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104A - 폴리에스테르 층과 보호층을 갖는 다층 복합체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층과 보호층을 갖는 다층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104A
KR20060052104A KR1020050094337A KR20050094337A KR20060052104A KR 20060052104 A KR20060052104 A KR 20060052104A KR 1020050094337 A KR1020050094337 A KR 1020050094337A KR 20050094337 A KR20050094337 A KR 20050094337A KR 20060052104 A KR20060052104 A KR 20060052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ultilayer composite
lay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602B1 (ko
Inventor
귀도 슈미츠
하랄트 헤거
한스 리스
Original Assignee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5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13/0013Chemical composition of synthetic sausage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2013/0053Sausage casings multilayer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2013/0059Sausage casings thermoplastic casings, casings with at least one layer of thermo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1Glass, ceramic, or sintered, fused, fired, or calcined metal oxide or metal carbide containing [e.g., porcelain, brick, cement, etc.]
    • Y10T428/1317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10T428/1321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2Randomly noninterengaged or randomly contacting fibers, filaments, particles, or fl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86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rubber-like compound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10T428/1393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544Addition polymer is perhalogen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6Next to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46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Abstract

본 발명은 플루오로 중합체 성형 조성물과 폴리올레핀 성형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내부 층(I),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질소수 4 이상의 폴리아민 0.5 내지 25중량% 및 락탐, ω-아미노카복실산 및 동몰량의 디아민과 디카복실산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미드-형성 단량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그래프트 공중합체(a) 2 내지 80중량부; 폴리에스테르(b) 0 내지 85중량부; 폴리아미드, 플루오로 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c) 0 내지 85중량부; 충격-개질 고무, 통상의 보조제 및 첨가제로부터 선택된 첨가제(d) 50중량부 이하로 이루어진 결합 층(II)(여기서, 성분(a), 성분(b) 및 성분(c)의 총 합은 100중량부이다) 및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의 층(III)을 포함하여 층들 사이의 결합을 개선하는 다층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플루오로 중합체, 폴리올레핀, 결합제, 개질제, 성형 조성물, 다층 복합체.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층과 보호층을 갖는 다층 복합체{Multilayer composite having a polyester layer and a protective layer}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배리어 층과 알코올에 대한 배리어로서 작용하고 플루오로 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갖는 다층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내의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의 수송관으로서 사용되는 다층 복합체의 개발에서, 사용되는 성형 조성물은 수송되는 매질에 대한 충분한 화학적 내성을 가져야 하고, 파이프는 장기간 동안 연료, 오일 또는 열에 노출된 후에도 관련된 모든 기계적 요구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충분한 내연료성에 관한 요구 조건은 논외로 하고, 자동차 산업에서는 주위 환경으로의 탄화수소의 방출을 억제하는 연료관의 개선된 배리어 작용이 요구된다. 이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배리어 층 물질로서 사용되는 다층 파이프 시스템의 개발을 유도했다. 당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공보 제509 211호, 제569 681호 및 제065 048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지된 파이프들은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이 가알코올 분해 및 가수분해되기 쉽고, 알코올 함유 연료가 사용되는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이들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상실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특허공보 제0 637 509호는 폴리에스테르 층을 물 및 알코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장 내부 층인 플루오로 중합체 층의 결합을 제안하고 있다. 플루오로 중합체 층 및 폴리에스테르 층은 결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한다. 개시된 결합제는 우선 플루오로 중합체, 요곡성 플루오로 중합체 또는 플루오로 고무 및 두번째로 폴리에스테르 결정 또는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탄성중합체 , 개질된 폴리올레핀 또는, 예를 들어 에폭시, 산 무수물, 옥사졸린, 이소시아네이트, 카복실 그룹 또는 아미노 그룹을 갖는 혼화제도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영구 결합은 논외로 하고, 이런 결합제가 어떠한 결합을 수행하는지는 나타나 있지 않다. 연료에 가용성인 개시된 구성 성분 때문에, 이들 결합제는 충분한 내연료성을 갖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유럽 특허공보 제0 637 509호에 기술된 결합제는 당해 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의 기술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재생산할 수 없다.
또 다른 기술적 해결책은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43 36 289호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는, 폴리에스테르 층과 내부의 플루오로 중합체 층이 2개의 연속적 결합 층에 의해 서로 결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시스템은 고가의 생산 비용을 요한다.
이의 개질제로서, 폴리올레핀의 내부 층도 또한 폴리에스테르를 물 및 알코올의 작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충분한 결합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또한 존재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층과 보호층 사이의 우수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추가의 목적은 연료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당해 결합은 복합체의 수명 동안 충분한 정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매우 간단한 기술적 해결책이 바람직하다.
이들 목적은 다음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에 의해 성취된다:
개질되지 않거나 접착-개질된 플루오로 중합체 성형 조성물과 개질되지 않거나 접착-개질된 폴리올레핀 성형 조성물 사이에서 선택되는 내부 층(I),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수 평균 분자량 Mn이 바람직하게는 146g/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g/몰,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g/몰인, 질소수 4 이상, 바람직하게는 8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이상의 폴리아민 0.5 내지 25중량% 및 락탐, ω-아미노카복실산 및 동몰량의 디아민과 디카복실산 배합물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미드-형성 단량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그래프트 공중합체(a) 2 내지 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6 내지 40중량부; 폴리에스테르(b) 0 내지 8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5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중량부; 폴리아미드, 플루오로 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c) 0 내지 85중량부; 충격-개질 고무와 통상의 보조제 및 첨가제로부터 선 택된 첨가제(d) 5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하로 이루어진 결합 층(II)(여기서, 성분(a), 성분(b) 및 성분(c)의 중량부의 합은 100이다) 및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 층(III).
