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686B1 - 우수토실 유출조 - Google Patents

우수토실 유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686B1
KR100429686B1 KR10-2001-0018568A KR20010018568A KR100429686B1 KR 100429686 B1 KR100429686 B1 KR 100429686B1 KR 20010018568 A KR20010018568 A KR 20010018568A KR 100429686 B1 KR100429686 B1 KR 10042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utflow
pipe
sewage treatment
treatment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270A (ko
Inventor
이재민
강건덕
Original Assignee
(주) 상원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상원이엔씨 filed Critical (주) 상원이엔씨
Priority to KR10-2001-001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6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 어떤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에 수송하고 나머지 하수를 하천등의 수역으로 방류하는 우수토실 유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토실 유출조는가정과 연결되는 지류관 및 각각의 지류관이 합류되는 합류관에 각각 설치되는 우수토실 유출조와,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우수 유입관로, 상기 유출조의 타측으로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관로; 및 상기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 하측으로 하천으로 우수가 배출토록 형성되는 우수 배출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우수토실 유출조{A STORM OVERFLOW DIVERGING TANK}
본 발명은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 어떤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에 수송하고 나머지 하수를 하천등의 수역으로 방류하는 우수토실 유출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우량이 비교적 많은 장마철이나, 여름철 소나기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많은양의 우수(雨水)가 하수 처리장의 차집관로에 유입될 경우, 상기 하수 처리장은 수리학적으로 큰 부하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같은 부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은 투자비와 하수 처리장의 운전상의 어려움 때문에 상기와 같은 우천시의 총 유입수량을 처리하기 위해 하수처리장을 설계할 수 없는 실정인 것이다.
특히, 상기와같은 종래의 하수처리장에 있어서는, 우천시의 수리학적 부하변동이 심할 경우, 하수 처리를 담당하는 미생물 적용에 어려움이 많아 방류 수질에 안정성이 없게 되며, 이에따라 수질 관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장기간 많은 유량이 유입될 경우, 부하 발생에 의해 낮은 슬러지 생성은 물론 슬러지의 침강성이 나빠지게 되고, 이에따라 방류수의 수질이 악화되며, 그 결과 미생물 반응조의 MLSS(MIXED LIQUID SUSPENDED SOLIDS)가 낮아지게 되어, 하수 처리효율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이를 회복하는데는 장기간이 소여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우천시를 대비하여 최대한의 오염물질을 하수처리장에 유입하여 처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수 처리장에 최저의 수리학적 부하를 유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단으로 초기 우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하수 및 우수 방류로 인한 자연 하천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우수처리 분류 시스템을 선택하여 하천수의 오염량을 감소시키고, 우수의 차집관로를 필요이상으로 크게 설치함으로 인한 과대한 시설 투자비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우수토실 유출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토실 유출조의 개략 설치 구성도.
