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383A - 이차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383A
KR20060073383A KR1020040112589A KR20040112589A KR20060073383A KR 20060073383 A KR20060073383 A KR 20060073383A KR 1020040112589 A KR1020040112589 A KR 1020040112589A KR 20040112589 A KR20040112589 A KR 20040112589A KR 20060073383 A KR20060073383 A KR 2006007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unit cells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5606B1 (ko
Inventor
하진웅
김지호
이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4011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60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07542918A priority patent/JP4652416B2/ja
Priority to CN2009100023214A priority patent/CN101488595B/zh
Priority to EP05821384.4A priority patent/EP1839348B1/en
Priority to PCT/KR2005/004033 priority patent/WO2006068373A1/en
Priority to CN200580041937A priority patent/CN100588003C/zh
Priority to BRPI0518367A priority patent/BRPI0518367B8/pt
Priority to RU2007121743/09A priority patent/RU2355069C2/ru
Priority to CA2589892A priority patent/CA2589892C/en
Priority to EP12153803.7A priority patent/EP2450981B1/en
Priority to TW094143625A priority patent/TWI299592B/zh
Priority to US11/314,506 priority patent/US8039145B2/en
Publication of KR2006007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고출력 대용량의 이차전지 모듈 또는 팩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트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호 분리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단위전지들을 적층하여 장착하고, 전지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센싱하고 전지를 제어하며 과전류시 단전을 행하는 등의 회로부들이 모듈의 측면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어서, 소망하는 전기 용량 및 출력에 따라 유연성있게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하고, 단위전지간들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소자들의 장착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 등이 콤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전지들의 모듈 내 장착도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고 또한 효율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모듈 {Secondary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전지 모듈에서 하부 케이스와 그 위에 단위전지들이 적층되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3b는 도 1의 전지 모듈에서 하부 케이스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지 모듈에서 상부 케이스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전지 모듈 200: 상부 케이스
300: 하부 케이스 400: 단위전지
500: 제 1 회로부 600: 제 2 회로부
700: 제 3 회로부 800: 패스너
900: 절연부재 1000: 양면 접착 테이프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고출력 대용량의 이차전지 모듈 또는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호 분리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단위전지들을 적층하여 장착하고, 전지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센싱하고 전지를 제어하며 과전류시 단전을 행하는 등의 회로부들이 모듈의 측면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콤팩트하고 소망하는 전기 용량 및 출력에 따라 유연성있게 설계의 변경이 가능하며 구성소자들이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에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어 가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이차전지의 적용 분야와 제품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지의 종류 또한 그에 알맞은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다. 더불어, 당해 분야 및 제품들에 적용되는 전지들은 소형 경량화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들은 해당 제품들의 소형 경박화 경향에 따라 그에 상응하도록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서너 개의 소형 경량의 전지 셀들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 모듈(또는 "전지 팩"으로 칭하기도 함)이 사용되고 있는데, 전지 모듈의 크기와 중량은 당해 중대형 디바이스 등의 수용 공간 및 출력 등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제조업체들은 가능한 한 소형이면서 경량의 전지 모듈을 제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많은 충격, 진동 등을 받는 디바이스들은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소자들간의 전기적 연결상태와 물리적 결합상태가 안정적이어야 하며, 다수의 전지를 사용하여 고출력 및 대용량을 구현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도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대형 디바이스 분야에서 이차전지가 사용되는 제품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그에 알맞은 전기 용량과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전기 모듈이 필요하며, 더욱이 동일한 제품군이라 하더라도 제품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는 그에 따라 요구되는 전기 용량과 출력 또한 달라지므로 전지 모듈의 설계도 변경되어야 한다.