성분(II)(c)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5중량부,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다층 복합체는 일반적으로 파이프 또는 중공이다.
층(I)에 사용되는 플루오로 중합체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E),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프로펜, 헥사플루오로프로펜, 비닐 플루오라이드 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같은 제3 성분에 의해 개질된 ETFE(예를 들어, EFEP), 에틸렌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펜-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THV),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펜 공중합체(FEP)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일 수 있다.
층(II)의 결합제 자체가 플루오로 중합체를 충분히 함유하지 않는 경우, 층(I)의 플루오로 중합체는 바람직하게 접착-개질된 것이다. 즉, 결합제의 아미노 그룹과 반응할 수 있어, 상들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성 그룹이 존재한다. 당해 결합 개질은 일반적으로 2가지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 플루오로 중합체가, 미국 특허공보 제5 576 106호, 제2003148125호, 제 2003035914호, 제200210457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0311461호, 유럽 특허공보 제0 726 293호, 제0 992 518호 또는 국제 공개특허공보 제WO 972839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작용성 그룹, 예를 들어 산 무수물 그룹 또는 카보네이트 그룹을 함유하거나,
- 플루오로 중합체 성형 조성물이 작용성 그룹을 포함하는, 플루오로 중합체와 혼화 가능하거나 적어도 혼화 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한다. 당해 시스템은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되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공보 제0 637 511호 또는 이에 상응하는 미국 특허공보 제5 510 160호 및 유럽 특허공보 제0 673 762호 또는 이에 상응하는 미국 특허공보 제5 554 426호에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공보 제0 673 762호의 개질된 플루오로 중합체는 PVDF 97.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97.5 내지 8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6 내지 90중량% 및 에스테르 구성 요소(i) 14 내지 85중량%, 이미드 구성 요소(ii) 0 내지 75중량%, 카복실산 구성 요소(iii) 0 내지 15중량% 및 카복실산 무수물 구성 요소(iiii) 7 내지 20중량%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중량%를 포함한다.
추가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본 특허 출원의 명세서와 표현상으로 일치하는 내용이 참조로 인용될 수 있다.
층(I)에서 대체물로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은 우선적으로 폴리에틸렌, 특히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공단량체로서 에틸렌 또는 1-부텐을 갖는 공중합체일 수 있고,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폴리프로필렌도 또한,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또는 EPDM에 의해 충격-개질될 수 있다.
층(II)의 결합제 자체가 폴리올레핀을 충분히 함유하지 않는 경우, 층(I)의 폴리올레핀도 또한 바람직하게 접착-개질된다. 즉, 결합제의 아미노 그룹과 반응할 수 있는 작용성 그룹이 존재한다. 적합한 작용성 그룹은 우선적으로 카복실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카보네이트 그룹, 아실락탐 그룹, 옥사졸린 그룹, 옥사진 그룹, 옥사지논 그룹, 카보디이미드 그룹 또는 에폭사이드 그룹이다.
종래 기술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작용성 그룹은 일반적으로 자유-라디칼 개지제를 첨가하고/하거나 열적으로 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모노부틸말레이트, 말레산 무수물, 아코니트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또는 비닐옥사졸린 같은 올레핀계 불포화 작용성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폴리올레핀 쇄에 그래프팅되거나, 올레핀계 불포화 작용 화합물과 올레핀의 자유-라디칼 공중합에 의해 주쇄에 혼입된다.
성분(II)(a)의 그래프트 공중합체에서, 아미노 그룹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100 내지 2,500mmol/㎏이다.
폴리아민으로서, 예를 들어 다음 계열의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폴리비닐 아민(참조: Rompp Chemie Lexikon, 9th edition, volume 6, page 4921,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92),
- 대체물인 폴리케톤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민(참조: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 196 54 058호),
- ((H2N-(CH2)3)2N-(CH2)3)2-N(CH2)2-N((CH2)2-N((CH2)3-NH2)2)2 같은 덴드리머(참조: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196 54 179호) 또는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N,N-비스(2-아미노에틸)-N',N'-비스[2-[비스(2-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1,2-에탄디아민, 3,15-비스(2-아미노에틸)-6,12-비스[2-[비스(2-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9-[2-[비스[2-비스(2-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3,6,9,12,15-펜타아자헵타데칸-1,17-디아민(참조: J.M. Warakomski, Chem. Mat. 1992, 4, 1000-1004),
- 4,5-디하이드로-1,3-옥사졸의 중합과 후속의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참조: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ume E20, pages 1482-1487,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87),
- 아지리딘의 중합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분지형 폴리에틸렌이민(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ume E20, pages 1482-1487,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87)이고, 이는 일반적으로 다음 아미노 그룹 분포를 갖는다:
1급 아미노 그룹 25 내지 46%,
2급 아미노 그룹 30 내지 45% 및
3급 아미노 그룹 16 내지 40%.
바람직한 경우에, 폴리아민의 수 평균 분자량 Mn은 20,000g/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0g/몰 이하,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g/몰 이하이다.