도 2는 각 가정에서 우수 처리장으로 우수가 배출되는 관로상에 본 발명의 우수토실 유출조를 설치한 상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우수토실 유출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유출조의 개략 설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유출조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D-D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유출조의 개략 설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유출조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유출조의 개략 설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유출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E-E선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F-F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출조의 개략 설치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저장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20, 30, 40, 50 : 우수토실 유출조 11, 21, 31, 41, 51 : 유출조
12 : 맨홀 13 : 유입관로
15 : 하수처리관로 17 : 배출관로
19 : 격리막 24 : 초기우수 저장조
P : 펌프 38 : 분리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가정과 연결되는 지류관 및 각각의 지류관이 합류되는 합류관에 각각 설치되는 우수토실 유출조;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우수 유입관로;
상기 유출조의 타측으로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관로; 및
상기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 하측으로 하천으로 우수가 배출토록 형성되는 우수 배출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과 연결되는 지류관 및 각각의 지류관이 합류되는 합류관에 각각 설치되는 우수토실 유출조;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우수 유입관로;
상기 유출조의 타측으로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관로;
상기 관로의 일측에 설치되는 격리막; 및
상기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 하측으로 하천으로 우수가 배출토록 형성되는 우수 배출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지류관이 합류되는 합류관에 각각 설치되는 우수토실 유출조;
상기 유출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우수 유입관로;
상기 유출조 타측면에 하수처리장으로 유출되도록 형성되는 관로;
상기 관로 하측으로 하천으로 유출되도록 형성되는 우수 배출관로;
상기 우수 유입관로와 우수 배출관로 사이에는 설치되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격리막;
상기 격리막의 좌측 공간에 형성되는 초기 우수저장소; 및
상기 유출조의 우측에는 상기 격리막과 같은 높이로 우수처리조 처리수관로를 수렴하는 격리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 토실 처리시시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 2는 각 가정에서 우수 처리장으로 우수가 배출되는 관로상에 본 발명의 우수토실 유출조를 설치한 상태의 개략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우수토실 유출조(10)는 가정(1)과 연결되는 지류관(5) 또는 각각의 지류관(5)이 합류되는 합류관(7)에 설치된다.
도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수토실 유출조(10)는 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유출조(11)의 일측으로 우수 유입관로(13)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조(11)의 타측에는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15)가 각각 형성토록 된다.
상기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15) 하측에는 하천으로 우수가 배출토록 우수 배출관로(1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우수 유입관로(13)와 우수 배출관로(17)로 사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격리막(19)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10)의 우수 유입관로(13)와 우수 배출관로(17) 상면에는 각각 맨홀(12)이 설치되어 필요시 작업자가 유출조(11)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S는, 토사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10)는 비교적 소규모 단위의 배수지역에 인구밀도가 낮고, 이로 인해 우천시 오물의 희석비가 높은 지역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10)는 우수 유입관로(13)로 유입된 우수의 일부(계산에 의해 산정된 최저수량)를 하수 처리장(12)으로 토출하고, 나머지 우수는 하천(16)으로 방류하게 되며, 이때 하천으로 방류되는 우수는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10)에 설치된 일측이 경사진 격리막(19)에 의해 침전물이 제거된 물이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7 내지 도 9는 도 6의 우수토실 처리조의 평면도, 도 7의 C-C선 및 D-D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출구(20)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유출조(21)의 일측으로 우수 유입관로(23)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조(21)의 타측면에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2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수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25)의 하측에는 하천으로 유출되는 우수배출관로(27)가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관로(23)와 우수 배출관로(27) 사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격리막(29)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격리막(29)의 좌측에는 초기 우수저장소(24)가 형성된다.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20)의 우수 유입관로(23)와 우수 배출관로(27) 및 하수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25)의 상면에는 각각 맨홀(22)이 형성되어 필요시 유출조(21)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유출조(20)는, 배수지역이 비교적 크거나 우수관로의 길이가 길지 않은 컴팩트한 상황과, 인구 밀도가 보통이상인 경우에 초기우수 저장조(24)와 함께 설치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20)는 메인라인(23)(합류관로)에 설치되며, 건기시 상기 메인라인(23)을 통해 유입된 물이 초기우수 저장조(24)를 통해 하수처리장(28)으로만 방출되도록 하고, 우천시에는 상기 메인라인(23)을 통해 유입된 물 중 계산에 의해 산정된 최대수량이 초기우수 저장조(24)로 유입되도록 하고, 나머지 우수는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11 및 도 12는 도 10의 우수토실 처리조의 평면도, 도 10의 C-C선 및 D-D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출구(30)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우수토실 유출조(20)에서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25)의 일측에 격리막(39')을 추가로 설치하므로, 상기 격리막(39')을 사이에 두고, 그 일측으로 펌프(P)를 설치한다.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30)는 초기우수 저장조(33)의 우측에 우수토실 분리조(34)를 설치함으로써, 하수는 건기시 분리조(38)를 거쳐 연결관로를 통하여 흘러간다.