종래의 중대형 이차전지 모듈은 일정한 크기의 케이스(하우징) 내부에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수납하여 전기적 연결을 행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그러한 케이스의 외면에 상기 단위전지들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검출하고 전지를 제어하는 등의 회로부들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지 모듈의 구조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소망하는 전기 용량과 출력에 따라 전지 모듈을 확장 내지 축소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단위전지들은 일정한 크기의 케이스와 그러한 케이스에 부합하는 구조의 각종 소자들로 특정하여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일 예로, 출력을 높이기 위해 단위전지들을 추가할 경우, 전지 모듈 전체의 설계를 크게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단위전지들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전지 모듈의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이들의 연결을 위한 부재의 특정한 구조는 전지 모듈 전체의 크기를 더욱 크게 만들며, 연결 상태 또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전지 모듈의 단위전지로는 파우치형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파우치형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판상의 전극리드를 용접 등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야 하지만, 전극 리드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어, 전극단자들에 버스 바를 용접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셋째, 케이스 외부에 장착되거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다수의 소자들과 배선들이 일반적으로 콤팩트(높은 밀집도)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전지 모듈의 크기를 크게 만들고 외부의 충격 등에 대해 높은 안전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넷째, 모듈내에서 단위전지들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일반적으로 카트리지 등의 별도의 부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재는 전지 모듈의 조립 과정을 복잡하게 만들고 모듈의 전반적인 크기를 더욱 크게 만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망하는 전기 용량 및 출력에 따라 유연성있게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하게 디자인된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소자들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 등이 콤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자인된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단위전지간들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단위전지들을 간단한 방식으로 모듈내에 장착할 수 있고 효율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자인된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출력 대용량의 전기를 충방전할 수 있는 모듈로서,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인 다수의 단위전지들이 적층되는 플레이트와, 전지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단위전지들이 적층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위전지들의 설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단위전지의 크기에 상응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구조일 수 있으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가 적층된 단위전지들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덮는 분리형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이차전지 모듈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인 다수의 단위전지들;
상기 단위전지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단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장방형의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적층된 단위전지들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하단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장방형의 상부 케이스;
적층된 단위전지들의 전기적 연결을 행하고, 전지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센싱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회로부;
상기 제 1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모듈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제 2 회로부; 및
상기 제 2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과충전, 과방전 및/또는 과전류를 방지하면서 외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제 3 회로부;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전반적인 폭과 길이는 단위전지보다 약간 큰 정도이므로 전체 크기가 매우 작다. 따라서, 모듈화에 의한 팩의 부피증가가 최소화되므로, 적용되는 외부 기기 또는 장치에 효과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위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리튬 이차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니켈-카드뮴(Ni-Cd) 전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중량 대비 고출력을 제공하는 리튬 이차전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형태에 따라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는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가 바람직하며, 가벼운 중량의 파우치형 전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 전지 모듈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용량 및 출력을 변경하고자 할 때,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단위전지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함으로써 유연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전체적인 크기는 대략 단위전지의 크기에 상응하는 정도이다. 따라서, 단위전지가 수납되는 하부 케이스의 상단 수납부와 상부 케이스의 하단 수납부는 단위전지의 본체 크기에 상응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적층되는 단위전지들의 사이에는 양면 접착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양면 접착부재는 단위전지들이 더욱 안정적으로 적층되어 전지 모듈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양면 접착부재의 예로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한 개의 적층면에 상호 이격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양면 접착부재를 개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적층된 단위전지 사이에는 상기 이격되어 있는 양면 접착부재들로 인해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는데, 이러한 이격 공간은 충방전시 단위전지의 체적 변화를 완충하는 작용을 하며, 동시에 단위전지의 발열을 돕는다.
단위전지들은 그것의 전극 리드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적층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단위전지들과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동시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의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단위전지들의 전극 리드에는 관통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제 1 회로부는 단위전지들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들과 각각의 단위전지로부터 전압 및/또는 전류 신호를 수신하검출기 위한 센싱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회로부에서 단위전지의 전압 신호를 수신한다. 온도는 센싱 보드 어셈블리 또는 메인 보드 어셈블리에서 전지 전체의 온도로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로부는 바람직하게는 단위전지의 전극리드 방향으로 모듈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의 구성은 단위전지들의 병렬 또는 직렬 방식의 연결을 위한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단자들 사이에 과전류 또는 과열의 발생시 전류를 차단하는 안전소자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안전소자의 예로는 퓨즈, 바이메탈, PTC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센싱 보드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PCB로 되어 있고 각 단위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제 2 회로부는 제 1 회로부와 함께 단위전지의 전극리드 방향에 함께 부착될 수도 있고, 하부 기판의 하단 수납부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 1 회로부의 맞은편인 모듈의 대향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기판의 하단 수납부에 장착된다. 이 경우, 단위전지들은 제 1 회로부를 경유하여 하부 케이스의 하단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 2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지의 작동은 제 2 회로부의 메인 보드 어셈블리에서 제어된다.