폴리아미드-형성 단량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락탐 또는 ω-아미노카복실산의 탄소수는 4 내지 19, 특히 6 내지 12이다. ε-카프로락탐, ε-아미노카프로산, 카프릴로락탐, ω-아미노카프릴산, 라우로락탐, 12-아미노도데칸산 및/또는 11-아미노운데카노산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아민과 디카복실산의 배합물은,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 디아민/아디프산, 헥사메틸렌디아민/도데칸이산, 옥타메틸렌디아민/세박산, 데카메틸렌디아민/세박산, 데카메틸렌디아민/도데칸이산, 도데카메틸렌디아민/도데칸이산 및 도데카메틸렌디아민/2,6-나프탈렌디카복실산이다. 그러나, 데카메틸렌디아민/도데칸이산/테레프탈산,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프산/테레프탈산,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프산/카프로락탐, 데카메틸렌디아민/도데칸이산/11-아미노운데칸산, 데카메틸렌디아민/테레프탈산/라우로락탐 또는 도데카메틸렌디아민/2,6-나프탈렌디카복실산/라우로락탐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다른 폴리아미드-형성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디카복실산 0.01 내지 약 1.2몰%와 트리카복실산 0.01 내지 약 1.2몰%로부터 선택된 올리고카복실산을 추가로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비율을 측정함에 있어서, 디아민과 디카복실산의 동일한 배합물의 경우의 당량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취급된다. 결과적으로, 폴리아미드-형성 단량체는 전반적으로 약간 과량인 카복실 그룹을 갖는다. 디카복실산을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2.2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몰%, 특히 0.15 내지 0.65몰%의 양으로 사용하고, 트리카복실산을 사용 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9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5 내지 0.6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4몰%, 특히 0.04 내지 0.25몰%의 양으로 사용한다. 올리고카복실산을 동시에 사용하면 내용매성 및 내연료성, 특히 가수분해와 가알코올 분해에 대한 내성 및 환경 응력 균열에 대한 내성이 현저히 개선되지만, 또한 팽창 특성 및 이와 관련된 입체적 안정성과 확산에 대한 배리어 작용도 또한 현저히 개선된다.
올리고카복실산으로서, 탄소수 6 내지 24의 임의의 디카복실산 또는 트리카복실산, 예를 들어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박산, 도데칸이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사이클로헥산-1,4-디카복실산, 트리메시산 및/또는 트리멜리트산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다면 탄소수 3 내지 50의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방환족 및/또는 알킬아릴-치환된 모노카복실산, 예를 들어 라우르산, 불포화 지방산, 아크릴산 또는 벤조산을 개질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아미노 그룹의 농도는 이들 개질제에 의해 분자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2중 또는 3중 결합 등과 같은 작용성 그룹은 동일한 방법으로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아미노 그룹의 본래 비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아미노 그룹의 농도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500mmol/㎏, 특히 250 내지 1300mmol/㎏,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100mmol/㎏이다. 본원에서, 아미노 그룹은 말단 아미노 그룹뿐만 아니라 존재할 수 있는 폴리아민의 임의의 2급 또는 3급 아민 작용기를 포함한다.
이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유럽 특허공보 제1 065 048호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성분(II)(b) 및 층(III)의 가능한 폴리에스테르는 선형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들은 디올과 디카복실산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디메틸 에스테르와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된다. 적합한 디올은 화학식 HO-R-OH(여기서, R은 탄소수 2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의 2가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라디칼이다)를 갖는다. 적합한 디카복실산은 화학식 HOOC-R'-COOH(여기서, R'는 탄소수 6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의 2가 지방족 라디칼이다)를 갖는다.
디올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및 C36-디올 디메르디올이다. 디올은 단독으로 또는 디올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디올의 25몰% 이하는 아래의 화학식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Figure 112005056790613-PAT00001
위의 화학식에서,
R"는 탄소수 2 내지 4의 2가 라디칼이고,
x는 2 내지 5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가능한 지방족 디카복실산은,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1,4-, 1,5-, 2,6- 또는 2,7-나프탈렌디카복실산, 디페놀산 및 비스(4-카복실페닐) 에테르이다. 이들 디카복실산의 30몰% 이하는 석신산, 아디프산, 세박산, 도데칸이산 또는 사이클로헥산-1,4-디카복실산 같은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카복실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에스테르의 예는 폴ㄹ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2,6-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2,6-나프탈레이트이다. 이론적으로, 층(III)의 폴리에스테르 및 성분(II)(b)의 폴리에스테르는 동일한 유형일 수 있다. 이러하지 않다면, 혼화가능한 폴리에스테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종래기술(참조: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4 07 155호, 제24 07 156호; Ullmanns Encyclopadieder technischen Chemie, 4th edition, vol. 19, page 65 ff., Verlag Chemie, Weinheim, 1980)이다.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은 이들 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또는 다수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열가소성 플라스틱, 특히 충격-개질 고무가 결합력을 억제하지 않는 한, 40중량% 이하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통상의 보조제 및 첨가제, 예를 들어 난연제, 안정화제, 공정 개선제, 충전제, 특히 도전성을 개선시키는 충전제, 강화 섬유, 안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물질의 양은 목적하는 속성을 심각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이어야 한다.