또한, 비가 오는 초기시 유입수량이 일정량을 넘어서면, 일단 초기우수 저장조(33)를 채우고 유출조(31)에서 우수토실을 하천에 방류하며, 비가 멈추고 유입수량이 감소하면 초기우수 저장조(33)에서 펌프(P)를 통하여 일정량을 분리조(38)에 보내어 최고로 허용되는 수량을 계속해서 관로에 흘러보내게 된다.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30)는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희석하여 방류할 가능성이 낮아 저장하는데는 효율이 높으나, 초기우수 저장조(33)의 물량을 다시 펌프(P)로 펌핑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비와 동력비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처리 시스템은,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수지역이 크거나 우수관로의 길이가 길지 않은 컴팩트한 상황과 인구 밀도가 보통 이상인 경우에 우수토실 유출조(30)와 초기우수 저장조(34)가 함께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3 실시예에서는 메인라인(33)에 설치된 분리조(38)에서 유입 우수 중 계산에 의해 산정된 수량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나머지 우수가 상기 분리조(38)에서 갈라진 사이드 라인(36)(지류관로)에 설치된 우수토실 유출조(30)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수는 먼저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30)를 통해 초기우수 저장조(34)에 저장되고, 나머지가 하천으로 방류된다. 그 후 비가 멈추고 유입수량이 감소하면 초기우수 저장조(34)에 저장된 우수가 펌프에 의해 분리조(38)로 배출되어 최고로 허용할 수 있는 수량이 계속해서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유출조를 도시한 평면도 및 도 14, 도 15는 도 13의 E-E선 및 F-F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출조(40)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유출조(41)일측으로 우수 유입관로(43)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45)가 형성된다.
상기 하수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45)의 하측에 하천으로 유출되는 우수 배출관로(47)가 형성된다.
상기 우수 유입관로(43)와 우수 배출관로(47) 사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격리막(49)이 형성되며, 상기 격리막(49)의 좌측 공간에는 초기 우수저장소(44)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조(41)의 우측에는 상기 격리막(49)과 같은 높이로 "ㄴ"자 형상으로 우수처리조 처리수관로(46)를 수렴하는 격리막(48)이 형성된다.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40)의 우수 유입관로(43)와 우수 배출관(47)로, 우수처리조 처리수관로(46) 및 하수처리장으로 나가는 관로(45)의 상면에 각각맨홀(42)이 형성되어 필요시 유출조(41)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유출조는 배수지역이 크지만 인구밀도가 낮거나 우수토실 유출조(40) 설치지역까지의 유입시간이 길어(30분 이상) 초기 우수의 오염농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 설치한다.
상기 제 4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처리 시스템은 메인라인(43)에 우수토실 유출조(40)가 설치되고,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40) 다음에 초기우수 저장조(44)에 설치되며, 상기 초기우수 저장조(44) 다음에 하수처리장이 배치된다.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40)는 건기시에 유입수 모두를 초기우수 저장조(44)로 배출하고, 우기시에는 허용 한계치 이상의 유입수를 하천으로 방류한다.
상기 초기우수 저장조(44)는 건기시에 유입수 모두를 하수처리장으로 배출하고, 우기시에 허용 한계이상의 유입수를 하천으로 직접 방류한다.