전지의 충전 및 방전시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등을 제어하며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모듈의 최종 소자인 제 3 회로부 역시 제 1 회로부와 함께 단위전지의 전극리드 방향에 함께 부착될 수도 있고, 하부 기판의 하단 수납부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 1 회로부의 맞은편인 모듈의 대향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회로부의 맞은편인 모듈의 대향 측면에 부착된다. 충전 및 방전시의 과전류 제어는 바람직하게는 제 3 회로부에 포함되어 있는 FET 등과 같은 스위칭 소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회로부들의 일부 또는 전체는 병합된 구조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 2 회로부는 하부 기판의 하단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고 제 3 회로부는 제 1 회로부의 맞은편인 모듈의 대향 측면부에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지의 작동과 관련한 회로부들이 모듈을 감싼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서 모듈의 전체적인 크기가 대폭 축소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 시스템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출력 대용량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는 전기자전거(E-bike), 전기오토바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차량의 동력원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 야와 제품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콤팩트한 구조 등으로 인해 전기자전거의 동력원으로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사시도와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을 참조하면, 전지 모듈(100)은 상부 케이스(200), 하부 케이스(300), 다수의 단위전지들(400), 제 1 회로부(500), 제 2 회로부(도시하지 않음) 및 제 3 회로부(700)를 포함하고 있다. 단위전지들(400)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 사이에 적층되어 있으며, 제 1 회로부(500)는 전지 모듈(100)의 정면에 위치하고, 제 2 회로부는 저면에 위치하며, 제 3 회로부(700)는 배면에 위치한다.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적층될 수 있는 단위전지(400)의 수는 그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러한 단위전지(400)의 적층 수에 따라 제 1 회로부(500)와 제 3 회로부(700)만을 변경하면, 소망하는 전기 용량과 출력의 전지 모듈(100)을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단위전지들(400)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충방전시 단위전지들(400)의 방열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도 3a에는 도 1의 전지 모듈에서 하부 케이스의 상면 사시도와 단위전지가 함께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제 2 회로부가 장착된 상태의 하부 케이스의 하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300)는 단위전지(400)의 외형에 거의 상응하는 장방형의 구조물로서 단위전지(400)가 수납되는 상단 수납부(310)를 포함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300)는 높은 강도와 전기 절연성의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C (polycarbonate),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의 플라스틱 수지로 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300) 상에 적층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400)는 전지 본체(410)의 상단에 양극 리드(420)와 음극 리드(430)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이들 전극 리드(420, 430)에는 관통구(440)이 천공되어 있어서, 다수의 단위전지들(400, 401)이 적층된 상태에서 별도의 연결부재, 예를 들어, 패스너(800)가 관통구(440)에 삽입되고 하부 케이스(300) 상의 고정홈(320)을 통해 그것의 하단면에서 너트(도시하지 않음) 등을 사용해 고정할 수 있다.
단위전지들(400, 401) 사이에는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전극 리드(420, 430) 상에 절연부재(900)가 설장되며, 절연부재(900)에는 전극 리드(420, 430)의 관통구(440)가 체결될 수 있는 돌기(91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910)에는 관통구(920)가 형성되어 있어서, 돌기(910)의 관통구(920)를 통과하는 패스너(800)가 전극 리드(420, 430)와 전기적 절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단위전지(400)의 본체(410)에는 양면 접착 테이프(1000)가 각각 2 개 씩 부착되어 있어서 적층되는 단위전지(41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더욱 보장한다. 더욱이, 적층된 단위전지들(400, 401)은 양면 접착 테이프(1000)의 두께 만큼 이격되므로, 그러한 이격 홈은 충방전시 단위전지들(400, 401)의 체적 변화를 완충하며 충방전시 단위전지들(400, 410)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하부 케이스(300)의 하단면에는,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 수납부(330)에 제 2 회로부(600)가 장착되어 있으며, 제 1 회로부(500)로부터의 양극과 음극을 통전하기 위한 전선들(340, 342)이 제 3 회로부(7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배선되어 있다. 또한, 제 1 회로부(500)의 센싱 보드 어셈블리(5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 3 회로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들(610, 612)도 배선되어 있다. 제 2 회로부(600)는 그것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덮개(620)로 밀폐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의 전지 모듈에 사용된 상부 케이스의 하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200)는 단위전지(도 3a의 400)의 상단부가 도포될 수 있도록 그것의 크기에 상응하는 하단 수납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위전지(400) 전극 리드의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220)이 천공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00)는 하부 케이스(300)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와 다른 절연성 부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부 케이스(300)와 동일한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 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소망하는 전기 용량 및 출력에 따라 유연성있게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하고, 단위전지간들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소자들의 장착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 등이 콤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전지들의 모듈 내 