성분(II)(c)에 대한 적합한 폴리아미드는 우선적으로 지방족 호모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PA 46, PA 66, PA 68, PA 612, PA 88, PA 810, PA 1010, PA 1012, PA 1212, PA 6, PA 7, PA 8, PA 9, PA 10, PA 11 및 PA 12이다. [폴리아미드의 명칭은 국제 기준과 동일하고, 첫번째 숫자는 출발 디아민에서의 탄소원자의 수를 나타내고, 마지막 숫자는 디카복실산에서의 탄소원자의 수를 나타낸다. 단지 하나의 숫자만이 주어진 경우, 이는 α,ω-아미노카복실산 또는 이의 락탐 유도체가 출발 물질로 사용됨을 의미하고, 그렇지 않다면, 문헌(참조: H. Dominin호면, Die Kunststoffe und ihre Eigenschaften, pages 272 ff., VDI-Verlag, 1976.)을 참조할 수 있다.]
코폴리아미드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은 공산으로서, 예를 들어 아디프산, 세박산, 수베르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복실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공디아민으로서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프로락탐 또는 라우로락탐 같은 락탐 및 11-아미노운데카노산 같은 아미노카복실산도 마찬가지로 공성분으로서 혼입될 수 있다.
이들 폴리아미드의 제조방법은 공지되어 있다(참조: e.g. D.B. Jacobs, J. Zimmermann, Polymerization Processes, pp. 424-467,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77;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1 52 194호).
추가의 적합한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공보 제2 071 250호, 제2 071 251호, 제2 130 523호, 제2 130 948호, 제2 241 322호, 제2 312 966호, 제2 512 606호 및 제3 393 210호, 문헌(참조: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3rd edition, vol. 18, pages 328 ff. and 435 ff., Wiley & Sons, 198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지방족/방향족이 혼합된 중축합물이다.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폴리(에테르 아미드)도 또한 폴리아미드로서 적합하고, 당해 생성물은, 예를 들어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5 23 991호, 제27 12 987호 및 제30 06 961호에 기술되어 있다.
폴리아미드 및 그룹들은 임의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50%를 초과하는 말단 그룹이 아미노 말단 그룹인 경우, 일반적으로 결과가 가장 좋다.
성분(II)(c)의 구성 요소로서 임의로 존재할 수 있는 플루오로 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으로서, 층(I)에 대한 것과 동일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층(I)이 플루오로 중합체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성분(II)(c)도 마찬가지로 플루오로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유형의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성분(II)(c)에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동일한 경우, 층들의 결합이 개선되지 않는다.
유사한 방식으로, 층(I)이 폴리올레핀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성분(II)(c)도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유형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으나, 성분(II)(c)에 플루오로 중합체를 사용하는 동일한 경우, 층들의 결합이 개선되지 않는다.
성분(II)(c)에 임의로 존재하는 플루오로 중합체 또는 폴리올레핀은 바람지하게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접착-개질된 것이다. 동일한 경우에, 층(I)의 성형 조성물의 접착-개질은 제거될 수 있다.
성분(II)(d)에 대한 첨가제로서, 층(III)의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에 대해 기술한 바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층(I) 내지 층(III)은 논외로 하고, 추가의 층들,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 또는 폴리올레핀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고, 적합한 결합제[층(IV)]를 통해 층(III)에 결합되는 층(V)은 본 발명의 복합체에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당해 목적을 위해 적합한 결합제는 종래 기술에 따른다. 또한, 이러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올레핀 층은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의 피복물 또는 포장 재료에 의해 인접될 수 있다. 가장 내부의 추가 플루오로 중합체 또는 폴리올레핀 층은 동일하게 내부 층(I)에 인접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다층 복합체는 재연삭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의 제조에서, 파편이, 예를 들어 압출 공정의 초기, 압출 취입 성형으로부터 새로운 복합체의 형성시 또는 그렇지 않다면 파이프의 제조시에 수득된다. 이러한 파편으로부터 유도된 재연삭 층은 2개의 다른 층 사이에 주입되어, 재연삭 층의 취성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보충된다.
본 발명의 다층 복합체는, 예를 들어 파이프, 주입구 또는 콘테이너, 특히 액체 또는 기체의 이송 또는 저장용 콘테이너이다. 파이프는 매끄럽거나 파형이거나 부분적으로 파형일 수 있다. 파형 파이프는 종래기술(예를 들어, 미국 특허공보 제5 460 771호)에 따르고, 이를 위한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본원에 불필요하다. 다층 복합체의 중요한 용도는 연료관, 탱크 주입구, 증기관(즉, 연료증기가 이송되 는 관, 예를 들어 환기관), 주유소 유관, 냉각 유관, 에어콘관 또는 연료 콘테이너, 예를 들어 캐니스터 또는 탱크로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복합체를 인화성 액체, 기체 또는 분진, 예를 들어 연료 또는 연료증기를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 복합체의 층 중의 하나 또는 추가의 내부 층을 전기도전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기술의 모든 방법을 이용하여 도전성 첨가제를 합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전성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도전성 카본 블랙, 금속 박편, 금속 분말, 금속화 유리구, 금속화 유리 섬유, 금속 섬유(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 섬유), 금속화 위스커(whisker), 탄소 섬유(금속화 탄소 섬유를 포함), 본질적으로 도전성인 중합체 또는 탄소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도전성 첨가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경우, 도전성 층은 이송되거나 저장되는 매질과 직접 접촉하고, 109Ω/단위면적 이하, 바람직하게는 106Ω/단위면적 이하의 표면 저항을 갖는다. 다층 파이프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문헌[참조: SAE J 2260(November 1996, Paragraph 7.9)]에 기술되어 있다.