계속해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우수토실 저장조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출구(50)는 제 4 실시예의 우수토실 유출조(40)의 하수처리장으로 나가는 관로(45)의 좌측에 격막(59')을 추가 설치하므로서, 상기 격막(59')을 두고, 상기 격막(59') 좌측에 펌프(P)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50)는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희석하여 방류할 가능성이 낮아 저장하는데는 효율이 높으나 초기우수 저장조(54)의 물량을 다시 펌프(P)로 펌핑해야 하기 때문에 설비와 동력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수지역이 크지만 인구밀도가 낮거나 우수토실 유출조(50) 설치지역까지의 유입시간이 길어(30분 이상) 초기 우수의 오염농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 적용되며, 상기 우수토실 처리 시스템은 메인라인(53)에 설치된 분리조(61)에서 유입 우수 중 계산에 의해 산정된 수량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나머지 우수가 상기 분리조(61)에서 갈라진 사이드 라인(62)에 설치된 우수토실 유출조(50)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수는 먼저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30)를 통해 초기우수 저장조(54)에 저장되고, 나머지가 하천으로 방류되고, 상기 초기우수 저장조(52)에 저장되는 유입수가 한계치 이상일 경우, 물리적으로 일차 처리된 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수토실 유출조는, 우천시를 대비하여 최대한의 오염물질을 하수처리장에 유입하여 처리하고, 처리장에 최저의 수리학적 부하를 유도하기 위해 여러 방법으로 초기우수를 처리하여 하수, 우수 방류로 인한 자연 하천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하천 오염량을 감소시키며, 과대한 시설투자비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14)

  1. 가정과 연결되는 지류관 및 각각의 지류관이 합류되는 합류관에 각각 설치되는 우수토실 유출조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우수 유입관로,
    상기 유출조의 타측으로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관로,
    및, 상기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 하측으로 하천으로 우수가 배출토록 형성되는 우수 배출관로로 구성되고,
    상기 우수 유입관로와 우수 배출관로 사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격리막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격리막의 좌측공간에 초기 우수저장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의 우수 유입관로와 우수 배출관로 상면에는 각각 맨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는 메인라인에 설치되어 건기시 상기 메인라인을 통해 유입된 물이 초기우수 저장조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만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출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가정과 연결되는 지류관 및 각각의 지류관이 합류되는 합류관에 각각 설치되는 우수토실 유출조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우수 유입관로;
    상기 유출조의 타측으로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관로;
    상기 관로의 일측에 설치되는 격리막;
    및, 상기 하수 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 하측으로 하천으로 우수가 배출토록 형성되는 우수 배출관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우수초실 유출조는 초기우수 저장조의 우측에 우수토실 분리조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초기우수 저장조는 우천시 유출조에서 우수토실을 하천에 방류하며 유입수량이 감소시 초기우수 저장조에 설치되는 펌프를 통하여 일정량을 분리조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출조.
  8. 삭제
  9. 삭제
  10. 각각의 지류관이 합류되는 합류관에 각각 설치되는 우수토실 유출조에 있어서;
    상기 유출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우수 유입관로,
    상기 유출조 타측면에 하수처리장으로 유출되도록 형성되는 관로,
    상기 관로 하측으로 하천으로 유출되도록 형성되는 우수 배출관로,
    상기 우수 유입관로와 우수 배출관로 사이에는 설치되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격리막,
    상기 격리막의 좌측 공간에 형성되는 초기 우수저장소;
    및, 상기 유출조의 우측에는 상기 격리막과 같은 높이로 우수처리조 처리수관로를 수렴하는 격리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의 우수 유입관로와 우수 배출관로, 우수처리조 처리수관로 및 하수처리장으로 유출되는 관로의 상면에 각각 맨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는 건기시에 유입수 모두가 초기 우수저장조로 배출토록 되며 우기시에 허용 한계치 이상의 유입수를 하천으로 방류하며,
    상기 초기우수 저장조는 건기시 유입수 모두를 하수처리장으로 배출토록하며 우기시 허용 한계 이상의 유입수를 하천으로 직접 방류하고,
    상기 우수토실 유출조의 하수처리장으로 나가는 관로의 좌측에 격막을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좌측에 펌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우수토실 유출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1-0018568A 2001-04-09 2001-04-09 우수토실 유출조 KR10042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568A KR100429686B1 (ko) 2001-04-09 2001-04-09 우수토실 유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568A KR100429686B1 (ko) 2001-04-09 2001-04-09 우수토실 유출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270A KR20020078270A (ko) 2002-10-18