장착도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고 또한 효율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전지 모듈은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중대형 전지 모듈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출력 대용량의 전기를 충방전할 수 있는 모듈로서,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인 다수의 단위전지들이 적층되는 플레이트와, 전지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단위전지들의 설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단위전지의 크기에 상응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적층된 단위전지들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덮는 분리형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단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장방형의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적층된 단위전지들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하단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장방형의 상부 케이스;
    적층된 단위전지들의 전기적 연결을 행하고, 전지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검 출하는 센싱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 1 회로부;
    상기 제 1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모듈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제 2 회로부; 및
    상기 제 2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과전류를 방지하면서 외부 출력단자와 연결하는 제 3 회로부;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는 리튬 이차전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파우치형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들의 사이에는 양면 접착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한 개의 적층면에 상호 이격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양면 접착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들의 전극 리드에는 관통구에 형성되어 있 고, 상기 관통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단위전지들 사이에는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전극 리드 상에 절연부재가 설장되어 있고, 상기 절연부재에는 전극 리드의 관통구가 체결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에는 전극 리드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부는 단위전지들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들과 각각의 단위전지로부터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수신하고 전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들 사이에는 과전류 또는 과열의 발생시 전류를 차단하는 안전소자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부는 단위전지들의 전극 리드 방향으로 모듈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부는 하부 기판의 하단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로부는 전극 리드의 맞은편인 모듈의 대향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로부에는 충전 및 방전시의 과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전기자전거, 전기오토바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전기자전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KR1020040112589A 2004-12-24 2004-12-24 이차전지 모듈 KR100875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589A KR100875606B1 (ko) 2004-12-24 2004-12-24 이차전지 모듈
CA2589892A CA2589892C (en) 2004-12-24 2005-11-29 Secondary battery module
EP05821384.4A EP1839348B1 (en) 2004-12-24 2005-11-29 Secondary battery module
PCT/KR2005/004033 WO2006068373A1 (en) 2004-12-24 2005-11-29 Secondary battery module
CN200580041937A CN100588003C (zh) 2004-12-24 2005-11-29 二次电池模块
BRPI0518367A BRPI0518367B8 (pt) 2004-12-24 2005-11-29 Módulo de bateria secundária
JP2007542918A JP4652416B2 (ja) 2004-12-24 2005-11-29 二次電池モジュール
CN2009100023214A CN101488595B (zh) 2004-12-24 2005-11-29 二次电池模块
EP12153803.7A EP2450981B1 (en) 2004-12-24 2005-11-29 Secondary battery module
RU2007121743/09A RU2355069C2 (ru) 2004-12-24 2005-11-29 Модульная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TW094143625A TWI299592B (en) 2004-12-24 2005-12-09 Secondary battery module
US11/314,506 US8039145B2 (en) 2004-12-24 2005-12-21 Secondary battery module with exposed unit cells and insulation between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589A KR100875606B1 (ko) 2004-12-24 2004-12-24 이차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383A true KR20060073383A (ko) 2006-06-28
KR100875606B1 KR100875606B1 (ko) 2008-12-24

Family

ID=3716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589A KR100875606B1 (ko) 2004-12-24 2004-12-24 이차전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5606B1 (ko)
CN (2) CN101488595B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1456B2 (en) 2005-05-02 2009-03-31 Lg Chem, Lt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hav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a compact structure
KR100968050B1 (ko) * 2007-04-20 2010-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CN102165630A (zh) * 2008-10-14 2011-08-24 株式会社Lg化学 包含电极连接装置的中型或大型电池组
US8298703B2 (en) 2006-10-30 2012-10-30 Lg Chem, Ltd. Battery module of improved safety against external impact
KR101275811B1 (ko) * 2011-05-19 2013-06-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101281811B1 (ko) * 2010-08-16 2013-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338240B1 (ko) * 2012-04-18 2013-12-10 주식회사 이랜텍 비엠에스 피시비모듈 연결구조가 개선된 배터리팩