다층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단계, 예를 들어 단일 단계 다성분 사출 성형 공정, 공압출, 공압출 취입 성형(예를 들어, 3D 취입 성형, 개방된 1/2 금형으로의 용융예비 성형물 압출, 3D 용융예비 성형물 조작, 진공 취입 성형, 3D 진공 취입 성형, 연속식 취입 성형) 또는 피복과 같은 다단계 공정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실시예에서, 다음 성형 조성물을 사용했다.
내부 층[층(I)]:
플루오로 중합체 1: 유럽 특허공보 제0 673 76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판중인 PVDF 95중량% 및 다음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폴리글루타르이미드 5중량%의 혼합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도체 57중량%,
N-메틸글루타르이미드 유형 30중량%,
메타크릴산 유도체 3중량% 및
글루타르산 무수물 유형 1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용융 상태의 메틸아민 수용액과
의 반응에 의해 제조됨).
플루오로 중합체 2: 네오플론(NEOFLON)® RP 5000[개질된 EFEP, 제조원: 일
본 소재의 다이킨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Daikin
Industies Ltd.)]
플루오로 중합체 3: 네오플론® RP 5000[도전성의 개질된 EFEP, 제조원: 일
본 소재의 다이킨 인더스티리스 리미티드]
폴리올레핀 1: 스타밀란(STAMYLAN)® P 83 MF 10[PP 공중합체, 제조원: 디에
스엠 도이칠란트 게엠베하(DSM Duetschland GmbH)]
폴리올레핀 2: 베스톨렌(VESTOLEN)® A 6013[HDPE, 제조원: 디에스엠 도이칠
란트 게엠베하]
결합제[층(II) 및 층(IV)]: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라우로락탐 9.5㎏을 180 내지 210℃의 가열 용기에서 용융시켰고, 압력-조절 중축합 용기로 이송시켰고, 물 475g 및 차아인산 0.54g을 차례로 첨가했다. 락탐의 분열이 자가 압력 하에 280℃에서 수행된 후, 당해 용기를 3시간에 걸쳐 5bar의 잔여 증기압으로 감압시켰고, 폴리에틸렌이민[루파졸(LUPASOL) G 100, 제조원: 루드빅샤펜 소재의 바스프 아게(BASF AG)] 500g 및 도데칸이산 15g을 첨가했다. 2개의 성분 모두 자가 압력하에서 결합한 후, 당해 용기를 대기압으로 감압시켰고, 질소가 280℃에서 2시간 동안 용융물을 통과하도록 했다. 처리된 용융물을 용융 펌프에 의해 한 가닥으로 방출시켰고, 수 욕에서 냉각시킨 후, 운반했다.
BA 1: PA 12(ηrel = 2.1) 12.6㎏, 베스토두르(VESTODUR)® 3000[용액 점도가
165㎤/g인 호모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원: 데구사 아게(Deg
ussa AG)] 22.82㎏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 5.0㎏을 양날 반죽기 ZE 25
33D[270℃, 150rpm, 유출량 10㎏/h, 제조원: 베르스토르프(Berstorff)
] 상에서 용융-혼합했고, 압출했고, 운반했다.
BA 2: PA 12가 말레산 무수물이 접목된 폴리프로필렌[애드머(ADMER)® QB 52
0 E, 제조원: 일본 소재의 미쯔이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Mitsui
Chemicals Inc.)]에 의해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 BA 1과 동일하다.
BA 3: PA 12가 말레산 무수물이 접목된 폴리에틸렌[애드머® NF 408 E, 제조
원: 일본 소재의 미쯔이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대체된 것
을 제외하고 BA 1과 동일하다.
폴리에스테르 층[층(III)]:
PEL: 충격-개질된 호모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조원: 데구사 아게)
외부 층[층(V)]:
PA 12: 충격-개질된 가소성 폴리아미드[베스타미드(VESTAMID® X 7293), 제
조원: 데구사 아게]
폴리올레핀: 위와 같음
실시예 1 내지 5
규격이 8 ×1㎜인 파이프를 45㎜ 압출기 2개 및 30㎜ 압출기 3개가 장착된 5층 장치상에서 압출 속도를 약 12m/분으로 제조했다.
실시예 내부층 = 층(I) 층(II) 층(III) 층(IV) 층(V)
1 플루오로 중합체 1 0.1㎜ BA 1 0.1㎜ PEL 0.3㎜ BA 1 0.1㎜ PA 12 0.4㎜
2 플루오로 중합체 2 0.1㎜ BA 1 0.1㎜ PEL 0.3㎜ BA 1 0.1㎜ PA 12 0.4㎜
3 플루오로 중합체 3 0.1㎜ BA 1 0.1㎜ PEL 0.3㎜ BA 1 0.1㎜ PA 12 0.4㎜
4 폴리올레핀 1 0.1㎜ BA 2 0.1㎜ PEL 0.3㎜ BA 1 0.1㎜ PA 12 0.4㎜
5 폴리올레핀 2 0.1㎜ BA 3 0.1㎜ PEL 0.3㎜ BA 3 0.1㎜ 폴리올레핀 2 0.4㎜
파이프의 속성:
실시예 1 내지 5의 파이프에서, 플루오로 중합체 또는 폴리올레핀 내부 층과 폴리에스테르 층간의 결합이 강하여 당해 복합체는 새로 압출되는 경우와 연료 내 에서 저장한 후의 경우 모두 분리될 수 없었다(80℃에서 주마다 연료를 바꾸어 1000시간 동안, CM 15를 이용하여 내부에 접촉 저장했고, 시험 연료는 이소옥탄 42.5용적%, 톨루엔 42.5용적% 및 메탄올 15용적%를 포함한다).