KR100429686B1 true KR100429686B1 (ko) 2004-05-03

Family

ID=2770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568A KR100429686B1 (ko) 2001-04-09 2001-04-09 우수토실 유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773B1 (ko) * 2017-11-01 2018-11-21 김현숙 우수토실 일체형 하수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049B1 (ko) * 2002-08-02 2004-09-07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KR100781790B1 (ko) * 2006-07-19 2007-12-04 이경우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KR100795399B1 (ko) * 2006-10-17 2008-01-17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개량된 하수도의 우수 토실
KR100904287B1 (ko) * 2007-05-22 2009-06-25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6331A (ja) * 1990-09-26 1992-05-11 Haneda Concrete Kogyo Kk 雨水貯留浸透装置
JPH04136332A (ja) * 1990-09-26 1992-05-11 Haneda Concrete Kogyo Kk 雨水貯留浸透装置
EP0565483A1 (de) * 1992-04-09 1993-10-13 Werner Nill Becken in einer Abwasseranlage
US5490922A (en) * 1992-09-25 1996-02-13 Romag Rohren Und Maschinen Ag Waste water plant with built-in mesh screen unit
US5531888A (en) * 1993-07-28 1996-07-02 Vsb Vogelsberger Umwelttechnischer Anlagenbau Gmbh Arrangement for separation of coarse matter and/or bulky solids in rainwater relief structur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6331A (ja) * 1990-09-26 1992-05-11 Haneda Concrete Kogyo Kk 雨水貯留浸透装置
JPH04136332A (ja) * 1990-09-26 1992-05-11 Haneda Concrete Kogyo Kk 雨水貯留浸透装置
EP0565483A1 (de) * 1992-04-09 1993-10-13 Werner Nill Becken in einer Abwasseranlage
US5490922A (en) * 1992-09-25 1996-02-13 Romag Rohren Und Maschinen Ag Waste water plant with built-in mesh screen unit
US5531888A (en) * 1993-07-28 1996-07-02 Vsb Vogelsberger Umwelttechnischer Anlagenbau Gmbh Arrangement for separation of coarse matter and/or bulky solids in rainwater relief stru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773B1 (ko) * 2017-11-01 2018-11-21 김현숙 우수토실 일체형 하수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270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290B1 (ko) 저류 시스템
Field et al. Management and control of combined sewer overflows
US5895569A (en) Small bore sewer system
US6698442B1 (en) Separated sanitary effluent sewer system
KR100429686B1 (ko) 우수토실 유출조
Bertrand-Krajewski Sewer sediment management: some historical aspects of egg-shaped sewers and flushing tanks
CN110029721A (zh) 一种具有排污及初雨调蓄功能的管涵结合截污结构
JP2663214B2 (ja) 下水道の雨水処理方法、雨水処理施設及び雨水滯水管路の施工法
KR200256151Y1 (ko) 우수토실 유출조
JP2005350867A (ja) 雨水の利用システム
Little A comparison of sewer reticulation system design standards gravity, vacuum and small bore sewers
Dunbar et al. Pollution control measures for stormwaters and combined sewer overflows
Sharpe et al. STORM-WATER OVERFLOWS: THE OPERATION AND DESIGN OF A STILLING POND.
Hering Sewerage systems
KR10044428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860001188B1 (ko) 분리식 오수 받이
Heinking et al. Use of a swirl concentrator for combined sewer overflow management
US727446A (en) Draining or sewerage system.
Karimi et al. An overview of sewage system management in Kabul
Finnemore Stormwater pollution control: structural measures
Chang The Process of Water Flowing through Control Structures and Treatment Facilities in a Developed Area
JP2003105810A (ja) 雨水供給装置
JPH0468137A (ja)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水質浄化方法
KR20010035416A (ko) 우수저장정화침투조
Neil et al. Water resources for Chicago—history and fu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