KR101340010B1 (ko) * 2011-05-25 2013-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374240B1 (ko) * 2012-05-29 2014-03-12 주식회사 이랜텍 비엠에스모듈에 대한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US9673429B2 (en) 2013-01-16 2017-06-0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ccomodating different sizes of batteries
KR20170078381A (ko) * 2015-12-29 2017-07-0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적층형 모듈 하우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
CN111952492A (zh) * 2019-05-14 2020-11-17 Sk新技术株式会社 电池模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0147A1 (de) * 2009-02-23 2010-08-26 Li-Tec Battery Gmbh Galvanische Zelle
WO2011065675A2 (ko) * 2009-11-27 2011-06-03 (주)브이이엔에스 배터리
KR101403930B1 (ko) 2010-08-16 2014-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TW201301633A (zh) * 2011-06-28 2013-01-01 James Lin 承載件及應用其之電池組裝結構
EP2991132B1 (en) * 2013-05-15 2017-11-15 Lg Chem, Ltd. Battery module assembly
JP6153182B2 (ja) * 2014-04-30 2017-06-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用回路基板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979371B1 (ko) * 2015-10-05 2019-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47482B1 (ko) * 2015-10-30 2019-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0847821B2 (en) * 2016-12-28 2020-11-24 Honda Motor Co., Ltd. Temperature detecting device and insertion hole structure of base
KR102270828B1 (ko) * 2017-12-19 2021-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6778A (en) * 1997-07-25 2000-1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id-state energy storage module employing integrated interconnect board
US6517967B1 (en) * 1998-12-15 2003-02-11 Electric Fuel Limited Battery pack design for metal-air battery cells
JP4572019B2 (ja) * 1999-10-08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1456B2 (en) 2005-05-02 2009-03-31 Lg Chem, Lt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hav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a compact structure
US8298703B2 (en) 2006-10-30 2012-10-30 Lg Chem, Ltd. Battery module of improved safety against external impact
KR100968050B1 (ko) * 2007-04-20 2010-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CN102165630A (zh) * 2008-10-14 2011-08-24 株式会社Lg化学 包含电极连接装置的中型或大型电池组
US9246152B2 (en) 2008-10-14 2016-01-26 Lg Chem, Ltd. Battery pack contain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device
KR101281811B1 (ko) * 2010-08-16 2013-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275811B1 (ko) * 2011-05-19 2013-06-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US9472797B2 (en) 2011-05-25 2016-10-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340010B1 (ko) * 2011-05-25 2013-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338240B1 (ko) * 2012-04-18 2013-12-10 주식회사 이랜텍 비엠에스 피시비모듈 연결구조가 개선된 배터리팩
KR101374240B1 (ko) * 2012-05-29 2014-03-12 주식회사 이랜텍 비엠에스모듈에 대한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US9673429B2 (en) 2013-01-16 2017-06-0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ccomodating different sizes of batteries
KR20170078381A (ko) * 2015-12-29 2017-07-0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적층형 모듈 하우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
CN111952492A (zh) * 2019-05-14 2020-11-17 Sk新技术株式会社 电池模块
CN111952492B (zh) * 2019-05-14 2023-10-10 Sk新能源株式会社 电池模块
US11784360B2 (en) 2019-05-14 2023-10-10 Sk On Co., Ltd.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606B1 (ko) 2008-12-24
CN100588003C (zh) 2010-02-03
CN101073168A (zh) 2007-11-14
CN101488595B (zh) 2011-03-30
CN101488595A (zh)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606B1 (ko) 이차전지 모듈
KR100746485B1 (ko) 이차전지 모듈용 센싱 보드 어셈블리
JP4652416B2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0904373B1 (ko) 이차전지 모듈용 방열 구조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스위칭보드 및 이차전지 모듈
KR100948970B1 (ko)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중대형 전지모듈
KR100905391B1 (ko)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JP5344932B2 (ja) 中型または大型電池モジュール
KR100863729B1 (ko) 전지모듈 인터페이스
KR101005607B1 (ko)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JP5122573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中また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880389B1 (ko) 이차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RU2335039C1 (ru) Разделяем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модульной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и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рабоч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модульной батареи путем выравнивания напряжений
KR100876456B1 (ko)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JP2008520076A5 (ko)
KR100897182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