SAE J 2260에 따른 -40℃에서의 저온 충격 거칠기 실험에서의 파열 비는 새로이 압출한 경우와 연료 내에 저장한 후의 경우 모두 모든 파이프에 대하여 0/10이었다(80℃에서 주마다 연료를 바꾸어 1000시간 동안, CM 15를 이용하여 내부에 접촉 저장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층과 보호층 사이의 우수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제를 제공한다. 또한, 연료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당해 결합은 복합체의 수명 동안 충분한 정도로 유지된다.

Claims (16)

  1. 플루오로 중합체 성형 조성물과 폴리올레핀 성형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내부 층(I),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질소수 4 이상의 폴리아민 0.5 내지 25중량% 및 락탐, ω-아미노카복실산 및 동몰량의 디아민과 디카복실산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미드-형성 단량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그래프트 공중합체(a) 2 내지 80중량부; 폴리에스테르(b) 0 내지 85중량부; 폴리아미드, 플루오로 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c) 0 내지 85중량부; 충격-개질 고무, 통상의 보조제 및 첨가제로부터 선택된 첨가제(d) 50중량부 이하로 이루어진 결합 층(II)(여기서, 성분(a), 성분(b) 및 성분(c)의 총 합은 100중량부이다) 및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 층(III)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II)(a)가 4 내지 60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고/하거나 성분(II)(b)가 10 내지 7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다층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II)(a)가 6 내지 40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고/하거나 성분(II)(b)가 25 내지 6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다층 복합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II)(c)가 5 내지 75중량 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다층 복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성분(II)(c)가 10 내지 6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다층 복합체.
  6. 제4항에 있어서, 성분(II)(c)가 20 내지 5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다층 복합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오로 중합체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제3 성분에 의해 개질된 ETFE, 에틸렌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펜-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THV),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펜 공중합체(FEP)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층 복합체.
  8.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이 폴리올레핀으로서 사용되는 다층 복합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오로 중합체 또는 폴리올 레핀이 접착-개질된 다층 복합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2,6-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2,6-나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다층 복합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합한 결합제를 통해 층(III)에 결합되는,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 또는 폴리올레핀 성형 조성물 층을 추가로 갖는 다층 복합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또는 중공체인 다층 복합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파형 파이프인 다층 복합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관, 브레이크 유관, 냉각 유관, 유압 유관, 주유소 유관, 에어컨 파이프, 증기 파이프, 콘테이너 또는 주입구인 다층 복합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 중의 하나 또는 추가의 내부 층이 도전성이 되도록 제조된 다층 복합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압출, 피복, 다성분 사출 성형 또는 공압출 취입 성형에 의해 생성되는 다층 복합체.
KR1020050094337A 2004-10-07 2005-10-07 폴리에스테르 층과 보호층을 갖는 다층 복합체 KR101202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410048777 DE102004048777A1 (de) 2004-10-07 2004-10-07 Mehrschichtverbund mit Polyesterschicht und Schutzschicht
DE102004048777.4 2004-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104A true KR20060052104A (ko) 2006-05-19
KR101202602B1 KR101202602B1 (ko) 2012-11-19

Family

ID=3550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337A KR101202602B1 (ko) 2004-10-07 2005-10-07 폴리에스테르 층과 보호층을 갖는 다층 복합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21890B2 (ko)
EP (1) EP1645409B1 (ko)
JP (1) JP4625396B2 (ko)
KR (1) KR101202602B1 (ko)
CN (1) CN1769044B (ko)
BR (1) BRPI0504314A (ko)
DE (2) DE102004048777A1 (ko)
RU (1) RU240421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308930D1 (de) * 2002-07-05 2008-02-14 Evonik Goldschmidt Gmbh Polymerzusammensetzungen aus polymeren und ionischen flussigkeiten
DE102004029217A1 (de) * 2004-06-16 2006-01-05 Degussa Ag Mehrschichtfolie
DE102004036179A1 (de) * 2004-07-26 2006-03-23 Degussa Ag Kühlmittelleitung
DE102004048776A1 (de) * 2004-10-07 2006-04-13 Degussa Ag Mehrschichtverbund mit EVOH-Schicht und Schutzschicht
DE102004063220A1 (de) * 2004-12-29 2006-07-13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n
DE102005007664A1 (de) * 2005-02-19 2006-08-31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
DE102005007665A1 (de) * 2005-02-19 2006-08-31 Degussa Ag Folie auf Basis eines Polyamidblends
DE102005007663A1 (de) 2005-02-19 2006-08-24 Degussa Ag Transparente, dekorierbare mehrschichtige Folie
