (ko) 호형개폐판을 갖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033015B1 (ko)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CN210458845U (zh) 一种市政道路初期雨水排放***
CN208363234U (zh) 一种浮筒闸板控制截流管道流量的溢流井
CN207582227U (zh) 一种改进的路面排水装置
CN215759479U (zh) 一体化自动截流井
KR20100120472A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100963137B1 (ko) 오수 배출로에 설치되는 악취방지장치
CN210482518U (zh) 一种预制式截流闸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CN113152637A (zh) 一体化自动截流井及截流方法
CN105756175A (zh) 水力浮动式止回堰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