DE102005026264A1 (de) 2005-06-08 2006-12-14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
DE102005051126A1 (de) * 2005-10-26 2007-05-03 Degussa Gmbh Folie mit Deckschicht aus einer Polyamidzusammensetzung
DE102006011493A1 (de) * 2006-03-14 2007-09-20 Degussa Gmbh Druckluftbremsleitung
DE102006040112A1 (de) * 2006-08-26 2008-03-06 Evonik Degussa Gmbh Verbundteil aus einer Mehrschichtfolie und einem Substrat auf Basis eines Polycarbonats
DE102006041138A1 (de) * 2006-09-01 2008-03-06 Evonik Degussa Gmbh Verbund aus einer Folie und einem Substrat auf Basis eines amorphen Polyamids
DE102006058681A1 (de) * 2006-12-13 2008-06-19 Evonik Degussa Gmbh Transparentes Bauteil
DE102007003327A1 (de) * 2007-01-17 2008-07-24 Evonik Degussa Gmbh Mehrschichtfolie und daraus hergestelltes Verbundteil
DE102007038578A1 (de) * 2007-08-16 2009-02-19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Dekorierung von Oberflächen
JP5434688B2 (ja) * 2009-09-24 2014-03-05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付樹脂モールド構造
US10238776B2 (en) 2010-12-29 2019-03-26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Hydrophobic catheter and composition
TWI537134B (zh) 2011-09-19 2016-06-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含氟聚合物之多層組合物與其製法、與太陽能模組
DE102011084518A1 (de) * 2011-10-14 2013-04-18 Evonik Industries Ag Verwendung einer Mehrschichtfolie mit Polyamid- und Polyesterschichten fürdie Herstellung photovoltaischer Module
US10343085B2 (en) * 2011-10-14 2019-07-09 W. L. Gore & Associates, Inc. Multilayer porous composite
RU2502605C2 (ru) * 2011-10-18 2013-12-27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торговл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инпромторг России) Многослой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спасательных средств
US9913933B2 (en) 2013-03-15 2018-03-13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Multilayered catheter shaft containing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WO2016097329A1 (en) * 2014-12-19 2016-06-23 Solvay Specialty Polymers Italy S.P.A. Methods for making multilayer tubular articles
EP3069874B1 (de) 2015-03-17 2017-07-19 Evonik Degussa GmbH Mehrschichtverbund mit einer polyesterschicht
FR3044585B1 (fr) * 2015-12-08 2020-01-31 Arkema France Structure multicouche comprenant une couche contenant un polymere fluore et copolymere acrylique - procede de fabrication et tube associes
EP3626764B1 (de) 2018-09-21 2021-02-24 Evonik Operations GmbH Composite mit thermoplastischer matrix
CN109749434A (zh) * 2019-01-04 2019-05-14 天长市雷克斯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地暖用全塑复合管的制备方法
US20210107266A1 (en) * 2019-10-15 2021-04-15 Nan Ya Plastics Corporation Antibacterial plastic surface material
CN110819110A (zh) * 2019-11-08 2020-02-21 昆山华阳新材料股份有限公司 面料用聚醚砜薄膜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2123A1 (de) * 1990-09-26 1992-04-02 Yokohama Rubber Co Ltd Gas- und oeldurchlaessiger schlauch
US5478620A (en) * 1991-04-18 1995-12-26 Huels Aktiengesellschaft Multilayer plastic pipe
DE4112668A1 (de) * 1991-04-18 1992-10-22 Huels Chemische Werke Ag Thermoplastische mehrschichtverbunde
DE4137431A1 (de) * 1991-11-14 1993-05-19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DE4215608A1 (de) 1992-05-12 1993-11-18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US5460771A (en) * 1992-10-16 1995-10-24 Itt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corrugated multi-layer tubing having layers of differing plastic characteristics
DE4240658A1 (de) * 1992-12-03 1994-06-09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DE4310884A1 (de) * 1993-04-02 1994-10-06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DE69431579T2 (de) 1993-08-03 2003-03-27 Nitta Moore Co Ltd Kraftstofftransportschlauch
DE4326130A1 (de) 1993-08-04 1995-02-09 Huels Chemische Werke Ag Thermoplastische Mehrschichtverbunde
DE4336290A1 (de) * 1993-10-25 1995-04-27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DE4336289A1 (de) * 1993-10-25 1995-04-27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KR960705881A (ko) 1993-10-29 1996-11-08 이노우에 노리유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적층체(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made therefrom)
DE4410148A1 (de) * 1994-03-24 1995-09-28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DE19507025A1 (de) * 1995-03-01 1996-09-05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rohr mit elektrisch leitfähiger Innenschicht
DE19507026A1 (de) * 1995-03-01 1996-09-05 Huels Chemische Werke Ag Thermoplastische Mehrschichtverbunde
DE19519481A1 (de) * 1995-05-27 1996-11-28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r Kunststoff-Kraftstoffilter mit antistatischen Eigenschaften
US5934336A (en) 1996-01-29 1999-08-10 Bundy Corporation Multi-layer tubing assembly for fluid and vapor handling systems
DE19641751B4 (de) * 1996-10-10 2009-07-09 Evonik Degussa Gmbh Zweikomponenten-Anbindungselement
DE19641946A1 (de) * 1996-10-11 1998-04-16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mit segmentierter Sperrschicht
JPH10311461A (ja) 1997-05-12 1998-11-24 Asahi Glass Co Ltd 燃料ホース
DE19720317A1 (de) * 1997-05-15 1998-11-19 Huels Chemische Werke Ag Haftvermittler für einen Mehrschichtverbund
US6372870B1 (en) 1997-06-23 2002-04-16 Daikin Industries Ltd.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and use thereof
DE19838709A1 (de) * 1998-08-26 2000-03-02 Degussa Mehrschichtverbund mit Barrierewirkung
DE19908640A1 (de) * 1999-02-27 2000-08-31 Degussa Mehrschichtverbund
EP1065232B1 (de) * 1999-06-29 2003-09-24 Degussa AG Polyamid-Pfropfcopolymere
ATE250642T1 (de) * 1999-06-29 2003-10-15 Degussa Hochverzweigte polyamid-pfropfcopolymere
ATE272497T1 (de) 1999-06-29 2004-08-15 Degussa Mehrschichtverbund
EP1217278A4 (en) * 1999-09-30 2004-12-15 Asahi Glass Co Ltd KRAFTSTOFFSCHLAUCH
DE10002461A1 (de) 2000-01-21 2001-07-26 Degussa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mit guter Schichtenhaftung
DE10002948A1 (de) * 2000-01-25 2001-07-26 Degussa Leichtfließende transparente Polyamid-Formmasse
KR100830071B1 (ko) * 2000-02-18 2008-05-16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수지 성형체 및 다층 성형품
WO2001081077A1 (en) * 2000-04-24 2001-11-0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Hose for fuel
DE10025707A1 (de) * 2000-05-26 2001-11-29 Degussa Mehrschichtiges, verstärktes Kunststoffanbindungselement mit antistatischen Eigenschaften
DE10030716A1 (de) * 2000-06-23 2002-01-03 Degussa Tieftemperaturschlagzähe Polymerlegierung
DE10064333A1 (de) * 2000-12-21 2002-06-27 Degussa Mehrschichtverbund mit einer EVOH-Schicht
DE10064334A1 (de) * 2000-12-21 2002-06-27 Degussa Polyamid-Mehrschichtverbund
DE10064335A1 (de) * 2000-12-21 2002-07-04 Degussa Leichtfließende Polyester-Formmasse
DE10064336A1 (de) * 2000-12-21 2002-06-27 Degussa Polyesterformmasse
DE10064338A1 (de) * 2000-12-21 2002-06-27 Degussa Formmasse mit guter Blasformbarkeit
DE10065177A1 (de) * 2000-12-23 2002-06-27 Degussa Mehrschichtverbund auf Polyamid/Polyolefin-Basis
JP2002276862A (ja) * 2001-01-12 2002-09-25 Tokai Rubber Ind Ltd 低透過燃料系ホース
DE10150258A1 (de) * 2001-10-11 2003-04-17 Degussa Leitungssystem für Fluide und Gase in einer Brennstoffzelle
DE10164408A1 (de) * 2001-12-28 2003-07-17 Degussa Flüssigkeits- oder dampfführendes System mit einer Fügezone aus einem coextrudierten Mehrschichtverbund
US20030121188A1 (en) * 2002-01-03 2003-07-03 Kary Haar Tamper proof ear tag system
DE10200804A1 (de) * 2002-01-11 2003-07-24 Degussa Leichtfliessende Polyester-Formmasse
DE10203626B4 (de) * 2002-01-30 2004-01-08 Veritas Ag Mehrschichtiges Rohr bzw. Schlauch
DE10228439A1 (de) * 2002-06-26 2004-01-22 Degussa Ag Kunststoff-Lichtwellenleiter
DE50308930D1 (de) * 2002-07-05 2008-02-14 Evonik Goldschmidt Gmbh Polymerzusammensetzungen aus polymeren und ionischen flussigkeiten
DE10245355A1 (de) * 2002-09-27 2004-04-08 Degussa Ag Rohrverbindung
JP2004216779A (ja) 2003-01-16 2004-08-05 Tokai Rubber Ind Ltd 自動車用燃料系ホース
DE10316996A1 (de) * 2003-04-11 2004-10-28 Degussa Ag Leitungssystem für Fluide und Gase in einer Brennstoffzelle
DE10318321A1 (de) * 2003-04-19 2004-10-28 Degussa Ag Verfahren zum Ultraschallschweißen von Kunstoffkomponenten
DE102005026264A1 (de) * 2005-06-08 2006-12-14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
DE102007003327A1 (de) * 2007-01-17 2008-07-24 Evonik Degussa Gmbh Mehrschichtfolie und daraus hergestelltes Verbundteil
DE102007038578A1 (de) * 2007-08-16 2009-02-19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Dekorierung von Oberflä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5409B1 (de) 2008-01-16
US20060083882A1 (en) 2006-04-20
JP2006116958A (ja) 2006-05-11
EP1645409A1 (de) 2006-04-12
CN1769044B (zh) 2010-05-12
BRPI0504314A (pt) 2007-06-05
RU2005130915A (ru) 2007-04-20
RU2404211C2 (ru) 2010-11-20
JP4625396B2 (ja) 2011-02-02
CN1769044A (zh) 2006-05-10
KR101202602B1 (ko) 2012-11-19
DE102004048777A1 (de) 2006-04-13
DE502005002551D1 (de) 2008-03-06
US8221890B2 (en) 201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602B1 (ko) 폴리에스테르 층과 보호층을 갖는 다층 복합체
US8133561B2 (en) Multi-layer composite comprising an EVOH layer and a protective layer
JP4162889B2 (ja) 多層複合材料および成形材料
US6783821B2 (en) Polyamide composite having two or more layers
US6355358B1 (en) Multilayer composite
JP4090736B2 (ja) 多層複合材料およびポリアミド/ポリオレフィンを基礎とする成形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